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096B1 - 차량용 로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로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096B1
KR100568096B1 KR1020040095767A KR20040095767A KR100568096B1 KR 100568096 B1 KR100568096 B1 KR 100568096B1 KR 1020040095767 A KR1020040095767 A KR 1020040095767A KR 20040095767 A KR20040095767 A KR 20040095767A KR 100568096 B1 KR100568096 B1 KR 100568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lock device
lock
sea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0547A (ko
Inventor
미즈쿠라유키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0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14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4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 E05B17/16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shaped as pins or key b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 Y10T70/5956Steering mechanism with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용 로크 장치에서, 이그니션 스위치 및 핸들 로크 장치로 이루어지는 콤비네이션·로크 장치용의 키를, 시트 로크 장치, 리드 로크 장치의 키로서 겸용하였을 때에, 키에 발생하는 응력을 작게 하는 동시에, 시트 로크 장치, 리드 로크 장치를 소형으로 하는 데에 있다.
핸들 로크 장치와는 별도로 수납실이나 시트 등의 부속물의 로크 및/또는 로크 해제를 행하는 시트 로크 장치(44)를 갖는 차량에서, 키의 삽입구멍으로서의 직사각형 구멍(91a)을 시트 로크 장치(44)의 샤프트부(83)의 선단에 설치한 아암(86) 근방까지 설치하여, 키 삽입시, 샤프트부(83)에 설치한 텀블러(75∼79)와 키(72)의 걸어맞춤 위치를 키(72)의 근원(根元) 부근이 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차량용 로크 장치{LOCKING DEVICE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로크 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로크 장치를 도시하는 제1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로크 장치를 도시하는 제2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로크 장치와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 콤비네이션·로크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로크 장치의 작용을 도시하는 제1 작용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로크 장치의 작용을 도시하는 제2 작용도,
도 7은 종래의 차량용 로크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종래의 리드 로크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시트 로크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 18 : 핸들
23 : 수납 박스(수납실) 34 : 시트
41 : 핸들 로크(콤비네이션·로크 장치) 42 : 리드
43, 44 : 로크 장치(리드 로크 장치, 시트 로크 장치)
72 : 키 75∼79 : 텀블러
83 : 인너 샤프트(샤프트부) 86, 121 : 조작 부재(아암, 캠)
154 : 이그니션 스위치(스위치부) 161a : 키의 삽입구멍(키 삽입구)
194 : 셔터(셔터 본체)
본 발명은, 차량용 로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로크 장치, 즉, 핸들의 조타를 로크하는 로크 장치로서, 이그니션 스위치와 결합하는 동시에 키 삽입구를 막는 셔터를 부설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참조).
(특허 문헌 1) 특허 제3431585호 공보
특허 문헌 1의 도 2를 이하의 도 7로 설명한다. 또한, 부호는 다시 붙인다.
도 7은 종래의 차량용 로크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로, 헤드 파이프(30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스티어링축(302)의 상단에 탑 플레이트(303)를 통해서 차량용 로크 장치로서의 스티어링 로크(304)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스티어링 로크(304)는, 이그니션 키(306)를 끼워 넣어서 돌렸을 때에, 키 실린더를 구비하는 로크 본체부(307)로부터 돌출된 로크 핀(308)과, 헤드 파이프(301)에 장착한 로크 플레이트(311)의 걸어맞춤(즉, 로크 상태이다)을, 로크 핀(308)을 로크 본체부(307) 내로 끌어 들임으로써 상기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것이고, 또, 로크 본체부(307)의 단부에 설치한 키 삽입구를 커버(312) 내에 설치한 셔 터(도시하지 않음)로 덮은 상태에서, 자석 키(313)로 셔터를 열어서 이그니션 키(306)를 로크 본체부(307) 내로 삽입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키 삽입구를 막는 셔터를 부설한 스티어링 로크(304)에서는, 셔터를 수납하는 커버(312)의 부분만 이그니션 키(306)가 길어진다.
그런데, 상기한 이그니션 키(306)는, 예를 들면, 차량에 설치한 수납부의 리드를 로크하거나(즉, 자물쇠를 채운다), 혹은 로크를 해제하는 리드 로크 장치나, 차량의 시트의 개폐를 로크하거나, 혹은 로크를 해제하는 시트 로크 장치를 위한 키를 겸하는 경우가 많다.
이하에, 리드 로크 장치 및 시트 로크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종래의 리드 로크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로, 리드 로크 장치(320)는, 바디(321)와, 이 바디(32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는 동시에 이그니션 키(306)(도 8도 참조)를 삽입하는 키 삽입구멍(323)을 개방한 키 실린더(324)와, 이 키 실린더(324)의 축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텀블러(326…)(…는 다수개를 나타낸다. 이하 동일)와, 키 실린더(324) 내에 이그니션 키(306)를 삽입하여 텀블러(326…)를 통해서 키 실린더(324)를 회전시켰을 때에, 이그니션 키(306)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리턴 스프링(328)과, 키 실린더(324)의 선단에 일체 성형한 인너 샤프트(331)에 장착한 캠(332)으로 이루어지며, 바디(321)를 리드에 직접 장착하는 것이다.
