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685B1 - 구부러지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버트 마감처리된 가방 - Google Patents

구부러지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버트 마감처리된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685B1
KR100485685B1 KR10-2002-7006896A KR20027006896A KR100485685B1 KR 100485685 B1 KR100485685 B1 KR 100485685B1 KR 20027006896 A KR20027006896 A KR 20027006896A KR 100485685 B1 KR100485685 B1 KR 100485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side plate
lid member
locking device
emboss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6459A (ko
Inventor
아크하머헤르만
Original Assignee
에스피에스 베르팍쿵스-시스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피에스 베르팍쿵스-시스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스피에스 베르팍쿵스-시스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86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3/00Flexible bags
    • Y10S383/906Dispensing fe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Buckle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Package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 봉합이나 용접 가능한 플라스틱 막으로 형성된 버트 마감처리된 가방(1)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방은 액체나 죽 형태의 물질을 담는데 이용되며, 세로변을 따라 상호 연결된 두 개의 측판(2, 3)을 구비한다. 버트 마감처리된 바닥 역할을 하는 접이식 바닥 부재(10)는 상기 측판들 사이 상기 가방의 하부 가로변들 사이에 위치한다. 접이식 뚜껑부재는 상기 가방 상단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가방은 제 1 측판의 상부 가로변과 이에 대응되는 뚜껑 부재의 한 변 사이에 배출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 개구에는 잠금장치가 삽입된다. 상기 버트 마감처리된 가방에서 내용물을 보다 편하고 쉽게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 잠금장치를 앞으로 구부릴 수 있으며 안정 유지장치를 이용해서 상기 잠금장치를 구부러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부러지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버트 마감처리된 가방{BUTT-ENDED BAG WITH A BUCKLED-OVER CLOSING ELEMENT}
본 발명은 열 봉합 또는 용접 가능한 플라스틱 막으로 제조되어 액체 및/또는 풀같은 형상의 물질을 담을 수 있는 직립형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가방은 세로변을 따라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측판들, 상기 측판들의 하단 가로변 사이에 위치하여 가방의 자기 직립형 바닥 역할을 하는 접이식 바닥 부재, 및 상기 측판들 사이 가방의 상단에 위치한 접이식 뚜껑 부재로 구성되며, 또한 제 1 측판과 해당 뚜껑 부재의 한 변 사이에 위치하여 잠금 장치가 삽입되는 배출 개구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가방은 이미 WO 95/33663에 개시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된 종래의 직립형 가방은 두 개의 측판들, 자기 직립형 바닥 역할을 하는 바닥 부재, 및 뚜껑 부재로 구성된다. 가방이 구성된 상태에서 바닥 부재와 뚜껑 부재는 측판들 내에 위치하게 되고, 가방이 내용물로 채워지게 되면 그에 따라 펴지게 된다. 도 14에서는 이들 부재를 용접연결하여 가방을 구성한다. 이 과정에서 측판들의 세로변끼리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을 따라 서로 봉합된다. 측판들의 모서리는 바닥 부재와 뚜껑 부재의 대응 부분과 삼각형 모양으로 선형 또는 면형으로 서로 연결된다. 점선 표시된 측판들의 가로변 역시 바닥 부재와 뚜껑 부재에서 상응하는 가로변과 연결된다. 일 측판과 뚜껑 부재 사이에는 배출 개구가 형성되며 이 배출 개구에는 잠금장치가 삽입된다. 그런데 잠금장치가 다소 뻣뻣하게 위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가방 내부의 물질을 부을 때 가방 전체를 아래로 상당히 기울여야 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특히 가방이 꽉 차 있을 경우 액체는 쏟아질 수 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립형 가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직립형 가방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직립형 가방을 라인 III-III에 따라 절개한 세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직립형 가방을 라인 IV-IV에 따라 절개한 세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내용물이 든 상태에서 상기 직립형 가방을 라인 V-V에 따라 절개한 가로 상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내용물이 든 상태의 가방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잠금 부재가 수직 상태로 있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방에서 잠금 부재가 구부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립형 가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직립형 가방의 정면도이다.