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060B1 - 잉크젯 프린터 - Google Patents

잉크젯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060B1
KR100608060B1 KR1020040051010A KR20040051010A KR100608060B1 KR 100608060 B1 KR100608060 B1 KR 100608060B1 KR 1020040051010 A KR1020040051010 A KR 1020040051010A KR 20040051010 A KR20040051010 A KR 20040051010A KR 100608060 B1 KR100608060 B1 KR 100608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p
cam
rotated
unc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2100A (ko
Inventor
박진호
박현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1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060B1/ko
Priority to US11/132,267 priority patent/US20060001695A1/en
Priority to CNB2005100814000A priority patent/CN100406258C/zh
Publication of KR20060002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2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05Caps, spittoons or covers for cleaning or preventing drying out
    • B41J2/16508Caps, spittoons or covers for cleaning or preventing drying out connected with the printer frame
    • B41J2/16511Constructions for cap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8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for paper-width or non-reciprocating prin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개시된 잉크젯 프린터는, 다수의 노즐섹션으로 구분되고 용지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를 갖는 노즐부를 구비하며 고정된 위치에서 용지에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프린팅 헤드와, 각각 하나 이상의 노즐섹션에 대응되는 다수의 캡부재와, 다수의 캡부재를 캡핑위치와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키는 캡구동장치와, 캡구동장치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터{Inkjet prin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노즐부의 배치예를 보야주는 평면도.
도 4a, 4b, 4c는 캡부재의 배치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a, 5b는 캡그룹의 구분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캡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캡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과 도 9는 회전캠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들.
도 10은 램프의 단면도.
도 11과 도 12는 회전캠의 기어부와 제1기어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평면도들.
도 13은 언캡핑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제1지연수단의 동작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5는 캡핑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캡핑유닛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17은 캡핑유닛의 동작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18은 제2지연수단의 동작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9는 캡핑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0은 제1지연수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1은 제1지연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2는 제1지연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3은 캡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4는 캡구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5은 캡구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프린팅 헤드 11......노즐부
13......노즐섹션 20......이송롤러
30......모터 40......캡부재
50......탄성부재 60......회전캠
61, 62......제1, 제2캠부 68......기어부
69......아이들부 70......탄성결합부재
79......제2지연수단 80......제1기어
89......제1지연수단 92......제2기어
93......제3기어 100......캡구동장치
110......언캡핑장치 120......캡핑장치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지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를 갖는 노즐부를 구비한 프린팅 헤드를 채용한 잉크젯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는 용지의 상면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용지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왕복주행되는 프린팅 헤드로부터 잉크를 분사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프린팅 헤드에는 다수의 노츨이 형성된 노즐부가 구비된다. 노즐부가 공기 중에 장시간 노출되면, 잉크가 건조되어 노즐이 막히게 된다. 또한, 공기 중의 먼지 등이 노즐에 부착되어 노즐이 막히게 된다. 잉크젯 프린터는 캡핑장치를 구비한다. 캡핑장치는 인쇄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 노즐부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노즐부의 건조나 오염을 방지한다. 미국공개특허공보 US6,467,872호와 한국공개특허공보 1998-925호에는 캡핑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근래에는 용지의 폭방향으로 왕복이송되는 프린팅 헤드 대신에 용지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프린팅 헤드를 사용하여 고속 인쇄를 구현하려는 시도가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잉크젯 프린터는 프린팅 헤드가 거의 고정되어 있고, 용지만이 이송된다. 따라서, 잉크젯 프린터의 구동장치가 단순하고 고속 인쇄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프린팅 헤드의 노즐부의 길이는 예를 들면 A4에 대응되기 의해서는 폭방향의 인쇄마진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210mm 정도가 되므로, 이러한 노즐부를 캡핑하기 위한 새로운 캡핑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용지의 폭에 해당되 는 길이의 노즐부를 갖는 프린팅 헤드 및 노즐부를 캡핑하기 위한 캡핑장치를 구비한 잉크젯 프린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는, 다수의 노즐섹션으로 구분되고 용지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를 갖는 노즐부를 구비하며,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용지에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프린팅 헤드; 각각 하나 이상의 상기 노즐섹션에 대응되는 다수의 캡부재; 상기 다수의 캡부재를 캡핑위치와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키는 캡구동장치; 상기 캡구동장치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다수의 캡부재는 각각 하나 이상의 상기 캡부재를 포함하는 다수의 캡그룹으로 구분되며, 상기 캡구동장치는 한 캡그룹씩 순차적으로 상기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캡구동장치는 상기 용지의 폭방향의 일측부에 위치되는 캡그룹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캡구동장치는 상기 용지의 폭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되는 캡그룹부터 시작하여 양측부쪽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캡구동장치는, 상기 캡핑위치에서 상기 캡부재를 지지하는 제1캠부와, 상기 언캡핑위치에서 상기 캡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제1캠부와 나선형태로 연결된 제2캠부,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제2캠부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캡부재에 대응되는 다수의 회전캠; 상 기 다수의 캡부재에 상기 캡핑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다수의 탄성부재; 상기 모터가 제1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회전캠을 제3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다수의 캡부재를 상기 탄성력의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언캡핑유닛; 상기 모터가 제2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회전캠을 제4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다수의 캡부재가 상기 탄성력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허용하는 캡핑유닛;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캡핑위치와 상기 언캡핑위치에서 상기 회전캠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보면, 용지(P)는 서로 맞물려 회전되는 한 쌍의 롤러(20)에 의하여 이송된다. 용지(P)의 상방에는 프린팅헤드(1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프린팅헤드(10)는 용지(P)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를 갖는 노즐부(11)를 구비한다. 한 쌍의 롤러(20)가 용지(P)를 이송시키면서 프린팅헤드(10)는 고정된 위치에서 노즐부(11)로부터 용지(P)에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인쇄한다.
