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9054B1 - 동축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9054B1
KR100669054B1 KR1020030094668A KR20030094668A KR100669054B1 KR 100669054 B1 KR100669054 B1 KR 100669054B1 KR 1020030094668 A KR1020030094668 A KR 1020030094668A KR 20030094668 A KR20030094668 A KR 20030094668A KR 100669054 B1 KR100669054 B1 KR 100669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electrical connector
center conductor
contact
coaxial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956A (ko
Inventor
야마네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7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9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9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3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cables or wires an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3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for applying sol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5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for soldering or welding connectors to a printed circuit boar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4Coaxial connector having circuit-interrupting provision effected by mating or having "dead" contact activated after mat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체에 의한 중심 도체의 유지력 및 용융 땜납 부착의 방지력을 높이는 동축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의 해결수단으로서, 통 형상부(11)를 갖는 외부 도체(10) 와, 이 통 형상부의 내부공간에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접촉부(21)를 구비한 중심 도체(20)를 구비하고, 양 도체 사이의 하부에 몰드 성형된 유전체(30)를 통해 이 두 도체가 서로 일체적으로 유지되고, 중심 도체(20)는 접촉부의 하부에서 유전체의 하면측으로 연장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굴곡된 반경 방향부(22)를 구비하고, 이 반경 방향부의 저면에 회로 기판과 접촉하는 접속부(23A)가 형성되어 있는 동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중심 도체(20)는 유전체(30)와 접촉하는 접촉면에, 돌출부(24) 및 몰입부(22A)의 적어도 한쪽을 형성하도록 가공된 면 가공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면 가공부에서 유전체(30)와 걸어맞춰져 있다.

Description

동축 전기 커넥터{COAXIAL ELECTRICAL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며, 도 1(A)는 평면도, 도 1(B)는 측면도, 도 1(C)는 저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내며, 도 2(A)는 도 1(A)의 ⅡA-ⅡA 단면도, 도 2(B)는 ⅡB-ⅡB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의 중심 도체를 나타내며, 도 3(A)는 평면도, 도 3(B)는 측면도, 도 3(C)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중심 도체의 단면을 나타내며, 도 4(A)는 도 3(A)의 ⅣA-ⅣA 단면도, 도 4(B)는 ⅣB-ⅣB 단면도, 도 4(C)는 ⅣC-ⅣC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커넥터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도 15(A), 도 15(B)는 도 2(A), 도 2(B)에 각각 대응하는 면에서의 단면도, 도 15(C)는 도 15(A)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며, 도 16(A)는 단면도, 도 16(B)는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동축 전기 커넥터 10: 외부 도체
11: 통 형상부 20: 중심 도체
21: 접촉부 21A: 면 가공부(홈부)
21B: 면 가공부(돌기부) 21D: 면 가공부(관통 구멍)
21E: 면 가공부(홈) 22: 반경 방향부
22A: 면 가공부(몰입부) 23A: 접속부
23B: 면 가공부(볼록부) 23C: 면 가공부(오목부)
23D: 면 가공부(몰입부) 23E: 면 가공부(돌출부)
23F: 면 가공부(관통 구멍) 24: 돌출부
30: 유전체 30A: 고리 형상 돌출부
본 발명은, 동축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커넥터로서, 특허 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321361호(도 2))에 개시되어 있는 동축 커넥터용 리셉터클이 알려져 있다.
이 커넥터는, 첨부 도면의 도 16(A),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형이 사각형을 이루는 유전체(51)의 오목부 내면에 면 접촉하며 형성되고, 축선을 포함한 면에서의 단면 형상이 대략 S자형을 이루는 통 형상의 외부 도체(52) 및, 중앙에서 상기 축선 방향으로 보스 형상으로 저면으로부터 상기 오목부 내로 돌출되도록 상측으로 연장된 접촉부(54)를 갖는 중심 도체(53)가 형성되어 있다.
중심 도체(53)는 접촉부(54)와 일체적으로 접속부(5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접속부(55)는 원주 방향 일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도 16(B) 참조) 유전체(51)의 하면과 동일 면을 이루며 위치하고, 커넥터가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 위에 배치되었을 때에 땜납에 의해 접속된다.
