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595B1 -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595B1
KR100576595B1 KR1020037012756A KR20037012756A KR100576595B1 KR 100576595 B1 KR100576595 B1 KR 100576595B1 KR 1020037012756 A KR1020037012756 A KR 1020037012756A KR 20037012756 A KR20037012756 A KR 20037012756A KR 100576595 B1 KR100576595 B1 KR 100576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vehicle
airbag body
inflated
pedestr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2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5076A (ko
Inventor
하마다마꼬또
호소야도시아끼
이나미히데야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5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5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16Inner seams, e.g. creating separate compartments or used as teth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24Inner walls crating separate compartments, e.g. communicating with 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된 에어백 본체(22)를 포함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가 각각의 우측 정면 필러 및 좌측 정면 필러(16)의 상부(16A)에 배치되어 있다. 차량의 외부측쪽으로의 에어백 본체(22)의 팽창은, 에어백 본체(22)가 팽창할 때 에어백 본체(22)의 부착부(22A)를 봉합부(22B)에 연결하는 직물(22C)에 의해 소정의 양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에어백 본체(22)는 외주부를 따라 팽창한다. 또한, 대략 차폭방향 외부측쪽으로 팽창된 에어백 본체의 일부는 차폭방향 내부측쪽으로 팽창된 만곡부(30F)와 접촉하고, 이 만곡부는 장식판(30)의 전개부(30A)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에어백 본체(22)는 대략 차폭방향 내부측쪽으로 크게 팽창한다.

Description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 FOR PEDESTRIAN PROTECTION}
본 발명은,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특히 운행하는 차량이 보행자와 충돌할 때 차체와의 2차 충돌시에 보행자에 대한 충격을 흡수 및 저감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에 관련된 기술은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 7-108903 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은, 정면 범퍼에 부착된 차량-대-보행자 충돌 감지 센서(vehicle-to-pedestrian collision detection sensor), 차량-대-보행자 감지 센서가 보행자와의 충돌을 감지하는 경우에 정면 필러(200; front pillar)의 외부측쪽으로 팽창하는 에어백 본체(202), 및 에어백 본체(202)를 팽창시켜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inflator)를 포함한다. 차량-대-보행자 충돌 감지 센서가 충돌을 감지하는 경우, 인플레이터가 가스를 발생시켜 에어백 본체(202)를 팽창시키고, 이에 의해 도 18의 이점쇄선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본체(202)가 정면 필러(200)의 정면부(200A)를 덮을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에 대한 충격이 저감된다.
그러나, 이러한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보행자가 대략 차량의 정면으로부터 에어백 본체(202)와 충돌할 때(즉, 도 18의 화살표(X)로 표시된 방향), 차량의 외부측으로 또한 비스듬하게 후방쪽(즉, 도 18의 화살표(Y)로 표시된 방향)으로 작용하는 분력이 에어백 본체(202)에서 발생한다. 그 결과, 에어백 본체(202)는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쪽으로 이동되어, 이에 의해 보행자와 정면 필러(200) 사이의 부분이 감소한다. 따라서, 보행자에 대한 충격의 저감 성능이 감소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자에 대한 충격의 저감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는 정면 필러의 표면에 제공되는 커버, 및 팽창 방향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정면 필러의 표면은 차량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커버는 에어백 본체를 덮고, 그 전개부는 에어백 본체의 팽창시에 차폭방향 외부측쪽으로 전개되고, 상기 팽창 방향 제어 수단은 에어백 본체를 대략 차폭방향 내부측쪽으로 팽창시키고 또한 에어백 본체를 팽창 위치에 유지한다.
따라서, 보행자가 대략 차량의 정면으로부터 에어백 본체와 충돌하는 경우, 에어백 본체는 차폭방향 내부측쪽으로 팽창하고 또한 이 에어백 본체는 팽창 방향 제어 수단에 의해 팽창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보행자와 정면 필러 사이에 에어백 본체가 놓여서, 이에 의해 보행자에 대한 충격의 저감 성능의 개선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에 있어서, 팽창 방향 제어 수단은 커버의 전개부내에 위치되며 에어백 본체와 접촉하는 접촉부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커버의 전개부에 제공된 접촉부와 에어백 본체가 접촉하기 때문에, 보행자가 대략 차량의 정면으로부터 에어백 본체와 충돌하는 경우에 에어백 본체는 차폭방향 내부측쪽으로 전개되고 또한 이 에어백 본체는 팽창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보행자와 정면 필러 사이에 에어백 본체가 놓여서, 이에 의해 보행자에 대한 충격의 저감 성능의 개선이 보장된다. 또한, 커버의 전개부내에 위치되며 에어백 본체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팽창 방향 제어 수단으로서 이용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해진다.
또한, 접촉부는 전개시에 만곡 형상을 갖도록 대략 차폭방향 내부측쪽으로 팽창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전개시에 대략 차폭방향 내부측쪽으로 팽창된 커버의 만곡부와 에어백 본체가 접촉하기 때문에, 보행자가 대략 차량의 정면으로부터 에어백 본체와 충돌하는 경우에 에어백 본체는 차폭방향 내부측쪽으로 팽창하고 또한 이 에어백 본체는 팽창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보행자와 정면 필러 사이에 에어백 본체가 놓여서, 이에 의해 보행자에 대한 충격의 저감 성능의 개선이 보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팽창 방향 제어 수단은, 정면 필러의 측면 내부의 차체부를 에어백 본체와 연결하고, 또한 에어백 본체가 팽창할 때 피연결부 사이에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연결 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 본체는 차폭방향 내부측쪽으로 팽창하고, 또한 이 에어백 본체는 정면 필러의 측면 내부의 차체부를 에어백 본체와 연결하는 연결 부재에 의해 발생된 인장력에 의해 팽창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보행자와 정면 필러 사이에 에어백 본체가 놓여서, 이에 의해 보행자에 대한 충격의 저감 성능의 개선이 보장된다. 또한, 연결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커버로부터 돌출하는 에어백 본체부를 팽창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는, 카울부(cowl portion)의 표면에 제공되는 커버, 및 팽창 방향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정면 필러의 표면은 차량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커버는 에어백 본체를 덮고, 그 전개부는 에어백 본체가 팽창할 때 차량의 후방쪽으로 전개되고, 상기 팽창 방향 제어 수단은 차량의 정면쪽으로 에어백 본체를 팽창시키고 또한 에어백 본체를 팽창 위치에 유지한다.
