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704B1 -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704B1
KR100843704B1 KR1020060103765A KR20060103765A KR100843704B1 KR 100843704 B1 KR100843704 B1 KR 100843704B1 KR 1020060103765 A KR1020060103765 A KR 1020060103765A KR 20060103765 A KR20060103765 A KR 20060103765A KR 100843704 B1 KR100843704 B1 KR 100843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display mo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7135A (ko
Inventor
이한희
Original Assignee
탑 에이앤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탑 에이앤씨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탑 에이앤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3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704B1/ko
Publication of KR20080037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형태의 필름자재로부터 필름이 자동으로 분리되고 자동으로 이송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표시모듈 상에 자동으로 부착될 수 있고, 필름의 X축 및 Y축으로의 이송위치를 각각 검출하여 흡착헤드의 위치를 정위치로 정렬시킴에 따라 액정표시모듈 상에 필름이 정확히 부착될 수 있으며, 필름의 부착시 기포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는, 롤 형태의 필름자재로부터 필름을 자동으로 분리시켜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 상에 자동으로 부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이 안착되는 지그가 구비되는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과, 상기 본체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필름자재를 일방향으로 회수시키면서 상기 필름자재에 부착된 필름을 분리시키는 필름공급유닛과, 상기 본체 상에서 상기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과 필름공급유닛 사이에 설치되고 X축 및 Y축방향으로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2축이송유닛과, 상기 2축이송유닛 상에 Z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름공급유닛으로부터 분리된 필름을 진공흡착하며 상기 2축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의 지그 상으로 이송된 후 상기 지그에 안착된 액정표시모듈에 필름을 부착시키는 필름흡착/부착유닛과,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필름흡착/부착유닛 의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정렬센서와,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 필름공급유닛, 2축이송유닛 및 필름흡착/부착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정렬센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필름흡착/부착유닛의 위치를 보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동통신단말기, 액정표시모듈, 필름부착장치, 본체,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 필름공급유닛, 2축이송유닛, 필름흡착/부착유닛, 정렬센서, 컨트롤러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DEVICE FOR ATTACHING A FILM ON A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OF A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의 부분절개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의 또 다른 부분절개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에 있어서, 2축이송유닛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에 있어서, 필름흡착/부착유닛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에 있어서, 필름흡착/부착유닛의 하단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
3 : 필름자재
5 : 필름
10 : 본체
20 :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
21 : 회전모터
23 : 회전테이블
25 : 지그
30 : 필름공급유닛
31 : 권취롤러
33 : 회수롤러
35 : 장력조절기구
37 : 박리기구
40 : 2축이송유닛
45 : X축이송기구
47 : Y축이송기구
50 : 필름흡착/부착유닛
53 : Z축이송기구
55 : 흡착헤드
57 : 진공발생/해제기구
59 : 케이스
60 : 정렬센서
70 : 컨트롤러
본 발명은 휴대폰, 피디에이(PDA)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표시모듈에 필름을 자동으로 부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 형태의 필름자재로부터 필름이 자동으로 분리되고 자동으로 이송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표시모듈 상에 자동으로 부착될 수 있고, 필름의 X축 및 Y축으로의 이송위치를 각각 검출하여 흡착헤드의 위치를 정위치로 정렬시킴에 따라 액정표시모듈 상에 필름이 정확히 부착될 수 있으며, 필름의 부착시 기포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피디에이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사용되고 있는 액정표시모듈의 경우, 확산필름, 편광필름, 산란필름, 차광필름이 부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스크래치 등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필름이 부착된다.
