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479B1 - 대차식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대차식 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479B1
KR100483479B1 KR10-2002-0081037A KR20020081037A KR100483479B1 KR 100483479 B1 KR100483479 B1 KR 100483479B1 KR 20020081037 A KR20020081037 A KR 20020081037A KR 100483479 B1 KR100483479 B1 KR 100483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support
wheel
transported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5115A (ko
Inventor
마키무라가츠요시
다카노료스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932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19184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93291A external-priority patent/JP390690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30055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12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 B61B13/127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the propulsion device consisting of stationary driv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4Vehicle bodies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의 피반송물을 지지반송하는데 적합한, 저상구조의 대차식 반송장치를 제안하는 것으로서, 그 특징은, 차륜(8,9)을 구비한 피반송물 지지대(1)의 주행경로의 좌우 한쪽 변을 따라서 가이드 레일(3)이 배열 설치되고,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1)의 좌우 한쪽 변과 상기 가이드 레일(3)에 안내되어 주행하는 구동용 주행체(2)가, 당해 피반송물 지지대(1)의 피반송물 지지레벨보다도 상기 구동용 주행체(2)가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구동용 주행체(2)에는 마찰구동면(29)이 설치되고, 상기 주행경로중에는, 상기 마찰구동면(29)에 압접되는 마찰구동륜(32)이 배치 설치되고,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1)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구동용 주행체(2)측에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점에 있다.

Description

대차식 반송장치{CAR TYPE CONVEYOR}
본 발명은, 자동차 조립라인 등에 사용되는, 대형의 피반송물(被搬送物)을 지지(支持)반송하는데 적합한 대차식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의 피반송물을 지지반송하는데 사용되는 대차식 반송장치는, 피반송물을 지지하는 대차를 주행로면상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주행가능하게 지지시키고, 당해 대차를 추진구동시키는 수단으로서, 대차의 주행로면 아래에 배열 설치된 구동용 주행체로부터 상기 대차에 추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한 것이나, 대차에 그 주행방향과 평행한 마찰구동면을 설치하고, 주행경로측의 적소에 상기 마찰구동면에 압접되는 마찰구동륜을 설치한 마찰구동형식의 것 등이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상기 어느 것이나, 구동용 주행체를 포함하는 장치 전체의 높이가 크고, 마루면 아래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장치 전체의 높이를 낮게 억제하는 것은 어려운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대차식 반송장치는, 차륜을 구비한 피반송물 지지대의 주행경로의 좌우 한쪽 변에 따라서 가이드 레일이 배열설치되고,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의 좌우 한쪽 변(邊)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주행하는 구동용 주행체가, 당해 피반송물 지지대의 피반송물 지지레벨보다도 상기 구동용 주행체가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구동용 주행체에는 마찰구동면이 설치되고, 상기 주행경로중에는, 상기 마찰구동면에 압접되는 마찰구동륜이 배열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1) 피반송물 지지대를 마찰구동하게 하는 구동용 주행체를 당해 피반송물 지지대의 한쪽 변에 배치함과 동시에, 당해 피반송물 지지대의 피반송물 지지레벨보다도 구동용 주행체가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한 것(구체적으로는, 피반송물 지지대의 피반송물 지지레벨을 WL, 구동용 주행체의 하단레벨을 DL로 했을 때, WL이 DL보다 낮은 경우, WL=DL의 경우, 및 WL이 DL보다 높은 경우를 포함함),
(2) 피반송물 지지대가 구비하는 차륜으로 피반송물의 하중의 적어도 일부를 담당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구동용 주행체나 그 가이드 레일에 필요한 강도가 작아도 되고, 나아가서는 당해 구동용 주행체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는 것, 및,
(3) 구동용 주행체를 마찰구동하는 것이므로, 구동용 주행체에 전장에 걸쳐서 연속하는 마찰구동면만 설치하면 좋고, 구동용 주행체의 높이를 낮게 구성하기 쉬운것,
에 의해, 장치 전체의 높이를 낮게 함과 동시에, 피반송물 지지대를 저상구조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대하여,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의 좌우 한쪽 변에 외측으로 내뻗는 정면형상이 도립(倒立) L자형의 기립부분을 설치하고, 이 기립부분의 하측 공간에 상기 구동용 주행체 및 그 가이드 레일을 배열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피반송물 지지대의 단부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구조의 구동용 주행체를 이용해서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고, 게다가, 당해 구동용 주행체의 가이드 레일을 마루면측, 즉, 하측으로부터 직접 지지하는 간단하고 안정성이 높은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에, 상기 구동용 주행체의 하측에 대략 수평으로 뻗어나가는 연출부(延出部)를 설치하고, 이 연출부를 구동용 주행체로 매어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피반송물 지지대 전체를 평판형상의 간단한 형상으로 구성하여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고, 또, 구동용 주행체로 피반송물 지지대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를 분담하게 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도, 구동용 주행체의 높이를 낮게 억제하는 것이 용이하고, 게다가 원활하게 주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구동용 주행체에는,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 위에 지지되는 피반송물(W)의 전장보다 긴 밀어 누르기 구동용 로드바(load bar)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 피반송물 지지대 위의 피반송물끼리가 서로 간섭하는 일 없는 상태에서, 마찰구동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전방의 각 피반송물 지지대를 밀어 누르기 구동할 수 있고, 주행경로측의 마찰구동수단의 설치수를 대폭으로 적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밀어 누르기 구동용 로드바 측면에서 상기 마찰구동면을 구성함으로써, 밀어 누르기 구동에 필요한 로드바를 이용하여 마찰구동용 마찰구동면을 구성할 수 있어, 구동용 주행체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피반송물 지지대의 차륜에 관해서는, 상기 구동용 주행체에 피반송물의 하중을 작용시키지 않기 위한, 적어도 좌우쌍을 이루는 차륜을 피반송물 지지대에 설치할 수 있고, 이와 같이 구성하면, 구동용 주행체 및 가이드 레일에 피반송물의 하중을 작용하게 하지 않아도 되고, 당해 구동용 주행체 및 그 가이드 레일을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장치 전체의 높이를 낮게 억제하는 것이 한층 더 용이하게 된다.
