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080B1 - 잉크제트프린터의카트리지및잉크제트프린터 - Google Patents

잉크제트프린터의카트리지및잉크제트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080B1
KR100407080B1 KR1019970702256A KR19970702256A KR100407080B1 KR 100407080 B1 KR100407080 B1 KR 100407080B1 KR 1019970702256 A KR1019970702256 A KR 1019970702256A KR 19970702256 A KR19970702256 A KR 19970702256A KR 100407080 B1 KR100407080 B1 KR 100407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artridge
jet printer
ink jet
waste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6129A (ko
Inventor
쿠니히코 마츠하시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706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6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81Sheet-storing packages, e.g. for protecting the sheets against ambient influences, e.g. light, humidity, changes in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 B41J2/16523Waste ink transport from caps or spittoo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21Collecting waste ink; Collec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21Collecting waste ink; Collectors therefor
    • B41J2/1728Closed waste ink col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95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for monitoring ink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인쇄 기능에 지장을 주지 않고,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폐기 잉크 회수부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는 잉크제트 프린터의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잉크제트 프린터를 또한 인쇄 기능에 지장을 주지 않고, 인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잉크제트 프린터가 제공된다. 인쇄 대상물을 수납하는 동시에, 잉크제트 프린터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잉크제트 프린터의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케이스내에, 잉크제트 프린터에 생긴 폐기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폐기 잉크 회수부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폐기 잉크 회수부의 용량을, 카트리지의 교환 빈도에 근거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잉크제트 프린터는 폐기 잉크 회수부가 불필요하게 되어 그만큼 소형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잉크제트 프린터의 카트리지 및 잉크제트 프린터{Cartridge for ink jet printer and ink jet printer}
종래의 일반적인 잉크제트 프린터에서는, 종이 등의 인쇄 대상물에 대해, 탑재되어 있는 인쇄 헤드를 좌우 방향(주 주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인쇄 대상물을 전후 방향으로(부 주사방향) 이송하여 인쇄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 인쇄 헤드의 복수개의 잉크 노즐로부터 인쇄 대상물을 향해 적당하게 잉크 방울이 토출되어 인쇄가 이루어진다. 한편, 인쇄 작동을 하지 않을 때에는, 잉크 노즐이 건조하여 막히거나 먼지가 부착되기도 하기 때문에, 인쇄 헤드를 인쇄 작동 범위에서 벗어난 위치로 이동시켜 헤드캡에 도달하도록 되어 있다.
헤드캡에서는, 인쇄 헤드의 선단을 밀봉하는 동시에, 잉크액 방울의 흡인(클리닝)을 행하고, 또한 인쇄 작동 개시에 앞서, 인쇄 헤드의 모든 잉크 노즐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인쇄 작동 중에 2 내지 3초간 인쇄를 중지한 경우에도, 건조에 의한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서, 인쇄 헤드를 헤드캡에 닿게 하여, 인쇄 헤드의 모든 잉크 노즐로부터 잉크액 방울을 토출시키도록(플러싱)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인쇄 헤드에서 흡인 또는 토출시킨 폐기 잉크는, 폐기 잉크 펌프에 의해 헤드캡에서 폐기 잉크 탱크(폐기 잉크 회수부)로 인도되어 저장된다. 폐기 잉크 탱크는, 가득찼을 때에 폐기 잉크를 폐기하도록, 잉크제트 프린터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지만, 일반적인 폐기 잉크 탱크의 용량은 폐기를 전제로 하지 않고, 잉크제트 프린터의 내구 수명에 근거하여 설계되어 있다(300cc 내지 500cc정도).
