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989B1 -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989B1
KR100539989B1 KR1020030072042A KR20030072042A KR100539989B1 KR 100539989 B1 KR100539989 B1 KR 100539989B1 KR 1020030072042 A KR1020030072042 A KR 1020030072042A KR 20030072042 A KR20030072042 A KR 20030072042A KR 100539989 B1 KR100539989 B1 KR 100539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s
period
electro
length
sub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8661A (ko
Inventor
마츠에다요지로
나카니시하야토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8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51Precharge or discharge of pixel before applying new pixel volt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리커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각 서브프레임에 「1」, 「2」, 「4」, 「8」, 「16」, 「32」를 각각 할당하여, 64계조의 중간조를 표현할 경우에, 1프레임 기간을, 각각 개별적으로 소정의 발광 기간(TL1∼TL7)을 지정하는 제 1 내지 제 7 서브프레임(SF1∼SF7)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가장 긴 발광 기간, 즉, 「32」를 지정하는 서브프레임을 제 4 서브프레임(SF4)과 제 7 서브프레임(SF7)으로 나누는 동시에, 그 나뉜 양 서브프레임(SF4, SF7)을 서로 인접하지 않게 배열한다. 그리고, 계조 데이터에 의거하여 가장 긴 「32」가 선택될 때, 그 양 서브프레임(SF4, SF7)이 선택되도록 한다.
플리커, 프레임, 서브프레임, 계조

Description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ELECTROOPTICAL DEVICE, DRIVING METHOD OF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본 실시예의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
도 2는 화소 회로의 내부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시분할 계조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본 실시예의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실장한 모바일형 퍼스널 컴퓨터의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의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실장한 휴대 전화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의 시분할 계조에서의 동시 점등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7은 종래의 시분할 계조에서의 동시 점등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은 종래의 시분할 계조에서의 순차(順次) 점등 동시 소거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 : 계조 데이터로서의 화상 데이터
C1 : 용량 소자로서의 유지 커패시터
Q1 : 제 2 트랜지스터로서의 구동용 트랜지스터
Q2 : 제 1 트랜지스터로서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
Y1∼Yn : 주사선
X1∼Xm : 데이터선
SF1 : 제 1 서브프레임
SF2 : 제 2 서브프레임
SF3 : 제 3 서브프레임
SF4 : 제 4 서브프레임
SF5 : 제 5 서브프레임
SF6 : 제 6 서브프레임
SF7 : 제 7 서브프레임
TL1∼TL7 : 발광 기간
10 : 전기 광학 장치로서의 유기 EL 디스플레이
14 : 제어 회로
20 : 화소 회로
21 : 전자 소자 또는 전류 구동 소자로서의 유기 EL 소자
60 : 전자 기기로서의 퍼스널 컴퓨터
70 : 전자 기기로서의 휴대 전화
본 발명은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광학 장치로서의 표시 장치는 유기 EL 소자를 사용한 전기 광학 장치가 주목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 광학 장치에는, 유기 EL 소자의 중간조(中間調)를 제어하는 구동 방식의 하나로서 디지털 방식이 있다. 디지털 방식은 유기 EL 소자를 구동하는 박막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구동용 트랜지스터의 임계값 편차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 화소 회로를 소형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하다. 이 디지털 방식의 하나로서 시분할 계조법이 있다. 시분할 계조법은, 예를 들어, 온(on) 신호를 주사선을 통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공급하고, 이것에 응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의 도통 또는 비도통을 선택하는 세트 신호를 구동 트랜지스터에 공급하는 세트 스텝과, 온 신호를 주사선을 통하여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에 공급하여 이것에 응답하여 구동 트랜지스터를 비도통으로 하는 리세트 신호를 상기 리세트 스텝에서 규정하는 세트-리세트 동작을 복수회 반복함으로써 계조를 얻도록 한 것이다(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2002-175047호 공보 참조).
그런데, 예를 들어, 1프레임 중의 복수의 서브프레임이 선택(설정)되어, 그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발광 기간에 발광하는 상태가 계속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1프레임 중의 특정 1개의 서브프레임만이 선택(설정)되어, 그 서브프레임의 발광 기간만 발광하는 상태가 계속되는 경우가 있다.
전자(前者)의 경우, 1프레임 중에 적어도 복수회 소정의 발광 기간 발광하기 때문에, 발광 주기는 짧다. 이것에 대하여, 후자(後者)의 경우, 1프레임 중에 1회만 소정의 발광 기간 발광하기 때문에, 발광 주기는 길어진다. 그 결과, 그 서브프레임의 발광 기간만 발광하는 상태가 계속될 경우에는, 플리커(flicker)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가장 긴 기간의 서브프레임만이 선택되어 1프레임의 화상이 형성될 경우에는, 주기가 길고 발광 휘도가 높기 때문에 플리커가 현저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플리커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전기 광학 장치는 각각이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 각각의 휘도를, 1프레임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마다 설정함으로써, 1프레임당 적어도 2단계 이상의 휘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은 동일한 기간의 길이를 갖는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이것에 의하면, 동일한 기간의 길이를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을 마련하고, 발광하는 기간을 그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 나누도록 함으로써, 발광하는 주기가 짧아져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에서 가장 긴 기간을 갖는다.
이것에 의하면, 가장 긴 기간을 설정하는 서브프레임이 복수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연속하여 가장 긴 기간의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경우, 발광하는 주기가 짧아져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중에서 기간의 길이가 가장 긴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의 기간이 가장 긴 서브프레임 기간의 길이의 1/2이다.
