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135B1 - 용지 급지 장치 및 용지 급지 장치가 구비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급지 장치 및 용지 급지 장치가 구비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135B1
KR100473135B1 KR10-2001-0079897A KR20010079897A KR100473135B1 KR 100473135 B1 KR100473135 B1 KR 100473135B1 KR 20010079897 A KR20010079897 A KR 20010079897A KR 100473135 B1 KR100473135 B1 KR 100473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eparation
separating
forc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8885A (ko
Inventor
야노다까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48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1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46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 B65H3/5253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65H3/5261Retainers of the roller type,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69Driv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 B65H2301/4234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separating stack from the sheet separating means after separation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7Ratch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2Clutches, brakes, e.g. one-way clutch +F2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3Couplings
    • B65H2403/732Torque limi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1Bottom
    • B65H2405/1116Bottom with means for changing geometry
    • B65H2405/11162Front portion pivotable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ransport 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 지지 수단, 용지 급지 수단, 분리 수단, 용지 급지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분리 수단에 분리력을 공급하는 분리력 제공 수단 및 분리력 제공 수단에 의해 분리 수단에 분리력을 공급하는 연결 상태와 분리 수단에 분리력이 공급되지 않는 차단 상태간에 전환되는 분리력 전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력 전환 수단은 급지 개시 시점에서는 차단 상태로 전환되고, 용지 급지 수단이 용지를 급지 개시로부터 소정 거리를 급지한 때에는 연결 상태로 전환되며, 분리력 전환 수단이 차단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분리 수단에 공급된 분리력은 분리력 전환 수단이 연결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의 분리력보다 더 작게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용지 급지 장치 및 용지 급지 장치가 구비된 화상 형성 장치{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IT}
본 발명은 다양한 용지를 급지할 수 있는 용지 급지 장치 및 이 용지 급지 장치가 구비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용지 급지 장치로서, 지연 분리 시스템(a retard seperation system)에 어떠한 픽업 롤러도 구비되지 않은 용지 급지 장치가 일예로서 도9를 이용하여 설명된다. 도시되지 않은 솔레노이드가 턴온되어 용지 적재 트레이(74)에 적재되어 저장된 용지(S)의 급지 동작이 개시될 때, 용지(S)는 매개판(intermediate plate)(70)에 의해 용지 급지 롤러(51)에 가압된다. 가압이 완료된 때에, 도면에서 시계 방향의 회전 구동력이 용지 급지 롤러 샤프트(52)를 통해 용지 급지 롤러(51)에 전달되어 용지를 픽업한다.
분리 롤러(53)가 용지 급지 롤러(51)와 구동 직결되기 때문에, 용지를 용지 적재 트레이(74)쪽으로 뒤로 가압하는 방향(도면에서 시계 방향)의 회전 구동력이 용지 급지 롤러(51)의 구동과 동일한 타이밍에서 분리 롤러(53)에 전달된다. 분리 롤러(53)가 소정 토크를 발생하기 위한 토크 제한기(61)를 통해 분리 롤러 샤프트(54)에 끼워맞춤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 롤러(53)는 용지 급지 롤러(51)의 이송 동작 동안 고정된 분리력(용지를 용지 적재 트레이(74)쪽으로 뒤로 가압하도록 작용하는 힘)을 용지에 일정하게 제공하고 있다.
더욱이, 용지 급지 롤러(51)와 분리 롤러(53) 사이의 용지물림부(a nipping portion)에 오직 한장의 용지만이 물릴 때에는 분리 롤러(53)가 용지 급지 롤러(51)에 의해 견인(drag)되고 용지물림부에 2장 이상의 용지가 물릴 때에는 분리 롤러(53)가 다른 용지에 올려져 함께 보내진 용지를 뒤로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분리 롤러(53)의 맞닿음 압력(abutting pressure)과 토크 제한기(61)의 값이 설정된다. 용지의 선단부가 용지 급지 롤러(51)와 분리 롤러(53) 사이의 용지물림부를 통과하였을 때, 매개판(70)에 의한 용지에의 가압은 해제된다. 그 후, 용지의 선단부가 인발 롤러(evulsion roller)(55a, 55b)에 도달할 때, 용지 급지 롤러(51)의 구동력이 차단되고, 용지가 인발 롤러(55a, 55b)에 의해 인출되어 이송된다.
이러한 용지 급지 장치에서는 용지의 픽업 동작과 용지의 분리 및 이송 동작 모두를 하나의 용지 급지 롤러(51)가 수행하기 때문에, 이 용지 급지 장치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단가가 저렴하다는 등의 많은 장점을 가지며, 분리 성능이 높다는 추가의 장점을 갖는다. 반대로, 용지 급지 장치의 구조로 인해 용지를 용지 급지 롤러(51)와 분리 롤러(53)의 용지물림 접평면에 수평으로 진입시키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이 용지 급지 장치는 두꺼운 용지, 얇은 용지 및 봉투 등의 특수한 용지의 급지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수치값을 사용하여 그 이유가 설명된다. 용지 급지 롤러(51)와 분리 롤러(53)의 외경이 각각 36㎜와 24㎜인 것으로 가정할 때, 용지의 실제 입사각은 최저 약 25도가 된다(이 각도는 적재된 용지의 수에 따라 약 25도 내지 40도 내에서 변함). 그 입사각에서 용지의 픽업이 수행될 때, 용지의 선단부는 분리 롤러(53)의 외주 표면과 40도의 각도로 접촉된다(입사각이 40도인 경우에는 접촉 각도가 65.5도임).
용지 급지 롤러(51)에 대한 분리 롤러(53)의 접촉 압력과 토크 제한기(61)의 복귀 토크는 롤러(51, 53)의 내구성과 문서 정지 성능의 양립을 위해 정밀한 균형을 이루도록 설계된다. 이 때문에, 두꺼운 용지와 같이 접히기 쉽지 않은 용지가 이러한 가파른 각도로 분리 롤러(53)에 맞닿게 될때, 이러한 맞닿음은 용지 급지 롤러(51)에 의한 분리 롤러(53)의 견인 이동(dragged movement)을 멈추게 하고, 분리 롤러(53)는 용지가 용지물림부에 도달하기 전에 회전을 중지한다. 용지 급지 롤러(51)의 이송력이 분리 롤러(53)를 회전시켜 강제적으로 용지를 용지물림부에 밀어넣을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하지 못하기 때문에, 용지는 그 위치에서 더 나아갈 수 없다. 그 결과, 급지 장애가 발생하여 잼(용지 걸림)이 야기된다.