따라서, 보행자가 차량의 정면으로부터 에어백 본체와 충돌하는 경우에 에어백 본체는 차량의 정면쪽으로 팽창하고 또한 이 에어백 본체는 팽창 방향 제어 수단에 의해 팽창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보행자와 카울부 사이에 에어백 본체가 놓여서, 이에 의해 보행자에 대한 충격의 저감 성능의 개선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팽창 방향 제어 수단은, 카울부의 차량 정면부를 에어백 본체와 연결하고, 또한 에어백 본체가 팽창할 때 피연결부 사이에서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연결 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 본체는 차량의 정면쪽으로 팽창하고, 또한 이 에어백 본체는, 카울부의 차체 정면부를 에어백 본체와 연결하는 연결 부재에 의해 발생된 인장력에 의해 팽창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보행자와 카울부 사이에 에어백 본체가 놓여서, 이에 의해 보행자에 대한 충격의 저감 성능의 개선이 보장된다. 또한, 연결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커버로부터 돌출하는 에어백 본체를 팽창 위치에 확실히 유지할 수도 있다.
도 1은 도 3의 선 I-I을 따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3의 선 II-II을 따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가 적용되는 차체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가 적용되는 차체를 차량의 정면으로부터 비스듬하게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의 전개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의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 어백 장치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가 적용되는 차체의 일부를 차량의 정면으로부터 비스듬하게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의 팽창된 상태를 차량의 정면으로부터 비스듬하게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선 XI-XI을 따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의 팽창된 상태를 차량의 정면으로부터 비스듬하게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선 XIII-XIII을 따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의 일부를 차량의 정면으로부터 비스듬하게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선 XV-XV을 따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7의 선 XVI-XVI을 따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의 팽창된 상태를 차량의 정면으로부터 비스듬하게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의 단면도이다.
이후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가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화살표(FR)가 차량의 정면을 나타내고, 화살표(UP)가 차량의 상부측을 나타 내고, 화살표(IN)가 차폭방향 내부측을 나타낸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체(10)의 정면 범퍼(12)에는 차량-대-보행자 충돌 감지 센서(14)가 배치되어 있다.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는 우측 및 좌측 정면 필러(16) 각각의 상부(16A)에서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18)는, 차량-대-보행자 충돌 감지 센서(14)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가스를 주입하도록 작동하는 인플레이터(20), 에어백 본체(22), 및 에어백 본체(22)를 수용하는 케이스(24)를 주로 포함한다. 차량-대-보행자 충돌 감지 센서(14)가 보행자와의 충돌을 감지하는 경우, 인플레이터(20)가 작동하고, 이에 의해 가스가 에어백 본체(22)속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나서, 에어백 본체(22)는 도 4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필러(16)의 상부(16A)로부터 전방으로 팽창한다.
차체(10)에는 펜더(26)가 부착되어 있고, 정면 필러(16)에는 윈드실드 글라스(28; windshield glass)가 부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본체(22)는 긴 형상을 갖도록 아코디언 형태로 접혀서 케이스(24)내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24)는, 수지 재료로 제조되고 또한 정면 필러(16)의 표면을 구성하는 장식판(30; garnish panel), 및 에어백 본체(22)의 부착부(22A)가 용접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금속판을 포함하는 베이스판(32)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정면 필러(16)의 표면은 차량의 외부에 위치되어 있다.
베이스판(32)은 오목하고 개방된 단면을 갖는데, 그 개구는 차폭방향 정면 외부측쪽으로 배향되어 있다. 에어백 본체(22)의 부착부(22A)는 베이스판(32)의 측면 내부측의 제 1 벽부(32A)의 내주면(inner peripheral surface)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벽부(32A)의 개구 단부에는, 베이스판(32)의 개구의 외부측쪽으로 배향된 결합부(32B)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판(32)의 베이스부(32C)에 인접해 있는 제 1 벽부(32A)의 일부에서 제 1 벽부의 외주면에는 볼트(34)가 직립되어 있는다. 베이스판(32)의 측면 외부측의 제 2 벽부(32D)는 측면 외부측의 제 1 벽부(32A)보다 짧다.
장식판(30)의 전개부(30A)는 정면 필러(16)의 상부(16A)의 장식 표면을 구성하는데, 이 장식 표면은 차량의 외부에 위치되어 있다. 전개부(30A)는 아코디언 형태로 접힌 에어백 본체(22)를 덮는다. 전개부(30A)의 측면 내부측의 제 1 단부에는 폴부(30B; pawl portion)가 형성되어 있고, 이 폴부(30B)는 베이스판(32)의 결합부(32B)와 결합되어 있다.