이것에 의하면, 동일한 1/2 길이의 기간의 서브프레임을 연속하여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경우, 발광하는 주기를 짧게 할 수 있어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은 1프레임 기간에서 연속하여 설정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하면, 1프레임 기간에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은 서로 인접하여 설정되지 않기 때문에, 연속하여 이들 서브프레임을 사용한 화상을 표시할 경우, 발광하는 주기가 짧아져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전기 광학 장치는 각각이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 각각의 휘도를, 1프레임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마 다 설정함으로써, 1프레임당 적어도 2단계 이상의 휘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기간이 가장 긴 2개의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기간의 길이는 2진(進) 하중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가장 긴 기간의 2개의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경우, 예를 들어, 이들 서브프레임이 서로 인접하지 않게 하여, 발광하는 기간을 나누도록 함으로써, 발광하는 주기가 짧아져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간이 가장 긴 2개의 서브프레임은 1프레임 기간에서 연속하여 설정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하면, 1프레임 기간에서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은 서로 인접하여 설정되지 않기 때문에, 연속하여 이들 서브프레임을 사용한 화상을 표시할 경우, 발광하는 주기가 짧아져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전기 광학 장치는 각각이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 각각의 휘도를, 1프레임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마다 설정함으로써, 1프레임당 적어도 2단계 이상의 휘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가장 긴 기간을 갖는 2개의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n개(n은 자연수)의 서브프레임 중에서 가장 긴 기간을 갖는 서브프레임 기간의 길이는, 상기 n개의 서브프레임의 가장 짧은 기간을 갖는 서브프레임 기간의 길이의 2n-1배로 설정되어 있고, 1프레임당의 휘도는 2n+1단계로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가장 긴 기간을 갖는 2개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를 합하면, n개의 서브프레임의 가장 짧은 기간을 갖는 서브프레임 기간의 길이의 2n배로 된다. 따라서, 가장 긴 기간의 2개의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경우, 예를 들어, 이들 서브프레임이 서로 인접하지 않게 하여, 발광하는 기간을 나누도록 함으로써, 발광하는 주기가 짧아져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장 긴 기간을 갖는 2개의 서브프레임은 1프레임 기간에서 연속하여 설정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하면, 1프레임 기간에서 상기 가장 긴 기간을 갖는 2개의 서브프레임은 서로 인접하여 설정되지 않기 때문에, 연속하여 이들 서브프레임을 사용한 화상을 표시할 경우, 발광하는 주기가 짧아져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전기 광학 장치는 각각이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 각각의 휘도를, 1프레임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마다 설정함으로써, 1프레임당 적어도 2단계 이상의 휘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기간이 가장 긴 2개의 서브프레임을 서로 더한 기간의 길이가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가장 짧은 기간을 갖는 서브프레임의 길이의 2n배(n은 자연수)로 설정되어 있고, 1프레임당의 휘도는 2n+1단계로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를 합하면, n개의 서브프레임 의 가장 짧은 기간을 갖는 서브프레임 기간의 길이의 2n배로 된다. 따라서, 2개의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경우, 예를 들어, 이들 서브프레임이 서로 인접하지 않게 하여, 발광하는 기간을 나누도록 함으로써, 발광하는 주기가 짧아져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은 1프레임 기간에서 연속하여 설정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하면, 1프레임 기간에서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은 서로 인접하여 설정되지 않기 때문에, 연속하여 이들 서브프레임을 사용한 화상을 표시할 경우, 발광하는 주기가 짧아져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전기 광학 장치는 각각이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 각각의 휘도를, 1프레임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마다 설정함으로써, 1프레임당 적어도 2n(n은 자연수)단계의 휘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수는 n+1개 이상이다.
이것에 의하면, n+1개 이상 있는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발광하는 기간을 그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 나누도록 함으로써, 발광하는 주기가 짧아져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가장 긴 서브프레임 기간의 길이는, 기간이 가장 짧은 서브프레임의 2n-1배이다.
이것에 의하면, 가장 긴 기간을 갖는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n개의 서브프레임의 가장 짧은 기간을 갖는 서브프레임 기간의 길이의 2n-1배로 된다. 따라서, 가장 긴 기간의 서브프레임과 그 이외의 서브프레임을 사용하는 동시에 이들이 서로 인접하지 않게 하여, 발광하는 기간을 나누도록 함으로써, 발광하는 주기가 짧아져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전기 광학 장치는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하고, 1프레임당 적어도 2단계 이상의 휘도를 설정할 수 있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전기 광학 소자는, 상기 1프레임의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에서 계조 데이터에 의거하여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의 어느 한쪽으로 제어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항상 모두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의 어느 한쪽으로 제어되는 서브프레임이 적어도 2개 있다.
이것에 의하면, 항상 모두 온 상태 및 오프 상태로 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발광하는 기간을 나누도록 함으로써, 발광하는 주기가 짧아져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있는 서브프레임은 동일한 기간의 길이를 갖는다.
이것에 의하면, 항상 모두 설정 및 비설정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에 의거한 발광하는 기간은 각각 동일하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은 1프레임 기간 에서 연속하여 설정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하면, 1프레임 기간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은 서로 인접하여 설정되지 않기 때문에, 연속하여 이들 서브프레임을 사용한 화상을 표시할 경우, 발광하는 주기가 짧아져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 중 1개의 주사선에 접속되어 있는 일련의 화소에 대하여 설정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개시되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종료된다.
이것에 의하면, 각 서브프레임에서, 각 주사선 위의 화소마다 차례로 발광 제어되는 동시에 차례로 소거되도록 제어된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적어도 2개의 주사선에 접속되어 있는 일련의 화소에 대하여 설정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종료된다.
이것에 의하면, 각 서브프레임에서, 전체 화소가 일제히 발광하고 일제히 소거되도록 제어된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이 선택되었을 때 도통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유지하는 용량 소자와, 상기 용량 소자에 유지된 데이터 신호에 의거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온 동작에 의거하여 구동 전류가 공급되는 전자 소자로 이루어지는 화소 회로를 구비했다.
이것에 의하면, 제 1 트랜지스터는 주사선이 선택되었을 때 도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용량 소자에 공급한다. 제 2 트랜지스터는 상기 용량 소자에 유지된 데이터 신호에 의거하여 온/오프하고, 그 온 동작에 의거하여 전기 소자에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소자는 전류 구동 소자이다.
이것에 의하면, 제 2 트랜지스터의 온 동작에 의거하여 전류 구동 소자에 구동 전류가 공급된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류 구동 소자는 EL 소자이다.
이것에 의하면, 제 2 트랜지스터의 온 동작에 의거하여 EL 소자에 구동 전류가 공급되어, EL 소자는 발광한다.
이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상기 EL 소자는 발광층이 유기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제 2 트랜지스터의 온 동작에 의거하여 유기 EL 소자에 구동 전류가 공급되어, 유기 EL 소자는 발광한다.
본 발명에서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은 각각이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 각각의 휘도를, 1프레임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마다 설정함으로써, 1프레임당 적어도 2단계 이상의 휘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은 동일한 기간의 길이를 갖는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이 설정될 때,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을 서로 인접하지 않게 설정하도록 했다.
