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633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633B1
KR100625633B1 KR1020050006180A KR20050006180A KR100625633B1 KR 100625633 B1 KR100625633 B1 KR 100625633B1 KR 1020050006180 A KR1020050006180 A KR 1020050006180A KR 20050006180 A KR20050006180 A KR 20050006180A KR 100625633 B1 KR100625633 B1 KR 100625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tate
process cartridge
toner
develo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2504A (ko
Inventor
세토마사노리
하기노야요시아키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12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18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72Accessories for moving fluid, for expanding fluid, for connecting fluid conduits, for distributing fluid, for removing gas or for preventing leakage, e.g. pumps, tanks or manifol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92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레이저 프린터 본체(12)에 장착하면, 토너 탱크(120)에 설치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하우징(102)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기봉(突起棒)(122)이 U자 형상의 위치 결정부(160)에 들어가,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위치 결정된다. 또한, 돌기봉(122)이 스위치(162)의 레버(163)를 밀어내려 스위치(162)를 온(ON)한다. 그리고, 레이저 프린터(11)의 동작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광주사 장치(44)에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토너 탱크(120)가 장착되지 않은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레이저 프린터(11)에 장착하여도, 돌기봉(122)이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위치 결정되지 않고, 스위치도 오프(OFF)의 상태이다. 따라서, 레이저 프린터(11)는 동작하지 않고, 광주사 장치(44)에 전원도 공급되지 않는다.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린터 본체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의 내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着脫)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하여 토너 탱크를 착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토너 탱크를 장착하는 상태를 차례로 나타내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토너 탱크를 꺼내는 상태를 차례로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토너 탱크를 장착하고, 레버를 회전시키는 상태를 차례로 나타내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토너 탱크 내부의 셔터가 개방되는 상태를 차례로 나타내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8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고, 레이저 프린터 본체와 위치 결정되는 동시에 스위치가 온(ON)하는 상태 를 나타내는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토너 탱크를 장착하는 상태를 차례로 나타내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토너 탱크를 꺼내는 상태를 차례로 나타내는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도 11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고, 레이저 프린터 본체와 위치 결정되는 동시에 스위치가 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토너 탱크를 장착하는 상태를 차례로 나타내는 도면.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토너 탱크를 꺼내는 상태를 차례로 나타내는 도면.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돌기판(突起板)수용부의 내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돌기판의 슬라이딩 동작을 차례로 나타내는 도면.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토너 탱크를 장착하는 상태를 차례로 나타내는 도면.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1 볼록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6b는 도 16a에서 b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16c는 도 16a에서 c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17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1 볼록부가 고정 리브(rib)와 하우징(housing)사이의 갭(gap)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b는 결합한 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c는 도 17b의 c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d는 도 17b의 d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토너 탱크를 꺼내는 상태를 차례로 나타내는 도면.
도 19의 a 내지 도19의 d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로크부(lock portion)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다이얼부(dial portion)의 회전 동작을 차례로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프린터의 위쪽에 스캐너를 배치하여 디지털 복사기로 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디지털 복사기(화상 형성 장치)
11: 레이저 프린터(화상 형성 장치)
12: 레이저 프린터 본체(화상 형성 장치 본체)
20: 감광체 드럼(감광체) 24: 현상부
39: 제어부(허가부) 44: 광주사 장치
100, 200, 300, 400: 프로세스 카트리지
102, 202, 302, 402: 카트리지 하우징
103: 차광벽
120, 220, 320, 420: 토너 탱크(현상제 탱크)
122: 돌기봉(돌기부)(표시부) 132: 로크판(금지부)
156: 셔터 158: 토너 공급구(현상제 공급구)
162: 스위치(검지부)(전류 공급 허가부)
224, 324: 돌기판(돌기부) 322: 돌기판 수용부(돌기부 수용부)
324A: 홈부(제 1결합부) 326, 410: 해제 버튼(해제부)
330: 돌출 구멍
332: 제 1 판 스프링(유지부)(제 1 금지 부재)
334: 제 2 판 스프링(유지부)(제 2 금지 부재)
412: 계지 핀(계지부) 414: 제 2 볼록부
416: 제 1 판 스프링(제 1 금지 부재)
417: 제 2 판 스프링(제 2 금지 부재)
418: 제 3 판 스프링(제 3 금지 부재)
422: 로크부(회전부)
424A: 제 1 홈부(제 1 결합부) 424B: 제 2 홈부(제 2 결합부)
426: 레버(돌기부)
428, 429: 제 1 볼록부 490, 491: 갭부(고정부)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주사(光走査) 장치로부터 출사(出射)되는 레이저광에 의해 감광체에 잠상(潛像)을 형성하고, 이 잠상을 현상기에 의해 현상하여 감광체 위에 토너상(toner image)을 형성한다. 감광체 위에 형성된 토너상은 기록지 등에 전사(轉寫)되고, 그리고 전사된 토너상을 기록지에 정착(定着)시킴으로써, 화상을 기록하는 공지의 전자사진 프로세스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대전기, 현상기, 토너 탱크, 클리닝기(cleaning device) 등과 감광체가 일체로 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성하고,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구성으로 된 화상 형성 장치가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허가하는 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레이저광이 외부로 누출(漏出)되지 않도록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꺼내면, 광주사 장치로의 전원 입력이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레이저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한 화상 형성 장치가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5-323714호 공보 참조).
