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553B1 - 다이아몬드 디스크 - Google Patents

다이아몬드 디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553B1
KR100635553B1 KR1020057010930A KR20057010930A KR100635553B1 KR 100635553 B1 KR100635553 B1 KR 100635553B1 KR 1020057010930 A KR1020057010930 A KR 1020057010930A KR 20057010930 A KR20057010930 A KR 20057010930A KR 100635553 B1 KR100635553 B1 KR 100635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ond
disk
grinding
pieces
diamond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0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5667A (ko
Inventor
마사아키 미야나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filed Critical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Publication of KR20050085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5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8Angl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06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 B24D7/063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with segments embedded in a matrix which is rubbed away during the grind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6Grinders for cutting-off
    • B24B27/08Grinders for cutting-off being 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3/0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 B24D3/02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 B24D3/04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inorganic
    • B24D3/06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inorganic metallic or mixture of metals with ceramic materials, e.g. hard metals, "cermets", cements
    • B24D3/1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inorganic metallic or mixture of metals with ceramic materials, e.g. hard metals, "cermets", cements for porous or cellular structure, e.g. for use with diamonds as abra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5/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nly by their periphery;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5/12Cut-off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7/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7/06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therwise than only by their periphery, e.g. by the front face;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e.g. segme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12Saw-blades or saw-disc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tone
    • B28D1/121Circular saw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2203/00Tool surfaces formed with a pat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종래에 없는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디스크에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을 복수개 고착한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공통의 회전 궤적 상에 있어서 회전 방향(R)에 대하여 전후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 사이의 이격 거리(m1)를, 반경방향에 대해 이웃하는 회전 궤적상에 있어서 근접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과의 이격 거리(m2)보다 길게 설정한다.
다이아몬드, 디스크, 연삭, 콘크리트, 석재, 그라인더

Description

다이아몬드 디스크{DIAMOND DISK}
본 발명은, 회전 장치(회전 공구)인 디스크 그라인더(disk grinder) 등에 장착하여, 콘크리트나 석재 등의 각종 피연삭물의 연삭(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특별히 특정한 경우를 제외하고 「연삭」이라는 단어를 「절단」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사용한다.) 작업 등을 수행하는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이미, 강판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원판형 기초체의 정면의 디스크 면에,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을, 중앙부를 제외하고, 납땜이나 레이저 용접 또는 접착제(binder) 등에 의해 적당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고착한 다이아몬드 디스크가 여러 가지 실용화되어 있다(일본국 특허공개 평6-21057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0-167774호 공보).
이러한 종류의 다이아몬드 디스크는, 기초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장착공을 통하여 디스크 그라인더 등의 회전 장치의 회전축에 장착되며, 소정 속도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디스크 면에 의하여, 콘크리트 부재, 석재, 타일이나, 그들의 표면에 피막되어 있는 도료 등의 피연삭물(연마물)의 연삭작업을 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다이아몬드 디스크는, 사용 목적에 따라, 디스크의 크기(직경)나 형태, 또한 디스크 면에 고착되어 있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입도나 배치 밀도 등이 달라진다.
그런데, 종래의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경우, 이하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가 있었다.
먼저, 첫 번째로, 비교적 입도가 큰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을 동일 회전 궤적 상에서 배치거리가 작게, 그리고 전체적으로 밀도 불균일이 없도록 하여 고착한 경우, 실제의 연삭작업에 있어서, 공통의 회전 궤적 상에 위치하는 후방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이 전방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뒤에 숨겨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경우, 후방에 배치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이 유효하게 연삭에 기여하지 못하여, 전체의 연삭 능률을 저하시킨다. 특히, 이와 같은 경향은, 예를 들면 탄성 도료막의 박리 작업 등으로 대표되는 비교적 점착성이 있는 물질의 연삭 작업에서 현저해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는, 장시간 사용하면, 디스크 면 상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에 연삭 작업의 기여 상태에 대응한 손모(損耗) 불균일이 생긴다. 그 결과, 그 후의 연삭능률의 저하나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수명을 감소시킨다.
또한, 디스크 면에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배열을, 전체적으로 밀도 불균일이 없도록 임의적(random)으로 배열하면, 연삭 작업시에, 중앙부 쪽으로부터 테두리부를 향하여 배출되려고 하는 연삭칩이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에 의해 방해받아 로딩(loading)현상이 생기기 쉽고, 이것도 연삭 능률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두 번째로, 상기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디스크 면에 고착한 개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을,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각각이 독립적인 회전 궤적을 그리도록 다수 배치하여, 더욱 연삭능력을 높이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으나, 이와 같이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개수를 늘려 상기와 같이 배치하면, 생산 과정에서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배치 및 고착 작업이 번잡하고, 생산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게 된다.
세 번째로, 디스크면 상의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중, 중앙 부분 및 그 근방의 것은 연삭 작업에 의해 그다지 마모되지 않는데, 디스크면 상의 주연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마모되면 폐기되어 버려, 자원의 효율적 이용이라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네 번째로, 종래의 상기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경우, 디스크 면으로 모따기 등의 협의의 의미에서의 연삭만을 행할 뿐, 그 이외의 용도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종래의 시판제품과 다름없이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모든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이 유효하고도 균등하게 연삭 작업에 기여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하여도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에 마모 불균일이 생기기 어렵고, 더욱이 디스크 면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외주연으로의 연삭 칩의 배출성이 양호한,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디스크 면에 고착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개수 및 그의 배치형태에 관계없이, 디스크 면에 대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위치 설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목적은, 디스크 면에 고착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중에 서, 연삭작업에 기여하는 정도가 낮은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이 존재하는 것에 착안하여, 그 부분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을 이용하여 외관에서 해당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메이커 등의 식별 등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참신하고 의장적으로도 우수한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제4목적은, 디스크 면에 의한 협의의 의미에서의 연삭 작업은 물론이고 그 이외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는, 디스크의 연삭기능면에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을 복수개 고착한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공통의 회전 궤적상에 있어서 회전 방향에 대해 전후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사이의 이격 거리를, 반경방향에 대해 이웃하는 회전 궤적상에 있어서 근접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이격 거리보다 길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공통의 회전 궤적상에 있어서 전후에 위치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사이의 이격 거리가, 이웃하는 회전 궤적상에 있어서 근접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이격 거리보다 길게 설정되므로, 콘크리트나 석재 등에 대한 연삭 작업에서, 다이아몬드 디스크가 회전하여 공통의 회전 궤적상에 있어서 전후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사이에는, 충분한 간격이 확보된다. 그 결과, 후방에 위치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이 회전 방향에 대해 선행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뒤에 숨겨져 마모 불량을 발생하는 일이 없고, 개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이 연삭 작업에 유효하게 기여한다. 또한, 회전 방향에 대해 인접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사이에 간극이 유효하게 형성되므로, 연삭칩의 배출도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점으로부터도 연삭 능률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개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은 거의 균등하게 마모되어 가기 때문에, 장시간 걸쳐서 안정적인 연삭 성능을 발휘하고, 더 나아가서는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수명의 연장이 도모된다.
