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287B1 - 연료용 배관 - Google Patents

연료용 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287B1
KR100672287B1 KR1020040099344A KR20040099344A KR100672287B1 KR 100672287 B1 KR100672287 B1 KR 100672287B1 KR 1020040099344 A KR1020040099344 A KR 1020040099344A KR 20040099344 A KR20040099344 A KR 20040099344A KR 100672287 B1 KR100672287 B1 KR 100672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ipe
fuel pipe
fuel tank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4828A (ko
Inventor
야기사와가츠이치
고무로가츠노리
나가이야스아키
사이토도시카즈
우에노마사키
우에다미노루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4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3/00Controlling delivery of fuel or combustion-ai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3/003Controlling the feeding of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 Failure or leakage prevention; Diagnosis or detection of failure; Arrangement of sensors in the fuel system; Electric wiring; Electrostatic discharge
    • F02D33/006Controlling the feeding of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 Failure or leakage prevention; Diagnosis or detection of failure; Arrangement of sensors in the fuel system; Electric wiring; Electrostatic discharge depending on engine operating conditions, e.g. start, stop or ambient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7/00Arrangements of fuel supply lines, taps, or the like, on motor cycles or engine-assisted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02M37/00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characterised by its use in vehicles, in stationary plants or in small engines, e.g. hand held 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2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e.g. specially profiled, with protecting layer, heated, electrically condu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extending away from the attachment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16L37/098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the flexible hook being progressively compressed by axial tensile loads acting o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02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by means of internal or external coatings
    • F16L58/04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F16L58/10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by rubber or plastics
    • F16L58/1054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by rubber or plastics the coating being placed out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4Compound tubes, i.e. made of material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F16L9/147Compound tubes, i.e. made of material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comprising only layers of metal and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1/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 F02B61/02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for driv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2011/047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a diffusion barrier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연료 탱크와 엔진을 포함하는 구동부를 접속하는 연료용 배관을, 수지제 재료에 의해 저렴하게 제조하는 동시에, 상기 연료 탱크 및 구동부가 가동했을 때 바람직하게 추종시킨다.
연료용 배관(12)은, 수지제 재료로 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관 부재(23)의 양단부에 각각 커넥터(24a, 24b)가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24a, 24b)를 통해 이륜차(10) 등의 연료 탱크(18)와 엔진(20)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분사 장치(22)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이 연료용 배관(12)의 관 부재(23)에, 그 도중에 적어도 1개소 이상의 굴곡부(26)를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연료용 배관{FUEL PIP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용 배관이 적용된 이륜차의 일부 생략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연료 배관의 외주에 탄성 부재로 피복된 피복층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낸 일부 단면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연료용 배관의 단부에 접속된 커넥터 근방의 일부 생략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유지 클램프를 통해 연료용 배관이 지지 브라켓에 유지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생략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유지 클램프를 삽입통과부를 지점으로 해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경사 이동시켜, 그 삽입통과부에 연료용 배관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동작 설명도,
도 6은 도 5의 유지 클램프의 핀부를 서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면서, 지지 브라켓의 구멍부에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 설명도,
도 7은 도 6의 유지 클램프의 핀부가 지지 브라켓의 구멍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동작 설명도,
도 8은 제1 변형예에 따른 유지 클램프가 장착된 연료용 배관의 일부 생략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유지 클램프의 종단면도,
도 10은 제2 변형예에 따른 유지 클램프를 통해 연료용 배관이 지지 브라켓에 유지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생략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유지 클램프의 클램프부를 지지 브라켓으로부터 이간시켜, 상기 지지 브라켓의 클램프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연료용 배관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동작 설명도,
도 12는 도 11의 유지 클램프의 클램프부를 회동시켜, 연료용 배관을 상기 클램프부의 내부에 유지한 상태를 나타낸 동작 설명도,
도 13은 외주면에 피복층이 형성된 연료용 배관을 유지 클램프에 의해 유지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4는 외주면에 피복층이 형성된 연료용 배관을 제2 변형예에 따른 유지 클램프에 의해 유지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5는 연료용 배관에 통체가 장착되고, 상기 통체를 유지 클램프에 의해 유지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생략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통체가 장착된 연료용 배관의 종단면도,
