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070B1 - 필름 피치 조절 지그 및 이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이를 사용한 필름 피치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필름 피치 조절 지그 및 이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이를 사용한 필름 피치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070B1
KR101175070B1 KR1020100125868A KR20100125868A KR101175070B1 KR 101175070 B1 KR101175070 B1 KR 101175070B1 KR 1020100125868 A KR1020100125868 A KR 1020100125868A KR 20100125868 A KR20100125868 A KR 20100125868A KR 101175070 B1 KR101175070 B1 KR 101175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itch
pair
tpc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4583A (ko
Inventor
조준수
박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이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이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이천
Priority to KR1020100125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070B1/ko
Priority to TW100144908A priority patent/TW201237520A/zh
Priority to CN201180051689.5A priority patent/CN103201675B/zh
Priority to PCT/KR2011/009400 priority patent/WO2012077964A2/en
Publication of KR20120064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 피치 조절 지그를 제공한다. 상기 지그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일정 피치의 전극 라인들이 형성되는 티씨피 필름이 안착되는 필름 안착부; 및 상기 필름 안착부의 양측에서 외력을 제공받아 수평 방향을 따라 활주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된 티씨피 필름의 양단이 고정되는 필름 피치 조절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엘시디 모듈 상호간의 전기적 신호를 연결해 주는 티씨피 필름의 피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름 피치 조절 지그 및 이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이를 사용한 필름 피치 조절 방법{JIG FOR ADJUSTING FILM PITCH AND APPARATUS FOR JOINING FILM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ADJUSTING FILM PITCH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필름 피치 조절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시디 모듈 상호간의 전기적 신호를 연결해 주는 티씨피 필름의 피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 및 이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이를 사용한 필름 피치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생산과정 중에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패널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이 수행된 후, 조립되어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조립된다.
즉, 조립 전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드라이브 아이씨(Drive IC)가 부착되는 검사용 패드에 검사용 프로브를 접촉시킨 후 드라이브 아이씨에서 검사용 프로브로 인가되는 전원 및 제어신호를 검사용 패드를 통해 패널부로 인가시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점등시킨 후 디스플레이 패널의 얼룩 및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전반적인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불량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통상 검사용 프로브에 포함되는 프로브 블록은 COF와 같은 티씨피 필름과 연결되는데, 이 연결되는 티씨피 필름에는 일정 피치를 이루는 전극 라인들이 형성된다. 이 전극 라인의 피치 간격은 피 검사 대상물인 패널의 접합 부분에서의 라인 피치 간격과 동일하다. 그러나, 패널의 크기에 따라 패널 접합부분에서의 라인 피치 간격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각 패널들의 라인 피치 규격에 해당되도록 개별적인 티씨피 필름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는 결국 필름 제작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유발한다.
이에 따라, 근래에 들어, 일정 간격의 전극 라인 피치를 이루는 티씨피 필름의 피치를 조절할 수 있음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시디 모듈 상호간의 전기적 신호를 연결해 주는 티씨피 필름의 피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 및 이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이를 사용한 필름 피치 조절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규격화된 티씨피 필름을 다양한 피치를 갖는 프로브 블록에 접착 연결함으로써, 생산에 따른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 및 이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이를 사용한 필름 피치 조절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필름 피치 조절 지그를 제공한다.