또한, 광주사 장치의 레이저광이 출사하는 방향과 반대측을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 방향 측으로 하고,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내벽면을 난반사면(亂反射面)으로 하여, 레이저광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한 화상 형성 장치가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평4-190253호 공보 참조).
그러나, 최근, 프로세스 카트리지로부터 토너 탱크를 착탈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 토너 탱크만 교환할 수 있도록 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착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허가하는 기구를 설치하고 있어도, 유저(user)가 토너 탱크의 장착을 잊어버린 상태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여도 화상 형성 장치는 동작하게 된다.
이 때문에, 토너가 완전히 없어져 백지(白紙)로 출력된다. 또는, 토너와 캐리어를 혼합한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 방식의 경우, 토너가 없어지면, 캐리어가 감광체를 손상시키거나, 캐리어가 감광체에 부착된 후, 기록지에 전사되어 정착기로 운반되어, 정착기의 롤러를 손상시키는 등 고장의 원인으로 된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4-190253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레이저광의 광로(光路) 자체는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오퍼레이터(operator)가 장치 내부를 들여다보면, 레이저광을 직접 볼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탱크가 장착되지 않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여도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현상제 탱크가 장착되지 않은 것에 의한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라, 장치 본체와, 카트리지 하우징과, 감광체와, 감광체에 형성되는 잠상(潛像)을 현상(現像)하기 위한 현상부와, 현상제를 현상부에 공급하기 위해 카트리지 하우징에 수용되는 현상제 탱크를 포함하며, 장치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는 카트리지와,
상기 현상제 탱크에 설치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부와,
상기 검지부가 표시부를 검지했을 때에 화상 형성 장치의 작동을 허가하는 허가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이 첨부된 도면에 예시된 본 발명의 소정 실시예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분명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예는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적용한 일례로서, 공지의 전자사진 프로세스를 적용한 레이저 프린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공지의 전자사진 프로세스는 감광체에 대한 대전(帶電), 레이저 등의 노광에 의한 잠상의 형성, 토너에 의한 잠상의 현상을 거쳐, 감광체 위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지 등에 전사하고, 그리고 토너상을 기록지에 정착시킴으로써, 화상을 기록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레이저 프린터에 한정되지 않아, 복사기, 팩시밀리, 또는 복합기 등일 수도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레이저 프린터(1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레이저 프린터(11)는, 상술한 공지의 전자사진 프로세스에 의해,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한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토너상을 형성하고, 이 화상을 기록지(P)에 기록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본질과는 직접 관계되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레이저 프린터(11)의 구성의 개요와 기록지(P)에 화상의 형성을 행하는 프로세스의 개요를 설명한다. 또한, 도면을 향하여 좌측을 정면측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 프린터(11) 내부의 중앙 부근에 감광체 드럼(2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감광체 드럼(20)은 구동 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화살표 K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감광체 드럼(20)의 좌측 상부(上部)에 접촉하도록 롤러 대전기(22)가 배치되어 있다. 롤러 대전기(22)는 대전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감광체 드럼(20)을 소정의 전위로 대전한다. 대전 후, 감광체 드럼(20)의 위쪽에 배치된 광주사 장치(44)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LA)에 의해 노광이 실행되고, 화상 정보에 따른 잠상이 감광체 드럼(20)의 표면에 형성된다.
현상 장치(27)는 소정의 극성(極性)으로 대전한 토너가 담지(擔持)되어 있는 현상 롤러(26)를 구비하는 현상부(24)와, 이 현상부(24)에 공급하는 토너가 수용된 토너 탱크(120)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감광체 드럼(20)의 표면에 형성된 잠상은 현상 롤러(26)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함으로써 현상되어 토너상으로 된다. 토너상은 감광체 드럼(20)과 전사 롤러(32)사이의 닙부(nip portion)에 보내진다.
한편, 레이저 프린터(11)의 하부에는 기록지(P)가 수용된 급지(給紙) 카세트(48)가 배치되어 있다. 기록지(P)는 픽업 롤러(pick-up roller)(36)에 의해 보내져 반송 롤러(38)에 의해 반송된다. 그리고, 레지스트 롤러(40)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으로 전사 롤러(32)와 감광체 드럼(20)사이의 닙부에 보내진다.
전사 롤러(32)에는 상술한 토너의 소정 전위와 반대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고, 감광체 드럼(20)의 토너상은 기록지(P)에 전사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지(P)는 정착기(34)에 보내진다. 정착기(34)는 열과 압력에 의해 기록지(P)에 토너상을 정착시킨다. 토너상이 정착된 기록지(P)는 레이저 프린터(11) 상부의 용지 배출 트레이(42)에 배출된다.
토너상은 전사 롤러(32)에 의해 기록지(P)에 모두 전사되지는 않고, 일부가 감광체 드럼(20)에 잔류(殘留) 토너로서 남는다. 잔류 토너는 클리닝기(28)의 클리닝 블레이드(cleaning blade)(30)에 의해 긁어내져, 클리닝기(28)의 내부(29)에 회수된다.
