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425B1 -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장치 및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장치 및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425B1
KR100448425B1 KR10-2001-0029934A KR20010029934A KR100448425B1 KR 100448425 B1 KR100448425 B1 KR 100448425B1 KR 20010029934 A KR20010029934 A KR 20010029934A KR 100448425 B1 KR100448425 B1 KR 100448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lectrode
amount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flexible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9158A (ko
Inventor
스기모또신이찌
나가따가쯔노리
오오가마사아끼
나까가와도시히꼬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9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6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for positioning or holding parts during soldering or welding proce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66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 H05K1/0269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for visual or optical insp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6Thermal details
    • H05K2201/068Thermal details wherein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is importa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372Pads and lands
    • H05K2201/09427Special relation between the location or dimension of a pad or land and the location or dimension of a termin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818Shape or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5K2201/09009 - H05K2201/09809
    • H05K2201/09918Optically detected marks used for aligning tool relative to the PCB, e.g. for mount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95Tool for a process not provided for in H05K3/00, e.g. tool for handling objects using suction, for deforming objects, for applying local press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6Inspection; Monitoring; Aligning
    • H05K2203/166Alignment or registration; Control of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94Heating methods for reflowing of solder

Abstract

장착 장치는 가열 압착에 의해 액정 디스플레이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기 위한 가열기 헤드(80)와, 상기 가열기 헤드가 소정의 하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가압하기 위한 가열기 헤드(80)를 구동시키기 위한 가열기 헤드 구동 수단으로서의 실린더(20)와, 가열 압착에 의해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신장량을 제어하기 위해 얻어지는 요구 하중의 시간뿐 아니라 실린더(20)에 의해 가열기 헤드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가압하기 시작한 후의 단위 시간당 하중 변화를 조절하기 위한 신장량 제어 수단으로서의 제어 메커니즘(21)을 포함한다. 양호하게도, 장착 장치는 예비 접착 후에 측정을 수행하고 획득한 정보에 기초한 제어 동안 정규 접착을 수행하는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장치 및 장착 방법{MOUNTING APPARATUS AND MOUNTING METHOD FOR BONDING A DISPLAY BOARD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판에 가요성 기판을 장착하는 방법 및 장착 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장착은 단자 전극 열의 전기 접속을 의미한다. 예컨대, 본 발명은 구동용 LSI(대용량 집적 회로)와 함께 장착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TCP(테이프 운반 패키지) 단자 전극과 TFT(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의 단자 전극 접속의 장착 방법과 장착 장치에 대한 것이다.
도10 및 도11을 참조하여, 구동용 LSI에 장착되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과 액정 층(1)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2)를 접속하는 기존의 방법이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에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2)의 단자 전극(3)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의 단자 전극(5)은, 예컨대 접착제(6)를 통한 가열 압착에 의해 함께 접착된다. 가열 압착에 있어서, 실린더 구동 가열기 도구(8)는 하향 가압된다.
도11은 단자 전극이 가열 압착에 의해 함께 접착된 상부에서 본 도10의 구조를 도시한다. 가열 압착 동안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이 신장되는 것은 통상 공지되어 있다. 도11에서 단자 전극(3, 5)은 완전히 정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의 신장량에 따른 전극의 폭 방향 변위량(7)에 의해 단자 전극(5)이 변위되는 것을, 최외부 단자 전극(3, 5)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12에서 알 수 있다.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의 신장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조작자가 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변위량(7)을 측정하고 변위량(7)을 결정하기 위해 압착 온도, 압력, 시간 등의 다른 매개 변수들로 가열 압착을 반복하였다. 그러므로, 조작자는 가열 압착의 적절한 상태를 찾기 위해 시행 착오의 연속 수행을 행하여야만 한다.
특히, 기존의 단자 전극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신장을 고려한 큰 피치를 갖는다. 게다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신장량을 제어하기 위한 명확한 방법은 공지되어 있지 않다. 기존 장치의 이러한 이유로, 재료 또는 크기에 따른 신장량의 변화는, 예컨대 가열기 도구의 하향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변수로서 공기의 유동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작자의 경험이나 개인적인 판단에 기초하여 제한된다.
최근 수 년 사이에,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은 더 정교해지고 그에 따라 단자 전극의 피치는 감소되었다. 이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신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기존의 장착 방법은 만족시키지 못한다.
전술한 기존의 장착 기술은 세 가지 주요한 문제를 갖고 있다.
