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477B1 - 고형 제제의 외관검사장치 - Google Patents

고형 제제의 외관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477B1
KR100542477B1 KR1019980004748A KR19980004748A KR100542477B1 KR 100542477 B1 KR100542477 B1 KR 100542477B1 KR 1019980004748 A KR1019980004748 A KR 1019980004748A KR 19980004748 A KR19980004748 A KR 19980004748A KR 100542477 B1 KR100542477 B1 KR 100542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drum
circumferential surface
pocket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4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1418A (ko
Inventor
다이조 야마모토
모토히로 야규
Original Assignee
시오노기쿠오리카프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오노기쿠오리카프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오노기쿠오리카프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71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08Capsules; Tabl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5Investigating moving fluids or granular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1/00Mechanical throwing machines for articles or solid materials
    • B65G31/04Mechanical throwing machines for articles or solid materials comprising discs, drums, or like rotary impe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9/00Classifying, separating, and assorting solids
    • Y10S209/938Illuminating means facilitating visual insp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9/00Classifying, separating, and assorting solids
    • Y10S209/939Video scan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3/00Package making
    • Y10S53/90Capsules

Landscapes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캡슐과 같은 고형 제제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고형 제제를 외주부상에 유지하고, 고형 제제가 간헐적으로 공전하도록 고형 제제를 운반하고, 고형 제제가 특정 운반위치에서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검사 드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고형 제제의 표면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픽업장치; 영상픽업장치로부터 픽업된 고형 제제의 영상을 처리하고 고형 제제가 양호한지 불량한지를 판정하기 위한 품질 판정부; 및 품질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결과로 고형 제제를 불량 및 양호 고형 제제로 분류하고 불량 및 양호 캡슐을 회수하기 위한 분류부를 포함하는, 고형 제제의 외관검사장치가 개시된다. 본 검사장치는 실용면에서 충분히 만족스러운 높은 검사정밀도를 달성하고 또한 고형 제제의 길이 검사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형 제제의 외관검사장치{APPEARANCE INSPECTING DEVICE FOR SOLID FORMULATION}
본 발명은 각각 특정 축 주위에서 회전대칭인 형상을 갖는 고형 제제의 외관을 검사하는 외관검사장치, 특히 각각 캡과 본체를 갖는 경질 캡슐편이 약제로 채워진 캡슐의 외관 또는 각각 약제로 채워지기 전에 캡과 본체가 단지 일시적으로 상호결합된 빈 캡슐의 외관을 검사하는데 적합한 외관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정확하게 위치된 상태로 고형 제제를 회전시키면서 영상픽업장치를 사용하여 고형 제제를 촬영함으로써, 검사할 고형 제제를 고정밀도로 검사할 수 있는 외관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캡슐 또는 타원형 구상 정제와 같은 고형 제제의 외관을 자동검사하는 외관검사장치로서 여러가지 유형이 제안되었고, 근년, 작업자에 의한 고형 제제의 육안검사는 그러한 자동검사장치를 사용하는 고형 제제의 자동검사로 바뀌고 있다. 이 자동형 외관검사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7-35693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도 6 내지 8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 일본 특개평 7-35693에 개시된 외관검사장치는 각각 캡과 본체를 갖는 경질 캡슐편이 약제로 채워진 캡슐의 외관을 검사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외관검사장치는 공급 호퍼(2), 공급 드럼(3), 제 1 방향제한 드럼(4)과 제 2 방향제한 드럼(5), 검사 드럼(6), 영상픽업장치(7), 품질판정부(8), 및 분류/회수부(도시 안함)를 포함한다. 공급 호퍼(2)는 소정 개수의 캡슐을 수용하고 그 캡슐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데 적합하다. 공급 드럼(3)은 캡슐의 축선이 위아래로 향한 직립 상태(이하, 간단히 "직립 상태"라 함)로 공급 호퍼(2)로부터 공급된 캡슐을 정렬시키고 이렇게 하여 정렬된 캡슐을 제 1 및 제 2 방향제한 드럼(4 및 5)에 공급하는데 적합하다. 제 1 및 제 2 방향제한 드럼(4 및 5)은 캡슐의 축선이 수평방향으로 향하고 또한 캡슐의 캡측이 특정 방향으로 향한 측방향회전 상태(이하, 간단히 "측방향회전 상태"라 함)로 공급 드럼(3)으로부터 공급된 캡슐의 방향을 제한하는데 적합하다. 검사 드럼(6)은 이렇게 하여 방향제한된 캡슐을 그 외주부상에 유지하면서 운반하고 캡슐 운반중에 캡슐을 회전시키는데 적합하다. 영상픽업장치(7)는 검사 드럼(6)의 외주부상에 유지되면서 회전되는 캡슐을 촬영하고 캡슐의 영상을 픽업하는데 적합하다. 품질판정부(8)는 영상픽업장치(7)에 의해 이렇게 하여 픽업된 영상을 처리하고 캡슐이 양호한지 불량한지를 판정하는데 적합하다. 분류/회수부는 검사 드럼(6)으로부터 공급된 캡슐을 품질판정부(8)에 의해 판정된 결과에 의거하여 불량 캡슐 및 양호 캡슐로 분류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각 드럼의 외주부상에 유지된 캡슐에 대한 용어 "위아래"는 "위"측이 드럼의 반경방향을 따르는 외주측과 같고 "아래"측이 드럼의 반경방향을 따르는 중심측과 같음을 의미하며, 각 드럼의 외주부상에 유지된 캡슐에 대한 용어 "수평방향"은 드럼의 반경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위아래" 및 "수평방향"은 중력방향에 의거한 [위아래] 및 [수평방향]과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다.
공급 드럼(3)은 특정 회전속도로 수평축(A1) 주위를 회전하고, 그 외주면상에 직립 상태로 캡슐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공급 포켓(31)을 갖는다. 공급 포켓(31)에 수용된 캡슐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낙하방지판(32)이 공급 드럼(3) 외주의 하측 1/4 부분을 덮도록 배치된다.
공급 호퍼(2)는 공급 드럼(3)에 걸쳐 배치된다. 공급 호퍼(2) 하단면의 일부는 공급 드럼(3)의 외주에 근접해 있고, 공급 호퍼(2) 하단면의 일부는 공급 드럼(3)의 외주면으로 개방되어 있다. 특정 간격으로 떨어진 복수의 안내 돌출 리브(21)가 공급 드럼(3)의 저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들 안내 돌출 리브(21) 사이에는 캡슐을 정렬시키기 위한 안내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22)은 공급 드럼(3)의 공급 포켓(31)의 것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안내홈(22)의 폭은 각 캡슐의 직경보다는 약간 넓고 캡슐의 길이보다는 좁다. 따라서, 캡슐은 그 축선이 안내홈(22)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면서 안내홈(22)을 통과하여, 캡슐의 축선 단부중 어느 하나를 선두로 하여 공급 드럼(3)의 공급 포켓(31)에 삽입되고 직립 상태로 공급 포켓(31)에 수용된다.
공급 호퍼(2)는 일반적으로 공급 호퍼(2)내의 캡슐이 안내홈(22)을 통해 공급 드럼(3)의 공급 포켓(31)에 원활하게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진동발생기(도시안함)에 의해 진동된다. 공급 포켓(31)에 수용되지 않고 공급 드럼(3)의 외주면상에서 이동하는 캡슐은 공급 호퍼(2)의 에지부를 따라 공급 드럼(3)상에 배치된 브러시(23)에 의해 공급 드럼(3) 표면으로부터 배출되어 공급 호퍼(2)에 다시 복귀된다.
제 1 방향제한 드럼(4)은 그 외주면이 공급 드럼(3)의 외주면에 근접한 상태로 공급 드럼(3) 아래에 배치된다. 제 1 방향제한 드럼(4)은 공급 드럼(3)의 것과 반대의 회전방향으로 특정 속도로 수평축(A2) 주위를 회전한다. 제 1 방향제한 드럼(4)의 외주면에는 공급 드럼(3)의 공급 포켓(31)의 것에 대응하는 위치에 정렬된 상태로 복수의 제 1 방향제한 포켓(41)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향제한 포켓(41)은 장타원형 상부(41a) 및 이 상부(41a)의 일단부에서 저면에 형성된 수직식 원통형 하부(41b)로 구성되어 있다. 장타원형 상부(41a)는 측방향회전 상태로 캡슐을 완전 수용할 수 있고 수직식 원통형 하부(41b)는 캡슐의 본체만을 수용할 수 있다. 즉, 캡은 수용할 수 없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 1 방향제한 포켓(41)은 캡슐(C1)을 측방향회전 상태로, 캡슐(C2)을 그 축선이 상하로 향하고 캡이 위로 향한 직립 상태(이하, "캡이 위로 향한 직립 상태"라 함)로 완전 수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방향제한 포켓(41)은 캡슐(C3)을 그 축선이 상하로 향하고 본체가 위로 향한 직립 상태(이하, "본체가 위로 향한 직립 상태"라 함)로는 완전 수용할 수 없다. 즉, 그것은 캡슐(C3)을 본체부가 제 1 방향제한 드럼(4)의 외주부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수용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향제한 드럼(4)의 외주면 부근에는 제 1 방향제한 드럼(4)의 외주면을 일부 둘러싸도록 안내판(42)이 배치되어 있다. 이 안내판(42)상에는 제 1 방향제한 드럼(4)의 제 1 방향제한 포켓(41)의 것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방향제한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안내홈(43)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들 각각의 일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타단부는 폐쇄되어 있다. 안내홈(43)의 한 내부 에지부는 제 1 방향제한 드럼(4)의 회전방향으로부터 특정 각으로 경사진 누름부(43a)를 구성한다. 이 누름부(43a)는 제 1 방향제한 드럼(4)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한 캡슐(C3)(도 8 참조)의 본체측 단부를 눌러 제 1 방향제한 포켓(41)내에서 그것을 측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적합하다.