레이저 프린터(11)의 내부에는 레이저 프린터(11)의 각부(各部)를 제어하는 제어부(3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감광체 드럼(20), 현상 장치(27), 클리닝기(28), 롤러 대전기(22)는 일체로 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는 레이저 프린터 본체(1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하우징(102) 후단부(後端部)(도 1에서는 좌측)에는, 광주사 장치(44)의 레이저광(LA)을 출사하는 출사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면(下面)(44A)보다 높은 차광벽(103)이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레이저 프린터(11)의 정면부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착탈하기 위한 개폐 커버(50)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 커버(50)는 하단부의 회동축(52)을 중심으 로 개폐된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커버(50)를 개방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착탈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착탈 방향은 광주사 장치(44)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LA)의 노광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되어 있다(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광(LA)의 노광 방향은 우측 방향,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착탈 방향은 좌측 방향).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상면에서 커버부(cover portion)(105)가 후단부의 회동축(108)을 중심으로 개폐한다. 그리고, 커버부(105)를 개방하여 토너 탱크(120)만을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105)는 로크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폐쇄한 상태로 고정된다.
토너 탱크(120)의 전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긴, 사각형 형상의 토너 공급구(158)가 형성되어 있어, 그곳으로부터 현상부(24)에 토너를 보급(補給)한다.
도 7a 내지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탱크(120)의 내부에는 셔터(156)가 구비되어 있다. 셔터(156)는 회전축(15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토너 공급구(158)를 개폐한다.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154)의 한쪽 단부가 토너 탱크(120)의 한쪽 측면(124)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도 1, 도 2, 도 3에서는 안쪽이기 때문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 그리고, 돌출된 회전축(154)에 레버(152)가 부착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탱크(120)의 다른쪽 측면(126)(도 1, 도 2, 도 3에서는 앞쪽)에는 막대 형상의 돌기봉(projecting rod)(122)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와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하우징(102) 측면(104, 106)에는 결합 홈(130, 140)이 형성되어, 상술한 회전축(154)과 돌기봉(122)이 알맞게 들어간다.
또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 홈(140)에 회전축(154)이 알맞게 들어간 상태에서는, 회전축(154)에 부착된 레버(152)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하우징(102) 측면(106)의 외측에 위치한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봉(122)이 알맞게 들어가는 다른쪽 측면(104)의 결합 홈(130)은 결합 홈(130)의 홈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로크판(132)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로크판(132)은 스프링(134)에 의해 결합 홈(130)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또한, 로크판(132)의 단부에는 경사부(132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봉(122)을 결합 홈(130)에 위쪽으로부터 끼워넣으면, 경사부(132A)에 맞닿은 후, 더 아래쪽으로 누르면, 우측으로 슬라이딩하는 힘이 발생하고, 로크판(132)은 스프링(13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슬라이딩하여 개방된다. 따라서, 돌기봉(122)은 로크판(132)의 아래쪽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돌기봉(122)이 로크판(132)의 아래쪽으로 들어가면, 로크판(132)은 스프링(134)의 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딩하여 폐쇄된다. 따라서, 돌기봉(122)은 위쪽으로 빠지지 않게 로크된다.
따라서, 토너 탱크(120)를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로부터 꺼낼 때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봉(122)을 근원(root portion)으로부터 꺾는다. 그리고, 토너 탱크(120)를 제거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 탱크(120)의 전면부에는 토너 공급구(150)가 개방되어 있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탱크(120)를 부착했을 때, 셔터(156)는 닫혀있다. 따라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152)를 회전시켜, 도 7b 및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156)를 개방한다. 셔터(156)가 개방되면, 토너 탱크(120)의 토너 공급구(158)와 현상부(24)의 토너 보급구(25)(도 3 참조)가 연통(連通)하여, 토너 탱크(120)로부터 현상부(24)에 토너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토너 공급구(158)의 형성면과 토너 보급구(25)의 형성면 사이의 갭은 스폰지 등의 밀봉 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밀봉되어 있어, 갭으로부터 토너가 누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레이저 프린터 본체(12)에 장착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하우징(102) 측면(104)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기봉(122)(도 4a 및 도 4b 참조)과, 측면(106)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154)(도 6a 및 도 6b 참조)이 U자 형상의 위치 결정부(160)에 들어가,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위치 결정된다. 또한, 도 1 및 도 8의 (b)에서는 앞쪽에 있는 위치 결정부(160)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안쪽에도 회전축(154)(도 6a 및 도 6b 참조)이 들어가는 위치 결정부(16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기봉(122) 측에만 스위치(162)가 구비되어 있으며, 돌기봉(122)은 스위치(162)의 레버(163)를 밀어내려 스위치(162)를 온(ON)한다. 그러나, 도 2 및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는, 돌기봉(122)에 의해 레버(163)가 밀려 내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스위치(162)는 오프(OFF)하고 있다. 이 스위치(162)는 제어부(39)에 연결되어, 스위치(162)가 온하면 제어부(39)가 레이저 프린터(11)의 동작을 허가한다.
