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975B1 - 광섬유접속기 - Google Patents

광섬유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975B1
KR100442975B1 KR10-1998-0701226A KR19980701226A KR100442975B1 KR 100442975 B1 KR100442975 B1 KR 100442975B1 KR 19980701226 A KR19980701226 A KR 19980701226A KR 100442975 B1 KR100442975 B1 KR 100442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lid
base
guar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수히로 타마키
토시유키 타나카
아키토 니시무라
유이치 요시다
히로시 요코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후지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6371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7252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43491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72521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53994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72521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3247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32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26110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32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76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197169A/ja
Priority claimed from JP008767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5106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0876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8444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7045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7899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후지꾸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후지꾸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1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fibres are kept aligned by mechanical means
    • G02B6/3806Semi-permanent connections, i.e. wherein the mechanical means keeping the fibres aligned allow for removal of the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35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discs, bushings or the like
    • G02B6/3837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discs, bushings or the like forwarding or threading methods of light guides into apertures of ferrule center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일체화시 개략 로드 형상으로 되는 2분할 구조의 소자(1A)를 구성하는 베이스(2) 및 뚜껑체(3)와, 이들 베이스와 뚜껑체를 내장하여 서로 압접시키는 압접력을 부여하는 용수철(4)을 구비하고, 광섬유를 맞대어 접속가능하게 위치 결정 조심하는 조심 기구(8)를 베이스 및 뚜껑체의 서로 상대측과 겹쳐 만나는 대향면(5) 내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 또는 이들 사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기(1)이다. 단면이 C형인 통 형상의 C형 용수철(4) 내에 소자를 삽입하는 형태로는 소자의 양단으로부터 삽입한 광섬유를 조심 기구까지 삽입하여 맞대어 접속한다. 또한, 베이스와 뚜껑체 사이에 형성된 쐐기 삽입홈(25)에 쐐기를 넣고 빼는 것으로 소자의 개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쐐기의 조작 만으로 소자에서 광섬유의 클램프 및 클램프 해제를 전환할 수 있어, 접속 전환을 간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조심 기구로서 조심홈(8)을 채용한 경우에는, 광섬유의 클램프시 베이스와 뚜껑체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생기는 깊이로 조심홈을 형성하는 것 등으로, 광섬유의 조심 정밀도가 높아진다. 또, 뚜껑체를 조심홈에 대응하는 중앙 뚜껑(17)과 그 이외의 부분에 대응하는 단부 뚜껑(18)으로 되는 분할체로 하여, 광섬유의 조심 정밀도가 한층 향상되면서 클램프 상태의 안정성이 향상된다든가, 클램프된 광섬유의 인발 저항이 증대된다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광섬유 접속기
종래의 광섬유 접속기는, 맞대는 2 개의 광섬유를 동일한 하우징 내에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광섬유 접속기의 위치 결정 조심(調心) 구조로서는, (1) 정밀 세관(이하, 「마이크로 캐필러리」) 내에 그 양단으로부터 광섬유를 삽입하여 맞대는 구조, (2) 위치 결정 홈에서 광섬유끼리 맞대는 구조, (3) 3 개의 정밀 로드 또는 3 개의 정밀 볼의 중심에 광섬유를 담지시켜 위치 결정하는 구조 등이 있다. 이 광섬유 접속기는 상기 조심 기구에서 1 쌍의 광섬유를 조심, 맞대어 조심 기구에 접착 또는 기계적으로 협지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은 광섬유 접속기의 경우에는 접속한 광섬유를 접착 고정하여 재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광섬유의 착탈이 불가능하고 접속 전환 등에는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게 된다는 불만이 있었다.
또한, 상기 조심 기구에 광섬유를 삽입하는 작업에는 극히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정밀 세관에 광섬유를 삽입하는 데는 현미경을 사용할 필요가 있어 작업 품이나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특히 현장 작업에서의 조심 작업성을 향상시킨 광섬유 접속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조심 정밀도가 낮은 도입홈이라든가 세관을 개재하여 상기 조심 기구에 광섬유를 도입하는 구조도 제공되고 있지만. 이들 도입홈이라든가 세관과 조심 기구 사이에서 조심 정밀도가 급격히 변화하기 때문에 광섬유가 걸려 조심 기구로 광섬유를 삽입하는 작업성에 불만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광섬유의 조심 작업성이 향상되고 접속된 광섬유의 접속 전환이 가능하게 된 광섬유 접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계 제품 등에 사용되는 광섬유 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섬유 조심 기구의 제 1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광섬유 접속기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광섬유 접속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광섬유 접속기의 A - A 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광섬유 접속기의 B - B 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광섬유 접속기의 소자에 쐐기를 삽입하여 광섬유 중심선의 클램프력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 B - B 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동 규제 돌기 및 회동 규제 오목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배면도,
도 7은 개방 피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개방 피스를 소자로부터 빼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조심 가이드부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0은 조심 가이드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조심 칩을 나타낸 단면도로, 조심 칩을 뚜껑체에 설치한 예를 보여주고,
도 12는 조심 칩을 나타낸 단면도로, 조심 칩을 베이스에 설치한 예를 보여주고,
도 13은 마이크로캐필러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마이크로캐필러리의 선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마이크로캐필러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기의 제 2 실시 형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광섬유 접속기의 조심홈 근방에서의 단면도,
도 18은 광섬유 가이드홈의 단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도입 오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0은 도입 오목부의 상세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21은 도 16의 광섬유 접속기의 소자에 쐐기를 삽입하여 광섬유 중심선의 클램프력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 조심홈 근방의 단면도.
본 발명은 용수철의 부세력(付勢力)에 의해, 소자 내에 삽입된 광섬유를 클램프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소자를 구성하는 베이스와 뚜껑체 상호 간에 상대측과 거듭 만나는 대향면 안의 적어도 어느 한쪽 또는 이들 사이에 광섬유를 맞대어 접속 가능하게 위치 결정 조심하는 조심 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할 양 광섬유를 조심 기구로 위치 결정 조심하여 맞대는 것으로 정밀하게 맞대어 접속시킬 수 있으며, 맞대어 접속시킨 후 베이스와 뚜껑체 사이에 압접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광섬유끼리 맞대는 상태를 유지시킨다. 용수철이라 하는 것은, 후술하는 C형 용수철 외에자 형상 용수철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기를 적용하는 광섬유는 글라스 계열 또는 플라스틱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베이스와 뚜껑체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쐐기가 삽입되는 쐐기 삽입홈이 형성되고,당해 쐐기 삽입홈에 쐐기가 눌려 도입되는 것에 의해 용수철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베이스와 뚜껑체 사이가 눌려 열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쐐기 삽입홈으로 쐐기를 삽입하고 빼는 조작에 의해 소자가 개폐된다. 광섬유의 접속이라든가 접속 해제 작업시에는 쐐기를 쐐기 삽입홈에 삽입하여 소자를 연다. 이에 따라 광섬유 접속기에서의 접속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베이스와 뚜껑체 사이를 개방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쐐기의 개수라든가, 쐐기의 삽입 방향은 다양한데, 대향하는 양측으로부터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여, 예를 들면 쐐기 삽입홈이 베이스 및 뚜껑 체의 긴쪽 방향(조심 기구의 조심 축선에 따른 방향) 양측의 복수개 장소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쐐기를 삽입하는 쐐기 삽입홈을 선택하는 것으로 소자를 부분적으로 여는 것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접속 전환의 경우 한쪽 광섬유의 클램프 상태를 유지한 채 당해 광섬유에 접속하는 다른쪽 광섬유 만을 교환한다고 하는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쐐기 삽입홈은 동일 평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쐐기를 삽입하는 쐐기 삽입홈을 선택할 때 쐐기의 이동 동작이 단순하게 된다.
