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6970B1 - 팽창 밸브 - Google Patents

팽창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6970B1
KR100706970B1 KR1020000024432A KR20000024432A KR100706970B1 KR 100706970 B1 KR100706970 B1 KR 100706970B1 KR 1020000024432 A KR1020000024432 A KR 1020000024432A KR 20000024432 A KR20000024432 A KR 20000024432A KR 100706970 B1 KR100706970 B1 KR 100706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refrigerant
passage
opening
bypass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4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7185A (ko
Inventor
가타야마도시하루
와타나베가즈히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ublication of KR20000077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7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25Expansion valves having two or more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3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the fluid pressure, e.g.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 F25B41/335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the fluid pressure, e.g. by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via 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01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23/12Control of temperature without auxiliary power with sensing element responsive to pressure or volume changes in a confined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1/00Details of ejectors not being used as compression device; 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8Expansion valves combined with a sensor
    • F25B2341/0683Expansion valves combined with a sensor the sensor is disposed in the suction line and influenced by the temperature or the pressure of the suction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1Pressures near an expansion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공조 시스템에 장착되는 팽창 밸브에 있어서,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최소한의 냉매를 강제적으로 순환시켜 윤활을 확보한다.
팽창 밸브(1)의 밸브 본체(10)는 압축기측에서 냉매가 공급되는 밸브실(14)을 구비하며, 밸브체(40)와 밸브 시트(16) 사이에서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여 제1 통로(20)로부터 증발기로 보낸다. 증발기에서 되돌아오는 냉매는 제2 통로(50)를 통해 압축기측으로 되돌아간다. 밸브실(14)은, 작은 구멍(24)을 통해 바닥을 갖춘 개구부(26)를 지나 도관(28)을 통과하여 제1 통로(20)에 연통되는 바이패스 통로를 구비한다. 전자기 밸브(100)는 플런저(130)를 구비하며, 파일럿 밸브체(150)에 의해 바이패스 통로를 개폐한다. 제2 통로(50)로 통하는 개구부(54)에는 압력 스위치(220)가 설치되고, 증발기에서 되돌아오는 냉매 압력이 저하된 때에는 전자기 밸브(100)를 작동시켜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한다.

Description

팽창 밸브{EXPANSION VALVE}
도 1은 본 발명의 팽창 밸브의 일 실시 형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팽창 밸브의 다른 실시 형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팽창 밸브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팽창 밸브 10: 밸브 본체
14: 밸브실 16: 밸브 시트
20: 제1 통로 26: 바닥을 갖춘 개구부
28: 도관 40: 밸브체
50: 제2 통로 54: 개구부
60: 파워 엘리먼트 70: 다이어프램
100: 전자기 밸브 130: 플런저
150: 파일럿 밸브체 200: 압력 스위치
230: 다이어프램 250: 고정 접점
260: 용수철 부재 262: 가동 접점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장치에 장착되어 증발기로 보내어지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팽창 밸브에 있어서,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도 바이패스 통로를 전자기 밸브에 의해 열어 최소한의 냉매를 순환시켜서 냉매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 등의 윤활을 확보하는 팽창 밸브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 장치에 장착되는 팽창 밸브는, 압축기측에서 공급되는 냉매가 도입되고 그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실을 구비하며, 밸브실을 나온 냉매를 증발기측으로 보내는 제1 통로와 증발기에서 되돌아오는 냉매가 통과하는 제2 통로를 구비한다. 제2 통로 내에는, 통로 내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를 검지하고 파워 엘리먼트로 불리는 밸브체 구동 기구로 전달하는 감온(感溫) 기능을 갖춘 샤프트 형태의 밸브 구동 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밸브체와 밸브 시트 사이의 거리가 조정되어, 냉매의 유량이 제어된다.