첫째로, 실린더 구동 가열기 도구(8)에 의한 가압 온도, 압력 및 시간의 조절은 조작자의 경험과 개인의 판단에 기초하고, 그로 인해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의 신장량은 요구되는 조절량에 대해 최적의 방식으로 정량 조절되지 못한다. 조작자의 기술 수준에 따라, 이러한 조절은 상당한 양의 시간이 통상 필요하다. 그러므로, 만일 조절이 짧은 기간 동안에 이루어지면 이러한 방법은 만족스럽지 못할 것이다.
둘째로, 실린더 구동 가열기 도구(8)는 긴 스트로크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실린더 내의 압력 변화는 크고 목적물에 인가되는 하중은 변동한다. 가압 압력은 하중을 가압되는 영역으로 나눔으로써 얻어진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는 단자 전극(3, 5)의 변위 불일치와 신장량의 변화를 야기한다. 그로서, 종래 기술은 접속되는 단자 전극 열의 감소된 피치에 완전하게 대처하지 못한다.
셋째로, 화상 처리 장치가 단자 전극(3, 5)들 사이의 변위량(7)을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변위량(7)의 측정은 조작자에 의해 현미경을 사용하여 수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정은 상당한 시간을 요한다. 게다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단자 전극(5)은 액상 작용제로 에칭함으로써 통상 형성되어,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그 결과, 예컨대 단자 전극(5)의 단부로서의 A, B 및 C의 위치에 따라 수 μm의 측정 오차가 야기된다. 게다가, 가압 및 비가압 위치들 사이의 단자 전극(5)의 신장량의 차이로 인한 변위량(7)의 측정 결과에 변화가 있다. 더욱이, 현미경을 이용한 이러한 수동 측정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의 단자 전극 열의 양 단부에 있는 단자 전극(5)의 중심선 사이의 거리, 즉 전체 거리를 신속하게 제공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신장량 변화의 실시간 제거뿐 아니라 피드백도 불가능하다.
이상을 고려하면, 본 발명은 짧은 시간 내에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신장량의 검출과 조절이 가능하고 변위의 불일치를 피할 수 있는 장착 방법과 장착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장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1 단자 전극 열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제2 단자 전극 열이 전기적 접속되는 방식으로 가열 압착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기 위한 가열기 헤드와, 상기 가열기 헤드가 소정의 하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상기 가열기 헤드를 구동하기 위한 가열기 헤드 구동부와, 가열 압착에 의해 야기된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을 제어하기 위해 요구 하중이 얻어지는 시간뿐 아니라 상기 가열기 헤드 구동부가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해 가열기 헤드를 가압하기 시작한 후 단위 시간당 하중 변화를 조절하기 위한 신장량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조에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신장량은 하중 변화와 요구 하중이 얻어지는 시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조작자의 경험과 판단으로 결정되는 신장량의 변동이 배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변위 불일치는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장착 장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1 단자 전극 열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제2 단자 전극 열이 전기적 접속되는 방식으로 가열압착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기 위한 가열기 헤드와, 상기 가열기 헤드가 소정의 하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상기 가열기 헤드를 구동하기 위한 가열기 헤드 구동부와, 가열 압착에 의한 제2 단자 전극의 신장량을 제어하기 위해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쪽으로 가열기 헤드를 구동하도록 가열기 헤드의 속도를 조절하는 신장량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조에서, 가열기 헤드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쪽으로 움직이는 속도가 조절되고 압축 사이클 중의 속도 변화가 제어되며 그로 인해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신장량이 제어될 수 있다. 그 결과, 변위 불일치는 피할 수 있다.
양호하게도, 전술한 본 발명은 제1 단자 전극 열의 양 측면에 형성된 기준 패턴에 따른 제2 단자 전극 열의 양 단부에 형성된 위치 설정 패턴의 변위량을 검출하기 위한 변위량 검출부와, 변위량에 기초한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을 계산하기 위한 신장량 계산부와,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 사이의 차이에 상응하는 보정량을 계산하기 위한 보정량 계산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조에서, 보정량은 보정량 계산부에 의해 계산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보정량은 개인의 판단과 조작자의 경험에 의한 종래 기술과는 달리 짧은 시간 내에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신장량 제어부가 보정량의 피드백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신장량의 변화에 관련된 문제는 종래의 개인적인 판단이나 조작자의 경험이 아닌 실 데이터에 기초한 보정이 실시되기 때문에 실시간에 정확하게 완화될 수 있다.
양호하게도, 전술한 본 발명은 작동 매개 변수와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 사이의 관계에 관한 데이터를 보유하기 위한 데이터 보유부를 포함한다. 신장량 제어부는 제어를 위한 데이터 보유부 내에 보유된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제어 방법을 결정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필요한 제어 방법은 제어하기 위해 신속하게 결정된다. 게다가, 데이터의 다양성이 더 우수한 제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장착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1 단자 전극 열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제2 단자 전극 열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방식으로 가열기 헤드를 사용하여 가열 압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고, 요구 하중이 얻어지는 시간뿐 아니라 가열기 헤드가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압착하기 시작한 후의 단위 시간당 하중 변화도 제어되어 가열 압착에 의한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이 제어된다.