캠(332)은, 도시하지 않은 걸림부에 걸어 맞춤으로써, 리드를 로크 상태로 하고, 이그니션 키(306)를 돌려서 인너 샤프트(331)를 중심으로 하여 캠(332)을 회 전시킴으로써, 캠(332)과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을 해제한다, 즉, 리드의 로크를 해제한다.
도 9는 종래의 시트 로크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로, 시트 로크 장치(340)는, 바디(341)와, 이 바디(34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는 동시에, 이그니션 키(306)를 삽입하는 키 삽입구멍(343)을 개방한 키 실린더(344)와, 이 키 실린더(344)의 축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텀블러(346…)와, 키 실린더(344) 내에 이그니션 키(306)를 삽입하여 텀블러(346…)를 통해서 키 실린더(344)를 회전시켰을 때에, 이그니션 키(306)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리턴 스프링(348)과, 키 실린더(344)의 선단에 일체 성형한 인너 샤프트(351)에 장착한 아암(352)으로 이루어진다.
아암(352)은, 도시하지 않은 시트측에 설치한 로크 기구로부터 연장된 와이어의 선단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인너 샤프트(351)를 중심으로 하여 아암(352)을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를 당겨서 시트측의 로크 기구의 로크를 해제한다.
도 8에 도시한 리드 로크 장치(320)에서는, 스티어링 로크(304)(도 7 참조)보다도 텀블러(326)의 개수를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길이가 짧아지므로, 이그니션 키(306)의 선단부에 가까운 부분만을 텀블러(326…)에 삽입하게 되어, 이그니션 키(306)의 키 실린더(324)로부터의 돌출량이 커진다. 따라서, 이그니션 키(306)를 돌려서, 이 회전력을 텀블러(326…)를 통해서 키 실린더(324)에 전달할 때에, 이그니션 키(306)에 큰 모멘트 및 큰 전단력이 발생하여, 이그니션 키(306)의 응력이 커진다.
또, 도 9에 도시한 시트 로크 장치(340)에서는, 이그니션 키(306)의 키 실린더(344)로부터의 돌출량을 작게 하기 위해서 키 실린더(344)를 연장시켰기 때문에, 이것에 따라서 바디(341)가 길어져서, 시트 로크 장치(340)의 전체 길이가 커진다.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용 로크 장치에서, 이그니션 스위치 및 핸들 로크 장치로 이루어지는 콤비네이션·로크 장치용의 키를, 시트 로크 장치, 리드 로크 장치의 키로서 겸용하였을 때에, 키에 발생하는 응력을 작게 하는 동시에, 시트 로크 장치, 리드 로크 장치를 소형으로 하는 데에 있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핸들 로크와는 별도로 수납 박스나 시트 등의 부속물의 로크 및/또는 로크 해제를 행하는 로크 장치를 갖는 차량에 있어서, 키의 삽입구멍을 로크 장치의 인너 샤프트의 선단에 설치한 조작 부재 근방까지 설치하여, 키 삽입시, 인너 샤프트에 설치한 텀블러와 키의 걸어맞춤 위치를 키의 근원根元 부근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너 샤프트에 설치한 텀블러와 키의 걸어맞춤 위치를 키의 근원 부근이 되도록 하여, 인너 샤프트에 키를 근원까지 끼워 넣는 동시에, 텀블러를 키의 삽입구멍 근방에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키를, 키의 삽입구멍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셔터를 부설하는 동시에 이그니션 스위치를 장착하고 또한 핸들을 로크하는 자동 이륜차용 콤비네이션·로크 장치의 키와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개의 키로, 자동 이륜차용 콤비네이션·로크 장치, 인너 박스나 시트 등의 부속물의 로크 및/또는 로크 해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로크 장치를, 시트 로크 장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 로크 장치에 키를 근원까지 끼워 넣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로크 장치를, 수납 박스의 리드 로크 장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납 박스의 리드 로크 장치에 키를 근원까지 끼워 넣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서는, 키의 삽입구멍을 로크 장치의 인너 샤프트의 선단에 설치한 조작 부재 근방까지 설치하여, 키 삽입시, 인너 샤프트에 설치한 텀블러와 키의 걸어맞춤 위치를 키의 근원 부근이 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인너 샤프트에 키를 근원까지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키에 발생하는 모멘트 및 전단력을 작게 할 수 있고, 키의 응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텀블러를 키의 삽입구멍 근방에 배치할 수 있고, 로크 장치의 전체 길이를 작게 할 수 있어서, 로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서는, 키를, 키의 삽입구멍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셔터를 부설하는 동시에 이그니션 스위치를 장착하고 또한 핸들을 로크하는 자동 이륜차용 콤비네이션·로크 장치의 키와 겸용하기 때문에, 1개의 키로, 자동 이륜차용 콤비네이션·로크 장치, 인너 박스나 시트 등의 부속물의 로크 및/또는 로크 해제를 행할 수 있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서는, 로크 장치를, 시트 로크 장치로 하였기 때문에, 시트 로크 장치에 키를 근원까지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키에 발생하는 모멘트 및 전단력을 작게 할 수 있고, 키의 응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텀블러를 키의 삽입구멍 근방에 배치할 수 있고, 시트 로크 장치의 전체 길이를 작게 할 수 있어서, 시트 로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서는, 로크 장치를, 수납 박스의 리드 로크 장치로 하였기 때문에, 수납 박스의 리드 로크 장치에 키를 근원까지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키에 발생하는 모멘트 및 전단력을 작게 할 수 있고, 키의 응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텀블러를 키의 삽입구멍 근방에 배치할 수 있고, 인너 박스 로크 장치의 전체 길이를 작게 할 수 있어서, 인너 박스 로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도면은 부호의 방향에서 보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로크 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측면도로, 차량(10)은, 차체 프레임(11)의 앞단에 구비하는 헤드 파이프(12)에서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스티어링 샤프트의 하단에 프론트 포크(13)를 장착하고, 이 프론트 포크(13)에 링크 장치(14)를 통해서 전륜(16)을 장착하여, 전술한 스티어링 샤프트의 상단에 핸들 포스트(17)를 일체로 설치하고, 이 핸들 포스트(17)의 상부에 핸들(18)을 장착하여, 헤드 파이프(12) 및 핸들 포스트(17)의 전부를 프론트 커버(21), 후부를 프론트 인너 커버(22)로 덮고, 이 프론트 인너 커 버(22) 내에 수납실(23)을 설치한 스쿠터형의 자동 이륜차이다.
