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596B1 - 정제 자동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정제 자동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596B1
KR101669596B1 KR1020150111836A KR20150111836A KR101669596B1 KR 101669596 B1 KR101669596 B1 KR 101669596B1 KR 1020150111836 A KR1020150111836 A KR 1020150111836A KR 20150111836 A KR20150111836 A KR 20150111836A KR 101669596 B1 KR101669596 B1 KR 101669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drum
compressed air
tablets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필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Priority to KR1020150111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596B1/ko
Priority to PCT/KR2015/009601 priority patent/WO2017026574A1/ko
Priority to US14/898,567 priority patent/US20170254762A1/en
Priority to CN201580000744.6A priority patent/CN107073524A/zh
Priority to EP16162715.3A priority patent/EP312831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08Capsules;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04Cleaning sample transf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01Sample carriers, cuvettes or reaction vessels
    • G01N2035/0429Sample carrie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G01N2035/0432Sample carrie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integrated with measur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6General conveyor fea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 자동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제(p)를 공급하는 정제 피더(10);와, 상기 정제 피더(10)로부터 공급된 상기 정제(p)를 하나씩 정렬하여 이송하는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공급장치(100);와, 이송된 상기 정제(P)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이 순차로 노출되도록 정하여 이송하는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 정렬 이송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제 자동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드럼(210)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정제(P)의 상기 상측면을 검사하는 상측면 감지 카메라(300);와, 상기 하부 드럼(240)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정제(P)의 상기 하측면 및 각각의 측면을 검사하는 반전 후 감지 카메라(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측면 감지 카메라(300) 및 상기 반전 후 감지 카메라(310)의 검사 결과에 따라 불량으로 판별된 상기 정제(p)를 선별적으로 압축공기에 의하여 제 1 불량 정제 배출 박스(330)로 배출하고, 정상인 상기 정제(p)는 정상 정제 배출 박스(350)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자동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제 자동검사장치{Automatic Insp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정제 자동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제(p)를 공급하는 정제 피더(10);와, 상기 정제 피더(10)로부터 공급된 상기 정제(p)를 하나씩 정렬하여 이송하는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공급장치(100);와, 이송된 상기 정제(P)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이 순차로 노출되도록 정하여 이송하는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 정렬 이송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제 자동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공급장치(100)는,
상기 정제 피더(10)로 부터 공급되는 상기 정제(p)를 유도하여 공급하는 공급 가이드(110);와, 상기 공급 가이드(110)로부터 공급된 상기 정제(p)가 안착될 수 있는 정제 안착홈(121)이 그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순차 형성되어 있는 톱니 드럼(120);과, 상기 톱니 드럼(120)의 외부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정제 안착홈(121)에 안착된 상기 정제(p)를 접촉 압박하여 상기 톱니 드럼(120)이 회전함에 따라 하나의 상기 정제 안착홈(121)에 하나의 상기 정제(p)가 안착하도록 하는 정렬 브러쉬(130);와, 상기 톱니 드럼(120)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톱니 드럼(12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그 하측에서 상기 정제(p)가 소정의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하는 된 회전 가이드부(141)와, 상기 회전 가이드부(141)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된 정제를 상부 드럼으로 안내하는 유도 가이드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통형 가이드(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 정렬 이송장치(200)는,
상기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공급장치(100)로부터 하나씩 소정의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되어 공급되는 상기 정제(p)가 상측 면이 외부를 향하도록 진공에 의하여 흡착 안착되는 정제 흡착 안착부(211)가 그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순차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측에서는 압축 공기에 의하여 상기 정제(p)를 상기 정제 흡착 안착부(211)로부터 탈리시키는 상부 드럼(210);과, 상기 상부 드럼(210)의 하측에서 탈리된 상기 정제(p)의 하측 면이 외부를 향하도록 안착되며, 상기 정제(p)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진공에 의하여 흡착 안착되는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가 그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순차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측에는 상기 정제(p)를 선별적으로 압축공기에 의하여 탈리 위치를 달리하여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로부터 탈리시키는 하부 드럼(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 드럼(210)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정제(P)의 상기 상측면을 검사하는 상측면 감지 카메라(300);와, 상기 하부 드럼(240)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정제(P)의 상기 하측면 및 각각의 측면을 검사하는 반전 후 감지 카메라(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측면 감지 카메라(300) 및 상기 반전 후 감지 카메라(310)의 검사 결과에 따라 불량으로 판별된 상기 정제(p)를 선별적으로 압축공기에 의하여 제 1 불량 정제 배출 박스(330)로 배출하고, 정상인 상기 정제(p)는 정상 정제 배출 박스(350)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자동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제 검사장치는 정제나 캡슐 등과 같은 약품의 외관을 검사하는 과정을 거친 후에 제품으로 최종 출하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기존의 정제 검사 장치들로는, 하기 특허문헌 1의 "약제 검사 장치 및 약제 검사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5987호)" 및 하기 특허문헌 2의 "고형 제제의 외관검사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2477)" 를 포함하는 다수의 선행 발명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정제 검사장치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정제를 촬영함으로써 얻은 정제 표면의 화상을 통해 정제의 흠결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서, 정제의 표면, 이면 및 측면에 대한 각각의 화상을 얻기 위하여 표면 및 이면 검사드럼과 별도로 측면을 검사하기 위한 측면 검사 드럼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정제의 전체 외관을 촬영하기 위하여 각각의 검사드럼에 다수의 카메라가 구비되어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검사 소요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제들이 호퍼에서 검사드럼의 정제 수용홈내로 안착될 때, 평복(平伏)상태의 경우에만 원형상으로 이루어진 정제 수용홈내에 제대로 안착할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의 정제들을 한꺼번에 검사할 경우, 정제들이 평복 상태로 정제 수용홈내에 안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검사 소요시간이 길어져서 생산성이 감소하고 전반적인 장치 운용면에서도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598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2477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정제 자동검사장치 내에 정제 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정제 자동검사기 작동시 비어있는 정제 수용홈이 없도록 정제들을 안착시킬 수 있으며, 정제 정렬이송장치를 통해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 정제와 캡슐을 검사하는 경우에도 신속하고 로스없이 검사할 수 있고,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구성된 정제 자동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제 자동검사장치는, 정제(p)를 공급하는 정제 피더(10);와, 상기 정제 피더(10)로부터 공급된 상기 정제(p)를 하나씩 정렬하여 이송하는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공급장치(100);와, 이송된 상기 정제(P)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이 순차로 노출되도록 정하여 이송하는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 정렬 이송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제 자동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공급장치(100)는,
