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598B1 -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598B1
KR102117598B1 KR1020150084462A KR20150084462A KR102117598B1 KR 102117598 B1 KR102117598 B1 KR 102117598B1 KR 1020150084462 A KR1020150084462 A KR 1020150084462A KR 20150084462 A KR20150084462 A KR 20150084462A KR 102117598 B1 KR102117598 B1 KR 102117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llision
airbag
control sig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7559A (ko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4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598B1/ko
Priority to CN201610409270.7A priority patent/CN106240457B/zh
Priority to EP16174360.4A priority patent/EP3109098B1/en
Priority to US15/183,058 priority patent/US10029639B2/en
Publication of KR20160147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52Devices other than bags
    • B60R2021/3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6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scenes from a transformed perspective
    • B60R2300/607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scenes from a transformed perspective from a bird's eye viewp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3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pedestrian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9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obstacle warning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상기 차량 주변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기초로 후드 리프트 업 또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온(on)/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Driver assistan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한편,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 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한 다양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자율 주행차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자율 주행차에 탑재되는 센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자율 주행차에 탑재되는 센서로 카메라, 적외선센서, 레이더, GPS, 라이더(Lidar), 자이로스코프 등이 있는데, 그 중 카메라는 사람의 눈을 대신하는 역할을 하는 센서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차량에는 보행자 보호를 위해, 보호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보호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액티브 후드 리프트 업 장치 및 보행자 에어백 장치를 들 수 있다.
액티브 후드 리프트 업 장치는 보행자 충돌 감지시, 후드를 상승시켜, 2차 충돌을 예방하고 보행자의 충격을 완화하는 장치이다.
보행자 에어백 장치는 보행자 충돌 감지시, 윈드 쉴드 및 A필러를 가릴 수 있도록 에어백을 전개시켜 보행자의 충격을 완화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보호 장치는 충돌 센서에서 보행자와의 충돌을 감지하여 동작되는데, 보행자가 아닌 동물 또는 사물과의 충돌시에도 동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정확하게 보행자 또는 이륜차 와의 충돌을 감지하여, 보호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및 상기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상기 차량 주변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기초로 후드 리프트 업 또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온(on)/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차량과 충돌하는 오브젝트가 보행자 또는 이륜차인지 정확하게 확인하여, 후드 리프트 업, 보행자 에어백 전개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차량과 충돌하는 오브젝트가 사람을 제외한 동물 또는 사물인 경우, 불필요하게 후드 리프트 업되지 않으므로, 후드가 리프트 업되어 후드의 충격 완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차량과 충돌하는 오브젝트가 사람을 제외한 동물 또는 사물인 경우, 불필요하게 보행자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아, 에어백 교체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충돌 형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실내 에어백이 전개되어 전개된 에어백만 교체할 수 있어, 에어백 전개시 드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차량에 포함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다양한 예를 예시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a 내지 도 3c의 프로세서의 내부 블록도의 다양한 예를 예시하고, 도 5a 내지 도 5b는 도 4a 내지 도 4c의 프로세서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는, 제1 및 제2 프레임 구간에서 각각 획득된 스테레오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도 4a 내지 도 4c의 프로세서(170)의 동작 방법 설명을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3a 내지 도 3c의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차량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a 내지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충돌 패턴에 따른 후드 리프트 업,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또는 실내 에어백 전개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탑승객 상태를 기초로 실내 에어백 전개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한 LHD 차량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7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103FR,103FL,103RL,..), 차량(7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수단(721a), 및 차량(700) 내부에 구비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7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103FR,103FL,103RR,..),,차량(700) 내부에 구비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 및 차량용 입력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는, 프로세서 내에서 신호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가 두 개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700)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700)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700)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70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70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차량에 포함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여,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195a, 195b)를 포함하는 운전 보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에서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가 2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카메라의 개수에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제1 렌즈(193a)를 구비하는 제1 카메라(195a), 제2 렌즈(193b)를 구비하는 제2 카메라(195b)를 구비할 수 있다. 이경우, 카메라(195)는 스테레오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각각, 제1 렌즈(193a)와 제2 렌즈(193b)에 입사되는 광을 차폐하기 위한, 제1 광 차폐부(light shield)(192a), 제2 광 차폐부(192b)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의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차량(700)의 천정 또는 윈드쉴드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제1 및 제2 카메라(195a, 195b)로부터, 차량 전방에 대한 스테레오 이미지를 획득하고, 스테레오 이미지에 기초하여, 디스패러티(disparity) 검출을 수행하고, 디스패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테레오 이미지에 대한, 오브젝트 검출을 수행하며, 오브젝트 검출 이후, 계속적으로,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트래킹할 수 있다.
도 2b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195d, 195e, 195f, 195g)를 포함하는 운전 보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b 내지 도 2c에서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가 4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카메라의 개수에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복수의 카메라(195d, 195e, 195f, 195g)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카메라(195)는 어라운드 뷰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195d, 195e, 195f, 195g)는, 각각 차량의 좌측, 후방, 우측, 및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카메라(195d)는, 좌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카메라(195d)는, 좌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카메라(195d)는 좌측 프런트 도어, 좌측 리어 도어 또는 좌측 휀더(fender)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우측 카메라(195e)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우측 카메라(195d)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우측 카메라(195d)는 우측 프런트 도어, 우측 리어 도어 또는 우측 펜터(fendere)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후방 카메라(195e)는, 후방 번호판 또는 트렁크 스위치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전방 카메라(195g)는, 앰블럼 부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195d, 195e, 195f, 195g)에서 촬영된 각각의 이미지는, 프로세서(170)에 전달되고, 프로세서(170)는 상기 각각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차량 주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c는 차량 주변 영상의 일예를 도시한다. 차량 주변 영상(201)은, 좌측 카메라(195d)에 의해 촬영된 제1 이미지 영역(195di), 후방 카메라(195e)에 의해 촬영된 제2 이미지 영역(195ei), 우측 카메라(195f)에 의해 촬영된 제3 이미지 영역(195fi) 및 전방 카메라(195g)에 의해 촬영된 제4 이미지 영역(195gi)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주변 영상(201)은 탑뷰 이미지 또는 버드 아이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어라운드 뷰 이미지 생성시, 각 이미지 영역 사이의 경계 부분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계 부분은 이미지 블렌딩(blending) 처리하여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영상 각각의 경계에는 경계선(202a, 202b, 202c, 202d)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차량 주변 영상(201)에는 차량 이미지(700i)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이미지(700i)는 프로세서(170)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일 수 있다.
한편, 차량 주변 영상(201)은 차량의 디스플레이부(741) 또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다양한 예를 예시한다.
도 3a 내지 도 3b의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카메라(195)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를, 컴퓨터 비젼(computer vision) 기반을 바탕으로 신호 처리하여, 차량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195)는 모노 카메라일 수 있다. 또는, 카메라(195)는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스테레오 카메라(195a, 195b)일 수 있다. 또는, 카메라(195)는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어라운드 뷰 카메라(195d, 195e, 195f, 195g)일 수 있다.