이것에 의하면, 동일한 기간의 길이를 갖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을 마련하고, 발광하는 기간을 그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 나누는 동시에, 그 2개의 서브프레임을 서로 인접하지 않게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발광하는 주기가 짧아져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은 각각이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 각각의 휘도를, 1프레임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마다 설정함으로써, 1프레임당 적어도 2단계 이상의 휘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기간이 가장 긴 2개의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기간의 길이는 2진(進) 하중으로 설정하고,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이 설정될 때,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을 서로 인접하지 않게 설정하도록 했다.
이것에 의하면, 가장 긴 기간의 2개의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경우, 예를 들어, 이들 서브프레임이 서로 인접하지 않게 하여, 발광하는 기간을 나누는 동시에, 그 2개의 서브프레임을 서로 인접하지 않게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발광하는 주기가 짧아져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은 각각이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 각각의 휘도를, 1프레임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마다 설정함으로써, 1프레임당 적어도 2단계 이상의 휘 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가장 긴 기간을 갖는 2개의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n개(n은 자연수)의 서브프레임 중에서 가장 긴 기간을 갖는 서브프레임의 기간의 길이를 상기 n개의 서브프레임의 가장 짧은 기간을 갖는 서브프레임 기간의 길이의 2n-1배로 설정하고,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이 설정될 때,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을 서로 인접하지 않게 설정하여, 1프레임당의 휘도를 2n+1단계로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이것에 의하면, 가장 긴 기간을 갖는 2개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를 합하면, n개의 서브프레임의 가장 짧은 기간을 갖는 서브프레임 기간의 길이의 2n배로 된다. 그리고, 가장 긴 기간의 2개의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경우, 이들 서브프레임이 서로 인접하지 않게 하여, 발광하는 기간을 나누도록 함으로써, 발광하는 주기가 짧아져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은 각각이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 각각의 휘도를, 1프레임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마다 설정함으로써, 1프레임당 적어도 2단계 이상의 휘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기간이 가장 긴 2개의 서브프레임을 서로 더한 기간의 길이를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가장 짧은 기간을 갖는 서브프레임의 길이의 2n배(n은 자연수)로 설정하고, 상기 2개의 서브프레 임이 설정될 때,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을 서로 인접하지 않게 설정하여, 1프레임당의 휘도를 2n+1단계로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이것에 의하면,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를 합하면, n개의 서브프레임의 가장 짧은 기간을 갖는 서브프레임 기간의 길이의 2n배로 된다. 따라서, 2개의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경우, 이들 서브프레임이 서로 인접하지 않게 하여, 발광하는 기간을 나누도록 함으로써, 발광하는 주기가 짧아져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은 각각이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 각각의 휘도를, 1프레임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마다 설정함으로써, 1프레임당 적어도 2n(n은 자연수)단계의 휘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수는 n+1개 이상 마련하고, 그 중 미리 정한 2개의 서브프레임은 항상 모두 설정 및 비설정되도록 하는 동시에, 설정될 때에는,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을 서로 인접하지 않게 설정하여, 1프레임당의 휘도를 2n단계로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이것에 의하면, n+1개 이상 있는 서브프레임 중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발광하는 기간을 그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 나누는 동시에, 그 2개의 서브프레임을 서로 인접하지 않게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발광하는 주기가 짧아 져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 중 1개의 주사선에 접속되어 있는 일련의 화소에 대하여 설정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개시되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종료된다.
이것에 의하면, 각 서브프레임에서, 각 주사선 위의 화소마다 차례로 발광 제어되는 동시에 차례로 소거되도록 제어된다.
이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적어도 2개의 주사선에 접속되어 있는 일련의 화소에 대하여 설정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종료된다.
이것에 의하면, 각 서브프레임에서, 전체 화소가 일제히 발광하고 일제히 소거되도록 제어된다.
이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이 선택되었을 때 도통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유지하는 용량 소자와, 상기 용량 소자에 유지된 데이터 신호에 의거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온 동작에 의거하여 구동 전류가 공급되는 전자 소자로 이루어지는 화소 회로를 구비했다.
이것에 의하면, 제 1 트랜지스터는 주사선이 선택되었을 때 도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용량 소자에 공급한다. 제 2 트랜지스터는 상기 용량 소자에 유지된 데이터 신호에 의거하여 온/오프하고, 그 온 동작에 의거하여 전기 소자에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본 발명에서의 전자 기기는 상기 기재된 전기 광학 장치를 실장했다.
이것에 의하면, 전자 기기는 플리커가 발생하기 어렵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 실시예를 시분할 계조에 의해 도 1 내지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전기 광학 장치로서의 유기 EL 디스플레이(10)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이다. 유기 EL 디스플레이(10)는 표시 패널부(11), 주사선 구동 회로(12), 데이터선 구동 회로(13) 및 제어 회로(14)를 구비하고 있다.
유기 EL 디스플레이(10)의 표시 패널부(11) 및 각 회로(12∼14)는 각각이 독립된 전자 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각 회로(12∼14)가 1칩의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표시 패널부(11) 및 각 회로(12, 13)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일체로 된 전자 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표시 패널부(11)에 데이터선 구동 회로(13)와 주사선 구동 회로(1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각 회로(12∼14)의 전부 또는 일부가 프로그래머블(programable) IC 칩으로 구성되고, 그 기능이 IC 칩에 기록된 프로그램에 의해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부(1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전자 회로로서의 화소 회로(20)를 갖고 있다. 즉, 각 화소 회로(20)는, 그 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데이터선(X1∼Xm)(m은 정수)과 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주사선(Y1∼Yn)(n은 정수)의 교차부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화소 회로(20)는 대응하는 데이터선(X1∼Xm)과 주사선(Y1∼Yn) 사이에 각각 접속됨으로써,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화소 회로(20)에는 전자 소자, 전류 구동 소자 또는 전기 광학 소자로서 발광층이 유기 재료로 구성된 유기 EL 소자(21)를 갖고 있다. 또한, 화소 회로(20) 내에 형성되는 트랜지스터(후기함)는 통상 박막트랜지스터(TFT)로 구성하고 있다.
도 2는 화소 회로(20)의 내부 회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기 회로도를 나타낸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m번째 데이터선(Xm)과 n번째 주사선(Yn)의 점에 배치되고, 양 데이터선(Xm)과 주사선(Yn) 사이에 접속된 화소 회로(20)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소 회로(20)는 제 2 트랜지스터로서의 구동용 트랜지스터(Q1), 제 1 트랜지스터로서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 리세트용 트랜지스터(Q3), 용량 소자로서의 유지 커패시터(C1)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는 N채널 FET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용 트랜지스터(Q1) 및 리세트용 트랜지스터(Q3)는 P채널 FET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용 트랜지스터(Q1)는, 드레인이 상기 유기 EL 소자(21)의 양극에 접속되고, 소스가 전원 전압(VOEL)이 공급되는 전원선(L1)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용 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와 전원선(L1) 사이에는 유지 커패시터(C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구동용 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선(Xm)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는 주사선(Yn)에 접속되어 있다.
