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0457B1 -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0457B1
KR100450457B1 KR10-2002-7001154A KR20027001154A KR100450457B1 KR 100450457 B1 KR100450457 B1 KR 100450457B1 KR 20027001154 A KR20027001154 A KR 20027001154A KR 100450457 B1 KR100450457 B1 KR 100450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control device
call
elevator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1164A (ko
Inventor
나카이쇼지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1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4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적어도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3a 내지 3c)와 운전 제어 장치(2a 내지 2c)를 각 엘리베이터마다 서로 전송로(11a 내지 11c)를 거쳐서 접속함과 함께, 모든 운전 제어 장치(2a 내지 2c)와 군관리 제어 장치(1)를 서로 전송로(19)를 거쳐서 접속하고,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3a 내지 3c)와 군관리 제어 장치(1)의 접속을 분리한다. 이에 따라, 각 층의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와 운전 제어 장치를 각 1카 시스템마다 1계통의 전송로로 접속함과 함께, 각 운전 제어 장치와 군관리 제어 장치를 다른 전송로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군관리 제어 시스템의 구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FOR GROUP-CONTROLLED ELEVATORS}
종래의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으로서는, 각 층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와 군관리 제어 장치를 전송로로 직접 접속한 것이 있다. 군관리 제어 장치는 등록된 승강장 호출을 검출하면,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에 대해서는 승강장 호출 버튼 점등 신호를 출력하고, 운전 제어 장치에 대해서는 할당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엘리베이터를 등록된 승강장 호출에 응답시킨다.
또한, 다른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는, 일본국 특개평 9-151043호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도 16에, 이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다.
이 종래의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는, 1층에서 n층의 층 바닥에 2대의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관리하는 경우의 시스템이다. 참조번호 101, 102는 각각의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각 호기 운전 제어 장치이다. 참조번호 104, 105는 승강장 제어 장치이고, 1층부터 n층까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층의 승강장 제어 장치 (1041내지 104n, 1051내지 105n)는 승강장 전송 중계 장치(114), 승강장 전송 라인(116)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층의 승강장 제어 장치(1041내지 104n, 1051내지 105n)에는, 승강장 호출 버튼(108a내지 108na)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호출 신호 등의 승강장 데이터는 승강장 전송 라인(116)을 거쳐서 승강장 전송 중계 장치(114)로 전송되고, 이 승강장 전송 중계 장치(114)로부터 각 호기 전송 라인(117, 118)을 거쳐서 각각 대응한 각 호기 제어 장치(101, 102)로 송신된다. 또한, 운전 제어 장치(101)로부터 송신된 제어 데이터는 각 호기 전송 라인(117, 118)으로부터 승강장 전송 중계 장치(114)를 거쳐서 승강장 전송 라인(116)으로부터 각 층의 승강장 제어 장치(1041내지 104n, 1051내지 105n)로 송신된다.
군관리 제어 장치(110)는 군관리 전송 라인(121, 122)을 거쳐서 각 운전 제어 장치(101, 102)와 접속되고, 전송 라인(115)을 거쳐서 승강장 전송 중계 장치 (114)와 접속되어 있다. 승강장 전송 중계 장치(114)는 각 운전 제어 장치(101, 102)와 각 층의 승강장 제어 장치(1041내지 104n, 1051내지 105n) 사이의 전송 프로토콜을 맞추기 위해, 어느 한쪽의 프로토콜을 다른쪽의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전송 프로토콜 변환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송 프로토콜 변환부는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와 군관리 제어 장치(110)를, 승강장 전송 중계 장치(114) 및 군관리 전송 라인(121, 122)을 거쳐서 접속하고, 한쪽의 전송 프로토콜을 다른쪽의 전송 프로토콜로 변환해서 승강장 호출 등록이나 승강장 호출의 할당의 제어를 행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군관리 제어 시스템에서는, 시리얼 전송부를 거쳐서 접속된 각 층의 승강장 제어 장치(1041내지 104n, 1051내지 105n)의 기종이 다르거나, 보수 등에 의해 전송 프로토콜이 변경되었다고 해도, 확실하게 그 변경된 전송 프로토콜에 대응할 수 있고, 승강장 기기의 융통성을 향상시키며, 동일 시스템의 기기는 물론 타시스템 간에서의 승강장 기기의 통일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서는, 승강장 호출 입출력용의 전송로나, 엘리베이터의 도착이나 승강장 호출의 할당을 통지하는 랜턴용 또는 엘리베이터의 위치 표시용의 전송로를 각각 다른 계통에 배선해야만 하고, 배선 공사가 대규모이고 공사기간이 긴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개수(改修) 공사 시에, 복수의 1카(car) 시스템을 군관리 시스템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을 큰폭으로 교체할 필요가 있고, 개수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 노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각 층의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와 운전 제어 장치를 각 1카 시스템마다 1계통의 전송로로 접속하는 동시에, 각 운전 제어 장치와 군관리 제어 장치를 다른 전송로로 접속함으로써, 군관리 제어 시스템의 구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군(群)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 사이에 복수의 엘리베이터를 가동시키는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관리하는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각 운전 제어 장치에 군관리 기능을 겸비시킨 분산형의 제어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군관리 제어 장치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4는 운전 제어 장치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5는 승강장 호출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6은 운전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7은 케이지(cage)용 데이터, 군관리용 데이터의 데이터 구성의 설명도.
도 8은 케이지 호출 테이블, 승강장 호출 테이블, 할당 테이블 등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승강장 호출 입력의 스캔 전송 방식의 개념도.
도 10은 승강장 호출 입력 스캔 전송에서의 전송 맵도.
도 11은 승강장 호출 입력 스캔 전송에서의 전송 데이터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전송 처리의 상세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13은 전송 지연 시간 측정의 개념도.
