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747B1 - 기판 실장형 초소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실장형 초소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747B1
KR101081747B1 KR1020090021991A KR20090021991A KR101081747B1 KR 101081747 B1 KR101081747 B1 KR 101081747B1 KR 1020090021991 A KR1020090021991 A KR 1020090021991A KR 20090021991 A KR20090021991 A KR 20090021991A KR 101081747 B1 KR101081747 B1 KR 101081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plate
signal transmission
vertical
t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3920A (ko
Inventor
강경일
이용구
이장묵
이남식
Original Assignee
(주)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기가레인
Priority to KR1020090021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747B1/ko
Priority to PCT/KR2009/007375 priority patent/WO2010107171A1/en
Priority to US13/256,582 priority patent/US8333596B2/en
Publication of KR20100103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Abstract

기판실장형 초소형 커넥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중심도체, 몸체, 유전체 및 테일부를 구비한다. 중심도체는 신호핀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삽입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촉단자와, 상기 접촉단자의 하부에 연결되며 외부의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전송판이 일체로 형성된다. 몸체는 상기 중심도체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플러그의 결합 시 신축공간의 기능을 하는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단자를 둘러싸는 통 형상의 몸통과, 상기 몸통의 하부에서 연장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암이 일체로 형성된다. 유전체는 상기 접촉단자와, 적어도 상기 몸체의 몸통 하부가 수납된다. 테일부는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상기 신호전송판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의 바닥면이 얹혀져서 상기 유전체를 지지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이 상기 유전체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유전체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판이 일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기판 실장형 초소형 커넥터 {Connector with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넥터의 구성요소를 각각 제작한 후 결합하여 커넥터를 제조함으로써 조립성능을 향상시켜 생산수율을 높일 수 있는 기판 실장형 초소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통신기기들 간에는 다양한 신호들이 전송된다. 신호가 전송되는 유무선 통신기기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연결 방법으로 커넥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이나 기판에 연결되어 대응되는 플러그나 기타 연결수단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무선 신호를 효율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해서 무선 통신기기에는 안테나가 부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안테나에는 숫커넥터가 설치되고, 무선 통신기기에는 암커넥터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함).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플러그가 결합되는 몸체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중심도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몸체와 중심도체는 유전체에 의해서 결합된다. 몸체 내부에 중심도체를 배치하고 몸체 중앙으로 원형의 코어(금 형)를 삽입하고 몸체 하부에는 몸체와 중심도체를 결합시키기 위한 유전체를 형성하는 금형을 배치한 후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해서 몸체와 중심도체 및 유전체가 결합된다. 그리고, 금형이 분리된다.
이와 같이, 몸체와 중심도체를 배치하고 금형을 삽입한 후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해서 하나의 커넥터가 완성되기 때문에 여러 개의 중심도체와 몸체를 이용하여 한번에 커넥터를 완성시키도록 자동화 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고 따라서 생선성이 매우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 한, 몸체 내부에 삽입된 코어(금형)를 제거할 때 본체 내측면에 의하여 코어의 외면에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어, 코어를 자주 바꿔줘야 하고 이에 따라 생산비용도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커넥터를 생산시 코어에 손상이 발생하지도 않으면서 커넥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성요소가 모두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됨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킨 기판실장형 초소형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실장형 초소형 커넥터는 신호핀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삽입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촉단자와, 상기 접촉단자의 하부에 연결되며 외부의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전송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중심도체와; 상기 중심도체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플러그의 결합 시 신축공간의 기능을 하는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단자를 둘러싸는 통 형상의 몸통과, 상기 몸통의 하부에서 연장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암이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접촉단자와, 적어도 상기 몸체의 몸통 하부가 수납되는 유전체 ; 및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상기 신호전송판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의 바닥면이 얹혀져서 상기 유전체를 지지하는 ㄷ 자 형상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이 상기 유전체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유전체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테일부를 구비하되,
상기 중심도체는, 상기 유전체에 수납되는 상기 접촉단자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유전체에 삽입되는 수직부가 상기 신호전송판 위에 상기 신호전송판과 수직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신호전송판은 일정 길이를 이루는 판 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삽입판은 상기 신호전송판의 양측면부로부터 상기 신호전송판과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삽입판 몸체와, 상기 한 쌍의 제 1삽입판 몸체의 단부로부터 상기 신호전송판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방을 따라 서로 나란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삽입판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제 2삽입판 몸체는 상기 신호핀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 2삽입판 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제 2삽입판 몸체의 상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의 폭이 하방을 따라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는 상기 신호전송판의 양측면에 형성되도록 두 개로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수직부는 상기 신호전송판의 양측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 연장되며, 상기 돌출되는 부분의 단부에서 상기 신호전송판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방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출암의 양측면에는 뾰족하게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플러그의 결합 후 상기 플러그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그루브(groove)가 상기 몸통의 상부 둘레를 따라 더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보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결합보조홈에서 상기 몸체의 하단을 절개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의 폭은 상기 결합보조홈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테일부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상기 유전체에 밀착 및 삽입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돌출암은, 상기 몸통의 하부 끝단 양측에 평행하게 2개가 연장돌출 되고, 상기 유전체에 상기 돌출암과 상기 몸통 하부가 수납되면서 상기 돌출암은 상기 유전체를 통과하여 상기 유전체의 바닥면 외측으로 돌출된 후 상기 유전체의 양측으로 구부러져서 상기 몸통이 상기 유전체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상기 수직판은 상기 바닥판의 안쪽 중앙에서 상기 바닥판과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판의 측면에는 테일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판이 상기 유전체에서 쉽게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삭제
상기 테일고정부는 상기 수직판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상기 테일고정부는 상기 하나이상의 수직판을 서로 연결하는 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테일고정부는 상기 수직판에 형성되는 홀일 수 있다.