또한, 상기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을 정렬 형태로 배치한 구성으로 하면, 더욱 연삭 칩의 배출도 원활하게 행해지는 구성이 되고, 또한 생산성이 우수한 다이아몬드 디스크가 된다.
또한, 상기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정렬 형태는, 상기 이웃하는 회전 궤적상에서, 그리고 회전 방향에 대하여 서로 근접하여 전후에 위치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각각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중앙부 테두리 쪽으로부터 주연부에 걸쳐서 연속하도록 형성되고, 그의 연속하는 간극의 내경측 단부가 회전 방향에 대해 선행하고 외경측 단부가 회전 방향에 대해 후행하도록 반경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간극을 형성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정렬 형태이면,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회전을 이용하여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연삭 칩의 배출을 더욱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구성이 된다.
또한, 상기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연속하는 간극의 내경측 단부와 외경측 단부가 회전 방향에 대해 20도 이상 치우쳐 이동한 것과 같은 소용돌이 형상이면,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연삭 칩의 배출을 더욱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구성을 실현할 수가 있다.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는, 디스크의 연삭기능부위에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을 복수개 고착한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인접하는 복수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고착 위치를 소정의 배치 형태로 패턴화하여 연삭 기능 부위로의 배치를 위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을 형성하고, 상기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을 복수개로 연삭 기능 부위에 정렬 형태로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을 연삭 기능 부위에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디스크 면 등의 연삭 기능 부위에 있어서, 1 또는 복수의 패턴화 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을, 1개의 유닛으로서,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 상호의 배치 관계만을 고려하여 배치하면 된다. 이 때문에,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디스크 면 등의 연삭 기능 부위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위치 설정이나 고착을 행할 수가 있다.
그 이유는, 동일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에 속하는 복수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은, 서로 가까이 있어 면(面)과 같은 넓이를 가져, 콘크리트나 석재 등의 연삭작업을 할 때, 이들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에 의한 연삭은 일체로 행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1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을 외관상 1개의 큰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으로 볼 수 있다.
더욱이, 성능적으로는, 디스크 면 등의 연삭 기능 부위에 대하여 개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을 대상으로 하여 위치 설정을 행하는 종래의 것과 손색이 없는 연삭성능을 발휘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배치 형태의 패턴화는 한가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패턴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이 담당하는 연삭 작업량(연삭 부담)을 고려하여 해당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이 속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의 방향을 상이하게 배치하면, 상기 방향의 상이함은, 동일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에 속하는 개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회전 궤적을 변화시키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의 회전 궤적의 폭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연삭 부담을 조정할 수가 있다. 또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 서로가 반경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게 하여 회전 궤적의 일부가 중첩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중첩이 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의 방향을 서로 역방향으로 함으로써, 연삭 불량을 해소할 수가 있고, 배치 위치의 상이함에 대한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연삭 작업량의 경중의 차를 없앨 수 있다. 그 결과,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을 유효하게 기능시켜서 전체의 연삭 능률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연삭 기능 부위가 면(面) 형태이고, 상기 면의 내경측 단부로부터 외경측 단부에 걸쳐서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을 연속하는 소용돌이 형태로 배치하면, 실용면에서, 연삭 기능 부위의 면(예를 들면 디스크 면)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힌 다이아몬드 디스크 입자 조각 그룹 유닛의 배치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 목적에 부합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한 다이아몬드 디스크가 간단하게 얻어진다. 여기서, 상기 소용돌이 형상은 1줄의 소용돌이 형상이어도, 2줄 또는 그 이상의 줄수를 가지는 소용돌이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연삭 기능 부위가 면(面) 형태이고, 상기 면의 외경측 단부로 갈수록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 사이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배치하면, 실용적인 면(연삭 기능 면)에서, 연삭 기능 부위인 예를 들어 상기 디스크 면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균형이 잡힌 다이아몬드 디스크 입자 조각 그룹 유닛의 배치가 이루어진다. 요컨대, 일반적으로, 디스크 면 등의 연삭 기능 부위에서는 외주부에 가까워질수록 속도도 빨라져 거기에 배치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의 연삭 기여 정도가 높아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연삭 부담이 커지게 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그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높은 효율로 연삭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외주부이기 때문에, 연삭 칩도 비교적 용이하게 배출된다.
또한, 상기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이 3개의 삼각형으로 배치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으로 구성되면,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이 방향성을 가지게 되고, 따라서, 1개의 패턴으로써도 여러 가지로 방향을 바꾸어 배치할 수 있고, 현실적으로 바람직한 구성이 된다.
