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886B1 -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방전방지 기구 - Google Patents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방전방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5886B1
KR100725886B1 KR1020050007343A KR20050007343A KR100725886B1 KR 100725886 B1 KR100725886 B1 KR 100725886B1 KR 1020050007343 A KR1020050007343 A KR 1020050007343A KR 20050007343 A KR20050007343 A KR 20050007343A KR 100725886 B1 KR100725886 B1 KR 100725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rtridge
contact
process cartridge
conduc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7733A (ko
Inventor
오구마도오루
가와구찌히데시
스기따다께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7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on the right-hand as well as the left-hand side; Convertible right-hand or left-hand hin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52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6Electrical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고,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본체 전기 접점과,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되지 않은 장치 본체로 이물질이 진입했을 때 대전된 이물질과의 사이에 방전을 행함으로써, 이물질과 본체 전기 접점 사이에 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지된 전기 도전성 방전 방지 부재로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진입 경로 내에 위치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퇴피되고 상기 진입 경로 밖에 위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접지된 전기 도전성 방전 방지 부재와, 방전 방지 부재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접촉함으로써 작동하고, 방전 방지 부재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를 포함한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전 방지 부재, 전기 접점

Description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방전 방지 기구{ELE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DISCHARGE PREVENTING MECHANISM}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 및 방전 방지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전기 접점을 도시한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체 전기 접점 및 카트리지 전기 접점의 전기 접속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체 전기 접점 및 카트리지 전기 접점의 전기 접속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방전 방지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방전 방지 부재 장착부 근방의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방전 방지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방전 방지 부재 장착부 근방의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방전 방지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방전 방지 부재 장착부 근방의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 정면도.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엔진 컨트롤러 회로 기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 및 방전 방지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 및 방전 방지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방전 방지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방전 방지 부재 장착부 근방의 사시도.
도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방전 방지 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방전 방지 부재 장착부 근방의 사시도.
도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방전 방지 부재, 상부 전사 안내부, 하부 전사 안내부 및 본체 전기 접점 사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 기 위한 도면.
<부호의 설명>
A : 장치 본체
103i : 상부 전사 안내부
103j : 하부 전사 안내부
130 : 카트리지 장착 수단
130a : 카트리지 장착부
130L1 : 제1 좌측 본체 안내부(카트리지 접촉부)
141 : 대전 입력 전기 접점 부재(카트리지 전기 접점 부재)
141a : 대전 입력 전기 접점(카트리지 전기 접점)
144 : 대전 출력 전기 접점 부재(본체 전기 접점 부재)
144a : 대전 출력 전기 접점(본체 전기 접점)
146 : 방전 방지 부재
146b : 아암부
147 : 지지 부재(작동 부재)
147d : 접촉부(작동 부재 접촉부)
148 : 비틀림 코일 스프링(탄성 작용 부재)
149 : 레버(작동 부재)
160 : 현상 입력 전기 접점 부재(카트리지 전기 접점 부재)
160a : 현상 입력 전기 접점(카트리지 전기 접점)
161 : 현상 출력 전기 접점 부재(본체 전기 접점 부재)
161a : 현상 출력 전기 접점(본체 전기 접점)
163 :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 부재(본체 전기 접점 부재)
163a :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본체 전기 접점)
164 :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 부재(본체 전기 접점 부재)
164a :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본체 전기 접점)
188 : 제1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 부재(카트리지 전기 접점 부재)
188a : 제1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카트리지 전기 접점)
189 : 제2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 부재(카트리지 전기 접점 부재)
189a : 제2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카트리지 전기 접점)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방전 방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기록 매체(예를 들면, 기록 용지, OHP 시트 등)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 등이 포함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대전 부재 및 현상 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로 일체로 만들어진 전자 사진 감광체를 말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이하,"장치 본체"라고 함)에 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을 서비스맨에 의하지 않고 사용자 스스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갖는 전자 사진 감광체를 대전하기 위한 대전 부재, 또는 전자 사진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 등에 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전 용량 검출식 등의 현상제량 검출 수단에 대한 전압 및 검출 신호(출력 전압)의 송신 및 수신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장치 본체 사이의 전기 접속을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전기 접점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프레임에 제공되었다. 한편, 이 카트리지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본체 전기 접점이 장치 본체에 제공된다. 이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본체 전기 접점이 함께 접속된다. 이에 의해, 장치 본체와 프로세스 카트리지 사이에서 전압 및 신호가 송신 및 수신된다.
이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교체 중에, 또는 기록 매체의 잼이 발생될 때, 조작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작업을 실행한다.
이 때,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정전기를 띠고 있다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 내로 삽입될 때, 정전기는 장치 본체 내부에 노출된 전기 접점에 방전될 수 있다. 몇몇의 화상 형성 장치에는 이러한 방전으로 인해 본체 내의 전기 회로에 정전 노이즈가 인가되어 야기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장치 본체 내에 전하 제거 부재가 제공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잼 처리(기록 매체가 장치 본체 내에서 잼될 때, 잼된 기록 매체를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함), 또는 장치 정비를 행하기 위해 조작자가 장치 본체 내로 그의 손 등의 이물질을 가져온다. 이 때 조작자의 손(신체) 등의 이물질이 대전된다면, 조작자의 손 등의 이물질로 부터 장치 본체 내부의 전기 접전에 방전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었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930560호).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되지 않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내에 대전된 이물질이 진입했을 때에, 이물질과 장치 본체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방전 방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전 노이즈가 본체 전기 접점에 인가되지 않고 전기 회로에 제공되는 전기 소자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어서, 장치 본체에 제공된 전기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방전 방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람의 땀이나 장치 본체 내의 그리스 등이 본체 전기 접점에 부착되어 도통(conduction)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본체 전기 접점 사이의 전기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방전 방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작자가 어떠한 특별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고, 본체 전기 접점에의 방전, 그에 의해 야기되는 장치 본체의 전기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본체 전기 접점 사이의 전기 접속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방전 방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되지 않은 장치 본체 내에 대전된 이물질이 진입했을 때, 그와 이물질의 사이에서 방전을 행하여 이물질과 본체 전기 접점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진입 경로 내에 위치되는 제1 위치와 제1 위치로부터 퇴피되고 진입 경로 밖에 위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전기적으로 접지된 전기 도전성 방전 방지 부재를 갖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그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방전 방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이하 설명을 고려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방전 방지 기구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
[1.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 및 동작]
우선, 도1을 참조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이하, "카트리지"라 함)(B)를 착탈 가능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하, "화상 형성 장치"라 함)(100)의 일 실시예의 전체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레이저 빔 프린터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일례로서 설명될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장치 본체(A)와의 통신을 위해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또는 스캐너 장치 등)으로부터 송신된 화상 정보 신호에 따라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기록 매(예를 들면, 기록 용지, OHP 시트, 천 등)에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드럼 형상의 전자 사진 감광체(이하, "감광체 드럼"이라 함)(107)를 갖는다. 우선, 화상 형성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회전되는 감광체 드럼(107)의 표면은 대전 부재로서의 대전 롤러(108)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 후, 화상 정보에 따른 레이저 빔이 레이저 다이오드, 다각 미러, 렌즈 및 반사 미러(모두 도시되지 않음)를 갖는 광학 수단(101)으로부터 감광체 드럼(107)으로 인가된다. 이에 의해, 화상 정보에 따른 정전 잠상이 감광체 드럼(107)에 형성된다. 현상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110)에 의해 이 정전 잠상으로 현상제가 공급된다. 현상제 화상이 감광체 드럼(107) 상에 형성된다.
한편, 감광체 드럼(107)에의 현상제 화상의 형성과 동기하여, 카세트(103a)에 세트된 기록 매체(102) 중 하나가 송출 롤러(103b), 반송 롤러쌍(103c, 103d, 103e)에 의해 반송한다. 또한, 기록 매체(102)는 기록 매체(102)의 반송 방향을 안내하는 반송 안내부의 일부로서의 상부 전사 안내부(103i) 및 하부 전사 안내부(103j)에 따라서 화살표 Z로 표시된 반송 방향으로 전사 위치로 반송된다. 전사 위치에는 전사 수단으로서의 전사 롤러(104)가 감광체 드럼(107)과 대향 관계로 배치된다. 전압이 이 전사 롤러(104)에 인가되어, 감광체 드럼(107) 상의 현상제 화상이 기록 매체(102)에 전사된다.
현상제 화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102)는 정착전 안내부(103f)를 거쳐서 정착 수단(105)으로 반송된다. 정착 수단(105)에는 구동 롤러(105c)와, 히터(105a)를 내장한 정착 롤러(105b)가 제공된다. 통과하는 기록 매체(102)에 열 및 압력을 인가하여, 현상제 화상을 기록 매체(102)에 정착한다. 그 후, 기록 매체(102)는 롤러쌍(103g, 103h)에 의해 반송된다. 그 후, 기록 매체(102)는 트레이(106)로 배출된다.
송출 롤러(103b), 반송 롤러쌍(103c, 103d, 103e), 상부 전사 안내부(103i), 하부 전사 안내부(103j), 정착전 안내부(103f) 및 롤러쌍(103g, 103h)이 함께 기록 매체(102)의 반송 수단을 구성한다.
[2. 카트리지]
이제 도2를 참조하여 카트리지(B)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2는 카트리지(B)의 단면도이다.
카트리지(B)는 감광체 드럼(107)을 갖는다. 감광체 드럼(107)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될 때, 장치 본체(A)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회전한다.