물론, 상기 구동용 주행체로 피반송물의 하중을 분담하는 차륜을 피반송물 지지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동용 주행체와 피반송물 지지대의 차륜으로 피반송물의 하중을 분담하게 하므로, 상기 구동용 주행체에 피반송물의 하중을 작용시키지 않는 구성보다도, 피반송물 지지대의 차륜의 주행로면의 평활성이 다소 나쁘더라도 구동용 주행체에 무리가 걸리는 일이 적고, 구동용 주행체 및 피반송물 지지대의 양자를 이상진동 없이 원활히 주행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피반송물 지지대에는, 그 좌우폭방향의 중앙부근과 구동용 주행체가 있는 측은 반대측의 외측 변 부근에 차륜을 설치하고, 피반송물의 하중을, 외측 차륜과 구동용 주행체중의 어느 한쪽과, 상기 중앙측 차륜으로 받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피반송물 지지대의 중앙부근에 설치된 차륜이 항상 주행로면상에 접지하도록 구성되기만 하면, 피반송물 지지대의 외측 변 부근에 설치된 차륜과 구동용 주행체중의 어느 한쪽에서 피반송물 지지대를 피반송물 지지자세로 유지하고, 안정적으로 주행하게 할 수 있다. 환언하면, 구동용 주행체의 가이드 레일의 설치나 외측 차륜의 주행면의 구성이 용이하게 되어, 실시하기 쉽게 된다.
또, 피반송물 지지대의 차륜을 주행방향의 대략 중앙위치에만 설치하고, 당해 피반송물 지지대의 피반송물 지지자세와 방향은, 상기 구동용 주행체와 그 가이드 레일로 규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평커브 경로부에서의 피반송물 지지대의 주행을 원활히 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는, 절첩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동용 주행체에 의해서 내측변이 지지된 내측 기부와, 당해 내측 기부에, 이 내측 기부의 상측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외측 가동부로 구성하고, 이 피반송물 지지대의 내측 기부와 외측 가동부의 각각에 마루측 주행면 위를 전동하는 차륜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피반송물 지지대를 절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피반송물을 지지반송할 때는, 내측 기부와 전개상태의 외측 가동부로 이루어지는 필요넓이를 구비한 피반송물 지지대를 이용해서 피반송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하고, 피반송물을 지지하고 있지 않은 빈 상태에서는, 외측 가동부를 내측 기부의 상측에 절첩하여, 구동용 주행체로부터 횡측방향으로 내뻗는 피반송물 지지대의 폭을 큰 폭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 피반송물 지지대의 외측 가동부가 절첩상태에 있어도, 피반송물 지지대(내측 기부)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지지되는 구동용 주행체와 차륜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하여 주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보디 등의 대형의 피반송물의 반송에 적합함에도 불구하고, 피반송물을 반송하지 않는 주행경로의 점유 마루면적을 큰 폭으로 축소하고, 마루면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피반송물 지지대를 절첩 가능하에 구성할 경우,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를, 내측 기부의 위에 절첩한 외측 가동부가 구동용 주행체의 상측에 덮혀지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피반송물 지지대를 절첩한 상태에서의 장치 전체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피반송물을 반송하지 않는 경로부분을, 높이가 낮은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절첩된 외측 가동부를 그 절첩상태에서 로킹하는 수단을 특히 병설하지 않아도, 절첩상태의 피반송물 지지대를 안전히 주행하게 할 수 있다.
또, 피반송물 지지대의 외측 가동부가 상기 구동용 주행체의 상방에 덮히는 상태로 절첩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절첩상태에서의 피반송물 지지대의 폭(내측 기부의 폭)을 충분히 좁혀서, 그 주행경로의 폭을 보다 한층 더 좁힐 수 있다.
