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380B1 - 미싱 - Google Patents

미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380B1
KR100747380B1 KR20067023386A KR20067023386A KR100747380B1 KR 100747380 B1 KR100747380 B1 KR 100747380B1 KR 20067023386 A KR20067023386 A KR 20067023386A KR 20067023386 A KR20067023386 A KR 20067023386A KR 100747380 B1 KR100747380 B1 KR 100747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frame
disk
fixed
h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7023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4954A (ko
Inventor
데츠로우 곤도우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1/00Machines for sewing quilts or mattress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9/00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 D05C9/02Appliances for holding or feeding the base fabric in embroidering machines in machines with vertical needles
    • D05C9/04Work holder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구동 제어되는 원판 틀(5)에 대해서 길이가 긴 원판(N)을 그 공급원으로부터 공급하여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부재(8a, 8b)가, 원판 틀(5)에 배치된 원판(N)의 평면 방향에 따라서 연장된 회동축(14)의 둘레에서 회동하도록 구성된 유지 부재(16)와, 회동된 유지 부재(16)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받이부(23)를 포함하고, 유지 부재(16)와 받이부(23)와의 사이에 원판(N)을 사이에 둔 상태로 회동된 유지 부재(16)를 받이부(23)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원판(N)을 클램프 한다. 또, 가로 클램프 부재(8a, 8b)를 현가하는 섀시부(10)의 중간 위치에 위치 결정 기구(27)를 배치하고, 그 승강 부재(31)를, 원판 이송시에는 상승하여 원판 이송 가능하게 하며, 원판 고정시에는 하강하여 섀시부의 중간 위치가 수직으로 아래로 혹은 변형하지 않게 지지한다.

Description

미싱{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미싱 테이블 위에 실어 놓인 원판 틀에 대한 원판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여 자수 등의 봉제를 반복하여, 길이가 긴 원판에 봉제를 연속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미싱에 관한 것이고, 특히, 원판 틀에 대한 원판의 고정을 보다 강고(强固)하게 되도록 개량한 미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복수의 미싱 헤드를 구비한 다두 미싱의 미싱 테이블 위에서 전후 좌우로 구동 제어되는 원판 틀에 대해, 길이가 긴 원판을 그 공급원으로부터 공급하여 고정하고, 원판 틀에 고정된 부분으로의 봉제가 종료하면, 그 고정을 해방하여 다음으로 봉제를 실시하는 부분을 원판 틀에 위치시킴으로써, 원판 틀에 대한 원판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여 봉제를 반복하도록 구성된 다두 미싱이 알려져 있다. 도 15에는 일례로서 이런 종류의 다두 미싱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1은 미싱 프레임, 2는 테이블, 3은 미싱 헤드, 5는 원판 틀이다. 원판 틀(5)에는, 원판(N)을 고정하기 위한 가로 클램프 부재(101a, 101b) 및 세로 클램프 부재(102a, 102b)가 설치되어 있다.
가로 클램프 부재(101a, 101b)는 동일한 구성으로, 그것을 대향하여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한쪽의 가로 클램프 부재(101a)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6에는 전방(前方)의 가로 클램프 부재(101a)의 측단면도(도 15 중의 III-III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가로 클램프 부재(101a)는, 원판 틀(5)의 가로변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고정용 섀시(sash)(104)를 구비하고 있고, 고정용 섀시(104)의 양단부 부근은 브래킷(103)을 통하여 원판 틀(5)에 고정(가교(架橋))되어 있다. 고정용 섀시(104)에는 복수(6개)의 액츄에이터(105)가 적당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각 액츄에이터(105)의 로드(rod)부 선단은, 이 가로 클램프 부재(101a)의 길이에 걸쳐 연장된 길이가 긴 누름체(106)의 소정 개소에 각각 고정되고, 이 누름체(106)를 협동하여 현가(懸架)한다. 즉, 1개의 길이가 긴 누름체(106)의 소정 개소에 각 액츄에이터(105)의 로드부 선단이 고정되고, 이것들 복수(6개)의 액츄에이터(105)에서 협동하여 1개의 길이가 긴 누름체(106)를 상하 이동 시킨다. 원판 틀(5)의 가로변에는 누름체(106)와 대응하는 위치에 받이부(107)가 형성되어 있고, 각 액츄에이터(105)의 동시 작동에 의해서 누름체(106)가 하강되면 받이부(107)로 원판(N)을 협지(挾持)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누름체(106), 받이부(107)에는 확실히 원판(N)을 협지하기 위한 쿠션 부재(108)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세로 클램프 부재(102a, 102b)에 대하여 설명한다. 세로 클램프 부재(102a, 102b)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을 대향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한쪽의 세로 클램프 부재(102a)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7에는 우측의 세로 클램프 부재(102a)의 측단면도(도 15 중의 IV-IV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세로 클램프 부재(102a)는 세로 섀시(109)를 구비하고 있고, 세로 섀시(109)의 전체 길이는 양 가로 클램프 부재(101a, 101b)의 간격보다 조금 짧게 설정하고 있다. 세로 섀시(109)의 양단부에는 각각 브래킷(110)을 통하여 제 1 액츄에이터(111)가 고정되어 있다. 양 브래킷(110)에는 요동 레버(112)가 축 지지되어 있고, 요동 레버(112)는 제 1 액츄에이터(111)의 로드부와 핀(11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세로 섀시(109)의 위쪽에는, 세로 섀시(109)와 대략 동일 길이의 누름 섀시(113)가 배치되어 있고, 누름 섀시(113)의 양단부는 양 요동 레버(112)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누름 섀시(113)에는 그 전체 길이에 걸치는 길이의 쿠션 부재(115)가 고정되어 있고, 세로 섀시(109)에는 그 전체 길이에 걸치는 길이의 펠트(felt)(116)가 붙어 있다. 제 1 액츄에이터(111)의 작동에 의해서 누름 섀시(113)가 아래쪽으로 요동되면, 쿠션 부재(115)와 펠트(116)에 의해서 원판(N)을 협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세로 클램프 부재(102a)의 양단부 부근에는 제 2 액츄에이터(117)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제 2 액츄에이터는 가로 클램프 부재(101a, 101b)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양 제 2 액츄에이터(117)의 로드부는 세로 섀시(109)의 양단 부근에 연결되어 있고, 제 2 액츄에이터(117)을 작동시키면, 세로 섀시(109)가 좌우로 이동되게 된다.
