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0462B1 - 무논용 수면 부유성 농약 조성물, 그의 사용 방법 및 그의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무논용 수면 부유성 농약 조성물, 그의 사용 방법 및 그의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0462B1
KR100690462B1 KR1020017008584A KR20017008584A KR100690462B1 KR 100690462 B1 KR100690462 B1 KR 100690462B1 KR 1020017008584 A KR1020017008584 A KR 1020017008584A KR 20017008584 A KR20017008584 A KR 20017008584A KR 100690462 B1 KR100690462 B1 KR 100690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pesticide
water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4322A (ko
Inventor
마사오 요꼬야마
겐시로 하마무라
마사루 마에다
히로시 기꾸가와
야스히로 오꾸무라
마나부 시미즈
겐고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4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4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 A01N37/2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containing the group; Thio analogu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ingredients stabilising the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 A01N3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to-oxygen bonds
    • A01N33/18Nitro compounds
    • A01N33/20Nitro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ttached to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the nitro group
    • A01N33/22Nitro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ttached to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the nitro group having at least one oxygen or sulfur atom and at least one nitro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same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61,2-Diazoles; Hydrogenated 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6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 >N—CO—N< directly attached to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Thio analogue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무논에 직접 사용하는 에너지 절약형 수면 부유성 농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농약 조성물은 농약 활성 성분, 계면 활성제에 추가로 (1) 탄산염 및 고체산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조성물 중에 기포 및(또는) 오목부를 갖거나, (2)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를 함유하거나, 또는 (3)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 결합제 및 붕괴제를 함유하고, 상기 조성물의 밀도가 1 g/cm3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농약 조성물은 무논에 투입한 후, 수면에 부유되고, 농약 활성 성분을 확산시켜 투입 지점의 토양 표면에는 약제 처리 흔적이 남지 않으며, 약효의 편중이 없다는 특성을 나타낸다.
부유성 농약 조성물, 탄산염, 고체산

Description

무논용 수면 부유성 농약 조성물, 그의 사용 방법 및 그의 제조 방법{Floating Pesticide Compositions for Paddy Fields, Method for The Utilization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특히 무논에 직접 시용하는 에너지 절약형 수면 부유성 농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논에 들어가지 않고 뿌릴 수 있는 농약 조성물이 많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들 대부분은 무논에 뿌렸을 때 토양 표면에 침강된다. 이 경우, 약효면에서 투입 지점과 그로부터 떨어진 지점 사이에 효과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 관찰될 뿐만아니라, 약제 처리 지점 부근에 그 흔적이 남거나 농약 활성 성분이 국소적으로 잔류하는 등의 문제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가 일본 특개평 5-13990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는 농약 활성 성분, 탄산염, 수용성 고체산 및 무기 부유성 물질을 함유하는 고체형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에 시용하기 위한 발포성 농약 제제가 기재되어 있으며, 이 무기 부유성 물질은 수면에 투하했을 때 그 자체가 수면에 부유하는 펄라이트 및 백사(白砂) 벌룬 등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 사용되고 있는 펄라이트 및 백사 벌룬 등은 수면에 사용한 직후에는 부유하지만, 단시간만에 수중에 침강해버려 소기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는 무논 직접 사용형 농약 조성물 중 하나인 정제 농약 조성물에 있어서는, 그 제조 방법의 주류가 고압에서 압축하고 성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대규모 전용 시설이 필요하여 제조 비용면에서 충분히 만족할 수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은 특히 무논에 직접 시용하는 에너지 절약형 수면 부유성 농약 조성물 (이하, 간단히 "농약 조성물"이라고 칭함)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농약 활성 성분, 계면 활성제에 추가로 (1) 탄산염 및 고체산을 함유하는 조성물 중에 기포 및(또는) 오목부를 갖거나, (2)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를 함유하거나, 또는 (3)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 결합제 및 붕괴제를 함유하는 수면 부유성 농약 조성물, 특히 무논용 수면 부유성 농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농약 조성물을 무논에 직접 시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농약 활성 성분,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는 무논용 수면 부유성 농약 조성물로서, 추가로 (1) 탄산염 및 고체산을 함유하는 조성물 중에 기포 및(또는) 오목부를 갖거나, (2)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를 함유하거나, 또는 (3)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 결합제 및 붕괴제를 함유하는 농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농약 조성물은 수용성 필름으로 피복되며, 팩제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둘째로 상기한 농약 조성물을 무논에 직접 시용하는 방법,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농약 조성물을 무논에 직접 시용하여 유해 생물을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 방법은 농약 조성물을 무논에 투입하는 방법 및 입수시에 수구 또는 급수통에 사용하는 방법 등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무논 사용은 모내기 전, 모내기 후 언제라도 좋다.
본 발명은 세째로 농약 활성 성분, 계면 활성제,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 결합제 및 붕괴제를 함유하고, 밀도가 1 g/cm3 미만인 무논용 수면 부유성 정제 농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정제화시의 정제화 기기에 의한 가압도가 1 내지 150 kg/c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 방법은 고압에서의 압축 성형을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낮게 억제된다.
별도의 태양에서 본 발명은 농약 활성 성분, 계면 활성제 및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논용 수면 부유성 입자형 농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무논용 수면 부유성 입자형 농약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자기 확산형의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입자형 농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입자형 농약 조성물을 무논에 직접 시용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또한, 별도의 태양에서 본 발명은 농약 활성 성분, 계면 활성제,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 결합제 및 붕괴제를 함유하고, 이 배합물의 밀도가 1 g/cm3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논용 수면 부유성 정제 농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정제 농약 조성물을 무논에 직접 시용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징, 우수성 및 그가 갖는 관점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명백할 것이다. 그러나, 이하의 기재 및 구체적인 실시예 등의 기재를 포함한 본건 명세서의 기재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을 나타내는 것이며, 설명을 위해서만 나타냈다는 것을 이해해 주길 바란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의도 및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화 및(또는) 개질 (또는 수식)을 행하는 것은 이하의 기재 및 본 명세서의 그 밖의 부분의 지식에 의해 당업자에게 명확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및(또는)"은 (1) 병합적 접속 관계와 (2) 선택적 접속 관계 두가지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기포 및(또는) 오목부"의 경우에는 (1) 기포 및 오목부 및 (2) 기포 또는 오목부 두가지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그 밖에 있어서도 용어 "및(또는)"은 마찬가지로 (1) 병합적 접속 관계와 (2) 선택적 접속 관계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통상 의약 분야 및 농약 분야에서 실시되는 방법 또는 그에 준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 중, 조성물 중에 기포 및(또는) 오목부를 갖는 것은, 농약 활성 성분, 계면 활성제, 탄산염 및 고체산 및 목적에 따라 결합제와 물 또는 수분 함유 물질을 혼합하고, 탄산염 및 고체산을 부분적으로 반응시켜 탄산 가스를 발생시키면서 형틀 용기에 충전하거나, 또는 상기 성분과 물 또는 수분 함유 물질을 혼합하여 형틀 용기에 충전한 후, 탄산염 및 고체산을 부분적으로 반응시켜 탄산 가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탄산 가스 및(또는) 공기를 주로 포함하는 기포 및(또는) 오목부를 갖는 농약 조성물로서 제조되지만, 그 제조 과정 중의 임의의 단계에서 적절하게 가열을 수반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가열을 수반함으로써 여러가지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① 탄산 가스의 발생을 촉진할 수 있고, ② 기포에 포함되어 있는 탄산 가스 및(또는) 공기의 체적을 팽창시켜 농약 조성물의 부유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③ 농약 조성물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④ 농약 조성물을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을 들 수 있다. 가열을 수반했을 때 농약 조성물을 적절하게 방냉 또는 냉각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조 과정에서 농약 조성물을 건조할 수도 있는데, 그 조건은 상온하 또는 가열하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고, 상압하 또는 감압하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농약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공기는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 제조 단계, 예를 들면 혼합, 가열, 방냉, 냉각, 건조 등의 단계에서 포함되거나,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 제조 단계, 제조 후 또는 보관시 등에 있어서 탄산염 및 고체산 반응에 의해 발생한 탄산 가스와 치환되는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 함유 물질 (물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매체)을 사용하는 것은, 미량의 물을 효율적으로 탄산염 및 고체산과 반응시키는 데 있어서 유효하게 사용되는 수단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분 함유 물질로서는 유기 용매, 고분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수분 함유 물질은 미리 수분을 포함하는 형태로 공급될 수도, 사용시에 수분을 첨가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를 함유하는 농약 조성물은 농약 활성 성분, 계면 활성제,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 필요에 따라 담체, 결합제, 물리성 개량제, 안정화제, 붕괴제 등의 보조제를 혼합하여 해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입자형 농약 조성물의 경우, 상기 혼합물을 가수 혼련하여 압출 제립기를 사용하여 제립한 후, 건조 정립한다. 또한, 분체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면서 전동 제립기로 제립하여 건조, 정립할 수도 있다. 또한, 분체 혼합물을 물에 분산시키고 분무 제립기를 사용하여 제립 (필요에 따라 정립)할 수도 있고, 분체 혼합물을 유동시키면서 농약 활성 성분, 계면 활성제,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 필요에 따라 담체, 결합제, 물리성 개량제, 안정화제 등을 스프레이하여 제립하는 유동층 제립기에 의해 제조하고, 정립할 수도 있다. 정립된 개개 입자의 입경은 취급의 편이성, 조성물의 붕괴성을 고려하면 일반적으로는 0.1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6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 mm의 범위이다. 또한, 입자 1개 당 중량은 1 g 미만이다.