상기 어느 절첩구성을 채용할 경우도, 피반송물 지지대의 내측 기부의 차륜은, 외측 가동부에 인접하는 외측변 근방에 배열 설치되고, 외측 가동부의 차륜은 내측 기부에 인접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외측 변 근방에 배열 설치되고, 피반송물 지지대의 외측 가동부를 내측 기부측으로 절첩한 상태에서는, 피반송물 지지대의 내측 기부는, 그 외측 변 근방의 차륜과 상기 구동용 주행체로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절첩구성의 피반송물 지지대에 있어서도,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의 내측 기부의 차륜과 외측 가동부의 차륜은, 각각 피반송물 지지대의 주행방향의 대략 중앙위치에 1개륜씩 배열 설치하고, 당해 피반송물 지지대의 주행방향의 방향과 수평자세는, 상기 구동용 주행체와 그 가이드 레일로 규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욱이, 이 절첩구성의 피반송물 지지대에 있어서도,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의 내측 변(내측 기부의 내측 변)에 정면형상이 도립 L자형상의 기립부분을 설치하고, 이 기립부분의 하측 공간에 상기 구동용 주행체 및 그 가이드 레일을 배열 설치하는 구성이나,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의 내측 변(내측 기부의 내측 변)에 구동용 주행체의 하측에 대략 수평으로 뻗어나가는 연출부를 설치하고, 이 연출부를 상기 구동용 주행체에 매어 다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피반송물 지지대를 절첩 가능하게 구성할 경우, 당해 피반송물 지지대의 주행경로는, 당해 지지대가 피반송물을 지지반송하는 왕행(往行)경로부와 당해 지지대가 빈 복행경로부를, 구동용 주행체의 가이드 레일이 왕복 양 경로부 사이에서 서로 인접하도록 병설하여 구성하고, 빈 복행경로부에서는,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의 외측 가동부가 내측 기부의 상측에 절첩되어 있도록 구성하면, 피반송물을 지지반송하는 왕행경로부와 당해 지지대가 빈 복행경로부가 병렬하는 레이아웃을, 폭이 좁은 벨트형상의 마루면을 이용해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첨부도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도 1∼도 3에 있어서, 1은 피반송물 지지대로서, 그 좌우 한쪽 변이 구동용 주행체(2)에 연결되어 있다. 3은 구동용 주행체(2)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다, 피반송물 지지대(1)는, 자동차보디 등의 피반송물(W)의 길이방향의 중앙부근을 지지하는 수평 프레임구조로서, 지지하는 피반송물(W)의 중심에 대하여 대략 좌우 대칭위치에, 마루측의 주행로면(7a, 7b) 위를 전동하는 차륜(8, 9)이 설치되어 있다. 주행로면(7a, 7b)은, 각각 H 형강(10, 11)의 상단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마루면 그 자체를 차륜(8, 9)의 주행로면(7a, 7b)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마루면 위에 부설된 벨트형상판에 의해 차륜(8, 9)의 주행로면(7a, 7b)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피반송물 지지대(1)를 초저상구조로 하기 위해, 피반송물 지지대(1)에는, 하측에 각각 차륜(8, 9)을 축지지하는 주행방향의 연결틀재(12, 13)를, 그 양단부가 피반송물 지지대(1)의 전후 양측 틀(1a, 1b)의 상면에 얹어놓이도록 가설하고, 차륜(8, 9)의 상반부가 피반송물 지지대(1)의 두께내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연결틀재(12, 13)의 양단부를 하방으로 굴곡시켜, 그 양단면을 전후 양측 틀(1a, 1b)의 내측면에 고착해도 좋다. 14는 피반송물 지지대(1) 위에 부설된 피반송물 지지용 지그이다.
피반송물 지지대(1)의 내측 변 쪽에는, 정면형상이 도립 L자형의 기립부분(15)이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이 기립부분(15)의 하측 공간에 상기 구동용 주행체(2) 및 그 가이드 레일(3)이 배열 설치되므로써,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1)의 피반송물 지지레벨, 즉, 피반송물 지지용 지그(14)의 상면보다도 상기 구동용 주행체(2)가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반송물 지지용 지그(14)의 상면이 상기 구동용 주행체(2)보다도 낮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용 주행체(2)는, 피반송물 지지대(1)에 의해 지지되어 주행방향 전후로 돌출하는 피반송물(W)의 전장보다 약간 긴것으로, 피반송물 지지대(1)의 내측 변의 기립부분(15)에 있어서의 전후 한쌍의 좌우 수평부재(15a, 15b)를 전후 양단 근방부에서 지지하는 중앙 로드바(16), 당해 중앙 로드바(16)의 전후 양단에 수직지지축(17)으로 수평요동 자유롭게 연결된 전후 접속 로드바(18, 19), 이들 각 전후 접속 로드바(18, 19)의 외단부에 수직지지축(20)으로 수평요동 자유롭게 연결된 짧은 전후 단말 로드바(21, 22), 중앙 로드바(16)와 전후 접속 로드바(18, 19)와의 연결부를 상기 수직지지축(17)을 통하여 지지하는 전후 한쌍의 중앙 트롤리(23, 24), 및 전후 단말 로드바(21, 22)를 지지하는 전후 양단 트롤리(25, 2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 로드바(16)와 전후 접속 로드바(18, 19)는 중앙 트롤리(23, 24)에 대하여 수직지지축(17)의 둘레에서 수평으로 상대요동 자유로운데, 전후 단말 로드바(21, 22)는, 전후 양단 트롤리(25, 26)에 대하여 주행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고착되어 있다.
각 트롤리(23∼26)는 동일구조의 것으로, 가이드 레일(3)을 구성하는 좌우 한쌍의 홈형 레일재(3a, 3b)에 각각 끼워맞추는 좌우 한쌍 전후 2조의 수평축 롤러(27)와, 좌우 한쌍의 홈형 레일재(3a, 3b)의 상변부 사이에 끼워맞추는 전후 한쌍의 수직축 롤러(28)를 구비하고 있다. 좌우 한쌍의 홈형 레일재(3a, 3b)는, 그 길이방향의 적당한 간격을 둔 위치에 설치된 U자형 브래킷(3c)에 의해 일체로 연결됨과 동시에, 마루면 위 일정 높이에 부설된다.
상기 구성의 구동용 주행체(2)는, 그 각 로드바(16, 18, 19, 21, 22)의 좌우 양측면에 의해 구성된, 전후 양단 사이에서 연속되는 구동용 마찰면(29)을 구비하고 있고, 가이드 레일(3)에 의해 구성된 당해 구동용 주행체(2)의 주행경로중(피반송물 지지대(1)의 주행경로중)의 적소에는, 당해 구동용 주행체((1)를 추진구동시키는 마찰구동수단(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마찰구동수단(30)은, 모터(31)로 구동되는 마찰구동륜(32)을 구비한 것으로, 당해 마찰구동륜(32)이 구동용 주행체(2)의 한쪽 편의 구동용 마찰면(29)에 압접되므로써, 구동용 주행체(2)가 가이드 레일(3)을 따라서 정속으로 추진된다. 또한,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찰구동륜(32)과의 사이에서 상기 로드바(16, 18, 19, 21, 22)를 끼워 넣는 백업 롤러(33)를 병설할 수도 있다.