도 2와 도 3은 노즐부(11)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보면, 노즐부(11)는 3개의 노즐섹션(12-1)(12-2)(12-3)으로 구분된다. 각 노즐섹션(12-1)(12-2)(12-3)에는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잉크를 토출하는 다수의 노즐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을 보면, 노즐부(11)는 사선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노즐섹 션(13)을 구비한다. 각 노즐섹션(13)에는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잉크를 토출하는 다수의 노즐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노즐부(11)는 일 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형태의 노즐부(11)를 채용한 경우를 설명한다.
잉크젯 프린터는 노즐부(11)의 건조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하나씩의 노즐섹션(13)을 담당하는 다수의 캡부재(40)를 구비한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캡부재(40)가 각각 두개씩의 노즐섹션(13)을 담당할 수도 있다. 각 캡부재(40)가 반드시 동일한 수의 노즐섹션(13)을 담당할 필요는 없으며,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예 이외에도 다양한 조합이 가능함을 당업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섹션(13)의 수와 동일한 수의 캡부재(40)를 구비하는 잉크젯 프린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잉크젯 프린터는 다수의 캡부재(40)를 캡핑위치와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키는 캡구동유닛(100)과, 캡구동유닛(100)을 구동하는 모터(30)를 구비한다. 다수의 캡부재(40)를 한꺼번에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구동 토크가 큰 모터(30)가 필요하며, 이는 모터(30)의 대형화와 가격상승을 초래한다. 예를 들면, 노즐부(11)는 LETTER 용지를 커버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잉크젯 프린터는 LETTER용지보다 작은 A4, B5, A6 등의 용지(P)에 화상을 인쇄할 수도 있다. 만일, A6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섹션(13a)만이 사용되고 나머지(13b)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화상을 인쇄하는 동안 나머지 노즐 센셕(13b)은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있어 노즐이 건조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인쇄에 사용되는 노즐섹션(13a)만을 언캡핑하고 나머지 노즐섹션(13b)는 캡핑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캡구동유닛(100)은 다수의 캡부재(40)를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인쇄에 사용되는 노즐섹션(13a)을 담당하는 캡부재(40)들만을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킨다. 용지(P)가 폭방향의 일측부를 기준으로 하여 이송될 때에는 용지(P)가 폭방향의 일측부에 위치된 캡부재(40a)부터 순차적으로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키고, 용지(P)가 폭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이송될 때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P)가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되는 캡부재(40m)부터 양측부쪽으로 순차적으로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킨다. 캡핑위치로 이송시킬 때에는 언캡핑과는 반대순서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다수의 캡부재(40)들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캡그룹(40-1)(40-2)(40-3)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각 캡그룹(40-1)(40-2)(40-3)은 하나 이상의 캡부재(4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캡그룹(40-1)은 A6용지를 커버하며, 캡그룹(40-1)(40-2)은 B5용지를 커버한다. 또, 캡그룹(40-1)(40-2)(40-3)은 A4용지와 LETTER용지를 커버한다. 도 5a에 도시된 캡그룹 구분은, 용지(P)가 폭방향의 일측부를 기준으로 하여 이송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용지(P)가 폭 방향의 중심을 기준을 하여 이송되는 경우에는 다수의 캡부재(4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캡그룹(40-1a)(40-2b)(40-3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캡그룹(40-1a)은 A6용지를 커버하며, 캡그룹(40-1a)(40-2a)은 B5용지를 커버한다. 또, 캡그룹(40-1a)(40-2b)(40-3c)은 A4용지와 LETTER용지를 커버한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예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그룹핑이 가능함을 당업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6을 보면, 캡구동유닛(100)은 다수의 캡부재(40)의 하방에 위치되는 다수의 회전캠(60)과, 다수의 회전캠(60)을 회전시켜 다수의 캡부재(40)를 각각 언캡핑위치와 캡핑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언캡핑유닛(110) 및 캡핑유닛(120)을 포함한다.
도 7을 보면, 캡부재(40)는 캡(41), 프레임(42), 아암(43)을 구비한다. 캡(41)은 노즐부(11)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보통 고무로 제조된다. 캡(41)은 프레임(42)에 결합된다. 아암(43)은 프레임(42)의 하방으로 연장된다.
회전캠(6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캠부(61)(62)를 구비한다. 제1, 제2캠부(61)(62)는 각각 회전캠(60)의 외경측과 내경측에 위치된다. 제1, 제2캠부(61)(62)는 격벽(64)에 의하여 서로 구분된다. 격벽(64)에는 개구(64a)가 마련된다. 제1, 제2캠부(61)(62)는 개구(64a)를 통하여 나선형태로 연결된다. 램프(63)는 회전캠(6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 제2캠부(61)(62)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
도 8을 보면, 캡(41)은 노즐부(11)에 접촉되어 있다. 아암(43)은 제1캠부(61)에 의하여 지지된다. 캡부재(40)는 제1캠부(61)에 의하여 지지되어, 캡핑위치에 위치된다. 캡부재(40)를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캠(60)은 제3방향(C3)으로 회전된다. 도 10은 도 8의 A-B 구간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보면, 램프(63)는 회전캠(60)이 제3방향(C3)으로 회전될 때에, 아암(43)을 가이드하여 개구(64a)를 통하여 제1캠부(61)로부터 제2캠부(62)로 진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캠 부(61)로부터 상향 단차진 단차부(63a)를 구비한다. 회전캠(60)이 제3방향(C3)으로 예를 들어 180도 회전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43)은 제2캠부(62)에 의하여 지지되며, 캡(41)은 노즐부(11)로부터 이격된다. 캡부재(40)는 제2캠부(62)에 의하여 지지되어, 언캡핑위치에 위치된다. 캡부재(40)가 제2캠부(62)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캠(60)이 제3방향(C3)으로 지속적으로 회전되더라도 캠부재(40)는 격벽(64)과 단차부(63a)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지속적으로 제2캠부(62)에 의하여 지지된다.