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가방에 내용물이 든 상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가방에서 잠금 부재가 구부러진 상태인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이 든 상태의 직립형 가방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직립형 가방에서 잠금장치가 구부러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뚜껑 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제 2 측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13e는 잠금장치를 구부러진 상태로 유지하는 안정화 유지수단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종래의 직립형 가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액체를 부을 때 다루기가 쉽도록 개선된 직립형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직립형 가방은 제 1 측판에서 잠금장치 아래 영역에 잠금장치를 앞쪽으로 구부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안정화 유지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직립형 가방은 잠금장치를 앞으로 구부리고 또 그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 손으로 가방을 쥐고 내부의 액체를 붓기 위해 눌러도 상기 잠금장치는 구부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액체가 가방에 꽉 차 있는 경우에도 가방을 많이 기울일 필요없이 잠금장치를 구부린 상태에서 액체를 안전하고 쉽게 부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부 뚜껑 부재의 잠금장치 아래 영역에 잠금장치를 수직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안정화 유지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안정 유지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선형 엠보스먼트(embossment)를 구비하며 상기 엠보스먼트는 예를 들면 양측에서 제 1 측판 중심 세로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엠보스먼트는 반타원이나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엠보스먼트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그 곡선내에서 잠금장치가 앞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한다. 이들 엠보스먼트와 잠금장치 사이 영역은 가방 안으로 불룩하게 들어간다.
엠보스먼트를 제 1 측판을 세 등분할 때 상부에 위치시켜 잠금장치를 보다 안정된 상태로 유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뚜껑 부재는 양측 세로변에서 제 1 측판의 배출 개구쪽으로 비스듬히 신장되거나 제 2 측판의 상부 가로변쪽으로 비스듬히 신장되는 봉합 이음부를 통해 양 측판과 연결된다. 동시에 상기 사선형 봉합 이음부는 외부 이음부가 된다. 사선형 봉합 이음부들이 양 세로변에서 배출 개구쪽으로 또는 상부 가로변 쪽으로 신장되므로, 뚜껑 부재는 세로 이음부에 의해서 별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가방이 가득 찰 경우에도 쉽게 바깥 방향으로 접혀진다. 상기 외부 이음부들이 비스듬히 신장되어 양 측판사이에는 V자 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뚜껑 부재를 쉽게 펴고 가방을 쉽게 다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출 개구는 일 측판에 형성되어 상기 측판의 가로변 위로 돌출된 측판 탭과 뚜껑 부재상에 형성된 뚜껑 부재 탭 사이에 형성된다. 이들 탭은 세로변 끼리 서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 개구가 두 개의 탭들에 의해 한정되고 그사이에 잠금장치가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잠금장치가 더 잘 구부러질 수 있다.
각 측판에는 상부 가로변과 하부 가로변 사이에 서로 이격되도록 양각 엠보스먼트들을 세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로 엠보스먼트들은 막질에 리세스(recess) 형태의 세로 주름선으로 양각된다. 내용물이 찬 상태에서는 세로 엠보스먼트들의 수에 따라 수평으로 봤을 때 가방이 둥근 형태가 아닌, 즉 다각형 형태가 된다. 그런 엠보스먼트 두 개가 각 측판에 이격되어 배열되면 상기 직립형 가방은 내용물이 채워진 상태에서는 육각형 모양이 되고, 이러한 가방들은 수송시나 가게 진열시 나란히 조밀하게 세울 수 있으므로 단면이 둥근 용기 보다 용기간의 틈이 적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측판을 제 2 측판보다 길게 형성하여 제 1 측판에 있는 배출 개구가 제 2 측판의 상부 가로변 위에 오도록 한다. 즉 상기 배출 개구는 가방 상단 위로 돌출하여, 나사 같은 형태의 잠금장치가 상기 배출 개구에 쉽게 용접될 수 있다.
뚜껑 부재는 제 2 측판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 부재를 상기 측판 상단에 용접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용접 과정이 생략된다. 돌출된 용접부가 없음으로, 뚜껑 부재의 형태를 보다 둥글고 매끄럽게 만들 수 있다. 특히 잠금장치를 앞으로 구부리게 되면 뚜껑 부재 전체가 앞으로 펴지게 되어 더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립형 가방의 각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공지의 방법으로 이중 박편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가방은 제 1 측판(2), 제 2 측판(3), 자기 직립 바닥 역할을 하는 바닥 부재(10), 및 뚜껑 부재(11)로 구성된다.