상기 지그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일정 피치의 전극 라인들이 형성되는 티씨피 필름이 안착되는 필름 안착부; 및 상기 필름 안착부의 양측에서 외력을 제공받아 수평 방향을 따라 활주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된 티씨피 필름의 양단이 고정되는 필름 피치 조절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필름 안착부 상단에는, 전기적 테스트를 실시하는 패널과 동일한 피치를 갖는 기준 피치들이 형성되는 글라스 블록이 더 설치되고, 상기 티씨피 필름은 상기 글라스 블록의 상단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필름 피치 조절부는, 상기 필름 안착부의 양측에 직립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수평 방향을 따라 활주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단에 상기 티씨피 필름의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홀이 끼워지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가동 블록과, 상기 한 쌍의 가동 블록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 설치되며, 스크류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블록과, 일정 길이를 이루고 상기 한 쌍의 고정 블록 각각의 스크류 홀과 스크류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한 쌍의 가동 볼륵 각각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류 홀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조절 나사 로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름 안착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상단을 잇도록 설치되며, 수직 스크류홀이 형성되는 상단 지지대와, 상기 상단 지지대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필름이 안착되고, 하단에 상기 수직 스크류홀에 끼워져 스크류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수직 조절 로드를 갖는 안착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돌기와 상기 고정홀에는 열 경화성 에폭시가 더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름 피치 조절 지그는, 상기 고정 돌기와 상기 고정홀에 도포되는 에폭시를 경화시키도록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일정 온도의 열풍을 제공하는 열풍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름 피치 조절 지그는, 상기 고정홀이 형성되는 티씨피 필름의 양단을 일정폭으로 커팅하는 커팅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름 피치 조절 지그는, 상기 필름 안착부 상부에서 상기 글라스 블록의 기준 피치들과 상기 티씨피 필름의 전극 라인들의 피치를 가시적으로 확대 표시하는 영상 확대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필름 접합 장치도 제공한다.
상기 필름 접합 장치는 프로브 블록이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블록 설치 유닛과; 상기 프로브 블록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블록 설치 유닛에 설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일정 피치의 전극 라인들이 형성되는 티씨피 필름이 안착되고, 승강되는 필름 안착부와, 상기 필름 안착부의 양측에서 외력을 제공받아 수평 방향을 따라 활주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된 티씨피 필름의 양단이 고정되는 필름 피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와; 상기 안착된 티씨피 필름의 양단이 고정하는 접착제를 제공하는 접착제 공급기와;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키도록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일정 온도의 열풍을 발생하는 열풍기; 및 상기 양단이 고정된 티씨피 필름의 양단을 일정 폭을 이루어 커팅하는 커팅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필름 안착부 상단에는, 일정 간격의 기준 피치들이 형성되는 글라스 블록이 더 설치되고, 상기 티씨피 필름은 상기 글라스 블록의 상단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필름 피치 조절부는, 상기 필름 안착부의 양측에 직립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수평 방향을 따라 활주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단에 상기 티씨피 필름의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홀이 끼워지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가동 블록과, 상기 한 쌍의 가동 블록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 설치되며, 스크류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블록과, 일정 길이를 이루고 상기 한 쌍의 고정 블록 각각의 스크류 홀과 스크류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한 쌍의 가동 볼륵 각각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류 홀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조절 나사 로드를 구비하는 것이,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름 안착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상단을 잇도록 설치되며, 수직 스크류홀이 형성되는 상단 지지대와, 상기 상단 지지대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필름이 안착되고, 하단에 상기 수직 스크류홀에 끼워져 스크류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수직 조절 로드를 갖는 안착대를 구비하되,
상기 수직 조절 로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안착대가 승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제는 UV 에폭시이고, 상기 UV 에폭시는 상기 고정 돌기와 상기 고정홀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단 일정 폭이 절단된 티씨피 필름은 상기 프로브 블록과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되고, 상기 접착제가 신속히 경화되도록 열풍기로부터 일정 온도의 열풍이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름 안착부의 상부에는 상기 글라스 블록의 기준 피치들과 상기 티씨피 필름의 전극 라인들의 피치를 가시적으로 확대 표시하는 영상 확대기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필름 접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필름 접합 방법은 블록 설치 유닛의 일정 위치에 프로브 블록을 설치하는 제 1단계와; 필름 안착부의 상단에 기준 피치들이 형성되는 글라스 블록을 설치하는 제 2단계와; 상기 글라스 블록의 상단에 일정 피치의 전극 라인들이 형성된 티씨피 필름을 안착하고, 그 양단을 상기 필름 안착부의 양단에 고정하는 제 3단계와; 상기 필름 안착부의 고정된 양단을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필름의 피치를 상기 기준 피치에 대응되도록 조절하는 제 4단계와; 상기 피치가 조절된 필름과 상기 프로브 블록의 일단을 서로 접합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피치가 조절된 필름의 양단을 커팅하고, 상기 프로브 블록을 상기 블록 설치 유닛으로부터 탈거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티씨피 필름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홀을 필름 안착부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 돌기에 끼워 고정하고, 접착제 공급기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된 부분에 열경화성 에폭시인 접착제를 도포하고, 열풍기를 사용하여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필름의 피치들과 기준 피치를 영상 확대기를 사용하여 가시화시켜 상기 필름의 피치들을 상기 기준 피치에 대응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필름 안착부의 양측에 직립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수평 방향을 따라 활주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단에 상기 티씨피 필름의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홀이 끼워지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가동 블록을 사용하여 상기 필름을 고정하고,
