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210B1 - 원격시동장치 및 원격시동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시동장치 및 원격시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210B1
KR100721210B1 KR1020040052590A KR20040052590A KR100721210B1 KR 100721210 B1 KR100721210 B1 KR 100721210B1 KR 1020040052590 A KR1020040052590 A KR 1020040052590A KR 20040052590 A KR20040052590 A KR 20040052590A KR 100721210 B1 KR100721210 B1 KR 100721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remote
vehicle
predetermined
remote st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7145A (ko
Inventor
마츠바라마나부
요시무라미노루
Original Assignee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7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03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itiating engine start or stop
    • F02N11/0807Remot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F02D41/06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at cold st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02N11/101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engine starter actuation or engagement

Abstract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에 따라, 배기가스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거나 차량의 주위에 있어서의 유해가스의 양이 너무 많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원격시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을 받으면, 차량의 엔진을 시동시키는 시동수단을 구비한 원격시동장치(11)에 있어서,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수단과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을 받아들여 엔진 시동을 제한하는 수단을 장비한다.
휴대용 송신기, 엔진 시동 지령, 시동수단

Description

원격시동장치 및 원격시동방법{Remote starting device and remote start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엔진시동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4는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5는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종래의 원격시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엔진 시동 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2는 송신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엔진 시동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고나서, 엔진이 시동할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도 13은 송신기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엔진 시동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고나서, 엔진이 시동하고, 그 후 엔진이 정지할 때까지의 흐름을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1A∼11D : 원격시동장치
12, 12A∼ 12D : 마이크로 컴퓨터
16 : ACC 계전기
17 : IG 계전기
18 : ST 계전기
본 발명은 원격시동장치 및 원격시동방법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 조작에 의해 차량의 엔진을 시동시키기 위한 원격시동장치 및 원격시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차량의 엔진을 원격 조작에 의해 시동시키는 원격시동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예를 들면, 아래의 특허문헌 1, 2 참조). 도 11은 종래의 원격시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엔진 시동 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사용자에 의해 이그니션키(1)가 키실린더(2)에 삽입되어, 스타터의 위치까지 회동(回動)되면, 키실린더(2)로부터 ACC 신호, IG 신호, 그리고 스타터 신호가 엔진제어부(3)로 공급되게 되어 있다. 엔진제어부(3)는 이들 신호를 수신하면, 엔진을 시동시킬 수 있도록 셀모터(4)를 기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원격시동장치(5)에는 이그니션키(1)가 키실린더(2)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키검출수단(6)과,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도어개폐 검출수단(7)과,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을 검출하는 파킹 브레이크 작동검출수단(8)과, 셀렉터 레버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셀렉터 레버 위치검출수단(9)이 접속되어 있으며, 원격시동장치(5)에서는 이그니션키(1)가 키시린더(2)에 삽입되어 있는 것이나, 도어 의 개폐상태, 파킹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있는 것, 셀렉터 레버가 주차위치에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원격시동장치(5)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송신기(10)로부터 엔진 시동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우선 그 신호가 정규의 신호인지의 여부〔즉, 송신기(10) 이외의 다른 송신기로부터의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정규의 신호라고 판단하면, 다음은 원격 시동 조건〔예를 들면, 이그니션키(1)가 키실린더(2)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것이나, 도어가 닫혀 있는 것, 파킹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있는 것, 셀렉터 레버가 주차위치에 있는 것〕이 충족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원격 시동 조건이 충족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ACC 계전기(5a), IG 계전기(5b), 및 ST 계전기(5c)를 ON상태로 하여, ACC 신호, IG 신호, 및 스타터 신호를 엔진제어부(3)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ACC 계전기(5a) 및 IG 계전기(5b)에 대해서는 엔진이 정지하기까지 ON상태를 유지하고, ST 계전기(5c)에 대해서는 수초 동안(예를 들면, 2∼3초) ON상태로 하도록 되어 있다.
엔진제어부(3)는 이들 신호를 수신하면, 이그니션키(1)가 키실린더(2)에 삽입되어, 스타터의 위치까지 회동(回動)되었을 경우와 동일하게, 엔진을 시동시킬 수 있도록 셀모터(4)를 기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12에, 송신기(1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엔진 시동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고나서, 엔진이 시동될 때까지의 타이밍차트를 나타낸다.
또한, 원격시동장치(5)는 엔진을 시동한 후, 상기 원격 시동 조건이 충족되 어진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0∼15분간)이 경과하면, ACC 계전기(5a) 및 IG 계전기(5b)를 OFF상태로 하여 ACC 신호, IG 신호의 엔진제어부(3)로의 공급을 중지하도록 되어 있다. 엔진제어부(3)는 이들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되면, 엔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셀모터(4)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어 있다. 도 13에, 송신기(1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엔진 시동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고나서, 엔진이 시동하고, 그 후 엔진이 정지할 때까지의 타이밍차트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원격 조작에 의해 엔진이 시동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 난기(暖機)운전이 실행되게 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평6-174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평10-252519호 공보
원격 조작에 의해 시동된 엔진은, 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 계속 가동하게 되기 때문에, 장시간 난기운전이 계속되면,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너무 높아져 머플러(muffler) 등에 열이 꽉 차버리기 때문에, 머플러 가까이에 타기 쉬운 물질이 있으면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에는 유해가스(예를 들면,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탄화수소)가 포함되는 경우가 있으며, 상기와 같이 장시간 난기운 전이 계속되면, 차량의 주위에 있어서의 유해가스의 양이 너무 많아진다는 문제를 발생시킬 경우가 있다. 특히, 차고에 넣어져 있는 차량에 대해서, 원격 조작에 의해 엔진을 시동시켰을 경우에는, 차고 내에 유해가스가 충만하여 위험한 상태에 빠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의 시동이 행해져, 난기운전이 몇 번이고 반복해서 행하여지게 되면, 상기한 것처럼 화재가 발생하거나 위험한 상태에 빠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상기 특허문헌 1, 2에 개시되어 있는 것처럼, 배기온도센서나 유독가스의 농도를 검출하는 가스센서를 차량에 장비(裝備)하여, 상기 배기온도센서나 가스센서로부터의 출력레벨이 소정값 이상이 되었을 때에 엔진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가 있다. 그렇지만, 배기온도센서나 가스센서는 가격이 결코 싸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에 의해, 배기가스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거나, 차량의 주위에 있어서의 유해가스의 양이 너무 많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원격시동장치 및 원격시동방법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 원격시동장치는, 송신기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을 받으면, 차량의 엔진을 시동시키는 시동수단을 구비한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지령을 받은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거나, 또는 빈번하게 행하여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시동상황 판정수단과, 그 시동상황 판정수단에 의해, 엔진의 시동이 실제로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거나, 또는 실제로 빈번하게 행하여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지령을 받은 엔진 시동을 제한하는 제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거나, 또는 빈번하게 행하여진다(예를 들면, 소정의 기간 내에 엔진의 시동이 집중하고 있거나, 또는 집중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즉, 장시간 난기운전이 계속될 우려가 있는 경우, 또는 단속적이었다 하더라도, 전체의 난기운전시간이 길어질 우려가 있는 경우),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지령을 받은 엔진의 시동이 제한된다. 더욱이, 엔진 시동을 제한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엔진 시동을 금지하는 것이나, 엔진 가동 시간을 짧게 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따라서, 장시간 난기운전이 계속되는 것, 또는 단속적이었다 하더라도, 전체의 난기운전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너무 높아져 머플러(muffler) 등에 열이 꽉 차버리게 된다는 사태나, 차량의 주위에 있어서의 유독가스의 양이 너무 많아지게 된다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2 원격시동장치는, 상기 제1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리셋 조건이 성립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성립 판단수단과, 그 조건성립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의 리셋 조건이 성립하였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시동상황 판정수단에 의한 판정을 리셋하는 제1 리셋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사용자가 차량 주위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위험한 상태가 될 때까지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질 가능성은 낮고, 또한, 차량을 한 번 발진시키면,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였을 경우에는, 앞으로 차량이 발진될 가능성이 높다.