대전 부재로서의 대전 롤러(108)가 감광체 드럼(107)의 외주면과 대향 관계로 제공된다. 대전 롤러(108)는 장치 본체(A)로부터 그에 인가되는 전압(대전 바이어스)에 의해 감광체 드럼(107)을 대전한다. 또한, 대전 롤러(108)는 감광체 드럼(107)에 접촉하여 제공된다. 대전 롤러(108)는 감광체 드럼(107)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될 때, 대전 롤러(108)는 본체 전기 접점으로서의 대전 출력 전기 접점(144a)(도6 참조) 및 카트리지 전기 접점으로서의 대전 입력 전기 접점(141a)(도8 참조)을 거쳐서 장치 본체(A)로부터 전압을 수용한다. 대전 출력 전기 접점(144a)은 장치 본체(A)가 갖는 전기 접점이다. 또한, 대전 입력 전기 접점(141a)은 카트리지(B)가 갖는 전기 접점이다. 감광체 드럼(107)은 이 전압에 의해 대전된다.
또한, 카트리지(B)는 현상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110)를 갖는다. 현상 롤러(110)는 감광체 드럼(107)의 현상 영역으로 현상제(t)를 공급한다. 현상 롤러(110)는 이 현상제(t)를 이용하여 감광체 드럼(107)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현상 롤러(110)는 마그네트 롤러(고정 자석)(111)를 내장한다.
현상제량 규제 부재로서의 현상 블레이드(112)가 현상 롤러(110)의 주연면과 접촉하여 제공된다. 현상 블레이드(112)는 현상 롤러(110)의 주연면에 부착하는 현상제(t)의 양을 규제한다. 또한, 현상 블레이드(112)는 현상제(t)에 마찰 대전 전하를 부여한다.
현상제 수납 용기(114) 내에 수납된 현상제(t)는 교반 부재(115, 116)의 회전에 의해 현상실(113a)로 송출된다. 한편, 전압(현상 바이어스)이 인가된 현상 롤러(110)가 회전된다. 이에 의해, 마찰 대전 전하가 현상 블레이드(112)에 의해 부여된 현상제(t)의 층이 현상 롤러(110)의 표면에 형성된다. 그 후, 현상제(t)가 잠상에 따라서 감광체 드럼(107)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상기 잠상이 현상된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될 때, 현상 롤러(110)는 본체 전기 접점으로서의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도6 참조) 및 카트리지 전기 접점으로서의 현상 입력 전기 접점(현상 바이어스 접점)(160a)(도8 참조)을 거쳐서 장치 본체(A)로부터 전압을 수용한다. 현상 롤러(110)는 이 전압에 의해 기능하여,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B)에는 현상제(t)의 소비에 따라서 현상제(t)의 잔량을 검출할 수 있는 현상제량 검출 수단으로서, 제1 검출 전극(190) 및 제2 검출 전극(191)이 제공된다. 제1 검출 전극(190) 및 제2 검출 전극(191)은 그들이 현상제와 접촉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또한, 제1 검출 전극(190) 및 제2 검출 전극(191)은 현상제(t)가 감소함에 따라, 현상제와의 접촉 면적이 변동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검출 전극(190) 및 제2 검출 전극(191)은 현상 롤러(110)에 대향하도록 현상 롤러(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이 경우, 제1 검출 전극(190) 및 제2 검출 전극(191) 중 어느 하나에 전압이 인가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양 전극(190, 191) 사이의 정전 용량에 따른 전하가 유도된다. 이 때 출력 전압이 장치 본체(A)에 의해 측정되어, 현상제량을 검출한다.
여기서, 현상제량을 검출하기 위한 제1 검출 전극(190) 및 제2 검출 전극(191) 중 하나에 장치 본체(A)로부터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현상제량 검출 전압(검출 신호)가 제1 검출 전극(190) 및 제2 검출 전극(191) 중 다른 하나로부터 장치 본체(A)로 출력된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 전기 접점으로서의 제1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188a) 및 제2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189a)이 카트리지(B)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188a)이 제1 검출 전극(190)에 접속된다. 또한, 제2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189a)이 제2 검출 전극(191)에 접속된다.
전술된 현상 동작에 의해 감광체 드럼(107)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은 전사 롤러(104)에 의해 기록 매체(102)에 전사된다. 클리닝 부재로서의 탄성 클리닝 블레이드(117a)가 감광체 드럼(107)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클리닝 블레이드(117a)의 선단이 감광체 드럼(107)에 접촉한다. 현상제 화상이 기록 매체(102)에 전사된 후, 감광체 드럼(107)에 잔류하는 어떠한 현상제(t)도 클리닝 블레이드(117a)에 의해 제거된다. 클리닝 블레이드(117a)에 의해 감광체 드럼(107)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현상제(t)는 제거된 현상제 저장소(117b)에 수납된다.
카트리지(B)는 현상 유닛(119) 및 드럼 유닛(120)에 의해 일체로 구성된다. 현상 유닛(119)은 카트리지 프레임 부재(B1)의 일부인 현상 프레임 부재(113)에 의 해서 구성된다. 또한, 현상 유닛(119)은 현상 롤러(110), 현상 블레이드(112), 현상실(113a), 현상제 용기(114), 교반 부재(115, 116) 및 제1 검출 전극(190) 및 제2 검출 전극(191)을 가진다. 또한, 드럼 유닛(120)은 카트리지 프레임(B1)의 일부인 드럼 프레임 부재(118)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드럼 유닛(120)은 감광체 드럼(107), 클리닝 블레이드(117a), 제거된 현상제 저장소(117b) 및 대전 롤러(108)를 가진다.
또한, 현상 유닛(119) 및 드럼 유닛(120)은 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함께 피봇 가능하게 결합된다. 2개의 유닛(119, 120) 사이에 제공된 탄성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감광체 드럼(107)에 현상 롤러(110)가 가압된다.
[3. 카트리지의 착탈]
이제 장치 본체(A)에 대한 카트리지(B)의 착탈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안내 부재로서의 제1 우측 카트리지 안내부(140R1), 제2 우측 카트리지 안내부(140R2)가 드럼 유닛(120)의 길이 방향 일단부[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X)으로 볼 때 우측 단부]에 제공된다. 제1 우측 카트리지 안내부(140R1)는 감광체 드럼(107)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드럼 베어링(138)의 일부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안내 부재로서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 및 제2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2)가 드럼 유닛(120)의 길이 방향 타단부[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X)으로 볼 때 좌측 단부]에 제공된다.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는 감광체 드럼(107)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드럼축(139)의 외측 단부에 구성된다. 전술된 장착 안내 부재는 카트리지(B)가 장치 본 체(A)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을 안내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A)에 제공된 도어(109)는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될 때 조작자에 의해 개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X)에 대해 도어(109)의 이 측부가 상향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제공된 카트리지 장착 수단(130)에 대하여 탈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 수단(130)은 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X)으로 볼 때 장치 본체(A)의 우측 반부 내에 제1 우측 본체 안내부(130R1), 제2 우측 본체 안내부(130R2)를 가진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 수단(130)은 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X)으로 볼 때 장치 본체(A)의 좌측 반부 내에 제1 좌측 본체 안내부(130L1) 및 제2 좌측 본체 안내부(130L2)를 가진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될 때, 제1 우측 카트리지 안내부(140R1) 및 제2 우측 카트리지 안내부(140R2)(도3)가 각각 제1 우측 본체 안내부(130R1) 및 제2 우측 본체 안내부(130R2)를 따르게 한다. 또한,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 및 제2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2)(도4)가 각각 제1 좌측 본체 안내부(130L1) 및 제2 좌측 본체 안내부(130L2)를 따르게 한다. 그 후, 카트리지(B)가 카트리지 장착부(130a)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우측 본체 안내부(130R1), 제2 우측 본체 안내부(130R2), 제1 좌측 본체 안내부(130L1) 및 제2 좌측 본체 안내부(130L2)는 내측판(프레임)(132)에 제공된다. 내측판(132)은 장치 본체(A)의 측판(145)의 내측과 밀 접 접촉하여 고정된다. 내측판(132)은 소정 형상으로 절결된다. 측판(145)에 대해 단차(level difference)를 형성하는 상단부면이 제1 우측 본체 안내부(130R1), 제2 우측 본체 안내부(130R2), 제1 좌측 본체 안내부(130L1) 및 제2 좌측 본체 안내부(130L2)를 제공한다. 본체 안내부로서의 홈(131L)이 제1 좌측 본체 안내부(130L1)와, 이와 대체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내측판(132)의 하단부면(132a) 사이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본체 안내부로서의 홈(130R)이 제1 우측 본체 안내부(130R1)와, 이와 대체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내측판(132)의 하단부면(132a) 사이에 형성된다. 홈(131L, 130R)은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 내의 장착부(130a)로 안내한다.
카트리지(B)는 제1 우측 카트리지 안내부(140R1)가 제1 우측 본체 안내부(130R1)의 위치 결정부(130R1a)에 끼워 맞춰진다. 또한, 제2 우측 카트리지 안내부(140R2)가 제2 우측 본체 안내부(130R2)의 위치 결정부(130R2a)에 접촉한다. 또한,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가 제1 좌측 본체 안내부(130L1)의 위치 결정부(130L1a)에 끼워 맞춰진다. 또한, 제2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2)가 제2 좌측 본체 안내부(130L2)의 위치 결정부(130L2a)에 접촉한다. 따라서,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A) 내의 장착부(130a)에 위치 결정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B)는 장착 수단(130)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부(130a)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카트리지(B)는 카트리지 장착부(130a)에 장착됨으로써 화상 형성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카트리지 장착부(130a)는 카트리지 장착 수단(130)에 의해 장치 본체(A)에 대해 위치 결정된 카트리지(B)가 점유하는 공간이다. 또한, 카트리지(B)가 점유하는 공간이 카트리지(B)의 장착 중에 카트리지 장착부(130a)로 이동하는 경로는 카트리지(B)의 진입 경로이다.