도 14는 다중계(多重系)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군관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도 16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군관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등록된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복수대의 엘리베이터 중 최적인 엘리베이터를 할당해 운행을 관리하는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으로서, 각 층의 승강장 호출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와, 등록된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최적인 엘리베이터의 할당 제어를 행하는 군관리 제어 장치와, 각각의 엘리베이터가 개별로 갖고, 적어도 상기 승강장 호출의 할당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 장치와, 적어도 상기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와 운전 제어 장치를 각 엘리베이터마다 서로 접속함과 함께, 상기 모든 운전 제어 장치와 군관리 제어 장치를 서로 접속하고,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와 군관리 제어 장치의 접속을 분리하도록 한 전송 계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군관리 제어 장치에는, 운전 제어 장치와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를 연결하는 전송로를 거쳐서 승강장 호출이 송신되어 오므로, 군관리 제어 장치와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를 직접 접속하는 전송로가 필요없게 되고, 1카 구성의 엘리베이터를 복수 맞추어 군관리 시스템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2의 발명과 같이, 상기 각 운전 제어 장치에 서로 정보의 전송을 행하여 등록된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최적인 엘리베이터의 할당을 행하는 군관리 제어 기능을 겸비시키도록 하여, 상기 군관리 제어 장치 대신에 분산형의 군관리 처리 시스템으로 해도 좋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군관리 제어 장치는 미리 설정된 정지하지 않는 층 등의 정보를 기초로 승강장 호출 등록 허가의 결정을 하는 수단과, 결정한 승강장 호출 등록 허가 신호를 모든 운전 제어 장치에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전송 장치를 더 갖고, 상기 운전 제어 장치는 각 층에 설치된 상기 승강장 호출 입력 장치에 입력된 승강장 호출 신호를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수신함과 함께 일제히 동시 통보로 다른 운전 제어 장치 및 군관리 제어 장치에 상기 승강장 호출 입력 신호를 송신하는 전송 장치와, 동일층 바닥의 승강장 호출 버튼 램프를 점등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각 층에 설치된 승강장 호출 버튼이 눌리면, 정지하지 않는 층이나 건물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층의 승강장 호출 버튼의 램프를 모두 점등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 장치는 상기 군관리 제어 장치와의 전송 상황을 감시하고 고장을 검출하는 고장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고장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할당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것을 정지하고, 상기 승강장 호출 입력 장치에 의해 등록된 승강장 호출에 직접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전송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전송 장해가 생긴 경우에는, 군관리 제어 장치로부터의 지시를 받지 않고, 직접 자호기(自號機)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 장치는 복수의 운전 제어 장치 간에서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했을 때에 한쪽의 운전 제어 장치로부터 다른쪽의 제어 장치로 데이터가 전해지는 송신 시간을 연산하는 송신 시간 연산 수단과, 상기 승강장 호출 버튼 램프의 점등 신호의 출력을 상기 송신 시간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되는 송신 시간만큼 늦춰서 출력시키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승강장 호출의 전송 지연을 보충하도록 해서 점등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동일층의 승강장 호출 버튼 램프의 점등 타이밍을 맞추어, 일제히 점등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 장치는 적어도 승강장 호출에 응답해서 열려 있는 문을 닫고자 했을 때에 상기 승강장 호출에 응답한 운전 제어 장치에 접속된 상기 승강장 호출 버튼이 눌려진 때에는, 다른 운전 제어 장치 및 군관리 제어 장치에 상기 승강장 호출 입력 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상기 운전 제어 장치에서 문 개방 제어하는 문 개방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승강장 호출에 응답해서 열려 있는 문을 승강장 호출로 재개방시키는 경우, 다른 운전 제어 장치 및 군관리 제어 장치에 재개방을 위한 승강장 호출 입력을 송신하지 않고서 문 개방 제어를 하므로, 재개방의 반응이 빠르고, 또한 전송로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청구항 7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군관리 제어 장치와 운전 제어 장치를 서로 접속하는 제 1 전송로와는 달리, 복수의 운전 제어 장치를 서로 접속하는 제 2 전송로를 구비하고, 상기 고장 검출 수단이 고장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군관리 제어 장치는 제 1 전송로로부터의 승강장 호출 입력 신호의 수신을 정지하고, 제 2 전송로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승강장 호출 입력 신호를 사용하여 할당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제 1 전송로에서 전송 장해가 생겼을 경우라도, 제 2 전송로를 경유하여, 전송 장해를 일으킨 계통의 승강장 호출을 전송하고, 할당 제어를 행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8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7에 있어서, 동일층에 복수 존재하는 상기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를 적어도 이웃하는 것을 한 쌍으로 하여 백업 전송로를 거쳐서 각각 서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1계통의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의 전송로가 고장나도, 다른 계통의 전송로를 경유하여 승강장 호출의 등록이 가능해 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제 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제 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군관리 제어 시스템은 1층에서 8층까지의 층 바닥을 갖는 건물에서 3대의 케이지(cage)에 의해 운행 서비스를 행하도록 한 예로, 참조 번호 1이 등록된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할당 제어를 행하는 군관리 제어 장치이다. 2a, 2b, 2c는 각각 엘리베이터 a호기, b호기, c호기의 운전을 개별로 제어하는 운전 제어 장치이다.
이 도 1에서는, 도시를 간단 명료하게 하기 위해서, 1층과 2층의 2층 바닥분만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3대의 엘리베이터 중, 권상기(卷上機)나 케이지 등의 기기는 a호기만을 표시하고 있다. 케이지(6a)는 균형 추(7a)와 메인 로프(13a)로 연결되고, 권상기(8a)가 정회전(正回轉)·역회전함으로써, 승강로를 상승,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각 층의 승강장에는, 승강장 호출 신호를 발생하는 승강장 기기로서, 승강장버튼(4ai 내지 4ci) 및 승강장 랜턴(5ai 내지 5ci(i = 1, 2, …, 8))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는, 각각 a호기, b호기, c호기용의 승강장 버튼, 승강장 랜턴의 구별을 4, 5에 첨자 a, b, c를 붙여서 구별하고, 또한 층 바닥의 구별도 그 층의 숫자를 첨자로 함으로써 구별하고 있다(이하, 각 층, 각 호기에서 공통되는 기기류의 구별의 방법은 같음).
군관리 제어 장치(1)는 군관리의 처리를 실행하는 군관리 마이크로 컴퓨터(14)와, 신호의 송수신 기능을 담당하는 군관리용 전송 제어 장치(15)를 내장하고, 군관리용 전송로(19)를 거쳐서 a호기, b호기, c호기의 운전 제어 장치(2a 내지 2c)와 접속되어 있다.