상기 한 쌍의 가동 블록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 설치되며, 스크류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블록과, 일정 길이를 이루고 상기 한 쌍의 고정 블록 각각의 스크류 홀과 스크류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한 쌍의 가동 볼륵 각각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류 홀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조절 나사 로드를 회전시켜 상기 필름의 양단을 당겨 상기 필름의 피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엘시디 모듈 상호간의 전기적 신호를 연결해 주는 티씨피 필름의 피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규격화된 티씨피 필름을 다양한 피치를 갖는 프로브 블록에 접착 연결함으로써, 생산에 따른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름 피치 조절 지그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필름 피치 조절 지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티씨피 필름의 피치 조절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글라스 블록의 기준 라인과 필름 과의 전극 라인 간의 관계를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필름 피치 조절 지그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를 설명함과 아울러, 필름 접합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필름 접합 장치는 블록 설치 유닛(200)과, 필름 안착부(120), 필름 피치 조절부(130)와, 접착제 공급기(미도시), UV 조사기(400), 영상 확대기(300) 및 커팅기(미도시)로 구성된다.
블록 설치 유닛(200)은 일정 높이에 가이드 레일(210)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210)의 하부에 블록 설치대(2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블록 설치대(220)의 일정 위치에는 프로브 블록(30)이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210)에는 현미경과 같은 영상 확대기(300)가 설치되어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위치에 이동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210)과 블록 설치대(220)의 양단은 지지 프레임(230)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프로브 블록(30)의 하부에는 티씨피 필름이 안착되는 필름 안착부(12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필름 안착부(120)에 안착되는 상기 티씨피 필름의 양단을 고정한 상태로 양측으로 당겨 피치를 조절하는 필름 피치 조절부(130)가 배치된다.
상기 필름 피치 조절부(130)는 상기 필름 안착부(120)의 양측에 직립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에 수평 방향을 따라 활주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단에 상기 티씨피 필름의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홀이 끼워지는 고정 돌기(131a)가 형성되는 한 쌍의 가동 블록(131)과, 상기 한 쌍의 가동 블록(131)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에 고정 설치되며, 스크류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블록(132)과, 일정 길이를 이루고 상기 한 쌍의 고정 블록(132) 각각의 스크류 홀과 스크류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한 쌍의 가동 볼륵(131) 각각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류 홀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조절 나사 로드(13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필름 안착부(1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121)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121) 상단을 잇도록 설치되며, 수직 스크류 홀이 형성되는 상단 지지대(122)와, 상기 상단 지지대(122)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티씨피 필름이 안착되고, 하단에 상기 수직 스크류 홀에 끼워져 스크류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수직 조절 나사 로드(123)를 갖는 안착대(124)로 구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지지대(121)는 하나의 연결 블록(141)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 블록(141)과 일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의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에는 지지 블록(14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블록(142)에 형성되는 스크류 홀(미도시)에 스크류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연결 블록(141)에 회전되도록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 블록(142)의 외부로 돌출되는 다른 조절 나사 로드(143)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다른 조절 나사 로드(143)는 상기 조절 나사 로드(133)와 직교되는 방향을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른 조절 나사 로드(143)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연결 볼록(141)에 연결된 필름 안착부(120)를 이동 위치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절 나사 로드(133)를 통해 필름 안착부(12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면, 상기 다른 조절 나사 로드(143)는 상기 필름 안착부(12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수직 조절 나사 로드(123)는 안착대(124)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 한편, 상기 안착대(124)의 상단에는 글라스 블록(도 3a의 20)이 설치되고, 상기 글라스 블록에는 기준 피치들을 이루는 기준 라인들(도 3a의 21)이 미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름은 상기 글라스 블록의 상단에 안착된다.