제 2 방향제한 드럼(5)은 그 외주면이 제 1 방향제한 드럼(4)의 외주면에 근접한 상태로 제 1 방향제한 드럼(4) 아래에 배치된다. 제 2 방향제한 드럼(5)은 제 1 방향제한 드럼(4)의 것과 반대의 회전방향으로 특정 속도로 수평축(A3) 주위를 회전한다. 제 2 방향제한 드럼(5)의 외주면에는 제 1 방향제한 드럼(4)의 제 1 방향제한 포켓(41)의 것에 대응하는 위치에 정렬된 상태로 복수의 제 2 방향제한 포켓(51)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향제한 포켓(51)은 캡슐(C1)을 측방향회전 상태로 완전 수용하고 캡슐(C3)을 그 본체측 단부가 제 2 방향제한 드럼(5)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의 직립 상태로 수용할 수 있는 장타원형 포켓이다. 이 포켓(51)에서 그 저부벽은 일단부측에 대해 하향으로 경사져 있어 캡슐은 일단부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포켓(51)에 수용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향제한 드럼(5)의 외주면 부근에도 또한 제 1 방향제한 드럼(4)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 상기 안내판(42)과 유사한 안내판(52)이 배치되어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안내판(52)에 구비된 복수의 안내홈이 제 2 방향제한 가이드를 구성한다. 이 안내홈은 제 2 방향제한 드럼(5)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한 캡슐(C3)의 본체측 단부를 측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제 2 방향제한 포켓(51)내에서 캡슐(C3)을 측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적합하다.
상기 드럼(3, 4 및 5)은 포켓(31, 41 및 51)을 서로 정렬시킬 수 있는 타이밍으로 도 6에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모터(M1) 및 타이밍 벨트(B)에 의해 도 6에 전형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공급 호퍼(2), 공급 드럼(3), 제 1 방향제한 드럼(4) 및 제 2 방향제한 드럼(5)은 검사할 대상으로서의 캡슐을 검사 드럼(6)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를 구성한다. 이 경우, 공급 호퍼(2)로부터 임의로 공급된 캡슐은 공급 드럼(3)에 의해 직립 상태로 정렬되어, 그 캡측이 제 1 및 제 2 방향제한 드럼(4 및 5)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향한 측방향회전 상태로 전부 방향제한되고 검사 드럼(6)에 공급된다.
검사 드럼(6)은 외주면이 제 2 방향제한 드럼(5)의 외주면에 근접한 상태로 제 2 방향제한 드럼(5) 아래에 배치된다. 검사 드럼(6)은 제 2 방향제한 드럼(5)의 것과 반대의 회전방향으로 특정 속도로 수평축(A4) 주위를 간헐적으로 회전한다. 검사 드럼(6)은 특정 갭을 두고 대향하여 떨어진 한쌍의 원판상 플랜지(61)와, 이 플랜지(61)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제 1 검사 롤러(62a) 및 복수의 제 2 검사 롤러(62b)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플랜지(61)는 프레임(63)상에 고정된 회전불가능 샤프트(64)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간헐적 회전가능 본체(65)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간헐적 회전가능 본체(65)는 회전불가능 샤프트(64)의 중심부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간헐적 회전가능 샤프트(66)의 기단부측에 형성된 플랜지(66a)에 고정 접속되어 있고, 간헐적 회전가능 샤프트(66)와 일체로 회전가능하다. 간헐적 회전가능 샤프트(66)는 간헐적 구동 장치(D)에 접속되어 이 장치(D)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간헐적 회전가능 본체(65)와 플랜지(61)는 간헐적 회전가능 샤프트(66)와 일체로 회전된다.
제 1 검사 롤러(62a) 및 제 2 검사 롤러(62b)는 양 롤러(62a 및 62b)의 외주면이 서로 근접한 상태로 검사 드럼(6)의 주위면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다. 롤러(62a 및 62b)는 플랜지(61)의 주변 에지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제 1 및 제 2 검사 롤러(62a 및 62b)의 샤프트(621a 및 621b)의 일단부는 플랜지(61)중 하나를 통과하여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샤프트(621a 및 621b)의 돌출 단부에는 유성 기어(622)가 고정되어 있다. 유성 기어(622)는 간헐적 회전가능 샤프트(66)의 기단부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태양 기어(623)와 맞물려 있다. 태양 기어(623)상에 고정된 풀리(624)는 타이밍 벨트(626)를 통해 모터(M2)의 회전축상에 장착된 또 하나의 풀리(625)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태양 기어(623)는 타이밍 벨트(626)를 통해 모터(M2)에 의해 회전하고 유성 기어(622)는 태양 기어(623) 주위를 회전하여, 유성 기어(622)와 통합된 제 1 및 제 2 검사 롤러(62a 및 62b)는 플랜지(61)의 간헐적 회전과는 별도로 특정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 검사 롤러(62a 및 62b)는 플랜지(61)와 함께 공전하면서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제 1 검사 롤러(62a)의 회전방향은 제 2 검사 롤러(62b)의 것과 동일하다.
방향제한된 상태로 제 2 방향제한 드럼(5)으로부터 공급된 캡슐(C4)은 제 1 및 제 2 검사 롤러(62a 및 62b) 사이에 위치되어 유지되고, 제 1 및 제 2 검사 롤러(62a 및 62b)의 공전 및 회전에 의해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불가능 샤프트(64) 주위를 공전한다.
이 경우, 제 1 검사 롤러(62a)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플랜지부(62c)가 등간격을 두도록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C4)은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플랜지부(62c) 사이에 유지된 상태로 공전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헐적 회전가능 본체(65)에는 캡슐을 유지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즐(651)이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회전불가능 샤프트(64)에는 회전불가능 샤프트(64)의 거의 반원주 주위로 뻗도록 진공펌프와 같은 흡입장치(도시안함)에 연통된 흡입공동부(641)가 형성되어 있고, 불량 캡슐 회수캔(71)(도 6 참조) 및 양호 캡슐 회수슈트(72)(도 6 참조)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압축기와 같은 압축공기 공급장치(도시안함)에 연통된 압축공기 유동통로(642)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651)이 흡입공동부(641)를 통해 진공흡입되어 흡입력에 의해 캡슐(C4)을 확실히 유지시키고, 압축공기가 노즐(651)로부터 압축공기 유동통로(642)를 통해 분출되어 캡슐(C4)을 압축공기에 의해 불량 캡슐 회수캔(71) 또는 양호 캡슐 회수슈트(72)로 취출한다.
이러한 관련기술의 외관검사장치를 사용하는 캡슐의 외관검사는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먼저, 공급 호퍼(2)에 충전된 소정 개수의 캡슐이 상기한 동작에 의해 직립 상태로 공급 드럼(3)에 순차적으로 공급되어, 공급 드럼(3)의 외주면에 형성된 공급 포켓(31)에 직립 상태로 수용되고, 공급 드럼(3)의 회전운동에 의해 아래로 운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드럼(3)의 최하부에 달할 때 캡슐은 공급 드럼(3)으로부터 제 1 방향제한 드럼(4)의 제 1 방향제한 포켓(41)으로 이송된다. 이 때, 캡이 위로 향한 직립 상태로 이송된 캡슐(C2)은 본체부가 제 1 방향제한 포켓(41)의 하부(41b)에 삽입된 상태로 포켓(41)에 거의 완전히 수용된다. 한편, 캡이 아래로 향한 직립 상태로 이송된 캡슐(C3)은 본체부가 제 1 방향제한 드럼(4)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포켓(41)에 수용되는데, 캡부는 제 1 방향제한 포켓(41)의 하부(41b)에 삽입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들 캡슐(C2 및 C3)은 제 1 방향제한 드럼(4)에 의해 이들 상태로 아래로 운반된다. 이 때, 제 1 방향제한 포켓(41)에 거의 완전히 수용된 캡슐(C2)은 이들 자세로 방치될 때 드럼(4)의 최하부로 운반된다. 게다가 본체부가 드럼(4)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한 캡슐(C3)에 대해서, 본체부는 안내판(42)의 안내홈(43)에 삽입되고(도 6 참조), 안내홈(43)의 누름부(43a)에 의해 눌린다(도 6 참조). 그 결과, 캡슐(C3)은 제 1 방향제한 포켓(41)내에서 측방향으로 회전되어 캡이 한쪽방향(도 8에서 우측)으로 향한 측방향회전 상태의 캡슐(C1)로서 드럼(4)의 최하부로 운반된다.