가방을 조립한 상태에서 바닥 부재와 뚜껑 부재는 측판들 내에 있다가 용기에 내용물이 들어가면 그에 따라 펴진다.
뚜껑 부재 탭(15)는 뚜껑 부재(11)의 측벽과 일체로 형성된다. 측판 탭(14) 역시 상기 뚜껑 탭(15)에 대응되도록 측판(2)와 일체로 형성된다. 가방을 조립할 때 이들 각 부재를 서로 연결한다. 이 과정에서 측판(3)의 세로변(4) 및 (5)는 측판(2)의 세로변(6) 및 (7)과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을 따라 서로 봉합되고 측판(3)의 모서리(3a, 3b, 3c, 및 3d)는 모서리(11a, 11b, 10b) 및 바닥 부재의 도시되지 않은 후방 모서리와 삼각형 모양으로 면 대 면 연결된다.
그리고 나서 모서리(11d, 11c, 10a 및 10c)는 측판(2)의 모서리(2d, 2c, 2b 및 2a)와 삼각형 형태로 용접된다.
비스듬하게 놓여있는, 바닥 부재와 뚜껑 부재의 각 변은 세로변(4, 6, 5 및 7)과 길이 방향으로 용접된다.
마지막으로, 측판(3)의 하단(8)은 바닥 부재의 대응되는 하단과 연결되고 측판(2)를 마주 보는 바닥부재(10)의 하단은 측판(2)의 하단(9)에 용접된다.
측판(3)을 마주보고 있는 뚜껑 부재의 상단과 이에 대응되는 측판(3)의 상단을 길이에 따라 전부 용접한다. 한편 뚜껑 탭(15)는 그 세로변(16)과 (18)만을 측판 탭(14)의 세로변(17) 및 (19)와 용접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잠금장치, 여기서는 나사 형태의 잠금장치가 용접되는 배출 개구(12)는 뚜껑 부재 탭과 측판 탭의 세로변을 용접하거나 봉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가방은 사용후 완전히 비어 있는 상태가 아니라면 다시 쉽게 닫을 수 있다.
측판(2)와 (3)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세로 양각 엠보스먼트들(21)이 형성된다.
각 측판에 두 개씩 형성되어 있는 상기 세로 엠보스먼트들(21)에 의해 내용물이 차게 되면 상기 가방은 도 2에 도시된 라인 V-V에 따른 상단면도에서 볼 때 도 5에 도시된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이 육각형 형태를 가지게 됨에 따라 이런 가방들이 틈도 없이 서로 조밀하게 정렬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상기 직립형 가방의 세로 단면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에서 분명히 주지하다시피,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가방은 잠금장치(20)을 앞으로 구부린 상태로 유지하는 제1안정화 유지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제1안정화 유지수단은 삽입된 잠금장치(20) 밑으로 신장된 직선 형태의 제1엠보스먼트(33)으로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엠보스먼트(33)은 거의 반타원 형태로 양각되어 있다. 제1엠보스먼트(33)과 잠금장치(20) 사이에 형성된 영역(40)은 잠금장치(20)을 구부리면 가방안으로 불룩하게 들어간다.