그리고, 접착제 공급기(미도시)는 상기 고정 돌기(131a)와 상기 고정홀에 열 경화성 UV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를 일정량 도포한다.
또한, UV 조사기(400)는 상기 고정 돌기(131a)와 상기 고정홀에 도포되는 에폭시를 경화시키도록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UV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팅기(미도시)는 상기 고정홀이 형성되는 상기 티씨피 필름의 양단을 일정폭(도 3b에서, 고정홀(10a)이 형성된 날개(12) 부분)으로 커팅할 수 있고, 상기 영상 확대기(300)는 가이드 레일(210)을 따라 일정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필름 안착부(120) 상부에서 상기 글라스 블록의 기준 피치들(도 4의 P1)과 상기 티씨피 필름(10)의 전극 라인들의 피치(도 4의 P)를 가시적으로 확대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티씨피 필름과 프로브 블록(30)은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되며, 상기 접착제는 열풍기(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일정 온도의 열풍에 노출되어 신속히 경화될 수 있다. 이 때, 접착제는 다양한 종류의 접착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순간 접착제가 이용될 수도 있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필름 접합 장치를 사용한 필름 접합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a를 참조 하면, 블록 설치 유닛(200)의 일정 위치에 프로브 블록(30)을 설치하는 제 1단계를 거친다. 상기 블록 설치대(220)에는 프로브 블록(30)이 설치되는 설치 위치가 미리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브 블록(30)은 볼트와 같은 수단을 사용하여 블록 설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요구에 따라 탈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프로브 블록(30)이 배치된 이후에, 필름 안착부(120)의 상단에 기준 피치들(P1)이 형성되는 글라스 블록(20)을 설치하는 제 2단계를 거친다. 상기 글라스 블록(2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정 간격을 이루는 기준 피치들(P1)이 미리 형성된다. 상기 글라스 블록(20)은 필름 안착부(120)의 안착대(124) 상단에 볼트와 같은 수단으로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 3b를 참조 하면, 상기 글라스 블록(20)의 상단에 일정 피치(P)의 전극 라인들(11)이 형성된 티씨피 필름(10)을 안착하고, 그 양단을 상기 필름 안착부(120)의 양단에 고정하는 제 3단계를 거친다.
여기서, 상기 티씨피 필름(10)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홀(10a)을 필름 안착부(120)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 돌기(131a)에 끼워 고정한다. 즉, 안착대(124)의 양측에 수평으로 활주 가능하게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동 블록(131)의 고정 돌기(131a)에 티씨피 필름(10) 양단에 형성된 고정홀(10a)을 끼워 필름(10)의 양단을 고정한다.
이어,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접착제 공급기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된 부분에 열경화성 에폭시인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는 UV 에폭시로서, UV조사기(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UV광에 의하여 경화되는 접착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폭시가 도포된 이후에, UV조사기(400)로부터 발생되는 UV광을 상기 에폭시에 제공하여 접착제인 에폭시를 경화 및 고정한다.
따라서, 티씨피 필름(10)은 글라스 블록(20)의 상단에 틀어짐 없이 위치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필름 안착부(120)의 고정된 필름(10)의 양단을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필름(10)의 피치(P)를 상기 기준 피치(P1)에 대응되도록 조절하는 제 4단계를 거친다.
본 발명에서의 필름 피치 조절은 필름(10)을 양측으로 당겨 조절하는데, 이는 필름 피치 조절부(13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필름 피치 조절부(130)는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 안착부(120)의 양측에 직립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에 수평 방향을 따라 활주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단에 상기 티씨피 필름(10)의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홀(10a)이 끼워지는 고정 돌기(131a)가 형성되는 한 쌍의 가동 블록(131)과, 상기 한 쌍의 가동 블록(131)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에 고정 설치되며, 스크류 홀(132a)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블록(132)과, 일정 길이를 이루고 상기 한 쌍의 고정 블록(132) 각각의 스크류 홀(132a)과 스크류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한 쌍의 가동 블록(131) 각각에 회전되도록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류 홀(132a)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조절 나사 로드(1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조절 나사 로드(133)를 서로 회전시킨다. 이때, 한 쌍의 조절 나사 로드(133) 각각의 일단이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가동 블록(131)은 필름(10)의 양단을 고정한 상태로 서로 벌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필름(10)은 필름(10)의 피치(P)가 글라스 블록(20)의 기준 피치(P1)에 대응될 때까지 상기와 같이 벌어져 늘어나게 된다.