도 17은 연료용 배관에 통체가 장착되고, 상기 통체를 제2 변형예에 따른 유지 클램프에 의해 유지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생략 측면도,
도 18은 도 17의 통체가 장착된 연료용 배관의 종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용 배관이 적용되어, 엔진을 포 함한 요동 유닛이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이륜차를 나타낸 일부 생략 측면도,
도 20은 도 19의 연료용 배관이 적용된 이륜차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6…이륜차 12, 100…연료용 배관
16, 104…메인 프레임 18, 114…연료 탱크
20, 102…엔진 22, 116…연료 분사 장치
23…관 부재 24a, 24b…커넥터
26…굴곡부 28…피복층
36…하우징 38…리테이너
48, 60, 64…유지 클램프 50…지지 브라켓
52, 62…삽입통과부 66…유지 부재
70…클램프부 72…통체
110…요동 유닛
본 발명은, 주로 자동 이륜차 등의 연료 탱크와 엔진을 포함하는 구동부를 접속하는 연료용 배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 이륜차나 4륜 버기 등의 차량에 있어서, 연료 주입구를 갖고, 가솔린 등의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 탱크와 상기 연료를 엔진에 공급하는 연료 공급 기구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료용 배관이 채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3-214276호 공보
그런데, 이러한 차량에 있어서는, 연료용 배관이나 연료 공급 기구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료 시스템이 연료 탱크로 덮힌 레이아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료 시스템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에는, 일단 연료 탱크를 탈착할 필요가 있다. 그 때, 연료 탱크에 연료용 배관을 접속한 채로 상기 연료 탱크의 탈착 작업을 행하므로, 일반적으로, 상기 연료용 배관에는, 그 장착성 및 메인터넌스성을 고려하여 가요성을 가질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연료용 배관을 가요성을 갖는 고무제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연료 탱크를 탈착할 때 연료용 배관에 부여되는 인장력 등을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따른 종래 기술처럼 연료용 배관에 채용되어 있는 고무제 재료는, 원하는 가요성을 갖는 동시에, 내부를 유통하는 연료의 높은 압력에도 견딜 수 있는 성능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비싸져, 이 연료용 배관의 제조 비용이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비싼 고무제 재료 대신에 저렴한 수지제 재료에 의해 연료용 배관을 형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그 경우, 고무제 재료에 비해 수지제 재료는, 가요성이 낮으므로, 상기 연료용 배관에 대해 메인터넌스시에 부여되는 인장력 등에 의 해, 상기 연료용 배관의 레이아웃의 자유도에 제약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여러가지 과제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수지제 재료에 의해 저렴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연료 탱크 및 구동부가 가동했을 때 바람직하게 추종시키는 것이 가능한 연료용 배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차량에 있어서 일단부를 지점으로 해서 몸체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경사 이동(傾動)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료 탱크와 엔진을 포함하는 구동부와의 사이에 접속되는 연료용 배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용 배관은, 가요성을 갖는 수지제 재료로 휘어짐 가능하게 형성되는 관 부재와,
상기 관부재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료 탱크와 상기 구동부를 각각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을 포함하는 구동부와 연료 탱크를 접속하는 연료용 배관을, 가요성을 갖는 수지제 재료로 휘어짐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료용 배관의 단부가 접속된 연료 탱크 또는 구동부가 변위한 경우에도, 상기 연료용 배관을, 상기 연료 탱크나 구동부의 변위에 추종하면서 바람직하게 휘어지게 해 변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 또는 구동부가 변위한 경우에도, 상기 연료 탱크나 구동부로부터 연료용 배관으로 부여되는 힘을 바람직하게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료용 배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연료용 배관을 고무제 재료 등의 탄성 재료로 형성한 경우에 비해, 수지제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저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있어서, 구동부를 몸체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관 부재를 상기 구동부의 요동 동작에 추종하여 휘어지게 하고 있다. 즉, 차량이 주행하고 있을 때에 노면으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구동부가 몸체에 대해 요동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연료 탱크와 구동부의 사이에 접속된 연료용 배관은, 상기 구동부의 요동 작용하에 이 구동부에 접속된 단부가 변위한다.
그 경우에도,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용 배관은, 가요성을 갖는 수지제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동부의 요동 동작에 바람직하게 추종한다. 그 결과, 상기 연료용 배관에 불필요한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 부재에 성형에 의해 굴곡된 굴곡부를 갖고, 상기 굴곡부를 상기 관 부재에 적어도 1개소 이상 형성함으로써, 연료용 배관의 단부가 접속된 연료 탱크를 탈착하는 경우, 또는, 구동부가 요동 동작한 경우에도, 상기 굴곡부가 스프링 작용을 하고 있으므로, 연료용 배관에 부여되는 힘을 바람직하게 흡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연료용 배관을 연료 탱크의 탈착 작업시의 변위, 또는 구동부의 요동 동작에 있어서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 추종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연료용 배관에 불필요한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 부재를 열가소성 수지 재료로 형성하고, 상기 관 부재의 외주 직경을 직경 7mm 이하로 형성함으로써, 수지제 재료로 형성되는 관 부재의 가요성을 보 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차량에 있어서의 연료용 배관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연료 탱크의 탈착 작업시의 변위나 구동부의 요동 동작 등에 바람직하게 추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용 배관에 관해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들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참조 부호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용 배관(12)이 적용된 이륜차를 나타낸다.
이 이륜차(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샤프트(13)가 유지되는 헤드 파이프(14)에 고착된 메인 프레임(몸체)(16)과, 상기 메인 프레임(16)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솔린 등의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 탱크(18)와, 상기 메인 프레임(16)의 대략 중앙부에 장착된 엔진(20)의 내부에 연료를 원하는 양만큼 분사하는 연료 분사 장치(22)와, 상기 연료 탱크(18)와 연료 분사 장치(22)를 접속하는 연료용 배관(12)을 구비한다. 또한, 엔진(20)과 연료 분사 장치(22)는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이륜차의 도시 생략한 차륜으로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 연료 탱크(18)의 내부에는, 이 연료 탱크(18)의 내부의 연료를 연료용 배관(12)을 통해 연료 분사 장치(22)에 도출하는 펌프(도시 생략)가 내장되어 있다.
