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625B1 - 임피던스변환회로, 영상기기, 오디오기기 및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임피던스변환회로, 영상기기, 오디오기기 및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625B1
KR100539625B1 KR10-1999-0000675A KR19990000675A KR100539625B1 KR 100539625 B1 KR100539625 B1 KR 100539625B1 KR 19990000675 A KR19990000675 A KR 19990000675A KR 100539625 B1 KR100539625 B1 KR 100539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dance
circuit
terminals
differential pair
conversio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0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7879A (ko
Inventor
히라바야시아쓰시
후지타고스케
고모리겐지
무라야마노리히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67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6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1/00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 H03H11/02Multiple-port networks
    • H03H11/40Impedanc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1/00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 H03H11/02Multiple-port networks
    • H03H11/28Impedance ma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1/00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 H03H11/02Multiple-port networks
    • H03H11/32Networks for transforming balanced signals into unbalanced signals and vice versa, e.g. balu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8Video amplifiers

Landscapes

  • 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피던스변환회로, 영상기기, 오디오기기 및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비하여 높은 주파수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집적회로화에 적합한 임피던스변환회로와, 이 임피던스변환회로를 사용한 영상기기 등을 제안한다. 제1 및 제2의 입력단의 전압 V1 및 -V1에 대응하여 임피던스회로의 제1 및 제2의 단자에 구동전류가 공급되는 동시에, 이 제1 및 제2의 단자전압 V2 및 -V2에 대응하여 제2 및 제1의 입력단으로부터 전류가 유출된다.

Description

임피던스변환회로, 영상기기, 오디오기기 및 통신장치{IMPEDANCE CONVERSION CIRCUIT, VIDEO APPARATUS, AUDIO APPARATUS, AND COMMUN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임피던스변환회로, 영상기기, 오디오기기 및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라디오수신기, 텔레비전수상기, 위성방송수신기, 비디오테이프레코더, 이동체통신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의 입력단 전압에 따라 임피던스회로의 제1 및 제2의 단자에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의 단자 전압에 따라 제2 및 제1의 입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유출시킴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높은 주파수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집적회로화에 적합한 임피던스변환회로와, 이 임피던스변환회로를 사용한 영상기기 등을 제안한다.
종래, 비디오기기 등의 비교적 주파수가 낮은 신호를 처리하는 기기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망의 특성을 기초로 임피던스변환회로(1)에 의해 임피던스가 만들어지고, 이렇게 만들어진 임피던스에 의해 오디오신호 등이 신호처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임피던스변환회로(1)는 5개의 임피던스회로(2∼6)가 서로 직렬접속되고, 이들 임피던스회로(2∼6) 간에 연산증폭회로(7, 8)가 접속된다. 여기서 5개의 임피던스회로(2∼6)는 필요로 하는 임피던스에 따라 각각 소정의 임피던스 ZA∼ZE에 설정된다. 또 제1의 연산증폭회로(7)는 제2 및 제3의 임피던스회로(3, 4)의 접속중점(接續中點)에 반전입력단(反轉入力端)이 접속되고, 제4 및 제5의 임피던스회로(5, 6)의 접속중점에 비반전입력단이 접속되고, 출력단이 제1 및 제2의 임피던스회로(2, 3)의 접속중점에 접속된다. 또 제2의 연산증폭회로(8)는, 이 임피던스변환회로의 입력단 Vin에 비반전입력단이 접속되고, 제2 및 제3의 임피던스회로(3, 4)의 접속중점에 반전입력단이 접속되고, 출력단이 제3 및 제4의 임피던스회로(4, 5)의 접속중점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임피던스변환회로(1)는, 입력단 Vin에서 본 입력 임피던스 Zin을 다음 식에 의해 표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임피던스회로(2∼6)를 여러 가지로 설정하여 입력 임피던스 Zin을 소망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임피던스변환회로(1)는, 연산증폭회로(7, 8)에 의해 동작주파수가 1MHz 이하로 한정되는 문제가 있다. 그 결과 비디오대역 등의 주파수대에서는 임피던스변환회로(1)를 신호처리회로에 적용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임피던스변환회로(1)가 다른 신호처리회로와 일체로 집적회로화하는 경우, 연산증폭회로(7, 8)를 집적회로화하는 것으로 되고, 그만큼 소자수(素子數)가 증대하고, 이에 따라 집적회로화에 부적합하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종래에 비하여 높은 주파수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집적회로화에 적합한 임피던스변환회로와, 이 임피던스변환회로를 사용한 영상기기, 오디오기기 및 통신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임피던스회로를 하이임피던스(high impedance)에 의해 직류 바이어스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의 입력단의 전압에 따라, 임피던스회로의 제1 및 제2의 단자에 각각 구동전류를 공급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의 단자의 전압에 따라, 각각 제2 및 제1의 입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유출시킨다.