캡부재(40)를 다시 캡핑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캠(60)은 제4방향(C4)으로 회전된다. 단차부(63a)는 회전캠(60)이 제4방향(C4)으로 회전될 때에, 아암(43)을 가이드하여 개구(64a)를 통하여 제2캠부(62)로부터 제1캠부(61)로 진입되도록 한다. 캡부재(40)가 제1캠부(61)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캠(60)이 제4방향(C4)으로 회전될 때에도 캡부재(40)는 지속적으로 제1캠부(61)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63)는 제1캠부(61)로부터 상향경사진 상승부(63c)와 이로부터 단차부(63a)를 향하여 하향경사진 하강부(63b)를 구비한다. 상승부(63c)의 꼭대기는 격벽(64)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캡부재(40)가 제1캠부(61)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캠(60)이 제4방향(C4)으로 회전되면, 아암(43)은 제1캠부(61)의 A 부분-상승부(63c)-하강부(63b)-단차부(63a)-제1캠부(61)의 B부분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지지되어 캡부재(40)는 지속적으로 제1캠부(61)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를 위하여 아암(43)은 도 7의 화살표시(D)방향으로 약간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구동유닛(100)은 캡핑위치와 언캡핑위치에서 회전캠(6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8을 보면, 유동방지수단은 회전캠(60)의 외주(67)에 몰입형성되는 제1, 제2고정부(65)(66)와, 회전캠(60)의 외주(67)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탄성결합부재(70)를 포함한다. 제1, 제2고정부(65)(66)는 제1, 제2캠부(61)(62)의 이격거리(위상차)와 동일한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제1, 제2캠부(61)(62)는 180도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1, 제2고정부(65)(66)도 서로 180도 이격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재(40)가 캡핑위치에 위치될 때에 탄성결합부재(70)는 제1고정부(65)에 탄력적으로 결합된다. 회전캠(60)이 회전되는 동안에는 탄성결합부재(70)는 회전캠(60)의 외주(67)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재(40)가 언캡핑위치에 위치되면 탄성결합부재(70)는 제2고정부(66)에 탄력적으로 결합된다.
캡구동유닛(100)은 다수의 탄성부재(50)를 더 구비한다. 탄성부재(50)는 캡부재(40)에 캡핑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한다. 언캡핑유닛(110)은 모터(30)가 제1방향(C1)으로 회전될 때에 회전캠(60)을 제3방향(C3)으로 회전시켜 캡부재(40)를 탄성부재(50)의 탄성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캡핑유닛(120)은 모터(30)가 제2방향(C2)으로 회전될 때에 회전캠(60)을 제4방향(C4)으로 회전시켜 캡부재(40)가 탄성부재(50)의 탄성력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허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캡부재(40)를 캡핑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안에는 모터(30)에 걸리는 부하가 매우 작아진다.
도 6, 도 11, 도 12, 도 13을 보면, 언캡핑유닛(110)은 다수의 회전캠(60)에 각각 마련되는 기어부(68)와, 각각 다수의 회전캠(60)에 대응되는 다수의 제1기어(80)와, 다수의 제1기어(80)들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의 제1지연수단(89)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어(80)는 기어부(68)에 맞물린다. 기어부(68)는 치형이 누락된 아이들부(69)를 구비한다. 아이들부(69)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재(40)가 언캡핑위치에 도달되었을 때에 제1기어(80)와 맞물리는 위치에 형성되어, 제1기어(80)가 회전되더라도 회전캠(60)이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제1기어(80)와 회전캠(60)의 기어부(68)는 잇수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다수의 회전캠(60)은 서로 동심을 이루며 회전된다. 또한, 다수의 제1기어(80)는 서로 동심을 이루며 회전된다. 이를 위한 일 실시예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회전캠(60)과 다수의 제1기어(80)는 각각 제1샤프트(101)와 제2샤프트(102)에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된다.
도 13를 보면, 제2샤프트(102)의 측부에는 기어(103)가 삽입된다. 기어(103)는 요부(104)를 구비한다. 요부(104)는 제1기어(80a)의 제2돌기(82)와 결합된다. 모터(30)는 기어(103)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모터(30)가 제1, 제2방향(C1)(C2)으로 회전되면, 제1기어(80a)는 제5, 제6방향(C5)(C6)로 회전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모터(30)는 제1기어(80a)와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캠(60a)은 제3방향(C3)으로 회전되어 캡부재(40a)를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에, 회전캠(60b)은 회전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제1기어(80a)가 회전캠(60a)을 회전시키는 동안에 제1기어(80b)은 회전되어서는 안된다. 이를 위하여, 제1지연수단(89)은 선행되는 제1기어(80a)와 다음 제1기어(80b)가 적어도 회전캠(60)의 제1, 제2캠부(61)(62)의 위상차만큼 지연되어 동력연결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캠부(61)(62)의 위상차를 180도로 설정한다.