정제 농약 조성물의 경우, 농약 활성 성분과 계면 활성제와 붕괴제를 혼합하거나, 또는 계면 활성제와 붕괴제를 미리 혼합해 둔 것과 농약 활성 성분을 혼합하여 이들 입경을 1 내지 200 ㎛로 분쇄하고, 여기에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 및 결합제를 첨가하여 타정기 또는 브리케팅 머신 (briquetting machine)을 사용하여 성형한다. 이 경우, 정제 농약 조성물에 대하여 물에 부유하는 성질을 갖게 하기 위해서 제품 밀도가 1 g/cm3 미만이 되도록 가압도를 적절하게 조정한다. 가압도는 제조 기기 (정제화 기기)에 따라 다르지만, 1 kg/cm2 내지 150 kg/cm2이 바람직하고, 20 kg/cm2 내지 100 kg/cm2이 더욱 바람직하며, 제조된 정제 농약 조성물의 제품 밀도는 0.3 내지 0.99 g/cm3, 바람직하기로는 0.8 내지 0.95 g/cm3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조되는 정제 농약 조성물이란 여러가지 형상의 것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정제형, 구형, 원주, 직방체, 입방체, 계란형, 아몬드형, 탄소 덩어리형, 도너츠형, 렌즈형, 낚시바늘형, 원형판형, 장방형판형, 각형판형, 막대형, 타원구 등일 수도 있지만, 부유성, 취급성 등을 고려하면 정제, 아몬드형, 탄소 덩어리형, 렌즈형 및 브리켓 등의 괴상 형상이 바람직하다.
형상에 따라 약효가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므로 여러가지 형상, 크기, 중량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형상이 정제형인 경우에는 1개 당 크기가 직경 1 cm 내지 7 cm, 두께 1 cm 내지 5 cm, 무게 1 g 내지 110 g인 것이 제조상, 약제 사용상 바람직하다. 그 밖의 형상의 것은 정제형과 동일할 정도로 성형한다. 너무 무거우면 흙 속에 묻히거나, 충분한 확장이 보여지지 않으며, 너무 가벼우면 생산성 및 소구분성 또는 살포 작업의 에너지 절약화로의 공헌성이 저하된다.
조성물 중에 탈기 및(또는) 오목부를 갖는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조성물 중에 기포 (수분 존재하에서 탄산염 및 고체산을 부분적으로 반응시킴으로써 발생시킨 탄산 가스 및(또는) 상기 탄산 가스를 치환한 공기를 주로 포함) 및(또는) 오목부를 갖고 있으며, 그와 동시에 탄산염 및 고체산의 잔부와 무논과의 반응에 의해 발포 (탄산 가스를 발생)하는 점으로부터 통상 무논에 시용되면 수면에 부유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조성물 중에 기포 및(또는) 오목부를 갖는 점으로부터 무논과의 접촉 면적이 크고, 결과적으로 탄산 가스의 발생이 조장되어 농약 조성물이 광범위에 걸쳐 부유되므로 농약 성분을 무논 전체 영역에 효율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논에 시용되었을 때 수면에 부유되고, 계면 활성제의 효력이 중심이 되어 농약 활성 성분을 매우 효과적으로 무논 전역에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 특히 입자형 농약 조성물을 팩제로서 사용하면, 그 벌크 밀도에 따라서는 일단 수중에 가라앉는 경우가 있지만, 그러한 경우라도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팩제 자체가 그 후 수면에 부유되거나, 또는 팩제로부터 방출된 농약 조성물이 수면에 부유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원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 결합제 및 붕괴제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조성물 중에 폐쇄형 중공체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무논 에 시용되면 수면에 부유된다. 또한, 그와 동시에 붕괴제에 의해 수면에 부유된 농약 조성물은 붕괴된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부유와 동시에 붕괴하며, 계면 활성제로 농약 조성물이 광범위에 걸쳐 부유하기 때문에 농약 활성 성분을 무논 전역에 효율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국소 살포만으로 농약 활성 성분이 국소적으로 잔류하지 않고 무논 전역으로 확산되며, 벼에 대한 농약 피해 없이 유해 생물을 방제할 수 있는 살포 작업력이 대폭 절약된 농약 조성물이다. 또한, 부유성이 우수한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농약 활성 성분이 모두 무논에 용해 내지 효율적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약제 처리 지점에 그 흔적이 남지 않는다는 이점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간편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정제 농약 조성물의 경우,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특별한 시설을 요하는 고압에서의 압축 성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비용도 절약된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특징, 이점을 갖는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매우 실용성이 높은 것이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로 사용하는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는 제초제 유효 성분, 식물 성장 조정제 유효 성분, 살균제 유효 성분, 살충제 유효 성분을 들 수 있다. 이들에 대하여 이하에 예시하지만, 본 발명에서의 농약 활성 성분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특별하게 기재하지 않는 경우라도 이들 유효 성분 화합물에 염, 알킬에스테르 등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당연히 그것들도 포함된다.
제초제 유효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S-(4-클로로벤질)-N,N-디에틸티오카바 메이트 [일반명: 벤치오카브] 등의 카바메이트계 유효 성분; 1-(α,α-디메틸벤질)-3-(파라톨릴)요소 [일반명: 다이므론] 등의 요소계 유효 성분; 2-클로로-N-에톡시메틸-6'-에틸아세트-0-톨루이다이드 [일반명: 아세토크로르] , 2-클로로-2',6'-디에틸-N-(부톡시메틸)아세트아닐리드 [일반명: 부타크로르], 2-클로로-N-(3-메톡시-2-테닐)-2',6'-디메틸아세트아닐리드 [일반명: 테닐크로르], 2-클로로-2',6'-디에틸-N- (2-프로폭시에틸)아세트아닐리드 [일반명: 프레틸라크롤], (RS)-2-브로모-N-(α,α -디메틸벤질)-3,3-디메틸부틸아미드 [일반명: 브로모부티드] 등의 아미드계 유효 성분;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일반명: 2,4-D], 2-메틸-4-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일반명: MCP], 2-메틸-4-클로로페녹시부티르산 [일반명: MCPB] 등의 페녹시계 유효 성분; 2-[4-(2,4-디클로로벤조일)-1,3-디메틸피라졸-5-일옥시]아세토페논 [일반명: 피라족시펜], 4-(2,4-디클로로벤조일)-1,3-디메틸-5-피라졸릴-p-톨루엔술포네이트 [일반명: 피라졸레이트], 2-[4-(2,4-디클로로 -m-톨루오일)-1,3-디메톡시피라졸-5-일옥시]-4'-메틸아세토페논 [일반명: 벤조페납] 등의 피라졸계 유효 성분; 2-메틸티오-4,6-비스(에틸아미노)-s-트리아진 [일반명: 시메트린], 2-메틸티오-4-에틸아미노-6-(1,2-디메틸프로필아미노)-s-트리아진 [일반명: 디메타메트린] 등의 트리아진계 유효 성분; 5-(2,4-디클로로페녹시)-2-니트로아니솔 [일반명: 크로메톡시펜], 5-(2,4-디클로로페녹시)-2-니트로벤조산메틸 [일반명: 비페녹스] 등의 디페닐에테르계 유효 성분; 2-아미노-3-클로로-1,4-나프토퀴논 [일반명: ACN], (RS)-2-[2-(3-클로로페닐)-2,3-에폭시프로필]-2-에틸인단-1,3-디온 [일반명: 인다노판] 등의 축합환계 유효 성분; O,O-디이소프로필-2-(벤젠 술폰아미드)에틸디티오포스페이트 [일반명: SAP] 등의 인계 유효 성분; N-(1-에틸프로필)-3,4-디메틸 -2,6-디니트로아닐린 [일반명: 펜디메탈린] 등의 디니트로아닐린계 유효 성분; 메틸 α-(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카르바모일술파모일)-o-톨루에이트 [일반명: 벤설푸론메틸], 에틸 5-(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카르바모이술파모일)-1-메틸피라졸-4-카르복실레이트 [일반명: 피라조설푸론에틸], 1-(2-클로로이미다조[1,2-a]피리딘-3-일술포닐)-3-(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요소 [일반명: 이마조설푸론], 1-(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3-[1-메틸-4-(2-메틸 2H-테트라졸-5-일)피라졸-5-일술포닐]요소 [일반명: 아짐설푸론] 등의 술포닐요소계 유효 성분; N,N-디에틸-3-메시틸술포닐-1H-1,2,4-트리아졸-1-카르복사미드 [일반명: 카펜스트롤], 메틸 2-[(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옥시]-6-[1-(메톡시이미노)에틸]벤조에이트 [일반명: 피리미노박메틸], 5-tert-부틸-3-[2,4-디클로로-5-(프로프-2-이닐옥시)페닐]-1,3,4-옥사디아졸-2(3H)-온 [일반명: 옥사디아르길], 3-(4-클로로-5-시클로펜틸옥시-2-플루오로페닐)-5-(1-메틸에틸리딘)옥사졸리딘-2,4-디온 [일반명: 펜토크사존], n-부틸 2-[4-(2-플루오로-4-시아노페녹시)페녹시]프로피오네이토 [일반명: 시할로호프부틸], 4-(2-클로로페닐)-N-시클로헥실-4,5-디히드로-N-에틸-5-옥소 -1H-테트라졸-1-카르복시아미드, [3-(2-클로로-4-메틸술포닐벤조일)-4-페닐티오]비시클로 [3.2.1]옥트-3-엔-2-온 [일반명: 벤조비시클론] 등의 복소환계 유효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식물 성장 조정제 유효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2RS, 3RS)-1-(4-클로로페닐)-4,4-디메틸-2-(1H-1,2,4-트리아졸-1-일)펜탄-3-올 [일반명: 파크로부토라졸] 등의 복소환계 유효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 유효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0,0-디이소프로필-S-벤질티오포스페이트 [일반명: IBP] 등의 유기 인계 유효 성분; α,α,α-트리플루오로-3'-이소프로폭시-o-톨루아닐리드 [일반명: 플루토라닐] 등의 아미드계 유효 성분; 3-알릴옥시-1,2-벤조이소티아졸-1,1-디옥시드 [일반명: 프로베나졸], 1,2,5,6-테트라히드로피롤로[3,2,1-ij]퀴놀린-4-온 [일반명: 피로크론] 등의 복소환계 유효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살충제 유효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0,0-디에틸 0-(2-이소프로필-6-메틸피리미딘-4-일)포스포로티오에이트 [일반명: 다이아지논] 등의 유기 인계 유효 성분; 1-나프틸-N-메틸카바메이트 [일반명: NAC] 등의 카바메이트계 유효 성분; (RS) -α-시아노-3-페녹시벤질 (RS)-2,2-디클로로-1-(4-에톡시페닐)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일반명: 시클로프로트린], 2-(4-에톡시페닐)-2-메틸프로필 3-페녹시벤질에테르 [일반명: 에토펜프록스] 등의 피레스로이드계 유효 성분; 1-(6-클로로-3-피리딜메틸)-N-니트로이미다졸리딘-2-일리덴아민 [일반명: 이미다크로프리드], N,N-디메틸-1,2,3-트리티안-5-일아민 [일반명: 티오시크람] 등의 복소환계 유효 성분; S,S'-2-디메틸아미노트리메틸렌 디(벤젠티오술포네이토) [일반명: 벤설탑] 등의 방향환계 유효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농약 활성 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혼합하는 경우의 비율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농약 조성물 중의 농약 활성 성분의 배합 비율은 그들의 종류, 사용 목적별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 0.01 내지 80 중량%의 범위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농약 활성 성분이 고체인 경우, 물에 대한 용해성 및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미리 분쇄함으로써 입경을 1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의 미립자로서 사용한다. 