전술한 방법에서, 하중 변화와 요구 하중이 얻어지는 시간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신장량을 제어하도록 조절된다. 그러므로, 개인적인 판단과 조작자의 경험에 기초한 종래의 신장량의 변동은 제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변위 불일치는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장착 방법에서,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회로 기판은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1 단자 전극 열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제2 단자 전극 열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방식으로 가열기 헤드를 사용하여 가열 압착함으로써 접착된다.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쪽으로 움직이는 가열기 헤드의 속도는 제어되어 가열 압착에 의한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이 제어된다.
전술한 구조에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쪽으로 움직이는 가열기 헤드의 속도가 조절되고 압착 동안의 속도의 변화가 제어되어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신장량이 제어될 수 있다. 그 결과, 변위 불일치는 피할 수 있다.
전술한 발명에서, 양호하게도, 하중 변화와 요구 하중이 얻어지는 시간의 제어는 충분히 안정된 하중 변화와 요구 하중이 얻어지는 시간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신장량은 비교적 간단한 메커니즘에 의해 안정될 수 있고, 변위 불일치는 완화될 수 있다.
전술한 발명에서, 양호하게도, 하중 변화와 요구 하중이 얻어지는 시간의 제어는 바람직한 값에서 신장량을 설정하도록 정량 제어에 의해 얻어진다. 이러한 구조에서, 신장량은 정량 제어에 의해 바람직한 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변위 불일치는 완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술한 발명은 제1 단자 전극의 양 측면에 형성된 기준 패턴에 따른 제2 단자 전극의 양 측면에 형성된 위치 설정 패턴의 변위량을 검출하기 위한 변위량 검출 단계와, 변위량에 기초한 제2 단자 전극의 신장량을 계산하기 위한 신장량 계산 단계와,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에 기초한 제1 단자 전극과 제2 단자 전극의 신장량 사이의 차이에 상응하는 보정량을 계산하고 보정량 피드백에 의해 정량 제어가 수행되는 보정량 계산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조에서, 보정량은 피드백 제어를 위해 조작자의 경험과 개인적인판단에 기초한 기존의 경우와 달리 신속하고 객관적으로 알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생산 라인 상에서 신장량 실시간 조절을 위한 요구는 문제없이 만족될 것이다.
양호하게도, 전술한 발명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과 가열기 헤드의 대응하는 위치에 미리 고정하는 예비 접착 단계와, 예비 접착 단계 후에 수행되는 변위량 검출 단계와, 변위량 검출 단계 후에 수행되는 정규 접착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측정은 상대 위치에서 고정되어 수행되기 때문에 안정된 측정이 가능하다. 얻어진 측정 결과는 정규 접착 가능하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에 더 정확한 접착이 가능하다.
양호하게도 전술한 발명은 제1 단자 전극 열에 형성된 기준 패턴 사이의 상대 위치 관계와 제2 단자 전극 열의 양 측면에 형성된 위치 패턴의 상대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상대 위치 결정 단계와, 상대 위치 결정 단계 후에 수행되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과 가열기 헤드의 상대 위치에 예비 고정하는 예비 접착 단계와, 상대 위치 결정 단계에 의해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을 계산하는 신장량 계산 단계와, 제2 단자 전극 열에 기초한 제1 및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 사이의 차이에 상응하는 보정량을 계산하는 보정량 계산 단계와, 예비 접착 단계 후에 수행되는 정규 접착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은 측정 조작이 예비 접착 단계와 정규 접착 단계 사이에서 수행되지 않더라도 알 수 있고 그로 인해 정규 접착 동안 양호한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태양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착 조작과 관련하여 도시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 압착 부품을 도시한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열 압착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열 압착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착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착 장치가 사용되었을 때의 하중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예비 접착된 부품을 도시한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열 압착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예비 접착 전의 부품을 도시한 평면도.
도10은 종래의 장착 조작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종래의 가열 압착 부품을 도시한 평면도.
도12는 종래의 가열 압착 단자 전극의 확대도.
도13은 단자 전극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액정 디스플레이
3: 단자 전극
4: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24: 신장량 검출 유닛
25: 가열 압착 장치
제1 실시예
도1 내지 도3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착 장치가 설명될 것이다.