또한, 스위치(162)는 전원부(37)로부터 광주사 장치(4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에 부착되어 있으며, 스위치(162)가 온일 때는 전원 라인이 연결되어, 광주사 장치(44)에 전원이 공급된다. 그러나, 스위치(162)가 오프일 때는 전원 라인이 차단되어, 광주사 장치(44)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즉, 스위치(162)는 광주사 장치(44)의 전원 허가 장치를 겸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 1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록지(P)에 화상 형성을 실행함에 따라,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토너 탱크(120)의 토너가 소비되어 감소하게 된다. 토너가 감소되어 토너 잔량(殘量)이 소정량 이하로 되면, 조작 패널(도시 생략) 등에 토너가 감소된 것을 표시한다. 유저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커버(50)를 개방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꺼낸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토너 탱크(120)의 토너는 감소되었지만, 감광체 드럼(20) 등의 다른 부품은 아직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토너 탱크(120)만을 교환한다.
이하, 토너 탱크(120)의 교환 방법을 설명한다.
유저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커버부(105)를 개방한다.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봉(122)이 로크판(132)에 걸려 있어 토너 탱크(120)를 위쪽으로 뽑아낼 수 없다. 따라서,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봉(122)을 근원으로부터 꺾어,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탱크(120)를 제거하고, 새로운 토너 탱크(120)를 장착한다(장착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음). 그리고, 토너 탱크(120)의 교환이 완료되면 커버부(105)를 폐쇄하고,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152)를 회전시켜, 도 7b 및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156)를 개방한다.
토너 탱크(120)의 교환이 완료되면, 도 1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레이저 프린터 본체(12)에 장착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는, 도 6b에 나타낸, 레버(152)를 회전시킨 위치, 즉, 셔터(156)가 개방된 상태의 레버(152) 위치에서는 레이저 프린터 본체(12)에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a에 나타낸, 레버(152)를 회전시키지 않은 위치, 즉, 셔터(156)가 폐쇄된 상태의 레버(152) 위치에서는 레이저 프린터(11) 내부에 구비하는 부재(도시 생략)에 레버(152)가 걸려 레이저 프린터 본체(12)에 장착할 수 없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레이저 프린터 본체(12)에 장착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하우징(102) 측면(104, 106)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기봉(122)과 회전축(154)이 U자 형상의 위치 결정부(160)에 들어가,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위치 결정된다. 또한, 돌기봉(122)이 스위치(162)의 레버(163)를 밀어내려 스위치 (162)를 온한다. 따라서, 레이저 프린터(11)의 동작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광주사 장치(44)에 전원이 공급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에 토너 탱크(120)를 장착하는 것을 잊어버리면, 돌기봉(122)이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위치(162)가 돌기봉(122)을 검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레이저 프린터(11)는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토너 탱크(120)가 장착되지 않은 것에 의한 불량, 예를 들어, 토너가 완전히 없어져 무인자(無印字)로 되는(백지로 출력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광주사 장치(44)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레이저광(LA)은 노광(露光)되지 않는다.
또한, 돌기봉(122)이 위치 결정부(160)에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위치 결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토너 탱크(120)의 장착을 잊어버렸음을 즉시 알아차리게 된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탱크(120)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돌기봉(122)을 꺾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단 제거한 토너 탱크(120)를 실수로 다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에 장착하여도, 고정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토너 탱크(120)가 고정되지 않은 채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레이저 프린터 본체(12)에 장착하여도, 돌기봉(122)이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위치(162)가 검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레이저 프린터(11)는 동작하지 않고, 광주사 장치(44)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정상적인 위치 결정도 실행되지 않는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광(LA)의 노광 방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장착 방향(도 2 참조)과 동일한 방향 측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광주사 장치(44)의 레이저광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출사되어도, 레이저광(LA)의 노광 방향은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착탈 방향과 반대측이기 때문에, 착탈 시에 레이저광(LA)이 개폐 커버(50) 측(개방 측)을 향하지는 않는다.
또한, 토너 탱크(120)가 장착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장착하면 레이저 프린터(11)는 동작 가능으로 되고, 광주사 장치(44)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레이저광(LA)이 출사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러나,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후단부(도 1에서는 좌측)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상면(102A)과 광주사 장치(44)의 하면(44A)과의 간격보다 높은 차광벽(103)이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 커버(50)를 개방한 상태에서 레이저광(LA)이 출사되어도, 레이저광(LA)의 반사광은 차광벽(103)에 의해 차광되어 누출되지 않는다.
또한, 레이저 프린터(11)는 프린터 엔진으로서 그 이외의 화상 형성 장치, 예를 들어, 복사기나 팩시밀리, 또는 복합기 등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 프린터(11)의 위쪽에 스캐너 장치(13)를 배치하여 디지털 복사기(10)로 하여도,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착탈 방향은 정면 방향측(대략 수평 방향)이기 때문에,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착탈을 방해하지 않는다. 즉, 확장성이 높은 레이저 프린터(11)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9a 내지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탱크(220)의 측면에는 사각형 형상의 삽입 구멍(222)이 열려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00)의 하우징(202)에는, 삽입 구멍(222)에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 구멍(222)과 동일한 형상의 돌출 구멍(230)이 열려 있다. 그리고, 프로세스 카트리지(200)에 토너 탱크(220)를 장착하고, 돌기판(224)을 돌출 구멍(230)과 삽입 구멍(222)의 양쪽에 삽입함으로써 토너 탱크(220)가 고정된다.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판(224)의 선단(先端) 부분(삽입 방향)은 두갈래로 분기한 두갈래부(two forked-off portion)(226)가 형성되고, 그 두갈래의 선단의 머리부(head portion)(226A)는 삼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머리부(226A)의 폭은 돌기판(224)의 동체부(trunk portion) 폭보다 넓게 되어 있다.