이 연료용 배관(12)은, 수지제 재료(예를 들면 나일론)로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를 가솔린 등의 연료가 유통하는 관 부재(23)와, 상기 관 부재(23)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연료 탱크(18) 및 연료 분사 장치(22)와 각각 접속되는 커넥터(접속부)(24a, 24b)로 이루어진다.
또, 연료용 배관(12)은, 연료 탱크(18)와 연료 분사 장치(22)의 사이를 접속하는 원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그 관 부재(23)의 도중에는 굽힘 성형에 의한 굴곡부(26)가 최저 1개소 이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료용 배관(12)은, 연료 탱크(18)와 연료 분사 장치(22)를 일직선 상에 접속한 경우보다 길어지도록 휜 상태로 접속된다.
또한, 연료용 배관(12)의 관 부재(23)는, 내연료성(耐燃料性)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성형성이 양호하다. 그 때문에, 관 부재(23)는, 굴곡부(26)만을 굽힘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관 부재(23) 전체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연료용 배관(12)의 관 부재(23)는, 그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일정한 외주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세하게는, 관 부재(23)의 외주 직경이, 직경 7mm 이하가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관 부재(23)의 외주 직경을, 직경 5mm 이하로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관 부재(23)의 외주면을, 탄성 부재(예를 들면, 고무)로 이루어지는 피복층(28)에 의해 피복하도록 해도 된다. 즉, 이렇게, 관 부재(23)를 탄성 재료에 의해 피복함으로써, 상기 관 부재(23)를, 메인터넌스시의 배터리액의 부착, 주행중의 산성비의 부착 등으 로부터 보호하여, 상기 연료용 배관(12)의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피복층(28)은, 관 부재(23)의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까지의 전체에 형성해도 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일부에만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관 부재(23)에, 그 내주면을 피복하도록 불소 고무층을 형성해도 된다. 즉, 관 부재(23)의 내주면을 불소 고무층에 의해 피복함으로써, 상기 관 부재(23)의 내부에 유황성분의 함유량이 많은 가솔린(사워 가솔린)을 유통시켰을 때도, 상기 불소 고무층에 의해 상기 가솔린으로부터 관 부재(23)를 보호하여, 상기 연료용 배관(12)의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용 배관(12)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한쪽의 커넥터(24a)는, 연료 탱크(18)의 하부에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이 연료 탱크(18)의 내부와 연통하는 제1 조인트부(30)에 접속된다. 또, 연료용 배관(12)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다른쪽의 커넥터(24b)는, 연료 분사 장치(22)의 내부와 연통하는 제2 조인트부(32)에 접속되어 있다.
한쪽 및 다른쪽의 커넥터(24a, 24b)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 부재(23)의 단부를 바깥에서 끼워 접속하는 접속부(34)를 갖는 하우징(36)과, 상기 하우징(36)의 타단부측에 설치되는 리테이너(38)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커넥터(24a, 24b)를 통해 연료용 배관(12)을 연료 탱크(18) 및 연료 분사 장치(22)에 접속할 때, 상기 리테이너(38)를 통해 하우징(36)의 내부에 제1 및 제2 조인트부(30, 32)의 파이프(40)가 삽입되고, 상기 파이프(40)의 직경확장부(42)가 리테이너(38) 의 고리부(44)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조인트부(30, 32)와 연료용 배관(12)이, 커넥터(24a, 24b)를 통해 일체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그 때, 상기 파이프(40)가, 직경확장부(42)의 걸어맞춤 작용하에 커넥터(24a, 24b)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제1 및 제2 조인트부(30, 32)의 파이프(40)가 하우징(36)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파이프(40)의 외주면이, 하우징(36)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된 시일 부재(46)에 맞닿음으로써, 커넥터(24a, 24b)의 내부에서의 액체 차단성이 바람직하게 유지된다.
연료용 배관(12)은, 가요성을 갖도록 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료 탱크(18)와 연료 분사 장치(22)의 사이에 설치했을 때, 그 경로가 자유롭게 변화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세하게는, 연료용 배관(12)은, 제1 조인트부(30)에 한쪽의 커넥터(24a, 24b)를 통해 접속된 일단부측과, 제2 조인트부(32)에 다른쪽의 커넥터(24a, 24b)를 통해 접속된 타단부측과의 사이에서 휘어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연료용 배관(12)의 도중에 다수의 유지 클램프(48)를 장착하고, 상기 유지 클램프(48)에 의해 상기 연료용 배관(12)의 경로를 규제하고 있다.
유지 클램프(48)는, 도 4∼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용 배관(12)의 경로를 규제하고자 하는 원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플레이트형상의 지지 브라켓(50)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 브라켓(50)은 도시 생략한 다른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지 클램프(48)는, 연료용 배관(12)의 관 부재(23)가 삽입통과 되는 원통형상의 삽입통과부(52)와, 상기 삽입통과부(52)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50)의 단면에 맞닿는 대략 원형상의 플랜지부(54)와, 상기 플랜지부(54)의 단면보다 삽입통과부(52)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에 돌출한 핀부(56)로 이루어진다.