장착 장치는, 도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열 압착용 가열기 헤드(80)와, 가열기 헤드(80)를 구동하기 위한 가열기 헤드 구동부인 실린더(20)를 포함한다. 장착 장치는 요구 하중이 얻어지는 시간뿐만 아니라 가열기 헤드(80)가 (도1에 도시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을 가압하기 시작한 후 단위 시간당 하중 변화를 조절하기 위한 신장량 제어부로서의 제어 메커니즘(21)을 더 포함한다. 이들 부품의 기능은 다음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장치는 가열 압착에 의해 액정 층(1)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2)의 단자 전극(3)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의 단자 전극(5)을 접착함으로써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 상에 액정 디스플레이(2)를 장착한다. 예컨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은 폴리이미드의 기부 재료에 줄무늬로 밀집하게 형성된 단자 전극(5)을 포함한다. 도2는, 어떤 개재된 단자 전극도 도시하지 않고, 단자 전극(5)으로서 줄무늬 패턴의 양 단부에 있는 단자 전극(51, 52)만을 도시한다. 위치 설정 패턴(131, 132)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의 단자 전극 열의 양 측면에 형성된다. 액정 디스플레이(2)의 측면에는, 기준 패턴(141, 142)이 단자 전극 열의 양 측면에 형성된다. 기준 패턴(141, 142)들 사이의 피치(18)는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의 설계에 공지된 바이다. 여기서 "피치"는 중심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비록 위치 설정 패턴(131, 132)의 중심이 각각 접착 전의 기준 패턴(141, 142)의 중심과 일치하더라도, 가열 압착 후에 이들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의 신장에 의해 변위된다. 그 결과, 상대 변위량(151, 152), 즉 중심 위치의 차이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도1을 참고하면, 상대 변위량(151, 152), 즉 중심 위치의 차이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기된다.
도1을 참고하면, 상대 변위량(151, 152)은 변위량 검출부로서의 신장량 검출 유닛(24) 내에 마련된 화상 픽업 장치(16; 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 감지된 다음, 화상 처리 장치(17)에 의해 정량적으로 검출된다. 만일 예비 접착이 정규 접착 전에 수행되면, 화상 픽업 및 검출은 예비 접착 전 또는 후에 임의의 처리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기하학적 관계에서, 상대 변위량(151, 152)은 신장량 검출 유닛에 의해 정량적으로 검출되고 신장량 검출부를 사용하여 연산 처리된다. 상대 변위량(151, 152)에 기초하여,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의 양 측면 상의 위치 설정 패턴 사이의 피치(18)의 신장률이 계산된다. 신장량 계산부는 예컨대 CPU(중앙 처리 장치)와 LSI(대규모 집적 회로) 칩 등의 조합을 갖는 메모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목적용으로 마련된 CPU가 사용될 수도 있다.
신장량 계산부에 의해 얻어진 신장률에 기초하여,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의 어느 한 단부에서 단자 전극(51, 52)들 사이의 피치(11)의 신장량이 계산된다. 피치(11)의 신장량에 기초하여, 연산 처리는 예상 신장량과 실제 신장량 사이의 차이, 즉 보정량을 찾기 위한 보정량 계산부에 의해 수행된다. 보정량은 단자 전극(31, 51)의 중심선 사이의 거리(191)와 단자 전극(32, 52)의 중심선 사이의 거리(192)의 합을 나타낸다. 전술된 신장량 계산부와 같이, 보정량 계산부는 LSI 칩 등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장착 장치를 부분적으로 도시한다. 가열기 도구는 기존의 경우와 같이 실린더 구동식이기도 하지만, 가열기 헤드(80)를 구동하기 위한 가열기 구동부로서의 실린더(20)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과 압력을 전기적으로 피드백하기 위한 제어 메커니즘(21)을 갖는다. 제어 메커니즘(21)은, 실린더(20)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과 압력을 제어하는 것에 기초하여, 실린더(20) 내의 압력 변화를 그에 상응하는 전기 신호로 변환시킨다. 제어 메커니즘(21)의 예는 SMC 코오포레이션에서 제조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전기 공압식 조절기를 포함한다. 제어 메커니즘(21)은 요구 하중이 얻어지는 시간뿐만 아니라 가열기 헤드(80)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을 가압하기 시작한 후 단위 시간당 하중 변화도 조절한다.
본 실시예의 장착 장치로, 변위량 검출부로서의 화상 픽업 장치(16)는 상대 변위량(151, 152)을 검출하고, 신장량 계산부와 보정량 계산부는 보정량을 찾아내는데 사용된다. 보정량에 대한 정보가 신장량 제어부에 활용 가능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신장량은 기존의 경우보다 더 신속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 장치는 가열기 헤드 구동부와 신장량 제어부뿐만 아니라 변위량 검출부, 신장량 계산부 및 보정량 계산부를 갖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러한 경우에, 양호하게는, 결과 보정량에 대한 정보가 제어를 위해 피드백된다.