도 3a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도 3a의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프로세서(170), 전원 공급부(190), 카메라(195),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 특히, 카메라(195)에 부착되는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전원을 온 시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 다양한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 서버(510) 또는 타 차량(520)과 무선(wirel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는, 차량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WiFi Direct, WiFi, APiX, NFC 등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이 가능하다.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600) 또는 서버(50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 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에서, 파악한 실시간 정보를, 이동 단말기(600) 또는 서버(5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와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pairing)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 서버(510)로부터 신호등 변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510)는 교통을 관제하는 교통 관제소에 위치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170)에서 처리 또는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차량 내부의 제어부(770),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400), 센싱부(76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400)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차량 주행과 관련한, 맵(map) 정보,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내비게이션 정보는 도로상에서 차량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제어부(770) 또는 센싱부(76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정보는,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속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정보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차량 속도 센서, 차체 경사 감지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한편, 포지션 모듈은, GPS 정보 수신을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센서 정보 중, 차량 주행과 관련한,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등을 차량 주행 정보라 명명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오브젝트 확인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40)는, 카메라(195)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소정 오브젝트가 검출되는 경우, 소정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오브젝트가 무엇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교통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40)는, 카메라(195)를 통해 획득된 영상에서, 소정의 교통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소정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교통 정보가 무엇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에 의해 획득된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컴퓨터 비전 (computer vision) 기반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로부터 차량 전방 또는 차량 주변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미지에 기초하여, 오브젝트 검출 및 오브젝트 트래킹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오브젝트 검출시, 차선 검출(Lane Detection, LD), 주변 차량 검출(Vehicle Detection, VD), 보행자 검출(Pedestrian Detection,PD), 불빛 검출(Brightspot Detection, BD), 교통 신호 검출(Traffic Sign Recognition, TSR), 도로면 검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교통 신호(Traffic Sign)는 차량(700)의 운전자에게 전달 될 수 있는 소정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교통 신호는, 신호등, 교통 표지판 또는 노면을 통해 운전자에게 전달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통 신호는 신호등에서 출력되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고(Go) 또는 스탑(Stop)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통 신호는, 교통 표지판에 표시된 각종 도안 또는 텍스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통 신호는 노면에 표시된 각종 도안 또는 텍스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에 의해 획득된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에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정보는 차량 주행 상황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정보, 교통 법규 정보, 주변 차량 정보, 차량 또는 보행자 신호등 정보, 공사 정보, 교통 상황 정보, 주차장 정보, 차선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검출된 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통신부(120)를 통해,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 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에서, 이미지를 기반으로 파악한, 차량 주변 교통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400)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제어부(770) 또는 센싱부(76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정보는,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제어부(770),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400),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기초로 후드 리프트 업 또는 보행자 에어백 전개 온(on) 또는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보호 장치(8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제어부(770)를 거쳐, 보호 장치(800)에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기초로,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모노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모노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700)이동에 따라 획득되는 오브젝트의 크기 변화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충돌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스테레오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스테레오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스테레오 영상에 기초하여 검출된 디스패러티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충돌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어라운드 뷰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어라운드 뷰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에 대한 판단은 상술한 모노 영상에 기초한 충돌 여부 판단과 같은 원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기초로, 발생한 충돌이 어느 방향에서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차량 전방 영상을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전방 충돌 또는 전방 오프셋(offset)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차량 전방 영상에서 오브젝트가 검출되고, 충돌이 발생한 경우, 전방 충돌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전방 충돌 영상에서 오브젝트가 검출되고, 차량 일부분(예를 들면, 범퍼의 일부분)에서만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전방 오프셋 충돌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차량 주변 영상을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전방, 후방, 측방 또는 전방 오프셋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전방 카메라(195g)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서 오브젝트가 검출되고, 충돌이 발생한 경우, 전방 충돌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전방 카메라(195g)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서 오브젝트가 검출되고, 차량 일부분(예를 들면, 범퍼의 일부분)에서만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전방 오프셋 충돌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후방 카메라(195e)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서 오브젝트가 검출되고, 충돌이 발생한 경우, 후방 충돌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좌측 카메라(195d)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서 오브젝트가 검출되고, 충돌이 발생한 경우, 좌측방 충돌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우측 카메라(195e)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서 오브젝트가 검출되고, 충돌이 발생한 경우, 우측방 충돌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기초로, 전복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이 소정 방향으로의 회전이 검출되는 경우, 전복 사고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에서, 차량(700)의 전장 방향(L)을 축으로 하는 회전이 검출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전복 사고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오브젝트가 사람 또는 탑승객이 있는 이륜차이고, 차량(700)에 발생한 충돌이 전방 충돌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후드 리프트 업(Hood Lift Up) 온(on) 또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오브젝트가 사람을 제외한 동물이고, 차량(700)에 발생한 충돌이 전방 충돌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후드 리프트 업 온(on) 또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오브젝트가 사물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후드 리프트 오프(off)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물은, 타 차량, 가드레일, 가로수, 가로등, 전봇대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여기서, 충돌은, 전방 충돌, 후방 충돌, 측방 충돌 또는 전방 오프셋 충돌일 수 있다.
만약, 전복사고가 검출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후드 리프트 업 오프(off) 또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복 사고는,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또는, 전복 사고는, 센싱부(760)에 포함된 차량 자세 감지 센서(예를 들면, 헤딩 센서, 요 센서, 자이로 센서, 포지션 모듈)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기초로, 실내 에어백 전개 온(on) 또는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더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기초로,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기초로, 발생한 충돌이 어느 방향에서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오브젝트가, 사람 또는 탑승객이 있는 이륜차이고, 차량(700)에 발생한 충돌이 전방 충돌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실내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차속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프로세서(170)는 실내 에어백 전기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차속이 기준값 이상이 경우에는, 프로세서(170)는 실내 에어백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속 정보를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센싱부(760) 또는 제어부(77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고속으로 주행 중인 경우, 보행자 또는 이륜차와의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탑승객에게 가해지는 충격량이 클 수 있으므로, 실내 에어백을 전개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실내 에어백은,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 및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은, 운전석 에어백, 운전 보조석 에어백 및 무릎 보호 에어백을 포함할 수 있다.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은, 커튼 에어백 및 사이드 에어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오브젝트가 사람을 제외한 동물이고, 차량(700)에 발생한 충돌이 전방 충돌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동물의 크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크기에 따라 실내 에어백 전개 온(on) 또는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검출된 동물의 크기가 기준 크기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실내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검출된 동물의 크기가 기준 크기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실내 에어백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동물의 무게는 크기에 비례한다. 또한, 충격량은 무게에 비례한다. 큰 동물과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량은 작은 동물과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량보다 크다. 따라서, 프로세서(170)는 동물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량을 고려해 실내 에어백 전개 온(on) 또는 오프(off)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오브젝트가 사물이고, 차량(700)에 발생한 충돌이 전방 충돌 또는 후방 충돌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경우, 프로세서(170)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탑승객의 머리 위치가 차량 주행 방향의 우측 또는 좌측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탑승객의 머리 위치는 내부 카메라(195c)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한편, 이경우,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커튼 에어백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사이드 에어백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오브젝트가 사물이고, 차량(700)에 발생한 충돌이 측방 충돌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경우, 프로세서(170)는 측방 층격 방지 에어백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물은, 타 차량, 가드레일, 가로수, 가로등, 전봇대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만약, 오브젝트가 사물이고, 차량(700)에 발생한 충돌이 전방 오프셋 충돌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경우, 프로세서(170)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물은, 타 차량, 가드레일, 가로수, 가로등, 전봇대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만약, 전복사고가 검출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경우, 프로세서(170)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복 사고는,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또는, 전복 사고는, 센싱부(760)에 포함된 차량 자세 감지 센서(예를 들면, 헤딩 센서, 요 센서, 자이로 센서, 포지션 모듈)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내부 카메라(195c)에서 획득된 차량 실내 영상에서 탑승객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검출된 탑승객의 상태를 기초로 실내 에어백 전개 온(on) 또는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운전 보조석에 탑승객이 검출되지 않거나 검출된 탑승객의 좌고(sitting height)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실내 에어백 중 운전 보조석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어부(77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프로세서(170)에서 처리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표시를 위해,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 내부 전면의 클러스터(cluster) 또는 HUD(Head Up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가 HUD 인 경우, 차량(700)의 전면 유리에 이미지를 투사하는 투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프로세서(170)에서 처리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사운드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출력부(185)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입력부(미도시)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수신되는 음성은,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70)로 전달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카메라(195)는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한다. 카메라(195)는,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모노 카메라 또는 스테레오 카메라(195a, 195b)일 수 있다. 또는, 카메라(195)는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어라운드 뷰 카메라(195d, 195e, 195f, 195g)일 수 있다.
카메라(195)는 내부 카메라(195c)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카메라(195c)는 차량(700)의 실내를 촬영할 수 있다. 내부 카메라(195c)는 칵핏 모듈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카메라(195c)는 탑승객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내부 카메라(195c)는, 차량(700) 내에 탑승객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탑승 인원이 몇 명인지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195)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95)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영상 처리 모듈은 프로세서(170)와 별도로 구성되거나 일체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도 3b의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도 3a의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와 비교하여, 스테레오 카메라(195a, 195b)를 포함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제1 및 제2 카메라(195a, 195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카메라(195a, 195b)를 스테레오 카메라로 명명할 수 있다.
스테레오 카메라(195a, 195b)는, 차량(700)의 천정 또는 윈드 쉴드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테레오 카메라(195a, 195b)는 제1 렌즈(193a), 제2 렌즈(193b) 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테레오 카메라(195a, 195b)는, 각각, 제1 렌즈(193a)와 제2 렌즈(193b)에 입사되는 광을 차폐하기 위한, 제1 광 차폐부(light shield)(192a), 제2 광 차폐부(19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95a)는 차량 전방의 제1 영상을 획득한다. 제2 카메라(195b)는 차량 전방의 제2 영상을 획득한다. 제2 카메라(195b)는 제1 카메라(195a)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및 제2 카메라(195a, 195b)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시차(disparity)가 발생하고, 시차에 따른 오브젝트와의 거리 검출이 가능하다.