카트리지(B)로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부로서의 커플링(134)이 장치 본체(A) 내에 제공된다. 카트리지(B)가 장착될 때, 커플링(134)은 퇴피된다. 이에 따라, 커플링(134)은 카트리지(B)의 장착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장치 본체(A)로부터 구동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력 수용부로서의 커플링(107a)(도3)이 카트리지(B)에 제공된다. 첨언하면, 카트리지 도어(109)가 폐쇄될 때, 카트리지(B)의 커플링(107a)과 장치 본체측의 커플링(134)은 함께 연결된다. 따라서, 카트리지(B)는 장치 본체(A)로부터 감광체 드럼(107)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용한다.
[4. 장치 본체(A)와 카트리지(B)의 전기 접점]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B)는 카트리지 전기 접점 부재로서의 대전 입력 전기 접점 부재(141) 및 현상 입력 전기 접점 부재(160)를 갖는다. 이들 전기 접점 부재(141, 160)는 대전 롤러(108) 및 현상 롤러(110)에 각각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카트리지(B)는 카트리지 전기 접점 부재로서의 제1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 부재(188) 및 제2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 부재(189)를 더 갖는다. 이들 전기 접점 부재(188, 189)는 제1 검출 전극(190) 및 제2 검출 전극(191) 중 하나에 전압을 인가하고, 제1 검출 전극(190) 및 제2 검출 전극(191) 중 다른 하나로부터 현상제량 검출 전압을 장치 본체(A)에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전 입력 전기 접점 부재(141) 및 현상 입력 전기 접점 부재(160)는 금속의 얇은 판으로 구성된다. 한편, 제1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 부재(188) 및 제2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 부재(189)는 금속 바아에 의해 구성된다.
대전 입력 전기 접점 부재(141)는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X)으로 볼 때 드럼 유닛(120)의 좌측 단부(120L)에 제공된다. 또한, 대전 입력 전기 접점 부재(141)는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된 상태에서, 드럼 프레임 부재(118)의 하방 및 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X)의 전방으로 노출하도록 제공된다. 이 대전 입력 접점 부재(141)의 일부인 전방 노출부가 대전 입력 접점(141a)이다. 대전 입력 접점(141a)은 드럼 프레임 측면(118a)보다 카트리지(B)의 내측에 제공된다.
또한, 현상 입력 전기 접점 부재(160) 및 제1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 부재(188), 제2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 부재(189)는 현상 유닛(119)의 좌측 단부(119L)에 제공된다. 또한,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된 상태에서 현상 프레임(113)의 하방으로부터 노출하도록 제공된다. 현상 입력 전기 접점 부재(160)의 일부인 하방 노출면이 현상 입력 전기 접점(160a)이다. 또한, 제1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 부재(188) 및 제2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 부재(189)의 각각의 일부인 제1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188a), 제2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189a)이 그 아래쪽으로 노출하고 있다. 제1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188a) 및 제2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189a)은 카트리지(B)의 길이 방향[감광체 드럼(107)의 축선 방향]을 따라 제공된다. 현상 입력 전기 접점(160a), 제1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 (188a) 및 제2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189a)은 현상 유닛 측면(119a)보다 카트리지(B)의 내측에 제공된다.
대전 입력 전기 접점(141a), 현상 입력 전기 접점(160a), 제1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188a) 및 제2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189a)은 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X)에 있어서 하류로부터 상류로 이 순서로 제공된다. 또한, 현상 유닛 측면(119a)측으로부터 카트리지(B)의 내측으로 제1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188a), 제2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189a) 및 현상 입력 전기 접점(160a)의 순서로 제공된다.
대전 입력 전기 접점(141a), 현상 입력 전기 접점(160a), 제1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188a) 및 제2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189a)은 카트리지(B)의 내부에서 대전 롤러(108), 현상 롤러(110), 제1 검출 전극(190) 및 제2 검출 전극(191)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A)에는 각각 대전 전압 및 현상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본체 전기 접점 부재로서 대전 출력 전기 접점 부재(144) 및 현상 출력 전기 접점 부재(161)가 제공된다. 대전 출력 전기 접점 부재(144) 및 현상 출력 전기 접점 부재(161)는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될 때, 대전 입력 전기 접점(141a) 및 현상 입력 전기 접점(160a)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장치 본체(A)에는 제1 검출 전극(190) 및 제2 검출 전극(191) 중 하나에 전압을 인가하고 제1 검출 전극(190) 및 제2 검출 전극(191) 중 다른 하나로부터 현상제량 검출 전압을 수용하기 위한 본체 전기 접점 부재로서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 부재 (163)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 부재(164)가 제공된다. 카트리지(B)가 장착될 때,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 부재(163)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 부재(164)는 각각 카트리지 잔량 검출 접점(188a, 189a)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대전 출력 전기 접점 부재(144), 현상 출력 전기 접점 부재(161),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 부재(163)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 부재(164)는 카트리지 장착부(130a)에 노출된다.
이제, 도9 및 도10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9는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에 장착하는 동안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10은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각각의 본체 전기 접점 부재(144, 161, 163, 164)는 탄성 부재인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이들 본체 전기 접점 부재(144, 161, 163, 164)는 장치 본체(A)의 내측판(132)에 제공된 축(132b1, 132b2, 132b3, 132b4)에 각각 부착된다. 각각의 본체 전기 접점 부재(144, 161, 163, 164)의 일부로서, U자 형상으로 구부려진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일 아암부가 카트리지 장착부(130a)에 노출된다. 각각의 본체 전기 접점 부재의 노출부는 대전 출력 전기 접점(144a),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이다. 대전 출력 전기 접점(144a),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은 적절한 스프링 압력으로 각각 본체 전기 접점(141a, 160a, 188a, 189a)와 접촉한다. 따라서, 각각의 본체 전기 접점 및 각각의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서로 접촉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전기 접점(144a, 161a, 163a, 164a)에 대해 서, 카트리지(B)가 전술한 카트리지 장착 수단(130)을 따라서 화살표 X 방향으로 삽입된다.
각각의 본체 전기 접점 부재(144, 161, 163, 164)의 타 아암부(144b, 161b, 163b, 164b)는 각각 장치 본체(A) 내부의 전기 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대전 출력 전기 접점(144a),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은 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X)에 있어서 하류로부터 상류로 이 순서로 제공된다. 또한, 내측판(132)으로부터 카트리지 장착부(130a)의 내측으로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 및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의 순서로 제공된다.
[5. 방전 방지 기구]
다음에, 도6 및 도11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방전 방지 기구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기적으로 접지된 전기 도전성 방전 방지 부재(146)를 갖는다. 이 방전 방지 부재(146)는 카트리지(B)가 장착되지 않은 장치 본체(A) 내에 대전된 이물질이 진입할 때, 이 이물질과의 사이에서 방전을 행한다. 이에 의해, 이 방전 방지 부재(146)는 이 이물질과 본체 전기 접점과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대전된 이물질은 장치 본체(A)에 장착되는 카트리지(B) 이외의 임의의 대전된 물질을 가리킨다. 통상적으로, 잼 처리나 장치 본체(A)의 정비 등을 위해 카트리지(B)가 장착되지 않은 장치 본체(A)에 삽입되는 대전된 조작자의 손이다.
방전 방지 부재(146)는 제1 위치와, 이 제1 위치로부터 퇴피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방전 방지 부재(146)의 제1 위치는 카트리지(B)의 진입 경로 내에 위치된다. 또한, 방전 방지 부재(146)의 제2 위치는 카트리지(B)의 진입 경로 밖에 위치된다.
또한, 방전 방지 부재(146)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가 제공된다. 이 작동 부재는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내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B)와 접촉한다. 그 후, 이 작동 부재가 작동하여 방전 방지 부재(146)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하, 더욱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되지 않을 때, 방전 방지 부재(146)는 장치 본체(A)의 측판(145)의 슬릿(145d)을 통해 돌출하여, 카트리지(B)의 진입 경로 내에 위치한다. 방전 방지 부재(146)는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의 상측 및 근방에 배치된다. 슬릿(145d)은 측판(145)을 통해 연장하고 대체로 수평으로 형성된다. 내측판(132)에는 슬릿(145d)에 대응하여, 슬릿(145d)에 적합한 슬릿(132c)이 제공된다.
작동 부재 접촉부(이하, 단순히 "접촉부"라 함)(147d)가 작동 부재로서 기능하는 방전 방지 부재 지지 부재(이하. "지지 부재"라 함)(147)(도11)에 구성된다. 이 접촉부(147d)는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접촉되지 않을 때 측판(145)의 구멍(145e)을 통해 돌출한다. 구멍(145e)은 홈(131L)에 대응하는 측판(145)의 위치에 관통하여 제공된다. 즉, 지지 부재(147)에는 카트리지(B)와 접촉하는 부분인 접촉부(147d)가 제공된다. 접촉부(147d)는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되 지 않을 때 홈(131L) 내로 돌출한다.
도11은 방전 방지 부재(146)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장치 본체(A)를 측판(145)의 외측[도6의 측판(145)에 대해 카트리지 장착부(130a)의 반대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11에서, 측판(145)으로부터 탈거된 방전 방지 부재(146) 및 지지 부재(147)도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시된다.
방전 방지 부재(146)는 금속 판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방전 방지 부재(146)의 주요부(146a)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된 상태로 대체로 수평면을 따르고 있다. 주요부(146a)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한 이동을 위해 제공된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부(130a)에 인접하는 주요부(146a) 측에는 단부면(146c)이 제공된다. 또한,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에 대한 단부면(146c)의 하류측 선단 근처에는 아암부(146b)가 제공된다. 이 아암부(146b)는 주요부(146a)의 면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 하방으로 굴곡된다. 또한, 이 아암부(146b)는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의 하류측을 향해 경사진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부(130a)에 대향하는 주요부(146a)의 단부면에는 걸림부(146e)가 제공된다. 걸림부(146e)는 방전 방지 부재(146)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대체로 수직 상방으로 형성된다.
