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685B1 - 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685B1
KR100554685B1 KR1019980034070A KR19980034070A KR100554685B1 KR 100554685 B1 KR100554685 B1 KR 100554685B1 KR 1019980034070 A KR1019980034070 A KR 1019980034070A KR 19980034070 A KR19980034070 A KR 19980034070A KR 100554685 B1 KR100554685 B1 KR 100554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agent
agent composition
photoresist
resist release
dry 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334A (ko
Inventor
다케도 마루야마
히사키 아베
데츠야 가리타
데츠오 아오야마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29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42Stripping or agents therefor
    • G03F7/422Stripping or agents therefor using liquids only
    • G03F7/425Stripping or agents therefor using liquids only containing mineral alkaline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basic compounds, e.g.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bas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8Preparation processes not covered by groups G03F1/20 - G03F1/50
    • G03F1/80Etch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34Imagewise removal by selective transfer, e.g. peeling aw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42Stripping or agents therefor
    • G03F7/422Stripping or agents therefor using liquids on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42Stripping or agents therefor
    • G03F7/427Stripping or agents therefor using plasma mean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57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 H01L21/02068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during, before or after processing of conductive layers, e.g. polysilicon or amorphous silicon layers
    • H01L21/02071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during, before or after processing of conductive layers, e.g. polysilicon or amorphous silicon layers the processing being a delineation, e.g. RIE, of conductive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무기질기체상에 도포된 포토레지스트막 또는 무기질기체상에 도포된 포토레지스트막의 드라이에칭 후에 잔존하는 포토레지스트층 또는 드라이에칭 후에 회화공정을 행하여 잔존하는 포토레지스트잔재 등을 저온에서 또한 단시간에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고 그 때 배선재료를 부식시키지 않고 초미세가공이 가능하며 고정밀도의 회로배선을 제조할 수 있는 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제4급암모늄수산화물과 수용성아민과 알킬피롤리돈으로 된 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 및 다시또 부식방지제를 함유하는 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

Description

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
본 발명은 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반도체집적회로 또는 액정표시장치의 배선공정에 사용되는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박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집적회로는 무기질기체상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여 노광·현상에 의해 패턴을 형성하여 이어서 그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mask)로 해서 비마스크 영역의 무기질기체의 에칭(etching)을 행하여 미세회로를 형성한 후 상기한 포토레지스트를 무기질기체상으로부터 박리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무기질기체상에 잔존하는 포토레지스트는 박리제로 직접 박리시키는 방법에 의해 혹은 회화공정(ashing)을 행하여 유기성분을 가스화시켜서 제거한 후 다시또 잔존하는 포토레지스트잔재를 박리제로 박리시키는 방법등에 의해 제거된다. 포토레지스트박리제가 박리시키는 대상물은 무기질기체상에 도포되는 포토레지스트막, 또 무기질기체상에 도포되는 포토레지스트막을 드라이에칭(dry etching)후에 잔존하는 포토레지스트층, 혹은 드라이에칭후에 회화공정을 행하여 잔존하는 포토레지스트잔재이다. 이들 포토레지스트막, 포토레지스트층, 포토레지스트 잔재를 이하 포토레지스트 잔재물이라 총칭한다.
종래에 상기한 방법에 사용되는 포토레지스트박리제로서는 산성박리제와 알칼리성박리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있다. 산성박리제의 예로서는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크실렌술폰산등의 아릴술폰산류, 페놀류, 및 염소계유기용제로 된 박리제(미국특허 3582401호), 나프탈렌 등의 방향족탄화수소류, 페놀류, 및 아릴술폰산류로된 박리제(일본국 특개소 62-35357호)등을 들 수가 있다.
이들 산성박리제는 박리력이 약하고 또 배선재료에 많이 사용되는 알루미늄 및 구리에 대한 부식작용이 강하므로 근년의 치수정밀도(설계규정)가 엄격한 미세가공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또 이들 산성박리제는 물에대한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포토레지스트 박리 후에 알코올과 같은 유기용제로 린스(rinse)하고 이어서 수세를 행할 필요가있고 공정이 번잡하게 되는 등의 문제를 갖고 있다.