또한, 농약 활성 성분이 실온에서 액상인 경우, 농약 활성 성분은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 표면, 후술하는 담체, 결합제, 물리성 개량제 등에 흡착 또는 담지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 중에서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농약 활성 성분이 실온에서 고형상 내지 유기 용매에 고도로 가용성인 경우, 농약 활성 성분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유기 용매에 용해하여 실온에서 액상인 농약 활성 성분과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실온에서 고형상 내지 유기 용매에 고도로 가용성인 농약 활성 성분을 용해하는 유기 용매로서는 여러 가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크실렌, 에틸벤젠, 트리메틸벤젠, 프로필벤젠, 이소프로필벤젠, 디에틸벤젠, sec-부틸벤젠, tert-부틸벤젠, 펜틸벤젠, 트리에틸벤젠, tert-부틸톨루엔, 폴리에틸벤젠, 디아밀벤젠, 디이소프로필벤젠, 시멘, 아밀나프탈렌, 테트라린, 데카린, 방향족 석유 나프타, 경솔벤트 나프타, 중솔벤트 나프타 등의 탄화수소류; 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메틸알콜, 에틸알콜, 프로필알콜, 이소프로필알콜, 펜탄올, 헥산올, 옥탄올, 밀리스틸알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올레일알콜, 데칸올, 도데실알콜 등의 알콜류; 아니솔, 페네톨, 부틸페닐에테르, 메틸아니솔, 디헥실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트산, 올레산, 라우린산, 밀리스트산, 팔미트산, 아디프산, 아디프산 디이소데실, 아디프산 이소데실, 말레산, 세박산, 프탈산, 트리멜리트산 등의 카르복실산류의 각종 에스테르류, 구체적으로 는 벤질에스테르,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프로필에스테르, 이소프로필에스테르, 부틸에스테르, 2-에틸헥실에스테르, 올레일에스테르, 데실에스테르, 이소부틸에스테르, 이소데실에스테르, 옥틸에스테르, 노닐에스테르, 이소노닐에스테르, 도데실에스테르, 트리데실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용매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혼합하는 경우의 비율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농약 조성물 중의 유기 용매의 배합 비율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 0.5 내지 40 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염, 폴리카르복실산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알킬황산염, 알킬아릴황산염, 알킬디글리콜에테르황산염, 알콜황산에스테르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아릴술폰산염, 아릴술폰산염, 리그닌술폰산염, 알킬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염, 폴리스티렌술폰산염, 알킬인산에스테르염, 알킬아릴인산염, 스티릴아릴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인산에스테르염, 나프탈렌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의 염, 폴리아크릴산염, 아크릴산나트륨 호모 중합체, 이소부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등의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폴리글리세라이드, 지방산 알콜폴리글리콜에테르, 아세틸렌글리콜, 아세틸렌알콜, 옥시알킬렌 블록 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프로필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등의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혼합하는 경우의 비율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농약 조성물 중의 계면 활성제의 배합 비율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 0.1 내지 40 중량%의 범위이다. 이들 계면 활성제는 통상 농약 활성 성분의 무논 중에서의 확산을 보조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사용되지만, 그 중에는 결합제 (농약 조성물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 또는 붕괴제로서의 기능을 다하는 것도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로서는 세라믹제의 것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평균 입경이 4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상품명 이스피아즈 SL-150, 이스피아즈 SL-350 (모두 엔바이로스피아즈사 제조) 등의 세라믹 필러 등을 들 수 있다. 폐쇄형 중공체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혼합하는 경우의 비율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농약 조성물 중의 폐쇄형 중공체의 배합 비율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 0.5 내지 90 중량%의 범위이며, 입자형 농약 조성물을 얻는 경우에는 적어도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90 중량%의 범위, 정제 농약 조성물을 얻는 경우에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결합제로서는 구아 검, 로커스 빈 검, 트라가칸트 검, 잔삼 검, 아라비아 검 등의 각종 검류; 아르긴산 나트륨, 아르긴산 암모늄, 아르긴산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아르긴산 유도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아미드 등의 유기 고분자 화합물; 난백, 알부민, 카제인, 젤라틴 등의 동물성 또는 식물성의 수용성 단백질;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덱스트린, 전분,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히드록시에틸스타치,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등의 전분류; 리그닌술폰산나트륨, 리그닌술폰산칼슘 등의 리그닌술폰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는 붕괴제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도 있다. 결합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혼합하는 경우의 비율도 적적하게 선택할 수 있다. 농약 조성물 중의 결합제의 배합 비율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 0.1 내지 50 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로 사용하는 붕괴제로서는 의약, 농약, 식품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붕괴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탄산염과 고체산의 조합, 한천,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아르긴산 소다, 카르복시메틸 전분 에테르, 아라비아 검, 트라가칸트, 젤라틴, 카제인, 결정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친, 풀로닉, 라우린산 소다, 카르복실 수지, 황산암모늄, 염화칼륨, 식염, 요소, 음이온 계면 활성제,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알루미늄, 포도당, 젖당, 글루타민산 소다, 이노신산 소다,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물에 의해 팽 창, 붕괴되는 벤토나이트와 같은 광물질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혼합하는 경우의 비율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 중의 붕괴제의 배합 비율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상술한 붕괴제 중에는 농약 조성물을 제조할 때 결합제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 및 농약 조성물을 무논에 투하할 때 농약 활성 성분을 확산시키는 계면 활성제도 포함되기 때문에 이들 역할도 갖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배합 비율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붕괴제로서 탄산염과 고체산을 사용하는 경우의 탄산염로서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암모니아 등의 탄산염 또는 탄산수소염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구체예로서는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칼슘, 탄산리튬, 탄산암모늄,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수소암모늄, 세스키탄산나트륨, 세스키탄산칼륨, 세스키탄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고체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시트르산, 숙신산, 말레산, 젖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옥살산, 말론산, 말산, 아디프산, p-톨루엔술폰산, 술파민산, 붕산, 인산이수소나트륨, 인산이수소칼륨 등을 들 수 있다. 각각의 탄산염 및 고체산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혼합하는 경우의 비율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에 있어서는 목적에 따라 담체, 물리성 개량제, 안정화제 등의 보조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담체로서는 통상의 농약 조성물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 만, 예를 들면 펄라이트, 활석, 벤토나이토, 탄산칼슘, 산성 백토, 규석, 지크라이트, 규조토, 카올린, 세리사이트, 화이트 카본 등의 무기 담체; 전분, 글루코오스, 락토오스, 슈크로오스, 톱밥, 벼짚, 펄프, 왕겨 등의 유기 담체 등을 들 수 있다. 담체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혼합하는 경우의 비율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농약 조성물 중의 담체의 배합 비율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 0.1 내지 50 중량%의 범위이다.
물리성 개량제로서는 농약 조성물의 유동성을 개량하여 수면 확장성을 증강할 수 있는 물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화이트 카본류, 파라핀 분말류, 폴리에틸렌 왁스 등의 고분자 분말류 등의 수불용성 또는 난용성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물리성 개량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혼합하는 경우의 비율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농약 조성물 중의 물리성 개량제의 배합 비율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 0.5 내지 40 중량%의 범위이다.