다음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향제한 드럼(4)의 최하부에 달할 때 이들 캡슐(C2 및 C1)은 드럼(4)으로부터 제 2 방향제한 드럼(5)의 제 2 방향제한 포켓(51)으로 이송된다. 이 때, 측방향회전 상태의 캡슐(C1)은 측방향회전 상태로 방치될 때 제 2 방향제한 포켓(51)에 거의 완전히 수용된다. 한편, 캡이 위로 향한 직립 상태의 캡슐(C2)은 캡측을 선두로 하여 제 2 방향제한 포켓(51)에 이송되고 이로써 수직방향으로 뒤집히게 된다. 즉, 캡슐(C2)은 본체가 아래로 향한 직립 상태의 캡슐(C3)로서 제 2 방향제한 포켓(51)에 이송된다. 캡슐(C3)에 대해서, 본체부는 제 2 방향제한 드럼(5)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들 상태의 캡슐(C1 및 C3)은 제 2 방향제한 드럼(5)에 의해 아래로 운반된다. 이 때, 제 2 방향제한 포켓(51)에 거의 완전히 수용된 측방향회전 상태의 캡슐(C1)은 그 자세로 방치될 때 드럼(5)의 최하부로 운반된다. 게다가 본체부가 드럼(5)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한 캡슐(C3)은 안내판(52)의 안내홈(도시안함)의 동작으로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 2 방향제한 포켓(51)내에서 측방향으로 회전되어(도 6 참조) 캡이 한쪽방향(도면에서 좌측)으로 향한 측방향회전 상태의 캡슐(C4)로 전환되고 드럼(5)의 최하부로 운반된다. 따라서 양 캡슐(C1 및 C3) 모두 캡이 한쪽방향(도면에서 우측)으로 향한 측방향회전 상태의 캡슐(C4)로 전환되고, 검사 드럼(6)의 제 1 및 제 2 검사 롤러(62a 및 62b)상에 이송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3, 4, 5 및 6)간의 캡슐 이송시에는 전달측의 각 포켓에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캡슐을 밀어내는 한편, 수용측의 각 포켓 및 롤러(62a) 부분은 진공흡입되어 캡슐의 원활한 이송을 달성한다.
방향제한된 상태로 검사 드럼(6)에 공급된 캡슐(C4)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검사 롤러(62a 및 62b) 사이에 위치되어 유지되고, 제 1 및 제 2 검사 롤러(62a 및 62b)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검사 드럼(6)의 간헐적 회전에 의해 아래로 운반된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C4)은 제 1 검사 롤러(62a)의 플랜지부(62c) 사이에 유지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운반되고, 이 때 캡슐(C4)은 상기 흡입기구에 의해 양 검사 롤러(62a 및 62b) 사이에서 흡입 및 유지된다.
이와 같이 방향 제한된 상태로 검사 드럼(6)에 의해 유지되어 운반되는 캡슐(C4)은, 검사 드럼(6)의 회전이 캡슐(C4)의 운반 과정중 특정 위치에서 정지되는 기간 동안에 영상픽업장치(7)에 의해 촬영된다(도 6 참조). 이 때 각 캡슐(C4)은 제 1 및 제 2 검사 롤러(62a 및 62b)의 회전에 의해 특정 속도로 적어도 1 회전 이상 회전하여 캡슐(C4)의 전체 주위면이 영상픽업장치(7)에 의해 촬영된다. 촬영 후에 캡슐(C4)은 제 1 및 제 2 검사 롤러(62a 및 62b) 사이에 유지되면서 검사 드럼(6)의 간헐적 회전에 의해 검사 드럼(6)의 최하부로 운반된다.
영상픽업장치(7)에 의해 픽업된 각 캡슐(C4)의 영상은 상기 품질 판정부(8)에 의해 처리된다(도 6 참조). 품질 판정부(8)는 캡슐(C4)의 외관이 불량한지 양호한지를 검출함으로써 각 캡슐(C4)의 품질을 판정한다.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각 캡슐(C4)은 상기한 압축공기 분사 수단에 의해 불량 캡슐 회수캔(71) 또는 양호 캡슐 회수슈트(72) 중 하나로 취출된다. 따라서 캡슐은 불량 및 양호 캡슐로 분류되어 회수된다.
이 경우에, 외관 불량 캡슐이 불량 캡슐 회수캔(71)으로 취출되는 위치는 양호 캡슐 회수슈트(72) 앞이다. 그러한 위치에서 압축공기는 품질 판정부(8)로부터 공급된 검사에 의거하여 분사된다. 즉, 양호 캡슐 회수슈트(72) 앞의 위치에서 상기 판정 결과에 의해 불량으로 판정된 캡슐만이 압축공기에 의해 취출된다. 한편, 양호 캡슐이 양호 캡슐 회수슈트(72)로 취출되는 위치에서 압축공기는 통상 모든 캡슐 유지부로 분사된다. 따라서 그러한 위치에 도달한 모든 캡슐(C4)은 양호 캡슐 회수슈트(72)로 취출된다. 요약하면 외관 불량 캡슐은 양호 캡슐 회수슈트(72) 앞의 위치에서 검사 드럼(6)으로부터 방출되어 불량 캡슐 회수캔(71)으로 회수되고 외관 양호 캡슐만이 양호 캡슐 회수슈트(72)로부터 검사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관련기술의 외관검사장치에 따르면 캡슐의 외관은, 임의로 충전된 캡슐을 그 캡이 특정 방향으로 향하게 정렬시키는 단계, 이렇게 하여 방향 제한된 캡슐을 회전시키면서 영상픽업장치에 의해 촬영하는 단계, 이렇게 하여 얻은 영상에 의거하여 캡슐의 외관이 불량한지 양호한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캡슐을 불량 및 양호 캡슐로 분류하고 양호 및 불량 캡슐을 회수하는 단계에 의해 완전 자동으로 검사될 수 있다.
그러나, 관련기술의 외관검사장치는 검사 정밀도면에서 불충분하였고 검사 성능의 관점에서 실용되지 않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관련기술의 외관검사장치에서는 캡슐(C4)이 제 1 검사 롤러(62a)의 플랜지부(62c) 사이에 유지된 상태로 위치되고 그러한 상태에서 캡슐(C4)의 영상이 영상픽업장치(7)에 의해 촬영된다. 이 경우에 플랜지부(62c) 사이의 폭 "W"는 제 2 방향제한 드럼(5)으로부터 캡슐(C4)의 이송을 확실히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캡슐(C4)의 길이 "L"보다 약간 넓게 설정되기 때문에, 플랜지(62c) 사이에 유지된 캡슐(C4)은 축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 또는 진동하면서 회전하고 그 결과로서 캡슐의 영상은 캡슐이 정확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픽업될 수 없다.