전개부(30A)는 차폭방향 외부측에 제 2 단부(30C), 및 차폭방향 제 2 단부(30C)의 외부에 부분(30D)을 갖는다. 부분(30D)의 내주부에는 삼각형 형상의 리브(31)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31)가 형성되는 부분(30D) 뒤의 차폭방향 내부측쪽으로 부착부(30E)가 연장한다. 장식판(30)의 부착부(30E)는, 밀봉제로서 또한 작용하는 접착제에 의해 베이스판(32)의 베이스부(32C)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백 본체가 팽창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본체(22)의 팽창 압력으로 인해, 장식판(30)의 전개부(30A)의 폴부(30B)는 베이스판(32)의 결합부(32B)로부터 해제된다. 그리고 나서, 전개부(30A)는 제 2 단부(30C)로부터 차폭방향 외부측쪽으로 소정의 각도로 전개된다. 또한, 에어백 본체(22)는 에어백 본체(22)의 부착부(22A)를 봉합부(22B)에 연결하는 직물(22C)을 갖는다. 따라서, 에어백 본체(22)가 팽창하는 경우, 직물(22C)은 차량의 외부측쪽(즉, 도 5의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에어백 본체(22)의 팽창을 소정의 양으로 제한하고, 따라서 에어백 본체(22)는 차량의 외주부를 따라(도 5의 화살표(B, C)로 표시된 방향) 팽창한다. 또한, 대략 차폭방향 외부측(즉, 도 5의 화살표(C)로 표시된 방향)쪽으로 팽창된 에어백 본체(22)의 일부는 전개부(30A)의 대략 차폭방향 내부측쪽으로 팽창된 만곡부(30F)와 접촉하고, 이 만곡부(30F)는 팽창 방향 제어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정면 필러(16)의 상부(16A)는 폐쇠된 단면을 갖고, 또한 이 정면 필러(16)의 상부(16A)는 차량 컴파트먼트 외부측에 배치된 정면 필러 외부판(38) 및 차량 컴파트먼트 내부측에 배치된 정면 필러 내부판(40)을 포함한다.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18)는, 정면 필러 외부판(38)내에 형성된 L-형 단면의 오목부(42)에 배치되어 있다. 윈드실드 글라스(28)의 측면 외부측에 위치된 가장자리부(28A)에 대략 수직인 오목부(42)의 수직벽부(42A)에는 부착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 구멍(44)을 관통해 연장하는 볼트(34)에는 너트(46)가 조여져 있고, 이에 의해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18)가 고정된다. 너트(46)를 조이는 때에 사용되는 조작 구멍(48)은 정면 필러 내부판(40)에 형성되어 있다.
윈드실드 글라스(28)의 측면 외부측의 가장자리부(28A)는 정면 필러 내부판(40)의 정면벽부(40A)에 고정되어 있다. 정면 벽부(40A)의 측면 외부측 단부에는 대략 정면쪽으로 배향된 플랜지(40B)가 형성되어 있다. 윈드실드 글라스(28)의 측면 외부측 단부(28A)와 플랜지(40B) 사이에는 웨더 스트립 몰딩(50)이 배치되어 있다. 웨더 스트립 몰딩(50)의 측면 외부측 단부(50A)는 전개부(30A)의 폴부(30B)가 베이스판(32)의 결합부(32B)와 결합되는 부분을 덮는다. 정면 필러 내부판(40)의 차량 컴파트먼트 내부측에는 정면 필러 가니시(52; front pillar garnish)가 배치되어 있다. 정면 필러 가니시(52)의 후단 가장자리부(52A)는, 정면 필러(16)의 상부(16A)의 후방에서 결합 플랜지(16B)에 배치된 웨더 스트립 몰딩(54)과 결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필러 외부판(38)의 측면 외부에는 정면 사이드 도어(56)가 부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20)는 원통형이고, 브래킷(58)은 길이 방향으로 인플레이터(20)의 양단부 부근에 고정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브래킷(58)의 부착부(58A)에는 부착 구멍(60)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 구멍(60)속으로 볼트(62)가 삽입되어 있고, 이 볼트(62)는 베이스판(32)의 차폭방향 내부측 벽부(32A)의 내주면에 직립해 있다. 볼트(62)에는 너트(64)가 조여져 있고, 인플레이터(20)는 브래킷(58)에 의해 케이스(24)의 베이스판(32)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의 효과가 설명될 것이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대-보행자 충돌 감지 센서(14)가 보행자와의 충돌을 감지하는 경우, 인플레이터(20)가 작동하고, 이에 의해 가스가 에어백 본체(22)속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인플레이터(20)로부터 유출되는 가스로 인해, 에어백 본체(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필러(16)의 상부(16A)로부터 전방으로 팽창한다. 이 때에, 장식판(30)의 전개부(30A)의 폴부(30B)는 베이스판(32)의 결합부(32B)로부터 해제되고, 전개부(30A)는 제 2 단부(30C)로부터 차폭방향 외부측쪽으로 전개된다.
한편, 차량의 외부측쪽(즉, 도 5의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에어백 본체(22)의 팽창은, 부착부(22A)를 봉합부(22B)에 연결하는 직물(22C)에 의해 소정의 양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에어백 본체(22)는 차량의 외주부를 따라(도 5의 화살표(B, C)로 표시된 방향) 팽창한다. 또한, 대략 차폭방향 외부측쪽(즉, 도 5의 화살표(C)로 표시된 방향)으로 팽창된 에어백 본체(22)의 일부는 대략 차폭방향 내부측쪽으로 팽창된 만곡부(30F)와 접촉하는데, 이 만곡부는 장식판(30)의 전개부(30A)내에 위치된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략 차폭방향 외부측쪽(즉, 화살표(C)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에어백 본체(22)의 팽창은 또한 만곡부(30F)에 의해 소정의 양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에어백 본체(22)는 대략 차폭방향 내부측쪽(즉, 도 5의 화살표(B)로 표시된 방향)으로 팽창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의 머리와 같은 충돌물(S)이 에어백 본체(22)와 접촉하여 에어백 본체(22)가 대략 차폭방향 외부측쪽(도 5의 화살표(C)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라도, 만곡부(30F) 및 직물(22C)에 의해 에어백 본체(22)는 팽창 위치(도 6에 도시된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정면 필러(16)의 상부(16A)와 충돌물(S) 사이에 에어백 본체(22)가 놓여서, 이에 의해 충돌물(S)에 대한 충격의 저감 성능의 개선이 보장된다.
이러한 구조는 에어백 본체(22)와 접촉하며 장식판(30)의 전개부(30A)내에 위치되는 접촉부를 팽창 방향 제어 수단으로서 이용함으로써 간단해진다.
