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659B1 - 지지띠로부터 기면으로 필름을 이송하기 위한 수동식 장치 - Google Patents

지지띠로부터 기면으로 필름을 이송하기 위한 수동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659B1
KR100472659B1 KR10-2002-7001507A KR20027001507A KR100472659B1 KR 100472659 B1 KR100472659 B1 KR 100472659B1 KR 20027001507 A KR20027001507 A KR 20027001507A KR 100472659 B1 KR100472659 B1 KR 100472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reel
bearing
ring gear
manu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5115A (ko
Inventor
보우베레세쟌느앙띠드
멜란한스-페터
후쓰마허빈프리트
푸어스콧
젬러게오르그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빅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빅
Publication of KR20020035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10T156/1348Work traversing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88Work traversing type and/or means applying work to wall or static structure
    • Y10T156/1795Implement carried web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8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handle or handgrip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Unwinding Web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봇 베어링(11,12)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띠(2)의 공급릴(4)과 회수릴(5)이 하우징(6)에 장착되고, 상기 피봇 베어링은 환상의 또는 속이 빈 원통형상의 베어링 조인트(10)의 영역에서 서로 슬리브(13,14,15,16)처럼 맞물려 있는 2개의 동축상으로 배치된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들로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 중의 하나의 저널(14)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6)에 고정되고 다른 베어링 부시(16)은 관련된 회수릴(5)의 일부를 이루며, 링기어(26)와 치합되는 고정폴(25)을 구비한 역전방지부(24)가 상기 공급릴(4)과 회수릴(5)에 제공되는 접착제, 커버재, 또는 도료재로 이루어진 필름을 상기 지지띠(2)로부터 기면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동식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소형화 설계와 경제적인 생산을 위해, 고정폴(25)은 탄성력에 대항하여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한개의 피봇베어링(11)에 형성되고, 링기어(26)는 다른 저널(14)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지지띠로부터 기면으로 필름을 이송하기 위한 수동식 장치{Manual Device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Backing Strip to a Substrate}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수동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수동식 장치에 있어서, 작동상태에 있을 때, 필름은 수동으로 발생되는 운동에 의해 수동식 장치가 기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공급릴로부터 풀리며, 필림이 지지띠로부터 분리되는 것과 동시에 지지띠는 공급릴에서 풀려 회수릴로 감기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지지띠가 회수릴에 감기는 속도가 최소한 지지띠가 공급릴로부터 풀리는 속도만큼 커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지지띠가 회수되는 동안에 지지띠의 처짐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수동식 장치가 동작하지 않게 된다. 구동연결부는 공급릴과 회수릴의 사이에 구비되며, 회수릴의 되감기 속도가 공급릴의 풀림 속도보다 빠르게 되는 동력전달비로 회수릴을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공급릴과 회수릴의 유효감김직경은 계속적으로 변한다는 것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문제는 첫째로 구동연결부가 회수릴을 빠르게 구동시켜 유효한 되감기 속도가 항상, 즉 회수릴의 감김직경이 최대로 되고 공급릴의 감김경이 최소로 될 때 조차도 풀림 속도와 동일하거나 보다 빠르도록 함으로써 해결되며, 둘째로 구동연결부가 비록 회수릴이 계속적으로 유효 토크로 구동되어 지지띠가 인장력을 받는 상태에서 감기고 동시에 구동연결부내에서 슬립이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되감기는 지지띠가 절단되지 않도록 하는 슬립기능을 갖는 구동연결부에 의해 해결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수동식 장치의 작동상태에서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는 지지띠를 제거함으로써 발생되는 회전운동 후에 공급릴과 회수릴이 둘다 다소간 역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것인 바, 이는 지지띠에 작용하는 응력에 기인할 수 있다. 이렇게 역전하는 릴은 약간의 처짐을 일으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수동식 장치의 기능이 훼손될 수 있다.