가이드 레일(3)에 의해 구성된 주행경로는, 피반송물 지지대(1)(구동용 주행체(2))가 순환주행하도록 무단(無端:endless)상태로 형성되고, 당해 무단상태의 주행경로중에는 상기 구성의 구동용 주행체(2)가, 그 전후 양단의 단말 로드바(21, 22)끼리가 서로 밀려 맞추도록 구술(珠)연결상태로 배치되고, 이러한 상태로 마찰구동수단(30)의 마차구동륜(32)을 회전구동함으로써, 각 피반송물 지지대(1)(구동용 주행체(2))가 연결되어 순환주행하는 것으로 된다. 즉, 상기 마찰구동수단(30)으로 추진되는 구동용 주행체(2)(피반송물 지지대(1))보다 전방에 있는 각 구동용 주행체(2)(피반송물 지지대(1))는, 그 후단측의 단말 로드바(22)가 직후의 구동용 주행체(2)(피반송물 지지대(1))의 전단측의 단말 로드바(21)로 밀어 누르기 되므로써, 순차 밀어 누르기 구동된다.
따라서, 마찰구동륜(32)을 간헐적으로 회전구동함으로써, 각 피반송물 지지대(1)(구동용 주행체(2))를 간헐적으로 주행시킬 수 있으므로, 무단상태 주행경로를 직선상태의 왕행경로부와 직선상태의 복행경로부를 병설함과 동시에 양경로부의 양단을 원호형상의 U턴부에서 접속해서 구성하고, 왕행경로부의 시단부(또는 복행경로부의 종단부)에 피반송물 적화(積貨)스테이션을 설정함과 동시에 왕행경로부의종단부(또는 복행경로부의 시단부)에 피반송물 내리기 스테이션을 설정하고, 피반송물 적재 스테이션에서 정지된 피반송물 지지대(1)에 피반송물(W)을 적재하고, 피반송물 내리기 스테이션까지의 왕행경로중의 피반송물 지지대(1)의 간헐적 주행중에 적재 피반송물(W)에 대한 부품조립작업 등을 행하고, 피반송물 내리기 스테이션에서 정지된 피반송물 지지대(1)로부터 작업완료 피반송물(W)을 내리도록 사용할 수 있다.
피반송물(W)을 적재한 피반송물 지지대(1)는, 도 1(A) 및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가 대략 수평자세에 있고, 이 피반송물 지지대(1)에 작용하는 피반송물(W)의 하중은, 내외 양차륜(8, 9)을 통하여 주행로면(7a, 7b)에서 받아내게 된다. 이 때, 내측차륜(8)이 확실히 주행로면(7a)으로부터 부상하지 않도록, 구동용 주행체(2)의 각 트롤리(23∼26)의 수평축 롤러(27)와 가이드 레일(3)의 사이 등에는 상하방향의 적당한 여유가 확보되어 있다.
피반송물 지지대(1)에 설치되는 차륜(8, 9)은, 각각 전후 한쌍 설치되고, 피반송물 지지대(1)의 주위 4개소를 완전히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은데, 이 실시형태에서는, 피반송물 지지대(1)의 주행방향의 대략 중앙위치에서, 좌우방향으로 동심상태로 병렬하는 2개의 차륜(8, 9)이 설치되어 있어, 피반송물 지지대(1)가 당해 차륜(8, 9)의 축심을 중심으로 전후 길이방향에서 상하로 시소운동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그러나, 이 피반송물 지지대(1)의 시소운동은, 당해 피반송물 지지대(1)의 내측 변의 전후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전후 한쌍의 중앙 트롤리(23, 24)의 수평축 롤러(27)와 가이드 레일(3)의 끼워맞추기에 의해 저지되고, 피반송물 지지대(1)는 대략 수평자세로 유지된다. 더욱이, 피반송물 지지대(1)의 주행방향의 방향은, 상기 전후 한쌍의 중앙 트롤리(23, 24)의 수직축 롤러(28)와 가이드 레일(3)의 끼워맞춤에 의해 가이드 레일(3)과 평행한 방향으로 규제된다.
피반송물 지지대(1)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반송물 지지대(1)의 외측 변 근처 위치에만 차륜(9)을 설치하고, 이 피반송물 지지대(1)에 작용하는 피반송물(W)의 하중을 상기 차륜(9)과 구동용 주행체(2)로 분담하여 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피반송물 지지대(1)의 내측 변을 지지하는 구동용 주행체(2)의 중앙 트롤리(23, 24)의 수평축 롤러(27)를 통하여 피반송물(W)의 하중의 일부가 가이드 레일(3)로 받아내게 된다. 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반송물 지지대(1)의 좌우방향의 중앙부근과 외측 변 부근에 차륜(8, 9)을 설치함과 동시에, 중앙측 차륜(8)은 항상 주행로면(7a)에 맞닿도록 구성하고, 피반송물 지지대(1)에 작용하는 피반송물(W)의 하중을, 구동용 주행체(2)와 외측 쪽 차륜(9)중의 어느 한쪽과, 중앙측 차륜(8)으로 분담하여 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피반송물 지지대(1)가 중앙측 차륜(8)을 중심으로 좌우 폭방향에서 상하로 시소운동할 수 있는 상태로 하고, 이 시소운동을 구동용 주행체(2)와 외측 쪽 차륜(9)의 어느 한쪽에서 저지하여, 피반송물 지지대(1)가 대략 수평의 피반송물 지지자세로 유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동용 주행체의 구조는, 상기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6∼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34)에 매어 달려서 주행하는 매달기식 구동용 주행체(35)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 피반송물 지지대(1)에 상기 가이드 레일(34)(구동용 주행체(35))의 하측에 수평으로 뻗어나가는 연출부(36)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용 주행체(35)는, 상기 연출부(36)를 통하여 피반송물 지지대(1)의 내측 변을 매달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구동용 주행체(35)가 피반송물 지지대(1)의 피반송물 지지레벨, 즉, 피반송물 지지용 지그(14)의 상면 레벨보다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구동용 주행체(35)의 하단 레벨보다 피반송물 지지대(1)의 피반송물 지지레벨(피반송물 지지용 지구(14)의 상면)이 약간 높게 되어 있는데, 앞의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동용 주행체(35)의 하단 레벨보다도 피반송물 지지대(1)의 피반송물 지지레벨이 낮게 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렇게 해서, 상기 구동용 주행체(35)는, 피반송물 지지대(1)에 지지되어 주행방향 전후에 돌출하는 피반송물(W)의 전장보다 약간 긴 것으로, 중앙 로드바(37), 당해 중앙 로드바(37)의 전후에 수직지지축(38)으로 수평요동 자유롭게 연결된 전후 접속 로드바(39, 40), 이들 각 전후 접속 로드바(39, 40)의 외단부에 수직지지축(41)으로 수평요동 자유롭게 연결된 짧은 전후 단말 로드바(42, 43), 중앙 로드바(37)와 전후 접속 로드바(39, 40)의 연결부를 상기 수직지지축(38)을 통하여 매다는 전후 한쌍의 중앙 트롤리(44, 45), 및 전후 단말 로드바(43, 44)를 지지하는 전후 양단 트롤리(46, 47)로 구성되고, 중앙 로드바(37)의 전후 양단부가 상기 수직지지축(38)을 통하여 피반송물 지지대(1)의 연출부(36)의 전후 양단을 매달고 있다. 