도 13을 보면, 제1지연수단(89)은 선행되는 제1기어(80a)에 마련되는 제1돌기(81)와, 다음 제1기어(80b)에 마련되는 제2돌기(82)를 포함한다. 회전캠(60a)을 제3방향(C3)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1기어(80a)는 제5방향(C5)으로 회전된다. 제2돌기(82)는 제1돌기(81)로부터 제5방향(C5)으로 180도 이상 이격되게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돌기(82)는 초기에 제1돌기(81)의 제6방향(C6) 쪽 측부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제1기어(80a)가 제5방향(C5)으로 회전되면, 제1돌기(81)는 제2돌기(82)와 이격되므로 제1기어(80b)는 회전되지 않는다. 회전캠(60a)이 180도 회전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재(40a)는 언캡핑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어(80a)는 아이들부(69)에 맞물리기 때문에 회전캠(60a)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제1기어(80a)가 제5방향(C5)으로 계속 회전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어(80a)의 제1돌기(81)가 제1기어(80b)의 제2돌기(82)의 제6방향(C6)쪽 측부에 접촉된다. 제1기어(80a)가 제5방향(C5)으로 계속 회전되면, 제1돌기(81)가 제2돌기(82)를 밀어, 제1기어(80b)가 회전되기 시작한다. 회전캠(60b)가 회전되고, 캡부재(40b)가 언캡핑위치로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언캡핑장치(110)에 의하여, 모터(30)가 제1방향(C1)으로 계속하여 회전되면, 노즐부(11)의 일단부에 위치된 캡부재(40a)로부터 순차적으로 언캡핑위치로 이동된다. 잉크젯 프린터는 미리 설정된 또는 검출된 용지(P)의 크기에 맞추어 적절한 개수의 캡부재(40)를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키고, 모터(30)를 정지시킨다. 예를 들면, 모터(30)의 회전량을 검출함으로써 언캡핑위치로 이동된 캡부재(40)의 수를 산출할 수 있다. 한 쌍의 이송롤러(20)는 용지(P)를 이송시키고, 언캡핑된 노즐섹션(13)의 노즐들은 용지(P)에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인쇄한다. 인쇄를 완료한 후에는 캡핑유닛(120)을 작동시켜 노즐섹션(13)들을 다시 캡핑시킨다.
도 15와 도 16을 보면, 캡핑유닛(120)은 제2기어(92), 전달수단(90), 제2지연수단(79)을 포함한다. 제2기어(92)는 제1샤프트(101)에 설치되며, 노즐부(11)의 일단부, 즉 회전캠(60a)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회전캠(60z)을 회전시킨다. 전달수단(90)은 모터(30)가 제2방향(C2)으로 회전될 때에 모터(30)의 회전력을 제2기어(92)로 전달한다. 제2지연수단(79)은 제2기어(92)가 제4방향(C4)으로 회전될 때에 회전캠(60z)부터 시작하여 회전캠(60a)까지 동력연결되도록 하며, 언캡핑과정에서 다음 회전캠(60b)이 선행되는 회전캠(60a)에 의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즉, 제2지연수단(120)은 예를 들면 회전캠(60a)이 제3방향(C3)으로 적어도 제1, 제2캠부(61)(62)의 위상차만큼 회전되는 동안 다음 회전캠(60b)이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전달수단(90)은 제3기어(93), 스윙아암(95), 연결기어(94a)(94b)을 포함한다. 제3기어(93)는 다수의 제1기어(80)와 동심을 이루며 회전된다. 제3기어(93)는 제2샤프트(102)의 측부에 설치된다. 제3기어(93)는 다수의 제1기어(80) 중에서 노 즐부(11)의 일단부, 즉 제1기어(80a)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제1기어(80z)에 의하여 회전된다. 스윙아암(95)은 제2샤프트(10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스윙아암(95)에는 연결기어(94a)(94b)가 설치된다. 연결기어(94a)는 제3기어(93)와 맞물리며, 연결기어(94a)는 연결기어(94b)와 맞물린다. 제1기어(80z)와 제3기어(93) 사이에 제1지연수단(89)이 개재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지연수단(79)은 선행되는 회전캠(60y)에 마련된 제4돌기(74)와, 다음 회전캠(60z)에 마련되는 제5돌기(75)를 포함한다. 제5돌기(75)는 제4돌기(74)와 제3방향(C3)으로 적어도 제1, 제2캠부(61)(62)의 위상차만큼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다. 캡부재(40)를 언캡핑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회전캠(60)은 제4방향(C4)으로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5돌기(75)는 제4돌기(74)의 제4방향(C4) 쪽 측부에 접촉되어 있다. 캡부재(40a) 내지 캡부재(40x)는 언캡핑위치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회전캠(60a) 내지 회전캠(60x)는 각각 제3방향(C3)으로 180도 회전된 상태이다. 따라서, 회전캠(60a) 내지 회전캠(60w)의 제4돌기(74)는 회전캠(60b) 내지 회전캠(60x)의 제5돌기(75)의 제4방향(C4) 쪽 측부에 접촉되어 있다. 제2기어(92)와 회전캠(60z) 사이에 제2지연수단(79)이 개재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캡핑동작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언캡핑유닛(110)에 의하여 캡부재(60a) 내지 캡부재(60x)가 언캡핑 위치로 이동된 것으로 가정한다. 캡핑동작을 수향하기 위하여 모터(30)는 제2방향(C2)으로 회전된다. 다수의 제1기어(80)는 제6방향(C6)으로 회전된다. 