상기 정제 피더(10)로 부터 공급되는 상기 정제(p)를 유도하여 공급하는 공급 가이드(110);와, 상기 공급 가이드(110)로부터 공급된 상기 정제(p)가 안착될 수 있는 정제 안착홈(121)이 그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순차 형성되어 있는 톱니 드럼(120);과, 상기 톱니 드럼(120)의 외부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정제 안착홈(121)에 안착된 상기 정제(p)를 접촉 압박하여 상기 톱니 드럼(120)이 회전함에 따라 하나의 상기 정제 안착홈(121)에 하나의 상기 정제(p)가 안착하도록 하는 정렬 브러쉬(130);와, 상기 톱니 드럼(120)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톱니 드럼(12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그 하측에서 상기 정제(p)가 소정의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하는 된 회전 가이드부(141)와, 상기 회전 가이드부(141)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된 정제를 상부 드럼으로 안내하는 유도 가이드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통형 가이드(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 정렬 이송장치(200)는,
상기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공급장치(100)로부터 하나씩 소정의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되어 공급되는 상기 정제(p)가 상측 면이 외부를 향하도록 진공에 의하여 흡착 안착되는 정제 흡착 안착부(211)가 그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순차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측에서는 압축 공기에 의하여 상기 정제(p)를 상기 정제 흡착 안착부(211)로부터 탈리시키는 상부 드럼(210);과, 상기 상부 드럼(210)의 하측에서 탈리된 상기 정제(p)의 하측 면이 외부를 향하도록 안착되며, 상기 정제(p)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진공에 의하여 흡착 안착되는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가 그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순차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측에는 상기 정제(p)를 선별적으로 압축공기에 의하여 탈리 위치를 달리하여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로부터 탈리시키는 하부 드럼(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 드럼(210)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정제(P)의 상기 상측면을 검사하는 상측면 감지 카메라(300);와, 상기 하부 드럼(240)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정제(P)의 상기 하측면 및 각각의 측면을 검사하는 반전 후 감지 카메라(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측면 감지 카메라(300) 및 상기 반전 후 감지 카메라(310)의 검사 결과에 따라 불량으로 판별된 상기 정제(p)를 선별적으로 압축공기에 의하여 제 1 불량 정제 배출 박스(330)로 배출하고, 정상인 상기 정제(p)는 정상 정제 배출 박스(350)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전 후 감지 카메라(310)는, 상기 하부 드럼(240)의 상기 일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정제(P)의 상기 하측면을 검사하는 하측면 감지 카메라;와, 상기 하부 드럼(240)의 상기 일 측면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정제(P)의 상측 측면을 검사하는 상측 측면 감지 카메라;와, 상기 하부 드럼(240)의 상기 일 측면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정제(P)의 하측 측면을 검사하는 하측 측면 감지 카메라;와, 상기 하부 드럼(240)의 상기 일 측면에 전 후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며, 그 각각의 화각(view angle)에 행을 이루어 직선으로 배열되어 안착된 상기 정제(P)들 전체의 영상이 반사경(312)을 통하여 들어올 수 있도록 배치되는 측면 감지 카메라(3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드럼(210)의 내측에 상기 상부 드럼(210)과 밀착되어 설치되며, 그 일 측면에는 진공이 인가되는 제 1 측면 진공 인가 공간부(221)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에는 하측 압축 공기 공급공(223)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진공 인가 제어부재(220);
상기 정제 흡착 안착부(211)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측면 진공 인가 공간부(221)와 연통되는 제 1 진공 인가공(212);
상기 상부드럼(210)의 회전에 따라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제 1 진공 인가공(212)에 상기 하측 압축 공기 공급공(223)를 통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정제(p)를 상기 정제 흡착 안착부(211)로부터 탈리시키는 하측 압축 공기 공급수단(231);
상기 하부 드럼(240)의 내측에 상기 하부 드럼(240)과 밀착되어 설치되며, 그 일 측면에는 진공이 인가되는 제 2 측면 진공 인가 공간부(251)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에는 제 1 압축 공기 공급공(255) 및 제 2 압축 공기 공급공(256)이 순차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진공 인가 제어부재(250);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측면 진공 인가 공간부(251)와 연통되는 제 2 진공 인가공(244);
상기 상부드럼(210)의 회전에 따라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제 2 진공 인가공(244)에 상기 제 1 압축 공기 공급공(255)을 통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불량으로 판별된 상기 정제(p)를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로부터 탈리시키는 제 1 압축 공기 공급수단(260);
상기 상부드럼(210)의 회전에 따라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제 2 진공 인가공(244)에 상기 제 2 압축 공기 공급공(255)을 통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정상으로 판별된 상기 정제(p)를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로부터 탈리시키는 제 2 압축 공기 공급수단(26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부 드럼(210)과 상기 하부 드럼(240)은 상기 정제(P)의 규격에 따라 교체되어 장착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진공 인가 제어부재(220)의 외주연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드럼(210)의 상부 드럼 플렌지(215)에 형성된 상부 드럼 구동핀 삽입공(216)에 각각 삽입되는 상부 드럼 구동핀(281)이 다 수개 설치되며, 상기 상부드럼(210)을 교체가능하게 설치하여 구동시키는 상부 드럼 구동부(280);