그러나 제조공정 상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표시모듈 상에 필름을 수작업으로 일일이 부착할 경우에는, 먼저 롤 형태의 필름자재를 회수해가면서 필름을 분리시킨 후 이를 액정표시모듈 상의 정위치에 부착하여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 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조공정 상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표시모듈 상에 필름을 수작업으로 일일이 부착할 경우, 개개인의 작업능숙도에 따라 필름이 액정표시모듈 상의 일정위치에 정확히 부착될 수 없어 그 정밀도가 저하지는 문제점도 있으며, 작업시 필름이 손상되어 수율이 떨어지고 그 결과 제조원가가 배가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롤 형태의 필름자재로부터 필름이 자동으로 분리되고 자동으로 이송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표시모듈 상에 자동으로 부착될 수 있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름의 X축 및 Y축으로의 이송위치를 각각 검출하여 흡착헤드의 위치를 정렬한 후 액정표시모듈 상에 필름을 정확히 부착할 수 있으며, 필름의 부착시 기포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롤 형태의 필름자재로부터 필름을 자동으로 분리시켜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 상에 자동으로 부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이 안착되는 지그가 구비되는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과, 상기 본체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필름자재를 일방향으로 회수시키면서 상기 필름자재에 부착된 필름을 분리시키는 필름공급유닛과, 상기 본체 상에서 상기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과 필름공급유닛 사이에 설치되고 X축 및 Y축방향으로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2축이송유닛과, 상기 2축이송유닛 상에 Z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름공급유닛으로부터 분리된 필름을 진공흡착하며 상기 2축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의 지그 상으로 이송된 후 상기 지그에 안착된 액정표시모듈에 필름을 부착시키는 필름흡착/부착유닛과,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필름흡착/부착유닛의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정렬센서와,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 필름공급유닛, 2축이송유닛 및 필름흡착/부착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정렬센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필름흡착/부착유닛의 위치를 보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탁상에 설치가능하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회전테이블과, 상기 회전테이블 상에 고정되며 액정표시모듈이 탈착가능하게 안착되는 지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름공급유닛은, 상기 본체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필름이 소정간격으로 부착된 롤 형태의 필름자재가 장 착되는 자재롤러와, 상기 본체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름자재를 일방향으로 권취하여 회수시키는 회수롤러와, 상기 필름자재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필름자재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기구와, 상기 필름자재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필름자재로부터 보호필름을 분리시키는 박리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름흡착/부착유닛은, 상기 2축이송유닛 상에 Y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Z축이송기구와, 상기 Z축이송기구의 하단에 설치되어 Z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필름을 흡착 또는 흡착해제하는 흡착헤드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흡착헤드에 진공흡착력을 제공하거나 해제하는 진공발생/해제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흡착헤드의 일측에는 필름부착을 위한 부착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흡착헤드의 타측에는 흡착된 필름의 단부를 상기 부착롤러의 하단에 위치시키는 선형이송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부착롤러의 상부에는 필름의 단부가 상기 부착롤러의 하단에 위치되는지를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정렬센서는, 상기 필름흡착/부착유닛의 X축방향위치를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X축위치검출센서와, 상기 필름흡착/부착유닛의 Y축방향위치를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Y축위치검출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의 부분절개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4에는 2축이송유닛의 작동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필름흡착/부착유닛의 상세도가 도시되며, 도 6에는 필름흡착/부착유닛의 하단구조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1)는 롤 형태의 필름자재(3)로부터 필름(5)을 자동으로 분리시켜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도시되지 않음) 상에 자동으로 부착하는 장치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10)와, 본체(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이 안착되는 지그(25)가 구비되는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20)과, 본체(10)의 타측에 설치되고 필름자재(3)를 일방향으로 회수시키면서 필름자재(3)에 부착된 필름(5)을 분리시키는 필름공급유닛(30)과, 본체(10) 상에서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20)과 필름공급유닛(30) 사이에 설치되고 X축 및 Y축방향으로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2축이송유닛(40)과, 2축이송유닛(40) 상에 Z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 게 설치되고 필름공급유닛(30)으로부터 분리된 필름(5)을 진공흡착하며 2축이송유닛(40)에 의해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20)의 지그(25) 상으로 이송된 후 지그(25)에 안착된 액정표시모듈에 필름(5)을 부착시키는 필름흡착/부착유닛(50)과, 본체(10) 상에 설치되고 필름흡착/부착유닛(50)의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정렬센서(60)와, 본체(10) 상에 설치되고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20), 필름공급유닛(30), 2축이송유닛(40) 및 필름흡착/부착유닛(50)의 작동을 제어하며 정렬센서(60)의 제어신호에 따라 필름흡착/부착유닛(50)의 위치를 보정하는 컨트롤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체(1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1)의 베이스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탁상에 설치가능하게 형성된다.