캡부재(60a) 내지 캡부재(60x)를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제1기어(80a) 내지 제1기어(80x)의 제1돌기(81)는 제1기어(80b) 내지 제1기어(80y)의 제2돌기(82)의 제6방향(C6) 쪽 측부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30)가 제2방향(C2)으로 회전되면, 제1기어(80a)는 즉시 회전되지만 제1기어(80b)는 제1기어(80a)의 제1돌기(81)가 제1기어(80b)의 제2돌기(82)의 제5방향(C5) 쪽 측부에 접촉될 때까지 회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모터(30)가 계속하여 회전되면 제1지연수단(89)의 작용에 의하여 제1기어(80b) 내지 제1기어(80x)가 순차적으로 제6방향(C6)으로 회전된다. 이 때, 제1기어(80a) 내지 제1기어(80x)는 회전캠(60a) 내지 회전캠(60x)의 아이들부(69)와 맞물려 있으므로 회전캠(60a) 내지 회전캠(60x)은 회전되지 않는다. 제1기어(80x)의 제1돌기(81)가 제1기어(80y)의 제2돌기(82)의 제5방향(C5)쪽 측부에 접촉되면, 제1기어(80y)가 회전된다. 제1기어(80y)의 제1돌기(81)는 제1기어(80z)의 제2돌기(82)의 제5방향(C5) 쪽 측부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제1기어(80y)(80z)는 동시에 회전된다. 제3기어(93)는 제1기어(80z)에 의하여 제6방향(C6)으로 회전된다. 제3기어(93)는 연결기어(94a)(94b)와 맞물려 있으므로 제3기어(93)의 회전력은 스윙아암(95)으로 전달된다. 스윙아암(95)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방향(C6)으로 회동되어 연결기어(94b)가 제2기어(92)와 맞물린다. 제2기어(92)는 회전캠(60z)을 제4방향(C4)으로 회전시킨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캠(60z)의 제5돌기(75)는 회전캠(60y)의 제4돌기(74)의 제4방향(C4) 쪽 측부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캠(60z)의 제5돌기(75)가 회전캠(60y)의 제4돌기(74)의 제3방향(C3) 쪽 측부에 접촉된 후부터 회전캠(60y)이 회전되기 시작한다. 제4, 제5돌기(74)(75)의 회전방향의 두께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회전캠(60y)의 제5돌기(75)는 회전캠(60x)의 제4돌기(74)와 360도에서 제1, 제2캠부(61)(62)의 위상차를 뺀 값만큼 제4방향(C4)으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캠(60x)은 회전캠(60y)보다 360도에서 제1, 제2캠부(61)(62)의 위상차를 뺀 값만큼 지연되어 회전된다. 이 때, 캡부재(40z)(40y)는 캡핑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회전캠(60z)(60y)이 제4방향(C4)으로 회전되더라도 도 10에 도시된 램프(63)의 작용에 의하여 캡부재(40z)(40y)는 지속적으로 제1캠부(61)에 의하여 지지되어 캡핑위치를 유지한다. 회전캠(60x)가 회전되기 시작하면, 회전캠(60w) 내지 회전캠(60a)가 순차적으로 회전되어 캡부재(40x) 내지 캡부재(40a)는 순차적으로 캡핑위치로 이동된다. 캡부재(40a)까지 캡핑위치로 이동시키면 모터(30)는 정지된다. 캡부재(40z) 내지 캡부재(40a)가 캡핑위치로 이동된 후에도 모터(30)가 계속하여 제2방향(C2)으로 회전되더라도 램프(63)의 작용에 의하여 캡부재(40z) 내지 캡부재(40a)는 캡핑위치를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캡구동장치(100)는 다수의 캡부재(40)를 캡핑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다수의 탄성부재(50)를 구비하므로, 다수의 회전캠(60)은 단지 다수의 캡부재(40)가 다수의 탄성부재(50)의 탄성력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캡핑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 모터(30)에 걸리는 부하는 매우 작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언캡핑 및 캡핑동작을 완료하면, 다수의 제1지연수단(89)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상태로 정렬되고, 다수의 제2지연수단(79)은 도 15에 도시된 회전캠(40y)(40z) 사이의 제2지연수단(79)과 동일한 상태로 정렬된다. 상술한 구성 및 과정에 의하여, 용지(P)의 폭에 맞추어 다수의 캡부재(40)를 순차적으로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키고, 인쇄가 완료된 후에는 다시 순차적으로 캡핑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언캡핑유닛(120)의 일 변형예이다. 도 19를 보면, 제1샤프트(101)의 단부에는 D-CUT부(106)가 마련된다. 제2기어(92)는 D-CUT부(106)에 삽입된다. 제1샤프트(101)에는 핀(107)이 삽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모터(30)가 제2방향(C2)으로 회전되면, 제1샤프트(101)가 제4방향으로(C4)으로 회전된다. 핀(107)은 회전캠(60z)의 제4돌기(74)를 밀어 회전캠(60z)을 제4방향(C4)으로 회전시킨다. 이하, 언캡핑동작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13에 도시된 제1지연수단(89)은 제1, 제2돌기(81)(82)의 회전방향의 두께를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에 지연각도가 360도 보다는 작다. 제1기어(80)와 회전캠(60)의 기어부(68)의 잇수가 같고 또 제1지연수단(89)에 의한 지연각도가 360도가 된다면 캡구동장치(100)를 제어하기에 매우 편리하다. 즉, 제1기어(80)가 제5방향(C5)으로 1회전할 때마다 캡부재(40)가 하나씩 언캡핑위치로 이동되기 때문에 제1기어(80)의 회전수를 검출하면 몇 개의 캡부재(40)가 언캡핑위치로 이동되었는지 알 수 있다. 이하, 도 20 내지 도 22에서 지연각도가 360도인 제1지연수단(89)의 세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제1지연수단(89)이 가능함을 당업자라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0 내지 도 22를 보면, 제1기어(80a)에는 제1돌기(81)이 마련된다. 제1기어(80b)에는 제2돌기(82)가 마련된다. 제1기어(80a)와 제1기어(80b) 사이에는 슬리 브(85)가 개재된다. 슬리브(85)는 제3돌기(83)와 제1요부(84)를 구비한다. 제1돌기(81)는 제1요부(84)에 삽입된다. 