KR100750571B1 - 육모료 - Google Patents

육모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571B1
KR100750571B1 KR1020027005045A KR20027005045A KR100750571B1 KR 100750571 B1 KR100750571 B1 KR 100750571B1 KR 1020027005045 A KR1020027005045 A KR 1020027005045A KR 20027005045 A KR20027005045 A KR 20027005045A KR 100750571 B1 KR100750571 B1 KR 100750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acid
cells
ether
p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5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2290A (ko
Inventor
하마다지카
다카하시다다히토
다지마마사히로
나카마야스나리
마가라츠나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20062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thyroid hormones, e.g. T3, T4
    • A61P5/16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thyroid hormones, e.g. T3, T4 for decreasing, blocking or antagonising the activity of the thyroid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Toxic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Diabetes (AREA)
  • Cosmetic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메틸타우린을 필수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서, 모발 성장기 연장효과를 가지고, 또한 모발에 탄력과 힘을 부여하여, 모발에 볼륨감을 부여할 수 있는 육모료, 육모 샴푸를 제공하는 것이다.또, 모발 화장료에 배합하는 세포 부활제, 모발 탄력·힘 개선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112002011760810-pct00001
육모료, 육모 샴푸, N-메틸타우린, 세포 부활제

Description

육모료{HAIR NOURISHMENTS}
본 발명은 육모료(育毛料)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육모료에 배합되는 세포 부활제 및 모발 탄력 ·힘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 스트레스 사회로 일컬어지는 현대 사회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탈모의 요인이 생긴다. 그 때문에, 우수한 육모료의 연구개발이 정력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다.
육모료가 모발에 주는 효과는 다음의 예가 있다. 발모 유도효과(발모 촉진효과, 성장기 유도효과), 모발을 굵게하는 효과, 모발 성장기 연장효과, 5α-레덕타아제 저해효과, 혈행촉진효과, 살균효과, 비듬방지효과, 보습효과, 항산화효과.
그러나, 정력적인 육모료의 연구개발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육모료는, 탈모방지, 발모효과 등의 육모 작용은 반드시 충분하지는 않았다. 이것은, 탈모의 원인이 다기에 걸치며, 또, 발모의 기구도 매우 복잡하기 때문이다.
종래의 육모료는, 「발모」나 「탈모」라는 현상만을 검토하여 개발되고 있어, 그 메커니즘을 탐구하여 개발된 육모료는 적다.
이 큰 이유는, 메커니즘에 착안한 육모효과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육모약제 검정방법이 충분히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에 유래한다. 특히 모발 성장기 연 장효과를 확인하는 육모약제 검정방법의 확립은 어렵다. 그 결과, 종래의 대부분의 육모료는, 성장기 연장효과가 아니고, 모주기(毛周期)의 모발 성장기에 모발을 유도하는 발모 유도효과에 착안하여 개발된 것이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시험관 내에서 행하는 간편한 모발 성장기 연장효과를 검정하는 육모약제 검정방법을 확립하였다. 이 육모약제 검정방법을 이용하여, 모발 성장기 연장효과를 가지는 성분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이 성분이 모발에 탄력과 힘을 주고, 머리카락의 볼륨감을 부여한다는 예기치않은 효과를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와 같다.
1. 모발 성장기 연장효과를 가지고, 나아가서는 모발에 탄력과 힘을 부여하여, 머리카락에 볼륨감을 부여할 수 있는 육모료, 육모샴푸를 제공하는 것.
2. 모발 화장료에 배합하는 세포 부활제, 모발 탄력·힘 개선제를 제공하는 것.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N-메틸타우린을 함유하는 육모료.
(2)N-메틸타우린을 함유하는 육모샴푸.
(3)N-메틸타우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세포 부활제.
(4)N-메틸타우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모발 탄력·힘 개선제.
도1은, 외모근초세포의 증식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2는, 모발의 비틀림 토크의 증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하여 상술한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N-메틸타우린은, HNCH3CH2CH2SO3H의 분자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N-메틸타우린은, 지금까지, 모발 성장기 연장효과, 모발에 탄력과 힘을 부여하는 효과가 확인되고, 육모료의 용도에 사용된 적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육모료」란, 양모(養毛)를 목적으로 하는 모발관련제품을 말한다.
본 발명의 육모료는, 후술하는 육모약제 검정방법에 의하여, 적어도 모낭(毛囊) 상피계 세포의 분열 증식 활성을 유지 또는 촉진함으로써, 모발의 성장기를 유지 또는 연장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육모샴푸란, 상기 육모료에 세정성분(계면 활성제 등)을 배합하여 육모 모발 세정료로서 사용되는 바람직한 양태이다.
또, 세포 부활제, 모발 탄력 ·힘 개선제는, 상기 육모료에 배합하는 개별 약제이다.
본 발명의 육모료는, 모근 근방에 있어서의 모낭 상피계 세포의 증식이 느린 것에 의해 성장기가 짧아지고, 상대적으로 성장기 모(毛)보다도 휴지기 모의 비율 이 많아져 버리는 것에 기인하는 탈모증에 특히 유효하다.
본 발명의 육모료는, 다른 개별능력을 가지는 육모제와 조합시켜 이용함으로써, 탈모증에 있어서, 총합적 동시에 상승적인 효과를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N-메틸타우린의 육모료에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육모료의 구체적인 형태에 따라서 적절히 결정된다.
그 배합량은, 육모료 전체량에 대하여, 통상 0.00001~20질량%, 바람직하게는, 0.01~10.0질량%이다.
0.00001질량% 미만의 배합량에서는, 모낭계 세포증식 활성 작용 또는 외모근초(外毛根墅) 세포증식 활성작용에 의거하는 모발 성장기 연장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
20질량%를 초과한 배합량에서는, 배합량의 증가에 알맞는 효과의 증대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목적의 제형의 조제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향이 현저해진다.
본 발명의 육모료는, 우수한 모낭계 세포증식 활성작용 또는 외모근초 세포증식 활성작용에 의거하는 모발 성장기 연장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모근 근방에 있어서의 모낭 상피계 세포의 증식이 느린 것에 의해 성장기가 짧아지고, 그 결과, 성장기 모보다도 휴지기의 모발의 상대적인 비율이 많아지는 것에 기인하는 탈모증에, 특히 유효하다.
또, N-메틸타우린과, 다른 개별효능을 가지는 육모성분과 조합시킴으로써, 상승적인 육모효과를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모발 성장기 연장효과(모주기에 있어서의 성장기의 유 지 또는 연장)를 확인하는 수단은 한정되지 않는다. 시험관 내에 있어서의 특정방법도, 생체 내에 있어서의 특정방법도 이용할 수가 있다.
그 간편성과 유효성을 고려하면, 시험관 내에 있어서의 특정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모발 성장기 연장효과의 모낭계 상피 배양세포의 증식효과를 시험관 내에서 특정하는 방법에 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 방법은, 모낭 상피계 배양 세포에 무혈청 배지 중에서 대상물질을 접촉시키는 것에 의하여, 그 세포의 증식활성의 유무 및 강약을 특정하는 방법이다.
이 특정방법에 의해, 모주기에 있어서 성장기를 연장하는 효과를 평가하는 육모약제 검정방법이다.
즉, 모발의 신장에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모낭 상피계 세포에 착안하여, 이 배양세포를 이용함으로써, 모주기의 성장기의 연장효과를 특정하는 시험관 내의 육모약제 검정방법이다.
이 육모약제 검정방법은, 동물(사람을 포함)의 모낭 상피계 세포를 단리하여 얻은 배양세포의 「모낭 상피계 배양세포」에 대상물질을 접촉시키고, 그 증식의 유무 및 강약을 특정한다.
모낭 상피계 세포는, 특히 모근 근방의 외모근초세포와 매트릭스세포 등의 세포를 가리키며, 내측의 모유두세포는 제외된다.