운전 제어 장치(2a 내지 2c)는 각각 운전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18a 내지 18c)와, 군관리 제어 장치(1)와의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군관리용 전송 제어장치(17a 내지 17c)와, 케이지(6a 내지 6c)와의 사이의 송수신 및 승강장 입출력 장치와의 사이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케이지용 전송 제어 장치(16a 내지 16c)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장 버튼(4ai 내지 4ci) 및 승강장 랜턴(5ai 내지 5ci)은 각 층의 승강장 호출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3ai 내지 3ci)를 인터페이스로 하여 각각 각 호기마다 운전 제어 장치(2a 내지 2c)와 승강장용 전송로(11a 내지 11c)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지(6a)에는, 케이지 조작 패널(10a)과, 송수신의 인터페이스를 행하는 케이지 입출력 장치(9a)를 갖고, 케이지 전송로(12a)를 거쳐서 운전 제어 장치(2a)와 접속되어 있다. 다른 b호기, c호기의 케이지도 동일하지만 도 1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여기서, 도 2는 도 1의 군관리 제어 장치(1) 대신에, 각 운전 제어 장치(2a 내지 2c)를 구비하는 운전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18a 내지 18c)에 군관리 제어 기능을 겸비시킴으로써, 분산형의 군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한 실시 형태이다.
또한, 각 운전 제어 장치(2a 내지 2c)의 군관리용 전송 제어 장치(17a 내지 17c)는 각 운전 제어 장치(2a 내지 2c) 간 상호의 신호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이 도 2에서는, 군관리 제어 장치(1)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군관리 제어 장치(1)의 처리 내용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 제어 내용은 도 2의 운전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18a 내지 18c)가 갖는 군관리 제어 기능과 공통되는 것이다.
도 3은 군관리 제어의 처리 내용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이 도 3에서, 스텝 S100은 승강장 호출 입력이나 케이지 호출 입력이 있던 때에, 그 승강장 호출이나 케이지 호출 입력이 유효한지의 여부를 판단할 때에 참조되는 등록 허가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이다. 이 승강장 호출 및 케이지 호출 등록 허가 정보는 도시하지 않은 감시 패널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정지하지 않는 층에 관한 정보나, 군관리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가 그 내부 기억 장치에 기억하고 있는 빌딩 구성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승강장 호출 및 케이지 호출 등록 허가 정보는 군관리 전송 장치(15)로부터 군관리용 전송로(19)를 거쳐서 a 내지 c의 전체 호기(號耭)의 운전 제어 장치(2a 내지 2c)로 송신된다. 군관리 제어 장치(1)의 다른 스텝(S200, S300, S400)의 처리 내용은 종래와 다른 것이 없으므로, 필요한 곳에서 수시로 설명한다.
도 4는 각 운전 제어 장치(2a 내지 2c)의 처리 내용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이하, 1층의 승강장 호출 버튼(4a1 내지 4c1) 중, 4a1이 눌려진 경우를 예로 해서, 승강장 호출의 등록으로부터 할당, 응답까지의 일련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운전 제어 장치(2a 내지 2c)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처리 기능을 케이지 호출 처리(스텝 S500), 승강장 호출 처리(스텝 S600), 운전 처리(스텝 S700)로 크게 나눌 수 있다.
1. 승강장 호출 처리
우선, 승객이 승강장 호출 버튼(4a1)을 누르면, 그 승강장 호출 입력 신호는 승강장 입출력 장치(3a1)에 입력되고, 승강장용 전송로(11a)를 거쳐서 a호기의 운전 제어 장치(2a)가 구비한 케이지용 전송 장치(16a)에 스캔 전송 방식에 의해 송신된다. 이 스캔 전송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케이지용 전송 장치(16a)는 승강장 호출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이 신호를 운전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18a)로 송신한다.
이 운전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18a)에는, 군관리 제어 장치(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승강장 호출 등록 허가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 호출 입력이 유효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유효한 승강장 호출 입력이면, 운전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18a)는 케이지용 전송 장치(16a)로부터 승강장용 전송로(11a)를 거쳐서, 승강장 입출력 장치(3a1)에 승강장 호출 램프의 점등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승강장 호출 입력이 등록되고, 1층에서는 승강장 호출 버튼(4a1)의 램프가 점등한다.
또한, 이러한 승강장 호출 입력의 등록과 승강장 버튼(4a1)의 점등과 동시에, 운전 제어 장치(2a)는 승강장 호출 입력 신호를 군관리용 전송 장치(17a)로부터 군관리용 전송로(19)를 거쳐서, 군관리 제어 장치(1)와, b호기, c호기의 운전 제어 장치(2b, 2c)로 송신한다. 승강장 호출 입력을 수신한 운전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18b, 18c)는 상기와 같이 승강장 호출 버튼의 램프의 점등 신호를 케이지용 전송 장치(16b, 16c)로부터 승강장용 전송로(11b, 11c)를 거쳐서 승강장 입력 장치(3b1, 3c1)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승강장 호출 버튼(4b1, 4c1)의 램프가 점등하고, 1층에서는 모든 승강장 호출 버튼(4a1, 4b1, 4c1)의 램프가 점등하게 된다.
한편, 군관리 제어 장치(1)가 구비하는 군관리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14)는 도 3의 플로우 챠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이 해서 최적 호기의 엘리베이터를 할당해서 승강장 호출에 응답시킨다. 즉, 운전 제어 장치(2a)로부터 승강장 호출 입력을 송신받은 군관리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14)는 군관리용 전송 장치(15)를 거쳐서 승강장 호출 입력을 검출하면(스텝 S200), 엘리베이터 각 호기의 상태를 기초로 평가 계산을 실시한다(스텝 S300). 그리고, 가장 평가값이 좋은 엘리베이터(예를 들면, c호기)를 최적 호기로서 선택하고, 그 할당 신호를 c호기의 운전 제어 장치(2c)에 군관리 전송 장치(15)로부터 군관리용 전송로(19)를 거쳐서 송신한다(스텝 S400).