임피던스회로를 하이임피던스에 의해 직류 바이어스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의 입력단의 전압에 따라 임피던스회로의 제1 및 제2의 단자에 각각 구동전류를 공급하고,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의 단자의 전압에 따라 각각 제2 및 제1의 입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유출시키면, 제1 및 제2의 입력단에서 본 임피던스에 있어서는, 임피던스회로에 의해 임피던스의 역수에 소정의 저항치를 승산(乘算)한 임피던스로 된다. 이에 따라 임피던스회로의 임피던스를 변환하여 만들어지는 입력 임피던스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차동쌍(差動雙)의 조합에 의해 임피던스변환회로가 만들어지므로, 연산증폭회로에 의한 경우와 같은 주파수의 제한을 받지 않고, 동작주파수를 확대할 수 있고, 또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집적회로화할 수 있다.
이하, 적절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1) 제1의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임피던스변환회로를 나타내는 접속도이다. 이 임피던스변환회로(10)는 전단(pre-stage)에 배치된 소정의 신호처리회로와 일체로 집적회로를 구성하고, 예를 들면 오디오신호의 신호처리에 적용된다.
이 임피던스변환회로(10)에 있어서, 트랜지스터 Q1 및 Q2는 차동쌍을 구성한다. 즉 트랜지스터 Q1 및 Q2는 컬렉터가 전원 VCC에 접속되고, 베이스에 바이어스전원 Ve가 접속된다. 또 트랜지스터 Q1 및 Q2에서 각각 이미터에 저항 R11 및 R12가 접속되고, 상기 저항 R11 및 R12의 타단 사이에 소정의 임피던스회로(11)가 접속되고, 또한 트랜지스터 Q1 및 Q2에서 상기 저항 R11 및 R12의 타단이 각각 트랜지스터 Q3 및 Q4를 거쳐 접지된다.
상기 트랜지스터 Q3 및 Q4는, 각각 이미터에 전류원(current source)(12, 13)이 접속되고, 이미터 사이가 저항 R13에 의해 접속되어, 트랜지스터 Q5 및 Q6에 베이스전압이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Q5 및 Q6는 각각 전류원(14, 15)에 의해 이미터가 접지되고, 또 컬렉터가 전원 VCC에 접속된다. 또한, 트랜지스터 Q5 및 Q6는 임피던스회로(11)로부터 각각 트랜지스터 Q2 측 및 트랜지스터 Q1 측의 단자 전압을 베이스에 받고, 이 베이스의 접속과는 역으로 각 이미터를 각각 트랜지스터 Q1 및 Q2 측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 Q3 및 Q4의 베이스에 접속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트랜지스터 Q1 및 Q2는 전원 Ve, 전류원(12∼15), 트랜지스터 Q3∼Q6 , 저항 R11∼R13과 함께, 바이어스전원 Ve에 의해 결정되는 전압에 따라 임피던스회로(11)를 직류 바이어스하는 하이임피던스의 바이어스회로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저항 R11∼R12는 동일한 저항치 R0로 설정되고, 저항 R13은 저항 R11 및 R12의 저항값 R0의 2배인 저항값 2R0로 설정된다.