리세트용 트랜지스터(Q3)는 상기 유지 커패시터(C1)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 어 있다. 리세트용 트랜지스터(Q3)의 게이트는 상기 주사선(Yn)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화소 회로(20)에서, 주사선 구동 회로(12)로부터 주사선(Yn)에 주사 신호(SCn)가 출력되면,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는 온 상태로 된다.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가 온 상태로 되면, 데이터선 구동 회로(13)로부터 데이터선(Xm)에 출력되고 있는 데이터(VDATA)가 상기 유지 커패시터(C1)에 축적된다. 이 데이터(VDATA)는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Q1)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의 어느 한쪽으로 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또한, 데이터(VDATA)가 유지된 유지 커패시터(C1)는, 주사 신호(SCn)가 소실(消失)되어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가 오프 상태로 되어도 앞서 축적한 데이터(VDATA)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용 트랜지스터(Q1)는, 축적되는 데이터(VDATA)의 내용에 의거하여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의 어느 한쪽으로 제어된다. 그리고, 구동용 트랜지스터(Q1)가 온 상태일 때, 유기 EL 소자(21)는 구동 전류가 공급되어 발광한다. 반대로, 구동용 트랜지스터(Q1)가 오프 상태일 때, 유기 EL 소자(21)는 구동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어 발광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주사선 구동 회로(12)로부터 주사선(Yn)에 마이너스 전위의 리세트 신호(VSRESTn)가 출력되면, 리세트용 트랜지스터(Q3)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된다. 리세트용 트랜지스터(Q3)가 온 상태로 되면, 전원선(L1)으로부터 전원 전압(VOEL)이 상기 리세트용 트랜지스터(Q3)를 통하여 상기 유지 커패시터(C1)에 인가되어 앞의 데이터(VDATA)는 소거되는 동시에, 구동용 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는 전원 전압(VOEL)의 전위로 된다. 즉, 유지 커패시터(C1)는 리세트된다.
유지 커패시터(C1)가 리세트되면, 구동용 트랜지스터(Q1)는 오프 상태로 되어, 앞의 데이터(VDATA)에 의거하여 발광하고 있던 유기 EL 소자(21)의 발광이 정지된다. 그리고, 다음에 실행될 발광 동작을 대기한다. 즉, 각 화소 회로(20)의 유기 EL 소자(21)의 발광 기간은, 주사 신호(SC1∼SCn)가 출력되고 나서 리세트 신호(VREST1∼VRESTn)가 출력될 때까지의 동안이 발광 기간으로 된다.
주사선 구동 회로(12)는 상기 복수의 주사선(Y1∼Yn) 중의 1개를 선택, 즉, 주사 신호를 출력하여, 그 선택된 주사선에 접속된 화소 회로(20) 그룹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이다. 주사선 구동 회로(12)는, 제어 회로(14)로부터의 각종 신호에 의거하여 각 주사선(Y1∼Yn)에 대하여 소정의 타이밍으로 주사 신호(SC1∼SCn)를 각각 출력한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13)는 상기 각 데이터선(X1∼Xm)에 대한 데이터(VDATA1∼VDATAm)를 생성하여 각각 대응하는 데이터선(X1∼Xm)에 출력한다. 데이터선 구동 회로(13)는 상기 데이터(VDATA1∼VDATAm)를 상기 주사 신호(SC1∼SCn)에 동기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주사선 구동 회로(12)가 1개의 주사선에 주사 신호를 출력했을 때, 데이터선 구동 회로(13)는 그 선택된 주사선 위의 각 화소 회로에 대한 데이터(VDATA1∼VDATAm)를 출력한다.
제어 회로(14)는 외부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화상 데이터(D)를 입력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D)에 의거하여 시분할 계조를 위한 각 서브프레임의 데이터(VDATA1∼VDATAm)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 회로(14)는 스타트 펄스 신호(DINY) 및 클록 신호(CLKY, CLKX)를 생성한다. 스타트 펄스 신호(DINY)는 1프 레임의 각 서브프레임에서 최초 주사선의 선택 개시를 실행시키기 위한 일정 기간만 H 레벨로 상승하는 신호로서, 상기 주사선 구동 회로(12) 및 데이터선 구동 회로(13)에 출력된다. 클록 신호(CLKY)는 상기 주사선 구동 회로(12)에 출력되어, 주사선 구동 회로(12)에서 생성되는 주사선을 차례로 선택하기 위한 주사 신호(SC1∼SCn)를 차례로 출력시키는 타이밍을 결정하는 신호이다.
이 유기 EL 디스플레이(10)는 시분할 계조에 의해 64계조의 중간조를 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이다. 따라서, 유기 EL 디스플레이(10)는 64계조를 표현하기 위해, 1프레임을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하고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프레임을, 7개로 분할하여 그 분할된 7개의 서브프레임(SF1∼SF7)으로 하고 있다. 즉, 일반적으로 64계조의 경우에는, 기간의 길이가 각각 「1」, 「2」, 「4」, 「8」, 「16」, 그리고 최상위 비트의 「32」인 6개의 서브프레임으로 1프레임(도 7 및 도 8 참조)을 구성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1개 많은 7개의 서브프레임(SF1∼SF7)으로 1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다.
각 서브프레임(SF1∼SF7)은 각각 발광 기간(TL1∼TL7)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각 기간은 이하와 같이 설정하고 있다.
16TL1=8TL2=4TL3=TL4=2TL5=TL6=TL7
즉, 각 발광 기간(TL1∼TL7)은,
TL1:TL2:TL3:TL4:TL5:TL6:T7=1:2:4:16:8:16:16
으로 되는 비(比)를 설정하고 있다.