한편 알칼리성박리제의 예로서는 알칸올아민 또는 폴리알킬렌폴리아민의 에틸렌옥사이드부가물, 술폰화합물 및 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로 된 박리제(일본국 특개소 62-49355호), 디메틸술폭시드를 주성분으로하고 디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 및 질소함유유기히드록시 화합물로 된 박리제(일본국 특개소 64-42653호)등을 들 수가 있다.
상기한 알칼리성박리제는 산성박리제에 비해 포토레지스트 잔재물 등에 대한 박리력이 높고 또한 배선재료등에 대한 부식작용도 억제되어있다. 그러나 근년의 미세가공기술에 있어서는 배선재료의 에칭조건이 점점 엄격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사용한 포토레지스트의 변질이 다시또 격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알칼리성박리제에서는 박리성이 불충분하며 포토레지스트 잔재물 등이 무기질기체상에 잔존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 또 동시에 배선폭이 보다 좁게 되어가고 있는 것으로부터 박리공정에 있어서의 배선에 대한 손상을 다시또 감소시킬 필요가 있지만 이 관점으로부터도 종래의 알칼리성박리제의 성능은 불충분하다. 또 종래의 알칼리성박리제는 80℃이상의 고온에서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증기나 안개 등의 발생이 많고 작업환경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알칸올아민류 또는 알콕시아민류 또는 알콕시알칸올아민류, 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 당류,또는 당알코올류, 제4급암모늄수산화물 및 물로 된 박리제(일본국 특개평 8-262746)나 알칸올아민류 또는 알콕시아민류, 또는 알콕시알칸올아민류, 산아미드류, 당류, 또는 당알코올류 및 물로 된 박리제(일본국특개평 8-202051)가 제안되어 있으나 또한 포토레지스트 잔재물 등의 제거가 불충분하다. 따라서 박리력이 우수하고 무기질 기체에서의 배선재료의 부식을 유발하지 않는 박리액이 요구되고 있다.
다시또 작업의 간편화에 관한 박리조건에 관해서도 박리온도의 저온화, 박리시간의 단시간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상기와 같은 박리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무기질기체상에 도포된 포토레지스트막, 또 무기질기체상에 도포된 포토레지스트막을 드라이에칭한 후에 잔존하는 포토레지스트층, 혹은 드라이에칭 후에 회화공정을 행하여 잔존하는 포토레지스트 잔재 등을 저온으로 또한 단시간에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가 있고 그때 배선재료를 전혀 부식시키지 않고 초미세가공을 행할 수가 있고 고정밀도의 회로배선을 제조할 수 있는 포토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발명자 등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제4급암모늄수산화물과 수용성아민과 알킬피롤리돈으로 된 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 또는 그 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에 부식방지제를 첨가한 것이 반도체 집적회로의 배선공정에 있어서의 포토레지스트 잔재물 등을 저온으로 또한 단시간에 용이하게 박리시킬수 있고 상기 박리제조성물이 배선재료를 전혀 부식시키지 않는 비부식성과 작업의 간편성을 구비한 극히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을 발견해서 본발명에 도달했다. 즉 본발명은 제4급암모늄수산화물과 수용성아민과 알킬피롤리돈으로 된 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 또는 제4급암모늄수산화물과 수용성아민과 알킬피롤리돈과 부식방지제로 된 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에 사용되는 제4급암모늄수산화물로서는 예를들면 테트라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 테트라에틸암모늄히드록시드, 테트라프로필암모늄히드록시드, 테트라부틸암모늄히드록시드, 트리메틸에틸암모늄히드록시드, 디메틸디에틸암모늄히드록시드, 트리메틸(2-히드록시에틸)암모늄히드록시드, 트리에틸(2-히드록시에틸)암모늄히드록시드등을 들 수가 있다.