안정화제는 농약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가수 분해를 일으키기 쉬운 농약 활성 성분 (술포닐요소계 유효 성분 등)을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농약 활성 성분과 공기 중의 수분 및 농약 조성물 중에 혼입되어 있는 수분과의 접촉을 억제함으로써 농약 활성 성분의 경시 변화 (분해)를 억제하는 건조제가 그에 해당된다. 또한,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에 있어서, 붕괴제로서 탄산염 및 고체산을 사용했을 때 농약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이 불충분해질 경우가 있는데, 그 주된 원인은 탄산염과 고체산이 공기 중의 수분이나 농약 조성물 중에 혼입되어 있는 수분과 반응하여 탄산 가스를 발생하는 데 있다. 이에 따라 농약 조성물을 무논에 시용했을 때 그 붕괴성이 불충분해지거나, 농약 활성 성분의 용해성 및 분산성이 불충분해지고, 또는 농약 조성물을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백(bag)으로 포장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백이 팽창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탄산 가스 발생에 수반하여 물이 부생되고, 탄산 가스의 발생이 보다 촉진될 뿐만 아니라, 농약 활성 성분의 종류에 따라서는 그 경시 안정성이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한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는 술포닐요소계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정화제를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안정화제로서는 탄산염 및 고체산과 수분의 접촉을 억제하는 효과를 주로 유지하는 건조제, 또는 발생한 탄산 가스를 흡수하는 효과를 주로 유지하는 탄산 가스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건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붕산 무수물 (B2O3), 메타붕산 (HBO2), 생석회 (CaO), 산화바륨 (BaO), 붕산 (H3BO3), 산화알루미늄 (Al2O3), 산화마그네슘 (MgO), 알루민산나트륨 (NaAlO2), 산화철 (FeO, α-Fe2O3, γ-Fe203, Fe3O4), 실리카 겔, 염화칼슘 무수물, 수소화칼슘 (CaH2), 수소화알루미늄리튬 (LiAlH4), 황산나트륨 무수물, 황산구리 무수물, 황산칼슘 무수물, 제올라이트, 규산칼슘 무수물, 산화티탄, 이산화규소, 활성탄, 알루민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으며, 탄산 가스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칼슘 (소석회), 수산화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붕산 무수물, 산화마그네슘과 같은 건조제 또는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과 같은 탄산 가스 흡수제가 바람직하다. 안정화제는 농약 조성물 중에 그대로 배합할 수도, 그 자체를 별도 백 에 포장하고, 안정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농약 조성물과 함께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백 등으로 포장해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안정화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혼합하는 경우의 비율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농약 조성물 중의 안정화제의 배합 비율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통상 0.1 내지 40 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상기 각 농약 활성 성분의 물에 대한 용해성, 부유 분산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그 밖의 농약 활성 성분을 적절하게 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용제, 분해 방지제, 농약 피해 감소제, 분산 안정제 등의 통상 사용되는 농업용 조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의 사용량은 무논 10 아르 당 10 내지 3000 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g이다. 입자형 농약 조성물의 경우, 그대로 무논에 10 아르 당 10 내지 3000 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g의 범위에서 처리하는 방법 및 수용성 필름으로 10 내지 100 g 씩 포장하여 팩제로 하고, 이 팩제를 10 아르 당 10 내지 3000 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g의 범위에서 무논 논두렁으로부터 투입하는 방법, 또는 수구 또는 급수통에 사용하는 방법 등의 간편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정제 농약 조성물의 경우 통상 1개 당 1.0 내지 110 g이 되도록 제조하고, 무논 10 아르 당 사용량이 50 내지 3000 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g이 되도록 사용한다. 무논 10 아르 당 사용 개수는 통상 1 내지 300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0개이다. 또한, 입자형 농약 조성물 이외에도 상기 입자형 농약 조성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적절하게 수용성 필름 등으로 포장하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을 포장하여 팩제로서 사용할 때의 수용성 필름으로서는,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을 무논 중에 투입할 때 신속하게, 예를 들면 몇초 내지 24시간 정도로 용해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 변성 폴리비닐알콜, 수용성 비닐론, 수용성 덱스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아르긴산염, 젤라틴, 펙틴, 푸루란,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염, 폴리에틸렌옥시드, 전분 등을 소재로 한 고분자 필름; 종이 및 섬유 등에 상기 수용성 필름을 도포 또는 함침 처리한 것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수용성 필름의 막 두께는 10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가 적당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 실시예, 시험예는 단순히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또한 구체적인 태양의 참고를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들 예시는 본 발명의 특정한 구체적인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인데, 본원에서 개시하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거나, 또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본 명세서의 사상에 기초한 여러가지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실시예 1
(1)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 벤설푸론메틸 (일반명) 1.16 중량부; 계면 활성제로서 뉴카르겐-SX-C (다께모또 유시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도데실벤젠술폰산 Na염) 2 중량부, 소카란 PA30CL (BASF사 제조, 폴리아크릴산 Na염) 3 중량부; 담체로 서 펄라이트 #36 (도꼬 펄라이트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20 중량부;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로서 이스피아즈 SL150 (엔바이로스피아즈사 제조, 입도 범위 20 내지 150 미크론, 평균 입경 100 미크론) 29.69 중량부를 사용하여 이들을 균일한 분말형 혼합물로 하였다.
(2)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의 시할로호프부틸 (일반명) 4.12 중량부에 유기 용매로서 비니사이저 50 (가오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아디프산 디이소데실) 24.72 중량부를 첨가하고, 60 ℃에서 가열 용해하여 액상으로 한 후,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 프레틸라크롤 (일반명) 10.31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한 혼합 용액으로 하였다.
(3) (1)의 분말형 혼합물에 (2)의 혼합 용액 및 계면 활성제로서의 올핀 STG (닛신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아세틸렌글리콜계) 3 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결합제로서 젤라틴 (나까라이 테스크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20 % 수용액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련하고, 1.2 mm 스크린을 장착한 돔 그란 제립기 (후지 파우달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DG-L1형)로 압출하여 제립하였다. 이 제립물을 60 ℃의 온풍하에서 2시간 건조, 정립 (12 내지 24 메쉬)하여 농약 조성물 (입제)을 얻었다.
실시예 2
펄라이트 #36의 사용량을 10 중량부로, 이스피아즈 SL150의 사용량을 47.93 중량부로, 비니사이저 50의 사용량을 16.48 중량부로 각각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농약 조성물 (입제)을 얻었다.
실시예 3
펄라이트 #36의 사용량을 10 중량부로, 이스피아즈 SL150의 사용량을 50.93 중량부로, 비니사이저 50의 사용량을 16.48 중량부로 각각 변경하고, 올핀 STG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농약 조성물 (입제)을 얻었다.
실시예 4
이스피아즈 SL150의 사용량을 32.69 중량부로 변경하고, 올핀 STG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1와 동일하게 하여 농약 조성물 (입제)을 얻었다.
실시예 5
(1)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 벤설푸론메틸 (일반명) 1.16 중량부; 계면 활성제로서 뉴카르겐-SX-C (다께모또 유시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도데실벤젠술폰산 Na염) 2 중량부; 담체로서 펄라이트 #36 (도꼬 펄라이트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10 중량부; 결합제로서 아미콜 6H (니찌덴 가가꾸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효소 변성 덱스트린) 3 중량부;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로서 이스피아즈 SL150 (엔바이로스피아즈사 제조, 입도 범위 20 내지 150 미크론, 평균 입경 100 미크론) 47.93 중량부를 사용하여 이들을 균일한 분말형 혼합물로 하였다.
(2)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의 시할로호프부틸 (일반명) 4.12 중량부에 유기 용매로서 비니사이저 50 (가오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아디프산 디이소데실) 16.48 중량부를 첨가하고, 60 ℃에서 가열 용해하여 액상으로 한 후,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 프레틸라크롤 (일반명) 10.31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한 혼합 용액으로 하였다.
(3) (1)의 분말형 혼합물에 (2)의 혼합 용액 및 계면 활성제로서 올핀 STG (닛신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아세틸렌글리콜계) 3 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결합제로서 젤라틴 (나까라이 테스크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20 % 수용액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련하고, 1.2 mm 스크린을 장착한 돔 그란 제립기 (후지 파우달(주) 제조, DG-L1형)로 압출하여 제립하였다. 이 제립물을 60 ℃의 온풍하에서 2시간 건조, 정립 (12 내지 24 메쉬)하여 농약 조성물 (입제)을 얻었다.
실시예 6
이스피아즈 SL150의 사용량을 50.93 중량부로 변경하고, 올핀 STG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농약 조성물 (입제)을 얻었다.
실시예 7
(1)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 벤설푸론메틸 (일반명) 1.16 중량부; 계면 활성제로서 뉴카르겐-SX-C (다께모또 유시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도데실벤젠술폰산 Na염) 3 중량부; 결합제로서 아미콜 6H (니찌덴 가가꾸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효소 변성 덱스트린) 3 중량부; 담체로서 그라플로 M (니찌덴 가가꾸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옥수수 전분 제립물) 26.5 중량부;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로서 이스피아즈 SL150 (엔바이로스피아즈사 제조, 입도 범위 20 내지 150 미크론, 평균 입경 100 미크론) 39.67 중량부를 사용하여 이들을 균일한 분말형 혼합물로 하였다.
(2)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의 시할로호프부틸 (일반명) 4.12 중량부에 유기 용매로서 비니사이저 50 (가오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아디프산 디이소데실) 8.24 중량부를 첨가하고, 60 ℃에서 가열 용해하여 액상으로 한 후, 농약 활성 성분으로 서 프레틸라크롤 (일반명) 10.31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한 혼합 용액으로 하였다.
(3) (1)의 분말형 혼합물에 (2)의 혼합 용액 및 계면 활성제로서 올핀 STG (닛신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아세틸렌글리콜계) 2 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결합제로서 젤라틴 (나까라이 테스크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20 % 수용액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련하고, 1.2 mm 스크린을 장착한 돔 그란 제립기 (후지 파우달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DG-L1형)로 압출하여 제립하였다. 이 제립물을 60 ℃의 온풍하에서 2시간 건조, 정립 (12 내지 24 메쉬)하여 농약 조성물 (입제)을 얻었다.
실시예 8
그라플로 M의 사용량을 23.5 중량부로, 이스피아즈 SL150의 사용량을 34.43 중량부로, 비니사이저 50의 사용량을 16.48 중량부로 각각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농약 조성물 (입제)을 얻었다.
실시예 9
이스피아즈 SL150의 사용량을 42.67 중량부로 변경하고, 아미콜 6H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농약 조성물 (입제)을 얻었다.
실시예 10
그라플로 M의 사용량을 20 중량부로, 이스피아즈 SL150의 사용량을 46.17 중량부로 각각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농약 조성물 (입제)을 얻었다.
실시예 11
그라플로 M의 사용량을 26.8 중량부로, 이스피아즈 SL150의 사용량을 40.37 중량부로 각각 변경하고, 올핀 STG 및 뉴카르겐 SX-C를 사용하지 않고, 계면 활성제로서 뉴카르겐-EX-70 (다께모또 유시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디옥틸술포숙시네이트 Na염 70 %) 1 중량부 및 이소반 600 (구라레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이소부틸렌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3 중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농약 조성물 (입제)을 얻었다.
실시예 12
그라플로 M의 사용량을 26.8 중량부로, 이스피아즈 SL150의 사용량을 40.37 중량부로 각각 변경하고, 올핀 STG를 사용하지 않고, 계면 활성제로서 뉴카르겐-EX-70을 1 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농약 조성물 (입제)을 얻었다.
실시예 13
(1)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 벤설푸론메틸 (일반명) 1.08 중량부; 계면 활성제로서 뉴카르겐-EX-70 (다께모또 유시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디옥틸술포숙시네이트 Na염 70 %) 2 중량부; 결합제로서 아미콜 6H (니찌덴 가가꾸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효소 변성 덱스트린) 3 중량부, 카제인 (나까라이 데스크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5 중량부 및 수산화마그네슘 (나까라이 테스크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5 중량부; 담체로서 펄라이트 #36 (도꼬 펄라이트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10 중량부;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로서 이스피아즈 SL150 (엔바이로스피아즈사 제조, 입도 범위 20 내지 150 미크론, 평균 입경 100 미크론) 42.38 중량부를 사용하여 이들을 균일한 분말형 혼합물로 하였다.
(2)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의 시할로호프부틸 (일반명) 3.94 중량부에 유기 용매로서 비니사이저 50 (가오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아디프산 디이소데실) 15.76 중량부를 첨가하고, 60 ℃에서 가열 용해하여 액상으로 한 후,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 프레틸라크롤 (일반명) 9.84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한 혼합 용액으로 하였다.