더욱이, 분리 롤러(53)가 토크 제한기(61)의 부하가 가해진 상태에서 용지 급지 롤러(51)에 종동하기 때문에, 분리 롤러는 용지 급지 롤러(51)의 이송 속도보다 약 20% 정도 낮은 속도로 회전한다. 그 외에, 분리 롤러(53)의 외주부를 따른 용지 선단부의 이동 속도와 용지 급지 롤러(51)에 의한 용지의 이송 속도간의 용지 이송 방향에서의 상대 속도차가 존재하며, 후자는 전자보다 더 빠른 속도로 용지를 전송할 것이다. 일반적인 용지인 경우, 그 용지는 일시적으로 구부러짐으로써 속도차를 흡수하여 어떠한 문제도 없이 급지될 수 있다. 그러나, 용지가 얇은 용지와 같이 접히기 쉬운 용지이거나 또는 봉투와 같이 끝단부가 약한 것이라면, 용지의 선단부는 아래로 구부러지거나 찢어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2가지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1) 2가지 방법 중의 하나는 분리 롤러(53)에 인접해 있는 급지 안내부와 용지 급지 롤러(51)간의 공간 갭이 더 작게 되도록 조정하여 급지 안내부에 의해 용지 선단부의 향하는 방향이 가능한 한 용지물림 접평면에 근접하게 되도록 수정함으로써 용지의 선단부가 분리 롤러(53)의 외주부를 타격하기 어렵게 하는 방법이다. (2) 다른 한 가지 방법은 용지 급지 롤러(51)에 대한 분리 롤러(53)의 인가 압력의 크기를 전환하기 위한 레버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용지의 급지가 용이하게 되도록 용지에 따라 조건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술된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은 특별한 조정을 요하기 때문에 그 제조 비용이 높아지고, 설계시에 급지 안내부가 용지 이송 표면에 상당히 근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아래쪽으로 뒤틀린 용지가 급지 안내부의 입구에 의해 물리게 되기 쉽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후자의 방법은 특정 범위까지의 용지를 처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광범위의 용지를 이용하여 복사를 한다는 점에서 볼 때 이 방법의 허용 범위가 협소하고, 무엇보다도 사용자가 급지 조건을 잘못 선택하는 경우 중첩된 용지의 이송과 급지 장애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간략한 구조를 갖고 다양한 용지의 안정된 급지를 수행할 수 있는 용지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 및 장점과 기타 목적 및 장점은, 용지를 지지하는 용지 지지 수단과; 용지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 용지를 급지하는 용지 급지 수단과; 용지 급지 수단 사이의 용지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분리 수단에 용지 급지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분리력을 공급하는 분리력 제공 수단과; 분리력 제공 수단에 의해 분리 수단에 분리력을 공급하는 연결 상태와 분리 수단에 분리력이 공급되지 않는 차단 상태간에 전환되는 분리력 전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력 전환 수단은 급지 개시 시점에서는 차단 상태로 전환되고, 용지 급지 수단이 용지를 급지 개시로부터 소정 거리를 급지한 때에는 연결 상태로 전환되며, 분리력 전환 수단이 차단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분리 수단에 공급된 분리력은 분리력 전환 수단이 연결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의 분리력보다 더 작게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지 급지 장치가 구비된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첨부 도면이 참조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1은 본 발명의 급지 장치가 구비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복사 기기의 단면 설명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
도1에서, 도면 부호 1은 복사 기기의 주 본체를 나타내며, 주 본체(1)의 상단부에는 고정된 투명 유리판으로 구성된 원본 스탠드(2)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 부호 3은 원본 스탠드(2)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고 화상을 담고 있는 면이 아래쪽을 향하고 있는 원본(O)을 가압 및 고정하기 위한 원본 가압판을 나타낸다. 원본(O)을 조사하기 위한 램프(4)와, 조사된 원본(O)의 광상(light figure)을 감광 드럼(12)으로 인도하기 위해 반사 거울(5, 6, 7, 8, 9, 10) 및 화상 렌즈(11)로 구성된 광학 시스템이 원본 스탠드(2)의 하부측에 설비되어 있다. 실제로, 램프(4)와 반사 거울(5, 6, 7)은 원본(O)을 스캔하기 위해 화살표 "a" 방향으로 소정 속도로 이동한다.
용지 급지부는 주 본체(1)에 내장된 용지 카세트(30, 31, 32, 33) 상의 적재된 용지를 화상 형성부로 급지하기 위한 카세트 급지부(37, 34, 35, 36)와, 다양한 재질과 다양한 크기의 용지를 용지 적재 트레이(74)로부터 화상 형성부로 급지하기 위한 용지 급지부(51, 53, 55, 70)로 구성된 급지부(이후 다중 급지부로 지칭함)가 제공된다.
화상 형성 수단은 감광 드럼(12)과, 감광 드럼(12)의 표면에 균등한 대전을 수행하는 대전기(13)와, 광학 시스템으로부터 조사된 광상에 의해 형성된 정전 잠상을 감광 드럼(12)의 표면 상에 현상하여 용지(S) 위에 전사될 토너상을 형성하는 현상 장치(14)와, 감광 드럼(12)의 표면 상에 형성된 토너상을 용지(S) 위에 전사하는 전사 대전기(19)와, 감광 드럼(12)으로부터 토너상이 전사된 용지(S)를 분리하는 분리 대전기(20)와, 토너상의 전사 후에 감광 드럼(12) 상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너(26)가 구비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용지(S)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21)와 이송부(21)에 의해 이송된 용지(S) 위의 상을 영구적인 상으로서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 장치(22)가 화상 형성 수단의 하류측에 제공된다. 더욱이, 정착 장치(22)에 의해 상이 정착되어 있는 용지(S)를 주 본체(1)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배출 롤러(24)가 제공되며, 또한 배출 롤러(24)에 의해 배출된 용지(S)를 주 본체(1)의 외부에서 수납하기 위한 배출 트레이(25)가 제공된다.
(용지 급지 장치)
다음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용지 급지 장치로서의 다중 급지부가 설명된다. 도2는 다중 급지부의 단면 설명도이고, 도3은 다중 급지부의 구동부에 대한 확대 설명도(평면도)이다.
복사 기기의 주 본체(1)는 용지를 적재 및 지지하기 위한 용지 적재 트레이(74)가 설치된다. 용지 적재 트레이(74)는 용지 적재 트레이(74) 상에의 용지(S)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광단속기(photo-interrupter) 등에 의해 구성되는 용지 검출 수단(73)이 설치된다. 용지 가압 수단으로서의 매개판(70)은 주 본체(1)의 전면측과 배면측의 측판(63, 64)에 지레 받침대(fulcrum)(70a, 70b)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가압 스프링(72)(72a, 72b)에 의해 용지 급지 수단으로서의 용지 급지 롤러(51)에 가압되도록 힘을 받게 된다. 매개판(70)은 자신의 상태를 용지 급지 롤러(51)에 대한 가압 상태(도2에 점선으로 도시된 상태)와 용지 급지 롤러(51)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상태(도2에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간에 적합하게 전환할 수 있다. 더욱이, 용지가 올려져 용지(S)가 이중 급지되는 것을 방지하고 매개판(70)의 가압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용지 급지 롤러(51)에 맞닿게 되는 매개판(70)의 첨단부에 펠트(felt)(71)가 설치된다.