삽입 구멍(222)의 입구는 돌기판(224)의 동체부 폭과 대략 동일한 크기이지만, 머리부(226A)의 폭보다 좁다. 그러나, 내부(도시 생략)는 머리부(226A)보다 넓게 되어 있다.
돌기판(224)을 돌출 구멍(230)과 삽입 구멍(222)에 삽입하려고 하면, 머리부(226A)가 돌출 구멍(230)의 입구에 닿는다. 그러나, 더 삽입하려고 밀어넣으면, 두갈래부(226)가 좁아져 두갈래부(226)가 돌출 구멍(230)과 삽입 구멍(222)에 들어간다. 머리부(226A)의 전체가 삽입 구멍(222)에 들어가면, 삽입 구멍(222)의 내부는 머리부(226A)보다 넓기 때문에, 두갈래부(226)가 넓어진다. 그리고, 돌기판(224)을 빼려고 하여도, 머리부(226A)가 걸려 빠지지 않는다.
토너 탱크(220)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 이, 돌기판(224)을 두갈래부(226)의 근원으로부터 꺾는다. 그리고, 토너 탱크(220)를 제거한다. 또한, 두갈래부(226)는 삽입 구멍(222) 중에 남고, 이것은 머리부(226A)가 걸려 빠지지 않기 때문에 꺼낼 수 없다.
또한,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260)는 돌기판(224)의 형상에 따라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반대측의 위치 결정부(160)는 U자 형상이다.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프로세스 카트리지(200)를 장착하면, 돌기판(224)이 위치 결정부(260)에 들어가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위치 결정됨과 동시에, 돌기판(224)이 스위치의 레버(163)를 밀어내려 스위치(162)가 온한다. 또한,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00)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는 스위치(162)가 오프로 된다.
다음으로, 제 2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토너가 소정량 이하로 되면, 유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0)의 토너 탱크(220)만을 교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9a 내지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판(224)은 삽입 구멍(222)과 돌출 구멍(230)으로부터 뽑아낼 수 없다. 따라서,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판(224)을 두갈래부(226)의 근원으로부터 꺾어,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탱크(220)를 제거하고, 새로운 토너 탱크(220)를 장착한다(장착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음).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토너 탱크(220)의 장착을 잊어버리면, 스위치(162) 가 돌기판(224)을 검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레이저 프린터(11)는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광주사 장치(44)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레이저광(LA)은 노광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00)가 위치 결정되지 않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탱크(220)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돌기판(224)을 꺾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단 제거한 토너 탱크(220)를 실수로 다시 프로세스 카트리지(200)에 장착하고, 새로운 돌기판(234)을 삽입하려고 하여도, 삽입 구멍(222)에 두갈래부(226)가 남아 있기 때문에, 삽입할 수 없다. 따라서, 일단 제거한 토너 탱크(120)를 실수로 다시 프로세스 카트리지(200)에 장착하여도 고정시킬 수 없다.
또한, 고정되지 않은 채 프로세스 카트리지(200)를 레이저 프린터에 장착하여도, 돌기판(224)이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위치(162)가 검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레이저 프린터(11)는 동작하지 않고, 광주사 장치(44)에도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정상적인 위치 결정도 실행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a 내지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탱크(320)의 상부에는 돌기판(32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는 돌기판 수용부(3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300)의 하우징(302)에는, 돌기판(324)이 슬라이딩하면 돌출되는 돌출 구멍(330)이 열려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300)에 토너 탱크(320)를 장착하고, 돌기판(324)을 슬라이딩하여 돌출 구멍(330)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토너 탱크(320)가 고정된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돌기판 수용부(322)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돌기판(324)의 저면(底面)에는 홈부(324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판 수용부(322)에는 제 1 판 스프링(332)과 제 2 판 스프링(334)의 하단만이 고정되어 있다. 제 1 판 스프링(332)의 고정되지 않은 상단은 돌출 구멍(330)과 반대 방향(도 14d의 화살표 S2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 2 판 스프링(334)의 고정되지 않은 상단은 돌출 구멍(330)의 방향(화살표 S1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판(324)을 슬라이딩하여 돌출 구멍(330)으로부터 돌출시키면, 제 1 판 스프링(332)과 제 2 판 스프링(334)의 상단이 홈부(324A)에 결합된다. 따라서, 돌기판(324)은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슬라이딩하지 않는다.
도 13a 내지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탱크(320)의 상면에는 해제 버튼(326)이 구비되어 있다.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버튼(326)을 누르면,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판 스프링(332)의 상단이 눌려져 홈부(324A)로부터 빠져나간다. 따라서,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 S1 방향으로만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해제 버튼(326)을 누르면서, 돌기판(324)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돌기판(324)이 제거된다. 그리고,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탱크(320)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판(324)을 화살표 S2 방향으로 다시 삽입하려고 하여도, 제 2 판 스프링(334)의 상단에 닿아 삽입할 수 없다.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300)를 장착하면, 돌기판(324)이 위치 결정부(260)에 들어가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위치 결정되는 동시에, 돌기판(324)이 스위치의 레버(163)를 밀어내려 스위치(162)가 온한다.