원판(N)을 세팅할 때는, 원판(N)을 공급 스탠드로부터 계속 내보내, 원판 틀(5) 위에 각 클램프 부재에 의한 고정이 가능하게 통한 후에, 회수 스탠드로 유도한다. 이 상태로 가로 클램프 부재(101a, 101b), 세로 클램프 부재(102a, 102b)의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원판 틀(5)에 대해서 원판(N)을 고정한다. 원판(N)의 고정은, 처음에 가로 클램프 부재(101a, 101b)의 액츄에이터(105)를 작동시켜 누름 체(106)와 받이부(107)에 의해서 원판(N)을 협지하고, 다음으로 세로 클램프 부재(102a, 102b)의 제 1 액츄에이터(111)을 작동시켜 쿠션 부재(115)와 펠트(116)에 의해서 원판(N)을 협지한 후에, 제 2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세로 클램프 부재(102a, 102b)의 간격을 벌려 원판(N)을 핀과 팽팽히 당긴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원판(N)이 원판 틀(5)에 고정되게 된다.
원판 틀(5)에 고정된 부분으로의 봉제가 종료하면, 각 클램프 부재의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원판(N)의 고정을 해방하고, 원판 틀(5) 내에 원판(N)의 다음으로 봉제를 실시하는 부분을 위치시켜 각 클램프 부재의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원판(N)의 다음으로 봉제를 실시하는 부분을 원판 틀(5)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원판 틀(5)에 대한 원판(N)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여 봉제를 반복한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원판 틀(5)에 대한 원판(N)의 고정은 누름체(106), 누름 섀시(113)를 하강시켜 받이부(107), 세로 섀시(109)로 원판(N)을 협지하여 행하고 있다. 즉, 누름체(106), 누름 섀시(113)로 위에서부터 누르는 것에 의해서 원판(N)을 고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원판(N)에는 원판 틀(5)의 이동이나 봉제의 진행에 수반하는 원판(N)의 수축 등에 의해 횡 방향(원판(N)의 평면 방향)에 인장력이 작용한다. 이 횡 방향으로 인장되는 원판(N)을 위에서부터 눌러 유지하고 있으므로, 원판(N)을 강고하게 고정할 수 없다. 특히 원판(N)이 얇은 것일 때에는 그것이 현저하여 봉제를 실시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또, 가로 클램프 부재(101a, 101b)의 고정용 섀시(104)는 원판(N)의 폭에 대응하여 그 전체 길이가 긴 것이다. 그렇지만, 고정용 섀시(104)는 그 양단 부근을 브래킷(103)을 통하여 원판 틀(5)에 고정하여 가교(架橋) 되어 있어 있을 뿐이다. 이것은 고정용 섀시(104)와 원판 틀(5)의 사이에 원판(N)을 통하기 때문으로, 고정용 섀시(104)의 중간 부분을 고정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누름체(106)를 하강시켜 원판(N)을 협지했을 때에, 고정용 섀시(104)의 중간 부분이 변형(위쪽으로 휨)하여 원판(N)을 확실히 누를 수 없다. 이것도 원판(N)을 강고하게 고정할 수 없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미싱 테이블 위에 실어 놓인 원판 틀에 대한 원판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여 자수 등의 봉제를 반복하고, 길이가 긴 원판에 봉제를 연속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미싱에 있어서, 원판 틀에 대해서 원판의 고정을 보다 강고하게 되도록 개량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관한 미싱은, 미싱 테이블 위에서 구동 제어되는 원판 틀에 대해서 길이가 긴 원판을 그 공급원으로부터 공급하여 클램프 기구에 의해 고정하고, 이 원판 틀에 고정된 원판 부분으로의 봉제가 종료하면, 이 클램프 기구에 의한 원판의 고정을 해제하여 이 원판 틀에 대하여 원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 원판 틀에 고정하는 원판 부분을 다른 부분으로 변경하여 봉제를 재개하도록 구성된 미싱에 있어서, 상기 원판 틀에 대해서 원판을 고정하기 위한 상기 클램프 기구가, 상기 원판 틀에 배치된 원판의 평면 방향에 따라서 연장된 회동축의 둘레에서 회동하도록 구성된 유지 부재와, 회동된 상기 유지 부재를 받아 들이도록 구성된 받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받이부 사이에 원판을 실은 상태로 이 유지 부재를 이 받이부 쪽으로 회동하여 이 회동된 유지 부재를 이 받이부에서 받아들이는 것으로 이 원판을 클램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관한 미싱은, 미싱 테이블 위에서 구동 제어되는 원판 틀에 대하여 길이가 긴 원판을 그 공급원으로부터 공급하여 클램프 기구에 의해 고정하고, 이 원판 틀에 고정된 원판 부분으로의 봉제가 종료하면, 이 클램프 기구에 의한 원판의 고정을 해제하여 이 원판 틀에 대해서 원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 원판 틀에 고정하는 원판 부분을 다른 부분으로 변경하여 봉제를 재개하도록 구성된 미싱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기구는, 원판의 이송 방향에 대해서 횡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긴 가로 클램프 부재와, 상기 원판 틀의 양단으로 가교되어 상기 가로 클램프 부재를 현가하는 섀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 클램프 부재와 원판 틀 사이에 원판을 둔 상태로 이 가로 클램프 부재를 원판 틀 쪽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원판을 클램프 하는 것으로, 상기 섀시부의 적당한 중간 위치에 현가된 상하 이동 가능한 부재를 포함한 위치 결정 기구를 더 구비하고, 이 위치 결정 기구는, 원판 이송시에는 상기 상하 이동 가능한 부재를 상승시켜 원판 이송을 가능하게 하며, 원판 고정시에는 상기 상하 이동 가능한 부재를 하강시켜 원판 틀과의 사이에 원판을 고정시키고, 또한, 그 반력(反力)에 의해서 상기 섀시부의 중간 위치가 수직으로 아래로 혹은 변형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하면, 클램프 기구의 유지 부재가, 원판 틀에 배치된 원판의 평면 방향에 따라서 연장된 회동축의 둘레에서 회동하는 것에 의해 클램프 상태로 설정되는 구성이므로, 클램프시의 이 유지 부재의 모멘트가 대략 횡 방향(원판의 대략 평면 방향)에 작용하고, 종래와 같이 단지 위에서부터 누르는 것 과는 달리, 원판이 인장되는 횡 방향(평면 방향)에 대해서 원판을 보다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원판이 횡 방향(평면 방향)에 인장될 때, 거기에 따라 움직이지 않게 상대적으로 더욱 강고하게 고정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보다 한층 확실히 원판이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원판이 얇은 것일 때에도 확실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하면, 가로 클램프 부재를 현가하는 섀시부의 중간 위치에 위치 결정 기구가 설치되고, 이 위치 결정 기구에 있어서의 상하 이동 가능한 부재가, 원판 이송시에는 상승되어 원판 이송을 가능하게 하고, 원판 고정시에는 하강하여 원판 틀과의 사이에 원판을 고정하는, 한편, 그 반력에 의해서 상기 섀시부의 중간 위치가 수직으로 아래로 혹은 변형하지 않게 지지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 섀시부의 높이를 적절히 위치 결정할 수 있어, 길이가 긴 섀시부의 어느 부분에 있어서도 원판을 확실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 원판 틀의 이동시에 있어서의 섀시부의 진동도을 방지할 수 있어 원판의 고정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다두 자수 미싱의 평면도.
