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785B1 - 차량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785B1
KR100515785B1 KR10-2003-7010913A KR20037010913A KR100515785B1 KR 100515785 B1 KR100515785 B1 KR 100515785B1 KR 20037010913 A KR20037010913 A KR 20037010913A KR 100515785 B1 KR100515785 B1 KR 100515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slide
driver
long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4937A (ko
Inventor
다케노시타다다시
수에히로요시로우
구로다도모유키
나루세데이지
스즈키다카시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샤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44065A external-priority patent/JP3578093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샤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 샤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4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7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4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handicapp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2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lifts connected to the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5Rear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7Pivoting arms, e.g. crane typ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9S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76Means for rotating around a vertical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34Handicapped person handling

Abstract

차량 시트(1)는 시트 장치(10)와, 리프트업 장치(50)와, 롱 슬라이드 장치(200)에 의하여 구성된다.리프트업 장치(50)는 동승자석 위치에 대응하는 도어 개구부 D2를 통해,시트 장치(10)를 차실내와 차실외의 사이에서 이동한다.롱 슬라이드 장치(200)는 운전석 위치와 동승자석 위치와의 사이에서 시트 장치(10)를 이동시킨다.또한,리프트업 장치(50)는 시트 장치(10)가 운전석 위치에 있을 때,시트 장치(10)를 아래쪽에 이동시켜서,시트 장치(10)를 운전에 적절한 위치로 위치시킨다.

Description

차량 시트{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약자나 신체 장애자등이 용이하게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는 차량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복지 차량용 차량 시트로는 특개평 11-309175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차량 시트가 공지되어왔다.이 차량 시트는 시트 장치와 리프트업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시트 장치는 시트 본체와,절첩형 전후 차륜을 갖는다. 상기 리프트업 장치는 차실내에 설치되어, 시트 본체를 착좌 자세로 지지하는 상태에서 시트 장치를 차실내 및 차실외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리프트업 장치를 이용하여 시트 장치를 차실내로 이동시키므로써 상기 시트 장치를 차실내용의 시트로 사용할 수 있다.한편,리프트업 장치를 이용하여 시트 장치를 차실외로 이동시킨 후,리프트업 장치로부터 시트 장치를 분리하므로써, 시트 장치를 휠체어로서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시트를 이용하면,착좌자는 시트 장치의 시트 본체에 착좌한 상태에서 차량에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다.이에 따라 착좌자는 차실내용 시트에서 휠체어로 또는 휠체어에서 차실내용 시트로 갈아탈 필요가 없기 때문에,착좌자 및 그 간호인의 부담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차실내 및 차실외 사이의 시트 장치의 이동이 리프트업 장치에 의해 행해질 수 있기 때문에,이 점에서 간호인의 부담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상기 차량 시트는 시트 장치의 전후륜을 시트 본체의 하면에 따라 절첩할 수 있다.이에 따라 차실내에서 시트 장치의 높이를 낮출 수 있기때문에 착좌자는 차실내에서 다른 동승자와 거의 동일한 높이에 착좌할 수 있다.
그러나,종래의 이러한 차량 시트는 운전석에 적용하는 것이 곤란하여,조수석이나 뒷좌석등(운전석 이외의 좌석)에 적용하는 것으로 한정된다.
이런 종류의 차량용 시트를 운전석에 적용하려고 하는 경우,시트 장치를 차실내 및 차실외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단계에서 운전대(steering wheel)가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 시트 장치를 운전석의 뒷좌석 위치에서 운전석 위치로 롱 슬라이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로서,시트 장치를 차실외에서 운전석의 뒷좌석 위치로 이동한 후,운전석의 뒷좌석 위치에서 운전석 위치로 롱 슬라이드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시트 장치 및 리프트업 장치로서,시트장치가 리프트업 장치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시트 장치 및 리프트업 장치로서,시트장치가 리프트업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어 개구부를 통과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시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시트 장치의 연결부 및 리프트업 장치의 연결판 주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시트 장치의 연결부에 리프트업 장치의 연결판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시트 프레임의 후방 틀이 리프트업 장치의 받침틀에 연결되는 상태로서, 전원 커넥터의 오스측과 메스측이 접속된 상태,위치 결정 핀이 위치 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리프트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시트 장치를 운전석 뒤의 도어 개구부 D2를 통해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제2 실시 형태를 이용하여,시트 장치를 운전석 뒤의 도어 개구부 D2 또는 조수석 뒤의 도어 개구부 D3을 통해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라, 조수석 뒤의 도어 개구부 D3을 통해 시트 장치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라, 백 도어 개구부 D4를 통해 시트 장치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제5 실시 형태에 따라,조수석의 도어 개구부 D5를 통해 시트 장치를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제 5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차실내 운전석에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는 차량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롱 슬라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시트를 동승자석 위치(조수석 또는 뒷좌석등의 운전석 이외의 좌석이 배치된 위치) 및 운전석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어,시트를 동승자석 위치의 도어 개구부를 통해 출입시킨다.이에 따라, 운전석 위치에서 시트를 이동시키는 경우,핸들 등과 같은 장애물이 없어지게된다. 따라서,운전자는 운전석 위치에서 차실외로 또는 차실외에서 운전석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운전석 위치에서 차실외로 나가는 경우(하차시),우선 롱 슬라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시트를 동승자석 위치로 이동시킨다.그 후,시트 회전 장치를 이용하여,차량의 앞쪽을 향한 위치에서 도어 개구부측을 향한 위치까지 시트를 회전시킨다.
반대로,차실외에서 운전석 위치로 들어가는 경우(승차 시),도어 개구측을 향하여 있는 시트 장치에 착좌한 후,시트 장치를 회전시켜서,차량의 정면을 향한 위치까지 회전시킨 후,롱 슬라이드 장치를 이용하여,시트 장치를 동승자석 위치에서 운전석 위치로 이동시킨다.
시트를 차실내 및 차실외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동승자석 위치로서는 조수석 위치,운전석의 후열의 좌석 위치,백 도어 등이 가능하다.운전석의 뒤좌석 위치에서 시트를 이동시키는 경우,전후 방향 롱 슬라이드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조수석 위치에서 시트를 이동시키는 경우,폭방향 롱 슬라이드 장치를 이용한 것이 바람직하다.조수석의 뒷좌석 위치에서 시트를 이동시키는 경우,폭방향 롱 슬라이드 장치와 전후 방향 롱 슬라이드 장치를 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조수석의 뒤좌석 위치에서 시트를 이동시키는 경우,경사 롱 슬라이드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경사 롱 슬라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시트를 이동시킬시,운전석의 뒤좌석 및 조수석을 회피 위치로 이동시켜서,간섭을 회피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전자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차실내에서는 시트가 차량의 앞쪽을 향하도록,차실외에서는 시트가 도어 개구부측을 향하도록 시트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이 시트의 회전 각도는 차량의 측부의 도어 개구부의 위치에서는 약 90°가 바람직하고,차량의 뒤 측의 백 도어의 위치에서는 약 180°가 바람직하다.
또한,시트를 차실내 및 차실외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동승자석 위치에서는 시트를 회전시킴과 동시에,이동시킬 필요가 있다.이때,도어 개구부의 폭이 짧은 경우,시트 등이 도어 개구부의 주변 가장자리 등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그 때문에,시트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숏 슬라이드 장치를 설치하고,회전 장치와 숏 슬라이드 장치를 연동하고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예를 들면,차량의 정면을 향한 위치에서 도어 개구부측을 향한 위치로 시트를 회전시키는 경우,시트를 회전시키면서 차량 앞쪽에 이동시키고, 시트를 도어 개구부측을 향한 위치에서 차량의 정면을 향한 위치로 회전시키는 경우,시트를 회전시키면서 차량 뒤쪽으로 이동시킨다.이 연동 영역은 시트가 차량의 정면을 향한 위치에서 도어 개구부측을 향한 위치의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한 위치와 도어 개구부측을 향한 위치와의 사이의 회전 영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예컨대 도어 개구부를 통해 시트를 이동시킬시,시트 등이 도어 개구부의 하부 가장자리 등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동승자석 위치에 있어서 시트의 높이가 다른 좌석 높이보다도 높아질 경우가 있다.시트를 좌석 높이가 높은 상태에서 운전석으로 이동시키면,착좌자(운전자)의 높이(힙 포인트)가 높아진다. 이 때문에 운전석 위치에서 시트의 높이(힙 포인트)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 위치 조절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를 차실내에서 차실외로 이동시키는 경우,착좌자(운전자)의 승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차실외에서는 시트의 높이를 가능한 지면에 가까운 높이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 때문에,시트를 차실내 및 차실외 사이로 이동시키는 시트 이동 장치로서는 사절 링크 기구나 슬라이드 기구를 갖는 시트 이동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와 같이 시트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시트를 차실내에서 차실외로 이동시키므로써,차실외에서의 시트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은 시트 이동 장치는 시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시트 위치 조절 기구와 겸용할 수 있다.이 경우,시트 위치 조절 장치를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시트와 회전 장치(시트 이동 장치)를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연결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 경우,시트에 차륜을 제공하므로써,차실외에서 회전 장치를 분리하여 시트를 단독으로 휠체어로 사용할 수 있다.또한,착좌자는 시트에 착좌한 상태에서 차실내와 차실외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당히 편안하다.
상술한 목적,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 1∼도 10에 근거하여 설명한다.도 1 및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차량 시트(1)를 나타내고 있다.이 차량 시트(1)는 운전석으로 사용되는 시트이다.차량 시트(1)는 시트 장치(10)와,리프트업 장치(50)와,롱 슬라이드 장치(200)를 구비한다.상기 리프트업 장치(50)는 시트 장치(10)를 차실내에서 차실외로,또는 그 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롱 슬라이드 장치(200)는 시트 장치(10)를 운전석의 뒷좌석 위치와 운전석 위치 사이의 비교적 긴 거리를 이동(롱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도 2에서,시트 장치(10)가 운전석의 뒷좌석에 위치한 상태가 실선으로 나타나며,시트 장치(10)가 운전석에 위치한 상태가 2점쇄선으로 나타낸다. 이하,운전자가 착좌한 좌석의 위치를 「운전석 위치」라고 하며,통상 운전자 이외의 사람이 착좌한 좌석을 설치한 위치를 「동승자석 위치」라고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운전석의 뒷좌석 위치를 시트 장치를 차실내에서 차실외로 또는 그 역으로 이동시키는 동승자석 위치로서 이용한다.이 때문에,본 실시 형태에서 시트 장치(10)는 운전석의 뒷좌석용의 도어 개구부 D2를 통해,리프트업 장치(50)에 의하여 차실내와 차실외 사이를 이동한다.
상기 시트 장치(10)는 절첩 가능한 차륜(도1 및 도 2에는 생략됨)을 구비함과 동시에,리프트업 장치(50)와 연결 및 분리 가능하다.
상기 시트 장치(10)를 리프트업 장치(50)에 연결한 상태에서 리프트업 장치(50)를 작동하므로써,시트 장치(10)를 차실내에서 차실외로,또는 그 역으로 차실외에서 차실내로 이동시킬 수 있다.시트 장치(10)를 차실내로 이동함에 따라,시트 장치(10)를 운전자가 착좌한 운전석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시트 장치(10)를 차실외로 이동시킨 후,리프트업 장치(50)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차륜을 끄집어냄으로써,시트 장치(10)를 휠체어로서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도 9에서는,시트 장치(10)와 리프트업 장치(50)가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시트 장치(10)는 시트 본체(11)와 절첩 가능한 전후의 차륜(60, 60, 70, 70)을 구비한다.시트 본체(11)는 시트 쿠션(11a)과 시트 백(11b)을 포함하며,시트 프레임(20)에 고정된다.