소자로 광섬유를 삽입한 후에 빼내는 개방 피스를 미리 쐐기 삽입홈에 삽입해 두면 개방 피스를 빼내기까지는 소자가 열린 상태로 유지되어 소자로 광섬유를 삽입할 수 있고, 광섬유끼리 맞대어 접속 작업이 완료된 후 개방 피스를 쐐기 삽입홈으로부터 빼내는 것에 의해 소자가 닫혀 광섬유끼리 맞대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 개방 피스는 광섬유 접속기 출하시 등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및 뚜껑체의 대향면에 그 면방향으로 양자를 상대 위치 결정하기 위한 계합 볼록부 및 계합 오목부를 조심 기구의 조심 축선을 개재하여 쐐기 삽입홈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면, 소자의 개폐 동작에 수반되는 베이스와 뚜껑체 사이의 상대 위치 어긋남이 계합 볼록부와 계합 오목부의 계합에 의해 방지되고, 조심 기구에 의해 광섬유의 원하는 조심 정밀도가 유지된다. 계합 볼록부 및 계합 오목부는 쐐기 삽입홈과 대향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쐐기 삽입홈에서 쐐기를 빼내는 작업과의 간섭은 회피된다. 예를 들어, 계합 볼록부와 계합 오목부가 조심 축선 을 따라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대 회동 가능하게 계합하는 구조를 채택하면, 쐐기 삽입홈으로 쐐기를 넣고 빼는 것에 의해 계합 볼록부와 계합 오목부가 힌지의 역할을 하여 베이스와 뚜껑체가 상대 회동하게 되고, 소자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뚜껑체가, 조심 기구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중앙 뚜껑과, 조심 기구의 조심 축선 방향으로 중앙 뚜껑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단부 뚜껑으로 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중앙 뚜껑과 단부 뚜껑에서 재질이라든가 형상이라든가 성형 정밀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광섬유 각 부위의 클램프에 효율 좋게 대응하고 광 섬유를 보다 안정하게 클램프 지지하는 것이 가 능하다. 즉, 중앙 뚜껑에는 높은 성형 정밀도가 요구되지만, 단부 뚜껑에는 광섬유의 클램프력이 요구되므로 중앙 뚜껑과 단부 뚜껑에서 재질이라든가 형상이라든가 성형 정밀도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이들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한다. 예를 들어, 광섬유 중심선에 대해서는 조심 기구 근방에서 베이스와 중앙 뚜껑 사이 광섬유 중심선의 선단에 노출된 나(裸)섬유를 클램프하고, 이외의 부분에서는 베이스와단부 뚜껑 사이 광섬유 중심선의 피복부를 클램프하여 중앙 뚜껑과 단부 뚜껑으로 분리시킨 구성인 것이, 나섬유와 피복부 직경이 다른 것 등에 대응한 클램프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광섬유 접속기 외측에 위치하여 진동이라든가 충격 등의 영향을 받기 쉬운 단부 뚜껑에 비하여 중앙 뚜껑에는 그들의 영향이 전달되지 않아 나섬 유의 클램프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중앙 뚜껑에서 클램프한 광섬유의 조심 정밀도를, 단부 뚜껑에서 클램프한 광섬유의 조심 정밀도에 관계없이 향상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조심 기구 근방에서는 높은 조심 정밀도가 얻어질 수 있어, 원하는 접속 손실을 안정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소자를 투명 또는 투광성을 갖는(반투명) 재료로 형성하는 구성이어도 좋고, 이를 채용함으로서 소자내 광섬유의 삽입 상태를 소자의 밖에서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섬유끼리 맞대는 접속시에는 맞대어진 광섬유 사이에서 어긋남이 큰 경우 방사되는 맞댐 위치로부터의 누설광이 소자의 밖에서 눈으로 관찰될 수 있어, 소자의 밖에서도 광섬유끼리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소자가 단면 C형의 통 형상인 C형 용수철에 내삽되는데, 당해 C형 용수철에 의해 베이스 및 뚜껑의 압접력이 부여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소자는 쐐기 삽입홈을 C형 용수철 측면의 개구부에 일치하여 내삽시켜, C형 용수철 외측으로부터도 쐐기의 조작으로 소자의 개폐가 될 수 있다. 또한, 쐐기 삽입홈에 쐐기를 넣고 빼면 C형 용수철 개구부에 대향하는 안쪽을 중심으로 하여, C형 용수철과 베이스와 뚜껑체가 일체적으로 회동하도록 하여 개폐된다. 중앙 뚜껑과 단부 뚜껑의3 부품으로 되는 뚜껑체가 적용되는 소자를 C형 용수철에 내삽하면, C형 용수철의 긴쪽 방향 중앙부에 중앙 뚜껑이 위치하고 같은 긴쪽 방향 양단부에 단부 뚜껑이 위치하여, C형 용수철의 긴쪽 방향 양단부로부터 소자에 삽입되는 광섬유의 선단 끼리 중앙 뚜껑과 베이스 사이에서 맞대어져 접속된다. 또한, 소자는 타원형이라든가 4각형이라든가 6각형 등의 단면 형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이에 의해 C형 용수철의 부세력을 소자에 삽입된 광섬유에 집중적으로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C형 용수철의 긴쪽 방향 단부로부터 돌출 상태로 노출된 소자의 측면에, 공구와 계합하는 것에 의해 당해 소자의 축 주위의 회전을 규제하는 공구 계합면을 형성하는 구성이어도 좋은데, 당해 공구 계합면에 공구를 계합하여 소자를 누르면 쐐기 삽입홈으로 쐐기를 넣고 빼는 등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C형 용수철과 소자에, 서로 계합하여 축 주위의 상대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 돌기와 회동 규제 오목부를 설치한 기술에 의하면 C형 용수철의 개구부에 쐐기 삽입홈이 위치 결정 고정되어 위치되거나 규제되어 소자를 개폐 조작하여도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C형 용수철은 긴쪽 방향 복수 개소에 형성된 분할 슬릿에 의해 분할되고, 각각의 부분이 청구의 범위 제 5 항에 기재된 중앙 뚜껑 및 단부 뚜껑에 개별적으로 압접력을 작용시키는 용수철로서 기능하는 것에 의해 광섬유 각 부위에 적절한 클램프 지지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광섬유의 클램프 및 클램프 해제도 중앙 뚜껑과 단부 뚜껑에서 개별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접속 전환 등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조심 기구가 V홈이라든가 U홈으로 되는 조심홈 또는 마이크로캐필러리인 구성을 채용하면 조심 기구가 극히 소형으로 되므로, 광섬유 접속기 자체도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에는 조심 기구에 광섬유를 도입하기 위한 광섬유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뚜껑체에는 각 광섬유 가이드홈을 노출시킨 도입 오목부가 형성되어, 당해 도입 오목부로부터 각 광섬유 가이드홈을 경유하여 조심 기구에 광섬유를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면, 도입 오목부에 노출된 광섬유 가이드홈에 대하여 광섬유를 경사시켜 선단을 부딪치도록 하여 광섬유를 목적하는 광섬유 가이드홈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조심 기구보다 낮은 조심 정밀도로 형성된 광섬유 가이드홈과, 조심 기구와 광섬유 가이드홈 사이에 설치되어 광섬유 가이드홈으로부터 도입된 광섬유를 조심기구에 도입하는 조심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당해 조심 가이드부는 조심 기구측으로 가면서 조심 정밀도가 높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면, 소자의 긴쪽 방향 단부로부터 광섬유 가이드홈에 삽입된 광섬유를 조심 기구 방향으로 눌러 들여보내는 것 만으로 조심 기구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조심 기구가 베이스 및 뚜껑체의 한쪽 또는 양쪽의 대향면에 형성된 조심홈인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심홈은 수납된 광섬유가 대향면으로부터 20 마이크론 이상 돌출하는 깊이로 형성되고, 조심홈에 수납된 광섬유를 클램프한 경우 베이스와 뚜껑체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생기는 형상으로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구성을 채용하면, 베이스와 뚜껑체 사이의 압접력이 광섬유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고, 광섬유의 위치 결정 조심이 확실하고도 고정밀도로 된다. 클램프되는 광섬유가 1 개인 경우에는 당해 광섬유에 베이스 및 뚜껑체 간의 압접력이 집중하게 되는 동시에, 광섬유를 중심으로 하여 베이스와 뚜껑체 사이의 상대 회동이 허용되고 압접력이 확실히 작용한다.