방전 방지 부재(146)는 방전 방지 부재(146)를 작동시키는 작동 부재로서의 수지로 제조된 지지 부재(147)에 스크류(150)에 의해 고정된다. 지지 부재(147)는 항상 측판(145)의 외측에 위치된다. 즉, 지지 부재(147)는 걸림부(146e)에 대해 카트리지 장착부(130a)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보유부(146f)에 고정된다. 지지 부재 (147)는 대체로 수직으로 돌출하는 축부(147a, 147b)를 통해 장착부(145a, 145b)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부착부(145a, 145b)는 측판(145)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된다.
탄성 작용 부재로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148)이 지지 부재(147)의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축부(147b)에 부착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48)의 일 아암부(148a)는 스크류(150)에 걸려져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48)의 타 아암부(148b)는 측판(145)에 제공된 스프링 부착부(145c)의 구멍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지지 부재(147) 및 방전 방지 부재(146)는 화살표 S 방향으로 편의된다. 즉, 방전 방지 부재(146)는 카트리지 장착부(130a)의 내측을 향해(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편의된다. 방전 방지 부재(146)의 걸림부(146e)가 측판(145)에 접촉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방전 방지 부재(146)의 위치가 규제된다. 이 경우, 카트리지 장착부(130a) 측으로 돌출되고 수지로 제조된 접촉부(147d)가 지지 부재(147)와 일체로 제공된다. 또한, 이 접촉부(147d)는 측판(145)의 구멍(145e)으로부터 장치 본체(A)의 내측으로 돌출한다.
또한, 측판(145)은 장치 본체(A)의 접지 단자(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한편, 방전 방지 부재(146)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48) 및 스크류(150)를 통해 측판(14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방전 방지 부재(146)는 접지 단자에 접속(전기적으로 접지)된다.
또한, 측판(145)의 외측은 외장 커버(C)(도5 참조)로 덮어진다. 부착부(145a, 145b)는 측판(145)과 외장 커버(C) 사이에 배치된다. 이 부착부(145a, 145b)에 의해 방전 방지 부재(146)가 이동 가능하게 보유된다.
도12 및 도13은 방전 방지 부재(146)의 동작을 도시한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12 및 도13에 측판(145)은 생략된다. 도12는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에 장착하는 동안의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13은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12(도6도 참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될 때, 코일 스프링(148)의 탄성력에 의해 편의된 방전 방지 부재(146)는 카트리지 장착부(130a)로 돌출한다. 이 상태에서 걸림부(146e)는 측판(145)에 접촉한다. 그 결과, 방전 방지 부재(146)는 장치 본체(A)에 대해 그 위치가 규제된다. 이 위치가 방전 방지 부재(146)의 제1 위치(초기 위치)이다.
추가 설명하면, 방전 방지 부재(146)의 제1 위치는 카트리지(B)의 진입 경로 내에 있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되지 않을 때, 대전된 이물질이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에 근접한다. 이 때, 대전된 이물질은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또는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에 방전하지 않고, 제1 위치에 위치하는 방전 방지 부재(146)에 방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위치에서, 방전 방지 부재(146)는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를 그들의 상측으로부터 대체로 덮는다. 이 배치에 의해, 대전 방지 부재가 본체 전기 접점에 방전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카트리지(B)는 화살표 X 방향으로 장치 본체(A) 내로 삽입된다. 그 결과, 카트리지 접촉부로서의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가 지지 부재(147)의 접촉부(147d)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는 지지 부재(147) 및 방전 방지 부재(146)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148)의 편의력에 대항하여 화살표 U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는 지지 부재(147) 및 방전 방지 부재(146)를 카트리지 장착부(130a)로부터 퇴피시킨다. 또한, 즉, 지지 부재(147) 및 방전 방지 부재(146)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48)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된다.
카트리지(B)가 더 삽입될 때, 드럼 프레임 부재(118)의 측면(118a)이 방전 방지 부재(146)의 단부면(146c)과 접촉한다. 그 후,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는 접촉부(147d)가 위치하는 위치를 통과한다. 여기서, 측면(118a)과, 방전 방지 부재(146)의 단부면(146c)으로부터 아암부(146b)에 걸치는 부분이 서로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방전 방지 부재(146)는 화살표 U방향으로 회전된 위치에서 보유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에서는, 방전 방지 부재(146)의 아암부(146b)와 현상 유닛(119)의 측면(119a)이 서로 접촉하고 있다. 방전 방지 부재는 카트리지 장착부(130a)로부터 퇴피된 위치에 규제된다. 즉, 방전 방지 부재(146)는 카트리지(B)의 진입 경로 밖에 보유된다. 이 위치는 방전 방지 부재(146)의 제2 위치(퇴피 위치)이다. 또한,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로부터 취출될 때, 방전 방지 부재(146)는 전술된 설명과 반대의 동작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장착부(130a)측으로 돌출한 접촉부(147d)의 선단에는 카트리지 장착부(130a)를 향해 볼록부가 제공된다. 볼록부는 제1 경사면(147d1) 및 제2 경사면(147d2)을 갖는다. 제1 경사면(147d1)은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에 대해 상류측에 형성된다. 또한, 제2 경사면(147d2)은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에 대해 하류측에 형성된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될 때,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는 제1 경사면(147d1)을 가압한다. 이에 의해, 방전 방지 부재(146)가 제2 위치로 이동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B)가 장착되지 않은 장치 본체(A) 내에 대전된 이물질이 진입되었 때, 방전 방지 부재(146)는 전술된 이물질과 본체 전기 접점(161a, 163a, 164a) 사이에서 정전기의 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방전 방지 부재(146)는 접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기 도전성 재료로 구성된다. 방전 방지 부재(146)는 카트리지(B)의 진입 경로 내에 위치되는 제1 위치와, 제1 위치로부터 퇴피하고 진입 경로 밖에 위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작동 부재로서의 지지 부재(147)는 방전 방지 부재(146)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내에 장착될 때, 지지 부재(147)는 카트리지(B)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지지 부재(147)가 작동된다. 그 후, 지지 부재(147)가 방전 방지 부재(146)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조작자는 잼 처리 등을 행하기 위해서 장치 본체(A) 내에서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의 근처에 손을 넣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조작자의 손이 대전되더라도, 방전 방지 부재(146)에 방전한다. 따라서, 장치 본체(A)의 본체 전기 접점에 정전 노이즈가 인가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전기 회로 상의 소자의 파괴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은 방전 방지 부재(146)에 의해 우연히 접촉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체 전기 접점에 사람의 땀이나 본체 내의 그리스 등이 부착되어 도통 불량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전기 접점(160a, 188a, 189a)과 본체 전기 접점(161a, 163a, 164a) 사이의 전기 접속의 신뢰성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147)는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와 접촉하는 접촉부(147d)를 갖는다. 이 접촉부(147d)는 방전 방지 부재(146)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전술된 카트리지 접촉부와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B)가 본체 장치(A)에 장착될 때, 지지 부재(147)는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와 접촉한다. 그 후, 지지 부재(147)가 이동한다. 이에 의해, 지지 부재(147)는 방전 방지 부재(146)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방전 방지 부재(146)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 작용 부재로서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148)이 제공된다. 접촉부(147d)가 카트리지 접촉부로서의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에 접촉할 때, 지지 부재(147)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48)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방전 방지 부재(146)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 내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과 연동하여, 방전 방지 부재(146)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 내로부터 취출하는 취출 동작과 연동하여, 방전 방지 부재(146)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조작자는 방전 방지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임의의 특별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되지 않을 때, 카트리지(B)에 접촉하는 부분인 지지 부재(147)의 접촉부(147d)는 홈(131L) 내로 돌출한다. 그 후,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가 접촉부(147d)에 접촉한다. 그 결과, 접촉부(147d)가 이동한다. 이에 의해, 전기 도전성 부재로 형성된 강성의 방전 방지 부재(146)가 카트리지(B)에 의해 직접 이동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B)가 손상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147d)의 배치 및 형상은 카트리지(B)와 비교할 때 보다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방전 방지 부재(146)의 퇴피 타이밍 및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의 방전 방지 부재(146)의 복귀 타이밍을 조정하기가 쉽다. 또한, 장착 안내 부재인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가 지지 부재(147)를 작동시키는 카트리지 접촉부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카트리지(B)에 임의의 특별한 부재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B)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A)는 기록 매체(102)의 반송 안내부로서의 상부 전사 안내부(103i) 및 하부 전사 안내부(103j)를 갖는다. 상부 전사 안내부(103i) 및 하부 전사 안내부(103j)는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에 있어 서 전사 롤러(104)의 이 측부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전사 안내부(103i) 및 하부 전사 안내부(103j)의 각각은 금속의 판으로 형성된다. 상부 전사 안내부(103i) 및 하부 전사 안내부(103j)는 장치 본체(A)에 접지된다(전기적으로 접지된다). 장치 본체(A)의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은 상부 전사 안내부(103i) 및 하부 전사 안내부(103j)의 측부 근방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조작자가 대전된 손 등을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의 근처로 삽입했을 때에, 상부 전사 안내부(103i) 또는 하부 전사 안내부(103j)에 방전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체 전기 접점에의 방전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방전 방지 부재(146)의 방전 방지 효과와 함께, 방전 방지 효과가 더욱 강화된다. 또한, 방전 방지 부재(146)가 소형화될 수 있고, 장치가 소형화될 수 있다.