모주기의 성장기는, 모발이 신장하고 있는 시기(모낭 상피계 세포가 분열하여 증식하고 있는 시기)이다.이 시기가 둔화하면, 퇴행기 및 휴지기가 되어, 모발 의 성장이 휴지한다.
즉, 모주기의 성장기를 연장할 수 있는 물질은, 모낭 상피계 세포의 분열 및 증식활성을 유지할 수가 있다.이것에 의해서, 모주기의 퇴행기 및 휴지기로의 이행을 막아, 탈모를 방지한다.
즉, 본 발명의 육모료는, 모낭 상피계 세포의 증식을 촉진 또는 계속 유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그 외의 시험관 내의 육모약제 검정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대상물질을 동물의 모유두세포에 작용시켜서, 그 증식효과를 판정하는 방법이 있다.
생체 내에서, 모낭계 상피 배양세포의 증식효과를 특정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누드 마우스에 대상물질을 투여하고, 누드 마우스 체표의 발모 부위의 상태를 특정하여, 대상물질의 모주기에 있어서의 성장기를 연장하는 효과를 검정하는 방법이 있다.
즉, 원칙적으로는 무모(無毛)이지만, 그 체표에 경시적으로 그 발모부위가 이동하는 특징적인 발모를 하는 누드 마우스를 이용하여, 그 발모부위의 넓이와 발모부위의 이동속도를 특정함으로써, 모주기에 있어서의 성장기의 길이를 검정하는 육모약제 검정방법이다.
본 발명의 육모료는, 두피 두발에 적용 가능한 제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액상, 유액, 연고 등을 선택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육모료는, 예를 들면,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무스(등록상표), 샴푸, 린스, 크림, 유액, 팩 등의 제품으로서 응용할 수 있다.
육모료의 바람직한 제품형태는, 육모샴푸나 육모린스이다. 세정성분(예를 들면, 계면 활성제)을 배합한 육모샴푸는, 매일 사용함으로써 육모효과가 발휘되기 쉽고, 또한, 모발에 탄력과 힘을 부여하여, 머리카락에 볼륨감을 부여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육모료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화장품, 의약부외품, 의약품의 일반 배합성분을, 필요에 따라서 배합하여 통상법에 의해 조제할 수가 있다. 일반 배합성분은, 예를 들면, 분말성분, 액체유지, 고체유지, 납, 탄화수소유, 고급지방산, 고급알코올,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증점제, 피막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이온 봉쇄제, 저급알코올, 다가알코올, 당, 아미노산, 유기아민, 고분자에멀션, pH조제제, 피부영양제, 비타민, 산화방지제, 산화방지 조제, 향료, 물이다.
구체적으로 배합가능 성분의 예는 다음과 같다. 필요에 따라서, 하기 성분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하여, 목적으로 하는 제형에 따라서 통상법에 의해 제조한다.
무기분말:
활석, 카올린, 운모, 견운모(세리사이트), 백운모, 금운모, 합성운모, 홍운모, 흑운모, 파미큐라이트,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바륨,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황산바륨, 소성 황산칼슘(소성석고), 인산칼슘, 플루오르 아파타이트, 히드록시 아파타이트, 세라믹파우더, 금속비누(미리스틴산 아연, 팔미트산 칼슘, 스테아르산 알루미늄), 질화붕소.
유기분말 :
폴리아미드수지분말(나일론분말), 폴리에틸렌분말, 폴리메타크릴 산 메틸분말, 폴리스티렌분말, 스티렌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수지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분말, 폴리 4 플루오르화 에틸렌분말, 셀룰로오스분말
무기안료 :
무기백색 안료(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무기적색계 안료(산화철(벤가라), 티탄산철), 무기갈색계 안료(γ-산화철), 무기황색계 안료(황산화철, 황토), 무기 흑색계 안료(흑산화철, 저차 산화티탄), 무기 자색계 안료(망고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무기 녹색계 안료(산화 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 코발트),
무기 청색계 안료(군청, 감청);펄 안료(산화티탄 코테드마이카, 산화티탄 코테드옥시 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 코테드활석, 착색 산화티탄 코테드마이카, 옥시염화 비스무트, 어린박);금속분말안료(알루미늄 파우더, 카파 파우더);
유기 안료:
적색 201호 , 적색 202호 , 적색 204호 , 적색 205호 , 적색 220호 , 적색 226호 , 적색 228호 , 적색 405호 , 등색 203호, 등색 204호, 황색 205호, 황색 401호, 및 청색 404호, 적색 3호 ,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27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등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녹색 3호, 청색 1호,
천연색소(클로로필, β-카로틴).
액체유지:
아보카도유, 동백나무유, 터틀유, 마카데미아너츠유, 옥수수유, 밍크유, 올리브유, 유채유, 난황유, 참깨유, 퍼식크유, 소맥배아유, 산다화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사플라워유, 면실유, 들기름, 대두유, 낙화생유, 다실유, 비자나무유, 쌀겨유, 시나기리유, 일본 참오동나무유, 호호바유, 배아유, 트리글리세린.
고체유지:
카카오지, 야자유, 마지, 경화야자유, 팜유, 우지, 양지, 경화우지, 팜핵유, 돈지, 우골지, 목랍핵유, 경화유, 우각지, 목랍, 경화 피마자유.
납:
밀랍, 칸데릴라납, 면납, 카르나우바납, 베이베리납, 백랍, 경랍, 몬탄랍, 쌀겨납, 라놀린, 판야납, 아세트산 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납, 라놀린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르산 헥실, 환원 라놀린, 조조바납, 경질 라놀린, 셸라크납, POE 라놀린알코올에테르, POE 라놀린알코올 아세테이트, POE 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첨가 라놀린알코올에테르.
탄화 수소유:
유동 파라핀,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란, 프리스탄, 파라핀, 세레신, 스쿠알렌, 바셀린,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
고급 지방산:
라우르산, 미리스틴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헤닌산, 올레산, 운데실렌 산, 톨유지방산, 이소스테아르산, 리놀산, 리놀레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고급 알코올:
직쇄 알코올(라우릴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분지쇄 알코올(바틸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라놀린알코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헥실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칸올).
에스테르유: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옥탄산 세틸,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 부틸, 라우르산헥실, 미리스틴산 미리스틸, 올레산 데실,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락트산세틸, 락트산 미리스틸, 아세트산 라놀린,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세틸, 12-히드록시 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디-2-에틸헥산산 에틸렌글리콜, 디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이소스테아르산 N-알킬글리콜, 디카프린산 네오펜틸글리콜,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디-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린, 트리-2-에틸 헥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톨,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린, 트리옥탄산 글리세린, 트리이소팔미트산 글리세린,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세틸2-에틸헥사노에이트, 2-에틸헥실팔미테이트, 트리미리스틴산 글리세린, 트리-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라이드,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올레산올레일, 아세토글리세라이드, 팔미트산 2-헵틸운데실, 아디프산 디이소부틸,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에틸라우레이트, 세바신산 디-2-에틸헥실, 미리스틴산2-헥실데실, 팔미트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 2-헥실데실, 세바신산 디이소프로필, 숙신산2-에틸헥실, 시트르산 트리에틸.
실리콘유 :
쇄상 폴리실록산(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디페닐폴리실록산),
환상 폴리실록산(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3차원 그물망구조의 실리콘수지, 실리콘고무, 변성 폴리실록산(아미노변성 폴리실록산, 폴리에테르변성 폴리실록산, 알킬변성 폴리실록산, 플루오르변성 폴리실록산).
