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555B1 -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 Google Patents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555B1
KR100475555B1 KR10-2001-7012220A KR20017012220A KR100475555B1 KR 100475555 B1 KR100475555 B1 KR 100475555B1 KR 20017012220 A KR20017012220 A KR 20017012220A KR 100475555 B1 KR100475555 B1 KR 100475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otor
disc
adjustin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1281A (ko
Inventor
미사다야스하루
Original Assignee
고요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요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요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11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5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61/664Friction gearings
    • F16H61/6649Friction gearing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trolling the torque transmitting capability of the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5/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friction between rotary members
    • F16H15/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friction between rotary members without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5/04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 F16H15/06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in which a member A of uniform effective diameter mounted on a shaft may co-operate with different parts of a member B
    • F16H15/32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in which a member A of uniform effective diameter mounted on a shaft may co-operate with different parts of a member B in which the member B has a curved friction surface formed as a surface of a body of revolution generated by a curve which is neither a circular arc centered on its axis of revolution nor a straight line
    • F16H15/36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in which a member A of uniform effective diameter mounted on a shaft may co-operate with different parts of a member B in which the member B has a curved friction surface formed as a surface of a body of revolution generated by a curve which is neither a circular arc centered on its axis of revolution nor a straight line with concave friction surface, e.g. a hollow toroid surface
    • F16H15/38Gearings providing a continuous range of gear ratios in which a member A of uniform effective diameter mounted on a shaft may co-operate with different parts of a member B in which the member B has a curved friction surface formed as a surface of a body of revolution generated by a curve which is neither a circular arc centered on its axis of revolution nor a straight line with concave friction surface, e.g. a hollow toroid surface with two members B having hollow toroid surfaces opposite to each other, the member or members A being adjustably mounted between th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61/664Friction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iction Gear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원환상형 무단변속기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원판과 이들 원판간에 형성되는 원환상형간극에 개재하는 회전자를 구비한다.
회전자를 거쳐서 한쌍의 원판간에 토오크가 전달된다.
회전자의 속도를 검출함으로써, 예를 들면 회전자가 원판에 대하여 어느 정도 슬립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회전자가 고온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회전자와 원판간에서 최적의 견인력이 얻어진다.

Description

원환상형 무단변속기{TOROIDAL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입력원판과 출력원판의 사이에 형성되는 환상 간극에 회전자를 배치하고, 회전자를 거쳐서 양 원판간에 토오크를 전달하는 원환상형(toroidal type)무단변속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원환상형 무단변속기에서는 일본국 특개평 6-502476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가변의 복수군의 회전자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용 및 출력용의 동축원판의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일부와 환상의 대응하는 궤도면간에 견인력(traction force)을 전달한다.
입력원판 및 출력원판은 동력원에 연결되는 입력축을 삽입관통시키는 중심구멍을 갖고 있고, 입력원판이 입력축에 일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시에, 출력원판이 입력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입력원판으로부터 출력원판으로 전달되는 회전속도는 회전자의 위치가 변경되면 변화한다.
즉, 회전자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경위치에서 입력원판과 접촉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낮은 반경위치에서 출력원판과 접촉하는 경우, 출력원판은 입력원판보다 빨리 회전하고, 바리에이터는 고 기어비로 설정된다.
한편, 회전자가 상대적으로 낮은 반경위치에서 입력원판과 접촉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높은 반경위치에서 출력원판과 접촉하는 경우, 출력원판은 입력원판보다 느리게 회전하여 바리에이터는 저 기어비로 설정된다.
통상, 회전자는 그 지지축에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는 캐리지(carriage)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원환곡면(torus)의 중심원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캐리지의 축선이 소정의 캐스터(caster)각을 갖고, 경사지도록 되어 있다.
또 입력원판과 출력원판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는 한편, 회전자도 이것을 지지하는 캐리지를 거쳐서 유압실린더에 의해 원판의 궤도면에 압축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압실린더가 발생시키는 유압을 제어함으로써 회전자가 받는 토오크 전달력에 균형되는 힘을 캐리지를 거쳐서 회전자에 부여한다.
이것에 의해 입력원판의 토오크에 대한 출력원판의 토오크가 균형이 잡히도록 롤러각도가 변화하고, 적절한 토오크비로 유지한다.