도 6과 도 7은 가방에 내용물이 든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직립형 가방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참조번호 35가 지시하는 바와 같이 가방에 내용물이 든 상태이므로, 가방이 바깥으로 불룩해진다. 제1엠보스먼트(33)과 영역(40)은 도 6에 분명히 도시되어 있다. 보다 개선된 방법으로 액체를 붓기 위해 잠금장치(20)을 화살표D 방향, 예를 들면 90도 하측으로 구부리면, 영역(40)은 도 7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가방 안으로 불룩하게 들어간다. 제1엠보스먼트(33)의 만곡부로 인해 구부러진 잠금장치(20)은 그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된다. 가방을 한손으로 세게 닫아 눌러도 이때 가해진 압력으로는 잠금장치(20)이 원래의 수직 상태로 돌아가지 않는다. 왜냐하면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부재에도 제2엠보스먼트(34)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 상기 압력은 잠금장치의 구부림으로 인해 펴지는 뚜껑 부재(20)에도 동일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가방을 용접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제2엠보스먼트(34)는 삽입된 잠금장치(20) 밑으로 신장되어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 부재(11)이 접혀진 선(11f)쪽으로 반타원형을 그리며 형성된다. 제2엠보스먼트(34) 역시 양각된다. 제2엠보스먼트(34)는 잠금장치가 수직 위치에 있을 때는 뚜껑부재를 안정되게 하고, 잠금장치가 구부러져 있으면 상기 엠보스먼트에서 밖으로 불룩하게 돌출되는 부분이 상기 잠금장치를 구부러진 상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실시예에서, 제1엠보스먼트(33)은 세로 엠보스먼트들(21) 사이의 측판(2) 상부에서부터 1/3 지점에 거의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립형 가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가방과 다른 점은 뚜껑 부재가 봉합 이음부(30)을 통해 측판(2) 및 (3)과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상기 봉합 이음부(30)은 양 세로변(4) 및 (7)에서 제 1 측판(2)의 배출 개구(12)와 제 2 측판(3)의 가로변(31) 쪽으로 비스듬히 신장된다. 측판(3)의 빗변(30a)는 뚜껑 부재(11)의 빗변(30b)와 봉합되고 제 1 측판(2)의 빗변(30d)는 뚜껑부재 빗변(30c)와 봉합된다. 뚜껑 부재의 상부 가로변(22)는 제 2 측판(3)의 상부 가로변(31)에 용접된다. 한편, 뚜껑 부재 탭(15)는 세로변(16)과 (18)을 따라 측판 탭(14)의 대응되는 세로변(17)과 (19)에 용접된다. 도 2에 도시된 나사 형태의 잠금장치(20)이 용접되는 배출 개구(12)는 뚜껑 부재 탭과 측판 탭을 세로변들을 따라 용접하거나 봉합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세로변(4)와 (7)은 뚜껑 부재(11)의 중심 주름선(11f)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지점(P)까지만 연장된다. 두 개의 봉합 이음부(30)은 각각 상기 직립형 가방 양측면의 상기 지점(P)에서 배출 개구(12) 또는 각 측판(2) 및 (3)의 상부 가로변(31) 쪽으로 연장된다. 세로변(4)와 (7)은 길이 h1 전체를 따라 배출 개구(12)로 신장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외부 이음부가 되는 봉합 이음부(30)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이 찬 상태에서 상호 이격되어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봉합 이음부(30)은 V자 영역(32)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뚜껑 부재를 쉽게 접을 수 있고 가방도 다루기가 더 쉬워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장치를 앞으로 구부리는 상태로 유지하는 제1안정화 유지수단이 구비된다.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엠보스먼트(33)은 반타원형으로 잠금장치 아래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엠보스먼트는 양각된다. 도 9 및 도 10a에서 보듯이, 제1엠보스먼트(33)과 잠금장치(20) 사이에 영역(40)이 형성된다. 도 10a를 참조하면, 내용물이 든 상태의 상기 가방은 뚜껑부재(11)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 부재(11)에는 잠금장치(20)에서 뚜껑부재(11)의 중심 주름선(11f) 쪽으로 신장된 제2엠보스먼트(34)가 형성되어 있다. 잠금장치를 예를 들어 90도 각도로 앞으로 구부리면 도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엠보스먼트(33)과 잠금장치(20) 사이에 형성된 영역(40)이 안쪽으로 불룩해진다. 액체를 붓기 위해 가방을 들어 눌러도 제1엠보스먼트(33)으로 인해 상기 잠금장치(20)이 구부러진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된다. 