조심홈은 소자에 편입되는 조심 칩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조심 칩에 가공성이 양호한 재질을 적용함으로써 조심홈에 높은 가공 정밀도가 얻어져 광섬유의 조심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조심 칩의 재질로서는 지르코늄이라든가 세라믹이라든가 경질의 합성수지 또는 경질의 금속 등이 적용된다. 조심 칩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베이스 및 뚜껑체의 한쪽을 경질(硬質)의 재료로 형성한다든가 베이스나 뚜껑체의 조심홈 근방 만을 경질의 재료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도 조심홈의 가공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조심홈이 대향면에 복수 개로 병렬 형성되는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기에서는, 베이스 및 뚜껑체의 대향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돌출 설치하거나 쌍방의 사이에 개재하여 장착된 이간(離間) 거리 유지부를 구비하여 되어, 각 조심홈에 수납된 광섬유를 소자에 클램프한 경우 베이스와 뚜껑체 사이에 작용하는 압접력을 각 광섬유와 이간 거리 유지부에 의해 균등하게 지지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이간 거리 유지부는 소자에서 조심홈을 개재하여 쐐기 삽입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렇게 하여 쐐기 삽입홈으로부터 이간된 조심홈의 광섬유에 소자 개폐시 압접력이 집중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와 뚜껑체의 한쪽 또는 양쪽에 광섬유를 각 조심기구에 도입하는 광섬유 가이드홈이 설치되고, 베이스와 뚜껑체 사이에는 광섬유 가이드홈으로부터 조심 기구에 삽입되는 광섬유의 피복 부분을 수납하는 피복부 수납부가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조심 기구가 복수 개로 병렬 설치되는 경우는, 복수개의 나(裸)섬유를 피복재에 의해 테이퍼 상으로 집속하여 되는 광섬유 테이 퍼 중심선의 접속에 적절하다. 즉, 이와 같은 광섬유 접속기에서는 피복을 제거하여 광섬유 테이퍼 중심선의 선단에 노출시킨 복수 개의 단심 나섬유를 각각 원하는 조심 기구에서 위치 결정하여 지지하고, 피복 부분을 피복부 수납부에서 수납한다. 광섬유 가이드홈에 삽입한 나섬유를 각각 목적하는 조심 기구에 눌러 들여보내면 광섬유 테이퍼 중심선의 피복 부분이 소자 내에 삽입되는 동시에 광섬유 가이드홈을 위로 올려 피복 수납부에서 수납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광섬유 접속기를 나타낸다.
도면중 부호 1은 본 실시 형태의 광섬유 접속기이다. 이 광섬유 접속기 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체화된 때에 대략 단면이 타원형인 로드 형상으로 되는 2 분할 구조를 이루는 베이스 2 및 뚜껑체 3으로 되는 소자 1A 와, 당해 소자 1A의 전체를 거의 수납할 수 있는 가늘고 긴 コ자 형상의 C형 용수철 4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 2 및 뚜껑체 3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께 단면이 반타원형인 로드 형상의 부재로서, 상호의 대향면 5, 6을 경계로 하여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소자 1A는 베이스 2 및 뚜껑체 3이 C형 용수철 4의 부세력의 작용 방향 양측에 대향 배치되게 향하여 C형 용수철 4 내에 수납되고,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단면 타원형의 장축 방향이 C형 용수철 4의 부세력 작용 방향과 일치되어 베이스 2와 뚜껑체 3 사이에 작용하는 압접력이 안정된다. 본 실시 형태의 베이스 2에 적절한 소재로서는, 예를 들어 열경화성 에폭시수지 등의 경질 합성수지라든가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라든가 세라믹 등이 있고, 뚜껑체 3에 적절한 소재로서는 베이스 2 보다 연질의 열경화성 에폭시수지라든가 플라스틱 등이 있다. 또한, 베이스 2 및 뚜껑체 3의 형성 소재로서 투명 또는 투광성이 있는 재료를 적용하면 소자 1A 내에 삽입한 광섬유 7(광섬유 단심선)의 삽입 상태라든가 맞댄 상태를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기 1을 적용하는 최적의 광섬유 7은 CCITT의 표준으로되어 있는 125 ㎛ 클램프 직경의 SM형(single mode) 또는 GI형(graded index)의 것이지만, 또한 대구경의 광섬유(통신 이외의 용도로 이용되는 것을 포함)이어도 좋다. 대구경의 광섬유 접속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조심홈 8이라든가 광섬유 가이드홈 9의 깊이, 광섬유 클램프시 베이스 2와 뚜껑체 3 사이에 확보되는 클리어런스 치수 등 각종 설계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2의 대향면 5의 긴쪽 방향 중앙부에는 광섬유 7을 맞대어 접속 가능하게 위치 결정하는 조심홈(V홈) 8이 형성되고, 대향면 5의 긴쪽 방향 양단부에는 베이스 2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는 광섬유 7을 조심홈 8의 근방으로 유도하는 광섬유 가이드홈 9(V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조심홈 8과 광섬유 가이드홈 9는 베이스 2의 긴쪽 방향을 따라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조심홈 8이라든가 광섬유 가이드홈 9로서는 V홈 이외에 U홈 등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심홈 8에는 광섬유 7 선단의 피복을 제거하여 노출시킨 나섬유 7a가 수납되고, 광섬유 가이드홈 9에는 광섬유 7의 피복 부분이 수납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심홈 8은 광섬유 7로부터 노출된 나섬유 7a를 수납할 때 당해 나섬유 7a를 정밀하게 조심하는 동시에 나섬유 7a가 대향면 5로부터 t1=30 ㎛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대향면 5의 긴쪽 방향 3 장소에는 뚜껑체 대향면 6에 형성된 계합 오목부 14와 계합되는 계합 볼록부 15와, 뚜껑체 대향면 6에 돌출 설치된 계합 볼록부 15와 계합되는 계합 오목부 14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 볼록부 15의 선단에는 계합 오목부 14에 대한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만곡면 16이 형성되어 있고,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2와 뚜껑체 3을 일체화할 때 계합되는 전체 계합 오목부 14와 계합 볼록부 15 조의 상대 회전 축선이 소자 1A의 폭 방향(도 2 중 화살표 C 방향, 도 4, 도 5 좌우) 일측부를 따라 동일 직선상에 위치되고, 이 직선을 축선으로 베이스 2와 뚜껑체 3의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이스 2와 뚜껑체 3의 상대 회전 축선은 광섬유 접속기 1의 축선과 평행이고 광섬유 접속기 1의 측부에 위치하므로, 상호 계합된 계합 오목부 14와 계합 볼록부 15는 베이스 2와 뚜껑체 3의 개폐용 힌지 기능을 달성한다.