이러한 유형의 팽창 밸브에 있어서는, 공조 부하가 저부하시에는 밸브체와 밸브 시트 사이의 유로가 거의 닫힌 상태로 되고, 냉매는 거의 흐르지 않게 된다. 냉매 중에는 윤활유가 포함되어 있어서, 냉매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 등의 활주부의 윤활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냉동 사이클 중에 순환하는 냉매의 유량이 극단적으로 저하되면, 압축기 등의 기기의 윤활 불량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저부하시에도 최소한의 냉매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키는 것이 가능한 팽창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팽창 밸브는, 공조 장치에 장착되어 냉매를 감압 팽창시켜 증발기로 공급하는 팽창 밸브로서, 증발기로 보내어지는 냉매가 통과하는 제1 통로와, 증발기에서 압축기로 되돌아오는 냉매가 통과하는 제2 통로와, 제1 통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밸브실을 갖춘 밸브 본체가 상기 밸브실에서 압축기에 냉매를 공급하는 바이패스 통로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바이패스 통로를 개폐하는 전자기 밸브를 구비하며, 소정의 공조 부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전자기 밸브를 작동시켜서 상기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상기 밸브실과 제1 통로를 연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상기 밸브실과 제2 통로를 연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출 수단이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인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팽창 밸브는, 공조 장치에 장착되어 냉매를 감압 팽창시켜 증발기로 공급하는 팽창 밸브로서, 증발기로 보내어지는 냉매가 통과하는 제1 통로 및 증발기에서 되돌아오는 제2 통로를 갖춘 밸브 본체와, 제1 통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냉매가 유입되는 밸브실과, 상기 밸브실 및 제1 통로 또는 제2 통로를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통로와, 바이패스 통로를 개폐하는 전자기 밸브와, 제2 통로에 설치되는 압력 스위치를 구비하며, 압력 스위치가 제2 통로 내의 냉매의 압력 저하를 검지하여 전자기 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기 밸브는, 플런저와, 플런저의 선단이 개폐하는 파일럿 밸브체를 구비하며, 바이패스 통로 내에 설치되는 도관이 파일럿 밸브체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팽창 밸브는 완전 폐쇄 상태 또는 완전 폐쇄 상태에 가까운 상태에서도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팽창 밸브를 냉매의 통로를 포함하는 면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우측면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우측면도이다.
전체를 도면 부호 1로 나타낸 팽창 밸브는 거의 각주 형상의 밸브 본체(10)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 본체(10)의 하부에는 냉동 사이클의 압축기측에서 나오는 액상의 냉매가 공급되는 입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12)는 밸브실(14)에 연통되어 있다. 밸브실(14) 내에는 볼 형상의 밸브체(40)가 밸브 시트(16)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밸브체(40)는 지지 부재(34)를 통해 스프링(32)으로 지지되어 있다.
밸브실(14)의 개구부에는 너트 부재(30)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너트 부재(30)를 나사결합을 통해 삽입함으로써 스프링(32)을 미리 압축하여, 소정의 스프링력으로 지지 부재(34)를 사이에 두고 밸브체(40)를 지지하는 너트 부재(30)에 밀봉 부재(36)를 부착하여 밸브실(14)을 밀봉할 수 있다.
밸브실(14)의 냉매는 밸브체(40)와 밸브 시트(16) 사이의 개구부를 통해 제1 통로(20)로 유출된다. 제1 통로(20)는 출구(22)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증발기로 보내어진다.
증발기에서 되돌아오는 냉매는 밸브 본체(10)에 설치된 제2 통로(50)를 통과하고, 도시되지 않은 압축기로 환류한다. 제2 통로 내의 냉매는 간극(52)을 통해 밸브 본체(10)의 상부에 부착되는 밸브체 구동 기구인 파워 엘리먼트(60)를 향하여 보내어진다.
파워 엘리먼트(60)는 밸브 본체(10)에 대하여 나사부(64)로 부착되는 본체(62)를 구비하고 있다. 더욱이, 본체(62) 내에 끼워 넣어지는 다이어프램(70) 를 구비하며, 다이어프램(70)에 의해 상부실(72a)과 하부실(72b)로 구획된다. 상부실(72a)에는 작동 유체가 들어 있고, 마개(66)로 봉해져 있다.
다이어프램(70)은 스토퍼(74)로 지지된다. 스토퍼(74)는 감온봉(80)과 일체로 또는 별도로 형성된다. 감온봉(80)은 제2 통로(50)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를 파워 엘리먼트(60)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감온봉(80)의 외주면에 열전도성이 낮은 수지(82)를 피복하여 필요한 열전도도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감온봉(80)의 하부에는 밸브체 구동 부재(90)가 부착되어 있고, 밸브체(40)에 밸브 시트(16)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또한, 감온봉(80)은 제1 통로(20)와 제2 통로(50) 사이의 연통을 방지하는 밀봉 부재로서 O-링(86)을 구비하고 있다.