도 5는 시트 본체(11)를 제외한 시트 장치(10)를 나타낸다. 시트 프레임(20)에는 전륜(60, 60) 및 후륜(70, 70)이 연동 기구(35)를 통해 절첩 가능하게 장착된다.
시트 프레임(20)의 좌우 측틀(21,21)의 뒷 부분에는 후륜 스테이(71,71)의 상단부가 각각 지축(71a)을 통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양 후륜 스테이(71,71)의 하단부에는, 각각 휠 인 모터(160)를 내장한 후륜(70)이 장착된다.
후륜 스테이(71)의 하단부에는 대략 평판 형상의 모터 브래킷(161)이 장착된다. 상기 모터 브래킷(161)의 외측면에 휠 인 모터(160)가 장착된다.이 휠 인 모터(160)는 후륜(70)의 휠(162)의 내주측에 꼭 맞게 편입된다.본 실시 형태에서,후륜(70,70)으로서 비교적 소경(직경 8 인치 정도)의 차륜이 사용된다.
상기 휠 인 모터(160)는 도시가 생략된 전기 배선을 통해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원에 의하여 구동된다.전원용 배터리는 시트 백(11b)의 배면에 설치된다.이 배터리는 시트 장치(10)가 리프트업 장치(50)에 연결된 상태에서,리프트업 장치(50) 측에 설치된 충전기에 의하여 충전된다.
시트 백(11b)의 상부에 설치된 핸들 부(104)에는 휠 인 모터(160,160)의 시동·정지 조작,저속·고속 전환 조작 및 정회전·역회전 전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도시 생략)가 제공된다.이 조작 스위치는 간호인이 핸들 부(104)를 파지하고 시트 장치(10)를 이동 조작할 때,간호인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제공된다.
또한,시트 본체(11)의 암 레스트(11c)에는 착좌자가 시트 장치(10)의 이동·정지 조작,저속·고속 전환 조작 및 전후진 전환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이 스틱 형식의 조작 레버가 제공된다(도시 생략).
조작 레버를 조작하므로써, 휠 인 모터(160, 160)를 이용하여 양 후륜(70,70)을 회전 구동시키고 시트 장치(10)를 주행시킬 수 있다.
휠 인 모터(160, 160)는 모터 제어 회로(도시 생략)에 의하여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 제어된다.상기 모터 제어 회로에 의하여,휠 인 모터(160,160)의 회전 방향의 변경,회전수의 변경 등이 행해진다.
이로 인해,시트 장치(10)는 전후진의 변경,고속·저속의 변경,좌우의 선회가 가능해진다.이러한 조작은 핸들 부(104)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나 시트 본체(11)의 암 레스트(11c)에 설치된 조이 스틱 형식의 조작 레버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양 후륜 스테이(71,71)는 연결 로드(72)에 의해 연결된다.이로 인해,양 후륜 스테이(71,71)는 일체로 상하로 회전한다.연결 로드(72)의 길이 방향 중앙에는 지축(73)을 통해,후륜 링크 암(74)의 후단부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후륜 링크암의 전단부는 지축(75)을 통하여,이동 틀(80)의 길이 방향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이동 틀(80)에 관해서는 후술할 것이다.
상기 시트 프레임(20)의 양측 프레임(21,21) 사이에는, 앞측으로부터 전방 틀(23)과 안 틀(22)과 후방 틀(24)이 걸쳐지도록 장착된다.전방 틀(23)에는 풋 레스트 지지 프레임(100)이 장착된다. 풋 레스트 지지 프레임(100)의 중앙에는 평판형상의 풋 레스트(101)가 거의 수평 위치로 취출하는 동시에 기립 위치로 수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풋 레스트 지지 프레임(100)의 양측에는 L 형의 지지 프레임(102,102)이 장착된다.이들 두 지지 프레임(102,102) 사이에는 연결로드(103)가 걸려 놓아지는 형식으로 장착된다.이 연결 로드(103)의 양단부에 전륜 스테이(91)의 중앙부가 지축(91a)을 통해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전륜 스테이(91,91)의 하부에는 각각 전륜 스테이(91)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한 두 갈래 형상의 전륜 브래킷(96)이 장착된다.이 전륜 브래킷(96)에는 전륜(60)이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다.이것에 의해,전륜(60,60)은 전륜 스테이(91)에 대하여 선두측이 요동 가능하게(전륜(60)의 회전축선이 수평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에 장착된다.
한편,두 전륜 스테이(91,91)의 상단부에는 각각 지축(92)을 통하여 전륜 링크 암(93)의 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전륜 링크 암(93)의 후단부는 각각 지축(94) 및 L 형 브래킷(95)을 통하여 이동 틀(8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시트 프레임(20)의 전방 틀(23)과 안 틀(22)와의 사이에는 2개의 슬라이드 바(81,81)가 서로 평행하게 장착된다.이동 틀(80)는 이 2개의 슬라이드 바(81,81)에 의하여,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이동 틀(80)의 거의 중앙에는 너트(82)가 장착된다.그리고,너트(82)에 나사 축(83)이 맞물림 상태에서 삽입된다.나사 축(83)의 후단부는 안 틀(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전단부는 기어 박스(84)를 통하여 구동모터(85)에 접속된다. 구동 모터(85)로서 펄스 모터가 사용된다.펄스 모터는 도시 생략한 제어 장치(구동 회로)에 의하여,시동,정지,회전량(회전 각도),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등이 제어된다.
구동 모터(85)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기어 박스(84)를 통하여 나사 축(83)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한다.이에 따라,나사 축(83)과 너트(82)의 맞물림 작용으로 인해,이동 틀(80)이 앞쪽 또는 뒤쪽으로 평행 이동한다.이 이동 틀(80)을 평행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즉 주로 구동 모터(85),나사 축(83) 및 그 주변 기기에 의하여,전후륜(60,60,70,70)을 절첩하기 위한 구동 장치(86)가 구성된다.
예를 들면,구동 모터(85)를 정회전시키고 이동 틀(80)을 앞쪽으로 평행 이동시키면,전륜 링크 암(93,93)이 앞쪽으로 이동한다.이것에 의해,이들 두 전륜 스테이(91,91)가 각각 지축(91a)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회전 방향(전륜(60)을 뒤쪽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동하고,양 전륜(60,60)이 뒤쪽으로 절첩된다.또,이동 틀(80)이 전방으로 평행 이동하면 ,후륜 링크암(74)이 앞쪽으로 이동하고,연결 로드(72)이 앞쪽으로 이동한다.이것에 의해,양 후륜 스테이(71,71)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고,양 후륜(70,70)이 전방으로 절첩된다.
한편,구동 모터(85)를 역회전시키면,이동 틀(80)이 후방으로 평행 이동하고,전륜 링크 암(93,93)이 후방으로 이동한다.이것에 의해,전륜 스테이(91,91)가 지축(91a,91a)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고, 전륜(60,60)이 절첩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꺼내어진다.또,이동 틀(80)가 후방으로 평행 이동하면,후륜 링크 암(74)이 후방으로 이동한다.이것에 의해,양 후륜 스테이(71,71)가 각각 지축(71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양 후륜(70,70)이 절첩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꺼내어진다.
이와 같이,구동 장치(86)에 의하여 이동 틀(8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면,연동 기구(35)에 의하여 전륜(60,60) 및 후륜(70,70)이 연동하여 상방으로 절첩되거나 아래쪽으로 꺼내어진다.
상기 전륜(60,60)은 상방으로 절첩될 때 후륜 스테이(71,71)에 설치한 가이드(도시 생략)에 계합하여,그 자세가 종 자세에서 횡 자세로 강제적으로 변경된다.여기에서 종 자세란 전륜(60)의 회전축선(차축)이 수평 방향(지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에 따르는 상태를 말한다.또한,횡 자세란 전륜(60)의 회전축선이 수직 방향(지면에 대하여 직교한 방향)에 따르는 상태를 말한다.
이와 같이,전륜(60,60)이 절첩될 때 전륜(60,60)의 자세가 횡 자세로 변경되기 때문에,전륜(60,60)의 아래쪽으로 길게 뻗는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차실내에서 시트 장치(10)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 장치(10)의 착좌자는 다른 동승자와 거의 동일한 높이에서 착좌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좌우의 커버체(30,30)에는 각각 시트 백(11b)의 측부에 따라 상승부(30b)가 제공된다. 이 상승부(30b)의 내부에는 시트 장치(10)를 리프트업 장치(5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40)가 제공된다. 이 연결부(40)의 상세한 것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다.
상기 연결부(40,40)는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착좌자의 우측의 연결부(40)의 구성을 도 6 및 도 7에 도시된다. 상기 시트 프레임(20)의 우측의 측틀(21)의 뒷 부분에는 L자 모양의 제1 측판(41)이 세워 올려진 형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 측판(41)의 상부에는 제2 측판(42)이 제1 측판(41)과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고정된다.양측판(41,42)에 의하여 끼인 공간의 앞측에는 상부 전면판(43)과 하부 전면판(44)이 제공된다. 상기 상부 전면판(43)의 상부는 반대 U자 모양으로 접어 구부려진다.이로 인해,연결부(40)의 상부에 리프트업 장치(50)의 연결판(56)의 상부(56c)를 수용하여 유지하기 위한 홈부(40a)가 형성된다.
양측판(41,42) 및 상부 전면판(43), 하부 전면판(44)에 의하여,뒷 부분 및 하부에 개구부를 갖는 상자 형상의 연결부(40)가 형성된다.그리고,이 뒷 부분 및 하부의 개구부를 통하여,리프트업 장치(50)의 연결판(56)이 연결부(40)의 홈부(40a) 안에 끼워 들어간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제2 측판(42)의 후단 가장자리에는 거의 일정한 폭으로 외측으로 접어 구부려진 가이드 테두리(42a)가 형성된다.
이 가이드 테두리(42a)는 리프트업 장치(50)의 연결판(56)을 연결부(40)의 홈부(40a) 안에 끼워 맞출때의 안내판으로 기능한다.
이와 같은 좌우 한 쌍의 연결부(40,40)의 홈부(40a) 안에 각각 리프트업 장치(50)의 연결판(56,56)이 끼워 들어감으로써 시트장치(10)가 리프트업 장치(50)에 연결된다. 또한, 홈부(40a) 안의 상부에는 록 바(45)가 건너 질러진 형상으로 고정된다.이 록 바(45)가 리프트업 장치(50)의 연결판(56)에 계합하므로써 연결판(56)과 연결부(40)와의 연결 상태가 로크된다.
상기 리프트업 장치(50)는 도 9에 나타낸 것처럼,차실내의 플로어 F에 설치된 롱 슬라이드 장치(200)의 메인 베이스(201) 위에 설치된다.
리프트업 장치(50)는 2개의 숏 슬라이드 레일(51,51),서브베이스(52),회전 장치(53),스윙 베이스(54),좌우 한 쌍의 사절 링크 기구(55,55)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숏 슬라이드 베이스(51,51)는 메인 베이스(201) 위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장착된다.서브 베이스(52)는 숏슬라이드 레일(51,51)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윙 베이스(54)는 서브 베이스(52) 위에 설치된 회전 장치(53)에 의하여,서브 베이스(52) 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사절 링크 기구(55,55)는 스윙 베이스(54)의 양측부에 장착된다.이하,롱 슬라이드 장치(200)에 따른 슬라이드 동작을 「롱 슬라이드 동작」이라고 하며,숏 슬라이드 레일(51)에 따른 슬라이드 동작을 「숏 슬라이드 동작」라고 한다.