또, 차량(10)은, 차체 프레임(11)의 후부에서 엔진(26) 및 동력 전달부(27)로 이루어지는 파워 유닛(28)을 스윙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파워 유닛(28)의 후부에 후륜(31)을 장착하여, 파워 유닛(28)의 후단과 차체 프레임(11)의 후부에 리어 쿠션 유닛(32)을 걸쳐, 차체 프레임(11)의 후부 상부에 수납 박스(33)를 장착하고, 이 수납 박스(33)의 상부에 시트(34)를 개폐 가능하게 장착한 것이다.
도면 중의 41은 핸들 포스트(17)에 장착한 콤비네이션·로크 장치로, 이그니션 스위치와 핸들(17)의 조타를 로크하는 핸들 로크 장치를 결합한 부품이다.
42는 수납실(23)에 수납물을 출납하기 위해서 프론트 인너 커버(22)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한 리드이고, 43은 리드(42)를 폐쇄 상태로 자물쇠를 채우기(즉, 로크한다) 위해서 리드(42)에 장착한 리드 로크 장치이다.
44는 시트(34)을 폐쇄 상태로 자물쇠를 채우기 위해서, 차체 옆쪽을 덮는 바디 커버(46)에 장착한 시트 로크 장치이다.
또, 51은 핸들(18)을 덮는 핸들 커버, 52는 헤드 램프, 53은 운전자 및 동승자가 발을 올려 놓는 플로어 스텝, 54는 사이드 스탠드, 56은 메인 스탠드, 57은 수납 박스(33) 내에 수납한 헬멧, 58은 동승자가 붙잡는 그래브 레일, 61은 테일 램프, 62는 캬부레터, 63은 에어클리너, 64는 머플러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로크 장치를 도시하는 제1 단면도로, 로크 장치로서의 시트 로크 장치(44)를 나타낸다.
즉, 시트 로크 장치(44)는, 통형상의 바디(71)와, 이 바디(71) 내에 회전 가 능하게 수납하는 동시에 키(72)를 삽입하기 위해서 키 삽입구멍(73)을 개방한 키 실린더(74)와, 이 키 실린더(74)에 축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판형상의 텀블러(75∼79)와, 바디(71)에 대해서 키 실린더(74)를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키 실린더(74)에 키(72)를 삽입하여 돌렸을 때에 키 실린더(74)를 원래의 회전 위치로 되돌리는 리턴 스프링(81)과, 이 리턴 스프링(81)을 커버하기 위해서 바디(71)의 단부에 장착한 칼라(82)와, 키 실린더(74)의 선단에 일체로 설치한 샤프트부(83)에 비스(84)로 장착한 아암(86)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91은 키 실린더(74)의 일단에 장착하는 동시에 키(72)를 관통시키는 직사각형 구멍(91a)을 개방한 인너 커버, 92는 바디(71)의 단부를 덮는 아웃터 커버이다.
바디(71)는, 키 실린더(74)를 수납하는 실린더 수납구멍(95)을 구비하고, 이 실린더 수납구멍(95)에 키 실린더(74)의 회전축(96)을 따라서 연장되는 걸어맞춤 홈(97, 98)을 형성한 것이다.
키(72)는, 손으로 움켜쥐는 그립부(101)와, 이 그립부(101)로부터 연장된 중앙 연장부(102)와, 이 중앙 연장부(102)로부터 연장된 단부 연장부(103)로 이루어지고, 그립부(101)에 자석 키(104)를 구비하여, 단부 연장부(103)의 가장자리부에 홈부(72a∼72h)(양측의 가장자리부 중, 한쪽의 가장자리부의 홈부의 부호(72a∼72h)는 생략하였다)를 회전축(96)에 대해서 대칭으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72j는 중앙 연장부(102)와 단부 연장부(103)의 사이에 설치한 단부, 72k는 키(72)의 선단부이다.