장식판(30)의 전개부(30A)의 두께는 어떠한 갑작스러운 변화없이 균일하고, 또한 이러한 장식판의 전개부의 두께는 전개부(30A)가 전개되는 차폭방향 외부측 단부(30C)로부터 에어백 본체(22)와 접촉하는 적어도 접촉부까지 점차적으로 변한다. 따라서, 장식판(30)의 전개부(30A)는, 힌지와 같이 특정한 만곡 리지를 따라 변형 및 전개되는 대신에, 차폭방향 외부측 단부(30C)로부터 만곡된 외팔보의 만곡 방식과 동일한 만곡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대략 차폭방향 내부측쪽으로 팽창된 만곡부(30F)를 장식판(30)의 전개부(30A)내에 형성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장식판(30)의 전개부(30A)에 형성된 폴부(30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32)의 결합부(32B)와 결합되어 있다. 대신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쪽으로 만곡되는 장식판(30)의 차폭방향 내부측 단부(30G)는, 밀봉제로서 또한 작용하는 접착제에 의해 베이스판(32)의 차폭방향 외부측 벽부(32A)의 외주면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65)를 포함하는 취성부(66)는, 에어백 본체가 팽창하는 경우에 부서지도록 단부(30G)의 만곡부 부근에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판(32)의 차폭방향 내부측 벽부(32A)의 팁부(32E; tip portion)는 장식판(30)의 전개부(30A)에 도달한다. 따라서, 차량 을 일반적인 방식으로 사용하고, 예를 들어, 차량을 세차하는 경우, 차량의 외부측으로부터 전개부(30A)에 압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취성부(66)에 응력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취성부(66)는 윈드실드 글라스(28)와 장식판(30) 사이의 간극과 함께 웨더 스트립 몰딩(50)에 의해 밀봉된다. 따라서, 취성부(66)의 일부에 균열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취성부(66)에 물 등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장식판(30)의 전개부(30A)는 차폭방향 외부측 단부(30C)로부터 차폭방향 외부측쪽으로 전개된다. 대신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부(30A)의 단부(70)가 베이스판(32)의 차폭방향 외부벽부(32D)와 접촉할 수 있도록 장식판(30)의 전개부(30A)가 축(6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개부(30A)의 개방각이 조절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가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되어 있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18)의 하단부(18A)는 차체(10)의 카울부(10A)를 따라 차폭방향 내부측쪽으로 연장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된 에어백 본체(22)의 상부 표면(22D)에는, 팽창 방향 제어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연결 부재로서의 스트랩(72)이 배치되어 있 다.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18)의 상단부에 배치된 앵커(74)에는 스트랩(72)의 상단부(72A)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18)의 하단부의 차폭방향 내부측 단부에 배치된 앵커(76)에는 스트랩(72)의 하단부(72B)가 연결되어 있다. 스트랩(72)의 길이는 케이스(24)를 따라 상부 앵커(74)와 하부 앵커(76)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길다.
팽창된 에어백 본체(22)의 상부 표면(22D)에서 상부 앵커(74) 및 하부 앵커(76)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연결하는 직선의 양측에는 직물링(78)이 배치되어 있다. 스트랩(72)은 수직 방향을 따라 각각의 링(78)을 관통해 연장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에어백의 형상을 억제하는 직물(22C)이 제거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의 효과가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에어백 본체(22)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방식으로 팽창하는 경우, 에어백 본체(22)의 상부(22D)에 배치된 각각의 링(78)은 수직하게 인접하는 링(78)으로부터 링(78)이 분리되는 방향(즉, 화살표(D, E)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스트랩(72)에는 인장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차량의 외부측쪽(즉, 도 11의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에어백 본체(22)의 팽창은 스트랩(72)에 의해 소정의 양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에어백 본체(22)는 차량의 외주부를 따라(즉, 도 11의 화살표(B, C)로 표시된 방향) 팽창한다. 또한, 대략 차폭방향 외부측쪽(즉, 도 11의 화살표(C)로 표시된 방향)으로 팽창된 부분은, 대략 차폭방향 내부측쪽으로 팽창하고 또한 장식판(30)의 전개부(30A)내에 위치되는 만곡부(30F)와 접촉한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략 차폭방향 외부측쪽(즉, 도 11의 화살표(C)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에어백 본체(22)의 팽창은 또한 만곡부(30F)에 의해 소정의 양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에어백 본체(22)는 대략 차폭방향 내부측쪽(즉, 도 11의 화살표(B)로 표시된 방향)으로 팽창한다.
또한, 보행자의 머리와 같은 충돌물이 에어백 본체(22)와 접촉하여 에어백 본체(22)가 대략 차폭방향 외부측쪽(도 11의 화살표(C)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라도, 에어백 본체(22)는 만곡부(30F)에 의해 팽창 위치(도 11에 도시된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정면 필러(16)의 상부(16A)와 충돌물 사이에 에어백 본체(22)가 놓여서, 이에 의해 충돌물에 대한 충격의 저감 성능의 개선이 보장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팽창 방향 제어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연결 부재로서의 스트랩(72)에서의 인장력은 에어백 본체(22)를 팽창시킴으로써 발생된다. 대신에,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 압력을 이용하여 스트랩을 단축시킴으로써 인장력이 발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 압력을 이용하여 스트랩의 일단부를 당김으로써 인장력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랩(72)의 상단부(72A)는 에어백 본체(22)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가 도 12 및 도 13을 참고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서의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되어 있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가 유동하지 않는 비팽창부(80)는 에어백 본체(22)의 차폭방향 내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팽창부(82)와 비팽창부(80) 사이의 팽창 방향 제어 수단으로서의 경계(80A)는 비팽창부(80)의 차폭방향 외부측 가장자리부이다. 상부 앵커(74)와 하부 앵커(76) 사이의 경계(80A)는 연속적인 반원호(semicircular arc)로 이루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의 효과가 설명될 것이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비팽창부(80) 및 팽창부(82)는 에어백 본체(22)의 차폭방향 내부측의 수직 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에어백 본체(22)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방식으로 팽창하는 경우, 각각의 팽창부(82) 사이의 수직 거리는 감소된다. 그 결과, 에어백 본체(22)의 상부 앵커(74)와 하부 앵커(76) 사이에는 인장력이 발생한다. 차량의 외부측쪽(즉, 도 13의 화살표(A)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에어백 본체(22)의 팽창은 인장력에 의해 소정의 양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에어백 본체(22)는 차량의 외주부(도 13의 화살표(B, C)로 표시된 방향)를 따라 팽창한다. 또한, 대략 차폭방향 외부측쪽(즉, 도 13의 화살표(C)로 표시된 방향)으로 팽창된 부분은, 대략 차폭방향 내부측쪽으로 팽창되고 장식판(30)의 전개부(30A)내에 위치되는 만곡부(30F)와 접촉한다.