회전 장치(53)는 서로 회전 자유롭게 조립된 외륜(53a)와 내륜(53b)을 갖고 있다.본 실시의 형태에서 내륜(53b)가 서브 베이스(52)에 장착되며,외륜(53a)이 스윙 베이스(54)의 하면에 장착된다.스윙 베이스(54)는 회전 장치(53)에 의하여,차량의 전방을 향한 위치와 차량의 측방(도1 및도 2의 도어 개구부 D2측)을 향한 위치와의 사이에서 약 90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스윙 베이스(54)는 차량의 정면을 향한 위치와 차량의 측방을 향한 위치에 있어,회전 로크 기구(도시 생략)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도시는 생략했으나,스윙 베이스(54)와 메인 베이스(201)과의 사이에는 스윙 베이스(54), 따라서 시트 장치(10)의 회전 움직임 동작과 숏 슬라이드 동작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 기구가 마련된다.이 연동 기구는 피니언 기어 부, 중간 기어 및 래크를 갖는다.피니언 기어 부는 외륜(53a)의 외주면에 형성된다.중간 기어 부는 피니언 기어 부에 맞물리고,서브 베이스(5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래크는 메인 베이스(201) 위에 차실내측의 숏 슬라이드 레일(51)을 따라 장착된다.
또한,피니언 기어 부에는 구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 기어가 서로 맞물려 결합된다. 이로 인해,구동 모터가 정회전 방향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시트 장치(10)는 차량의 정면을 향한 방향 또는 도어 개구부 D2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숏 슬라이드 레일(51,51)을 따라 숏 슬라이드한다.
구동 모터로서는 펄스 모터가 사용된다.이 펄스 모터는 제어 장치의 구동 회로에 의하여,시동,정지,회전량(회전 각도),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등이 제어된다.
사절 링크 기구(55,55)는 각각 2개의 링크 암(55a,55b)을 구비한다.앞측의 링크 암(55a,55a)의 하단부는 스윙 베이스(54)의 측벽부(54c)에 설치한 지축(55d,55d)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후측의 링크 암(55b,55b)의 하단부는 스윙 베이스(54)의 측벽부(54c)에 대하여 회동하는 1개의 연결 축(57)에 의하여 연결된다.또,링크 암(55b,55b)는 연결 축(57)에 의하여,스윙 베이스(54)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 축(57)에, 사절 링크 기구(55,55)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의 전동 실린더(90)가 연결된다.전동 실린더(90)는 구동 모터와 나사축 이송 기구를 조합시킨 것으로 종래 공지된 것을 이용한다. 이 전동실린더(90)의 구동 모터로서는 펄스 모터가 사용된다.펄스 모터는 제어 장치의 구동 회로(도시 생략)에 의하여,시동,정지등의 동작이 제어된다.
이것에 의해,이들 두 사절 링크 기구(55,55)의 경사이동 방향,경사이동 속도,경사이동 각도가 제어된다.
두 사절 링크 기구(55,55)의 선단에는 각각 연결판(56)이 장착된다.이들 두 연결판(56,56)에 대하여,전후의 링크 암(55a,55b)의 상단부가 지축(56a,56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양 연결판(56,56)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것처럼,각각 시트 장치(10)의 연결부(40,40)에 거의 간극 없게 끼워 들어갈 수 있는 평판 형상을 갖는다.
이 연결판(56)의 상부(56c)가 연결부(40)의 홈부(40a) 안에 제공되면, 연결판(56)의 상부(56c)가 홈부(40a)에 대하여 뒤쪽 방향(도7에 있어 왼쪽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 때,양 연결판(56,56)의 하부에는 각각 로크고리(58,58)가 마련된다.이 로크고리(58)가 연결부(40)의 하부전면판(44)에 대하여 하측으로부터 걸 수 있는 것에 의해서도,연결판(56)의 상부(56c)가 연결부(40)의 홈부(40a)에 대하여 뒤쪽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두 연결판(56,56)의 앞측에는 록 홈부(56d)가 절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한편,도 6 및 도 7에 나타낸 것처럼,사절 링크 기구(55)의 후방측의 링크 암(55b,55b)의 지축(56b) 근처의 위치에는 각각 블록(55c)이 마련된다.도 7에 나타낸 것처럼,연결판(56,56)을 각각 연결부(40)에 연결하면 록 홈부(56d)에 연결부(40)의 록바(45)가 끼워져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연결판(56)의 상부(56c)가 연결부(40)의 홈부(40a)에 대하여 뒤쪽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이 규제된다.
여기에서 리프트업 장치(50)에 의하여 시트 장치(10)를 차실내로 이동시킬 때,도 7에 나타낸 것처럼,전후의 링크 암(55a,55b)이 거의 직립 상태로 된다.이 경우,후측의 링크 암(55b)에 설치된 블록(55c)이 록 바(45)의 상측으로 뻗어 나온다. 이것에 의해,록 바(45)가 록 홈부(56d)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제어된다.즉,연결판(56)이 홈부(40a)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규제된다.
양 연결판(56,56)의 양측면에는 각각 소정의 판두께를 갖는 습동 판(56e,56e)이 부착된다.이 습동 판(56e,56e)에 의하여,연결판(56,56)을 연결부(40) 안에, 판두께 방향(해당 시트 장치(10)의 폭방향)으로 덜컹거림없이 또한 원활하게 끼워 넣을 수 있다.
양 연결판(56,56)의 하단부간은 받침틀(59)에 의하여 연결된다.시트장치(10)가 리프트업 장치(50)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이 받침틀(59)이 시트 장치(10)의 시트 프레임(20)의 후방 틀(24)에 대하여 하측에 위치된다.
도 8에 나타낸 것처럼,후방 틀(24)의 좌우 측틀(21,21) 근처의 두 개소에는, 위치 결정 핀(105)이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장착된다.이것에 대하여,받침틀(59)에는 위치 결정 구멍(59a,59a)가 형성된다.양 위치 결정 구멍(59a,59a)에 각각 위치 결정 핀(105)이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시트 장치(10)에 대한 리프트업 장치(50)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시트 프레임(20)의 후방 틀(24)에는 전원 커넥터(교차점 커넥터)(110)의 오스측(110a)가 마련된다.이것에 대하여,받침틀(59)에는 전원 커넥터(110)의 메스측(11Ob)이 장착된다.
이 때문에,시트 장치(10)이 리프트업 장치(50)에 연결되면, 시트프레임(20)의 후방 틀(24)가 받침틀(59)에 중합된 형상으로 위치가 결정된다.동시에,전원 커넥터(11O)의 오스측(11Oa)가 메스측(11Ob)에 연결되며,시트장치(10)와 리프트업 장치(50)이 전기적으로도 접속된다.전원 커넥터(110)의 오스측(110a)은 구동 장치(86)의 구동 모터(85) 및 전원 배터리와 접속된다.또, 전원커넥터(110)의 메스측(110b)은 제어장치 및 충전장치(모두 도시생략)가 접속되어 있다. 그러므로, 오스측(110a)와 메스측(110b)가 접속되면 ,제어 장치에 의하여 구동 장치(86)의 구동 모터(85)를 제어하고,전륜(60,60) 및 후륜(70,70)을 절첩하거나 또는 취출할 수 있다.동시에 ,휠 인 모터(160, 160)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배터리가 충전 장치에 의하여 충전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중 시트 장치(10)의 전원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다음에,시트 장치(10) 및 리프트업 장치(50)를 운전석 위치와 운전석 위치의 뒷좌석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롱 슬라이드 장치(2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롱 슬라이드 장치(200)는 2개의 롱 슬라이드 레일(202,202),메인 베이스(201),나사 축(203) 및 롱 슬라이드 모터(204)를 구비한다.
롱 슬라이드 레일(202,202)는 차실내의 플로어위에 ,운전석 위치와 뒷 좌석 위치의 사이에 평행하게 장착된다.양 롱 슬라이드 레일(202,202)는 뒷좌석 위치에서 운전석 위치를 향하여 내려가도록,약간 경사지게 장착된다.메인 베이스(201)는 양 롱 슬라이드 레일(202,20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나사 축(203)은 양 롱 슬라이드 레일(202,202) 사이에 이들과 평행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나사 축(203)은 롱 슬라이드 모터(204)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또,나사 축(203)은 메인 베이스(201)의 하면에 설치한 너트에 맞물리게 된다.이것에 의해,롱 슬라이드 모터(204)에 의하여 나사 축(203)이 회전하면,메인 베이스(201)이 운전석 위치에서 뒷좌석 위치를 향하여, 또는 그 역방향으로 이동한다.메인 베이스(201)가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메인 베이스(201)에 설치된 리프트업 장치(50),시트 장치(10) 및 시트 본체(11)에 착좌한 운전자가 운전석 위치와 뒷좌석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한다.롱 슬라이드 모터(204)로서 펄스 모터가 사용된다.이 롱 슬라이드 모터(204)의 시동,정지,회전량(회전 각도),회전 속도,회전 방향등은 제어 장치의 구동 회로(도시 생략)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제어 장치는 시트 장치(10)이 운전석 위치에 도달하는 직전에서 롱 슬라이드 모터(204)를 정지시키어,그 후 리프트업 장치(50)의 전동 실린더(90)을 작동시키도록 프로그램된다.이것에 관해서는,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차량 시트(1)에서는, 도 3에 나타낸 것처럼,시트 장치(10)를 리프트업 장치(50)으로부터 분리하므로써,시트 장치(10)를 휠체어로서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시트 장치(10)이 리프트업 장치(5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시트 장치(10)의 전륜(60,60) 및 후륜(70,70)은 아래쪽으로 꺼내어진 상태로 되어있다.
시트 장치(10)를 리프트업 장치(5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예를 들면 간호인이 핸들 부(104)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또는 착좌자가 암 레스트(11c)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휠 인 모터(160, 160)을 제어하여 양 후륜(70,70)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이것에 의해,간호인은 용이하게 시트 장치(10)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간호인의 부담이 대폭적으로 절감된다.또,착좌자는 시트 장치(10)를 주행시킬 수 있으므로,간호인의 도움을 얻는 일 없이 착좌자 자신이 단독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핸들부(104)의 암 레스트(11c)의 조작 스위치를 조작에 응하여 좌우의 휠 인 모터(160, 160)을 역회전시키므로써,시트 장치(10)를 후퇴시킬 수 있다. 또,양 휠 인 모터(160,160)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시트 장치(10)의 이동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또,양 휠 인 모터(160, 160)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하여,시트 장치(10)를 좌선회 또는 우선회 되게 할 수 있다.
시트 장치(10)를 차실외에서 차실내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이하의 동작은 착좌자가 시트 장치(10)에 착좌한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우선,별도 설치한 조작 패널의 조작 스위치(예를 들면,차실외 이동 스위치)를 조작한다.이것에 의해,리프트업 장치(50)가 차실외를 향한 위치로 회전한 후,리프트업 장치(50)의 사절 링크 기구(55,55)가 진출하고 방향으로 회전하고,연결판(56,56)을 차 실외쪽 향방향으로 진출시킨다.이 일련의 동작은 차실외 이동 스위치가 조작되고 있는 사이 행해진다.
다음에,시트 장치(10)를 뒷쪽으로 향하여 리프트업 장치(50)에 접근시켜서(후퇴),시트 프레임(20)의 후방 틀(24)의 아래쪽에 받침틀(59)를 위치시킨다.
다음에,조작 패널의 조작 스위치(예를 들면,차실내 이동 스위치)를 조작한다. 또한, 이하의 일련의 동작은 차실내 이동 스위치가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 행해지고, 차실내 이동 스위치의 조작이 해제된 후 정지한다.