키 삽입구멍(73)은, 바닥(73a)을 단면 V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키(72)의 V자 형상의 선단부(72k)와 거의 동일 형상으로 한 것이다.
키 실린더(74)는, 회전축(96)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롯(106…)을 형성한 부재이고, 이들의 슬롯(106…) 내에 텀블러(75∼79)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한다.
텀블러(75∼79)는, 키 삽입구멍(73)에 설치한 단부(73b)에 키(72)의 단부(72j)가 닿을 때까지 끼워 넣었을 때에, 키(72)의 홈부(72a∼72h)에 끼우는 직사각형 구멍(75a, 76a, 77a, 78a, 79a)을 개방한 것으로, 키(72)를 끼워 넣기 전에 바디(71)의 걸어맞춤 홈(97) 또는 걸어맞춤 홈(98)에 걸어맞춰져 있었던 텀블러(75∼79)를, 키(72)의 홈부(72a∼72h)가 텀블러(75∼79)의 직사각형 구멍(75a, 76a, 77a, 78a, 79a)에 끼움으로써, 각 텀블러(75∼79)가 이동하여, 텀블러(75∼79)와 걸어맞춤 홈(97, 98)의 걸어맞춤을 해제함으로써 바디(71)에 대해서 키 실린더(74)를 회전 가능하게 한다.
리턴 스프링(81)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일단을 바디(71)에 장착하고, 타단을 키 실린더(74)에 장착한 것이다.
아암(86)은, 샤프트부(83)에 끼워 맞추는 샤프트 끼워맞춤 구멍(111)을 개방한 끼워맞춤부(112)와, 이 끼워맞춤부(112)로부터 옆쪽으로 돌출시키는 동시에 장착구멍(113a, 114a)을 개방한 옆쪽 돌출부(113, 114)로 이루어지고, 와이어(116)의 선단에 장착한 원기둥 형상의 걸림부재(117)를 장착구멍(113a, 114a)에 맞물림 결합한다.
키 실린더(74)에 키(72)를 끼워 넣어서 돌리면, 샤프트부(83)를 중심으로 하 여 아암(86)이 요동하여, 도시하지 않은 시트측의 로크 기구에 연결한 와이어(116)를 당기기 때문에, 시트측의 로크 기구에 의한 시트 로크가 해제 상태가 되어, 시트(34)(도 1 참조)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키 삽입구멍(73)의 바닥(73a)은, 리턴 스프링(81)을 관통하여, 그 전방에 설치한 칼라(82)와 측면에서 볼 때 겹쳐지는 위치까지 또한 아암(86) 근방까지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 로크 장치(44)를, 시트 로크를 해제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시트 로크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로크 장치를 도시하는 제2 단면도로, 수납 박스의 로크 장치로서의 리드 로크 장치(43)를 나타낸다.
리드 로크 장치(43)는, 시트 로크 장치(44)(도 2 참조)의 아암(86)(도 2 참조)을 캠(121)으로 교환한 것, 즉, 샤프트부(83)에 비스(84)로 캠(121)을 장착한 것이다.
캠(121)은, 경사면(122, 123)과, 갈고리부(124, 126)와, 샤프트 끼워맞춤 구멍(111)을 구비하고, 수납실(23)(도 1 참조)의 내벽부에 설치한 걸림구멍에 갈고리부(124, 126)를 맞물림 결합한 것으로, 리드(42)(도 1참조)를 폐쇄 상태로 로크하여, 키 실린더(74)에 키(72)를 끼워 넣어서 돌림으로써, 상기의 걸림구멍과 갈고리부(124, 126)의 걸어맞춤을 해제함으로써, 리드(42)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경사면(122, 123)은, 개구폭을 탄성부재 등으로 가변으로 한 걸림구멍으로 캠(121)을 들어가기 쉽게 한 부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드 로크 장치(43)를, 리드 로크를 해제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리드 로크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로크 장치와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 콤비네이션·로크 장치의 단면도로, 콤비네이션·로크 장치(41)(이하「콤비록 장치(41)」라고 기재한다)는, 핸들 포스트(17)(도 1 참조)에 설치되어, 로크 핀을 헤드 파이프(12)(도 1 참조)측에 맞물림 결합한 것에 의해 핸들 로크를 행하는 것이다.
콤비록 장치(41)는, 통형상의 바디(131)와, 이 바디(13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한 키 실린더(132)와, 이 키 실린더(132)의 회전축(133)에 직교하도록 키 실린더(13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텀블러(135∼142)와, 키 실린더(132)의 단부에 일체로 설치한 크랭크 축(145)과, 이 크랭크 축(145)의 크랭크 핀(146)에 스윙 가능하게 연결한 コ자형상의 플레이트(147)와, 이 コ자형상의 플레이트(147)에 장착한 로크 핀(148)과, 키 실린더(132)의 측면에 설치한 가이드 홈(151)에 삽입하기 위해서 바디(131)에 장착한 가이드 핀(152)과, 바디(131)의 일단에 씌운 바디 커버(153)와, 바디(131)의 타단측에 설치한 스위치부(15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131a는 키 실린더(132)를 수납하는 실린더 수납구멍, 131b, 131c는 텀블러(135∼142)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홈, 131d는 스위치부(154)를 수납하기 위해서 바디(131)의 단부에 설치한 바디 오목부, 131e는 크랭크 축(145)의 단부를 지지하는 축 지지 구멍, 132a∼132h는 텀블러(135∼142)를 삽입하기 위해서 키 실린더(132)에 설치한 슬롯, 132j는 키(72)의 단부(72j)를 받치기 위해서 키 실린더(132)에 설치한 단부, 132k는 키(72)를 삽입하기 위해서 키 실린더(132)에 설치한 키 삽입구멍, 158은 로크 핀(148)과 걸어맞추기 위해서 헤드 파이프(12)(도 1 참조)에 장착한 로크 플레이트, 161은 키 실린더(132)의 단부에 장착한 실린더 커버이다.