상기 중심 도체(53) 및 외부 도체(52)는, 모두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만들어지고, 두 도체(52, 53)는 몰드 성형된 유전체(51)에 의해 일체적으로 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유전체(51)와 중심 도체, 특히 중심 도체(53)의 접속부(55)의 접합 강도에 기인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땜납 접속시의 열 응력 및 사용시의 상대 커넥터의 삽입/발출력을 받았을 때 에, 접속부(55)는 하측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접속부(55)는 박리에 의해 유전체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삽입/발출력 등의 외력을 받아 중심 도체가 빠질 우려마저 있다. 또한, 땜납 접속시에는 열 팽창에 의해 접속부는 유전체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용융 땜납 또는 플럭스(이하, 「용융 땜납 등」이라고 함)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간극에 진입하는 경우가 있다. 용융 땜납 등은 상기 접속부의 폭 방향에서의 두 가장자리로부터 간극에 진입하기 쉽고, 이 간극에 진입한 용융 땜납 등은 접촉부(54)까지 도달하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에는 상대 커넥터와의 접촉 기능이 저하된다.
특히, 이런 종류의 커넥터에서는, 저배화(低背化)가 요구되고 있는 관계로, 상기 유전체의 저벽은 얇게 형성되어 있고, 강도가 낮으므로 외력이나 열 팽창에 의해 변위되기 쉬우며, 따라서 상기 기술한 간극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높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커넥터의 저배화를 가능하게 하면서, 중심 도체에서의 용융 땜납 등의 상승을 방지하며, 또한 중심 도체를 유전체에 의해 강고하게 유지하며 변위를 방지할 수 있는 동축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동축 전기 커넥터는, 회로 기판에 접속된 동축 전기 커넥터로서, 통 형상부를 갖는 외부 도체와, 이 통 형상부의 내부 공간에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접촉부를 구비한 중심 도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외부 도체와 중심 도체는 양 도체 사이의 하부에 몰드 성형된 유전체를 통해 이 두 도체가 서로 일체적으로 지지된다. 중심 도체는 접촉부의 하부에서 유전체의 하면측으로 연장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굴곡된 반경 방향부를 구비하고, 이 반경 방향부의 저면에 회로 기판과 접촉된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동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중심 도체가 유전체와 접촉된 접촉면에, 돌출부 및 몰입부의 적어도 한쪽을 형성하도록 가공된 면 가공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면 가공부에서 유전체와 걸어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중심 도체는 면 가공부에 형성된 돌출부나 몰입부에서 유전체와 맞물리도록 결합되므로, 중심 도체는 유전체에 의한 지지력이 한층 더 향상된다. 따라서, 외력을 받아도 중심 도체는 잘 빠지지 않으며 또한 땜납 접속시에 열을 받아도 열 팽창에 의해 유전체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고 용융 땜납 등의 간극으로의 진입이라는 사태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면 가공부는 반경 방향부의 저면 가장자리부에 몰입부로서 형성되고, 이 몰입부에 유전체가 들어가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중심 도체가 그 반경 방향부에서 유전체에 의해 감싸여지도록 하여 지지되므로 그 지지 강도가 높아진다. 그 경우 가장자리부 자체의 폭은 작아도 되므로, 접속부 면적의 감소에는 거의 영향이 없는 한편, 가장자리부의 길이를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강도는 충분히 향상된다. 또한, 접속부로서 사용되지 않는 영역에서는 유전체가 들어가 있는 가장자리부의 폭을 크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몰입부는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유전체는 관통 구멍에 들어가 있고 중심 도체를 양측 면에서 지지하게 되어 그 지지 강도는 높다.
중심 도체는 금속판을 굴곡 성형 가공하여 만들어지고, 면 가공부는 프레스 가공되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굴곡 성형 가공과 프레스 가공은 동일 공정에서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중심 도체는 적어도 반경 방향부에서 유전체와 걸어맞춰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심 도체는 접촉부가 중공으로 되어 있고, 그 중공 공간 내에 유전체 일부가 들어가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접촉부의 중공 내면에 몰입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서, 반경 방향부는 둘레 방향 일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같은 방향에서 외부 도체의 외측까지 미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이 연장부의 저면에 접속부를 형성하고, 유전체와 접합된 상면에는 상기 반경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 및 몰입부의 적어도 한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돌출부 및 몰입부를 구비하면, 땜납 접속시에 가령 반경 방향부의 상면과 유전체 사이에 미소하게나마 간극이 있는 것으로 하여 용융 땜납 등이 표면 장력에 의해 상기 반경 방향부의 상면으로 돌아 들어가고, 모세관 현상에 의해 이 간극에 용융 땜납 등이 들어가더라도, 상기 돌출부나 몰입부가 래비린스 기능을 하여, 용융 땜납 등의 그 이상의 진행이 저지되어, 중심 도체의 접촉부까지 미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이 때 상기 돌출부 및 몰입부는 중심 도체의 접촉부의 베 이스를 포위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면 가공부는 엠보스 가공(타출 가공)으로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중심 도체와 유전체는 반경 방향에서 접촉부의 외경과 외부 도체의 내경 사이의 직경 범위에서 이 중심 도체와 유전체의 하면이 이 중심 도체의 접속부 하면의 위치보다 약간량 상측으로 들어 올려져 있고, 상기 유전체의 하면에는 상기 범위 내에서 접촉부의 축선을 둘러싸도록 상기 약간량만큼 하측으로 돌출된 고리 형상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 고리 형상 돌출부의 하면과 상기 접속부의 하면이 동일 위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접촉부를 중심으로 한 상기 범위에서는 용융 땜납 등이 중심 도체에 부착되지 않게 되고 회로 기판에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에서만 용융 땜납 등이 돌아 들어간다는 사태의 가능성이 있을 뿐이 된다. 그러나, 접속부는 접촉부로부터 멀리 위치해 있으므로, 용융 땜납 등의 접촉부까지의 이동이 그만큼 유효하게 저지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반경 방향부는 둘레 방향 일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둘레 방향으로 외부 도체의 외측까지 미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이 연장부의 저면에 면 가공부로서 몰입부가 형성되고, 이 몰입부에 유전체 일부가 들어가 있도록 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다음에, 첨부 도면의 도 1∼도 15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동축 커넥터(1)는 외부 도체(10)와 중심 도체(20)가 유전체(30)에 의해 일체로 지지되고 있다.