잠금장치(20)을 앞으로 구부리면 뚜껑 부재(11)은 펴진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가방은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가방과 거의 동일한데, 제 1 측판(2)의 길이h1이 제 2 측판(3)의 길이h2 보다 커서 제 1 측판에 형성된 배출 개구(12)가 제 2 측판(3)의 상부 가로변(31) 위에 놓이게 된다는 점이 다르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가방은 제 1 측판과 뚜껑 부재에 제1,2엠보스먼트(33,34) 없이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측판(2)와 측판(3) 사이에 삽입되는 뚜껑부재(11)을 측판(3)의 상단(21)에 용접하지 않고 측판(3)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뚜껑부재를 측판에 용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용접 이음부가 없으므로 뚜껑부재가 보다 둥글고 매끄러운 형태가 된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안정 유지 수단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들 안정 유지 수단은 공통적으로 잠금장치(20) 아래 양측에서부터 측판(3)의 중심 세로축 A 쪽으로 신장된다. 도13a는 삼각 형태의 제1엠보스먼트(33)을 도시한다. 상기 제1엠보스먼트(33)은 잠금장치 양단으로부터 삼각형 형태로 하측으로 연장된다. 도 13b는 잠금장치(20) 아래에서 중심 세로축 A 방향으로 신장되는 두 개의 제1엠보스먼트(33)을 도시한다. 도 13c는 세로축 A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처음에는 수직 방향으로, 이후 사선으로, 마지막으로 수평 방향 신장되는 엠보스먼트를 도시한다. 도 13d는 한 개의 타원 제1엠보스먼트(33)이 다른 한 개의 타원 엠보스먼트(33) 내에 위치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e는 세로 축 A를 중심으로 잠금장치 양단에서 신장되는 타원 엠보스먼트를 도시한다. 이들 엠보스먼트는 가방의 상단이나 잠금장치(20)으로 까지 신장되거나 잠금장치 양단에 정확하게 맞추어 끝날 필요는 없지만 잠금장치(20) 아래에서부터 가방 상부에서 1/3 지점에 근접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뚜껑 부재상의 제2엠보스먼트들(34)는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들은 뚜껑 부재 양단에서 주름선(11f) 방향 중심부로 신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립형 가방은 액체를 부을 때 다루기가 쉽도록 개선되어 있다. 따라서, 가방 내부의 물질을 부을 때 가방 전체를 아래로 상당히 기울이지 않아도 되며, 특히 가방이 꽉 차 있을 경우에도 액체가 쏟아지지 않는다.

Claims (13)

  1. 열 봉합이나 용접 가능한 플라스틱 막으로 형성되어 액체 및/또는 죽 형태 물질을 담기 위한 직립형 가방에 있어서,
    세로변을 따라 상호 연결된 두 개의 측판(2 및 3);
    상기 측판들(2 및 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직립형 가방의 하부 가로변(8 및 9) 사이의 가방 하단에서 자기 직립형 바닥 역할을 하는 접이식 바닥 부재;
    상기 측판들(2 및 3) 사이의 가방 상단에 위치한 접이식 뚜껑부재;
    제 1 측판(2)의 상부 가로변들(13 및 20)과 이에 대응되는 뚜껑 부재 변들(21 및 22) 사이에 형성된 배출 개구(12);
    상기 배출 개구(12)에 삽입된 잠금장치(20); 및
    상기 제 1 측판(2)에서 상기 잠금장치(20) 아래 영역에 상기 잠금장치(20)를 앞으로 구부린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하는 제1안정화 유지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20) 아래의 상기 뚜껑부재에 상기 잠금장치를 수직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하는 제2안정화 유지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안정화 유지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제1,2엠보스먼트(33, 34)로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엠보스먼트는 상기 잠금장치 아래 양측에서 상기 제 2 측판의 중심 세로 축(A)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엠보스먼트(33)는 반타원 형태의 선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엠보스먼트(33)는 삼각형 형태의 선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엠보스먼트(33, 34)는 양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를 안정되게 유지시키는 제1,2안정화 유지 수단은 제 1 측판(2)의 1/3이 되는 상부에서 앞으로 구부러진 위치에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개구는 일 측판(2)에 형성되어 상기 측판(2)의 가로변(13) 위로 돌출되는 측판 탭(14)과 상기 뚜껑 부재(11)에 형성된 뚜껑 부재 탭(15)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탭들은 세로변들(16, 17, 18, 19) 끼리 따라 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11)는 양 세로변(4, 7)으로부터 상기 제 1 측판의 배출 개구(12) 또는 상기 제 2 측판의 상부 가로변 쪽으로 비스듬히 연장되는 봉합 이음부들(30)을 통해 각각의 측판(3, 2)과 연결되고, 상기 사선형 봉합 이음부들(30)은 동시에 외부 이음매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들(2, 3)에는 상기 가로변(6, 7, 4, 5)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양각의 