상술한 형식의 수동식 장치는, 예컨데 EP 0276396 B2, EP 0680914 D1, EP 0656308 D1, 및 DE 3900156 C2 에 기술되어 있다. 종래의 수동식 장치에서, 공급릴과 회수릴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회전축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DE 3900156 C2에 기술된 바와 같이 그들이 동일한 회전축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EP 0267396 B2에 기술된 수동식 장치에 의하면, 공급릴과 회수릴 사이의 구동연결부는 중간기어를 구비한 기어구동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역전방지부는 중간기어와 맞물리며, 적어도 한개 이상의 탄성촉이 형성된다. 탄성촉은 그 일단이 하우징에 고정되고, 탄성 자유단은 중간기어의 치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설계는 구성부품이 많을 뿐만 아니라, 중간기어와 탄성촉이 하우징내에 간섭없이 수납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시 상당히 큰 설치공간이 필요하다.
EP 0680914 B1에 기술된 수동식 장치에서는, 공급릴과 회수릴 사이의 구동연결부는 마찰차구동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회수릴의 역전방지부는 회수릴의 베어링 부시의 방사면 상에 형성된 치면으로 형성되며(도 3), 이 치면은 하우징에 고정된 반대측 표면의 대응되는 기어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설계에서는, 회수릴이 동작 도중에 역전방지부에 의해 회전할 때 반드시 약간의 축방향 유동이 발생하는바, 상기와 같은 축방향 유동은 마찰구동과 지지띠의 되감기 모두에 불리하다. 또한, 회수릴의 치면이 대응되는 기어와 부딪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 부재가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상술한 설계와 유사한 것이 EP 0656308 B1에 기술된 수동식 장치이다. 이에 의하면, 공급릴과 회수릴 사이의 구동연결부 또한 마찰차구동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회수릴에 맞물리는 역전방지부는 회수릴에 마련된 마찰차의 요홈에 형성된 고정폴(locking pawl)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폴은 자유단에 폴을 구비하고, 하우징의 내면에 설치된 링형치 상의 치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예장력을 받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설계도 또한 추가적인 구성요소, 즉 링형치가 필요하고, 더구나 고정폴의 탄력적 유연성에도 불구하고 역전방지부가 너무 많이 회전하면 회수릴이 축방향이동을 하거나 최소한 축이동 방향으로 밀릴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회수릴 몸체 상의 아주 작은 환상영역만이 회수릴을 설치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마멸이 증가될 우려가 있다.
DE 3900156 C2에 기술된 수동식 장치는 공급릴과 회수릴이 동축상에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구동연결부는 서로 인접한 양 릴벽 사이에 설치되며, 커플링치로 형성된다. 커플링치는, 한쪽 릴벽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반경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탄성암에 형성되며, 탄성암의 탄성적인 예장력을 이용하여 다른 릴벽의 링기어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가압하고 있다. 링기어의 치와 커플링치는 치측면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지지띠에 소정 이상의 인장응력이 작용하면 커플링치가 치사이의 틈새 외측으로 밀려나며 구동연결부에 상술한 슬립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설계는 회전하는 구성요소인 릴 사이에 구비된 구동연결부내에 슬립클러치를 포함한다. 이 마찰클러치는 역전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공급릴에 맞물리는 역전방지부가 마련된다. 여기서, 역전방지부는 고정폴의 형태로 공급릴 상의 링기어에 맞물리는 걸림핑거로 형성된다. 이런 형태의 역전방지부 또한 고가이며 크기가 크다. 즉, 걸림핑거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크기의 내부공간이 제공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는 수동식 장치의 전체 크기를 크게 만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소형화 설계가 가능한 수동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설계에 있어서, 서로 동축상에서 작동하는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들 상에 존재하며, 고정폴은 탄성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하도록 상기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 중의 하나에 형성되고, 링기어는 대응되는 다른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장치는 소형화에 의해 고정폴이나 링기어는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의 축 둘레 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하우징 내부에 부정적인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정폴이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 사이에서 신뢰성 있게 작동하고, 해당 릴이 고정폴의 동작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고정폴이 작동중에도 축방향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폴은 신뢰성 있게 동작하면서도 작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장치는 제조가 용이하고 재료도 적게 소요된다.