트랜지스터 Q7 및 Q8은 각각 이미터에 전류원(16, 17)이 접속되고, 이미터 사이가 저항 R14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전단의 신호처리회로로부터 입력신호 V1 및 -V1의 입력을 받는 제1 및 제2의 입력단이 각각 베이스에 접속되고, 각 컬렉터가 임피던스회로(11)의 각단자에 접속된다. 여기서 저항 R14은 저항값 2R1으로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트랜지스터 Q7 및 Q8는 제1 및 제2의 입력단의 전압 V1 및 -V1에 따라 임피던스회로(11)의 제1 및 제2의 단자에 각각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제1의 차동쌍을 형성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트랜지스터 Q9 및 Q10은 각각 이미터에 전류원(18, 19)이 접속되고, 또한 이미터 사이가 저항 R15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컬렉터를 각각 제2 및 제1의 입력단에 접속하고, 각 베이스를 트랜지스터 Q5 및 Q6의 이미터에 접속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트랜지스터 Q9 및 Q10은 트랜지스터 Q5 및 Q6, 전류원(14, 15, 18, 19), 저항 R15와 함께 임피던스회로(11)의 제1 및 제2의 단자의 전압에 따라 각각 제2 및 제1의 입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유출시키는 제2의 차동쌍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저항 R15는 저항값 2R2로 설정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전단의 신호처리회로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 V1 및 -V1는 트랜지스터 Q7 및 Q8에 입력되고, 이 트랜지스터 Q7 및 Q8의 전류구동에 의해 임피던스회로(11)에 구동전류가 공급된다.
여기서, 임피던스회로(11)의 단자전압을 각각 V2 및 -V2로 하고, 임피던스회로(11)의 트랜지스터 Q1 측단(側端)에 있어서 키르히호프의 정리(Kirchhoff's law)를 적용하면, 이 임피던스변환회로(10)에 있어서는 다음 식의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i1은 저항 R11의 전류이고, i2는 임피던스회로(11)의 전류이다. 또 i3은 트랜지스터 Q3의 컬렉터전류이고, i4는 트랜지스터 Q8의 컬렉터전류이다. 또한, Z는 임피던스회로(11)의 임피던스 2Z의 1/2의 값이다.
여기에서 트랜지스터 Q5 및 Q6의 베이스에 컨덴서 C13의 양단이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 Q5 및 Q6의 이미터가, 다른 쪽의 트랜지스터 Q2 및 Q1에 접속된 트랜지스터 Q4 및 Q3의 베이스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식 (2)의 전류 i3은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상기 (3)∼(6)식을 (2)식에 대입하면 다음의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 = -
여기에서, 트랜지스터 Q9 및 Q10의 베이스가 각각 트랜지스터 Q5 및 Q6의 이미터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임피던스변환회로(10)는 이 트랜지스터 Q9 및 Q10에 의해 임피던스회로(11)의 단자전압에 따라, 제1 및 제2의 입력단으로부터 다음에 표시되는 전류 iX를 유출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식 (7)을 식 (8)에 대입하면, 다음의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단으로부터 임피던스변환회로(10)를 볼 때, 임피던스 Z1는 다음 식으로 표시되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단의 양단에 걸쳐 임피던스 Z1이 접속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임피던스변환회로(10)의 입력단에서 본 임피던스 Z1에 있어서는, 임피던스회로(11)의 임피던스 2Z1의 1/2의 역수에 차동쌍에 배치된 저항 R14, R15의 저항치 2R1, 2R2의 절반인 저항치 R1, R2를 승산한 값으로 된다. 또 상기 임피던스 Z1의 중점에 있어서는 접지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임피던스변환회로(10)에 있어서는, 임피던스회로(11)의 임피던스를 변환할 수 있고, 임피던스회로(11)에 여러 가지의 소자를 배치하여, 집적회로 전체로서 소망의 특성을 실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임피던스회로(11)에 용량 C인 컨덴서를 접속하면, 임피던스회로(11)의 임피던스 Z는 1/SC로 나타낼 수 있고, 따라서, (10)식에 대입하여, 상기 임피던스변환회로(10)의 입력 임피던스 Z1을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S는 라플라스연산자(Laplace operator)이다.