실제로는 각종의 필수매개변수(예를 들면, 조작자의 요구, 엔진부하, 엔진속도 및 최종출력속도 등)의 각종의 조합에 대하여 롤러가 받는 고유의 토오크부하가 있기 때문에, 제어시스템은 모두의 필수매개변수를 표시하는 입력을 받아 들여 입력원판과 출력원판의 토오크비를 적절히 유지할때 롤러가 받는 토오크반력이 합치되는 적절한 유압을 유압실린더내에서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회전자의 외부원주의 전동면에는 윤활유를 직접 분사해서 윤활유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회전자의 궤도면에 대한 전동이 윤활된다.
그런데, 종래에 회전자의 속도를 검출하지 않고 있고, 이 때문에 회전자가 이상한 거동을 나타낼 우려가 있고, 이것에 대처할 수 없었다.
그것은 입력원판과 출력원판의 회전속도를 검출함으로써 변속비는 검출되어도 회전자가 원판에 대하여 어느 정도 슬립(slip)하고 있는지의 검출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회전자의 슬립율이 큰 상태로 운전을 계속하고 있으면, 마찰열에의해 회전자가 고온화함과 동시에 궤도면의 윤활유가 증발하여 궤도면의 박리등의 이상이 생기게 된다.
또, 회전자와 원판의 접촉면간의 기름이 고온화하기 때문에 견인력이 감소하고, 변속기의 전달효율이 저하한다.
또, 차량에 탑재되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에 대해서는 될 수 있는 한 소형, 경량화하고 싶다는 요청이 있고, 그 때문에 각 원판이나 각 롤러도 소형으로 하지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건에서 소요의 토오크를 전달하려고 하면, 원판과 회전자의 접촉압력이 높아진다.
특히, 소형화에 의해 회전자의 표면적이 감소되면, 방열이 나빠지기 때문에 회전자의 온도가 상승해서 윤활유의 열화를 촉진하고, 그 결과 궤도면에 박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자의 고온화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변속기의 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소형,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의 원환상형 무단변속기의 일부 단면개략도.
도 2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의 주요부의 일부 단면개략사시도.
도 3은 롤러의 측면도.
도 4는 롤러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5는 속도센서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회전자와 그 주변의 개략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회전자 및 속도센서의 개략도이며, 회전자에 설치되는 기복부의 변경예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의 원환상형 무단변속기의 전기적 구성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도 7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의 원환상형 무단변속기의 전기적구성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도 9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어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1a, 도11b, 도 11c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의 전기적 구성의 주요부의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리에이터 2. 동력원
3. 입력축 4. 스플라인
5,6. 입력원판 7. 키
8. 유압동력원 9. 유압실린더
10. 출력원판 11. 베어링
12. 궤도면 13. 기어날
14. 기어 15. 궤도면
16. 출력축 17. 롤러
18. 캐리지 19. 중심
20. 중심원 21. 유압회로
22. 유압실린더 23,24. 측면판
25. 연결부 26. 전동베어링
27. 지지축 28. 피스톤로드
29. 연결축 30. 회전축선
31. 관통구멍 32. 속도센서
33. 제어부 34. 통지부
36. 발광부 37. 수광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원판과, 이들 원판간에 형성되는 원환상형 간극에 배치되고, 한쌍의 원판간에 토오크를 전달하는 회전자와, 회전자의 속도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형태에서는 실제의 회전자의 속도를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상한 거동의 발생을 방지해서 회전자가 고온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원환상형 무단변속기의 소형, 경량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원판의 속도를 검출하는 수단과, 회전자의 속도를 검출하는 수단 및 원판의 속도를 검출하는 수단의 검출결과에 기초해서, 신호를 출력시키는 신호출력수단을 다시또 구비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회전자의 고온화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원판에 대한 회전자의 슬립이다.
또, 회전자와 원판의 접촉부의 견인에도 슬립이 영향을 준다.