뚜껑체 3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2의 조심홈 8에 대응하는 중앙홈 17과, 광섬유 가이드홈 9에 대응하는 단부 뚜껑 18의 3 부분을 직렬로 배열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중앙 뚜껑 17과 단부 뚜껑 18 사이는 연결되는 상대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연결 단부 19 끼리 계합되도록 하여 직렬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단부 뚜껑 18에는, 광섬유 가이드홈 9에 수납되는 광섬유 7의 상부(도 3 상측)를 수납하는 광섬유 수납홈 20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 뚜껑 17의 대향면 6은 평탄면이지만 조심홈 8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심홈 8에 수납되는 나섬유 7a의 상부를 수납하는 나섬유 수납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중앙 뚜껑 17의 대향면 6에 나섬유 수납홈을 형성한 경우에도, 나섬유 7a의 클램프시 대향면 5, 6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중앙 뚜껑 17의 대향면 6은 조심홈 8과 대향하는 부분만 높은 정도의 평면이 얻어지면 좋고, 다른 부분은 광섬유 7의 클램프시 베이스 2 측의 대향면 5와 용이하게 접촉하지는 않는 정도의 평면이면 좋다.
소자 1A의 긴쪽 방향 양단부에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 가이드홈 9에 광섬유 7을 삽입하기 위한 깔때기 형상의 삽입 오목부 21이 형성되어 있다. 소자 1A의 긴쪽 방향 양단부의 상시 C형 용수철 4의 외측에 노출되는 노출부 22의 측면에는 공구 계합면 22a가 형성되어 있어 공구 등으로 고정하는 것이 간편하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자 1A의 폭방향 타측부(계합 오목부 14라든가 계합 볼록부 15와 대향하는 반대측)에는 베이스 2와 뚜껑체 3 사이를 개방하기 위한 쐐기 24가 삽입되는 쐐기 삽입홈 25가 개구되어 있다, 쐐기 삽입홈 25는 소자 1A의 긴쪽 방향 4 개 장소에서 베이스 2와 뚜껑체 3 각각의 대향면 5, 6을 도려내어 형성되어 있는데, C형 용수철 4의 클램프력에 대항하여 쐐기 24가 압입 되는 것에 의해 베이스 2와 뚜껑체 3 사이가 눌려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소자 1A는 쐐기 삽입홈 25가 C형 용수철 4의 개구부 23에 노출되는 방향으로 C형 용수철 4에 삽입된다.
쐐기 삽입홈 25에 쐐기 24를 압입한 때에는 계합된 계합 오목부 14와 계합 볼록부 15가 구성하는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베이스 2와 뚜껑 3이 쐐기 삽입홈 25를 확장하는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여 이간되도록 되어 있다.
쐐기 24는 평탄하게 형성된 선단면 24a를 쐐기 삽입홈 25의 가장 안 쪽에 부딪히도록 하여 압입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쐐기 24는 쐐기 삽입홈 25의 목적 개구 폭에 상당하는 두께 치수 t2를 갖고 있기 때문에, 압입에 의해 쐐기 삽입홈 25의 가장 안 쪽에 부딪히는 것 만으로 항상 일정한 개구량으로 안정하게 쐐기 삽입홈 25를 개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C형 용수철 4는 소자 1A 보다 약간 짧은 좁고 긴 슬리브 형상으로, 스테인레스 스틸이라든가 베릴륨동 등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베릴륨동의 경우, 목적 형상으로 성형후 시효 경화 처리를 행하거나 열처리후 불소 수지 등으로 코팅하는 것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형 용수철 4의 개구부 23에서 소자 1A의 쐐기 삽입홈 25에 대응하는 복수 개 장소에는 쐐기 삽입창 26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중 부호 10은 분할 슬릿으로, 중앙 뚜껑 17 및 단부 뚜껑 18에 대응하는 총 3 개 부분으로 C형 용수철 4를 분할하고 있다. 따라서, 소자 1A에 작용하는 C형 용수철 4의 클램프력은 중앙 뚜껑 17이라든가 단부 뚜껑 18에 각각 독립하여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 쐐기 삽입홈 25도 중앙 뚜껑 17이라든가 단부 뚜껑 18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쐐기 24로 조작하면 중앙 뚜껑 17, 단부 뚜껑 18에 대응하는 소자 1A의 원하는 부분을 개별적으로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소자 1A와 C형 용수철 4의 상대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 돌기 2a 및 회동 규제 오목부 4a를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회동 규제 돌기 2a는 소자1A에 형성되는 돌기이고, 회동 규제 오목부 4a는 C형 용수철 4에 형성되는 절홈부로, 양자의 계합에 의해 쐐기 삽입홈 25와 쐐기 삽입창 26이 일치되는 상태를 유지하여 쐐기 24를 뺄 때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이에 의해 소자 1A의 개폐 동작도 안정된다.
소자 1A에 형성되는 회동 규제 오목부에 C형 용수철 4 측에 돌출 설치되는 회동 규제 돌기를 계합시키는 태양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도 8 중 1B는 개방 피스이다. 개방 피스 1B는 주로 광섬유 접속기 1의 제조 출하시에 적용되는 것인데, 쐐기 24와 마찬가지의 선단 형상을 갖는 삽입 단부 1C를 쐐기 삽입홈 25에 삽입하여 두는 것으로 소자 1A를 개방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개방 피스 1B를 빼기 까지는 소자 1A의 개방 상태가 유지되어 광섬유 7을 자유롭게 넣고 뺄 수 있게 되지만, 광섬유 7 끼리 맞대는 것이 완료되면 개방 피스 1B를 소자 1A로부터 빼는 것으로 소자 1A 내부가 닫혀 광섬유 7, 7이 맞댄 상태를 유지한 채로 소자 1A에 클램프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광섬유 접속기 1에 적용 가능한 각종 태양에 대하여 설멍한다.
도 9 및 10은 조심 가이드부 1D를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심 가이드부 1D는 베이스 2의 대향면 5 위에서 광섬유 가이드홈 9와 조심홈 8의 경계에 설치된 문 형태의 돌기인데, 광섬유 가이드홈 9 및 조심홈 8에 연통하는 조심 구멍 1E를 갖고 있다. 조심 구멍 1E는 광섬유 가이드홈 9 측으로부터 조심홈 8 측으로 가면서 점차 조심 정밀도가 높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 조심 구멍 1E를 개재하여 광섬유 가이드홈 9로부터 조심홈 8에 나섬유 7a의 삽입을 진행하는 것에 의해 삽입 조작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광섬유 접속기 1에 이 조심 가이드부 1D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조심 가이드부 1D를 수납하는 가이드부 수납부 1F를 뚜껑체 3에 형성하여 둔다. 이에 의해, 베이스 2와 뚜껑체 3을 일체화할 때 조심 가이드부 1D가 양자의 상대 위치 결정 기능을 하기 때문에 소자 1A의 개폐 동작에 있어서도 베이스 2와 뚜껑체 3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또, 소자 1A를 개방할 때 조심 가이드부 1D에 의해 광섬유 7이 베이스 2로부터 위로 부상하는 것이 방지되어, 조심홈 8이라든가 광섬유 가이드홈 9에서 광섬유 8의 수납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도 11 중 13은 조심 칩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조심 칩 13은 소자 1A 보다 단단하고도 높은 가공 정밀도가 얻어지는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인서트 성형에 의해 중앙 뚜껑 17에 편입되어 있다. 조심 칩 13에 적합한 재질은, 예를 들어 지르코늄, 세라믹, 경질의 합성수지 등이다. 이 조심 칩 13은 베이스 2에 면하는 평탄한 대향면을 형성하거나, 베이스 2 측의 조심홈 8과의 사이에 광섬유 7을 끼워 넣기 위한 조심홈(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기 위한 것인데,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조심홈 8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광섬유 7에 높은 조심 정밀도가 얻어진다.