이때, 영상 확대기(300)는 가이드 레일(21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필름(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필름(10)의 피치들(P)과 기준 피치(P1)가 서로 일치되는 지의 여부에 대한 영상을 외부로 확대 표시하여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3d에 도시되는 영상 확대기(300)를 사용하여 도 4와 같은 서로 중첩되는 글라스 블록(20)과 필름(10)에 대한 확대 영상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상기 필름(10)의 피치(P) 조절은 상기 한 쌍의 조절 나사 로드(133)를 회전시켜 상기 필름(10)의 피치(P)가 기준 피치(P1)에 이르도록 상기 필름(10)의 양단을 당겨 상기 필름(10)의 피치(P)를 조절한다.
그리고, 안착대(124)를 수직 조절 나사 로드(123)를 회전시커 필름(10)의 접합 부분이 프로브 블록(30)의 접합 부분에 밀접되는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그리고, 한 쌍의 가동 블록(131)에 고정된 필름(10)의 양단 날개(12)의 를 커팅기를 사용하여 커팅한다. 그리고, 안착대(124)에 안착된 상기 피치(P)가 조절된 필름(10)을 상기 프로브 블록(30)에 접합하는 제 5단계를 거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는 티씨피 필름(10)에서 고정홀(10a)이 형성된 양단 일정 폭의 날개(12)는 커팅되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피치 조절 공정이 끝난 이후에, 칼날과 같은 커팅기를 사용하여 상기 필름(10)의 양단 일정 폭을 절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름(10)은 안착대(124)로부터 자유로운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어, 도 3e를 참조 하면, 상기 서로 밀접되는 프로브 블록(30)과 필름(10)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프로브 블록(30)과 필름(10)을 서로 접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접합 부분에는 일정량의 접착제가 도포되는데, 상기 접착제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고(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순간 접착제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열풍기로부터 제공되는 일정 온도의 열풍에 노출되어 신속히 경화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필름 접합 장치에서 필름(10)의 피치 조절은 자동 제어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필름 피치 조절부(130)에서의 한 쌍의 가동 블록(131)은 각각 신축되는 실린더의 축에 연결되어 좌우를 따라 이동될 수도 있고, 영상 확대기(300)는 상기 필름(10)의 상부에서 필름(10)의 피치(P) 및 글라스 블록(20)의 기준 피치(P1)를 포함하는 영상을 취득하는 영상 취득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확대기(300)는 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영상 확대기로부터 상기 취득된 영상을 전달 받을 수 있으며, 영상 처리를 통하여 상기 필름(10)의 피치(P)와 기준 피치(P1)를 구분하고 이들이 중첩되는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는 엑츄에이터로써 제어기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구동될 수 있다.
이의 구성을 참조하면, 제어기는 상기 한 쌍의 실린더를 구동시켜 한 쌍의 가동 블록(131)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가동 블록(131)의 상단에 양단이 고정된 필름(10)은 점진적으로 수평 방향을 따라 늘어날 수 있음과 아울러, 필름(10)의 피치(P) 역시 간격이 점진적으로 벌어진다.
이때, 영상 확대기(300)는 상기 간격이 가변되는 필름(10)의 피치(P)와 기준 피치(P1)를 실시간으로 영상을 취득 및 제어기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기는 이를 영상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변되는 필름(10)의 피치(P)와 기준 피치(P1)가 서로 중첩될 때까지 실린더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어,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필름(10)의 피치(P)와 기준 피치(P1)가 중첩되면, 실린더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필름이 안착된 안착대(124)를 별도의 승강 장치를 사용하여 필름(10)의 접합 부분이 프로브 블록(30)의 접합 부분에 접하는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그리고, 이 접합 부분은 서로 본딩 처리된다.