스위치부(154)는, 크랭크 축(145)의 단부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또한 크랭크 축(145)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통형상의 회동부(164)와, 이 회동부(164)로부터 돌출시킨 단부 축부(165)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또한 단부 축부(165)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 가동 접점(166)과, 이 가동 접점(166)에 접하는 고정 접점(167, 168)과, 이들의 고정 접점(167, 168)을 지지하기 위해서 바디(131)의 바디 오목부(131d)의 개구부측에 장착한 접점 지지 부재(171)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174…, 175…(도면에서는 부호 174, 175는 각각 하나만 나타낸다)는 키(72)를 돌렸을 때에 키 실린더(132), 크랭크 축(145) 및 가동 접점(166)을 소정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걸어맞춤 오목부 및 이 걸어맞춤 오목부에 끼우는 걸어맞춤 볼, 176은 걸어맞춤 볼(175)을 걸어맞춤 오목부(174) 내로 가압하는 스프링, 177은 회동부(164)를 접점 지지 부재(171)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178은 스프링(177)의 일단을 받치는 스프링 받침, 181은 가동 접점(166)을 고정 접점(167, 168)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182, 183은 고정 접점(167, 168)에 접속한 도선이다.
또, 190은, 콤비록 장치(41)의 실린더 커버(161)에 설치한 직사각형 형상의 키 삽입구(161a)를 막기 위한 셔터 장치이다.
셔터 장치(190)는, 키(72)가 관통하는 관통구멍(191)을 개방한 베이스부 (192)와, 이 베이스부(192)에 설치한 볼록형상 축부(193)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한 셔터 본체(194)와, 이들의 베이스부(192) 및 셔터 본체(194)를 덮는 동시에 키(72)가 관통하는 관통구멍(196)을 개방한 커버 부재(197)로 이루어진다.
베이스부(191)의 볼록형상 축부(193)는, 각각 자석(201) 및 이 자석(201)을 셔터 본체(194)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02)을 수납하는 자석 수납 오목부(203, 203)를 구비한다.
셔터 본체(194)는, 베이스부(191)의 볼록형상 축부(193)가 끼워맞추는 셔터측 오목부(205)를 구비하고, 이 셔터측 오목부(205)의 바닥에 자석(201, 201)이 걸어맞춰지는 자석 걸어맞춤 오목부(206, 206)를 형성하여, 셔터측 오목부(205)에 근접한 위치에, 커버 부재(197)로 개방된 관통구멍(207)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맞추는 자석 키 결합 볼록부(208)를 형성하고, 이 자석 키 결합 볼록부(208)에, 키(72)의 자석 키(104)를 삽입하는 자석 키 삽입구멍(211)을 설치한 것이다.
커버 부재(197)는, 핸들 포스트(17)(도 1 참조)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멍(215)을 구비한다.
자석을 구비하는 자석 키(104)를 자석 키 삽입구멍(211)에 삽입하면, 자석 키(104)의 자석과, 셔터 본체(194)의 자석(201, 201)이 서로 반발하여, 자석(201, 201)이 스프링(202, 202)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자석 수납 오목부(203, 203) 내에 밀어 넣어져서, 자석(201, 201)이 셔터 본체(194)의 자석 걸어맞춤 오목부(206, 206)로부터 떨어지기 때문에, 자석 키(104)를 돌렸을 때에 베이스부(192)에 대해서 셔터 본체(194)가 요동하여, 키 실린더(132)의 키 삽입구(161a)를, 베이스부(192) 의 관통구멍(191), 커버부재(197)의 관통구멍(196)을 통해서 외부로 개방된 상태가 되어, 관통구멍(196), 관통구멍(191), 키 삽입구(161a) 및 키 삽입구멍(132k)에 키(72)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 서술한 로크 장치의 작용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관한 로크 장치의 작용을 도시하는 제1 작용도로, (a)는 비교예 1, (b)는 비교예 2, (c)는 실시예(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a)에서, 비교예 1의 로크 장치(360)는, 바디(71)와, 이 바디(7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는 동시에 키(72)를 삽입하기 위해서 키 삽입구멍(361)을 개방한 키 실린더(362)와, 이 키 실린더(362)에 축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텀블러(75∼79)와, 리턴 스프링(81)과, 칼라(82)와, 샤프트부(83)에 비스(84)로 장착한 아암(86)으로 이루어진다.