상기 제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는, 디스크 면(面)의 중앙부를 제외하고, 상기 중앙부 바깥 테두리 쪽으로부터 주연부에 걸쳐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을 복수개 고착한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디스크 면의 적어도 일부에, 복수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에 의해 점묘(點描)적으로 문자 또는 도형을 표현하도록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을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의하면, 작업시에 눈에 띄기 쉬운 면에 표현된 점묘적인 문자 또는 도형으로, 그의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용도나 성능 또는 메이커 이름 등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의장적인 미적 처리를 행하여 상품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문자 등의 배치 부위를 고려하는 것에 의하여, 전체적으로는 종래의 다이아몬드 디스크와 현실상 거의 동일한 연삭 성능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이 고착되는 디스크 면을, 대략 중심부 인접 부분과 그 이외의 부분으로 개념적으로 구분하고, 상기 중심부 인접 부분에는, 문자 또는 도형을 점묘적으로 표현하도록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을 배치하면, 연삭 기능이 위치적으로 낮은 중심부 인접 부분은, 점묘적인 문자 또는 도형을 표현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고착 영역이 되어 의장적인 효과 등을 발생시키고, 위치적으로 연삭 기능이 높은 그 외의 부분은 주로 연삭 작업에 기여한다. 따라서, 종래의 다이아몬드 디스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연삭 성능을 생기게 함과 동시에, 식별 기능 또는 의장적 혹은 선전 효과까지도 겸하여 가진 바람직한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4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는, 소정의 깊이로 배면쪽으로 함몰된 중앙부에 회전 장치측으로의 장착공을 형성하고, 상기 함몰부로부터 외경 쪽의 디스크 면에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을 복수개 고착한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을, 디스크 면의 외주연부로부터 디스크 배면 외주연부에 걸쳐서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의하면, 콘크리트나 석재 등의 피연삭물의 연삭 작업에 있어서, 디스크 면을 사용한 일반적인 연삭 작업에서는, 종래의 다이아몬드 디스크와 마찬가지의 연삭 성능을 발휘한다. 이에 더하여, 디스크의 외주연부에 의해 콘크리트나 석재 등의 피연삭물에 대하여 협의의 의미에서의 절단 또는 홈을 형성할 수가 있다.
상기 디스크 배면 외주연부에, 배면쪽으로 둥근 모양으로 돌출하는 라운드 면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면, 협의의 의미에서의 절단 작업성이 양호한 다이아몬드 디스크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면의 외주연부로부터 상기 배면의 외주연부에 걸쳐서 고착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배치 밀도를 전체 둘레적으로 균등하게 한 구성으로 하면, 협의의 의미에서의 절단 성능이 높은 다이아몬드 디스크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4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는, 디스크 면의 중앙부에 장착공이 구비되고, 정면에서 볼 때 원형을 이루는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테두리에 정면쪽 및 배면쪽으로 돌출한 팽창부를 형성하고, 상기 팽창부에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을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의하면, 상기 팽창부에 의하여 콘크리트나 석재 등의 피연삭물의 협의의 의미에서의 절단이나 홈 가공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절단 작업 시에 팽창부의 내경측 부분이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고착 영역이 회전 방향에 대하여 단속적으로 형성되면, 팽창부를 사용한 절단이나 홈 가공을 행할 때에, 연삭 칩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다이아몬드 디스크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의 외측 테두리가 단면에서 볼 때 라운드 형태로(곡률을 가진 면으로) 구성되면, 팽창부에 의해 콘크리트나 석재 등의 피연삭물의 절단이나 홈 가공을 행하기에 바람직한 다이아몬드 디스크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각 발명의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기초체에 대하여는, 강판제의 것, 수지 또는 수지와 강화재료를 조합시킨 복합적인 것, 또는 세라믹 등의 여러 가지 재질의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중심을 지나는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다이아몬드 디스크 입자 조각의 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에 나타낸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의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중심을 지나는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중심을 지나는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중심을 지나는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테두리 및 배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중심을 지나는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중심을 지나는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중심을 지나는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판제의 원판형 기초체(1)의 한쪽 면에 형성되는 디스크 면(1A)(연삭기능면 또는 연삭기능 부위)에, 이러한 종류의 다이아몬드의 용도로서는 큰 입자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이 범위를 한정하여 고착되어 있다. 상기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은, 크기적으로는, 입자의 크기가 #30∼#35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은, 대략 절반 정도가 고착용 납땜제 중에 매립된 상태로 고착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면(1A)의, 디스크 중앙부에는 회전 장치인 디스크 그라인더(도시하지 않음)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공(3)을 중앙에 가지는 중앙부를 평판형(평탄형)으로 함과 동시에 중앙부를 소정의 깊이로 배면측(도 2에서 아래쪽)으로 움푹 들어가게 하여 함몰부(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함몰부(4)의 바깥둘레쪽(외주연부)은, 정면쪽으로 둥글게 부풀어 오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주연부의 테두리(5)가 되는 지점으로부터 디스크 외주연(6)에 걸치는 디스크 면(1A)을, 바깥 테두리쪽으로 갈수록 서서히 커지는 곡률로 배면측으로 만곡한 만곡면으로 형성한 형태를 가진다.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은, 상기 테두리(5)보다 조금 더 내측 부분으로부터 디스크 외주연(6)에 걸치는 영역의 디스크 면(1A)에 상기한 방법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의 배열을, 반경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회전 궤적 중 이웃하는 3개의 회전 궤적(a, b, c)을 예로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경방향에 대하여 서로 이웃하는 3개의 각 회전궤적(a, b, c)상에 위치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의 위치 관계는, 이하와 같이 이루어져 있다. 즉, 각각의 회전 궤적(a)(또는 b, c)상에 있어 회전방향(도 1의 화살표시 R 참조)에 대해 인접하는 전후 2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a, 2a) 사이의 이격 거리(m1)는, 그의 회전궤적(a)(또는 b, c)의 양측 이웃, 예를 들면 회전궤적(a)에 주목하여 설명하면, 해당 회전 궤적(a)의 양측 이웃인 회전 궤적(b, c)상에 있어서의 가까운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b, 2c)과의 이격 거리(m2)보다 길도록 배 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은 정렬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의 상기 정렬은, 국부적으로 보면, 각 회전 궤적에 대해 전후로 인접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 : 2a, 2a)과 그 양측에 이웃하는 각 회전 궤적상의 가장 가까운 각 1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 :2b, 2c)이, 정면에서 바라볼 때 거의 다이아몬드 형태를 만드는 것과 같은 배열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는, 상기 다이아몬드 형태의 배열이 복수 개소에 흩어져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각 이웃하는 회전 궤적상에 있고 동시에 회전 방향으로도 서로 근접하여 각각 전후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 2 : 2a, 2b 또는 2a, 2c)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간극(7)이, 디스크 면(1A)의 상기 테두리(5) 약간 내측으로부터 상기 디스크 외주연(6)까지 연속하여 소용돌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속하는 간극(7)은, 도 3에서 인접하는 점선(가상의 기준선)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과 같이, 그의 내경측 단부(7a)가 회전 방향에 대해 선행하고 외경측 단부(7b)가 후행하며, 또한 정면에서 바라볼 때 내경측 단부(7a)로부터 외경측 단부(7b)에 걸쳐서 라운드 