이어, 상기 제어기는 왕복 이동되는 수평 장치에 연결되는 커팅기를 사용하여 한 쌍의 가동 로드들(131) 상단에 고정된 필름(10)의 양단 일정 폭을 커팅하여 필름(10)을 안착대(124)로부터 자유로운 상태를 이루게 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브 블록(30)은 필름(10)이 접합된 상태로 블록 설치대(220)로부터 탈거될 수 있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물론, 상기에서와 같이 영상 확대기(300)가 가변되는 필름(10)의 피치(P)를 인식할 수 있는 경우, 별도의 기준 피치(P1)를 글라스 블록(20)을 제공하지 않고, 기준 피치(P1)를 제어부에 미리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는 인식되는 필름(10)의 가변되는 피치(P)가 미리 설정된 기준 피치(P1)에 이를 때까지 실린더를 구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10 : 티씨피 필름 10a : 고정홀
11 : 전극 라인 20 : 글라스 블록
21 : 기준 라인 30 : 프로브 블록
100 : 필름 피치 조절 지그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필름 안착부 121 : 지지대
122 : 상단 지지대 122a : 수직 스크류 홀
123 : 수직 조절 나사 로드 124 : 안착대
130 : 필름 피치 조절부 131 : 가동 블록
131a : 고정 돌기 132 : 고정 블록
132a : 스크류 홀 133 : 조절 나사 로드
200 : 블록 설치 유닛 210 : 가이드 레일
220 : 블록 설치대 300 : 영상 확대기
400 : UV 조사기

Claims (19)

  1.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일정 피치의 전극 라인들이 형성되는 티씨피 필름이 안착되는 필름 안착부; 및
    상기 필름 안착부의 양측에서 외력을 제공받아 수평 방향을 따라 활주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된 티씨피 필름의 양단이 고정되는 필름 피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안착부 상단에는,
    일정 간격의 기준 피치들이 형성되는 글라스 블록이 더 설치되고,
    상기 티씨피 필름은 상기 글라스 블록의 상단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피치 조절부는,
    상기 필름 안착부의 양측에 직립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수평 방향을 따라 활주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단에 상기 티씨피 필름의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홀이 끼워지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가동 블록과, 상기 한 쌍의 가동 블록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 설치되며, 스크류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블록과, 일정 길이를 이루고 상기 한 쌍의 고정 블록 각각의 스크류 홀과 스크류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한 쌍의 가동 볼륵 각각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류 홀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조절 나사 로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안착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상단을 잇도록 설치되며, 수직 스크류홀이 형성되는 상단 지지대와, 상기 상단 지지대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필름이 안착되고, 하단에 상기 수직 스크류홀에 끼워져 스크류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수직 조절 로드를 갖는 안착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와 상기 고정홀에는 열 경화성 에폭시가 더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피치 조절 지그는, 상기 고정 돌기와 상기 고정홀에 도포되는 에폭시를 경화시키도록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UV광을 제공하는 UV 조사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피치 조절 지그는, 상기 고정홀이 형성되는 티씨피 필름의 양단을 일정폭으로 커팅하는 커팅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피치 조절 지그는,
    상기 필름 안착부 상부에서 상기 글라스 블록의 기준 피치들과 상기 티씨피 필름의 전극 라인들의 피치를 가시적으로 확대 표시하는 영상 확대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
  9. 프로브 블록이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블록 설치 유닛;
    상기 프로브 블록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블록 설치 유닛에 설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일정 피치의 전극 라인들이 형성되는 티씨피 필름이 안착되고, 승강되는 필름 안착부와, 상기 필름 안착부의 양측에서 외력을 제공받아 수평 방향을 따라 활주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된 티씨피 필름의 양단이 고정되는 필름 피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
    상기 안착된 티씨피 필름의 양단을 고정하는 접착제를 제공하는 접착제 공급기;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키도록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접착제에 UV광을 제공하는 UV 조사기; 및