키 실린더(362)의 키 삽입구멍(361)의 바닥(361a)은 텀블러(79)에 가까운 위치에 있고, 키 삽입구멍(361)에 키(72)를 끼워 넣었을 때에, 키(72)의 선단부에 가까운 부분에서만 텀블러(75∼79)를 돌리는 구조이기 때문에, 로크 장치(360)로부터 키(72)가 크게 돌출된다. 키 실린더(362)의 단부에 장착한 인너 커버(91)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량(즉, 인너 커버(19)와 그립부(101)의 거리이다)을 LP1로 한다. 또, 로크 장치(360)의 전체 길이를 LB1로 한다.
(b)에서, 비교예 2의 로크 장치(370)는, 바디(371)와, 이 바디(371) 내에 설치한 키 실린더(372)와, 이 키 실린더(372)에 설치한 텀블러(75∼79)와, 리턴 스프 링(81)과, 키 실린더(372)에 일체로 설치한 샤프트부(373)에 장착한 아암(86)과, 키 실린더(372)의 단부에 장착한 인너 커버(91)와, 바디(371)의 단부에 장착한 아웃터 커버(92)로 이루어지고, (a)에 나타낸 비교예 1의 로크 장치(360)에 대해서 바디(371) 및 키 실린더(372)를 연장한 것이다.
이 로크 장치(370)에서는, 바디(371) 및 키 실린더(372)를 연장함으로써, 로크 장치(370)로부터의 키(72)의 돌출량(LP2)은 돌출량(LP1)((a) 참조)보다도 작아지지만, 로크 장치(370)의 전체 길이(LB2)는 전체 길이(LB1)((a) 참조)보다도 커진다.
상기의 (a), (b)에 나타낸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대해서, (c)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시트 로크 장치(44)에서는, 키 삽입구멍(73)을 키 실린더(74)의 샤프트부(83)에 장착한 아암(86) 근방까지 설치하여, 키(72)를 키 삽입구멍(73)에 삽입하였을 때에, 텀블러(75∼79)와 키(72)의 걸어맞춤 위치를 키(72)의 근원 부근이 되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해, 키(72)의 시트 로크 장치(44)로부터의 돌출량(LP2)을 작게 하는 동시에, 시트 로크 장치(44)의 전체 길이(LB1)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6(a), (b)는 본 발명에 관한 로크 장치의 작용을 도시하는 제2 작용도로, (a), (b) 모두 텀블러(75∼79)에 키(72)를 걸어맞춘 상태를 키(72)의 가장자리부측에서 본 도면이다.
(a)에서, 로크 장치(360)로부터의 키(72)의 돌출량(LP1)이 크면, 그립부(101)를 움켜쥐고 키(72)를 돌릴 때에 키(72)에 비틀림력이 작용한다.
여기에서는, 이 비틀림력에 의해서 키(72)를 비트는 것을, 힘(F)에 의해서 키(72)라는 외팔보 변형하는 것에 상당하는 것으로 하면, 키(72)의 고정 지지점(S)(즉, 도 2에 도시한 키 삽입구(161a)에 상당한다)에서의 굽힘 모멘트(M1)는, M1=F·LP1이 된다.
(b)에서, 시트 로크 장치(44)로부터의 키(72)의 돌출량(LP2)이 작을 때에, 키(72)의 고정 지지점(S)에서의 모멘트(M2)는, M2=F·LP2가 되고, LP2<LP1이기 때문에, M2<M1이 된다.
(a), (b)에서, 시트 로크 장치(44)에 끼워 넣은 키(72)의 굽힘 모멘트(M2)가 로크 장치(360)에 끼워 넣은 키(72)의 굽힘 모멘트(M1)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시트 로크 장치(44)에서의 키(72)의 굽힘 응력이 작아진다. 또, 키(72)의 전단력도 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시트 로크 장치(44)에서의 키(72)의 전단 응력도 보다 작아진다.