음이온 계면활성제 :
지방산 비누(라우르산 나트륨, 팔미트산 나트륨), 고급 알킬황산 에스테르염(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칼륨),
알킬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염(POE-라우릴황산 트리에탄올아민, POE-라우릴 황산나트륨),
N-아실살코신산(라우로일살코신나트륨),
고급지방산 아미드술폰산염(N-미리스트일-N-메틸타우린나트륨, 야자유지방산 메틸타우리드나트륨, 라우릴메틸타우리드나트륨),
인산에스테르염(POE-올레일에테르인산나트륨, POE-스테아릴에테르인산),
술포숙신산염(디-2-에틸헥실술포 숙신산나트륨, 모노라우로일 모노에탄올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술포숙신산나트륨, 라우릴폴리프로필렌글리콜 술포숙신산나트륨),
알킬벤젠술폰산염(리니아도데실 벤젠술폰산나트륨, 리니아도데실 벤젠술폰산 트리에탄올아민, 리니아도데실 벤젠술폰산),
고급지방산 에스테르 황산에스테르염(경화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린 황산나트륨),
N-아실글루타민산염(N-라우로일글루타민산 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 디나트륨, N-미리스트일-L-글루타민산 모노나트륨),
황산화유(로트유)
POE-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POE-알킬아릴에테르카르복실산염, α-올레핀술폰산염, 고급지방산 에스테르술폰산염, 2급 알코올 황산 에스테르염, 고급지방산 알키롤아미드 황산 에스테르염, 라우로일모노에탄올 아미드숙신산나트륨, N-팔미토일아스파라긴산 디트리에탄올아민 ; 카제인나트륨.
양이온 계면활성제 :
알킬트리메틸 암모늄염(염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라우릴트리메틸 암모늄),
알킬피리디늄염(염화세틸피리디늄),
염화 디스테아릴 디메틸암모늄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염화폴리(N, N'-디메틸-3, 5-메틸렌피페리디늄),
알킬 4급 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 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리포늄염, POE-알킬아민, 알킬아민염, 폴리아민 지방산유도체, 아밀알코올지방산 유도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양쪽성 계면활성제 :
이미다졸린계 양쪽성 계면활성제(2-운데실-N, N, N-(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2-이미다졸린나트륨, 2-코코일-2-이미다졸리늄 히드록사이드-1-카르복시에티록시2-나트륨염),
베타인계 계면활성제(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리늄 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 아세트산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드베타인, 술포벤타인).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키올레에이트,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펜타-2-에틸헥실산 디글리세롤소르비탄, 테트라-2-에틸헥실산 디글리세롤소르비탄),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지방산(모노면실유 지방산 글리세린, 모노에루카산 글리세린, 세스키올레산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α, α-올레산 피로글루타민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말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 에스테르(모노스테아르산 프로필렌글리콜),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글리세린 알킬에테르.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
POE-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POE-소르비탄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POE-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POE-소르비탄테트라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지방산 에스테르(POE-소르비트모노라우레이트, POE-소르비트모노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펜타올레에이트, POE-소르비트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POE-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글리세린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POE-모노올레에이트),
POE-지방산 에스테르(POE-디스테아레이트, POE-모노디올레에이트, 디스테아르산 에틸렌글리콜),
POE-알킬에테르(POE-라우릴에테르, POE-올레일에테르, POE-스테아릴에테르, POE-베헤닐에테르, POE-2-옥틸도데실에테르, POE-콜레스탄올에테르),
풀루로닉),
POE·POP-알킬에테르(POE·POP-세틸에테르, POE·POP-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POP-모노부틸에테르, POE·POP-수첨라놀린, POE·POP-글리세린에테르),
테트라POE·테트라POP-에틸렌디아민축합물(테트로닉),
POE-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POE-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POE-경화 피마자유 모노피로글루타민산 모노이소스테아르산 디에스테르, POE-경화 피마자유 말레산),
POE-밀랍·라놀린유도체(POE-소르비트밀랍),
알칸올아미드(야자유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 모노에탄올아미드, 지방산 이소프로판올아미드),
POE-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POE-아킬아민, POE-지방산 아미드, 수크로스지방산 에스테르, 알킬에톡시 디메틸아민옥시드, 트리올레일인산.
보습제 :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루세린, 1, 3-부틸렌글리콜, 크실리톨, 소르비톨, 멀티톨, 콘드로이틴황산, 히알론산, 무코이틴황산, 카로닌산, 아테로콜라겐, 콜레스테릴-12-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락트산나트륨, 담즙산염, d1-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 단쇄가용성 콜라겐, 디글리세린(EO)PO부가물, 이자요이바라추출물, 서양톱풀추출물, 멜리로트추출물.
천연의 수용성 고분자 :
식물계 고분자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갈락탄, 구아검, 캐로브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쿠인스시드(마르메로), 아르게콜로이드(캇소에스),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글리틸리틴산,
미생물계 고분자(크산탄검,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블루란),
동물계 고분자(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반합성의 수용성 고분자 :
전분계 고분자(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전분),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황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결정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말),
알긴산계 고분자(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 에스테르).
합성의 수용성 고분자 :
비닐계 고분자(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실비닐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폴리에틸렌글리콜 20, 000, 40, 000, 60, 000의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공중합체),
아크릴계 고분자(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폴리머.
증점제 :
아라비아검, 카라기난, 카라야검, 트라가칸트검, 캐로브검, 쿠인스시드(마르메로), 카제인, 덱스트린, 젤라틴, 펙틴산 나트륨, 아라긴산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CM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PVA, PVM, PVP,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로카스트빈검, 구아검, 타마린트검, 디알킬디메틸암모늄 황산셀룰로오스, 크산탄검, 규산알루미늄 마그네슘,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규산 AlMg(비검), 라 포나이트, 무수규산.
자외선 흡수제 :
벤조산계 자외선 흡수제파라아미노벤조산(이하, PABA라 약칭함), PABA모노글리세린 에스테르, N, N-디프로폭시 PABA에틸에스테르, N, N-디에톡시 PABA에틸에스테르, N, N-디메틸 PABA에틸에스테르, N, N-디메틸PABA부틸에스테르, N, N-디메틸 PABA에틸에스테르,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호모멘틸-N-아세틸안트라닐레이트),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아밀살리실레이트, 멘틸살리실레이트, 호모멘틸살리실레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페닐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p-이소프로판올페닐살리실레이트),
신남산계 자외선 흡수제(옥틸신나메이트, 에틸-4-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 5-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2, 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메틸-2, 4-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프로필-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p-메톡시신나메이트(2-에틸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톡시에틸-p-메톡시신나메이트, 시클로헥실-p-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2-에틸헥실-α-시아노-β-페닐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2, 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 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 2'-디히드록시-4, 4'-디메톡시벤조페논, 2, 2', 4, 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4'-메 틸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염, 4-페닐벤조페논, 2-에틸헥실-4'-페닐-벤조페논-2-카르복시레이트,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4-히드록시-3-카르복시벤조페논), 3-(4'-메틸벤지리덴)-d, 1-캄파, 3-벤지리덴-d, 1-캄파,
2-페닐-5-메틸벤조키사졸, 2, 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디벤자라진, 디아니소일메탄,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5-(3, 3-디메틸-2-노르보르니리덴)-3-펜탄-2-온.
금속이온 봉쇄제 :
1-히드로시에탄-1, 1-디포스폰산, 1-히드록시에탄-1, 1-디포스폰산 4나트륨염, 에데트산 2나트륨, 에데트산 3나트륨, 에데트산 4나트륨, 시트르산 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인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숙신산, 에데트산, 에틸렌디아민 히드록시에틸 3아세트산 3나트륨.
저급알코올 :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이소부틸알코올, t-부틸알코올.