이들 제4급암모늄수산화물 중에서 특히 테트라메틸암모늄히드록시드(이하, 'TMAH') 및 트리메틸(2-히드록시에틸)암모늄히드록시드(이하, '콜린')가 아주 적당하다.
이들 제4급암모늄수산화물의 농도의 범위는 전체용액중 0.1∼1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중량%이다.
본발명에 사용되는 수용성아민으로서는 알칸올아민, 폴리아민, 구핵아민을 들 수가 있다. 본발명에서 사용되는 알칸올아민으로서는 예를들면 에탄올아민, N-메틸에탄올아민, N,N-디메틸에탄올아민, N-에틸에탄올아민, N,N-디메틸에탄올아민, 프로판올아민, N-메틸프로판올아민, N,N-디메틸프로판올아민, 2-(2-아미노에톡시)에탄올, 2-아미노-1-프로판올, 1-아미노-2-프로판올 등을 들 수가 있다.
본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아민으로서는 예를들면 에틸렌디아민,트리메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펜타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헵타메틸렌디아민, 옥타메틸렌디아민등의 디아민류, 및 이들 디아민류의 N-알킬치환디아민류, 또 1, 2, 3-트리아미노프로판, 트리스(2-아미노에틸)아민, 테트라(아미노메틸)메탄등의 다가아민류, 다시또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테트라에틸렌펜타민, 헵타에틸렌옥타민, 노난에틸렌데카민, 헥사메틸렌테트라민, 비스(3-아미노에틸)아민등의 폴리알킬렌폴리아민등을 들 수가 있다.
본발명에 사용하는 구핵아민으로서는 예를들면 히드라진, N,N-디메틸히드라진, 히도록실아민, 디에틸히드록실아민 등을 포함한다. 상기한 알칸올아민, 폴리아민, 구핵아민의 농도범위는 전체용액중 1∼90중량%, 바람직하게는 5∼70중량%이다.
본발명에 사용되는 알킬피롤리돈으로서는 N-메틸피롤리돈, N-에틸피롤리돈, N-프로필피롤리돈, N-부틸피롤리돈, N-옥틸피롤리돈을 포함하며 이들 N-알킬피롤리돈중에서는 특히 N-메틸피롤리돈이 아주 적당하다.
본발명에 사용되는 알킬피롤리돈의 농도범위는 전체용액중 10∼90중량%, 바람직하게는 20∼70중량%이다.
본발명의 포토레지스트박리제에는 무기질기체를 부식으로부터 보호할목적으로 필요에따라 부식방지제를 첨가한다.
본발명에 사용되는 부식방지제로서는 예를들면 글리세린알데히드, 트레오스, 아라비노스, 크실로스, 리보스, 리블로스, 크실루로스, 글루코스, 만노스, 갈락토스, 타가토스, 알로스, 알트로스, 굴로스, 이도스, 탈로스, 소르보스, 프시코스, 및 과당등의 당류, 혹은 트레이톨, 에리스리톨, 아도니톨, 아라비톨, 크실리톨, 탈리톨, 소르비톨, 만니톨, 이디톨, 둘시톨등의 당알코올류를 포함한다. 이들 당류 및 당알코올류중에서 특히 글루코스, 만노스, 갈락토스, 소르비톨, 만니톨, 크실리톨 등이 아주 적당하다.
다시또 카테콜, 피로카테콜, 안트라닐, O-히드록시아닐린, 1,2-히드록시시클로헥산, 갈륨, 갈륨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가 있다. 이들 부식방지제의 농도범위는 0.1∼15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5~10중량%이다.
본발명의 포토레지스트박리제로 포토레지스트잔재물등의 박리를 행하는때에는 필요에따라 상온이상의 가열 혹은 초음파등을 병용할 수가 있다. 본발명의 포토레지스트박리제에 의한 처리방법은 침지법이 일반적이지만 기타의 방법, 예를들면 스프레이에 의한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본발명의 포토레지스트박리제에의한 처리후의 린스액으로서는 알코올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해도되고 혹은 초순수만이라도 된다. 또 알코올등의 유기용매와 초 순수와의 혼합액을 사용할수도 있다.