한편, 상기의 폐기 잉크 탱크를 잉크 카트리지에 병설한 것도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개평2-192953호 공보, 특개평4-364960호 공보). 이것은, 인쇄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카트리지(인쇄 헤드에 직접 결합)의 일부에, 폐기 잉크 탱크(수십cc 정도)를 조립하는 것이며, 잉크 카트리지의 교환에 따라 수시로 폐기 잉크를 폐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잉크제트 프린터에서는, 폐기 잉크 회수부(폐기 잉크 탱크)를 위한 공간이 잉크제트 프린터의 소형화에 대해서 큰 장해가 된다. 즉, 내구 수명에 근거하여 설계된 폐기 잉크 탱크는, 내구 수명에 따른 폐기 잉크량을 저장하기 위해서, 잉크제트 프린터내에 큰 공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에 병설한 폐기 잉크 탱크에서도, 그 자체의 용량은 작아도, 인쇄 헤드와 동시에 이동하는 만큼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폐기 잉크 탱크를 위한 공간은 큰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플러싱 작동에서는, 인쇄 작동 중에 인쇄 헤드를 헤드캡의 위치까지 이동시킬 필요가 있고, 시간적인 손실이 크고, 인쇄 시간 단축에 대해 장해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쇄 기능에 지장을 주지 않고,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폐기 잉크 회수부의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는 잉크제트 프린터의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잉크제트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인쇄 기능에 지장을 주지 않고, 인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잉크제트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쇄대상물을 수용하는 동시에 잉크제트 프린터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잉크제트 프린터의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잉크제트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의 외관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의 단면도.
제 3 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의 내부 장치의 사시도.
제 4 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의 내부 장치의 평면도.
제 5 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의 헤드캡 및 관련 구조의 단면도.
제 6 도는 폐기 잉크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제 7 도는 튜브 접속 기구 및 관련 구조의 사시도.
제 8 도는 테이프 카트리지의 구조도.
제 9 도는 테이프 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 10 도는 테이프 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에 대응하는 튜브 접속 기구 및 관련 구조의 사시도.
제 11 도는 폐기 잉크 회수부의 가득찬 상태 검출 수단의 테이프 카트리지측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구조도.
제 12 도는 폐기 잉크 회수부의 가득찬 상태 검출 수단의 검출 회로측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의 테이프 카트리지의 구조도.
제 14 도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의 제어계의 블럭도.
제 15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의 단표지(單票紙) 카트리지 및 관련 구조의 사시도.
청구항 제 39 항의 카트리지의 발명은,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로서, 잉크 제트 프린터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잉크제트 프린터에 의해 그 위에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인쇄 대상물을 수납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내에서 발생된 폐기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폐기 잉크 회수부를 카트리지 케이스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잉크 제트 프린터측에 폐기 잉크 회수부가 불필요하게 되고, 또한 카트리지측에서는, 카트리지 교환에 따라 수시로 폐기 잉크를 폐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의 폐기 잉크 회수부의 크기는 카트리지의 교환 빈도에 근거하여 결정되므로, 매우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는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내에 분할하여 설치된 복수의 분할 회수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폐기 잉크 회수부를 복수개로 분할하여 카트리지 케이스 내에 수용할 수 있고, 카트리지 케이스의 빈공간을 이용하여 폐기 잉크 회수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폐기 잉크 회수부를 위해 카트리지 자체를 대형화시킬 필요성이 적어진다.