이 팽창 밸브(1)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기 때문에, 증발기에서 되돌아와서 제2 통로(50)를 통과하는 냉매의 압력과 온도에 따라 설정되는 다이어프램(70)의 작동 위치에 따라 감온봉(80)과 밸브체 구동 부재(90)가 작동하여 밸브체(40)와 밸브 시트(16) 사이의 간격이 조정된다.
따라서, 증발기의 열부하가 큰 때에는, 밸브체(40)와 밸브 시트(16) 사이의 간격이 커져서 대량의 냉매가 증발기로 공급되며, 반대로 열부하가 작은 때에는 냉매의 유량이 적어진다.
열부하가 극히 작으면, 밸브체(40)는 완전히 폐쇄되거나 완전히 폐쇄된 상태와 비슷한 상태가 되고, 냉매 사이클 전체를 순환하는 냉매의 양이 부족해지며, 압축기 등의 윤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팽창 밸브는 밸브체가 완전히 폐쇄되거나 완전히 폐쇄된 상태와 비슷한 상태에 놓이더라도 필요한 최소한의 냉매를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증발기 쪽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본체(10)의 측면부에는 전자기 밸브(100)와 압력 스위치(200)가 부착되어 있다.
전자기 밸브(100)는, 케이싱(110)과, 케이싱(110)에 연결된 부착 부재(140)를 구비하고 있으며, 부착 부재(140)는 나사부를 통해 밸브 본체(10)에 형성된 바닥을 갖춘 개구부(26)에 부착되어 있다. 이 바닥을 갖춘 개구부(26)는 작은 구멍(24)을 통해 밸브실(14)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실(14)에 공급되는 냉매는 작은 구멍(24)을 통해 바닥을 갖춘 개구부(26)에도 도입되며, 통로(27)를 통해 제1 통로(20)와 연통되는 바이패스 통로가 형성된다.
전자기 밸브(100)는 케이싱(110) 내에 코일(120)을 구비하고 있으며, 코드(122)를 통해 전류가 공급되고 있다. 케이싱(110)의 중심부에는 실린더(124)가 배치되어 있고, 플런저(130)가 활주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실린더(124)의 바깥쪽에는 스토퍼(132)가 비스(136)로 고정되어 있다. 스토퍼(132)는 스프링(134)을 통해 플런저(130)에 계속해서 스토퍼(13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플런저(130)의 선단에는 파일럿 밸브체(150)가 활주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파일럿 밸브체(150)는 중심부에 밸브 구멍(152)을 갖추고 있다.
바닥을 갖춘 개구부(26)의 중심에는 파이프 형상의 도관(28)이 설치되어 있다. 이 도관(28)의 내경의 통로(27)는 바닥을 갖춘 개구부(26)와 밸브 본체의 제1 냉매 통로를 연통시킨다.
파일럿 밸브체(150)는 항상 플런저(130)에 내리 눌림으로써, 파일럿 밸브체(150)의 밸브 구멍(152)은 플런저(130)의 선단부에서 닫혀 있다. 파일럿 밸브체(150)의 바깥쪽의 배압실(160)에는 바닥을 갖춘 개구부(26)의 냉매가 도입되며, 그 배압에 의해 파일럿 밸브체(150)는 도관(28)의 개구부에 내리 눌림으로써 그 통로(27)를 폐쇄한다.
전자기 밸브(100)의 코일(120)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코일(120)의 자력에 의해 플런저(130)가 스토퍼(132) 쪽으로 되돌려진다. 플런저(130)의 선단부가 파일럿 밸브체(150)의 밸브 구멍(152)에서 떨어지면, 밸브 구멍(152)이 개방되고, 배압실(160)의 냉매가 밸브 구멍(152)을 통과하여 도관(28)의 통로(27)에 도입되어, 압력차가 줄어든다. 이에 의해 파일럿 밸브체(150)는 도관(28)의 선단에서 떨어져서, 바닥을 갖춘 개구부(26) 내의 냉매는 제1 통로(20) 쪽으로 흐르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밸브체(40)가 밸브 시트(16)를 막는 밸브 폐쇄 상태에서도, 냉매를 증발기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밸브 본체(10)의 냉매의 제2 통로(50)에 대하여 연통하는 개구부(54)가 설치되어 있고, 압력 스위치(200)가 부착되어 있다.