전술한 본체(10)의 일측에는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20)이 설치되는데, 이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20)은 필름(5)이 부착될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을 공급하는 것으로,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모터(21)와, 회전모터(21)의 축에 설치되는 회전테이블(23)과, 회전테이블(23) 상에 고정되며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이 탈착가능하게 안착되는 지그(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테이블(23) 상에는 지그(25)가 예를 들어 180도 간격 또는 90도 간격과 같이 소정의 각도간격마다 1개씩 배열되는데, 이 경우에 회전테이블(23)은 해당 각도간격만큼씩 회전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지그(25) 상에 필름(5)이 부착될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을 안착시킬 수 있게 되고, 필름(5)이 부착된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을 지그(25)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체(10)의 타측에는 필름공급유닛(30)이 설치되는데, 이 필름공급유닛(30)은 롤 형태의 필름자재(3)를 일방향으로 회수시키면서 필름자재(3)에 부착된 필름(5)을 분리시켜 차후에 설명될 필름흡착/부착유닛(50)으로 필름(5)을 1장씩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체(1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필름(5)이 소정간격으로 부착된 롤 형태의 필름자재(3)가 장착되는 자재롤러(31)와, 본체(1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필름자재(3)를 일방향으로 권취하여 회수시키는 회수롤러(33)와, 필름자재(3)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고 필름자재(3)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기구(35)와, 필름자재(3)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고 필름자재(3)로부터 필름(5)을 분리시키는 박리기구(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필름자재(3)는 이형지 상에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에 부착될 필름(5)이 소정간격마다 부착된 테이프 형태가 롤 형태로 감겨져 형성된다.
자재롤러(31)는 외력에 의해 회전가능한 아이들롤러로 형성되고, 회수롤러(33)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강제회전되는 롤러로 형성되고, 회수롤러(33)에는 필름자재(3)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구(33a)가 구비된다.
장력조절기구(35)는 필름자재(3)가 용이하게 회수됨과 동시에 필름자재(3)로부터 필름(5)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자재롤러(31)로부터 회수롤러(33)에 이르는 필름자재(3)에 텐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필름자재(3)를 누르거나 들어올려 최적의 텐션이 유지되도록 한다.
박리기구(37)는 필름자재(3)로부터 필름(5)을 분리시켜 일측으로 배출시키고 필름(5)이 분리된 필름자재(3)만 회수롤러(33)로 회수되도록 하는 것으로 공지된 다양한 박리기구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 상에서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20)과 필름공급유닛(30) 사이에는 2축이송유닛(40)이 설치되는데, 이 2축이송유닛(40)은 차후에 설명될 필름흡착/부착유닛(50)을 필름공급유닛(30)으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이 안착된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20) 상의 지그(25) 상으로 이송시킴에 있어서 X축 및 Y축의 2축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본체(10) 상에 X축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X축프레임(41)과, X축프레임(41) 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X축프레임(41)에 직교하여 Y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차후에 설명될 필름흡착/부착유닛(50)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Y축프레임(43)과, Y축프레임(43)을 X축프레임(41)을 따라 X축방향으로 이송시키는 X축이송기구(45)와, 필름흡착/부착유닛(50)을 Y축프레임(43)을 따라 Y축방향으로 이송시키는 Y축이송기구(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X축프레임(41)에는 Y축프레임(43)의 X축방향으로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41a)이 형성되고, Y축프레임(43)에는 필름흡착/부착유닛(50)의 Y축방향으로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43a)이 형성된다.
X축이송기구(45)와 Y축이송기구(47)는 선형이동이 가능한 실린더기구로도 향성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헤드의 선형이송기구와 유사하게 선형모터와 전동체인 등의 조합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2축이송유닛(40) 상에는 필름흡착/부착유닛(50)이 Z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필름흡착/부착유닛(50)은 필름공급유닛(30)에 의해 분리된 필름(5)을 진공흡착한 상태에서 2축이송유닛(40)에 의해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 (20)의 지그(25) 상으로 이송된 후 지그(25)에 안착된 액정표시모듈에 필름(5)을 부착시키는 것으로, 2축이송유닛(40)의 Y축프레임(43) 상에 Y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51)과, 지지프레임(51) 상에 설치되는 Z축이송기구(53)와, Z축이송기구(53)의 하단에 설치되어 Z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필름공급유닛(30)에 의해 분리된 필름(5)을 흡착 또는 흡착해제하는 흡착헤드(55)와, 지지프레임(55) 상에 설치되고 흡착헤드(55)에 진공흡착력을 제공하거나 해제하는 진공발생/해제기구(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Z축이송기구(53)와 진공발생/해제기구(57)는 케이스(59)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둘러싸여진다.
지지프레임(51)은 필름흡착/부착유닛(50)의 설치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2축이송유닛(40)의 Y축이송기구(47)에 의해 Y축프레임(43)을 따라 Y축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Z축이송기구(53)은 선형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기구로 구성된다.