또,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클램프(48)는,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삽입통과부(52)를 지점으로 서로 접근·이간하는 방향(화살표 A, B 방향)으로 경사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핀부(56)는, 유지 클램프(48)의 삽입통과부(52)를 지점으로 해서 서로 접근시켰을 때, 축선에 대해 소정 간격 이간하여 대략 대칭이 되는 두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그리고, 연료용 배관(12)을 유지 클램프(48)를 통해 지지 브라켓(50)에 유지할 때에는,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클램프(48)를, 삽입통과부(52)를 지점으로 해서 서로 이간시키는 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경사 이동시키고, 상기 삽입 통과부(52)의 내부에 연료용 배관(12)의 관 부재(23)를 배치한다. 그리고, 핀부(56)가 이간한 상태의 유지 클램프(48)를 서로 접근시키는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경사 이동시켜, 삽입통과부(52)의 내부에 관 부재(23)를 유지한다(도 6 참조).
다음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갈래 형상의 핀부(56)를 서로 접근시키 도록 해서 지지 브라켓(50)의 구멍부(58)에 삽입한다(이점쇄선 형상). 그리고, 지지 브라켓(50)의 구멍부(58)에 삽입된 핀부(56)가, 구멍부(58)에 삽입된 후에, 그 탄발력에 의해 다시 이간하여 이 구멍부(58)의 직경보다 넓어지므로, 지지 브라켓 (50)의 단면에 맞닿은 플랜지부(54)와 핀부(56)의 사이에 지지 브라켓(50)이 유지된 상태가 된다(도 7 참조).
이에 의해, 연료용 배관(12)이, 유지 클램프(48)를 통해 지지 브라켓(50)에 유지되고, 상기 연료용 배관(12)의 경로가 유지 클램프(48)에 의해 규제된 상태가 된다(도 4 및 도 7 참조).
다음에, 제1 및 제2 변형예에 따른 유지 클램프(60, 64)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유지 클램프(48)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변형예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브라켓(50)에 삽입되는 핀부(56)(도 9 참조)와, 상기 지지 브라켓(50)의 단면에 맞닿는 플랜지부(54)의 측방에, 연료용 배관(12)의 관 부재(23)가 삽입통과되는 삽입통과부(6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통과부(62)는, 유지 클램프(60)의 지지 브라켓(50)으로의 부착 방향에서 봐서, 소정 반경으로 이루어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삽입통과부(62)의 내부에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관 부재(23)를 삽입통과시켰을 때, 상기 관 부재(23)는 가는 관 형상으로 가요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삽입통과부(62)의 형상을 따라 소정 반경으로 만곡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연료용 배관(12)에 대해 미리 굽힘 성형을 행하지 않고, 상기 연료용 배관(12)에서 굴곡부(26)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0∼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변형예에 따른 유지 클램프(64)에는, 지지 브라켓(50)의 단면에 금속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지 부재(66)가 일체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유지 부재(66)를 통해 연료용 배관(12)을 지지 브라켓(50)에 유지하고 있다.
유지 부재(66)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브라켓(50)에 고착되는 평면부(68)와, 상기 평면부(68)의 단부에 지지 브라켓(50)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호형상의 클램프부(7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료용 배관(12)을 유지 클램프(64)에 유지할 때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부(70)를 지지 브라켓(50)으로부터 이간시킨 상태로, 상기 클램프부(70)와 대향하는 지지 브라켓(50)의 단면에, 연료용 배관(12)의 관 부재(23)를 배치한다.
다음에, 클램프부(70)를, 이 평면부(68)와의 접합부를 지점으로 해서 지지 브라켓(50)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클램프부(70)의 단부가, 지지 브라켓(50)에 맞닿아 관 부재(23)가 클램프부(70)와 지지 브라켓(50)의 사이에 수용된다(도 12 참조).
이렇게, 연료용 배관(12)을, 도 4∼도 7에 도시한 유지 클램프(48)에 의해 삽입통과부(52)에 삽입통과시킨 후, 핀부(56)에 의한 지지 브라켓(50)에 걸어맞춰 유지하는 대신에, 상술한 유지 클램프(64)를 사용하여 연료용 배관(12)의 경로를 규제하도록 해도 된다.
또,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연료용 배관(12)의 외주면에 탄성 재료로 이루 어지는 피복층(28)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연료용 배관(12)을, 유지 클램프(48)의 삽입통과부(52), 또는 유지 클램프(64)의 클램프부(70)에 삽입통과시켜, 상기 유지 클램프(48)를 지지 브라켓(50)에 고정한다.