또한, 중앙 로드바(37)와, 전후 접속 로드바(39, 40)는, 중앙 트롤리(44, 45)에 대하여 수직지지축(38)의 둘레에서 수평으로 상대요동 자유로운데, 전후 단말 로드바(42, 43)는, 전후 양단 트롤리(46, 47)에 대하여 주행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고착되어 있다.
전후 한쌍의 중앙 트롤리(44, 45)는 동일구조의 것으로, H형강을 횡방향으로 한 가이드 레일(34)의 좌우 한쌍의 하측 립부(lip部) 위를 전동하는 좌우 한쌍 전후 2조의 수평축 롤러(48)와, 가이드 레일(34)의 중앙 수직벽부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좌우 한쌍 전후 2조의 수직축 롤러(49)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전후 양단 트롤리(46, 47)는 동일 구조의 것으로, 가이드 레일(34)의 좌우 한쌍의 하측 립부 위를 전동하는 좌우 한쌍의 수평축 롤러(50)와, 이 수평축 롤러(50)의 전후 양측에서 가이드 레일(34)의 하측면에 맞닿는 전후 한쌍의 수평축 백업롤러(51)와, 가이드 레일(34)의 중앙 수직벽부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좌우 한쌍 전후 2조의 수직축 롤러(5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구동용 주행체(35)는, 그 각 로드바(37, 39. 40. 42, 43)의 좌우 양측면에 의해 구성된, 전후 양단 사이에서 연속하는 구동용 마찰면(53)을 구비하고 있고, 가이드 레일(34)에 의해 구성된 당해 구동용 주행체(35)의 주행경로중(피반송물 지지대(1)의 주행경로중)의 적소에는, 당해 구동용 주행체(35)를 추진구동시키는 마찰구동수단(54)이 설치되어 있다. 이 마찰구동수단(54)은, 모터(55)로 구동되는 마찰구동륜(56)과, 당해 마찰구동륜(56) 사이에서 상기 로드바(37, 39, 40, 42, 43)를 끼워넣는 백업 롤러(57)를 구비한 것으로, 당해 마찰구동륜(56)이 구동용 주행체(35)의 한쪽 편의 구동용 마찰면(53)에 압접되므로써, 구동용 주행체(35)가 가이드 레일(34)을 따라서 정속으로 추진된다. 그리고, 이 마찰구동수단(54)으로 추진되는 구동용 주행체(35)(피반송물 지지대(1))로부터 전방에 있는 각 구동용 주행체(35)(피반송물 지지대(1))는, 그 후단측의 단말 로드바(43)가 직후의 구동용 주행체(2)(피반송물 지지대(1))의 전단측의 단말 로드바(42)로 밀어 누르게 됨으로써, 순차로 밀어 누르기 구동된다.
이상에 설명한 각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반송장치에 있어서의 피반송물 지지대(1)는,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용 주행체(2)에 연결되는 내측 기부(4)와, 당해 내측 기부(4)에, 이 내측기구(4)의 상측에 절첩 가능하게 힌지(6)로 연결된 외측 가동부(5)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반송물 지지대(1)를 절첩 가능하게 구성할 때는, 피반송물(W)을 지지하고 있지 않는 빈 피반송물 지지대(1)가 주행하는 복귀 주행경로에 있어서, 피반송물 지지대(1)를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첩하여, 그 주행경로폭을 큰 폭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절첩된 외측 가동부(5)는, 도시와 같이, 피반송물 지지용 지그(14) 등의 피반송물 지지대 구성부재끼리의 맞닿음으로 절첩자세로 유지되도록 구성해도 좋고, 절첩된 외측 가동부(5)를 지지하는 전용의 지지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도 9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피반송물 지지대(1)는, 외측 가동부(5)를 구동용 주행체(2)로부터 외측에서 내측 기부(4)의 위에 겹쳐 맞추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데,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기부(4)와 외측 가동부(5) 사이의 힌지(6)의 위치를 구동용 주행체(2)측으로 근접시켜서 외측 가동부(5)의 폭을 넓히고, 따라서 피반송물 지지대(1)를, 외측 가동부(5)가 구동용 주행체(2)의 상방(따라서, 내측 기부(4)의 기립부분(15)의 상방)에 덮히는 상태로 절첩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는, 절첩된 외측 가동부(5)는 내측 기부(4)의 예를 들면 기립부분(15)에서 단지 받아내기만 해도 좋은데, 안전성을 높이려면, 그 받아내기 상태에서 외측 가동부(5)를 걸음하여 로킹하는 걸음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피반송물 지지대(1)를 절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도,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구동용 주행체(35), 즉, 가이드 레일(34)에 매달려서 주행하는 매달기식의 구동용 주행체(35)와 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피반송물 지지대(1)의 내측 기부(4)에, 상기 가이드 레일(34)(구동용 주행체(35))의 하측에 수평으로 뻗어나가는 연출부(36)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용 주행체(35)는, 상기 연출부(36)를 통하여 피반송물 지지대(1)의 내측 변을 매어 다는 것으로 된다.