이로부터 임피던스회로(11)에 콘덴서를 배치하여 집적회로내에서 값 C·R1·R2의 인덕턴스를 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저항치 R1 및 R2를 선택하여, 소용량의 컨덴서에 의해 소망의 인덕턴스를 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과는 역으로, 임피던스회로(11)에 값 L인 임피던스를 접속하면, 임피던스회로(11)의 임피던스 Z는 SL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10)식에 대입하여 상기 임피던스변환회로(10)의 입력 임피던스 Z1을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로부터 임피던스회로(11)에 인덕턴스를 배치하고, 용량 L/R1R2에 의한 컨덴서를 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저항치 R1 및 R2를 선택하여 소용량의 인덕턴스에 의해 소망의 용량에 의한 컨덴서를 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인덕턴스 및 컨덴서의 병렬접속회로를 임피던스회로(11)에 배치하면, 상기 이 임피던스회로(11)에 있어서는, 임피던스 Z를 1/(SC + 1/SL)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10)식에 대입하여 이 임피던스변환회로(10)의 입력임피던스 Z1을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경우에는 용량 L/R1·R2에 의한 컨덴서와, 값 C·R1·R2에 의한 인덕턴스의 직렬접속회로에 의한 임피던스 Z1을 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인덕턴스 및 컨덴서의 직렬접속회로를 임피던스회로(11)에 배치하면, 이 임피던스회로(11)에 있어서는 임피던스 Z를 1/SC+SL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10)식에 대입하여 상기 임피던스변환회로(10)의 입력 임피던스 Z1을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경우에는 용량 L/R1R2에 의한 컨덴서와, 값 CR1R2에 의한 인덕턴스의 병렬접속회로에 의한 임피던스 Z1을 형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제1 및 제2의 입력단전압 V1 및 -V1에 대응하여 임피던스회로(11)의 제1 및 제2의 단자에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동시에, 이 제1 및 제2의 단자전압에 대응하여 제2 및 제1의 입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유출시킴으로써, 복수 쌍의 차동쌍에 의해 임피던스변환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하여 높은 주파수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집적회로화에 적합한 임피던스변환회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NPN형 트랜지스터의 차동쌍에 의해 구성되므로, 전체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고, 또 종래에 비하여 동작가능한 전원전압 VCC을 저감할 수 있다.
(2) 제2의 실시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한 임피던스변환회로를 나타내는 접속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임피던스변환회로(20)가 소정의 신호처리회로와 함께 집적회로화된다.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도 1에 관하여 위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성분은 대응하는 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임피던스변환회로(20)는, 전단의 신호처리회로로부터 입력신호 V1 및 -V1의 입력을 수신하는 제1 및 제2의 입력단에 대응하여, 후단의 신호처리에 출력신호 V3 및 -V3를 송출하는 출력단이 배치된다. 나아가서 이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배치에 대응하도록 트랜지스터 Q7 및 Q8의 차동쌍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 Q17 및 Q18에 의한 차동쌍, 이 트랜지스터 Q17 및 Q18의 각 이미터를 접지하는 전류원(26, 27), 트랜지스터 Q17 및 Q18의 이미터 사이를 접속하는 저항 R24가 배치된다. 이들 트랜지스터 Q17 및 Q18은, 트랜지스터 Q7 및 Q8에 대응하도록 출력단, 임피던스회로(11) 등에 접속되고, 저항 R24의 저항치가 저항 R14와 동일한 저항치로 설정된다.
또한, 임피던스변환회로(20)에는, 상기 입력단에 대한 출력단의 배치에 대응하도록, 트랜지스터 Q9 및 Q10의 차동쌍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 Q19 및 Q20에 의한 차동쌍, 이 트랜지스터 Q19 및 Q20의 각 이미터를 접지하는 전류원(28, 29), 트랜지스터 Q19 및 Q20의 이미터 사이를 접속하는 저항 R25가 배치된다. 이러한 트랜지스터 Q19 및 Q20은 트랜지스터 Q9 및 Q10에 대응하도록 출력단, 임피던스회로(11) 등에 접속되고, 또 저항 R25의 저항치가 저항 R15와 동일한 저항치로 설정된다.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임피던스회로(11)의 일단에서의 키르히호프 정리를 적용하면, 다음 식과 같은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I5는 트랜지스터 Q18의 컬렉터전류를 나타낸다.
상기 식 (16)을 식 (3)∼(6)과 함께 식 (15)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 Q9 및 Q10은 식 (8)에 관하여 상술한 전류치 iX를 대신하여 다음 식과 같이 표현되는 전류 iX1을 제1 및 제2의 출력단으로부터 유출시키고, 트랜지스터 Q19 및 Q20은 마찬가지로 전류 iX2를 출력단으로부터 유출시킨다.