도 2는 동일한 실시예에 관한 다두 자수 미싱의 측면 계략도.
도 3은 동일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방의 가로 클램프 부재의 좌측 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가로 클램프 부재의 좌측면도로서, (a)는 앵크 램프 상태를 나타내고, (b)는 클램프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I-I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II-II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7은 가로 클램프 부재에 의한 클램프 동작을 더욱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가로 클램프 부재의 중간부에 부가적으로 배치되는 위치 결정 기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9는 이 위치 결정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 측면도.
도 10은 세로 클램프 부재의 측단면도.
도 11은 공급 스탠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공급 스탠드에 있어서의 조출(繰出) 부재의 일부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테이블의 후단부에 설치하는 위치 보정 부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 클램프 부재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5는 종래의 다두 미싱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종래의 가로 클램프 부재를 나타내는 도 15의 III-III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17은 종래의 세로 클램프 부재를 나타내는 도 15의 IV-IV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다두 자수 미싱의 평면도가 나타내어져 있고, 1은 미싱 프레임, 2는 테이블이다. 미싱 프레임(1)에는, 복수(도시예에서는 12개)의 미싱 헤드(3)가 미싱 전면(前面)에서부터 보아 좌우(가로) 방향에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테이블(2)에는, 각 미싱 헤드(3)와 대응하는 개소에 있어서 침판(4)이 위치하고 있다. 테이블(2) 위에는 원판 틀(5)이 실어 놓여 있고, 원판 틀(5)은 테이블(2)의 아래쪽에 설치한 X구동 기구(6) 및 Y구동 기구(7)에 의해서 전후 좌우 방향으로 2 차원적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원판 틀(5)의 양 가로변에는 가로 클램프 부재(8a, 8b)가 설치되어 있고, 원판 틀(5)의 양 세로변에는 세로 클램프 부재(9a, 9b)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로 클램프 부재(8a, 8b) 및 세로 클램프 부재(9a, 9b)에 의해서 원판(N)을 원판 틀(5)에 고정한다. 원판(N)은, 도 2에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두 자수 미싱의 후방에 배치된 공급 스탠드(S1)로부터 공급하여, 각 클램프 부재(8a, 8b, 9a, 9b)를 통하여 원판 틀(5)에 고정하고, 원판 틀(5)에 고정된 원판 부분으로의 봉제가 종료하면, 원판 틀(5)의 고정을 일단 해제하여 다두 자수 미싱의 전방에 배치한 회수 스탠드(S2)에 회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동일한 실시예에 관한 다두 자수 미싱의 측면 계략도이고, 킬팅(kilting)을 실시하는 경우가 나타내어져 있다. 그 경우, 공급 스탠드(S1)에서는, 원판(N)으로서 2매의 천(N1, N2)의 사이에 면(綿)(N3)을 사이에 둔 상태인 것을 원판 틀(5)로 공급한다.
가로 클램프 부재(8a, 8b)는 동일한 구성으로, 그것을 대향하여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한쪽(전방)의 가로 클램프 부재(8a)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전방의 가로 클램프 부재(8a)의 좌측 단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이 가로 클램프 부재(8a)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3의 I-I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II-II선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러한 도에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가로 클램프 부재(8a)는 브래킷(11)을 통하여 원판 틀(5)에 고정된 고정용 섀시(10)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용 섀시(10)에는 적당 간격을 두고 복수의 베어링(12)이 그 전후(도 5, 도 6의 좌우)의 위치가 조정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각 베어링(12)의 사이에는 각각 파이프 부재(13)가 배치되어 있고, 각 파이프 부재(13)는 각 베어링(12)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동축(14)으로 연결되어 있다. 파이프 부재(13)에는, 그 양단부 및 중앙부의 외주에 설치된 장착 부재(15)를 통하여 유지 부재(16), 누름 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 부재(13)의 양단부에 설치된 장착 부재(15)는 나사(18)로 회동축(14)에 고정되어 있고, 이 장착 부재(15)의 장착 구멍은 긴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양단부의 장착 부재(15)를 고정하고 있는 나사(18)를 느슨하게 하면, 파이프 부재(13)에 대한 장착 부재(15)의 위치를 파이프 부재(13)의 축심 둘레에서 조정할 수 있다. 유지 부재(16)는, 횡 방향으로 연장된 적당하게 경질(硬質)의 중심부(16a)와, 그 외측을 가리는 접촉부(16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접촉 부(16b)는, 변형이 가능하고, 한편 원판(N)과 접했을 때에 미끄러짐이 생기기 어려운 예를 들면 탄성 고무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가장 좌측의 회동축(14)은, 좌측 부분이 고정용 섀시(10)보다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그 돌출된 좌측 부분에는 작동 부재(19)가 고정되어 있다. 작동 부재(19)의 선단에는 연결 핀(20)이 고정되어 있고, 연결 핀(20)은 에어 실린더(21)의 로드에 고정된 연결 부재(22)의 연결 구멍(22a)에 끼워 맞춰져 있다. 에어 실린더(21)는 브래킷(11)에 형성된 장착부(11a)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에어 실린더(21)의 작동에 의해서 각 회동축(14) 및 각 파이프 부재(13)가 회동되고, 파이프 부재(13)에 설치한 유지 부재(16), 누름 부재(17)가 회동된다. 또한, 가로 클램프 부재(8a)의 우측 단부에 대해서도 같은 구성으로, 좌우 2개의 에어 실린더(21)의 작동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가로로 긴 유지 부재(16) 및 누름 부재(17)를 함께 회동시킨다. 이 유지 부재(16), 누름 부재(17)의 회동에 의해서 원판 틀(5)에 대한 원판(N)의 고정(클램프)과 해방(앵크 램프)을 행한다. 원판 틀(5)에는 유지 부재(16)와의 사이에 원판(N)을 사이에 두고 고정하기 위한 받이부(23)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받이부(23)에는 고무 부재(24, 25)가 대략 직각인 코너(corner)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4(a)에는 원판(N)의 고정을 해방한 상태(앵크 램프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고, 도 4(b)에는 원판(N)을 고정한 상태(클램프 상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원판(N)은, 도 4(a)의 앵크 램프 상태에 있을 때에, 원판 틀(5)과 고정용 섀시(10)와의 사이를 통하여 원판 틀(5) 위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에어 실린더(21)를 작동시 켜 회동축(14), 파이프 부재(13)의 회동에 의해서 유지 부재(16) 및 누름 부재(17)를 도 4(b)에 나타내는 위치에 회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원판(N)이 유지 부재(16)와 받이부(23)(고무 부재(24, 25))와의 사이에 협지되어, 원판 틀(5)에 대하여 원판(N)이 고정되게 된다.