외부 도체(10)는,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방향으로 축선을 갖는 원통 형상의 통 형상부(11) 및 이 통 형상부(11)의 하부로부터 반경 외측으로 연장된 레그부(12)를 구비하며, 금속판을 굴곡 성형 가공하여 만들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통 형상부(11)는 원통 형상이며 외면에는 상대 커넥터(도시 생략)의 외부 도체와의 끼워맞춤시에 걸어서 빠짐을 방지하는 걸림홈(13)이 형성되어 있다. 또, 레그부(12)는 통 형상부(11)의 둘레 방향의 세 위치에서 연장된 레그부(12A, 12B 및 12C)로 이루어지고, 직경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레그부(12A, 12B)는 폭이 넓으며 다른 하나의 레그부(12C)는 비교적 좁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들 레그부 중 두 레그부(12A, 12B)는 커넥터(1)의 저면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해 있어, 커넥터가 회로 기판 위에 배치되었을 때에 대응 회로부와 면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반면에, 레그부(12C)는 상기 회로 기판의 면과 간격이 형성되도록 위치해 있다.
중심 도체(20)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의 커넥터의 중심 도체만을 나타낸 도 3 및 도 4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술한 외부 도체(10)와 동일하게 금속판을 굴곡 성형 가공하여 만들어지고, 커넥터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축 형상의 접촉부(21)와 이 접촉부(21)의 베이스(도 2(A), 도 2(B)에서 하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반경 방향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축 형상의 접촉부(21)는 금속판의 딥드로잉 가공에 의해 중공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선단이 반구 형상으로 그리고 하부가 나팔 형상으로 넓어져 상기 반경 방향부(22)로 이행되고 있다. 이 반경 방향부(22)는 상기 접촉부(21)의 베이스의 하부 주위로 넓어지고 있는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둘레 방향의 한 군데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부 도체(10)의 통 형상부(11)보다 외측 위치까지 연장된 연장부(23)까지 구비하고 있다. 이 연장부(23)의 하면은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와 면 접촉된 위치에서의 이 하면에서 접속부(23A)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반경 방향부(22)는 그 가장자리부가 적어도 그 일부에서 엠보스 가공된 면 가공부로서 상기 연장부(23)의 하면보다 몰입된 몰입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엠보스 가공 결과로서 상기 반경 방향부(22)는 상기 몰입부(22A)에 대응하는 위치 및 범위에서 상면에도 면 가공부로서 돌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도 1(C) 및 도 3(C)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몰입부(22A) 및 이 몰입부(22A)의 가공 결과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24)는 상기 축 형상의 접촉부(21)의 베이스를 둘레 방향으로 둘러싸고 그리고 연장부(23)의 중간 위치까지 미치고 있다.
유전체(3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도체(10)와 중심 도체(20)를 지지하도록 이들 두 도체와 일체를 이루도록 몰드 성형되어 만들어진다. 이 유전체(30)는 외부 도체(10) 내외에 미치고 있어, 외부 도체(10) 내에서는 그 하부에서 중심 도체(20)를 지지하고, 외부에서는 상기 외부 도체(10)의 세 레그부(12A, 12B 및 12C)를 지지하고 있다. 이 유전체(30)는 커넥터(1)의 하부에 위치해 있고, 외부 도체와 중심 도체(20)를 일체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동시에, 외부 도체(10) 내의 상부에는 상대 커넥터를 위한 수납공간(14)을 남긴다. 또, 이 유전체(10)는 외부 도체(10)의 외측에서 도 1(A),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각형의 외형을 이루고 있다.