상기 중심도체, 상기 몸체, 상기 유전체 및 상기 테일부가 각각 별도로 제작된 후, 조립됨에 의하여 완성된다.
상기 중심도체와 상기 테일부가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해서 상기 유전체와 결합된후, 상기 몸체가 상기 유전체에 삽입된다.
상기 유전체는 사면체 형상의 몰드로서 그 중앙에 상기 몸통 하부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환형삽입구와 상기 환형삽입구의 양 측면에 상기 돌출암이 삽입관통 되는 돌출암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몸체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삽입구의 중앙에 상기 삽입판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삽입판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유전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돌출암가이드홀을 통해 돌출되는 상기 돌출암이 구부러져 접촉되는 돌출암자리부와 상기 삽입판홀들에 삽입된 상기 삽입판에 연결된 상기 신호전송판이 접촉되는 신호전송판자리부와 상기 바닥판이 접촉되는 바닥판자리부와 상기 수직판이 삽입되는 수직판홀들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각 구성요소가 별도로 제작되고 조립되어 커넥터가 완성될 수 있어 기존의 금형 제작 비용이나 시간 및 금형을 몸체에서 빼 낼 때 발생하는 금형의 손상으로 인한 커넥터의 생산성 저하를 막고 조립을 자동화 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가 따로 제작되므로 몸체의 형상을 조절(그루브의 크기나 깊이, 엠보의 크기 등)하여 대응되는 플러그와의 체결력 및 기구적 성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중심도체와 테일부가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해서 유전체와 결합된 후, 몸체가 유전체에 삽입됨에 의하여 커넥터가 완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몸체 내부로 삽입되는 금형이 필요 없게 되어 금형의 손상문제가 해결되고 몸체의 구조를 다양하게 조절하기 용이하며 커넥터의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중심도체(110), 몸체(130), 유전체(150) 및 테일부(170)를 구비한다. 도 1의 커넥터(100)는 기존의 커넥터 제작방법과 달리, 중심도체(110), 몸체(130), 유전체(150) 및 테일부(170)가 각각 별도로 제작된다. 그리고 각 구성요소가 조립되어 하나의 완전한 커넥터(100)가 완성된다.
따라서, 이렇게 각 구성요소가 별도로 조립되어 커넥터가 완성되는 경우 기존과 같이 몸체와 중심도체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인서트 몰딩을 할때에 금형이 필요하던 공정이 필요 없어 지므로 금형제작 비용이나 시간 및 금형을 몸체에서 빼 낼 때 발생하는 금형의 손상으로 인한 커넥터의 생산성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커넥터(100)는 중심도체(110)와 테일부(170)가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해서 유전체(150)와 결합된 후, 몸체(130)가 유전체(150)에 삽입됨에 의하여 완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해서 테일부(170)와 중심도체(110)가 결합된 유전체(150)가 형성되고, 유전체(150)에 몸체(13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방식이 되므로 몸체(130) 내부로 삽입되는 금형이 필요없게되어 금형의 손상문제가 해결되고 몸체(130)의 구조를 다양하게 조절하기 쉬우며 커넥터(100)의 생산성 향상도 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의 구조와 결합 방법에 대해서 도 2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2는 도 1의 중심도체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중심도체(110)는 신호핀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삽입판(111-1, 111-2)으로 이루어지는 접촉단자(111)와, 접촉단자(111)의 하부에 연결되며 외부의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전송판(113)이 일체로 형성된다. 신호전송판(113)은 접촉단자의 하부에 연결되며 일측이 길게 뻗은 형상이다. 다만, 신호전송판(113)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삽입판(111-1,111-2)은 상기 신호전송판(113)의 양측면부로부터 상기 신호전송판(113)과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삽입판 몸체(111-1',111-2')와, 상기 한 쌍의 제 1삽입판 몸체(111-1',111-2')의 단부로부터 상기 신호전송판(113)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방을 따라 서로 나란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삽입판 몸체(111-1",111-2")로 이루어진다.