고정폴은 반경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거나 반경방향으로 변형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에, 고정폴에 반경방향으로 인접되어 있는 비사용 공간이 고정폴의 동작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비사용 공간은 하우징 내부의 비사용 공간이거나, 또는 재료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중공 원통형 저널의 형상을 갖는 내측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 내부의 비사용 공간을 말한다.
고정폴이 폴암(pawl arm)의 자유단에 형성되면, 폴암에 내재된 탄성을 스프링력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폴을 동작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스프링 부재가 필요하지 않다. 결과적으로, 이 폴암이 마련되는 릴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폴암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게 된다. 특히, 후자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폴암의 길이가 그 폭보다 크게 되기 때문에 좁은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고정폴이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이 중첩되는 장소, 즉 베어링 내에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설계는 또한 축방향으로 작게 즉, 납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폴은 관련되는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의 요홈에 형성될 수 있다. 공간은 고정폴이 동작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또한, 동작중에는 고정폴이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들 사이에 위치하고 특히 속이 빈 원통 형상이며 링기어의 기어치 사이의 틈새에 맞물리는 베어링 조인트 밖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고정폴의 링기어는 관련되는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에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런 형식의 설계에서,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들이 축방향으로 함께 눌리면, 고정폴이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움직일 수 있어 다른 베어링의 해당부분에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수동식 장치를 조립할 때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을 축방향으로 조립하는 것이 불가능하지 않다. 더욱이, 두개의 고정폴을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므로 고정폴의 탄성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도 고정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이때, 한개의 고정폴을 원주방향으로 편위시킴으로써, 한개의 고정폴이 기어치 사이의 틈새에 위치할 때 다른 고정폴은 링기어의 기어치 위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릴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기어치의 각을 비교적 편평하게 한 경우에도, 작은 고정단면으로 해당 릴의 역전을 막아 처짐이 형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설계는 기존의 구성부품 상에 하나의 구성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부가적인 구성부품이 필요없다. 특히, 수동식 장치의 해당 부품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지는 경우에는 이를 위한 사출성형을 포함하는 제조공정이 적합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설계에서, 고정폴은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 사이, 즉 고정폴이 공간을 간섭하지 않고 이로 인해 지지띠의 사이클을 방해할 수 없는 하우징의 내측 공간에서 작동한다.
이하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이점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하우징이 열린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회전축에 대해 수직방향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릴(공급릴 또는 회수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릴을 축방향에서 본 부분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하우징이 닫힌 상태이며 부분적 단면이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수동식 장치의 평면도이며, 여기서 회수릴은 다소 다른 설계로 도시된 도면, 그리고,
도 5는 도 4의 V-V에서 본 부분단면의 확대도이다.수동식 장치(1)는 지지띠(2) 상에 부착된 필름을 기면으로 이동시킨다. 지지띠(2)는 수동식 장치(1)의 하우징(6)에 설치된 공급릴(4)과 회수릴(5) 상에 감겨 있다. 작업부재(7)는 지지띠(2)가 그 둘레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하우징(6)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수동식 장치(1)가 지나가는 것과 동시에 작업부재(7)가 기면상에 가압됨으로써 지지띠의 2a부가 공급릴(4)로부터 풀려지고, 자동적으로 지지띠의 2b부로 되어 회수릴(5)에 감긴다.
삭제
본 실시예에서 공급릴(4)과 회수릴(5)은, 지지띠(2)의 접촉 높이 E 상에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2개의 회전축(8, 9) 주위를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양 릴(4,5)의 피봇 베어링(11,12)은 각각 릴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하우징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기로는 속이 빈 원통형의 저널(14)과, 바람직하기로는 속이 빈 원통형상을 가지며 저널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릴(4,5)에 설치된 베어링 부시(15,16)로 이루어 진다. 각 릴(4,5)의 축방향 위치는 하우징(6)의 반대쪽 벽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 참조부호 10은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 사이의 환상의 또는 중공 원통상의 베어링 조인트를 나타낸다.