그 결과,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략 차폭방향 외부측쪽(즉, 도 13의 화 살표(C)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에어백 본체(22)의 팽창은 또한 만곡부(30F)에 의해 소정의 양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에어백 본체(22)는 대략 차폭방향 내부측쪽(즉, 도 13의 화살표(B)로 표시된 방향)으로 팽창한다.
또한, 보행자의 머리와 같은 충돌물이 에어백 본체(22)와 접촉하여 에어백 본체(22)가 대략 차폭방향 외부측쪽(즉, 도 13의 화살표(C)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라도, 에어백 본체(22)는 만곡부(30F) 및 비팽창부(80)와 팽창부(82) 사이의 경계(82A)에 의해 팽창 위치(도 13에 도시된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정면 필러(16)의 상부(16A)와 충돌물 사이에 에어백 본체(22)가 놓여서, 이에 의해 충돌물에 대한 충격의 저감 성능의 개선이 보장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가 도 14 내지 도 17을 참고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되어 있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86)는 차체(10)의 카울부(10A)를 따라 차폭방향으로 연장한다.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86)의 양단부(86A)는 펜더(26)를 따라 차량의 정면쪽으로 연장하고, 또한 정면 필러(16)의 상부(16A)를 따라 차량의 후방쪽으로 연장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86)는, 인플레이터(도시되지 않음), 에어백 본체(88), 및 에어백 본체(88)를 수용하는 케이스(90)를 주로 포함한다. 차량-대-보행자 충돌 감지 센서가 보행자와의 충돌을 감지하는 경우, 인플레이터가 작동하고, 이에 의해 가스가 에어백 본체(88)속으로 유입된다. 에어백 본체(88)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로부터 유출되는 가스에 의해 카울부(10A)의 상부측쪽으로 팽창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본체(88)는 긴 형상을 갖도록 아코디언 형태로 접혀서 케이스(90)내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90)는 카울부(10A)의 상부를 구성하는 수지 재료(92)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90)의 정면 벽부(90A)의 하단부에는 차량의 후방쪽으로 배향된 결합부(90B)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90B)는 케이스(90)의 베이스판(90C)에 형성된 결합홈(90D)과 결합되어 있다. 한편, 오목부(93)를 포함하는 취성부(94)는 케이스(90)의 정면 벽부(90A)의 상단부 부근에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백 본체(88)가 팽창하는 경우, 케이스(90)의 취성부(94)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본체(88)의 팽창 압력에 의해 부서진다. 그리고 나서, 후방 벽부(90E)의 상단부(90F)가 힌지로서 작용하는 상태로 전개부(90G)는 카울부(10A)에 대해 차량의 후방쪽으로 전개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방향 제어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연결 부재로서의 스트랩(96, 98)은 팽창된 에어백 본체(88)의 상부 표면(88A)에 배치되어 있다. 스트랩(96, 98)의 각각의 양단부(96A, 98A)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86)의 우측 단부 및 좌측 단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배치된 앵커(100, 102)(도 14 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스트랩(96, 98)의 길이는 우측 앵커(100)와 좌측 앵커(102) 사이의 거리와 적어도 동일하거나 또는 더 길다.
팽창된 에어백 본체(88)의 상부 표면(88A)에서 우측 앵커(100) 및 좌측 앵커(102)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연결하는 직선의 양측에는 직물링(104, 106)이 부착되어 있다. 스트랩(96, 98)은 차폭방향을 따라 각각의 링(104, 106)을 관통해 연장한다.
따라서, 차량의 상부쪽(즉, 도 16의 화살표(F)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에어백 본체(88)의 팽창은 피연결부 사이에서 발생된 인장력에 의해 소정의 양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에어백 본체(88)는, 평평한 형상을 갖도록 전개되고, 또한 카울부(10A), 윈드실드 글라스(28) 및 후드(108)에 대해 가압되어 억제된다.
윈드실드 글라스(28)측쪽으로 팽창된 에어백 본체(88)의 부분에 대해, 운전석측의 시계가 차단되지 않고 또한 보행자가 승객석측의 큰 영역에서 보호될 수 있도록 승객석측 부분(88C)은 운전석측 부분(88B)보다 더 크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된 에어백(88)의 차량 후방측의 하부 표면(88D)의 일부에는 추가 직물(110)이 배치되어 있다. 추가 직물의 하단 가장자리부(110A)는 케이스(90)의 후방 벽부(90E)와 에어백 본체(88)의 연결부(88E)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추가 직물(110)의 상단 가장자리부(110B)는 와이퍼(112) 위의 에어백 본체(88)의 하부 표면(88D)에 억제된 위치로 연결되어 있다. 전개시에 추가 직물(110)이 와이퍼(112)에 잡히면, 추가 직물(110)은 에어백 본체(88)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 본체(88)는 와이퍼(112)에 직접 잡히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 4 실시형태의 효과가 설명될 것이다.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차량-대-보행자 충돌 감지 센서가 보행자와의 충돌 을 감지하는 경우, 인플레이터가 작동하고, 이에 의해 가스가 에어백 본체(88)속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에어백 본체(88)는 카울부(10A), 윈드실드 글라스(28) 및 후드(108) 위로 전개된다. 이 때에,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90)의 취성부(94)는 에어백 본체(88)의 팽창 압력에 의해 부서지고, 후방 벽부(90E)의 상단부(90F)가 힌지로서 작용하는 상태로 전개부(90G)는 차량의 후방쪽으로 전개된다.
한편, 대략 차량의 상부측쪽(즉, 도 16의 화살표(F)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에어백 본체(88)의 팽창은 스트랩(96, 98)에 의해 소정의 양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에어백 본체(88)는 대략 차량의 정면쪽(즉, 도 16의 화살표(G)로 표시된 방향) 및 대략 차량의 후방쪽(즉, 도 16의 화살표(H)로 표시된 방향)으로 팽창한다.