이에 의해,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피복층(28)은,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관 부재(23)보다 경도가 낮으므로, 유지 클램프(48, 64)에 대해 관 부재(23)를 삽입통과시켰을 때, 상기 유지 클램프(48)의 삽입통과부(52)의 내주면, 또는 유지 클램프(64)의 클램프부(70)의 내주면이 피복층(28)에 대해 파고들듯이 걸어맞춰진다. 그 결과, 연료용 배관(12)이, 유지 클램프(48)에서의 삽입통과부(52)의 내부, 또는 유지 클램프(64)의 클램프부(70)의 내부에서 축선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이 규제되기 때문에, 연료 탱크(18)와 연료 분사 장치(22)의 사이에 접속된 연료용 배관(12)의 경로를, 확실히 규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5∼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용 배관(12)의 관 부재(23)가 삽입통과되고, 이 관 부재(23)에 일체적으로 고착된 원통형상의 통체(72)를 유지 클램프(48, 64)에 의해 유지함으로써, 상기 연료용 배관(12)은, 상기 유지 클램프(48)에서의 삽입통과부(52)의 내부, 또는 유지 클램프(64)에서의 클램프부(70)의 내부에서 변위하려고 했을 때, 상기 연료용 배관(12)에 고착된 통체(72)의 스토퍼부(74)를 통해 유지 클램프(48)에 걸려 고정된다. 그 때문에, 연료용 배관(12)의 축선 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되어, 연료 탱크(18)와 연료 분사 장치(22)의 사이에 접속된 연료용 배관(12)의 경로를 확실하게 규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용 배관(12)이 적용된 이륜차(10)는, 기본적 으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며, 다음에 이륜차(10)의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위해서, 연료용 배관(12)의 일단부가 접속된 연료 탱크(18)를 메인 프레임(16)으로부터 탈착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처음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 탱크(18)를 고정하고 있는 도시 생략한 볼트를 떼어내고, 이 연료 탱크(18)를 이륜차(10)의 후방측을 지점으로 해서 윗쪽(화살표 C방향)으로 경사 이동시킨다(도 1중, 이점쇄선 형상).
그 때, 연료 탱크(18)의 하부측에는, 제1 조인트부(30)를 통해 연료용 배관(12)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는데, 상기 연료용 배관(12)은, 수지제 재료로 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요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연료 탱크(18)를 경사 이동시킨 경우에도 상기 연료용 배관(12)의 타단부측이 연료 분사 장치(22)에 접속된 상태로, 상기 연료 탱크(18)의 동작에 추종하여 휘어진다. 그 때문에, 연료 탱크(18)를 떼내어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때, 그 때마다 연료용 배관(12)을 탱크의 제1 조인트부(30)로부터 탈착할 필요가 없다.
또, 연료 탱크(18)를 메인 프레임(16)에 장착한 상태에서, 연료용 배관(12)이 최적이 되는 경로 형상으로 이 연료용 배관(12) 전체를 성형해 둠으로써, 메인터넌스 작업시에 상기 연료 탱크(18)를 떼어낸 후에, 다시 이륜차(10)의 후방측을 지점으로 해서 아래쪽(화살표 D방향)으로 경사 이동시켜 장착하는 경우에도, 성형된 연료용 배관(12)이 다시 원래의 경로 형상으로 복귀한다.
또한, 상술한 연료용 배관(12)은, 이륜차(10)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4륜 버기 등의 연료 탱크(18)와 엔진(20)을 갖는 차량에 적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 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륜차(10) 등에서의 연료 탱크(18)와 연료 분사 장치(22)를 접속하고, 상기 연료 탱크(18)로부터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용 배관(12)을, 수지제 재료로 가는 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연료용 배관(12)이 가요성을 갖고 자유롭게 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터넌스시에 연료 탱크(18)를 메인 프레임(16)으로부터 탈착하기 위해서 경사 이동(가동)시킨 경우에도, 상기 연료 탱크(18)에 일단부가 접속된 연료용 배관(12)을 상기 연료 탱크(18)의 동작에 추종하도록 휘어지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료용 배관(12)에 불필요한 부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 연료용 배관(12)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연료 탱크(18)를 탈착시킬 때 연료용 배관(12)을 떼어낼 필요가 없어, 연료 탱크(18)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연료용 배관(12)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사이에, 굽힘 성형에 의해 굴곡한 굴곡부(26)를 적어도 1개소 이상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료 탱크(18)를 탈착할 때 상기 굴곡부(26)가 스프링 기구로서 기능하므로, 상기 연료용 배관(12)에 부여되는 힘을 바람직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연료용 배관(12)을 수지제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연료용 배관(12)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상기 연료용 배관(12)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연료용 배관(12)의 관 부재(23)를 가는 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 연료용 배관(12)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리사이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연료용 배관(12)을 이륜차(10)에서의 연료 탱크(18)와 연료 분사 장치(22)의 사이에 레이아웃할 때, 상기 연료용 배관(12)이 가요성을 갖고 있으므로, 연료 탱크(18) 및 연료 분사 장치(22)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부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자유롭게 휘어지게 해 회피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즉, 이륜차(10)에서의 연료용 배관(12)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가요성을 갖는 연료용 배관(12)을 자유롭게 휘어지게 할 수 있으므로, 연료 탱크(18)와 연료 분사 장치(22) 사이에서의 유지 클램프(48, 60, 64)에 의한 연료용 배관(12)의 경로의 규제를 완화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지 클램프(48, 60, 64)의 수량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상기 유지 클램프(48, 60, 64)로 연료용 배관(12)을 유지할 때 유지 부재(66)에 부여되는 힘이 작기 때문에, 유지 클램프(48, 60, 64)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유지 클램프(48, 60, 64)에 드는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연료용 배관(12)의 관 부재(23)를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이 관 부재(23)에 대해 굴곡부(26) 이외에 굽힘 성형을 실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연료용 배관(12)의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연료용 배관(12)에 있어서의 관 부재(23)의 전체에 원하는 경로 형상이 되도록 굽힘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메인터넌스시에 연료 탱크(18)를 메인 프레 임(16)으로부터 떼어낸 후에, 다시 장착할 때, 연료용 배관(12)이 성형 가공에 의해 형상이 바람직하게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료 탱크(18)와 메인 프레임(16)의 사이로 연료용 배관(12)이 변위하지 않고, 상기 연료 탱크(18)와 메인 프레임(16)의 사이에 연료용 배관(12)이 끼워지는 문제를 확실히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내주 직경이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관 부재(23)와, 고무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관 부재에서는, 상기 고무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관 부재의 외주 직경과 비교하여,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관 부재(23)의 외주 직경을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관 부재(23)는, 그 외주 직경을 약 5mm 정도까지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연료용 배관(12)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어, 상기 연료용 배관(12)을 엔진 룸 내의 한정된 스페이스에서도 바람직하게 레이아웃할 수 있다.