또, 상기와 같이 피반송물 지지대(1)를 절첩 가능하게 구성할 때는, 절첩상태의 피반송물 지지대(1)의 전체를 구동용 주행체(2)로 캔틸레버상태로 지지시키는 것도 고려되는데, 도시와 같이, 내측 기부(4)의 외측 가동부(5)를 지지하는 외측 변 부근에 차륜(8)을 설치하고, 이 차륜(8)과 구동용 주행체(2, 35)로 절첩상태의 피반송물 지지대(1)를 지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외측 가동부(5)를 전개하여 피반송물(W)을 지지시켰을 때, 외측 가동부(5)의 외측 변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차륜(9)이 주행로면(7b) 위에 접지하는 것으로 되는데, 이 때 내측 기부(4)의 차륜(8)이 주행로면(7a)으로부터 약간 부상하여, 피반송물(W)의 하중을 외측의 차륜(9)과 구동용 주행체(2)로 받아내게 하도록 해도 좋고, 피반송물 지지대(1)의 내외 양 차륜(8, 9)으로 피반송물(W)의 하중을 받아내게 하고, 구동용 주행체(2, 35)에는 피반송물(W)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피반송물 지지대(1)를 절첩 가능하게 구성할 때는, 당해 피반송물 지지대(1)의 무단상태 주행경로는,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해 지지대(1)가 피반송물(W)을 지지반송하는 왕행경로부(58)와 , 당해 지지대(1)가 빈 복행경로부(59)가, 구동용 주행체(2, 35)의 가이드 레일(3, 34)이 왕복 양 경로부(58, 59) 사이에서 서로 인접하도록 병설하여 구성되고, 복행경로부(59)에서는,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1)의 외축 가동부(5)가 내측 기부(4)의 상측에 절첩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경우, 도시와 같이, 마루면 위 적당한 높이에 있어서 건물의 기둥(60)에 내단부가 지지됨과 동시에 외단측이 매달기재(61)로 상측 통로용 슬러브(62)에 매달린 반송장치 지지프레임(63) 위에, 왕행경로부(58)가 기둥(60)측에 위치하고 또한 왕복 양 경로부(58, 59) 사이에 상기 매달기재(61)가 위치하도록, 왕행 경로부(58)와 복행 경로부(59)를 병설함으로써, 상기 반송장치 지지프레임(63)중, 복행경로부(59)를 지지하기 위하여 매달기재(61)로부터 외측에 캔틸레버상태로 내뻗기부분(63a)의 내뻗는 양이 큰 폭으로 작게 되고, 당해 반송장치 지지프레임(63)의 내뻗기부분(63a)의 외단과 상측 통로용 슬러브(62)를 연결하는 경사 지지재(64)도 가늘은 것으로 해결됨과 동시에, 그 개수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피반송물 지지대의 외측 가동부의 절첩조작이나 전개조작은, 당해 피반송물 지지대가 그 외측 가동부의 절첩이나 전개를 행하는 작업위치에서 정지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행할 수 있는데, 상기 작업위치에 외측 가동부의 절첩이나 전개조작을 기계적으로 행하는 절첩 또는 전개수단을 배열 설치해 놓고, 당해 작업위치에 피반송물 지지대가 정지했을 때에 상기 절첩 또는 전개수단을 자동 또는 수작업으로 기동시켜서, 외측 가동부의 절첩이나 전개조작을 기계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더욱, 피반송물 지지대측에 상기 절첩 또는 전개수단을 탑재해 놓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로드바(16, 18, 19, 21, 22)로 구성되는 구동용 주행체(2) 또는 로드바(37, 39, 40, 42. 43)로 구성되는 구동용 주행체(35)의 전장, 즉, 구동용 마찰면(29, 53)의 전장을 피반송물(W)의 전장보다 길게 하여, 마찰구동수단(30, 54)으로 직접 추진되는 구동용 주행체(2, 35)에 의해, 마찰구동수단(30, 54)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전방의 구동용 주행체(2, 35)를 상기 로드바로 밀어 누르기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마찰구동수단(30, 54)의 간격을 구동용 주행체(2, 35)(구동용 마찰면(29, 53))의 전장 정도나 또는 작게 하여, 마찰구동 경로중의 모든 구동용 주행체(2, 35)를 마찰구동수단(30, 54)으로 추진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동용 주행체(2, 35)(구동용 마찰면(29, 53))의 전장을 피반송물(W)의 전장보다 짧게 하면서 전후의 피반송물(W)끼리가 서로 간섭하지 않는 상태로 각 구동용 주행체(2, 35)를 각각 단독으로 주행시킬 수 있다.