이 유전체(30)는 중심 도체(20)에 대하여 이 중심 도체(20)의 반경 방향부(22)의 가장자리부 저면에 형성된 몰입부(22)까지 들어가 있고, 이 반경 방향부(22)를 하측에서부터 감싸여지도록 하여 그 지지를 견고하게 한다. 또한, 유전체(30)는 상기 몰입부(22A)의 엠보스 가공시에 형성된 돌출부(24)의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된 홈부(22B)에도 들어가 중심 도체(20)와의 걸어맞춤력을 높인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심 도체(20)의 반경 방향부(22)에 몰입부(22A)를 형성시키고, 여기에 유전체(30)를 몰드 성형시에 들어가도록 한 것만으로 중심 도체(20)는 유전체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유전체(30)의 땜납 접속시의 열 응력 또는 커넥터 사용시의 삽입/발출력을 받아도 중심 도체(20)는 유전체에(3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된다. 또한, 회로 기판과의 땜납 접속시에 용융 땜납 등이 표면 장력에 의해 반경 방향부(22) 표면에 막을 형성하도록 하여 상승되었을 때에, 가령 반경 방향부(22)와 유전체(30) 사이에 약간이나마 간극이 있어 상기 용융 땜납 등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이 간극에 진입하여 접촉부(21) 방향으로 진행하고자 하더라도, 반경 방향부에서의 면 가공부, 즉 몰입부(22A)나 돌출부(24) 및 홈부(22B)에서의 단 형상에 의해 이 용융 땜납 등의 그 이상의 진행이 방해받아 용융 땜납 등이 중심 도체의 접촉부(21)까지 도달하는 것이 저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몰입부(22A)와 돌출부(24)의 형성 범위를 더 연장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3(A)∼도 3(C)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몰입부(22A)와 돌출부(24)를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부(23)의 좌단까지 미치도록 또는 좌단 둘레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연장할 수 있다. 도 2(A), 도 2(B)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23)를 따라 유전체(30)는 외부 도체(10)의 외부까지 미치고 있으므로, 상기 돌출부(24)가 연장되면 이 돌출부(24)와 유전체(30)의 걸어맞춤 길이도 연장되어 지지력이 향상된다. 이에 덧붙여 연장부(23)는 유전체(30)와 접촉되지 않는 좌단 상면 둘레가장자리에도 돌출부(24)가, 그리고 좌단 하면 둘레가장자리에는 몰입부(22A)가 긴 범위에서 형성되므로, 이들은 그 단 형상에 의해 용융 땜납 등의 부착 상승 그리고 그 진행을 매우 유효하게 저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몰입부(22A)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 형상이 아니어도 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퍼 형상 또는 단 형상과 테이퍼 형상의 조합이어도 된다. 도 5와 같이 반경 외측으로 향해 반경 방향부의 판두께를 얇게 하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할 때에는, 몰입부(22A)에 들어간 부분에서의 유전체(30) 두께가 같은 방향으로 향하여 점차로 두꺼워지도록 변화하므로, 이 유전체(30)가 들어가는 부분의 강도상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융 땜납 등의 진행 저지 기능을 유전체쪽에도 갖게 할 수 있다. 도 6에서 몰입부(22A)가 반경 방향부(22)의 주위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는 도 2에서 나타낸 예와 동일하다. 이에 덧붙여 도 6에서는 연장부(23)와 접촉된 범위에서 부분적으로 유전체(30)에 관통 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장부(23)에 면 가공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이 연장부(23)의 상면을 진행하고자 하는 용융 땜납 등은 이 관통 구멍(31) 위치에서 그 이상의 진행은 저지되어 접촉부(21)까지는 도달하지 않는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중심 도체(20)의 연장부(23)의 상면에 추가적인 면 가공부로서 폭 방향(도 7에서 지면에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 볼록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23B)는 연장부(23)의 하면에 홈 형상의 오목부(23C)를 형성하는 엠보스 가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볼록부(23B)는 연장부(23)의 전체 폭에 걸쳐 또는 전체 폭에 가까운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볼록부(23B)가 형성되면, 연장부(23)와 유전체(30)의 걸림력을 높일 뿐 아니라, 접속부(23A)에서의 회로기판으로의 땜납 접속시에 용융 땜납 등이 표면 장력에 의해 연장부(23)의 상면까지 상승되었을 때에, 가령 