도 7은 이 때의 모습을 더욱 확대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같은 도(a)는 유지 부재(16)가 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는 과정에서, 그 접촉부(16b)가 받이부(23)의 선단부(고무 부재(25)의 선단)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유지 부재(16)와 받이부(23)의 선단부(고무 부재(25)의 선단)로 원판(N)이 끼인다. 또한 받이부(23)의 선단부(고무 부재(25))의 상면 측에는 테플론 테이프(26)(「테플론」은 상표)가 붙어 있고, 유지 부재(16)의 회동시에 있어서 원판(N)에 장력을 내기 쉽게 하고 있다. 즉, 유지 부재(16)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동이 계속되어, 도 7(c)에 나타내는 고정 위치(클램프 위치)까지 회동되는 과정에 있어서, 유지 부재(16)와 받이부(23)에서 낀 원판(N)은, 그 상면은 미끄러지기 어려운 유지 부재(16)와 접하고, 그 하면은 미끄러지기 쉬운 테플론 테이프(26)(「테플론」은 상표)에 접하고 있는 것에 의해, 원판(N)은 유지 부재(16)의 회동 방향(도 7의 우측, 즉 미싱의 전방 측)으로 함께 인장되어 고정되게 된다. 한편, 후방의 가로 클램프 부재(8b)에서는, 동일한 구성의 유지 부재(16) 등이 전방의 가로 클램프 부재(8a)의 그것들과 대향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전방과는 반대 측(즉 후방 측)에 인장되게 되고, 원판(N)은 원판 틀(5)에 있어서 전후로 전장(展張)되어 고정되게 된다. 도 7(b)는 유지 부재(16)가 도 7(a)으로부터 도 7(c)에 이르는 과정에 있어서, 그 하 단이 회동축(14)의 축 중심의 바로 아래에 온 시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시점에 있어서, 유지 부재(16)의 하단이 최하점 위치로 되어 고무 부재(25)를 눌러 으깨도록 되어 있다. 유지 부재(16)가 도에서 더욱 오른쪽으로 움직여, 도 7(c)의 고정 위치(클램프 위치)까지 오면, 고무 부재(25)의 일그러짐이 일부 복귀하는 한편으로 고무 부재(24)가 유지 부재(16)에 의해 눌러 으깨지도록 되며, 이렇게 하여, 유지 부재(16)는 직각 코너를 이룬 받이부(23)의 고무 부재(25)와 고무 부재(24)의 사이에 확실히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자수의 진행에 수반하여 원판(N)의 장력이 증대하고, 도 7에 있어서 좌측으로 인장력이 작용했을 때에는 유지 부재(16)도 좌측으로 회동되려고 하지만, 회동하려고 하면 고무 부재 25를(재차) 눌러 으깨도록 되기 때문에, 그 회동이 저지된다. 또, 이 유지 위치(클램프 위치)에서는, 유지 부재(16)는, 클램프 된 원판(N)에 대해서 도 7에 있어서 좌측으로 인장력이 작용했다 하여도, 그것에 따라 좌측으로 움직이지 않고, 상대적으로 더욱 강고하게 고정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원판(N)은 인장되는 것에 의해 보다 강고하게 원판 틀(5)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유지 부재(16)에 관련하여 설치된 누름 부재(17)는, 고정 위치(클램프 위치)까지 회동되면 원판(N)을 하부에 눌러 내려 테이블(2)과의 간격을 좁게 함으로써, 이것에 의해, 봉제에 수반하는 원판(N)의 버둥거림이 저감되어, 실 끊김 등이 방지된다.
또한, 유지 부재(16)에 의한 원판(N)의 고정(클램프) 상태는, 고정용 섀시(10)의 중앙 부근의 것 정도로 약해진다. 이것은, 유지 부재(16)의 회동을 고정용 섀시(10)의 양단부에 설치한 에어 실린더(21)에서 실시하기 때문이다. 또, 각 부품의 치수 오차 등에 의해도 유지 부재(16)의 고정 상태가 다른 것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베어링(12)의 위치 조정이나 파이프 부재(13)에 대한 장착 부재(15)의 위치 조정에 의해서 유지 부재(16)의 고정 상태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클램프 부재(8a, 8b)의 대략 중앙부에는 위치 결정 기구(27)가 각각 설치된다. 도 8은 위치 결정 기구(27)를 나타낸 입체도, 도 9는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8, 도 9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기구(27)에 있어서, 그 베이스 부재(28)가 고정용 섀시(10)에 고정되고, 이 베이스 부재(28)에는 브래킷(29)을 통하여 에어 실린더(30)가 고정되며, 이 에어 실린더(30)의 로드의 선단에는 승강 부재(31)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 부재(31)에는 2개의 가이드 축(32)이 세워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 축(32)은 베이스 부재(28)에 형성된 안내 구멍에 끼워 삽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에어 실린더(30)의 작동에 의해서 승강 부재(31)가 가이드 축(32)에 안내되어 승강된다. 승강 부재(31)와 대응하는 원판 틀(5)의 상면에는 안내판(33)이 고정되어 있고, 승강 부재(31)의 하면에는 안내판(33)과 맞물리는 안내 홈(31a)이 형성되어 있다. 가로 클램프 부재(8a, 8b)의 고정용 섀시(10)는, 그 양단부만이 브래킷(11)(도 3)으로 원판 틀(5)에 고정되고, 원판 틀(5)에 가교 되어 있다. 고정용 섀시(10)는 길이가 긴 것으로, 그 중간부도 적당한 브래킷(11) 등을 통하여 원판 틀(5)에 고정하고자 하지만, 고정용 섀시(10)와 원판 틀(5) 사이에 원판(N)을 통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중간부에 브래킷(11) 등의 고정 지지 수단을 설치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고정용 섀시(10)의 중앙부는 그 자중에 의해서 어떻게 해서도 수직으로 아래로 늘어뜨리게 된다. 이 상태로 상기 유지 부재(16)가 회동되면 원판 틀(5)의 받이부(23)의 전면과 간섭하여 유지 부재(16)의 회동이 정지하게 된다. 위치 결정 기구(27)는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는 것으로, 원판(N)을 이송할 때에는, 에어 실린더(30)를 작동시켜 승강 부재(31)를 도 9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상승시켜, 원판(N)의 이송을 저해하지 않도록 한다. 원판(N)을 고정(클램프)할 경우에는, 유지 부재(16)의 회동 전(前)에 에어 실린더(30)를 작동시켜 승강 부재(31)를 도 9의 상상선(想像線)에 나타내는 위치로 하강시켜서, 고정용 섀시(10)의 아래로 늘어뜨려진 중앙부를 들어 올려 그 양단부와 대략 같은 높이가 되도록 위치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유지 부재(16)를 확실히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또, 승강 부재(31)는 그 안내 홈(31a)이 안내판(33)과 맞물리기 위해 고정용 섀시(10)의 전후(도 9의 좌우)의 위치도 규제되기 때문에 유지 부재(16)에 의한 원판(N)의 고정이 확실히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이것들에 의해 원판 틀(5)의 이동시에 고정용 섀시(10)의 진동도 방지되게 된다. 