본 형태에서는 회전자의 슬립에 관련하는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회전자의 고온화를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슬립에 관련하는 정보를 이용해서 회전자와 원판의 접촉부의 견인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변속기의 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자의 측면에 다수의 기복부(起伏部)를 설치해 두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복부에 의해 회전자의 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회전자의 방열을 양호하게 해서 회전자가 고온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원판이나 회전자를 소형화해도 윤활유열화에 기인하는 궤도면의 박리가 생길 우려가 없고, 이것에 의해 무단변속기의 소형, 경량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기복부는 볼록부, 오목부, 및 관통구멍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특히, 상기 기복부는 회전자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나란히 해서 등간극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의 원환상형 무단변속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무단변속기(A)의 바리에이터(1)는 차량의 동력원(2)에의해 구동되는 입력축(3)을 구비하고있고, 입력축(3)의 일단에는 동력원(2)에 연결하기위한 스플라인(4)이 형성되어 있다.
입력축(3)은 그 양단근방에 각각 입력원판(5),(6)을 지지하고 있다.
이들 입력원판(5),(6)은 키(7)를 사용해서 입력축(3)에 결합되고, 이것에 의해 입력원판(5),(6)의 입력축(3)에 대한 회전이 저지되고 있다.
키결합이기 때문에 입력축(3)과 입력원판(5),(6)간에는 한정된 범위에서의 상대적 축방향이동이 허용되어 있다.
이것은 적당한 유압동력원(8)과 연결한 유압실린더(9)에 의해 입력원판(6)을 다른쪽의 입력원판(5)측으로 가세함으로써 바리에이터(1)에 소요의 「단말부하」를 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키결합 대신에 스플라인결합을 사용해도 된다.
입력축(3)의 축방향 중앙부에는 바리에이터(1)의 출력부를 구성하는 환상의 출력원판(10)이 전동베어링(11)을 거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출력원판(10)의 양측면에는 일부 환상의 궤도면(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출력원판(10)의 외부원주면에는 기어날(13)이 형성되고, 이 기어날(13)에 맞물리는 기어날을 갖는 기어(14)를 일체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출력축(16)이 입력축(3)과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기어날(13) 및 기어(14)에 의해 출력원판(10)으로부터 출력축(16)에 토오크를 전달하기 위한 톱니바퀴전동기구(B)가 구성되어 있다.
출력축(16)의 회전은 차량의 구동륜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출력원판(10)의 각 궤도면(12)에 대응하는 입력원판(5),(6)과의 사이는 일부 환상간극(S)이 형성되어 있고, 입력원판(5),(6)상의 일부 환상의 궤도면(15)과 출력원판(10)상의 일부 환상의 궤도면(12)과의 사이에서 복수군의 회전자로서의 롤러(17)를 거쳐서 견인력을 전달한다.
롤러(17)는 캐리지(18)에 의해 회전축선(K)의 주위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입력원판(5)과 출력원판(10)과의 사이에는 몇조인가의 롤러/캐리지가 개재되어 있으나, 도 1에서는 1조만을 도시하고 있다.
실제로는 1조의 원판의 사이에 3개 1조의 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며, 이 3개의 롤러는 입력축(3)의 중심축선(C)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의 등간극에 배치된다.
6개의 롤러의 위치는 모두 공통의 유압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운전중에는 항상 동등한 변속비를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각 롤러(17)의 중심(19)은 궤도면(12),(15)의 공통 원환곡면의 상상(想像)상의 중심원(20)상에 있도록 설정되어 있으나, 작동상은 이 원에 따라 전후로 한정된 범위에서 이동할 수 있다.
유압회로(21)는 유압실린더(22)를 포함하고, 캐리지(18)를 거쳐서 롤러(17)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면, 캐리지(18)는 롤러(17)의 한쌍의 측면(17a)에 각각 소정의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한쌍의 측면판(23),(24)과, 롤러(17)의 원주면의 일부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대향하여 양 측면판(23),(24)의 기초단말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25)를 갖는 단면 “그”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각 측면판(23),(24)의 선단부에는 각각 전동베어링(26)을 거쳐서 롤러(17)의 지지축(27)의 대응하는 단말부가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캐리지(18)의 연결부(25)는 유압실린더(22)의 피스톤로드(28)의 선단에 연결축(29)을 거쳐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롤러(17)의 측면(17a)에는 회전축선(30)에 평행인 방향으로 롤러(17)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멍(31)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관통구멍(31)은 롤러(17)의 회전축선(30)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등간극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캐리지(18)의 한쪽의 측면판(24)에는 관통구멍(31)에 임하는 위치에 전자식의 속도센서(32)가 유지되어 있고, 이 속도센서(32)는 롤러(17)의 회전에 수반하는 자속변화에 수반해서 신호(D1)를 출력시키고, 이것을 받은 신호출력수단으로서의 제어부(33)에 의해 롤러(17)의 회전속도(V1)가 연산된다.