(3) (1)의 분말형 혼합물에 (2)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결합제로서 젤라틴 (나까라이 테스크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20 % 수용액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련하고, 1.2 mm 스크린을 장착한 돔 그란 제립기 (후지 파우달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DG-L1형)로 압출하여 제립하였다. 이 제립물을 60 ℃의 온풍하에서 2시간 건조, 정립 (12 내지 24 메쉬)하여 농약 조성물 (입제)을 얻었다.
실시예 14
카제인 5 중량부를 인산이수소나트륨 (나까라이 테스크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5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하여 농약 조성물 (입제)을 얻었다.
실시예 15
(1)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 벤설푸론메틸 (일반명) 1.08 중량부; 계면 활성제로서 뉴카르겐-EX-70 (다께모또 유시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디옥틸술포숙시네이트 Na염 70 %) 2 중량부; 결합제로서 아르긴산나트륨 (나까라이 테스크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5 중량부; 담체로서 펄라이트 #36 (도꼬 펄라이트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10 중량부;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로서 이스피아즈 SL150 (엔 바이로스피아즈사 제조, 입도 범위 20 내지 150 미크론, 평균 입경 100 미크론) 52.38 중량부를 사용하여 균일한 분말형 혼합물로 하였다.
(2)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의 시할로호프부틸 (일반명) 3.94 중량부에 유기 용매로서 비니사이저 50 (가오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아디프산 디이소데실) 15.76 중량부를 첨가하고, 60 ℃에서 가열 용해하여 액상으로 한 후,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 프레틸라크롤 (일반명) 9.84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한 혼합 용액으로 하였다.
(3) (1)의 분말형 혼합물에 (2)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하여 혼련하고, 1.2 mm 스크린을 장착한 돔 그란 제립기 (후지 파우달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DG-L1형)로 압출하여 제립하였다. 이 제립물을 60 ℃의 온풍하에서 2시간 건조, 정립 (12 내지 24 메쉬)하여 농약 조성물 (입제)을 얻었다.
실시예 16
아르긴산나트륨 5 중량부를 선엑기스 C (닛본 세시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리그닌술폰산 Ca염) 2 중량부로, 이스피아즈 SL150의 사용량을 55.38 중량부로 각각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하여 농약 조성물 (입제)을 얻었다.
실시예 17
아르긴산나트륨 5 중량부를 카제인 (나까라이 테스크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5 중량부 및 수산화마그네슘 (나까라이 테스크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5 중량부로, 이스피아즈 SL150의 사용량을 47.38 중량부로 각각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하여 농약 조성물 (입제)을 얻었다.
실시예 18
아르긴산나트륨 5 중량부를 인산이수소나트륨 (나까라이 테스크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5 중량부 및 수산화마그네슘 (나까라이 테스크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5 중량부로, 이스피아즈 SL150의 사용량을 47.38 중량부로 각각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하여 농약 조성물 (입제)을 얻었다.
실시예 19
아르긴산나트륨 5 중량부를 아라비아 검 (이와끼 세야꾸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2 중량부로, 이스피아즈 SL150의 사용량을 55.38 중량부로 각각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5와 동일하게 하여 농약 조성물 (입제)을 얻었다.
실시예 20
(1)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 벤설푸론메틸 (일반명) 1.16 중량부; 계면 활성제로서 뉴카르겐-EX-70 (다께모또 유시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디옥틸술포숙시네이트 Na염 70 %) 2 중량부 및 이소반 600 (구라레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이소부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1.5 중량부, 결합제로서 아미콜 6H (니찌덴 가가꾸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효소 변성 덱스트린) 3 중량부, 담체로서 펄라이트 #36 (도꼬 펄라이트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10 중량부,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로서 이스피아즈 SL150 (엔바이로스피아즈사 제조, 입도 범위 20 내지 150 미크론, 평균 입경 100 미크론) 47.56 중량부를 사용하여 이들을 균일한 분말형 혼합물로 하였다.
(2)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의 시할로호프부틸 (일반명) 4.12 중량부에 유기 용매로서 비니사이저 50 (가오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아디프산 디이소데실) 16.48 중량부를 첨가하고, 60 ℃에서 가열 용해하여 액상으로 한 후,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 프레틸라크롤 (일반명) 10.18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한 혼합 용액으로 하였다.
(3) (1)의 분말형 혼합물에 (2)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계면 활성제로서 아크리졸 G-200 (가오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아크릴산나트륨 호모중합체) 2 중량부, 결합제로서 젤라틴 (나까라이 테스크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20 % 수용액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련하고, 1.2 mm 스크린을 장착한 돔 그란 제립기 (후지 파우달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DG-L1형)로 압출하여 제립하였다. 이 제립물을 60 ℃의 온풍하에서 2시간 건조, 정립 (12 내지 24 메쉬)하여 농약 조성물 (입제)을 얻었다.
실시예 21
(1)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 벤설푸론메틸 (일반명) 1.08 중량부, 계면 활성제로서 뉴카르겐-EX-70 (다께모또 유시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디옥틸술포숙시네이트 Na염 70 %) 2 중량부, 결합제로서 아미콜 6H (니찌덴 가가꾸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효소 변성 덱스트린) 10 중량부, 담체로서 펄라이트 #36 (도꼬 펄라이트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14.94 중량부,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로서 이스피아즈 SL150 (엔바이로스피아즈사 제조, 입도 범위 20 내지 150 미크론, 평균 입경 100 미크론) 49.82 중량부를 사용하여 이들을 균일한 분말형 혼합물로 하였다.
(2)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의 시할로호프부틸 (일반명) 3.94 중량부에 유기 용매로서 비니사이저 50 (가오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아디프산 디이소데실) 7.88 중량부를 첨가하고, 60 ℃에서 가열 용해하여 액상으로 한 후, 농약 활성 성분으로서 프레틸라크롤 (일반명) 9.84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한 혼합 용액으로 하였다.
(3) (1)의 분말형 혼합물에 (2)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결합제로서 셀로겐 703A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5 % 수용액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련하고, 1.2 mm 스크린을 장착한 돔 그란 제립기 (후지 파우달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DG-L1형)로 압출하여 제립하였다. 이 제립물을 60 ℃의 온풍하에서 2시간 건조, 정립 (12 내지 24 메쉬)하여 농약 조성물 (입제)을 얻었다.
실시예 22
벤설푸론메틸 0.67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19.48 중량부, 시트르산 무수물 6.5 중량부, 덱스트린 (상품명: 아미콜 6L, 니찌덴 가가꾸(주) 제조) 10 중량부, 리그닌 술폰산 금속염 (상품명: 뉴카르겐 WG-4, 다께모또 유시(주) 제조) 2 부 및 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나트륨 (상품명: 뉴카르겐 EX-70, 다께모또 유시(주) 제조) 2 중량부를 혼합한 후, 원심 분쇄기 (닛본 세끼(주) 제조: 1 mmφ 스크린)로 분쇄하여 혼합 분쇄품을 얻었다. 이어서, 폐쇄형 중공체 (상품명: 이스피아즈 SL-150, 엔바이로스피아즈사 제조) 44.8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혼합분을 유발에 옮겨 부타크로르 14.35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또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상품명: 셀로겐 7A,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주) 제조) 10 % 수용액 2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의 15 g을 직경 40 mm, 깊이 50 mm의 절구에 넣고 타정 성형기 (시마즈 세이사꾸쇼( 주) 제조 핸드 프레스; SSP-10A형)로 가압 (50 kg/cm2)하여 정제를 얻었다. 이어서, 절구에서 정제를 꺼내 60 ℃의 항온 건조기 중에서 2시간 건조하고, 직경 40 mm, 두께 12 mm, 밀도 0.95 g/cm3의 농약 조성물 (정제) 14.55 g을 얻었다.
실시예 23
벤설푸론메틸 0.67 중량부를 0.33 중량부로, 탄산수소나트륨 19.48 중량부를 21.05 중량부로, 시트르산 무수물 6.5 중량부를 5.27 중량부로 각각 변경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22와 동일하게 하여 직경 40 mm, 두께 13 mm, 밀도 0.89 g/cm3의 농약 조성물 (정제) 14.50 g을 얻었다.
실시예 24
탄산수소나트륨 21.05 중량부를 13.16 중량부로, 시트르산 무수물 5.27 중량부를 13.16 중량부로 각각 변경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23과 동일하게 하여 직경 40 mm, 두께 12 mm, 밀도 0.97 g/cm3의 농약 조성물 (정제) 14.60 g을 얻었다.
실시예 25
벤설푸론메틸 0.33 중량부를 사용하지 않고, 부타크로르 14.35 중량부를 9.57 중량부로, 탄산수소나트륨 13.16 중량부를 19.82 중량부로, 시트르산 무수물 13.16 중량부를 6.61 중량부로, 폐쇄형 중공체 (상품명: 이스피아즈 SL-150, 엔바이로스피아즈사 제조) 44.8 중량부를 49.8 중량부로 각각 변경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24와 동일하게 하여 직경 40 mm, 두께 14 mm, 밀도 0.83 g/cm3의 농약 조성 물 (정제) 14.60 g을 얻었다.
실시예 26
탄산수소나트륨 19.48 중량부를 23.23 중량부로, 시트르산 무수물 6.5 중량부를 7.75 중량부로, 덱스트린 (상품명: 아미콜 6L, 니찌덴 가가꾸(주) 제조) 10 중량부를 5 중량부로 각각 변경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22와 동일하게 하여 직경 40 mm, 두께 14 mm, 밀도 0.83 g/cm3의 농약 조성물 (정제) 14.55 g을 얻었다.
실시예 27
탄산수소나트륨 23.23 중량부를 11.98 중량부로, 시트르산 무수물 7.75 중량부를 4 중량부로, 덱스트린 (상품명: 아미콜 6L, 니찌덴 가가꾸(주) 제조) 5 중량부를 20 중량부로 각각 변경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26과 동일하게 하여 직경 40 mm, 두께 12 mm, 밀도 0.97 g/cm3의 농약 조성물 (정제) 14.55 g을 얻었다.