또한, 승강 부재(31)를 하강시켰을 때에는 안내 홈(31a)과 안내판(33)으로 원판(N)을 사이에 두게 된다. 이 때에, 원판(N)에 상처가 나지 않게 안내 홈(31a), 안내판(33)에 펠트 등의 완충 소재를 붙여도 좋다. 또한 이 위치 규제 구조는, 안내 홈(31a)(오목부)과 안내판(33)(볼록부)과의 편성에 한정하지 않고, 요컨데 요철(凹凸)의 조합에 의해서 위치 규제를 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다음으로, 세로 클램프 부재(9a, 9b)에 대하여 설명한다. 세로 클램프 부재(9a, 9b)에 대해서도 같은 구성을 대향하여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우측의 세로 클램프 부재(9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는 세로 클램프 부재(9a)의 측단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세로 클램프 부재(9a)는 세로 섀시(34)를 구비하고 있고, 세로 섀시(34)의 전체 길이는 양 가로 클램프 부재(8a, 8b)의 간격보다 조금 짧게 설정하고 있다. 세로 섀시(34)의 양단부에는 각각 브래킷(35)을 통하여 제 1 에어 실린더(36)가 고정되어 있다. 양 브래킷(35)에는 요동 레버(37)가 축 지지되어 있고, 요동 레버(37)는 제 1 에어 실린더(36)의 로드부와 핀(37a)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세로 섀시(34)의 위쪽에는, 세로 섀시(34)와 대략 같은 길이의 누름 섀시(38)가 배치되어 있고, 누름 섀시(38)의 양단부는 양 요동 레버(37)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누름 섀시(38)에는 그 전체 길이와 같은 길이의 유지 부재(39)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 부재(39)는, 변형이 가능하고, 한편 원판(N)과 접했을 때에 미끄러짐이 생기기 어려운 예를 들면 탄성 고무로 형성되어 있다. 누름 섀시(38)의 선단부에는 누름 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세로 섀시(34)의 상면에는, 유지 부재(39)와 대응하는 위치에 고무 부재(41)가 붙어 있다. 양 요동 레버(37)에는 지지 부재(42)의 양단이 고정되어 있고, 지지 부재(42)에는 누름 섀시(38)의 중앙의 떠오름을 누르는 보조 부재(43)가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에어 실린더(36)를 작동시켜 요동 레버(37)를 아래쪽으로 요동(회동)시켜, 누름 섀시(38)를 도 10에 나타내는 위치로 하면, 유지 부재(39)와 세로 섀시(34)의 고무 부재(41)으로 원판(N)이 협지되어 고정된다. 이 때, 보조 부재(43)에 의해서 누름 섀시(38)의 중앙이 떠오르지 않게 누르고 있으므로 원판(N)이 보다 확실히 고정되게 된다. 한편, 제 1 에어 실린더(36)를 작동시켜 요동 레버(37)를 위쪽으로 요동(회동)시키면 누름 섀시(38)가 위쪽으로 이동되어 원판(N)의 고정이 해방된다.
세로 클램프 부재(9a)의 양단부 부근에는 제 2 에어 실린더(44)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에어 실린더(44)는 가로 클램프 부재(8a, 8b)에 각각 장착되어 있고, 양 제 2 에어 실린더(44)의 로드부는 세로 섀시(34)의 양단 부근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에어 실린더(44)를 작동시키면 세로 섀시(34)가 좌우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 1 에어 실린더(36)를 작동시켜 원판(N)을 고정한 후에, 제 2 에어 실린더(44)를 작동시켜 대향하는 세로 클램프 부재(9a, 9b)와의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세로 섀시(34)가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원판(N)이 미싱의 폭 방향으로 전장(展張)된다.
도 11에는 공급 스탠드(S1)의 일례가 측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공급 스탠드(S1)는, 미싱의 가로 폭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가지고 배치한 한 쌍의 스탠드 프레임(45)을 구비하고 있다. 스탠드 프레임(45)에는 원판(N)의 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46a, 46b, 46c)가 전방부(도 11의 좌측)에 2개, 후방부(도 11의 우측)에 하나 설치되어 있다. 킬팅을 실시할 때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부의 2개의 지지부(46a, 46b)에 천의 롤(N1, N2)을 세팅하고, 후방부의 지지부(46c)에 면(綿)의 롤(N3)을 세팅한다. 한편, 1매의 천에 자수 등을 실시할 때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부 위쪽의 지지부(46a)에 천(N)의 롤만을 세팅한다. 공급 스탠드(S1)에는, 1매의 천에 자수 등을 실시할 때로서, 그 천이 얇은 옷감일 때에 천을 계속 내보내기 위한 조출(繰出)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조출 기구는, 스탠드 프레임(45)에 요동 가능하게 축 지지된 요동 레버(47)를 가지고 있다. 요동 레 버(47)에는 에어 실린더(48)의 로드부 선단이 핀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에어 실린더(48)는 스탠드 프레임(45)에 회동 가능하게 피봇 접합되어 있다. 요동 레버(47)의 선단부에는 긴 구멍의 맞물림부(47a)가 형성되어 있고,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출 부재(49)의 축부(49a)가 맞물려 있다. 조출 부재(49)의 축부(49a)는 스탠드 프레임(45)에 고정된 플레이트(50)의 가이드 구멍(50a)도 맞물려 있다. 도 12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50)에는, 가이드 구멍(50a)에 따라서 랙(rack) 기어(51)가 고정되어 있고, 조출 부재(49)의 축부(49a)에는 랙 기어(51)와 치합(齒合)하는 피니언 기어(52)가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에어 실린더(48)의 작동에 의해서 요동 레버(47)가 요동되면, 조출 부재(49)가 플레이트(50)의 가이드 구멍(50a)에 따라서 상하 이동 되게 된다. 이 때, 조출 부재(49)는 랙 기어(51), 피니언 기어(52)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 된다.