용지 급지 롤러(51)는 용지 급지 롤러 샤프트(52)에 고정된다. 용지 급지 롤러 샤프트(52)는 전면 측판(63)과 배면 측판(6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을 이루며 지지된다. 더욱이, 용지 급지 롤러 샤프트(52)의 배면 측부와 전면 측부 상에는 각각 급지 구동 기어(65)와 풀리(57)가 고정된다. 용지 급지 롤러 샤프트(52)와 동기하여 용지 급지 롤러 샤프트(52)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분리 롤러 샤프트(54)에는, 용지 급지 롤러 샤프트(52)에 의해 구동될 벨트(59)로 용지 급지 롤러 샤프트(52)와 연결되는 반대측 상의 풀리(58)가 고정된다.
분리 롤러 샤프트(54)에는 소정 토크를 발생하기 위한 분리력 제공 수단으로서의 토크 제한기(61)와, 토크 제한기(61)와 분리 롤러(53)의 사이에 본 발명의 토크 제어 기구(91)를 갖는 분리 수단으로서의 분리 롤러(53)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토크 제어 기구는 차후에 설명될 것이다. 분리 롤러(53)는 용지 급지 롤러(51)에 대향되도록 설정되고, 분리 롤러(53)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을 갖는 가압 스프링(60)(60a, 60b)에 의해 소정 압력으로 용지 급지 롤러(51)에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분리 롤러(53)의 회전은 용지 급지 롤러(51)의 회전에 동기되며, 분리 롤러 샤프트(54)는 용지 급지 롤러(51)의 용지 이송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분리 롤러(53)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된다. 사실, 분리력은 용지를 용지 적재 트레이(74)쪽으로 뒤로 밀어내는 분리 롤러(53)의 힘이다.
토크 제한기(61)의 토크력과 가압 스프링(60a, 60b)의 인가 압력은 다음 조건을 충족하는 범위내에 있도록 설정된다. 즉, 용지 급지 롤러(51)와 분리 롤러(53) 사이의 용지물림부에 오직 한 장의 용지가 존재하거나 용지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 롤러(53)가 마찰력에 의해 급지 롤러(51)를 따르게 되며(용지 급지 롤러가 정지할 때에 분리 롤러(53)가 정지함), 용지물림부에 2장의 용지 이상이 존재할 때에는 분리 롤러(53)가 다중 급송 용지를 뒤로 밀도록 반대로 된다. 실제로, 이 경우, 분리력은 다중 급송 용지를 용지 적재 트레이(74)쪽으로 뒤로 밀도록 작용하는 토크 제한기(61)를 통해 구동된 분리 롤러(53)의 힘이다.
급지 구동 기어(65)와 맞물릴 수 있고 코그 결여부(cog lacking portion)를 가질 수 있는 제어 기어(80a)는 용지 급지 롤러 샤프트(52)에 고정된 급지 구동 기어(65)에 대향하는 맞물림 위치에 설정된다. 더욱이, 제어 기어(80a)는 용지 급지 롤러(51)에 대한 매개판(70)의 압력의 가압 및 해제를 제어하기 위한 매개판 제어 캠(80b)이 일체로 설비된다. 그 배면측의 매개판(70)과 일체로 형성된 캠 종동부(cam follower)(70c)는 매개판 제어 캠(80b) 상에 맞닿게 된다. 이에 의해, 용지 급지 롤러(51)에 대한 매개판(70)의 가압 및 분리의 동작이 수행된다. 더욱이, 제어 기어(80a)는 구동 샤프트(82)에 고정되며, 이 구동 샤프트상에는 스프링 클러치(81)에 내장된 구동 입력 기어(81a)가 설치된다.
그후, 스프링 클러치(81)는 제어 기어(80a)를 구동 샤프트(82)와 일체로 1회전하도록 1회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해 솔레노이드(69)를 회전시킨다. 실제로, 스프링 클러치(81)와 제어 기어(80a)의 코그 결여부간의 위상각은 코그 결여부가 급지 동작의 대기 시에 급지 구동 기어(65)에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선택된다. 이에 의해, 대기 상태에서, 토크 제한기(61)의 회전 부하가 급지 구동 기어(65), 용지 급지 롤러 샤프트(52) 및 용지 급지 롤러(51)에 작용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방향으로도 수 회 회전할 수 있다.
용지 이송 방향으로 용지 급지 롤러(51)의 하류측에는 인발 롤러쌍(55)이 배치된다. 인발 롤러(55a)가 인발 구동 기어(62)를 통해 급지 모터(M1)와 구동 직결되기 때문에, 인발 롤러(55a)의 회전은 급지 모터(M1)의 구동과 동기한다. 실제로, 본 실시예에서는 급지 모터(M1)로서 펄스 모터가 사용된다. 더욱이, 인발 종동 롤러(evulsion following roller)(55b)는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 부재를 거쳐서 스프링(56)(56a, 56b)에 의해 그에 대향될 인발 롤러(55a)에 가압된다.
솔레노이드(69)가 1회전 제어를 개시하기 위해 턴온될 때, 매개판 제어 캠(80b)의 동작에 의해, 매개판(70)은 용지를 용지 급지 롤러(51)쪽으로 가압하여 용지가 먼저 용지 급지 롤러(51)에 맞닿게 한다. 가압이 완료된 후, 제어 기어(80a)의 코그 결여부의 영역은 그 시점에서 종료한다. 급지 구동 기어(65)의 구동 및 제어 기어(80a)의 구동은 서로 연결되며, 용지 급지 롤러(51)는 용지의 급지를 개시한다.
용지 급지 롤러(51)가 소정 이송 거리만큼 용지를 이송한 후, 매개판 제어 캠(80b)은 용지 급지 롤러(51)에 대한 매개판(70)의 가압을 해제하도록 다시 동작한다. 그 후, 용지 급지 롤러(51)는 용지의 선단부가 인발 롤러쌍(55)에 도달하기에 충분한 거리 만큼 급지 동작을 지속한다. 다소의 시간 후, 제어 기어(80a)의 코그 결여부가 대기 위치인 급지 구동 기어(65)의 대향 위치로 복귀할 때, 동작이 종료한다.
이 때, 용지의 이송이 하류측의 인발 롤러쌍(55)에 전달되기 때문에, 용지는 더 하류측으로 이송되도록 인발 롤러(55a)에 의해 용지 급지 롤러(51)와 분리 롤러(53) 사이의 용지물림부로부터 인출된다. 이상의 내용은 일련의 급지 동작에 대한 설명이다. 제어 기어(80a)의 코그 결여부 및 매개판 제어 캠(80b)의 위상과 형상은 이러한 타이밍으로 용지의 급지를 제어하기 위해 조정된다.
(토크 제어 기구)
다음으로, 본 발명의 용지 급지 장치로 다양한 용지의 급지를 실현하기 위해 제공된 분리력 전환 수단으로서의 토크 제어 기구(91)의 상세 구조가 설명된다.