실시예 28
벤설푸론메틸 0.67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19.48 중량부, 시트르산 무수물 6.5 중량부, 덱스트린 (상품명: 아미콜 6L, 니찌덴 가가꾸(주) 제조) 10 중량부, 리그닌술폰산 금속염 (상품명: 뉴카르겐 WG-4, 다께모또 유시(주) 제조) 2 중량부 및 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나트륨 (상품명: 뉴카르겐 EX-70, 다께모또 유시(주) 제조) 2 중량부를 혼합한 후, 원심 분쇄기 (닛본 세끼(주) 제조: 1 mmφ 스크린)로 분쇄하여 혼합 분쇄품을 얻었다. 이어서, 폐쇄형 중공체 (상품명: 이스피아즈 SL-150, 엔바이로스피아즈사 제조) 44.8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혼합품을 유발 에 옮겨 부타크로르 14.35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또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상품명: 셀로겐 7A,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주) 제조) 10 % 수용액 2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의 930 g을 타정 성형기 ((주) 하다께 뎃꼬쇼 제조 HT-B18EH3-S (직경 40 mm))로 연속 타정 성형 (가압은 40 kg/cm2)하고, 얻어진 습제품을 60 ℃의 항온 건조기 중에서 2시간 건조하여 직경 40 mm, 두께 18 mm, 밀도 0.90 g/cm3, 19.8 g/개의 농약 조성물 (정제) 46개를 얻었다.
실시예 29
벤설푸론메틸 0.67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19.48 중량부, 시트르산 무수물 6.5 중량부, 폐쇄형 중공체 (상품명: 이스피아즈 SL-150, 엔바이로스피아즈사 제조) 44.8 중량부, 덱스트린 (상품명: 아미콜 6L, 니찌덴 가가꾸(주) 제조) 10 중량부, 리그닌술폰산 금속염 (상품명: 뉴카르겐 WG-4, 다께모또 유시(주) 제조) 2 중량부 및 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나트륨 (상품명: 뉴카르겐 EX-70, 다께모또 유시(주) 제조) 2 중량부를 믹서로 잘 혼합하였다. 이어서, 부타크로르 14.35 중량부를 첨가하여 믹서로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또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상품명: 셀로겐 7A,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주) 제조) 10 % 수용액 2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의 18 kg을 브리케팅 머신 (오쯔까 뎃꼬(주) 제조 K-102형: 포켓 사이즈 7 cc, 성형압 50 kg/cm2, 탄소 덩어리형) 으로 주형하고, 얻어진 습제품을 60 ℃의 항온 건조기 중에서 2시간 건조하여 밀도 0.9 g/cm3, 6.5 g/개의 농약 조성물 (정제) 2769개를 얻었다.
실시예 30
벤설푸론메틸 0.33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18.6 중량부, 시트르산 무수물 6.25 중량부, 덱스트린 (상품명: 아미콜 6L, 니찌덴 가가꾸(주) 제조) 10 중량부, 리그닌술폰산 금속염 (상품명: 뉴카르겐 WG-4, 다께모또 유시(주) 제조) 2 부 및 붕산 무수물 3 중량부를 혼합한 후, 원심 분쇄기 (닛본 세끼(주) 제조: 1 mmΦ 스크린)로 분쇄하여 혼합 분쇄품을 얻었다. 분쇄품에 폐쇄형 중공체 (상품명: 이스피아즈 SL-150, 엔바이로스피아즈사 제조) 44.8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부타크로르 14.82 중량부를 추가로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여기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상품명: 셀로겐 7A,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주) 제조) 10 % 수용액 2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의 15 g을 직경 40 mm, 깊이 50 mm의 절구에 넣고 타정 성형기 (시마즈 세이사꾸쇼(주) 제조 핸드 프레스; SSP-10A형)로 가압 (50 kg/cm2)하여 정제를 얻었다. 이어서, 절구에서 정제를 꺼내 60 ℃의 항온 건조기 중에서 2시간 건조하여 직경 40 mm, 두께 12.4 mm, 밀도 0.95 g/cm3의 농약 조성물 (정제) 14.75 g을 얻었다.
실시예 31
붕산 무수물 3 중량부를 산화마그네슘 (중질) 5 중량부로, 폐쇄형 중공체 (상품명: 이스피아즈 SL-150, 엔바이로스피아즈사 제조) 44.8 중량부를 42.8 중량부 로 각각 변경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30과 동일하게 하여 직경 40 mm, 두께 12.9 mm, 밀도 0.91 g/cm3의 농약 조성물 (정제) 14.7 g을 얻었다.
실시예 32
붕산 무수물 3 중량부를 수산화마그네슘 5 중량부로, 폐쇄형 중공체 (상품명: 이스피아즈 SL-150, 엔바이로스피아즈사 제조) 44.8 중량부를 42.8 중량부로 각각 변경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30과 동일하게 하여 직경 40 mm, 두께 13.3 mm, 밀도 0.88 g/cm3의 농약 조성물 (정제) 14.72 g을 얻었다.
실시예 33
붕산 무수물 3 중량부를 수산화칼슘 3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30과 동일하게 하여 직경 40 mm, 두께 13.0 mm, 밀도 0.90 g/cm3의 농약 조성물 (정제) 14.74 g을 얻었다.
실시예 34
상기 실시예 30에 의해 얻어지는 혼합물을 브리케팅 머신 (오쯔까 뎃꼬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K-102형, 포켓 사이즈 7 CC, 성형압 50 Kg/cm2, 탄소 덩어리형)으로 성형하여 농약 조성물 (정제)을 얻었다.
실시예 35
벤설푸론메틸 0.33 중량부를 사용하지 않고, 탄산수소나트륨 18.6 중량부를 17.38 중량부로, 시트르산 무수물 6.25 중량부를 5.8 중량부로 각각 변경하고, 디 알킬술포숙시네이트나트륨 (상품명: 뉴카르겐 EX-70, 다께모또 유시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2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30과 동일하게 하여 얻어지는 혼합물을 브리케팅 머신 (오쯔까 뎃꼬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K-102형, 포켓 사이즈 7 CC, 성형압 50 Kg/cm2, 탄소 덩어리형)으로 성형하여 농약 조성물 (정제)을 얻었다.
실시예 36
피라족시펜 16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60 중량부, 시트르산 무수물 20 중량부 및 분말 난백 (EGG WHITES Chicken Dried; 시그마알드리치 재팬 제조) 1 중량부를 혼합하고, 여기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상품명: PEPOL B-181; 도호 가가꾸 제조) 3 중량부 및 수분을 0.4 % 함유하는 에탄올 2 ml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알루미늄제 컵형 틀에 넣고, 80 ℃에서 2분간 가열하고, 방냉, 건조하여 농약 조성물 (10 g 제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37
크로메톡시펜 4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69 중량부, 시트르산 무수물 23 중량부 및 분말 난백 (EGG WHITES Chicken Dried; 시그마알드리치 재팬 제조) 1 중량부를 혼합하고, 여기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상품명: PEPOL B-181; 도호 가가꾸 제조) 3 중량부 및 수분을 0.4 % 함유하는 에탄올 2 ml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알루미늄제 컵형 틀에 넣고, 80 ℃에서 2분간 가열하고, 방냉, 건조하여 농약 조성물 (10 g 제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38
탄산수소나트륨 64 중량부, 시트르산 무수물 22 중량부 및 분말 난백 (EGG WHITES Chicken Dried; 시그마알드리치 재팬 제조) 1 중량부를 혼합하고, 여기에 부타크로르 1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상품명: 아데카풀로닉 L61; 아사히 덴까 고교 제조) 3 중량부 및 수분을 0.5 % 함유하는 에탄올 10 ml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플라스틱제 환형 태퍼형 틀에 넣고, 80 ℃에서 2분간 가열하고, 방냉, 건조하여 농약 조성물 (50 g 제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39
탄산수소나트륨 57.75 중량부 및 말산 19.25 중량부를 혼합하고, 여기에 부타크로르 2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상품명: 아데카풀로닉 L61; 아사히 덴까 고교 제조) 3 중량부 및 수분을 0.5 % 함유하는 에탄올 10 ml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플라스틱제 환형 태퍼형 틀에 넣고, 80 ℃에서 2분간 가열하고, 방냉, 건조하여 농약 조성물 (50 g 제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40
탄산수소나트륨 64 중량부, 시트르산 무수물 22 중량부 및 덱스트린 (상품명: 아미콜 6H; 니찌덴 가가꾸 제조) 1 중량부를 혼합하고, 여기에 부타크로르 10 중량부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상품명: PEPOL B-181; 도호 가가꾸 제조) 3 중량부를 첨가한 후, 수분을 98 % 함유하도록 별도 제조해 둔 고분자 화합물 (상품명: 선플레쉬 ST-100; 산요 가세이 고교 제조) 0.25 g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알루미늄제 컵형 틀에 넣고, 80 ℃에서 2분간 가열하고, 방냉, 건조하여 농 약 조성물 (25 g 제제품)을 얻었다.
시험예 1
1/3000 a 배트에 흙을 채워 입수시키고 써레질한 후, 피 (Barnyard grass) 종자를 파종하여 수심을 4 cm로 유지하였다. 피가 2.5 내지 3 엽기가 된 시기에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7에서 얻어진 입제를 500 g/10 a이 되도록 수면에 투하하였다.
처리 2주 후 및 4주 후에 피의 생육 억제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0 (비처리구와 동등) 내지 100 (완전 고살)으로 평가하였다. 시험은 2연제로 실시하고, 그 평균치를 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잡초 억제율 (%)
2주 후 4주 후
1 85 93
7 88 93
시험예 2
세로 0.15 m×가로 4 m의 비 홈통에 흙을 채우고 입수시켜 써레질한 후, 피, 고랭이 (Scirpus), 물달개비 (Monochoria), 올미 (Arrowhead)의 각 종자를 파종하여 수심을 4 cm로 유지하였다. 써레질 1일 후에 올미의 덩이 뿌리를 이식하였다. 피가 2.3 내지 3엽기, 고랭이가 2 내지 2.3엽기, 물달개비가 0.5 내지 1.3엽기, 올미가 1.7 내지 2.2엽기가 되었을 때,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7에서 얻어진 입제를 500 g/10 a가 되도록 홈통의 한쪽 끝 수면에 투하하였다.
처리 2주 후 및 4주 후에 각 잡초의 생육 억제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0 (비처리구와 동등) 내지 100 (완전 고살)으로 평가하였다. 조사 지점은 홈통의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까지를 0.8 m 간격으로 구분하였다. 시험은 2연제로 실시하고, 그 평균치를 구하였다. 처리 2주 후의 결과를 표 2에, 처리 4주 후의 결과를 표 3에 각각 나타내었다.