원판(N)이 1매의 얇은 생지(生地)일 때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판(N)이 감겨진 롤을 전방부 위쪽의 지지부(46)에 세팅하고, 롤로부터 계속 내보낸 원판(N)을 가이드 샤프트(53)을 통한 후에 조출 부재(49)에 감아 걸어, 테이블(2) 후단부에 설치한 후술하는 위치 보정 부재(54)를 통하여 원판 틀(5)로 유도한다. 조출 부재(49)는, 에어 실린더(48)의 작동에 의해서 요동 레버(47)가 도 11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요동 위치에 있는 하단 위치와,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요동 위치에 있는 상단 위치와의 사이를 상하 이동한다. 원판(N)이 원판 틀(5)에 고정되어 있을 때, 에어 실린더(48)를 작동시켜 요동 레버(47)를 도 11의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요동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내는 요동 위치로 요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조출 부 재(49)가 상단 위치로부터 하단 위치로 하강되고, 다음에 이송량의 원판(N)이 롤로부터 계속 내보내 진다. 이 때, 조출 부재(49)는 랙 기어(51), 피니언 기어(52)에 의해서 원판(N)의 흐름과는 반대로 회전되면서 하강된다. 이것은, 원판(N)이 필요이상으로 계속 내보내 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원판 틀(5)에 고정된 부분으로의 자수가 종료하고, 다음에 자수를 실시하는 부분을 원판 틀(5) 내에 위치시킬 때에는, 에어 실린더(48)의 작동에 의해 요동 레버(47)를 도 11의 실선 위치로부터 상상선 위치로 요동시켜, 조출 부재(49)를 상단 위치로 상승시킨다. 그 후, 원판(N)을 송출하는 것에 의해 원판(N)이 부드럽게 송출되게 된다.
다음으로, 테이블(2)의 후단부에 설치된 위치 보정 부재(5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보정 부재(54)는 2개의 지지봉(55)을 가지고 있다. 양 지지봉(55)의 양단은, 테이블(2)의 후단부에 고정된 브래킷(56)에 고정되어 있다. 양 지지봉(55)의 대략 중간부 아래쪽에는 에어 실린더(57)가 배치되어 있고, 에어 실린더(57)는 테이블(2)의 후단부에 고정된 실린더 브래킷(58)에 고정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57)에는 양 지지봉(55)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59)가 고정되어 있고, 에어 실린더(57)의 작동에 의해 지지 부재(59)가 상하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 스탠드(S1)로부터 원판 틀(5)로 계속 내보내 지는 원판(N)은, 이 위치 보정 부재(54)의 양 지지봉(55) 위에 실어 놓인다. 지지 부재(59)는 상시에는 도 13에 나타내는 하강 위치에 있고, 지지 부재(59)가 하강 위치에 있을 때에는 양 지지봉(55)의 중간 부분은 그 양단부와 동일한 높이이다. 원판(N)을 이송할 때는, 에어 실린더(57)를 작동시켜, 지지 부재(59) 의 중간 부분을 들어 올려 양단부보다 높게 만곡(彎曲)시킨다. 이것에 의해, 양 지지봉(55)을 통하는 원판(N)은, 그 양당부가 낮아지고 있는 양 지지봉(55)의 양단부 측으로 인장되게 된다. 이 위치 보정 부재(54) 및 공급 스탠드(S1)의 조출 기구에 의해, 원판을 이송할 때, 원판(N)이 지그재그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원판(N)으로의 봉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원판(N)을 세팅할 때는, 원판(N)을 공급 스탠드(S1)로부터 계속 내보내, 원판 틀(5) 위에 각 클램프 부재(8a, 8b, 9a, 9b)에 의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통한 후에, 회수 스탠드(S2)로 유도한다. 이 상태로 가로 클램프 부재(8a, 8b), 세로 클램프 부재(9a, 9b)에 의해서 원판 틀(5)에 대하여 원판(N)을 고정한다. 원판(N)의 고정은, 처음에 세로 클램프 부재(9a, 9b)의 제 1 에어 실린더(36)가 작동되어, 유지 부재(39)와 세로 섀시(34)의 고무 부재(41)로 원판(N)의 폭 방향 단부가 협지되어 고정된다. 이 때, 위치 결정 기구(27)의 에어 실린더(30)도 동시에 작동되고, 고정용 섀시(10)의 아래로 늘어뜨려진 중앙부를 들어 올릴 수 있다. 다음으로, 가로 클램프 부재(8a, 8b)의 에어 실린더(21)가 작동되어, 유지 부재(16)와 고무 부재(24, 25)로 원판(N)이 협지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마지막에 세로 클램프 부재(9a, 9b)의 제 2 에어 실린더(44)를 작동시켜, 세로 섀시(34)를 이동시켜 원판(N)을 핀과 팽팽하게 당긴 상태로 한다. 원판(N)을 고정하면, 미싱의 스타트 스위치를 눌러 미싱을 기동시키면, 자수모양 데이터 등의 꿰맴 데이터에 따라 원판 틀(5)이 전후 좌우로 구동됨과 동시에 미싱 헤드(3)에 의한 꿰맴 동작을 행하게 되어, 원판 틀(5)에 고정된 원판(N)에의 봉제를 행한다.
봉제가 종료하면 미싱을 정지시켜, 각 에어 실린더를 작동시키고 원판 틀(5)에 대한 원판(N)의 고정을 해방 시킨다(앵크 램프 한다). 원판(N)의 고정이 해방되면, 원판(N)을 이송하여 원판 틀(5) 내에 원판(N)의 다음에 봉제를 실시하는 부분을 위치시킨다. 원판(N)의 다음에 봉제를 실시하는 부분을 원판 틀(5) 내에 위치시키면, 상술과 마찬가지로 하여 각 에어 실린더를 작동시켜 다음으로 봉제를 실시하는 원판 부분을 원판 틀(5)에 고정시키고, 미싱을 재기동시켜 봉제를 실시한다. 이와 같이, 원판 틀(5)에 대한 원판(N)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고 봉제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가로 클램프 부재(8a, 8b)에 의한 원판(N)의 고정을, 유지 부재(16)를 회동시켜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유지 부재(16)는 원판(N)이 인장되는 것에 의해, 보다 강고하게 원판(N)을 고정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원판(N)의 고정이 확실하게 되어, 원판(N)이 얇은 옷감의 경우에서도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 가로 클램프 부재(8a, 8b)의 중간부에 위치 결정 기구(27)를 설치한 것에 의해서, 가로 클램프 부재(8a, 8b)의 어느 위치(특히 중간부)에 있어서도 원판(N)을 강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원판 틀(5)의 이동시의 고정용 섀시(10)의 진동도 방지되어 원판(N)의 고정이 한층 강고한 것이 된다.