한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가 스테레오 카메라(195a, 195b)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컴퓨터 비젼(computer vision) 기반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스테레오 카메라(195a, 195b)로부터 차량 전방에 대한 스테레오 영상을 획득하고, 스테레오 영상에 기초하여, 차량 전방에 대한 디스패러티 연산을 수행하고, 연산된 디스패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스테레오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오브젝트 검출을 수행하며, 오브젝트 검출 이후, 계속적으로,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트래킹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테레오 영상은, 제1 카메라(195a)로부터 수신되는 제1 영상 및 제2 카메라(195b)로부터 수신되는 제2 영상에 기초한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오브젝트 검출시, 차선 검출(Lane Detection, LD), 주변 차량 검출(Vehicle Detection, VD), 보행자 검출(Pedestrian Detection,PD), 불빛 검출(Brightspot Detection, BD), 교통 신호 검출(Traffic Sign Recognition, TSR), 도로면 검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검출된 주변 차량에 대한 거리 연산, 검출된 주변 차량의 속도 연산, 검출된 주변 차량과의 속도 차이 연산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및 제2 카메라(195a, 195b)의 줌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 카메라(195a)의 줌은 고정한 채, 제2 카메라(195b)의 줌배율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2 카메라(195b)의 줌은 고정한 채, 제1 카메라(195a)의 줌 배율을 주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소정 주기로 제1 또는 제2 카메라(195a, 195b)가 줌인 또는 줌아웃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원거리에서 오브젝트 검출에 유리하도록, 제1 카메라(195a)의 줌을 고배율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근거리에서 오브젝트 검출에 유리하도록 제2 카메라(195b)의 줌을 저배율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제1 카메라(195a)는 줌인 되도록 제어하고, 제2 카메라(195b)는 줌아웃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프로세서(170)는, 근거리에서 오브젝트 검출에 유리하도록 제1 카메라(195a)의 줌을 저배율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원거리에서 오브젝트 검출에 유리하도록, 제2 카메라(195b)의 줌을 고배율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0)는 제1 카메라(195a)는 줌아웃 되도록 제어하고, 제2 카메라(195b)는 줌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0)는 오브젝트 검출 결과에 따라 제1 카메라(195a) 또는 제2 카메라(195b)의 줌을 제어할 수 있다. 가령, 교통 표지판은 검출되지만, 교통 표지판에 표시된 내용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제1 카메라(195a) 또는 제2 카메라(195b)가 줌인(Zoom-in)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의 줌 제어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포커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c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도 3c의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도 3a의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와 비교하여, 어라운드 뷰 카메라(195d, 195e, 195f, 195g)를 포함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어라운드 뷰 카메라(195d, 195e, 195f, 195g)를 포함할 수 있다.
어라운드 뷰 카메라(195d, 195e, 195f, 195g)는 렌즈 및 상기 렌즈에 입사되는 광을 차폐하기 위한, 광 차폐부(light shield)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어라운드 뷰 카메라는 좌측 카메라(195d), 후방 카메라(195e), 우측 카메라(195f) 및 전방 카메라(195g)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카메라(195d)는 차량 좌측방 영상을 획득한다. 후방 카메라(195e)는 차량 후방 영상을 획득한다. 우측 카메라(195f)는 차량 우측방 영상을 획득한다. 전방 카메라(195g)는 차량 전방 영상을 획득한다.
어라운드 뷰 카메라(195d, 195e, 195f, 195g)에서 획득된 각각의 영상은 프로세서(170)로 전달된다.
프로세서(170)는 차량의 좌측방 영상, 후방 영상, 우측방 영상, 전방 영상을 합성하여, 차량 주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주변 영상은 탑뷰 또는 버드 아이 뷰 영상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차량의 좌측방 영상, 후방 영상, 우측방 영상, 전방 영상을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을 합성하고, 탑뷰 영상으로 전환하여, 차량 주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차량 주변 영상을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70)는, 오브젝트 검출시, 차선 검출(Lane Detection, LD), 주변 차량 검출(Vehicle Detection, VD), 보행자 검출(Pedestrian Detection,PD), 불빛 검출(Brightspot Detection, BD), 교통 신호 검출(Traffic Sign Recognition, TSR), 도로면 검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70)는 어라운드 뷰 카메라(195d, 195e, 195f, 195g)의 줌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의 줌 제어는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스테레오 카메라의 경우와 동일하게 동작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a 내지 도 3c의 프로세서의 내부 블록도의 다양한 예를 예시하고, 도 5a 내지 도 5b는 도 4a 내지 도 4c의 프로세서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영상 처리부(401), 판단부(460) 및 제어 신호 생성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401)는, 카메라(195)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은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일 수 있다. 영상은, 모노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또는 어라운드 뷰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401)는, 수신된 영상을 처리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사람, 탑승자가 있는 이륜차, 사람을 제외한 동물 또는 사물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401)는, 검출된 오브젝트와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오브젝트가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401)는, 확인된 오브젝트를 트래킹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401)의 오브젝트 검출에 대한 상세 설명은 도 4b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판단부(460)는,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460)는 영상 처리부(401)에서 처리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단부(460)는, 모노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모노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460)는 차량(700)이동에 따라 획득되는 오브젝트의 크기 변화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판단부(460)는,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충돌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단부(460)는, 스테레오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스테레오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460)는 스테레오 영상에 기초하여 검출된 디스패러티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판단부(460)는,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충돌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단부(460)는, 어라운드 뷰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어라운드 뷰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에 대한 판단은 상술한 모노 영상에 기초한 충돌 여부 판단과 같은 원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판단부(460)는 충돌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460)는, 영상 처리부(401)에서 처리된 정보 또는 데이터를 기초로, 발생한 충돌이 어느 방향에서 발생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단부(460)는, 차량 전방 영상을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전방 충돌 또는 전방 오프셋(offset)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부(460)는, 차량 전방 영상에서 오브젝트가 검출되고, 충돌이 발생한 경우, 전방 충돌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460)는, 전방 충돌 영상에서 오브젝트가 검출되고, 차량 일부분(예를 들면, 범퍼의 일부분)에서만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전방 오프셋 충돌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단부(460)는, 차량 주변 영상을 기초로, 오브젝트와의 전방, 후방, 측방 또는 전방 오프셋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부(460)는. 전방 카메라(195g)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서 오브젝트가 검출되고, 충돌이 발생한 경우, 전방 충돌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460)는, 전방 카메라(195g)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서 오브젝트가 검출되고, 차량 일부분(예를 들면, 범퍼의 일부분)에서만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전방 오프셋 충돌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460)는, 후방 카메라(195e)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서 오브젝트가 검출되고, 충돌이 발생한 경우, 후방 충돌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460)는, 좌측 카메라(195d)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서 오브젝트가 검출되고, 충돌이 발생한 경우, 좌측방 충돌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460)는, 우측 카메라(195e)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서 오브젝트가 검출되고, 충돌이 발생한 경우, 우측방 충돌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460)는,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기초로, 전복 사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460)는,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이 소정 방향으로의 회전이 검출되는 경우, 전복 사고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이 감지되는 영상을 통해, 차량(700)의 전장 방향(L)을 축으로 하는 회전이 검출되는 경우, 판단부(460)는 전복 사고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판단부(460)는, 오브젝트가, 사람 또는 탑승객이 있는 이륜차이고, 차량(700)에 발생한 충돌이 전방 충돌인 경우에도, 차속에 따라 실내 에어백을 전개할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속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오브젝트가, 사람 또는 탑승객이 있는 이륜차이고, 차량(700)에 발생한 충돌이 전방 충돌인 경우에도, 판단부(460)는 실내 에어백 전개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판단부(460)는, 오브젝트가, 동몰이고, 차량(700)에 발생한 충돌이 전방 충돌인 경우에도, 검출된 사람을 제외한 동물의 크기에 따라 실내 에어백 전개할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된 동물의 크기가 기준 크기 이상인 경우, 오브젝트가, 동물이고, 차량(700)에 발생한 충돌이 전방 충돌인 경우에도, 판단부(460)는 실내 에어백 전개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판단부(460)는, 오브젝트가 사물이고, 차량(700)이 발생한 충돌이 전방 충돌 또는 후방 충돌인 경우에도, 탑승객의 머리 위치를 기초로,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전개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탑승객의 머리 위치가 차량 주행 방향의 우측 또는 좌측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 판단부(460)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전개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탑승객의 머리 위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에 포함된 내부 카메라(195c)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한편, 판단부(460)는, 내부 카메라(195c)에서 획득된 차량 실내 영상에서 검출된 탑승객을 기초로 실내 에어백 중 일부의 전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부(470)는, 판단부(4760)에서 수행된 판단을 기초로, 보호 장치(800)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신호 생성부(470)는, 판단부(460)에서 수행된 판단을 기초로, 후드 리프트 업 온(on) 또는 오프(off),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온(on) 또는 오프(off), 실내 에어백 온(on) 또는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판단부(460)의 판단 결과, 오브젝트가 사람 또는 탑승객이 있는 이륜차이고, 차량(700)에 발생한 충돌이 전방 충돌인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470)는, 후드 리프트 업(Hood Lift Up) 온(on) 또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판단부(460)의 판단 결과, 오브젝트가 동물이고, 차량(700)에 발생한 충돌이 전방 충돌인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470)는, 후드 리프트 업 온(on) 또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판단부(460)의 판단 결과, 오브젝트가 사물인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470)는, 후드 리프트 오프(off)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물은, 타 차량, 가드레일, 가로수, 가로등, 전봇대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여기서, 충돌은, 전방 충돌, 후방 충돌, 측방 충돌 또는 전방 오프셋 충돌일 수 있다.
판단부(460)의 판단 결과, 전복사고가 검출되는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470)는 후드 리프트 업 오프(off) 또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부(470)는,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기초로, 실내 에어백 전개 온(on) 또는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더 생성할 수 있다.