적합하게는,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는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가능 영역을 인쇄 대상물보다 넓은 영역까지 설정 가능한 초과 인쇄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에 발생되는 폐기 잉크는 상기 초과 인쇄에 의해 상기 인쇄 대상물에서 벗어난 위치에 토출된 폐기 잉크와, 상기 인쇄 헤드의 클리닝에 의해 발생된 폐기 잉크 및, 상기 인쇄 헤드의 플러싱에 의해 발생되는 폐기 잉크를 포함하며,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는 클리닝에 의한 폐기 잉크 및, 플러싱에 의한 폐기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분할 회수부 및, 초과 인쇄에 의한 폐기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분할 회수부의 2개의 분할 회수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클리닝에 의한 폐기 잉크 및 플러싱에 의한 폐기 잉크를 프린터측에 수집하여 제 1 분할 회수부에 이송할 수 있고, 초과 인쇄에 의한 폐기 잉크는 직접 제 2 분할 회수부에서 수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합하게는,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는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가능 영역을 인쇄 대상물보다 넓은 영역까지 설정 가능한 초과 인쇄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에 발생되는 폐기 잉크는 상기 초과 인쇄에 의해 상기 인쇄 대상물에서 벗어난 위치에 토출된 폐기 잉크와, 상기 인쇄 헤드의 클리닝에 의해 발생된 폐기 잉크 및, 상기 인쇄 헤드의 플러싱에 의해 발생되는 폐기 잉크를 포함하며,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는 클리닝에 의한 폐기 잉크 및, 플러싱에 의한 폐기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분할 회수부 및, 초과 인쇄에 의한 폐기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분할 회수부의 2개의 분할 회수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클리닝에 의한 폐기 잉크를 프린터측으로부터 제 1 분할 회수부에 이송할 수 있으며, 플러싱에 의한 폐기 잉크 및 초과 인쇄에 의한 폐기 잉크는 직접 제 2 분할 회수부에서 수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분할 회수부 및 제 2 분할 회수부에 저장되는 폐기 잉크를 양적으로 평형화시킬 수 있다. 즉, 클리닝에 의한 폐기 잉크의 양에 비하여, 플러싱에 의한 폐기 잉크의 양은 극단적으로 적기 때문에, 플러싱에 의한 폐기 잉크에 초과 인쇄에 의한 폐기 잉크를 첨가함으로써, 클리닝 잉크 회수부와 플러싱 잉크 회수부의 사이의 폐기 잉크의 양이 평형화된다.
적합하게는,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인쇄 헤드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폐기 잉크 회수창을 갖고 형성되며, 상기 제 2 분할 회수부는 상기 폐기 잉크 회수창에 도달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인쇄 헤드로부터 토출된 폐기 잉크, 즉 플러싱 및 초과 인쇄에 의한 폐기 잉크를 제 2 분할 회수부에 직접 회수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상기 인쇄 대상물은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로부터 계속 투입된 후 상기 인쇄 헤드의 이동 경로를 횡단하여 전방으로 송출되며,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투입에서 상기 송출에 이르는 상기 인쇄 대상물의 주행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쇄 대상물을 카트리지 케이스로부터 계속 투입한 후 인쇄 헤드의 이동 경로를 횡단하여 전방으로 송출할 때까지의 안내 수단을 잉크제트 프린터측에 구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잉크제트 프린터측에 안내 수단을 구성하면, 카트리지의 착탈에 따라 인쇄 대상물과 안내 수단을 접속 및 이탈시킬 필요가 있고,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 또한, 안내부를 카트리지 케이스에 설치하면, 안내부의 제작이나 부착 등이 용이하게 된다.
적합하게는, 상기 안내부는,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케이스 외벽을 구성하며, 그 사이에 형성된 갭 사이로 상기 인쇄 대상물을 안내하는 이중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카트리지 케이스의 케이스 외벽을 이중벽 구조로 함으로써, 안내부를 카트리지 케이스에 일체로 또한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의 고정 롤러의 사이에 상기 인쇄 대상물을 끼워 상기 고정 롤러와 협동하여 상기 인쇄 대상물을 투입하는 동시에 전방으로 송출하는 가동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롤러는, 상기 고정 롤러에 대해 접속 및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설치된 압박 부재에 의해 접촉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카트리지내에서 인쇄 대상물을 가동 롤러의 위치까지 인출해 두면, 카트리지를 잉크제트 프린터에 장착하기만 해도, 가동 롤러와 고정 롤러의 사이에 인쇄 대상물이 끼워지고, 인쇄 대상물의 이송 준비가 완료된다. 즉, 카트리지를 잉크제트 프린터에 장착하면, 즉시 인쇄를 개시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가동 롤러의 주변 표면에 인쇄 대상물을 끼운 상태로 접촉하여,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가동 롤러의 이동 단부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카트리지를 잉크제트프린터에서 이탈시키면, 가동 롤러는 인쇄 대상물을 끼운 상태로 규제부에 접촉한다. 이로 인해, 인쇄 대상물의 선단이 카트리지 케이스내로 복귀되지 않고, 가동 롤러의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재차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상기의 인쇄 대상물의 이송 준비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적합하게는, 상기 가동 롤러는 축방향에서 하나 이상의 소경부를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인쇄 대상물의 만곡 표면을 안내하기 위해 이송 방향에서 상기 가동 롤러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에 배치된 이송 방향 안내 부재를 가지며, 상기 가동 롤러에 근접한 상기 이송 방향 안내 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소경부에 도달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송을 개시한 인쇄 대상물의 선단은 가동 롤러로부터 이송 방향 안내 부재에 걸쳐서 방해받지 않고 이송된다. 따라서, 가동 롤러의 위치를 인쇄 대상물(의 선단)의 홈 위치(home position)로 할 수 있고, 인쇄 대상물로 그 선단으로부터 인쇄를 행할 수 있다. 인쇄 대상물이 테이프 형상인 경우에는, 인쇄 대상물이 쓸데없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상기 인쇄 대상물은 롤형상으로 권취된 테이프 형상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카트리지 케이스의 코너부에 폐기 잉크 회수부를 설치하기 쉽고, 폐기 잉크 회수부를 위해 카트리지 케이스를 대형화시킬 필요성이 없다.