그러므로 이렇게 하여 얻은 캡슐의 영상은 회전시 캡슐의 편향으로 인해 적지 않은 장애를 갖는다. 따라서 캡슐의 품질이 순전히 영상 처리에만 의거하여 판정된다면, 다수의 양호 캡슐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캡슐이 불량으로 판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캡슐의 외관이 불량한지 양호한지를 판정하기 위한 기준은 캡슐의 편향이 어느 정도 발생한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한다. 이것은 높은 검사 정밀도를 얻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특히 스텝부가 캡과 본체 사이의 경계에서 캡슐의 표면상에 반드시 형성되고 미세한 분열유사 손상 또는 균열과 같은 결함이 캡과 본체의 결합시 스텝부 부근에서 발생하기가 쉽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결함을 스텝부로부터 확인하면서 검출하기 위해 스텝부로 인한 영상 데이터의 변화를 미리 저장하고 이렇게 저장한 변화와 다른 이상을 외관 불량으로 인식하는 방법이 채용되었다. 그러나 스텝부가 캡슐의 편향에 의해 불규칙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스텝부로 인한 영상 데이터의 변화를 미리 정밀하게 판정하여 저장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고, 스텝부로 인한 데이터의 변화가 발생하는 영상상의 위치가 특정화될 수 없기 때문에 캡과 본체간 경계에서의 손상 또는 균열과 같은 결함을 스텝부로부터 확인하면서 검출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밴드 시일이 캡과 본체 사이의 경계에 부착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더욱이, 캡슐에서 캡과 본체 사이의 결합 길이는 반드시 제조 인자에 따라 특정화되지는 않고, 따라서 캡슐의 길이(L)는 어느 정도 다양해진다. 즉 특정화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플랜지(62c) 사이의 폭 "W"(도 9 참조)는 약간의 여유가 있는 폭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불량하지 않을 정도로 비교적 짧은 전체 길이(L)를 갖는 캡슐이 폭 "W"가 상기한 바와 같이 약간의 여유가 있게 비교적 넓도록 설정되는 플랜지(62c) 사이에 유지되는 경우에 캡슐의 회전 동안의 편향은 현저해지고, 그러한 경우에 캡슐의 외관검사를 통상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더욱이, 특정 여유 범위를 넘는 길이(L)를 갖는 캡슐은 약제의 충전량이 다양하거나 캡과 본체 사이의 결합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불량 캡슐로서 방출되어야 하지만, 관련기술의 외관검사장치는 캡슐이 상기한 바와 같이 축선 길이, 즉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진동하면서 회전하고 캡슐이 그러한 편향이 허용되는 조건에서 외관 검사를 받기 때문에 길이 불량 캡슐을 실제로 검사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관점에서 이루어졌고,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과 같은 고형 제제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고형 제제를 외주부상에 유지하고, 간헐적으로 회전 운반하며, 상기 고형 제제를 특정 운반 위치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검사 드럼; 상기 검사드럼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고형 제제의 표면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픽업장치; 영상픽업장치로부터 픽업된 고형 제제의 영상을 처리하고 고형 제제가 양호한지 불량한지를 판정하기 위한 품질 판정부; 및 품질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결과로 고형 제제를 불량 및 양호 고형 제제로 분류하고 불량 및 양호 캡슐을 회수하기 위한 분류부를 포함하는 고형 제제의 외관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이로써 본 외관검사장치는 고형 제제의 외관검사장치의 검사 정밀도를 개선하여 실용면에서 충분히 만족스런 높은 검사 정밀도를 달성하고 또한 고형 제제의 길이 검사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축 주위에서 회전대칭인 형상을 각각 갖는 고형 제제의 외관을 검사하는 외관검사장치로서,
고형 제제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고형 제제를 외주부상에 유지하고, 간헐적으로 회전운반하며, 상기 고형 제제를 특정 운반 위치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검사 드럼;
검사 드럼에 의해 회전하는 고형 제제의 표면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픽업장치;
영상픽업장치에 의해 픽업된 고형 제제의 영상을 처리하고 고형 제제가 불량한지 양호한지를 판정하기 위한 품질 판정부; 및
상기 품질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결과에 의거하여 고형 제제를 불량 캡슐 및 양호 캡슐로 분류하고 불량 및 양호 캡슐을 회수하기 위한 분류 수단
을 포함하는 외관검사장치에 있어서;
검사 드럼은 고정된 내부실린더와, 이 내부실린더의 외주면을 따라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상기 내부실린더의 외주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외부실린더를 포함하고;
내부실린더의 축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롤러가, 그 롤러의 표면이 내부실린더의 외주면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내부실린더의 일부내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실린더의 외주면으로부터 노출된 롤러의 표면은 축방향 일단부측으로 하향 경사진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외부실린더는 외부실린더의 축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만큼 오프셋된 중심축을 갖는 타원형, 장타원형 또는 장방형으로 각각 형성된 리드스루 유지 포켓을 포함하여;
상기 고형 제제는 리드스루 유지 포켓 내에 유지되어 외부실린더의 간헐적 회전에 의해 운반되고; 소정의 운반 위치에서 간헐적으로 정지된 리드스루 유지 포켓내의 고형 제제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롤러 상에서 회전하고; 이렇게 회전하는 고형 제제의 외주면은 영상픽업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외관검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외관검사장치에서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캡슐과 같은 고형 제제는 검사 드럼을 구성하는 외부실린더의 리드스루 유지 포켓에 수용되고,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외부실린더의 간헐적 회전에 의해 운반된다. 고형 제제의 운반 과정에서, 고형 제제는 검사 드럼에서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에 의해 회전되고 영상픽업장치에 의해 촬영된다. 이렇게 하여 얻은 고형 제제의 영상으로부터 고형 제제가 외관이 불량한지 양호한지를 품질 판정부에 의해 판정한다. 판정된 결과에 의거하여 고형 제제는 불량 및 양호 고형 제제로 분류되고 회수된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외관검사장치에 따르면 검사 드럼은 고정된 내부실린더 및 내부실린더외부에 간헐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외부실린더를 포함하고, 고형 제제는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외부실린더에 구비된 리드스루 포켓에 수용된 상태로 운반된다. 그 결과, 고형 제제는 리드스루 유지 포켓에 유지된 상태로 내부실린더의 외주면상에서 구르면서 운반된다.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롤러가 배치되어, 고형제제가 간헐적으로 정지되는 부분까지 운반되는 경우, 고형 제제는 내부실린더의 외주면으로부터 노출된 롤러의 표면상에 놓여지고, 리드스루 유지 포켓내에서 롤러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형 제제는 정지된 리드스루 유지 포켓 내에 유지된 상태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의 표면상에서 구르도록 회전된다. 고형 제제를 유지하기 위한 리드스루 유지 포켓은 중심축이 외부실린더의 축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만큼 오프셋된 상태로 형성되고, 따라서 리드스루 유지 포켓의 중심축도 내부실린더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롤러의 회전축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만큼 오프셋된다. 그 결과, 리드스루 유지 포켓내에 유지되면서 롤러의 표면상에서 구르는 고형 제제의 회전축은 롤러의 회전축으로부터 오프셋된다. 고형 제제는 리드스루 유지 포켓내에 유지된 상태로 롤러의 회전 방향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오프셋된 방향으로 롤러의 표면상에서 구른다. 그 결과, 리드스루 유지 포켓내의 각각의 고형 제제는 포켓의 일단부측으로 시프트된다. 더욱이, 롤러의 표면은 축방향 일단부측으로 하향 경사진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롤러의 경사진 면상에서 회전하는 고형 제제는 축방향 일단부측으로 이동하기 쉽게 된다. 즉 고형 제제가 리드스루 유지 포켓의 일단부측으로 시프트된 상태를 확실히 유지하면서 롤러의 표면상에서 고형 제제가 회전된다.