상기 제2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상기 소정의 리셋 조건이 성립하였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예를 들면, 사용자가 차량 부근에 존재하는 것이나,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것, 차량을 한 번 발진시킨 것 등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시동상황 판정수단에 의한 판정(즉,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거나, 또는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리셋된다. 이로 인하여, 필요 이상으로 엔진의 시동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의 안전성을 보지(保持)하면서,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3 원격시동장치는, 상기 제2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리셋 조건에, 상기 차량에 있어서의 정규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주위에 존재하는 것, 또는 상기 정규 사용자가 상기 차량 내에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3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상기 소정의 리셋 조건에, 상기 차량에 있어서의 정규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주위에 존재하는 것, 또는 상기 정규 사용자가 상기 차량 내에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는 것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정규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주위에 존재하는 것이나, 상기 정규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 탑승한 것 등을 받아들여, 상기 판정을 리셋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정규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떠나 있는 상태(즉,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거나, 또는 빈번하게 행하여지는 경우(예를 들면, 연속적으로 엔진의 시동이 3회 행하여질 경우),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지령을 받은 엔진의 시동이 제한되게 된다. 바꿔 말하면, 연속적으로 엔진의 시동이 3회 행하여졌다 하더라도, 그 도중에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지령을 받은 엔진 시동은 제한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하여, 필요할 때에만 상기 제한을 실행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정규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주위에 존재하는 것이나, 상기 정규 사용자가 상기 차량 내에 존재하는 것 등을 검출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차량의 도어의 개방, 이그니션키의 삽입, ACC 스위치의 ON, IG 스위치의 ON, 파킹 브레이크의 불작동, 셀렉터 레버의 주차위치 이외로의 이동 등을 검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4 원격시동장치는, 상기 제1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동상황 판정수단이, 엔진의 시동 회수에 의거하여,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거나, 또는 빈번하게 행하여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4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엔진의 시동 회수에 의거하여,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거나, 또는 빈번하게 행하여지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따라서, 엔진 시동의 반복 회수에 따라,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의 시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그 제한을 보다 적절히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5 원격시동장치는, 상기 제4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동상황 판정수단이, 엔진의 시동 회수가 제1 소정 회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엔진의 시동 회수가 상기 제1 소정 회수 이상이라고 판단하였을 경우,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5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엔진의 시동 회수가 상기 제1 소정 회수(예를 들면, 3회)인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다고 판정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즉, 원격조작)에 의해 4번째의 엔진의 시동이 행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의 시동이 4회 이상 행하여지지 않게 할 수가 있다. 이로 인하여, 배기가스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거나, 차량의 주위에 있어서의 유해가스의 양이 너무 많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6 원격시동장치는, 상기 제4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엔진이 정지하고부터 엔진이 다음에 시동될 때까지의 경과시간이 제1 소정 시간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경과판단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시동상황 판정수단이, 상기 제1 경과판단수단에 의한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엔진 정지로부터 상기 제1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이 제2 소정 회수 계속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엔진 정지로부터 상기 제1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이 상기 제2 소정 회수 계속되고 있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6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엔진 정지로부터 상기 제1 소정 시간(예를 들면, 30분)내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이 상기 제2 소정 회수(예를 들면, 3회) 계속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즉, 짧은 간격으로 엔진의 시동이 반복해서 행하여졌을 경우),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다고 판정된다.
이로 인하여, 예를 들면, 30분 이내의 짧은 간격으로 엔진의 시동이 3회 반복되었을 경우,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즉, 원격 조작)에 의해 4번째의 엔진의 시동이 행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짧은 간격으로 엔진의 시동이 4회 행하여지는 일은 없기 때문에, 장시간 난기운전이 계속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제1 소정 시간에 대해서는, 엔진의 시동 회수나, 전전회의 엔진 정지로부터 전회의 엔진 시동까지의 경과시간에 따라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1번째와 2번째 사이에는 상기 제1 소정 시간을 30분으로 설정하고, 2번째와 3번째 사이에는 상기 제1 소정 시간을 20분으로 설정하고, 또한, 상기 경과시 간이 25분이라는 비교적 긴 경우에는, 상기 제1 소정 시간은 30분 그대로 하고, 상기 경과시간이 5분이라는 비교적 짧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소정 시간을 10분으로 짧게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7 원격시동장치는, 상기 제4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동상황 판정수단이, 제1 소정 기간 내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 회수가 제3 소정 회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소정 기간 내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 회수가 상기 제3 소정 회수 이상이라고 판단하였을 경우,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7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1 소정 시간(예를 들면, 사용자가 차량을 떠나고나서, 최초로 엔진이 시동된 시점으로부터 60분간)내에 있어서의 에진 시동의 회수가 상기 제3 소정 회수(예를 들면, 3회)인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다고 판정된다. 예를 들면, 60분이라는 결코 길다고는 말할 수 없는 시간 내에 엔진의 시동이 3회 행하여지면, 상기 송신기에 의한 지령을 받은 엔진 시동을 금지할 수가 있다. 이로 인하여, 배기가스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거나, 차량의 주위에 있어서의 유해가스의 양이 너무 많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8 원격시동장치는, 상기 제1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엔진 정지로부터 제2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경과판단수단과, 그 제2 경과판단수단에 의해, 엔진 정지로부터 상기 제2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제한수단에 의한 엔진 시동의 제한을 해제하는 제한해제수단과, 그 제한해제수단에 의한 엔진 시동의 제한 해제를 받아들여, 엔진의 시동 회수를 리셋하는 제2 리셋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지령을 받은 엔진의 시동이 제한되어, 배기가스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거나, 차량의 주위에 있어서의 유해가스의 양이 너무 많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8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엔진 정지로부터 상기 제2 소정 시간(예를 들면, 30분)이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즉, 엔진 정지로부터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여 안전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제한수단에 의한 엔진 시동의 제한이 해제되기 때문에, 안전성을 보지(保持)하면서,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9 원격시동장치는, 상기 제1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엔진이 정지하고부터 엔진이 다음에 시동될 때까지의 경과시간이 제3 소정 시간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 경과판단수단을 구비하고, 그 제3 경과판단수단에 의해, 엔진이 정지하고부터 엔진이 다음에 시동될 때까지의 경과시간이 상기 제3 소정 시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시동상황 판정수단이,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진다고 판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9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엔진이 정지하고부터 엔진이 다음에 시동될 때까지의 경과시간이 상기 제3 소정 시간(예를 들면, 30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즉, 짧은 간격으로 엔진의 시동이 반복되게 될 경우), 다음의 엔진 시동에 의해,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게 된다고 판정된다.
이로 인하여, 예를 들면, 30분 이내의 짧은 간격으로 엔진의 시동이 반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장시간 난기운전이 계속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0 원격시동장치는, 상기 제1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동상황 판정수단이, 다음의 엔진 시동에 의해 제2 소정 기간 내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 회수가 제4 소정 회수 이상이 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 소정 기간 내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 회수가 상기 제4 소정 회수 이상이 된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진다고 판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0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다음의 엔진 시동에 의해 상기 제2 소정 기간(예를 들면, 사용자가 차량을 떠나고나서, 최초로 엔진이 시동된 시점으로부터 60분간)내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 회수가 상기 제4 소정 회수(예를 들면, 4회)가 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엔진 시동은 빈번하게 행하여지게 된다고 판정된다. 예를 들면, 60분이라는 결코 길다고는 말할 수 없는 시간 내에 엔진의 시동이 4회 행하여지는 것을 금지할 수가 있다. 이로 인하여, 배기가스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거나, 차량의 주위에 있어서의 유해가스의 양이 너무 많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1 원격시동장치는, 상기 제5 원격시동장치 내지 상기 제10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환경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상기 제4 소정 회수, 상기 제1∼상기 제3 소정 시간,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소정 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1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상기 차량의 환경(예를 들면,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 차량의 주위에 있어서의 유해가스의 양, 차량 주위의 온도, 차량이 존재하고 있는 위치)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상기 제4 소정 회수, 상기 제1∼상기 제3 소정 시간,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소정 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가 설정된다.