2. 운전 처리
이렇게 해서 등록된 승강장 호출에 대한 할당 신호를 수신한 c호기의 운전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18c)는 등록 층인 1층의 승강장 랜턴(예보등)을 점등시켜서, 할당을 알림과 함께, c호기 엘리베이터를 응답시키는 운전 처리를 행한다(스텝 S700). c호기의 케이지가 1층에 다가와서 감속을 시작하면, 운전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18c)는 1층의 승강장 랜턴(도착등)을 점멸시켜 도착을 알리고, 또한 승강장 호출 버튼의 램프 소거 신호를 생성한다. 이 램프 소거 신호는 c호기에서는 승강장용 전송로(11c)를 거쳐서 승강장 입출력 장치(3c1)로 전송되고, a호기, b호기에서는 각각 운전 제어 장치(2a, 2b)를 경유하여, 승강장 입출력 장치(3a1, 3b1)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1층에서는 c호기의 케이지의 도착과 함께, 승강장 호출 버튼(4a1, 4b1, 4c1)의 램프가 소등된다.
3. 케이지 호출 처리
이렇게 해서 c호기가 1층에서 문이 열리면, 승객이 케이지(6c)에 올라타고, 이 케이지 내의 케이지 조작 패널(10c)의 행선층의 케이지 호출 버튼을 누르면, 이하와 같이 해서 케이지 호출 처리가 실행된다.
케이지 호출 입력 신호는 케이지 입출력 장치(9c)로부터, 케이지용 전송로(12c), 케이지용 전송 장치(16c)를 거쳐서 c호기 운전 제어 장치(2c)의 운전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18c)로 송신된다. 이 운전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18c)는 군관리 제어 장치(1)로부터 군관리용 전송로(19)를 거쳐서 송신되어 오는 케이지 호출 등록 허가 정보를 참조하여, 케이지 호출 입력이 유효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유효하면, 케이지용 전송 장치(16c)로부터 케이지용 전송로(12c)를 거쳐서 케이지 입출력 장치(9c)에 케이지 호출 램프의 점등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c호기의 케이지(6c)에서는, 케이지 조작 패널(10c)의 행선층의 케이지 호출 램프가 점등하고, 케이지 호출 입력이 등록된다. 이와 동시에, 운전 제어 장치(2c)는 등록된 케이지 호출에 응답시켜 케이지(6c)를 행선층으로 향하게 한다. 케이지(6c)가 케이지 호출 등록층에 도착하고, 문이 열리면, 운전 제어 장치(2c)는 케이지 호출 램프 소거 신호를 케이지용 전송로(12c)를 거쳐서 케이지 입출력 장치(9c)의 케이지 호출 버튼의 램프를 소등시킨다.
이상, 승강장 호출의 등록, 할당, 응답까지의 일련의 처리의 흐름을 개괄해서 설명했지만,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4. 승강장 호출 처리의 상세 내용
도 5는 승강장 호출 처리(스텝 S200)의 내용을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의 (a)는 운전 제어 장치(2a 내지 2c)의 내부 기억 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케이지용 데이터의 구성도이다. 이 도 7의 (a)에서, 예를 들면 a호기의 케이지용 데이터는 CAREL(0), b호기 케이지용 데이터는 CAREL(1), c호기의 케이지용 데이터는 CAREL(2)로 할당되어 있다. 이들의 케이지용 데이터는 a호기 내지 c호기의 운전 제어 장치(2a 내지 2c)의 상호간에 송수신을 정기적으로 반복함으로써, 데이터의 내용을 최신의 것으로 갱신하고 있다. 예를 들면, a호기의 운전 제어 장치(2a)이면, CAREL(0)의 데이터를 b호기의 운전 제어 장치(2b)와 c호기의 운전 제어 장치(2c)로 송신하고, CAREL(1)의 데이터는 운전 제어 장치(2b)로부터, CAREL(2)의 데이터는 운전 제어 장치(2c)로부터 각각 수신하고 있다.
우선, 각 호기의 운전 제어 장치(2a 내지 2c)의 운전 제어 마이크로 컴퓨터(18a 내지 18c)는 자호기(自號耭) 또는 타호기(他號耭)의 승강장 호출 입력 또는 재개방 지령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201). 이하, 1층의 a호기의 승강장 호출 버튼(4a1)이 눌려진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a호기의 운전 제어 장치(2a)는 CAREL(0)의 승강장 호출 입력 정보와, 승강장 호출 소거 정보를 참조하여, 승강장 호출 입력이 있던 층(이 예에서는 1층)에서 승강장 호출 소거 신호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02). 이 층에서 승강장 호출 소거 신호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하는 것은(스텝 S202의 N), 자호기에서의 승강장 호출 입력이고(스텝 S220), b호기, c호기의 운전 제어 장치(2b, 2c)로 승강장 호출 입력을 송신한다.
승강장 호출 소거 신호가 1층에서 발생하고 있던 경우(스텝 S202의 Y)는, a호기의 문을 다시 열기 위해서 승강장 호출 버튼(4a1)이 눌려진 것인지, 또는 b호기, c호기의 문을 다시 열기 위해서 눌려진 것인지 알 수 없으므로, 다음 스텝 S203으로 진행된다. 여기서는, 1층에서 a호기가 문이 열려 있는 경우에는(스텝 S203의 Y), 자호기로의 재개방 요구인 것으로 판단하고, 재개방 지령을 송신한다 (스텝 S204).
한편, 1층에서 a호기가 문이 열려 있지 않고, 자호기로부터의 승강장 호출 입력이면, 타호기에 대한 재개방의 요구인 것으로 판단하고, 운전 제어 장치(2b, 2c)에 대하여 재개방 지령을 송신한다.
최후의 스텝 S230에서는, 도 8에 나타낸 승강장 호출 입력 테이블, 승강장 호출 등록 허가 테이블, 승강장 호출 소거 테이블의 데이터를 합성하고, 그 결과를 승강장 호출 램프의 점등 신호로서 출력한다(스텝 S230).
이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승강장 호출 입력 테이블에서는, 승강장 호출 입력이 있으면, 해당하는 층의 비트가 1로 세트된다. 마찬가지로, 승강장 호출 등록 허가가 있으면, 승강장 호출 등록 허가 테이블의 해당하는 층의 비트가 1로 세트되고, 승강장 호출 소거 신호가 생성되면, 해당하는 층의 비트가 1로 세트된다. 또한, 승강장 호출 등록 허가 정보에 정지하지 않는 층이 설정되면, 승강장 등록 허가 테이블의 해당 층의 비트는 0으로 된다.