다가 알코올 :
2가의 알코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 2-부틸렌글리콜, 1, 3-부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2, 3-부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2-부텐-1, 4-디올, 헥실렌글리콜, 옥틸렌글리콜),
3가 알코올(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4가 알코올펜타에리스리톨(1, 2, 6-헥산트리올)
5가 알코올(크실리톨),
6가 알코올(소르비톨, 만니톨),
다가 알코올중합체(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글리세린, 테트라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2가의 알코올알킬에테르(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2-메틸헥실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아밀에테르, 에틸렌글리콜벤질에테르, 에틸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2가 알코올알킬에테르(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이소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
2가 알코올 에테르에스테르(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페닐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아디베이트, 에틸렌글리콜 디석시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프로필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페닐에테르 아세테이트),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크실알코올, 세라킬알코올, 바틸알코올),
당알코올(소르비톨, 말티톨, 말토트리오스, 만니톨, 수크로스, 에리트리톨, 글루코스, 프럭토오스, 전분 분해당, 말토스, 크실리토스, 전분 분해당 환원알코올),
글리소리드, 테트라하이드로프루프릴알코올, POE-테트라하이드로프루프릴알코올, POP-부틸에테르, POP·POE-부틸에테르, 트리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 POP-글리세린에테르인산, POP·POE-펜탄에리스리톨에테르, 폴리글리세린.
단당 :
2탄당 (D-글리세릴알데히드, 디히드록시아세톤),
4탄당 (D-에리트로스, D-에리톨로스, D-트레오스, 에리트리톨) 5탄당(L-아라비노스, D-크실로스, L-릭소스, D-아라비노스, D-리보스, D-리브로스, D-크실로스, L-크실로스),
6탄당 (D-글루코스, D-타로스, D-부시코스, D-가락토스, D-프록토오스, L-가락토스, L-만노스, D-타가토스)
7탄당 (알도헵토스, 헤프로스),
8탄당 (옥츠로스),
데옥시당(2-데옥시-D-리보스, 6-데옥시-L-갈락토스, 6-데옥시-L-만노스),
아미노당 (D-글루코사민, D-갈락토사민, 시알산, 아미노우론산, 무라민산),
우론산 (D-글루크론산, D-만누론산, L-글루론산, D-갈락투론산, L-이즈론산).
올리고당 :
수크로스, 군티아노스, 운베리페로스, 락토스, 프란테오스, 이소리크노스, α, α-트레할로스, 라피노스, 리크노스, 운비리신, 스타키오스베르바스코스.
다당 :
셀룰로오스, 쿠인스시드, 콘드로이틴황산, 전분, 갈락탄, 데르마탄황산, 글리코겐, 아라비아검, 헤파란황산, 히알론산, 트라간트검, 케라탄황산, 콘드로이틴, 크산탄검, 무코이틴황산, 구아검, 덱스트란, 케라토황산, 로커스트빈검, 숙시노글루칸, 카로닌산.
아미노산 :
중성 아미노산(트레오닌, 시스테인),
염기성 아미노산(히드록시리신),
아미노산 유도체 :
아실사르코신나트륨(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아실글루타민산염, 아실β-알라닌나트륨, 글루타치온, 피롤리돈카르복실산.
유기아민 :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르폴린,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2-아미노-2-메틸-1, 3-프로판디올,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고분자 에멀션 :
아크릴수지 에멀션, 폴리아크릴산 에틸에멀션, 아크릴레진액, 폴리아크릴알킬에스테르에멀션, 폴리아세트산 비닐수지에멀션, 천연고무 라텍스.
pH조절제 :
락트산-락트산나트륨, 시트르산-시트르산나트륨, 숙신산-숙신산나트륨.
비타민 :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C, 비타민 E, 이들의 유도체, 판토텐산 및 유도체, 비오틴.
산화방지제 :
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산 에스테르.
산화방지조제 :
인산,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말레산, 말론산, 숙신산, 푸마르산, 케파린, 헥사메타포스페이트, 피틴산, 에틸렌디아민 4아세트산.
그 외의 배합가능성분 :
방부제(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소염제(글리틸리틴산 유도체, 글리틸레틴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히노키티올, 산화아연, 알란토인),
미백제(태반추출물, 범의귀 추출물, 알부틴)
각종 추출물(황벽나무, 오렌, 자근, 작약, 월년초, 버찌, 샐비어, 비파, 당근, 알로에, 당아욱, 아이리스, 포도, 율무쌀, 수세미외, 백합, 사프란, 천궁이, 쇼오큐우, 고추나물, 오노니스, 마늘, 고추, 진피, 토오키, 해조),
부활제(로얄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유도체),
혈행촉진체(노닐산 와레닐아미드, 니코틴산 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 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캅사이신, 진게론, 칸타리스틴키, 이크타몰, 탄닌산, α-보르네올, 니코틴산 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크란데레이트, 신나리진, 트라조린, 아세틸콜린, 베라파밀, 세파란틴, γ-오리자놀),
항지루제(유황, 티안톨),
항염증제(트라넥삼산, 티오타우린, 히포타우린),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지않는다. 이하에서, 「%」로 표시되고, 내용량을 나타내는 것은,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질량%를 의미한다.
「실시예 1」
N-메틸타우린의 모발성장기 연장작용을 평가하였다. 처음에 시험관 내의 세 포증식시험에 관하여 설명한다.
<모낭 상피계 배양세포를 이용한 세포증식시험>
A. 사람 모낭 상피계 세포
1.사람 모낭 상피계 세포의 채취
외과 수술의 부산물로서 얻어진 사람 남성 두피로부터 모주기에 있어서의 성장기의 모낭을 실체 현미경하에서 기계적으로 채취하였다.
이 성장기의 모낭을 1000U/ml 디스파제·0.2% 콜라게나아제를 포함하는 달베코의 개변 MEM(DMEM)에서 30분간, 37℃에서 처리하고, 주사바늘의 끝을 이용하여 진피 모근초(dermal sheath)나 진피 모유두(dermal papilla), 모구부 상피조직을 제거하고, 0.05% 트립신·0.02% EDTA를 포함하는 인산 완충액[PBS(-):(-)란 칼슘이온이나 마그네슘이온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으로 5분간, 37℃에서 처리하였다.
다음에, 콜라겐(Type I)코팅한 배양접시에 모낭을 정치(靜置)하여, 외식편 배양을 행하였다.
또한, 이 때의 배지는, 무혈청 배지[Keratinocyte Growth Medium(KGM)]를 이용하였다(Keratinocyte Serum Free Medium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배양의 4~5일후에, 모낭의 배양접시에의 접착 및 세포의 증식이 확인된 시점에서 배지를 교환하고, 이 이후 이틀 걸러 배지교환을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증식시킨 세포를, 0.05wt% 트립신 -0.02% EDTA에서 37℃, 5분간 처리한 후, 등량의 0.1% 트립신 억제제로 반응을 정지시키고, 원심처리(800×g, 5분간)를 실시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다음에, 세포를 상기의 무혈청 배지에 부유시키고, 5000셀/㎠의 밀도로 콜라겐코팅(Type I)한 배양접시에 파종하여, 세포가 서브컨플루언트(subconfluent)가 될 때까지 이틀간격으로 배지교환을 하고, 재차 0.05wt% 트립신 -0.02% EDTA에서 37℃에서 5분간 처리한 후, 등량의 0.1% 트립신 억제제로 반응을 정지시키고, 원심처리(800 ×g, 5분간)를 행하여, 이것에 의해 얻어진 사람 모낭 상피계 세포에 세포 동결액(셀 벙커:다이아트론제)을 첨가하여, 1.0×106셀/ml의 농도로 조정하고, 각 동결 튜브에 1.0×106셀씩 넣어, 이것을 동결 보존하였다.이들의 세포수는, 혈구 산정판으로 산출하였다.