다음으로, 제 3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토너가 소정량 이하로 되면, 유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300)의 토너 탱크(320)만을 교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3a 내지 도 13c와 도 14a 내지 도 1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버튼(326)을 누르면서, 돌기판(324)을 슬라이딩시켜 제거한다. 그리고, 토너 탱크(320)를 제거하고, 새로운 토너 탱크(320)를 장착한다.
또한, 도 1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판(324)을 다시 삽입하려고 하여도, 제 2 판 스프링(334)의 상단에 닿아 삽입할 수 없다. 따라서, 일단 제거한 토너 탱크(320)를 실수로 다시 프로세스 카트리지(300)에 장착하여도, 고정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고정되지 않은 채 프로세스 카트리지(300)를 레이저 프린터 본체에 장착하여도, 돌기판(324)이 돌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위치(162)가 검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레이저 프린터는 동작하지 않고, 광주사 장치(44)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정상적인 위치 결정도 실행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a 내지 도 1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탱크(420)의 다른쪽 측면에는 로크부(422)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부(422)에는 회전 가능한 다이얼부(424)가 구비되고, 다이얼부(424)의 단면(端面)에는 레버(426)가 설치되어 있다. 다이얼부(424)의 외주(外周) 위에는 한 쌍의 제 1 볼록부(428, 42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볼록부(428, 429)보다 토너 탱크(420) 측 위치의 외주 위에 제 2 볼록부(414)(도 18c, 도 19의 a 내지 도19의 d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402)의 측면에는 계지 핀(anchor pin)(412)이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도 16a 내지 도 1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볼록부(428)에는 테이퍼면(428A)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428A)은 외측일수록 좁아지고, 또한 하측일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면은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그 저부(底部)측이 다이얼부(424)와의 연결 부분이며, 이 저부가 최대폭 D로 된다. 또한, 도 16a 내지 도 16c에서는 제 1 볼록부(428)만을 도시하고 있는데, 제 1 볼록부(429)도 상하좌우가 반대로 되어 있지만 동일한 형상이다.
도 15a 내지 도 1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300)의 하우징(402)에 다이얼부(424)가 알맞게 들어가는 반원(半圓) 형상의 결합부(4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430)의 상단부에는 고정 리브(432, 433)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300)의 하우징(402)에 토너 탱크(420)를 결합부(430)에 다이얼부(424)가 알맞게 들어가도록 장착한다.
도 17a 내지 도 1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리브(432)와 하우징(402)사이의 갭(490, 491)은 제 1 볼록부(428, 429)의 최대폭 D보다 약간 좁지만, 제 1 볼록부(428) 하면 및 제 1 볼록부(429) 상면의 최대폭은 갭(490, 491)보다 넓다.
그리고, 도 1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426)에 의해 다이얼부(424)를 회전시키면 제 1 볼록부(428, 429)의 테이퍼면(428A, 429A)에 의해 고정 리브(432, 433)가 확장되고, 제 1 볼록부(428, 429)가 고정 리브(432, 433)와 하우징(402)사이의 갭(490, 491)에 알맞게 들어가 고정된다. 또한, 도 17b에서의 고정 리브(432, 433) 확장은 실제보다 극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9의 a 내지 도 19의 d는 로크부(422)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다이얼부(424)의 내벽(內壁)에는 제 1 홈부(424A)와 제 2 홈부(42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이얼부(424)가 부착되어 있는 토너 탱크(420)의 측벽 부착면(419)에 제 1 판 스프링(416)과 제 2 판 스프링(417)의 하단만이 고정되어 있다. 제 1 판 스프링(416)의 고정되지 않은 상단은 회전 방향(화살표 T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 2 판 스프링(417)의 고정되지 않은 상단은 회전 방향(화살표 T 방향)인 시계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5b 및 도 1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426)에 의해 다이얼부(424)를 화살표 T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7a 내지 도 17d에 나타낸 바 와 같이, 제 1 볼록부(428, 429)가 고정 리브(432, 433)와 하우징(402)사이의 갭(490, 491)에 알맞게 들어간다. 그리고,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판 스프링(416)과 제 2 판 스프링(417)의 상단이 제 1 홈부(424A)에 결합된다. 따라서, 다이얼부(424)는 어느쪽 방향으로도 회전하지 않는다.
도 18a 내지 도 1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탱크(420)의 상부에 해제 버튼(410)이 구비되어 있다. 해제 버튼(410)을 누르면,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판 스프링(416)의 상단이 눌려져 제 1 홈부(424A)로부터 빠져나간다. 따라서, 화살표 T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해제 버튼(410)을 누르면서, 다이얼부(424)를 회전하여 제 1 볼록부(428, 429)를 고정 리브(432, 433)와 하우징(402)사이의 갭(490, 491)으로부터 빼낸다(도 17b 참고). 또한, 도 17c로부터 알 수 있듯이, 고정 리브(432, 433)와 하우징(402)사이의 갭(490, 491)은 제 1 볼록부(428, 429)의 최대폭 D보다 약간 좁고, 또한 테이퍼면(428A, 429A)도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반대 방향(화살표 T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갭(490, 491)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더 회전시켜 나가면 제 2 볼록부(414)가 계지 핀(412)에 닿아 회전이 멈추는 동시에, 제 2 홈부(424B)에 제 3 판 스프링(418)이 결합되어 역회전이 금지된다. 그리고, 도 1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탱크(420)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와 달리, 토너 탱크(420) 안쪽의 회전축(154)에는 레버(152)가 설치되지 않는다(도 6a 및 도 6b 참고). 그러나, 다이얼부(424)는 회전축(154)과 연결되어 있으며, 레버(426)를 회전하여 도 15c의 상태로 되면, 도 7a 내지 도 7c와 동일하게 셔터(156)가 개방된다. 즉, 레버(426)가 셔터(156)를 개폐하는 레버(152)(도 6a 및 도 6b 참조)를 겸하고 있다.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300)를 장착하면, 레버(426)가 위치 결정부(260)에 들어가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위치 결정되는 동시에, 레버(426)가 스위치의 레버(163)를 밀어내려 스위치(162)가 온한다.