상기 제 2 진공 인가 제어부재(250)의 외주연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드럼(240)의 하부 드럼 플렌지(245)에 형성된 하부 드럼 구동핀 삽입공(246)에 각각 삽입되는 하부 드럼 구동핀(291)이 다 수개 설치되며, 상기 하부드럼(240)을 교체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상부 드럼(210)과 반대방향으로 연동하여 구동시키는 하부 드럼 구동부(29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불량으로 판별된 상기 정제(p)를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로부터 탈리시키는 작동 직후에 해당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에 상기 정제(p)의 잔류 여부를 감지하는 잔여 정제 감지 센서(320);와, 상기 제 1 압축 공기 공급공(255) 및 제 2 압축 공기 공급공(256) 사이에 더 형성되는 제 3 압축 공기 공급공(255);과, 상기 상부드럼(210)의 회전에 따라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제 2 진공 인가공(244)에 상기 제 3 압축 공기 공급공(255)을 통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불량으로 판별되었으나 탈리되지 않고 잔류하고 있는 상기 정제(p)를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로부터 탈리시키는 제 3 압축 공기 공급수단(26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진공 인가공(24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측에는 흡착홈(243)이 형성되어 있는 흡착 안착 돌기(24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 안착 돌기(242)의 상측은 상기 하부 드럼(240)의 외주면보다 0.05~0.3㎜ 내측으로 평면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드럼(240)의 타 측면에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정제(P)가 탈리된 상기 하부 드럼(240)의 표면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잔여물을 청소하는 드럼 클리닝 장치(3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드럼 클리닝 장치(360)는, 상기 정제(P)가 탈리된 상기 하부 드럼(240)의 표면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잔여물을 청소하는 압축 공기 배출부(361);와, 상기 압축 공기 배출부(361)에서 분사된 압축 공기에 의하여 청소된 상기 잔여물을 진공을 이용하여 빨아들이는 석션부(36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진공 인가 제어부재(220)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측 압축 공기 공급공(222);과, 상기 제 2 진공 인가공(244)에 상기 상측 압축 공기 공급공(222)을 통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정제(p)를 상기 정제 흡착 안착부(211) 안에서 정렬하는 상측 압축공기 공급수단(23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드럼(210)의 상측 측면에 더 설치되어 상기 정제(p)를 접촉 압박하여 정렬하는 정렬 가이드(27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정제의 외관 검사시, 정제를 고속으로 검사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상부드럼과 하부드럼으로 이루어진 2개의 드럼과 정면과 측면 검사를 위한 1개의 카메라 및 정제의 반대면과 측면의 360도를 동시에 검사하기 위한 반전 후 감지 카메라로 정제의 모든 방향을 검사할 수 있는 정제 자동검사장치를 제공하여,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효율적인 구조로서 신속하게 제품이 공급되고, 정제가 정제 수용홈에 빠짐없이 안착됨으로써, 고속으로 검사할 수 있게 되어 장치 운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상기 상부 드럼과 상기 하부 드럼을 정제의 규격에 따라 교체하여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규격의 정제의 검사에 적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제 자동검사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제 자동검사장치의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공급장치의 구성도.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제 자동검사장치의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 정렬 이송장치의 구성도.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제 자동검사장치의 도 3에서의"A" 부분의 상면도.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제 자동검사장치의 도 3에서의"A" 부분의 측면도.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제 자동검사장치의 도 3에서의"B" 부분의 측면도.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제 자동검사장치의 상부드럼 및 하부 드럼의 교체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제 자동검사장치의 드럼 클리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제 자동검사장치의 드럼 클리닝 장치의 측면 감지 카메라(311)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제 자동검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제 자동검사장치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크게 정제(p)를 공급하는 정제 피더(10);와, 상기 정제 피더(10)로부터 공급된 상기 정제(p)를 하나씩 정렬하여 이송하는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공급장치(100);와, 이송된 상기 정제(P)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이 순차로 노출되도록 정하여 이송하는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 정렬 이송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납작한 원통형 또는 원반형 형상에 유사한 형상을 가지거나, 긴 원통형에 유사한 형상 또는 캡슐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모두 "정제(P"로 통칭하여 표현하도록 하며, 상기 정제(p)의 각 부분을 통일적으로 지칭하기 위하여, 상측/하측/ 측면으로 구분하여 표현하고자 한다.
상기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공급장치(100)는 공급되는 상기 정제(p)를 하나씩 분리하여 어느 정도 정렬된 상태(즉, 상측 또는 하측이 소정의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일차적으로 정렬된 상태)로 소정의 공급간격을 가지면서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공급장치(10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정제 피더(10)로 부터 공급되는 상기 정제(p)를 유도하여 공급하는 공급 가이드(110)와, 상기 공급 가이드(110)로부터 공급된 상기 정제(p)가 안착될 수 있는 정제 안착홈(121)이 그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순차 형성되며, 일방향으로 회전작동하는 톱니 드럼(120)과, 상기 톱니 드럼(120)의 외부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톱니 드럼(1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작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정제 안착홈(121)에 안착된 상기 정제(p)를 접촉 압박하여 상기 톱니 드럼(120)이 회전함에 따라 하나의 상기 정제 안착홈(121)에 하나의 상기 정제(p)가 안착하도록 하는 정렬 브러쉬(130)와, 상기 톱니 드럼(120)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톱니 드럼(12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그 하측에서 상기 정제(p)가 소정의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하는 된 회전 가이드부(141)와, 상기 회전 가이드부(141)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된 정제를 상부 드럼으로 안내하는 유도 가이드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통형 가이드(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정제 안착홈(121)은 톱니 형상을 가지는 톱니 격벽부(122)에 의하여 구분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제 안착홈(121)의 형성 간격에 따라 상기 정제(P)가 정렬되어 공급되는 상기 소정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정제 자동 검사 장치에 상기 정제(P)가 소정의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되는 것에 더하여, 상기 소정 간격을 가지고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정렬된 상기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 정렬 이송장치(200)의 상기 상부 드럼(210)에 형성된 정제 흡착 안착부(211)의 배열 간격에 맞춰 상기 정제(P)를 정확히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정제 안착홈(121)의 형성 간격은 상기 정제 흡착 안착부(211)의 배열 간격과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렬 브러쉬(130)는 상기 톱니 드럼(120)의 외부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톱니 드럼(1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작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정제 안착홈(121)에 안착된 상기 정제(p)를 접촉 압박하여 상기 톱니 드럼(120)이 회전함에 따라 하나의 상기 정제 안착홈(121)에 하나의 상기 정제(P)가 안착하도록 하면서, 상기 정제 안착홈(121)에 안착되지 못한 여분의 정제(P)는 다시 공급 가이드(110) 방향으로 되돌려 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원통형 가이드(140)는 상기 상부 드럼(210)의 상측 방향에 상기 정제(P)를 전달하여 안착시켜야 하는 필요에 따라 정렬된 상기 정제(P)를 상기 상부 드럼(210)의 상측 방향까지 유도하여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 원통형 가이드(140)는 상기 톱니 드럼(120)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톱니 드럼(12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그 하측에서 상기 정제(p)가 소정의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하는 된 회전 가이드부(141)와, 상기 회전 가이드부(141)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된 정제를 상부 드럼으로 안내하는 유도 가이드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원통형 가이드(140)의 상기 회전 가이드부(141)에 상기 정제(p)의 상측 또는 하측이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정제(p)가 정렬되며, 이와 같이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된 상기 정제(p)는 상기 유도 가이드부(142)에 의해 상기 상부 드럼(210) 상의 정제 안착홈에 빈 공간이 없도록 균일하게 하나씩 정렬 이송된다.