청구항 제 64 항의 잉크제트 프린터의 발명은, 제 39항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의 카트리지가 내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폐기 잉크 회수부를 카트리지측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잉크제트 프린터를 소형화할 수 있고, 또한 폐기 잉크 회수부 자체도 소형이 된다.
청구항 제 65 항의 잉크제트 프린터의 발명은, 제 39 항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의 카트리지가 내부에 장착된 잉크제트 프린터에 있어서,
폐기 잉크를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에 송출하는 폐기 잉크 송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잉크제트 프린터에 발생한 폐기 잉크를 내부에 저장할 필요가 없고, 그만큼 잉크제트 프린터 자체를 소형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잉크제트 프린터에 발생한 폐기 잉크를 폐기 잉크 회수부에 적절하게 송출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상기 폐기 잉크 송출 수단은, 상류단이 헤드캡에 접속되고, 하류단이 폐기 잉크 회수부에 접속되는 폐기 잉크 튜브와, 상기 폐기 잉크를 통해 상기 헤드캡의 폐기 잉크를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에 송출하는 폐기 잉크 펌프 및,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 내에 장착된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에 상기 폐기 잉크 튜브의 하류단을 접속 및 이탈시키는 튜브 접속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헤드캡의 설치 위치에 무관하게, 헤드캡으로부터 폐기 잉크를 카트리지의 폐기 잉크 회수부에 확실하게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비장착시 등에 있어서, 폐기 잉크의 송출을 정지하는 등의 제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의 착탈 시에, 폐기 잉크 송출 수단이 방해되지 않는다.
적합하게는, 상기 튜브 접속 기구는 상기 폐기 잉크 튜브의 하류단을 유지하며,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에 상기 하류단을 접속시키며, 상기 카트리지의 이탈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로부터 상기 하류단을 이탈시키는 연동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카트리지의 잉크제트 프린터의 착탈에 연동하여, 폐기 잉크 튜브의 하류단을 폐기 잉크 회수부에 접속 및 이탈시킬 수 있기 때문에, 폐기 잉크 튜브의 접속 및 이탈을 위한 조작이 불필요하고, 취급이 번잡하지 않다. 또한, 연동 기구를 링크 기구 등으로 구성하면, 카트리지의 착탈에 요구되는 수동적인 힘을 이용하여, 폐기 잉크 튜브의 접속 및 이탈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제 68 항의 잉크제트 프린터의 발명은, 제 39 항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의 카트리지가 내부에 장착된 잉크제트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가 폐기 잉크로 가득찬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가득찬 상태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폐기 잉크의 양이 소정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폐기 잉크 회수부로부터 폐기 잉크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카트리지내 또는 카트리지내의 인쇄 대상물, 또는 잉크제트 프린터의 내부가 넘친 폐기 잉크로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의 상단부와 연통하며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를 통해 형성된 관통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가득찬 상태 검출 수단은,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 내에 장착된 상기 카트리지의 관통 구멍에서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의 상단부에 도달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접속된 폐기 잉크 검출 회로 및, 상기 관통 구멍에 상기 센서를 착탈시키는 센서 착탈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폐기 잉크의 가득찬 상태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동시에, 카트리지의 착탈 시에, 가득찬 상태의 검출 수단이 방해되지 않는다.