게다가, 리드스루 유지 포켓의 중심 축이 외부실린더의 축 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만큼 오프셋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스루 유지 포켓내에 유지되면서 외부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운반되고 내부실린더의 외주면상에서 롤링된 고형 제제는 외부실린더의 회전 방향으로부터 오프셋된 방향으로 굴러, 고형 제제는 롤러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으로 운반되는 동안 리드스루 유지 포켓의 일단부측상에서 시프트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 고형 제제가 롤러상에서 회전되는 동안 시프트되는 단부에 일치하도록 운반하는 동안 고형 제제가 시프트되는 단부를 세팅함으로써, 운반 동안 리드스루 유지 포켓의 일단부측상에서 시프트된 고형 제제는, 고형 제제가 운반되는 동안 일단부측상에서 시프트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롤러상에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검사 장치에서는 고형 제제가 상기한 바와 같이 롤러상에서 회전되면서 리드스루 유지 포켓의 일단부측으로 확실하게 이동(시프트)될 수 있기 때문에 고형 제제가 운반되는 동안 시프트되는 방향은 고형 제제가 롤러상에서 시프트되는 방향에 반대로 세팅될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외관검사장치에 따르면 검사 드럼에 의해 유지된 모든 고형 제제는 리드스루 유지 포켓의 일단부측으로 시프트되도록 위치될 수 있고 고형 제제는 위치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상태에서 촬영된다. 따라서 편향과 같은 장애의 발생이 없이 고형 제제의 깨끗한 영상을 확실하게 얻어, 엄격하게 판정된 품질 기준하에서 고정밀도로 고형 제제의 외관을 검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캡과 본체를 갖는 경질의 캡슐편이 약제로 채워진 각 캡슐의 외관을 검사하기 위해 관련기술의 외관검사장치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방향제한 수단과 같은 적당한 방향제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캡슐은 캡이 특정 방향으로 향한 가로방향회전 상태로 방향 제한되어 이 상태로 검사 드럼에 공급되고, 리드스루 유지 포켓내의 캡측으로 시프트되도록 위치된 다음 캡슐의 외관이 검사된다. 그 결과, 캡과 본체 사이의 경계에 형성된 스텝부가 정확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각 캡슐의 외관을 검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스텝부로 인한 영상 데이터의 변화를 미리 저장하는 관련기술 방법에 따라 각 캡슐의 스텝부 주위에서 생기기 쉬운 미세한 분열유사 손상 또는 균열과 같은 결함을 스텝부로부터 확실하게 확인하면서 검출하여 캡슐에 대한 엄격한 외관 검사를 쉽게 이루는 것이 가능해진다. 밴드 시일이 캡과 본체 사이의 경계에 부착되는 캡슐에 대해, 밴드 시일부에서 생기는 손상과 같은 결함은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밴드 시일로부터 확실하게 확인되면서 검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캡과 본체가 서로 결합되는 캡슐에 대해, 캡과 본체사이의 결합 길이는 다양하고, 이로써 캡슐의 전체 길이는 반드시 특정화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체 주위에 끼워지는 캡의 길이는 통상 특정화된다. 따라서 캡과 본체 사이의 경계는 캡슐을 캡측으로 시프트시킴으로써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텝부로 인한 영상 데이터의 변화는 정밀하게 산출되어 저장될 수 있고 또 스텝부로 인한 데이터의 변화가 나타나는 영상 상에서의 위치는 확실하게 특정화될 수 있으므로 미리 저장된 변화와 다른 이상으로 발생하는 손상과 같은 결함은 상기 스텝부로부터 확실하게 확인되면서 쉽게 검출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관검사장치에 따르면 검사할 모든 고형 제제가 리드스루 유지 포켓 내의 일단부측상에서 시프트된 상태에서 촬영되기 때문에 캡슐의 일단부는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영상에서 정렬되어 고형 제제의 길이가 고형 제제의 타단부를 검출함으로써 정밀하게 검사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고형 제제의 길이가 통상의 외관 검사와 동시에 검사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형 제제의 외관검사장치에 따르면 실용면에서 충분히 만족스런 높은 검사 정밀도를 이루고 또한 통상의 외관 검사와 동시에 길이 검사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 검사할 대상으로서의 고형 제제는 특정 축 주위에서 회전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고형 제제의 구체예는 타원형 구 또는 구상으로 형성된 경질 캡슐, 연질 캡슐, 및 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캡과 본체를 갖는 각 경질 캡슐의 외관을 검사하는데 적당하게 사용된다. 이 경우에 경질 캡슐은 약제로 채워진 유형일 수도 있고 약제로 채워지기 전에 캡과 본체가 일시적으로 결합된 빈 유형일 수도 있다. 빈 캡슐의 외관을 검사하는 경우에 고형 제제에 대한 상기한 외관 검사에서 얻어지는 바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을 구체예에 의해 더욱 충분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외관검사장치를 도시한다. 본 외관검사장치는 캡과 본체를 갖는 고형 캡슐편이 약제로 채워진 캡슐과, 캡과 본체가 일시적으로 상호 결합된 빈 캡슐(이후, 이들을 총괄하여 "캡슐"이라 함)의 외관을 각각 검사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검사장치는 공급 호퍼(2), 공급 드럼(3), 제 1 방향제한 드럼(4), 제 2 방향제한 드럼(5), 검사 드럼(1), 불량 캡슐 회수캔(71), 양호 캡슐 배출슈트(72), 영상픽업장치(7), 품질 판정부(도시안함), 및 분류수단(도시안함)을 포함한다.
공급 호퍼(2), 공급 드럼(3), 제 1 방향제한 드럼(4), 및 제 2 방향제한 드럼(5)은 검사 드럼(1)에 캡슐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s"를 구성한다. 공급 호퍼(2)로부터 임의로 공급된 캡슐은, 캡측이 특정 방향으로 향한 측방향회전 상태로 방향이 제한되어, 공급 드럼(3)에서 직립 상태로 정렬되고, 검사 드럼(1)에 구비된다. 공급부 "s"는 상기의 관련기술의 외관검사장치의 공급부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도 6 내지 9 참조), 관련기술의 외관검사장치의 공급부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 캡슐의 공급과 방향제한을 실시함을 주지해야 한다. 따라서 본 구체예에 있어서, 공급부 "s"의 구성 및 동작과 관련하여, 공급부 "s"의 요소는 관련기술의 외관검사장치의 대응요소와 동일한 참조 번호(도 6 내지 9 참조)로 보여지고, 그것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검사 드럼(1)은 상기의 관련기술의 외관검사장치의 검사 드럼(6)과 동등하다(도 6 내지 9 참조). 검사 드럼(1)은 방향제한된 상태로 제 2 방향제한 드럼(5)으로부터 공급된 캡슐을 그 외주부상에 유지하고, 캡슐이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캡슐을 아래쪽으로 운반한다. 검사 드럼(1)에 의해 캡슐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캡슐은 영상픽업장치(7)에 의해 촬영되고, 이어서 검사 드럼(1) 내에 구비된 분류수단(도시안함)에 의해 불량 캡슐 회수캔(71) 및 양호 캡슐 배출슈트(72)로 각각 취출된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구체예의 검사 드럼(1)은 고정된 내부실린더(11)와, 내부실린더(11)의 외주 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외부실린더(12)를 포함한다.
롤러(13)는 내부실린더(11)의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그것의 회전축(A5)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내부실린더(11)의 내측에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두꺼운 플랜지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출링(13a)이 롤러(13)상에 구비된다. 돌출링(13a)의 외주면은 내부실린더(11)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롤러삽입창(11a)을 통과하여, 내부실린더(11)의 외주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내부실린더(11)의 외주면으로부터 노출된 돌출링(13a)의 표면(롤러 표면)은 축방향의 중간부에서 스텝부를 갖고, 전체적으로 단면에 있어서, 축선상 일단부측(도면에서 우측)으로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링형상의 고무부재(13b)는 하향 경사진 측(도면에서 우측)의 에지부에 원주방향으로 장착된다. 또한 돌출링(13a)의 표면(롤러표면)의 경사각은 일반적으로 3° 내지 5°의 범위내에 있다.
특정 갭(13c)이 롤러삽입창(11a)의 내면과, 롤러(13)의 돌출링(13a)의 측면 사이의 하향 경사진 측(도면에서 우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내부실린더(11)의 내부는 갭(13a)을 통해 롤러(13)상에 위치한 캡슐(C4)을 흡입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진공펌프로 배출된다.
회전축(A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롤러(13)에 관하여,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회전축(A5)의 양단부는, 내부실린더(11)의 양측벽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기어(131)는 회전축(A5)의 일단부상에 장착되고, 모터(도시안함)와 같은 구동원에 접속된 구동축(132)상에 고정된 구동기어(133)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롤러(13)는 일반적으로 특정 속도로 회전축(A5) 주위를 회전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부실린더(12)의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이것은 이후에 설명한다)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내부실린더(11)의 한 측부 및 최하부의 각각에 압축공기 분사노즐이 구비된다. 한 측부에 구비된 노즐은 불량 캡슐을 불량 캡슐 회수캔(71)내로 취출하기 위해 사용되고(도 1 및 2 참조), 품질 판정부의 지시에 의거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작동된다. 또한 최하부에 구비된 노즐은 양호 캡슐을 양호 캡슐 배출슈트(72)로 취출하기 위해 사용되고, 일반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작동된다. 이하, 한 측부에 구비된 노즐을 "불량 캡슐 배출노즐"이라 하고, 최하부에 구비된 노즐을 "양호 캡슐 배출노즐"이라 한다.
복수의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은 외부실린더(12)의 주변벽 내에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은 대략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의 길이는 검사할 캡슐(C4) 보다 길게 형성되고, 그 중심축(121a)은 외부실린더(12)의 축방향(12a)으로부터 소적의 각도(θ)만큼 오프셋되어 있다. 또한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의 중심축(121a)과 외부실린더(12)의 축방향(12a) 사이의 각(θ)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각(θ)은 1° 내지 5°의 범위에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실린더(12)는 내부실린더(11)의 외주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외부실린더(12)의 측벽(123)의 중심부는, 내부실린더(11)의 중심축상에 배치된 간헐적 회전가능 샤프트(122)에 고정 접속되어 있다. 간헐적 회전가능 샤프트(122)는 간헐적 구동 장치(도시안함)에 결합되어, 간헐적 회전가능 샤프트(122)와 통합된 외부실린더(12)가 간헐적 구동 장치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외부실린더(12)의 주변벽에 형성된 리드스루 유지포켓(121)은 내부실린더(11)의 외주면을 따라 주위를 원주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의 참조번호 7은 선감지카메라(74)와 조명장치(75)를 포함하는 영상픽업장치를 나타낸다. 선감지카메라(74)는 간헐적으로 정지되는 외부실린더(12)의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내에서 롤러(13)상에 위치한 상태로 회전하는 캡슐을 촬영한다. 이때 캡슐은 조명장치(75)로 조명된다. 캡슐이 영상픽업장치(7)에 의해 촬영되는 검사 드럼(1)상의 촬영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캡슐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검사 드럼(1)의 최상점으로부터 운반방향의 하류측에서 약 20° 내지 40° 오프셋된 위치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참조번호 73은 불량 캡슐 회수캔(71)의 상부에 배치된 커버를 나타낸다. 커버(73)는 불량 캡슐 배출노즐로부터 분사된 압축공기에 의해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으로부터 취출된 불량 캡슐이 불량 캡슐 회수캔(71)내로 확실하게 회수되도록 한다. 도 1의 참조번호 14는 불량 캡슐이 불량 캡슐 배출노즐에 의해 배출된 부분으로부터 하류측의 외부실린더(12)의 외주를 따라 배치된 낙하방지판을 나타낸다. 낙하방지판(14)은 캡슐이 양호 캡슐 배출슈트(72)로 운반되기 전에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불량 캡슐이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으로부터 취출되고, 커버(73)를 통과한 사실을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감지기가 커버(73)내에 장착된다. 즉 불량 캡슐이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으로부터 배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복수의 불량 캡슐이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과 일렬로 존재하는 경우, 캡슐은 한번에 하나씩 연속적으로 배출되고, 캡슐이 적외선감지기를 통과한 회수가 검출되고, 그것에 의해 모든 불량 캡슐이 배출된 사실이 검출된다. 만약 검사 드럼(1)내에 불량 캡슐이 잔류함이 적외선감지기로 검출되면, 검사장치는 자동적으로 정지하여 불량 캡슐이 양호 캡슐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의 참조번호 9는 검사할 캡슐을 외관검사장치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호퍼를 나타낸다. 캡슐은 투입 호퍼(9)로부터 검사장치내의 공급 호퍼(2)로 투입된다. 도 1의 참조번호 10은 다양한 검사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작동보드를 나타낸다. 작동보드(10)는 검사상태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니터를 포함한다.