제3돌기(83)는 제2돌기(82)의 제3방향(C3) 쪽 단부에 접촉된다. 도 20을 보면, 제1돌기(81)와 제2돌기(82)은 회전중심축(X)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제3, 제4방향(C3)(C4) 쪽에 위치된다. 이 경우에, 제1요부(84)의 회전방향의 폭(W1)은 제1, 제2, 제3돌기(81)(82)(83)의 회전방향의 두께의 합과 동일하다. 도 21을 보면, 제1돌기(81)와 제2돌기(82)는 회전중심축(X)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제4, 제3방향(C4)(C3) 쪽에 위치된다. 이 경우에, 제1요부(84)의 회전방향의 폭(W2)은 제1, 제3돌기(81)(83)의 회전방향의 두께의 합과 동일하다. 도 22를 보면, 제1돌기(81)와 제2돌기(82)는 회전중심축(X) 상에 위치된다. 이 경우에, 제1요부(84)의 회전방향의 폭(W3)은 제1, 제2돌기(81)(82)의 회전방향의 두께의 합의 반과 제3돌기(83)의 회전방향의 두께의 합과 동일하다.
도 6 내지 도 22에 도시된 캡구동장치(100)는 용지(P)의 폭방향의 일측부에 위치된 캡부재(40a)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캡구동장치(100)는 용지(P)가 폭방향의 일측부를 기준으로 하여 이송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3은 용지(P)가 폭방향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이송되는 경우에 적용가능한 캡구동장치(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3을 보면, 기어(103a)는 제1기어(80L)와 제1기어(80m) 사이에 위치된다. 기어(103a)의 양측부에는 요부(104a)(104b)가 각각 마련된다. 요부(104a)(104b)에는 각각 제1기어(80L)의 제2돌기(82)와 제1기어(80m)의 제2돌기(82)가 삽입된다. 모터(30)는 기어(103a)를 회전시킨다. 제1기어(80L)(80k) 사이와 제1기어(80m)(80n) 사이에는 각 각 제1지연수단(89)이 개재된다. 물론, 모터(30)는 제1기어(80m)과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언캡핑유닛(120)이 제1, 제2샤프트(101)(102)의 양측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모터(30)가 제1방향(C1)으로 회전되면, 다수의 캡부재(40)는 캡부재(80m)(80L)부터 시작하여 용지(P)의 폭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언캡핑위치로 이동된다. 또, 모터(30)가 제1방향(C1)으로 회전되면, 캡부재(80a)(80z)부터 시작하여 중앙 쪽으로 순차적으로 캡핑위치로 이동된다.
다수의 캡부재(40)는 하나 이상의 캡부재(40)를 포함하는 다수의 캡그룹, 예를 들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그룹(40-1)(40-2)(40-3)으로 구분되고, 캡구동장치(100a)는 캡그룹(40-1)(40-2)(40-3)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다수의 회전캠(60)과 다수의 제1기어(80)는 캡그룹(40-1)(40-2)(40-3)에 각각 대응되도록 3개의 회전캠그룹과 3개의 제1기어그룹으로 구분된다.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제1기어(80)들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서로 직결되며, 제1지연수단(89)은 각 제1기어그룹 사이에만 개재된다.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회전캠(60)들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서로 직결되며, 제2지연수단(79)은 각 회전캠그룹 사이에만 개재된다. 도 24를 보면, 캡그룹(40-1)(40-2)에 대응되는 회전캠그룹(60-1)(60-2)와 제1기어그룹(80-1)(80-2)이 도시되어 있다. 제1기어그룹(80-1)에 속하는 제1기어(80g)와 제1기어(80i)은 돌기(86)와 요부(87)의 결합에 의하여 동시에 회전된다. 제1기어그룹(80-2)에 속하는 제1기어(80k)와 제1기어(80j)도 마찬가지이다. 제1기어그룹(80-1)(80-2)에 각각 속하는 제1기어(80i)와 제1기어(80j) 사이에는 제1지연수단(89)이 개재된다. 제1회전캠그룹(60-1)에 속하는 제1회전캠(60g)와 제1회전캠(60i)은 돌기(71)와 요부(72)의 결합에 의하여 동시에 회전된다. 제1회전캠그룹(60-2)에 속하는 제1회전캠(60k)와 제1회전캠(60j)도 마찬가지이다. 제1회전캠그룹(60-1)(60-2)에 각각 속하는 제1회전캠(60i)와 제1회전캠(60j) 사이에는 제2지연수단(79)이 개재된다. 언캡핑유닛(120)은 도 16 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캡그룹(40-1)(40-2)(40-3)을 순차적으로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캡구동장치(100)는 도 24에 도시된 캡구동장치(100)의 일 변형예로서, 회전캠그룹의 수와 동일한 수의 제1기어(80)를 구비한다. 도 5a와 같은 캡그룹(40-1)(40-2)(40-3)으로 구분할 경우에 3개의 제1기어(80)을 구비하면 된다. 예를 들면, 제1기어(80g)는 회전캠그룹(60-1)의 회전캠(60g)의 기어부(68)에, 제1기어(80j)는 회전캠그룹(60-2)의 회전캠(60j)의 기어부(68)에 맞물린다. 제1회전캠그룹(60-1)(60-2)에 각각 속하는 제1회전캠(60i)와 제1회전캠(60j) 사이에는 제2지연수단(79)이 개재된다. 또한, 제1기어(80g)와 제1기어(80j) 사이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지연수단(89)가 개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캡그룹(40-1)(40-2)(40-3)을 순차적으로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된 캡구동장치의 실시예들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분된 캡그룹을 구동하기 위하여 적절히 변형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당연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용지의 폭에 맞추어 인쇄에 사용되는 노즐섹션 만을 언캡핑할 수 있다.