한편, 제어부(33)에는 차량의 구동원의 회전속도에 관한 신호(D2)나 최종출력속도로서의 차륜의 회전속도등에 관한 신호(D3)가 도시하지 않은 속도센서로부터 입력되고 있다.
제어부(33)에서는 전자의 신호(D2)에 기초해서 입력원판(5),(6)의 회전속도(V2)를 연산하고, 후자의 신호(D3)에 기초해서 출력원판(10)의 회전속도(V3)를 연산한다.
또한, 각 속도센서로부터의 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회로를 거쳐서 디지털신호로서 제어부(33)에 주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33)가 롤러(17)의 슬립율을 감시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플래그(F)를 "0" 으로 하는 등, 각 데이터를 초기화한다(스텝 S1).
이어서, 각 속도센서로부터의 신호(D1),(D2) 및 (D3)를 입력시키고(스텝 S2), 입력데이터에 기초해서 롤러(7) 및 입력원판(5),(6) 및 출력원판(10)의 각 회전속도(V1), (V2) 및 (V3)를 연산한다(스텝 S3).
이어서, 구해진 회전속도 (V1),(V2) 및 (V3)를 사용해서 롤러(17)와 대응하는 원판(5), 또는 (6),(10)의 접촉부의 속도를 구하여 접촉부의 속도차이에 의해 롤러(17)의 슬립율(R)을 연산한다(스텝 S4).
예를 들면, 회전속도(V1)인 롤러(17)와 회전속도(V3)인 출력원판(10)사이의 슬립율(R)은 양자의 속도차이(V1-V3)를 양자의 평균속도(V1+V3)/2로 나눈 값이다.
구해진 슬립율(R)이 허용치(Ra)이상이면, 플래그(F)를 "1" 로 해서, 예를 들면, 운전의 정지를 촉진하기 위해 이상을 통지하는 신호(D4)를 차실내의 표시부등의 통지부(34)에 출력시킨(스텝 S5∼S7 )후, 스텝(S2)로 복귀해서 계속해서 슬립율을 감시한다.
한편, 구해진 슬립율(R)이 스텝(S5)에서의 판정으로 허용치(Ra)미만인 경우에는, 스텝(S8)에서 경고통지중인지 아닌지를 확인하여, 통지중이면 플래그(F)를 "0" 으로 복귀시키는 동시에 통지를 해제하는 신호(D5)를 출력시킨(스텝 S9, S10)후, 스텝(S2)로 복귀해서 슬립율을 계속해서 감시하는 한편, 통지중이 아니면 스텝(S8)으로부터 그대로 스텝(S2)으로 복귀해서 계속해서 슬립율을 감시한다.
또한, 속도센서(32)로서는 광전식의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전식의 속도센서(32)의 발광부(36)와 수광부(37)를, 롤러(17)를 끼우는 캐리지(18)의 한쌍의 측면판(23),(24)에 각각 배치하고 발광부(36)로부터의 광을 관통구멍(31)을 거쳐서 수광부(37)에 수광시키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관통구멍(31)을 설치함으로써 롤러(17)의 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롤러(17)의 방열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바, 롤러(17)의 고온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원판(5),(6),(10)이나 롤러(17)를 소형으로 해도 윤활유 열화에 기인하는 궤도면(12), (15)의 박리가 생길 우려가 없다.
더욱이 롤러(17)와 각 원판(5),(6),(10) 접촉부의 윤활유의 고온화를 방지할수 있기 때문에 견인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가급적으로 무단변속기(1)의 소형, 경량화를 실질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특히, 관통구멍(31)이면 롤러(17)의 경량화를 보다 촉진시킬 수 있다.