형태로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속하는 간극(7)의 내경측 단부 부분과 외경측 단부 부분이 회전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α)(도 3 참조 : 본 실시예에서는, 각도(α)는 약 20도) 치우쳐 이동된 소용돌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소정 각도(α)는 20도 이상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는,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중앙부에 형성된 장착공(3)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시판되는 등의 디스 크 그라인더의 회전축에 장착할 수 있고, 콘크리트나 석재 등에 대한 연삭 작업에 있어서, 각각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이 유효하게 연삭 작업에 기여하여 연삭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연속하는 복수의 간극(7)은, 디스크 면(1A)의 상기 테두리(5) 약간 내측으로부터 상기 디스크 외주연(6)까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 면(1A)에서 생기는 연삭 칩은, 이러한 간극(7)으로부터 무리없이 원활하게 디스크 외주쪽으로 배출되어, 눈막힘(loading)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안정적인 연삭 성능을 발휘하고, 연삭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판제의 원판형 기초체(1)의 한쪽 면에 형성되는 디스크 면(1A)(연삭기능면 또는 연삭기능 부위)에,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이 범위를 한정하여 고착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면(1A)의, 디스크 중앙부에는 디스크 그라인더(도시하지 않음)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공(3)을 중앙에 가지는 중앙부를 평판형(평탄형)으로 함과 함께 중앙부 전체를 소정의 깊이로 배면측(도 5에서 아래쪽)으로 움푹 들어가게 하여 함몰부(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함몰부(4)의 바깥 둘레쪽(외주연부)은, 정면쪽으로 라운드지게 부풀어 오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5)가 되는 지점으로부터 디스크 외주연(6)에 걸친 디스크 면(1A)을, 바깥 테두리쪽으로 갈수록 서서히 커지는 곡률로 배면측으로 만곡한 만곡면으로 형 성한 형태를 가진다.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은, 상기 테두리(5)보다 조금 더 내측 부분으로부터 디스크 외주연(6)에 걸치는 영역의 디스크 면(1A)에 상기한 방법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디스크 면(1A)으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의 고착은, 복수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을 소정의 형태로 패턴(pattern)화 하여 1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을 형성하고, 상기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을 복수개 정렬한 형태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패턴화는, 1개의 패턴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본 실시예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은, 이웃하는 3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을 정삼각형의 각 꼭지점에 위치시킨 패턴 형태로 1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디스크 면(1A)에 대한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의 배치는, 도 4에 있어서 가상의 기준선(17)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회전 방향(도 4의 화살표시(R) 참조)과 반대 방향으로 내경측으로부터 외경측으로 감은 1줄의 소용돌이 형태의 기준선(17)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고, 또한, 디스크 외주연(6)에 가까워질수록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 사이의 간격(소용돌이 모양의 기준선 상에서 인접하는 전후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혀 디스크 외주연(6) 부근에서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의 밀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소용돌이 모양으로 배치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은, 연삭 불량을 해소하기 위하여, 해당 소용돌이 모양으로 배치된 전후의 다이아몬드 입 자 조각 그룹 유닛(A)의 각 일부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이 반경방향에 대해 회전 궤적 상에서 일부가 거의 중첩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해당 소용돌이 모양으로 배치된 전후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은, 반경방향에 대해 해당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의 방향이 교대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유닛(A)의 방향은 교대로 반대를 향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일한 방향이어도 좋고, 또는 해당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유닛(A)의 방향이 순차적으로 소정 각도만큼, 예를 들면 30도 각도만큼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는, 연삭 시에 유효한 배치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을 패턴화하여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을 형성하여 디스크 면(1A)상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디스크 면(1A)상으로의 위치 결정이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행해질 수가 있다. 따라서, 디스크 면에 고착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개수가 증가하여도, 그것에 관계없이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간단하게 얻을 수가 있다.
(실시예 3)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강판제의 원판형 기초체(1)의 한쪽 면에 형성되는 디스크 면(1A)(연삭기능 부위)에,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이 범위를 한정하여 고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면(1A)의, 디스크 중앙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시판되는 등의 디스크 그라인더(도시하지 않음)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공(3)을 중앙에 가지는 중앙부를 평판형(평탄형)으로 함과 동시에 중앙부 전체를 소정의 깊이로 배면측(도 7에서 아래쪽)으로 움푹 들어가게 하여 함몰부(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함몰부(4)의 바깥 둘레(외주연부)는, 정면쪽으로 라운드지게 부풀어 오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5)가 되는 지점으로부터 디스크 외주연(6)에 걸치는 영역을, 바깥 테두리쪽으로 갈수록 서서히 큰 곡률로써 배면측으로 만곡한 만곡면으로 형성한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몬드 디스크에서는, 디스크 면(1A)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이 고착된 영역을, 대략 테두리부 인접 부분(1a)과 중심부 인접 부분(1b)으로 개념적으로 구분하고, 함몰부(4)의 테두리(5)에 접하는 중심부 인접 부분(1b)은, 측면에서 볼 때 거의 평탄면(정확하게는 큰 곡률반경으로 이루어지는 면)으로 형성하고, 이로부터 디스크 외주연(6)에 이르는 상기 테두리부 인접 부분(1a)은, 바깥 테두리측으로 갈수록 배면측(도 7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후퇴하는 것과 같은 둥그렇게 한 라운드 면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거의 평탄면과 라운드 면을 연속하는 면으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테두리부 인접 부분(1a)에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을, 연삭기능을 중시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치하고 있다. 즉,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의 테두리부 인접 부분(1a)으로의 배치는, 인접하는 복수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의 고착 위치를 소정의 형태로 패턴화(고정화)하여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을 형성하고, 상기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을 복수개로 디스크 면(1A)에 정렬형태(소용돌이 형태)로 배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은, 이웃하는 3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을 정삼각형의 각 꼭지점에 위치시킨 패턴 형태로 1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패턴 형태로의 고정은, 예를 들면, 점착 시트상에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을 임시로 고정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의 테두리부 인접 부분(1a)에 대한 배치는,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회전 방향(도 6의 화살표시 R 참조)과 반대 방향으로 내경측으로부터 외경측으로 감은 1줄의 소용돌이 모양의 기준선을 따라서 배치되고, 디스크 외주연(6)에 가까워질수록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들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혀 디스크 외주연(6) 부근에서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의 밀도를 높이도록 배치하고 있다.