이상의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번째로, 핸들 로크로서의 콤비네이션·로크 장치(41)와는 별도로 수납 박스로서의 수납실(23)이나 시트(34) 등의 부속물의 로크 및/또는 로크 해제를 행하는 리드 로크 장치(43) 및 시트 로크 장치(44)를 갖는 차량(10)에서, 키의 삽입구멍으로서의 직사각형 구멍(91a)을 리드 로크 장치(43) 또는 시트 로크 장치(44)의 인너 샤프트로서의 샤프트부(83)의 선단에 설치한 조작 부재로서의 캠(121), 아암(86) 근방까지 설치하여, 키 삽입시, 샤프트부(83)에 설치한 텀블러(75∼79)와 키(72)의 걸어맞춤 위치를 키 (72)의 근원 부근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샤프트부(83)에 키(72)를 근원까지 끼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키(72)에 발생하는 모멘트 및 전단력을 작게 할 수 있고, 키(72)의 응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텀블러(75∼79)를 직사각형 구멍(91a) 근방에 배치할 수 있고, 리드 로크 장치(43) 및 시트 로크 장치(44)의 전체 길이를 작게 할 수 있어서, 리드 로크 장치(43) 및 시트 로크 장치(44)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번째로, 키(72)를, 직사각형 구멍(91a)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셔터로서의 셔터 본체(194)를 부설하는 동시에 이그니션 스위치로서의 스위치부(154)를 장착하고 또한 핸들(18)을 로크하는 자동 이륜차용 콤비네이션·로크 장치(41)의 키(72)와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키(72)를, 직사각형 구멍(91a)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셔터 본체(194)를 부설하는 동시에 스위치부(154)를 장착하고 또한 핸들(18)을 로크하는 자동 이륜차용 콤비네이션·로크 장치(41)의 키(72)와 겸용하기 때문에, 1개의 키(72)로, 자동 이륜차용 콤비네이션·로크 장치(41), 수납실(23)이나 시트(34) 등의 부속물의 로크 및/또는 로크 해제를 행할 수 있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번째로, 로크 장치를, 시트 로크 장치(44)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로크 장치를, 시트 로크 장치(44)로 하였기 때문에, 시트 로크 장치(44)에 키(72)를 근원까지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키(72)에 발생하는 모멘트 및 전단력을 작게 할 수 있고, 키(72)의 응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텀블러(75∼79)를 직사각형 구멍(91a) 근방에 배치할 수 있고, 시트 로크 장치(44)의 전체 길이를 작게 할 수 있어서, 시트 로크 장치(44)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네번째로, 로크 장치를, 리드 로크 장치(43)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로크 장치를, 리드 로크 장치(43)로 하였기 때문에, 리드 로크 장치(43)에 키(72)를 근원까지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키(72)에 발생하는 모멘트 및 전단력을 작게 할 수 있고, 키의 응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텀블러(75∼79)를 직사각형 구멍(91a) 근방에 배치할 수 있고, 리드 로크 장치(43)의 전체 길이를 작게 할 수 있어서, 리드 로크 장치(43)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크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연료 탱크의 캡을 로크하거나, 혹은 로크를 해제하는 장치로도 지장이 없다.
본 발명의 차량용 로크 장치는, 이륜차, 사륜차에 적합하다.

Claims (4)

  1. 핸들 로크와는 별도로 수납 박스나 시트 등의 부속물의 로크 및/또는 로크 해제를 행하는 로크 장치를 갖는 차량에 있어서,
    키의 삽입구멍을 상기 로크 장치의 인너 샤프트의 선단에 설치한 조작 부재 근방까지 설치하여, 키 삽입시, 상기 인너 샤프트에 설치한 텀블러와 키의 걸어맞춤 위치를 키의 근원(根元) 부근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키의 삽입구멍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셔터를 부설하는 동시에, 이그니션 스위치를 장착하고 또한 핸들을 로크하는 자동 이륜차용 콤비네이션·로크 장치의 키와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장치는, 시트 로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장치는, 수납 박스의 리드 로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로크 장치.
KR1020040095767A 2003-11-25 2004-11-22 차량용 로크 장치 KR100568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94592A JP4503991B2 (ja) 2003-11-25 2003-11-25 キーを備えた車両用ロック装置
JPJP-P-2003-00394592 2003-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547A KR20050050547A (ko) 2005-05-31
KR100568096B1 true KR100568096B1 (ko) 2006-04-05

Family

ID=3451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767A KR100568096B1 (ko) 2003-11-25 2004-11-22 차량용 로크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60027003A1 (ko)
EP (1) EP1541788B1 (ko)
JP (1) JP4503991B2 (ko)
KR (1) KR100568096B1 (ko)
CN (1) CN100586782C (ko)
BR (1) BRPI0405117B1 (ko)
CA (1) CA2487213C (ko)
DE (1) DE602004001566T2 (ko)
MX (1) MXPA04011540A (ko)
TW (1) TWI2643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30752B2 (en) * 2006-03-13 2010-06-08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Theft prevention apparatus for leisure vehicle
JP4989263B2 (ja) * 2007-03-15 2012-08-01 三洋電機株式会社 電動車両
EP1970295B1 (en) * 2007-03-16 2017-06-07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Motorcycle locking mechanism
WO2012046477A1 (ja) * 2010-10-08 2012-04-12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用キーおよびアンサーバック装置
JP6034272B2 (ja) * 2013-09-30 2016-11-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緊急解錠装置
AU2015333550B2 (en) * 2014-10-16 2020-08-20 David Frank BORENSTEIN Magnetic key assembly
CN111101754A (zh) * 2018-10-26 2020-05-05 北京悠膳信息技术有限公司 锁壳、车锁及车辆
CN111101755B (zh) * 2018-10-26 2024-03-15 北京骑胜科技有限公司 锁壳、车锁及车辆
JP7373534B2 (ja) * 2021-09-30 2023-11-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収納ボックスのロック機構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7156A (en) * 1966-05-25 1968-02-06 Gen Motors Corp Lock cylinder assembly
DE7337299U (de) * 1972-10-20 1976-05-20 Neiman & Co Kg, 5600 Wuppertal Druckknopfbetaetigtes riegelschloss
ES8105434A1 (es) * 1980-06-09 1981-05-16 Gomez Olea Navera Mariano Perfeccionamientos en sistemas de cerraduras magnetico-elec-tronicas
JPS6136454U (ja) * 1984-08-07 1986-03-06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リヤシ−トバツクロツク装置
JPH0674066B2 (ja) * 1986-11-12 1994-09-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バツグの集中ロツク装置
JPH0625579Y2 (ja) * 1987-08-07 1994-07-06 株式会社本田ロック シリンダ錠
FR2631067B1 (fr) * 1988-05-04 1991-02-08 Neiman Sa Verrou a rotor debrayable
US5182929A (en) * 1989-06-05 1993-02-02 Fort Lock Corporation Method of providing a universal keyway lock and plug therefor
US5134871A (en) * 1989-10-20 1992-08-04 U-Shin Ltd. Cylinder lock
DE4102714C2 (de) * 1990-01-31 1995-06-14 Suzuki Co Ltd Elektrische Anlage für ein Motorrad
DE9012267U1 (ko) * 1990-08-25 1991-12-19 Wolter, Heinz, 5067 Kuerten, De
US5265455A (en) * 1992-07-06 1993-11-30 Briggs & Stratton Corp. Cylinder lock and key set with reversible key
PH31017A (en) * 1992-08-13 1997-12-29 Emhart Inc Key for use with 5-pin and 6-pin door locks.