각 릴(4,5)은 지지띠(2)가 감겨 있거나 감길 원통형의 감김부재를 구비하며, 감김부재는 각각의 베어링 부시(15,16)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각 릴(4,5)은 한쪽 또는 양쪽 측면에 원판상의 릴벽(18,19)을 구비하고 있으며, 릴벽의 반경 치수는 회전축(8,9) 사이의 축간 거리보다 크기 때문에 각 릴벽(18,19)은 일측에서 서로 겹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 릴(4,5)은 양측면 릴벽(18,19)을 갖고 있으며, 공급릴(4)의 릴벽(18)은 각 릴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되는 반경(도 4) 또는 원추형(도 2) 마찰면(21), 또는 환상의 마찰면에서 회수릴(5)의 릴벽(19)과 겹쳐진다.
일체로 된 마찰클러치(23)를 구비한 구동연결부(22)가 공급릴(4)과 회수릴(5) 사이에 형성된다. 구동연결부(22)는, 모든 경우의 유효 감김직경(공급릴(4)이나 회수릴(5)이 가득 차거나 빈 경우)의 상태를 고려하여, 회수릴(5)이 빠르게 구동되어 감겨질 지지띠의 2b부가 항상 약간의 인장력을 받도록 설계된다. 이 과정에서 마찰클러치(23)는 지지띠(2)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마찰클러치(23)는 소정의 구동토크 이상에서 동작하여 구동연결부(22)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회수릴(5)이 빠른 속도로 구동될 지라도 회수릴은 지지띠(2)의 이동속도에 대응하는 감김속도로 회전한다. 상술한 구동과 미끌림 효과는 대응되는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적어도 한 쌍의 릴벽(18,19) 사이의 마찰-회전 결합에 의해 보증된다. 각 릴(4,5)의 코일크기에 따라 구동연결부(22)는 회수릴(5)을 보다 빠르게 구동하는 수단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연동수단은 마찰접촉영역에서 공급릴(4)의 릴벽(18) 접촉직경이 회수릴(5)의 릴벽(19) 접촉직경보다 크도록 구성함으로써 구현된다. 상호 접촉하고 있는 릴벽(18,19) 사이에 작용하는 축방향 압축응력을 이용하여 각 릴벽(18,19) 사이에서 마찰효과를 얻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게 된다. 이때, 압축응력은 릴벽(18,19) 중의 하나 또는 전부를 탄성체로 함으로써 발생시킬 수 있다. 이경우, 릴벽(18,19)을 구비한 각각의 릴(4,5)은 요구되는 측방향 응력이 존재하도록 설치된 경우에 릴벽(18,19)이 상호 접촉되도록 작게 및/또는 크게 사전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치사이에 틈이 있는 치형의 요철부(미도시)에 의해 마찰효과를 얻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때, 각 릴벽(18,19)은 축방향 응력에 의해 서로 접촉될 필요는 없으며, 이보다는 치가 초과압력을 받고 있을 경우에 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분리된다.