또한, 보행자의 머리와 같은 충돌물이 에어백 본체(88)와 접촉하여 에어백 본체(88)가 대략 차량의 후방쪽(즉, 도 16의 화살표(H)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라도, 에어백 본체(88)는 스트랩(96, 98)에 의해 팽창 위치(도 16에 도시된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충돌물(S), 카울부(10A), 윈드실드 글라스(28)와 후드(108) 사이에 에어백 본체(88)가 놓여서, 이에 의해 충돌물(S)에 대한 충격의 저감 성능의 개선이 보장된다.
또한, 에어백 본체(88)가 전개되는 때에 추가 직물(110)이 와이퍼(112)에 잡히면, 추가 직물(110)은 에어백 본체(88)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 본체(88)는 와이퍼(112)에 직접 잡히지 않고, 확실하고 신속하게 팽창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팽창 방향 제어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연결 부재로서의 스트랩(96)의 인장력은 에어백 본체(88)를 팽창시킴으로써 발생된다. 대신에, 인플레이터로부터의 압력을 이용하여 스트랩을 단축시킴으로써 인장력이 발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 압력을 이용하여 스트랩의 일단부를 당김으로써 인장력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랩의 일단부는 에어백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4 실시형태가 자세히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0)

  1. 정면 필러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에어백 본체를 팽창시키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정면 필러의 차량 외측면에 제공된 에어백 본체;
    이 에어백 본체를 덮고, 또한 에어백의 차량측에 위치된 베이스판, 및 에어백 본체의 팽창시에 차폭방향 외부측쪽으로 전개되도록 베이스판으로부터 분리되는 전개부를 구비하는 커버; 및
    에어백 본체를 정면 필러에 대해 대략 차폭방향 내부측쪽으로 팽창시키며, 또한 이 에어백 본체를 팽창 위치에 유지하는 팽창 방향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방향 제어 수단은, 에어백 본체의 팽창시에 대략 차폭방향 외부측쪽으로 작용하는 에어백 본체의 힘에 저항하는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방향 제어 수단은, 대략 차폭방향 외부측쪽으로의 에어백 본체의 팽창을 소정의 양으로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방향 제어 수단은, 에어백 본체와 접촉하며 커버의 전개부내에 위치되는 접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차폭방향 내부측쪽으로 팽창되며 커버의 전개부내에 위치되는 만곡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방향 제어 수단은 차체에 부착될 에어백 본체의 부착부를 에어백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이고, 이 연결 부재는, 에어백 본체의 팽창시에, 연결 부재가 연결되는 부착부의 피연결부와 연결 부재가 연결되는 에어백 본체의 피연결부 사이에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방향 제어 수단은 정면 필러의 차폭방향 내부인 차체 부분을 에어백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이고, 이 연결 부재는, 에어백 본체의 팽창시에, 연결 부재가 연결되는 차체 부분의 피연결부와 연결 부재가 연결되는 에어백 본체의 피연결부 사이에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차체의 상부 표면에서 정면 필러를 따 라 연장하는 스트랩이고, 스트랩의 상단부는 에어백 장치의 상단부측에 있는 차량 부분에 연결되어 있고, 스트랩의 하단부는 정면 필러의 차폭방향 내부에 있는 차량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9. 제 6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의 외부측쪽으로의 에어백 본체의 팽창은 연결 부재의 연결 부분 사이에서 발생된 인장력에 의해 소정의 양으로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10. 제 1 항, 제 2 항, 제 6 항, 제 7 항 및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개부의 팽창시에 베이스판으로부터 분리되는 전개부 부분을 덮는 웨더 스트립 몰딩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11. 제 1 항, 제 2 항, 제 6 항, 제 7 항 및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개부는 베이스판과 결합하고, 또한 전개부는 전개부가 베이스판으로부터 분리되어 팽창하도록 베이스판으로부터 해제되고, 에어백 장치는 베이스판과 결합하는 전개부 부분을 덮는 웨더 스트립 몰딩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12. 제 1 항, 제 2 항, 제 6 항, 제 7 항 및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개부 및 단부보다 더 약한 부분을 통해 전개부가 단부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단부는 베이스판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전개부 및 단부보다 더 약한 부분은 전개부가 베이스판으로부터 분리되어 팽창하도록 부서지고, 에어백 장치는 상기 단부에 부착되는 전개부 부분을 덮는 웨더 스트립 몰딩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13. 카울부의 상부측쪽으로 에어백 본체를 팽창시키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카울부의 차량 외측면에 제공된 에어백 본체,
    이 에어백 본체를 덮고, 또한 에어백 본체의 팽창시에 카울부에 대해 차량의 후방쪽으로 전개되는 전개부를 구비하는 커버, 및
    에어백 본체를 카울부에 대해 차량의 정면쪽으로 팽창시키며, 또한 이 에어백 본체를 팽창 위치에 유지하는 팽창 방향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방향 제어 수단은, 에어백 본체의 팽창시에 차량의 상부측쪽으로 작용하는 에어백 본체의 힘에 저항하는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방향 제어 수단은, 차량의 상부측쪽으로의 에어백 본체의 팽창을 소정의 양으로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16.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방향 제어 수단은 카울부의 전방에 있는 차량 부분을 에어백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이고, 이 연결 부재는, 에어백 본체의 팽창시에, 연결 부재가 연결되는 차량 부분의 피연결부와 연결 부재가 연결되는 에어백 본체의 피연결부 사이에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연결 부재는 에어백 본체의 상부 표면의 카울부를 따라 연장하는 스트랩이고, 스트랩의 제 1 단부는 차폭방향 우측의 차량 부분에 연결되어 있고, 스트랩의 제 2 단부는 차폭방향 좌측의 차량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18.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에어백 본체에 부착되어 있으며, 또한 에어백 본체의 팽창시에 에어백 본체가 차체측의 돌출부에 잡히는 경우에 에어백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분리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19.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에어백 본체의 팽창시에 차량의 윈드실드 글라스와 에어백 본체 사이에 배치된 직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20.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에어백 본체의 팽창시에 운전석측에서 팽창된 에어백 본체의 상단부는 승객석측에서 팽창된 에어백 본체의 상단부보다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KR1020037012756A 2001-03-29 2002-03-27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KR100576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95188 2001-03-29
JP2001095188A JP2002283939A (ja) 2001-03-29 2001-03-29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PCT/IB2002/000957 WO2002079009A1 (en) 2001-03-29 2002-03-27 Airbag apparatus for pedestrian prot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5076A KR20030085076A (ko) 2003-11-01
KR100576595B1 true KR100576595B1 (ko) 2006-05-04

Family

ID=18949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2756A KR100576595B1 (ko) 2001-03-29 2002-03-27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172048B2 (ko)
EP (1) EP1373031B1 (ko)
JP (1) JP2002283939A (ko)
KR (1) KR100576595B1 (ko)
CN (1) CN1272199C (ko)
BR (1) BR0208424A (ko)
CA (1) CA2441759C (ko)
DE (1) DE60207393T2 (ko)
ES (1) ES2252441T3 (ko)
WO (1) WO20020790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0800A (ja) * 2001-07-02 2003-07-15 Takata Corp 外面展開型エアバッグ装置