또 관통구멍(31)을 이용해서 롤러(17)의 속도를 검출함으로써 롤러(17)가 이상하게 슬립하고 있는 경우 등에, 운전을 정지시키는 등의 경고를 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무단변속기(A)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관통구멍(31)대신에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17)의 일측면(17a)에 오목부(38)를 형성하거나, 혹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17)의 한측면(17a)에 볼록부(39)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3)가 속도센서로부터의 신호(D1),(D2),(D3)를 입력시키고, 차량구동원 제어부(40)에 대해서 차량의 구동원의 회전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신호(41)를 출력시키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립율(R)이 허용치(Ra)이상인 경우, 차량구동원 제어부(40)에 대해서 차량의 구동원의 회전속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시키고(스텝 S5∼S7), 슬립율(R)이 허용치(Ra)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회전속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신호의 출력을 해제한다(스텝 S5∼S10).
도 8에 있어서의 제어의 흐름에 있어서, 기타는 도 4의 예와 동일하다.
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3)가 속도센서로부터의 신호(D1),(D2),(D3)를 입력시키고, 입력원판(5),(6)을 출력원판(10)측으로 가세하는 유압실린더(9)로의 유압을 제어하는 유압제어부(41)에 대하여 신호(42)를 출력시키는 동시에 롤러(17)를 원판(5),(6),(10)에 가세하는 유압실린더(22)를 제어하는 유압제어부(43)에 대해서 신호(44)를 출력시키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립율(R)이 허용치(Ra)이상인 경우에 각 압력제어부(41),(43)에 대해서 유압을 저하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시켜(스텝 S5∼S7), 슬립율(R)이 허용치(Ra)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유압을 저하시키기위한 신호의 출력을 해제한다(스텝 S5∼S10).
도 10에 있어서의 제어의 흐름에 있어서, 기타는 도 4의 예와 동일하다.
도 8이나 도 10의 실시형태에서는 슬립율(R)이 (Ra)이상인 경우에 롤러와 원판의 접촉조건을 완화시키는 신호로서 구동원의 회전속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신호나 유압을 저하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시키도록 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슬립율(R)이 (Ra)이상인 경우에 롤러원판의 접촉조건을 완화시키는 신호로서,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와 원판의 접촉부에 공급하는 윤활유의 온도를 내리는 신호(45)를 윤활유온도제어부(46)에 출력시키거나,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윤활유의 양을 증가시키는 신호(47)를 윤활유공급량제어부(48)에 출력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원판의 회전축내부에 냉매를 공급하여 원판을 냉각시키는 등, 원판이나 롤러를 직접 냉각시키는 냉각기구를 설치하여, 이 냉각기구를 제어하는 신호(49)를 냉각기구제어부(50)에 출력시키도록 해도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접촉조건이란, 회전자와 원판의 접촉부의 접촉하중, 접촉면압, 상대속도, 온도, 표면거칠음, 또는 접촉면간의 유막의 두께, 유막매개변수, 유온등으로서 접촉부의 손상이나 수명, 견인력, 전달효율, 진동등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접촉조건을 완화시킨다는 것은, 접촉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혹은 접촉부의 견인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접촉하중을 저감시키거나, 상대속도를 저감시키거나, 윤활유온도를 내리거나, 윤활유량의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것들이다.
상기 도 4, 도 8, 도 10에 있어서는 롤러(17) 및 원판(5),(6),(10)의 접촉영역의 속도에 기초해서 슬립율(R)을 연산하여, 이것을 사용하여 롤러(17)와 원판(5),(6),(10)의 접촉상태를 판단하도록 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슬립율(R)대신에 롤러(17) 및 원판(5),(6),(10)의 접촉영역의 속도의 차이라도 되고, 속도의 비라도 되고, 속도의 차이 및 속도의 비를 포함하는 값이라도 된다.
혹은, 이 이외에도 롤러(17)와 원판(5),(6),(10)의 접촉영역의 속도를 비교할 수 있는 값이면 된다.
예를 들면, 도 12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S4)에서 속도비(X)를 연산하여 스텝(S5)에서 속도비(X)가 소정치(Xa)이상이면 접촉조건을 완화시키는 신호를 출력시키고(스텝 S6∼S7), 소정치(Xa)미만이면 접촉조건을 완화시키는 신호의 출력을 해제(스텝 S9∼S10)하도록 해도 된다.