중심도체(110)는 유전체(150)에 수납되는 접촉단자(111)가 쉽게 유전체(15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유전체(150)에 삽입되는 수직부(115)가 신호전송판(113) 위에 신호전송판(113)과 수직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부(115)는 신호전송판(113)의 양측에 2개(115-1, 115-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하나 또는 세개 이상 형성될 수 도 있다.
접촉단자(111)의 삽입판들(111-1, 111-2)은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삽입공간에는 플러그의 신호핀(미도시)이 삽입됨으로써 신호핀과 중심도체(1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신호핀과 중심도체(110)와의 전기적 연결이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삽입판들(111_1, 111_2)은 삽입공간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도 3(a)는 도 1의 몸체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1의 몸체의 평면도이다.
도 3(c)는 도 1의 몸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3(d)는 도 1의 몸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몸체(130)는 중심도체(110)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플러그의 결합 시 신축공간의 기능을 하는 절개부(131)를 포함하며 접촉단자(111)를 둘러싸는 통 형상의 몸통(133)과, 몸통(133)의 하부에서 연장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암(135)이 일체로 형성된다. 도면 번호 '135a' 는 돌출암(135)의 외주에 뾰족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기이다.
절개부(131)는 몸통(133)과 플러그의 결합시 절개부(131)가 벌어지게 되어 몸체(130)와 플러그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몸체(130)는, 플러그의 결합 후 상기 플러그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그루브(groove, 137)가 몸통의 상부 둘레를 따라 더 형성될 수 있다.
고정그루브(137)는 플러그가 몸통(133)에 결합된 이후 플러그가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통(133)의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고정그루브(137)는 몸통(133)의 둘레를 따라 내부공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므로(즉, 몸통(133)의 외면은 내부공간방향으로 들어가고 몸통(133)의 내면은 내부공간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므로), 고정그루브(137)에 의해 형성되는 내면의 턱에 플러그의 몸통에 형성되는 홈(미도시)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플러그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는 플러그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돌기(미도시)가 몸통(133)의 내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그루브(137) 대신 플러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가 몸통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몸통(133)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돌기와 플러그의 몸통에 형성되는 홈(미도시)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플러그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을 것이다.
몸체(130)의 상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보조홈(139)이 형성된다.
결합보조홈(139)은 플러그의 몸통이 몸체(130)의 몸통(133)에 결합할 때, 결합보조홈(139)에 의하여 몸체(130)의 몸통(133) 상부가 약간 벌어질 수 있어 플러그의 착탈이 용이해진다.
기존처럼 몸체와 중심도체를 한꺼번에 인서트 몰딩하지 않고 몸체(130)가 별도로 제작되어 다른 구성요소와 결합되므로 대응되는 플러그의 크기나 형상에 다라 몸체(130)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 또한 고정그루부(137)나 고정돌 기에 의해서 금형(코어)이 손상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몸통(133)의 하부에서 연장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암(135)이 일체로 몸체(130)에형성된다. 돌출암(135)은, 몸통(133)의 하부 끝단 양측에 평행하게 2개가 연장돌출 되고, 유전체(150)에 돌출암(135)과 몸통(133) 하부가 수납된다. 돌출암(135)은 유전체(150)를 통과하여 유전체(150)의 바닥면 외측으로 돌출된 후 유전체(150)의 양측으로 구부러져서 몸통(133)이 유전체(15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또한, 돌출암(135)은 유전체(150)의 바닥면에서 양측으로 구부러져서 유전체(150)의 바닥면에 밀착 접촉되고 그 끝단이 유전체(150)의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이 접지 역할을 한다.
도 4(a)는 도 1의 유전체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1의 유전체의 평면도이다.