그에 더해, 관 부재(23)를 포함하는 연료용 배관(12)의 경로를 규제하고 있는 다수의 유지 클램프(48, 60, 64)나, 메인 프레임(16) 등에 장착되는 다수의 커버 부재(도시 생략)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관 부재(23)의 외주 직경을 작게 함에 따라, 상기 관 부재(23)의 표면적이 작아지므로, 엔진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상기 관 부재(23)의 표면에서 받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엔진 등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관 부재(23)의 내부를 유통하는 연료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이 억제되어, 상기 연료의 온도 상승에 기인하는 증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관 부재(23)의 외주 직경을 작게 함에 따라 내주 직경도 작아지므로, 상기 관 부재(23)의 내부를 유통하는 연료의 유속이 증대하여, 엔진 주변에 발생하는 열의 영향하에 상기 연료가 온도 상승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연료의 온도 상승에 따른 증기의 발생을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어, 상기 연료용 배관(12)을 통해 연료의 공급이 바람직하게 유지된다.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용 배관(100)이 적용되어, 엔진(102) 등이 메인 프레임(104)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륜차(106)를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용 배관(12)이 적용된 이륜차(10)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용 배관(100)이 적용된 이륜차(106)는, 메인 프레임(몸체)(104)에 대해 엔진(102) 및 변속기(108)가 요동 유닛(구동부)(110)으로서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상기 요동 유닛(110)의 타단부측이, 서스펜션(112)을 통해 상기 메인 프레임(104)의 후단에 지지되어 있다. 또, 이륜차(106)에는, 요동 유닛(110)의 변속기(108)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후륜(11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륜차(106)가 주행할 때, 노면상의 요철에 의해 후륜(113)이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여, 그 변위에 따라 요동 유닛(110)이, 메인 프레임(104)에 축지지된 지지 핀(111)과 요동 유닛(110)의 지지부(115)와의 사이에 설치된 링크 아암(117)을 통해 요동 변위(요동 동작)한다. 즉, 이륜차(106)가 주행하고 있을 때에는, 메인 프레임(104)에 대해 엔진(102)이 요동 변위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이륜차(106)로서는, 주로 스쿠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요동 유닛(110)을 갖는 이륜차(106)에 있어서, 연료용 배관(100)의 일단부가 접속되는 연료 탱크(114)는, 차량 전방의 메인 프레임(104)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륜차(106)가 주행중에도 요동 유닛(110)의 요동 작용하에 변위하는 일이 없다.
한편, 연료용 배관(100)의 타단부가 접속되는 연료 분사 장치(116)는, 엔진(102)의 상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이륜차(106)가 주행중에 요동 유닛(110)과 일체적으로 요동한다. 바꿔 말하면, 연료용 배관(100)의 단부는, 그 일단부측이 연료 탱크(114)라는 고정단에 접속되고, 타단부측이 엔진(20)과 일체적으로 요동하는 연료 분사 장치(116)라는 가동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연료용 배관(100)은, 타단부측이 요동 유닛(110)의 요동 작용하에 변위하기 때문에, 연료용 배관(100)에 대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힘이 부여된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후륜(113)이 노면에서의 요철에 의해 윗쪽으로 변위했였을 때, 그것에 따라 요동 유닛(110)이 메인 프레임(104)의 지지 핀(111)에 축지지된 링크 아암(117)을 통해 반시계 방향(도 19중, 화살표 E 방향)으로 요동 변위한다. 그 때, 연료 탱크(114)와 연료 분사 장치(116)의 이간 거리가 작아지므로, 연료용 배관(100)은, 이 연료용 배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줄어들도록 변위한다.
반대로, 후륜(113)이 노면에서의 요철에 의해 아래쪽으로 변위했을 때, 그것에 따라 요동 유닛(110)이 메인 프레임(104)의 지지 핀(111)에 축지지된 링크 아암 (117)을 통해 시계 방향(도 19중, 화살표 F 방향)으로 요동 변위한다. 그 때, 연료 탱크(114)와 연료 분사 장치(116)의 이간 거리가 커지므로, 연료용 배관(100)은, 이 연료용 배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늘어나도록 변위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연료용 배관(100)이, 수지제 재료에 의해 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요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연료용 배관(100)이 휘어짐으로써 요동 유닛(110)의 요동 작용하에 연료용 배관(100)에 부여되는 신축력을 바람직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 이 연료용 배관(100)의 도중에는, 굽힘 성형에 의해 굴곡부(2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요동 유닛(110)에 요동 작용하에 연료용 배관(100)으로 부여되는 신축력을 스프링 기능을 갖는 굴곡부(26)에 의해서 한층 바람직하게 흡수할 수 있다.