한편, 상기 톱니 드럼(120) 및 상기 원통형 가이드(140)는 필요에 따라 1열 이상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한꺼번에 다수 열의 상기 정제(P)를 정렬하여 소정 간격을 가지고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톱니 드럼(120)에는 상기 다수열 만큼의 상기 정제 안착홈(121)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가이드(140) 역시 다수열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 정렬 이송장치(2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 정렬 이송장치(200)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공급장치(100)로부터 하나씩 소정의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되어 공급되는 상기 정제(p)가 상측 면이 외부를 향하도록 진공에 의하여 흡착 안착되는 정제 흡착 안착부(211)가 그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순차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측에서는 압축 공기에 의하여 상기 정제(p)를 상기 정제 흡착 안착부(211)로부터 탈리시키는 상부 드럼(210)과, 상기 상부 드럼(210)의 하측에서 탈리된 상기 정제(p)의 하측 면이 외부를 향하도록 안착되며, 상기 정제(p)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진공에 의하여 흡착 안착되는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가 그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순차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측에는 상기 정제(p)를 선별적으로 압축공기에 의하여 탈리 위치를 달리하여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로부터 탈리시키는 하부 드럼(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드럼(210)이 상기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하는 실시예로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그 일실시예로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상부드럼(210)의 내측에 상기 상부 드럼(210)과 밀착되어 설치되며, 그 일 측면에는 진공이 인가되는 제 1 측면 진공 인가 공간부(221)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에는 하측 압축 공기 공급공(223)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진공 인가 제어부재(220)와, 상기 정제 흡착 안착부(211)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측면 진공 인가 공간부(221)와 연통되는 제 1 진공 인가공(212)과, 상기 상부드럼(210)의 회전에 따라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제 1 진공 인가공(212)에 상기 하측 압축 공기 공급공(223)를 통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정제(p)를 상기 정제 흡착 안착부(211)로부터 탈리시키는 하측 압축 공기 공급수단(23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상부 드럼(210)과 상기 하부 드럼(240)은 상기 정제(P)의 규격에 따라 교체되어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 정렬 이송장치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 1 진공 인가 제어부재(220)의 외주연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드럼(210)의 상부 드럼 플렌지(215)에 형성된 상부 드럼 구동핀 삽입공(216)에 각각 삽입되는 상부 드럼 구동핀(281)이 다 수개 설치되며, 상기 상부드럼(210)을 교체가능하게 설치하여 구동시키는 상부 드럼 구동부(280)와, 상기 제 2 진공 인가 제어부재(250)의 외주연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드럼(240)의 하부 드럼 플렌지(245)에 형성된 하부 드럼 구동핀 삽입공(246)에 각각 삽입되는 하부 드럼 구동핀(291)이 다 수개 설치되며, 상기 하부드럼(240)을 교체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상부 드럼(210)과 반대방향으로 연동하여 구동시키는 하부 드럼 구동부(2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상기 정제(P)의 규격에 따라 상기 상부 드럼(210)과 상기 하부 드럼(240)을 교체하여 장착하는 것만으로도, 전체 검사장치의 교체 없이 다양한 규격의 상기 정제(P)의 검사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6에서는 상기 상부 드럼(210)과 상기 하부 드럼(240)의 교체 장착 및 구동 구성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교체 장착 및 구동에 직접적으로 관련없는 상기 정제 흡착 안착부(211) 또는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 등의 구성요소는 그 표현이 생략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정제(p)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여 판단한 후 선별 배출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제 자동검사장치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상부 드럼(210)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정제(P)의 상기 상측면을 검사하는 상측면 감지 카메라(300)와, 상기 하부 드럼(240)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정제(P)의 상기 하측면 및 각각의 측면을 검사하는 반전 후 감지 카메라(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측면 감지 카메라(300) 및 상기 반전 후 감지 카메라(310)의 검사 결과에 따라 불량으로 판별된 상기 정제(p)를 선별적으로 압축공기에 의하여 제 1 불량 정제 배출 박스(330)로 배출하고, 정상인 상기 정제(p)는 정상 정제 배출 박스(350)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한 것과 같이 상기 정제(p)의 불량 여부를 감지하여 판단한 후 선별 배출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상기 하부 드럼(240)을 구현하는 실시예로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그 일실시예로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부 드럼(240)의 내측에 상기 하부 드럼(240)과 밀착되어 설치되며, 그 일 측면에는 진공이 인가되는 제 2 측면 진공 인가 공간부(251)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에는 제 1 압축 공기 공급공(255) 및 제 2 압축 공기 공급공(256)이 순차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진공 인가 제어부재(250)와,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측면 진공 인가 공간부(251)와 연통되는 제 2 진공 인가공(244)과, 상기 상부드럼(210)의 회전에 따라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제 2 진공 인가공(244)에 상기 제 1 압축 공기 공급공(255)을 통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불량으로 판별된 상기 