실시예 잡초 종류 2주 후의 잡초 억제율 (%)
조사 지점
0 - 0.8 0.8 - 1.6 1.6 - 2.4 2.4 - 3.2 3.2 - 4
1 99 99 98 92 78
고랭이 85 88 90 85 83
물달개비 99 97 99 97 95
올미 85 83 88 85 85
7 97 98 97 90 80
고랭이 85 90 85 85 85
물달개비 99 99 99 99 88
올미 85 90 90 85 85
실시예 잡초 종류 4주 후의 잡초 억제율 (%)
조사 지점
0 - 0.8 0.8 - 1.6 1.6 - 2.4 2.4 - 3.2 3.2 - 4
1 99 99 99 75 50
고랭이 93 93 95 88 70
물달개비 100 100 98 95 65
올미 93 93 93 93 80
7 99 99 95 95 85
고랭이 90 95 95 90 85
물달개비 100 100 100 99 99
올미 95 95 95 90 90
시험예 3
세로 0.54 m×가로 0.84 m×높이 0.1 m의 플라스틱제 배트에 흙을 넣고 입수시켜 써레질한 후, 피, 고랭이, 물달개비, 광엽 잡초 (물별 (Elatinaceae), 밭뚝외풀 (False pimpernel)의 각 종자를 파종하여 수심을 3.5 cm로 유지하였다. 피가 1 내지 1.4엽기, 고랭이가 0.5엽기, 물달개비가 0.3엽기가 된 시기 (광엽 잡초는 발 생 전)에, 상기 실시예 22에서 얻어진 농약 조성물을 소정량 수면에 투하하였다.
처리 2주 후 및 4주 후에 각 잡초의 생육 억제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0 (비처리구와 동등) 내지 100 (완전 고살)으로 평가하였다. 조사 지점은 시험구를 9등분하여 좌측의 열을 위에서 밑으로 1, 2, 3으로 하고, 중앙의 열을 마찬가지로 4, 5, 6으로 하고, 우측의 열을 마찬가지로 7, 8, 9로 하였다. 시험은 2연제로 실시하고, 그 평균치를 구하였다. 처리 2주 후의 결과를 표 4에, 처리 4주 후의 결과를 표 5에 각각 나타내었다.
농약량 g/10a 조사 지점 2주 후의 잡초 억제율 (%)
고랭이 물달개비 광엽 잡초
500 1 97 98 100 100
2 97 96 100 100
3 95 97 100 100
4 93 96 100 100
5 95 95 100 100
6 97 96 100 100
7 97 96 100 99
8 98 95 100 100
9 96 95 100 100
농약량 g/10a 조사 지점 4주 후의 잡초 억제율 (%)
고랭이 물달개비 광엽 잡초
500 1 99 99 100 100
2 100 99 100 100
3 98 100 100 100
4 99 99 100 100
5 99 99 100 100
6 98 99 100 100
7 97 99 100 99
8 98 95 100 100
9 98 99 100 100
시험예 4
세로 0.15 m×가로 4 m의 비 홈통에 흙을 채우고 입수시켜 써레질한 후, 피, 고랭이, 물달개비의 각 종자를 파종하여 수심을 3.5 cm로 유지하였다. 써레질 1일 후에 올미의 덩이 줄기를 이식하였다. 피가 1.2 내지 1.3엽기, 고랭이가 0.5 내지 1.1엽기, 물달개비가 1.3 내지 2엽기, 올미가 초생 엽기 내지 0.5엽기가 된 시기에 상기 실시예 22에서 얻어진 농약 조성물을 소정량 홈통의 한쪽 끝 수면에 투하하였다.
처리 2주 후 및 4주 후에 각 잡초의 생육 억제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0 (비처리구와 동등) 내지 100 (완전 고살)으로 평가하였다. 조사 지점은 홈통의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까지를 0.8 m 간격으로 구분하였다. 처리 2주 후의 결과를 표 6에, 처리 4주 후의 결과를 표 7에 각각 나타내었다.
농약량 g/10a 잡초 종류 2주 후의 잡초 억제율 (%)
조사 지점
0 - 0.8 0.8 - 1.6 1.6 - 2.4 2.4 - 3.2 3.2 - 4
500 98 90 90 90 85
고랭이 98 90 90 90 90
물달개비 100 99 99 100 99
올미 98 95 95 95 90
농약량 g/10a 잡초 종류 4주 후의 잡초 억제율 (%)
조사 지점
0 - 0.8 0.8 - 1.6 1.6 - 2.4 2.4 - 3.2 3.2 - 4
500 98 95 95 95 85
고랭이 98 99 98 98 98
물달개비 100 100 100 100 100
올미 99 99 99 99 98
시험예 5
상기 실시예 30 내지 32의 정제를 알루미늄라미네이트 포장 백에 넣고, 가열 밀봉한 후, 60 ℃에서 1주일의 가속 시험, 50 ℃에서 1개월의 가속 시험에 각각 사용하여 농약 활성 성분의 경시 안정성 (분해율) 및 백의 팽창 정도를 확인하였다. 경시 안정성 (분해율)의 결과를 표 8에, 백의 팽창 정도 결과를 표 9에 각각 나타내었다.
실시예 벤술푸론메틸의 분해율
60 ℃, 1 주일 50℃, 1 개월
30 4.2 4.1
31 7.9 6.0
32 8.7 6.8
실시예 백의 팽창 (육안 관찰)
60 ℃, 1 주일 50℃, 1 개월
30 - ∼ + - ∼ +
31 + +
32 + +
-: 팽창 없음 +: 팽창되어 있는지 판별할 수 없을 정도 ++: 확실히 팽창이 확인됨. +++: 파열될 정도의 팽창이 확인됨.
시험예 6
1 아르 (10 m×10 m)의 무논 경작지 중심부에 상기 실시예에서 얻어진 농약 조성물을 투입하고, 부유성, 발포성, 발포 시간 및 처리 흔적에 대하여 표 10의 결과를, 처리 후 30일째 제초 효과 및 약해에 대하여 표 11의 결과를 각각 얻었다. 또한, 이 무논 경작지 내의 약제 비처리구를 설치하고 제초 효과의 비교구로 삼았는데, 대상 잡초 (피, 물달개비 및 고랭이)의 발생은 모두 왕성하였다.
(1) 부유성
○: 투입 후, 수면에 부유됨
△: 투입 후, 물 밑에 침강하고, 곧이어 부유됨.
×: 투입 후, 수면에 침강하고 부유되지 않음.
(2) 발포성
○: 투입 후, 발포함
×: 투입 후, 발포하지 않음
(3) 처리 흔적
무: 처리 흔적 없음
중: 처리 흔적 약간 있음
대: 처리 흔적 있음
(4) 경작지 구석에서의 제초 효과
0: 내지 10: 완전 고사
(5) 경작지 중앙부에서의 벼의 농약 피해
0: 없음 내지 10: 고사
실시예 부유성 발포성 발포 시간 (분) 처리 흔적 (30 분 후)
38 O O 4
39 O O 4
실시예 사용 개수 중앙부의 농약 피해 구석에서의 효과
물달개비 고랭이
38 2개 O 10 10 10
39 1개 O 10 10 10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무논 중에 침강하지 않고 부유되며, 붕괴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붕괴제에 의해 농약 조성물이 붕괴되고, 계면 활성제에 의해 농약 활성 성분이 광범위에 걸쳐 확산되기 때문에 국소 살포만으로 농약 활성 성분이 국소적으로 잔류하지 않고 무논 전역에 확산되며, 벼에 대한 농약 피해가 발생하지 않고 유해 생물을 방제할 수 있으며, 살포 작업에 있어서 노력을 대폭으로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우수한 부유성을 가진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약제 처리 지점 부근에 그 흔적 및 농약 활성 성분이 남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간편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특별한 시설을 요하는 고압에서의 압축 성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 비용도 낮게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농약 조성물은 매우 실용성이 높은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 및 실시예, 시험예에 특별히 기재한 것 외에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교시에 비추어 본 발명의 많은 개질 및 변형이 가능하며, 따라서 그것들도 본건 첨부의 청구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출원된 평성 11년 특허원 제2008호 (출원일: 1999년 1월 7일), 평성 11년 특허원 제180342호 (출원일: 1999년 6월 25일), 평성 11년 특허원 제186556호 (출원일: 1999년 6월 30일), 평성 11년 특허원 제267331호 (출원일: 1999년 9월 21일) 및 평성 11년 특허원 제273616호 (출원일: 1999년 9월 28일)를 기초로 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그것들을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29)

  1. 농약 활성 성분, 계면 활성제에, 추가로 (1)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칼슘, 탄산리튬, 탄산암모늄, 탄산마그네슘, 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수소암모늄, 세스키탄산나트륨, 세스키탄산칼륨 및 세스키탄산암모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탄산염, 및 시트르산, 숙신산, 말레산, 젖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옥살산, 말론산, 말산, 아디프산, p-톨루엔술폰산, 술파민산, 붕산, 인산이수소나트륨 및 인산이수소칼륨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고체산을 함유하는 조성물 중에서, 물 또는 수분 함유 물질로 상기 탄산염 및 고체산을 부분적으로 반응시켜 탄산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탄산 가스, 공기 또는 양자를 주로 포함하는 기포, 오목부 또는 양자를 갖거나, (2)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세라믹제 폐쇄형 중공체를 함유하거나, 또는 (3)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세라믹제 폐쇄형 중공체, 결합제 및 붕괴제를 포함하는 무논용 수면 부유성 농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 계면 활성제,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칼슘, 탄산리튬, 탄산암모늄, 탄산마그네슘,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수소암모늄, 세스키탄산나트륨, 세스키탄산칼륨 및 세스키탄산암모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탄산염, 및 시트르산, 숙신산, 말레산, 젖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옥살산, 말론산, 말산, 아디프산, p-톨루엔술폰산, 술파민산, 붕산, 인산이수소나트륨 및 인산이수소칼륨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고체산을 함유하는 조성물 중에서, 물 또는 수분 함유 물질로 상기 탄산염 및 고체산을 부분적으로 반응시켜 탄산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기포, 오목부 또는 양자를 갖는 무논용 수면 부유성 농약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 계면 활성제 및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세라믹제 폐쇄형 중공체를 포함하는 무논용 수면 부유성 농약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 계면 활성제 및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세라믹제 폐쇄형 중공체를 포함하는 무논용 수면 부유성 입자형 농약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 계면 활성제,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세라믹제 폐쇄형 중공체, 결합제 및 붕괴제를 포함하고, 밀도가 1 g/cm3 미만인 무논용 수면 부유성 농약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 계면 활성제,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세라믹제 폐쇄형 중공체, 결합제 및 붕괴제를 포함하고, 밀도가 1 g/cm3 미만인 무논용 수면 부유성 정제 농약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필름으로 피복된 농약 조성물.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이 제초제의 유효 성분인 것인 농약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농약 조성물.