2.대상물질의 분석
상기 공정에 의해 얻은 모낭 상피계 세포의 선유아 세포 혼입율(FB 혼입율)을 측정(3000배, 5시야)하고, 그 결과 FB혼입율이 3% 이상인 것은, 분석의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그리고, 이 모낭 상피계 세포를 배양 플라스크 중에 파종 후, 이것을 0.05% 트립신과 0.02% EDTA에서 처리한 후, 0.1% 트립신억제제로 반응을 정지 후, 계(系)를 1500rpm로 5분간 원심처리를 실시하고, 웃물을 제거하여, 잔사에 KGM 배지 20m1를 첨가하여, 세포 현탁액을 조제하였다.
0.2m1/웰의 비율로, 96웰-플레이트(I형 콜라겐 코팅 플레이트:파르콘사제)에 파종하고(1.0×104셀/웰), 세포가 웰의 바닥에 가라앉을 때까지 약 20분간 실온 하에서 방치하였다. 그 후, 37℃, 5% CO2에서 1일간 배양하고, 소망하는 사람 모낭 상피계 배양세포를 얻었다.
B.래트 모낭 상피계 세포
1. 래트 모낭 상피계 세포의 채취
(1)모낭의 채취
신생아(3~4일령)래트의 등부분 피부를 채취하여, 이 채취한 등부분 피부를 1% PSF함유 PBS(-)에 2매씩 담갔다.
그 후, 피부 지방층으로부터 아래의 피하지방이나 피막 등을 해부용 가위로 제거하였다.
이어서, 재차 이 등부분 피부를 1% PSF함유 PBS(-)에 담그고, 다시 이것을 0.25% 트립신함유 PBS(-)(0.02% EDTA를 포함한다.이하, 마찬가지이다.)중에 4℃에서 하룻밤 담갔다.
이 트립신 용액 중에서의 침지 후, 등부분 피부의 진피층과 표피층을 핀세트로 벗긴 후, 진피층을 0.35%의 콜라게나아제를 함유시킨 Ham's F12배지[조성(mg/L):1-알라닌(8.9), 1-아르기닌(HCl:211), 1-아스파라긴(13.2), 1-아스파레이트산(13.3), 1-시스테인(HCl:31.5), 1-글루탐산(14.7), 1-글루타민(146), 글리신(7.5), 1-히스티딘(HCl:19), 1-이소루신(3, 9), 1-루신(13.1), 1-리신(HCl:36.5), 1-메티오닌(4.5), 1-페닐알라닌(5.0), 프롤린(34.5), 1-세린(10.5), 1-트레오닌(11.9), 1-트립토판(2.0), 1-티로신(5.4), 1-발린(11.7), 비오틴(0.0073), 콜린(Cl:14.0), 비타민B12(1.36), 엽산(1.32), 이노시톨(18.0), 니코틴아미드(0.037), 판토텐산(Ca:0.477), 비타민B6(HCl:0.062), 비타민B2(0.038), 비타민B1(HCl:0.337), CaCl2(2H2O:44.0), CuSO4·5H2O(0.0025), FeSO4·7H2O(0.834), KCl(224.0), MgCl2(6H2O:122), ”Proc.Nat1.Acad.Sci.USA, 53, 288(1965)”이하 마찬가지이다]가 든 100mm 접시에 옮기고, 가위로 재단하였다.이 재단물을 포함하는 배지를 37℃에서 35분간 침투를 하였다(60rpm).
침투 후, 이 콜라게나아제 반응물 중에 덩어리 형상이 보이지 않게 될 때까지 피페팅을 하여, 이것을 50m1 원침관에 옮기고, DNase(10000유닛)를 함유시킨 Ham's F12 배지를 첨가하여, 5분간 방치하였다.
방치 후, 얻어진 현탁액을 다시 피페팅한 후, 나이론메시(Nytex 157mesh)로 여과하고, 이것을 50m1원침관에 옮겼다.현탁액을 반량씩으로 나누고, 각각에 관하여 PBS(-)를 용량이 30m1가 될 때까지 현탁액을 희석하고, 이어서 이 희석한 현탁액에 원심처리를 실시하였다(4℃, 400rpm, 5분간).원심 후, 웃물을 제거하고 지방분을 계에서 제거하였다.이어서, 잔사에 PBS(-)를 25m1 첨가하여 현탁후, 이것에 다시 원심처리를 실시하였다[(4℃, 400rpm, 5분간)×3 회].이 원심조작에 의해 얻어진 잔사가, 래트의 등부분 피부에서의 모낭이다.
(2)모낭 상피계 세포의 채취
상기 조작에 의해 얻어진 모낭에, 0.25% 트립신 함유 PBS(-)를 5m1 첨가하고, 세포 현탁액을 37℃에서 5분간 인큐베이트하였다.
인큐베이트 종료 후, 5m1의 등량의 소 태아혈청(FBS)과 Ham's F12 배지를 첨가하고, 세포 현탁액을 셀스트레이너(100㎛ Nalgene사제)에서 여과 후, 50m1원침관에 넣고, 이 세포 현탁액에 원심 처리를 실시하였다(4℃, 1500rpm, 5분간).
이 계로부터 웃물을 제거하고, 잔사로서 소망하는 모낭 상피계 세포를 얻었다.
이 모낭 상피계 세포에 세포 동결액(셀 벙커:다이아트론제)을 첨가하고, 1.5×107셀/m1의 농도로 조정하여, 각 동결튜브에 1.5×107셀씩 넣고, 이것을 동결보존하였다.이들의 세포수는, 혈구 산정판으로 산출하였다.
2.모낭 상피계 세포의 전 배양
계에 혼입되어 있는 선유아 세포를 가능한 한 계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공정에 의해 얻어진 모낭 상피계 세포의 전 배양을 하였다.
이하, 그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37℃의 항온조에서, 상기 공정에 의해 얻은 동결세포를 융해하였다.이어서 FAD 배지[Ham’s F12 배지(후술)와 MEN 배지를 용량비로 3 대 1로 혼합한 것에, 인슐린(5.0㎍/m1), 하이드로코르티존(0.45㎍/m1), 에피더멀그로스팩터(EGF)(10.0ng/m1), 콜레라톡신(10-9M) 및 소 태아혈청(10%)을 함유시킨 배지, 이하 마찬가지이다]를 10m1 첨가하고, 세포용액을 희석하여 계에 원심처리를 실시하였다(10℃이하, 1500rpm, 5분간).원심 후, 웃물을 제거하고, 계에 FAD 배지를 10m1 첨가하여, 세포 덩어리가 확인되지 않을 될 때까지 피페팅을 반복하였다.
얻어진 세포수를 혈구 산정판으로 산출하고, FAD 배지에서 2.5×105셀/m1의 농도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I형 콜라겐으로 코팅한 75㎤의 플라스크에 세포를 파종하고, 이것을 37℃, 5% CO2에서 하룻밤 배양하였다.
배양 후, 계를 PBS(-)10m1로 2회 세정하고, 0.25% 트립신 함유 PBS(-)를 2m1첨가하고, 이것을 37℃, 5% CO2에서 4분간 인큐베이트하였다. 다음에, 계에 소 태아혈청(FBS)을 2m1 첨가하고, 1회 가볍게 흔든 후에 웃물을 제거하고, 계에 혼입되어 있는 선유아 세포를 제거하였다.
또한, 계에 KGM 배지[표피 각화세포 기초 배지(각화세포 성장 배지) : 각화세포 기초 배지{KBM 배지(개변 MCDB153 배지:크로네틱스사제))에, 소 뇌하수체 엑기스(BPE)(0.4vol%), 인슐린 (0.5㎛/m1), 하이드로코르티존(0.5㎛/m1), h-EGF(0.1ng/m1)를 첨가한 배지, 이하 마찬가지이다]를 15m1첨가하고, 37℃, 5% CO2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3.대상물질의 분석
상기 공정에 의해 얻은 모낭 상피계 세포를 파종한 배양 플라스크의 선유아세포 혼입율(FB 혼입율)을 측정(3000배, 5시야) 하고, 그 결과 FB혼입율이 3%이상의 것은, 분석의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계를 PBS(-)10m1로 2회 세정하고, 0.25% 트립신 함유 PBS(-)를 2m1 첨가하고, 이것을 37℃에서 3분간 인큐베이트하였다.