중앙 뚜껑 17에 펑탄한 대향면을 형성하는 것은, 중앙 뚜껑 17에 후공정으로 조심 칩 13을 끼워 넣거나, 접착하거나, 도금층을 형성하는 등의 수법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도금층을 형성하는 경우, 나섬유 7a, 7a 끼리 맞대어지는 부분만 크롬 등의 금속으로 되는 경질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경질층(硬質層)에 의해 나섬유 7a의 조심 정밀도가 향상되는 동시에, 중앙 뚜껑 17의 경질층 보다 유연한 부분이 나섬유 7a를 조심홈 8의 적절한 위치에 가압하게 되어 나섬유 7a의 클램프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또, 조심 칩 13에 연질의 도금층을 형성하여 나섬유 7a의 조심 정밀도를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나섬유 7a, 7a 끼리 맞대어지는 부분을 피하는 위치에만 금이라든가 백금이라든가 알루미늄 등으로 되는 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섬유 7a의 클램프 상태를 안정하게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2는 조심 칩 13a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 베이스 2 측에 편입한 예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조심 칩 13a에는 조심홈 1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심 칩 13a도 지르코늄이라든가 세라믹 등 높은 가공 정밀도가 얻어지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므로, 나섬유 7a의 조심 정밀도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베이스 2에 경질 부분을 형성하는 것은 중앙 뚜껑 1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금층을 형성하는 등의 수법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소자 1A에 조심 칩 13, 13a를 설치하면 소자 1A의 다른 부분의 가공 정밀도가 완화되는 동시에, 광섬유 7의 피복 부분을 클램프할 때 보다 큰 인발(引拔) 저항을 발생하는 재질이라든가 값싼 재질로 소자 1A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3 및 도 14는 조심 기구로서 마이크로캐필러리 8a를 적용한 태양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마이크로캐필러리 8a의 양단에는 광섬유 가이드홈 9가 연통되어 있어, 광섬유 가이드홈 9 측으로부터 마이크로캐필러리 8a로 광섬유 7을 눌러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태양에서는, 마이크로캐필러리 8a 내에서 광섬유 7 끼리 맞대어 접속시키므로, 베이스 2 및 뚜껑체 3 사이에서 클램프 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광섬유 7을 원하는 정밀도로 위치 결정 조심하는 것이 가능하고, 원하는 접속 손실이 안정하게 얻어진다는 이점이 있다.
도 15는 마이크로캐필러리 8b의 다른 태양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마이크로캐필러리 8b는 긴쪽 방향 중앙부의 측부를 깎아낸 개구부 8c를 갖는데, 이 개구부 8c가 뚜껑체 3 측을 향한 상태로 베이스 2에 편입되어 있다. 마이크로캐필러리 8b의 양측으로부터 삽입된 한 쌍의 나섬유 7a, 7a는 개구부 8c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 내에서 맞대어져 접속되어, 베이스 2와 뚜껑체 3의 사이에 압접력을 부여함으로써 중앙 뚜껑 17에 돌출 설치된 돌출부 8d에 의해 마이크로캐필러리 8b에 가압된다. 따라서, 본 태양에서는 소자 1A를 닫으면 마이크로캐필러리 8b 내에서 맞대어진 광섬유 7, 7이 마이크로캐필러리 8b와 돌출부 8d의 쌍방에 의해 위치 결정 조심되므로 극히 높은 조심 정밀도가 안정하게 얻어진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광섬유 접속기 1은 쐐기 삽입홈 25에 쐐기 24를 삽입하여 베이스 2와 뚜껑체 3 사이의 클램프력을 완화시키고(도 5 참조), 소자 1A의 양 삽입 오목부 21로부터 광섬유 7을 삽입하여 조심홈 8 위에서 맞대어진 상태로 한 후, 소자 1A에 클램프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광섬유 7 끼리 정밀하게 조심하여 맞대어 접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광섬유 7 끼리 광섬유 접속기 1 내에서 맞대어진 상태로 하는 것은, 소자 1A 양단의 삽입 오목부 21로부터 광섬유 7을 조심홈 8을 향하여 눌러 삽입한다. 이에 의해, 미리 광섬유 7의 선단에 노출시켜 둔 나섬유 7a는 광섬유 가이드홈 9를 경유하여 조심홈 8에 도입되어 조심홈 8 위에서 맞대어진 상태로 된다.
맞대어진 상태로 된 나섬유 7a를 클램프 고정하는 것은, 쐐기 삽입홈 25로부터 쐐기 24를 빼내고, 베이스 2와 중앙 뚜껑 17의 사이에 나섬유 7a를 끼워 넣는다. 이 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뚜껑 17의 대향면 6은 나섬유 7a에만 당접하고, 베이스 2와 중앙 뚜껑 17의 대향면 5, 6 사이에 나섬유 7a의 대향면 5로부터의 돌출 치수 t1(=30 ㎛)에 상당하는 극간이 형성되어, 베이스 2와 중앙 뚜껑 17 사이의 클램프력이 나섬유 7a에 집중적으로 작용한다. 한편, 베이스 2와 단부 뚜껑 18의 사이는 광섬유 7의 피복 부분을 클램프할 때 상호 대향면 5, 6 끼리 압접되도록 되어 있다.
계합 오목부 14와 계합 볼록부 15는 나섬유 7a의 클램프시 계합 볼록부 15의 만곡면 16이 계합 오목부 14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어, 베이스 2와 뚜껑체 3 사이의 클램프력을 부담하지 않으면서 베이스 2에 대하여 중앙 뚜껑 17이라든가 단부 뚜껑 18을 상대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달성한다.
여기에서, 연결 단부 19의 계합 형태(도 3 참조)에 따라 중앙 뚜껑 17은 단부 뚜껑 18에 대하여 베이스 2 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이 허용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광섬유 7의 피복 부분의 직경이 커서 베이스 2와 단부 뚜껑 18의 대향면 5, 6 사이에 극간이 생기는 경우에도 베이스 2와 중앙 뚜껑 17 사이에서 나섬유 7a의 클램프가 가능하고, C형 용수철 4의 분할 슬릿 10에 의해 분할된 중앙 부분이부여하는 측압에 의해 나섬유 7a의 클램프 상태는 광섬유 7 피복 부분의 클램프 상태에 관계 없이 항상 유지된다.
따라서, 맞대어진 양 광섬유 7의 나섬유 7a 전체에 확실히 클램프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정밀하게 조심된 양 나섬유 7a 끼리 접속하므로 높은 접속 정밀도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 2와 중앙 뚜껑 17 사이의 클램프력을 나섬유 7a 만으로 부담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베이스 2와 중앙 뚜껑 17이 나섬유 7a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대향면 5, 6 사이에 상대적인 경사가 어느 정도 존재하여도 나섬유 7a에는 클램프력이 정상적인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조심 정밀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 2 및 뚜껑체 3은 나섬유 7a의 클램프시 나섬유 7a와 당접하는 한정된 부분에 대해서만 조심홈 8이라든가 대향면 5, 6의 형성 정밀도를 확보하면 되고, 대향면 5, 6의 다른 부분은 나섬유 7a의 클램프시 발생하는 극간 t1의 범위로 돌출 부분의 존재가 허용되어 형성 정밀도를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자 1A의 제조가 용이하게 되고 광섬유 접속기 1의 저가격화가 가능하게 된다.
나섬유 7a의 클램프후 쐐기 삽입홈 25에 재차 쐐기 24를 눌러 삽입하면 베이스 2와 뚜껑체 3 사이에서 광섬유 7의 클램프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여, 용이하게 광섬유 7을 접속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쐐기 24를 삽입하는 쐐기 삽입홈 25를 선택하면 편측의 광섬유 7에 대해서만 클램프를 해제하는 것도 가능하여 접속 전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광섬유 접속기를 나타낸다.
도면중 부호 50은 C형 용수철 4 내에 삽입되는 소자, 51은 베이스, 52는 뚜껑체이다.
본 실시 형태의 광섬유 접속기는 제 1 실시 형태의 광섬유 접속기에 대하여 소자만을 변경하여, 도면중 도 1 내지 도 5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간략화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자 50은 단면이 원형인 2 분할 로드 형상으로, 함께 단면이 반원형인 베이스 51 및 뚜껑체 52로 되어 있다.