또한, 가로 클램프 부재(8a, 8b)의 변경예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의 예에 있어서, 가로 클램프 부재(8a)(또는 8b)에는 상술의 실시예와 마 찬가지로 회동되는 유지 부재(16) 및 누름 부재(17)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또 다른 하나의 유지 부재(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또 다른 하나의 유지 부재(60)는 한 쌍의 기어(61a, 61b)에 의해서 유지 부재(16)의 회동에 수반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원판 틀(5)의 받이부(23)에는 유지벽(62)이 설치되어 있다.받이부(23)에는 제 1 실시예와 같이 고무 부재(24, 25)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유지벽(62)의 우측면에는 유지 부재(60)와 대응하는 고무 부재(6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원판(N)을 고정할 경우에는 유지 부재(16)를 도 14의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회동시키고, 유지 부재(16)와 고무 부재(24, 25)로 원판(N)을 협지한다. 유지 부재(16)가 회동되면, 또 다른 하나의 유지 부재(60)도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회동되고, 유지벽(62)의 우측면에 있어서, 유지 부재(60)와 고무 부재(63)으로 원판(N)을 협지한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유지벽(62)의 좌우측에서 유지 부재(16, 60)에 의해서 원판(N)을 협지하기 때문에, 보다 강고하게 원판(N)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각 부재의 구동을 에어 실린더로 실시하도록 했지만, 전동 액츄에이터 등 그 외의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로 클램프 부재(8a, 8b)에 의한 클램프 구조를 유지 부재(16)의 회동에 의한 구조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세로 클램프 부재(9a, 9b)에 대해서도, 동일한 유지 부재의 회동에 의한 구조에 의해서 원판(N)의 고정(클램프)을 실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 가로 클램프 부재(8a, 8b)의 대략 중앙부의 1개 소에 위치 결정 기구(27)를 설치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적당한 중간 위치에 적당한 수의 위치 결정 기구(27)를 분산하여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원판(N)의 다음으로 봉제를 실시하는 부분을 원판 틀(5) 내에 위치시킬 때는, 원판 틀(5)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행하여도 좋고, 원판(N)의 봉제가 행해진 부분을 회수 스탠드(S2)에 회수함으로써 행하여도 좋다. 원판 틀(5)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원판(N)의 다음으로 봉제를 실시하는 부분을 원판 틀(5) 내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미싱 헤드(3)의 침원(針元) 부근에 있어서 원판(N)을 억누르는 누름 부재를 구비하여도 좋다. 누름 부재는 미싱 헤드(3)에 설치한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상하 이동 되도록 설치하고, 원판(N)의 다음으로 봉제를 실시하는 부분을 원판 틀(5) 내에 위치시킬 때,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누름 부재를 하강시켜 원판(N)이 원판 틀(5)의 이동에 의해서 움직이지 않게 누르도록 하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미싱 테이블 위에 실어 놓인 원판 틀에 대한 원판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여 자수 등의 봉제를 반복하여, 길이가 긴 원판에 봉제를 연속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미싱에 관한 것이고, 특히, 원판 틀에 대한 원판의 고정을 보다 강고하게 되도록 개량한 미싱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9)

  1. 미싱 테이블 위에서 구동 제어되는 원판 틀에 대해서 길이가 긴 원판을 그 공급원으로부터 공급하여 클램프(clamp) 기구에 의해 고정하고, 이 원판 틀에 고정된 원판 부분으로의 봉제가 종료하면, 이 클램프 기구에 의한 원판의 고정을 해제하여 이 원판 틀에 대해서 원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 원판 틀에 고정하는 원판 부분을 다른 부분으로 변경하여 봉제를 재개하도록 구성된 미싱으로서,
    상기 원판 틀에 대해서 원판을 고정하기 위한 상기 클램프 기구가, 상기 원판 틀에 배치된 원판의 평면 방향에 따라서 연장된 회동축의 둘레에서 회동하도록 구성된 유지 부재와, 회동된 상기 유지 부재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받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받이부 사이에 원판을 둔 상태로 이 유지 부재를 이 받이부 쪽으로 회동하여 이 회동된 유지 부재를 이 받이부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이 원판을 클램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받이부를 조합한 상기 클램프 기구가, 적어도 상기 원판 틀의 대향하는 2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미싱.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 틀의 대향하는 각 변에 설치된 상기 클램프 기구에 있어서의 상기 유지 부재는, 각각 이 원판 틀의 바깥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배치되고, 이것에 의해, 이 원판 틀의 안쪽에 위치하는 상기 원판 부분이 전장(展張)된 상태로 이 원판 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기구가 적어도 설치되는 상기 원판 틀의 대향하는 2변은, 원판의 길이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변인 미싱.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기구가 적어도 설치되는 상기 원판 틀의 대향하는 2변은, 원판의 길이 방향에 따르는 변인 미싱.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는, 상기 회동된 유지 부재를 받아들이는 코너(corner)부와, 이 코너부에 배치된 탄성체를 포함하고, 이 탄성체를 통하여 상기 유지 부재를 탄성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에 부속되어 누름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이 누름 부재는, 상 기 유지 부재와 함께 회동하며,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받이부와의 사이에 상기 원판을 클램프 한 상태에서는 이 누름 부재의 선단이 원판을 클램프 한 개소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하고, 이것에 의해, 원판 틀에 고정된 원판 부분이 이 누름 부재의 선단에 의해 더욱 아래쪽으로 눌러 내려져, 봉제시의 안정성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8. 미싱 테이블 위에서 구동 제어되는 원판 틀에 대해서 길이가 긴 원판을 그 공급원으로부터 공급하여 클램프 기구에 의해 고정하고, 이 원판 틀에 고정된 원판 부분으로의 봉제가 종료하면, 이 클램프 기구에 의한 원판의 고정을 해제하여 이 원판 틀에 대해서 원판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 원판 틀에 고정하는 원판 부분을 다른 부분으로 변경하여 봉제를 재개하도록 구성된 미싱으로서,
    상기 클램프 기구는, 원판의 이송 방향에 대해서 횡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가 긴 가로 클램프 부재와, 상기 원판 틀의 양단에서 가교(架橋) 되어 상기 가로 클램프 부재를 현가(懸架)하는 섀시(sash)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 클램프 부재와 원판 틀 사이에 원판을 둔 상태로 이 가로 클램프 부재를 원판 틀 쪽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원판을 클램프 하는 것으로,