차실내 이동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전동 실린더(90)이 작동하고 리프트업 장치(50)의 사절 링크 기구(55,55)가 기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양 연결판(56,56) 및 받침틀(59)이 일체로 상승하고,받침틀(59)이 시트프레임(20)의 후방 틀(24)에 대하여 아래쪽에서 겹쳐진다. 이 과정에서 ,위치 결정핀(105,105)가 위치 결정 구멍(59a,59a)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리프트업 장치(50)이 시트 장치(10)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또는, 전원 커넥터(11O)의 오스측(11Oa)와 메스측(11Ob)가 접속된다.
또,양 연결판(56,56)이 상승하는 것에 의하여,연결판(56,56)이 시트장치 (10)의 연결부(40,40) 안으로 꺼어들어간다. 양 연결판(56,56)의 상단부(56c,56c)가 각각 연결부(40,40)의 홈부(40a,40a)에 끼워 맞춰지면, 양 연결판(56,56)의 로크고리(58,58)가 각각 연결부(40)의 하부전면판(44)의 하부 가장자리에 아래쪽으로부터 걸 수 있음과 동시에, 연결판(56)의 록 홈부(56d)에 록 핀(45)이 끼워 맞춰다. 이것에 의해,양 연결판(56,56)은 각각 시트 장치(10)의 연결부(40)에 대하여 좌우 방향 및 뒤쪽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연결부(40)에 연결된다.
이상과 같이,리프트업 장치(50)의 사절 링크 기구(55,55)를 기립측(차실내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양 연결판(56,56)을 연결부(40,40)에 연결하고,계속해서 사절 링크 기구(55,55)를 기립측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시트 장치(10)를 지면으로부터 떠오르게 하다.이 단계에서,일단 리프트업 장치(50)을 정지시킨다. 리프트업 장치(50)의 정지는 제어 장치로부터 전동 실린더(90)의 구동모터에 공급한 펄스를 정지시킨다. 또한, 시트 장치(10)가 지면으로부터 약간 떠올랐던 상태에 있는 것은 예를 들면,전동 실린더(90)의 구동 모터에 공급한 펄스의 수를 카운트하는 것에 의하여 판별한다.시트 장치(10)를 지면으로부터 약간 떠오르게 한 상태로 하여,이하로 설명한 바와 같이,전륜(60,60) 및 후륜(70,70)을 절첩할 수 있다.
상기 시트 장치(10)가 지면으로부터 약간 떠올랐던 상태에서 구동 장치(86)의 구동 모터(85)가 ,예를 들면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구동 장치(86)의 구동 모터(85)에 전원 커넥터(110)를 통하여 직류 전원이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된다.구동 모터(85)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이동 틀(80)이 앞쪽으로 이동하고,두 전륜 링크 암(93,93)과 후 링크 암(74)이 절첩 방향(도5에 있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다.두 전륜 링크 암(93,93)이 절첩 방향으로 이동하면, 두 전륜 스테이(91,91)가 각각 지축(91a)를 중심으로 하여 절첩 방향(도5에 있어 시계방향 방향)으로 회동하고,이것에 따라 두 전륜(60,60)이 절첩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후 링크 암(93,93)이 절첩 방향으로 이동하면 양 후륜 스테이(71,71)이 각각 지축(71a)를 중심으로 하여 절첩하는 방향(도5에 있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이에 따라 양 후륜(70,70)이 절첩 방향으로 이동한다.
전륜(60,60) 및 후륜(70,70)의 절첩 동작의 최종 단계에서는 상기한 것처럼,두 전륜(60,60)의 자세가 종 자세로부터 횡 자세로 강제적으로 변경된다.
이동 틀(80)이 슬라이드 전단 위치(전후륜의 절첩 위치)에 이르면,제어장치는 구동 모터(85)에의 펄스의 공급을 정지한다.이동 틀(80)가 슬라이드 전단위치에 이른 것은,예를 들면 구동 모터(85)에 공급한 펄스의 수,구동 모터(85)의 회전량,또는 전단 위치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 등에 의하여 검출할 수 있다.
전륜(60,60) 및 후륜(70,70)의 절첩이 완료된 후,다시 리프트업 장치(50)의 양 사절 링크 기구(55,55)를 기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이것에 의해,시트 장치(10)는 착좌자가 착좌한 상태에서 상승하면서 차실내로 수용된다.
상기 양사절 링크 기구(55,55)가 기립 위치까지 기립하면(기립 상태),전동실린더(90)의 구동 모터로의 펄스의 공급을 정지하고,리프트업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킨다.양사절 링크 기구(55,55)가 기립 상태에 있는 경우 시트 장치(10)는 스윙 베이스(54) 위에 위치한다.이 때,시트 장치(10)는 메인 베이스(201) 위에 설치한 록 장치에 의하여,스윙 베이스(54)의 상방에 견고하게 위치 지지된다. 또한, 사절 링크 기구(55,55)가 기립 상태에 있는 것은 예를 들면,전동 실린더(90)의 구동 모터에 공급한 펄스의 수나 구동 모터의 회전량,또는 리미트 스위치 등에 의하여 검출할 수 있다.
두 사절 링크 기구(55,55)가 기립 상태로 되면,두사절 링크 기구(55,55)의 후측의 링크 암(55b,55b)가 거의 직립 상태가 된다.이 때,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링크 암(55b,55b)에 설치된 블록(55c)가 록바(45)의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된다.이것에 의해,록 바(45)가 록 홈부(56d,56d) 안에 록된다.즉,시트 장치(10)와 연결부(40,40)의 연결 상태가 로크된다. 시트 장치(10)이 스윙 베이스(54)의 상방에 위치한 상태에서,전동 실린더(90)의 구동 모터가 정지하면,다음에 회전 장치(53)의 구동 모터가 작동한다.
즉,시트 장치(10) 및 스윙 베이스(54)는 차량의 측방(도어 개구부측)을 향한 위치에서 차량의 정면을 향한 위치를 향하여 약 90°회전한다.
이 때,상기한 연동 기구에 의하여,차량의 측방을 향한 위치에서 소정 각도 범위에서 시트 장치(10)는 회전함과 동시에 차량 후방측으로 숏 슬라이드한다.
상기 회전-숏 슬라이드 연동 동작은 예를 들면 차량의 측방을 향한 위치에서 약 65°의 회전 범위에서 행해진다.이것에 의해,시트 장치(10)이 도어 개구부 D2를 통과할 때 시트 장치(10) 등이 차량 보디의 필러(도어 개구부 D2의 주연부)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이 단계의 슬라이드 동작은 숏 슬라이드 레일(51)을 따라 서브 베이스(52)가 이동하는 숏 슬라이드 동작이다.
그리고,시트 장치(10)이 차량의 측방을 향한 위치에서 차량의 앞쪽을 향한 위치의 방향으로 약 65°회전한 후,시트 장치(10)의 회전만이 행해진다.
또한, 시트 장치(10)의 회전-숏 슬라이드 연동 동작을 행하는 회전 범위는 전회전 범위를 포함하고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하다.또,시트 장치(10)가 회전할 때 시트 장치(10) 등이 차량 보디의 필러에 접촉할 가능성이 적은 경우, 이 단계의 숏 슬라이드 동작을 생략해도 좋다.
상기 시트 장치(10)이 차량의 정면을 향한 위치까지 회전하면 회전 장치(53)의 구동모터가 정지한다.즉,시트 장치(10)의 회전 동작과 숏 슬라이드 동작이 종료된다.이 단계에서 ,시트 장치(10)는 차량 앞쪽으로 이동되어,운전석의 뒤의 뒷좌석 위치로 되돌아온다. 또한, 시트 장치(10)를 운전석의 뒤의 뒷좌석 위치로 되돌리는 처리는 생략할 수 있다.시트 장치(10)가 차량의 정면을 향한 위치까지 회전한 것은 ,예를 들면 회전 장치(53)의 구동 모터에 공급한 펄스의 수 혹은 구동 모터의 회전량에 의하여 검출한다.
시트 장치(10)의 회전 움직임 동작이 종료되고,시트 장치(10)가 운전석의 뒤의 뒷좌석 위치에 되돌아오면,다음에 롱 슬라이드 모터(204)가 예를 들면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이것에 의해,나사 축(203)이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시트 장치(10) 및 리프트업 장치(50)가 운전석의 뒤좌석 위치에서 운전석 위치를 향하여 이동한다(롱 슬라이드 동작).
롱 슬라이드 동작은 제어 장치에 의하여,롱 슬라이드 모터(204)의 시동,정지,회전량(회전 각도),회전 방향,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행해진다.롱 슬라이드 동작의 초기의 단계에서는 리프트업 장치(50)의 전동실린더(90)가 정지하고 있다.
시트 장치(10)이 운전석 위치의 앞의 소정 위치에 이르면,롱 슬라이드 모터(204)가 정지하고 롱 슬라이드 동작이 중지된다.시트 장치(10)가 운전석 위치의 앞의 소정 위치에 이른 것은, 예를 들면 롱 슬라이드 모터(204)에 공급한 펄스의 수 혹은 롱 슬라이드 모터(204)의 회전량에 의하여 검출된다.그 후,리프트업 장치(50)의 전동 실린더(90)의 구동 모터가 다시 한번 작동하고,두 사절 링크 기구(55,55)가 진출 방향으로 소정 각도,예를 들면 약 30°회전한다.이것에 의해,시트 장치(10)는 앞쪽으로 진출되어,운전석 위치로 위치 결정된다.이 상태가 도 1에 있어 2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리프트업 장치(50)의 양사절 링크 기구(55,55)가 진출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시트 장치(10)는 앞쪽으로 이동함과 동시에,높이 H만큼 아래쪽으로 변위(하강)한다.
이와 같이,리프트업 장치(50)의 사절 링크 기구(55)를 진출 방향으로 작동시키므로써,착좌자가 운전 조작을 행하는 것에 적절한 높이(힙 포인트HP)에 설정된 운전석 위치에 시트 장치(10)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힙 포인트 하강 동작).
본 실시 형태에서,리프트업 장치(50)는 「시트 높이 조절 장치」로서의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2개의 롱 슬라이드 레일(202,202)가 운전석의 뒤좌석 위치에서 운전석 위치로 향하여 내려가도록 경사지게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리프트업 장치(50)에 의하여 시트 장치(10)를 진출시키는 양(높이 H)이 작아진다.
힙 포인트 하강 동작 종료후의 시트 장치(10)의 위치(운전석 위치)는 착좌자가 적절한 자세로 안전 벨트를 장착할 수 있는 차량 전후 방향의 범위의 가장 뒤 측의 위치(리어 모스트: R/M)로 설정된다.이것에 의해,힙포인트 하강 동작을 종료한 후,예를 들면 롱 슬라이드 장치(200)를 작동시키어,착좌자가 적절한 자세로 안전 벨트를 장착할 수 있는 차량 전후 방향의 범위의 가장 앞측의 위치(프런트 모스트: F/M)와 운전석 위치와의 사이의 범위내에서 ,시트 장치(10)의 차량 전후 방향의 위치(시트 포지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업 장치(50)에 의하여 시트 장치(10)를 진출시킬때,착좌자가 핸들(S) 등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힙 포인트 하강 동작을 행한 후,다시 롱 슬라이드 모터(204)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것에 의해,시트 장치(10)는 높이 H만큼 아래쪽으로 변위한 상태에서,차량의 앞쪽 방향의 운전석 위치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아래쪽으로의 변위량 H는 공통으로 설정해도 좋지만,착좌자마다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힙 포인트 하강 동작을 시작한 위치는,공통으로 설정해도 좋고,착좌자마다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아래쪽으로의 변위량을 착좌자마다 설정 가능하게 구성한 경우에는 제어 장치가 힙 포인트 하강 동작을 시작한 위치를 아래쪽에의 변위량에 따라 결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하여,휠체어로서 단독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의 시트 장치(10)를 차실내의 운전석 위치로 이동시키기 까지의 일련의 동작이 완료된다.이 때,착좌자(운전자)는 시트 장치(10)에 착좌한 상태 그대로 좋다.이 때문에,갈아타는 동작 등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운전자는 매우 용이하게 차실외에서 운전석으로 착좌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트 장치(10)를 운전석 위치에서 차실외로 이동시켜서,휠체어로서 단독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로 하는 경우,상기 설명한 동작과 반대의 동작이 실행된다.이 때도,착좌자는 시트 장치(10)에 착좌한 상태에서 좋다.이 경우도,갈아타는 동작 등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운전자는 매우 용이하게 운전석으로부터 차실외의 휠체어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본 실시의 형태의 차량 시트(1)는 운전석 위치의 뒤의 뒷좌석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도어 개구부 D2를 거쳐서 시트 장치(10)를 차실내에서 차실외로,또는 그 역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이것에 의해,운전석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도어 개구부 D1(도1 참조)을 거쳐 시트 장치(10)를 이동시키는 경우와 같이,핸들 S 등의 장애물이 없다.또,운전석 위치의 뒤의 뒷좌석 위치에서 운전석 위치까지의 이동은 롱 슬라이드 장치(200)에 의하여 행해진다.