적합하게는, 상기 카트리지를 상부에 장착하기 위한 카트리지 장착부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센서 착탈 기구는 상기 센서를 유지하며, 상기 개폐 덮개의 폐쇄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관통 구멍에 상기 센서를 장착하며, 상기 개폐 덮개의 개방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상기 센서를 이탈시키는 연동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개폐 덮개의 개폐에 연동하여, 센서를 관통 구멍에 착탈시킬 수 있으므로, 센서의 착탈을 위한 조작이 불필요하고, 취급이 번거롭게 되지 않는다. 또한, 연동 기구를 링크 기구 등으로 구성하면,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청구항 제 71 항의 잉크제트 프린터의 발명은 인쇄 헤드를 플러싱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 가능 영역을 인쇄 대상물 보다 넓은 영역까지 설정 가능한 잉크제트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로부터 상기 인쇄 대상물에서 벗어난 영역으로 배출된 폐기 잉크를 수납하며, 그 사이에 간극이 없도록 상기 인쇄 대상물에 대해 배치된 초과 잉크 회수부와, 플러싱에 따른 폐기 잉크를 수납하기 위해 상기 초과 잉크 회수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플러싱 잉크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플러싱 잉크 회수부를 초과 잉크 회수부에 인접시켜 설치함으로써, 플러싱 시의 인쇄 헤드의 이동 거리를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싱에 요구되는 이동 시간이 단축되고, 인쇄 시간 전체로서도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 가능 영역을 인쇄 대상물보다 넓은 영역까지 설정하면, 화상의 배경(지문을 포함한다)이 되는 인쇄도 행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제 2 플러싱 잉크 회수부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제 2 플러싱 잉크 회수부와 상기 플러싱 잉크 회수부는 그 사이에 상기 인쇄 대상물을 끼워 상기 인쇄 헤드의 이동 경로의 양측에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인쇄 대상물 상에 이동하고 있는 인쇄 헤드는 플러싱 시에 한 쌍의 플러싱 잉크 회수부의 소정의 가까운 쪽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플러싱 시의 인쇄 헤드의 이동 거리, 즉 이동 시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상기 초과 잉크 회수부와 상기 플러싱 잉크 회수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부품의 개수를 감소할 수 있는 동시에,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인쇄 헤드를 플러싱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 가능 영역을 인쇄 대상물 보다 넓은 영역까지 설정 가능한 잉크제트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로부터 상기 인쇄 대상물에서 벗어난 영역으로 배출된 폐기 잉크를 수납하는 초과 잉크 회수부와, 플러싱에 따른 폐기 잉크를 수납하기 위해 상기 초과 잉크 회수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플러싱 잉크 회수부 및, 상기 인쇄 대상물을 포함하며 프린터 본체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초과 잉크 회수부 및 상기 플러싱 잉크 회수부는 상기 카트리지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카트리지의 교환(폐기)에 따라, 초과 잉크 회수부 및 플러싱 잉크 회수부의 폐기 잉크를 폐기할 수 있다. 즉, 잉크제트 프린터에 발생한 폐기 잉크를 직접 카트리지에 버릴 수 있다. 또한, 그만큼 프린터 본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상기 인쇄 대상물은 롤형상으로 권취된 테이프 형상인 것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인쇄 대상물에 각종 폭이 있어도, 초과 잉크 회수부라든지 플러싱 잉크 회수부를 비교적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는 키입력한 소정의 문자 등을 인쇄 대상물인 테이프에 잉크제트 형식으로 컬러 인쇄를 행하여, 상기 테이프의 인쇄한 부분을 절단하여 라벨을 작성하는 것이다. 상기 테이프는 인쇄가 되는 동시에 이면에 접착층을 갖는 기재 테이프(base tape)와, 상기 기재 테이프의 접착층을 덮는 박리지로써 이루어지며, 인쇄 부분을 절단한 후에는 상기 박리지를 벗김으로써, 기재 테이프의 부분이 라벨로서 서류 파일 등에 접착된다.