다음으로, 제 4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토너가 소정량 이하로 되면, 유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400)의 토너 탱크(420)만을 교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8a 내지 도 18c 및 도 19의 a 내지 도 19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버튼(410)을 누르면서, 레버(426)를 회전하여 토너 탱크(420)를 제거하고, 새로운 토너 탱크(420)로 교환한다.
또한, 레버(426)를 회전하여 도 15c의 상태로 되면, 도 7a 내지 도 7c와 동일하게 셔터(156)가 개방되기 때문에, 교환 작업이 간단하다.
또한, 일단 제거한 토너 탱크(420)를 실수로 다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에 장착하여도, 레버(426)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고정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고정되지 않은 채 프로세스 카트리지(400)를 레이저 프린터 본체에 장착하여도, 레버(426)가 도 15c의 위치에 없기 때문에, 스위치(162)가 레버(426)를 검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레이저 프린터(11)는 동작하지 않고, 광주사 장치(44)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정상적인 위치 결정도 실행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 현상제는 토너만을 사용한 현상 방식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토너와 캐리어를 혼합한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 방식일 수도 있다. 또한, 토너와 캐리어를 혼합한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 방식의 경우, 토너가 없어지면, 캐리어가 감광체 표면을 손상시키거나, 캐리어가 감광체 표면에 부착된 후, 기록지에 전사되어 정착기로 운반되어, 정착기의 롤러를 손상시키는 등 고장의 원인으로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것도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제 탱크가 장착되지 않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여도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현상제 탱크가 장착되지 않은 것에 의한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15)

  1. 장치 본체와,
    카트리지 하우징(housing)과,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되는 잠상(潛像)을 현상(現像)하기 위한 현상부와, 현상제를 상기 현상부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수용되는 현상제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와,
    상기 현상제 탱크에 설치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부와,
    상기 검지부가 상기 표시부를 검지했을 때에 화상 형성 장치의 작동을 허가하는 허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현상제 탱크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카트리지내에 수용된 상기 현상제 탱크를 고정하기 위한 제 1 상태와, 상기 현상제 탱크의 제거를 허용하도록 상기 고정을 해제하는 제 2 상태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검지부는 상기 제 1 상태의 상기 돌기부를 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상태로 상기 돌기부가 이동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한 금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장치 본체를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용 레이저광을 출사할 수 있는 광주사 장치와,
    상기 검지부가 상기 표시부를 검지했을 때에 상기 광주사 장치로의 전류 공급을 허가하는 전류 공급 허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용 레이저광을 출사할 수 있는 상기 광주사 장치와,
    상기 레이저광의 반사광을 차광하기 위한 차광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용 레이저광을 출사할 수 있는 상기 광주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광의 노광 방향은 상기 카트리지 장착 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용 레이저광을 출사할 수 있는 상기 광주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주사 장치는 상기 감광체의 위쪽에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의 착탈 방향은 대략 수평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탱크는,
    상기 돌기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돌기부 수용부와,
    상기 돌기부 수용부로부터 상기 돌기부가 부분적으로 돌출한 상기 제 1 상태로 되도록 상기 돌기부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와,
    상기 돌기부 수용부로부터 상기 돌기부가 이탈(離脫)한 상기 제 2 상태로 되 도록 상기 유지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소정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돌기부가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한 제 1 금지 부재와,
    상기 소정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돌기부가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한 제 2 금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은 상기 돌기부 수용부로부터 슬라이딩하는 상기 돌기부가 관통 가능한 돌출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탱크는 상기 돌기부에 일체화되고, 또한 제 1 볼록부 및 제 2 볼록부를 갖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은 상기 제 1 상태에서의 상기 현상제 탱크의 고정을 위해, 상기 제 1 볼록부에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탱크는, 상기 제 1 상태로부터 상기 돌기부가 일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한 상기 제 2 상태에서 상기 제 2 볼록부를 계지시키는 계지부(係止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은,
    상기 제 1 상태에서의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어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제 1 금지 부재와,
    상기 제 1 상태에서의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어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제 2 금지 부재와,
    상기 제 2 상태에서의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어 상기 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제 3 금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탱크는,
    상기 현상제를 상기 현상부에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구와,
    상기 회전부의 회전과 연동(連動)하여 상기 제 1 상태로 되면 개방되는, 상기 현상제 공급구의 개폐용 셔터(shut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 성 장치.