베이스 51의 뚜껑체 52와 대향하는 대향면 53의 긴쪽 방향 중앙부에는 광섬유 테이퍼 중심선(이하 「테이퍼 중심선」) 54의 말단에 노출된 복수 개의 나섬유 54a 끼리 맞대어 접속가능하게 위치 결정 조심하는 조심홈 55(V홈)이 복수 개 병렬 상태로 형성되고, 각 조심홈 55의 긴쪽 방향 양단으로부터 베이스 51의 긴쪽 방향 단부에는 소자 50의 외측으로부터 조심홈 55에 나섬유 54a를 도입하는 광섬유 가이드홈 5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심홈 55는 나섬유 54a를 수납할 때 나섬유 54a가 대향면 53으로부터 t3=25 ㎛ 돌출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51과 뚜껑체 52의 대향면 53, 58의 축방향(도 16 중앙 화살표 D 방향) 일측부 외측에는 제 1 실시 형태의 계합 오목부 14 및 계합 볼록부 15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51과 뚜껑체 52의 힌지 기구를 구성하는 계합 오목부 59 및 계합 볼록부 60이 형성되고, 폭 방향 다른 측 부분에는 쐐기 삽입홈 61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51의 대향면 53의 일측부 외측에는 계합 오목부 59 및 계합 볼록부 60을 피한 위치에, 대향면 53, 58의 이간 거리를 유지하는 이간 거리 유지부 57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간 거리 유지부 57은 베이스 51를 육성시킨 부분인데, 조심홈 55와 평행으로 연장되는 돌기로 대향면 53으로부터 25 ㎛ 정도 돌출되어 있다.
이간 거리 유지부로서는, 대향면 53, 58 사이에 원하는 극간 t3(도 17 참조)를 형성할 수 있으면, 뚜껑체 52에만 돌출 설치된 돌기라도, 베이스 51과 뚜껑체 52의 쌍방으로부터 돌출 설치된 돌기라도, 베이스 51과 뚜껑체 52의 사이에 개재 삽입된 별개 부재 등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 가이드홈 56의 베이스 51의 긴쪽 방향 양단부에 개구하는 도입 단부 62는 베이스 51 선단으로 가면서 대향면 53으로부터의 깊이가 증대하도록 경사지게 하여, 소자 50의 일체화시에도 테이퍼 중심선 54를 용이하게 삽입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뚜껑체 52는 C형 용수철 4의 분할 슬릿 10에 대응하는 2 개의 단부 뚜껑 52a 및 1 개의 중앙 뚜껑 52b로 되는 3 분할체로, 소자 50에 있어서는 C형 용수철 4의 분할 슬릿 10에 의하여 분할된 각 부분의 클램프력이 소자 50의 단부 뚜껑 52a 및 중앙 뚜껑 52b에 대응하는 각 부분으로 개별적으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체 52의 양 단부(각 단부 뚜껑 52a의 단부)에는 광섬유 가이드홈 56에 테이퍼 중심선 54의 각 나섬유 54a를 도입하기위한 도입 오목부 5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도입 오목부 52c는 광섬유 가이드홈 56의 도입 단부 62를 노출시키는 형상의 절홈부로, 조심홈 55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개구량이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입 오목부 52c에 면하는 단부 뚜껑 52a의 단면에는 나섬유 54a의 선단을 도입 오목부 52c로부터 각각 원하는 광섬유 가이드홈 56으로 도입하기 위한 도입홈 63이 복수 개 패어져 있기 때문에 각 나섬유 54a를 도입홈 63에 따라 소자 1A의 안쪽으로 눌러 삽입해 가는 것 만으로 각 나섬유 54a를 용이하게 광섬유 가이드홈 56으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뚜껑 52a와 베이스 51 사이에는 테이퍼 중심선 54의 피복 54b 부분이 수납된 피복부 수납부 64가 형성되어 있다. 피복부 수납부 64는 베이스 51 및 단부 52a의 대향면 53, 58로부터 움푹 팬 형상의 홈인데, 소자 50을 닫으면 조심홈 55에서 나섬유 54a의 조심 축선과 동일 직선상으로 베이스 51 측에서 피복 54b 부분이 클램프되도록 되어 있다. 또, 피복부 수납부 64 내에 수납된 테이퍼 중심선 54는 광섬유 가이드홈 56 사이를 칸막이하는 칸막이벽 62a(도 18 참조)의 선단과 단부 뚜껑 52a의 대향면 58 사이에서 클램프된다. 각 광섬유 가이드홈 56은 피복부 수납부 64로부터 위로 올라가도록 경사져 조심홈 55에 연통하고 있어, 광섬유 가이드홈 56으로부터 조심홈 55로 나섬유 54a가 삽입되는 것이 원활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광섬유 접속기에 적용되는 테이퍼 중심선 54는 광섬유 접속기에서 맞대어져 접속하는 경우, 조심홈 55에 수납되는 길이로 나섬유 54a를 선단부에 노출시켜 두고 각 나섬유 54a를 각각 대응하는 광섬유 가이드홈 56에 덧붙여 지도록 하여 도입 단부 62로부터 삽입하는 것에 의해 조심홈 55에 삽입된다. 테이퍼 중심선 54의 피복 54b 부분은 나섬유 54a가 소정 길이 조심홈 55에 삽입되면 광섬유 가이드홈 56으로부터 칸막이벽 62a 위로 올려져 피복부 수납부 64 내에 수납되고, 이 상태에서 소자 50의 클램프력을 작용시키는 것에 의해 베이스 51과 단부 뚜껑 52a 사이에 클램프되도록 되어 있다.
광섬유 가이드홈 56은 도 18에 있어서 각홈으로 되어 있지만, V홈이라든가 U홈이어도 상관없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광섬유 접속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이 광섬유 접속기를 사용하여 테이퍼 중심선 54 끼리 맞대어 접속하는 것은, 쐐기 삽입홈 61에 쐐기 24를 삽입하여 베이스 51과 뚜껑체 52 사이에 작용하는 클램프력을 완화시켜 두고(도 21 참조), 테이퍼 중심선 54의 선단에 노출시켜 둔 나섬유 54a를 소자 50 양단의 삽입 단부 62로부터 광섬유 가이드홈 56에 삽입하여 조심홈 55에서 맞대고, 쐐기 24를 빼내어 C형 용수철 4의 클램프력을 소자 50에 작용시키는 것에 의해 테이퍼 중심선 54를 베이스 51과 뚜껑체 52 사이에 클램프하여 나섬유 54a 끼리 맞대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퍼 중심선 54의 클램프시에는 각 나섬유 54a와 이간 거리 유지부 57에 의해 베이스 51과 중앙 뚜껑 52b의 대향면 53, 58 사이에 t3(=25 ㎛)의 극간이 균등하게 유지되어 클램프력이 각 나섬유 54a에 균등하게작용하므로, 전체의 나섬유 54a를 고정밀도로 조심하는 것이 가능하여 테이퍼 중심선 54 간의 접속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 쐐기 삽입홈 61로부터 쐐기 24를 빼낼 때 이간 거리 유지부 57이 중앙 뚜껑 52b의 대향면 58에 최초로 당접하여 베이스 51 및 뚜껑체 52의 회전 중심에 가장 가까운 나섬유 54a에 클램프력이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클램프력이 전체의 나섬유 54a에 거의 동시에 작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의 나섬유 54a의 광전송 특성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광섬유 접속기는 복수 개의 단심 광섬유의 접속에도 적용할 수 있다.