압력 스위치(200)는 부착 베이스(210)와 스위치 케이스(220)를 구비하고 있으며, 부착 베이스(210)의 밀봉 부재(214)를 통해 개구부(54)에 결합되어 있다. 부착 베이스(210)는 관통공(212)을 구비하고 있으며, 제2 통로(50)의 냉매가 유입된다.
스위치 케이스(220) 내에는, 고정 접점(250)과, 용수철 부재(260)로 지지된 가동 접점(262)이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 케이스(220) 내에 끼워 넣어지는 다이어프램(230)은 지지 부재(240)에 활주가능하게 설치된 작동 부재(242)를 통해 용수철 부재(260)를 조정한다.
밸브 본체(10)의 제2 통로(50)의 냉매는, 개구부(54)와 부착 베이스(210)의 관통공(212)을 통해 다이어프램의 한 쪽에 형성되는 압력실(232)에 도입된다. 압력실(232)의 냉매의 압력이 소정의 값보다 큰 때에는, 다이어프램(232)의 중심이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작동 부재(242)는 용수철 부재(260)를 누름으로써 가동 접점(262)을 고정 접점(250)에서 떨어뜨린다.
따라서, 제2 통로(50) 내의 냉매의 압력이 소정의 값보다 높으면, 접점은 개방되고, 리드선(270, 272) 사이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증발기의 열부하가 감소하면, 밸브체(40)는 밸브 폐쇄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통로(50) 내를 흐르는 냉매의 압력도 저하한다. 압력 스위치(200)는 이 압력 변화를 수용하고, 다이어프램(230)이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용수철 부재(260)는 가동 접점(262)을 고정 접점(250)에 접촉시킨다.
접점(250, 262)이 닫히면, 리드선(270, 272)에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는 도시되지 않은 컨트롤러를 통해 전자기 밸브(100)로 보내어진다. 전자기 밸브(100)의 코일(120)은 힘을 받아서, 파일럿 밸브체(150)를 개방하고, 밸브실(14)의 냉매를 도관(28)을 통해 제1 통로(20) 쪽으로 흐르게 한다. 도 3에서, 도면 부호 101 및 102는 팽창 밸브를 소정의 위치에 부착하기 위한 볼트 구멍을 가리킨다.
위에서는 저부하시에 그 압력 변화를 압력 스위치로 검출하고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압력 변화를 검지하기 위하여 압력 스위치가 아닌 압력 센서를 사용하여 이 센서의 출력에 따라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이러한 경우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저부하시의 압력 변화를 검출하고,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하는 것이다. 즉, 도 2의 실시 형태로 도시한 압력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전자기 밸브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도 4에 있어서, 도 2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 또는 그에 상당하는 부분을 가리키며, 압력 변화를 예를 들어 압축기의 토출 압력을 그 토출 배관에 부착한 압력 센서(도시 안됨)로 검출하고, 그 검출 출력을 컨트롤러(도시 안됨)에 출력하며, 소정의 공조 부하인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공조 부하가 소정의 값인 경우에는 컨트롤러로부터의 출력이 전자기 밸브(100)에 입력되고, 전자기 밸브(100)가 통전 상태가 되며, 통전 후에는 도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냉매가 바이패스 통로에서 제1 통로로 흐르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압력 센서에 의한 압력 변화의 검출에 한하지 않고, 온도 변화를 검출하여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바, 저부하시의 온도 변화를 검출하여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할 수 있다. 즉, 전자기 밸브(100)에는 예를 들어 차량용 공조 장치의 차 실내로의 공기 취출구의 온도를 온도 센서(도시 안됨)로 검출하고, 이 온도 센서의 출력을 컨트롤러(도시 안됨)에 입력하며, 컨트롤러에서 소정의 공조 부하인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소정의 공조 부하인 경우에는 컨트롤러로부터의 출력이 전자기 밸브(100)에 입력되고, 전자기 밸브(100)가 통전 상태로 되며, 통전 후에는 도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냉매가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제1 통로로 흐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바이패스 통로로서 제1 통로와 연통하고 증발기에 냉매를 공급하는 경우에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만 국한되지 않고, 바이패스 통로로서 제2 통로에 연통되어 증발기에 냉매를 공급함이 없이 냉매를 순환시키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경우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제2 통로(50)와 바이패스 통로를 연통하는 통로(56)가 밸브 본체(10) 내에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도 4의 실시 형태와 동일하거나 그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소정의 공조 부하인 경우에, 컨트롤러로부터의 출력이 전자기 밸브(100)에 입력되고, 전자기 밸브(100)는 통전 상태가 된다. 그 결과, 도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작은 구멍(24), 바닥을 갖춘 개구부(26) 및 통로(27)에 의한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통로(56)에서 제2 통로(50) 쪽으로 냉매가 흐르게 된다.