즉, 종래는, 도 7 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6개의 제 1 내지 제 6 서 브프레임(SF1∼SF6) 중 가장 긴 발광 기간을 지정하는 제 6 서브프레임(SF6)의 발광 기간(TL6)을 「32」로 설정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유기 EL 디스플레이(10)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32」를, 2분하여 「16」을 2개의 서브프레임(제 4 서브프레임(SF4)과 제 7 서브프레임(SF7))으로 나누기 위해, 7개의 서브프레임(SF1∼SF7)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의 경우에는, 기간의 길이 「32」를 갖는 서브프레임을 사용하여 계조를 제어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 4 서브프레임(SF4)과 제 7 서브프레임(SF7)이 분담하게 된다. 따라서, 제 4 서브프레임(SF4)과 제 7 서브프레임(SF7)은 서로 독립하여 제어되지 않고, 항상 단위 기간당의 휘도를 일치시키도록 제어된다. 각 서브프레임이 비발광 및 발광 중 어느 한쪽, 또는 온 및 오프의 상태를 취하는 2진(進) 구동 방법에서는, 제 4 서브프레임(SF4)이 발광 상태 또는 온 상태일 때는, 제 7 서브프레임(SF7)도 항상 발광 상태 또는 온 상태이고, 제 4 서브프레임(SF4)이 비발광 상태 또는 오프 상태일 때에는, 제 7 서브프레임(SF7)도 항상 비발광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32」의 휘도 계조를 얻을 경우에는, 제 4 및 제 7 서브프레임(SF4, SF7)일 때에, 유기 EL 소자를 발광시킨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3, 제 5, 제 6 서브프레임(SF1∼SF3, SF5, SF6)일 때에, 유기 EL 소자를 소등시킴으로써, 「32」의 휘도 계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44」의 휘도 계조를 얻을 경우, 제 3, 제 4, 제 5 및 제 7 서브프레임(SF3, SF4, SF5, SF7)일 때에, 유기 EL 소자를 발광시킨다. 그리고, 제 1, 제 2 및 제 6 서브프레임(SF1, SF2, SF6)일 때에, 유기 EL 소자를 소등시킴으로써, 「44」의 휘도 계조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시분할 계조법에 있어서, 1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서브프레임(SF1∼SF7)에서 각 주사선(Y1∼Yn) 위의 화소 회로 그룹을 차례로 구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주사선 구동 회로(12)는 1프레임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각 서브프레임(SF1∼SF7)의 기간에서 각 주사선(Y1∼Yn)을 차례로 선택하도록 주사 신호(SC1∼SCn)를 차례로 생성하여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주사선 구동 회로(12)는, 각 주사선(Y1∼Yn)에 대하여 대응하는 주사 신호(SC1∼SCn)를 각각 출력하여 소정 기간(발광 기간) 경과하면, 그 대응하는 주사선(Y1∼Yn)에 리세트 신호(VREST1∼VRESTn)를 각각 출력하게 되어 있다. 즉, 각 서브프레임(SF1∼SF7)에서 각각 발광 기간(TL1∼TL7)만 발광시키도록 설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14)는 화상 데이터(D)에 의거하여 제 1 내지 제 7 서브프레임(SF1∼SF7)의 데이터(VDATA1∼VDATAm)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 회로(14)는 1프레임의 화상 데이터(D)를 유기 EL 디스플레이(10)에서 표현하기 위해, 1프레임을 7개로 분할하여 그 분할된 7개의 서브프레임(SF1∼SF7)을 사용하여 1개의 화상을 64계조로 표현한다.
즉, 제어 회로(14)는, 1프레임의 계조 데이터로서의 화상 데이터(D)에 대해서, 데이터선 구동 회로(13)에 대하여 제 1 내지 제 7 서브프레임(SF1∼SF7)에 대한 각 주사선(Y1∼Yn) 위의 각 화소 회로(20)에 공급하는 데이터(VDATA1∼VDATAm)를 생성한다. 이 때, 제어 회로(14)는 「1」의 계조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VDATA1∼VDATAm)를 제 1 서브프레임(SF1)에, 「2」의 계조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VDATA1∼VDATAm)를 제 2 서브프레임(SF2)에, 「4」의 계조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VDATA1∼VDATAm)를 제 3 서브프레임(SF3)에 각각 작성한다. 또한, 제어 회로(14)는 「8」의 계조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VDATA1∼VDATAm)를 제 5 서브프레임(SF5)에, 「16」의 계조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VDATA1∼VDATAm)를 제 6 서브프레임(SF6)에 각각 작성한다.
또한, 제어 회로(14)는 「32」의 계조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VDATA1∼VDATAm)를 제 4 서브프레임(SF4)과 제 7 서브프레임(SF7)으로 나누도록 했다. 환언하면, 단독으로 「32」의 계조를 표현하는 서브프레임을 마련하지 않고, 제 4 서브프레임(SF4)과 제 7 서브프레임(SF7)으로 나누어, 「32」의 계조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VDATA1∼VDATAm)를 제 4 서브프레임(SF4)과 제 7 서브프레임(SF7)에 작성하도록 했다. 즉, 제어 회로(14)는 「16」의 계조를 지정하는 제 4 서브프레임(SF4)과 제 7 서브프레임(SF7)을 사용하여 「32」의 계조를 표현하도록 했다.
또한, 주사선 구동 회로(12)는, 이 클록 신호(CLKY)에 의거하여 각 서브프레임(SF1∼SF7)에서의 각 주사선(Y1∼Yn)에 대한 리세트 신호(VREST1∼VRESTn)를 생성한다. 주사선 구동 회로(12)는, 제 1 서브프레임(SF1)에서는 주사 신호(SC1∼SCn)가 출력되어 TL1 기간 경과 후에 리세트 신호(VREST1∼VRESTn)를 각각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2 서브프레임(SF2)에서는 주사 신호(SC1∼SCn)가 출력되어 TL2(=2×TL1) 기간 경과 후에, 제 3 서브프레임(SF3)에서는 주사 신호(SC1∼SCn)가 출력되어 TL3(=4×TL1)기간 경과 후에, 제 4 서브프레임(SF4)에서는 주사 신호(SC1∼SCn)가 출력되어 TL4(=16×TL1)기간 경과 후에 리세트 신호(VREST1∼VRESTn)를 각각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5 서브프레임(SF5)에서는 주사 신호(SC1∼SCn)가 출력되어 TL5(=8×TL1)기간 경과 후에, 제 6 서브프레임(SF6)에서는 주사 신호(SC1∼SCn)가 출력되어 TL6(=16×TL1)기간 경과 후에, 제 7 서브프레임(SF7)에서는 주사 신호(SC1∼SCn)가 출력되어 TL7(=16×TL1)기간 경과 후에 리세트 신호(VREST1∼VRESTn)를 각각 출력하게 되어 있다.