정제(p)를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로부터 탈리시키는 제 1 압축 공기 공급수단(260);과, 상기 상부드럼(210)의 회전에 따라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제 2 진공 인가공(244)에 상기 제 2 압축 공기 공급공(255)을 통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정상으로 판별된 상기 정제(p)를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로부터 탈리시키는 제 2 압축 공기 공급수단(26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불량으로 판별된 상기 정제(p)가 분리되어 탈리되지 못하고 잔존하고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제 자동검사장치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불량으로 판별된 상기 정제(p)를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로부터 탈리시키는 작동 직후에 해당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에 상기 정제(p)의 잔류 여부를 감지하는 잔여 정제 감지 센서(320)와, 상기 제 1 압축 공기 공급공(255) 및 제 2 압축 공기 공급공(256) 사이에 더 형성되는 제 3 압축 공기 공급공(255)과, 상기 상부드럼(210)의 회전에 따라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제 2 진공 인가공(244)에 상기 제 3 압축 공기 공급공(255)을 통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불량으로 판별되었으나 탈리되지 않고 잔류하고 있는 상기 정제(p)를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로부터 탈리시키는 제 3 압축 공기 공급수단(26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정제(P)가 하측 및 측면의 검사를 위하여 상기 하부 드럼(240)에서 대부분이 노출되면서 상기 하측이 외부로 향하도록 흡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제 자동검사장치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진공 인가공(24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측에는 흡착홈(243)이 형성되어 있는 흡착 안착 돌기(2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착홈(243)은 상기 정제(p)가 상기 흡착 안착 돌기(242) 상에 안정적으로 흡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 흡착 안착 돌기(242)의 상측은 도 6에 "h"로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흡착 안착 돌기(242)의 상측은 상기 하부 드럼(240)의 외주면보다 0.05~0.3㎜ 내측으로 평면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제(P)가 탈리된 후 상기 하부 드럼(240)의 표면의 잔여물을 청결하게 청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정제 자동검사장치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부 드럼(240)의 타 측면에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정제(P)가 탈리된 상기 하부 드럼(240)의 표면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잔여물을 청소하는 드럼 클리닝 장치(3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장치 내부에 분진 등의 형태로 상기 잔여물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작동 중 장비 내부에서 발생한 분진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 클리닝 장치(360)는 ㄷ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정제(P)가 탈리된 상기 하부 드럼(240)의 표면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잔여물을 청소하는 압축 공기 배출부(361)와, 상기 압축 공기 배출부(361)에서 분사된 압축 공기에 의하여 청소된 상기 잔여물을 진공을 이용하여 빨아들이는 석션부(36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정제(p)가 상기 상부 드럼(210)의 상측에서 상기 정제 흡착 안착부(211)에 처음 안착될 때, 다시 한번 정위치로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제 자동검사장치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 1 진공 인가 제어부재(220)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측 압축 공기 공급공(222)과, 상기 제 2 진공 인가공(244)에 상기 상측 압축 공기 공급공(222)을 통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정제(p)를 상기 정제 흡착 안착부(211) 안에서 정렬하는 상측 압축공기 공급수단(2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드럼(210)의 상측 측면에 더 설치되어 상기 정제(p)를 접촉 압박하여 정렬하는 정렬 가이드(2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반전 후 감지 카메라(310)는 기존의 검사 장치와 유사하게 상기 하부 드럼(240)의 상기 일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정제(P)의 상기 하측면을 검사하는 하측면 감지 카메라와, 상기 하부 드럼(240)의 상기 일 측면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정제(P)의 상측 측면을 검사하는 상측 측면 감지 카메라와, 상기 하부 드럼(240)의 상기 일 측면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정제(P)의 하측 측면을 검사하는 하측 측면 감지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기존의 검사장치의 경우 상기 정제(P)가 배열된 경우 그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을 동시에 검사하는 경우, 상기 하부 드럼(240)의 상기 일 측면 전방과 후방에 각각 카메라를 설치하는 구성을 가지기에, 1 행으로 상기 정제(P)가 통과하는 경우의 검사에서는 문제가 없으나, 신속한 검사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와 같이 둘 이상의 행을 이루어 상기 정제(P)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직선으로 배열된 경우 상기 정제(P) 각각이 서로를 가리게 되어 검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반전 후 감지 카메라(310)는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부 드럼(240)의 상기 일 측면에 전 후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며, 그 각각의 화각(view angle)에 행을 이루어 직선으로 배열되어 안착된 상기 정제(P)들 전체의 영상이 서로 중첩되지 않고 들어올 수 있도록 배치되는 측면 감지 카메라(3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구성과 같이 측면 감지 카메라(3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반전 후 감지 카메라(310)의 폭이 상기 하부 드럼(240)의 폭보다 필요이상으로 넓어지게 되어, 전체 장치의 전후 폭을 크게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반전 후 감지 카메라(310)는 도 9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그 각각의 화각(view angle)에 행을 이루어 직선으로 배열되어 안착된 상기 정제(P)들 전체의 영상이 서로 중첩되지 않고 반사경(312)을 통하여 들어올 수 있도록 배치되는 측면 감지 카메라(3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반전 후 감지 카메라(310)의 폭을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하부 드럼(240)의 폭과 거의 같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전체 장치의 전후 폭을 크게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p: 정제