이 경우도,운전대(S) 등의 장애물이 없기 때문에,시트 장치의 이동을 극히 순조롭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본 실시 형태의 차량 시트(1)는 시트 장치(10)를 차실내와 차실외와의 사이에서 순조롭게 이동시킬수 있음과 동시에,시트 장치(10)를 운전석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이것에 의해,노인이나 신체 장애자등이 차량을 운전하는 경우,갈아타는 동작을 행하는 일 없이,운전석과 차실외의 휠체어와의 사이의 이동을 극히 편안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 1 실시 형태의 시트 장치에는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 장치(10)를 도어 개구부 D2를 거쳐서 차실내와 차실외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트 이동 장치로서, 사절 링크 기구(55,55)를 주체로 한 리프트업 장치(50)를 이용했지만,슬라이드 기구를 주체로 한 시트이동 장치를 이용해도 좋다.이 경우,소정의 각도로 경사하는 신축식의 슬라이드 기구를 이용한 것이 바람직하다.이와 같은 슬라이드 기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시트 장치(10)는 차실내의 좌석 위치에서 차실외의 지상에 가까운 높이 위치로 이동된다. 또,운전석 위치에 있어서 높이(힙 포인트 HP)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힙 포인트 하강 동작을 종료한 시점에서 시트 장치(10)의 위치는 프런트 모스트 F/M에 설정해도 좋고,또는 리어 모 스트 R/M과 프런트 모스트 F/M과의 사이의 위치에 설정해도 좋다.
또, 리프트업 장치(50)를 시트 높이 조절 장치로서도 이용했지만 리프트업 장치(50)와 별도로,시트 장치(10)의 상하 방향의 높이를 변위시키기 위한 시트 높이 조절 장치를 별도 설치해도 좋다.
운전석용 이외의 도어 개구부를 거쳐서 시트 장치(10)를 출입시키면,운전석용의 도어 개구부를 거치는 경우와 같이,핸들 등의 장애물이 없기 때문에,시트 장치(10)를 차실내의 운전석 위치와 차실외의 사이에서 극히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시트 장치(10)를 출입시키기 위한 도어 개구부로서는, 예시한 운전석의 뒤의 뒷좌석용의 도어 개구부 D2외,조수석용의 도어 개구부 D5,조수석의 뒤의 뒷좌석용의 도어 개구부 D3 또는 차량 뒷 부분의 도어 개구부 D4를 이용할 수 있다.또한,예시한 숏 슬라이드 장치를 생략하고,롱 슬라이드 장치(200)을 이용하여 시트 장치에 숏 슬라이드 동작을 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이상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시트(10)와, 동승자석 위치의 시트를 차량의 앞쪽을 향하는 위치와 동승자석 위치에 인접한 도어개구부를 향하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 회전 장치(53)와, 상기 시트 및 상기 시트회전장치를 운전석 위치와 상기 동승자석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하는 롱슬라이드장치(200)와, 상기 동승자석 위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회전장치에 의한 상기 시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시트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회전슬라이드 연동장치를 주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회전슬라이드 연동 장치는 <78> 및 <79>단락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피니언기어부, 중간기어 및 래크를 포함하여, 스윙베이스(54)와 메인베이스(201)간의 회전 및 슬라이드 연동 동작을 중계한다.또한, 본 발명은 시트(10)와, 동승자석 위치의 시트를 차량의 앞쪽을 향하는 위치와 동승자석 위치에 인접한 도어개구부를 향하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 회전 장치(53)와, 상기 시트 및 상기 시트회전장치를 운전석 위치와 상기 동승자석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하는 롱슬라이드장치(200)와, 동승자석 위치에 있는 시트를 도어개구부를 통해 동승자석 위치와 차실외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시트 이동 장치(55)와, 운전자 시트 위치의 시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 위치 조절장치(55)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 위치 조절장치는 상기 시트와 연결되어 그 진출 방향으로 진출함에 따라 상기 시트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한 것을 주요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트 이동 장치 및 시트 위치 조절장치가 동일한 구성인 4절 링크 기구(55)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이 링크기구(55)를 조작하여 착좌 단계에 따라 시트를 이동시키고 및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용 시트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있다.이상의 본 발명의 요지에 대한 설명에 있어 부재번호와 구체적인 부재의 명칭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제 1 실시 형태의 차량 시트 장치(10)의 이동 경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도 10에서,운전석(D석)의 뒤 측의 제 2 열의 뒷좌석용의 도어 개구부 D2를 거쳐서 시트 장치(10)를 출입시키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도 18은,운전석의 뒤의 뒷좌석용의 도어 개구부 D2 이외의 도어 개구부 D3∼D5를 거쳐서 시트 장치(10)를 출입시키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도 11∼도 13은 제 2 실시 형태의 차량 시트(300)을 나타내고,도 14 및 도 15는 제 3실시 형태의 차량 시트(400)를 나타내고,도 16은 제 4 실시 형태의 차량 시트(500)를 나타내고,도 17 및 도 18은 제 5 실시 형태의 차량 시트(600)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제 2 실시 형태의 차량 시트(3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및 부재(주로 시트 장치 및 리프트업 장치)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조수석(P석)의 뒤 측의 도어 개구부 D3 또는 운전석(D석)의 뒤 측의 도어 개구부 D2의 한편을 임의로 선택하고 시트 장치(10)를 출입시키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이 제 2 실시 형태로는,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제 1 실시 형태로 설명한 차량 전후 방향으로 롱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 방향 롱 슬라이드 장치(200)에 가하여,차폭 방향(도11 및 도 12에 있어 상하 방향)으로 롱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폭방향 롱 슬라이드 장치(301)가 마련된다.전후 방향 롱 슬라이드 장치(200)과 폭방향 슬라이드 장치(301)를 조합시키는 것에 의하여,시트 장치(10)를 도어 개구부 D2를 거쳐서 또는 도어 개구부 D3을 거쳐 차실외와 차실내의 운전석 위치와의 사이(D석)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차량 플로어 F에 설치한 롱 슬라이드 장치(200)의 메인 베이스(201) 위에는 폭방향 슬라이드 장치(301)가 장착된다.폭방향 슬라이드 장치(301)는 메인 슬라이드틀(302)과 메인 슬라이드틀(302)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제 1 슬라이드 틀(303)과 제 1 슬라이드 틀(303)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제 2 슬라이드 틀(304)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폭방향 슬라이드 장치(301)는 2 단계 슬라이드 구조를 갖고 있다.메인 슬라이드 틀(302)가 메인 베이스(201) 위에 고정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메인 슬라이드 틀(302)와 제 1 슬라이드 틀(303)과의 사이에 제 1 나사 축(305)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또,제 1 슬라이드 틀(303)과 제 2 슬라이드 틀(304)와의 사이에 제 2 나사 축(306)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제 1 나사 축(305)는 제 1 슬라이드 모터(307)에 의하여 회전한다.
제 1 나사 축(305)가 회전하면,제 1 슬라이드 틀(303)이 메인 슬라이드 틀(302)에 대하여 차량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또,제 2 나사 축(306)은 제 2슬라이드 모터(308)에 의하여 회전한다.제 2 나사 축(306)이 회전하면,제 2슬라이드 틀(304)이 제 1 슬라이드 틀(303)에 대하여 차량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양 슬라이드 모터(307,308)로서 펄스 모터가 사용되고 있고,제어 장치에 의하여 그 시동,정지,회전량(회전 각도),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등이 제어된다.
제 2 슬라이드 틀(304)에는 숏 슬라이드 레일(351,351)이 차량의 전후 방향에 따라 서로 평행하게 장착된다.서브 베이스(352)는 숏 슬라이드 레일(351,351)에 의하여,제 2 슬라이드 틀(304)에 대하여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또,제 2 슬라이드 틀(304)에는 나사 축(31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이 나사 축(310)은 숏 슬라이드 모터(311)에 의하여 회전한다.서브 베이스(352)의 하면에는 나사 축(310)에 맞물리는 너트(312)가 브래킷을 이용하고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숏 슬라이드 모터(311)에 의하여 나사 축(310)이 회전하면,서브 베이스(352)가 차량 앞쪽 또는 뒤쪽을 향해 슬라이드 한다.숏 슬라이드 모터(311)로서 펄스 모터가 사용되고 있고,제어 장치에 의하여,그 시동,정지,회전량(회전 각도),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등이 제어된다.
서브 베이스(352)에는 ,회전 장치(353)을 통하여 스윙 베이스(354)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회전 장치(353)는 서로 회전 가능한 외륜(353a)과 내륜(353b)을 갖는다.외륜(353a)은 서브 베이스(352)의 윗면에 장착되어,내륜(353b)은 스윙 베이스(354)의 하면에 장착된다.외륜(353a)의 외주면에는 피니언 기어 부가 형성된다.한편,스윙 베이스(354)의 하면에는 구동 모터(315)가 장착된다.이 구동 모터(315)의 출력축에 설치한 구동 기어는,외륜(353a)의 피니언 기어 부에 맞물린다.
따라서,구동 모터(315)가 회전하면 스윙 베이스(354)가 회전한다.구동 모터(315)로서 펄스 모터가 사용되고 있고,제어 장치에 의하여,그 시동,정지,회전량(회전 각도),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등이 제어된다.
구동 모터(315)와 숏 슬라이드 모터(311)는 동기되어 제어된다.이에 따라,시트 장치(10)의 차량 전후 방향의 슬라이드 동작과 회전 움직임동작이 연동된다.
스윙 베이스(354)에는 좌우 한 쌍의 사절 링크 기구(55,55)를 통하여 시트 장치(10)이 연결된다.스윙 베이스(354),사절 링크 기구(55,55) 및 시트 장치(10)는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상술하지 않는다.
또한, 도 13에서는 사절 링크 기구(55,55) 및 시트 장치(10)가 간략화되어 나타나며,사절 링크 기구(55,55)를 작동시키는 구동 장치 및 시트 장치(1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40)에 관해서는 도시가 생략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제 2 실시 형태의 차량 시트(300)로는 시트 장치(10)의 회전 동작은 구동 모터(315)에 의하여 행해지고,시트 장치(10)의 차량 전후 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은 숏 슬라이드 모터(311)에 의하여 행해진다.이 때문에,양모터(311,315)를 각각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시트 장치(10)의 회전 움직임동작과 슬라이드 동작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 형태의 차량 시트(300)에 대해 설명하면,구동 모터(315) 및 숏 슬라이드 모터(311)의 제어 방법을 바꾸어,운전석의 뒤 측의 도어 개구부 D2를 거쳐서 시트 장치(10)를 운전석 위치와 차실외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조수석의 뒤 측의 도어 개구부 D3을 거쳐서 시트 장치(10)를 운전석 위치와 차실외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시트 장치(10)를 도어 개구부 D2를 거쳐서 차실내에서 차실외로 이동시키는 경우,시트 장치(10)를 운전석의 뒤의 뒷좌석 위치(제2 열의 우측 좌석위치)로 이동시킨 후,시트 장치(10)를 우회전시키면서 차량 앞쪽으로 슬라이드시키므로써,시트 장치(10)를 도어 개구부 D2 측으로 향할 수 있다.