클록 신호(CLKX)는 상기 클록 신호(CLKY)와 동기한 신호로서, 상기 데이터선 구동 회로(13)에 출력된다. 클록 신호(CLKX)는, 각 서브프레임(SF1∼SF6)에서 각 주사 신호(SC1∼SCn)에 의해 주사선(Y1∼Yn)이 각각 선택될 때마다, 그 선택된 주사선 위의 각 화소 회로(20)에 대하여 각각 데이터선(X1∼Xm)을 통하여 데이터(VDATA1∼VDATAm)를 출력하는 타이밍을 결정하는 신호이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한 유기 EL 디스플레이(10)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어 회로(14)는, 1프레임의 화상 데이터(D)에 대해서, 데이터선 구동 회로(13)에 대하여 제 1 내지 제 7 서브프레임(SF1∼SF7)에 대한 각 주사선(Y1∼Yn) 위의 각 화소 회로(20)에 공급하는 데이터(VDATA1∼VDATAm)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 회로(14)는 주사선 구동 회로(12) 및 데이터선 구동 회로(13)에 대하여 스타트 펄스 신호(DINY) 및 클록 신호(CLKY, CLKX)를 출력한다.
그리고, 주사선 구동 회로(12)는, 제어 회로(14)로부터의 스타트 펄스 신호(DINY)에 응답하여 제 1 서브프레임(SF1)를 위한 주사 신호(SC1∼SCn)를 차례 로 출력하여 각 주사선(Y1∼Yn)을 차례로 선택하여 간다. 또한, 주사선 구동 회로(12)는, 주사 신호(SC1∼SCn)를 출력하여 TL1 기간 경과 후, 리세트 신호(VREST1∼VRESTn)를 출력한다.
한편, 데이터선 구동 회로(13)는, 각 주사선(Y1∼Yn)이 선택될 때마다, 그 선택된 주사선 위의 각 화소 회로(20)에 제 1 서브프레임(SF1)에서의 데이터(VDATA1∼VDATAm)를 차례로 출력한다. 따라서, 선택된 주사선 위의 각 화소 회로(20)는 데이터(VDATA1∼VDATAm)에 의거하여 동작(점등 또는 소등)한다. 그리고, 각 화소 회로(20)는 TL1 기간 경과 후의 리세트 신호(VREST1∼VRESTn)에 응답하여 소등 동작한다.
제 1 서브프레임(SF1)의 최후 주사선(Yn) 위의 각 화소 회로(20)로의 데이터(VDATA1∼VDATAm) 공급이 종료되면, 주사선 구동 회로(12)는 제어 회로(14)로부터의 스타트 펄스 신호(DINY)를 입력한다. 주사선 구동 회로(12)는, 스타트 펄스 신호(DINY)에 응답하여 제 2 서브프레임(SF2)을 위한 주사 신호(SC1∼SCn)를 차례로 출력하여 각 주사선(Y1∼Yn)을 차례로 선택하여 간다. 또한, 주사선 구동 회로(12)는, 주사 신호(SC1∼SCn)를 출력하여 TL2(=2×TL1)기간 경과 후, 리세트 신호(VREST1∼VRESTn)를 출력한다.
한편, 데이터선 구동 회로(13)는, 상기와 동일하게, 선택된 주사선 위의 각 화소 회로(20)에 제 2 서브프레임(SF2)에서의 데이터(VDATA1∼VDATAm)를 차례로 출력한다. 그리고, 선택된 주사선 위의 각 화소 회로(20)는 상기와 동일하게 데이터(VDATA1∼VDATAm)에 의거하여 동작(점등 또는 소등)하고, TL2 기간 경과 후 의 리세트 신호(VREST1∼VRESTn)에 응답하여 소등 동작한다.
이후, 제 3 서브프레임(SF3) 내지 제 7 서브프레임(SF7)에 대해서도, 동일한 동작이 반복되어 1프레임의 화상이 표현된다. 그리고, 1프레임의 화상 표시 동작이 종료되면, 다음 1프레임을 위한 화상 표시 동작이 동일하게 실행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한 유기 EL 디스플레이(10)의 특징을 이하에 기재한다.
(1) 본 실시예에서는, 시분할 계조법에 의해 64계조의 중간조를 표현할 경우, 64계조를 「1」, 「2」, 「4」, 「8」, 「16」, 「32」로 표현할 때의 최장(最長)의 기간인 「32」를, 1개의 서브프레임으로 표현하지 않고, 제 4 서브프레임(SF4)과 제 7 서브프레임(SF7)의 2개의 서브프레임에 등분(等分)으로 나누었다. 즉, 서브프레임의 수를 1개 증가시켜 7개로 하고, 그 1개 증가시킨 서브프레임에 최고의 기간인 「32」의 1/2인 「16」을 분담시켰다. 또한, 그 나눈 2개의 서브프레임은 서로 이간(離間)한 제 4 서브프레임(SF4)과 제 7 서브프레임(SF7)에 할당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다수의 프레임이 연속하여 「32」로 표현되는 화상을 표시할 경우, 1개의 프레임에서 제 4 서브프레임(SF4)과 제 7 서브프레임(SF7)의 2개의 기간에서 점등 동작이 실행된다. 그 결과, 다수의 프레임이 연속하여 「32」로 표현되는 화상을 표시할 경우, 1개의 서브프레임으로 「32」를 표현하는 경우에 비하여, 발광하는 주기가 1/2로 짧아져 플리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전기 광학 장치로서의 유기 EL 디스플레 이(10)의 전자 기기의 적용에 대해서 도 4 및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유기 EL 디스플레이(10)는 모바일형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전화, 디지털 카메라 등 다양한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모바일형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있어서, 퍼스널 컴퓨터(60)는 키보드(61)를 구비한 본체부(62)와, 상기 유기 EL 디스플레이(10)를 사용한 표시 유닛(63)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유기 EL 디스플레이(10)를 사용한 표시 유닛(63)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 결과, 퍼스널 컴퓨터(60)는 플리커가 적은 화상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도 5는 휴대 전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있어서, 휴대 전화(70)는 복수의 조작 버튼(71), 수화구(72), 송화구(73), 상기 유기 EL 디스플레이(10)를 사용한 표시 유닛(74)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유기 EL 디스플레이(10)를 사용한 표시 유닛(74)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 결과, 휴대 전화(70)는 플리커가 적은 화상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와 같이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소 회로의 전자 소자 또는 전류 구동 소자로서 유기 EL 소자(21)에 대해서 구체화했지만, 무기 EL 소자에 구체화할 수도 있다. 즉, 무기 EL 소자로 이루어지는 무기 EL 디스플레이에 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의 유기 EL 디스플레이(10)는 시분할 계조법의 하나인 순차 점등 동시 소거법에 의해 중간조를 제어했지만, 동시 점등법에 구체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64계조의 중간조를 표현할 경우, 64계조를 「1」, 「2」, 「4」, 「8」, 「16」, 「32」로 표현할 때의 최장의 기간인 「32」를, 1개의 서브프레임으로 표현하지 않고, 제 4 서브프레임(SF4)과 제 7 서브프레임(SF7)의 2개의 서브프레임에 등분으로 나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32」를, 1개의 서브프레임으로 표현하지 않고, 제 4 서브프레임(SF4)과 제 7 서브프레임(SF7)의 2개의 서브프레임에 등분으로 나누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인접하지 않으면, 제 4 서브프레임(SF4)과 제 7 서브프레임(SF7)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4 서브프레임(SF4)과 제 7 서브프레임(SF7)은 다음 1프레임에서 인접하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4 서브프레임(SF4)과 제 7 서브프레임(SF7)은 기간이 동일한 길이였으나, 다른 길이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다른 길이의 제 4 서브프레임(SF4)과 제 7 서브프레임(SF7)의 합이 가장 짧은 기간의 32배(2n-1배)로 되도록 실시하면,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64단계(2n+1단계)의 중간조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2개의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했지만, 예를 들어, 「8」, 「8」, 「16」을 각각 지정하는 서브프레임 등 3개 이상의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64계조의 중간조를 제어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16」계조의 중간조, 「32」계조의 중간조, 「128」계조의 중간조, 「256」계 조의 중간조 등, 기타 2n단계(계조)의 중간조 제어에 응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의 화소 회로(20)에서는, 리세트용 트랜지스터(Q3)의 게이트를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와 동일한 주사선에 접속했지만, 리세트 전용의 주사선을 마련하고, 리세트 전용의 주사선에 대하여 리세트용 트랜지스터(Q3)의 게이트를 접속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리커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0)