이들의 데이터 테이블을 합성하는 것에 있어서는, 승강장 호출 입력과, 승강장 호출 등록 허가와, 승강장 호출 소거의 반전과의 논리곱 AND를 논리 연산해서 합성한다. 따라서, 승강장 호출 소거 신호가 생성되면, 합성하는 것으로 해당하는 층의 승강장 호출 입력은 소거되고, 정지하지 않는 층이 설정되면, 마찬가지로 해당하는 층의 승강장 호출 입력은 소거되어 이후는 승강장등록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케이지 호출 처리에서도,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케이지 호출 입력 테이블, 케이지 호출 등록 허가 테이블, 케이지 호출 테이블의 데이터를 마찬가지로 논리 연산에 의해 합성함으로써, 케이지 호출 테이블이 생성되고, 이에 기초하여 케이지 호출 버튼 램프의 점등 신호가 출력된다. 데이터 테이블의 포맷은 다르지만 처리 내용은 동일한다.
5. 전송 감시 기능을 부가한 운전 처리
다음에, 운전 처리의 내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운전 처리의 내용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이 운전 처리에서는, 최초에 a 내지 c호기의 운전 제어 장치(2a 내지 2c)와 군관리 제어 장치(1) 간의 데이터 전송이 정상으로 기능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701). 이것을 구체적으로, a호기의 운전 제어 장치(2a)와 군관리 제어 장치(1) 간의 데이터 전송의 체크를 예로 이하에 설명한다.
운전 제어 장치(2a)는 최초에 도 7의 (a)에 나타낸 케이지용 데이터의 CAREL(0)의 전송 이상 판별 정보에 1을 세트하고, 이 전송 이상 판별 정보를 군관리 제어 장치(1)로 송신한다. 군관리 제어 장치(1)는 전송 이상 판별 정보를 수신하면, 세트된 1의 값을 증분(increment)해서 1을 가산(加算)함과 함께, 도 7의 (b)에 나타낸 군관리용 데이터의 GRPEL(0)의 전송 이상 판별 정보에 증분한 값을 세트하고, 이 전송 이상 판별 정보를 운전 제어 장치(2a)로 회신한다. 이러한 전송 이상 판별 정보의 송수신을 정기적으로 반복하고, 운전 제어 장치(2a), 군관리 제어 장치(1)는 소정시간 이상 경과해도 정상인 값이 회신 되지 않으면 양자간의 전송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전송 상황의 체크 결과, 정상이면 각각 운전 제어 장치(2a 내지 2c)는 도 8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논리 연산에 의해 케이지 호출 테이블과 승강장 호출 테이블을 합성함과 함께, 군관리 제어 장치(1)로부터 송신된 할당 정보로부터, 도 8에 나타낸 할당 테이블을 생성한다(스텝 S702). 그 후에, 엘리베이터의 패널 현재 위치나 방향성을 고려해서 다음 정지층을 결정하고(스텝 S710), 엘리베이터를 기동해서 다음 정지층에 응답시킨다(스텝 S720).
이에 반해, 데이터 전송에 이상이 검출된 경우는, 군관리 제어 장치(1)로부터 송신되어 있는 할당 정보는 사용하지 않고, 따라서 할당 테이블은 생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케이지 호출 테이블과, 승강장 호출 테이블을 합성한다(스텝 S703). 그 후, 이들 테이블에 기초하여 다음 정지층을 결정하고(스텝 S710), 엘리베이터를 기동시킨다(스텝 S720). 예를 들면, 케이지 호출 테이블의 3K가 1로 세트되고, 할당 테이블에서는 5Up이 1로 세트되며, 케이지의 현재 위치가 1층에서 up 방향을 향하고 있으면, 다음 정지층은 3층의 케이지 호출로, 다음에 5층에서의 승강장 호출에 응답하게 된다.
6. 승강장 호출의 스캔 전송 방식
다음에, 승강장 호출 입력의 스캔 전송 방법에 대해서, 도 9의 전송 개념도, 도 10의 전송 맵, 도 11의 데이터 구성도, 도 12의 전송 처리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에서, 각각 a호기 내지 b호기에서는, 운전 제어 장치(2a 내지 2c)가 구비하는 케이지용 전송 장치(16a 내지 16c)가 마스터 스테이션으로 되고, 각각 마스터 스테이션마다 승강장용 전송로(11a 내지 11c)를 거쳐서 접속된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4ai 내지 4ci(i = 1, 2, …, 8))가 각각 리모트 스테이션으로 된다.
예를 들면, a호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0∼ADRN의 데이터 영역에서, ADRO를 선두 어드레스로 한 케이지 호출 출력 영역을 마스터 스테이션의 토커(talker)(도 10에서는 T로 약기함)와 리모트 스테이션의 리스너(listener)(도 10에서는 L로 약기함)에 할당하고, 그 이하의 어드레스에서는 ADR1을 선두 어드레스로 한 승강장 호출 출력 영역을 마스터 스테이션의 토커, 리모트 스테이션의 리스너에, ADR2를 선두 어드레스로 한 케이지 호출 입력 영역을 마스터 스테이션의 토커, 리모트 스테이션의 리스너에, ADR3을 선두 어드레스로 한 승강장 호출 입력 영역을 마스터 스테이션의 토커, 리모트 스테이션의 리스너에, ADR4를 선두 어드레스로 한 랜턴 출력 영역을 마스터 스테이션의 토커, 리모트 스테이션의 리스너에 할당하도록 매핑되어 있다.
이 맵 정보는, 도 11에 나타낸, LIVADR(0)∼LIVADR(M)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테이블에, 스타트 어드레스, 엔드 어드레스, 데이터 사이즈, 전송 모드(토커 또는 리스너인가)를 1세트로 하여 각 영역마다 격납되어 있다.
그래서, 도 12의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면서 마스터 스테이션의 처리를 설명하면, 마스터 스테이션은 우선 LIVADR 테이블을 판독하고(스텝 S801), LIVADR 테이블의 인덱스 0∼N까지(스텝 S802), 데이터 길이분 전송 모드를 기초로 어드레스 X를 송신한다(스텝 S804).