본 구체예의 외관검사장치에 따르면, 캡슐은 투입 호퍼(9)로부터 검사장치 로 투입되어 일단 공급 호퍼(2)내에 임의로 수용되고, 공급 드럼(3)내에서 직립 상태로 정렬된다. 이어서 모든 캡슐은 제 1 및 제 2 방향제한 드럼(4 및 5)에 의해 캡측이 특정방향을 향한 측방향회전 상태로 방향제한되고, 검사 드럼(1)에 공급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상기의 관련기술의 외관검사장치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것과 동일하다(도 6 내지 9 참조).
이어서, 제 2 방향제한 드럼(5)으로부터 방향제한된 상태로 검사 드럼(1)에 공급된 캡슐(C4)은 검사 드럼(1)을 구성하는 외부실린더(12)의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 내에 수용되고, 간헐적으로 공전하도록 외부실린더(12)의 간헐적 회전에 의해 운반된다. 캡슐(C4)의 운반과정에서, 캡슐(C4)은 검사 드럼(1)내에서,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13)에 의해 회전하고, 영상픽업장치(7)의 선감지카메라(74)로 촬영된다. 이렇게 얻어진 캡슐의 영상으로부터, 캡슐(고형 제제)이 외관이 불량한지 양호한지를 품질판정부(도시안함)에서 판정하고,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으로부터 불량 캡슐 회수캔(71)으로 불량 캡슐 배출노즐(도시안함)에 의해 불량 캡슐이 취출되고, 나머지 양호 캡슐이 양호 캡슐 배출슈트(72)내로 양호 캡슐 배출노즐(도시안함)에 의해 취출된다. 따라서 캡슐(C4)은 번갈아 각각 회수되는 불량 캡슐과 양호 캡슐로 분류된다.
이러한 경우에 본 구체예의 외관검사장치에 따르면, 검사 드럼(1)은 고정된 내부실린더(11)와, 내부실린더(11)의 외측에 간헐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외부실린더(12)를 포함하고, 캡슐(C4)은 외부실린더(12)에 구비된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내에 수용된 상태로 운반되고, 그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C4)은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내에 유지된 상태로 내부실린더(11)의 외주면상에서 구르면서 운반된다.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롤러(13)가 배치되고, 캡슐(C4)이 간헐적으로 정지되는 부분까지 운반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이 내부실린더(11)의 외주면으로부터 노출된 롤러(13)의 돌출링(13a)의 표면상에 위치하고, 이어서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내에서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13)에 의해 회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캡슐(C4)은 회전하여 정지한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내에 유지된 상태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13)의 돌출링(13a)의 표면상에서 구르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C4)을 유지하기 위한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은 중심축(121a)이 외부실린더(12)의 축방향(12a)으로부터 소정의 각도(θ)만큼 오프셋된 상태로 형성되고, 따라서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의 중심축(121a)도 내부실린더(11)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된 롤러(13)의 회전축(A5)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만큼 오프셋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내에 유지되면서 롤러(13)의 돌출링(13a)의 표면상에서 구르는 캡슐(C4)의 회전축은 롤러(13)의 회전축(A5)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따라서 캡슐(C4)은 롤러(13)의 돌출링(13a)의 표면상에서, 롤러(13)의 회전방향으로부터 경사지게 오프셋된 방향으로,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내에 유지된 상태로 구른다. 그 결과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내의 각각의 캡슐(C4)은 포켓(121)의 일단부측(도 5에서 우측)으로 시프트된다. 또한 롤러(13)의 돌출링(13a)은, 상기한 바와 같이 그것의 표면이 단면에 있어서 축선상 일단부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돌출링(13a)의 경사진 면상에서 회전되는 캡슐(C4)은 축선상 일단부측(도 5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게 된다. 즉 캡슐(C4)이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의 일단부측(도 5에서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면서, 캡슐(C4)은 롤러(13)의 돌출링(13a)상에서 회전한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C4)은 캡측(도면에서 우측)으로 시프트된다.
또한 본 구체예의 외관검사장치에 있어서, 캡슐(C4)이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13)의 돌출링(13a)상에서 회전하기 시작할 때, 캡슐(C4)은, 돌출링(13a)과 내부 실린더(11)의 롤러삽입창(11a) 사이에 구비된 갭(13a)을 통한 흡입에 의해 일단부측(캡측)으로 확실하게 시프트된다. 상기 흡입상태는 캡슐(C4)의 회전동안 확실하게 유지된다. 더욱이, 캡슐(C4)의 캡측 주면이 돌출링(13a)의 하향 경사 에지부에 장착된 고무부재(13b)에 대하여 접하여 있기 때문에, 캡슐(C4)의 회전이 고무부재(13a)의 마찰저항에 의해 확실하게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의 중심축(121a)이 외부실린더(12)의 축방향(12a)으로부터 소정의 각도(θ)만큼 오프셋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내에 유지되면서 외부실린더(12)의 회전에 의해 운반되고, 내부실린더(11)의 외주면상에서 구르는 캡슐(C4)은 외부실린더(12)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오프셋된 방향으로 구르고, 따라서 캡슐(C4)이 롤러(13)가 배치된 부분으로 운반되는 기간 동안 캡슐(C4)은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의 일단부측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이 경우, 롤러(13)의 돌출링(13a)상에서의 회전동안에 캡슐(C4)이 시프트되는 단부와 일치하도록 운반되는 동안 캡슐(C4)이 이동되는 단부를 세팅함으로써, 운반동안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의 일단부측(캡측)으로 시프트되는 캡슐(C4)은, 운반동안 캡슐(C4)이 일단부측(캡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롤러(13)의 돌출링(13a)상에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본 구체예의 검사장치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캡슐(C4)이, 롤러(13)의 돌출링(13a)상에서 회전하면서,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의 일단부측(캡측)으로 확실하게 이동(시프트)될 수 있기 때문에, 운반동안 캡슐(C4)이 시프트되는 방향은, 캡슐(C4)이 롤러(13)의 돌출링(13a)상에서 이동되는 방향과 역전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구체예의 외관검사장치에 의하면, 검사 드럼(1)에 의해 유지되는 모든 캡슐(C4)이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의 일단부측으로 시프트되도록 위치될 수 있고, 위치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캡슐(C4)이 촬영될 수 있다. 따라서 편향과 같은 장애의 발생없이 캡슐의 명료한 영상을 확실하게 얻고, 따라서 엄격하게 결정된 품질표준하에 고정밀도로 캡슐의 외관을 검사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구체예의 외관검사장치에 의하면, 캡과 본체를 갖는 각 캡슐은, 캡이 특정방향을 향한 가로방향회전 상태로 방향제한되어, 이 상태로 검사 드럼(1)에 공급되고,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내의 캡측으로 시프트되도록 모두 위치되고, 이어서 캡슐(C4)의 외관이 검사되어, 캡과 본체 사이의 경계에 형성된 스텝부가 정확히 위치된 상태로 각 캡슐의 외관을 검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텝부에 기인하는 영상데이터의 변화를 미리 저장하는 관련기술의 방법에 따라 스텝부로부터 각 캡슐의 스텝부 부근에서 발생하기 쉬운 분열유사 손상이나 균열과 같은 결함을 확실하게 확인하면서 검출할 수 있고, 따라서 캡슐에 대한 엄격한 외관검사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캡과 본체가 서로 결합된 캡슐에 대하여, 캡과 본체 사이의 결합길이는 약간 변하고, 그것에 의해 캡슐의 전체 길이가 반드시 특정화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본체 주위에 끼워진 캡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특정화된다. 따라서 본 구체예에 있어서, 캡과 본체 사이의 경계는, 캡측으로 캡슐을 시프트시켜 정확히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스텝부에 기인하는 영상데이터의 변화가 판정되고 저장될 수 있고, 또한 스텝부에 기인하는 데이터의 변화가 나타나는 영상상의 위치가 확실히 특정화될 수 있고, 따라서 미리 저장된 변화와 다른 이상으로 발생하는 손상과 같은 결함이 상기 스텝부에서 확실히 확인되면서, 쉽게 검출될 수 있다.