지지띠(2)에 작용하는 응력과 같은 것에 의해 각 릴(4,5)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각의 저널과 베어링 부시(13~16) 영역의 두 개의 릴(4,5) 중 하나에는 역전방지부(24)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역전방지부(24)는 회수릴(5)의 저널(14)과 베어링 부시(16)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베이링 부시(16)는 릴 지지체로서 릴(5)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역전방지부(24)는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고정폴(25)을 구비한 고정폴 드라이브와 고정폴이 맞물리는 링기어(26)로 형성된다. 이때, 고정폴(25)은 자신에 속하는 저널이나 베어링 부시 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되고, 링기어(26)는 상기 고정폴(25)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저널이나 베어링 부시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폴(25)은 베어링 부시(16)에, 링기어(26)는 저널(14)에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기어(26)는 일예로 속이 빈 원통 저널(14)의 축방향의 돌출영역에 형성된다. 이는 환상홈(27) 영역에 배치된 링기어(26)에 의해 달성된다. 치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기어치는 베어링 표면 이상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환상홈(27) 내에 형성되므로 회전부가 파손되지 않는다. 고정폴(25)은 고정폴(25)의 동작이 가능한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부시(16)의 미사용 공간부 또는 베어링 부시(16)의 요홈부(29)에 위치하며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폴암(28)의 자유단에 형성되며, 폴암(28)은 고정폴(25)과 떨어져 있는 타단에서 베어링 부시(16)와 연결된다. 폴암(28)의 자유단은 고정폴(25)을 구비하며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굽혀질 수 있다. 예컨데, 폴암(28)이 응력이 작용하지 않는 중립위치 또는 걸림위치에 있을 때 고정폴(25)은 베어링 부시(16)의 내부보호면을 벗어나 돌출되며, 고정폴은 링기어(26)의 기어치 사이의 틈새로 돌출된다. 링기어(26)의 기어치 측면 및/또는 고정폴(25)의 측면은 측면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지지띠(2)에 소정 이상의 인장응력이 가해져 회수릴(5)이 회수방향으로 회전하면 고정폴 드라이브가 미끄러 진다. 이때, 고정폴(25)은 링기어(26)로부터 밀려나가고, 바람직하게는 일련의 클릭음이 방출된다. 또한, 회수릴(5)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고정폴(25)은 고정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링기어(26)의 기어치와 바람직하게는 고정폴(25)의 기어치도 톱날형의 단면을 가지며, 회수방향으로 회전되는 고정폴(25)의 측면은 완만한 경사를 갖고, 그 반대 측면은 급경사를 이룬다. 고정폴(25)과 폴암(28)이 반경방향으로 돌설되는 경우에 지지띠(2)의 감김면을 이루는 베어링 부시(16)의 외부보호덮개의 기능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정폴(25)의 반경방향 치수 a는 고정폴(25)이 링기어(26)의 외측으로 밀리는 경우에도 고정폴(25)이 베어링 부시(16)의 외측면을 넘어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크기가 되어야 한다. 고정폴(25)의 반경방향 치수는 일예로 대략적 베어링 부시(16)의 반경 치수에 대응한다. 스프링 동작은 대략 고정폴(25)의 침입 깊이 만큼 고정폴(25)보다 얇고, 또한 베어링 부시(16)의 두께 c 보다 얇게 설계된 폴암(28)의 두께 b에 의해 이루어 진다. 그래서, 고정폴(25)과 폴암(28)이 베어링 부시(16)에 대해 외측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3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고정폴(25)을 저널(14)에 형성하고, 링기어(26)는 베어링 부시(16)에 형성하여 고정폴(25)이 반대의 반경방향으로 동작하게 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역전방지부(24)의 동작과 정지 기능은 해당 릴이 우발적으로 회전하는 것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폴암(28)의 탄성에 의해 고정폴(25)이 링기어(26)의 기어치나 기어치 사이의 틈새 바닥과 충돌되도록 고정폴(25)과 폴암(28)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의 고정폴(25)은 소위 고정폴 소음(클릭킹 노이즈(clicking noise))을 발생시킨다. 상기 소음은 고정폴이 기어치의 측면이나 기어치의 바닥과 충돌할 때 마다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고정폴은 서로 직경방향으로 대향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어느 하나의 고정폴(25)은 다른 고정폴이 기어치 사이의 틈새에 위치할 때 반대편 기어치 위에 위치하는 식으로 원주 방향으로 다른 고정폴과 편위될 수 있다.
하우징 벽은 통공내에 위치한 쐐기 형상의 작용부재(7)를 수용하며, 지지띠(2)가 통과하는 슬롯(31,32)이 작용부재(7)의 상하측과 하우징 벽 사이에 형성된다. 하우징(6)은 커버(34)에 의해 열고 닫을 수 있는 하우징 개구(33)를 구비함으로써 공급릴(4)과 회수릴(5)의 교환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저널(13,14)은 하우징에 영구 부착되어 있다.