  11.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붕괴제가 탄산염 또는 고체산인 농약 조성물.
  12. 농약 활성 성분, 계면 활성제에, 추가로 (1)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칼슘, 탄산리튬, 탄산암모늄, 탄산마그네슘,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수소암모늄, 세스키탄산나트륨, 세스키탄산칼륨 및 세스키탄산암모늄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탄산염, 및 시트르산, 숙신산, 말레산, 젖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옥살산, 말론산, 말산, 아디프산, p-톨루엔술폰산, 술파민산, 붕산, 인산이수소나트륨 및 인산이수소칼륨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고체산을 함유하는 조성물 중에 기포, 오목부 또는 양자를 갖거나, (2)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세라믹제 폐쇄형 중공체를 함유하거나, 또는 (3)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세라믹제 폐쇄형 중공체, 결합제 및 붕괴제를 포함하는 무논용 수면 부유성 농약 조성물을 담수하 무논에 직접 시용하여 유해 생물을 방제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 및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무논용 수면 부유성 입자형 농약 조성물을 담수(湛水)하 무논에 직접 시용하여 유해 생물을 방제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 계면 활성제,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 결합제 및 붕괴제를 포함하고, 밀도가 1 g/cm3 미만인 무논용 수면 부유성 정제 농약 조성물을 담수하 무논에 직접 시용하여 유해 생물을 방제하는 방법.
  15. 농약 활성 성분, 계면 활성제, 부피 비중이 1 미만인 폐쇄형 중공체, 결합제 및 붕괴제를 함유하고, 밀도가 1 g/cm3 미만이며, 정제화시 정제화 기기에 의한 가압도가 1 내지 150 kg/cm2인, 무논용 수면 부유성 정제 농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6. 제4항에 있어서, 수용성 필름으로 피복된 무논용 수면 부유성 입자형 농약 조성물.
  17. 제6항에 있어서, 수용성 필름으로 피복된 무논용 수면 부유성 정제 농약 조성물.
  18. 삭제
  19. 삭제
  20. 제4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이 제초제의 유효 성분인 것인 무논용 수면 부유성 입자형 농약 조성물.
  21. 제6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이 제초제의 유효 성분인 것인 무논용 수면 부유성 정제 농약 조성물.
  22. 제7항에 있어서, 농약 활성 성분이 제초제의 유효 성분인 것인 농약 조성물.
  23. 삭제
  24. 제4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무논용 수면 부유성 입자형 농약 조성물.
  25. 제6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무논용 수면 부유성 정제 농약 조성물.
  26. 제7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농약 조성물.
  27. 삭제
  28. 제9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농약 조성물.
  29. 제6항에 있어서, 붕괴제가 탄산염 또는 고체산인 무논용 수면 부유성 정제 농약 조성물.
KR1020017008584A 1999-01-07 1999-12-27 무논용 수면 부유성 농약 조성물, 그의 사용 방법 및 그의제조 방법 KR100690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99 1999-01-07
JPJP-P-1999-00002008 1999-01-07
JPJP-P-1999-00180342 1999-06-25
JP18034299 1999-06-25
JP18655699 1999-06-30
JPJP-P-1999-00186556 1999-06-30
JPJP-P-1999-00267331 1999-09-21
JP26733199 1999-09-21
JP27361699 1999-09-28
JPJP-P-1999-00273616 1999-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322A KR20010104322A (ko) 2001-11-24
KR100690462B1 true KR100690462B1 (ko) 2007-03-09

Family

ID=2751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584A KR100690462B1 (ko) 1999-01-07 1999-12-27 무논용 수면 부유성 농약 조성물, 그의 사용 방법 및 그의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142476B1 (ko)
KR (1) KR100690462B1 (ko)
CN (1) CN1157113C (ko)
AU (1) AU1802100A (ko)
TW (1) TW529905B (ko)
WO (1) WO20000400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9255B2 (ja) * 2000-11-21 2012-10-24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農薬組成物並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散布方法
WO2003079784A1 (fr) * 2002-03-27 2003-10-02 Kumiai Chemical Industry Co., Ltd. Composition herbicide et procede de desherbage mettant en oeuvre cette composition
JP2003313102A (ja) * 2002-04-22 2003-11-06 Sankyo Agro Kk 農薬粒状水和剤
HUE036785T2 (hu) * 2006-02-06 2018-07-30 Nippon Soda Co Felszabadulásában szabályozott agrokemikáliát tartalmazó gyantakészítmény, eljárás ennek elõállítására valamint agrokemikália-formuláció
CN104186465B (zh) * 2014-07-31 2016-08-24 绍兴文理学院 水面漂浮型农药控制释放颗粒载体及其用途
EP3387904B1 (en) 2014-12-22 2019-12-18 Mitsui AgriScience International S.A./N.V. Liquid sulfonylurea-containing herbicidal compositions
CN107205377B (zh) * 2015-02-09 2020-12-22 组合化学工业株式会社 粒状农药组合物及其制造方法
CN104920354B (zh) * 2015-05-25 2017-11-07 南京农业大学 农药水面油展膜剂及其制备方法
WO2017065014A1 (ja) * 2015-10-14 2017-04-20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粒状農薬組成物
PT3416486T (pt) 2016-06-21 2019-06-25 Mitsui Agriscience Int S A /N V Composições herbicidas líquidas contendo sulfonilureia e sal de li
US20210289772A1 (en) * 2016-09-08 2021-09-23 Hydroemission Corporation Pte Ltd Water-soluble controlled release composition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12584702B (zh) * 2018-08-03 2022-12-30 北兴化学工业株式会社 水面漂浮性农药制剂
CN109053316A (zh) * 2018-09-06 2018-12-21 四川省林业科学研究院 抑螺复混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3603A (ja) * 1993-04-09 1994-10-21 Sumitomo Chem Co Ltd 農薬錠剤
JPH09249504A (ja) * 1996-03-15 1997-09-22 Nippon Nohyaku Co Ltd 水面施用農薬組成物、製造方法及びその包装物並びにその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8053B2 (ja) * 1991-12-02 2002-02-18 丸紅株式会社 水田除草剤組成物
JPH0656604A (ja) * 1992-08-07 1994-03-01 Hodogaya Chem Co Ltd 水田用除草剤
JP2849534B2 (ja) * 1993-09-14 1999-01-20 三井化学株式会社 水田用農薬粒剤
JPH07233002A (ja) * 1993-12-28 1995-09-05 Takeda Chem Ind Ltd 農薬製剤
JP3778968B2 (ja) * 1994-08-04 2006-05-24 三共アグロ株式会社 水面浮遊拡展性非崩壊粒剤
JP3781457B2 (ja) * 1994-08-04 2006-05-31 三共アグロ株式会社 水面での崩壊分散性を調節した水面浮遊性農薬粒剤及びそのキャリヤー
JP3871230B2 (ja) * 1996-05-07 2007-01-24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農薬粒状組成物及び散布方法
JPH10109905A (ja) 1996-10-03 1998-04-28 Kumiai Chem Ind Co Ltd 粒状農薬組成物及びその散布方法
JP4318057B2 (ja) * 1997-04-11 2009-08-19 日本農薬株式会社 水面施用農薬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3603A (ja) * 1993-04-09 1994-10-21 Sumitomo Chem Co Ltd 農薬錠剤
JPH09249504A (ja) * 1996-03-15 1997-09-22 Nippon Nohyaku Co Ltd 水面施用農薬組成物、製造方法及びその包装物並びにその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40085A1 (fr) 2000-07-13
CN1157113C (zh) 2004-07-14
TW529905B (en) 2003-05-01
KR20010104322A (ko) 2001-11-24
EP1142476B1 (en) 2013-06-05
EP1142476A1 (en) 2001-10-10
CN1315827A (zh) 2001-10-03
AU1802100A (en) 2000-07-24
EP1142476A4 (en) 200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462B1 (ko) 무논용 수면 부유성 농약 조성물, 그의 사용 방법 및 그의제조 방법
JP3781457B2 (ja) 水面での崩壊分散性を調節した水面浮遊性農薬粒剤及びそのキャリヤー
JP3778968B2 (ja) 水面浮遊拡展性非崩壊粒剤
JP5090165B2 (ja) 除草剤組成物
FI93416C (fi) Menetelmä rae- tai tablettimuotoisen herbisidituotteen valmistamiseksi
KR20030026816A (ko) 균일한 확산성 입상 농약 제제 및 그의 살포방법
JPH09249504A (ja) 水面施用農薬組成物、製造方法及びその包装物並びにその使用方法
JP5674252B2 (ja) 固体農薬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散布方法
CN1195408C (zh) 水田用农药组合物、其制造方法及其播撒方法
KR101130503B1 (ko) 입상 농약제제
JP2001163705A (ja) 水田用自己拡散型粒状農薬組成物およびその施用方法
JP2003073205A (ja) 被覆型徐放性粒剤
JP3535429B2 (ja) 水面施用農薬組成物
JPH07101805A (ja) 水面施用農薬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410322B2 (ja) 無水硫酸ナトリウム含有粒状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TW210948B (en) Solid composition of agricultural chemicals and method of making
JP4777019B2 (ja) 除草性組成物
KR100730590B1 (ko) 수중 유화형 농약입제 및 그의 제조방법
JPH05306201A (ja) 水田用農薬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JPH06211610A (ja) 水田除草用組成物及び錠剤
WO1999057979A1 (fr) Granules de pesticide pour application a la surface de l&#39;eau
JP2003026504A (ja) 尿素含有農薬固形剤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H11152201A (ja) 湛水下水田用散布剤の調製法および散布方法
JP3215683B2 (ja) 水田除草用錠剤またはカプセル
JP4526593B2 (ja) 無水硫酸ナトリウム含有粒状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