10: 정제 피더
100: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공급장치
110: 공급 가이드
111: 공급 가이드부
120: 톱니 드럼
121: 정제 안착홈 122: 톱니 격벽부
130: 정렬 브러쉬
140: 원통형 가이드
141: 회전 가이드부 142: 유도 가이드부
200: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 정렬 이송장치
210: 상부 드럼
211: 정제 흡착 안착부 212: 제 1 진공 인가공
215: 상부 드럼 플렌지 216: 상부 드럼 구동핀 삽입공
220: 제 1 진공 인가 제어부재
221: 제 1 측면 진공 인가 공간부 222: 상측 압축 공기 공급공
223: 하측 압축공기 공급공
230: 상측 압축 공기 공급 수단
231: 하측 압축공기 공급 수단
240: 하부 드럼
241: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
242: 흡착 안착 돌기 243: 흡착홈
244: 제 2 진공 인가공
245: 하부 드럼 플렌지 246: 하부 드럼 구동핀 삽입공
250: 제 2 진공 인가 제어 부재
251: 제 2 측면 진공 인가 공간부
252: 제 1 진공 인가 공간부 253: 제 2 진공 인가 공간부
254: 진공 인가 연결부
255: 제 1 압축 공기 공급공 256: 제 2 압축 공기 공급공
257: 제 3 압축 공기 공급공
260: 제 1 압축 공기 공급수단 261: 제 2 압축 공기 공급 수단
262: 제 3 압축 공기 공급수단
270: 정렬 가이드
280: 상부 드럼 구동부 281: 상부 드럼 구동핀
290: 하부 드럼 구동부 291: 상부 드럼 구동핀
300: 상측면 감지 카메라 301: 제 1 조명
310: 반전 후 감지 카메라 311: 측면 감지 카메라
312: 반사경 313: 제 2 조명
320: 잔여 정제 감지 센서
330: 제 1 물량 정제 배출 박스
340: 제 2 불량 정제 배출 박스
350: 정상 정제 배출 박스
360: 드럼 클리닝 장치
361: 압축 공기 배출부 362: 석션부

Claims (8)

  1. 삭제
  2. 정제(p)를 공급하는 정제 피더(10);
    상기 정제 피더(10)로부터 공급된 상기 정제(p)를 하나씩 정렬하여 이송하는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공급장치(100);
    이송된 상기 정제(P)의 일 측면 및 타 측면이 순차로 노출되도록 정하여 이송하는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 정렬 이송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제 자동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공급장치(100)는,
    상기 정제 피더(10)로 부터 공급되는 상기 정제(p)를 유도하여 공급하는 공급 가이드(110);
    상기 공급 가이드(110)로부터 공급된 상기 정제(p)가 안착될 수 있는 정제 안착홈(121)이 그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1열 이상 순차 형성되어 있는 톱니 드럼(120);
    상기 톱니 드럼(120)의 외부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정제 안착홈(121)에 안착된 상기 정제(p)를 접촉 압박하여 상기 톱니 드럼(120)이 회전함에 따라 하나의 상기 정제 안착홈(121)에 하나의 상기 정제(p)가 안착하도록 하는 정렬 브러쉬(130);
    상기 톱니 드럼(120)의 외주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톱니 드럼(12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그 하측에서 상기 정제(p)가 소정의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하는 된 회전 가이드부(141)와, 상기 회전 가이드부(141)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된 정제를 상부 드럼으로 안내하는 유도 가이드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원통형 가이드(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 정렬 이송장치(200)는,
    상기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공급장치(100)로부터 하나씩 소정의 일정한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되어 공급되는 상기 정제(p)가 상측 면이 외부를 향하도록 진공에 의하여 흡착 안착되는 정제 흡착 안착부(211)가 그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1열 이상 순차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측에서는 압축 공기에 의하여 상기 정제(p)를 상기 정제 흡착 안착부(211)로부터 탈리시키는 상부 드럼(210);
    상기 상부 드럼(210)의 하측에서 탈리된 상기 정제(p)의 하측 면이 외부를 향하도록 안착되며, 상기 정제(p)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진공에 의하여 흡착 안착되는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가 그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순차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측에는 상기 정제(p)를 선별적으로 압축공기에 의하여 탈리 위치를 달리하여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로부터 탈리시키는 하부 드럼(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 드럼(210)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정제(P)의 상기 상측면을 검사하는 상측면 감지 카메라(300);
    상기 하부 드럼(240)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정제(P)의 상기 하측면 및 각각의 측면을 검사하는 반전 후 감지 카메라(3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측면 감지 카메라(300) 및 상기 반전 후 감지 카메라(310)의 검사 결과에 따라 불량으로 판별된 상기 정제(p)를 선별적으로 압축공기에 의하여 제 1 불량 정제 배출 박스(330)로 배출하고, 정상인 상기 정제(p)는 정상 정제 배출 박스(350)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반전 후 감지 카메라(310)는,
    상기 하부 드럼(240)의 상기 일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정제(P)의 상기 하측면을 검사하는 하측면 감지 카메라;
    상기 하부 드럼(240)의 상기 일 측면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정제(P)의 상측 측면을 검사하는 상측 측면 감지 카메라;
    상기 하부 드럼(240)의 상기 일 측면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정제(P)의 하측 측면을 검사하는 하측 측면 감지 카메라;
    상기 하부 드럼(240)의 상기 일 측면에 전 후 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며, 그 각각의 화각(view angle)에 행을 이루어 직선으로 배열되어 안착된 상기 정제(P)들 전체의 영상이 서로 중첩되지 않고 반사경(312)을 통하여 들어올 수 있도록 배치되는 측면 감지 카메라(31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자동검사장치.