시트 장치(10)를 도어 개구부 D3을 거쳐 차실내에서 차실외로 이동시키는 경우,시트 장치(10)를 조수석의 뒤의 뒷좌석 위치(제2 열의 좌측석 위치)에 이동시킨 후,시트 장치(10)를 좌회전시키면서 차량 앞쪽으로 슬라이드시키므로써,시트 장치(10)를 도어 개구부 D3 측으로 향할 수 있다.시트 장치(10)를 도어 개구부 D2를 거쳐서 차실외에서 차실내로 이동시키는 경우,운전석의 뒤의 뒷좌석용의 도어 개구부 D2의 위치에 있어,시트 장치(10)를 좌회전시키면서 차량 뒤쪽으로 슬라이드시키므로써,시트 장치(10)를 차량의 정면으로 향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트 장치(10)를 도어 개구부 D3을 거쳐 차실외에서 차실내로 이동시키는 경우,조수석의 뒤의 뒷좌석용의 도어 개구부 D3의 위치에 있어,시트장치(10)를 우회전시키면서 차량 뒤쪽으로 슬라이드 시키는 것에 의하여,시트 장치(10)를 차량의 정면으로 향할 수 있다.
상기한 것처럼,시트 장치(10)를 운전석측의 도어 개구부 D2를 거쳐서 차실내의 운전석 위치와 차실외와의 사이를 이동시키는 경우,제 1 실시 형태와 완전히 동일한 동작이 행해진다.이 경우,폭방향 롱 슬라이드 장치(301)를 동작시킬 필요는 없다.
이것에 대하여,시트 장치(10)를 조수석측의 도어 개구부 D3을 거쳐 차실내의 운전석 위치와 차실외와의 사이를 이동시키는 경우,폭방향 롱 슬라이드 장치(301)에 의하여,시트 장치(10)를 차폭 방향(제2 열의 우측석 위치와 좌측석 위치와의 사이)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즉,시트 장치(10)를 도어 개구부 D3을 거쳐 차실외에서 운전석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시트 장치(10)를 리프트업 장치(50)에 연결한 상태에서 리프트업 장치(50)의 양사절 링크 기구(55,55)를 기립측으로 회전시킨다.그 후,상기한 것처럼,구동 모터(315) 및 숏 슬라이드 모터(311)를 회전시키므로써,시트 장치(10)를 회전시키면서 차량 뒤쪽으로 이동시킨다.이것에 의해,시트 장치(10)는 차량의 정면을 향한다.
이 단계에서,시트 장치(10)는 제 2 열의 좌측석 위치에 위치한다.
제 2 열의 좌측 좌석 위치에 있어 시트 장치(10)이 차량의 정면을 향한 후,제 1슬라이드 모터(307) 및 제 2 슬라이드 모터(308)를 회전시키어,시트장치(10)를 제 2 열의 우측석 위치로 이동시킨다.즉,제 1 슬라이드 모터(307)를 회전시키고 제 1 슬라이드 틀(303)을 후퇴(도12의 상측)시킴과 동시에,제 2 슬라이드 모터(308)를 회전시키고 제 2 슬라이드 틀(304)를 제 1 슬라이드 틀(303)에 대하여 후퇴(도12의 상측)시킨다.이것에 의해,시트 장치(10)를 차량의 정면을 향한 상태에서 ,제 2 열의 좌측석 위치(도어 개구부 D3측)로부터 우측석위치(도어 개구부 D2측)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시트 장치(10)를 제 2 열의 좌측석 위치에서 우측석 위치로 이동시킨 후,제 1실시 형태와 동일한 롱 슬라이드 동작에 의하여 운전석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제 2 실시 형태의 차량 시트(300)을 이용하면,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시트 장치(10)를 차실내의 운전석 위치와 차실외와의 사이에서 순조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노인이나 신체 장애자 등이 차량을 운전한 경우,편안하게 승강할 수 있다.게다가,차량의 좌우 양측부에 설치된 도어 개구부 D2 또는 도어 개구부 D3의 어느 한쪽을 거쳐 시트 장치(10)를 운전석 위치와 차실외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차량 시트(300)의 양호한 사용이 좋아진다.
이상의 설명으로는,시트 장치(10)의 차폭 방향의 이동과 시트 장치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행하고 있지만,동시에 예를 들면,두 사절 링크 기구(55,55)를 기립측으로 회전시킨 후,제 1 및 제 2 슬라이드 모터(307,308)를 회전시키고 시트 장치(10)를 도어 개구부 D2 측으로 이동시킨다.그리고,이것과 동시에,구동 모터(315)를 회전시켜 시트 장치(10)를 회전시키면서 사이에 숏 슬라이드 모터(311)를 회전시켜 시트 장치(10)를 차량 뒤쪽으로 슬라이드 시켜도 좋다.구동 모터(315),숏 슬라이드 모터(311) 및 제 1,제 2슬라이드 모터(307,308)를 동시에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시트 장치(10)를 제 2 열의 좌측 좌석 위치와 우측 좌석 위치와의 사이에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제 2 실시 형태에서,2 단계 슬라이드 구조의 폭방향 슬라이드 장치(301)를 이용했지만,필요한 슬라이드 거리에 따라 1 단계 슬라이드 구조,또는 3단 이상의 슬라이드 구조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슬라이드 도어를 이용한 도어 개구부 D2, D3을 예시했지만,본원 발명에 관계된 차량 시트는 경첩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도어(회동식 도어)를 이용한 도어 개구부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제 2 실시 형태에서,폭방향 슬라이드 장치(301)의 나사 축(305,306)과 너트를 서로 맞물리게 하여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틀(303,304)을 슬라이드 시키는 구성을 이용했지만,래크·피니언 기구 또는 벨트 등을 이용하여 2개 이상의 슬라이드 틀을 슬라이드 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제 2 실시 형태는,차량 측부의 도어 개구부 D2 또는 D3중의 선택된 도어 개구부를 거쳐서 시트 장치(10)를 이동시켰지만,변경을 가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서,제 3 실시 형태의 차량 시트(400)가 나타나 있다.
이 제 3 실시 형태의 차량 시트(400)에서는,차량 좌측부의 도어 개구부 D3을 거쳐 차실외에서 차실내로 이동시킨 시트 장치(10)를 비스듬히 앞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서 직접 운전석 위치로 롱 슬라이드 시키고 있다. 따라서,제 3 실시 형태의 차량 시트(400)는 제 2 실시 형태에서 이용되고 있는,전후 방향 롱 슬라이드 동작 장치(200) 및 폭방향 슬라이드 장치(301)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제 3 실시 형태는,시트 장치(10)를 조수석 뒤쪽의 제 2 열의 좌측 좌석 위치에서 운전석 위치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사 롱 슬라이드 장치(401)를 구비하고 있다.경사 롱 슬라이드 장치(401)와 상기 롱 슬라이드 장치(200)는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롱 슬라이드 레일(402, 202)과,롱 슬라이드 모터 및 나사 축등으로 된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도 15에 있어,부호 403은 롱 슬라이드용의 나사 축을 나타내고 있다.
메인 베이스(409)는 롱 슬라이드 장치(401)의 롱 슬라이드 레일(402,402)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된다.이 메인 베이스(409)의 윗면측에는 슬라이드 베이스(408)가 숏 슬라이드 레일(404,404)을 따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된다.스윙 베이스(408)의 양측부에는,사절 링크 기구가 마련된다.사절 링크 기구나 시트 장치(10)등은 제 1,제 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제 3 실시 형태에서,시트 장치(10)의 회전 움직임동작과 차량 전후 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을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로서 래크·피니언 기구를 이용하고 있다.도 15에 있어,회전기구(405)는,내륜(405a)과 외륜(405b)을 구비하고 있다.본 실시의 형태에서,내륜(405a)이 메인 베이스(409) 위에 장착되고,외륜(405b)이 스윙 베이스(408)의 하면에 장착된다.외륜(405b)의 주면에는 피니언 기어 부가 형성된다.이 피니언 기어 부는 메인 베이스(409) 측에 고정된 숏 슬라이드 레일(404)에 장착되어 있는 래크(406)에 맞물리게된다.이 래크·피니언 기구에 의하여,시트 장치(10)는 차량의 정면을 향한 위치와 도어 개구부 D3 측을 향한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조수석의 뒤 측의 제 2 열의 좌측 좌석 위치와 차실외와의 사이의 이동에 관해서는,제1 및 제 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조수석(410)과 운전석의 뒤의 제 2 열의 우측 좌석(411)에는 구동 모터에 의하여 차량 전후 방향의 시트 포지션을 조정 가능한 파워 시트가 사용된다.양 좌석(410,411)은 착좌자의 통상의 조작에 의하여 시트포지션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또,시트 장치(10)가 롱 슬라이드 동작을 시작하면,조수석(410)은 앞쪽으로, 제 2 열의 우측 좌석(411)은 뒤쪽으로 자동적으로 이동 제어된다.이것에 의해,시트 장치(1O)를 조수석(410) 및 제 2 열의 우측 좌석(411)과 간섭하지 않고 양석(410,411) 사이를 통과시킬 수 있다.
시트 장치(10)가 운전석 위치 또는 도어 개구부 D3의 제 2 열의 좌측 좌석 위치에 이르면,조수석(410) 및 제 2 열의 우측 좌석(411)은 원래의 시트 포지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또,시트 장치(10)가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양석(410,411)의 시트 포지션을 임의의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제 3 실시 형태의 차량 시트(400)에 있어서,시트 장치(10)를 차실내의 운전석 위치와 차실외와의 사이에서 순조롭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노인이나 신체 장애자등이 차량의 운전을 행하는 경우,편안하게 승강할 수 있다.
도 16은,제 4 실시 형태의 차량 시트(500)를 나타내고 있다.제 4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 장치(10)를 차량 측부의 도어 개구부가 아니라,백 도어 개구부 D4를 거쳐서 출입시킨다.제 4 실시 형태에서,백 도어 개구부 D4의 중앙으로부터 운전석 위치를 향하여 비스듬히 전방으로 연장된 롱 슬라이드 장치(도시 생략)를 이용하고 있다.
또,시트 장치(10)를 약 180°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회전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제 4 실시 형태의 차량 시트(500)에서는, 시트 장치(10)를 뒷방향으로 백 도어 개구부 D4에 접근시킨다.다음에,시트 장치(10)를 도시 생략한 리프트업 장치에 연결하고, 리프트업 장치를 기립 방향으로 작동시켜서, 시트 장치(10)를 차실내로 수용한다.다음에,회전 장치에 의하여,시트 장치(10)가 차량의 정면을 향하도록시트 장치(10)를 반전시킨다.그 후,롱 슬라이드 장치에 의하여,시트 장치(10)를 운전석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숏 슬라이드 기구는 생략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제 5 실시 형태의 차용 시트(600)를 나타내고 있다.제 5실시 형태에서,시트 장치(10)를 조수석용의 도어 개구부 D5를 거쳐 출입시킨다.제 5 실시 형태에서,도어 개구부 D5는,전단을 경첩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동식 도어(612)에 의하여 개폐된다.조수석 위치와 운전석 위치와의 사이의 이동은 롱 슬라이드 장치(601)에 의하여 행해진다.