    상기 양단이 고정된 티씨피 필름의 양단을 일정 폭을 이루어 커팅하는 커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10. 제 9 에 있어서,
    상기 필름 안착부 상단에는,
    일정 간격의 기준 피치들이 형성되는 글라스 블록이 더 설치되고,
    상기 티씨피 필름은 상기 글라스 블록의 상단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피치 조절부는,
    상기 필름 안착부의 양측에 직립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수평 방향을 따라 활주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단에 상기 티씨피 필름의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홀이 끼워지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가동 블록과, 상기 한 쌍의 가동 블록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 설치되며, 스크류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블록과, 일정 길이를 이루고 상기 한 쌍의 고정 블록 각각의 스크류 홀과 스크류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한 쌍의 가동 볼륵 각각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류 홀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조절 나사 로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안착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상단을 잇도록 설치되며, 수직 스크류홀이 형성되는 상단 지지대와, 상기 상단 지지대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필름이 안착되고, 하단에 상기 수직 스크류홀에 끼워져 스크류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수직 조절 로드를 갖는 안착대를 구비하되,
    상기 수직 조절 로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안착대가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UV 에폭시이고,
    상기 UV 에폭시는 상기 고정 돌기와 상기 고정홀에 도포되는 것을 징으로 하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 일정 폭이 절단된 티씨피 필름은 상기 프로브 블록과 접착제에 의하여 접합되고,
    상기 접착제가 신속히 경화되도록 열풍기로부터 일정 온도의 열풍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안착부의 상부에는 상기 글라스 블록의 기준 피치들과 상기 티씨피 필름의 전극 라인들의 피치를 가시적으로 확대 표시하는 영상 확대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16. 블록 설치 유닛의 일정 위치에 프로브 블록을 설치하는 제 1단계;
    필름 안착부의 상단에 기준 피치들이 형성되는 글라스 블록을 설치하는 제 2단계;
    상기 글라스 블록의 상단에 일정 피치의 전극 라인들이 형성된 티씨피 필름을 안착하고, 그 양단을 상기 필름 안착부의 양단에 고정하는 제 3단계;
    상기 필름 안착부의 고정된 양단 각각을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필름의 피치를 상기 기준 피치에 대응되도록 조절하는 제 4단계;
    상기 피치가 조절된 필름과 상기 프로브 블록의 일단을 서로 접합하는 제 5단계; 및
    상기 피치가 조절된 필름의 양단을 커팅하고, 상기 프로브 블록을 상기 블록 설치 유닛으로부터 탈거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접합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티씨피 필름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홀을 필름 안착부의 양단에 형성된 고정 돌기에 끼워 고정하고,
    접착제 공급기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된 부분에 열경화성 에폭시인 접착제를 도포하고,
    열풍기를 사용하여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접합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상기 필름의 피치들과 기준 피치를 영상 확대기를 사용하여 가시화시켜 상기 필름의 피치들을 상기 기준 피치에 대응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접합 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필름의 피치 조절은 필름 피치 조절부에 의해서 수행되며,
    상기 필름 피치 조절부는 상기 필름 안착부의 양측에 직립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수평 방향을 따라 활주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단에 상기 티씨피 필름의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홀이 끼워지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가동 블록과, 상기 한 쌍의 가동 블록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고정 설치되며, 스크류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블록과, 일정 길이를 이루고 상기 한 쌍의 고정 블록 각각의 스크류 홀과 스크류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한 쌍의 가동 볼륵 각각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류 홀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조절 나사 로드를 구비하되,
    상기 필름의 피치 조절은 상기 한 쌍의 조절 나사 로드를 회전시켜 상기 필름의 피치가 기준 피치에 이르도록 상기 필름의 양단을 당겨 상기 필름의 피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접합 방법.