예를 들면,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낮은 경우나, 차량의 주위에 있어서의 유해가스의 양이 적은 경우, 차량 주위의 온도가 낮은 경우, 차량이 차고내가 아니라 밀폐되어 있지 않은 넓은 장소에 정차하고 있는 경우 등에는, 엔진 시동을 제한하는 역치(threshold)를 높게 하여, 엔진의 시동이 제한되는 것을 완만하게 하여도 문제는 없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파라미터를 설정함에 따라,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에 있어서의 안전성을 보지(保持)하면서, 편리성의 향상을 보다 높게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2 원격시동장치는, 상기 제1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을 받았을 경우, 상기 제한수단에 의해 엔진의 시동이 제한되어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고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2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한수단에 의해 엔진의 시동이 제한되어 있는 것이 사용자에게 알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격 조작에 의해 엔진이 시동되지 않는 이유를 알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3 원격시동장치는, 송신기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에 응답하여, 차량의 엔진을 원격시동시키는 시동수단을 구비한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격 시동의 빈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그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원격 시동의 빈도에 따라, 상기 원격 시동을 제한하는 제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3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상기 원격 시동의 빈도에 따라, 상기 원격 시동이 제한된다. 더욱이, 엔진 시동을 제한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엔진 시동을 금지하는 것이나, 엔진 가동 시간을 짧게 한다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따라서, 장시간 난기운전이 계속되는 것, 또는 단속적이었다 하더라도, 전체의 난기운전시간(누적작동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너무 높아져 머플러(muffler) 등에 열이 꽉 차버리게 된다는 사태나, 차량의 주위에 있어서의 유독가스의 양이 너무 많아지게 된다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4 원격시동장치는, 상기 제13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기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원격 시동의 회수가, 소정의 회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제한수단이, 상기 원격 시동을 금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4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상기 원격 시동의 회수가 상기 소정의 회수(예를 들면, 3회)를 초과할 경우, 엔진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다고 간주하여, 상기 원격 시동이 금지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즉, 원격 조작)에 의해 4번째의 엔진 시동이 행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이 4회 이상 행하여지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5 원격시동장치는, 상기 제13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기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원격 시동에 의한 엔진의 누적작동시간을 계측하는 계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기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원격 시동의 회수가, 소정의 회수를 초과할 경우, 또는 상기 계측수단에 의해 계측된 상기 누적작동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였을 경우, 상기 제한수단이, 상기 원격 시동을 금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5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상기 소정의 기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원격 시동의 회수가, 상기 소정의 회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원격 시동이 금지되거나, 또는, 상기 소정의 기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원격 시동에 의한 엔진의 누적작동시간이 상기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였을 경우에도, 상기 원격 시동이 금지된다. 따라서, 상기 원격 시동의 빈도가 많지 않았다 하더라도, 상기 소정의 기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원격 시동에 의한 엔진의 누적작동시간이 길어졌을 경우에는, 상기 원격 시동이 금지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필요할 때에 보다 확실하게 상기 원격 시동을 금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6 원격시동장치는, 송신기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에 응답하여, 차량의 엔진을 원격시동시키는 시동수단을 구비한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기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원격 시동에 의한 엔진의 누적작동시간을 계측하는 계측수단과, 그 계측수단에 의해 계측된 상기 누적작동시간에 따라, 상기 원격 시동을 제한하는 제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6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상기 소정의 기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원격 시동에 의한 엔진의 누적작동시간에 따라, 상기 원격 시동이 제한된다. 더욱이, 엔진 시동을 제한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엔진 시동을 금지하는 것이나, 엔진 가동 시간을 짧게 한다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따라서, 장시간 난기운전이 계속되는 것, 또는 단속적이었다고 하더라도, 전체의 난기운전시간(누적작동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너무 높아져 머플러(muffler) 등에 열이 꽉 차버리게 된다는 사태나, 차량의 주위에 있어서의 유독가스의 양이 너무 많아지게 된다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7 원격시동장치는, 상기 제14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간이, 상기 차량의 도어가 폐쇄되고나서, 다음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방될 때까지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7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상기 소정의 기간이, 상기 차량의 도어가 폐쇄되고나서, 다음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방될 때까지의 기간(즉,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떠나고나서 되돌아올 때까지의 기간)이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주위에 없으며, 또한 상기 차량 내에도 없을 때에, 상기 원격 시동이 제한되게 된다.
바꿔 말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감시할 수 있는 상태일 때에는, 상기 원격 시동을 제한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필요 이상으로 상기 원격 시동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의 안전성을 보지(保持)하면서,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8 원격시동장치는, 상기 제13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였을 경우, 상기 원격 시동의 제한을 해야하는지의 여부의 판정에 이용하는 정보를 리셋하는 리셋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8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상기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였을 경우(예를 들면, 사용자가 차량 부근에 존재하는 것이나,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것, 차량을 한 번 발진시킨 것 등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원격 시동의 제한을 해야할지의 여부의 판정에 이용하는 정보가 리셋된다. 이로 인하여, 필요 이상으로 엔진 시동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의 안전성을 보지(保持)하면서,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9 원격시동장치는, 상기 제18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9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상기 소정의 조건이,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차량 부근에 존재하는지의 여부의 판단(즉, 리셋하여야 할 타이밍의 판단)을 정밀도가 좋게 행할 수가 있다. 이로 인하여, 리셋을 적절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20 원격시동장치는, 송신기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에 응답하여, 차량의 엔진을 원격시동시키는 시동수단을 구비한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엔진의 정지로부터 다음의 엔진 시동까지의 경과 시간이 소정의 시간보다 짧은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그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경과 시간이 상기 소정의 시간보다 짧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원격 시동을 금지하는 금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20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엔진의 정지로부터 다음의 엔진 시동까지의 경과 시간이 상기 소정의 시간보다 짧을 경우, 상기 원격 시동이 금지된다. 즉, 단속적이었다고 하더라도, 소정의 기간 내에 있어 전체의 난기운전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너무 높아져 머플러(muffler) 등에 열이 꽉 차버리게 된다는 사태나, 차량의 주위에 있어서의 유독가스의 양이 너무 많아지게 된다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 원격시동방법은, 송신기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에 응답하여, 차량의 엔진을 원격시동시키는 원격시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격 시동의 빈도를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원격 시동의 빈도가 소정값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과, 상기 원격 시동의 빈도가 소정값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였을 경우, 상기 원격 시동을 제한하는 스텝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 원격시동방법에 의하면, 상기 원격 시동의 빈도가 상기 소정을 초과하였을 경우, 상기 원격 시동이 제한된다. 더욱이, 엔진 시동을 제한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엔진 시동을 금지하는 것이나, 엔진 가동 시간을 짧게 한다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따라서, 장시간 난기운전이 계속되는 것, 또는 단속적이었다고 하더라도, 전체의 난기운전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너무 높아져 머플러(muffler) 등에 열이 꽉 차버리게 된다는 사태나, 차량의 주위에 있어서의 유독가스의 양이 너무 많아지게 된다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2 원격시동방법은, 송신기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에 응답하여, 차량의 엔진을 원격시동시키는 원격시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가 폐쇄되고나서, 다음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방될 때까지의 기간에, 상기 원격 시동의 회수가 소정의 회수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과, 상기 기간에 상기 원격 시동의 회수가 상기 소정의 회수를 초과하였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상기 원격 시동을 금지하는 스텝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2 원격시동방법에 의하면, 상기 차량의 도어가 폐쇄되고나서, 다음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방될 때까지의 기간(즉,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떠나고나서 되돌아올 때까지의 기간)에, 상기 원격 시동의 회수가 상기 소정의 회수를 초과하였을 경우, 상기 원격 시동이 금지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주위에 없으며, 또한 상기 차량 내에도 없을 때에, 상기 원격 시동이 제한되게 된다.
바꿔 말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을 감시할 수 있는 상태일 때에는, 상기 원격 시동을 금지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필요이상으로 상기 원격 시동이 금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의 안전성을 보지(保持)하면서,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 및 원격시동방법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엔진 시동 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단, 도 11에 나타낸 엔진 시동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 중 (11)은 원격시동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원격시동장치(11)는 마이크로 컴퓨터(12)와,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3) 및 수신수단(14)과, ID코드가 기억된 EEPROM(15)과, ACC 계전기(16)와, IG 계전기(17)와, ST 계전기(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원격시동장치(11)는 이그니션키(1)가 삽입된 것을 검출하는 키검출수단(6)과,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도어개폐 검출수단(7)과,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을 검출하는 파킹 브레이크 작동검출수단(8)과, 셀렉터 레버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는 셀렉터 레버 위치검출수단(9)이 접속되어 있고, 원격시동장치(11)에서는 이그니션키(1)가 키실린더(2)에 삽입되어 있는 것이나, 도어의 개폐상태, 파킹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있는 것, 셀렉터 레버가 주차위치에 있는 것을 인식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원격시동장치(11)는 램프점등장치(19)를 제어함에 따라, 해저드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휴대용 송신기(21)는 마이크로 컴퓨터(도시하지 않음)와, 원격시동장치(11)에 대해서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22) 및 송신수단(도시하지 않음)과, ID코드가 기억된 EEPROM(도시하지 않음)과, 원격 조작에 의해 엔진의 시동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 스위치(23)와, 엔진의 정지를 지시하기 위한 버튼 스위치(2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휴대용 송신기(21)의 마이크로 컴퓨터는, 버튼 스위치(23)가 눌러지면, ID코드와 엔진 시동의 지시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호를 안테나(22)로부터 외부로 송신하며, 한편, 버튼 스위치(24)가 눌러지면, ID코드와 엔진 정지의 지시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호를 안테나(22)로부터 외부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원격시동장치(11)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엔진 시동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우선 그 신호가 정규의 신호인지의 여부〔즉, 휴대용 송신기(21) 이외의 다른 송신기로부터의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정규의 신호인 것으로 판단하면, 다음은 원격 시동 조건〔예를 들면, 이그니션키(1)가 키실린더(2)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것이나, 도어가 닫혀 있는 것, 파킹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있는 것, 셀렉터 레버가 주차위치에 있는 것〕이 충족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원격 시동 조건이 충족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ACC 계전기(16), IG 계전기(17), ST 계전기(18)를 ON상태로 하여, ACC 신호, IG 신호, 및 스타터 신호를 엔진제어부(3)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ACC 계전기(16) 및 IG 계전기(17)에 대해서는 엔진이 정지하기까지 ON상태를 유지하고, ST 계전기(18)에 대해서는 수초 동안(예를 들면, 2∼3초) ON상태로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원격시동장치(11)는 엔진을 시동한 후, 상기 원격 시동 조건이 충족되어진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 t0(예를 들면, 10∼15분간)가 경과하면, ACC 계전기(16) 및 IG 계전기(17)를 OFF상태로 하여 ACC 신호, IG 신호의 엔진제어부(3)로의 공급을 중지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엔진 시동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고나서, 엔진이 시동하고, 그 후 엔진이 정지할 때까지의 타이밍차트는 도 13에 나타낸 타이밍차트와 동일하다.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11)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2)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 2∼도 4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초기설정으로 원격 조작에 의해 엔진이 시동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플래그(f)와, 엔진이 시동한 회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카운터 c를 0으로 한다〔스텝(S1)〕.