롱 슬라이드 장치(601)는 차량 플로어 F 위에 차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있다.제 1∼제 5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롱 슬라이드 장치(601)는 나사 축(602)과 너트의 맞물림에 의하여,슬라이드 측틀체를 롱 슬라이드 레일(604,604)에 대하여 슬라이드 시킨다.나사 축(602)은 롱 슬라이드 모터(603)에 의하여 회전한다.슬라이드 측틀에는,메인 베이스(606)이 장착된다.
메인 베이스(606) 위에는 서브 베이스(608)가 숏 슬라이드 레일(607,607)을 통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서브 베이스(608)는 숏 슬라이드 모터(610)에 의하여 나사 축(614)을 회전시키므로써 회전된다.서브 베이스(608)의 윗면측에는 회전반(609)을 통해 스윙 베이스가 장착된다.이 스윙 베이스,사절 링크 기구등을 포함한 리프트업 장치는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따라서,도 18에서 리프트업 장치의 도시는 생략된다.
또,회전반(609)에는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주면에 기어 부가 형성된 외륜과,이 외륜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내륜을 구비하고 있다.외륜은 서브 베이스(608)의 윗면에 장착되며,내륜은 스윙 베이스의 하면에 장착된다.
외륜의 기어 부에는 스윙 베이스의 하면측에 장착된 구동 모터(611)의 출력축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가 맞물려 있다.이 때문에,구동모터(611)가 회전하면,스윙 베이스 따라서 시트 장치(10)는 차량의 정면을 향한 위치와 도어 개구부 D5 측을 향한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한다. 또한, 시트장치(10)의 회전 각도는 구동 모터(611)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제 5 실시 형태의 차량 시트(600)에서는, 시트 장치(10)를 등을 향한 상태에서 도어 개구부 D5에 접근시킨다.그리고,시트 장치(10)를 리프트업 장치에 연결한다. 그 후,리프트업 장치의 양 사절 링크 기구를 기립 방향으로 작동시키어,시트 장치(10)를 스윙 베이스 위에 위치시킨다.이것에 의해,시트 장치(10)는 실내로 수납된다.
다음에,숏 슬라이드 모터(610) 및 구동 모터(609)를 회전시키므로써,시트 장치(10)를 차량의 정면을 향한 위치를 향하여 회전시키면서,차량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시킨다.이것에 의해,시트 장치(10) 등이 필러 등에 간섭되는 일 없이,시트 장치(10)이 차량의 정면을 향한 위치로 회전한다. 또한, 시트장치(10)의 회전 동작과 차량 전후 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은 숏 슬라이드 모터(610) 및 구동 모터(609)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연동하여 행해진다.
다음에,롱 슬라이드 모터(603)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나사 축(602)을 회전시켜,시트 장치(10)를 조수석 위치에서 운전석 위치로 횡방향 슬라이드 시킨다. 또한, 횡방향 슬라이드의 과정에 있어서,시트 장치(10)를 회전시키면서 숏 슬라이드 작동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도 18에 나타낸 것처럼,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613)의 중앙부가 시트 장치(10)의 이동 경로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경우,시트 장치(10)를 직선 이동 경로를 따라 횡방향 슬라이드 시키면,시트 장치(10) 또는 착좌자의 몸이 인스트루먼트 패널(613)에 접촉할 수 있다.이와 같은 경우,구동 모터(609) 또는 숏 슬라이드 모터(610) 또는 그 쌍방을 회전시키어,시트 장치(10)를 회전시키거나 차량 전후 방향으로 숏 슬라이드 동작시킨다.이것에 의해,시트 장치(10) 등이 인스트루먼트 패널(613)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고, 시트 장치(10)를 횡방향 슬라이드 시킬 수 있다. 이 횡방향 슬라이드 중 시트 장치(10)의 회전 움직동작 및 숏 슬라이드 동작에 대해서도,구동 모터(611) 및 숏 슬라이드 모터(610)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롱 슬라이드 동작과 연동하여 행할 수 있다.
제 5 실시 형태의 차량 시트(600)를 이용하여도,상기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시트장치(10)를 차실내의 운전석 위치와 차실외와의 사이에서 순조롭게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노인이나 신체 장애자등이 차량을 운전한 경우,편안하게 승강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의 형태에서,시트 장치(10)와 리프트업 장치(50)로 연결 또는 분리가능하도록 나타내지만,시트 장치(10)와 리프트업 장치(50)를 분리 불가능하도록 구성해도 좋다.이 경우,시트 장치를 차실외에서 단독으로 휠체어로서 이용할 수 없는 것을 제외하고,상기한 제 1 실시 형태∼제 5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또,차실외 조작 스위치 또는 차실내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는 사이,제어 장치에 의하여 상기한 일련의 동작이 행해지도록 했지만,개별적인 동작마다 조작스위치를 설치하고,각 조작 스위치가 조작되고 있는 사이,제어 장치에 의하여 그 조작스위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롱 슬라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시트를 동승자석 위치(조수석 또는 뒷좌석등의 운전석 이외의 좌석이 배치된 위치) 및 운전석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어,시트를 동승자석 위치의 도어 개구부를 통해 출납시킴에 따라, 운전석 위치에서 시트를 이동시키는 경우,핸들 등과 같은 장애물이 없어지게되므로,운전자가 운전석 위치에서 차실외로 또는 차실외에서 운전석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32)

  1. 시트와,동승자석 위치에 있는 시트를 차량의 앞쪽을 향하는 위치와 동승자석 위치에 인접한 도어 개구부를 향하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시트 회전 장치와,상기 시트 및 상기 시트 회전 장치를 운전석 위치와 상기 동승자석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롱 슬라이드 장치와,상기 시트 회전 장치에 의한 상기 시트의 회전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시트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회전 슬라이드 연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슬라이드 연동 장치는 상기 시트가 상기 도어 개구부측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시트를 차량의 앞쪽을 향하여 약간 슬라이드시키며, 상기 시트가 차량 전방을 향하여 회전될 때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시트를 차량의 뒤쪽으로 약간 슬라이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롱 슬라이드 장치는 상기 시트 및 상기 시트 회전 장치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전후 방향 롱 슬라이드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롱 슬라이드 장치는 상기 시트 및 상기 시트 회전 장치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폭방향 롱 슬라이드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롱 슬라이드 장치는 상기 시트 및 상기 시트 회전 장치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전후 방향 롱 슬라이드 장치와, 상기 시트 및 상기 시트 회전 장치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폭방향 롱 슬라이드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 롱 슬라이드 장치는 차량의 뒤쪽에서 앞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 롱 슬라이드 장치는 차량의 뒤쪽에서 앞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롱 슬라이드 장치는 상기 시트 및 상기 시트 회전 장치를 상기 운전석 위치와 상기 운전석 위치 뒤의 대각선 방향 동승자석 위치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 롱 슬라이드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를 경사 롱 슬라이드 장치에 의하여 슬라이드시키는 경우,상기 운전석 위치의 뒤에 설치된 뒷좌석 시트와,상기 운전석 위치의 측방에 설치된 조수석 시트가 상기 시트와 장애되지 않는 위치로 퇴피할 수 있도록 하는 퇴피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약간 슬라이드할 수 있는 숏 슬라이드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며,상기 회전 슬라이드 연동 장치가 상기 시트 회전 장치에 의한 상기 시트의 회전과 상기 숏 슬라이드 장치에 의한 상기 시트의 슬라이드 동작을 연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회전 장치는 상기 시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숏 슬라이드 장치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시트를 슬라이드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슬라이드 연동 장치는 상기 숏 슬라이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상기 시트 회전 장치의 구동 장치를 동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롱 슬라이드 장치는 시트를 슬라이드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 회전 장치는 시트를 회전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슬라이드 연동 장치는 상기 롱 슬라이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상기 시트 회전 장치의 구동 장치를 동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슬라이드 연동 장치는, 상기 시트가 차량의 앞쪽을 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도어 개구부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 회전한 위치와 상기 도어 개구부측을 향하는 위치와의 사이의 회전 영역에 있어서만,상기 시트의 회전과 상기 시트의 슬라이드 동작을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회전 장치는 상기 도어 개구부를 통해 상기 동승자석 위치와 차실외의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시트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상기 운전석 위치에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 위치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6. 시트와,동승자석 위치의 시트를 차량의 앞쪽을 향하는 위치와 동승자석 위치에 인접한 도어 개구부를 향하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 회전 장치와,상기 시트 및 상기 시트 회전 장치를 운전석 위치와 상기 동승자석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롱 슬라이드 장치와,동승자석 위치에 있는 시트를 도어 개구부를 통해 동승자석 위치와 차실외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시트 이동 장치와, 운전자 시트 위치의 시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 위치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이동 장치는 시트 위치 조절 장치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롱 슬라이드 장치는 상기 시트 및 상기 시트 회전 장치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전후 방향 롱 슬라이드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1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롱 슬라이드 장치는 상기 시트 및 상기 시트 회전 장치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하는 폭방향 롱 슬라이드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2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롱 슬라이드 장치는 상기 시트 및 상기 시트 회전 장치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전후 방향 롱 슬라이드 장치와, 상기 시트 및 상기 시트 회전 장치를 차량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폭방향 롱 슬라이드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 롱 슬라이드 장치는 차량의 뒤쪽에서 앞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방향 롱 슬라이드 장치는 차량의 뒤쪽에서 앞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2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롱 슬라이드 장치는 상기 시트 및 상기 시트 회전 장치를 상기 운전석 위치와 상기 운전석위치 뒤의 대각선 방향 동승자석 위치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 롱 슬라이드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가 경사 롱 슬라이드 장치에 의하여 슬라이드되는 경우,상기 운전석 위치의 뒤에 설치된 뒷좌석 시트와,상기 운전석 위치의 측방에 설치된 조수석 시트를 상기 시트와 장애되지 않는 위치로 퇴피할 수 있도록 하는 퇴피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2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이동 장치는 상기 시트를 착좌자로부터 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승강시킬 수 있으며,동승자석 위치에서 상기 도어 개구부를 통해 상기 시트를 차량 외로 이동시키면서 노면에 가까운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으며,차실외의 노면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시트를 상승시키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동승자석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2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이동 장치는 상기 시트를 착좌자로부터 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승강시킬 수 있으며,동승자석 위치에서 상기 도어 개구부를 통해 차량 외로 이동시키면서 노면에 가까운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으며,상기 개구부를 통해 차실외의 노면에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시트를 상승시키면서 상기 동승자석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시트 이동 장치를 상기 시트 위치 조절 장치로서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2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이동 장치는 4-바 링크 매카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2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이동 장치는 슬라이드 이동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2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와 시트 이동 장치를 분리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절첩형 휠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31. 시트와,동승자석 위치에 있는 시트를 차량의 앞쪽을 향하는 위치와 동승자석 위치에 인접하는 도어 개구부측을 향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시킬 수 있는 시트 회전 장치와,상기 시트 및 상기 시트 회전 장치를 운전석 위치와 상기 동승자석 위치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롱 슬라이드 장치와,상기 시트 회전 장치에 의한 상기 시트의 회전 이동에 연동하여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상기 시트를 약간 슬라이드시키는 회전 슬라이드 연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는, 하차시, 상기 시트를 상기 롱 슬라이드 장치에 의하여 상기 운전석 위치에서 상기 동승자석 위치까지 슬라이드 한 후,상기 시트 회전 장치 및 상기 회전 슬라이드 연동 장치에 의하여 차량 앞쪽으로 약간 슬라이드하면서 상기 차량의 앞쪽을 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도어 개구부측을 향한 위치로 회전하고,승차시, 상기 시트 회전 장치 및 상기 회전 슬라이드 연동 장치에 의하여 상기 도어 개구부측을 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차량의 앞쪽을 향하는 위치로 회전하면서 차량 뒤쪽으로 약간 슬라이드 한 후,상기 롱 슬라이드 장치에 의하여 상기 동승자석 위치에서 상기 운전석 위치로 슬라이드 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32. 시트와,이 시트를 차량의 앞쪽으로 향하는 위치와 도어 개구부측을 향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 회전 장치와,상기 시트 및 상기 시트 회전 장치를 운전석 위치와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는 동승자석 위치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 롱 슬라이드 장치와,상기 시트를 착좌자로부터 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승하강시키는 시트 이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는, 하차시, 상기 롱 슬라이드 장치에 의하여 상기 운전석 위치에서 상기 동승자석 위치까지 슬라이드하며, 상기 시트 이동 장치에 의해 차량의 뒤쪽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승강하고, 그 다음 차량의 앞쪽을 향하는 위치에서 개구부를 향하는 위치로 회전 장치를 이용하여 회전한 후, 상기 시트 이동 장치에 의해 개구부를 통해 차실외로 이동하면서 노면에 가까운 위치로 하강하며, 승차시 개구부를 통하여 동승자 시트 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시트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차실외의 노면에 가까운 위치로 승강한 다음, 상기 시트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앞쪽을 향해 이동하면서 차량 플로어에 가까운 위치로 하강하며, 상기 회전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앞쪽을 향하는 위치로 회전한 후, 롱 슬라이드 장치를 통해 동승자석 위치에서 운전자석 위치로 슬라이드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