지지프레임(51)의 하단에 설치되는 흡착헤드(55)는 Z축이송기구(53)에 의해 지지프레임(51)에 대해 Z축방향, 즉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진공발생/해제기구(57)에 의한 진공흡착력을 통해 필름(5)을 흡착하고 필름(5)이 부착될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가 안착된 지그(25) 상에서 진공해제를 통해 필름(5)을 분리시키게 된다.
흡착헤드(55)의 일측에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필름(5)의 부착을 위한 부착롤러(55a)가 구비되고, 흡착헤드(55)의 타측에는 흡착된 필름(5)의 단부를 부착롤러(55a)의 하단에 위치시키는 선형이송기구(55b)가 설치되며, 부착롤러(55a) 의 상부에는 필름(5)의 단부가 부착롤러(55a)의 하단에 위치되는지를 검출하는 센서(55c)가 설치된다.
선형이송기구(55b)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터와 리드스크류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리드스크류 상에 흡착헤드(55)가 선형이송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센서(55c)는 광센서 등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센서(55a)의 신호에 의해 선형이송기구(55b)가 구동됨에 따라 흡착헤드(55)의 위치를 정위치로 최종적으로 조정하게 된다.
전술한 본체(10) 상에는 정렬센서(60)가 설치되는데, 이 정렬센서(60)는 필름흡착/부착유닛(50)의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그 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필름흡착/부착유닛(50)의 X축방향위치를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X축위치검출센서(61)와, 필름흡착/부착유닛(50)의 Y축방향위치를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Y축위치검출센서(63)로 이루어진다.
X축위치검출센서(61)와 Y축위치검출센서(63)는 위치검출센서로서 필름흡착/부착유닛(50) 중 흡착헤드(55)의 X축 및 Y축방향위치를 검출하여 차후에 설명될 컨트롤러(70)로 제공함에 따라 필름흡착/부착유닛(50)의 흡착헤드(55)가 정위치로 재조정될 수 있도록 2축이송유닛(40)가 구동되도록 한다.
전술한 본체(10)에는 컨트롤러(70)가 설치되는데, 이 컨트롤러(70)는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20), 필름공급유닛(30), 2축이송유닛(40) 및 필름흡착/부착유닛(50)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정렬센서(60)의 제어신호에 따라 필름흡착/부착유닛(50)의 위치를 보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의 작동시작, 작동정지 및 비상정지를 위한 각종 스위치(71)와, 조작을 위한 터치패드(73), 그리고 본체(10) 내에 내장된 제어회로(도시되지 않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1)의 전체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1)를 구동하게 되면,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20)이 작동되면서 회전테이블(23)이 소정각도간격으로 회전되고 작업자가 지그(25) 상에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을 안착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필름공급유닛(30)이 작동됨에 따라 회수롤러(33)가 회전되면서 자재롤러(31)에 설치된 롤 형태의 필름자재(3)가 회수롤러(33)로 이동되면서 필름자재(3)에 부착된 필름(5)이 박리기구(37)에 의해 1장씩 분리되어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된 필름(5)은 필름흡착/부착유닛(50)의 흡착헤드(55)에 의해 흡착되고 2축이송유닛(40)에 의해 필름흡착/부착유닛(50) 전체가 X축 및 Y축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을 안착된 지그(25) 상이 이동된다.
이 때 필름흡착/부착유닛(50)의 흡착헤드(55)의 X축 및 Y축방향위치는 X축위치검출센서(61)와 Y축위치검출센서(63)에 의해 검출되고 이 센서(61, 63)의 신호에 의해 그 위치가 정위치로 재조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흡착헤드(55)는 Z축이송기구(53)에 의해 지지프레임(51)에 대해 Z축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 때 필름(5)의 단부가 부착롤러(55a)의 하단에 위치되는지를 센서(55c)가 검출하여 선형이송기구(55b)를 작동시킴에 따라 흡착헤드(55)의 취치를 최종적으로 조정한 상태에서 진공발생/해제기구(57)에 의해 진공흡착력을 해제하여 흡착헤드(55)로부터 필름(5)을 분리시키과 동시에 부착롤러(55a)로 가압부착하여 필름(5)이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 상에 기포발생없이 부착되도록 한다.