다음은, 사용자의 차량으로의 승강을 검출하기 위하여, 도어개폐 검출수단(7)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도어가 개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2)〕, 도어가 개방되었다(즉,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하차하였다거나, 또는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였다. 바꿔 말하면, 사용자가 차량 부근에 존재한다)고 판단하면, 카운터 c를 0으로 리셋하여, 엔진 시동을 새롭게 소정의 회수 c1(예를 들면, c1=3)을 행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시키고〔스텝(S2)〕, 그 후 스텝(S4)으로 진행한다. 한편, 도어가 개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카운터 c를 리셋할 수가 없기 때문에, 스텝(S3)을 건너뛰고 그대로 스텝(S4)으로 진행한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카운터 c를 0으로 리셋하는 조건(즉, 엔진 시동 상황 판정의 리셋 조건)으로 도어의 개방을 채용하고 있지만〔스텝(S2), (S3) 참조〕, 상기 리셋 조건은 도어의 개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도어의 개폐(즉, 도어의 개방 뿐만이 아니고, 폐쇄되는 것도 포함함)나, 이그니션키(1)의 키실린더(2)로의 삽입, ACC 스위치 ON, IG 스위치 ON, 파킹 브레이크의 불작동, 셀렉터 레버의 주차위치 이외로의 이동 등 , 사용자가 실제로 차량에 탑승한 것을 나타내는 것을 채용하거나, 또는 이들을 편성한 것이라도 좋다.
스텝(S4)에서는, 안테나(13) 및 수신수단(14)을 통하여, 신호의 수신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신호의 수신이 있었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ID코드가 EEPROM(15)에 기억되어 있는 ID코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5)〕. 한편, 신호의 수신이 없었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스텝(S17)으로 진행하여 처리동작 a(도 3 참조)를 행하고, 그 후 스텝(S2)으로 되돌아 간다.
스텝(S5)에 있어서,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ID코드가 EEPROM(15)에 기억되어 있는 ID코드와 일치한다(즉, 정규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했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호에 엔진 시동의 지시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6)〕. 한편, 수신한 신호에 포함되는 ID코드가 EEPROM(15)에 기억되어 있는 ID코드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스텝(S6)∼(S16), (S18)의 처리동작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스텝(S2)으로 되돌아 간다.
스텝(S6)에 있어서,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호에 엔진 시동의 지시코드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플래그(f)가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7)〕. 한편, 엔진 시동의 지시코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스텝(S18)으로 진행하여 처리동작 b(도 4 참조)를 행하고, 그 후 스텝(S2)으로 되돌아 간다.
스텝(S7)에 있어서, 플래그(f)가 0(즉, 엔진은 시동하고 있지 않다)이라고 판단하면, 다음은 키검출수단(6), 도어개폐 검출수단(7), 파킹 브레이크 작동검출수단(8), 및 셀렉터 레버 위치검출수단(9) 각각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원격 시동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8)〕. 한편, 플래그(f)가 0이 아니라(즉, 이미 엔진은 시동하고 있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스텝(S8)∼(S16)의 처리동작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스텝(S2)으로 되돌아 간다.
스텝(S8)에 있어서, 상기 원격 시동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다(즉,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을 실현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다)고 판단하면, 그 취지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서, 램프점등장치(19)를 제어함에 따라 해저드램프를 5회 점멸시키고〔스텝(S9)〕, 그 후 스텝(S2)으로 되돌아 간다.
한편, 상기 원격 시동 조건이 성립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카운터 c에 1을 가산하여〔스텝(S10)〕, 1을 가산한 카운터 c가 소정의 회수 c1(예를 들면, c1=3)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1)〕, 카운터 c가 3 이하이다, 즉, 전회 도어가 개방된 시점〔스텝(S2), (S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가 개방되면 카운터 c가 0으로 리셋된다〕으로부터의 엔진의 시동 회수는 아직 3회에 달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엔진 시동을 금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셀모터(4)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ACC 계전기(16), IG 계전기(17), 및 ST 계전기(18)를 ON상태로 하여, ACC 신호, IG 신호, 및 스타터 신호를 엔진제어부(3)로 공급한다〔스텝(S12)〕.
다음은 엔진이 시동하고나서의 경과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 ta를 0으로 리셋하고 스타트시켜〔스텝(S13)〕, 플래그(f)를 1로 하고(스텝 S14), 그리고 원격 조작에 의해 엔진이 시동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램프점등장치(19)를 제어함에 따라 해저드램프를 3회 점멸시키고〔스텝(S15)〕, 그 후 스텝(S2)으로 되돌아 간다. 즉, 원격 조작에 의한 에진 시동을 실현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닌 경우와 다른 형태로 고지(告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스텝(S11)에 있어서, 카운터 c가 3 이하가 아니라(즉, 전회 도어가 개방된 시점으로부터 엔진의 시동 회수가 이미 3회에 달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다고 판정하여, 그 판정에 의해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서, 램프점등장치(19)를 제어함에 따라 해저드램프의 5회 점멸을 2회 반복하고〔스텝(S16)〕, 그 후 스텝(S2)으로 되돌아 간다. 이와 같이, 전회 도어가 개방된 시점으로부터 엔진의 시동 회수가 최대 3회가 되도록 엔진의 시동이 제한된다. 또한, 여기에서의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을 실현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는 고지(告知)는, 상기 원격 시동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의 고지와 그 형태가 다르므로, 사용자에게 어떠한 이유로 엔진의 시동이 실현되지 않는가를 전할 수가 있다.
도 3에 나타낸 처리동작 a에서는, 우선 플래그(f)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하 여〔스텝(S21)〕, 플래그(f)가 1(즉, 엔진이 시동하고 있다)이라고 판단하면, 다음은 키검출수단(6), 도어개폐 검출수단(7), 파킹 브레이크 작동검출수단(8), 및 셀렉터 레버 위치검출수단(9) 각각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원격 시동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22)〕. 한편, 플래그(f)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스텝(S22)∼(S25)의 처리동작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처리동작 a를 종료한다.
스텝(S22)에 있어서, 상기 원격 시동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다(즉, 원격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을 실현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다)고 판단하면, 엔진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ACC 계전기(16) 및 IG 계전기(17)를 OFF상태로 하여 ACC 신호, IG 신호의 엔진제어부(3)로의 공급을 멈추고〔스텝(S23)〕, 그 후 플래그(f)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24)〕.
한편, 상기 원격 시동 조건이 성립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타이머 ta가 소정의 시간 t0(예를 들면, 10∼15분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25)〕, 타이머 ta가 소정의 시간 t0 이상(즉,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을 개시하고나서 10∼15분간 경과하고 있다)이라고 판단하면, 엔진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ACC 계전기(16) 및 IG 계전기(17)를 OFF상태로 하여 ACC 신호, IG 신호의 엔진제어부(3)로의 공급을 멈추고〔스텝(S23)〕, 그 후 플래그(f)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24)〕.
도 4에 나타낸 처리동작 b에서는, 우선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호에 엔진 정지의 지시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31)〕,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호에 엔진 정지의 지시코드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플래그(f)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2)〕. 한편, 엔진 정지의 지시코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스텝(S32)∼(S34)의 처리동작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처리동작 b를 종료한다.
스텝(S32)에 있어서, 플래그(f)가 1(즉, 엔진은 시동하고 있다)이라고 판단하면, 엔진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ACC 계전기(16) 및 IG 계전기(17)를 OFF상태로 하여 ACC 신호, IG 신호의 엔진제어부(3)로의 공급을 멈추고〔스텝(S33)〕, 그 후 플래그(f)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34)〕. 한편, 플래그(f)는 1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스텝(S33), (S34)의 처리동작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처리동작 b를 종료한다.