이어서 상피계 세포와 선유아 세포와의 트립신에 대한 반응성의 차이를 이용하여, 계로부터 선유아세포를 제거하기 위해서, 트립신을 제거하고, 재차 0.25% 트립신함유 PBS(-)를 2m1 첨가하고, 37℃, 20rpm에서 5분간 진탕하였다.
이어서, 세포의 박리를 현미경하에서 확인한 후, 10% FBS 함유 DMEM 배지를 10m1 첨가하고, 50m1 원심 튜브중에서 피페팅을 하여, 계를 1500rpm에서 5분간 원심처리를 실시하였다.
웃물을 제거하고, KGM 배지 20m1를 첨가하여, 세포 덩어리가 없어질 때까지 피페팅을 하였다.
현탁액을 셀스트레이너(100㎛ Nalgene사제)로 여과 후, 50m1원침관에 넣고, 현탁액 중의 생 세포수를 혈구 산정판으로 산출하고, 계에 KGM 배지를 첨가하여, 계 중의 세포농도가 5.0 ×104셀/m1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어서, 0.2m1/웰의 비율로, 96웰-플레이트(I형 콜라겐 코팅 플레이트:파르콘사제)에 파종하고(1.0 ×104셀/웰), 세포가 웰의 바닥에 가라앉을 때까지 약 20분간 실온하에서 방치하였다.
그 후, 37℃, 5% CO2에서 1일간 배양을 하여, 소망하는 래트 모낭 상피계 배양세포를 얻었다.
C.시험 배지의 조제
(1)대상물질 첨가 배지의 조제
N-메틸타우린을 약 1.5mg칭량하여, KBM 배지에서 1% 용액이 되도록 조제 하고, 0.45㎛필터로 여과 멸균하였다.
이어서, KBM 배지에, 상기의 용액을 10000배량 첨가하였다[대상물질농도:1.0×10-5%].
(2)컨트롤 배지의 조제
KBM 배지를 네가티브 컨트롤로서 이용하였다.
포지티브 컨트롤로서, 네가티브 컨트롤의 KBM 배지에, 세포증식 인자인 인슐린(5mg/m1)을 2㎕, 하이드로코티존(0.5mg/m1)을 2㎕ 첨가한 배지를 이용하였다.
D.대상물질 배지교환
상기 A, B에 있어서 사람 모낭 상피계 배양세포 및 래트 모낭 상피계 배양세포를 조제한 96웰-플레이트 중의 KGM 배지를, 대상 물질첨가 배지 및 컨트롤 배지(200㎕/웰)와 교환하고, 교환 후 37℃, 5% CO2에서 2일간 배양하였다.
이 배지의 교환은 다음과 같다. 웰내의 KGM 배지를, 저면에 부착되어 있는 세포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아스피레이터로 빼내고, 그 후 신속하게 대상물질 첨가 배지를 웰의 양단으로부터 첨가하였다.
E.세포증식의 측정
아라마 블루(alamar blue:아라마 바이오사이언스사제)를 배지량(용량)에 대해서 1/10양을 첨가하고, 37℃(5% CO2)에서 6시간 인큐베이트하였다.
인큐베이트 후, 계의 595nm 및 570nm에서의 흡광도를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Micro plate reader:Bio RAD사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하기 계산식에 따라 서, 세포 증식도를 산출하였다.
(대상시료의 세포 증식도)=(대상시료의 아라마 블루-환원율)/(네가티브 컨트롤의 아라마 블루-환원율)×100(%)
또한, 하기 계산식에 따라서, N-메틸타우린의 모낭 상피계 세포증식 촉진작용을 판정하였다.
(대상시료의 세포증식 촉진지표)=((대상시료의 세포 증식도)-(네가티브 컨트롤의 아라마 블루-환원율))/((포지티브 컨트롤의 아라마 블루-환원율)-(네가티브 컨트롤의 아라마 블루-환원율))
「결과」
판정한 N-메틸타우린의 상기 세포증식 촉진작용은, 사람 유래 모낭 상피계 배양세포에 있어서는 0.64, 래트 유래 모낭 상피계 배양세포에 있어서는 0.62였다.
네가티브 컨트롤은 0, 포지티브 컨트롤은 1이다.
이 결과로부터, N-메틸타우린에 우수한 모낭 상피계 배양세포의 증식 활성이 분명히 확인되는 것이 판명되었다.즉, N-메틸타우린에는, 모발 성장기 연장활성이 확인되는 것이 명백해졌다.
「실시예2」
N-메틸타우린의 불사화 외모근초 세포증식작용을 평가하였다.처음에, 불사화 외모근초 세포증식시험에 관하여 설명한다.
<불사화 외모근초 세포증식시험>
「불사화 외모근초 세포의 배양」
사람 두피로부터 실체 현미경하에 있어서 모낭을 가위로 단리한다.피지선 하부에서 모낭을 떼어내어 콜라게나아제 및 디스파제로 효소처리를 한다.
모구부를 가위로 떼어내어 제거하고, 모간을 핀셋으로 분리한다.
모간을 트립신으로 효소 처리하고, 트립신 억제제로 반응을 정지한다.
원심하여, 웃물을 버리고, 외모근초 세포를 회수한다.
콜라겐 코팅한 배양 플라스크에 회수한 세포를 각화세포 성장 배지 (KGM 배지)에서 파종하고, CO2 인큐베이터 중에서 배양한다.
바이러스 및 도입 유전자
아데노바이러스 벡터인 △El/X의 ElA영역을, 복제 개시점을 결실(缺失)시킨 SV40의 Large T 항원 유전자로 치환한 바이러스(Doren and Gluzman, 1984;Mo1.세포.Bio1.4, 1653-1656)를 이용하였다.
T 항원 유전자의 도입
세포의 클로닝 콘프렌트의 약 50%까지 배양한 계대(代) 1대째의 배양 외모근초 세포를 K-SFM으로 세정한 후에, 이것에 1, 10 또는 30MOI(multiplicity of infection: 감염다중도)의 양으로 상기 바이러스를 첨가하여 감염시켰다.
이후, 통상의 세포와 마찬가지로 계대 배양을 계속하고, 통상의 세포의 증식이 정지해 버리는 계대수까지 도달한 후에 클로닝을 하였다.
클로닝에 있어서는, 세포를 직경 10cm샬레당 103~104개만 다시 파종하여, 증식이 좋고, 세포형태가 통상 세포와 다르지 않은 것을 피펫만의 칩을 이용하여 픽업하고, 이것을 24웰플레이트에 옮겨서 배양하고, 이 시점에서도 증식이 좋은 세포를 선택하였다.
또한, 선택된 세포주도 통상의 세포와 마찬가지로 계대 배양을 계속하였다.
그 결과, 바이러스를 감염시키지 않은 외모근초 세포는 계대 5대정도에서 증식을 정지하여 버렸다.
T항원 도입 모유두 세포는, 클로닝 후 계대 7대 정도에서 외관상 증식이 정지해버린 것처럼 보였지만, 다시 배양을 계속하자, 외관상 재차 증식을 개시한 것처럼 보였다.
아마 계대 7대에서 크라이시스를 맞이하고, 여기서 어떠한 변이가 일어나서, 불사화 세포가 된 것으로 예상되었다. 클로닝할 때, 몇가지의 클론을 선출했는데, 크라이시스의 시기를 넘어 증식을 계속하는 세포주 1클론을 얻었다.
세포 증식 평가
외모근초세포는 PBS(-)로 2회 세정한다. 트립신으로 효소처리를 하여, 세포를 벗긴다.