연장부(23)의 상면과 유전체(30) 사이에 약간이나마 간극이 있어 상기 용융 땜납 등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이 간극에 진입하여 접촉부(21) 방향으로 진행하고자 하더라도, 상기 볼록부(23B)가 라비린스(labyrinth) 기능을 하여 용융 땜납 등을 그 이상 진행할 수 없어 접촉부(21)에 도달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그리고, 이 라비린스 기능 확보를 위해서는, 상기 연장부(23)의 상면에 볼록부 뿐만아니라 이와 함께 오목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볼록부 대신 오목부뿐일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볼록부(23B)는 상기 엠보스 가공에 의하지 않아도 연장부(23)의 하면을 평탄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면에만 폭 방향으로 연장된 미세한 복수개의 요철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볼록부(23B)는 상기 라비린스 기능에 추가로 유전체(30)와의 걸어맞춤력을 높이는 기능도 갖는다. 이 볼록부(23B)는 미세한 돌기를 이루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7에서 좌우로 좀더 긴 범위에 걸쳐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된 볼록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제 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들 예에서 중심 도체(20)의 면 가공부로서 반경 방향부(22)의 하면에 몰입부(22A) 및 상면에 돌출부(24)에 의한 홈부(22B)가 각각 접촉부(21) 주위에 형성되어 여기에 유전체(30)가 들어가 있는 점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8의 예에서는, 면 가공부로서, 상기 점에 추가로 중심 도체(20)의 연장부(23)의 하면에 넓은 범위에서 몰입부(23D)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상기 유전체(30)가 들어가 연장부(23)의 폭 방향에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몰입부(23D)를 형성하는 결과, 연장부(23)의 상면에는 돌출부(23E)가 형성되게 된다. 즉, 연장부(23)의 면적을 이용한 연장부(23)의 폭 방향에서의 연결에 의해 여기서 유전체에 의한 지지력을 강화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 강화는 상기 몰입부(23D)에서의 유전체(30)에 의한 지지, 그리고 상기 돌출부(23E)에서의 유전체(30)와의 걸어맞춤력의 증대에 의해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돌출부(23E)는 용융 땜납 등의 진행을 저지하는 기능도 향상시킨다.
도 9의 예에서는, 도 8에서의 강화에 추가하여, 상기 몰입부(23D)의 범위에서 이 연장부(23)에 관통 구멍(23F)을 형성하고, 이 몰입부(23D)의 유전체(30)와 연장부(23)의 상면측의 유전체(30)를 연결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유전체(30)는 연장부(23)를 상하에서 끼움지지하므로 그 지지력이 한층 더 강화된다. 또, 상기 몰입부(23D)에서의 유전체(30) 자체도 상하에서의 연결에 의해 도 8의 경우에 비해 강도가 향상된다.
(제 4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에 의거하여 제 4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심 도체(20)의 접촉부(21)의 외주면에 면 가공부를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0의 예에서는 접촉부(21)의 베이스 근방(도면에서 하부)에서의 외주면에 몰입부인 고리 형상 홈부(21A)가, 그리고 도 11의 예에서는 돌출부인 고리 형상 돌기부(21B)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홈부(21A) 및 돌기부(21B)에서 각각 유전체(30)와의 걸어맞춤력, 즉 유전체(30)에 의한 중심 도체(20)의 지지력을 높이고 있다.
물론, 상기 홈부(21A)와 돌기부(21B)는 용융 땜납 등의 상승 저지 능력도 갖고 있다. 이 홈부(21A)와 돌기부(21B)는 복수 지점에 형성할 수도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12∼도 14에는 제 5 실시형태가 나타나 있다.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유전체(30)는 중심 도체(20)의 접촉부(21)의 외주면에서 그 지지력을 높였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촉부의 내주면에서 나아가서는 반경 방향부(22)의 하면에서 강화시킨다.
도 12의 예에서, 접촉부(21)의 중공 내면(21C) 내에 유전체(30)가 완전히 들어가 있으며 또한 반경 방향부(22)의 하면이 접속부(23A) 부분을 제외하고 거의 전면적으로 몰입부(22A)를 형성하여 거기에 유전체(30)가 들어가 있다. 이 몰입부(22A) 내의 유전체(30)와 상기 중공 내면(21C) 내의 유전체(30)는 연속되어 있고, 이들 부분의 유전체(30) 자체의 강도를 높임으로써 중심 도체(20)에 대한 지지력을 높인다.