본발명이 적용되는 반도체집적회로 또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무기질기체로서는 a-실리콘, 폴리실리콘, 실리콘산화막, 실리콘질화막,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티탄, 티탄-텅스텐, 질화티탄, 텅스텐, 탄탈, 탄탈산화물, 탄탈합금, 크롬, 크롬산화물, 크롬합금, ITO(인듐-주석산화물)등의 반도체배선재료 혹은 단결정실리콘, 또는 갈륨-비소, 갈륨-인, 인듐-인등의 화합물반도체 다시또 LCD의 유리기판등을 들 수가 있다.
상기한 무기질기체중에서 종래의 알칼리성박리액에의해 특히 부식되기쉬운 실리콘, a-실리콘, 폴리실리콘,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티탄에 대해서 본발명의 포토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은 이들 무기질 기체를 부식시키지 않고 아주 적당히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토레지스트 박리제 조성물에 의하면, 무기질 기체 상에 도포된 포토레지스트막, 드라이에칭 후에 잔존하는 포토레지스트층 및 회화공정 후의 포토레지스트 잔재물을 저온에서 단시간에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고 그 때 배선재료를 전혀 부식시키지 않고 초미세가공을 행할 수 있고 고정밀도의 회로배선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의해 본발명을 다시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하등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포토레지스트막(4)을 마스크로해서 드라이에칭을 행하여 알루미늄배선체(3)를 형성한 반도체장치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반도체장치기판(1)은 산화막(2)으로 피복되어있고 또 드라이에칭시에 측면벽보호퇴적막(5)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1∼12
도 1의 반도체장치를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의 박리제에 소정시간 침지시킨후 초순수로 린스해서 건조시켜서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을 행했다. 포토레지스트막(4) 및 측면벽보호퇴적막(5)의 박리상태와 알루미늄(Al)배선체(3)의 부식상태에 대해서의 평가를 행한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SEM관찰에의한 평가기준은 다음과같다. 다음에 기재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있어서도 이 평가기준을 사용했다.
(박리상태) ◎ : 완전히 제거되었다.
○ : 거의 완전히 제거되었다.
△ : 일부잔존이 확인되었다.
× : 대부분 잔존하고있었다.
(부식상태) ◎ : 부식이 전혀 확인되지않았다.
○ : 부식이 거의 확인되지않았다.
△ : 일부 부식이 확인되었다.
× : 심한 부식이 확인되었다.
TMAH :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로옥사이드
콜린 : 2-히드록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NMP : N-메틸피롤리돈
비교예 1∼8
도 1의 반도체장치를 표 2에 나타내는 조성의 박리제에 소정시간 침지시킨후 초순수로 린스해서 건조시켜서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을 행했다. 포토레지스트막(4)및 측면벽보호퇴적막(5)의 박리상태와 알루미늄(Al)배선체(3)의 부식상태에 대해서의 평가를 행한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TMAH :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로옥사이드
DEGMME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NMP : N-메틸피롤리돈
실시예 13∼24
도 2는 실시예1에서 사용한 반도체장치를 산소플라즈마를 사용해서 회화공정을 행하여 도 1의 포토레지스트막(4)을 제거한 반도체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에 있어서 측면벽보호퇴적막(5)은 산소계플라즈마 회화공정으로는 제거되지 않고 측면벽보호퇴적막(5)의 상측은 알루미늄배선체(3)의 중심에 대해서 개방되도록 변형되어 있는 것 뿐이다. 도 2의 회화공정을 행한후의 반도체장치를 표 3에 나타내는 조성의 박리제에 소정시간 침지시킨후 초순수로 린스해서 건조시켜서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을 행했다. 측면벽보호퇴적막(5)의 박리상태와 알루미늄(Al)배선체(3)의 부식상태에 대해서의 평가를 행한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TMAH :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로옥사이드
콜린 : 2-히드록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NMP : N-메틸피롤리돈
비교예 9∼16
도 2의 회화공정을 행한 후의 반도체장치를 표 4에 나타내는 조성의 박리제에 소정시간 침지시킨후 초순수로 린스해서 건조시켜서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을 행했다. 측면벽보호퇴적막(5)의 박리상태와 알루미늄(Al)배선체(3)의 부식상태에 대해서의 평가를 행한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TMAH :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로옥사이드
DEGMME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NMP : N-메틸피롤리돈
실시예 25∼36
실리콘웨이퍼상에 막이형성된 a-실리콘을 표 5에 나타내는 조성의 박리제에 소정시간 침지시킨후 초순수로 린스해서 건조시켜서 a-실리콘의 부식상태에 대해서의 평가를 행한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TMAH :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로옥사이드
콜린 : 2-히드록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NMP : N-메틸피롤리돈