그러나, 비록 변위량 검출부, 신장량 계산부 및 보정량 계산부가 제공되지 않더라도, 가열기 헤드, 가열기 헤드 구동부 및 신장량 제어부는 주어진 효과를 내기 위한 신장량의 제어를 제공할 것이다.
요구 하중이 얻어지는데 걸리는 시간뿐 아니라 가열기 헤드(80)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을 가압하기 시작한 후 단위 시간당 하중을 조절하기 위해, 신장량 제어부가 여기에서 실린더(20)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동과 압력을 제어하도록 사용된다. 이는 가압을 시작한 후 단위 시간당 하중의 조절과 요구 하중이 얻어지는 시간이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의 신장량의 조절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만일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기 어렵다면, 가열기 헤드(80)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을 가압하기 시작한 후 단위 시간당 하중의 변화와 요구 하중이 얻어지는 시간은, 양호하게도, 신장량을 어느 정도까지 안정시키도록 사실상 고정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1, 도2 및 도4 내지 도6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착 장치가 설명될 것이다.
도4에서, 장착 장치는 가열 압착용 가열기 헤드(80), 가열기 헤드(80)를 구동하기 위한 가열기 헤드 구동부로서 실린더(20) 및 모터(22)를 포함한다. (도1을 참조하여) 장착 장치는 실린더(20)와 모터(22)가 가열기 헤드(80)를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4) 쪽으로 구동하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신장량 제어부로서 제어 메커니즘(21)을 더 포함한다.
보정량의 계산까지의 연산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게다가, 변위량 검출부, 신장량 계산부 및 보정량 계산부의 실재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가열기 헤드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 쪽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제어 메커니즘(21)이 조절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가열기 헤드 구동부에는 모터(22)가 구비되기 때문에, 가열기 헤드(80)의 속도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의 신장량은 조절될 수 있다.
가열기 헤드 구동부 내의 모터(22)는 가압 시작 후 단위 시간당 더 큰 하중 변화를 제공한다. 도6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의 가압 시작 직후의 하중 변화를 도시한다. 곡선(12, 23)은 모터가 없는 경우와 모터가 있는 경우에 각각 상응한다. 비록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이 열을 가함으로써 신장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하더라도, 이는 압력의 인가에 의해 적게 신장된다. 그 다음, 압력의 다양한 수준의 인가 횟수는 신장량을 제어하기 위해 단위 시간당 하중 변화에 따라 조절된다.
게다가, 모터(22)의 사용은 가열기 헤드 운동의 높은 반복성을 갖게 한다. 그 결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의 신장량은 본 실시예뿐만 아니라 제1 실시예에서도 장점인 높은 반복성을 나타낸다.
만일 본 발명의 장착 장치가 도5에서와 같이 실시간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가열 압착 장치(25)를 신장량 검출 유닛(24)에 접속하도록 구성된다면, 변위 불일치와 관련된 문제는, 양호하게도, 생산 라인에서 신속하게 제거될 것이다. 게다가, 높은 반복성이 제공된다.
도5에서, 제1 실시예의 가열 압착 장치는 가열 압착 장치(25)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7에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장착 장치가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예비 접착이 수행되고 화상 픽업과 검출이 다음에 수행된다. "예비 접착"의 용어는 액정 디스플레이(2)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의 상대 위치 관계가 액정 디스플레이(2)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의 영구 접착을 제공하는 "정규 접착" 전에 예비로 고정된다는 것을 의미이다.
도7에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은 액정 디스플레이(2)에 예비 접착된다. 비록 도7이 제1 실시예의 도2와 유사하지만, 도7에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은 폭 방향으로 큰 정도까지 열팽창되지는 않는데, 이는 단지 예비 접착되기 때문이다.
예비 접착 후에, 액정 디스플레이(2)의 기준 패턴(141, 142)에 대한 각각의 위치 설정 패턴(131, 132)의 상대 변위량(351, 352)은 화상 픽업 장치(16)가 제공된 화상 처리 장치(17)에 의해 검출된다. 결과 상대 변위량(351, 352)에 기초하여, 위치 설정 패턴(131, 132)들 사이의 피치(38)가 이어지는 정규 접착동안 신장하는 비율(다음부터는 간단히 "요구 신장률"이라고 함)이 계산된다. 얻어진 요구 신장률에 기초하여,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의 단자 전극의 양 단부에서의 단자전극(51, 52)들 사이의 현재 신장률은 계산되고, 설계값과 현재 신장량 사이의 차이는 단자 전극(51, 52)들 사이의 피치의 보정량을 찾기 위해 계산된다.