토크 제어 기구(91)는 공전 각도 확보 부재(idling angle securing member)(91a)와 토션 코일 스프링(91b)으로 구성된다. 도4a 내지 도4c는 토크 제어 기구(91)의 상세 구조와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공전 각도 확보 부재(91a)는 분리 롤러 샤프트(54)에 고정된 스프링 핀(66)에 소정 각도의 간격(clearance)으로 부착(끼워맞춤)되어 그 간격의 범위 내에서 분리 롤러 둘레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토션 코일 스프링(91b)은 공전 각도 확보 부재(91a)를 코어로 하여 그 둘레에 끼워맞춤되며, 그 일단이 분리 롤러 샤프트(54)의 스프링 핀(66)의 내경에 현수되고, 타단이 공전 각도 확보 부재(91a)에 현수된다.
토션 코일 스프링(91b)에 의해 발생된 토크는 토크 제어 기구(91)의 끝단에 끼워맞춤된 분리 롤러(53)가 용지를 용지 적재 트레이(74)쪽으로 뒤로 밀어내도록 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작용에 의해, 구동력이 급지 구동 기어(65)에 연결되지 않을 때, 도4a에서와 같이, 공전 각도 확보 부재(91a)는 용지를 복귀키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는 상태로 되어 스프링 핀(66)과 충돌한다. 이 후에는 이 상태가 "대기 위치"로 지칭된다. 더욱이,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전 각도 확보 부재(91a)가 스프링 핀(66)의 반대측과 충돌하게 되는 상태는 "연결 위치"로 지칭된다.
공전 각도 확보 부재(91a)가 대기 위치와 연결 위치 사이에 있을 때, 토크 제어 기구(91)는 토크 제한기(61)의 토크가 분리 롤러(53)에 공급되지 않는 "차단 상태"로 된다. 연결 위치로부터, 토크 제어 기구(91)는 토크 제한기(61)의 토크가 분리 롤러(53)에 공급되는 "연결 상태"로 된다.
또한, 토션 코일 스프링(91b)에 의해 발생될 토크는 공전 각도 확보 부재(91a)의 간격의 범위내에서의 구동력의 비연결 시에 공전 각도 확보 부재(91a)를 대기 위치로 복귀시키기에 충분할 만큼 크고, 토크 제한기(61)에 의해 발생된 토크보다 작게 되도록 설정된다.
(토크 제어 기구의 동작)
다음으로, 급지시의 토크 제어 기구(91)의 동작이 설명된다. 먼저, 급지 대기 상태에서, 공전 각도 확보 부재(91a)는 전술된 바와 같이 도4a에 도시된 대기 위치에 있게 된다. 급지가 개시되어 매개판(70)의 가압 후에 용지 급지 롤러(51)가 회전을 개시할 때, 분리 롤러(53) 또한 마찰력에 의해 용지 이송 방향으로 견인된다. 그러나, 분리 롤러 샤프트(54)는 동일한 시각에 용지 복귀 방향으로 회전하며, 공전 각도 확보 부재(91a)와 분리 롤러 샤프트(54)는 결과적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므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전 각도 확보 부재(91a)와 분리 롤러 샤프트(54)의 상대 위치가 변화한다. 이 때, 토크 제한기(61)의 공전 토크가 토크 제어 기구(91)의 토션 코일 스프링(91b)에 의해 발생된 토크보다 더 크기 때문에, 토크 제한기(61)는 아직 작동하지 않으며, 토션 코일 스프링(91b)에 의해 발생된 복귀 토크만이 분리 롤러(53)에 대해 작용한다. 실제로, 이 경우, 분리력은 토션 코일 스프링(91b)에 의해 발생된 복귀 토크에 의해서만 용지를 용지 적재 트레이(74)쪽으로 밀어내도록 작용하는 분리 롤러(53)의 힘이다.
회전이 진행된 후, 공전 각도 확보 부재(91a)와 분리 롤러 샤프트(54)간의 관련 위치가 도4c에 도시된 연결 위치에 도달할 때, 분리 롤러 샤프트(54)와 토크 제한기(61)의 구동력 전달이 연결되어, 토크 제한기(61)는 소정 복귀 토크의 발생을 개시한다.
제어 기어(80a)의 1회전 제어가 완료된 후, 공전 각도 확보 부재(91a)는 인발 롤러(55a)가 용지 급지 롤러(51)와 분리 롤러(53) 사이의 용지물림부로부터 용지의 인출을 완료할 때까지 연결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속한다. 용지가 인출된 후, 용지 급지 롤러(51)와 분리 롤러(53) 모두가 구동 부하로부터 자유롭게 되기 때문에, 공전 각도 확보 부재(91a)는 토션 코일 스프링(91b)의 동작에 의해 소정 각도의 간격만큼 분리 롤러(53)와 용지 급지 롤러(51)를 역전시키며, 공전 각도 확보 부재(91a)는 대기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구동 메카니즘에 따르면, 용지 급지 롤러(51) 및 분리 롤러(53)는 실질적으로 구동력 전달부(57, 58, 59)와 두 개의 롤러(51, 53)의 맞닿음부의 두 지점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구동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공전 각도 확보 부재(91a) 외에 하나 이상의 구동 간격이 형성되지 않으면, 구동 트레인(driving train)은 용지가 용지물림부를 통과한 후에 서로 간섭하며, 이에 의해 공전 각도 확보 부재(91a)는 대기 위치로 복귀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전 각도 확보 부재(91a)의 공전 각도에 대응하는 양의 간격으로 용지 급지 롤러 샤프트 상의 풀리(57)를 용지 급지 롤러 샤프트(52)에 끼워맞춤함으로써 문제점이 해소된다. 일련의 급지 동작에서 분리 롤러(53)에 공급된 복귀 토크의 크기를 그래프로 도시한다면 도5와 같이 나타내진다.
이제, 이 메카니즘이 다양한 용지의 안정한 급지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기계적 관점에서 설명한다. 엄격한 기계적 분석이 수행될 때, 용지의 경도와 같은 서로에 대한 영향을 정의내리기 어려운 다수의 파라미터가 존재하기 때문에, 계산을 위한 수식이 매우 복잡하게 된다. 아주 두꺼운 용지의 급지를 가정한 모델로 설명이 이루어진다.
(두꺼운 용지의 급지)
이후, 용지는 완전한 강성체로서 간주되며, 분리 롤러(53)의 맞닿음 단부에 인접한 부분이 전혀 굽어지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더욱이, 실제 현상의 반영을 위해, 분리 롤러(53)에 대해 용지 선단부가 맞닿음으로써 분리 롤러(53)의 가압 메카니즘이 옆으로 밀리게 되어 분리 롤러(53)가 용지 급지 롤러(51)로부터 분리되는 상태가 가정된다(즉, 분리 롤러(53)의 가압력 전부를 용지가 받게 되는 것으로 가정함).