트립신 억제제로 반응을 정지하고, 원심하여 웃물을 버리고, 외모근초 세포를 회수한다. KGM 배지를 가하여 세포 부유액을 조제한다.
콜라겐 코팅한 24구멍 배양 플레이트에 세포를 파종하여, CO2 인큐베이터 중에서 배양한다.
다음날, 피검물질을 첨가한 배지로 교환한다. 4일 배양 후, 세포를 PBS(-) 로 세정하고, 트립신으로 세포를 벗긴다.이 상태에서 플레이트마다 세포를 냉동한다.
피검물질의 조제
피검물질의 N-메틸타우린은, 각화세포 기초 배지 (KBM 배지)에서 50mM으로 조제하여, 여과 멸균을 행하였다. 이것을 원액으로서 KBM 배지에서 희석하고, 피검물질 농도가 10nM, 1μM, 100μM, 10mM이 되도록 조제하였다. 네가티브 컨트롤은 KBM 배지만으로 하였다.
세포 DNA 측정
세포를 해동 후, Hoechst33258을 각 구멍에 가하고, 소니케이션을 걸어 세포를 파쇄한다. 이것을 큐베트에 옮기고, 여기파장 356nm, 형광파장 460nm에서 형광강도를 측정한다. 네가티브 컨트롤의 형광강도를 100으로 하고, DNA 양의 상대치를 계산하여 세포 증식도를 산출하였다.
도 1에 결과를 나타낸다. 이 결과로부터, N-메틸타우린에는, 불사화 외모근초 세포 활성작용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에, 모발 성장기 연장 작용에 의거하는 그 육모효과를 검토한다.
[실시예3] 액상 육모료
N-메틸타우린 0.8%를, 70% 에탄올 90%, 올레산 나트륨 0.05%, 도데실벤젠 술폰산 0.49%, 경화 피마자유 에틸렌 옥시드(40몰)부가물 0.5% 및 이온 교환수(잔여)와 혼합교반하여 용해시켰다.
또한 이온 교환수(10%)를 첨가 혼합하여, 액상의 육모료를 얻었다. 이 액상 의 육모료의 처방에 있어서, N-메틸타우린을 제거하여 조정한 액상의 제를 대조로서 조정하였다(비교예1).
[실시예4] 유액상 육모료
이하의 처방의 유액상 육모료를 작성하였다.
배합성분 배합량(질량%)
(A상)
N-메틸타우린 0.05
폴리옥시에틸렌(60몰)부가 경화 피마자유 2.0
글리세린 10.0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1, 3-부틸렌글리콜 5.0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5.0
(B 상)
세틸이소옥타네이트 10.0
스쿠알란 5.0
바셀린 2.0
프로필파라벤 2.0
(C 상)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수용액 30.0
헥사메타인산 소다 0. 03
이온 교환수 9.3
(D 상)
이온 교환수 4.5
(E 상)
KOH 0.12
이온 교환수 5.0
<제조법> A상, B상을 각각 60℃에서 가열 용해하고, 혼합하여 호모믹서 처리하여 겔을 만든다.이것에 D상을 서서히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분산하였다. 다음에 이것에 용해한 C상을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용해한 E상을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유화해서 O/W 유액형의 육모료를 조제하였다.
[실시예5] 크림상 육모료
배합 성분 배합량(질량%)
(A 상)
유동 파라핀 5.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5.5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3.0
EO(20 몰)-2-옥틸도데실에테르 8.0
프로필파라벤 0.3
향료
(B 상)
N-메틸타우린 5.0
글리세린 8.0
디프로필렌글리콜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4000 5.0
도데실 황산나트륨 0.1
헥사메타인산 소다 0.005
이온 교환수 39.995
<제조법> A상, B상을 각각 가열 용해하여 혼합하고, 호모믹서로 유화하여, 크림상의 육모료를 얻었다.
「육모료의 육모작용의 검토」
상기에서 얻어진 육모료의 탈모방지, 발모효과 등의 육모작용을 조사하기 위해서, 이하의 방법으로 사람에 대하여 토리코그램 시험 및 실사용 테스트를 실시하였다.피험시료는, 실시예 3~5의 육모료, 70% 에탄올, 비교예 1이다.
시험방법
상기 시료의 사용전과 사용후의 발거(拔去) 모발의 모근을 현미경하에서 관찰하고, 모근의 형태로부터, 성장이 멈춘 머리카락의 모근인 「휴지기 모근」수를 계수하여, 그 비율의 증감에 의해서 이들의 시료의 육모작용을 비교하였다.
즉, 피험시료를 각각 남성 피험자 10명의 두피에 1일 2회, 1회 2m1씩 6개월간 연속하여 도포하고, 도포직전 및 6개월간 도포종료 직후에, 피험자 1명당 100개씩 모발을 발거하여, 각각의 모근을 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시험의 결과를, 하 기「표1」에 나타낸다.
시 료 (대상 및 육모제 번호) 휴지기 모근의 비율 육모효과의 평가
20%이상 감소(%) ±20%(%) 20%이상 증가(%)
대조(70%에탄올) 10 50 40 무효
실시예3 50 40 10 유효
실시예4 40 40 20 유효
실시예5 60 30 10 유효
비교예1 20 40 40 무효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육모료에는 모발 성장기 연장효과에 의거한 육모효과가 확인되었다.
「실시예6:모발 탄력·힘 개선제」
N-메틸타우린으로 이루어지는 모발 탄력·힘 개선제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처음에 시험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시험시료
모발은, 퍼머넌트 웨이브, 헤어컬러, 블리치 등의 화학적 처리이력이 없는 19세 여성의 모발을 사용하였다.머리카락 끝부분 약 20cm를, 소정의 샴푸액에 1시간 침지한 후, 흐르는 물 중에 1분간 세정하고, 통상 환경하에서 24시간 이상 건조한 것을, 건상모(健常毛)시료로 하였다.상기 건상모를 소정의 블리치제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30분 블리치처리를 하고, 그 후 흐르는 물 중에서 1분간 세정하였다.블리치처리를 4회 반복하여, 세정 후 통상 환경하에서 건조한 것을 블리치 처리모(BL처리)로 하였다.
N-메틸타우린 처리
1mol/1의 N-메틸타우린 수용액 20m1에 모발 1개를 하룻밤침지하고, 25℃·50% RH 환경하에서 시험시료의 모발을 건조시켰다. 비틀림토크의 측정
카토테크사제 비틀림 시험기 KES-YN-1을 이용하여, 25℃·50% RH 환경하에서 측정을 하였다.
측정은, N-메틸타우린 수용액에 의한 처리전에 측정을 하고, 그것을 컨트롤로 하였다.비틀림각도는 ±1080。, 18。/sec의 속도로 비틀림을 부여하였다.
비틀림각 (θ)=360。~ 720。에 있어서의, 비틀림각 (θ)에 대한 비틀림토크(Tf)의 증가분인 B=tan(Tf/θ)를, 비틀림 강성(B) 값으로 하고, N-메틸타우린 수용액에 의한 처리 전후에서의 B값의 비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부터, N-메틸타우린 처리한 모발은, 비틀림 토크가 증가하고 있어, 모발에 탄력과 힘을 부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7]육모 샴푸
배합성분 배합량(질량%)
N-메틸타우린 8.0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황산암모늄(2E.0) 15.0
아미드프로필디메틸 아세트산나트륨 3.0
야자유 지방산 모노에탄올아미드 1.6
디스테아르산 에틸렌글리콜 0.6
디메틸실리콘(5000cs)에멀션 40%액 1.8
벤조산나트륨 0.2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0.3
이온 교환수 69.5
[실시예8] 육모 린스
배합성분 배합량(질량%)
N-메틸타우린 0.6
에키세콜 D-5 3.4
디메틸실리콘(100만 mPa·s) 0.5
스테아릴알코올 7.5
스테아르산 디메틸아미노 프로필아미드 2.5
이온 교환수 85.5
본 발명의 육모료의 효과는 이하와 같다.