장착 장치에서, 도6의 그래프에서와 같이 요구 하중을 나타내는 곡선 데이터는 단자 전극(51, 52)들 사이의 피치 보정량의 다양한 값에 대해 미리 확인된 데이터로서 저장된다. 만일 필요하다면 단자 전극(51, 52) 사이의 현재 얻어진 피치 보정량에 대한 데이터를 참고하고 연산 처리를 수행하여, 만일 필요하다면 가열기 헤드의 바람직한 제어 방법이 결정된다. 가열기 헤드는 단자 전극(51, 52)들 사이의 신장량을 정량 제어하도록 제어된다.
제4 실시예
도8 및 도9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장착 장치가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예비 접착은 화상 픽업과 검출 후에 수행된다.
도8은 예비 접착 전의 장착 장치를 도시한다. 액정 디스플레이(2)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은 서로 근접하지만, 전술한 시점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신장량 검출 유닛(24) 내에 마련된 화상 픽업 장치(16)는 액정 디스플레이(2)와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의 전방 에지부의 화상을 취한다. 결과 화상은 도9에서와 같이 도시된다.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4)의 위치 설정 패턴(131, 132)은 화상 처리 장치(17)에 의해 검출되고, 위치 설정 패턴(131, 132)들 사이의 피치가 얻어진다. 게다가, 액정 디스플레이(2)의 기준 패턴(141, 142)은 화상 처리 장치(17)에 의해 검출되고, 기준 패턴(141, 142)들 사이의 피치(39)가 얻어진다. 피치(38)의 요구 신장률은 피치(38, 39)로부터 계산된다. 이어지는처리는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신장량이 제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신장량은 개인적인 판단과 조작자의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정확하고 신속하게 측정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신장량의 변동은 제거될 수 있다. 그 결과, 변위 불일치를 피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이는 단지 설명과 예를 위한 것이고 한정하기 위해 취한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가 청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을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Claims (18)

  1.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1 단자 전극 열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제2 단자 전극 열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가열 압착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기 위한 가열기 헤드와,
    상기 가열기 헤드가 소정의 하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가압하도록 상기 가열기 헤드를 구동하기 위한 가열기 헤드 구동 수단과,
    가열 압착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변위량을 검출하고 그 변위량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기 헤드 구동 수단이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해 가열기 헤드를 가압하기 시작한 후의 단위 시간당 하중 변화 및 요구 하중이 얻어지는 시간을 조절하는 신장량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전극 열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된 기준 패턴에 대해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된 위치 설정 패턴의 변위량을 검출하기 위한 변위량 검출 수단과, 상기 변위량에 기초한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을 계산하기 위한 신장량 계산 수단과,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자 및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들 사이의 차이에 상응하는 보정량을 계산하기 위한 보정량 계산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량 제어 수단은 상기 보정량의 피드백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작동 매개 변수와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 사이의 관계에 관한 데이터를 보유하기 위한 데이터 보유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장량 제어 수단은 제어를 위한 상기 보정량에 기초한 상기 데이터 보유 수단에 보유된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제어 방법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장치.
  5.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1 단자 전극 열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제2 단자 전극 열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가열 압착에 의해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기 위한 가열기 헤드와,
    상기 가열기 헤드가 소정의 하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가압하도록 상기 가열기 헤드를 구동하기 위한 가열기 헤드 구동 수단과,
    가열 압착에 의해 야기되는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변위량을 검출하고 그 변위량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기 헤드 구동 수단이 상기 가열기 헤드를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쪽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조절하는 신장량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전극 열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된 기준 패턴에 대해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된 위치 설정 패턴의 변위량을 검출하기 위한 변위량 검출 수단과, 상기 변위량에 기초한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을 계산하기 위한 신장량 계산 수단과,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자 전극 열과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들 사이의 차이에 상응하는 보정량을 계산하기 위한 보정량 계산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량 제어 수단은 상기 보정량의 피드백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작동 매개 변수와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 사이의 관계에 관한 데이터를 보유하기 위한 데이터 보유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장량 제어 수단은 제어를 위한 상기 보정량에 기초한 상기 데이터 보유 수단에 보유된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제어 방법을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장치.