기계적 모델의 개요가 도6에 도시되어 있다. 용지 진입 방향에서의 기계적 균형 관계에서 어떠한 급지 장애를 초래함이 없이 용지 급지 롤러(51)와 분리 롤러(53) 사이의 용지물림부내로 용지를 압입할 수 있는 이송력(F)의 조건부 표현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
F > N ×cos(90-θ) + (T/r) ×cosΦ
여기서, θ는 용지 급지 롤러(51)와 분리 롤러(53) 사이의 용지물림 라인에 대한 용지의 입사각이며, Φ는 분리 롤러(53)의 외주부와 용지 선단부가 맞닿는 지점에서 분리 롤러(53)의 접선 라인과 용지가 형성하는 각도, N은 용지 급지 롤러(51)에 대한 분리 롤러(53)의 가압력, T는 토크 제한기(61)에 의해 발생된 토크력, r은 분리 롤러(53)의 반경, F는 용지 급지 롤러(51)로부터 제공되는 용지의 이송력(하위 용지와의 마찰 저항을 빼서 얻은 실질적인 이송력)이다.
계산은 용지 급지 장치의 현실적인 값을 적용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의 조건부 표현식에서 토크 제한기(61)의 토크 T에는 33.8307 mJ(345 gf·㎝), 분리 롤러(53)의 가압력 N에는 2.9421 N(300gf), 분리 롤러(53)의 반경 r에는 12 ㎜, 용지의 입사각 θ에는 30도(각도 φ는 전술된 값의 설정에 따라 48.3도가 되는 것으로 결정됨)를 대입할 때, 조건부 표현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
F > 3.24906 N(331.3 gf)
그러나, 용지에 대한 용지 급지 롤러(51)의 고무 재질의 마찰 계수가 1.4 이고, 용지간의 마찰 계수가 약 0.5이며, 매개판(70)의 용지 가압력이 다중 급송 용지를 갖는 용지의 전송에 대한 내구 성능을 고려하여 약 2.15754 N(220 gf)로 설정되기 때문에, 이송력 F는 불과 1.9614 N(200 gf) 정도로 근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토크 제어 기구(91)가 통합되지 않은 용지 급지 장치는 용지 급지 롤러(51)로부터 추가로 용지를 이송할 수 없어 용지 급지 롤러가 미끄러지기 때문에 급지 장애가 발생한다.
반대로, 본 실시예와 같이 토크 제어 기구(91)가 설치된 용지 급지 장치에서는, 토크 제한기(61)에 의해 발생된 토크 T보다 더 작은 복귀 토크 T'만이 공전 각도 확보 부재(91a)가 대기 위치에서 연결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분리 롤러(53)에 작용한다. 현실적인 시스템이 고려된다 하더라도, 토션 코일 스프링(91b)에 의해 발생될 토크 T'가 약 9.806 mJ(100gf·㎝)가 되도록 억제될 수 있기 때문에, 그 값이 전술된 조건부 표현식에 대입될 때, F > 1.91629 N(195.4 gf)라는 결과가 얻어질 수 있으며, 이는 급지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지금까지 사용된 조건부 표현식이 용지를 완전한 강성체인 것으로 가정한 경우의 모델에 기초한 것이기 때문에, 전술된 조건은 실제 조건보다 더 엄격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이송력 F는 일반적인 용지 이송의 경우에 충분한 여유를 갖는다.
(얇은 용지의 급지)
지금까지는 두꺼운 용지의 픽업에 대한 가정으로 설명이 이루어져 왔지만, 봉투, 얇은 용지 등의 급지에 대해 유사한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먼저, 봉투의 경우, 봉투가 용지를 접어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외관상의 탄력성은 두꺼운 종이와 같이 강하다. 그러나, 접혀지는 단부 부분의 강도는 작다. 결과적으로, 그 단부 부분이 급지 시에 분리 롤러(53)와 맞닿게 될 때, 이송 방향으로의 분리 롤러(53)의 회전은 쉽게 멈추거나, 또는 분리 롤러(53)의 회전의 효율이 쉽게 저하된다. 그 외에, 봉투의 단부 부분이 분리 롤러(53)의 회전의 정지 또는 저하의 영향에 의해 쉽게 아래로 휘어지게 된다.
더욱이, 분리 롤러(53)가 토크 제한기(61)의 복귀 토크를 받는 상태에서 용지 급지 롤러(51)에 의해 일반적으로 견인되기 때문에, 분리 롤러(53)의 회전 속도는 항상 용지 급지 롤러(51)의 이송 속도의 약 20%의 손실을 갖는다. 이에 의해, 용지를 인출하려는 용지 급지 롤러(51)의 속도와 분리 롤러(53)의 외주부를 따라 이동하는 용지 선단부의 속도간에 상대적인 속도차가 발생된다. 일반적인 용지의 경우, 이러한 정도의 속도차에 의해서는 용지 선단부의 접힘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얇은 용지와 같이 접히기가 매우 쉬운 용지가 이송될 때에는 용지가 쉽게 아래로 접혀진다.
전술된 현상들이 분리 롤러(53)의 복귀 토크의 크기가 가져오는 모든 문제점들이다. 급지의 초기 단계에서의 복귀 토크가 본 실시예와 같은 토크 제어 기구(91)의 설치에 의해 토크 제한기(61)의 작용없이 토크 제어 기구(91)에 의해 발생된 작은 복귀 토크이기 때문에, 전술된 손실의 거의 전부가 용지 급지 롤러(51)에 의한 분리 롤러(53)의 견인에서 발생되는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용지를 전송하려는 용지 급지 롤러(51)의 속도와 분리 롤러(53)의 외주부를 따라 이동하는 용지 선단부의 속도간에 속도차가 없게 되고, 용지가 접혀지기 쉬운 것이라 하더라도 용지가 아래쪽으로 접혀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공전 거리의 설정)
다음으로, 토크 제어 기구(91)의 공전 거리의 설정 방법이 설명된다. 지금까지 설명해온 바와 같이, 토크 제어 기구(91)의 공전 동안에는 토크 제한기(61)의 토크보다 더 작은 복귀 토크가 분리 롤러(53)에 작용한다. 그 영향으로서, 분리 롤러(53)의 분리 성능은 공전 동안 낮아지게 된다. 분리 성능의 저하가 용지 급지 장치의 급지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토크 제어 기구의 공전 각도의 설정이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지연 분리 시스템내의 용지 급지 장치에서, 다중 급송 용지를 갖는 용지의 전송에 대한 내구 성능의 레벨은 용지의 묶음이 용지 급지 롤러(51)와 분리 롤러(53) 사이의 용지물림부를 통과하는지의 여부에 좌우되어 변화한다. 따라서, 용지 선단부가 용지물림부에 도달하기 전에 토크 제한기(61)의 소정 토크가 분리 롤러(53)에 작용하도록 타이밍이 조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 용지 급지 롤러(51)에 의한 용지 이송 거리 L(또는 분리 롤러(53)의 드래깅 거리)이 용지 적재 트레이(74)의 선단부에서부터 용지가 분리 롤러(53)에 맞닿는 위치까지의 거리 L1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길게 되고, 용지 적재 트레이(74)의 선단부에서부터 용지 급지 롤러(51)와 분리 롤러(53) 사이의 용지물림부까지의 거리 L2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게 되도록 공전 각도 확보 부재(91a)의 간격이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다중 급송 용지를 갖는 용지의 전송에 대한 내구 성능을 저하함이 없이 다양한 용지의 안정한 급지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토크 제어 기구(91)와 토크 제한기(61)가 별도의 본체들로서 구성될 수 있으므로, 토크 제어 기구(91)의 기능이 토크 제한기(61)에 내장되어도 무방하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은 제1 실시예에 관해 설명된 형태의 토크 제어 기구(91)를 사용하도록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음에는, 초기의 낮은 토크 회전의 시점에서 복귀 토크가 전혀 작동되지 않는 방법이 도7 및 도8a 내지 도8c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로서 설명된다. 실제로,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며,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도면에 부여되어 있다.