이제, 도14를 참조하여 방전 방지 부재(146) 및 상부 전사 안내부(103i)의 배열 형태에 대하여 추가로 설명한다. 도14는 이 측부(즉, 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쪽)으로부터 장착 방향(X)을 향해서 본 장치 본체(A)의 내부 정면도이다.
회로 기판(EC)(도15)이 장치 본체(A)의 바닥면, 즉 카트리지 장착부(130a)의 아래에 배치된다. 또한, 모터(M) 및 모터(M)의 구동력을 커플링(134) 등에 전달하는 구동 기어열(구동력 전달 수단)(M1)이 측판(145)의 내측 측면(145f)의 외측인 장착부(130a)의 일단부측에 배치된다.
또한,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이 카트리지 장착부(130a)의 타단부측에 제공된다. 또한, 방전 방지 부재(146)가 타단부측에 제공된다. 방전 방지 부재(146)는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되지 않을 때의 제1 위치에서는 카트리지(B)의 삽입 경로로 돌출한다. 또한, 이 때 접촉부(147d)가 홈(131L) 내로 돌출한다.
또한, 방전 방지 부재(146)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본체 전기 접점[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은 기록 매체(102)의 반송 방향(Z)과 교차하는(여기서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방전 방지 부재(146)의 영역 H 내에 배치된다. 즉, 본체 전기 접점이 배치되는 영역 G가 방전 방지 부재(146)의 영역 H 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조작자의 대전된 손 등이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의 근처에 삽입될 때, 방전 방지 부재(146)에 방전이 발생하기가 더욱 쉬워질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장착부(130a)는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되지 않을 때 상향으로 개방된다. 이에 따라, 대전한 조작자의 손 등은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과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통상적으로 상측으로부터 진입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방전 방지 부재(146)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방전 방지 부재(146)는 본체 전기 접점[본체 전기 접점인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의 적어도 일부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방전 방지 부재(146)는 이들 본체 전기 접점(161a, 163a, 164a)을 이들의 상측으로부터 대체로 덮는다. 즉, 카트리지(B)가 장 치 본체(A)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자가 장치 본체(A)를 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본체 전기 접점(161a, 163a, 164a)은 방전 방지 부재(146)의 주요부(146a)의 배면이 된다.
따라서, 조작자가 카트리지(B)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장치 본체(A)에 대전된 손 등을 삽입한 경우라도, 그 손이 본체 전기 접점(161a, 163a, 164a)에 접근하기 전에 방전 방지 부재(146)에 접근한다. 이에 따라, 조작자의 손 등으로부터 방전 방지 부재(146)에 방전이 발생하기가 더욱 쉬워진다. 이에 따라, 본체 전기 접점(161a, 163a, 164a)으로의 방전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조작자가 본체 전기 접점(161a, 163a, 164a)에 우연히 접촉하기가 어려워진다.
본 실시예에서, 반송 안내부인 상부 안내부(103i) 및 하부 전사 안내부(103j)의 적어도 일부는 기록 매체(102)의 반송 방향(Z)과 교차하는(여기서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방전 방지 부재(146)가 배치되는 영역 H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조작자의 대전된 손 등이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X)[기록 매체(102)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화살표 P)으로부터 본체 전기 접점(161a, 163a, 164a)에 접근했을 때, 그 대전된 손 등은 상부 전사 안내부(103i) 및 하부 전사 안내부(103j)가 제공된 방향으로부터 근접한다. 따라서, 상부 전사 안내부(103i) 및 하부 전사 안내부(103j)에 방전이 발생하기 더욱 쉽다. 또한, 본체 전기 접점(161a, 163a, 164a)이 방전 방지 부재(146)의 영역 H 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방전 방지 부재(146), 상부 전사 안내부(103i) 및 하부 전사 안내부(103j)의 사이에서, 방전 방지 부재(146) 또는 상부 전사 안내부(103i)에 방전이 발생하기가 더 욱 쉬워진다. 이에 의해, 본체 전기 접점(161a, 163a, 164a)으로의 방전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방전 방지 부재(146)에는 주요부(146a) 이외에, 상부 전사 안내부(103i)에 의해 근접하도록 아암부(146b)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대전된 이물질이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기록 매체(102)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화살표 P)으로부터 본체 전기 접점(161a, 163a, 164a)에 접근했을 때, 이 아암부(146b)에 방전이 발생하기가 쉬워진다. 또한, 상부 전사 안내부(103i) 또는 하부 전사 안내부(103j)의 일부가 영역 G 내에 배치된다면, 방전 방지 부재(146)[아암부(146b)], 상부 전사 안내부(103i) 및 하부 전사 안내부(103j)의 사이에서 방전 방지 부재(146)[아암부(146b)] 또는 상부 전사 안내부(103i) 및 하부 전사 안내부(103j)에 방전이 발생하기 더욱 쉬워진다. 이에 의해, 본체 전기 접점(161a, 163a, 164a)으로의 방전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20은 본 실시예에서 방전 방지 부재(146)가 제1 위치에 위치될 때의 장착부(130a)를 상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 방지 부재(146)가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은 기록 매체(102)의 반송 방향(Z)에 있어서 방전 방지 부재(146)가 위치하는 영역 J 내에 위치된다. 여기서, 영역 J는 반송 방향(Z)에 있어서 방전 방지 부재(146)의 최상류측부와 최하류부 사이의 영역이다. 또한,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의 적어도 일부는 방전 방지 부재(146)의 영역 J 내에 배치된다. 즉, 방전 방지 부재(146)가 제1 위치에 위치될 때, 각각의 본체 전기 접점의 적어 도 일부는 기록 매체(102)의 반송 방향(Z)에 있어서 방전 방지 부재(146)의 영역 J 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대전된 이물질이 장치 본체(A) 내에 진입했을 때, 이 이물질과 방전 방지 부재(146)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따라, 전기 회로 또는 본체 전기 접점이 효과적으로 보호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기록 매체(102)의 반송 방향(Z)에 있어서, 각각의 본체 전기 접점[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 및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은 상부 전사 안내부(103i) 및 하부 전사 안내부(103j)가 위치되는 영역 K 내에 위치된다. 여기서, 영역 K는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부 전사 안내부(103i) 및 하부 전사 안내부(103j)의 최상류측부와 최하류부 사이의 영역이다. 이에 의해, 대전된 이물질이 장치 본체 내에 진입했을 때, 이물질과 전사 안내부(103i, 103j)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따라, 전기 회로 또는 본체 전기 접점은 효과적으로 보호된다.
특정 일예로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방전 방지 부재(146)의 아암부(146b)와 상부 전사 안내부(103i)의 하류측 단부면(103i1) 사이의 거리, 및 방전 방지 부재(146)의 단부면(146c)과 상부 전사 안내부(103i)의 상류측 단부면(103i2)과의 거리가 10 mm 내지 15 mm이다. 여기서, 조작자의 손가락의 굵기는 약 15 mm의 직경이다. 대전된 손가락이 화살표 P의 방향으로부터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에 근접했을 때, 방전 방지 부재(146) 또는 상부 전사 안내부(103i)에 방전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 손가락이 방전 방지 부재(146)[아암부(146b), 단부 면(146c)]에 매우 근접했을 때, 손가락과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과의 거리는 약 10 mm가 된다. 따라서,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에 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 회로 기판 EC(전기 회로 E)]
이제 도15를 참조하여 장치 본체(A)에 장착된 회로 기판(EC)에 대하여 설명한다. 회로 기판(EC)은 카트리지 장착부(130a)의 아래에 장착된다. 또한, 회로 기판(EC)은 CPU(200) 및 전기 회로(E)(전원 회로)를 가진다.
또한, 전원(S)이 회로 기판(EC), 즉 전기 회로(E)에 접속된다. 또한, 전기 회로(E)는 대전 바이어스 회로(E1), 현상 바이어스 회로(E2), 전사 대전 바이어스 회로(E3) 및 현상제 잔량 검출 회로로 구성된다.
대전 바이어스 회로(E1)는 음의 DC 전압 및 AC 전압을 생성한다. 또한, 대전 롤러(108)에 서로 중첩된 상기 전압들을 포함하는 전압을 인가한다. 대전 롤러(108)는 이 전압을 수용하고 감광체 드럼(107)을 대전한다. 또한, 대전 바이어스 회로(E1)는 구동 롤러(105c)거쳐서 정착 롤러(105b)에 음의 DC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현상 바이어스 회로(E2)는 음의 DC 전압 및 AC 전압을 생성한다. 또한, 현상 롤러(110) 및 제2 검출 전극(191)에 서로 중첩된 상기 전압들을 포함하는 전압을 인가한다. 현상 롤러(110)는 이 전압을 수용하고 현상제로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또한, 전사 바이어스 회로(E3)는 양 또는 음의 DC 전압을 생성한다. 또한, 전사 롤러(104)에 양 또는 음의 DC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제1 검출 전극(190)은 현상제 잔량 검출 회로(E4)의 검출 회로에 접속되며, 전압이 제2 검출 전극(191) 및 현상 롤러(110)에 인가되었을 때의 출력 전압(현상제량 검출 전압)이 그에 입력된다. 또한, 기준 전압 생성 회로는 현상 바이어스 회로(E2)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현상제 잔량을 검출하기 위해 기준 전압을 생성한다. 또한, 검출 회로는 기준 전압과 현상제량 검출 전압의 차이분을 현상제 잔량의 검출값으로서 CPU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검출된 현상제의 잔량의 정보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A)에 제공된 표시부(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전원(S)으로부터의 전압이 대전 바이어스 회로(E1)를 거쳐서 대전 롤러(108)에 공급된다. 또한, 전원(S)으로부터의 전압이 대전 바이어스 회로(E1)를 거쳐서 정착 롤러(105b) 및 구동 롤러(105c)에 공급된다. 또한, 전원(S)으로부터의 전압이 현상 바이어스 회로(E2)를 거쳐서 현상 롤러(110) 및 제2 검출 전극(191)에 공급된다. 또한, 전원(S)으로부터의 전압이 전사 대전 바이어스 회로(E3)를 거쳐서 전사 롤러(104)에 공급된다.