  9.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1 단자 전극 열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제2 단자 전극 열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가열기 헤드를 사용하여 가열 압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변위량을 검출하고 그 변위량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기 헤드가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압착하기 시작한 후의 단위 시간당 하중 변화 및 요구 하중이 얻어지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가열 압착에 의한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하중 변화 및 요구 하중이 얻어지는 시간의 상기 제어는 하중 변화 및 요구 하중이 얻어지는 시간을 안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하중 변화 및 요구 하중이 얻어지는 시간의 상기 제어는 원하는 값에 신장량을 설정하도록 정량 제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전극 열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된 기준 패턴들 사이의 상대 위치 관계와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된 위치 설정 패턴 사이의 상대 위치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상대 위치 결정 단계와, 상기 상대 위치 설정 단계 후에 수행되는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가열기 헤드의 상대 위치를 예비로 고정하는 예비 접착 단계와, 상기 상대 위치 결정 단계에서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을 계산하기 위한 신장량 계산 단계와,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자 전극 열과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들 사이의 차이에 상응하는 보정량을 계산하기 위한 보정량 계산 단계와, 상기 예비 접착 단계 후에 수행되는 정규 접착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전극 열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된 기준 패턴에 대한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된 위치 설정 패턴의 변위량을 검출하기 위한 변위량 검출 단계와, 상기 변위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을 계산하기 위한 신장량 계산 단계와,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자 전극 열과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들 사이의 차이에 상응하는 보정량을 계산하기 위한 보정량 계산 단계를 포함하고, 보정량 피드백에 의해 정량 제어가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상기 가열기 헤드의 상대 위치를 예비 고정하는 예비 접착 단계와, 상기 예비 접착 단계 후에 수행되는 변위량 검출 단계와, 상기 변위량 검출 단계 후에 수행되는 정규 접착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방법.
  15. 디스플레이 기판의 제1 단자 전극 열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의 제2 단자 전극 열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가열기 헤드에 의해 가열 압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변위량을 검출하고 그 변위량에 기초하여 상기 가열기 헤드가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쪽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가열 압착에 의한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전극 열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된 기준 패턴들 사이의 상대 위치 관계와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된 위치 설정 패턴 사이의 상대 위치 관계를 결정하기 위한 상대 위치 결정 단계와, 상기 상대 위치 설정 단계 후에 수행되는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가열기 헤드의 상대 위치를 예비로 고정하는 예비 접착 단계와, 상기 상대 위치 결정 단계에서 얻어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을 계산하기 위한 신장량 계산 단계와,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자 전극 열과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들 사이의 차이에 상응하는 보정량을 계산하기 위한 보정량 계산 단계와, 상기 예비 접착 단계 후에 수행되는 정규 접착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전극 열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된 기준 패턴에 대한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된 위치 설정 패턴의 변위량을 검출하기 위한 변위량 검출 단계와, 상기 변위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을 계산하기 위한 신장량 계산 단계와,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자 전극 열과 상기 제2 단자 전극 열의 신장량들 사이의 차이에 상응하는 보정량을 계산하기 위한 보정량 계산 단계를 포함하고, 보정량 피드백에 의해 정량 제어가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해 상기 가열기 헤드를 상대 위치를 예비 고정하는 예비 접착 단계와, 상기 예비 접착 단계 후에 수행되는 변위량 검출 단계와, 상기 변위량 검출 단계 후에 수행되는 정규 접착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방법.
KR10-2001-0029934A 2000-05-31 2001-05-30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장치 및 장착 방법 KR100448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63399 2000-05-31
JP2000163399 2000-05-31
JP2001085339A JP3763747B2 (ja) 2000-05-31 2001-03-23 実装装置および実装方法
JP2001-085339 2001-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158A KR20010109158A (ko) 2001-12-08
KR100448425B1 true KR100448425B1 (ko) 2004-09-13

Family

ID=26593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934A KR100448425B1 (ko) 2000-05-31 2001-05-30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장치 및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722411B2 (ko)
JP (1) JP3763747B2 (ko)
KR (1) KR100448425B1 (ko)
CN (1) CN1261011C (ko)
TW (1) TW52785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7964A2 (en) * 2010-12-09 2012-06-14 Pro-2000 Co. Ltd. Jig for adjusting film pitch, apparatus for joining film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djusting film pitch using the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762B1 (ko) * 2005-02-10 2007-07-19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접합 방법 및 접합 장치