JP2003063334A (ja) * 2001-08-30 2003-03-05 Toyota Motor Corp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6923286B2 (en) * 2002-02-26 2005-08-02 Toyoda Gosei Co., Ltd. Pedestrian protecting device
JP3670249B2 (ja) 2002-04-12 2005-07-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外置きエアバッグ装置
JP3682502B2 (ja) * 2002-04-12 2005-08-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外置きエアバッグ装置
FR2852900B1 (fr) * 2003-03-28 2006-04-21 Valeo Thermique Moteur Sa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les chocs, du type sac gonflable, pour une face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JP4367119B2 (ja) 2003-05-07 2009-11-1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DE10341368A1 (de) * 2003-09-03 2005-04-07 Takata-Petri Ag Sicherheitseinrichtung an einem Kraftfahrzeug zum Schutz von Fußgängern und Radfahrern
CN100337860C (zh) * 2003-10-10 2007-09-19 杨铭域 行人碰撞保护装置
GB2408023A (en) * 2003-11-11 2005-05-18 Autoliv Dev Side air bag with internal tether
JP4415692B2 (ja) * 2004-02-13 2010-02-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カウル構造
JP2006076448A (ja) * 2004-09-09 2006-03-23 Nippon Plast Co Ltd 歩行者等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6159971A (ja) * 2004-12-02 2006-06-22 Honda Motor Co Ltd 車両外置きエアバッグ装置
JP4175338B2 (ja) * 2005-04-20 2008-1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07030615A (ja) * 2005-07-25 2007-02-08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DE102006033670B4 (de) * 2005-07-26 2011-08-25 Honda Motor Co., Ltd. Fahrzeug mit Kollisionsobjekt-Schutzeinrichtung
JP4621119B2 (ja) * 2005-11-18 2011-01-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衝突物保護装置
CN101312858B (zh) * 2005-11-23 2011-06-08 奈特夏普能源管理有限公司 用于行人、乘员、车辆的可变能量管理系统
JP2007191103A (ja) * 2006-01-20 2007-08-02 Mazda Motor Corp ピラーエアバッグ装置
JP4781830B2 (ja) * 2006-01-31 2011-09-28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車外用エアバッグ装置
FR2899551B1 (fr) * 2006-04-10 2008-12-0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Vehicule comportant une piece rapportee fixee sur une partie de structure et procede de fixation correspondant
US7712769B2 (en) * 2006-09-13 2010-05-11 Takata Corporation Airbag device
JP5044229B2 (ja) * 2007-02-06 2012-10-10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08230472A (ja) * 2007-03-22 2008-10-02 Toyota Motor Corp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5217242B2 (ja) * 2007-05-21 2013-06-19 タカタ株式会社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8285110A (ja) * 2007-05-21 2008-11-27 Takata Corp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及び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付き自動車
JP4946664B2 (ja) * 2007-06-29 2012-06-06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DE102007033796B4 (de) * 2007-07-19 2011-08-25 Key Safety Systems, Inc., Mich. Fahrzeug mit äußerem Aufprallschutz
EP2050635B1 (en) 2007-10-16 2014-12-24 Takata Corporation Airbag apparatus
JP5033571B2 (ja) 2007-10-16 2012-09-26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038089B2 (ja) 2007-10-16 2012-10-03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09096278A (ja) 2007-10-16 2009-05-07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JP5342213B2 (ja) * 2007-11-20 2013-11-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EP2072349B1 (en) 2007-12-18 2013-03-06 Takata Corporation Airbag device
JP5053967B2 (ja) * 2007-12-18 2012-10-2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000542B2 (ja) * 2008-02-06 2012-08-15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179336B2 (ja) * 2008-02-06 2013-04-10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030809B2 (ja) * 2008-02-07 2012-09-19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4972024B2 (ja) 2008-03-27 2012-07-11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077216B2 (ja) * 2008-12-12 2012-11-21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10149753A (ja) * 2008-12-25 2010-07-08 Toyoda Gosei Co Ltd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WO2010131642A1 (ja) * 2009-05-14 2010-11-1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ハウジング
DE102009041710A1 (de) * 2009-09-16 2011-03-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Insassenschutz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8550493B2 (en) 2009-09-29 2013-10-08 Honda Motor Co., Ltd. Airbag device
EP2570308A4 (en) 2010-05-12 2014-01-08 Honda Motor Co Ltd INFLATABLE SAFETY CUSHION DEVICE
JP5437158B2 (ja) * 2010-05-12 2014-03-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7988183B1 (en) 2010-07-07 2011-08-02 Honda Motor Co., Ltd. Airbag system
CN102917922A (zh) * 2010-05-28 2013-02-06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气囊装置
US8365857B2 (en) 2010-05-28 2013-02-05 Honda Motor Co., Ltd. Airbag system
US8016066B1 (en) 2010-06-10 2011-09-1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Pedestrian air bag
EP2565087B1 (en) * 2010-06-23 2015-07-29 Honda Motor Co., Ltd. Airbag device
EP2586665B1 (en) * 2010-06-23 2015-08-12 Honda Motor Co., Ltd. Airbag device
DE102011085330A1 (de) 2011-01-27 2012-08-02 Takata-Petri Ag Gassack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1114297A1 (de) * 2011-09-23 2013-03-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1118122A1 (de) 2011-11-10 2013-05-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karosserie mit expandierbarem Element
EP2599670B1 (en) * 2011-11-29 2013-10-02 Autoliv Development AB A pedestrian airbag arrangement
WO2013131771A1 (de) * 2012-03-05 2013-09-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UßGÄNGERSCHUTZW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9511739B2 (en) * 2013-05-08 2016-12-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ender located pedestrian protection airbag