판단부(460)의 판단 결과, 오브젝트가, 사람 또는 탑승객이 있는 이륜차이고, 차량(700)에 발생한 충돌이 전방 충돌인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470)는, 실내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경우, 차속이 기준값 이상이 경우에는, 제어 신호 생성부(470)는 실내 에어백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판단부(460)의 판단 결과, 오브젝트가 동물이고, 차량(700)에 발생한 충돌이 전방 충돌인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470)는, 동물의 크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크기에 따라 실내 에어백 전개 온(on) 또는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판단부(460)의 판단 결과, 오브젝트가 사물이고, 차량(700)에 발생한 충돌이 전방 충돌 또는 후방 충돌인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47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470)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경우, 탑승객의 머리 위치가 차량 주행 방향의 우측 또는 좌측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470)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판단부(460)의 판단 결과, 오브젝트가 사물이고, 차량(700)에 발생한 충돌이 측방 충돌인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47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470)는 측방 층격 방지 에어백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판단부(460)의 판단 결과, 오브젝트가 사물이고, 차량(700)에 발생한 충돌이 전방 오프셋 충돌인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47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470)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판단부(460)의 판단 결과, 전복사고가 검출되는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47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470)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부(470)는 검출된 탑승객의 상태를 기초로 실내 에어백 전개 온(on) 또는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판단부(460)의 판단 결과, 운전 보조석에 탑승객이 검출되지 않거나 검출된 탑승객의 좌고(sitting height)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제어 신호 생성부(470)는, 실내 에어백 중 운전 보조석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신호 생성부(470)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는 보호 장치(8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어 신호는 보호 장치(800)로 바로 전송되거나, 제어부(770)를 거쳐 보호 장치(8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도 4b는, 영상 처리부(401)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로서, 영상 처리부(401)는, 영상 전처리부(410), 디스패러티 연산부(420), 오브젝트 검출부(434), 오브젝트 트래킹부(440), 및 어플리케이션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전처리부(image preprocessor)(410)는, 카메라(195)로부터의 이미지를 수신하여, 전처리(preprocessing)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전처리부(410)는, 이미지에 대한, 노이즈 리덕션(noise reduction), 렉티피케이션(rectification),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색상 강화(color enhancement), 색상 공간 변환(color space conversion;CSC),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 카메라 게인 컨트롤(camera gain control)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195)에서 촬영된 스테레오 이미지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패러티 연산부(disparity calculator)(420)는, 영상 전처리부(410)에서 신호 처리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들에 대한 스테레오 매칭(stereo matching)을 수행하며, 스테레오 매칭에 따른, 디스패러티 맵(dispartiy map)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차량 전방에 대한, 스테레오 이미지에 대한 디스패러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스테레오 매칭은, 스테레오 이미지들의 픽셀 단위로 또는 소정 블록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디스패러티 맵은, 스테레오 이미지, 즉 좌,우 이미지의 시차(時差) 정보(binocular parallax information)를 수치로 나타낸 맵을 의미할 수 있다.
세그멘테이션부(segmentation unit)(432)는, 디스패러티 연산부(420)로부터의 디스페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세그먼트(segment) 및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그멘테이션부(432)는, 디스페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스테레오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배경(background)과 전경(foreground)을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패리티 맵 내에서 디스페러티 정보가 소정치 이하인 영역을, 배경으로 연산하고, 해당 부분을 제외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전경이 분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패리티 맵 내에서 디스페러티 정보가 소정치 이상인 영역을, 전경으로 연산하고, 해당 부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경이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테레오 이미지에 기반하여 추출된 디스페러티 정보 정보에 기초하여, 전경과 배경을 분리함으로써, 이후의, 오브젝트 검출시, 신호 처리 속도, 신호 처리 양 등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오브젝트 검출부(object detector)(434)는, 세그멘테이션부(432)로부터의 이미지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오브젝트 검출부(434)는, 디스페러티 정보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브젝트 검출부(434)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세그먼트에 의해 분리된 전경으로부터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 오브젝트 확인부(object verification unit)(436)는, 분리된 오브젝트를 분류하고(classify), 확인할 수 있다(verify).
이를 위해, 오브젝트 확인부(436)는,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를 이용한 식별법,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법, Haar-like 특징을 이용한 AdaBoost에 의해 식별하는 기법, 또는 HOG(Histograms of Oriented Gradients) 기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 확인부(436)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오브젝트들과, 검출된 오브젝트를 비교하여, 오브젝트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브젝트 확인부(436)는,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차량, 차선, 도로면, 표지판, 위험 지역, 터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오브젝트 트래킹부(object tracking unit)(440)는, 확인된 오브젝트에 대한 트래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순차적으로, 획득되는 스테레오 이미지들에 내의, 오브젝트를 확인하고, 확인된 오브젝트의 움직임 또는 움직임 벡터를 연산하며, 연산된 움직임 또는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해당 오브젝트의 이동 등을 트래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차량, 차선, 도로면, 표지판, 위험 지역, 터널 등을 트래킹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어플리케이션부(450)는,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다양한 오브젝트들, 예를 들면, 다른 차량, 차선, 도로면, 표지판 등에 기초하여, 차량(700)의 위험도 등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앞차와의 추돌 가능성, 차량의 슬립 여부 등을 연산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부(450)는, 연산된 위험도, 추돌 가능성, 또는 슬립 여부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이러한 정보를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 등을, 차량 운전 보조 정보로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차량(700)의 자세 제어 또는 주행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차량 제어 정보로서, 생성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 전처리부(410), 디스페러티 연산부(420), 세그먼테이션부(432), 오브젝트 검출부(434), 오브젝트 확인부(436), 오브젝트 트래킹부(440) 및 어플리케이션부(450)는 도 7이하에서 프로세서(170)내의 영상 처리부(810)의 내부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70)는 영상 전처리부(410), 디스페러티 연산부(420), 세그먼테이션부(432), 오브젝트 검출부(434), 오브젝트 확인부(436), 오브젝트 트래킹부(440) 및 어플리케이션부(450)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카메라(195)가 모노 카메라 또는 어라운드 뷰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패러티 연산부(420)는 제외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세그먼테이션부(432)는 제외될 수도 있다.
도 4c는 프로세서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4c의 영상 처리부(401)는, 도 4b의 영상 처리부(401)와 내부 구성 유닛이 동일하나, 신호 처리 순서가 다른 것에 그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그 차이만을 기술한다.
오브젝트 검출부(434)는, 스테레오 이미지를 수신하고, 스테레오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도 4b와 달리, 디스패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세그먼트된 이미지에 대해,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것이 아닌, 스테레오 이미지로부터 바로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 오브젝트 확인부(object verification unit)(436)는, 세그멘테이션부(432)로부터의 이미지 세그먼트, 및 오브젝트 검출부(434)에서 검출된 오브젝트에 기초하여, 검출 및 분리된 오브젝트를 분류하고(classify), 확인한다(verify).
이를 위해, 오브젝트 확인부(436)는,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를 이용한 식별법, SVM(Support Vector Machine) 기법, Haar-like 특징을 이용한 AdaBoost에 의해 식별하는 기법, 또는 HOG(Histograms of Oriented Gradients) 기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a와 도 5b는, 제1 및 제2 프레임 구간에서 각각 획득된 스테레오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도 4a 내지 도 4c의 프로세서(170)의 동작 방법 설명을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 구간 동안, 스테레오 카메라(195)는, 스테레오 이미지를 획득한다.
프로세서(170) 내의 디스패러티 연산부(420)는, 영상 전처리부(410)에서 신호 처리된, 스테레오 이미지(FR1a,FR1b)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테레오 이미지(FR1a,FR1b)에 대한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디스패러티 맵(dispartiy map)(520)을 획득한다.
디스패러티 맵(dispartiy map)(520)은, 스테레오 이미지(FR1a,FR1b) 사이의 시차를 레벨화한 것으로서, 디스패러티 레벨이 클수록, 차량과의 거리가 가깝고, 디스패러티 레벨이 작을수록, 차량과의 거리가 먼 것으로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디스패러티 맵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 디스패러티 레벨이 클수록, 높은 휘도를 가지고, 디스패러티 레벨이 작을수록 낮은 휘도를 가지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디스패러티 맵(520) 내에, 제1 차선 내지 제4 차선(528a,528b,528c,528d) 등이 각각 해당하는 디스패러티 레벨을 가지며, 공사 지역(522), 제1 전방 차량(524), 제2 전방 차량(526)이 각각 해당하는 디스패러티 레벨을 가지는 것을 예시한다.
세그멘테이션부(432)와, 오브젝트 검출부(434), 오브젝트 확인부(436)는, 디스패러티 맵(520)에 기초하여, 스테레오 이미지(FR1a,FR1b)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세그먼트, 오브젝트 검출, 및 오브젝트 확인을 수행한다.
도면에서는, 디스패러티 맵(520)을 사용하여, 제2 스테레오 이미지(FR1b)에 대한, 오브젝트 검출, 및 확인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이미지(530) 내에, 제1 차선 내지 제4 차선(538a,538b,538c,538d), 공사 지역(532), 제1 전방 차량(534), 제2 전방 차량(536)이, 오브젝트 검출 및 확인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 도 5b를 참조하면, 제2 프레임 구간 동안, 스테레오 카메라(195)는, 스테레오 이미지를 획득한다.
프로세서(170) 내의 디스패러티 연산부(420)는, 영상 전처리부(410)에서 신호 처리된, 스테레오 이미지(FR2a,FR2b)를 수신하고, 수신된 스테레오 이미지(FR2a,FR2b)에 대한 스테레오 매칭을 수행하여, 디스패러티 맵(dispartiy map)(540)을 획득한다.
도면에서는, 디스패러티 맵(540) 내에, 제1 차선 내지 제4 차선(548a,548b,548c,548d) 등이 각각 해당하는 디스패러티 레벨을 가지며, 공사 지역(542), 제1 전방 차량(544), 제2 전방 차량(546)이 각각 해당하는 디스패러티 레벨을 가지는 것을 예시한다.