또한, 소용돌이 모양으로 배치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은, 연삭 불량을 해소하기 위하여, 해당 소용돌이 모양으로 배치된 전후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의 각 일부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이 회전 궤적상 일부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한, 해당 소용돌이 모양으로 배치된 전후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은, 반경방향에 대해 해당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의 방향이 교대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중심부 인접 부분(1b)에 고착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은, 외관을 고려한 관점에서 위치의 설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중심부 인접 부분(1b)에는, 반경 방향의 일부(본 실시예에서는 중앙부 쪽의 부분)를 제외하고, 복수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에 의해, 정면에서 바라 볼 때, 점묘적인 문자(27)(또는 도형)가 표현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점묘적인 문자(27)가 표현되지 않은 일부(본 실시예에서는 중심 쪽의 부분)에는, 테두리부 인접 부분(1a)과 마찬가지인 소용돌이 모양 형태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것에 의해, 테두리부 인접 부분(1a)에 고착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에 의하여, 성능적으로는, 종래의 다이아몬드 디스크와 동일하게 본격적인 연삭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중심부 인접 부분(1b)은, 원주 방향으로 점묘적인 문자(27)가 표현된 부분과, 테두리부 인접 부분(1a)에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을 기능적으로 배치한 부분이 조화롭게 일련으로 혼재하게 된다. 이러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 자체는, 테두리부 인접 부분(1a)과 중심부 인접 부분(1b)이 동일한 것을 사용하지만,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총 개수에서, 중심부 인접 부분(1b)에 고착된 개수는 테두리부 인접 부분(1a)에 고착된 개수보다 적다. 중심부 인접 부분(1b)은, 장소적으로, 통상의 연삭 작업 시에 공헌도가 낮은 지점이고, 따라서 보조적인 연삭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한편, 외관적으로는, 중심부 인접 부분(1b)은, 상기 테두리부 인접 부분(1a)에서 볼 수 있는 치밀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에 비하여 밀도가 낮고, 비교적 넓은 모양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점묘적으로 표현된 문자(27)(또는 도형)는 용이하게 목적에 부합하기 쉽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는, 연삭 작업에 유용할 뿐만이 아니라, 점묘적으로 표현된 문자 또는 도형에 의하여 메이커 이름이나 형식을 식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도 대단히 좋다. 또한, 상기 문자 또는 도형이 표현되어 있는 부분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도 마모되기 어려운 내경 부분이기 때문에, 다이아몬드 디스크 자체가 폐기 처분될 때에도 마멸되지 않고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 또는 도형이 표현되어 있는 부분은,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이 적어,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실시예 4)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8 ∼ 도 10에 있어서, 강판제의 원판형 기초체(1)의 한쪽 면에 형성되는 하나의 연삭기능 부위인 디스크 면(1A) 및 다른 연삭기능 부위인 디스크 외주연(6)과 배면(8)의 외주부에,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이 범위를 한정하여 고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면(1A)의, 디스크 중앙부에는 디스크 그라인더(도시하지 않음)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공(3)을 중앙에 가지는 중앙부를 평판형(평탄형)으로 함과 동시에 중앙부 전체를 소정의 깊이로 배면측(도 9에서 아래쪽)으로 움푹 들어가게 하여 함몰부(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함몰부(4)의 바깥 둘레쪽(외주연부)은, 함몰부(4)의 테두리(5)를 이루는 지점으로부터 디스크 외주연(6)에 걸치는 디스크 면(1A)을, 평판형(평탄형)으로 형성한 형태(평탄(flat)한 링(ring) 모양의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몬드 디스크에서는, 디스크 면(1A)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이 고착된 영역을, 개략적으로 테두리부 인접 부분(1a)과 중심부 인접 부분(1b)으로 개념적으로 구분하고 있다.