이로부터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입력전압 V1을 갖는 제1의 입력단과, 대응하는 출력전압 V3을 갖는 제1의 출력단에 있어서는, 동일한 전류치 iX1(iX2)가 상이한 방향으로 흐르고, 마찬가지로, 입력전압 -V1을 갖는 제2의 입력단과, 대응하는 출력전압 -V3을 갖는 제2의 출력단에 있어서도 동일한 전류치 iX1(iX2)가 상이한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제1 및 제2의 입력단 사이에서 입출력하는 전류치와 동일한 전류치가 제1 및 제2의 출력단 사이에서 출력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에 따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임피던스변환회로(20)에 있어서는, 입력단 및 출력단 사이에 소정의 임피던스 Z2에 의한 2단자쌍의 회로망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부터 입력전압 V1 및 출력전압 V3 사이의 전위차 (V1-V3)에 관하여, 다음의 관계식에 의해 상기 2단자쌍 회로망에 의한 임피던스 Z2를 계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임피던스변환회로(20)에 있어서는, 입력단 및 출력단 사이에 소정의 임피던스 Z2가 접속되고, 이 임피던스 Z2가 임피던스회로(11)의 임피던스 2Z의 1/2의 역수에 의해, 차동쌍에 배치된 저항치 R14, R15의 저항치 2R1, 2R2의 절반인 저항치 R1, R2를 승산한 값으로 된다.
또한. 상기 식(20)에 의한 임피던스 Z2는 식(10)에 관하여 설명한 임피던스 Z1과 동일하므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식 (11)∼(14)의 관계가 성립하고, 임피던스회로(11)에 커패시턴스, 인덕턴스를 적용한 경우에는, 인덕턴스, 커패시턴스를 각각 배치한 경우와 같은 임피던스 Z2를 얻을 수 있고, 또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의 병렬접속, 직렬접속의 경우에는 이것들을 직병렬변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구성에 의하면, 제1 실시예의 구성에 추가하여, 제3 및 제4의 입력단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의 출력단의 전압에 대응하여, 임피던스회로(11)의 제1 및 제2의 단자에 각각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제3의 차동쌍과, 임피던스회로(11)의 제1 및 제2의 단자의 전압에 대응하여 각각 제2 및 제1의 입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유출시키는 제4의 차동쌍을 배치함으로써, 소망의 임피던스에 의한 2단자쌍 회로망을 형성하여,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곤란하였던 임피던스 및 커패시턴스와의 사다리형 전송망을 IC내에 구축할 수 있고, 이로써 타원함수를 이용한 T형 회로를 실현할 수 있다. 동시에 적은 수의 소자를 사용하여 높은 Q값을 갖는 필터를 2단자쌍 회로망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2단자쌍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임피던스변환회로를 완전차동(completely differential mode)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액티브필터로는 실현이 곤란한 차동동작의 액티브필터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차동동작형에 의해 회로내에 신호전류의 루프를 형성할 수 있고, 임피던스변환회로로서 안정도를 향상할 수 있으며, 소비전력을 저감하고 칩 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3) 다른 실시형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오디오신호의 신호처리회로에 적용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오디오기기, 비디오테이프레코더 등의 영상기기, 나아가서 휴대전화 등의 무선통신장치, 케이블텔레비전 등의 유선통신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의 입력단전압에 따라 임피던스회로의 제1 및 제2의 단자에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동시에, 이 제1 및 제2의 단자압력에 대응하여 제2 및 제1의 입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유출시킴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높은 주파수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집적회로화에 적합한 임피던스변환회로와, 이 임피던스변환회로를 사용한 영상기기 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많은 상이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은 이하에 청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변형 및 동등한 배열을 포괄하고자 의도되어 있다. 이하의 청구항들의 범위는 그와 같은 모든 변형, 동등한 구성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범위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임피던스변환회로를 나타내는 접속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임피던스변환회로의 등화회로(等化回路)를 나타내는 접속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임피던스변환회로를 나타내는 접속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임피던스변환회로의 등화회로를 나타내는 접속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임피던스변환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Claims (16)