또한 본 구체예의 외관검사장치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검사할 캡슐(C4)이 리드스루 유지 포켓(121)내에서 일단부측으로 시프트한 상태에서 촬영되기 때문에, 캡슐의 일단부(캡측상의 선단부)가 이렇게 얻어진 영상내에 정렬되고, 따라서 캡슐의 길이는, 캡슐의 타단부(본체측의 선단부)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정밀하게 검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캡슐의 길이를 통상적 외관검사와 동시에 검사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구체예의 외관검사장치에 의하면, 실용면에서 충분히 만족할 만한 높은 검사정밀도를 달성할 수 있고, 또한 통상적 외관검사와 동시에 길이검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외관검사장치는 상기 구체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체예에서는 비록 직립 상태로 정렬된 캡슐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드럼(3)과 두개의 방향제한 드럼(4 및 5)의 구비에 의해 캡측이 특정 방향으로 향한 측방향회전 상태로 캡슐이 방향제한되더라도, 공급부 "s" 에 구비되는 방향제한 수단은 방향제한 드럼(4 및 5)에 제한되지 않고, 캡이 특정방향을 향한 측방향회전 상태로 캡슐의 방향을 제한하면서 검사 드럼(1)에 캡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한, 어떤 형태의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체예에 있어서는, 캡과 본체를 갖는 경질 캡슐편이 약제로 채워진 캡슐의 외관과, 캡과 본체가 일시적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는 빈 캡슐의 외관검사의 예에 의해 기술되지만, 검사되는 고형 제제는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검사장치는 연질 캡슐이나 타원형 구같은 정제에 대한 외관검사에 적절히 사용된다. 이 경우, 고형 제제는 방향제한되는 것이 특별히 필요하지는 않기 때문에, 방향제한 수단은 생략될 수 있고, 공급부 "s" 는 측방향회전 상태로 고형 제제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간단히 구성될 수 있다. 캡슐을 불량 캡슐과 양호 캡슐로 분류하고 불량 캡슐과 양호 캡슐을 각각 회수하기 위한 각각의 기구와 영상픽업장치(7)의 구성은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체예의 외관검사장치의 기타 구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형제제의 외관검사장치에 의하면 실용면에서 충분히 만족스러운 높은 검사정밀도가 얻어지고 또한 고형제제의 길이 검사도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고형 제제의 외관검사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일부가 부분절개된, 도 1에 도시된 외관검사장치의 검사 드럼부를 도시한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외관검사장치의 검사 드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검사 드럼에 구비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부를 도시한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검사 드럼의 외부실린더에 구비된 리드스루(lead- through) 유지 포켓 내에 수용된 캡슐의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관련기술의 외관검사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외관검사장치의 검사 드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외관검사장치에서의 캡슐의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외관검사장치의 검사 드럼 내에 캡슐이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Claims (4)

  1. 특정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대칭의 형상을 갖는 고형 제제의 외관을 검사하는 외관검사장치로서,
    상기 고형 제제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고형 제제를 외주부상에 유지하고, 간헐적으로 회전 운반하며, 상기 고형 제제를 특정의 운반 위치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검사 드럼;
    상기 검사 드럼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고형 제제의 표면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픽업장치;
    상기 영상픽업장치에 의해 픽업된 상기 고형 제제의 영상을 처리하고 상기 고형 제제가 불량한지 양호한지를 판정하기 위한 품질 판정부; 및
    상기 품질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고형 제제를 불량 캡슐 및 양호 캡슐로 분류하고 상기 불량 및 양호 캡슐을 회수하기 위한 분류 수단을 포함하는 외관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사 드럼은 고정된 내부실린더와, 이 내부실린더의 외주면을 따라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상기 내부실린더의 외주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외부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실린더의 축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롤러가, 그 롤러의 표면이 상기 내부실린더의 외주면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상기 내부실린더의 일부 내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실린더의 외주면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롤러의 표면은 축방향 일단부쪽으로 하향 경사진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외부실린더는 상기 외부실린더의 축방향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만큼 오프셋된 중심축을 갖는 타원형, 장타원형 또는 장방형으로 각각 형성된 리드스루 유지 포켓을 포함하여;
    상기 고형 제제는 상기 리드스루 유지 포켓 내에 유지되어 상기 외부실린더의 간헐적 회전에 의해 운반되고; 소정의 운반 위치에서 간헐적으로 정지된 상기 리드스루 유지 포켓 내의 상기 고형 제제는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롤러 상에서 회전하고; 이렇게 회전하는 상기 고형 제제의 외주면은 상기 영상픽업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하향 경사진 측의 상기 롤러 표면의 에지부에 링모양의 고무부재가 원주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검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제제는 캡과 본체를 포함하는 경질 캡슐이고;
    상기 공급부는 상기 캡슐을 캡측이 특정 방향으로 향하게 정렬시키기 위한 방향제한 수단을 구비하고, 이로써 상기 캡슐은 상기 방향제한 수단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제한된 상태로 상기 외부실린더의 상기 리드스루 유지 포켓에 수용된 상태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검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일단 소정 갯수의 캡슐을 수용하고 상기 캡슐을 공급 드럼에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호퍼;
    상기 캡슐의 축선이 위아래로 향한 직립 상태로 상기 캡슐을 수용하는 복수의 공급 포켓이 외주면에 정렬되어 형성되어 있고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공급 드럼;
    그 외주면이 상기 공급 드럼의 외주면에 근접한 상태로 상기 공급 드럼 아래에 배치되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1 방향제한 드럼으로서, 상기 공급 포켓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 1 방향제한 드럼의 외주면에 정렬되어 있는 제 1 방향제한 포켓을 구비한 상기 제 1 방향제한 드럼;
    상기 제 1 방향제한 드럼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 1 방향제한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한 상기 캡슐의 본체측 단부를 가로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제 1 방향제한 포켓내에서 상기 캡슐을 가로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적합한, 상기 제 1 방향제한 드럼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약간 경사진 누름부를 구비한 제 1 방향제한 가이드;
    그 외주면이 상기 제 1 방향제한 드럼의 외주면에 근접한 상태로 상기 제 1 방향제한 드럼 아래에 배치되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 2 방향제한 드럼으로서, 상기 제 1 방향제한 포켓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방향제한 드럼의 외주부에 정렬되어 있는 제 2 방향제한 포켓을 구비하는 제 2 방향제한 드럼; 및
    상기 제 2 방향제한 드럼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 2 방향제한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캡슐의 본체측 단부를 가로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제 2 방향제한 포켓내에서 상기 캡슐을 가로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적합한, 상기 제 2 방향제한 드럼의 회전방향으로부터 약간 경사진 누름부를 갖는 제 2 방향제한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방향제한 포켓은, 캡슐의 축선이 수평방향으로 향하여 있는 가로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의 캡슐 및 캡슐의 캡이 위를 향하여 있는 직립 상태의 캡슐을 완전히 수용하는데 적합하고, 또한 캡슐의 본체부가 상기 제 1 방향제한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가 위로 향하여 있는 직립 상태의 캡슐을 수용하는데 적합하고;
    상기 제 2 방향제한 포켓은, 가로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의 캡슐을 완전히 수용하는데 적합하고, 상기 캡슐의 일단부가 상기 제 2 방향제한 드럼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직립 상태의 캡슐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검사장치.