상기 테두리부 인접 부분(1a)에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을, 연삭기능을 중시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치하고 있다. 즉,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의 테두리부 인접 부분(1a)으로의 배치는, 인접하는 복수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의 고착 위치를 소정의 형태로 패턴화(고정화)하여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을 형성하고, 상기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을 복수개로 디스크 면(1A)에 정렬 형태(소용돌이 형태)로 배치하고 있다. 상기 패턴화는, 예를들면, 점착 시트상에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을 임시로 고정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은, 이웃하는 3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을 정삼각형의 각 꼭지점에 위치시킨 패턴 형태에 의해 1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패턴 형태로의 고정은, 예를 들면, 시트상에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을 임시로 고정하여 놓는 것 등의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의 테두리부 인접 부분(1a)에 대한 배치는, 디스크의 외주연(6)에 가까워질수록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들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게 하여 디스크 외주연(6) 부근에서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의 밀도를 높임과 동시에, 전체 원주적으로 밀도가 균등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회전 방향(도 8의 화살표시 R 참조)과 반대 방향으로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 감은 소용돌이 모양으로 배치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유닛(A)은, 연삭 불량을 해소하기 위하여, 해당 소용돌이 모양으로 배치된 전후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의 각 일부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이 회전 궤적상 일부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한, 해당 소용돌이 모양으로 배치된 전후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은, 반경방향에 대해 해당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의 방향이 교대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테두리부 인접 부분(1a)으로부터 배면(8)쪽의 테두리 부분에 걸쳐서도, 상기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이,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의 형태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한편, 중심부 인접 부분(1b)에 고착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은, 외관적인 관점을 고려하여 위치 결정되어 있다. 상기 중심부 인접 부분(1b)에는, 반경방향의 일부(본 실시예에서는 중심 쪽의 부분)를 제외하고 복수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에 의해, 정면에서, 점묘적으로 문자(27)(또는 도형)가 표현되도록 해당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을 고착하고, 해당 점묘적인 문자(27)가 표현되어 있지 않은 일부(본 실시예에서는 중심 쪽의 부분)에는, 테두리부 인접 부분(1a)과 동일한 형태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평탄한 링 모양으로 이루어진 디스크 외주연(6)으로부터 배면(8)쪽의 외주부에 걸친 부분에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을 고착하는 것에 의해, 디스 크 외주연(6) 및 배면(8)쪽의 외주부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일종의 회전날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이 때문에, 상기 디스크 외주연(6)을 선단으로 이의 디스크면(1A)을 피연삭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침투시키는 방법으로 협의의 의미에서의 절삭을 행하면, 오목 홈을 절삭 형성하는 작업이나 협의의 절단 작업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크 면(1A)만을 사용하는 통상의 연삭작업에서는, 성능적으로는, 종래의 다이아몬드 디스크와 동일한 연삭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중심부 인접 부분(1b)에는, 원주 방향으로 점묘적으로 문자(27)가 표현된 부분과, 테두리부 인접 부분(1a)에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을 기능적으로 배치한 부분이 조화롭게 일련으로 혼재하게 된다. 이러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 자체는, 테두리부 인접 부분(1a)과 중심부 인접 부분(1b)이 동일한 것을 사용하지만,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의 총 개수에는, 중심부 인접 부분(1b)에 고착된 개수가 테두리부 인접 부분(1a)에 고착된 개수보다 적다. 중심부 인접 부분(1b)은, 장소적으로, 통상의 연삭 작업 시에 공헌도가 낮은 지점이고, 따라서 보조적인 연삭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한편, 외관적으로는, 중심부 인접 부분(1b)은, 상기 테두리부 인접 부분(1a)에서 볼 수 있는 치밀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에 비하여 밀도가 낮고, 비교적 넓은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점묘적으로 표현된 문자(27)(또는 도형)는 용이하게 눈에 띄기 쉽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는, 연삭 작업에 유용할 뿐만이 아니라, 일종의 회전 절단날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여 연삭용 다이 아몬드 디스크의 범용성을 높일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점묘적으로 표현된 문자 또는 도형에 의하여 메이커 이름이나 형식을 식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도 좋다. 또한, 상기 문자 또는 도형이 표현되어 있는 부분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도 마모되기 어려운 지점에 있기 때문에, 다이아몬드 디스크 자체가 폐기 처분될 때에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 또는 도형이 그려져 있는 부분은,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이 적어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를 대신하여,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기초체(1)의 외측 테두리부를 평탄형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해당 테두리부에 둥근 모양으로 배면 방향으로만 돌출한 라운드 형상의 팽창부(1D)를 형성하고, 상기 팽창부(1D)를 포함하여 기초체(1)의 외측 테두리부에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을 배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팽창부(1D) 주위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의 배치를, 연속적인 것으로 하여도 좋으나,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속적(斷續的)인 배치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협의의 의미에서의 연삭 작업은 물론 협의의 의미에서의 절단 작업을 모두 행할 수가 있다. 한편, 도 11에 있어서의 화살표시 R은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아울러,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디스크 면(1A)으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의 배치를 생략함과 함께 정면측 및 배면측으로 돌출한 팽창부(1D)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여, 협의의 의미에서의 절단 또는 홈 가공 전용의 다이아몬드 디스크로 하여도 좋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협의의 의미에서의 절단 또는 홈 가공 전용의 다이아몬드 디스크로서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기초체(1) 전체를 평탄한 원판형으로 하여도 좋다. 한편, 도 13 및 도 15에 있어서의 화살표시 R은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도 11 ∼ 도 16에 있어서, 도 1 ∼ 도 10과 공통 또는 대응하는 주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몬드 디스크는, 콘크리트나 석재, 타일 또는 강판이나 그것들의 표면 등에 도포된 도막의 박리 등, 각종 피연삭물의 연삭 작업 등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디스크의 연삭기능 부위(1A)에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을 복수개 고착한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인접하는 복수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의 고착 위치를 소정의 배치 형태로 패턴화하여 연삭기능 부위(1A)로의 배치를 위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을 형성함과 함께,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이 담당하는 연삭 작업량을 고려하여 해당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이 속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의 방향을 다르게 하여,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을 복수개로 연삭기능 부위에 정렬 형태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
  7. 디스크의 연삭기능 부위(1A)에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을 복수개 고착한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인접하는 복수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의 고착 위치를 소정의 배치 형태로 패턴화하여 연삭기능 부위(1A)로의 배치를 위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을 형성함과 함께,
    면(面)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연삭기능 부위(1A)에, 상기 면의 내경측 단부로부터 외경측 단부에 걸쳐서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이 연속하는 소용돌이 형태를 이루도록, 각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을 복수개로 연삭기능 부위(1A)에 정렬 형태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
  8. 디스크의 연삭기능 부위(1A)에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을 복수개 고착한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인접하는 복수개의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의 고착 위치를 소정의 배치 형태로 패턴화하여 연삭기능 부위(1A)로의 배치를 위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을 형성함과 함께,
    면(面)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연삭기능 부위(1A)에, 상기 면의 외경측 단부로 갈수록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 사이의 간격을 점진적으로 좁게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 그룹 유닛(A)이 3개의 삼각형으로 배치되는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
  10. 삭제
  11. 디스크 면(面)(1A)의 중앙부를 제외하고, 상기 중앙부 외경측으로부터 주연부에 걸쳐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을 복수개 고착한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이 고착되는 디스크 면(1A)을, 대략 중심부 인접 부분(1b)과 그 이외의 부분(1a)으로 구분하고, 상기 중심부 인접 부분(1b)에는, 문자(27) 또는 도형을 점묘적으로 표현하도록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디스크 면(1A)의 중앙부에 장착공(3)을 가지고, 정면에서 볼 때 원형을 이루는 다이아몬드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테두리에 정면측 및 배면측으로 돌출한 팽창부(1D)를 형성하고, 상기 팽창부(1D)에 고착 영역이 단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다이아몬드 입자 조각(2)을 고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1D)의 외측 테두리가 단면에서 볼 때 라운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용 다이아몬드 디스크.