도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지 급지 장치의 구동에 대한 확대 설명도이며, 도8a 내지 도8c는 용지 급지 장치의 배면에서 보았을 때의 용지 급지 장치의 토크 제어 기구의 동작에 대한 설명도이다. 용지 급지 장치의 기본 구조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어떠한 픽업 롤러도 구비하지 않은 지연 분리 시스템 급지 메카니즘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장치는 복귀 구동력이 분리 롤러 샤프트(54)에 입력되지 않는 유형의 것이다.
용지 급지 롤러(51)와 매개판(70)의 동작 제어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메카니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분리 롤러 샤프트(54)의 일단에는 래칫 기어(latchet gear)(92a)가 고정된다. 제어 기어(80a)와 일체로 형성된 분리 제어 캠(80c)에 의해 그 움직임이 조절되는 래칫 폴(latchet pawl)(92b)은 스토퍼로서의 래칫 기어(92a)와 맞물린다(도8a 참조).
더욱이, 분리 롤러 샤프트(54) 상에는 일방향(one way) 클러치(67)가 고정되어, 용지 복귀 방향의 분리 롤러 샤프트(54)의 회전이 조절된다. 용지의 급지가 개시될 때, 매개판(70)은 압력을 이용하여 용지를 용지 급지 롤러(51)와 맞닿게 한다. 그후, 급지 구동 기어(65)에 제어 기어(80a)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기 전에, 분리 제어 캠(80c)은 래칫 기어(92a)로부터 래칫 폴(92b)을 인출시킨다. 이에 의해,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롤러 샤프트(54)는 분리 롤러 샤프트(54)가 용지 이송 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진입한다. 회전 구동력이 급지 구동 기어(65)에 입력되어 용지 급지 롤러(51)가 회전을 개시할 때, 분리 제어 캠(80c)은 래칫 폴(92b)을 즉각적으로 래칫 폴(92b)이 래칫 기어(92a)와 맞물릴 수 있는 위치로 복귀시킨다.
전술된 바와 같이, 분리 롤러(53)가 소정량의 회전을 위해 용지 급지 롤러(51)에 의해 견인되고 래칫 기어(92a)와 래칫 홀(92b)이 서로 맞물리기 전에, 토크 제한기(61)는 전혀 작동하지 않으며, 분리 롤러(53)는 어떠한 부하없이 용지 급지 롤러(51)에 종동한다. 그러나,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 기어(92a)와 래칫 폴(92b)의 맞물림 후에는 분리 롤러 샤프트(54)의 회전이 정지한다. 결과적으로, 토크 제한기(61)는 소정의 복귀 토크를 발생한다.
또한, 분리 롤러(53)의 공전량은 제1 실시예의 공전량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이에 의해, 제2 실시예 또한 광범위한 용지의 안정한 급지를 실현할 수 있다.
다중 급송 용지를 갖는 용지의 전송에 대한 내구 성능은 복귀 구동력이 분리 롤러(53)에 입력되지 않는 정도만큼 제1 실시예의 내구 성능에 대해 다소 떨어지지만, 제2 실시예는 분리 롤러 샤프트(54)의 회전이 정지하기 전의 기간 동안에 분리 롤러에 복귀 토크가 전혀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광범위한 용지의 안정한 급지에 관해 매우 높은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
또한, 전술된 제1 및 제2 실시예 모두에서는 픽업 롤러가 없는 용지 급지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픽업 롤러, 픽업 벨트 등과 같은 픽업 부재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해 용지의 픽업을 수행하는 유형의 용지 급지 장치에서도, 본 발명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용지 급지 수단과 분리 수단으로서 각각 용지 급지 롤러(51)와 분리 롤러(53)를 사용하는 예가 설명되었지만, 용지 급지 수단과 분리 수단을 롤러 형태로 제한할 필요는 없다. 급지력 또는 복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 각각 용지 급지 수단과 분리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급지 벨트 및 분리 벨트와 같은 벨트 형태의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용지 급지 장치가 적용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복사 기기의 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응용 기기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용지 급지 장치의 용지 이송 방향의 하류측에 화상 판독 장치가 설비됨으로써 화상 판독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지 급지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는 분리력 전환 수단이 차단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분리 수단에 공급된 분리력은 분리력 전환 수단이 연결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의 분리력보다 더 작게 되도록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광범위의 용지에 대한 안정한 급지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이 특정한 정도의 세밀함을 갖는 바람직한 형태로 설명되었지만, 그 안에서 다수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개시된 것 이상으로 실시될 수 있음에 주지하기 바란다.
도1은 용지 급지 장치가 구비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복사 기기의 단면 설명도.
도2는 용지 급지 장치의 다중 급지부의 단면 설명도.
도3은 다중 급지부의 구동부에 대한 확대 설명도.
도4a, 도4b 및 도4c는 용지 급지 장치의 토크 제어 기구의 상세 구조 및 동작에 대한 설명도.
도5는 용지 급지 장치의 분리 롤러에 공급되는 복귀 토크(returning torque)의 크기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6은 용지 급지 장치의 용지 급지의 기계적 모델의 개략 설명도.
도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용지 급지 장치의 구동부에 대한 확대 설명도.
도8a, 도8b 및 도8c는 용지 급지 장치의 배면에서 보았을 때의 용지 급지 장치의 토크 제어 기구의 동작에 대한 설명도.