상기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엔진의 시동 회수 c가 소정의 회수 c1(예를 들면, 3회) 이하가 아니고,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즉, 장시간 난기운전이 계속될 우려가 있는 경우, 또는 단속적이었다 하더라도, 전체의 난기운전시간이 길어질 우려가 있는 경우),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을 받은 엔진의 시동이 금지된다. 즉, 소정의 기간 내에 있어서의 원격조작에 의한 시동의 회수가 소정의 회수를 초과할 경우, 원격조작에 의한 엔진조작이 금지된다.
이로 인하여, 예를 들면,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즉, 원격 조작)에 의해 4번째의 엔진의 시동이 행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장시간 난기운전이 계속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가 있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장시간 난기운전이 계속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이나, 전체의 난기운전시간이 길어지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엔진 시동의 회수에 의거하여 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엔진이 시동하고나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 ta를 이용하여, 실제로 엔진의 누적작동시간(전체의 난기운전시간)을 계측하여, 실제의 엔진의 누적작동시간에 의거하여 이들의 판정을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어가 개방되어 사용자가 차량 부근에 존재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카운터 c는 0으로 리셋되어 엔진의 시동이 새롭게 3회 행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하게 되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엔진의 시동이 금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로 인하여,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어가 개방되고나서, 다음에 도어가 개방될 때까지의 기간에 있어서의,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의 빈도(또는, 엔진의 누적작동시간)에 따라, 엔진 시동을 제한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어가 폐쇄되고 나서, 다음에 도어가 개방될 때까지의 기간에 있어서의,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의 빈도(또는, 엔진의 누적작동시간)에 따라, 엔진 시동을 제한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상기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서는, 원격 시동 조건으로서, 도어가 닫혀 있는 것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가 개방되고나서, 다음에 도어가 개방될 때까지의 기간에 있어서의,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의 빈도(또는, 엔진의 누적작동시간)는, 문이 폐쇄되고나서, 다음에 문이 개방될 때까지의 기간에 있어서의,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의 빈도(또는, 엔진의 누적작동시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서는, 도어가 개방되고나서, 다음에 개방될 때까지의 기간 내에 있어서의 원격 시동의 회수에 의거하여, 상기 원격 시동을 제한하도록 하고, 예를 들면, 상기 기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원격 시동의 회수가, 소정의 회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원격 시동을 제한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격 시동의 회수 뿐만이 아니라, 상기 기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원격 시동에 의한 엔진의 누적작동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였을 경우에도, 상기 원격 시동을 제한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은,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11A)는, 도 1에 나타낸 원격시동장치(11)와는 마이크로 컴퓨터(12)를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에는 다른 부호를 부여하고, 그 외의 구성부분에 대한 설명을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도면 중 (11A)는 원격시동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원격시동장치(11A)는 마이크로 컴퓨터(12A)와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3) 및 수신수단(14)과 ID코드가 기억된 EEPROM(15)과 ACC 계전기(16)와 IG 계전기(17)와 ST 계전기(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11A)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2A)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 5∼도 7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단, 마이크로 컴퓨터(12A)가 행하는 처리동작은, 도 2∼도 4에 나타낸 마이크로 컴퓨터(12)가 행하는 처리동작과 공통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의 일부를 생략한다.
우선, 스텝(S44)에 있어서, 신호의 수신은 없었다고 판단하고, 스텝(S59)으로 진행하여 행하는 처리동작 c(도 6 참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리동작 c와 도 3에 나타낸 처리동작 a와의 차이는, 엔진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ACC 계전기(16) 및 IG 계전기(17)를 OFF상태로 하여 ACC 신호, IG 신호가 엔진제어부(3)로의 공급을 정지한 후〔스텝(S63)〕, 엔진 정지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 tb를 0으로 리셋하여 스타트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스텝(S64)〕.
다음은 스텝〔S46(도 5)〕에 있어서,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호에 엔진 시동의 지시코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스텝(S60)으로 진행되어 행하는 처리동작 d(도 7 참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리동작 d와 도 4에 나 타낸 처리동작 b와의 차이는, 처리동작 c와 처리동작 a와의 차이와 동일하게, 엔진을 정지시키기 위해서 ACC 계전기(16) 및 IG 계전기(17)를 OFF상태로 하여 ACC 신호, IG 신호가 엔진제어부(3)로의 공급을 정지한 후〔스텝(S73)〕, 엔진 정지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 tb를 0으로 리셋하여 스타트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스텝(S74)〕.
스텝〔S51(도 5)〕에 있어서, 카운터 c가 3 이하가 아니라(즉, 전회 도어가 개방된 시점으로부터 엔진의 시동 회수가 이미 3회에 달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타이머 tb가 소정의 시간 t1(예를 들면, 30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54)〕, 타이머 tb가 30분 이상(즉, 전회의 엔진 정지로부터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다)이라고 판단하면, 다음은 엔진이 시동하였다 하더라도,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게 되는 것이 아니라고 판정하여, 카운터 c를 1로 하고〔스텝(S57)〕, 그 후 스텝(S52)으로 진행하여, 셀모터(4)를 구동시키기 위한 처리동작을 행한다.
한편, 스텝(S56)에 있어서, 타이머 tb가 30분 이상이 아니라(즉, 전회 도어가 개방된 시점으로부터 엔진의 시동 회수가 3회에 달하고, 게다가 전회의 엔진 정지로부터 그다지 많은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번의 엔진 시동에 의해,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게 된다고 판정하여, 그 판정에 의해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서 고지(告知) 처리를 행하고〔스텝(S58)〕, 그 후 스텝(S42)으로 되돌아 간다.
상기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전회 도어가 개방된 시점으로부터 엔진의 시동 회수가 3회에 달하고, 게다가 전회의 엔진 정지로부터 그다지 많은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이번의 엔진 시동에 의해,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게 된다(즉, 단속적이었다 하더라도, 전체의 난기운전시간이 길어질 우려가 있다)고 판정되어,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을 받은 엔진의 시동이 금지된다.
바꿔 말하면, 엔진의 시동 회수가 3회에 달하고 있었다 하더라도, 전회의 엔진 정지로부터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경우,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을 받은 엔진 시동은 금지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의 안전성의 확보는 물론, 편리성의 향상을 보다 높게 도모할 수가 있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전회의 엔진 정지로부터 소정의 시간 t1(예를 들면, 30분)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엔진 정지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 tb(엔진 정지시에 0으로 리셋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행하고 있지만, 전회의 엔진 정지로부터 소정의 시간 t1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은, 타이머 tb를 이용하여 행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전회의 엔진 시동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 T(엔진 시동시에 0으로 리셋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전회의 엔진 시동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T1(=t0+t1)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따라, 전회의 엔진 정지로부터 소정의 시간 t1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소정의 시간 t0(즉 난기시간)가 15분일 경우, 소정의 시간 T1은 45분이 된다.
다음은,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11B)는, 도 1에 나타낸 원격시동장치(11)와는 마이크로 컴퓨터(12)를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에는 다른 부호를 부여하고, 그 외의 구성부분에 대한 설명을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도면 중 (11B)는 원격시동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원격시동장치(11B)는 마이크로 컴퓨터(12B)와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3) 및 수신수단(14)과 ID코드가 기억된 EEPROM(15)과 ACC 계전기(16)와 IG 계전기(17)와 ST 계전기(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11B)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2B)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 8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단, 마이크로 컴퓨터(12B)가 행하는 처리동작은, 도 5에 나타낸 마이크로 컴퓨터(12A)가 행하는 처리동작과 공통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의 일부를 생략한다.
스텝(S88)에 있어서, 원격 시동 조건이 성립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엔진 정지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 tb가 소정의 시간 t2(예를 들면, 30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90)〕, 타이머 tb가 30분 이상이 아니라(즉, 전회의 엔진 정지로부터 그다지 많은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 하면, 다음은 카운터 c에 1을 가산하여〔스텝(S91)〕, 1을 가산한 카운터 c가 소정의 회수 c2(예를 들면, c2=3)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92)〕, 카운터 c가 3 이하(즉, 전회 도어가 개방된 시점으로부터 엔진의 시동 회수는 아직 3회에 달하고 있지 않다)라고 판단하면, 다음은 셀모터(4)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ACC 계전기(16), IG 계전기(17), 및 ST 계전기(18)를 ON상태로 하여, ACC 신호, IG 신호, 및 스타터 신호를 엔진제어부(3)로 공급한다〔스텝(S93)〕.
한편, 스텝(S90)에 있어서, 타이머 tb가 30분 이상(즉, 전회의 엔진 정지로부터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다)이라고 판단하면, 엔진 시동은 빈번하게 행하여지지 않는다고 판정하여, 카운터 c를 1로 하고〔스텝(S98)〕, 그 후 스텝(S93)으로 진행되어, 셀모터(4)를 구동시키기 위한 처리동작을 행한다.