도 4(c)는 도 1의 유전체의 배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전체(150)는 접촉단자(111)와, 적어도 몸체(130)의 몸통(133) 하부가 수납된다.
유전체(150)는 사면체 형상의 몰드로서 그 중앙에 몸통(133) 하부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환형삽입구(151)와 환형삽입구(151)의 양 측면에 돌출암(135)이 삽입관통 되는 돌출암가이드홀(153)이 형성되는 몸체수납부(155)가 형성된다.
환형삽입구(151)의 중앙에 삽입판(111)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삽입판홀들(157)이 형성되고, 유전체(150)의 바닥면에는 돌출암가이드홀(153)을 통 해 돌출되는 돌출암(135)이 구부러져 접촉되는 돌출암자리부(159)와 삽입판홀들(157)에 삽입된 삽입판(111-1, 111-2)에 연결된 신호전송판(113)이 접촉되는 신호전송판자리부(161)와 테일부(170)의 바닥판(171)이 접촉되는 바닥판자리부(163)와 테일부(170)의 수직판(173)이 삽입되는 수직판홀들(16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유전체(150)는 금형에 의해서 별도로 제작되어 다른 구성요소들, 즉 중심도체(110)와 테일부(170)와 몸체(130)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중심도체(110)와 테일부(170)가 결합배치되고 인서트몰딩에의해 유전체(150)가 금형에 의해서 형성되면서 중심도체(110)와 테일부(17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5(a)는 도 1의 테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테일부(170)는 몸체(130)를 기준으로 신호전송판(113)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유전체(150)의 바닥면이 얹혀져서 유전체(150)를 지지하는 바닥판(171)과, 바닥판(171)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바닥판(171)이 유전체(15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유전체(150)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판(173)이 일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테일부(170)는, 바닥판(171)이 ㄷ 자 형상이고, 수직판(173)은 바닥판(171)의 안쪽 중앙에서 바닥판(171)과 수직하게 형성되며, 수직판(173)의 측면에는 테일고정부(175)가 형성되어 수직판(173)이 유전체(15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테일고정부(175)는 수직판(173)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수직판(173)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홈이 테일고정부(175) 역할을 함 으로써 수직판(173)이 유전체(150)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도 5(b)는 도 1의 테일부의 다른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1의 테일부의 다른 구조의 사시도이다
테일고정부(175)는 도 5(a)에 도시된 홈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할 수 있다. 도 5(b) 및 도 5(c)에서 다양한 테일고정부(175)의 구조가 개시된다.
즉, 테일고정부(175)는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이상의 수직판(173)을 서로 연결하는 빔 형상일 수 있다. 빔이 유전체(150)에 수직판(173)과 함께 삽입된 후 수직판(173)이 아래 방향으로 유전체(150)에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테일고정부(175)는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판(173)에 형성되는 홀일 수 있다. 수직판(173)이 유전체(150)에 삽입되면 홀 내부로 유전체(150)가 삽입되어 굳어지므로 수직판(173)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도, 테일고정부(175)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판(173)의 형상 자체가 T자 형상을 가진다던가 하는 방식으로 유전체(150)에서 쉽게 빠지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전체()에서 수직판(173)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위한 테일고정부(175)의 구조나 수직판(173)의 구조는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도 2의 중심도체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테일부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몸체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참조하면, 중심도체(110)가 일정한 간격으로 캐리어(C1)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의 캐리어(C1)와 중심도체(110)는 자동화설비에 의해서 양산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테일부(170)가 일정한 간격으로 캐리어(C2)에 배치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자동화 설비에 의해서 양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염, 몸체(130)가 일정한 간격으로 캐리어(C3)에 배치되어 있으며 캐리어(C3)와 몸체(130)는 자동화설비에 의해서 양산될 수 있다. 도 8의 몸체(130)는 캐리어(C3)에 연결된 상태로 펼쳐져 있지만, 원형의 형태로 둥글게 말아져서 양 끝단이 서로 접촉하면서 하나의 몸체(130)로 완성된다. 특히, 양끝단이 완전히 결합되지 않고 틈이 생기며 그 틈이 절개부(131)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중심도체(110), 몸체(130), 유전체(150) 및 테일부(170)는 각각 별도로 제작된 후, 각 구성요소들을 조립함에 의하여 하나의 커넥터로서 완성될 수 있다. 이 때, 각 구성요소들은 캐리어들(C1, C2, C3)에 결합된 채로 한번에 여러 개가 동시에 조립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100)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는 중심도체(110)와 테일부(170)가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해서 유전체(150)와 결합된후, 몸체(130)가 유전체(150)에 삽입되어 커넥터가 완성될 수 있다.