피반송물 지지대를 절첩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피반송물을 지지반송할 때는, 내측 기부와 전개상태의 외측 가동부로 이루어지는 필요넓이를 구비한 피반송물 지지대를 이용해서 피반송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하고, 피반송물을 지지하고 있지 않은 빈 상태에서는, 외측 가동부를 내측 기부의 상측에 절첩하여, 구동용 주행체로부터 횡측방향으로 내뻗는 피반송물 지지대의 폭을 큰 폭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 피반송물 지지대의 외측 가동부가 절첩상태에 있어도, 피반송물 지지대(내측 기부)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지지되는 구동용 주행체와 차륜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하여 주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보디 등의 대형의 피반송물의 반송에 적합함에도 불구하고, 피반송물을 반송하지 않는 주행경로의 점유 마루면적을 큰 폭으로 축소하고, 마루면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A)는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일부 종단정면도이고, 도 1(B)는 그 주요부의 확대도,
도 2는 도 1(A)의 평면도,
도 3(A)는 도 1(A)의 측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 4는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일부 종단정면도,
도 5는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일부 종단정면도,
도 6은 제 4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일부 종단정면도,
도 7(A)는 도 6의 측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 8은 도 6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9(A)는 제 5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일부 종단정면도이고, 도 9(B)는 그 피반송물 지지대를 절첩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종단정면도,
도 10은 제 6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일부 종단정면도,
도 11은 제 7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일부 종단정면도, 및
도 12는 절첩 가능한 피반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반송장치 전체의 설치상태의 일예를 도시하는 종단정면도.

Claims (16)

  1. 차륜을 구비한 피반송물 지지대의 주행경로의 좌우 한쪽 변을 따라서 가이드 레일이 배열 설치되고, 당해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주행하는 구동용 주행체와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의 좌우 한쪽 변이, 당해 피반송물 지지대의 피반송물 지지레벨보다도 상기 구동용 주행체가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구동용 주행체에는 마찰구동면이 설치되고, 상기 주행경로중에는, 상기 마찰구동면에 압접되는 마찰구동륜이 배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는, 그 좌우 한쪽 변에 외측으로 내뻗는 정면형상이 도립 L자형의 기립부분을 구비하고, 그 기립부분의 하측 공간에 상기 구동용 주행체 및 그 가이드 레일이 배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는, 상기 구동용 주행체의 하측에 대략 수평으로 뻗어나가는 연출부를 구비하고, 이 연출부가 상기 구동용 주행체에 매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용 주행체에는,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 위에 지지되는 피반송물의 전장보다 긴 밀어 누르기 로드바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어 누르기 구동용 로드바의 측면이 상기 마찰구동면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에는, 상기 구동용 주행체에 피반송물의 하중을 작용하지 않게 하기 위한, 적어도 좌우 쌍을 이루는 차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에는, 상기 구동용 주행체로 피반송물의 하중을 분담하는 차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에는, 그 좌우 폭방향의 중앙부근과 구동용 주행체가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외측 변 부근에 차륜이 설치되고, 피반송물의 하중을, 외측 차륜과 구동용 주행체중의 어느 한쪽과, 상기 중앙측 차륜으로 받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의 차륜이 주행방향의 대략 중앙위치에만 설치되고, 당해 피반송물 지지대의 피반송물 지지자세와 방향이 상기 구동용 주행체와 그 가이드 레일로 규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는, 구동용 주행체에 내측 변이 지지된 내측 기부와, 당해 내측 기부에, 이 내측 기부의 상측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 외측 가동부로 구성되고, 이 피반송물 지지대의 내측 기부와 외측 가동부의 각각에 마루측 주행면 위를 전동하는 차륜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는, 구동용 주행체로부터 외측에서, 외측 가동부가 내측 기부의 위에 겹쳐 맞추기 가능하게 구성되고, 내측 기부의 차륜은, 외측 가동부에 인접하는 외측 변 근방에 배열 설치되고, 외측 가동부의 차륜은, 내측 기부에 인접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외측 변 근방에 배열 설치되고, 피반송물 지지대의 외측 가동부를 내측 기부의 위에 절첩한 상태에서는, 피반송물 지지대의 내측 기부는, 그 외측 변 근방의 차륜과 상기 구동용 주행체로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는, 그 외측 가동부가 상기 구동용 주행체의 상방에 덮이는 상태로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고, 내측 기부의 차륜은, 외측 가동부에 인접하는 외측 변 근방에 배열 설치되고, 외측 가동부의 차륜은, 내측 기부에 인접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외측 변 근방에 배열 설치되고, 피반송물 지지대의 외측 가동부를 내측 기부의 위에 절첩한 상태에서는, 피반송물 지지대의 내측 기부는, 그 외측 변 근방의 차륜과 상기 구동용 주행체로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장치.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의 내측 기부의 차륜과 외측 가동부의 차륜은, 각각 피반송물 지지대의 주행방향의 대략 중앙위치에 1개륜씩 배열 설치되고, 당해 피반송물 지지대의 피반송물 지지자세와 방향이, 상기 구동용 주행체와 그 가이드 레일로 규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장치.
  14. 제 10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의 내측 기부는, 상기 외측 가동부가 있는 측과는 반대측에서 정면형상이 도립 L자형의 기립부분을 구비하고, 이 기립부분의 하측 공간에 상기 구동용 주행체 및 그 가이드 레일이 배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장치.
  15. 제 10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의 내측 기부는, 상기 구동용 주행체의 하측에 대략 수평으로 뻗어 나가는 연출부를 구비하고, 이 연출부가 상기 구동용 주행체에 매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장치.
  16. 제 10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의 주행경로는, 당해 지지대가 피반송물을 지지반송하는 왕행경로부와 당해 지지대가 빈 복행경로부가, 구동용 주행체의 가이드 레일이 왕복 양 경로부 사이에서 서로 인접하도록 병설된 것으로서, 복행경로부에서는, 상기 피반송물 지지대의 외측 가동부가 내측 기부의 상측에 절첩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식 반송장치.