상기 제3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전회의 엔진 정지로부터 소정의 시간 t2(예를 들면, 30분)내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 회수가 소정의 회수 c2(예를 들면, 3회)라고 판단되고(즉, 짧은 시간간격으로 엔진의 시동이 반복해서 행하여지고), 이번 엔진 시동(예를 들면, 4번째의 엔진 시동)에 의해, 엔진의 시동이 반복해서 행하여지게 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즉, 단속적이었다 하더라도, 전체의 난기운전시간이 길어질 우려가 있는 경우),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을 받은 엔진의 시동이 금지된다.
이로 인하여, 예를 들면, 30분 이내의 짧은 간격으로 엔진의 시동이 3회 반복되었을 경우,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즉, 원격 조작)에 따라 4번째의 엔진의 시동이 행하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짧은 간격으로 엔진의 시동이 4회 행하여지는 일은 없기 때문에, 장시간 난기운전이 계속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가 있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전회의 엔진 정지로부터 소정의 시간 t2(예를 들면, 30분)가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엔진 정지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 tb(엔진 정지시에 0으로 리셋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행하고 있지만, 전회의 엔진 정지로부터 소정의 시간 t2가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은, 타이머 tb를 이용하여 행하는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전회의 엔진 시동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 T(엔진 시동시에 0으로 리셋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전회의 엔진 시동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T2(=t0+t2)가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따라, 전회의 엔진 정지로부터 소정의 시간 t2가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소정의 시간 t0(즉, 난기시간)가 15분일 경우, 소정의 시간 T2는 45분이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짧은 간격으로 엔진 시동이 반복되는 경우,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을 제한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짧은 간격으로 엔진 시동이 반복되는 것 그 자체를 금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엔진 정지로부터 다음의 엔진 시동까지의 경과 시간이 소정의 시간보다 짧은 경우, 원격 시동을 금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은,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11C)는, 도 1에 나타낸 원격시동장치(11)와는 마이크로 컴퓨터(12)를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에는 다른 부호를 부여하고, 그 외의 구성부분에 대한 설명을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도면 중 (11C)는 원격시동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원격시동장치(11C)는 마이크로 컴퓨터(12C)와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3) 및 수신수단(14)과 ID코드가 기억된 EEPROM(15)과 ACC 계전기(16)와 IG 계전기(17)와 ST 계전기(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11C)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2C)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 9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단, 마이크로 컴퓨터(12C)가 행하는 처리동작은, 도 5에 나타낸 마이크로 컴퓨터(12A)가 행하는 처리동작과 공통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의 일부를 생략한다.
스텝(S108)에 있어서, 원격 시동 조건이 성립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카운터 c에 1을 가산하여〔스텝(S110)〕, 1을 가산한 카운터 c가 2 이상인지의 여부(즉, 전회 도어의 개방 후에 있어서의 최초의 엔진 시동으로부터 헤아려 2번째 이후의 엔진의 시동이 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11)〕, 카운터 c가 2 이상이라고 판단하면, 다음은 엔진 정지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 tb가 소정의 시간 t3(예를 들면, 30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12)〕, 타이머 tb가 30분 이상(즉, 전회의 엔진 정지로부터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 하고 있다)이라고 판단하면, 다음은 셀모터(4)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ACC 계전기(16), IG 계전기(17), 및 ST 계전기(18)를 ON상태로 하여, ACC 신호, IG 신호, 및 스타터 신호를 엔진제어부(3)로 공급한다〔스텝(S113)〕.
한편, 타이머 tb가 30분 이상이 아니라(즉, 전회의 엔진 정지로부터 그다지 많은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번의 엔진 시동에 의해,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게 된다고 판정하여, 그 판정에 의해 원격 조작에 의한 에진 시동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고지 처리를 행하고〔스텝(S117)〕, 그 후 스텝(S102)으로 되돌아 간다. 또한, 스텝(S111)에 있어서, 카운터 c가 2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스텝(S112)를 건너뛰고, 그대로 스텝(S113)으로 진행하여, 셀모터(4)를 구동시키기 위한 처리동작을 한다.
상기 제4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전회의 엔진 정지로부터 이번 엔진 시동까지의 경과시간이 소정의 시간 t3(예를 들면, 30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즉, 짧은 간격으로 엔진의 시동이 반복해서 행하여지는 경우), 이번의 엔진 시동에 의해,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게 된다고 판정된다. 이로 인하여, 예를 들면, 30분 이내의 짧은 간격으로 엔진의 시동이 반복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단속적이었다 하더라도, 전체의 난기운전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가 있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전회의 엔진 정지로부터 소정의 시간 t3(예를 들면, 30분)가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엔진 정지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 tb(엔진 정지시에 0으로 리셋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행하고 있지만, 전회의 엔진 정지로부터 소정의 시간 t3가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은, 타이머 tb를 이용하는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전회의 엔진 시동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 T(엔진 시동시에 0으로 리셋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전회의 엔진 시동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T3(=t0+t3)가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따라, 전회의 엔진 정지로부터 소정의 시간 t3가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소정의 시간 t0(즉 난기시간)가 15분일 경우, 소정의 시간 T3는 45분이 된다.
다음은,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11D)는, 도 1에 나타낸 원격시동장치(11)와는 마이크로 컴퓨터(12)를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마이크로 컴퓨터에는 다른 부호를 부기하고, 그 이외의 구성부분에 대한 설명을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도면 중 (11D)는 원격시동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원격시동장치(11D)는 마이크로 컴퓨터(12D)와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3) 및 수신수단(14)과 ID코드가 기억된 EEPROM(15)과 ACC 계전기(16)와 IG 계전기(17)와 ST 계전기(1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11D)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컴퓨터(12D)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 10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단, 마이크 로 컴퓨터(12D)가 행하는 처리동작은, 도 2에 나타낸 마이크로 컴퓨터(12)가 행하는 처리동작과 공통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의 일부를 생략한다.
스텝(S128)에 있어서, 원격 시동 조건이 성립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다음에 있는 엔진 시동의 시점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 tc〔스텝(S135) 참조〕가 소정의 시간 t4(예를 들면, 60분)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30)〕, 타이머 tc가 60분 이하라고 판단하면, 다음은 카운터 c에 1을 가산하여〔스텝(S131)〕, 1을 가산한 카운터 c가 소정의 회수 c3(예를 들면, c3=3)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132)〕, 카운터 c가 3 이하가 아니라(즉, 60분 경과하기까지 엔진의 시동 회수가 3회에 달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4번째의 엔진 시동에 의해,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게 된다고 판정하여, 그 판정에 의해 원격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고지 처리를 행하여〔스텝(S140)〕, 그 후 스텝(S122)로 되돌아 간다. 이와 같이, 60분 간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 회수가 최대 3회로 제한되게 되어 있다.
한편, 스텝(S132)에 있어서, 카운터 c가 3 이하라고 판단하면, 다음은 셀모터(4)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ACC 계전기(16), IG 계전기(17), 및 ST 계전기(18)를 ON상태로 하여, ACC 신호, IG 신호, 및 스타터 신호를 엔진제어부(3)로 공급하고〔스텝(S133)〕, 다음은 카운터 c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34). 더욱이, 카운터 c는 스텝(S123)에서 0으로 리셋되거나, 스텝(S139)에서 1로 되어, 엔진의 시동 회수를 재 카운트하게 되어 있다.
카운터 c가 1(즉, 재 카운트함에 따라, 이번 엔진의 시동이 1번째 엔진의 시동으로 되어 있다)이라고 판단하면, 이번 엔진 시동의 시점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하기 위해서, 타이머 tc를 0으로 리셋하여 스타트시키고〔스텝(S135)〕, 그 후 스텝(S136)으로 진행한다. 한편, 카운터 c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135)을 건너뛰고 스텝(S136)으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S130)에 있어서, 타이머 tc가 60분 이하가 아니라(즉, 어느 엔진 시동의 시점으로부터 60분이 경과했다)고 판단하면, 엔진의 시동 회수를 새롭게 3회 행할 수 있는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카운터 c를 1로 하고〔스텝(S139)〕, 그 후 스텝(S133)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 의하면, 다음의 엔진 시동에 따라 소정의 시간 t4(예를 들면, 사용자가 차량을 떠나고나서, 최초로 엔진이 시동된 시점으로부터 60분간)내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 회수가 4회가 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엔진 시동은 빈번하게 행하여지게 된다고 판정된다. 예를 들면, 60분이라는 결코 길다고는 말할 수 없는 시간 내에 엔진의 시동이 4회 행하여지는 것을 금지 할 수가 있다. 이로 인하여, 배기가스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거나 차량의 주위에 있어서의 유해가스의 양이 너무 많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서는, 전회의 엔진 정지와 이번의 엔진 시동과의 시간간격으로 제한을 마련하게 되어 있지 않지만,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전회의 엔진 정지로부터 이번의 엔진 시동까지 소정 시간(예를 들면, 5분) 동안의 경과를 필요로한다는 조건을 가미하여도 좋다. 또한, 새롭게 재 카운트가 되어 1번째가 되는 엔진 시동과, 그 전의 엔진 정지와의 시간간격에만 제한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여기에서는 사용자가 차량을 떠나는 등의 행동을 하고나서, 최초로 엔진 시동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t4(예를 들면, 60분)가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을, 상기 최초의 엔진 시동의 시점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 tc(상기 최초의 엔진 시동시에 0으로 리셋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행하고 있지만, 상기 최초의 엔진 시동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t4가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단은, 타이머 tc를 이용하여 행하는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최초의 엔진의 시동이 정지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이머 T’(상기 최초의 엔진의 시동이 정지한 시점에 0으로 리셋되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최초의 엔진의 시동이 정지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T’1(=t4∼t0)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따라, 상기 최초의 엔진 시동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t4가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다. 소정의 시간 t0(즉 난기시간)가 15분일 경우, 소정의 시간 T’1은 45분이 된다.