필름흡착/부착유닛(50)는 2축이송유닛(40)에 의해 다시 최초 위치로 이송되고 전술한 절차를 반복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회전테이블(23)이 소정각도로 회전됨에 따라 필름(5)이 부착될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이 안착된 지그(25)는 흡착헤드(55)의 정위치로부터 빠져나옴에 따라 작업자는 필름(5)을 부착할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을 그 지그(25)에 안착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필름(5)이 부착될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이 안착된 지그(25)는 흡착헤드(55)의 정위치로 이송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에 의하면, 롤 형태의 필름자재로부터 필름이 자동으로 분리되어 필름흡착/부착유닛에 의해 흡착된 후 2축이송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이송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표시모듈 상에 자동으로 부착될 수 있어,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필름의 X축 및 Y축으로의 이송위치를 각각 검출하여 흡착헤드의 위치를 정렬한 후 액정표시모듈 상에 필름이 정위치에 정확히 부착될 수 있어 작업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필름의 부착시 필름흡착/부착유닛의 상하이동과, 부착롤러의 압착에 의해 액정표시모듈과 필름 사이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롤 형태의 필름자재로부터 필름을 자동으로 분리시켜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 상에 자동으로 부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이 안착되는 지그가 구비되는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
    상기 본체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필름자재를 일방향으로 회수시키면서 상기 필름자재에 부착된 필름을 분리시키는 필름공급유닛;
    상기 본체 상에서 상기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과 필름공급유닛 상에 설치되고 X축 및 Y축방향으로의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2축이송유닛;
    상기 2축이송유닛 상에 Z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름공급유닛으로부터 분리된 필름을 진공흡착하며 상기 2축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의 지그 상으로 이송된 후 상기 지그에 안착된 액정표시모듈에 필름을 부착시키는 필름흡착/부착유닛;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필름흡착/부착유닛의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정렬센서; 및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상기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 필름공급유닛, 2축이송유닛 및 필름흡착/부착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정렬센서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필름흡착/부착유닛의 위치를 보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탁상에 설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모듈공급유닛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축에 설치되는 회전테이블과, 상기 회전테이블 상에 고정되며 액정표시모듈이 탈착가능하게 안착되는 지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공급유닛은, 상기 본체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필름이 소정간격으로 부착된 롤 형태의 필름자재가 장착되는 자재롤러와, 상기 본체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름자재를 일방향으로 권취하여 회수시키는 회수롤러와, 상 기 필름자재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필름자재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기구와, 상기 필름자재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필름자재로부터 보호필름을 분리시키는 박리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흡착/부착유닛은, 상기 2축이송유닛 상에 Z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Z축이송기구와, 상기 Z축이송기구의 하단에 설치되어 Z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필름을 흡착 또는 흡착해제하는 흡착헤드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흡착헤드에 진공흡착력을 제공하거나 해제하는 진공발생/해제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헤드의 일측에는 필름부착을 위한 부착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흡착헤드의 타측에는 흡착된 필름의 단부를 상기 부착롤러의 하단에 위치시키는 선형이송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부착롤러의 상부에는 필름의 단부가 상기 부착롤러의 하단에 위치되는지를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센서는, 상기 필름흡착/부착유닛의 X축방향위치를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X축위치검출센서와, 상기 필름흡착/부착유닛의 Y축방향위치를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Y축위치검출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
KR1020060103765A 2006-10-25 2006-10-25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 KR100843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765A KR100843704B1 (ko) 2006-10-25 2006-10-25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765A KR100843704B1 (ko) 2006-10-25 2006-10-25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135A KR20080037135A (ko) 2008-04-30
KR100843704B1 true KR100843704B1 (ko) 2008-07-04

Family