KR10-2003-7010913A 2001-02-20 2001-10-09 차량 시트 KR100515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44065A JP3578093B2 (ja) 2000-04-04 2001-02-20 車両用シート
JPJP-P-2001-00044065 2001-02-20
PCT/JP2001/008863 WO2002072383A1 (fr) 2001-02-20 2001-10-09 Siege de vehic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937A KR20030084937A (ko) 2003-11-01
KR100515785B1 true KR100515785B1 (ko) 2005-09-23

Family

ID=18906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913A KR100515785B1 (ko) 2001-02-20 2001-10-09 차량 시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040124655A1 (ko)
EP (2) EP1369292A4 (ko)
KR (1) KR100515785B1 (ko)
CN (1) CN1321020C (ko)
AU (1) AU2001294209B2 (ko)
CA (1) CA2438866C (ko)
HK (1) HK1063453A1 (ko)
WO (1) WO20020723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16441B2 (en) * 2002-08-12 2008-01-08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Seat moving device for vehicle
EP1698509A1 (en) * 2003-11-18 2006-09-06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Swing device
JP4571825B2 (ja) * 2004-06-11 2010-10-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可動座席
DE102005008264A1 (de) * 2005-02-22 2006-08-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arborn Sitzreihen-Anordnung eines Fahrzeuges
US20070166140A1 (en) * 2006-01-17 2007-07-19 Warthan Jerry G Specialized mobile equipment handling lift system
TWM297738U (en) * 2006-01-18 2006-09-21 Pro Glory Entpr Co Ltd Detachable wheelchair
US20070194607A1 (en) * 2006-02-03 2007-08-23 Simon Dudai Motor Vehicle Chair System for Physically Disabled Persons
JP4223050B2 (ja) * 2006-04-27 2009-02-12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車両用シートの昇降装置
JP2007331712A (ja) * 2006-06-19 2007-12-27 Denso Corp 車両制御システム
JP4595897B2 (ja) * 2006-07-24 2010-12-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用回転シート
US20080025829A1 (en) * 2006-07-28 2008-01-31 Orville Douglas Denison Highway Vehicle for Handicapped Drivers in Mobility
WO2008015824A1 (fr) * 2006-08-01 2008-02-07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Siège de véhicule
KR100793732B1 (ko) * 2006-08-30 2008-01-10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동식 운전석
US7866723B2 (en) * 2006-10-13 2011-01-11 Ninio V Guy Vehicular seat for handicapped and elderly passengers
FR2911818B1 (fr) * 2007-01-31 2009-09-11 Heuliez Sa Dispositif monopied de support d'une assise de siege.
CA2677507A1 (en) * 2007-02-06 2008-08-14 Freedom Sciences, Llc Seating systems for motor vehicles
US7850242B2 (en) * 2007-03-14 2010-12-14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Vehicle seats
FR2920011B1 (fr) * 2007-08-16 2010-02-12 Airbus Siege pivotant destine a un aeronef et ensemble de tels sieges
KR100882135B1 (ko) * 2007-08-21 2009-02-06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전동 회전시트
TWM357248U (en) * 2008-12-16 2009-05-21 Red Heart Entpr Co Ltd Welfare seat equipment and seat moving device
US8398143B1 (en) * 2010-04-19 2013-03-19 Randal B Haley Multi-configured double stroller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JP5510271B2 (ja) * 2010-10-29 2014-06-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JP5663323B2 (ja) * 2011-01-21 2015-02-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US8398356B2 (en) * 2011-05-16 2013-03-19 Honda Motor Co., Ltd. Automotive wheelchair mobility system
US8936295B2 (en) 2011-11-05 2015-01-20 Bruno Independent Living Aids, Inc. Articulated seating system
US8794688B2 (en) * 2012-01-24 2014-08-05 Chrysler Group Llc Door assembly for a vehicle
CN102862499B (zh) * 2012-09-29 2014-12-10 东华大学 一种乘用车逃生坐垫机构
JP6304162B2 (ja) 2015-07-27 2018-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制御装置
US10802495B2 (en) 2016-04-14 2020-10-1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User control device for a transporter
US11399995B2 (en) 2016-02-23 2022-08-02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obility device
US10926756B2 (en) 2016-02-23 2021-02-2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obility device
US10908045B2 (en) 2016-02-23 2021-02-02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obility device
CA3015608A1 (en) 2016-02-23 2017-08-31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Mobility device control system
DK179512B1 (en) * 2017-04-04 2019-02-04 Maskinfabrik Dahl Engineering V/Claus Dahl Pedersen Height adjustable wheelchair docking system
JP6601805B2 (ja) * 2017-04-28 2019-11-06 株式会社Subaru 車両
USD829612S1 (en) 2017-05-20 2018-10-02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et of toggles
USD846452S1 (en) 2017-05-20 2019-04-23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Display housing
KR101907596B1 (ko) 2017-06-07 2018-10-12 주식회사 케이씨모터스 차량의 풋 레스트 장치
US20190241079A1 (en) * 2018-02-02 2019-08-08 Shu Ya Huo System with means and methods for an autonomous vehicle module and modules combination in a velocity controlled nonstop operation with schedule stops
EP3803736A1 (en) 2018-06-07 2021-04-14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utility service execution
DE102018210517A1 (de) * 2018-06-27 2020-01-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Tragstruktur für einen Fahrzeugsitz, Fahrzeugsitz und Fahrzeug
CN109557672B (zh) * 2019-01-23 2020-11-13 重庆第二师范学院 一种可调节的vr眼镜
JP7216893B2 (ja) * 2019-03-06 2023-0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移動体及び移動システム
KR102284693B1 (ko) * 2019-11-21 2021-08-0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이동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1690768B2 (en) * 2020-03-05 2023-07-04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between wheelchairs and vehicles
US20220134946A1 (en) * 2020-10-29 2022-05-05 Oshkosh Corporation Deployable warning device for vehicle
WO2022125530A2 (en) * 2020-12-08 2022-06-16 The Braun Corporation Front seat quick release armrest
CN114771369B (zh) * 2022-06-21 2022-09-09 常州信德泰克电器有限公司 一种无障碍系统用车载福祉座椅
DE102022208236A1 (de) 2022-08-08 2024-02-08 Sms Group Gmbh Walzwerk, insbesondere Kaltpilgerwalzgerüst, Überlastsicherung an einem Walzwerk sowie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einer Überlastsicherung an einem Walzgerüs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5587A (en) * 1977-10-25 1979-05-22 Mitchell Richard H Movable automobile seat
GB2069969B (en) * 1980-02-14 1984-05-23 Waite B Wheelchairs
JPS6092752A (ja) * 1983-10-27 1985-05-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降装置
JPH0692752A (ja) * 1992-09-14 1994-04-05 Tsutsunaka Plast Ind Co Ltd 無機発泡体用組成物
JPH09183325A (ja) * 1995-05-30 1997-07-15 Anayama Create:Kk 自動車の座席回転移動装置
JP2956540B2 (ja) * 1995-08-10 1999-10-0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昇降装置
FR2759648B1 (fr) * 1997-02-18 1999-03-26 Renault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siege de passager que l'on peut deplacer et rehausser dans une zone annexe dudit vehicule
JP4006053B2 (ja) * 1997-05-19 2007-11-14 豊興工業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座席のスライド・昇降装置
JP3277886B2 (ja) * 1998-06-15 2002-04-22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リフトアップシート
EP1008485B1 (en) 1997-09-01 2006-06-21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Vehicular turning seat
JP3259675B2 (ja) * 1998-01-21 2002-02-25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3358534B2 (ja) 1998-04-28 2002-12-2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リフトアップシート
US6543848B1 (en) * 1997-09-01 2003-04-08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Vehicular turning seat
JP2000062507A (ja) 1998-08-18 2000-02-29 Aichi Mach Ind Co Ltd 福祉車両のシート配置構造
SE513310C2 (sv) * 1998-12-22 2000-08-21 Volvo Ab Sätesarrangemang för ett motorfordon
DE10008951B4 (de) * 1999-03-26 2006-05-11 Daihatsu Motor Co., Ltd., Ikeda Anordnung von Fahrzeugkarosserie und Sitzeinrichtung bei Fahrzeugen
JP4087989B2 (ja) * 1999-06-18 2008-05-21 株式会社オーテックジャパン 座席昇降装置
US6328374B1 (en) * 2000-06-21 2001-12-1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Fully-openable slidable vehicle do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63453A1 (en) 2004-12-31
EP1369292A4 (en) 2007-04-04
US20050218686A1 (en) 2005-10-06
EP1369292A1 (en) 2003-12-10
CA2438866C (en) 2006-12-05
AU2001294209B2 (en) 2004-05-06
US20040124655A1 (en) 2004-07-01
CA2438866A1 (en) 2002-09-19
CN1321020C (zh) 2007-06-13
EP1944194A2 (en) 2008-07-16
KR20030084937A (ko) 2003-11-01
US6962383B2 (en) 2005-11-08
CN1491168A (zh) 2004-04-21
WO2002072383A1 (fr) 200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5785B1 (ko) 차량 시트
US7543888B2 (en) Vehicle seats
CA2957892C (en) Vehicle access seating
KR102235701B1 (ko) 탑승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WO1999011488A1 (fr) Siege pivotant pour vehicule
JP3578093B2 (ja) 車両用シート
JPH0948271A (ja) 自動車用シート昇降装置
JP3127904B2 (ja) 車両用リフトアップシート
JP3941751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0318496A (ja) 車両用回転座席
JP2005145281A (ja) 車両の乗降補助装置
JP2004236748A (ja) 車両用シート
US11779498B2 (en) Mobility aid system
JP3376300B2 (ja) 車両用リフトアップシート
JP3466528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3048469A (ja) 車両用シート
JP4100391B2 (ja) 車両用シート
JP3022520B1 (ja) 車両用リフトアップシート
JP2004148093A (ja) 車両用シート
JP4384971B2 (ja) 車両用着座乗降シート
JP2008049846A (ja) 自動車用シート装置
JP2002166760A (ja) 車両用シート
JP4069920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3291697A (ja) 座席の昇降装置
JP2002225596A (ja) 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