도 9는 중심도체와 테일부가 결합배치된 후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해 유전체와 결합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캐리어(C1)에 연결된 중심도체(110)들과 캐리어(C2)에 연 결된 테일부(170)들이 근접하여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고 그 위에 유전체(150)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이 배치되며,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해서 유전체(150)가 형성되면서 동시에 테일부(170)와 중심도체(110)가 유전체(150)와 결합된다.
테일부(170)와 중심도체(110) 및 유전체(150)가 결합되면, 유전체(150)의 환형삽입구(151)에 몸체(130)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커넥터가 완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방식과 다르게 몸체(130)는 별도로 만들어 진후 유전체에 삽입만 하면 되므로, 몸체(130) 내부에 금형(코아)이 삽입되었다가 빠지면서 코아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여지가 완전히 제거되며, 몸체(130)를 대응되는 플러그에 알맞게 고정그루브의 크기나 깊이 등을 조절할 수 있어 체결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미설명 부호 'S'는 경사면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중심도체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도 1의 몸체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1의 몸체의 평면도이다.
도 3(c)는 도 1의 몸체의 좌측면도이다.
도 3(d)는 도 1의 몸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유전체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1의 유전체의 평면도이다.
도 4(c)는 도 1의 유전체의 배면도이다.
도 5(a)는 도 1의 테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1의 테일부의 다른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1의 테일부의 다른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중심도체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테일부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몸체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중심도체와 테일부가 결합배치된 후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해 유전체와 결합되는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Claims (11)

  1. 신호핀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두 개의 삽입판으로 이루어지는 접촉단자와, 상기 접촉단자의 하부에 연결되며 외부의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전송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중심도체;
    상기 중심도체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플러그의 결합 시 신축공간의 기능을 하는 절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단자를 둘러싸는 통 형상의 몸통과, 상기 몸통의 하부에서 연장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암이 일체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접촉단자와, 적어도 상기 몸체의 몸통 하부가 수납되는 유전체 ; 및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상기 신호전송판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유전체의 바닥면이 얹혀져서 상기 유전체를 지지하는 ㄷ 자 형상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이 상기 유전체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유전체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테일부를 구비하되,
    상기 중심도체는,
    상기 유전체에 수납되는 상기 접촉단자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유전체에 삽입되는 수직부가 상기 신호전송판 위에 상기 신호전송판과 수직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신호전송판은 일정 길이를 이루는 판 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삽입판은 상기 신호전송판의 양측면부로부터 상기 신호전송판과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삽입판 몸체와, 상기 한 쌍의 제 1삽입판 몸체의 단부로부터 상기 신호전송판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방을 따라 서로 나란하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삽입판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제 2삽입판 몸체는 상기 신호핀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 2삽입판 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제 2삽입판 몸체의 상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의 폭이 하방을 따라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는 상기 신호전송판의 양측면에 형성되도록 두 개로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수직부는 상기 신호전송판의 양측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 연장되며, 상기 돌출되는 부분의 단부에서 상기 신호전송판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방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출암의 양측면에는 뾰족하게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플러그의 결합 후 상기 플러그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그루브(groove)가 상기 몸통의 상부 둘레를 따라 더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보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결합보조홈에서 상기 몸체의 하단을 절개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의 폭은 상기 결합보조홈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테일부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상기 유전체에 밀착 및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암은,
    상기 몸통의 하부 끝단 양측에 평행하게 2개가 연장돌출 되고,
    상기 유전체에 상기 돌출암과 상기 몸통 하부가 수납되면서 상기 돌출암은 상기 유전체를 통과하여 상기 유전체의 바닥면 외측으로 돌출된 후 상기 유전체의 양측으로 구부러져서 상기 몸통이 상기 유전체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은 상기 바닥판의 안쪽 중앙에서 상기 바닥판과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수직판의 측면에는 테일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직판이 상기 유전체에서 쉽게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고정부는,
    상기 수직판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고정부는,
    상기 하나이상의 수직판을 서로 연결하는 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고정부는,