도 13의 예에서는, 상기 도 12의 강화에 추가하여 접촉부(21)의 베이스측에 관통 구멍(21D)을 형성하고, 접촉부(21) 내외의 유전체(30)를 연속시켜 유전체(30)와 중심 도체(20)의 걸림력을 더 높이다. 물론, 이 경우에는 용융 땜납 등의 상승을 상기 관통 구멍(21D) 부분에서 저지한다. 이 관통 구멍(21D)은 복수 지점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4의 예에서는, 도 13의 예가 접촉부(21)에 관통 구멍(21D)을 형성한 반면에, 접촉부(21)의 내주면에 고리 형상 홈부(21E)를 형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이 홈(21E)에 의해 유전체(30)와의 걸어맞춤력이 높아진다. 이 도 14의 예에서는 도 13의 경우에 비해 접촉부(21)의 강도 저하가 작다. 상기 홈(21E)은 복수 지점에 형성할 수도 있다.
(제 6 실시형태)
도 15에 나타낸 제 6 실시형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유전체(30)의 하면에서 용융 땜납 등의 상승을 더 방지 강화시킨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5에서, 도 15(A), 도 15(B)는 도 2(A), 도 2(B)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15(C)는 도 15(A)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15의 예에서, 중심 도체(20)의 접속부(23A)를 제외한 반경 방향부(22)의 하면과 유전체(30)의 하면은 외부 도체(10)의 접속부(12A, 12B) 및 중심 도체(20)의 상기 접속부(23A)의 하면보다 약간 상측에 위치해 있다. 즉, 이들은 접속부(23A)의 하면에 대하여 약간량만큼 침몰되어 있다.
상기 유전체(30)의 하면에는, 접촉부(21)의 축선을 중심으로 한 거의 폐쇄된 고리 형상 돌출부(30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고리 형상 돌출부(30A)의 하면이 상기 외부 도체(10)의 접속부(12A, 12B) 및 중심 도체(20)의 접속부(23A)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 있다. 상기 고리 형상 돌출부(30A)는 완전히 폐쇄된 고리 형상을 이루고 있지 않아도 거의 고리 형상을 이루고 있으면 충분하다. 도 15(C)의 실선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장부(23)에 상당하는 영역에서는 고리 형상 돌출부(30A)는 존재하지 않고, 약간 범위에서 개방된 고리 형상을 이루고 있다. 물론, 도 15(C)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부(23)의 하면에서 존재시켜 완전히 폐쇄한 고리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1 및 도 2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유전체에서의 중심 도체의 지지력을 그대로 확보하는 동시에, 용융 땜납 등의 상승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에 비해 상기 고리 형상 돌출부에 의해 중심 도체의 반경 방향부로의 용융 땜납 등의 접근을 근본적으로 저지하게 되어 그 만큼 그 능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중심 도체는 금속판을 굴곡 성형하는 것이 아니어도 절삭 가공으로 만들 수도 있고, 또한 양자를 조합하여 만들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중심 도체는 유전체와 접촉된 접촉면에, 돌출부 및 몰입부의 적어도 한쪽을 형성하도록 가공된 면 가공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면 가공부에서 유전체와 걸어맞춰진 것으로 하였으므로, 유전체의 중심 도체에 대한 유지력 및 걸어맞춤력을 높이는 동시에, 중심 도체의 반경 방향부가 유전체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땜납 접속 등의 용융 땜납 등의 진입이나 중심 도체의 빠짐과 같은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Claims (12)

  1.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동축 전기 커넥터로서, 통 형상부를 갖는 외부 도체 와, 이 통 형상부의 내부공간에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접촉부를 구비한 중심 도체를 구비하고, 양 도체 사이의 하부에 몰드 성형된 유전체를 통해 이 두 도체가 서로 일체적으로 유지되고, 중심 도체는 접촉부의 하부에서 유전체의 하면측으로 연장되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굴곡된 반경 방향부를 구비하고, 이 반경 방향부의 저면에 회로 기판과 접촉하는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동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중심 도체는, 유전체와 접촉하는 접촉면에 있어서, 반경 방향부의 저면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몰입부와, 이 몰입부에 대응하여 반경 방향부의 상면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이 돌출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면 가공부를 구비하고 있고, 이 면 가공부에서 유전체와 걸어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중심 도체의 반경 방향부의 연장부의 하면에 몰입부가 추가로 형성되고, 이 몰입부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도체는 금속판을 굴곡 성형 가공하여 만들어지고, 상기 면 가공부는 프레스 가공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도체는 적어도 반경 방향부에서 유전체와 걸어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도체는 접촉부가 중공으로 되어 있고, 그 중공 공간 내에 유전체의 일부가 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중공 내면에 몰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부는 둘레 방향의 일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같은 방향에서 외부 도체의 외측까지 미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이 연장부의 저면에 접속부를 형성하고, 유전체와 접합하는 상면에는 상기 반경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 및 몰입부의 적어도 한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몰입부의 적어도 한쪽은 중심 도체의 접촉부의 베이스를 포위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 축 전기 커넥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면 가공부는 엠보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도체와 유전체는, 반경 방향에서 접촉부의 외경과 외부 도체의 내경 사이의 직경 범위에서 이 중심 도체와 유전체의 하면이 이 중심 도체의 접속부의 하면의 위치보다도 소정의 양만큼 상측으로 들어 올려져 있고, 상기 유전체의 하면에는 상기 범위 내에서 접촉부의 축선을 둘러싸도록 상기 소정의 양만큼 하측으로 돌출된 고리 형상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리 형상 돌출부의 하면과 상기 접속부의 하면이 동일 위치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부는 둘레 방향의 일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둘레 방향으로 외부 도체의 외측까지 미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이 연장부의 저면에 면 가공부로서 몰입부가 형성되고, 이 몰입부에 유전체의 일부가 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전기 커넥터.