상기 제1∼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서는, 소정의 회수 c1∼c3, 소정의 시간 t1∼t4의 파라미터를 고정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들 파 라미터는 고정시키지 않아도 좋으며,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서는, 차량의 환경(예를 들면,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 차량의 주위에 있어서의 유해가스의 양, 차량 주위의 온도, 차량이 존재하고 있는 위치)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낮은 경우나, 차량의 주위에 있어서의 유해가스의 양이 적은 경우, 차량 주위의 온도가 낮은 경우, 차량이 차고내가 아니라 닫혀 있지 않은 넓은 장소에 정차하고 있을 경우에는, 엔진 시동을 제한하는 역치(threshold)가 높아지도록 이들 파라미터를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차량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나, 차량의 주위에 있어서의 유해가스의 양, 차량 주위의 온도에 관한 정보에 대해서는, 각종 센서를 차량에 장비함에 따라 취득되며, 또한, 차량이 차고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에 대해서는, 네비게이션장치 등에서 취득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제5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서는, 엔진을 시동시키기 위해서, ACC 계전기(16), IG 계전기(17), 및 ST 계전기(18)를 ON상태로 한 후, 플래그(f)를 1로 하고, 또한, ACC 계전기(16) 및 IG 계전기(17)를 OFF상태로 한 후, 플래그(f)를 0으로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관계되는 원격시동장치에서는, 엔진이 구동하고 있을 때에 High 신호를 출력하는 교류발상기 L 단자 등에서의 신호를 받아들여, 실제 엔진의 구동 상황에 의거하여, 플러그(f)의 수치를 바꾸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에 따라, 배기가스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거나, 차량의 주위에 있어서의 유독가스의 양이 너무 많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27)

  1. 송신기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을 받으면, 차량의 엔진을 시동시키는 시동수단을 구비한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지령을 받은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거나, 또는 빈번하게 행하여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시동상황 판정수단과,
    그 시동상황 판정수단에 의해, 엔진의 시동이 실제로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거나, 또는 실제로 빈번하게 행하여졌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지령을 받은 엔진 시동을 제한하는 제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리셋 조건이 성립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성립 판단수단과,
    그 조건성립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소정의 리셋 조건이 성립하였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시동상황 판정수단에 의한 판정을 리셋하는 제1 리셋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리셋 조건에, 상기 차량에 있어서의 정규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주위에 존재하는 것, 또는 상기 정규 사용자가 상기 차량 내에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는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상황 판정수단이, 엔진의 시동 회수에 의거하여,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거나, 또는 빈번하게 행하여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상황 판정수단이, 엔진의 시동 회수가 제1 소정 회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엔진의 시동 회수가 상기 제1 소정 회수 이상이라고 판단하였을 경우,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엔진이 정지하고부터 엔진이 다음에 시동될 때까지의 경과시간이 제1 소정 시간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 경과판단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시동상황 판정수단이, 상기 제1 경과판단수단에 의한 판단 결과에 의거 하여, 엔진 정지로부터 상기 제1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이 제2 소정 회수 계속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엔진 정지로부터 상기 제1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이 상기 제2 소정 회수 계속되고 있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상황 판정수단이, 제1 소정 기간 내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 회수가 제3 소정 회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소정 기간 내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 회수가 상기 제3 소정 회수 이상이라고 판단하였을 경우,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지고 있다고 판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엔진 정지로부터 제2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 경과판단수단과,
    그 제2 경과판단수단에 의해, 엔진 정지로부터 상기 제2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제한수단에 의한 엔진 시동의 제한을 해제하는 제한해제수단과,
    그 제한해제수단에 의한 엔진 시동의 제한 해제를 받아들여, 엔진의 시동 회수를 리셋하는 제2 리셋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엔진이 정지하고부터 엔진이 다음에 시동될 때까지의 경과시간이 제3 소정 시간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 경과판단수단을 구비하고,
    그 제3 경과판단수단에 의해, 엔진이 정지하고부터 엔진이 다음에 시동될 때까지의 경과시간이 상기 제3 소정 시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시동상황 판정수단이,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진다고 판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동상황 판정수단이, 다음의 엔진 시동에 의해 제2 소정 기간 내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 회수가 제4 소정 회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 소정 기간 내에 있어서의 엔진의 시동 회수가 상기 제4 소정 회수 이상이 된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엔진의 시동이 빈번하게 행하여진다고 판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환경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소정 회수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을 받았을 경우, 상기 제한수단에 의해 엔진의 시동이 제한되어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고지(告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13. 송신기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에 응답하여, 차량의 엔진을 원격시동시키는 시동수단을 구비한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격 시동의 빈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그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상기 원격 시동의 빈도에 따라, 상기 원격 시동을 제한하는 제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소정의 기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원격 시동의 회수가, 소정의 회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제한수단이, 상기 원격 시동을 금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소정의 기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원격 시동에 의한 엔진의 누적작동시간을 계측하는 계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기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원격 시동의 회수가, 소정의 회수를 초과할 경우, 또는 상기 계측수단에 의해 계측된 상기 누적작동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였을 경우,
    상기 제한수단이, 상기 원격 시동을 금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16. 송신기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에 응답하여, 차량의 엔진을 원격시동시키는 시동수단을 구비한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기간 내에 있어서의 상기 원격 시동에 의한 엔진의 누적작동시간을 계측하는 계측수단과,
    그 계측수단에 의해 계측된 상기 누적작동시간에 따라, 상기 원격 시동을 제한하는 제한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간이, 상기 차량의 도어가 폐쇄되고나서, 다음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방될 때까지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였을 경우, 상기 원격 시동의 제한을 행해야하는지의 여부의 판정에 이용하는 정보를 리셋하는 리셋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이,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20. 송신기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에 응답하여, 차량의 엔진을 원격시동시키는 시동수단을 구비한 원격시동장치에 있어서,
    엔진의 정지로부터 다음의 엔진 시동까지의 경과시간이 소정의 시간보다 짧은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그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경과시간이 상기 소정의 시간보다 짧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원격 시동을 금지하는 금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21. 송신기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에 응답하여, 차량의 엔진을 원격시동시키는 원격시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격 시동의 빈도를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원격 시동의 빈도가 소정값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과,
    상기 원격 시동의 빈도가 상기 소정값을 초과하였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상기 원격 시동을 제한하는 스텝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방법.
  22. 송신기로부터의 엔진 시동 지령에 응답하여, 차량의 엔진을 원격시동시키는 원격시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가 폐쇄되고나서, 다음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방될 때까지의 기간에, 상기 원격 시동의 회수가 소정의 회수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과,
    상기 기간에 상기 원격 시동의 회수가 상기 소정의 회수를 초과하였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상기 원격 시동을 금지하는 스텝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방법.
  2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환경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소정 시간, 상기 제2 소정 회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2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환경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소정 기간, 상기 제3 소정 회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2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환경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2 소정 시간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2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환경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3 소정 시간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2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환경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2 소정 기간, 상기 제4 소정 회수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시동장치.