(1)본 발명의 육모료는, 모낭 상피계 세포증식의 활발화에 의해, 모주기에 있어서의 성장기를 연장한다.
(2)본 발명의 육모료는, 모발에 탄력과 힘을 부여하고, 모발에 볼륨감을 부여한다.
또, N-메틸타우린과, 아실메틸 타우린형 세정성분 등의 기존 세정 성분을 조합시킴으로써, 안전성이 높고, 샴푸하는 것만으로 모낭이나 모발에 N-메틸타우린 을 흡착할 수 있는 모발 세정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N-메틸타우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료.
  2. N-메틸타우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샴푸.
  3. N-메틸타우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모린스.
  4. N-메틸타우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탄력·힘 개선제.
KR1020027005045A 2000-10-26 2001-09-21 육모료 KR100750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26467 2000-10-26
JPJP-P-2000-00326467 2000-10-26
JPJP-P-2000-00337029 2000-11-06
JP2000337029 2000-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290A KR20020062290A (ko) 2002-07-25
KR100750571B1 true KR100750571B1 (ko) 2007-08-20

Family

ID=26602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5045A KR100750571B1 (ko) 2000-10-26 2001-09-21 육모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30003071A1 (ko)
EP (1) EP1234574B1 (ko)
JP (2) JP2002537307A (ko)
KR (1) KR100750571B1 (ko)
CN (2) CN1289073C (ko)
AU (1) AU2001288093A1 (ko)
DE (1) DE60136685D1 (ko)
TW (1) TWI281394B (ko)
WO (1) WO20020342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794B1 (ko) * 2017-12-28 2018-11-02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쌀파우더 및 옥수수전분을 함유하는 탈모완화용 액상 헤어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072A (ko) * 2002-10-21 2004-04-28 (주) 지오투 비듬 제거 및 탈모 억제용 두피 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05047876A (ja) * 2003-07-31 2005-02-24 P & P F:Kk 液状組成物
WO2006113629A1 (en) * 2005-04-15 2006-10-26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Chemically defined culture media for expansion and differentiation of epidermal cells and uses thereof for in vitro growth of hair follicles
US20090233975A1 (en) 2005-07-29 2009-09-17 Masaru Suetsugu Hair resiliency/body improver and hair cosmetic
DE102006039901A1 (de) 2006-08-25 2008-02-28 Renate Marquardt Neuartige hoch wasserhaltige Polyurethane, Verfahren zur ihrer Herstellung und Anwendung
KR100884432B1 (ko) * 2007-07-20 2009-02-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폴리아미드이미드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이를 이용한 자기윤활성 절연전선
DE102009001484A1 (de) * 2009-03-11 2010-09-16 Henkel Ag & Co. Kgaa Haarbehandlungsmittel mit Gelee Royale
US20140023618A1 (en) * 2012-07-23 2014-01-23 Applied Biology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androgenetic skin conditions by microbial organis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2753A (ja) * 1998-04-14 1999-10-26 Dowa Yakushou Kk 頭部皮膚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4045A (en) * 1956-11-09 1962-11-13 Gillette Co Magnesium salt of thioglycolic acid
CH366831A (de) * 1956-11-09 1963-01-31 Gillette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agnesiumthioglycolat
DE1248865C2 (de) * 1963-09-04 1975-01-09 Henkel & Cie GmbH, 4000 Düsseldorf Mittel zum faerben von haaren
US3636195A (en) * 1968-09-10 1972-01-18 Borden Inc Growth stimulating animal feeds
US3745181A (en) * 1971-06-28 1973-07-10 Us Agricultur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rfactants
DE2234009C3 (de) * 1972-07-11 1979-01-11 Hoechst Ag, 6000 Frankfurt Kosmetische Zubereitungen
CH665645A5 (fr) * 1981-07-09 1988-05-31 Michel Flork Derives de dipeptides et leur procede de preparation.
US4443354A (en) * 1982-03-26 1984-04-17 Minnesota Min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orbent material for reducing formaldehyde emission
US4793992A (en) * 1987-03-25 1988-12-27 Redken Laboratories, Inc. Hair treatment composition
IT1226897B (it) * 1987-09-18 1991-02-21 Richerche Di Schiena Snc Del D Derivato di taurina, sua preparazione e composizioni farmaceutiche relative
US5209788A (en) * 1990-11-21 1993-05-11 Ppg Industries, Inc. Non-chrome final rinse for phosphated metal
JPH05310549A (ja) * 1992-05-13 1993-11-22 Taisho Pharmaceut Co Ltd 皮膚外用剤
JP3759757B2 (ja) * 1994-01-13 2006-03-29 相互薬工株式会社 殺菌剤
TW319797B (ko) * 1994-06-15 1997-11-11 Ajinomoto Kk
JP2001019622A (ja) * 1999-07-05 2001-01-23 Dowa Yakushou Kk 毛髪保護化粧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2753A (ja) * 1998-04-14 1999-10-26 Dowa Yakushou Kk 頭部皮膚外用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292753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794B1 (ko) * 2017-12-28 2018-11-02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쌀파우더 및 옥수수전분을 함유하는 탈모완화용 액상 헤어팩 화장료 조성물
WO2019132114A1 (ko) * 2017-12-28 2019-07-04 주식회사 지오뷰티코리아 쌀파우더 및 옥수수전분을 함유하는 탈모완화용 액상 헤어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34253A1 (fr) 2002-05-02
CN1394138A (zh) 2003-01-29
DE60136685D1 (de) 2009-01-08
CN1289073C (zh) 2006-12-13
AU2001288093A1 (en) 2002-05-06
KR20020062290A (ko) 2002-07-25
JPWO2002034253A1 (ja) 2004-03-04
EP1234574B1 (en) 2008-11-26
EP1234574A1 (en) 2002-08-28
JP4789130B2 (ja) 2011-10-12
TWI281394B (en) 2007-05-21
US20030003071A1 (en) 2003-01-02
CN1682682A (zh) 2005-10-19
EP1234574A4 (en) 2005-12-21
JP2002537307A (ja) 2002-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6121A1 (en) Anti-graying preparation
JP2004075661A (ja) 表皮基底膜ケアを特徴とする皮膚外用剤、皮膚基底膜構造形成促進剤および人工皮膚の製造方法
US20030091603A1 (en) Skin preparations for external use
KR20100050477A (ko) 알킬렌옥시드 유도체와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KR20140069362A (ko) 산화 염모제
KR100750571B1 (ko) 육모료
KR20090060422A (ko) 피부 외용제 및 피부 세정료
ES2691276T3 (es) Polimerosoma y procedimiento para su producción
JP4876334B2 (ja) ヒアルロン酸産生能増強剤およびその用途
KR20030031137A (ko) 세포부활제
CN110812306B (zh) 皮肤保养及修复组合物
JP6808737B2 (ja) 女性型脱毛症改善用組成物
JP3926723B2 (ja) 枠練り型固形皮膚洗浄料
TW201801710A (zh) α膠形成用組成物及α膠組成物
JP5078369B2 (ja) 頭髪用組成物及び抗白髪剤
JP2006312725A (ja) ヒドロキシアルキル化ヒアルロン酸
JP6387261B2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
KR20030031122A (ko) 양모제
JP2007238444A (ja) ケラチノサイト増殖促進剤
JP2001019618A (ja) 美白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皮膚外用剤
JP2003238365A (ja) 育毛料
JP2007238446A (ja) ケラチノサイト増殖促進剤
JP2005002050A (ja) 美白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皮膚外用剤
JP2006056834A (ja) メラニン生成抑制剤
JP2024039698A (ja) 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