제 1 도의 외관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제트 프린터(1)는 테이프(T)를 수용하는 테이프 카트리지(2)와, 테이프 카트리지(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린터 본체(3)로 구성되어 있다. 프린터 본체(3)는 본체 케이스(4)에 의해 그 외각이 형성되고, 전방부에는 키보드(5)와, 전원 버튼 또는 인쇄 버튼 등으로 이루어지는 버튼군(6)이 설치되고, 우측 후방부에는 액정 디스플레이(7)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4)의 후면에는, 테이프 카트리지(2)가 장착되는 테이프 카트리지 장착부(8)에 면하여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에는 제 1 개폐 덮개(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개폐 덮개(9)의 상측에 위치하며 본체 케이스(4)의 후면에는, 인쇄된 테이프(T)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릿 형상의 테이프 배출구(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4)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잉크 카트리지(41)를 장착하는 카트리지 홀더(11)에 면하여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에는 제 2 개폐 덮개(1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프린터 본체(3)의 내부에는,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부에 전원 공급부(13) 및 정보 처리부(14)가, 중간부에 잉크 카트리지(41)를 포함하는 잉크 공급부(15)와 상기 잉크 공급부(15)에 연결되는 인쇄 헤드(16) 및 인쇄 헤드(16)를 잉크 공급부(15)와 동시에 이동시키는 헤드 구동부(17)가, 그리고 후방부에 테이프 카트리지(2)를 포함하는 테이프 공급부(18)와 인쇄후 테이프(T)를 외부로 송출하는 테이프 배출부(19) 및 폐기 잉크를 배출하는 폐기 잉크 처리부(2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잉크공급부(15), 인쇄 헤드(16), 헤드 구동부(17), 테이프 공급부(18), 테이프 배출부(19) 및 폐기 잉크 처리부(20)는 베이스 프레임(21)에 지지되어 유닛화된 상태로 프린터 본체(2)의 내부에 조립되어 있다.
전원 공급부(13)는 니켈 카드뮴 전지 등의 전지(31)와, 전원 유닛(32)을 구비하며, 정보 처리부(14), 헤드 구동부(17) 등을 포함하는 각각의 내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정보 처리부(14)는 키보드(5)나 버튼군(6) 등으로부터의 입력을 처리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헤드 구동부(17)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7)를 포함하는 각각의 내부 장치를 제어한다.
테이프 공급부(18)의 테이프 카트리지(2)로부터 전방으로 계속 투입된 테이프(T)는, 상방으로 회전한 후 인쇄 헤드(16)의 인쇄 위치를 통과하고, 또한 후방으로 회전하여 테이프 배출부(19)에서 외부로 송출된다. 상기 테이프(T)의 주행에 따라 인쇄 헤드(16)는, 잉크 공급부(15)로부터 잉크의 공급을 받으면서 헤드 구동부(17)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반복하여, 적당한 잉크 방울을 토출하여 테이프(T)에 인쇄를 행한다. 즉, 인쇄 헤드(16)의 이동 방향을 주 주사방향으로 하고, 테이프(T)의 이송 방향을 부 주사방향으로 하여 테이프(T)로 인쇄가 행하여진다. 한편, 인쇄 작동이 정지 또는 중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인쇄 헤드(16)의 선단(잉크 노즐)의 잉크 방울이 건조하여 응고하는 것이 있기 때문에, 폐기 잉크 처리부(20)에서, 정지 상태에서는 인쇄 헤드(16)의 클리닝이, 또한 중지 상태(2 내지 3초 이상)에서는 인쇄 헤드(16)의 플러싱이 행하여진다. 이 때문에, 인쇄 작동의 정지 또는 중지 시에는, 헤드 구동부(17)가 구동하여 인쇄 헤드(16)를 폐기 잉크 처리부(20)에 도달하도록 한다.