JP3345445B2 (ja) * 1992-11-30 2002-11-18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キーシステム
JP2832235B2 (ja) * 1993-03-23 1998-12-09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トランク用扉のロック装置
JP3585550B2 (ja) * 1994-02-03 2004-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キースイッチ装置
GB2290342B (en) * 1994-06-03 1998-04-22 Strattec Security Corp Tumblerless automobile ignition lock
ES2136478B1 (es) * 1995-03-21 2000-05-01 Talleres Escoriaza Sa Nuevo sistema de cerradura.
JP3587409B2 (ja) * 1996-03-26 2004-11-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盗難検出機構及び盗難防止装置
JPH108796A (ja) * 1996-06-20 1998-01-13 Takigen Mfg Co Ltd ドリル破壊防止型錠装置
US5970762A (en) * 1996-10-10 1999-10-26 Fort Lock Corporation Lock plug assembly and a tumbler with a bent-over end therefor
US5943890A (en) * 1996-10-31 1999-08-31 Medeco Security Locks, Inc. Cylinder lock and key assembly and hierarchical system therefor
US6079240A (en) * 1998-07-24 2000-06-27 Arrow Lock Manufacturing Company Modular removable core cylinder assembly
US6523382B1 (en) * 1998-09-08 2003-02-25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Free wheeling lock assembly
JP3331358B2 (ja) * 1998-09-30 2002-10-07 朝日電装株式会社 車両用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US6237710B1 (en) * 1998-10-26 2001-05-29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Locking arrangement for motorcycle
US6263713B1 (en) * 1999-03-03 2001-07-24 Master Lock Company Shearable lock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JP3737332B2 (ja) * 2000-03-14 2006-01-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の物品収納構造
US6523381B1 (en) * 2000-03-31 2003-02-25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Lock with a center gap sidebar
JP4070960B2 (ja) * 2001-01-10 2008-04-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ロック開錠装置
JP4499321B2 (ja) * 2001-09-18 2010-07-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用シートロック解除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4011540A (es) 2005-08-16
BRPI0405117A (pt) 2005-06-28
US20060027003A1 (en) 2006-02-09
JP4503991B2 (ja) 2010-07-14
DE602004001566D1 (de) 2006-08-31
DE602004001566T2 (de) 2007-06-28
EP1541788A1 (en) 2005-06-15
CA2487213A1 (en) 2005-05-25
CA2487213C (en) 2008-01-22
JP2005155148A (ja) 2005-06-16
EP1541788B1 (en) 2006-07-19
BRPI0405117B1 (pt) 2014-11-04
CN1621295A (zh) 2005-06-01
CN100586782C (zh) 2010-02-03
TWI264398B (en) 2006-10-21
TW200518979A (en) 2005-06-16
KR20050050547A (ko) 2005-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640B1 (ko) 차량용 로크 장치
US8959964B2 (en) Oute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JP3816290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シート取付け構造
JP4070960B2 (ja) シートロック開錠装置
JP2000352232A (ja) 電子キイ構造
KR100568096B1 (ko) 차량용 로크 장치
KR20010091942A (ko) 스쿠터형 차량의 물품수납구조
JP2001182409A (ja) アンチセフト機構付車両ドアラッチ装置におけるワンモーション開扉機構
CN112601872B (zh) 车门的外把手装置
JP6034047B2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JP4733429B2 (ja) ロック解除装置
JP4499321B2 (ja) 鞍乗り型車用シートロック解除構造
JP4073642B2 (ja) 車両用上下開閉ドアのロック装置
US6761383B2 (en) Tailgate latch for vehicles
JPWO2020203801A1 (ja) 鞍乗り型車両
US20230100618A1 (en) Lock mechanism of a storage box
JP2015067238A (ja) 車両の緊急解錠装置
CN113544051B (zh) 鞍乘型车辆
JP6070978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2012025195A (ja) 車両用ドア及び車両用ドアの組立方法
JPS5910282Y2 (ja) 車両用ドア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機構
JP2603728Y2 (ja) 傘立て用錠前
JP2001301673A (ja) 自動二輸車のロック装置
JP2004300664A (ja) 二輪車の車輪ロック装置
JP2009264012A (ja) 施錠・解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