KR1020057010930A 2002-12-19 2003-12-18 다이아몬드 디스크 KR100635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67807 2002-12-19
JP2002367807 2002-12-19
JP2003142892 2003-05-21
JPJP-P-2003-00142892 2003-05-21
JPJP-P-2003-00285289 2003-08-01
JP2003285289 2003-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5667A KR20050085667A (ko) 2005-08-29
KR100635553B1 true KR100635553B1 (ko) 2006-10-18

Family

ID=32685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0930A KR100635553B1 (ko) 2002-12-19 2003-12-18 다이아몬드 디스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357705B2 (ko)
EP (2) EP1941972B1 (ko)
JP (2) JP4335872B2 (ko)
KR (1) KR100635553B1 (ko)
AT (1) ATE441502T1 (ko)
AU (3) AU2003289412B2 (ko)
BR (1) BR0316766A (ko)
CA (3) CA2509910C (ko)
DE (1) DE60329133D1 (ko)
TW (1) TWI238753B (ko)
WO (1) WO20040565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707B1 (ko) 2007-07-27 2009-01-07 강식성 표면 연마용 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851B1 (ko) * 2006-02-28 2007-02-09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수평 왕복운동형 절삭팁 및 절삭공구
US7833088B1 (en) 2006-08-11 2010-11-16 Studer Ronald M Construction method and tool supporting said method
KR100804049B1 (ko) * 2006-11-16 2008-02-18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다이아몬드 공구 및 다이아몬드 공구의 세그먼트 제조방법
KR100804048B1 (ko) * 2006-11-16 2008-02-18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다이아몬드 공구
KR100753317B1 (ko) * 2006-11-16 2007-08-29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다이아몬드 공구
KR100811751B1 (ko) * 2006-11-21 2008-03-11 (주)인성다이아몬드 연마휠
US7690970B2 (en) * 2007-01-19 2010-04-06 Epoxy-Tech, Inc. Abrasive preparation device with an improved abrasion element assembly
KR100813769B1 (ko) * 2007-01-24 2008-03-13 강식성 표면 연마용 휠
KR100839518B1 (ko) * 2007-01-26 2008-06-19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다이아몬드 공구 및 그 제조방법
US7959694B2 (en) * 2007-03-05 2011-06-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aser cut abrasive article, and methods
US8080072B2 (en) 2007-03-05 2011-12-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article with supersize coating, and methods
ITMC20070237A1 (it) * 2007-12-12 2009-06-13 Ghines Srl Utensile abrasivo perfezionato.
KR101024674B1 (ko) * 2007-12-28 2011-03-25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소수성 절삭공구 및 그제조방법
US20100326416A1 (en) * 2008-03-19 2010-12-30 Ronald Schwarz High speed abrasive cutting blade with simulated teeth
EP2286959B1 (de) * 2009-08-22 2014-05-07 August Rüggeberg GmbH & Co. KG Schrupp-Schleif-Werkzeug
DE102009054812A1 (de) * 2009-12-17 2011-06-22 Robert Bosch GmbH, 70469 Werkzeug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JP5686338B2 (ja) 2009-12-22 2015-03-18 日鉄住金防蝕株式会社 回転研削工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ITRM20110173A1 (it) * 2011-04-06 2012-10-07 Mattia Mauro Di Utensile.
US9193610B2 (en) 2011-08-10 2015-11-24 Ecolab USA, Inc. Synergistic interaction of weak cation exchange resin and magnesium oxide
KR101327907B1 (ko) * 2011-08-24 2013-11-13 새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가공팁
DE102011082035A1 (de) * 2011-09-02 2013-03-07 Robert Bosch Gmbh Schleif- bzw. Schneidwerkzeug für eine Werkzeugmaschine mit Drehantrieb
EP3613540A1 (en) 2011-12-31 2020-02-26 Saint-Gobain Abrasives, Inc. Abrasive article having a non-uniform distribution of openings
JP5688782B2 (ja) 2012-04-24 2015-03-25 株式会社東京精密 ダイシングブレード
KR20150004931A (ko) * 2012-06-15 2015-01-13 가부시키가이샤 토쿄 세이미쯔 다이싱 장치 및 다이싱 방법
DE102012214915A1 (de) * 2012-08-22 2014-03-20 Robert Bosch Gmbh Werkzeugeinheit
CN102873645B (zh) * 2012-10-08 2016-06-01 上海磐锋超硬工具科技有限公司 一种切磨片
JP6356404B2 (ja) * 2012-10-31 2018-07-11 豊田バンモップス株式会社 電着ホイール及び電着ホイールの製造方法
DE102013003233B4 (de) * 2013-02-27 2018-01-04 Tutech Innovation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einfach oder mehrfach gekurvten Konturen sowie ein entsprechendes Werkzeug
CN103273408B (zh) * 2013-05-23 2016-05-25 芜湖得瑞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轮胎断面切割机
TWI589404B (zh) * 2013-06-28 2017-07-01 聖高拜磨料有限公司 基於向日葵圖案之經塗佈的研磨製品
RU2657669C2 (ru) * 2016-05-20 2018-06-1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ладим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Александра Григорьевича и Николая Григорьевича Столетовых" (ВлГУ) Плоский шлифовальный круг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11806838B2 (en) 2017-07-31 2023-1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oor pad with variable abrasive distribution