이렇게, 메인 프레임(104)에 대해 엔진(102)을 포함하는 요동 유닛(110)이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륜차(106)에, 수지제 재료로 이루어지는 연료용 배관(100)을 채용함으로써, 상기 연료용 배관(100)이 접속된 요동 유닛(110)이 변위한 경우에도, 이 연료용 배관(100)에 대해 부여되는 힘을 바람직하게 흡수하여 연료용 배관(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구동부와 연료 탱크를 접속하는 연료용 배관을, 가요성을 갖는 수지제 재료로 휘어짐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료 탱크나 구동부가 변위한 경우에 도, 상기 연료용 배관을 그 변위에 추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료 탱크나 구동부로부터 연료용 배관으로 부여되는 힘을 바람직하게 흡수하여, 연료용 배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연료용 배관을 수지제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고무제 재료로 형성한 경우보다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4)

  1. 차량에 있어서 일단부를 지점으로 해서 몸체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경사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료 탱크와 엔진을 포함하는 구동부와의 사이에 접속되는 연료용 배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용 배관은, 가요성을 갖는 하나의 동일한 직경의 수지제 재료로 휘어짐 가능하게 형성되는 관 부재와,
    상기 관 부재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료 탱크와 상기 구동부를 각각 접속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 배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는, 상기 몸체에 대해 상기 구동부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관 부재는 상기 구동부의 요동 동작에 추종하여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 배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 부재에는, 성형에 의해 굴곡된 굴곡부를 갖고, 상기 굴곡부가 상기 관 부재에 적어도 1개소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 배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 부재는, 열가소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관 부재의 외주 직경이 직경 7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용 배관.
KR1020040099344A 2003-12-05 2004-11-30 연료용 배관 KR100672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07156A JP2005163738A (ja) 2003-12-05 2003-12-05 燃料用配管
JPJP-P-2003-00407156 2003-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828A KR20050054828A (ko) 2005-06-10
KR100672287B1 true KR100672287B1 (ko) 2007-01-22

Family

ID=34674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344A KR100672287B1 (ko) 2003-12-05 2004-11-30 연료용 배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40294B2 (ko)
JP (1) JP2005163738A (ko)
KR (1) KR100672287B1 (ko)
CN (1) CN100351511C (ko)
BR (1) BRPI0405303A (ko)
IT (1) ITTO20040849A1 (ko)
TW (1) TWI2484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3738A (ja) 2003-12-05 2005-06-23 Honda Motor Co Ltd 燃料用配管
JP2006170384A (ja) * 2004-12-17 2006-06-29 Tokai Rubber Ind Ltd 燃料輸送用の樹脂チュ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94432A (ja) 2004-12-17 2006-07-27 Tokai Rubber Ind Ltd 燃料輸送用の配管部材
US7806213B2 (en) 2004-12-17 2010-10-05 Tokai Rubber Industries, Ltd. Piping structure for transporting a fuel
JP4584790B2 (ja) * 2005-07-29 2010-11-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揺動三輪車の燃料供給構造
JP4613114B2 (ja) * 2005-08-26 2011-0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ューエルホース取付構造
US7469680B2 (en) * 2005-09-30 2008-12-30 Caterpillar Inc. Fluid system having quill-mounted manifold
JP4719560B2 (ja) * 2005-12-01 2011-07-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US20080119123A1 (en) * 2006-11-10 2008-05-22 Ford Motor Company Fuel filler pipe having trigger point
JP5001636B2 (ja) * 2006-12-08 2012-08-1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4801818B2 (ja) * 2007-03-29 2011-10-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の燃料供給装置
DE102007042278B4 (de) * 2007-09-06 2022-10-06 Kautex Textron Gmbh & Co. Kg Kraftstoffbehälter
JP2010030584A (ja) * 2008-06-30 2010-02-12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JP2010188986A (ja) * 2009-02-20 2010-09-02 Kyokuto Kaihatsu Kogyo Co Ltd 荷受台昇降装置
DE102009014399B3 (de) * 2009-03-26 2010-08-12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Kraftstoffverteiler mit Halterung
US9222602B2 (en) * 2011-09-28 2015-12-29 Cooper B-Line, Inc. Pipe support
JP6117590B2 (ja) * 2013-03-28 2017-04-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燃料タンク構造
JP2016056764A (ja) * 2014-09-11 2016-04-21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の管材の連結構造
JP5944967B2 (ja) * 2014-10-02 2016-07-05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荷受台昇降装置