ID=39575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765A KR100843704B1 (ko) 2006-10-25 2006-10-25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37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7964A2 (en) * 2010-12-09 2012-06-14 Pro-2000 Co. Ltd. Jig for adjusting film pitch, apparatus for joining film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djusting film pitch using the apparatus
KR101386993B1 (ko) 2013-04-19 2014-04-18 주식회사 로보스타 전자태그 박리탑재장치
KR20220001288A (ko) * 2020-06-29 2022-01-05 안종이 라미네이팅 장치
KR20220001289A (ko) * 2020-06-29 2022-01-05 안종이 라미네이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436B1 (ko) * 2008-07-09 2010-07-2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기능성 필름 부착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117094A1 (ko) * 2009-04-06 2010-10-14 Han Ji-Yeon 액정보호필름 부착 도구
KR101135144B1 (ko) * 2011-10-18 2012-04-16 박광준 휴대폰용 보호 필름 부착장치
KR101720010B1 (ko) * 2015-07-23 2017-03-27 (주)소닉스 백라이트 유닛용 몰드프레임 공급장치
KR102008178B1 (ko) * 2016-08-29 2019-08-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패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0415615A (zh) * 2018-04-28 2019-11-05 上海维锐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薄膜面板贴装装置
CN108594490B (zh) * 2018-05-10 2021-01-26 深圳市志凌伟业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节省实用空间的贴合机用倾斜平台
CN108674974A (zh) * 2018-07-13 2018-10-19 深圳市强瑞电子有限公司 撕膜植板机
KR101958827B1 (ko) 2018-09-16 2019-03-15 주식회사 지에스아이 U 가이드를 갖는 비접촉식 필름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부착방법
CN113608377B (zh) * 2021-08-19 2024-05-03 深圳市合智创通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屏贴合加工用翻转机构及其工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9288A (ja) * 2002-10-17 2004-05-13 Saeilo Japan Inc 光学式座標入力装置
JP2006044152A (ja) * 2004-08-06 2006-02-16 Nitto Denko Corp 粘着フィルム貼着装置
JP2008006005A (ja) * 2006-06-28 2008-01-17 Toshiba Corp 生体情報計測装置、生体情報計測方法および生体情報計測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9288A (ja) * 2002-10-17 2004-05-13 Saeilo Japan Inc 光学式座標入力装置
JP2006044152A (ja) * 2004-08-06 2006-02-16 Nitto Denko Corp 粘着フィルム貼着装置
JP2008006005A (ja) * 2006-06-28 2008-01-17 Toshiba Corp 生体情報計測装置、生体情報計測方法および生体情報計測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제2006-0059420호
일본특개평16-139288호
일본특개평18-044152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7964A2 (en) * 2010-12-09 2012-06-14 Pro-2000 Co. Ltd. Jig for adjusting film pitch, apparatus for joining film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djusting film pitch using the apparatus
KR101175070B1 (ko) 2010-12-09 2012-08-21 주식회사 프로이천 필름 피치 조절 지그 및 이를 갖는 필름 접합 장치, 이를 사용한 필름 피치 조절 방법
WO2012077964A3 (en) * 2010-12-09 2012-09-07 Pro-2000 Co. Ltd. Jig for adjusting film pitch, apparatus for joining film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adjusting film pitch using the apparatus
KR101386993B1 (ko) 2013-04-19 2014-04-18 주식회사 로보스타 전자태그 박리탑재장치
KR20220001288A (ko) * 2020-06-29 2022-01-05 안종이 라미네이팅 장치
KR20220001289A (ko) * 2020-06-29 2022-01-05 안종이 라미네이팅 방법
KR102375377B1 (ko) * 2020-06-29 2022-03-17 안종이 라미네이팅 방법
KR102375376B1 (ko) * 2020-06-29 2022-03-17 안종이 라미네이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135A (ko) 200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704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액정표시모듈의 필름부착장치
JP4780559B2 (ja) フィルム貼付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277326B1 (ko) 유리기판 양면상 보호필름 부착장치
KR20080006619A (ko) 첩부장치
KR100981053B1 (ko) 커버레이 가접 장치
JP4699720B2 (ja) 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KR101297378B1 (ko) 편광판 부착 시스템
KR100767348B1 (ko) 연성회로기판을 주회로기판에 부착하기 위한 양면테이프부착장치
JP2013016584A (ja) 基板搬送装置
KR101079950B1 (ko) 인쇄회로기판의 가접장치
JP6341760B2 (ja) 検出装置、検出方法、基板搬送装置、基板処理装置
WO20051038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ment of backlight films to lcd modules
KR20060059420A (ko) 액정패널의 백라이트용 필름 적층시스템
KR20170035646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윈도우 보호 필름 부착 장치
KR101463173B1 (ko) 인쇄회로기판 원자재 자동 처리 장치
KR20190046142A (ko) 액정 디스플레이용 글라스의 편광판 부착 자동화장치
KR101467239B1 (ko) 테이프 부착장치
JP2019038673A (ja) フィルム貼付装置
KR101463172B1 (ko) 인쇄회로기판 원자재 자동 처리 장치
KR101753695B1 (ko) 백라이트유닛 조립장치용 필름공급 장치
KR100465674B1 (ko) 액정패널의 백라이트용 필름 공급장치
KR101452362B1 (ko) 인쇄회로기판 원자재 자동 처리 장치
KR100600532B1 (ko) 칩본딩용 테이프 부착장치
CN219095903U (zh) 一种基板覆膜装置
KR20140011279A (ko) 시트 부착 장치 및 장치의 대형화 방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