접촉조건을 완화시키는 신호로서는 상기 신호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도 4의 실시형태에서는 슬립율(R)이 허용치(Ra)를 초과하면, 통지하도록 하고, 또 도 8, 도 10, 도 11a, 도 11b, 및 도 11c의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슬립율(R)이 허용치(Ra)를 초과하면 롤러(17)와 원판(5),(6),(10)과의 접촉압력등의 접촉조건을 완화시키도록 하고, 더욱이 도 12의 실시형태에서는 속도차이(X)가 소정치(Xa)이상이 되면, 접촉조건을 완화시키도록 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슬립율(R)이 소정치(Ra)를 초과하지 않도록(혹은 속도차이 X가 소정치 Xa를 초과하지 않도록)접촉조건을 조정하기 위해 차량구동원제어부(40), 유압제어부(41),(43), 윤활유온도제어부(46), 윤활유공급량제어부(48), 냉각기구제어부(50)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출력시키도록 해도 된다.
기타, 본 발명의 범위에서 각종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실제의 회전자의 속도를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상한 거동의 발생을 방지해서 회전자가 고온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원환상형 무단변속기의 소형, 경량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원판의 속도를 검출하는 수단과, 회전자의 속도를 검출하는 수단 및 원판의 속도를 검출하는 수단의 검출결과에 기초해서, 신호를 출력시키는 신호출력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으므로, 원환상형 무단변속기의 소형, 경량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회전자의 슬립에 관련하는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하므로 회전자의 고온화를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슬립에 관련하는 정보를 이용해서 회전자와 원판의 접촉부의 견인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변속기의 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9)

  1. 차량의 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입력축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입력원판과, 상기 입력축에 회전 자유로이 지지된 출력원판을 구비하며, 출력원판으로부터 출력축으로 토오크를 전달하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무단변속기는,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원판 사이에 형성된 원환상 간극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원판 사이에 토오크를 전달하는 회전자와,
    회전자의 속도를 검출하는 수단과,
    원판의 속도를 검출하는 수단과,
    회전자의 속도를 검출하는 수단 및 원판의 속도를 검출하는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해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출력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수단이 출력시키는 신호는, 회전자와 회전자에 대응하는 원판의 접촉영역의 속도의 비교결과에 따른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결과는, 회전자와 대응하는 원판의 접촉영역의 속도의 차이 및 비의 적어도 하나를 매개변수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수단이 출력시키는 신호는, 비교결과에 따라 회전자와 원판의 접촉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수단이 출력시키는 신호는, 상기 비교결과가 소정치이상이 되지 않도록, 회전자와 원판의 접촉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수단이 출력시키는 신호는, 상기 비교결과가 소정치이상이 되면, 회전자와 원판의 접촉조건을 완화시키기 위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는, 한쌍의 원판을 상호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수단의 가세력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원판을 상호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수단은, 유압작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는 유압작동기에 공급되는 유압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는, 회전자를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는 캐리지를 거쳐서 회전자를 한쌍의 원판에 가세하는 수단의 가세력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를 한쌍의 원판에 가세하는 수단은, 유압작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는, 유압작동기에 공급되는 유압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는, 차량의 구동원의 회전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는 회전자와 원판의 접촉부에 공급하는 기름의 온도 및 공급량의 적어도 한쪽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조건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는, 회전자와 원판의 접촉부의 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출력수단이 출력시키는 신호는, 통지수단에 통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16. 제1항에 있어서,
    회전자의 측면에 다수의 기복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복부는, 회전자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나란히 해서 등간극으로 배치된 관통구멍, 오목부 및 볼록부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18. 차량의 동력원에 의해 구동되는 입력축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입력원판과, 상기 입력축에 회전 자유로이 지지된 출력원판을 구비하며, 출력원판으로부터 출력축으로 토오크를 전달하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에 있어서, 상기 무단변속기는,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원판과,
    이들 원판 사이에 형성된 원환상 간극에 배치되며, 한 쌍의 원판 사이에 토오크를 전달하는 회전자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자의 측면에 다수의 기복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복부는 회전자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나란히 해서 등간극으로 배치된 관통구멍, 오목부 및 볼록부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KR10-2001-7012220A 2000-02-02 2001-01-30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KR100475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25485 2000-02-02
JP2000025485 2000-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281A KR20010111281A (ko) 2001-12-17