더욱이, 도 5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압력 스위치(20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압력 스위치(200)를 부착 베이스(210)를 통해 밸브 본체(10)에 부착하고, 압력 스위치(200)의 접점을 폐쇄함으로써 도 2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통로(56)에서 제2 통로(50) 쪽으로 냉매가 흐르게 된다.
본 발명의 팽창 밸브에 의하면, 공조 부하가 저부하가 되어 팽창 밸브가 완전 폐쇄 상태 또는 완전 폐쇄 상태에 가까운 상태에 놓여도, 필요한 최소한의 냉매를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순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냉매 사이클 전체를 순환하는 냉매의 양이 부족하여 압축기 등의 윤활이 만족스럽지 않은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매 사이클 내의 기기의 윤활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냉매 사이클의 신뢰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Claims (11)

  1. 공조 장치에 장착되어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감압 팽창하여 증발기에 공급하는 팽창 밸브로서,
    상기 압축기로부터 나온 냉매가 유입되는 밸브실과, 상기 밸브실 내에 형성된 밸브 시트와 접촉 및 분리되어 상기 밸브 시트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밸브체와,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밸브실과 연통하고 상기 밸브실 내의 냉매를 상기 증발기를 향하여 보내는 제1 통로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상기 압축기로 돌아오는 냉매가 통과하는 제2 통로와, 상기 밸브실 내의 냉매를 상기 압축기에 공급하는 바이패스 통로와, 상기 바이패스 통로를 개폐하는 전자기 밸브와, 공조 부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가 전폐 또는 그것에 가까운 상태가 되는 공조 부하를 상기 검출 수단이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전자기 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통로가 상기 밸브실과 제2 통로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압축기의 토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이 공조 장치의 공기 취출구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6. 공조장치에 장착되어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감압 팽창하여 증발기에 공급하는 팽창 밸브로서,
    팽창 밸브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압축기측으로부터 냉매가 공급되는 밸브실과, 상기 밸브실 내에 형성된 밸브 시트와 접촉 및 분리되어 상기 밸브 시트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밸브체와,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밸브실과 연통하고 상기 밸브실 내의 냉매를 상기 증발기를 향하여 보내는 제1 통로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상기 압축기로 돌아가는 냉매가 통과하는 제2 통로와, 상기 밸브실 내의 냉매를 상기 증발기에 공급하는 바이패스 통로와, 상기 바이패스 통로를 개폐하는 전자기 밸브와, 공조 부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가 전폐 또는 그것에 가까운 상태가 되는 공조 부하를 상기 검출 수단이 검출한 경우에 상기 전자기 밸브를 작동시켜 상기 바이패스 통로를 개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밸브는, 밸브 구멍을 가지는 파일럿 밸브체와, 상기 밸브 구멍을 개폐하는 플런저를 구비하고,
    상기 바이패스 통로의 일단에 상기 파일럿 밸브체가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 통로의 일단이 상기 파일럿 밸브체 및 상기 플런저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통로가 상기 밸브실과 제1 통로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압축기의 토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이 공조 장치의 공기 취출구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11. 제3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제2 통로 내의 냉매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 밸브.