세로 엠보스먼트들(21)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판(2)의 길이(h1)가 상기 제 2 측판(3)의 길이(h2)보다 더 큼으로써 상기 제 1 측판의 배출 개구가 상기 제 2 측판의 상부 가로변(31) 위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는 제 2 측판(3)과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KR10-2002-7006896A 1999-11-30 2000-10-20 구부러지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버트 마감처리된 가방 KR100485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7563A DE19957563A1 (de) 1999-11-30 1999-11-30 Standbeutel mit umknickbarem Verschlusselement
DE19957563.0 1999-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459A KR20020086459A (ko) 2002-11-18
KR100485685B1 true KR100485685B1 (ko) 2005-04-27

Family

ID=793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896A KR100485685B1 (ko) 1999-11-30 2000-10-20 구부러지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버트 마감처리된 가방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6796712B1 (ko)
EP (1) EP1233915B1 (ko)
JP (1) JP3677000B2 (ko)
KR (1) KR100485685B1 (ko)
CN (1) CN1221446C (ko)
AT (1) ATE273199T1 (ko)
AU (1) AU1142201A (ko)
BR (1) BR0016050A (ko)
CA (1) CA2396647C (ko)
DE (2) DE19957563A1 (ko)
DK (1) DK1233915T3 (ko)
EA (1) EA003486B1 (ko)
ES (1) ES2226935T3 (ko)
IL (2) IL149898A0 (ko)
MX (1) MXPA02005459A (ko)
PT (1) PT1233915E (ko)
SI (1) SI1233915T1 (ko)
WO (1) WO2001040074A1 (ko)
ZA (1) ZA2002042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74153T1 (de) * 2003-12-17 2007-10-15 Sps Verpackungs System Gmbh Standbeutel mit verschlussfolie
JP2009137601A (ja) * 2007-12-04 2009-06-25 Fuji Seal International Inc スパウト付きパウチ容器
KR200454372Y1 (ko) * 2009-04-29 2011-06-30 진성토건 주식회사 거푸집용 목재빔
AR071971A1 (es) * 2009-05-29 2010-07-28 Ppg Ind Argentina S A Una bolsa de posicion vertical
IT1394738B1 (it) * 2009-07-13 2012-07-13 Grc Pack Luxembourg S A Dispositivo di apertura e chiusura per contenitori in materiale flessibile destinati al confezionamento di prodotti fluidi, confezione comprendente un contenitore in materiale flessibile e un tale dispositivo di chiusura e metodo di confezionamento di un prodotto fluido in tale confezione
EP2301859B1 (de) * 2009-09-25 2013-03-13 Mondi Halle GmbH Standbeutel aus einer heißsiegelfähigen Kunststofffoli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WO2011060784A1 (en) * 2009-11-19 2011-05-26 Paul Bjerring Asymmetric, pointed, flexible bag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EP2433879B1 (de) * 2010-09-27 2013-07-31 Mondi Halle GmbH Standbeutel für schüttfähige Güter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andbeutels
JP5380609B2 (ja) * 2010-11-22 2014-01-08 株式会社細川洋行 口部材付き袋及びその接続構造
US20140044379A1 (en) 2012-08-10 2014-02-13 Mark W. Gum Stand-up bag of a weldable foil for holding pourable contents
JP6073711B2 (ja) * 2013-03-04 2017-02-01 株式会社細川洋行 袋体及び当該袋体を用いた流体吐出方法
EP2989013B1 (en) * 2013-04-23 2020-04-01 Vishaal B. Verma Hold-open device and package having same
US20140346252A1 (en) * 2013-05-23 2014-11-27 Chris Davis Spray container
US9650178B2 (en) * 2014-01-16 2017-05-16 The Fresh Group, Ltd. Watermelon pouch
US20150353254A1 (en) * 2014-06-10 2015-12-10 Jonathan Pauly Flexible container for portable beverages