  1. 제1 및 제2의 단자를 가지는 소정 임피던스의 임피던스회로와,
    상기 임피던스회로를 하이임피던스(high impedance)에 의해 직류 바이어스하는 하이임피던스 바이어스회로와,
    제1 및 제2의 입력단(入力端)의 전압에 따라, 상기 임피던스회로의 제1 및 제2의 단자에 각각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제1의 차동쌍(差動雙)과,
    상기 임피던스회로의 제1 및 제2의 단자의 전압에 따라, 각각 상기 제2 및 제1의 입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유출시키는 제2의 차동쌍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변환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임피던스 바이어스회로는, 베이스전압이 소정 전압에 유지되고, 이미터 사이를 상기 임피던스회로에 의해 접속하는 한 쌍의 차동쌍(差動雙)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변환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제3 및 제4의 입력단의 전압에 따라, 상기 임피던스회로의 제1 및 제2의 단자에 각각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제3의 차동쌍과,
    상기 임피던스회로의 제1 및 제2의 단자의 전압에 따라, 각각 상기 제4 및 제3의 입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유출시키는 제4의 차동쌍
    을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변환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임피던스 바이어스회로는, 베이스전압이 소정 전압에 유지되고, 이미터 사이를 상기 임피던스회로에 의해 접속하는 한 쌍의 차동쌍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피던스변환회로,
  5. 임피던스변환회로를 가지는 영상기기로서,
    상기 임피던스변환회로는,
    제1 및 제2의 단자를 가지는 소정 임피던스의 임피던스회로와,
    상기 임피던스회로를 하이임피던스에 의해 직류 바이어스하는 하이임피던스 바이어스회로와,
    제1 및 제2의 입력단의 전압에 따라, 상기 임피던스회로의 제1 및 제2의 단자에 각각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제1의 차동쌍과,
    상기 임피던스회로의 제1 및 제2의 단자의 전압에 따라, 각각 상기 제2 및 제1의 입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유출시키는 제2의 차동쌍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임피던스 바이어스회로는, 베이스전압이 소정 전압에 유지되고, 이미터 사이를 상기 임피던스회로에 의해 접속하는 한 쌍의 차동쌍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제3 및 제4의 입력단의 전압에 따라, 상기 임피던스회로의 제1 및 제2의 단자에 각각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제3의 차동쌍과,
    상기 임피던스회로의 제1 및 제2의 단자의 전압에 따라, 각각 상기 제4 및 제3의 입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유출시키는 제4의 차동쌍
    을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임피던스 바이어스회로는, 베이스전압이 소정 전압에 유지되고, 이미터 사이를 상기 임피던스회로에 의해 접속하는 한 쌍의 차동쌍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9. 임피던스변환회로를 가지는 오디오기기로서,
    상기 임피던스변환회로는,
    제1 및 제2의 단자를 가지는 소정 임피던스의 임피던스회로와,
    상기 임피던스회로를 하이임피던스에 의해 직류 바이어스하는 하이임피던스 바이어스회로와,
    제1 및 제2의 입력단의 전압에 따라, 상기 임피던스회로의 제1 및 제2의 단자에 각각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제1의 차동쌍과,
    상기 임피던스회로의 제1 및 제2의 단자의 전압에 따라, 각각 상기 제2 및 제1의 입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유출시키는 제2의 차동쌍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임피던스 바이어스회로는, 베이스전압이 소정 전압에 유지되고, 이미터 사이를 상기 임피던스회로에 의해 접속하는 한 쌍의 차동쌍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제3 및 제4의 입력단의 전압에 따라, 상기 임피던스회로의 제1 및 제2의 단자에 각각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제3의 차동쌍과,
    상기 임피던스회로의 제1 및 제2의 단자의 전압에 따라, 각각 상기 제4 및 제3의 입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유출시키는 제4의 차동쌍
    을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임피던스 바이어스회로는, 베이스전압이 소정 전압에 유지되고, 이미터 사이를 상기 임피던스회로에 의해 접속하는 한 쌍의 차동쌍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기기.