  1. 각각이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 각각의 휘도를, 1프레임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마다 설정함으로써, 1프레임당 적어도 2단계 이상의 휘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은 동일한 기간의 길이를 갖는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에서 가장 긴 기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중에서 기간의 길이가 가장 긴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의 기간이 가장 긴 서브프레임 기간의 길이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은 1프레임 기간에서 연속하여 설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5. 각각이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 각각의 휘도를, 1프레임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마다 설정함으로써, 1프레임당 적어도 2단계 이상의 휘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기간이 가장 긴 2개의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기간의 길이는 2진(進) 하중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이 가장 긴 2개의 서브프레임은 1프레임 기간에서 연속하여 설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7. 각각이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 각각의 휘도를, 1프레임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마다 설정함으로써, 1프레임당 적어도 2단계 이상의 휘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가장 긴 기간을 갖는 2개의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n개(n은 자연수)의 서브프레임 중에서 가장 긴 기간을 갖는 서브프레임 기간의 길이는, 상기 n개의 서브프레임의 가 장 짧은 기간을 갖는 서브프레임 기간의 길이의 2n-1배로 설정되어 있고, 1프레임당의 휘도는 2n+1단계로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긴 기간을 갖는 2개의 서브프레임은 1프레임 기간에서 연속하여 설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9. 각각이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 각각의 휘도를, 1프레임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마다 설정함으로써, 1프레임당 적어도 2단계 이상의 휘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기간이 가장 긴 2개의 서브프레임을 서로 더한 기간의 길이가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가장 짧은 기간을 갖는 서브프레임의 길이의 2n배(n은 자연수)로 설정되어 있고, 1프레임당의 휘도는 2n+1단계로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은 1프레임 기간에서 연속하여 설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1. 각각이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 각각의 휘도를, 1프레임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마다 설정함으로써, 1프레임당 적어도 2n(n은 자연수)단계의 휘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수는 n+1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가장 긴 서브프레임 기간의 길이는, 기간이 가장 짧은 서브프레임의 2n-1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3.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하고, 1프레임당 적어도 2단계 이상의 휘도를 설정할 수 있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
    상기 전기 광학 소자는, 상기 1프레임의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각각에서 계조 데이터에 의거하여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의 어느 한쪽으로 제어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항상 모두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의 어느 한쪽으로 제어되는 서브프레임이 적어도 2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있는 서브프레임은 동일한 기간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은 1프레임 기간에서 연속하여 설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 중 1개의 주사선에 접속되어 있는 일련의 화소에 대하여 설정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개시되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적어도 2개의 주사선에 접속되어 있는 일련의 화소에 대하여 설정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이 선택되었을 때 도통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유지하는 용량 소자와,
    상기 용량 소자에 유지된 데이터 신호에 의거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온 동작에 의거하여 구동 전류가 공급되는 전자 소자로 이루어지는 화소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소자는 전류 구동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구동 소자는 EL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EL 소자는 발광층이 유기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22. 각각이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 각각의 휘도를, 1프레임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마다 설정함으로써, 1프레임당 적어도 2단계 이상의 휘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은 동일한 기간의 길이를 갖는 적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이 설정될 때,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을 서로 인접하지 않게 설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23. 각각이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 각각의 휘도를, 1프레임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마다 설정함으로써, 1프레임당 적어도 2단계 이상의 휘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기간이 가장 긴 2개의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서브프레임 기간의 길이는 2진(進) 하중으로 설정하고,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이 설정될 때,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을 서로 인접하지 않게 설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24. 각각이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 동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 각각의 휘도를, 1프레임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마다 설정함으로써, 1프레임당 적어도 2단계 이상의 휘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가장 긴 기간을 갖는 2개의 서브프레임을 제외한 n개(n은 자연수)의 서브프레임 중에서 가장 긴 기간을 갖는 서브프레임의 기간의 길이를 상기 n개의 서브프레임의 가장 짧은 기간을 갖는 서브프레임 기간의 길이의 2n-1배로 설정하고,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이 설정될 때,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을 서로 인접하지 않게 설정하여, 1프레임당의 휘도를 2n+1단계로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25. 각각이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 각각의 휘도를, 1프레임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마다 설정함으로써, 1프레임당 적어도 2단계 이상의 휘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기간이 가장 긴 2개의 서브프레임을 서로 더한 기간의 길이를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가장 짧은 기간을 갖는 서브프레임의 길이의 2n배(n은 자연수)로 설정하고,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이 설정될 때,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을 서로 인접하지 않게 설정하여, 1프레임당의 휘도를 2n+1단계로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26. 각각이 전기 광학 소자를 구비한, 복수의 화소를 갖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전기 광학 소자 각각의 휘도를, 1프레임 기간에 포함되는, 각각이 소정 기간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마다 설정함으로써, 1프레임당 적어도 2n(n은 자연수)단계의 휘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수는 n+1개 이상 마련하고, 그 중 미리 정한 2개의 서브프레임은 항상 모두 설정 및 비설정되도록 하는 동시에, 설정될 때에는, 상기 2개의 서브프레임을 서로 인접하지 않게 설정하여, 1프레임당의 휘도를 2n단계로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27. 제 22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 중 1개의 주사선에 접속되어 있는 일련의 화소에 대하여 설정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개시되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28. 제 22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 중 적어도 2개의 주사선에 접속되어 있는 일련의 화소에 대하여 설정되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각각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선이 선택되었을 때 도통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를 유지하는 용량 소자와,
    상기 용량 소자에 유지된 데이터 신호에 의거하여 온/오프 제어되는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온 동작에 의거하여 구동 전류가 공급되는 전자 소자로 이루어지는 화소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3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광학 장치를 실장한 전자 기기.