이들 회로는 회로 기판(EC) 상에 제공된 CPU(200)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그의 온 및 오프가 제어된다.
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1) 장치 본체(A)에 카트리지(B)가 장착되지 않을 때, 방전 방지 부재(146)가 제1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 조작자는 잼 처리 등을 행하기 위해, 장치 본체 (A) 내에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의 근처에 손을 삽입한다. 이 경우, 조작자의 손(신체)이 대전된 경우라도 방전 방지 부재(146)에 방전이 발생한다. 따라서, 장치 본체(A)의 전기 접점에 정전 노이즈가 인가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전기 회로 내에 제공된 전기 소자의 파괴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대전 방지 부재(146)로 인해,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가 우연히 접촉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람의 땀 또는 본체 내의 그리스 등이 본체 전기 접점에 부착하여 도통 불량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전기 접점(160a, 188a, 189a)과 본체 전기 접점(161a, 163a, 164a)과의 전기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전 방지 부재(146)는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을 덮는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은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에 있어 대전 출력 전기 접점(144)의 상류에 있다. 따라서, 잼 처리 등 동안에는 조작자의 손이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에는 근접하기 쉽고, 대전 출력 전기 접점(144a)에는 용이하게 근접하기 어렵다. 한편, 본 발명은 대전 출력 전기 접점(144a)의 배치 형태에 따라서, 예를 들면 대전 출력 전기 접점(144a)이 제공되는 영역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단일 부재 또는 별도의 방전 방지 부재를 제공하는 등, 대전 출력 전기 접점(144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이 에 의해, 장치 본체(A)의 전기 회로의 손상 방지, 본체 전기 접점과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의 전기 접속의 신뢰성의 향상에 있어서 또 다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또한,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작자가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으로 볼 때,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은 방전 방지 부재(146)의 배면이 된다. 이에 의해, 방전 방지 부재(146)에 방전이 발생하기 더욱 쉬워지며, 이들 본체 전기 접점(161a, 163a, 164a)에의 방전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조작자가 본체 전기 접점(161a, 163a, 164a)에 우연히 접촉하기 어렵게 된다.
(3) 방전 방지 부재의 이동이 카트리지의 착탈 동작과 연동한다. 이에 의해, 조작자는 방지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임의의 특별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다.
(4) 지지 부재(147)의 접촉부(147d)가 카트리지 접촉부인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로 이동되어, 방전 방지 부재(146)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도전성 부재로 형성된 단단한 방전 방지 부재(146)를 직접 카트리지(B)에서 이동시키는 일이 없다. 그 결과, 카트리지(B)의 손상의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147d)의 배치, 형상은 카트리지(B)와 비교하여 보다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다. 따라서, 방전 방지 부재(146)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퇴피 타이밍,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의 복귀 타이밍을 조정하기가 쉽다.
(5)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는 지지 부재(147)를 작동시키기 위한 카트리지 접촉부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카트리지(B)에 임의의 특정 부재를 제공할 필요는 없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B)가 최소화될 수 있다.
(6) 또한,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은 상부 전사 안내부(103i) 및 하부 전사 안내부(103j)의 측부 근처에 배치된다. 따라서, 조작자가 그의 대전된 손(이물질)을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의 근처로 삽입할 때, 상부 전사 안내부(103i), 하부 전사 안내부(103j) 및 방전 방지 부재(146) 중 어느 하나에 방전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전술된 방전 방지 부재(146)에 의한 방전 방지 효과와 함께, 전술된 접점의 보호가 더욱 확실하게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전사 안내부(103i) 및 하부 전사 안내부(103j)를 이용함으로써, 방전 방지 부재(146)가 소형화될 수 있다. 또한, 장치가 소형화될 수 있다.
(7) 방전 방지 부재(146)가 제공되어, 본체 전기 접점(161a, 163a, 164a)으로의 방전을 방지함으로써, 장치 본체(A)의 전기 회로의 내압이 낮게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회로의 비용이 저감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제 도16 내지 도1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 및 카트리지(B)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유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 부분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며,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및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이고 전술된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16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A)의 내부를 도시한다. 전사 롤러(104), 상부 전사 안내부(103i), 하부 전사 안내부(103j), 대전 출력 전기 접점(144a),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이 제1 실시예와 같이 제공된다. 또한, 방전 방지 부재(146)도 제1 실시예와 같이 제공되어 있다[단, 본 실시예에서, 아암부(146b)는 제공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방전 방지 부재(146)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의 구성 및 동작이 제1 실시예와는 다르다.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16 및 도17은 방전 방지 부재(146)가 제공되는 측의 장치 본체(A)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18 및 도19은 장치 본체(A)를 측판의 외측[도16 및 도17의 측판(145)에 대하여 카트리지 장착부(130a)의 반대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16 및 도18는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되지 않은 때의 방전 방지 부재(146)의 위치(제1 위치)를 도시한다. 또한, 도17 및 도19는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될 때의 방전 방지 부재(146)의 위치(제2 위치)를 도시한다. 또한, 도16 및 도17에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카트리지(B)는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만 도시한다. 또한, 도18에서, 대전 방지 부재(146) 및 후술하는 작동 부재를 측판(145)으로부터 본 조립도도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의 착탈과 연동하여 방전 방지 부재(146)를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 부재로서, 제1 작동 부재로서의 레버(149)와, 제2 작동 부재로서의 지지 부재(147)가 제공된다.
레버(149)는 측판(145)의 평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축부[149a(도18), 149b(도19)]를 중심으로 피봇 이동하도록 장착된다. 축부(149a, 149b)는 측벽에 형성된 장착 구멍(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레버(149)는 카트리지(B) 내에 제공되는 카트리지 접촉부[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에 접촉하는 작동 부재 접촉부로서, 제1 접촉부(149c), 제2 접촉부(149d) 및 제3 접촉부(149e)를 갖는다. 제1, 제2 및 제3 접촉부(149c, 149d, 149e)는 레버(149)의 축부(149a, 149b)를 중심으로 한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에 대하여 전방의 회전 방향으로 볼 때, 제3, 제2 및 제1 접촉부(149e, 149d, 149c)의 순으로 제공된다. 또한, 레버(149)에는 그와 레버(149) 사이에서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전달부로서, 돌기(149f)가 제공된다. 돌기(149f)는 지지 부재(147)에 제공되는 후술하는 캠(147c)에 접촉한다. 또한, 돌기(149f)는 측판(145)의 평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외향 방향을 따라 제공된다.
레버(149)는 제1, 제2 및 제3 접촉부(149c, 149d, 149e)가 측판(145)과 내측판(132)에 형성된 제1 좌측 본체 안내부(130L1)에 협지되도록 배치된다. 제1, 제2 및 제3 접촉부는 측판(145)에 제공된 구멍(145e)을 통해서 측판(145)과 내측판(132)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실시예와 같이, 방전 방지 부재(146)는 보유부(146f)에서 스크류(150)에 의해 지지 부재(147)에 고정된다. 또한, 방전 방지 부재(146)는 측판(14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148)도 제1 실시예와 같이 제공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48)은 지지 부재(147)[및 방전 방지 부재(146)]를 화살표 S 방향으로 편의시킨다. 즉, 비틀림 코일 스프링(148)은 카트리지 장착부(130a)의 내부를 향해 지지 부재(147)를 편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147)의 일부에는 그와 레버(149)의 돌기(149f) 사이에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전달부로서, 캠(147c)이 형성되어 있다. 캠(147c)은 제1 사면(147c1), 제2 사면(147c3) 및 정점(147c2)을 갖고 있다. 측판(145)을 향하여 볼록해지도록 경사지게 제공된 제1 사면(147c1) 및 제2 사면(147c3)은 정점(147c2)에서 서로 연속한다.
이제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착탈될 때의 방전 방지 부재(146)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될 때,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는 제1 좌측 본체 안내부(130L1)를 따라서 화살표 X 방향으로 삽입된다(도16). 이 때, 제1 접촉부(149c)는 제1 좌측 본체 안내부(130L1)로부터 돌출한다. 이 상태에서, 제1 접촉부(149c)는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위치된다. 그 후, 카트리지 접촉부로서의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는 제1 접촉부(149c)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레버(149)는 화살표 v 방향[즉, 카트리지(B)의 삽입 방향(X)에 대하여 순방향(도16)]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캠(147c)의 제1 사면(147c1)은 레버(149)의 돌기(149f)를 따라 이동된다. 이에 수반하여, 지지 부재(147) 및 방전 방지 부재(146)는 화살표 u 방향(도18)으로 회전된다. 그 후, 방전 방지 부재(146)는 카트리지 장착부(130a)로부터 퇴피하기 시작한다. 즉, 방전 방지 부재(146)는 카트리지(B)의 진입 경로 내의 제1 위치(초기 위치)로부터 퇴피하기 시작한다.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가 레버(149)를 지나갈 때, 레버(149)는 화살표 v 방향[즉, 카트리지(B)의 삽입 방향(X)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편의된다. 그 후,레버(149)의 위치는 제1 접촉부(149c)가 제1 좌측 본체 안내부(130L1)에 제공된 오목부(130L1c)에 끼워진 위치에서 규제된다(도17). 즉, 카트리지(B)의 장착에 수반하여, 방전 방지 부재(146)가 카트리지 장착부(130a)로부터 퇴피한다. 또한, 방전 방지 부재(146)가 카트리지(B)의 진입 경로 밖의 제2 위치(퇴피 위치)에서 보유된다.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로부터 취출될 때,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는 제1 좌측 본체 안내부(130L1)를 따라서 화살표 Y 방향으로 이동된다(도17). 이 때, 방전 방지 부재(146)는 제2 위치에 있다. 이 때, 레버(149)의 제2 접촉부(149d)는 제1 좌측 본체 안내부(130L1)로부터 돌출한다. 이 상태에서, 제2 접촉부(149d)는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카트리지(B)를 취출하는 취출 동작에 수반하여,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는 레버(149)의 제2 접촉부(149d)를 가압한다. 따라서, 레버(149)는 화살표 w 방향[(즉, 카트리지(B)의 취출 방향(Y)에 대하여 순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돌기(149f)와 캠(147c)이 카트리지 장착 중에 반대의 동작을 수행하여, 방전 방지 부재(146)가 제1 위치로 복귀한다(도16, 도18).