KR1020000024432A 1999-05-11 2000-05-08 팽창 밸브 KR100706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0311/1999 1999-05-11
JP13031199 1999-05-11
JP278570/1999 1999-09-30
JP27857099A JP4153133B2 (ja) 1999-05-11 1999-09-30 膨張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7185A KR20000077185A (ko) 2000-12-26
KR100706970B1 true KR100706970B1 (ko) 2007-04-13

Family

ID=2646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4432A KR100706970B1 (ko) 1999-05-11 2000-05-08 팽창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33956B1 (ko)
EP (1) EP1052463B1 (ko)
JP (1) JP4153133B2 (ko)
KR (1) KR100706970B1 (ko)
CN (1) CN1141540C (ko)
DE (1) DE6002865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2869B1 (en) * 2000-06-30 2001-08-14 American Standard International Inc. Multiple orifice expansion device
US6397614B1 (en) * 2001-02-22 2002-06-04 Scroll Technologies Modified expansion device for refrigerant cycle low charge operation
JP3995513B2 (ja) * 2001-06-19 2007-10-24 株式会社デンソー 圧力検出機能を有する膨張弁
US6615599B1 (en) * 2002-06-26 2003-09-09 Delphi Technologies Inc. Thermostatic expansion valv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low refrigerant charge
JP4118740B2 (ja) * 2002-07-11 2008-07-16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膨張弁
JP4067936B2 (ja) * 2002-10-29 2008-03-26 株式会社不二工機 電磁弁一体型膨張弁
JP2004263851A (ja) * 2003-01-06 2004-09-24 Tgk Co Ltd 切換弁
JP2005098597A (ja) * 2003-09-25 2005-04-14 Tgk Co Ltd 冷凍サイクル
JP4255807B2 (ja) * 2003-11-06 2009-04-15 株式会社不二工機 電磁リリーフ弁付膨張弁
DE102005009831B4 (de) 2004-03-03 2018-08-02 Otto Egelhof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ntil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 Expansionsventil sowie eine Ventilanordnung
CN100543384C (zh) 2004-10-21 2009-09-23 丹福斯有限公司 用于致冷系统中的膨胀阀和致冷系统
DE102005042448A1 (de) * 2005-09-06 2007-03-08 Otto Egelhof Gmbh & Co. Kg Expansionsventil
DE102006020457A1 (de) * 2006-04-28 2007-11-15 Otto Egelhof Gmbh & Co. Kg Thermokopf für Expansionsventile
FR2912495B1 (fr) * 2007-02-14 2012-11-16 Valeo Systemes Thermiques Organe de detente d'un fluide refrigerant circulant a l'interieur d'une boucle de climatisation d'un vehicule automobile
JP5136109B2 (ja) * 2008-02-18 2013-02-06 株式会社デンソー 膨張弁
CN101684974B (zh) * 2008-09-26 2011-04-13 王朝阳 应用于空调系统中的带旁路的热力膨胀阀
CN102003849B (zh) * 2010-11-02 2012-12-05 广东恒基金属制品实业有限公司 一种微机电硅膨胀阀
CN102434681B (zh) * 2011-09-29 2013-05-08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电磁驱动式膨胀阀
CN102538319B (zh) * 2012-02-28 2014-04-30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双向节流电子膨胀阀
US9398722B1 (en) * 2013-09-03 2016-07-19 Mainstream Engineering Corporation Cold plate with insertable integrated thermostatic expansion device and sensing element
CN104567140A (zh) * 2014-12-16 2015-04-29 合肥三艾汽车配件有限公司 膨胀阀
JP6565737B2 (ja) * 2016-02-24 2019-08-28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7150730A (ja) * 2016-02-24 2017-08-31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凍サイクル装置
JP6700974B2 (ja) * 2016-05-25 2020-05-27 株式会社不二工機 電気式膨張弁
JP6478958B2 (ja) * 2016-09-02 2019-03-06 株式会社不二工機 制御弁
CN110732697B (zh) * 2018-07-18 2022-11-18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膨胀阀的加工方法及膨胀阀
CN110878996B (zh) * 2018-09-06 2021-09-28 天津华信机械有限公司 多功能膨胀阀和空调系统
CN111503293A (zh) * 2019-01-30 2020-08-07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电子膨胀阀以及热管理组件
CN111720584B (zh) * 2019-03-20 2022-09-23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控制阀和空调系统
CN111720559B (zh) * 2019-03-20 2022-09-23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控制阀及空调系统
CN111720583B (zh) * 2019-03-20 2023-07-18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控制阀、空调系统及控制阀的加工方法
DE102020204325A1 (de) 2020-04-02 2021-10-07 Psa Automobiles Sa Anordnung zur lösbaren Montage eines Senso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6324A (ja) * 1992-01-20 1993-08-06 Nippondenso Co Ltd 冷凍サイクル用膨張弁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0502A (en) * 1962-07-25 1964-09-29 Singer Co No-freeze refrigerant control
US3363433A (en) * 1965-08-27 1968-01-16 Jackes Evans Mfg Company Pilot operated control valve
US3839879A (en) * 1973-05-04 1974-10-08 H Redfern Defroster with auxiliary heater for display cases
GB2150273A (en) * 1983-10-03 1985-06-26 Emhart Ind Refrigeration systems
JPH0124677Y2 (ko) * 1986-04-19 1989-07-26
US4688390A (en) * 1986-05-27 1987-08-25 American Standard Inc. Refrigerant control for multiple heat exchangers
JP3397862B2 (ja) * 1993-11-30 2003-04-21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弁付膨張弁
JPH08145507A (ja) * 1994-11-24 1996-06-07 Sanyo Electric Co Ltd 冷媒流量制御弁及び冷媒流量制御弁を用いた冷凍装置
IT1268893B1 (it) * 1994-12-21 1997-03-13 Carpigiani Group Ali Srl Macchina combinata per la produzione alternativa di granite o di gelato.