도9는 종래 기술의 용지 급지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용지 급지 롤러
52 : 용지 급지 롤러 샤프트
53 : 분리 롤러
54 : 분리 롤러 샤프트
60 : 가압 스프링
61 : 토크 제한기
70 : 매개판
74 : 용지 적재 트레이
91a : 공전 각도 확보 부재
91b : 토션 코일 스프링
92a : 래칫 기어
92b : 래칫 폴

Claims (14)

  1. 용지를 지지하는 용지 지지 수단과,
    상기 용지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 용지를 급지하는 용지 급지 수단과,
    상기 용지 급지 수단 사이의 용지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용지 급지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분리력을 제공하는 분리력 제공 수단과,
    상기 분리력 제공 수단에 의해 상기 분리 수단에 분리력을 공급하는 연결 상태와 상기 분리 수단에 분리력이 공급되지 않는 차단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는 분리력 전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력 전환 수단은 급지 개시 시점에서는 차단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용지 급지 수단이 용지를 급지 개시로부터 소정 거리를 급지한 때에는 연결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분리력 전환 수단이 차단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 수단에 공급된 분리력은 상기 분리력 전환 수단이 연결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의 분리력보다 더 작게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은 분리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력 전환 수단은 분리 롤러가 상기 분리력 제공 수단과 분리 롤러 사이의 일정한 회전 각도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간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력 제공 수단은 간격의 범위 내에서 용지 급지 방향에 반대되는 회전 방향으로 분리 롤러를 편향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력 제공 수단은 급지 개시 시점에서부터 차단 상태가 탄성 부재로 연결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까지의 기간 동안 연결 상태에서의 분리력보다 더 작은 분리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력 제공 수단은 상기 분리력 전환 수단이 연결 상태로 전환되는 때에 소정의 복귀 토크를 발생하기 위하여 토크 제한기를 통해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분리 롤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분리 롤러 및 토크 제한기는 토크 제한기에 의해 발생된 소정 토크가 분리 롤러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분리 롤러 샤프트에 부착되며, 분리 롤러와 분리 롤러 샤프트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기 위한 공전 각도 확보 부재가 토크 제한기와 분리 롤러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지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분리 롤러는 소정 토크를 발생하기 위하여 토크 제한기를 통해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분리 롤러 샤프트에 부착되며, 상기 분리력 전환 수단은 분리 롤러 샤프트를 용지 급지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공전시킬 수 있도록 토크 제한기와 분리 롤러 샤프트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분리력 전환 수단은 소정 각도만큼의 공전 후에 분리 롤러 샤프트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력 전환 수단은 분리 롤러 샤프트 상에 제공된 래칫 기어 및 이 래칫 기어와 맞물리는 래칫 폴을 포함하며, 간격은 래칫 기어의 코그로부터의 래칫 폴의 이탈에서부터 래칫 기어의 다음 코그에 대한 래칫 폴의 맞물림까지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되며, 분리 롤러 샤프트는 래칫 폴이 래칫 기어와 맞물릴때에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용지의 급지 개시 시점에서부터 상기 분리력 제공 수단이 상기 분리력 전환 수단에 의해 소정 분리력을 상기 분리 수단에 공급하는 시점까지의 기간 동안에 상기 용지 급지 수단이 용지를 이송하는 거리 L은 다음의 관계를 충족하며,
    L1 < L < L2
    여기서, L1은 적재된 용지의 첨단 위치에서부터 급지된 용지가 최초로 상기 분리 수단에 맞닿는 위치까지의 거리이며, L2는 적재된 용지의 첨단 위치에서부터 상기 용지 급지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이 서로 맞닿는 위치까지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급지 수단은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용지 급지 롤러와, 용지 급지 롤러에 대한 용지의 가압 맞닿음과 분리를 전환할 수 있는 용지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 급지 수단은 적재된 용지의 표면에 대한 가압 맞닿음과 분리를 전환할 수 있는 픽업 부재와, 상기 픽업 부재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회전 구동되는 용지 급지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지 장치.
  11. 용지를 지지하는 용지 적재 트레이와,
    상기 용지 적재 트레이에 의해 지지된 용지를 급지하는 용지 급지 롤러와,
    상기 용지 급지 롤러와 압력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구동원에 의해 용지 급지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분리력이 공급됨으로써 상기 용지 급지 롤러 사이의 용지를 분리하는 분리 롤러와,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이 전달됨으로써 회전되는 분리 롤러 샤프트와,
    상기 분리 롤러와 상기 분리 롤러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분리 롤러와 상기 분리 롤러 샤프트 사이의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의 상대적인 회전을 허용하기 위한 간격을 설정하는 공전 각도 확보 부재와,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용지 급지 방향에 반대되는 회전 방향으로 상기 분리 롤러를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공전 각도 확보 부재에 의한 상기 분리 롤러의 공전 시점에서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분리 롤러에 공급되는 분리력은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한 상기 분리 롤러의 분리력보다 더 작게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지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롤러 샤프트와 상기 분리 롤러 사이에, 상기 분리 롤러에 소정 토크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토크 제한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급지 장치.
  13. 용지를 지지하는 용지 지지 수단과,
    상기 용지 지지 수단에 의해 지지된 용지를 급지하는 용지 급지 수단과,
    상기 용지 급지 수단 사이의 용지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용지 급지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분리력을 공급하는 분리력 제공 수단과,
    상기 분리력 제공 수단에 의해 상기 분리 수단에 분리력을 공급하는 연결 상태와 상기 분리 수단에 분리력이 공급되지 않는 차단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는 분리력 전환 수단과,
    상기 용지 급지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 및 급지된 용지 위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력 전환 수단은 급지 개시 시점에서는 차단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용지 급지 수단이 급지 개시 시점에서부터 소정 거리 동안 용지를 급지한 때에는 연결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분리력 전환 수단이 차단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 수단에 공급된 분리력은 상기 분리력 전환 수단이 연결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의 분리력보다 더 작게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용지를 지지하는 용지 적재 트레이와,
    상기 용지 적재 트레이에 의해 지지된 용지를 급지하는 용지 급지 롤러와,
    상기 용지 급지 롤러와 압력 접촉되도록 제공되고, 구동원에 의해 용지 급지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분리력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용지 급지 롤러 사이의 용지를 분리하는 분리 롤러와,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이 전달됨으로써 회전되는 분리 롤러 샤프트와,
    상기 분리 롤러와 상기 분리 롤러 샤프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분리 롤러와 상기 분리 롤러 샤프트 사이에서 일정 각도 범위내의 상대적인 회전을 허용하기 위한 간격을 설정하는 공전 각도 확보 부재와,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용지 급지 방향에 반대되는 회전 방향으로 상기 분리 롤러를 편향시키는 스프링과,
    상기 용지 급지 롤러와 상기 분리 롤러에 의해 분리 및 급지된 용지 위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공전 각도 확보 부재에 의한 상기 분리 롤러의 공전 시점에서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분리 롤러에 공급되는 분리력은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한 상기 분리 롤러의 분리력보다 더 작게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1-0079897A 2000-12-18 2001-12-17 용지 급지 장치 및 용지 급지 장치가 구비된 화상 형성 장치 KR1004731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83267 2000-12-18
JP2000383267A JP3720706B2 (ja) 2000-12-18 2000-12-18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885A KR20020048885A (ko) 2002-06-24
KR100473135B1 true KR100473135B1 (ko) 2005-03-08

Family

ID=1885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897A KR100473135B1 (ko) 2000-12-18 2001-12-17 용지 급지 장치 및 용지 급지 장치가 구비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67767B2 (ko)
EP (1) EP1215147B1 (ko)
JP (1) JP3720706B2 (ko)
KR (1) KR100473135B1 (ko)
CN (1) CN1235097C (ko)
DE (1) DE6012991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3237A (ja) * 2000-05-29 2002-02-19 Ricoh Co Ltd 給紙装置
JP3720706B2 (ja) * 2000-12-18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US6896253B2 (en) * 2001-05-10 2005-05-24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material feed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US6824132B2 (en) * 2001-05-10 2004-11-30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US7040614B2 (en) * 2002-02-18 2006-05-09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device and recording apparatus