따라서, 다시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가 장착되지 않은 장치 본체(A) 내에 대전한 이물질이 진입했을 때, 이물질과 본체 전기 접점(161a, 163a, 164a)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방전 방지 부재(146)는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고, 전기 도전성이다. 방전 방지 부재(146)는 카트리지(B)의 진입 경로 내에 위치하고 있는 제1 위치와, 제1 위치로부터 퇴피되고 진입 경로 밖에 위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또한, 방전 방지 부재(146)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로서, 레버(149)(제1 작동 부재) 및 지지 부재(147)(제2 작동 부재)가 제공된다. 레버(149) 및 지지 부재(147)는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 내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B)와 접촉함으로써 작동한다. 따라서, 레버(149) 및 지지 부재(147)는 방전 방지 부재(146)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로서의 레버(149)는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149c), 제2 접촉부(149d)를 갖는다. 제1 접촉부(149c)는 방전 방지 부재(146)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제1 접촉부(149c)는 카트리지(B)가 장착될 때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와 접촉한다. 계속해서, 제1 접촉부(149c)는 레버(149) 및 지지 부재(147)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1 접촉부(149c)는 방전 방지 부재(146)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2 접촉부(149d)는 방전 방지 부재(146)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위치된다. 제2 접촉부(149d)는 카트리지(B)가 취출될 때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와 접촉한다. 계속해서, 제2 접촉부(149d)는 레버(149) 및 지지 부재(147)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2 접촉부(149d)는 방전 방지 부재(146)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방전 방지 부재(146)는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과 연동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방전 방지 부재(146)는 카트리지(B)를 장치 본체(A)로부터 취출하는 취출 동작과 연동하여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조작자가 실수로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방전 방지 부재(146)를 제2 위치(도17, 도19에 도시한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라도, 임의의 특별한 조작을 수행하지 않고 카트리지(B)가 장착될 수 있다.
즉, 도17 및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전 방지 부재(146)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2 접촉부(149d)는 제1 좌측 본체 안내부(130L1)로부터 돌출한다. 동시에, 제2 접촉부(149d)로부터 연속한 원호형의 제3 접촉부(149e)도 돌출한다. 이 상태에서, 제3 접촉부(149e)는 카트리지 안내부(140L1)와 접촉 가능한 상태로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B)를 장착하기 위해,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는 제1 좌측 본체 안내부(130L1)를 따라 화살표 X 방향으로 삽입된다. 그러면,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가 제3 접촉부(149e)를 밀어 내림으로써, 레버(149)가 화살표 w 방향[즉, 카트리지(B)의 삽입 방향(X)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후, 방전 방지 부재(146)는 제1 위치(도16 및 도18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된다. 동시에, 제1 접촉부(149c)는 카트리지 안내부(140L1)와 접촉 가능한 상태로 복귀된다.
카트리지(B)가 더 삽입되면, 제1 접촉부(149c)는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와 접촉한다. 그 후, 전술된 동작에 의해서, 방전 방지 부재(146)는 제2 위치(도17 및 도19의 위치)로 다시 이동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로서의 레버(149)는 제1 및 제2 접촉부(149c, 149d) 이외에, 제3 접촉부(149e)를 갖는다. 제3 접촉부(149e)는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이고 방전 방지 부재(146)가 제2 위치에 있을 때에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있다. 카트리지(B)가 장착될 때, 제3 접촉부(149e)는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와 접촉하여, 레버(149) 및 지지 부재(147)를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방전 방지 부재(146)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복귀된다. 그 결과, 제1 접촉부(149c)는 제1 좌측 카트리지 안내부(140L1)와 접촉 가능한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장치 본체(A) 내에 카트리지(B)가 장착되지 않고, 방전 방지 부재(146)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라도, 조작자가 임의의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고 카트리지(B)를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제3 접촉부(149e)가 제공되어 방전 방지 부재(146)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복귀되는 상기 구성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필수적이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로부터 취출될 때, 작동 부재 접촉부와 카트리지 접촉부가 접촉함으로써, 작동 부재가 작동한다. 이에 의해 방전 방지 부재(146)는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 및 본 실시예에 이용되는 탄성 작용 부재(비틀림 코일 스프링)(148)는 필수적이지 않다. 예를 들면, 작동 부재[지지 부재(147), 또는 지지 부재(147) 및 레버(149)]의 활주 마찰력을 크게 함으로써, 또는 스냅 끼움 등을 제공함으로써, 방전 방지 부재(146)가 제2 위치에서 보유되도록 작동 부재가 보유될 수 있다.
기타, 본 실시예에서, 방전 방지 부재(146)의 배치 형태, 및 기록 매체의 반송 안내부인 상부 전사 안내부(103i)의 배치 형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전 방지 부재(146)의 상류측 단부면(146d)과 상부 전사 안내부(103i)의 하류측 단부면(103i1) 사이의 거리, 및 방전 방지 부재(146)의 하류측 단부면(146c)과 상부 전사 안내부(103i)의 상류측 단부면(103i2) 사이의 거리는 15 mm 내지 20 mm이다. 여기서, 조작자의 손가락의 굵기가 약 15 mm의 직경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조작자의 대전된 손가락이 화살표 P 방향으로부터 방전 방지 부재(146)와 상부 전사 안내부(103i)의 간극을 통과했다고 가정한다. 손가락이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에 근접하면, 손가락은 방전 방지 부재(146) 또는 상부 전사 안내부(103i)에 2.5 mm 정도까지 접근한다.
이 때, 손가락과 현상 출력 전기 접점(161a), 제1 본체 잔량 검출 접점 (163a) 및 제2 본체 잔량 검출 접점(164a) 사이의 거리가 2.5 mm 이상(본 실시예에서는 약 10 mm)이 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조작자의(손가락의) 대전 전압이 약 2.5 kV 이상이라면, 방전 방지 부재(146) 또는 상부 전사 안내부(103i)와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장치 본체(A)의 전기 회로가 2.5 kV 정도의 방전에 의해 손상하지 않도록 전기 회로의 내압을 설정한다. 이에 의해, 장치 본체(A)의 전기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방전 방지 부재(146)를 제공함으로써 전기 회로의 내압을 낮게 억제할 수 있어서, 전기 회로의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다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전술된 제1 실시예와 유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조작자가 실수로 카트리지(B)가 장치 본체(A)에 장착되지 않을 때 방전 방지 부재(146)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라도,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임의의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고 카트리지(B)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되지 않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내에 대전된 이물질이 진입했을 때, 이물질과 장치 본체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전 노이즈가 본체 전기 접점에 인가되는 일이 없고, 전기 회로에 제공된 전기 소자의 파괴가 방지될 수 있어서, 이에 의해 장치 본체에 제공된 전기 회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의 땀 또는 장치 본체 내의 그리스 등이 본체 전기 접점에 부착하여 도통 불량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고,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본체 전기 접점 사이의 전기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자가 임의의 특별한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본체 전기 접점에의 방전 및 그에 의한 장치 본체의 전기 회로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또한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본체 전기 접점 사이의 전기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상세한 설명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 적용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또는 개선 목적 내에 있을 수 있는 이러한 수정 또는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8)

  1.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고,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본체 전기 접점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되지 않은 상기 장치 본체에 대전된 이물질이 진입했을 때 상기 이물질과의 사이에 방전을 행함으로써, 상기 이물질과 상기 본체 전기 접점 사이에 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지된 도전성 부재로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진입 경로 내에 위치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퇴피되고 상기 진입 경로 밖에 위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도전성 부재와,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접촉함으로써 작동하여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제공된 카트리지 접촉부와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도전성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카트리지 접촉부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있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 접촉부와 접촉하여 상기 작동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도전성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카트리지 접촉부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있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될 때, 상기 카트리지 접촉부와 접촉하여 상기 작동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도전성이고 전기적으로 접지된 반송 안내부를 더 포함하며,
    복수개의 본체 전기 접점이 제공되며,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반송 안내부가 위치되는 영역 내에 배치되며, 대전된 이물질이 상기 장치 본체 내로 진입했을 때 상기 반송 안내부와 이물질 사이에서 방전을 행함으로써, 이물질과 상기 본체 전기 접점들 중 어느 하나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본체 전기 접점이 제공되며,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될 때 복수개의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본체 전기 접점이 제공되며, 상기 도전성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될 때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도전성 부재가 위치되는 영역 내에 배치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장착부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본체 안내부를 가지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접촉하는 상기 작동 부재의 부분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되지 않을 때 상기 본체 안내부로서의 홈 내로 돌출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하는 취출 조작과 연동하여,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를 향하여 편의시키는 탄성 작용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카트리지와 접촉할 때, 상기 탄성 작용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카트리지 접촉부와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제3 접촉부를 더 가지며, 상기 제3 접촉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이고 상기 도전성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카트리지 접촉부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있으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 접촉부와 접촉하여 상기 작동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키며, 이에 의해 상기 제1 접촉부를 상기 카트리지 접촉부와 접촉 가능한 위치로 복귀시키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0.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로서, 본체 전기 접점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되지 않은 상기 장치 본체 내로 대전된 이물질이 진입했을 때 상기 이물질과 상기 본체 전기 접점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진입 경로 내에 위치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퇴피되고 상기 진입 경로 밖에 위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도전성 부재와,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작동 부재를 갖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전자 사진 감광체와,
    상기 전자 사진 감광체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본체 전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상기 작동 부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작동 부재를 작동하고,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카트리지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제공된 카트리지 접촉부와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도전성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카트리지 접촉부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있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 접촉부와 접촉하여 상기 작동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도전성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카트리지 접촉부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있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될 때, 상기 카트리지 접촉부와 접촉하여 상기 작동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상기 전자 사진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상기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현상 부재에 인가될 현상 바이어스를 상기 본체 전기 접점으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 접점이거나,
    상기 전자 사진 감광체를 대전하는 상기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대전 부재에 인가될 대전 바이어스를 상기 본체 전기 접점으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대전 바이어스 접점이거나,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제공되는 현상제량 검지 수단에 인가될 전압을 상기 본체 전기 접점으로부터 수용하거나, 또는 상기 현상제량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을 거쳐서 상기 장치 본체에 전달하는 잔량 검지 접점인 프로세스 카트리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접촉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본체 안내부와 접촉하여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을 안내하는 장착 안내부 부재에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되지 않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내로 대전된 이물질이 진입했을 때, 상기 이물질과 장치 본체 내에 제공된 본체 전기 접점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전 방지 기구이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되지 않은 상기 장치 본체 내로 대전된 이물질이 진입했을 때, 상기 이물질과의 사이에서 방전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이물질과 상기 본체 전기 접점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도전성 부재로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진입 경로 내에 위치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퇴피되고 상기 진입 경로 밖에 위치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도전성 부재와,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상기 장치 본체 내에 제공되는 작동 부재와,
    상기 작동 부재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작동 부재를 작동하고,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제공된 카트리지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제공된 카트리지 접촉부와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도전성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카트리지 접촉부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있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 접촉부와 접촉하여 상기 작동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도전성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카트리지 접촉부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있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될 때, 상기 카트리지 접촉부와 접촉하여 상기 작동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전 방지 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을 안내하는 접지된 도전성 반송 안내부를 더 포함하며,
    복수개의 본체 전기 접점이 제공되며,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복수개의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반송 안내부가 위치되는 영역 내에 배치되며, 대전된 이물질이 상기 장치 본체 내로 진입했을 때 상기 반송 안내부와 상기 이물질 사이에서 방전을 행함으로써, 이물질과 상기 본체 전기 접점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전 방지 기구.