KR0159656B1 (ko) * 1995-05-18 1999-01-15 배순훈 자동 트레이 체인저용 반전장치
JPH0914797A (ja) * 1995-06-27 1997-01-17 Nippondenso Co Ltd 電磁弁一体型膨張弁
JP3130246B2 (ja) * 1995-07-13 2001-01-31 太平洋工業株式会社 温度式膨張弁
JP3794100B2 (ja) * 1996-07-01 2006-07-0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弁一体型膨張弁
JP3442949B2 (ja) * 1996-12-13 2003-09-02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可変容量圧縮機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
JP3712827B2 (ja) * 1997-05-26 2005-11-02 株式会社鷺宮製作所 冷凍冷蔵装置、冷媒流量補正用バイパス弁および温度膨張弁
JP3882299B2 (ja) * 1997-12-22 2007-02-14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弁一体型膨張弁
JP2000097521A (ja) * 1998-09-24 2000-04-04 Tgk Co Ltd 膨張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6324A (ja) * 1992-01-20 1993-08-06 Nippondenso Co Ltd 冷凍サイクル用膨張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28656T2 (de) 2007-05-16
EP1052463B1 (en) 2006-06-14
EP1052463A3 (en) 2002-05-22
CN1273352A (zh) 2000-11-15
JP4153133B2 (ja) 2008-09-17
JP2001027457A (ja) 2001-01-30
CN1141540C (zh) 2004-03-10
EP1052463A2 (en) 2000-11-15
DE60028656D1 (de) 2006-07-27
US6233956B1 (en) 2001-05-22
KR20000077185A (ko) 2000-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970B1 (ko) 팽창 밸브
KR101012529B1 (ko) 공조장치
EP2889553B1 (en) Flow control valve, refrig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6390782B1 (en) Control valve for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20070092328A (ko) 가변용량형 압축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2053244A2 (en) Displacement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H09119375A (ja) 圧縮機における入口流れを電子的に制御し逆流を防止する装置と方法
EP1837520A1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KR101049919B1 (ko) 전자 릴리프밸브부착 팽창밸브
EP1403577B1 (en) Solenoid valve-equipped expansion valve
US6449971B1 (en) Air-conditioning system
EP1600841B1 (en) Flow rate control valve
KR19980024054A (ko) 팽창 밸브
EP0602996A1 (en) Dual capacity thermal expansion valve
EP3239520B1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EP0652123A1 (en) Refrigerating system with auxiliary compressor-cooling device
CN107009016A (zh) 焊接帽冷却水控制系统
KR101020808B1 (ko) 전자 밸브 일체형 팽창 밸브
EP1380801B1 (en) Expansion valve
EP1637736A2 (en) Control valve for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20190211938A1 (en) Minimum Pressure Valve for a Screw Compressor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 Utility Vehicle
JP2006199183A (ja) 膨張装置
KR19990083040A (ko) 폐 루우프 재순환 시스템에서의 냉매(冷媒) 제어
JP3786518B2 (ja) 電磁弁付膨張弁
JP4566150B2 (ja) 電磁弁一体型膨張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