JP3754927B2 (ja) * 2002-03-12 2006-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回転体寿命予測方法
JP3710430B2 (ja) * 2002-04-05 2005-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165765B2 (en) * 2002-06-07 2007-01-23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JP4072397B2 (ja) * 2002-08-16 2008-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自動給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記録装置
KR100458825B1 (ko) * 2002-09-06 2004-12-03 신승기계공업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JP3805293B2 (ja) * 2002-09-09 2006-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サイズ検知装置とこの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4299872A (ja) * 2003-03-31 2004-10-28 Nisca Corp 原稿搬送装置及び原稿搬送方法、並びに画像読取装置
JP4604155B2 (ja) * 2003-04-24 2010-12-22 旭精工株式会社 コイン分離装置
KR20050061771A (ko) * 2003-12-18 200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이송장치
JP4250556B2 (ja) * 2004-04-02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960322B2 (ja) * 2004-06-25 2007-08-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被記録シート供給装置及び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630332B1 (ko) * 2004-06-29 2006-10-0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마찰력을 이용한 지폐분리장치
JP4496979B2 (ja) * 2005-02-10 2010-07-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トレイ及び記録装置
JP4845396B2 (ja) * 2005-03-17 2011-12-28 三洋電機株式会社 シートの重なり送り防止機構
JP4444876B2 (ja) * 2005-04-28 2010-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記録装置
JP2007217092A (ja) * 2006-02-15 2007-08-30 Fuji Xerox Co Ltd 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721056B2 (ja) * 2006-06-01 2011-07-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TWI289508B (en) * 2006-06-23 2007-11-11 Avision Inc Energy storing sheet separator for an automatic document feeder
US7571906B2 (en) * 2006-07-10 2009-08-1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Sheet feed mechanism
US20080099980A1 (en) * 2006-10-26 2008-05-01 Seiko Epson Corporation Sheet media feeding device, sheet media separation method, and sheet media processing device
JP4773384B2 (ja) * 2007-02-19 2011-09-14 株式会社Pfu シート給送装置
US7641188B2 (en) * 2007-04-24 2010-01-05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826812B2 (ja) * 2007-06-20 2011-1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給送装置、記録装置
JP4501990B2 (ja) * 2007-11-07 2010-07-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00353B2 (ja) * 2007-12-14 2012-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材給送装置
US7976147B2 (en) * 2008-07-01 2011-07-12 Eastman Kodak Company Inks for inkjet printing
US8215637B2 (en) * 2009-04-30 2012-07-10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convey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 sheet conveying apparatus
JP5229266B2 (ja) * 2010-04-28 2013-07-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記録機器
JP4841014B1 (ja) 2010-06-30 2011-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45638B2 (ja) * 2010-12-17 2014-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3946753B (zh) * 2011-11-17 2017-08-08 佳能株式会社 驱动力传递装置及使用该装置的成像装置
JP6084022B2 (ja) 2012-12-07 2017-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359159B2 (en) 2014-02-26 2016-06-07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5139511A (zh) * 2014-05-29 2015-12-09 恒银金融科技有限公司 一种金融自助终端用大容量纸币收纳装置
JP6424650B2 (ja) * 2015-01-29 2018-11-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JP7147421B2 (ja) * 2017-12-26 2022-10-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媒体給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CN108198328A (zh) * 2018-02-07 2018-06-22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自助设备的介质存储装置及自助设备的介质传输方法
CN112382447A (zh) * 2020-11-05 2021-02-19 深圳市强鸿电子有限公司 一种车载摄像头线缆处理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6334U (ja) * 1983-03-16 1984-09-29 株式会社リコー 分離給紙装置
JPH0318532A (ja) * 1988-11-17 1991-01-28 Ricoh Co Ltd シート送り装置
JPH03274556A (ja) * 1990-03-26 1991-12-05 Mitsubishi Kasei Corp 湿し水不要感光性平版印刷版
JPH04189226A (ja) * 1990-11-21 1992-07-07 Daiwa Seiko Inc 自動給紙装置
JPH1111709A (ja) * 1997-06-25 1999-01-19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00020669U (ko) * 1999-05-12 2000-12-05 윤종용 복합기의 급지 장치
JP2002179271A (ja) * 2000-12-18 2002-06-26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9247A (ja) * 1983-02-16 1984-08-27 Hitachi Ltd 自動給紙装置
US5901951A (en) * 1996-02-29 1999-05-11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upplying apparatus
JP3495559B2 (ja) * 1996-11-05 2004-02-09 株式会社リコー 自動給紙装置
EP0994052B1 (en) 1998-10-14 2004-03-24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3368248B2 (ja) * 1999-05-13 2003-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ならびに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US6382622B1 (en) * 1999-05-13 2002-05-07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TW470708B (en) * 2000-03-17 2002-01-01 Acer Peripherals Inc Automatic paper feeding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6334U (ja) * 1983-03-16 1984-09-29 株式会社リコー 分離給紙装置
JPH0318532A (ja) * 1988-11-17 1991-01-28 Ricoh Co Ltd シート送り装置
JPH03274556A (ja) * 1990-03-26 1991-12-05 Mitsubishi Kasei Corp 湿し水不要感光性平版印刷版
JPH04189226A (ja) * 1990-11-21 1992-07-07 Daiwa Seiko Inc 自動給紙装置
JPH1111709A (ja) * 1997-06-25 1999-01-19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00020669U (ko) * 1999-05-12 2000-12-05 윤종용 복합기의 급지 장치
JP2002179271A (ja) * 2000-12-18 2002-06-26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15147A3 (en) 2004-04-21
CN1235097C (zh) 2006-01-04
EP1215147B1 (en) 2007-08-15
DE60129918T2 (de) 2008-05-08
US6467767B2 (en) 2002-10-22
CN1360233A (zh) 2002-07-24
DE60129918D1 (de) 2007-09-27
US20020074712A1 (en) 2002-06-20
KR20020048885A (ko) 2002-06-24
JP2002179271A (ja) 2002-06-26
JP3720706B2 (ja) 2005-11-30
EP1215147A2 (en) 200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3135B1 (ko) 용지 급지 장치 및 용지 급지 장치가 구비된 화상 형성 장치
EP0994052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6378858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P0994051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6536759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KR100374275B1 (ko) 시트 급송 장치와, 시트 급송 장치가 구비된 화상 형성장치 및 화상 판독 장치
US6382622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H08225167A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368252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JP3406950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363831B2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JP3368253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JP2000302260A (ja) 給紙装置、ならびに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3083088B2 (ja) 給紙装置、ならびに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3624108B2 (ja) 給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2001063856A (ja)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シート材処理装置
JP2001130754A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1039567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JPH0412048Y2 (ko)
JP2003276861A (ja) 給紙装置
JP2007015836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8333056A (ja) 両面装置
JP3083089B2 (ja) 給紙装置、ならびに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2004115201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130757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