마스터 스테이션이 토커이면, 도 11에 나타낸 DATA 테이블의 어드레스에 상당하는 데이터 DATA(X)를 출력한다(스텝 S806). 리스너이면, 타이머를 기동하고(스텝 S807), 데이터를 수신할 때까지 Tx 시간만큼 대기한다(스텝 S808, S809).
이에 반해, 리모트 스테이션의 처리는 마스터 스테이션의 어드레스 송신 처리가 어드레스 수신 처리로 변하는 이외는, 도 12의 처리의 흐름과 동일하다. 즉, 토커 영역의 어드레스를 수신하면, 그 어드레스에 상당하는 DATA를 마스터 스테이션으로 회신하고, 리스너 영역의 어드레스를 수신하면, 계속해서 DATA를 수신한다.
도 9는 전송로 상의 어드레스와 데이터의 관계에 대해서, 마스터 스테이션, 리모트 스테이션이 토커, 리스너의 각각의 경우로 나누어서 나타낸 도면이다. 마스터 스테이션이 토커인 경우에서는, ADRO, DATAO을 연속해서 송신하고, ADRO의 다음 어드레스 ADR + 1을 Tx 시간 이내에 DATA1과 연속해서 송신한다. 한편, 리모트 스테이션은 리스너이므로, 리모트 스테이션측으로부터는 아무 것도 회신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마스터 스테이션이 리스너인 경우, ADR2를 송신하면, 리모트 스테이션 1이 ADR2를 수신하여, DATA2를 회신한다. 마스터 스테이션이 Tx 시간 이내에 DATA2를 수신하면, ADR의 다음 어드레스 ADR2 + 1을 송신하고, 리모트 스테이션 2가 ADR2 + 1을 수신하여, DATA3을 회신한다. 이렇게 하여, 각 층의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3ai)와 운전 제어 장치(2a)의 케이지용 전송 장치(16a)는 스캔 전송 방식에 의해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고 있다.
7. 승강장 호출 버튼의 점등의 타이밍 맞춤 기능
본 발명의 군관리 제어 시스템에서는, 승강장용 전송로(11a 내지 11c)가 엘리베이터 a호기 내지 c호기마다 독립하고 있기 때문에, 동일층에서의 승강장 호출 버튼 램프의 점등 신호는 군관리 전송로(19)를 경유해서 송신하고 있다. 이 군관리 전송로(19)가 고속 전송로이면, 동일층에서의 점등 타이밍은 대부분 동시로 된다.
그러나, 군관리 전송로(19)가 저속 전송로이면, 동일층에서의 점등 타이밍이 벗어나는 일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이 군관리 제어 시스템에서는, 전송 시간 판별 정보의 데이터를 기초로, 전송 지연의 시간 측정을 행하고, 전송 지연 시간분의 타이밍을 취해서 램프 점등 신호의 송신의 타이밍을 늦춤으로써, 동일층에서의 점등 타이밍을 동시에 하는 기능을 도 5의 승강장 호출 처리에 부가할 수 있다. 이하, 도 13의 전송 지연 시간 측정의 개념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도 13에서는, a호기와 b호기 사이에서의 전송 지연, a호기와 c호기 사이에서의 전송 지연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케이지용 데이터 내에는, 엘리베이터 각 호기마다 전송 시간 판별 정보의 데이터가 있다.
예를 들면, a호기용의 운전 제어 장치(2a)는 케이지용 데이터 테이블 CAREL(0) 내의 전송 시간 판별 정보 데이터에 a1을 세트한 후, 타이머를 기동함과 함께, b호기, c호기의 운전 제어 장치(2b, 2c)에 각각 CAREL(0)을 송신한다. b호기, c호기의 운전 제어 장치(2b, 2c)는 각각 CAREL(0)을 수신하면, 즉시 세트되어 있는 a호기의 전송 시간 판별 정보 데이터 a1을 참조하여, b호기에 대해서는 1을 가산한 a1 + 1을 CAREL(1)의 전송 시간 판별 정보 데이터에 세트하고, c호기에 대해서는 마찬가지로 1을 가산한 a1 + 1을 CAREL(2)의 전송 시간 판별 정보 데이터에 각각 세트함과 함께 a호기로 회신한다.
다음에, a호기의 운전 제어 장치(2a)는, CAREL(1), CAREL(2)을 수신하면, 즉시 타이머를 정지함과 함께, CAREL(1), CAREL(2)의 전송 시간 판별 정보 데이터 a를 참조하여, a1 + 1이면 전송 시간은 정상이라고 간주하여, 타이머로 계측한 시간의 1/2을 전송 지연 시간으로 한다. 이 전송 지연 시간은 도 5의 스텝 S230의 승강장 호출을 합성한 결과의 승강장 호출 버튼의 점등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을 늦추는 시간이다. 이와 같이 타이밍을 늦추는 것으로, 군관리용 전송로(19)가 저속이어도, 승강장 호출 버튼의 램프의 점등 타이밍에 변동이 생기지 않고, 동시에 점등시킬 수 있게 된다.
8. 다중계(多重系) 군관리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지금까지 설명해 온 군관리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1대의 군관리 제어 장치(1)로 시스템을 구축한 실시 형태이지만, 도 14에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는 메인의 군관리 제어 장치(1)에, a호기 내지 c호기마다 군관리 제어 장치(1a 내지 1c)를 더 부가하여, 보다 신뢰성이 높은 다중계 군관리 제어 시스템을 구축한 예이다.
<제 2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군관리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제 2 실시 형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도 15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군관리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과, 도 1 또는 도 2의 시스템 구성과 다른 부분은, 다음과 같은 백업용 신호선을 설치한 점이다.
첫째, 각 층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장 버튼은 동일층에서는 백업용 신호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OR 회로를 구성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도 15에서는, 1층의 승강장 버튼(4a1 내지 4c1)을 백업용 신호선(22-1)으로 접속하고, 2층의 승강장 버튼(4a2 내지 4c2)을 백업용 신호선(22-2)으로 접속하고 있다. 다른 층에 대해서도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동일하다.