  3. 청구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드럼(210)의 내측에 상기 상부 드럼(210)과 밀착되어 설치되며, 그 일 측면에는 진공이 인가되는 제 1 측면 진공 인가 공간부(221)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에는 하측 압축 공기 공급공(223)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진공 인가 제어부재(220);
    상기 정제 흡착 안착부(211)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측면 진공 인가 공간부(221)와 연통되는 제 1 진공 인가공(212);
    상기 상부드럼(210)의 회전에 따라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제 1 진공 인가공(212)에 상기 하측 압축 공기 공급공(223)를 통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정제(p)를 상기 정제 흡착 안착부(211)로부터 탈리시키는 하측 압축 공기 공급수단(231);
    상기 하부 드럼(240)의 내측에 상기 하부 드럼(240)과 밀착되어 설치되며, 그 일 측면에는 진공이 인가되는 제 2 측면 진공 인가 공간부(251)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측에는 제 1 압축 공기 공급공(255) 및 제 2 압축 공기 공급공(256)이 순차로 형성되어 있는 제 2 진공 인가 제어부재(250);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측면 진공 인가 공간부(251)와 연통되는 제 2 진공 인가공(244);
    상기 상부드럼(210)의 회전에 따라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제 2 진공 인가공(244)에 상기 제 1 압축 공기 공급공(255)을 통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불량으로 판별된 상기 정제(p)를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로부터 탈리시키는 제 1 압축 공기 공급수단(260);
    상기 상부드럼(210)의 회전에 따라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제 2 진공 인가공(244)에 상기 제 2 압축 공기 공급공(255)을 통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정상으로 판별된 상기 정제(p)를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로부터 탈리시키는 제 2 압축 공기 공급수단(26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부 드럼(210)과 상기 하부 드럼(240)은 상기 정제(P)의 규격에 따라 교체되어 장착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진공 인가 제어부재(220)의 외주연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드럼(210)의 상부 드럼 플렌지(215)에 형성된 상부 드럼 구동핀 삽입공(216)에 각각 삽입되는 상부 드럼 구동핀(281)이 다 수개 설치되며, 상기 상부드럼(210)을 교체가능하게 설치하여 구동시키는 상부 드럼 구동부(280);
    상기 제 2 진공 인가 제어부재(250)의 외주연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드럼(240)의 하부 드럼 플렌지(245)에 형성된 하부 드럼 구동핀 삽입공(246)에 각각 삽입되는 하부 드럼 구동핀(291)이 다 수개 설치되며, 상기 하부드럼(240)을 교체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상부 드럼(210)과 반대방향으로 연동하여 구동시키는 하부 드럼 구동부(29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자동검사장치.
  4. 청구항 제 3항에 있어서,
    불량으로 판별된 상기 정제(p)를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로부터 탈리시키는 작동 직후에 해당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에 상기 정제(p)의 잔류 여부를 감지하는 잔여 정제 감지 센서(320);
    상기 제 1 압축 공기 공급공(255) 및 제 2 압축 공기 공급공(256) 사이에 더 형성되는 제 3 압축 공기 공급공(255);
    상기 상부드럼(210)의 회전에 따라 하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제 2 진공 인가공(244)에 상기 제 3 압축 공기 공급공(255)을 통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불량으로 판별되었으나 탈리되지 않고 잔류하고 있는 상기 정제(p)를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로부터 탈리시키는 제 3 압축 공기 공급수단(26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자동검사장치.
  5. 청구항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정제 흡착 안착부(241)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진공 인가공(24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측에는 흡착홈(243)이 형성되어 있는 흡착 안착 돌기(24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흡착 안착 돌기(242)의 상측은 상기 하부 드럼(240)의 외주면보다 0.05~0.3㎜ 내측으로 평면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자동검사장치.
  6. 청구항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드럼(240)의 타 측면에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정제(P)가 탈리된 상기 하부 드럼(240)의 표면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잔여물을 청소하는 드럼 클리닝 장치(3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드럼 클리닝 장치(360)는,
    상기 정제(P)가 탈리된 상기 하부 드럼(240)의 표면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잔여물을 청소하는 압축 공기 배출부(361);
    상기 압축 공기 배출부(361)에서 분사된 압축 공기에 의하여 청소된 상기 잔여물을 진공을 이용하여 빨아들이는 석션부(36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자동검사장치.
  7. 청구항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공 인가 제어부재(220)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측 압축 공기 공급공(222);
    상기 제 2 진공 인가공(244)에 상기 상측 압축 공기 공급공(222)을 통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정제(p)를 상기 정제 흡착 안착부(211) 안에서 정렬하는 상측 압축공기 공급수단(23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자동검사장치.
  8. 청구항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드럼(210)의 상측 측면에 더 설치되어 상기 정제(p)를 접촉 압박하여 정렬하는 정렬 가이드(27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자동검사장치.
KR1020150111836A 2015-08-07 2015-08-07 정제 자동검사장치 KR101669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836A KR101669596B1 (ko) 2015-08-07 2015-08-07 정제 자동검사장치
PCT/KR2015/009601 WO2017026574A1 (ko) 2015-08-07 2015-09-14 정제 자동검사장치
US14/898,567 US20170254762A1 (en) 2015-08-07 2015-09-14 Automatic pill inspection apparatus
CN201580000744.6A CN107073524A (zh) 2015-08-07 2015-09-14 片剂自动检查装置
EP16162715.3A EP3128313A1 (en) 2015-08-07 2016-03-29 Automatic pill inspec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836A KR101669596B1 (ko) 2015-08-07 2015-08-07 정제 자동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596B1 true KR101669596B1 (ko) 2016-10-27

Family

ID=5569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836A KR101669596B1 (ko) 2015-08-07 2015-08-07 정제 자동검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254762A1 (ko)
EP (1) EP3128313A1 (ko)
KR (1) KR101669596B1 (ko)
CN (1) CN107073524A (ko)