KR100475555B1 true KR100475555B1 (ko) 2005-03-10

Family

ID=18551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220A KR100475555B1 (ko) 2000-02-02 2001-01-30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66790B2 (ko)
EP (1) EP1179692B1 (ko)
JP (1) JP4807547B2 (ko)
KR (1) KR100475555B1 (ko)
AT (1) ATE293764T1 (ko)
DE (1) DE60110165T2 (ko)
WO (1) WO20010574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61692A1 (de) * 1999-12-21 2001-06-28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Stufenloses Reibradgetriebe
DE10223425A1 (de) * 2002-05-25 2003-12-0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tufenlos regelbares Reibrollen-Toroidgetriebe
WO2013040315A1 (en) * 2011-09-16 2013-03-21 Sentien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surface contact fatigue life
US11947881B2 (en) 2020-06-26 2024-04-02 Lora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nd comparing financial analysis of different rail life scenarios in a rail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8567A (ja) * 1994-01-17 1995-08-11 Nissan Motor Co Ltd 摩擦車式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2749U (ko) * 1977-12-14 1979-06-30
JPS5492749A (en) 1977-12-29 1979-07-23 Ricoh Co Ltd Heat fixing device
JPS5917163A (ja) * 1982-07-20 1984-01-28 Nippon Soken Inc 回転検出器
JPS60188308A (ja) 1984-03-08 1985-09-25 Kanebo Ltd W/o型乳化フアンデ−シヨン組成物
JPS60188308U (ja) * 1984-05-25 1985-1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制御用回転角検出装置
JPS6362954A (ja) * 1986-08-29 1988-03-19 Fuji Heavy Ind Ltd V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ベルトスリツプ検出方法
JP2794694B2 (ja) 1987-07-15 1998-09-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紙送り機構
JPS6418663U (ko) * 1987-07-24 1989-01-30
GB9024987D0 (en) * 1990-11-16 1991-01-02 Greenwood Christopher J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ariators for transmissions of the toroidal-race rolling-traction type
JP2903932B2 (ja) * 1993-03-01 1999-06-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摩擦車式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H07259948A (ja) * 1994-03-25 1995-10-13 Nissan Motor Co Ltd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装置
US5711741A (en) * 1995-02-27 1998-01-27 Isuzu Motors Limited Fail safe for toroidal continuous variable transmission
JPH09112683A (ja) * 1995-10-17 1997-05-02 Nippon Seiko Kk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DE19650218A1 (de) * 1996-12-04 1998-06-10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CVT
US6387009B1 (en) * 1999-11-22 2002-05-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ction drive with slip contro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li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8567A (ja) * 1994-01-17 1995-08-11 Nissan Motor Co Ltd 摩擦車式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79692B1 (en) 2005-04-20
WO2001057417A1 (fr) 2001-08-09
EP1179692A4 (en) 2003-02-12
DE60110165T2 (de) 2006-03-09
DE60110165D1 (de) 2005-05-25
JP4807547B2 (ja) 2011-11-02
EP1179692A1 (en) 2002-02-13
ATE293764T1 (de) 2005-05-15
US6666790B2 (en) 2003-12-23
KR20010111281A (ko) 2001-12-17
US20020155918A1 (en) 200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23627C (en) Journal bearing and thrust pad assembly
US7217220B2 (en) Drive roller control for toric-drive transmission
JP2004301251A (ja) フル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H0579855B2 (ko)
US9995349B2 (en) Rotation transmission device and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US20110036652A1 (en) Driving apparatus for hybrid vehicle
JPH0211419A (ja) 減速機付モータ駆動装置及び電動車両
JP2004520557A (ja) 遊星ホイール及びその使用
KR100475555B1 (ko) 원환상형 무단변속기
US20160010629A1 (en)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CA2916049C (en) Toroidal-type stepless transmission
JP2004278740A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H0529135Y2 (ko)
JP3653937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H06272740A (ja) 遊星歯車式変速機
JPH11210773A (ja) ダブルキャビティ式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の軸受
JP7459771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3745590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3705719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H05322677A (ja) トルク検出機能を有する動力伝達機構
JP3374663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3629898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JPH0415358A (ja) 摩擦無段変速機付圧縮機
FR2911935A1 (fr) Couronne d'orientation a moteur de rotation integre.
JP2002021959A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