KR101526751B1 (ko) 2013-12-18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보행자 에어백
KR101500232B1 (ko) * 2013-12-19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행자에어백 쿠션
EP2910436A1 (en) * 2014-02-19 2015-08-26 Autoliv Development AB An impact protection device for pedestrians
JP6179467B2 (ja) * 2014-03-11 2017-08-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DE102014010872A1 (de) * 2014-07-24 2016-01-28 Daimler Ag Fahrzeug mit einer Fußgängerschutzvorrichtung
JP6241408B2 (ja) * 2014-11-26 2017-12-06 豊田合成株式会社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6097782B2 (ja) * 2015-03-31 2017-03-1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外用エアバッグ
GB2537917A (en) * 2015-04-30 2016-11-02 Ford Global Tech Llc A side curtain airbag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KR102117598B1 (ko) 2015-06-15 2020-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JP6447392B2 (ja) * 2015-07-06 2019-01-09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462515B2 (ja) * 2015-07-21 2019-01-30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シートバックサイド及びシートバックサイド用基材
KR20170028126A (ko) 2015-09-03 2017-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CN106184108A (zh) * 2016-07-27 2016-12-07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车用行人保护安全系统及控制方法
US10106124B1 (en) * 2016-08-25 2018-10-23 Waymo Llc Sticky airbag for pedestrian protection
CN106926999B (zh) * 2017-03-28 2018-10-12 中国工程物理研究院总体工程研究所 用于深海上浮装置的整流罩解脱机构
DE102017004044A1 (de) * 2017-04-26 2018-10-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karosserie mit Airbaganordnung im Bereich eines Windlaufs
CN107131204B (zh) * 2017-06-29 2023-03-14 中国工程物理研究院总体工程研究所 一种用于保护罩的无销轴式铰链被动解脱机构
US20190071050A1 (en) * 2017-09-06 2019-03-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irbag system
DE102017008818A1 (de) * 2017-09-20 2019-03-21 Daimler Ag Gassack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S11529927B2 (en) * 2018-12-11 2022-12-20 Hyundai Motor Company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CN111469798A (zh) * 2020-03-20 2020-07-31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车辆的行人下肢保护装置、系统及方法
JP7327359B2 (ja) * 2020-11-16 2023-08-16 豊田合成株式会社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13748A1 (de) * 1976-03-31 1977-10-06 Volkswagenwerk Ag Sicherheitseinrichtung an fahrzeugen, insbesondere kraftfahrzeugen
US5558365A (en) * 1992-12-18 1996-09-24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 Seisakusho Tethered air bag
JP3005627B2 (ja) 1993-10-15 2000-01-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転落防止エアバッグ装置
JP2888116B2 (ja) * 1993-10-15 1999-05-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ピラーエアバッグ装置
DE19628837A1 (de) * 1995-07-17 1997-01-23 Ruediger Urbansky Airbag
JPH09164906A (ja) * 1995-12-15 1997-06-24 Akio Otani 自動車の非常用エアバッグ装置
JPH1071912A (ja) 1996-06-26 1998-03-17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GB2316371B (en) * 1996-08-23 2000-12-06 Concept Moulding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ehicle safety
JPH1148900A (ja) * 1997-08-06 1999-02-23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DE19757374A1 (de) 1997-12-22 1999-06-24 Takata Europ Gmbh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JP2000177514A (ja) * 1998-12-13 2000-06-27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車両用衝突判別装置
JP3687418B2 (ja) * 1998-06-26 2005-08-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跳ね上げフード
US6152481A (en) * 1998-08-03 2000-11-28 Delphi Technologies, Inc. Side restraint assembly
JP2000264146A (ja) 1999-03-12 2000-09-26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JP2003063334A (ja) * 2001-08-30 2003-03-05 Toyota Motor Corp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3928442B2 (ja) * 2002-02-26 2007-06-13 豊田合成株式会社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57979A1 (en) 2005-11-24
DE60207393T2 (de) 2006-07-06
EP1373031A1 (en) 2004-01-02
CA2441759A1 (en) 2002-10-10
CN1272199C (zh) 2006-08-30
KR20030085076A (ko) 2003-11-01
EP1373031B1 (en) 2005-11-16
ES2252441T3 (es) 2006-05-16
WO2002079009A1 (en) 2002-10-10
CA2441759C (en) 2007-05-15
BR0208424A (pt) 2004-03-30
JP2002283939A (ja) 2002-10-03
CN1500045A (zh) 2004-05-26
US7172048B2 (en) 2007-02-06
DE60207393D1 (de)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6595B1 (ko)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장치
JP3110709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4893043B2 (ja)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US5868421A (en) Gas bag lateral impact protective device
JP3481473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袋体の配設構造
US20050073134A1 (en) Knee protection airbag device
JP3137587B2 (ja)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の配設構造
JP3494026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H10203294A (ja) シームレス側面膨張式拘束展開システム
JP2004168111A (ja) 歩行者保護装置
EP0899171B1 (en) Head-protecting air bag device
JP5038089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6328333B1 (en) Pillar trim for inflatable restraint system
JP2003063334A (ja)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3499465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搭載車両におけるピ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
EP2050632B1 (en) Airbag apparatus
JP2002053005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の配設構造
JP2003165402A (ja) 外面展開型エアバッグ装置
JPH10138859A (ja)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の固定構造
JPH10138857A (ja) 自動車の乗員保護装置
JP2007145046A (ja) 非乗員保護装置
JP3501741B2 (ja)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の配設構造
JP3200589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袋体を格納したフロントピラーガーニッシュの配設構造
JP4345579B2 (ja)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3078757B2 (ja) 自動車の乗員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