KR1020050006180A 2004-05-26 2005-01-24 화상 형성 장치 KR100625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55947A JP4569171B2 (ja) 2004-05-26 2004-05-26 画像形成装置
JPJP-P-2004-00155947 2004-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504A KR20050112504A (ko) 2005-11-30
KR100625633B1 true KR100625633B1 (ko) 2006-09-20

Family

ID=35425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180A KR100625633B1 (ko) 2004-05-26 2005-01-24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33608B2 (ko)
JP (1) JP4569171B2 (ko)
KR (1) KR100625633B1 (ko)
CN (1) CN10037860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8499B2 (ja) * 2006-05-18 2012-02-15 株式会社東芝 トナーカートリッジ
US8636345B2 (en) * 2008-05-19 2014-01-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upply tube connectors for connection with an ink container
JP4935857B2 (ja) 2009-05-29 2012-05-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感光体カートリッジおよび押圧部材
JP4821885B2 (ja) * 2009-05-29 2011-1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19339B2 (ja) * 2012-11-22 2015-05-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容器
US9152083B2 (en) 2013-10-09 2015-10-06 Lexmark International, Inc. Carriage assembly for toner cartridge loading and latching
US8761639B1 (en) * 2013-11-20 2014-06-24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latching mechanism
US9261851B2 (en) 2013-11-20 2016-02-16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of a replaceable unit for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280087B2 (en) 2013-11-20 2016-03-08 Lexmark International, Inc.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latching system for retaining a replaceable unit
US9285758B1 (en) 2014-12-19 2016-03-15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between replaceable units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291992B1 (en) 2014-12-19 2016-03-22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al control features for an imaging unit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US9411303B1 (en) 2015-04-10 2016-08-09 Lexmark International, Inc. Positioning stop assembly for a replaceable unit of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7338452B2 (ja) 2019-12-24 2023-09-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11231526A (zh) * 2020-01-19 2020-06-05 湖北汽车工业学院 通过扫描图层内容进行可编辑印制的图层打印机及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2708A (ja) * 1995-04-20 1996-11-05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11184329A (ja) 1997-12-18 1999-07-09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9990039017U (ko) * 1998-04-03 1999-11-05 구자홍 레이저 프린터의 교환부품 장착유무검출장치
JP2002032000A (ja) 2000-07-18 2002-01-31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2490A (ja) * 1989-10-30 1991-06-18 Mita Ind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442258A (ja) * 1990-06-08 1992-02-12 Mita Ind Co Ltd 現像装置
JPH04190253A (ja) 1990-11-23 1992-07-08 Minolta Camera Co Ltd レーザビームプリンタ
JPH05323714A (ja) 1992-05-20 1993-12-0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MX9303563A (es) * 1992-09-04 1994-03-31 Canon Kk Cartucho de proceso, metodo para ensamblar un cartucho de proceso y aparato formador de imagen.
JP3869868B2 (ja) * 1994-04-27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259036A (ja) * 1995-03-23 1996-10-08 Fuji Xerox Co Ltd 物体有無検出装置
JPH0996938A (ja) * 1995-10-02 1997-04-0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311249B2 (ja) * 1996-07-26 2002-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6137966A (en) * 1998-04-16 2000-10-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0098680A (ja) * 1998-09-25 2000-04-0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871460B2 (ja) * 1999-01-29 2007-01-24 株式会社沖データ 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0356895A (ja) * 1999-06-15 2000-12-26 Kyocera Corp 現像装置
JP3944672B2 (ja) * 1999-08-30 2007-07-11 リコー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1188437A (ja) * 1999-10-20 2001-07-1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763198B2 (en) * 2000-05-15 2004-07-13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atus of attachment or detachment of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042127B2 (ja) * 2001-01-10 2008-02-06 株式会社リコー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659231B2 (ja) * 2001-02-21 2011-03-3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4261832B2 (ja) * 2002-07-11 2009-04-30 株式会社沖データ 印刷装置
JP2004205660A (ja) * 2002-12-24 2004-07-22 Oki Data Corp 消耗品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2708A (ja) * 1995-04-20 1996-11-05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11184329A (ja) 1997-12-18 1999-07-09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9990039017U (ko) * 1998-04-03 1999-11-05 구자홍 레이저 프린터의 교환부품 장착유무검출장치
JP2002032000A (ja) 2000-07-18 2002-01-31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33608B2 (en) 2008-10-07
JP2005338354A (ja) 2005-12-08
CN100378603C (zh) 2008-04-02
KR20050112504A (ko) 2005-11-30
US20050265736A1 (en) 2005-12-01
CN1702568A (zh) 2005-11-30
JP4569171B2 (ja) 201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5633B1 (ko) 화상 형성 장치
JP5531579B2 (ja) 粉体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粉体容器
KR100747728B1 (ko) 현상제 용기, 현상제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06309147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シャッタ構造
JP200727953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35592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7322554A (ja) 感光体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28239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9058711A (ja) イメージング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1805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41104A (ja) 現像剤供給容器
JP2008134526A (ja) トナー補給機構、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455124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56971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1136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廃トナーボトル脱着方法
US853829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constituent component and holding part
JP2009210966A (ja) 画像形成装置
JPH06167845A (ja) 画像形成装置
JP3225364B2 (ja) 画像形成装置
JP4860398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3468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34579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039828A (ja) 画像形成装置
JP465460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20964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