JP7288291B2 (ja) * 2017-12-26 2023-06-07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燃料配管保護部材用固定具
JP6779946B2 (ja) * 2018-07-26 2020-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2152A (ja) 1996-10-31 1998-05-22 Kanto Auto Works Ltd 燃料タンクのゴムホース
JP2003090274A (ja) 2001-09-17 2003-03-28 Honda Motor Co Ltd 燃料ポンプモジュール
JP2003120450A (ja) 2001-10-16 2003-04-23 Honda Motor Co Ltd 小型車両における燃料供給装置
JP2003129912A (ja) 2001-10-23 2003-05-08 Honda Motor Co Ltd 燃料装置およびポンプ・インジェクタ
JP2005163738A (ja) 2003-12-05 2005-06-23 Honda Motor Co Ltd 燃料用配管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9117A (en) * 1972-05-24 1974-08-13 A & C Park Inc Engine driven cart
US4367705A (en) * 1981-04-30 1983-01-11 Deere & Company Heat activated fuel shut-off valve actuator
GB2111003B (en) * 1981-09-19 1985-03-20 Honda Motor Co Ltd Fuel tank assembly for a motorcycle
US4799569A (en) * 1985-08-23 1989-01-2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otorcycle
JPH01266020A (ja) * 1988-04-18 1989-10-24 Iseki & Co Ltd 回動式燃料タンク
US5137108A (en) * 1989-12-28 1992-08-11 Aar Corporation Vehicle engine mounting system
DE4330855C1 (de) * 1993-09-11 1994-10-13 Technoflow Tube Systems Gmbh Verwendung eines Kunststoffrohres als crashgesicherte Kraftfahrzeug-Kraftstoffleitung
US5329899A (en) * 1993-10-12 1994-07-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system pressure fuse
US5658670A (en) * 1994-08-19 1997-08-1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y Company Multi-layer compositions having a fluoropolymer layer
US5845940A (en) * 1996-12-11 1998-12-08 Daewoo Heavy Industries Ltd. Fuel tank mount for forklift trucks with a damped swing arm swingable along a tilted arc
JP3370888B2 (ja) * 1997-02-27 2003-01-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取付構造
US6287508B1 (en) * 1999-02-26 2001-09-11 Dayco Product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 thermoplastic tubes
US6216908B1 (en) * 1999-04-29 2001-04-17 Daimlerchrysler Corporation Pivotal fuel sending unit
JP4354135B2 (ja) * 2001-08-31 2009-10-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2輪車用燃料タンクの取付構造
JP2003214276A (ja) 2002-01-24 2003-07-30 Mikuni Corp 燃料供給装置
JP2003343377A (ja) * 2002-05-24 2003-12-03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燃料配管系の脈動吸収システム
JP2004137977A (ja) * 2002-10-18 2004-05-13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燃料配管系の脈動低減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2152A (ja) 1996-10-31 1998-05-22 Kanto Auto Works Ltd 燃料タンクのゴムホース
JP2003090274A (ja) 2001-09-17 2003-03-28 Honda Motor Co Ltd 燃料ポンプモジュール
JP2003120450A (ja) 2001-10-16 2003-04-23 Honda Motor Co Ltd 小型車両における燃料供給装置
JP2003129912A (ja) 2001-10-23 2003-05-08 Honda Motor Co Ltd 燃料装置およびポンプ・インジェクタ
JP2005163738A (ja) 2003-12-05 2005-06-23 Honda Motor Co Ltd 燃料用配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33010A1 (en) 2005-06-23
CN1624315A (zh) 2005-06-08
TWI248496B (en) 2006-02-01
BRPI0405303A (pt) 2005-08-30
TW200521321A (en) 2005-07-01
JP2005163738A (ja) 2005-06-23
KR20050054828A (ko) 2005-06-10
ITTO20040849A1 (it) 2005-03-01
US7040294B2 (en) 2006-05-09
CN100351511C (zh)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287B1 (ko) 연료용 배관
EP2133589B1 (en) Spacer for coil spring
CN1869494B (zh) 两个待连接流体导管的配有同轴端段的连接装置
CN100357589C (zh) 小型车辆发动机的燃料供给结构
US11491837B2 (en) Suspension arm and ball joint
JP4584790B2 (ja) 揺動三輪車の燃料供給構造
JP2006234131A (ja) 蛇腹チューブ
JP2019026207A (ja) 給油キャップおよび鞍乗り型車両
TW200406538A (en) Fuel hose arrangement in a compact vehicle
WO2020013285A1 (ja) 動力線保持構造
JP4144383B2 (ja) 鞍乗型車両の燃料供給装置
EP1862383B1 (en) Fuel pipe structure
US11073115B2 (en) Intake duct structure of motorcycle
JP5285534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燃料調圧装置
JP2009067064A (ja) スクータ型車両
JP2001115919A (ja) 自動二輪車の燃料供給装置
CN218986864U (zh) 鞍座式骑乘车辆及其前轮制动配管结构
CN115871858A (zh) 鞍座式骑乘车辆及其前轮制动配管结构
EP1900623B1 (en) Scooter-type vehicle
JP2008057388A (ja) 気化燃料流通部材
KR100470785B1 (ko) 스티어링기어의 유체이송구조
JP2015112947A (ja) 自動二輪車
KR20000019933U (ko) 자동차용 볼부쉬
TH47850B (th) สายท่อเชื้อเพลิง
TH71369A (th) สายท่อเชื้อเพลิ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