KR1019980004748A 1997-02-17 1998-02-17 고형 제제의 외관검사장치 KR100542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847797 1997-02-17
JP97-48477 1997-02-17
JP04989797A JP3687710B2 (ja) 1997-02-17 1997-02-18 固形製剤の外観検査装置
JP97-49897 1997-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418A KR19980071418A (ko) 1998-10-26
KR100542477B1 true KR100542477B1 (ko) 2006-03-23

Family

ID=2638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4748A KR100542477B1 (ko) 1997-02-17 1998-02-17 고형 제제의 외관검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108030A (ko)
EP (1) EP0859227B1 (ko)
JP (1) JP3687710B2 (ko)
KR (1) KR100542477B1 (ko)
DE (1) DE69826158T2 (ko)
ES (1) ES2229447T3 (ko)
TW (1) TW350911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596B1 (ko) 2015-08-07 2016-10-27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검사장치
KR20170017628A (ko) 2015-08-07 2017-02-15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공급장치
KR20170017632A (ko) 2015-08-07 2017-02-15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 정렬 이송장치
KR102271342B1 (ko) * 2020-06-15 2021-06-30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캡슐검사시스템 및 방법
KR102435592B1 (ko) * 2022-01-21 2022-08-24 주식회사 에스엘티지 의약품 캡슐 외관 검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9455B2 (en) 1999-02-03 2004-05-25 Shionogi Qualicaps Co., Ltd Defective capsule removing mechanism
JP2000226016A (ja) * 1999-02-03 2000-08-15 Shionogi Qualicaps Kk 不良カプセルの除去機構
JP4035679B2 (ja) 1999-07-23 2008-01-23 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錠剤の側面検査装置、及び表裏面検査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錠剤の外観検査装置
ITBO20020313A1 (it) * 2002-05-21 2003-11-21 Ima Spa Unita per il riempimento di contenitori con prodotti , in particolarearticoli farmaceutici
CN100548260C (zh) * 2002-07-05 2009-10-14 盐野义胶囊股份有限公司 胶囊填充封口装置
US8121392B2 (en) * 2004-10-25 2012-02-21 Parata Systems, Llc Embedded imaging and control system
PT1836665E (pt) 2004-11-19 2013-04-11 Glaxosmithkline Llc Método para fornecimento personalizado de produtos de combinação de medicamentos em doses variáveis para individualização de terapêuticas
NZ555244A (en) * 2004-11-19 2010-06-25 Smithkline Beecham Corp Manufacture process for pharmaceutical product allowing delivery of a plurality of active agents
DE102005049958A1 (de) * 2005-10-19 2007-04-26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Optische semiquantitative 100%-Befüllungskontrolle von pharmazeutischen Kapseln auf Kapselfüllmaschinen
US8372225B2 (en) * 2005-11-18 2013-02-12 Glaxo Group Limited Machine and method for pharmaceutical and pharmaceutical-like product assembly
KR100597375B1 (ko) * 2006-01-24 2006-07-06 한대중 침지성형(디핑) 제품의 후처리 장치
JP5454060B2 (ja) * 2009-09-30 2014-03-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板の振り分け方法及び振り分け装置
JP5746578B2 (ja) * 2011-07-05 2015-07-08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シート状部材の巻き付け状態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WO2016060499A1 (ko) * 2014-10-17 2016-04-21 신용관 약품 하이브리드 검사시스템 및 검사방법
KR101597934B1 (ko) * 2015-03-11 2016-03-07 박상규 향 캡슐 품질검사 장치
CN105170479A (zh) * 2015-09-18 2015-12-23 盛浩洋 残次胶囊分拣机
CN105170478A (zh) * 2015-09-18 2015-12-23 盛浩洋 一种残次胶囊分拣机
US10187593B2 (en) 2016-09-27 2019-01-22 Rxsafe Llc Verification system for a pharmacy packaging system
US11595595B2 (en) 2016-09-27 2023-02-28 Rxsafe Llc Verification system for a pharmacy packaging system
JP6879822B2 (ja) * 2017-05-18 2021-06-02 株式会社 東京ウエルズ ワーク外観検査装置およびワーク外観検査方法
AU2018347638B2 (en) 2017-10-13 2024-02-01 Rxsafe Llc Universal feed mechanism for automatic packager
KR20220136994A (ko) 2020-02-17 2022-10-11 쿠오리카프스 가부시키가이샤 캡슐의 외관검사장치
CN112378915B (zh) * 2020-11-05 2023-05-09 无锡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自动接送方管检测机架结构系统
CN114062262B (zh) * 2021-09-24 2023-08-11 贵州大学 一种面向环形光源的多视角胶囊缺陷检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6887A (en) * 1990-10-02 1993-02-16 Mitsubishi Nuclear Fuel Co. Apparatus for inspecting peripheral surfaces of nuclear fuel pellets
JPH0735693A (ja) * 1993-07-16 1995-02-07 Nippon Eranko Kk 固形製剤の外観検査装置
EP0715164A2 (en) * 1994-11-29 1996-06-05 Japan Elanco Company Limited Side face examination apparatus for pressed articles, conveyor for pressed articles and external appearance examination apparatus for pressed 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30013C2 (de) * 1988-09-03 1996-10-17 Bosch Gmbh Robert Füll- und Schließmaschine für zweiteilige Kapseln
US4901865A (en) * 1988-12-23 1990-02-20 Eli Lilly And Company Capsule-inspection apparatus
JPH02180265A (ja) * 1988-12-28 1990-07-13 Nippon Eranko Kk カプセル充填装置
JPH06505884A (ja) * 1991-03-28 1994-07-07 レイラス オイ 皮下用カプセルの製造装置
US5321932A (en) * 1992-02-26 1994-06-21 Professional Compounding Centers Of America, Inc. Capsule handling system
US5463839A (en) * 1994-08-04 1995-11-07 The Lakso Company Apparatus for packaging a predetermined quantity of objects and a counting device therefor
DE4446470A1 (de) * 1994-12-23 1996-06-27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eilbaren Tabletten
IT1278210B1 (it) * 1995-05-19 1997-11-17 Ima Spa Macchina automatica per il confezionamento di compresse entro capsule di gelatina
US5746323A (en) * 1995-12-11 1998-05-05 M.W.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high speed inspection of objects
IT1285583B1 (it) * 1996-03-04 1998-06-18 Mg 2 Spa Macchina dosatr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6887A (en) * 1990-10-02 1993-02-16 Mitsubishi Nuclear Fuel Co. Apparatus for inspecting peripheral surfaces of nuclear fuel pellets
JPH0735693A (ja) * 1993-07-16 1995-02-07 Nippon Eranko Kk 固形製剤の外観検査装置
EP0715164A2 (en) * 1994-11-29 1996-06-05 Japan Elanco Company Limited Side face examination apparatus for pressed articles, conveyor for pressed articles and external appearance examination apparatus for pressed article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596B1 (ko) 2015-08-07 2016-10-27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검사장치
EP3128313A1 (en) 2015-08-07 2017-02-08 Daeyongpharmatech Co., Ltd. Automatic pill inspection apparatus
KR20170017628A (ko) 2015-08-07 2017-02-15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공급장치
KR20170017632A (ko) 2015-08-07 2017-02-15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 정렬 이송장치
WO2017026574A1 (ko) * 2015-08-07 2017-02-16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검사장치
KR102271342B1 (ko) * 2020-06-15 2021-06-30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캡슐검사시스템 및 방법
KR102435592B1 (ko) * 2022-01-21 2022-08-24 주식회사 에스엘티지 의약품 캡슐 외관 검사장치
WO2023140417A1 (ko) * 2022-01-21 2023-07-27 (주)에스엘티지 의약품 캡슐 외관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87710B2 (ja) 2005-08-24
JPH10288583A (ja) 1998-10-27
TW350911B (en) 1999-01-21
KR19980071418A (ko) 1998-10-26
DE69826158T2 (de) 2006-03-02
ES2229447T3 (es) 2005-04-16
EP0859227B1 (en) 2004-09-15
EP0859227A2 (en) 1998-08-19
DE69826158D1 (de) 2004-10-21
EP0859227A3 (en) 1999-02-17
US6108030A (en) 2000-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2477B1 (ko) 고형 제제의 외관검사장치
JP3758004B2 (ja) 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4035679B2 (ja) 錠剤の側面検査装置、及び表裏面検査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3105752B2 (ja) 偏平物品の側面検査装置、偏平物品の搬送装置及びそれらを用いた偏平物品の外観検査装置
JP3846532B2 (ja) 錠剤の側面検査装置及び該側面検査装置を用いた錠剤の外観検査装置
US6434911B1 (en) Defective capsule removing mechanism
JP4849202B2 (ja) 扁平錠剤の外観検査装置
US6739455B2 (en) Defective capsule removing mechanism
US7079236B2 (en) Appearance inspection machine for flat tablet
JP3043924B2 (ja) 固形製剤の外観検査装置
WO2021166446A1 (ja) カプセルの外観検査装置
JP4176390B2 (ja) 搬送装置
JP2021109745A (ja) 搬送処理装置
JP2977640B2 (ja) カプセル検査装置
JP3365545B2 (ja) カプセルの検査方法と装置
JPH10170446A (ja) 錠剤の姿勢変換機構及び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4853673B2 (ja) 不良カプセルの除去機構
JPH11241999A (ja) 偏平錠剤の側面検査装置及び該側面検査装置を具備した外観検査装置
JPH11201904A (ja) 偏平錠剤の側面検査装置及び該側面検査装置を具備した外観検査装置
JP7407465B2 (ja) 成形品処理システム
JP4633093B2 (ja) 錠剤の表裏面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装置
JPH1151872A (ja) 錠剤の側面検査装置、錠剤の姿勢変換装置及びこれらを備えた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2000249657A (ja) 略円柱状物品の外観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