KR1020030094668A 2002-12-26 2003-12-22 동축 전기 커넥터 KR100669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78048 2002-12-26
JP2002378048 2002-12-26
JP2003369808A JP3834309B2 (ja) 2002-12-26 2003-10-30 同軸電気コネクタ
JPJP-P-2003-00369808 2003-10-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956A KR20040057956A (ko) 2004-07-02
KR100669054B1 true KR100669054B1 (ko) 2007-01-15

Family

ID=3247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668A KR100669054B1 (ko) 2002-12-26 2003-12-22 동축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02408B2 (ko)
EP (1) EP1434319B1 (ko)
JP (1) JP3834309B2 (ko)
KR (1) KR100669054B1 (ko)
CN (1) CN100373708C (ko)
DE (1) DE60318004T2 (ko)
TW (1) TWI25196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579B1 (ko) 2007-10-24 2009-07-29 케이. 에이. 이 (주) 동축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6226B2 (ja) * 2004-12-28 2010-11-04 ホシデン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一体型基板接続用コネクタ
US20070194089A1 (en) * 2006-02-22 2007-08-23 Ralph Ebbutt Facility and method for high-performance circuit board connection
US7334327B1 (en) * 2006-08-14 2008-02-26 Speed Tech Corp. Manufacturing method of radio frequency connector
JP4382834B2 (ja) * 2007-04-25 2009-12-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同軸電気コネクタ
US7766696B2 (en) * 2007-07-26 2010-08-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US7651334B2 (en) * 2007-11-02 2010-01-2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TWM347726U (en) * 2008-02-01 2008-12-21 Yang-Yin Li Connector
CN201197030Y (zh) * 2008-03-25 2009-02-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024449B2 (ja) * 2008-04-23 2012-09-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用レセプタクル
CN102282727B (zh) * 2009-01-30 2014-04-23 株式会社藤仓 Rf用插头式连接器、rf用插座式连接器以及rf用连接器
KR101081747B1 (ko) 2009-03-16 2011-11-14 (주)기가레인 기판 실장형 초소형 커넥터
JP4325885B1 (ja) 2009-03-27 2009-09-02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同軸コネクタ装置
JP5544757B2 (ja) * 2009-05-19 2014-07-09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
CN201498694U (zh) * 2009-05-22 2010-06-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KR101093631B1 (ko) 2009-08-19 2011-12-15 (주)기가레인 커넥터
JP5370276B2 (ja) * 2009-08-25 2013-12-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用レセプタクル
JP5209027B2 (ja) 2010-11-01 2013-06-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TWI458189B (zh) * 2011-03-09 2014-10-21 Hon Hai Prec Ind Co Ltd 射頻連接器
CN202111264U (zh) * 2011-03-25 2012-01-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射频连接器
JP5790245B2 (ja) * 2011-07-26 2015-10-07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および同軸型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533838B2 (ja) * 2011-11-04 2014-06-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プラグ
JP5569548B2 (ja) * 2012-03-13 2014-08-13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型電気コネクタ及び同軸型電気コネクタ装置
CN202759104U (zh) * 2012-07-18 2013-02-27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JP6047973B2 (ja) * 2012-07-23 2016-12-21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US8911240B2 (en) * 2013-03-15 2014-12-16 Samtec, Inc. Right-angle board-mounted connectors
JP2015076311A (ja) * 2013-10-10 2015-04-20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JP5776752B2 (ja) * 2013-11-11 2015-09-09 第一精工株式会社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5910643B2 (ja) 2014-01-22 2016-04-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プラグ
JP6588403B2 (ja) * 2016-08-09 2019-10-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6839969B2 (ja) * 2016-11-28 2021-03-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8221110A1 (ja) * 2017-05-29 2018-12-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L型同軸コネクタおよび同軸ケーブル付きl型同軸コネクタ