비교예 17∼24
실리콘웨이퍼상에 막이형성된 a-실리콘을 표 6에 나타내는 조성의 박리제에 소정시간 침지시킨후 초순수로 린스해서 건조시켜서 a-실리콘의 부식상태에 대해서의 평가를 행한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TMAH :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로옥사이드
DEGMME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NMP : N-메틸피롤리돈
본발명의 포토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을 사용하므로서 무기질기체상에 도포된 포토레지스트막 또는 무기질기체상에 도포된 포토레지스트막의 드라이에칭후에 잔존하는 포토레지스트층 또는 드라이에칭후에 회화공정을 행하여 잔존하는 포토레지스트잔재등을 저온에서 또한 단시간에 용이하게 박리시킬수있고 그 때 배선재료를 부식시키지않고 초미세가공이 가능하며 고정밀도의 회로배선을 제조할수가있다.
도 1은 포토레지스트막을 마스크로해서 드라이에칭을 행하여 알루미늄배선체를 형성한 반도체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산소플라즈마를 사용해서 상기 포토레지스트층에 추가로 레지스트 회화공정을 행한 도 1의 반도체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반도체장치기판
2. 산화막
3. 알루미늄배선체
4. 포토레지스트막
5. 측면벽보호퇴적막

Claims (7)

  1. 제4급암모늄수산화물과 수용성아민과 알킬피롤리돈으로 된 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
  2. 제4급암모늄수산화물과 수용성아민과 알킬피롤리돈과 부식방지제로 된 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있어서,
    제4급암모늄수산화물이 테트라메틸암모늄수산화물, 또는 2-히드록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인 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
  4. 제1항에있어서,
    수용성아민이 알칸올아민, 폴리아민, 및 구핵아민으로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알킬피롤리돈이 N-메틸피롤리돈인 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부식방지제가 소르비톨, 카테콜, 크실리톨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
  7. 청구항 1또는 2에 기재된 박리제조성물을 사용해서 기판상에 도포된 포토레지스트막, 그 포토레지스트막을 드라이에칭한후에 잔존하는 포토레지스트층, 또는 그 드라이에칭후에 회화공정을 행하여 잔존하는 포토레지스트잔재를 박리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19980034070A 1997-09-01 1998-08-21 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 KR100554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35926 1997-09-01
JP9235926A JPH1184686A (ja) 1997-09-01 1997-09-01 レジスト剥離剤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334A KR19990029334A (ko) 1999-04-26
KR100554685B1 true KR100554685B1 (ko) 2006-06-13

Family

ID=1699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070A KR100554685B1 (ko) 1997-09-01 1998-08-21 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184686A (ko)
KR (1) KR100554685B1 (ko)
TW (1) TWI2248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5480A (ja) * 1999-06-29 2001-01-19 Tokyo Electron Ltd 基板の処理方法
JP2001098191A (ja) * 1999-07-23 2001-04-10 Toray Fine Chemicals Co Ltd 有機塗膜剥離用組成物
JP2002162755A (ja) * 2000-11-29 2002-06-07 Mitsubishi Gas Chem Co Inc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JP4639567B2 (ja) * 2001-09-28 2011-02-23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フォトレジスト剥離液組成物
US20030138737A1 (en) 2001-12-27 2003-07-24 Kazumasa Wakiya Photoresist stripping solution and a method of stripping photoresists using the same
JP4202859B2 (ja) 2003-08-05 2008-12-24 花王株式会社 レジスト用剥離剤組成物
US20060003910A1 (en) * 2004-06-15 2006-01-05 Hsu Jiun Y Composition and method comprising same for removing residue from a substrate
JP2008058623A (ja) * 2006-08-31 2008-03-13 Tokyo Ohka Kogyo Co Ltd フォトレジスト用剥離液およびこれを用いた基板の処理方法
JP5062562B2 (ja) * 2007-09-04 2012-10-31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薬液及びそれを用いた基板処理方法
JP2010111795A (ja) * 2008-11-07 2010-05-20 Chisso Corp 剥離液
JP6165442B2 (ja) * 2009-07-30 2017-07-19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高度な半導体応用のためのポストイオン注入フォトレジスト剥離用組成物
BE1020269A5 (nl) * 2012-01-17 2013-07-02 Taminco Gebruik van vervangende oplosmiddelen voor n-methylpyrrolidon (nmp).