둘째, 캡부재를 하나씩 또는 한 그룹씩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캠구동장치를 구동하는 모터의 구동부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19)

  1. 다수의 노즐섹션으로 구분되고 용지의 폭에 해당되는 길이를 갖는 노즐부를 구비하며,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용지에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프린팅 헤드;
    각각 하나 이상의 상기 노즐섹션에 대응되며, 개별적으로 캡핑위치와 언캡핑위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캡부재;
    상기 다수의 캡부재를 상기 캡핑위치와 상기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키는 캡구동장치;
    상기 캡구동장치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캡부재는 각각 하나 이상의 상기 캡부재를 포함하는 다수의 캡그룹으로 구분되며,
    상기 캡구동장치는 한 캡그룹씩 순차적으로 상기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키며, 그 역순으로 상기 캡핑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구동장치는 상기 용지의 폭방향의 일측부에 위치되는 캡그룹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키며, 그 역순으로 상기 캡핑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구동장치는 상기 용지의 폭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되는 캡그룹부터 시작하여 양측부쪽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키며, 그 역순으로 상기 캡핑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구동장치는,
    상기 캡핑위치에서 상기 캡부재를 지지하는 제1캠부와, 상기 언캡핑위치에서 상기 캡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제1캠부와 나선형태로 연결된 제2캠부,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제2캠부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다 수의 캡부재에 대응되는 다수의 회전캠;
    상기 다수의 캡부재에 상기 캡핑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다수의 탄성부재;
    상기 모터가 제1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회전캠을 제3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다수의 캡부재를 상기 탄성력의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언캡핑유닛;
    상기 모터가 제2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회전캠을 제4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다수의 캡부재가 상기 탄성력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허용하는 캡핑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위치와 상기 언캡핑위치에서 상기 회전캠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상기 회전캠의 외주에 상기 캡핑위치와 상기 언캡핑위치에 각각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제1, 제2고정부;
    상기 회전캠의 외주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캡핑위치와 상기 언캡핑위치에서 각각 상기 제1, 제2고정부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탄성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언캡핑유닛은,
    각각 상기 다수의 회전캠에 대응되며, 그 중 하나가 상기 모터와 연결된 다수의 제1기어;
    상기 회전캠에 마련되어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것으로서, 상기 캡부재가 상기 언캡핑위치에 도달될 때에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위치에 치형이 누락된 아이들부가 마련된 기어부;
    선행되는 제1기어와 다음 제1기어가 적어도 상기 제1, 제2캠부의 위상차만큼 지연되어 동력연결되도록 하는 다수의 제1지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회전캠이 설치되는 제1샤프트;
    상기 다수의 제1기어가 설치되는 제2샤프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연수단은,
    선행되는 제1기어에 마련된 제1돌기;
    다음 제1기어에 마련되어 상기 제1돌기와 접촉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돌기와 적어도 상기 제1, 제2캠부의 위상차만큼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제2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와 상기 제1기어는 잇수가 동일하며, 상기 제1지연수단은 360도 지연시켜 선행되는 제1기어와 뒤따르는 제1기어를 동력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유닛은,
    상기 다수의 회전캠 중에서 상기 용지의 일측부에 위치되는 회전캠을 회전시키는 제2기어;
    상기 모터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2기어로 전달하는 전달수단;
    선행되는 회전캠이 제3방향으로 적어도 제1, 제2캠부의 위상차만큼 회전되는 동안 다음 회전캠이 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2지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회전캠이 설치되는 제1샤프트;
    상기 다수의 제1기어가 설치되는 제2샤프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다수의 제1기어와 동심을 이루며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다수의 제1기어 중에서 상기 용지의 일측부에 위치되는 제1기어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3기어;
    상기 제3기어와 차례로 맞물리는 짝수 개의 연결기어;
    상기 제3기어와 동심을 이루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부에는 상기 연결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모터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연결기어가 상기 제2기어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스윙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연수단은,
    선행되는 회전캠에 마련된 제4돌기;
    다음 회전캠에 마련되어 상기 제4돌기와 접촉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4돌기와 적어도 상기 제3방향으로 상기 제1, 제2캠부의 위상차만큼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제5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캡부재, 다수의 회전캠, 다수의 제1기어는 동일한 수의 상기 캡부재, 회전캠, 제1기어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캡그룹, 회전캠그룹, 제1기어그룹으로 구분되며,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회전캠들과 제1기어들은 각각 동시에 회전되며,
    상기 제1지연수단과 상기 제2지연수단은 각각 상기 각 회전캠그룹들 사이와 상기 각 제1기어그룹들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7.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캡부재, 다수의 회전캠은 동일한 수의 상기 캡부재, 회전캠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캡그룹, 회전캠그룹으로 구분되며,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회전캠들은 동시에 회전되며,
    상기 제1기어의 수는 상기 회전캡 그룹의 수와 동일하며, 각 제1기어는 회전캠그룹의 어느 한 회전캠의 기어부와 맞물리며,
    상기 제2지연수단은 각각 상기 각 회전캠그룹들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구동장치는 상기 다수의 캡부재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언캡핑위치로 이동시키며, 그 역순으로 상기 캡핑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19. 삭제
KR1020040051010A 2004-07-01 2004-07-01 잉크젯 프린터 KR100608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010A KR100608060B1 (ko) 2004-07-01 2004-07-01 잉크젯 프린터
US11/132,267 US20060001695A1 (en) 2004-07-01 2005-05-19 Inkjet printer