  15. 제13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본체 전기 접점이 제공되며,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될 때 복수개의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방전 방지 기구.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가지며, 복수개의 본체 전기 접점이 제공되며, 상기 도전성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본체 전기 접점은 상기 도전성 부재가 위치하는 영역 내에 배치되는 방전 방지 기구.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장착부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안내하는 본체 안내부를 가지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접촉하는 상기 작동 부재의 부분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되지 않을 때 상기 본체 안내부로서의 홈 내로 돌출하는 방전 방지 기구.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하는 취출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도전성 부재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는 방전 방지 기구.
KR1020050007343A 2004-02-27 2005-01-27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방전방지 기구 KR100725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55519 2004-02-27
JPJP-P-2004-00055519 2004-02-27
JP2004205324A JP4095589B2 (ja) 2004-02-27 2004-07-12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JP-P-2004-00205324 2004-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733A KR20050087733A (ko) 2005-08-31
KR100725886B1 true KR100725886B1 (ko) 2007-06-08

Family

ID=3475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343A KR100725886B1 (ko) 2004-02-27 2005-01-27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방전방지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062192B2 (ko)
EP (1) EP1569051B1 (ko)
JP (1) JP4095589B2 (ko)
KR (1) KR100725886B1 (ko)
CN (1) CN100403177C (ko)
DE (1) DE60200402721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7933B2 (ja) * 2003-12-09 2009-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87932B2 (ja) 2003-12-09 2009-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886182B2 (ja) * 2004-09-27 2012-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736568B2 (ja) * 2005-06-29 2011-07-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US8010011B2 (en) * 2005-07-05 2011-08-30 Katun Corporation Removably mountable frame for an image processsing apparatus, a removably mountable adaptor for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artridges for use with a removably frame and removably mountable adaptor
JP4341619B2 (ja) * 2005-07-08 2009-10-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4760264B2 (ja) 2005-09-28 2011-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505705B2 (en) * 2006-03-06 2009-03-17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discharging of image transfer assemblies
JP4804212B2 (ja) * 2006-04-19 201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生産方法及び再生産方法
JP4877495B2 (ja) * 2006-07-19 2012-0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カートリッジ支持部材、及び画像形成ユニット
JP4464435B2 (ja) 2006-12-11 2010-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44997B2 (ja) * 2006-12-11 2010-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9058140B2 (en) * 2009-03-10 2015-06-16 Canon Kabushiki Kaisha Prin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tilizing a paper saving print setting
JP5506236B2 (ja) 2009-04-30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TWI442195B (zh) 2009-12-16 2014-06-21 Canon Kk 製程卡匣、感光滾筒單元、顯像單元及電子照片畫像形成裝置
JP5499768B2 (ja) * 2010-02-25 2014-05-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70020B2 (ja) * 2011-12-22 2016-02-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074295B2 (ja) * 2012-08-30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ならびに、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
JP5806999B2 (ja) 2012-10-22 2015-11-10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US9367019B2 (en) * 2014-06-30 2016-06-14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Electric wire mem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535398B2 (en) 2014-09-04 2017-01-03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604197B2 (ja) * 2015-12-25 2019-11-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6693204B2 (ja) 2016-03-22 2020-05-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786840B2 (ja) * 2016-03-30 2020-11-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102205704B1 (ko) 2016-08-26 2021-01-2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드럼 유닛,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커플링 부재
US10969730B2 (en) 2019-02-25 2021-04-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uni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8224A (ja) 1997-02-14 1998-08-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219360A (ja) * 1999-01-29 2000-08-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2351286A (ja) 2001-05-28 2002-12-06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3195723A (ja) 2001-12-28 2003-07-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3195726A (ja) 2001-12-28 2003-07-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4061595A (ja) 2002-07-25 2004-02-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3332A (ja) * 1983-11-11 1985-06-07 Canon Inc カメラの情報入力装置
JP3259985B2 (ja) 1992-09-04 2002-02-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236124B2 (ja) 1993-04-28 2001-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トナーテープ取り付け方法
JPH06317953A (ja) 1993-04-28 1994-11-15 Canon Inc フレーム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77921A (ja) 1993-09-09 1995-03-2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装着装置
JP3839932B2 (ja) * 1996-09-26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カップリング
JP3323696B2 (ja) 1995-06-13 2002-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ース部材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093946C (zh) 1995-07-21 2002-11-06 佳能株式会社 电极部件、显影装置、处理卡盒和成像设备
JP3382465B2 (ja) 1996-07-04 2003-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37915B2 (ja) 1996-07-04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63166A (ja) 1996-08-21 1998-03-06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3432087B2 (ja) 1996-08-29 2003-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311026B1 (en) 1998-11-13 2001-10-30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mounting of the process cartridge to main body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and developer cartridge including positioning portion
US6859627B2 (en) 1998-12-28 2005-02-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unit frame
JP2001019222A (ja) 1999-07-07 2001-01-23 Kyocera Corp 電子写真装置
JP2001092335A (ja) 1999-09-17 2001-04-0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量検出部材
JP3745231B2 (ja) 2000-01-13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290355A (ja) 2000-04-06 2001-10-19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20671B2 (ja) 2000-04-06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58289B2 (ja) 2000-07-28 2005-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システム
US6587650B2 (en) 2000-07-28 2003-07-01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developing device having developer amount detector
JP3423684B2 (ja) 2000-11-28 2003-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電気接点部材
JP3697168B2 (ja) 2001-03-09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255806A (ja) 2002-02-28 2003-09-1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931216B2 (en) * 2002-06-21 2005-08-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including a feature of detecting a remaining amount of a developer
JP3625470B1 (ja) * 2003-09-30 2005-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35516B2 (ja) * 2004-02-27 2008-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8224A (ja) 1997-02-14 1998-08-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219360A (ja) * 1999-01-29 2000-08-0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2351286A (ja) 2001-05-28 2002-12-06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3195723A (ja) 2001-12-28 2003-07-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3195726A (ja) 2001-12-28 2003-07-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4061595A (ja) 2002-07-25 2004-02-2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PO조사보고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03177C (zh) 2008-07-16
KR20050087733A (ko) 2005-08-31
US20050191080A1 (en) 2005-09-01
US7062192B2 (en) 2006-06-13
EP1569051B1 (en) 2010-05-19
JP2005275341A (ja) 2005-10-06
CN1661485A (zh) 2005-08-31
EP1569051A1 (en) 2005-08-31
DE602004027210D1 (de) 2010-07-01
US20060193653A1 (en) 2006-08-31
JP4095589B2 (ja) 2008-06-04
US7239823B2 (en) 200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5886B1 (ko)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방전방지 기구
US7937020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9304483B2 (en)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ain assembly of image forming apparatus
US7200347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cartridge and process cartridge
US7486907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tray for carrying a process cartridge
JP3809402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993264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762044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05196144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781354B2 (en) Image-forming apparatus
CN115993764A (zh) 盒单元
JP398469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155466A (ja) 磁気シール部材、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258145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