JP2013183080A (ja) * 2012-03-02 2013-09-12 Mitsubishi Gas Chemical Co Inc レジスト剥離液の劣化抑制方法、レジスト剥離方法及びシステム
US9158202B2 (en) * 2012-11-21 2015-10-13 Dynaloy, Llc Process and composition for removing substances from substrates
CN104950601B (zh) * 2015-06-24 2019-05-14 苏州晶瑞化学股份有限公司 一种掩膜版用清洗剂、其应用以及掩膜版的清洗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3119A (en) * 1995-01-26 1996-10-08 Ashland Inc. Stripping compositions containing alkanolamine compoun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3119A (en) * 1995-01-26 1996-10-08 Ashland Inc. Stripping compositions containing alkanolamine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334A (ko) 1999-04-26
JPH1184686A (ja) 1999-03-26
TWI224816B (en) 200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0326B1 (en) Photoresist removing composition
CN101454872B (zh) 光刻胶剥离剂组合物和用该光刻胶剥离剂组合物剥离光刻胶的方法
KR100377445B1 (ko) 포토레지스트박리조성물및박리방법
KR100674387B1 (ko) 포토레지스트용 박리액 및 이것을 사용한 포토레지스트박리방법
US6949495B2 (en) Cleaning solution for removing residue
KR100504979B1 (ko) 비부식성 스트리핑 및 세정 조성물
KR100503702B1 (ko) 포토레지스트용 박리액 및 이를 사용한 포토레지스트박리방법
CN112558434B (zh) 一种光刻胶清洗剂组合物
KR100360985B1 (ko) 레지스트 스트리퍼 조성물
KR100554685B1 (ko) 레지스트박리제 조성물
KR100429920B1 (ko) 포토레지스트용 박리액 및 이것을 사용한 포토레지스트 박리방법
KR20110124955A (ko)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조성물
KR20010086161A (ko) 비부식성 세정 조성물 및 플라즈마 에칭 잔류물의 제거방법
KR100544889B1 (ko) 포토레지스트용 스트리퍼 조성물
KR100363271B1 (ko) 포토레지스트 리무버 조성물
JPH08262746A (ja) フォトレジスト剥離剤組成物および剥離方法
JP4698123B2 (ja) レジスト除去剤組成物
KR20080017849A (ko) 아미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포토레지스트 박리액 및 이를이용한 박리 방법
CN115820351A (zh) 半导体晶圆基底清洗液组合物及其使用方法
KR100378552B1 (ko) 레지스트 리무버 조성물
KR100862988B1 (ko) 포토레지스트 리무버 조성물
US20040185370A1 (en) Resist remover composition
KR20010113396A (ko) 암모늄 플로라이드를 함유하는 포토레지스트 리무버 조성물
KR100742119B1 (ko) 포토레지스트 리무버 조성물
KR100378551B1 (ko) 레지스트 리무버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