    상기 섀시부의 적당한 중간 위치에 현가된 상하 이동 가능한 부재를 포함한 위치 결정 기구를 더 구비하고, 이 위치 결정 기구는, 원판 이송시에는 상기 상하 이동 가능한 부재를 상승시켜 원판 이송을 가능하게 하고, 원판 고정시에는 상기 상하 이동 가능한 부재를 하강시켜 원판 틀과의 사이에 원판을 고정시키고, 한편, 그 반력에 의해서 상기 섀시부의 중간 위치가 수직으로 아래로 혹은 변형하지 않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기구는, 상기 상하 이동 가능한 부재와, 이 상하 이동 가능한 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동력원으로 구성되고, 이 상하 이동 가능한 부재의 하단의 원판 틀에 대한 맞닿음 부위는, 오목부와 볼록부의 편성으로 이루어지는 위치 규제 구조의 한쪽을 이루고 있으며, 이 상하 이동 가능한 부재의 하단에 대응하는 원판 틀 측의 맞닿음 부위는 상기 위치 규제 구조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의 다른 한쪽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KR20067023386A 2004-06-09 2005-06-09 미싱 KR100747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71926 2004-06-09
JP2004171926A JP2005348906A (ja) 2004-06-09 2004-06-09 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954A KR20070004954A (ko) 2007-01-09
KR100747380B1 true KR100747380B1 (ko) 2007-08-07

Family

ID=3550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7023386A KR100747380B1 (ko) 2004-06-09 2005-06-09 미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760178A4 (ko)
JP (1) JP2005348906A (ko)
KR (1) KR100747380B1 (ko)
CN (1) CN1965120A (ko)
WO (1) WO20051214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2386A (ja) 2007-09-28 2009-04-23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CN102995307A (zh) * 2011-09-16 2013-03-27 天津宝盈电脑机械有限公司 立式绗缝机移动上料装置
CN105401356B (zh) * 2015-11-02 2018-09-18 华南师范大学 一种带自动送料收料装置的绣花机
CN105442206B (zh) * 2016-01-26 2017-07-11 嘉兴市正丰商标织造有限公司 一种简易的商标编织设备
CN109537187A (zh) * 2018-12-26 2019-03-29 东莞市扬侨电子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缝纫机的送料构造
CN114481467B (zh) * 2022-02-18 2023-03-10 青岛铠硕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大棚被生产线叠压整平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3280A (ja) * 1995-03-13 1996-09-24 Brother Ind Ltd クランプ式被縫製布保持枠
JPH08252387A (ja) * 1995-03-15 1996-10-01 Brother Ind Ltd クランプ式被縫製布保持枠
JPH0938366A (ja) * 1995-07-28 1997-02-10 Kondo Mach:Kk 被縫製物張架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1912B2 (ja) * 1987-01-20 1997-02-19 株式会社 バルダン 原反枠
DE3733886C1 (en) * 1987-10-07 1989-02-02 Pfaff Ind Masch Clamping device for the embroidery material on embroidering machines
DE3843000A1 (de) * 1988-04-19 1989-11-02 Continental Ag Vorrichtung zur bereichsweisen festspannung eines biegeschlaffen, flaechigen materials
JP2736422B2 (ja) * 1988-10-11 1998-04-02 株式会社バルダン 刺繍ミシンの保持枠
JP2770550B2 (ja) * 1990-05-08 1998-07-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自動縫製装置の布送り装置
JP3054168B2 (ja) * 1990-05-22 2000-06-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自動縫製装置
JPH0631073A (ja) * 1992-07-14 1994-02-08 Aisin Seiki Co Ltd ミシンの布支持装置
JP2570675Y2 (ja) * 1992-11-16 1998-05-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加工布挟持用クリップ
JP3656172B2 (ja) * 1995-10-26 2005-06-08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ミシン
DE19923912A1 (de) * 1999-05-26 2000-11-30 Zsk Stickmasch Gmbh Vorichtung und Verfahren zum Besticken eines Bandes mittels einer Stickmaschine
JP4477732B2 (ja) * 2000-01-26 2010-06-09 株式会社バルダン 刺繍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3280A (ja) * 1995-03-13 1996-09-24 Brother Ind Ltd クランプ式被縫製布保持枠
JPH08252387A (ja) * 1995-03-15 1996-10-01 Brother Ind Ltd クランプ式被縫製布保持枠
JPH0938366A (ja) * 1995-07-28 1997-02-10 Kondo Mach:Kk 被縫製物張架枠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개평 8-243280호
특개평 8-252387호
특개평 9-038366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65120A (zh) 2007-05-16
EP1760178A4 (en) 2015-01-07
KR20070004954A (ko) 2007-01-09
JP2005348906A (ja) 2005-12-22
WO2005121432A1 (ja) 2005-12-22
EP1760178A1 (en) 200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7380B1 (ko) 미싱
US6041702A (en) Curved surface screen-printing apparatus
JP4390700B2 (ja) スクリーン印刷ユニットを支えるためのサポート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8280620A (ja) 刺繍機及び布張り方法
JP4623423B2 (ja) 刺繍ミシンの刺繍押え
KR102076005B1 (ko) 잉크젯 기록 장치
JP4399335B2 (ja) ミシンの布押さえ装置
JP4903588B2 (ja) ミシンの布押さえ装置
CN113211960B (zh) 一种具有张紧调节功能的多点支撑高精密印刷机
JP4399336B2 (ja) ミシンの位置決めガイド装置
JP2009082386A (ja) ミシン
JP3496213B2 (ja) 縫製装置の布送り装置
JP2006274463A (ja) 刺繍機の原反供給装置
JP2003086997A (ja) 部品装着方法及びその装置
US8794168B2 (en) Supply device
JPH11128579A (ja) ポケットセッターの布押え装置
CN215209885U (zh) 一种纺织涤纶丝的张力调节装置
JP2011030806A (ja) 連続生地張付装置
CN220318210U (zh) 一种床单熨烫定位结构
KR100804144B1 (ko) 다두 미싱
JP3576260B2 (ja) 布団等の自動装着装置及び積載装置
JPH0227468B2 (ko)
JP2528610B2 (ja) 側生地縁の縫製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118368A (ja) ミシンの中押え付属装置
CN113147163A (zh) 一种承印物和椭圆印花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