조심홈 55의 형성 개수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로 하는 것에 의해 보다 다중심의 광섬유 접속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기에서 조심홈으로는 V홈 이외에, 예를 들어 U홈 등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클램프 수단으로서는 C형 용수철 이외에, 예를 들어 コ자 형상 용수철 등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조심 기구로서, 3 개의 정밀 로드 또는 3 개의 정밀 볼의 중심에 광섬유를 담지하는 구조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7)

  1. 광섬유(7, 54) 끼리 맞대어 접속하기 위한 광섬유 접속기에 있어서,
    일체화시에 개략 로드 형상으로 되는 2 분할 구조의 소자(1A, 50)를 구성하는 베이스(2, 51) 및 뚜껑체(3, 52)와, 이들 베이스와 뚜껑체를 내장하여 서로 눌러 접촉시켜 압접력(壓接力)을 부여하는 용수철(4)를 구비하고,
    광섬유를 맞대어 접속 가능하게 위치 결정 조심(調心)하는 조심 기구(8, 8a, 8b, 55)를, 베이스 및 뚜껑체가 서로 상대측과 겹쳐 만나는 대향면(5, 6, 53, 58)의 내부 적어도 어느 한쪽 또는 이들 사이에 설치시키고,
    베이스와 뚜껑체 사이에 외부로부터 쐐기(24)가 삽입되는 쐐기 삽입홈(25, 61)이 형성되고, 당해 쐐기 삽입홈에 쐐기가 눌려 도입되는 것에 의해 용수철의 부세력(付勢力)에 저항하여 베이스와 뚜껑체 사이가 눌려 열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쐐기 삽입홈이 베이스 및 뚜껑체의 긴쪽 방향 양측의 복수 개 장소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소자로 광섬유를 삽입한 후에 빼내는 개방 피스(1B)가 쐐기 삽입홈에 삽입되게 되고, 당해 개방피스의 삽입시에는 소자가 눌려 열려서 광섬유의 삽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 및 뚜껑체의 대향면에, 그의 면 방향으로 양자를 상대 위치 결정하기 위한 계합 블록부(15) 및 계합 오목부(14)가 조심 기구의 조심 축선을 개재하여 쐐기 삽입홈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접속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뚜껑체가, 조심 기구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중앙 뚜껑과, 조심 기구의 조심 축선 방향으로 중앙 뚜껑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단부 뚜껑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소자가 투명 또는 투광성을 갖는 재료로 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소자가 단면 C형의 통 형상인 C형 용수철(4)에 내삽되고, 당해 C형 용수철에 의해 베이스 및 뚜껑의 압접력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기.
  8. 제 7 항에 있어서, C형 용수철의 긴쪽 방향 단부로부터 돌출 상태로 노출된 소자의 측면에, 공구와 계합하는 것에 의해 당해 소자의 축 주위의 회전을 규제하는 공구 계합면(2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기.
  9. 제 7 항에 있어서, C형 용수철과 소자에, 서로 계합하여 축 주위의 상대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 돌기(2a)와 회동 규제 오목부(4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C형 용수철은 긴쪽 방향 복수 개소에 형성된 분할 슬릿(10)에 의해 분할되고, 각각의 부분이 청구의 범위 제 5 항에 기재된 중앙 뚜껑 및 단부 뚜껑에 개별적으로 압접력을 작용시키는 용수철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조심 기구가 V홈이라든가 U홈으로 되는 조심홈(8, 55) 또는 마이크로캐필러리(8a, 8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베이스에는 조심 기구에 광섬유를 도입하기 위한 광섬유가이드홈(9, 56)이 형성되고, 뚜껑체에는 각 광섬유 가이드홈을 노출시킨 도입 오목부(52c)가 형성되고, 당해 도입 오목부로부터 각 광섬유 가이드홈을 경유하여 조심 기구에 광섬유를 삽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조심 기구보다 낮은 조심 정밀도로 형성된 광섬유 가이드홈과, 조심 기구와 광섬유 가이드홈 사이에 설치되어 광섬유 가이드홈으로부터도입된 광섬유를 조심기구에 도입하는 조심 가이드부(ID)를 구비하고, 당해 조심 가이드부는 조심 기구측으로 가면서 조심 정밀도가 높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조심 기구가 베이스 및 뚜껑체의 한쪽 또는 양쪽의 대향면에 형성된 조심홈(8, 55)이고, 당해 조심홈은 수납된 광섬유가 대향면으로부터 20 마이크론 이상 돌출하는 깊이로 형성되고, 조심홈에 수납된 광섬유를 클램프한 경우 베이스와 뚜껑체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생기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조심홈이, 베이스 및 뚜껑체의 한쪽 또는 양쪽의 대향면 근방에 편입되는 조심 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기.
  16. 조심 기구인 조심홈이 베이스 및 뚜껑체의 한쪽 또는 양쪽의 대향면에 복수개로 병렬 형성되는 청구항 제 11 항의 광섬유 접속기에 있어서, 베이스 및 뚜껑체의 대향면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돌출 설치하거나 쌍방의 사이에 개재하여 장착된 이간 거리 유지부(57)를 구비하여 되고, 각 조심홈에 수납된 광섬유(54)를 소자에 클램프하는 경우 베이스와 뚜껑체 사이에 작용하는 압접력을 각 광섬유와 이간 거리 유지부에 의해 균등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기.
  17. 복수의 조심 기구가 그의 조심 축선을 복수 개로 평행시켜 배치되는 청구항 제 11 항의 광섬유 접속기에 있어서, 베이스와 뚜껑체의 한쪽 또는 양쪽에 광섬유를 각 조심 기구에 도입하는 광섬유 가이드홈이 설치되고, 베이스와 뚜껑체 사이에는 광섬유 가이드홈으로부터 조심 기구에 삽입되는 광섬유의 피복(54b) 부분을 수납하는 피복부 수납부(6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접속기.