CNB2005100814000A CN100406258C (zh) 2004-07-01 2005-06-30 喷墨打印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010A KR100608060B1 (ko) 2004-07-01 2004-07-01 잉크젯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100A KR20060002100A (ko) 2006-01-09
KR100608060B1 true KR100608060B1 (ko) 2006-08-02

Family

ID=35513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010A KR100608060B1 (ko) 2004-07-01 2004-07-01 잉크젯 프린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001695A1 (ko)
KR (1) KR100608060B1 (ko)
CN (1) CN10040625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3592B2 (en) 2009-07-31 2013-01-15 Zamtec Ltd Wide format printer with media encoder in the platen
JP6147582B2 (ja) * 2013-06-20 2017-06-14 株式会社Okiデータ・インフォテック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9475317B2 (en) * 2014-03-31 2016-10-2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ower transmission switching device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JP6384388B2 (ja) * 2015-03-31 2018-09-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106004094B (zh) * 2015-03-31 2019-09-10 兄弟工业株式会社 输送装置和喷墨记录设备
DE102016209945A1 (de) * 2015-07-07 2017-01-12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Drucker
CN108468990B (zh) * 2018-03-12 2020-04-17 宁波中惠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可自动升降的灯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2723A (ja) 1997-12-29 1999-07-21 Canon Aptex Inc 画像形成装置
US6595618B1 (en) * 1999-06-28 2003-07-22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and capping an acoustic ink printhead
KR20030087652A (ko) * 2001-03-27 2003-11-14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캐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5867A (en) * 1979-11-22 1981-06-23 Seiko Epson Corp Ink jet recorder
US4879568A (en) * 1987-01-10 1989-11-07 Am International, Inc. Droplet deposition apparatus
JP3408059B2 (ja) * 1995-09-22 2003-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ヘッド、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吐出装置の回復方法
KR100198224B1 (ko) * 1996-06-14 1999-06-15 유기범 잉크제트 프린터의 인쇄헤드 캡핑 장치
EP0844091B1 (en) * 1996-11-22 2005-02-02 Canon Kabushiki Kaisha A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6113232A (en) * 1997-12-19 2000-09-05 Hewlett-Packard Company Stationary pen printer
JP4433524B2 (ja) * 1999-09-16 2010-03-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1195634C (zh) * 2000-05-24 2005-04-06 西尔弗布鲁克研究有限公司 旋转式压纸卷筒部件
JP2002254666A (ja) * 2000-09-13 2002-09-11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および同装置における駆動制御方法
JP3728195B2 (ja) * 2000-10-04 2005-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ヘッド回復装置及びヘッド回復方法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790107B2 (ja) * 2000-10-13 2011-10-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プリンタ
US6447094B1 (en) * 2000-11-24 2002-09-10 Xerox Corporation Firmware sensoring systems and methods for a maintenance mechanism of an ink jet printer
JP2002254677A (ja) * 2001-02-28 2002-09-11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とその回復方法
JP4126900B2 (ja) * 2001-11-26 2008-07-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ヘッドメンテナンス機構
JP3739716B2 (ja) * 2002-03-22 2006-01-25 シャープ株式会社 印字ヘッドメンテナンス機構
JP4442156B2 (ja) * 2003-02-17 2010-03-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記録装置
JP2005193568A (ja) * 2004-01-08 2005-07-21 Sony Corp ノズルキャップ、ヘッド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液体吐出ヘッ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2723A (ja) 1997-12-29 1999-07-21 Canon Aptex Inc 画像形成装置
US6595618B1 (en) * 1999-06-28 2003-07-22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and capping an acoustic ink printhead
KR20030087652A (ko) * 2001-03-27 2003-11-14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프린트헤드 어셈블리 캐핑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3008765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01695A1 (en) 2006-01-05
KR20060002100A (ko) 2006-01-09
CN1715054A (zh) 2006-01-04
CN100406258C (zh)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9723B2 (en) Recording apparatus
JP502435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128389B2 (en) Inkjet printer
US7172190B2 (en) Paper feeding mechanism for an inkjet printe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7104539B2 (en) Sheet material feeding device and recording apparatus
KR100608060B1 (ko) 잉크젯 프린터
JP6813794B2 (ja) 記録装置
JP4955467B2 (ja) 画像記録装置
JPH0910940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8128194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2012161961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3926594B2 (ja) 画像形成装置の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266398B2 (ja) 画像記録装置
JP200804471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032941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100465339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JPH10138521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7464120B2 (ja) 直動伸縮装置、保守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2178526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7505235B2 (ja) ベル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0173162A (ja) 液体噴射装置
JPH1113878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659021B2 (ja) 画像形成装置
JP534684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1235002A (ja) カム装置、それを備える記録ヘッドの回復処理装置、および、それ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