Claims (19)

  1. 피봇 베어링(11,12)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띠(2)의 공급릴(4)과 회수릴(5)이 하우징(6)에 장착되고,
    상기 피봇 베어링은 환상의 또는 속이 빈 원통형상의 베어링 조인트(10)의 영역에서 서로 슬리브(13,14,15,16)처럼 맞물려 있는 2개의 동축상으로 배치된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들로 형성되며,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13~16)중의 하나의 저널(14)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6)에 고정되고 다른 베어링 부시(16)는 관련되는 회수릴(5)의 일부를 이루며,
    탄력성이 있고 탄성력에 대항하여 탄성변형하며 링기어(26)와 치합되는 고정폴(25)이 형성되는 폴암(28)을 구비한 역전방지부(24)가 상기 공급릴(4)과 회수릴(5)에 제공되는 접착제, 커버재, 또는 도료재로 이루어진 필름을 상기 지지띠(2)로부터 기면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동식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를 구현하는 상기 역전방지부(24)가 상기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13~16)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폴(25)은 자신에 속하는 상기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13~16)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되고, 상기 링기어(26)는 상기 고정폴(25)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고정폴(25)에 대응되는 상기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13~16)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폴(25)은 탄성력에 대항하여 유동하거나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용 수동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폴(25)은 상기 베어링 부시(16)에 형성되고, 상기 링기어(26)는 상기 저널(14)에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부시(16)가 릴 지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용 수동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암(28)은 상기 릴 지지체의 내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용 수동식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폴(25)은 상기 고정폴(25)의 동작이 가능한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베어링 부시(16)의 요홈부(29)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용 수동식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폴암(28)은 상기 관련되는 회전축(9)의 둘레에 원호 형상으로 굽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용 수동식 장치.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폴(25)은 상기 폴암(28)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폴암(28)의 일단은 반경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고 타단은 상기 베어링 부시(1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용 수동식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폴암(28)은 상기 릴 지지체의 내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용 수동식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폴(25)은 상기 고정폴(25)의 동작이 가능한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부시(16)의 요홈부(29)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용 수동식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폴암(28)은 상기 관련되는 회전축(9)의 둘레에 원호 형상으로 굽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용 수동식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26)는 상기 관련되는 저널(14)에 음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폴(25)은 상기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14,16) 사이의 분할 조인트(10)를 초과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용 수동식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26)는 환상(環狀)의 요홈(27)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용 수동식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26)는 상기 관련되는 저널(14)에 음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폴(25)은 상기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14,16) 사이의 분할 조인트(10)를 초과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용 수동식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26)는 환상(環狀)의 요홈(27)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용 수동식 장치.
  14.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암(28)에 마련된 상기 고정폴(25)이 상기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링기어(26)로부터 벗어난 상기 고정폴(25) 또는 상기 폴암(28)의 일측에 자유공간(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용 수동식 장치.
  15.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개의 고정폴(25)이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용 수동식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한개의 고정폴(25)이 상기 링기어(26)의 기어치 사이의 틈새에 위치하는 경우, 다른 고정폴(25)이 상기 링기어(26)의 반대측 기어치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한개의 고정폴(25)이 반경방향으로 편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용 수동식 장치.
  1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폴(25), 상기 폴암(28) 및, 상기 링기어(26)는 각각에 상응하는 상기 관련되는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14,16)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용 수동식 장치.
  1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폴(25) 또는 링기어(26)의 기어치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톱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용 수동식 장치.
  19.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 중의 하나, 특히 반경상으로 내측의 베어링 저널 또는 부시(13,14)은 상기 하우징(6)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용 수동식 장치.