세그멘테이션부(432)와, 오브젝트 검출부(434), 오브젝트 확인부(436)는, 디스패러티 맵(540)에 기초하여, 스테레오 이미지(FR2a,FR2b)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세그먼트, 오브젝트 검출, 및 오브젝트 확인을 수행한다.
도면에서는, 디스패러티 맵(540)을 사용하여, 제2 스테레오 이미지(FR2b)에 대한, 오브젝트 검출, 및 확인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이미지(550) 내에, 제1 차선 내지 제4 차선(558a,558b,558c,558d), 공사 지역(552), 제1 전방 차량(554), 제2 전방 차량(556)이, 오브젝트 검출 및 확인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 트래킹부(440)는, 도 5a와 도 5b를 비교하여, 확인된 오브젝트에 대한 트래킹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브젝트 트래킹부(440)는, 도 5a와 도 5b에서 확인된, 각 오브젝트들의 움직임 또는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해당 오브젝트의 이동 등을 트래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주변에 위치하는, 차선, 공사 지역, 제1 전방 차량, 제2 전방 차량 등에 대한 트래킹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3a 내지 도 3c의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a는,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스테레오 카메라(195)에서 촬영되는 차량 전방 상황을 예시한 도면이다. 특히, 차량 전방 상황을 버드 아이 뷰(bird eye view)로 표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제1 차선(642a), 제2 차선(644a), 제3 차선(646a), 제4 차선(648a)이 위치하며, 제1 차선(642a)과 제2 차선(644a) 사이에 공사 지역(610a)이 위치하며, 제2 차선(644a)과 제3 차선(646a) 사이에 제1 전방 차량(620a)가 위치하며, 제3 차선(646a)과 제4 차선(648a) 사이에, 제2 전방 차량(630a)이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도 6b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 의해 파악되는 차량 전방 상황을 각종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도 6b와 같은 이미지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에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부(180),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400) 또는 디스플레이부(741)에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6b는, 도 6a와 달리, 스테레오 카메라(195)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기반으로하여 정보 표시가 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제1 차선(642b), 제2 차선(644b), 제3 차선(646b), 제4 차선(648b)이 위치하며, 제1 차선(642b)과 제2 차선(644b) 사이에 공사 지역(610b)이 위치하며, 제2 차선(644b)과 제3 차선(646b) 사이에 제1 전방 차량(620b)가 위치하며, 제3 차선(646b)과 제4 차선(648b) 사이에, 제2 전방 차량(630b)이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스테레오 카메라(195a, 195b)에서 촬영되는 스테레오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신호 처리하여, 공사 지역(610b), 제1 전방 차량(620b), 제2 전방 차량(630b)에 대한 오브젝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차선(642b), 제2 차선(644b), 제3 차선(646b), 제4 차선(648b)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공사 지역(610b), 제1 전방 차량(620b), 제2 전방 차량(630b)에 대한 오브젝트 확인을 나타내기 위해, 각각 테두리로 하이라이트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스테레오 카메라(195)에서 촬영되는 스테레오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공사 지역(610b), 제1 전방 차량(620b), 제2 전방 차량(630b)에 대한 거리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공사 지역(610b), 제1 전방 차량(620b), 제2 전방 차량(630b) 각각에 대응하는, 연산된 제1 거리 정보(611b), 제2 거리 정보(621b), 제3 거리 정보(631b)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제어부(770) 또는 센싱부(760)로부터 차량에 대한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차량 속도 정보, 기어 정보, 차량의 회전각(요각)이 변하는 속도를 나타내는 요 레이트 정보(yaw rate), 차량의 각도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차량 전방 이미지 상부(670)에, 차량 속도 정보(672), 기어 정보(671), 요 레이트 정보(673)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며, 차량 전방 이미지 하부(680)에, 차량의 각도 정보(682)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하나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그 외, 차량의 폭 정보(683), 도로의 곡률 정보(681)가, 차량의 각도 정보(682)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통신부(120) 또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차량 주행 중인 도로에 대한, 속도 제한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속도 제한 정보(640b)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도 6b에 도시된 다양한 정보들을 디스플레이부(180) 등을 통해 표시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별도의 표시 없이,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활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도 1의 차량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차량(700)은 통신부(710), 입력부(720), 센싱부(760), 출력부(740), 차량 구동부(750), 메모리(730), 인터페이스부(780), 제어부(770), 전원부(790),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 및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차량(700)과 이동 단말기(600) 사이, 차량(700)과 외부 서버(510) 사이 또는 차량(700)과 타차량(520)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10)는 차량(700)을 하나 이상의 망(network)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방송 수신 모듈(711), 무선 인터넷 모듈(712), 근거리 통신 모듈(713), 위치 정보 모듈(714), 광통신 모듈(715) 및 V2X 통신 모듈(716)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7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은 라디오 방송 또는 TV 방송을 포함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차량(7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1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712)은 외부 서버(51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7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60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713)은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차량(700)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와 차량(700)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모듈(714)은, 차량(7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은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광통신 모듈(715)은, 광발신부 및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light)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을 수신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수신부는 전방 차량에 포함된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통해, 전방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한다. 예를 들면, 광 발신부는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의 점멸을 통해, 광신호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복수의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700)에 구비된 램프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발신부는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 지시등 및 차폭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통신 모듈(715)은 광 통신을 통해 타차량(520)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V2X 통신 모듈(716)은, 서버(510) 또는 타차량(520)과의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모듈이다. V2X 모듈(716)은 차량간 통신(V2V) 또는 차량과 인프라간 통신(V2I)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모듈을 포함한다. 차량(700)은 V2X 통신 모듈(716)을 통해, 외부 서버(510) 및 타 차량(52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720)는, 운전 조작 수단(721), 카메라(195), 마이크로 폰(723) 및 사용자 입력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수단(721)은, 차량(700)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운전 조작 수단(721)은 조향 입력 수단(721a), 쉬프트 입력 수단(721b), 가속 입력 수단(721c),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d)을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수단(721a)은, 사용자로부터 차량(700)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한다. 조향 입력 수단(721a)은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수단(721a)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쉬프트 입력 수단(721b)은, 사용자로부터 차량(700)의 주차(P), 전진(D), 중립(N), 후진(R)의 입력을 수신한다. 쉬프트 입력 수단(721b)은 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쉬프트 입력 수단(721b)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수단(721c)은, 사용자로부터 차량(7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d)은, 사용자로부터 차량(7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가속 입력 수단(721c) 및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d)은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수단(721c) 또는 브레이크 입력 수단(721d)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카메라(195)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95)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제어부(77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차량(700)은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95) 및 차량 내부 영상을 촬영하는 내부 카메라(195c)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카메라(195c)는 탑승객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내부 카메라(195c)는 탑승객의 생체 인식을 위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내부 카메라(195c)는, 차량(700) 내에 탑승객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탑승 인원이 몇 명인지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도7에서는 카메라(195)가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카메라(195)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 폰(72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데이터는 차량(700)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723)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기적인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인 데이터는 제어부(77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722) 또는 마이크로폰(723)는 입력부(7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센싱부(76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724)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7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차량(7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24)는 터치식 입력수단 또는 기계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724)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을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사용자 입력부(724)를 조작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차량(700)의 주행 등과 관련한 신호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760)는,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라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센싱부(760)는,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76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760)는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객의 생체 인식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한다. 생체 인식 정보는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정보,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객의 생체 인식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카메라(195c) 및 마이크로 폰(723)이 센서로 동작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내부 카메라(195c)를 통해, 손모양 정보, 안면 인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출력부(740)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741), 음향 출력부(742) 및 햅틱 출력부(74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제어부(77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741)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련 정보는,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7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724)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7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부(74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74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77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741)는 운전자가 운전을 함과 동시에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대시보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시선을 차량 전방에 유지한채로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74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4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윈드 쉴드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74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제어부(7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742)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742)는, 사용자 입력부(724)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햅틱 출력부(74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74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750)는 동력원 구동부(751), 조향 구동부(752), 브레이크 구동부(753), 램프 구동부(754), 공조 구동부(755), 윈도우 구동부(756), 에어백 구동부(757), 썬루프 구동부(758) 및 서스펜션 구동부(759)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는, 차량(700)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미도시)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751)가 엔진인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제한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기 기반의 모터(미도시)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751)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752)는, 차량(7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753)는, 차량(7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7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700)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754)는, 차량 내, 외부에 배치되는 램프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빛의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 지시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의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755)는, 차량(700)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756)는, 차량(700) 내의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측면의 좌,우 윈도우들에 대한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757)는, 차량(700)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시, 에어백이 터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썬루프 구동부(758)는, 차량(700) 내의 썬루프 장치(sunroof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썬루프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759)는, 차량(7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7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73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730)는 제어부(7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7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80)는, 차량(7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600)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780)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78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6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600)가 인터페이스부(7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780)는 전원부(7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600)에 제공한다.