KR1020100125868A 2010-12-09 2010-12-09 필름 피치 조절 지그 및 이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이를 사용한 필름 피치 조절 방법 KR101175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868A KR101175070B1 (ko) 2010-12-09 2010-12-09 필름 피치 조절 지그 및 이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이를 사용한 필름 피치 조절 방법
TW100144908A TW201237520A (en) 2010-12-09 2011-12-06 Jig for adjusting film pitch, apparatus for joining film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djusting film pitch using the apparatus
CN201180051689.5A CN103201675B (zh) 2010-12-09 2011-12-07 用于调整薄膜间距的夹具、具有该夹具的薄膜接合装置及使用该装置调整薄膜间距的方法
PCT/KR2011/009400 WO2012077964A2 (en) 2010-12-09 2011-12-07 Jig for adjusting film pitch, apparatus for joining film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djusting film pitch using th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868A KR101175070B1 (ko) 2010-12-09 2010-12-09 필름 피치 조절 지그 및 이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이를 사용한 필름 피치 조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583A KR20120064583A (ko) 2012-06-19
KR101175070B1 true KR101175070B1 (ko) 2012-08-21

Family

ID=46207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868A KR101175070B1 (ko) 2010-12-09 2010-12-09 필름 피치 조절 지그 및 이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이를 사용한 필름 피치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175070B1 (ko)
CN (1) CN103201675B (ko)
TW (1) TW201237520A (ko)
WO (1) WO201207796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584B1 (ko) * 2012-07-09 2017-03-0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테이프 부착 방법 및 장치
KR101255108B1 (ko) * 2012-11-08 2013-04-19 주식회사 프로이천 필름 위치 설정용 기준 라인을 갖는 글라스 블록 및 이를 갖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 이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이를 이용한 필름 피치 조절 방법
CN111982008A (zh) * 2020-08-28 2020-11-24 四川三联新材料有限公司 卷烟滤棒切割深度检测装置
CN113478632B (zh) * 2021-06-22 2022-11-22 新乡北新建材有限公司 一种用于在线更换石膏板产品规格的处理调整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327B1 (ko) 1996-12-16 2002-05-09 가야시마 고조 플렉시블기판맞붙임장치및맞붙임방법
KR100448425B1 (ko) 2000-05-31 2004-09-1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장치 및 장착 방법
KR100544454B1 (ko) 2003-10-22 2006-01-23 최웅수 커버레이 필름 펀칭장치
KR100843704B1 (ko) 2006-10-25 2008-07-04 탑 에이앤씨테크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327B1 (ko) 1996-12-16 2002-05-09 가야시마 고조 플렉시블기판맞붙임장치및맞붙임방법
KR100448425B1 (ko) 2000-05-31 2004-09-13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플레이 기판과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을 접착하는 장착 장치 및 장착 방법
KR100544454B1 (ko) 2003-10-22 2006-01-23 최웅수 커버레이 필름 펀칭장치
KR100843704B1 (ko) 2006-10-25 2008-07-04 탑 에이앤씨테크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583A (ko) 2012-06-19
WO2012077964A2 (en) 2012-06-14
TW201237520A (en) 2012-09-16
CN103201675A (zh) 2013-07-10
CN103201675B (zh) 2015-08-19
WO2012077964A3 (en) 201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070B1 (ko) 필름 피치 조절 지그 및 이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이를 사용한 필름 피치 조절 방법
CN104516132B (zh) 一种测试治具
CN203216859U (zh) 一种用于触摸屏视觉检测的图像采集装置
CN212159951U (zh) 一种触摸屏参数的高精度测量装置
JP2008122145A (ja) プローブ位置合わせ方法及び可動式プローブユニット機構並びに検査装置
CN108594493A (zh) 一种自动对位检测机构
CN105487265A (zh) 一种背光源点灯治具
CN104459394A (zh) 一种oled面板对位装置
CN204175736U (zh) 一种压合治具
CN105149321B (zh) 一种液晶屏拆解机
KR101255108B1 (ko) 필름 위치 설정용 기준 라인을 갖는 글라스 블록 및 이를 갖는 필름 피치 조절 지그, 이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이를 이용한 필름 피치 조절 방법
TWI522325B (zh) 切割裝置
CN204780208U (zh) 一种自动缝纫机
CN208476499U (zh) 一种拉力测试装置
CN110806272B (zh) 一种电源板温升测试装置
CN106514019A (zh) 激光焊固定装置
CN210037150U (zh) 显示模组的对位系统
CN204836357U (zh) 图像传感器电路板平整装置及系统
CN201945562U (zh) 线路板缺陷检修装置
CN209858181U (zh) 一种oled屏面光学检测设备
CN103574522A (zh) 摄像头模组测试灯箱
CN112013229A (zh) 一种显示屏支架
CN202835202U (zh) 摄像头模组测试灯箱
CN205139513U (zh) 激光修复补胶机
CN208811998U (zh) 一种汽车后盖铰链装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