JP6780689B2 (ja) * 2018-11-21 2020-11-04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7344150B2 (ja) * 2020-02-10 2023-09-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7151744B2 (ja) * 2020-07-01 2022-10-12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7400647B2 (ja) * 2020-07-10 2023-12-19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15224566A (zh) * 2021-04-20 2022-10-21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缆线连接器及其制造方法和缆线组件以及电路板组件
KR102496373B1 (ko) * 2021-09-24 2023-02-06 주식회사 기가레인 고정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6271U (ja) * 1993-05-21 1994-12-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8321361A (ja) * 1995-05-25 1996-12-03 Murata Mfg Co Ltd 同軸コネクタ用レセプタク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5288A (en) * 1984-12-04 1987-02-24 E. F. Johnson Company Printed circuit board coaxial connector interface
DE8716011U1 (de) * 1987-12-01 1988-01-21 Robert Karst Elektrotechn. Fabrik, 1000 Berlin Steckverbindung für Koaxialleiter, insbesondere für Antennen
DE69029241T2 (de) * 1989-09-25 1997-04-30 Murata Manufacturing Co Steckverbinder
JPH05226030A (ja) * 1992-02-12 1993-09-03 Murata Mfg Co Ltd 同軸コネクタの差し込み深さ規制構造
JPH07135053A (ja) * 1993-11-08 1995-05-23 Murata Mfg Co Ltd 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コネクタの実装構造
US6074217A (en) * 1995-05-25 2000-06-1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oaxial connector receptacle
JP3023282U (ja) * 1995-09-14 1996-04-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TW431654U (en) * 1999-04-09 2001-04-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 connector
CN2439129Y (zh) * 2000-07-05 2001-07-11 莫列斯公司 微小型同轴连接器
US6474995B1 (en) * 2001-10-30 2002-11-0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 profile RF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F connector
US6533610B1 (en) * 2001-12-24 2003-03-1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profile RF connector assembly
US6648653B2 (en) * 2002-01-04 2003-11-18 Insert Enterprise Co., Ltd. Super mini coaxial microwave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6271U (ja) * 1993-05-21 1994-12-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8321361A (ja) * 1995-05-25 1996-12-03 Murata Mfg Co Ltd 同軸コネクタ用レセプタク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579B1 (ko) 2007-10-24 2009-07-29 케이. 에이. 이 (주) 동축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34319B1 (en) 2007-12-12
KR20040057956A (ko) 2004-07-02
CN100373708C (zh) 2008-03-05
US6902408B2 (en) 2005-06-07
TW200411991A (en) 2004-07-01
EP1434319A2 (en) 2004-06-30
JP3834309B2 (ja) 2006-10-18
DE60318004T2 (de) 2008-11-20
TWI251968B (en) 2006-03-21
CN1512634A (zh) 2004-07-14
DE60318004D1 (de) 2008-01-24
EP1434319A3 (en) 2006-03-15
JP2004221055A (ja) 2004-08-05
US20040137764A1 (en) 2004-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9054B1 (ko) 동축 전기 커넥터
JP4076157B2 (ja) 同軸電気コネクタ
CN101496459B (zh) 箱体的装配结构
CN108123242B (zh) 同轴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113767445B (zh) 具有防环脱离结构的高压熔断器
KR19980024740A (ko) 인쇄 회로 기판용 억지 끼움 핀
CN103208713B (zh) 汇流排的组装结构
JP2001257017A (ja) C形コンプライアントコンタクト
JP2007265888A (ja) 電気コネクタ
JP5578315B2 (ja) 基板用端子
EP1039581A2 (en) Circuit board assembly
NL9301779A (nl) Elektrische connector voor montage op het oppervlak van een printplaat.
KR20030019941A (ko) 전자커넥터 제조방법
JP2020140958A (ja) プラグコネクター
JP2004296111A (ja) 可撓式ヒンジ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電線カバー
KR20200104727A (ko) 플러그 커넥터
US20040242033A1 (en) Contact with strengthened rib
JP7191380B2 (ja) コネクタ
US6179632B1 (en) Electrical connector
JP5532335B2 (ja) 固定部材の接続構造及び固定部材
JP7507567B2 (ja) プラグコネクター
US20080090453A1 (en) Electric plate structure of socket
KR102165739B1 (ko) 커넥터의 홀드다운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KR200252597Y1 (ko) 전자회로용 컨넥터
JP2011023189A (ja) 電気コネクタにおけるコンタクトの接触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