JP2016010392A (ja) * 2014-06-30 2016-01-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培養袋及び培養方法
JP6314269B1 (ja) * 2017-04-10 2018-04-18 菅野包装資材株式会社 パウチ容器
GB2568753A (en) * 2017-11-28 2019-05-29 Creanovate Ltd Container with a collapsible portion
CN108973231B (zh) * 2018-09-28 2023-10-24 杭州勤诚塑料包装材料有限公司 袋子加工装置及其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1876A (en) * 1941-02-26 1944-10-31 John P R Schell Package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2950029A (en) * 1956-10-29 1960-08-23 Hedwin Corp Container
US3367380A (en) * 1964-03-05 1968-02-06 Dev Consultants Inc Collapsible container
US4572413A (en) * 1982-09-30 1986-02-25 Vogt Kuno J Resealable closure assembly for a container
US4505312A (en) * 1983-05-04 1985-03-19 Halkey-Roberts Corp. Filling an air venting closure
DE3466515D1 (en) * 1983-08-09 1987-11-05 Zeller Plastik Koehn Graebner Container formed of elastically deformable plastics material
FR2649072B1 (fr) * 1989-06-30 1991-11-29 Design Agc Sarl Conteneur en materiau thermoplastique moule en une seule piece et equipe d'une trompe verseuse
JPH05201455A (ja) * 1992-01-22 1993-08-10 Hiranoya Bussan:Kk 軟質袋用の注ぎ口構造
DE9409316U1 (de) * 1994-06-08 1994-08-04 Innovative Packaging Syst Standbeutel
DE4440173A1 (de) * 1994-11-10 1996-05-1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tehfähige Fließmittelpack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142201A (en) 2001-06-12
MXPA02005459A (es) 2004-04-21
EA200200607A1 (ru) 2002-12-26
CN1402689A (zh) 2003-03-12
JP2003515508A (ja) 2003-05-07
DK1233915T3 (da) 2004-11-29
IL149898A0 (en) 2002-11-10
US6796712B1 (en) 2004-09-28
EP1233915B1 (de) 2004-08-11
ES2226935T3 (es) 2005-04-01
DE50007407D1 (de) 2004-09-16
CA2396647A1 (en) 2001-06-07
CA2396647C (en) 2006-12-19
KR20020086459A (ko) 2002-11-18
BR0016050A (pt) 2002-07-23
IL149898A (en) 2007-06-03
ATE273199T1 (de) 2004-08-15
CN1221446C (zh) 2005-10-05
EP1233915A1 (de) 2002-08-28
SI1233915T1 (en) 2005-02-28
PT1233915E (pt) 2004-12-31
WO2001040074A1 (de) 2001-06-07
EA003486B1 (ru) 2003-06-26
DE19957563A1 (de) 2001-06-07
JP3677000B2 (ja) 2005-07-27
ZA200204280B (en) 200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685B1 (ko) 구부러지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버트 마감처리된 가방
US6092933A (en) Stable-free-standing bag of heat sealable or weldable plastic foil
US3799914A (en) Standable flexible container with straw
ES2254366T3 (es) Recipiente plegable y metodo de fabricacion.
WO2009154092A1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用内袋を収納するための外装箱、およびバッグインボックス
JPWO2007037472A1 (ja) スパウト付きパウチ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03393A (ja) 可撓性袋
JP2019123540A (ja) ゲーブルトップ型容器
JPH0424805Y2 (ko)
JPH111250A (ja) 口栓付きパウチ容器
JP4135336B2 (ja) 電子レンジ用紙容器
JP2002145287A (ja) スパウト付きパウチ容器
JP4263640B2 (ja) 薄肉容器
JP2003146337A (ja) 注出口付き包装袋
JP7471259B2 (ja) 外装容器、包装箱及びブランクシート
JP6659999B2 (ja) 注出口付きパウチ
JP4526829B2 (ja) パウチ容器
JP6314269B1 (ja) パウチ容器
JP3043515B2 (ja) ブリック型紙容器
MXPA97001615A (en) Self-packable container for solven
FR2707602A1 (fr) Sac à coin rabattable.
JPH0133477Y2 (ko)
AU2006202552B2 (en) Ba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4572464B2 (ja) リシール機能付き容器
JPH08258848A (ja)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