KR1020030072042A 2002-11-01 2003-10-16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0539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19677A JP4172250B2 (ja) 2002-11-01 2002-11-01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JPJP-P-2002-00319677 2002-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661A KR20040038661A (ko) 2004-05-08
KR100539989B1 true KR100539989B1 (ko) 2006-01-10

Family

ID=32462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042A KR100539989B1 (ko) 2002-11-01 2003-10-16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130560A1 (ko)
JP (1) JP4172250B2 (ko)
KR (1) KR100539989B1 (ko)
CN (1) CN1282146C (ko)
TW (1) TWI2372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2979B2 (ja) * 2003-03-25 2007-08-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駆動装置及び表示装置並びにその駆動制御方法
JP2006221060A (ja) * 2005-02-14 2006-08-24 Sony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の処理方法、映像信号の処理プログラム及び映像信号の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6284712A (ja) * 2005-03-31 2006-10-19 Tohoku Pioneer Corp 発光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駆動装置
JP4753353B2 (ja) * 2005-03-31 2011-08-24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自発光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駆動方法及びその駆動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4455649B2 (ja) 2005-11-07 2010-04-2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214384B2 (ja) * 2008-09-26 2013-06-19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12226041A (ja) * 2011-04-18 2012-11-15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
TWI633532B (zh) * 2017-07-24 2018-08-21 中國大陸商晶門科技(深圳)有限公司 在單色顯示面板中進行灰階影像顯示信號驅動的方法
CN107319460A (zh) * 2017-08-16 2017-11-07 呼伦贝尔牛羊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上海分公司 一种标准化浓缩羊骨汤及其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3984B2 (ja) * 1993-12-17 1999-06-1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ディスプレイ装置の駆動方法
JPH08237578A (ja) * 1995-02-23 1996-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平面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H08254965A (ja) * 1995-03-17 1996-10-01 Nec Corp 表示装置の階調表示方法
JPH09198006A (ja) * 1995-11-17 1997-07-31 Matsushita Electron Corp 表示装置の階調表示駆動方法、及びその駆動回路
US5940142A (en) * 1995-11-17 1999-08-17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Display device driving for a gray scale expression, and a driving circuit therefor
JP3113568B2 (ja) * 1995-12-21 2000-12-04 日本放送協会 中間調表示方法と装置
EP0807919A1 (en) * 1996-05-13 1997-11-19 Hitachi, Lt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JPH10214060A (ja) * 1997-01-28 1998-08-11 Casio Comput Co Ltd 電界発光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H10312173A (ja) * 1997-05-09 1998-11-24 Pioneer Electron Corp 画像表示装置
JP3750889B2 (ja) * 1997-07-02 2006-03-0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中間調表示方法
JPH11212516A (ja) * 1998-01-27 1999-08-06 Gendai Denshi Sangyo Japan Kk 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6924824B2 (en) * 2000-01-14 2005-08-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ctive matrix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6781567B2 (en) * 2000-09-29 2004-08-24 Seiko Epson Corporation Driving method for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2175048A (ja) * 2000-09-29 2002-06-21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323124B2 (ja) * 2000-12-21 2009-09-0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US7071911B2 (en) * 2000-12-21 2006-07-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driving method thereof and electric equipment us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JPWO2002075709A1 (ja) * 2001-03-21 2004-07-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発光素子の駆動回路
JP3743387B2 (ja) * 2001-05-31 2006-02-08 ソニー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および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並びにそれらの駆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51644A (ja) 2004-05-27
CN1499466A (zh) 2004-05-26
TW200419482A (en) 2004-10-01
TWI237215B (en) 2005-08-01
US20040130560A1 (en) 2004-07-08
KR20040038661A (ko) 2004-05-08
JP4172250B2 (ja) 2008-10-29
CN1282146C (zh) 200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9778B2 (ja) 電子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7283108B2 (en)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of driving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404582B1 (ko)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EP1429312B1 (en)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of driving electro 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352893B2 (ja) 電子装置の駆動方法、電子装置、半導体集積回路及び電子機器
KR101391157B1 (ko) 전자기기
JP4244617B2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JP2013029816A (ja) 表示装置
JPWO2009013806A1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WO2007074615A1 (ja) 映像信号の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06259530A (ja) 有機el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KR20070046799A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US7525520B2 (en) Electronic circuit,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of driving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7163580A (ja) 表示装置
KR100539989B1 (ko) 전기 광학 장치, 전기 광학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전자 기기
KR2006000289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05301174A (ja) 表示装置
JP2006251315A (ja) 有機el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JP3982544B2 (ja) 電子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107071B2 (ja) 電子回路、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
JP4655497B2 (ja) 画素回路の駆動方法、画素回路、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5128361A (ja) 自発光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および駆動方法
JP2004139043A (ja) 電子回路、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8112191A (ja) 電子装置の駆動方法、電子装置、半導体集積回路及び電子機器
JP2004186869A (ja) 電流駆動回路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並びに電流駆動回路を備えた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