KR1020040052590A 2003-07-11 2004-07-07 원격시동장치 및 원격시동방법 KR100721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96047 2003-07-11
JPJP-P-2003-00196047 2003-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145A KR20050007145A (ko) 2005-01-17
KR100721210B1 true KR100721210B1 (ko) 2007-05-23

Family

ID=33562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590A KR100721210B1 (ko) 2003-07-11 2004-07-07 원격시동장치 및 원격시동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474943B2 (ko)
JP (1) JP5283642B2 (ko)
KR (1) KR100721210B1 (ko)
CN (1) CN10033958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6491A (zh) * 2010-01-18 2011-07-20 韩国Nm科技株式会社 车辆控制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5844A1 (en) * 2002-06-06 2008-10-30 Black & Decker Inc. Starter system for portab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electric generators using a portable universal battery pack
JP4279854B2 (ja) * 2006-06-28 2009-06-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源制御装置
CA2571594A1 (en) * 2006-12-15 2008-06-15 Fortin Auto Radio Inc. Interface emulating the starting of a vehicle having an electronic starting system
US8286603B2 (en) * 2007-01-31 2012-10-16 Fumes Safety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xic gas
US8154251B2 (en) * 2007-07-13 2012-04-10 Cummin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idling and maintaining vehicle electrical system integrity
US8244448B2 (en) * 2009-08-04 2012-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aving remote start and garage door control
US20110032115A1 (en) * 2009-08-04 2011-02-10 Robert Kwiecinski Vehicle Having Remote Start and Enclosed Space Detection
US8375913B2 (en) * 2009-08-04 2013-0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aving remote start and carbon monoxide detection
US8534253B2 (en) * 2010-02-12 2013-09-17 Fujitsu Ten Limited Remote starting device and remote starting method
CN102032085B (zh) * 2010-11-26 2013-01-02 中国北方车辆研究所 一种车辆程序起动控制方法
CN102072026B (zh) * 2010-12-30 2012-05-09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用发动机停机起动控制装置及其方法
US20120310445A1 (en) * 2011-06-02 2012-12-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Device Application Having Vehicle Interaction
US9372831B2 (en) * 2011-12-09 2016-06-21 Fujitsu Ten Limited Remote starter
JP5814766B2 (ja) * 2011-12-09 2015-11-17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遠隔始動装置、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及び、遠隔始動システム
US20130152894A1 (en) * 2011-12-14 2013-06-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op/start engine glow plug heater control
US8626356B2 (en) * 2012-01-27 2014-0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motely starting internal combustion vehicle engines safely within vehicle enclosures
US9286264B2 (en) 2012-04-30 2016-03-15 Arctic Cat Inc. Vehicle speed limiter via gauge interface
US8818570B2 (en) * 2012-04-30 2014-08-26 Arctic Cat Inc. Electronic control unit limiter with coded release
US9745942B2 (en) * 2013-03-15 2017-08-29 Omega Patents, L.L.C. Remote start system including temperature based engine stoppage and related methods
US9546635B2 (en) * 2014-08-15 2017-01-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mote start control for vehicles
CN106894899A (zh) * 2015-12-17 2017-06-27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具有peps的车辆启动控制方法及控制系统
DE102016209465B3 (de) * 2016-05-31 2017-10-0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Steuereinheit und System zur automatischen Steuerung eines Motors eines Fahrzeugs
DE102016209458A1 (de) * 2016-05-31 2017-11-3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Steuereinheit und System zur automatischen Steuerung eines Motors eines Fahrzeugs
USD830683S1 (en) 2017-10-09 2018-10-16 E. Mishan & Sons, Inc. Umbrella handle with light
USD831951S1 (en) 2017-10-09 2018-10-30 E. Mishan & Sons, Inc. Umbrella handle with light
CN109306930A (zh) * 2018-09-12 2019-02-05 中国航发湖南动力机械研究所 发动机起动装置及发动机系统
CN109127539A (zh) * 2018-09-18 2019-01-04 江苏苏美达五金工具有限公司 遥控汽油清洗机
CN110792517B (zh) * 2019-10-14 2022-03-04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远程控制车辆发动机的预加热系统及方法
KR20220022037A (ko) * 2020-08-14 2022-0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 차량의 원격 시동 방법 및 그 장치
CN114312736B (zh) * 2020-09-27 2024-03-1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混合动力车辆的控制方法、车辆、设备及存储介质
JP2022188631A (ja) * 2021-06-09 2022-1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48U (ja) * 1992-06-12 1994-01-14 株式会社カンセイ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JPH0921377A (ja) * 1995-07-06 1997-01-21 Fujitsu Ten Ltd リモ−ト式エンジン始動装置
JPH09105373A (ja) * 1995-10-09 1997-04-22 Yazaki Corp 車両用動力機構制御装置
JPH10227273A (ja) 1997-02-14 1998-08-25 Tokai Rika Co Ltd 車両用エンジン始動装置
JPH10252519A (ja) 1997-03-12 1998-09-22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エンジンの始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8209A (en) * 1984-10-09 1986-07-01 Randy Garlinghouse Remote control engine starter
US4674454A (en) * 1985-08-22 1987-06-23 Donald Phairr Remote control engine starter
US5054569A (en) * 1987-07-27 1991-10-08 Comfort Key Corporation Remote vehicle starting system
JPH061748B2 (ja) 1987-12-09 1994-01-05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チップ形コンデンサ
JP3715997B2 (ja) * 1994-08-12 2005-11-16 モトール自動車株式会社 複合原動機の制御装置
JPH08144904A (ja) * 1994-11-16 1996-06-04 Komatsu Ltd 建設機械のエンジンの遠隔始動・停止装置
US5942988A (en) * 1995-09-15 1999-08-24 Bulldog Security Alarm Systems Remote engine starter with engine cutoff
JPH09112393A (ja) * 1995-10-12 1997-04-28 Sanyo Tekunika:Kk 自動車用エンジンの遠隔始動装置
JPH09268938A (ja) * 1996-04-02 1997-10-14 Calsonic Corp エンジン停止検知方法
JPH09317613A (ja) * 1996-05-31 1997-12-09 Kokusai Electric Co Ltd エンジン制御システム
JPH1089205A (ja) * 1996-09-11 1998-04-07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自動車の無線始動装置
JP4044168B2 (ja) * 1997-01-23 2008-02-06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両用内燃機関の遠隔始動装置
JP3959146B2 (ja) 1997-03-13 2007-08-15 ユピテル工業株式会社 遠隔式エンジン始動装置
JP2979390B2 (ja) * 1997-06-26 1999-11-15 阪神エレクトリック株式会社 エンジン自動始動装置
JP4029474B2 (ja) * 1998-06-10 2008-0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エンジン停止制御装置
JP2002349404A (ja) * 2001-05-29 2002-12-04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自動始動装置
US6853895B2 (en) * 2002-12-06 2005-02-08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for remote engine star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48U (ja) * 1992-06-12 1994-01-14 株式会社カンセイ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JPH0921377A (ja) * 1995-07-06 1997-01-21 Fujitsu Ten Ltd リモ−ト式エンジン始動装置
JPH09105373A (ja) * 1995-10-09 1997-04-22 Yazaki Corp 車両用動力機構制御装置
JPH10227273A (ja) 1997-02-14 1998-08-25 Tokai Rika Co Ltd 車両用エンジン始動装置
JPH10252519A (ja) 1997-03-12 1998-09-22 Mitsubishi Electric Corp 車両用エンジンの始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26491A (zh) * 2010-01-18 2011-07-20 韩国Nm科技株式会社 车辆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6556A (zh) 2005-02-09
US7474943B2 (en) 2009-01-06
CN100339580C (zh) 2007-09-26
JP2010121631A (ja) 2010-06-03
US20050010336A1 (en) 2005-01-13
JP5283642B2 (ja) 2013-09-04
US20090099711A1 (en) 2009-04-16
KR20050007145A (ko) 2005-01-17
US7634333B2 (en) 200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210B1 (ko) 원격시동장치 및 원격시동방법
US4674454A (en) Remote control engine starter
JP4804544B2 (ja) 車両の盗難防止システム
US2021009562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ofit engine start/stop and idle control
US8244448B2 (en) Vehicle having remote start and garage door control
JP2007118822A (ja) 始動制御装置
EP1645062A2 (en) Wireless relay for payment enforcement devices and method of using same
US7483784B2 (en) Engine starting system
JP4721665B2 (ja) 遠隔始動装置
US6561151B1 (en) Remote control car starter
US20040012261A1 (en) Secure method for manag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a apparatus by a user and equipment therefor
US7456730B2 (en) Anomaly judgment system for operator detection device and process for judging normality/anomaly of operator detection device
JP2010229867A (ja) エンジン起動制御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エンジン起動制御システム
JP3629864B2 (ja) ガス流量監視システム
ITMI972210A1 (it) Sistema antifurto per veicolo
KR102303229B1 (ko) 차량의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KR100430721B1 (ko) 차량용 스타터의 보호장치
JP4468673B2 (ja) 車両用パワーウインドウ装置
KR101172292B1 (ko) 차량의 혹한기 자동 제어장치
KR100244994B1 (ko) 연소기구
JP3603074B2 (ja) 燃焼機器の安全制御装置および燃焼機器
KR19990002435A (ko) 원격 시동장치
JP2005083911A (ja) 車両用負荷出力制御装置
KR100405475B1 (ko) 자동차용 시동 장치
KR200168074Y1 (ko) 브레이크 오일 부족시 시동 금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