이와 같이 백업 신호선으로 접속함으로써, 예를 들면 1층에서 a호기측의 승강장 버튼(4a1)이 눌려진 경우, 그 호출 입력은 백업용 신호선(22-1)을 거쳐서 1층의 모든 승강장 입출력 장치(3a1 내지 3c1)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등어 승강장 입출력 장치(3a1) 또는 승강장용 전송로(11a)가 고장나 있어도, 승강장 호출 버튼(4a1)에 의한 승강장 호출이 확실하게 등록된다.
둘째, a호기 내지 c호기의 각각의 운전 제어 장치(2a 내지 2c)에는, 케이지용 전송 장치(16a 내지 16c), 군관리용 전송 장치(17a 내지 17c)에 부가하여, 군관리 백업용의 전송 장치(20a 내지 20c)가 설치되고, 이들은 병렬로 군관리 백업용 전송로(21)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이들의 군관리 백업용 전송 장치(20a 내지 20c)는 케이지용 전송 장치(16a 내지 16c)와 같이, 스캔 전송으로 전송을 행하고 있고, 적어도 도 9에 나타낸 메모리 맵에서 승강장 호출 입력, 출력의 영역을 엘리베이터의 대수만큼 갖고 있어, a호기가 마스터 스테이션, b호기, c호기가 리모트 스테이션으로서 전송을 행하고 있다.
군관리 제어 장치(1)와 각 운전 제어 장치(2a 내지 2c) 간의 전송에 이상이 생긴 경우, 승강장 호출 정보는 케이지용 전송 장치(16a 내지 16c)로부터 군관리 백업용 전송로(21)를 거쳐서 다른 정상인 호기의 백업용 전송 장치(20a 내지 20c)의 어느 것에 송신되고, 그것을 수신한 백업용 전송 장치는 자호기의 군관리용 전송 장치로부터 군관리 전송로(19)를 거쳐서 군관리 제어 장치(1)로 전송한다. 따라서, 군관리 제어 장치는 백업 전송계(傳送系)를 거쳐서 전송되어 오는 승강장 호출 정보로부터, 이상이 생긴 호기를 제외하여 평가 계산을 행하고, 최적인 호기에 할당하여 지령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군관리 제어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층의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와 운전 제어 장치를 각 1카 시스템마다 1계통의 전송로로 접속함과 함께, 각 운전 제어 장치와 군관리 제어 장치를 다른 전송로로 접속하여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와 군관리 제어 장치의 접속을 분리하도록 함으로써, 군관리 제어 시스템의 구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8)

  1. 등록된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복수대의 엘리베이터 중 최적인 엘리베이터를 할당하여 운행을 관리하는 군(群)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으로서,
    각 층의 승강장 호출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와,
    등록된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최적인 엘리베이터의 할당 제어를 행하는 군관리 제어 장치와,
    각각의 엘리베이터가 개별로 갖고, 적어도 상기 승강장 호출의 할당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 장치와,
    적어도 상기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와 운전 제어 장치를 각 엘리베이터마다 독립적으로 접속하는 제 1 전송로와, 상기 모든 운전 제어 장치와 군관리 제어 장치를 서로 접속함과 함께 모든 운전 제어 장치끼리를 서로 접속하는 제 2 전송로로 이루어지며,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와 군관리 제어 장치의 접속을 분리하도록 한 전송 계통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2. 등록된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복수대의 엘리베이터 중 최적인 엘리베이터를 할당하여 운행을 관리하는 군(群)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으로서,
    각 층의 승강장 호출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와,
    각각의 엘리베이터가 개별로 갖고, 적어도 상기 승강장 호출의 할당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운전 제어 장치와,
    적어도 상기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와 운전 제어 장치를 각 엘리베이터마다 독립적으로 접속하는 제 1 전송로와, 상기 모든 운전 제어 장치와 군관리 제어 장치를 서로 접속함과 함께 모든 운전 제어 장치끼리를 서로 접속하는 제 2 전송로로 이루어지며,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와 군관리 제어 장치의 접속을 분리하도록 한 전송 계통을 구비하며,
    상기 각 운전 제어 장치는 서로 정보의 전송을 행하여 등록된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최적인 엘리베이터의 할당을 행하는 군관리 제어 기능을 겸비하는 분산형의 군관리 시스템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군관리 제어 장치는,
    미리 설정된 정지하지 않는 층 등의 정보를 기초로 승강장 호출 등록 허가의 결정을 하는 수단과,
    결정한 승강장 호출 등록 허가 신호를 모든 운전 제어 장치에 정기적으로 송신하는 전송 장치를 갖고,
    상기 운전 제어 장치는,
    각 층에 설치된 상기 승강장 호출 입력 장치에 입력된 승강장 호출 신호를 상기 전송로를 거쳐서 수신함과 함께 일제히 동시 통보로 다른 운전 제어 장치 및 군관리 제어 장치에 상기 승강장 호출 입력 신호를 송신하는 전송 장치와,
    동일층바닥의 승강장 호출 버튼 램프를 점등시키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 장치는, 상기 군관리 제어 장치와의 전송 상황을 감시하고 고장을 검출하는 고장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고장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할당 제어 신호에 응답하는 것을 정지하고, 상기 승강장 호출 입력 장치에 의해 등록된 승강장 호출에 직접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 장치는,
    복수의 운전 제어 장치 간에서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했을 때에 한쪽의 운전 제어 장치로부터 다른쪽의 제어 장치로 데이터가 전해지는 송신 시간을 연산하는 송신 시간 연산 수단과,
    상기 승강장 호출 버튼의 램프의 점등 신호의 출력을 상기 송신 시간 연산 수단에 의해 연산되는 송신 시간만큼 늦춰서 출력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 장치는, 적어도 승강장 호출에 응답하여 열려 있는 문을 닫고자 했을 때에 상기 승강장 호출에 응답한 운전 제어 장치에 접속된 해당 승강장 호출 버튼이 눌려진 때에는, 다른 운전 제어 장치 및 군관리 제어 장치에 상기 승강장 호출 입력 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상기 운전 제어 장치에서 문 개방 제어하는 문 개방 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군관리 제어 장치와 각 운전 제어 장치 사이 또는 각 운전 제어 장치 사이의 전송에 이상이 생긴 때에 상기 군관리 제어 장치는 제 1 전송로로부터의 승강장 호출 입력 신호의 수신을 정지하고, 제 2 전송로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승강장 호출 입력 신호를 사용하여 할당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동일층에 복수 존재하는 상기 승강장 호출 입출력 장치를 적어도 이웃하는 것을 한 쌍으로 하여 백업 전송로를 거쳐서 각각 서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KR10-2002-7001154A 2000-05-29 2001-05-29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KR100450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58313A JP4803865B2 (ja) 2000-05-29 2000-05-29 群管理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JP-P-2000-00158313 2000-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164A KR20020021164A (ko) 2002-03-18
KR100450457B1 true KR100450457B1 (ko) 2004-10-01

Family

ID=1866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154A KR100450457B1 (ko) 2000-05-29 2001-05-29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08801B2 (ko)
JP (1) JP4803865B2 (ko)
KR (1) KR100450457B1 (ko)
CN (1) CN1201992C (ko)
MY (1) MY128869A (ko)
WO (1) WO20010921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3865B2 (ja) 2000-05-29 2011-10-2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群管理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3335470A (ja) * 2002-05-16 2003-11-2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制御伝送システム