KR10-2002-0081037A 2001-12-26 2002-12-18 대차식 반송장치 KR100483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93291 2001-12-26
JP2001393292A JP2003191840A (ja) 2001-12-26 2001-12-26 台車式搬送装置
JPJP-P-2001-00393292 2001-12-26
JP2001393291A JP3906906B2 (ja) 2001-12-26 2001-12-26 台車式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115A KR20030055115A (ko) 2003-07-02
KR100483479B1 true KR100483479B1 (ko) 2005-04-15

Family

ID=26625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037A KR100483479B1 (ko) 2001-12-26 2002-12-18 대차식 반송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749055B2 (ko)
KR (1) KR100483479B1 (ko)
CN (1) CN1269676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603B1 (ko) 2008-07-18 2010-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탈착식 프릭션 대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114662U1 (de) * 2001-09-05 2003-01-23 Cooper Power Tools Gmbh & Co Schraubsystem
DE20201964U1 (de) * 2002-02-08 2003-06-12 Cooper Power Tools Gmbh & Co Transportsystem
FR2866019B1 (fr) * 2004-02-05 2007-06-0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pour le transport et le positionnement d'un ensemble de carrosserie de vehicule automobile
JP4849227B2 (ja) * 2006-07-31 2012-01-11 株式会社ダイフク 荷位置ずれ自動矯正装置
JP4314497B2 (ja) * 2007-01-22 2009-08-19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用走行体の上下経路切換装置
JP5057039B2 (ja) * 2007-03-27 2012-10-24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設備
CN102020100B (zh) * 2010-12-13 2012-07-25 长沙伍扬工业设备科技有限公司 用于装配线的双小车转角衔接输送机构
JP5827069B2 (ja) * 2011-08-11 2015-12-02 平田機工株式会社 搬送装置
US8584594B2 (en) 2012-02-03 2013-11-19 Jervis B. Webb Company Friction drive conveyor assembly
JP5900748B2 (ja) * 2013-03-28 2016-04-06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US8978874B2 (en) * 2013-06-07 2015-03-17 Daifuku Co., Ltd. Friction drive carriage-type conveying apparatus
MY177010A (en) * 2013-07-10 2020-09-01 Honda Motor Co Ltd Transport device
JP6171886B2 (ja) * 2013-11-20 2017-08-02 富士通株式会社 搬送装置
DE102014012211A1 (de) * 2014-08-16 2016-02-18 Eisenmann Ag Fördervorrichtung für Transportstrukturen
CN104944097A (zh) * 2015-06-26 2015-09-30 浙江特拉建材有限公司 一种用于输送砖块的输送装置
JP6749754B2 (ja) * 2015-11-02 2020-09-02 株式会社東安 コンベア装置
JP6644819B2 (ja) * 2018-02-09 2020-02-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搬送作業設備
CN108217114B (zh) * 2018-02-27 2023-12-08 河北超靓工贸有限公司 一种板材装卸用载板车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1229A (en) * 1978-12-06 1982-05-25 Kamm Lawrence J Manufacturing machine
US4671186A (en) * 1985-06-04 1987-06-09 Kunczynski Jan K Positive drive assembly for automatic, rail-based transportation system
EP0361265A1 (de) 1988-09-29 1990-04-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Herstellung von dünnen Schichten eines Hochtemperatur-Supraleiters (HTSL) durch ein plasmaaktiviertes PVD-Verfahren
JP2862546B2 (ja) 1988-11-21 1999-03-03 神鋼パンテック株式会社 超純水製造供給装置用機器配管材料
JPH02212261A (ja) 1989-02-09 1990-08-23 Kanto Auto Works Ltd 可動体搬送装置
JPH03239664A (ja) 1990-02-15 1991-10-25 Daifuku Co Ltd 可動体搬送装置
JP2913878B2 (ja) 1991-04-05 1999-06-28 株式会社ダイフク 可動体搬送設備
US5299680A (en) * 1992-12-04 1994-04-05 Rhodes Arthur B Conveyor system with transverse pusher to transfer load carrying units between separate conveying paths
JP3116930B2 (ja) 1998-12-09 2000-12-11 株式会社ダイフク 移動体使用の搬送設備
JP3719078B2 (ja) * 2000-01-17 2005-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無端コンベヤ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603B1 (ko) 2008-07-18 2010-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탈착식 프릭션 대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115A (ko) 2003-07-02
CN1428261A (zh) 2003-07-09
US6749055B2 (en) 2004-06-15
US20030116407A1 (en) 2003-06-26
CN1269676C (zh) 200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3479B1 (ko) 대차식 반송장치
KR100530180B1 (ko) 반송장치
KR20020021357A (ko) 이송 설비
MX2012009684A (es) Dispositivo de transporte de piezas de trabajo.
JP5698116B2 (ja) 搬送装置
JP4419302B2 (ja) 搬送設備
JP2000079878A (ja) キャリア式搬送装置
JPH06211129A (ja) 案内線路に沿って案内される床面走行形搬送車両を有する搬送装置
JP3906906B2 (ja) 台車式搬送装置
JP4265266B2 (ja) 有軌道搬送装置
JP4985381B2 (ja) 搬送装置
JP2003191840A (ja) 台車式搬送装置
JP3978975B2 (ja) 移動体使用の搬送設備
JP4240742B2 (ja) 懸垂式昇降搬送装置
JPH07165068A (ja) 台車使用の搬送設備
JP2001260870A (ja) 移動体使用の搬送設備
JP3647829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H0114538Y2 (ko)
JP2682526B2 (ja) 昇降搬送装置
JPH03178859A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ベアにおける被搬送物の姿勢制御装置
JP2646930B2 (ja) 吊下搬送装置
JP2006111027A (ja) 昇降機能付き搬送台車
JPH0730565Y2 (ja) スラットコンベヤ
JP3567716B2 (ja) バケット利用の搬送装置
JP2767156B2 (ja) 移動体使用の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