제어부(770)는, 차량(7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제어부(770)는, 센싱부(760)에 포함된 충돌 센서로부터 오브젝트와의 충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로부터, 후드 리프트 업 오프를 위한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로부터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오프를 위한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센싱부(760)로부터 수신되는 충돌 정보보다 상기 제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우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 또는 탑승자가 있는 이륜차와의 충돌시, 제어부(770)는 충돌 센서에서 감지한 충돌 정보보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우선하여 처리함으로써, 후드 리프트 업 동작 오프(off) 또는 보행자 신호등 전개 오프(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790)는, 제어부(7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부(77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제어부(77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에서 생성되는 제어 신호는 제어부(770)로 출력될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상술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일 수 있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제어부(77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어부(77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400)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차량 주행과 관련한, 맵(map) 정보 또는 차량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장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보호 장치는, 보호 장치 제어부(801), 실내 에어백(805),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및 액추에이터(8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장치 제어부(801)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호 장치 제어부(801)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로부터 직접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770)를 거쳐 수신할 수 있다.
보호 장치 제어부(801)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로부터, 후드 리프트 업 온(on) 또는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호 장치 제어부(801)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로부터,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온(on) 또는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호 장치 제어부(801)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로부터, 실내 에어백 온(on) 또는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실내 에어백(805)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 및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은, 충돌시, 탑승객과 탑승객의 전방에 위치한 물체(예를 들면, 칵핏 모듈, 스티어링 휠, 윈드 쉴드, 시트)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백일 수 있다.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은, 운전석 에어백(812), 보조석 에어백(814) 및 무릎 보호 에어백(816)을 포함할 수 있다.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은, 충돌시, 탑승객과 탑승객의 측방에 위치한 물체(예를 들면, 사이드 윈드우 글라스, 도어, A 필러, B 필러, C 필러)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백일 수 있다.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은, 커튼 에어백(822) 및 사이드 에어백(824)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장치 제어부(801)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기초로, 실내 에어백(805), 보행자 에어백(830) 또는 액추에이터(8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보호 장치 제어부(801)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보호 장치 제어부(801)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이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보호 장치 제어부(801)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보호 장치 제어부(801)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이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보호 장치 제어부(801)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보호 장치 제어부(801)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이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후드 리프트 업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보호 장치 제어부(801)는 액추에이터(840)의 동작을 제어하여, 후드를 상승시킬 수 있다. 액추에이터(840)는 윈드 쉴드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사람의 상체와 충돌이 예상되는 지점에서 후드를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보호 장치(800)는, 액추에이터(840)에서 생성되는 동력을 후드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호 장치(800)는, 사람과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 흡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격 흡수부(미도시)는 탄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드 리프트 업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보호 장치 제어부(801)는, 액추에이터(840)의 동작을 제어하여, 후드가 상승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8b의 보호 장치는 도 8a의 보호 장치(800)와 비교하여, 보호 장치 제어부(801) 대신 승객 보호 장치 제어부(802) 및 보행자 보호 장치 제어부(803)를 포함하는데 차이점이 있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a의 보호 장치(800)는 보호 장치 제어부(801)가 실내 에어백(805),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및 액추에이터(840)를 제어하지만, 도 8b의 보호 장치(800)는 승객 보호 장치 제어부(802)는 실내 에어백(805)를 제어하고, 보행자 보호 장치 제어부(803)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및 액추에이터(840)를 제어한다.
승객 보호 장치 제어부(802)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로부터, 실내 에어백(805) 전개 온(on) 또는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승객 보호 장치 제어부(802)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기초로, 실내 에어백(805) 전개를 제어할 수 있다.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승객 보호 장치 제어부(802)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승객 보호 장치 제어부(802)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이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승객 보호 장치 제어부(802)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승객 보호 장치 제어부(802)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이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행자 보호 장치 제어부(803)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로부터,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또는 후드 리프트 업을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행자 보호 장치 제어부(803)는, 수신된 제어 신호를 기초로,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또는 액추에이터(840)를 제어할 수 있다.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보행자 보호 장치 제어부(803)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보행자 보호 장치 제어부(803)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이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후드 리프트 업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보행자 보호 장치 제어부(803)는 액추에이터(840)의 동작을 제어하여, 후드를 상승시킬 수 있다.
후드 리프트 업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보행자 보호 장치 제어부(803)는, 액추에이터(840)의 동작을 제어하여, 후드가 상승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S900). 여기서, 영상은,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일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수신된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S905). 여기서, 오브젝트는, 사람, 사람이 탑승한 이륜차, 동물 또는 사물일 수 있다.
만약, 오브젝트가 사람 또는 이륜차이고(S910), 전방 충돌이 발생한 경우(S915), 프로세서(170)는, 후드 리프트 업(Hood Lift Up) 온(on) 또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920).
만약, 오브젝트가 사람 또는 이륜차이고(S910), 전방 충돌이 발생한 경우(S915), 프로세서(170)는, 실내 에어백 전개 온(on) 또는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921).
차속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프로세서(170)는 실내 에어백 전기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차속이 기준값 이상이 경우에는, 프로세서(170)는 실내 에어백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가 동물이고(S923), 전방 충돌이 발생한 경우(S925), 프로세서(170)는, 후드 리프트 업 오프(off) 또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927).
만약, 오브젝트가 동물이고(S923), 전방 충돌이 발생한 경우(S925), 프로세서(170)는, 실내 에어백 전개 온(on) 또는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928).
검출된 동물의 크기가 기준 크기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실내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검출된 동물의 크기가 기준 크기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실내 에어백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가 사물이고(S930), 전방 또는 후방 충돌이 발생한 경우(S935), 프로세서(170)는, 후드 리프트 업 오프(off) 또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940).
오브젝트가 사물이고(S930), 전방 또는 후방 충돌이 발생한 경우(S935), 프로세서(17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오브젝트가 사물이고(S930), 전방 또는 후방 충돌이 발생한 경우(S935), 프로세서(170)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전개 온(on) 또는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950).
일반적으로, 오브젝트가 사물이고(S930), 전방 또는 후방 충돌이 발생한 경우(S935), 프로세서(170)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탑승자의 머리 위치가 차량 주행 방향의 우측 또는 좌측을 향해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가 사물이고(S930), 전방 오프셋 충돌이 발생한 경우(S955), 프로세서(170)는, 후드 리프트 업 오프(off) 또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오프(off)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960).
오브젝트가 사물이고(S930), 전방 오프셋 충돌이 발생한 경우(S955), 프로세서(170)는, 실내 에어백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965).
한편, 오브젝트가 사물이고(S930), 측방 충돌이 발생한 경우(S980), 프로세서(170)는, 후드 리프트 업 오프(off) 또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982).
오브젝트가 사물이고(S930), 측방 충돌이 발생한 경우(S980), 프로세서(17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985).
오브젝트가 사물이고(S930), 측방 충돌이 발생한 경우(S980), 프로세서(170)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987).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0)는, 카메라(195)로부터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S900). 여기서, 영상은,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일 수 있다.
영상에서 소정 방향으로의 회전이 검출되는 경우(S990), 프로세서(170)는, 차량 전복 사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S993). 예를 들면, 회전이 감지되는 영상을 통해, 차량(700)의 전장 방향(L)을 축으로 하는 회전이 검출되는 경우, 판단부(460)는 전복 사고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차량 전복사고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후드 리프트 업 오프(off)또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993).
차량 전복사고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995).
차량 전복사고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S997).
이와 같이, 어느 방향으로 충돌이 발생하였는지 여부, 어느 오브젝트와의 충돌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후드 리프트 업 동작 또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하게 후드 리프트 업 되거나 또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되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에어백에서도 충돌 유형에 적응적으로 따라 전개되는 에어백을 제어할 수 있어, 불필요한 실내 에어백 전개에 따른 에어백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a 내지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충돌 패턴에 따른 후드 리프트 업,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또는 실내 에어백 전개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700)과 보행자(1010)간에 전방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 및 보호 장치(800) 동작을 예시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700) 주행 중에 보행자(1010)와의 충돌이 발생될 수 있다. 이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보행자(1010)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보행자(1010)의 충돌이 전방 충돌임을 검출할 수 있다.
보행자(1010)와의 전방 충돌이 검출된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후드(1020) 리프트 업 온(on)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액추에이터(840) 제어를 통해 후드(1020) 리프트 업 시킬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을 전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충돌 오브젝트 및 충돌 패턴을 검출하여,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를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하게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를 방지할 수 있다.
가령, 타차량과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후드 리프트 업되는 경우, 충격 완화 또는 지지대 역할 수행을 위한 후드가 제역할을 할 수 없어, 탑승자 안전에 불리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타차량과 접촉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이 전개되는 경우,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교체에 따른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0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1010)와의 전방 충돌이 검출된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실내 에어백(805)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실내 에어백(805)이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에 의해 보행자(1010)와의 전방 충돌이 검출되는 경우, 충돌 센서에 의한 충돌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보호 장치(800)는 실내 에어백(805)이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탑승자 안전에 위협이 되지 않는 보행자(1010) 충돌의 경우에는, 실내 에어백(805)을 전개시키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실내 에어백(805) 전개에 따른 에어백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10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1010)와의 전방 충돌이 검출된 경우에도, 차속이 기준값 이상인 상태인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실내 에어백(805)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실내 에어백(805)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 전개 온(on) 및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은 전개되고,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은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속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보행자(1010)와의 전방 충돌이라고 하여도, 탑승자에게 충격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차속에 따라 실내 에어백(805) 전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700)과 탑승자가 있는 이륜차(1110)간에 전방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 및 보호 장치(800) 동작을 예시한다.