CN100345739C (zh) * 2004-03-22 2007-10-31 武汉理工大学 一种基于分布式多路can总线的智能电梯控制方法及装置
JP4726587B2 (ja) * 2005-09-21 2011-07-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DE112006003745T8 (de) * 2006-02-10 2009-04-16 Mitsubishi Electric Corp. Fernaktualisierungssystem für ein Aufzugssteuerprogramm
EP1980520A1 (de) * 2007-04-10 2008-10-15 Inventio Ag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r Vielzahl von Bedieneinheiten einer Aufzugsanlage mit einer Vielzahl von Stockwerken
US8151943B2 (en) 2007-08-21 2012-04-10 De Groot Pieter J Method of controlling intelligent destination elevators with selected operation modes
JP2009046266A (ja) * 2007-08-21 2009-03-0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CN102015506B (zh) * 2008-04-21 2013-11-2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系统、电梯控制装置以及目的地楼层受理终端装置
EP2376359B1 (en) 2008-12-19 2015-01-2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frame with electronics housing
JP5870750B2 (ja) * 2012-02-23 2016-03-01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運行システムおよび運行方法
EP2834181B1 (en) * 2012-04-03 2019-10-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using dual communication channels
CN103935851B (zh) * 2014-03-12 2016-01-20 深圳市海浦蒙特科技有限公司 电梯群控系统
CN107074483B (zh) * 2014-10-01 2020-10-13 通力股份公司 电梯布置、方法以及计算机程序产品
EP3336029B1 (en) * 2016-12-14 2020-04-15 Kone Corporation Remote configuration of elevators, escalators and automatic doors
WO2020183514A1 (ja) * 2019-03-08 2020-09-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群管理システム
JP2021130534A (ja) * 2020-02-19 2021-09-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7683A (ja) 1982-03-15 1983-09-19 株式会社東芝 群管理エレベ−タの乗場報知方法
DE3688073T2 (de) * 1986-04-03 1993-06-24 Otis Elevator Co Zweirichtungsringverbindungssystem fuer aufzugsgruppensteuerung.
JPH0755770B2 (ja) * 1986-09-30 1995-06-14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システムの情報伝送制御方法
KR100202716B1 (ko) * 1996-12-17 1999-06-1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장치
JP2581829B2 (ja) 1990-06-21 1997-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2663772B2 (ja) 1991-11-29 1997-10-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FI102268B1 (fi) * 1995-04-21 1998-11-13 Kone Corp Menetelmä hissiryhmän ulkokutsujen allokoimiseksi
JPH09110326A (ja) * 1995-07-31 1997-04-28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かごの制御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の制御機構
JP3385828B2 (ja) 1995-11-27 2003-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信号伝送装置
US5808247A (en) 1995-11-30 1998-09-15 Otis Elevator Company Schedule windows for an elevator dispatcher
KR0167196B1 (ko) 1996-01-30 1998-12-01 이종수 그룹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장치
US5854454A (en) * 1996-09-16 1998-12-29 Otis Elevator Company Message routing in control area network (CAN) protocol
WO1998018708A1 (en) 1996-10-29 1998-05-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elevators
FI111929B (fi) * 1997-01-23 2003-10-15 Kone Corp Hissiryhmän ohjaus
DE69928432T2 (de) * 1999-08-03 2006-07-27 Mitsubishi Denki K.K. Steuerungsgeraet fuer aufzugsgruppe
JP4509276B2 (ja) * 2000-01-26 2010-07-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
JP4476413B2 (ja) * 2000-02-21 2010-06-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用通信装置
JP4601888B2 (ja) * 2000-03-30 2010-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4803865B2 (ja) 2000-05-29 2011-10-2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群管理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1992C (zh) 2005-05-18
WO2001092139A1 (fr) 2001-12-06
JP2001335249A (ja) 2001-12-04
KR20020021164A (ko) 2002-03-18
US20020112923A1 (en) 2002-08-22
US6708801B2 (en) 2004-03-23
MY128869A (en) 2007-02-28
CN1380872A (zh) 2002-11-20
JP4803865B2 (ja)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0457B1 (ko)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JP2987138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システム
KR100714175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TWI394703B (zh) 用於將升降設備現代化之方法及系統
KR101383675B1 (ko) 분산 디스패칭을 이용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US5719360A (en) Adjustable transfer floor
EP3686143B1 (en) Elevator call registration when a car is full
WO2001072623A1 (fr) Systeme de commande de groupe pour ascenseurs
JPH02270782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KR970059067A (ko) 그룹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장치
JP2006225068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2016023083A (ja) ネットワーク型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7559880B1 (ja) エレベータ連携制御装置、エレベータシステム、エレベータ連携制御方法及びエレベータ連携制御プログラム
JPH1045344A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KR100259507B1 (ko) 군관리 엘리베이터의 통신 중계장치
KR102726240B1 (ko) 승장/호기 내 교통량 혼잡 대응 엘리베이터 그룹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0271025B1 (ko) 엘리베이터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JPH0679960B2 (ja) エレベータ―の信号伝送装置
US20240043242A1 (en) Elevator installation and identification method
WO2021140638A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7215602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WO2021140635A1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728775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H0735231B2 (ja) 群管理エレベータ―の信号伝送装置
JPH1087194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