  13. 임피던스변환회로를 가지는 통신장치로서,
    상기 임피던스변환회로는,
    제1 및 제2의 단자를 가지는 소정 임피던스의 임피던스회로와,
    상기 임피던스회로를 하이임피던스에 의해 직류 바이어스하는 하이임피던스 바이어스회로와,
    제1 및 제2의 입력단의 전압에 따라, 상기 임피던스회로의 제1 및 제2의 단자에 각각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제1의 차동쌍과,
    상기 임피던스회로의 제1 및 제2의 단자의 전압에 따라, 각각 상기 제2 및 제1의 입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유출시키는 제2의 차동쌍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임피던스 바이어스회로는, 베이스전압이 소정 전압에 유지되고, 이미터 사이를 상기 임피던스회로에 의해 접속하는 한 쌍의 차동쌍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제3 및 제4의 입력단의 전압에 따라, 상기 임피던스회로의 제1 및 제2의 단자에 각각 구동전류를 공급하는 제3의 차동쌍과,
    상기 임피던스회로의 제1 및 제2의 단자의 전압에 따라, 각각 상기 제4 및 제3의 입력단으로부터 전류를 유출시키는 제4의 차동쌍
    을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임피던스 바이어스회로는, 베이스전압이 소정 전압에 유지되고, 이미터 사이를 상기 임피던스회로에 의해 접속하는 한 쌍의 차동쌍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KR10-1999-0000675A 1998-01-14 1999-01-13 임피던스변환회로, 영상기기, 오디오기기 및 통신장치 KR100539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0571698A JP4210873B2 (ja) 1998-01-14 1998-01-14 インピーダンス変換回路、映像機器、オーディオ機器及び通信装置
JP98-5716 1998-0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879A KR19990067879A (ko) 1999-08-25
KR100539625B1 true KR100539625B1 (ko) 2005-12-28

Family

ID=11618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675A KR100539625B1 (ko) 1998-01-14 1999-01-13 임피던스변환회로, 영상기기, 오디오기기 및 통신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07842A (ko)
JP (1) JP4210873B2 (ko)
KR (1) KR100539625B1 (ko)
DE (1) DE19901158A1 (ko)
TW (1) TW4371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5233A1 (en) * 2002-03-04 2003-09-04 Ken Veitch Universal tie line adapter
JP4720308B2 (ja) 2005-06-15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インピーダンス変換回路
JP4867352B2 (ja) * 2006-01-10 2012-02-01 ソニー株式会社 フィルタ回路及び受信回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410A (ja) * 1982-06-28 1984-01-09 Sony Corp 電流増幅器
JP2944398B2 (ja) * 1993-07-05 1999-09-06 日本電気株式会社 Mos差動電圧電流変換回路
JP2644191B2 (ja) * 1994-08-04 1997-08-25 日本電気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バッファアンプ
EP0726652B1 (en) * 1995-02-10 2001-10-17 Alcatel Linear tunable Gm-C integrator
US5914630A (en) * 1996-05-10 1999-06-22 Vtc Inc. MR head preamplifier with output signal amplitude which is independent of head resis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07842A (en) 2000-08-22
DE19901158A1 (de) 1999-07-15
JP4210873B2 (ja) 2009-01-21
KR19990067879A (ko) 1999-08-25
TW437164B (en) 2001-05-28
JPH11205087A (ja) 199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46571B1 (en) Amplifier circuit for 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WO2007049391A1 (ja) 分布型増幅器および集積回路
KR100539625B1 (ko) 임피던스변환회로, 영상기기, 오디오기기 및 통신장치
KR100371876B1 (ko) 주파수 변환회로
US4021761A (en) Filter circuit having an acoustic surface-wave filter device
US7984093B1 (en) Polyphase filter having a tunable notch for image rejection
WO1981003405A1 (en) Current mode biquadratic active filter
JP3720333B2 (ja) スイッチトキャパシタ・フィルタおよびディジタル無線受信機
EP1811662B1 (en) A lowpass biquad VGA filter
EP0732807A2 (en) Controllable filter arrangement
KR100298090B1 (ko) 주파수의존저항기
JP2516706B2 (ja) アンプ
KR100467002B1 (ko) 액티브필터회로
JP3412292B2 (ja) 高調波抑圧回路
EP1401097A1 (en) Fm antenna amplifier
JP2523937B2 (ja) 高周波信号分配回路
JP3885874B2 (ja) 等価インダクタ回路を用いたフィルタ回路
JPH0537245A (ja) 電子回路
JP3736070B2 (ja) アクティブインダクタンス回路
JPH03255711A (ja) 中間周波増幅回路
JP3300301B2 (ja) 低域通過フィルタ
JP2003152589A (ja) アンテナスイッチ回路及びアンテナ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H10198909A (ja) 磁気情報読取り装置
JP4103165B2 (ja) アクティブ伝送網回路
JPH11205085A (ja) バンドパスフィルタ回路、映像機器、オーディオ機器及び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