도 11a 및 도 1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700) 주행 중에 탑승자가 있는 이륜차(1110)와의 충돌이 발생될 수 있다. 이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탑승자가 있는 이륜차(1110)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탑승자가 있는 이륜차(1110)의 충돌이 전방 충돌임을 검출할 수 있다.
탑승자가 있는 이륜차(1110)와의 전방 충돌이 검출된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후드(1020) 리프트 업 온(on)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액추에이터(840) 제어를 통해 후드(1020) 리프트 업 시킬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을 전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충돌 오브젝트 및 충돌 패턴을 검출하여,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를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하게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를 방지할 수 있다.
가령, 타차량과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후드 리프트 업되는 경우, 충격 완화 또는 지지대 역할 수행을 위한 후드가 제역할을 할 수 없어, 차량 탑승자 안전에 불리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타차량과 접촉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이 전개되는 경우,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교체에 따른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1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있는 이륜차(1110)와의 전방 충돌이 검출된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실내 에어백(805)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실내 에어백(805)이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에 의해 탑승자가 있는 이륜차(1110)와의 전방 충돌이 검출되는 경우, 충돌 센서에 의한 충돌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보호 장치(800)는 실내 에어백(805)이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탑승자 안전에 위협이 되지 않는 탑승자가 있는 이륜차(1110) 충돌의 경우에는, 실내 에어백(805)을 전개시키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실내 에어백(805) 전개에 따른 에어백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11d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있는 이륜차(1110)와의 전방 충돌이 검출된 경우에도, 차속이 기준값 이상인 상태인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실내 에어백(805)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실내 에어백(805)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 전개 온(on) 및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은 전개되고,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은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속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탑승자가 있는 이륜차(1110)와의 전방 충돌이라고 하여도, 탑승자에게 충격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차속에 따라 실내 에어백(805) 전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700)과 동물(1210)간에 전방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 및 보호 장치(800)의 동작을 예시한다.
도 12a 및 도 1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700)이 주행 중에 동물(1210)과의 충돌이 발생될 수 있다. 이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동물(1210)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동물(1210)과의 충돌이 전방 충돌임을 검출할 수 있다.
동물(1210)과의 전방 충돌이 검출된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후드(1020) 리프트 업 오프(off)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후드(1020)를 리프트 업 되지 않고,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이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동물(1210)과의 전방 충돌시, 후드(1020) 리프트 업 온(on)/오프(off)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 온(on)/오프(off)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의 입력부(110) 또는 차량의 입력부(720)를 통해, 동물(1210)과의 전방 충돌 시에도, 리프트 업 온(on)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 온(on)이 설정되는 경우, 동물(1210)과의 전방 충돌시,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후드(1020) 리프트 업 온(on)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 온(on)를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동물의 크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크기에 따라 실내 에어백 전개 온(on) 또는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동물(1210)과의 전방 충돌시, 검출된 동물의 크기가 기준 크기 이하인 경우, 도 1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실내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실내 에어백(805)이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에 의해 동물(1210)과의 전방 충돌이 검출되는 경우, 충돌 센서에 의한 충돌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보호 장치(800)는 실내 에어백(805)이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물(1210)과의 전방 충돌시, 검출된 동물의 크기가 기준 크기 이상인 경우, 도 12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실내 에어백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실내 에어백(805)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 전개 온(on) 및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은 전개되고,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은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물의 무게는 크기에 비례한다. 또한, 충격량은 무게에 비례한다. 큰 동물과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량은 작은 동물과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량보다 크다. 따라서, 프로세서(170)는 동물의 크기에 따라,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량을 고려해 실내 에어백 전개 온(on) 또는 오프(off)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700)과 사물(1310, 1315)간에 전방 또는 후방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 및 보호 장치(800)의 동작을 예시한다.
도 13a 내지 도 13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700) 주행 중에 사물(1310, 1315)과의 충돌이 발생될 수 있다. 도면에서 가로수(1310)과 타 차량(1315)로 예시되었으나, 사물은 가드레일, 가로등, 전봇대 등 차량과 충돌 가능한 물체일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사물(1310, 1315)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사물(1310, 1315)과의 충돌이 전방 충돌 또는 후방 충돌임을 검출할 수 있다.
사물(1310, 1315)과의 전방 충돌 또는 후방 충돌이 검출된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후드(1020) 리프트 업 오프(off)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후드(1020) 리프트 업 되지 않고,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이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돌 오브젝트 및 충돌 패턴을 검출하여,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를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하게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3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물(1310, 1315)과의 전방 충돌 또는 후방 충돌이 검출된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은 전개되고,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은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3e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물(1310, 1315)과의 전방 충돌 또는 후방 충돌이 검출될 때에도, 내부 카메라(195c)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 위치가 차량 주행 방향의 우측 또는 좌측을 향해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물(1310, 1315)과의 전방 충돌 또는 후방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도, 탑승자의 머리(1350)가 차량 주행 방향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움직이는 경우, 탑승자와 탑승자 측방에 위치한 물체와의 충돌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보호 장치(800)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을 전개 시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700)과 사물(1410)과의 측방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 및 보호 장치(800)의 동작을 예시한다.
도 1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700)이 주행 중에 사물(1410)과의 충돌이 발생될 수 있다. 이경우, 운전 보조 장치(100)는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사물(1410)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사물(1410)과의 충돌이 측방 충돌임을 검출할 수 있다.
사물(1410)과의 측방 충돌이 검출되는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후드(1020) 리프트 업 오프(off)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후드(1020) 리프트 업 되지 않고,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이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돌 오브젝트 및 충돌 패턴을 검출하여,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를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하게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물(1410)과의 측방 충돌이 검출되는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은 전개되지 않고,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은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4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물(1410)과의 측방 충돌이 검출되는 경우에도, 내부 카메라(195c)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1450) 위치가 전방을 향해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사물(1410)과의 측방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도, 탑승자의 머리(1450)가 전방을 향해 움직이는 경우, 보호 장치(800)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을 전개 시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700)과 사물(1410)과의 전방 오프셋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 및 보호 장치(800)의 동작을 예시한다.
도 15a 내지 도 15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700) 주행 중에 사물(1510)과의 전방 오프셋 충돌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사물은 타 차량일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에서 사물(1510)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사물(1510)과의 충돌이 전방 오프셋 충돌임을 검출할 수 있다.
사물(1510)과의 전방 오프셋 충돌이 검출되는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후드(1020) 리프트 업 오프(off)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후드(1020) 리프트 업 되지 않고,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이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돌 오브젝트 및 충돌 패턴을 검출하여,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를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하게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차량(700)은 사물(1510)과의 전방 오프셋 충돌 후, 전복되거나, 전고 방향(H)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획득된 영상에서 검출되는 회전을 기초로 전복 또는 회전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도 15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물(1510)과의 전방 오프셋 충돌이 검출되는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실내 에어백(805)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실내 에어백(805)을 전개할 수 있다.
타차량과의 전방 오프셋 충돌 후에, 차량(700)은, 전복되거나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실내 에어백(805)를 전개시킴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복 사고 발생하는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 및 보호 장치(800)의 동작을 예시한다.
도 1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700)이 주행 중에 전복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획득된 영상에서 소정 방향으로의 회전이 검출되는 경우, 전복 사고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에서 검출된 회전을 통해, 차량(700)이 전장 방향(L)을 축으로 하는 회전(1610, 1620, 1630, 1640)이 검출되는 경우, 프로세서(170)는 전복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차량 전복 사고 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후드 리프트 업 오프(off)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후드(1020) 리프트 업 되지 않고,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이 전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돌 오브젝트 및 충돌 패턴을 검출하여,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를 제어함으로써 불필요하게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830) 전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전복 사고 발생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전개 온(on)을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810)은 전개되지 않고,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820)은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탑승객 상태를 기초로 실내 에어백 전개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내부 카메라(195c)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카메라(195c)는 차량의 실내를 촬영할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내부 카메라(195c)에서 획득한 차량 실내 영상에서 탑승객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탑승객은, 운전석, 보조석 및 뒷좌석에 위치한 탑승객일 수 있다.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검출된 탑승객의 상태를 기초로 실내 에어백 온(on) 또는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보호 장치(8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석에 탑승객이 검출되지 않거나 검출된 탑승객의 좌고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실내 에어백 중 보조석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석에 탑승객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보조석 탑승객을 위한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뒷자석에 탑승객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는 뒷좌석에 탑승객을 위한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전개 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장치(800)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실내 에어백을 전개하거나 전개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170) 또는 제어부(7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차량 운전 보조 장치
400 :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700 : 차량

Claims (22)

  1.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차량 주변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입력부; 및
    상기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상기 차량 주변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기초로 후드 리프트 업 또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온(on)/오프(off)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기초로, 실내 에어백 전개 온/오프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상기 차량 주변 영상을 기초로, 동물과의 전방 충돌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후드 리프트 업 오프 및 상기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오프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동물의 크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크기에 따라 상기 실내 에어백 전개 온/오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되, 검출된 동물의 크기가 기준 크기 이하인 경우, 상기 실내 에어백 전개 오프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검출된 동물의 크기가 기준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실내 에어백 전개 온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설정에 의해, 동물과의 전방 충돌 시에도 리프트 업 온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온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동물과의 전방 충돌 시 상기 후드 리프트 업 온 및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온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상기 차량 주변 영상을 기초로,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충돌 여부를 판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사람 또는 탑승자가 있는 이륜차이고,
    상기 충돌은 전방 충돌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후드 리프트 업 온 또는 상기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온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사물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후드 리프트 업 오프 및 상기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오프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은, 전방 충돌, 후방 충돌, 측방 충돌 또는 전방 오프셋 충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상기 차량 주변 영상을 통해, 전복 사고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후드 리프트 업 오프 또는 상기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오프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후드 리프트 업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사람 또는 탑승자가 있는 이륜차이고,
    상기 충돌은 전방 충돌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내 에어백 전개 오프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차속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속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실내 에어백 전개 온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에어백은,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 및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을 포함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3. 삭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사물이고,
    상기 충돌은 전방 충돌 또는 후방 충돌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온을 위한 제어 신호 및 상기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오프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탑승자의 머리 위치를 감지하는 내부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탑승자의 머리 위치가 주행 방향의 우측 또는 좌측을 향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온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사물이고,
    상기 충돌은 측방 충돌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오프를 위한 제어 신호 및 상기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온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사물이고,
    상기 충돌은 전방 오프셋 충돌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온을 위한 제어 신호 및 상기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온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전방 영상 또는 상기 차량 주변 영상을 통해, 전복 사고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전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오프를 위한 제어 신호 및 상기 측방 충격 방지 에어백 온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차량 실내 영상을 획득하는 내부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실내 영상에서 탑승객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탑승객의 상태를 기초로 실내 에어백 전개 온/오프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운전 보조석에 탑승객이 검출되지 않거나 검출된 탑승객의 좌고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실내 에어백 중 운전 보조석 에어백 전개 오프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 차량 운전 보조 장치.