KR10-2002-7001507A 1999-08-03 2000-07-18 지지띠로부터 기면으로 필름을 이송하기 위한 수동식 장치 KR100472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6445A DE19936445B4 (de) 1999-08-03 1999-08-03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DE19936445.1 1999-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115A KR20020035115A (ko) 2002-05-09
KR100472659B1 true KR100472659B1 (ko) 2005-03-09

Family

ID=7916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507A KR100472659B1 (ko) 1999-08-03 2000-07-18 지지띠로부터 기면으로 필름을 이송하기 위한 수동식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6601632B2 (ko)
EP (1) EP1200332B1 (ko)
JP (1) JP4659315B2 (ko)
KR (1) KR100472659B1 (ko)
CN (1) CN1127441C (ko)
AT (1) ATE280727T1 (ko)
AU (1) AU764983B2 (ko)
BR (1) BR0012943A (ko)
CA (1) CA2379753C (ko)
DE (2) DE19936445B4 (ko)
ES (1) ES2226905T3 (ko)
MX (1) MXPA02001060A (ko)
RU (1) RU2203846C1 (ko)
WO (1) WO2001009026A1 (ko)
ZA (1) ZA2002003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3906A (ja) * 2000-02-25 2003-08-12 ビック ドイチェラ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ツェーオー 搬送コイル付きディスペンサ
JP4615781B2 (ja) * 2001-08-20 2011-01-19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US20050056377A1 (en) * 2003-09-17 2005-03-17 General Co., Ltd. Transfer tool
JP4491550B2 (ja) * 2004-12-28 2010-06-30 コクヨ株式会社 係合装置及び転写具
JP4644840B2 (ja) * 2005-04-27 2011-03-09 コクヨ株式会社 カバーの係止構造及び転写具
US20070107828A1 (en) * 2005-11-16 2007-05-17 Huber Engineered Woods L.L.C. Tape pressure roller with patterned surface for tape applicator
US20070125475A1 (en) * 2005-12-05 2007-06-07 Huber Engineered Woods Llc Handheld tape applicator and components thereof, and their methods of use
JP4829068B2 (ja) * 2006-10-12 2011-11-30 株式会社クレハ 収納容器付きスプール
US20090107636A1 (en) * 2007-10-26 2009-04-30 Chun-June Yang Two-side adhesive tape device
US8490271B2 (en) 2007-12-10 2013-07-23 Universal Instruments Corporation Flexible substrate tensioner
US8726146B2 (en) 2008-04-11 2014-05-13 Advertising.Com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content association
JP2011110786A (ja) * 2009-11-26 2011-06-09 Plus Corp 塗布膜転写具
US8397784B2 (en) 2010-08-31 2013-03-19 Sanford, L.P.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DK177129B1 (da) 2010-09-06 2011-12-19 Barry Daniel En håndholdt tildækningsanordning
CA139575S (en) * 2010-09-15 2011-10-07 Kokuyo Kk Coating film transfer tool
US8746313B2 (en) 2010-12-29 2014-06-10 Sanford, L.P. Correction tape re-tensioning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comprising same
US8578999B2 (en) 2010-12-29 2013-11-12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US8746316B2 (en) 2011-12-30 2014-06-10 Sanford, L.P. Variable clutch mechanism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with variable clutch mechanism
JP6257068B2 (ja) * 2013-02-18 2018-01-10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JP6247199B2 (ja) 2014-12-09 2017-12-13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JP6321537B2 (ja) 2014-12-26 2018-05-09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JP6836800B2 (ja) * 2016-06-24 2021-03-03 株式会社トンボ鉛筆 横引型塗膜転写具
US9969590B2 (en) * 2016-06-24 2018-05-15 Tombow Pencil Co., Ltd. Horizontal-pull coating film transferring tool
KR102418033B1 (ko) 2017-07-04 2022-07-07 가부시키가이샤 돔보 엔피쓰 도막 전사구
JP7095856B2 (ja) 2017-07-04 2022-07-05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CN110203776A (zh) * 2018-02-28 2019-09-06 燕山大学 一种软管软带便捷收发装置