KR102296729B1 (ko) * 2021-06-03 2021-08-31 빈인선 밀착 효율이 높은 전동연마기 탈부착용 연마디스크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0120B2 (ko) * 1974-11-30 1980-10-15
JPS58171266A (ja) 1982-03-31 1983-10-07 Chihiro Tsukamoto 絵付研磨体の製法
JPS60242975A (ja) * 1984-05-14 1985-12-02 Kanebo Ltd 平面研磨装置
JPS6246553U (ko) * 1985-09-09 1987-03-20
JPH0164365U (ko) * 1987-06-29 1989-04-25
AU3867989A (en) 1988-06-30 1990-01-23 Diabrasive International Ltd. Abrasive product with reduced particle concentration
JPH0290058U (ko) * 1988-12-27 1990-07-17
US5206499A (en) 1989-06-22 1993-04-27 Northrop Corporation Strapdown stellar sensor and holographic multiple field of view telescope therefor
US5496208A (en) * 1989-12-20 1996-03-05 Neff; Charles E. Grinding wheel
JPH06126728A (ja) * 1992-10-16 1994-05-10 Asahi Chem Ind Co Ltd 無機質系建材の切削方法
DE4243017A1 (de) * 1992-12-18 1994-06-23 Hilti Ag Scheibenförmiges Schleifwerkzeug
JPH06339863A (ja) 1993-02-25 1994-12-13 Tone Corp 鋳物粗仕上げ用研削砥石
JP3069831B2 (ja) * 1994-12-16 2000-07-24 株式会社利根 鋳物切断用カッター
KR0158750B1 (ko) * 1995-06-09 1999-01-15 김수광 연마용 시트
US6039641A (en) * 1997-04-04 2000-03-21 Sung; Chien-Min Brazed diamond tools by infiltration
JP3108045B2 (ja) 1997-10-06 2000-11-13 株式会社マミ 研削手工具
KR100285413B1 (ko) * 1998-09-03 2001-04-02 김세광 림타입의다이아몬드브레이드
JP4269018B2 (ja) 1998-10-09 2009-05-27 三京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ダイヤモンドカッターの製造方法及びダイヤモンドカッター
JP2001157967A (ja) * 1999-11-29 2001-06-12 Mitsubishi Materials Corp 単層砥石
JP2001219376A (ja) 2000-02-07 2001-08-14 Mitsubishi Materials Corp 電着砥石
US6287184B1 (en) * 1999-10-01 2001-09-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rked abrasive article
US6439986B1 (en) * 1999-10-12 2002-08-27 Hunatech Co., Ltd. Conditioner for polishing p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01076821A1 (fr) * 2000-04-05 2001-10-18 Sankyo Diamond Industrial Co., Ltd. Meule
EP1319470B1 (en) * 2000-09-13 2006-12-13 A.L.M.T. Corp. Ultra abrasive grain wheel for mirror finish
CN100361786C (zh) 2000-12-21 2008-01-16 新日本制铁株式会社 Cmp调节器、用于cmp调节器的硬质磨粒的排列方法以及cmp调节器的制造方法
JP2002192470A (ja) * 2000-12-25 2002-07-10 Goei Seisakusho:Kk 砥石工具
US6599177B2 (en) * 2001-06-25 2003-07-29 Saint-Gobain Abrasives Technology Company Coated abrasives with indici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707B1 (ko) 2007-07-27 2009-01-07 강식성 표면 연마용 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216741A1 (en) 2007-10-04
US7357705B2 (en) 2008-04-15
JP4335872B2 (ja) 2009-09-30
US20060160481A1 (en) 2006-07-20
CA2632775A1 (en) 2004-07-08
EP1941972A1 (en) 2008-07-09
AU2003289412B2 (en) 2007-10-25
CA2632701A1 (en) 2004-07-08
AU2009200815B8 (en) 2009-11-19
ATE441502T1 (de) 2009-09-15
TWI238753B (en) 2005-09-01
EP1941972B1 (en) 2009-09-02
EP1595645A4 (en) 2007-09-12
TW200410788A (en) 2004-07-01
JP2009006478A (ja) 2009-01-15
WO2004056533A1 (ja) 2004-07-08
AU2007216741B2 (en) 2009-03-26
BR0316766A (pt) 2005-11-01
AU2009200815B2 (en) 2009-11-05
AU2009200815A1 (en) 2009-03-19
DE60329133D1 (de) 2009-10-15
KR20050085667A (ko) 2005-08-29
EP1595645A1 (en) 2005-11-16
AU2003289412A1 (en) 2004-07-14
JPWO2004056533A1 (ja) 2006-04-20
CA2509910A1 (en) 2004-07-08
CA2509910C (en) 2009-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553B1 (ko) 다이아몬드 디스크
CN101048570B (zh) 具有多个切削刃的多晶刀具
US6110031A (en) Superabrasive cutting surface
KR100285413B1 (ko) 림타입의다이아몬드브레이드
KR100287610B1 (ko) 원판형지지체를구비한연삭공구_
KR100804048B1 (ko) 다이아몬드 공구
US20070026773A1 (en) Tool for machining surfaces, edge areas and contours
JP2011177879A (ja) カップ型回転砥石
JPH11156729A (ja) チップ交換可能な砥石車
RU2306218C2 (ru) Алмазный диск
JP2003048166A (ja) 研削砥石
CN1732069A (zh) 金刚石盘片
EP1944126A1 (en) Diamond Disc
CA2077568A1 (en) Grinding tool
JPH08132347A (ja) 研摩工具
JP2003117842A (ja) 研磨用軟質ディ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66383A (ja) 研削用ダイヤディスク
JP2006205314A (ja) 回転研削砥石
JPH075982Y2 (ja) セグメント型ダイヤモンドブレード
JP2006015446A (ja) 切断用超砥粒工具
JP5307686B2 (ja) 回転砥石
EP1270126A1 (en) Circular saw blade with wear-resitant regions on its support disc
JPH07251321A (ja) 超砥粒含有ソーブレード
JPS60232875A (ja) 切断鋸
JPH11198049A (ja) ソーブレ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