  21. 제 1항 내지 제 3항, 제 5항 내지 제 7항, 제 10항 내지 제12항 및 제 14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와의 충돌 정보를 제공하는 충돌 센서; 및
    상기 차량 운전 보조 장치로부터, 후드 리프트 업 오프를 위한 제1 제어 신호 또는 보행자 보호 에어백 전개 오프를 위한 제2 제어 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충돌 정보보다 상기 제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우선하여 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KR1020150084462A 2015-06-15 2015-06-15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KR102117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462A KR102117598B1 (ko) 2015-06-15 2015-06-15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CN201610409270.7A CN106240457B (zh) 2015-06-15 2016-06-12 车辆驾驶辅助装置及车辆
EP16174360.4A EP3109098B1 (en) 2015-06-15 2016-06-14 Vehicl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US15/183,058 US10029639B2 (en) 2015-06-15 2016-06-15 Driver assistan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462A KR102117598B1 (ko) 2015-06-15 2015-06-15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559A KR20160147559A (ko) 2016-12-23
KR102117598B1 true KR102117598B1 (ko) 2020-06-01

Family

ID=56131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462A KR102117598B1 (ko) 2015-06-15 2015-06-15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29639B2 (ko)
EP (1) EP3109098B1 (ko)
KR (1) KR102117598B1 (ko)
CN (1) CN10624045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261A (ko) * 2018-05-10 2020-09-28 바스티앙 비첨 차량-대-보행자 충돌 회피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25061A1 (de) * 2016-12-15 2018-06-21 Robert Bosch Gmbh System zum Auslösen von Personenschutzmitteln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DE112018004835T5 (de) * 2017-09-01 2020-07-16 Murakami Corporation Kollisionsvorhersagevorrichtung, Kollisionsvorhersageverfahren und Programm
CN108528376B (zh) * 2018-05-18 2024-01-23 威马智慧出行科技(上海)有限公司 车辆撞击安全系统、方法及车辆
JP2020029118A (ja) * 2018-08-21 2020-0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保護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両
US11091113B2 (en) * 2018-09-24 2021-08-17 Zoox, Inc. Vehicle side airbag
US11214120B2 (en) * 2018-11-02 2022-01-04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Distributed fiber optic sensing system
US11249184B2 (en) 2019-05-07 2022-02-15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Autonomous collision avoidance through physical layer tracking
CN110588568B (zh) * 2019-08-16 2021-11-19 合创汽车科技有限公司 发动机罩的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0481485B (zh) * 2019-08-21 2020-11-03 宁波吉利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防止发动机盖误弹起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409584A (zh) * 2020-02-27 2020-07-14 广汽蔚来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行人保护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11263896B2 (en) 2020-04-06 2022-03-01 B&H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jaywalking of vulnerable road users
US11505180B2 (en) * 2020-06-30 2022-11-22 Rivian Ip Holdings, Llc Active energy management for frontal impacts
TWI742930B (zh) * 2020-11-17 2021-10-11 國立成功大學 載具結構材料強化系統及包含其的載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1459A (ja) * 1997-05-29 2002-01-15 オートモーティブ・テクノロジーズ・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マートエアバッグ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5613A (en) * 1992-05-05 1998-11-10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Optical identification and monitoring system using pattern recognition for use with vehicles
US7630806B2 (en) * 1994-05-23 2009-12-08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protecting pedestrians
US6918459B2 (en) * 1994-05-23 2005-07-19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ploying airbags
US8041483B2 (en) * 1994-05-23 2011-10-18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Exterior airbag deployment techniques
US7744122B2 (en) * 1995-12-12 2010-06-29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Driver side aspirated airbags
JP3711847B2 (ja) * 2000-07-27 2005-11-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2283939A (ja) * 2001-03-29 2002-10-03 Toyota Motor Corp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GB2400353A (en) * 2003-04-09 2004-10-13 Autoliv Dev Pedestrian detecting system provided on a motor vehicle
GB2400352A (en) * 2003-04-09 2004-10-13 Autoliv Dev Pedestrian detec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DE10334699A1 (de) * 2003-07-30 2005-02-17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r Aktuatorik zum Schutz eines Fußgängers
JP4349041B2 (ja) * 2003-08-25 2009-10-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歩行者保護装置
US7069130B2 (en) * 2003-12-09 2006-06-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e-crash sens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classifying objects
DE102004054072A1 (de) * 2004-11-09 2006-05-11 Siemens Ag Sensorsystem zur Erfassung eines Fußgängeraufpralls
JP2006264416A (ja) * 2005-03-22 2006-10-05 Takata Corp 対象物検知システム、保護システム、車両
DE102005013595A1 (de) * 2005-03-24 2006-09-2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s Auslösesignals für eine Insassenschutzvorrichtung
FR2889882B1 (fr) * 2005-08-19 2009-09-25 Renault Sas Procede et systeme de prediction de choc entre un vehicule et un pieton.
JP4793638B2 (ja) * 2006-03-27 2011-10-1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歩行者検出装置
US9663052B2 (en) * 2006-03-30 2017-05-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operating a pre-crash sensing system to deploy airbags using confidence factors prior to collision
KR20100066910A (ko) * 2008-12-10 2010-06-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외장형 에어백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E102009025021A1 (de) * 2009-06-10 2010-12-16 Daimler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Rückhaltevorrichtung für Insassen eines Fahrzeugs
JP4873068B2 (ja) * 2009-11-20 2012-02-08 株式会社デンソー 衝突被害軽減装置
DE102012000792A1 (de) * 2012-01-17 2013-07-18 Audi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ußgängerschutzsystems und Kraftfahrzeug
KR101355567B1 (ko) * 2012-02-13 2014-01-27 아진산업(주) 스마트 에어백을 위한 센서 융합형 승객 감지 장치
WO2013133463A1 (en) * 2012-03-09 2013-09-12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EP2679450B1 (en) * 2012-06-27 2016-07-20 Volvo Car Corporation System for protection of a vulnerable road us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JP5700263B2 (ja) * 2013-01-22 2015-04-15 株式会社デンソー 衝突傷害予測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1459A (ja) * 1997-05-29 2002-01-15 オートモーティブ・テクノロジーズ・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マートエアバッグ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261A (ko) * 2018-05-10 2020-09-28 바스티앙 비첨 차량-대-보행자 충돌 회피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189485B1 (ko) 2018-05-10 2020-12-14 바스티앙 비첨 차량-대-보행자 충돌 회피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09098B1 (en) 2019-11-27
US10029639B2 (en) 2018-07-24
CN106240457B (zh) 2018-12-18
CN106240457A (zh) 2016-12-21
EP3109098A1 (en) 2016-12-28
US20160362080A1 (en) 2016-12-15
KR20160147559A (ko) 2016-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7598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KR101741433B1 (ko) 운전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66402B1 (ko) 운전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138707B1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1850795B1 (ko) 주차 수행 장치 및 차량
US10093310B2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EP3708962B1 (en)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KR101844885B1 (ko) 차량 운전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942527B1 (ko) 차량용 어라운드 뷰 제공 장치 및 차량
KR101834349B1 (ko) 조향 장치 및 차량
KR20180132922A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
KR20180083762A (ko) 어라운드뷰 제공장치, 제공방법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102077575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KR101822896B1 (ko) 운전자 보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43212A (ko) 차량용 어라운드 뷰 제공 장치 및 차량
KR101980547B1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KR20150074753A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KR20170033195A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KR20150074751A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