KR10-1998-0701226A 1995-08-24 1996-08-23 광섬유접속기 KR100442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637195A JP3725210B2 (ja) 1995-08-24 1995-08-24 光ファイバ接続器
JP7-216371 1995-08-24
JP7-243491 1995-09-21
JP24349195A JP3725214B2 (ja) 1995-09-21 1995-09-21 光ファイバ接続器
JP7-253994 1995-09-29
JP25399495A JP3725215B2 (ja) 1995-09-29 1995-09-29 光ファイバ接続器
JP31324795A JP3813219B2 (ja) 1995-11-30 1995-11-30 光ファイバ接続器
JP7-313247 1995-11-30
JP32611095A JP3813220B2 (ja) 1995-12-14 1995-12-14 開放ピース付き光ファイバ接続器および作業治具
JP7-326110 1995-12-14
JP876596A JPH09197169A (ja) 1996-01-22 1996-01-22 光ファイバ接続器
JP00876796A JP3751061B2 (ja) 1996-01-22 1996-01-22 光ファイバ接続器
JP8-008766 1996-01-22
JP00876696A JP3784446B2 (ja) 1996-01-22 1996-01-22 光ファイバ接続器
JP8-008767 1996-01-22
JP8-008765 1996-01-22
JP17045696A JP3778995B2 (ja) 1996-06-28 1996-06-28 光ファイバ調心構造
JP8-170456 1996-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2975B1 true KR100442975B1 (ko) 2004-12-03

Family

ID=27576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226A KR100442975B1 (ko) 1995-08-24 1996-08-23 광섬유접속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84532A (ko)
EP (1) EP0846965B1 (ko)
KR (1) KR100442975B1 (ko)
DE (1) DE69619833T2 (ko)
WO (1) WO19970085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0096B2 (ja) * 1996-05-30 2004-07-0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接続器
US6331081B1 (en) 1997-03-13 2001-12-18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transmission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3602339B2 (ja) 1997-06-16 2004-12-1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US6816661B1 (en) 2000-03-22 2004-11-09 Corning Cable Systems Llc Multifiber connector, installation tool and associated methods of validating optical fiber continuity
DE10017008C1 (de) * 2000-04-05 2001-08-23 Siemens Ag Einrichtung zur Klappenbetätigung bei Lichtwellenleiter-Spleissgeräten
JP3723744B2 (ja) * 2001-03-27 2005-12-07 Tdk株式会社 光導波路モジュール実装部品
GB0123829D0 (en) * 2001-10-04 2001-11-28 Tyco Electronics Raychem Nv "Closing mechanism for a mechanical splice"
US6962445B2 (en) 2003-09-08 2005-11-08 Adc Telecommunications, Inc. Ruggedized fiber optic connection
GB0325697D0 (en) * 2003-11-04 2003-12-10 Tyco Electronics Raychem Nv Optical fibre connector
KR101123439B1 (ko) 2003-11-04 2012-03-26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비브이비에이 스플라이스 커넥터에 광섬유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
US7264401B2 (en) * 2004-05-28 2007-09-04 Corning Cable Systems Llc Panel-mountable optical fiber splice
GB0412003D0 (en) 2004-05-28 2004-06-30 Tyco Electronics Raychem Nv Optical fibre connector
US20060002662A1 (en) * 2004-06-30 2006-01-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mall form factor, field-installable connector
US7331719B2 (en) * 2004-06-30 2008-02-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Optical fiber clamping assembly
JP4821209B2 (ja) * 2005-04-14 2011-11-2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US7534051B2 (en) * 2006-04-12 2009-05-19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fiber connector, optical fiber connecting method, and connector converter
US7572065B2 (en) 2007-01-24 2009-08-11 Adc Telecommunications, Inc. Hardened fiber optic connector
US7591595B2 (en) 2007-01-24 2009-09-22 Adc Telelcommunications, Inc. Hardened fiber optic adapter
CA2690728C (en) * 2007-10-05 2018-01-02 Afl Telecommunications Llc Mechanical splice
US7942590B2 (en) 2007-12-11 2011-05-17 Adc Telecommunications, Inc. Hardened fiber optic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with multiple configurations
US7887244B2 (en) 2008-06-13 2011-02-15 Belden Cdt (Canada) Inc. Reversible fiber connector with mechanical splice and sliding lock
US8075198B2 (en) * 2008-06-23 2011-12-13 Belden Cdt (Canada) Inc. Reversible fiber connector with mechanical sliding splice
JP5164271B2 (ja) * 2008-06-24 2013-03-21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の接続確認方法および接続確認装置
EP2324383B1 (en) * 2008-08-19 2015-05-27 Belden CDT Canada Inc. Slide actuated field installable fiber optic connector
US7811006B2 (en) 2008-09-02 2010-10-12 Belden CD (Canada) Inc. Field installable fiber optic connector and installation tool
US7835612B2 (en) * 2008-12-17 2010-11-1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pliced fiber tray soft durometer material (SDM) manifold
US7835613B2 (en) * 2008-12-17 2010-11-1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pliced fiber tray soft durometer material (SDM) manifold
TWI409514B (zh) * 2009-01-20 2013-09-21 Parry Lin 楔子式之機械式光纖接續子
DE102012110371A1 (de) 2012-10-30 2014-04-30 Reichle & De-Massari Ag Steckverbindervorrichtung
ES2700963T3 (es) 2013-06-27 2019-02-20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Dispositivo de anclaje para cable de fibra óptica para uso con conectores de fibra óptica y métodos de uso del mismo
US10007067B2 (en) * 2014-03-10 2018-06-26 Afl Telecommunications Llc Optical connector attachment tool having light transmissive wedge
DE102014105524A1 (de) 2014-04-17 2015-10-22 Reichle & De-Massari Ag Steckverbindervorrichtung
DE102014105523A1 (de) 2014-04-17 2015-10-22 Reichle & De-Massari Ag Steckverbindervorrichtung
DE102014105526A1 (de) 2014-04-17 2015-10-22 Reichle & De-Massari Ag Steckverbindervorrichtung
JP6263486B2 (ja) * 2015-02-20 2018-01-1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接続器、メカニカルスプライスおよび光ファイバ接続方法
US10437001B1 (en) * 2018-09-20 2019-10-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Fiber optic drogue and cable retraction spoo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7246A (en) * 1977-01-11 1978-08-01 Dainichi Nippon Cables Ltd Connection part of light fiber
US4146301A (en) * 1977-05-25 1979-03-27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Optical ribbon connector
FR2538919B1 (fr) * 1983-01-05 1987-01-09 Telecommunications Sa Dispositif de raccordement rapide des extremites de fibres optiques
JPS60107907A (ja) * 1983-11-16 1985-06-13 Nec Corp 電流検出方式
JPS60107907U (ja) * 1983-12-26 1985-07-23 富士通株式会社 光フアイバ接続器
JPH063363Y2 (ja) * 1987-05-28 1994-01-26 日立電線株式会社 光ファイバ接続器
JP2519748B2 (ja) * 1987-09-11 1996-07-3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フェル―ル
US4787697A (en) * 1987-11-20 1988-11-29 Siecor Corporation Optical fiber connector having magnifying lens
JP2687145B2 (ja) * 1988-09-01 1997-12-0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光ファイバ接続具の製造方法
US4948224A (en) * 1989-02-21 1990-08-14 Modrey Henry J Connector for optical fibers and the like
US4973126A (en) * 1989-12-07 1990-11-27 At&T Bell Laboratories Optical fiber connector
JPH06222238A (ja) * 1993-01-21 1994-08-12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カップラの保護構造および保護方法
US5392373A (en) * 1993-11-29 1995-02-21 The Whitaker Corporation Apparatus for optically coupling an optical fiber to an electro-optic device
US5440657A (en) * 1994-05-26 1995-08-08 The Whitaker Corporation Re-enterable splicer for ribbon fiber
GB2312968B (en) * 1996-05-09 2000-09-13 Daewoo Telecom Ltd Splicer for light wavegu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19833D1 (de) 2002-04-18
US5984532A (en) 1999-11-16
EP0846965A1 (en) 1998-06-10
EP0846965B1 (en) 2002-03-13
DE69619833T2 (de) 2002-09-26
EP0846965A4 (en) 1999-02-24
WO1997008575A1 (fr) 1997-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975B1 (ko) 광섬유접속기
JP3540096B2 (ja) 光ファイバ接続器
JP5053709B2 (ja) 光接続部材
EP0690324B1 (en) Receptacle for optical fiber connec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279942B2 (en) Ferrule for optical fiber connector having a compliant structure for clamping alignment pins
US8118495B2 (en) Method of assembling an optical connector and an optical connector
US4515434A (en) Fiber optic connector
JP3515305B2 (ja) 光コネクタ
US8480311B2 (en) Optical connector, method of attaching the optical connector to coated optical fiber, and optical connection member
KR100937284B1 (ko) 광 커넥터 페룰, 광 커넥터, 광 부품 및 광 배선 시스템
KR20140019431A (ko) 개방된 섬유 클램핑 홈을 구비한 광섬유 커넥터 페룰
JPH1078526A (ja) 光ウェーブガイド用スプライサ
JP3970420B2 (ja) 光ファイバ接続器
JP5074806B2 (ja) メカニカルスプライスの組立方法
JP2000298227A (ja) 光ファイバ接続器
US20030194194A1 (en) Optical fiber ribbon splitting tool and optical fiber ribbon splitting method
US5600749A (en) Device with differentially deformable housing for connection of optical elements
JPH11160579A (ja) 光コネクタ
JP3784446B2 (ja) 光ファイバ接続器
JP2000066060A (ja) 光ファイバ接続器
JP3778995B2 (ja) 光ファイバ調心構造
JPH11295553A (ja) 光ファイバ接続器
JP4263311B2 (ja) 光コネクタ
JPH11326703A (ja) 光コネクタ
JPH09152521A (ja) 光ファイバ接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