US7809461B2 (en) * 2005-11-29 2010-10-05 Panasonic Corporation Working apparatus and working method for circuit board
WO2017096628A1 (zh) * 2015-12-11 2017-06-15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的绑定方法
JP7207152B2 (ja) * 2019-05-16 2023-01-18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リーブはんだ付け装置および電子装置の製造方法
US11570938B2 (en) * 2019-08-27 2023-01-3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0238A (ja) * 1991-10-08 1993-04-23 Seiko Epson Corp 液晶パネルの実装構造
JPH08122779A (ja) * 1994-10-28 1996-05-17 Nec Kagoshima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64127A (ko) * 1996-12-16 1998-10-07 가야시마고조 플렉시블 기판 맞붙임 장치 및 맞붙임 방법
US5858806A (en) * 1995-03-24 1999-01-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bonding IC component to flat panel display
JPH1154877A (ja) * 1997-08-01 1999-02-26 Seiko Epson Corp 基板接続構造、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3755A (en) 1990-11-02 1993-09-14 Canon Kabushiki Kaisha Ink-jet head assembling apparatus and method
JP2929926B2 (ja) 1993-12-28 1999-08-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ボンディング方法
JP3153699B2 (ja) 1994-02-17 2001-04-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ボンディング方法
JPH08114812A (ja) 1994-10-17 1996-05-07 Toshiba Corp 液晶パネル製造装置
JPH095381A (ja) 1995-06-22 1997-01-10 Sanyo Electric Co Ltd 液晶パネルと駆動回路素子の接続検査方法
TWI242679B (en) 1997-02-19 2005-11-01 Alps Electric Co Ltd Method for mounting electric component
JP3381610B2 (ja) 1998-03-06 2003-03-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熱圧着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0238A (ja) * 1991-10-08 1993-04-23 Seiko Epson Corp 液晶パネルの実装構造
JPH08122779A (ja) * 1994-10-28 1996-05-17 Nec Kagoshima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5858806A (en) * 1995-03-24 1999-01-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of bonding IC component to flat panel display
KR19980064127A (ko) * 1996-12-16 1998-10-07 가야시마고조 플렉시블 기판 맞붙임 장치 및 맞붙임 방법
JPH1154877A (ja) * 1997-08-01 1999-02-26 Seiko Epson Corp 基板接続構造、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7964A2 (en) * 2010-12-09 2012-06-14 Pro-2000 Co. Ltd. Jig for adjusting film pitch, apparatus for joining film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djusting film pitch using the apparatus
KR101175070B1 (ko) 2010-12-09 2012-08-21 주식회사 프로이천 필름 피치 조절 지그 및 이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이를 사용한 필름 피치 조절 방법
WO2012077964A3 (en) * 2010-12-09 2012-09-07 Pro-2000 Co. Ltd. Jig for adjusting film pitch, apparatus for joining film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djusting film pitch using th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27854B (en) 2003-04-11
US6722411B2 (en) 2004-04-20
JP3763747B2 (ja) 2006-04-05
CN1261011C (zh) 2006-06-21
US20040050475A1 (en) 2004-03-18
US20010051840A1 (en) 2001-12-13
US7087126B2 (en) 2006-08-08
JP2002055353A (ja) 2002-02-20
KR20010109158A (ko) 2001-12-08
CN1336795A (zh) 200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3212A (ko) 소자 크림핑 장치 제어 방법, 소자 크림핑 장치, 및 측정 도구
JP4628205B2 (ja) フィードバック補正方法および部品実装方法
US20090262155A1 (en) Complex system having ink-jet printing function and testing function, and an ink-jet prin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448425B1 (ko)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장치 및 장착 방법
CN100464214C (zh) 液晶显示装置制造设备及其制造方法
US6623577B2 (en) Electric component compression bonding machine and method
JPH08207239A (ja) ステンシルプリンタのセットアップ方法及びステンシルプリンタ用センサーシステム
TWI282007B (en) Equipment and method for fabrica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CN114527589B (zh) 绑定装置及显示面板的制作方法
CN103722869B (zh) 丝网印刷装置、丝网印刷不良原因的解析装置及解析方法
JP3435950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の調整方法及び電子部品実装方法
JPH11151798A (ja) クリームはんだ印刷機および印刷方法
JP2007115893A (ja) 熱圧着方法および熱圧着装置
JP2013076684A (ja) スキージ観察装置及びスキージ観察方法
JP3293512B2 (ja) コネクタの熱圧着方法
JP3538542B2 (ja) 印刷ペースト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JP2004022604A (ja) 圧着装置、実装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圧着ツールの調整方法
JPH1041618A (ja) はんだペースト印刷用スキージ、はんだペースト印刷装置及びはんだペースト印刷方法
KR100287140B1 (ko) 집적회로소자접착용가압장치
KR200417278Y1 (ko) 열압착 장비의 가압 헤드 유닛
JP6952160B1 (ja) スクリーンマスク検査装置、半田印刷検査装置及びスクリーンマスクの検査方法
CN109923652B (zh) 导线接合装置
JP2007111825A (ja) 貼り合わせ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製造方法
JP2001047599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4249570B2 (ja) テープ貼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