WO (1) WO2017026574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970B1 (ko) * 2019-07-12 2020-09-02 (주)엔에프에이 백라이트 광원을 활용한 다용도 캡슐 검사장치
CN111717623A (zh) * 2019-03-21 2020-09-29 德国翰辉包装机械有限责任公司 用于药片的拣选设备
KR102271342B1 (ko) 2020-06-15 2021-06-30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캡슐검사시스템 및 방법
KR102271655B1 (ko) * 2020-06-12 2021-07-05 (주)엔클로니 정제에 대한 인쇄 및 검사를 수행하는 정제 인쇄 겸 검사 장치 및 방법
US20210262945A1 (en) * 2020-02-21 2021-08-26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and system for inspection of products
KR20210154327A (ko) * 2020-06-12 2021-12-21 (주)엔클로니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KR20220141942A (ko) * 2021-04-13 2022-10-21 (주)메디노드 정제 분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7593B2 (en) 2016-09-27 2019-01-22 Rxsafe Llc Verification system for a pharmacy packaging system
US11595595B2 (en) 2016-09-27 2023-02-28 Rxsafe Llc Verification system for a pharmacy packaging system
JP7248688B2 (ja) 2017-10-13 2023-03-29 アールエックスセーフ エルエルシー 自動包装機のための汎用フィード機構
JP6921769B2 (ja) * 2018-03-05 2021-08-18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CN108934280B (zh) * 2018-09-26 2023-07-21 华中农业大学 一种油菜种子包衣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6959A (ko) * 1999-07-23 2001-07-11 후지나가 노부유키 정제의 측면검사장치, 정제의 표리면검사장치, 및 이들을이용한 정제의 외관검사장치
KR100542477B1 (ko) 1997-02-17 2006-03-23 시오노기쿠오리카프스 가부시키가이샤 고형 제제의 외관검사장치
KR20120018632A (ko) * 2010-08-23 2012-03-05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 검사장치
KR20140045987A (ko) 2011-06-28 2014-04-17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약제 검사 장치 및 약제 검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8942A (en) * 1979-10-29 1982-01-05 Michael Ackley Single drum material orientation apparatus and method
JPH0921755A (ja) * 1995-07-05 1997-01-21 Suinku:Kk 検査用搬送装置および検査装置
JP3758004B2 (ja) * 1997-08-06 2006-03-22 シオノギ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錠剤の外観検査装置
JP3318262B2 (ja) * 1998-07-22 2002-08-2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棒状物品供給装置
JP4374051B2 (ja) * 2007-12-28 2009-12-02 ライオ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物品の外観検査装置および表面検査装置
CN202049116U (zh) * 2011-03-18 2011-11-23 久元电子股份有限公司 封装芯片检测与分类装置
US20120293623A1 (en) * 2011-05-17 2012-11-22 Gii Acquisition, Llc Dba General Inspection, Llc Method and system for inspecting small manufactured objects at a plurality of inspection stations and sorting the inspected objec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477B1 (ko) 1997-02-17 2006-03-23 시오노기쿠오리카프스 가부시키가이샤 고형 제제의 외관검사장치
KR20010066959A (ko) * 1999-07-23 2001-07-11 후지나가 노부유키 정제의 측면검사장치, 정제의 표리면검사장치, 및 이들을이용한 정제의 외관검사장치
KR20120018632A (ko) * 2010-08-23 2012-03-05 주식회사 대용파마텍 정제 자동 검사장치
KR20140045987A (ko) 2011-06-28 2014-04-17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약제 검사 장치 및 약제 검사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7623A (zh) * 2019-03-21 2020-09-29 德国翰辉包装机械有限责任公司 用于药片的拣选设备
CN111717623B (zh) * 2019-03-21 2023-04-18 德国翰辉包装机械有限责任公司 用于药片的拣选设备
KR102150970B1 (ko) * 2019-07-12 2020-09-02 (주)엔에프에이 백라이트 광원을 활용한 다용도 캡슐 검사장치
US20210262945A1 (en) * 2020-02-21 2021-08-26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and system for inspection of products
US11733178B2 (en) * 2020-02-21 2023-08-22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and system for inspection of products
KR102271655B1 (ko) * 2020-06-12 2021-07-05 (주)엔클로니 정제에 대한 인쇄 및 검사를 수행하는 정제 인쇄 겸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210154327A (ko) * 2020-06-12 2021-12-21 (주)엔클로니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KR102468846B1 (ko) * 2020-06-12 2022-11-21 (주)엔클로니 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유닛을 포함하는 정제 검사 장치
US11685170B2 (en) 2020-06-12 2023-06-27 Enclony Inc Device and method for printing and inspecting tablet
KR102271342B1 (ko) 2020-06-15 2021-06-30 창성소프트젤 주식회사 캡슐검사시스템 및 방법
KR20220141942A (ko) * 2021-04-13 2022-10-21 (주)메디노드 정제 분류 시스템
KR102563982B1 (ko) * 2021-04-13 2023-08-08 (주)메디노드 정제 분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26574A1 (ko) 2017-02-16
US20170254762A1 (en) 2017-09-07
CN107073524A (zh) 2017-08-18
EP3128313A1 (en)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596B1 (ko) 정제 자동검사장치
KR101218764B1 (ko) 정제 자동 검사장치
JP4906058B2 (ja) ワーク搬送システム
JP3105752B2 (ja) 偏平物品の側面検査装置、偏平物品の搬送装置及びそれらを用いた偏平物品の外観検査装置
JP2017113616A (ja) 錠剤検査装置
KR101738404B1 (ko) 정제 검사 장치
TWI592228B (zh) 螺釘類供給裝置
KR101613444B1 (ko) 불량 볼트 선별장치
JP2009161260A (ja) 錠剤の搬送装置、整列供給装置及び側面外観検査装置
JP2000226016A (ja) 不良カプセルの除去機構
KR101067641B1 (ko) 부품 선별 시스템
KR20140044700A (ko) 약품 외관 검사장치
JP2008008897A (ja) 錠剤の表裏面外観検査装置、側面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装置
KR101726809B1 (ko) 약품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약품 외관 검사 장치
JP2006321587A (ja) 扁平錠剤の供給装置
JP2007137635A (ja) 錠剤搬送装置
JP4310616B2 (ja) 扁平錠剤の外観検査機
KR20170017632A (ko)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 정렬 이송장치
KR20170017628A (ko) 정제 자동 검사 장치용 정제공급장치
CN108946065B (zh) 具有真空导正的元件入料排列供给装置
KR101726808B1 (ko) 정제 이송 장치
KR101274511B1 (ko) 정제 검사방법 및 장치
JP7115905B2 (ja) 小型物品の処理システム
KR20160045452A (ko) 약품 하이브리드 검사시스템
JP6516921B2 (ja) 錠剤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