    상기 수직판에 형성되는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도체, 상기 몸체, 상기 유전체 및 상기 테일부가 각각 별도로 제작된 후, 조립됨에 의하여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도체와 상기 테일부가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해서 상기 유전체와 결합된후, 상기 몸체가 상기 유전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사면체 형상의 몰드로서 그 중앙에 상기 몸통 하부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환형삽입구와 상기 환형삽입구의 양 측면에 상기 돌출암이 삽입관통 되는 돌출암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몸체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삽입구의 중앙에 상기 삽입판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삽입판홀들이 형성되고,
    상기 유전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돌출암가이드홀을 통해 돌출되는 상기 돌출암이 구부러져 접촉되는 돌출암자리부와 상기 삽입판홀들에 삽입된 상기 삽입판에 연결된 상기 신호전송판이 접촉되는 신호전송판자리부와 상기 바닥판이 접촉되는 바닥판자리부와 상기 수직판이 삽입되는 수직판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90021991A 2009-03-16 2009-03-16 기판 실장형 초소형 커넥터 KR101081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991A KR101081747B1 (ko) 2009-03-16 2009-03-16 기판 실장형 초소형 커넥터
PCT/KR2009/007375 WO2010107171A1 (en) 2009-03-16 2009-12-10 Connector with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
US13/256,582 US8333596B2 (en) 2009-03-16 2009-12-10 Connector having a tail with vertical panels inserted into a dielectric holding a contact terminal surrounded by a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991A KR101081747B1 (ko) 2009-03-16 2009-03-16 기판 실장형 초소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920A KR20100103920A (ko) 2010-09-29
KR101081747B1 true KR101081747B1 (ko) 2011-11-14

Family

ID=4273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991A KR101081747B1 (ko) 2009-03-16 2009-03-16 기판 실장형 초소형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33596B2 (ko)
KR (1) KR101081747B1 (ko)
WO (1) WO20101071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1383B1 (en) 2015-09-28 2016-10-04 Amphenol Corporation High signal isolation electrical connector
TWI697087B (zh) * 2019-04-18 2020-06-21 台灣積體電路製造股份有限公司 回焊裝置以及接合方法
CN211126359U (zh) * 2019-10-17 2020-07-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同轴连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802B1 (ko) * 2004-07-27 2007-09-07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기판 대 기판 접속용 동축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88116B (en) * 2000-03-31 2002-05-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eceptacle for coaxial plug connector
US6533610B1 (en) * 2001-12-24 2003-03-1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profile RF connector assembly
US6648653B2 (en) * 2002-01-04 2003-11-18 Insert Enterprise Co., Ltd. Super mini coaxial microwave connector
JP3761501B2 (ja) * 2002-07-31 2006-03-29 本多通信工業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及びそれが実装されるグランドパッド
JP3834309B2 (ja) * 2002-12-26 2006-10-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電気コネクタ
JP4576226B2 (ja) * 2004-12-28 2010-11-04 ホシデン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一体型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4382834B2 (ja) * 2007-04-25 2009-12-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同軸電気コネクタ
JP5079420B2 (ja) * 2007-08-10 2012-11-2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内蔵ユニット
WO2009061022A1 (en) * 2007-11-06 2009-05-14 Gigalane Co. Ltd. Connector capable of coupling to printed circuit boar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802B1 (ko) * 2004-07-27 2007-09-07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기판 대 기판 접속용 동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33596B2 (en) 2012-12-18
US20120009812A1 (en) 2012-01-12
KR20100103920A (ko) 2010-09-29
WO2010107171A1 (en) 201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8499A (en)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CN107994366B (zh) 插座连接器
EP0795929B1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retention characteristics
US10020619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050181B1 (ko) 인쇄회로기판에 연결 가능한 커넥터
KR100358877B1 (ko) 회로 기판 장착식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CN109103673B (zh) 插座连接器
CN108933365B (zh) 电连接器
CN105098413A (zh) 端子、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件
CN103430383B (zh) 线缆连接装置
KR101125067B1 (ko)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CN109586063B (zh) 基板用连接器及其组合
US6368158B1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integrally molded terminals and guide pins
US20130288497A1 (en)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for providing normal force in electrical connector
KR101081747B1 (ko) 기판 실장형 초소형 커넥터
WO2020057629A1 (zh) 一种转换插头、电源适配器加工方法及转换插头、电源适配器
KR101212716B1 (ko) 동축 커넥터
US20070287330A1 (en) Audio jack
US8197261B2 (en) Telecommunication connector having a flexible circuit board wound across a support member and ends being bent into fixing plates coupled to two rows of terminals
JP2006216914A (ja) 電子部品収容ケース
US6672913B1 (en)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297051Y1 (ko) 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체결구조
CN114243387A (zh) 电连接器
CN203166153U (zh) 连接端子、用于安装连接端子的壳体和连接器组件
KR101207774B1 (ko) 체결이 용이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