JP7219943B2 (ja) 2018-03-13 2023-02-09 株式会社トンボ鉛筆 感圧転写修正テープ
CN108855752B (zh) * 2018-06-08 2020-06-30 三明学院 一种高空自动刷漆装置
JP7449032B2 (ja) 2020-12-10 2024-03-13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塗膜転写具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8722A1 (de) * 1986-11-13 1988-05-26 Pelikan Ag Geraet zum auftragen eines klebstoff-filmes
DE8813861U1 (ko) * 1988-11-05 1988-12-22 Pelikan Ag, 3000 Hannover, De
DE3900156A1 (de) 1989-01-04 1990-07-05 Czewo Plast Kunststofftech Vorrichtung zum auftragen eines klebstoffilms
DE3911402A1 (de) * 1989-04-07 1990-10-11 Wischerath Josef Gmbh Co Kg Vorrichtung zum aufbringen eines adhaesiven materials
JPH03128299A (ja) * 1989-10-14 1991-05-31 Shiide Rubber Kogyo Kk 手持式転写塗膜転写器
JPH0426966U (ko) * 1990-06-29 1992-03-03
JP2532967Y2 (ja) * 1991-05-09 1997-04-16 ゼネラル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JP2639606B2 (ja) * 1991-08-30 1997-08-13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
JP2807805B2 (ja) * 1993-09-22 1998-10-08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
JP2829699B2 (ja) 1993-12-03 1998-11-25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
DE9407305U1 (de) 1994-05-02 1994-09-22 Czewo Plast Kunststofftech Vorrichtung zur Abgabe von Auftrags-Material
DE19702345A1 (de) * 1997-01-23 1998-07-30 Tipp Ex Gmbh & Co Kg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US6125903A (en) * 1998-06-15 2000-10-03 Toyo Chemical Co., Ltd. Adhesive transfer device
US6394165B1 (en) * 1998-11-09 2002-05-28 Steven M. Rader Self-adhesive element dispenser and applicator device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200352B (en) 2003-03-26
EP1200332B1 (de) 2004-10-27
JP2003506291A (ja) 2003-02-18
CA2379753A1 (en) 2001-02-08
ATE280727T1 (de) 2004-11-15
ES2226905T3 (es) 2005-04-01
AU6824600A (en) 2001-02-19
KR20020035115A (ko) 2002-05-09
CA2379753C (en) 2008-10-14
BR0012943A (pt) 2002-04-30
AU764983B2 (en) 2003-09-04
WO2001009026A1 (de) 2001-02-08
EP1200332A1 (de) 2002-05-02
CN1127441C (zh) 2003-11-12
US6601632B2 (en) 2003-08-05
DE19936445A1 (de) 2001-02-15
CN1367755A (zh) 2002-09-04
DE50008433D1 (de) 2004-12-02
MXPA02001060A (es) 2002-08-20
JP4659315B2 (ja) 2011-03-30
US20020088554A1 (en) 2002-07-11
DE19936445B4 (de) 2004-03-04
RU2203846C1 (ru) 200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2659B1 (ko) 지지띠로부터 기면으로 필름을 이송하기 위한 수동식 장치
US5770007A (en) Device for dispensing transfer material
US20050239556A1 (en) Sliding clutch for a device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backing tape
US20050130794A1 (en) One-way clutch
WO1996005400A1 (en) Spring clutch assembly with integrated ratchet
KR20000006364A (ko) 도포막전사기구
AU770224B2 (en) A hand-held device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backing tape onto a substrate having backing tape reels arranged next to each other
AU3708399A (en) Manual device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supporting strip to a substrate
KR100522862B1 (ko) 클러치모터
CA2482218A1 (en)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JP6966530B2 (ja) コイルばねを利用したロックタイプ双方向クラッチ
US5211355A (en) Gear support construction for fishing reel
KR100243462B1 (ko) 원터치 캡을 갖는 베이트 캐스팅 릴
JP3132120U (ja) ハウス栽培用シート等の巻き取り軸装置
KR200354670Y1 (ko) 역회전 방지 구조를 가지는 동기모터
JPH11336797A (ja) 一方向クラッチ
JP2002238415A (ja) 魚釣用リール
JPH04107326A (ja) ク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