제 2 도 및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 공급부(15)는, 한 단부에 인쇄 헤드(16)를 유지하는 동시에 헤드 구동부(17)의 캐리지(64)상에 위치된 카트리지 홀더(11)와, 상기 카트리지 홀더(11)의 내부에 수용된 잉크 카트리지(41)로 구성되어 있다. 잉크 카트리지(41)는 3개의 잉크 탱크(42)를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3개의 잉크 탱크(42)에는, 각각 청녹색, 진홍색, 황색의 3색 잉크가 저장되어 있다. 카트리지 홀더(11)는 각각의 잉크 공급구(43)가 인쇄 헤드(16)측에 가압되도록 후방판(11a)에 의해 장착된 잉크 카트리지(41)를 유지하고 있다.
각각의 잉크 탱크(42) 내에는 잉크 흡수재(44)가 충전되어 있고, 잉크는 상기 잉크 흡수재(44)에 흡수시킨 상태로 저장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잉크 탱크(42) 내의 잉크 공급구(48)측에는, 잉크 흡수재(44)에 접하여 탱크측 필터(45)가 내장되어 있다. 한편, 인쇄 헤드(16)에는, 각각의 잉크 공급구(43)가 삽입되는 잉크 도입구(52)를 형성한 수납 부재(51)가 설치되는 동시에, 각각의 수납 부재(51)의 주위에는 환형의 밀봉 부재(53)가 설치되어 있다. 잉크 카트리지(41)는 수납 부재(51)에 잉크 공급구(43)를 끼운 상태로 인쇄 헤드(16)측에 가압되며, 잉크 공급구(43)의 선단이 밀봉 부재(53)를 밀어내도록 하여, 인쇄 헤드(16)측에 액체-밀봉 방식으로(liquid-tight)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잉크 도입구(52)는 헤드측 필터(54)를 통해, 인쇄 헤드(16)의 잉크 통로(55)에 연통되어 있고, 잉크 탱크(42)내의 잉크는 잉크 공급구(48) 및 잉크 도입구(52)를 통해 인쇄 헤드(16)의 잉크 통로(55)에 공급된다.
헤드 구동부(17)는, 캐리지 모터(61)와, 한 쌍의 풀리(62a, 62b)와, 한 쌍의 풀리(62a, 62b) 사이에 걸쳐 있는 무단의 타이밍 벨트(endless timing belt)(63)와, 상기 카트리지 홀더(11)를 지지하는 캐리지(64)와, 상기 캐리지(64)의 이동을 안내하는 캐리지 가이드축(65)을 구비하고 있다. 캐리지 가이드축(65)은 그 양단이 베이스 프레임(21)의 양측판(21a, 21a)에 지지되어 있고, 캐리지(64)는 전방부가 캐리지 가이드축(6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후방부가 하면에 돌출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 돌기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21)의 바닥판(21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캐리지 모터(61)는 베이스 프레임(21)의 측판(21a)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모터 부착판(66) 상에 고정되어 있고(제 4 도 참조), 하방으로 돌출된 출력축(67)에는 구동측의 풀리(62a)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측의 풀리(62a)에 대하여 종동측의 풀리(62b)는 베이스 프레임(21)의 폭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동시에, 베이스 프레임(21)에 지지된 인장 레버(68)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제 4 도 참조). 양 풀리(62a, 62b)사이에 걸쳐 있는 타이밍 벨트(63)에는, 인쇄 헤드(16)로부터 연장되는 고정편(69)이 연결되어 있고, 타이밍 벨트(63)의 주행에 따라, 인쇄 헤드(16) 및 카트리지 홀더(11)가 이동한다. 즉, 캐리지 모터(61)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에 따라 타이밍 벨트(63)가 정방향 및 역방향 주행하여, 캐리지(64)에 탑재된 인쇄 헤드(16) 및 카트리지 홀더(11)가 캐리지 가이드축(65) 및 베이스 프레임(21)의 바닥판(21b)에 안내되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제 4 도는, 인쇄 헤드(16)의 왕복 운동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인쇄를 행하는 경우 인쇄 헤드의 왕복 운동 범위는, 왕동(往動) 개시 위치(P2)와 복동(復動)개시 위치(반환 위치)(P3)의 사이이고, 왕복 운동 범위의 중간 위치에 테이프 카트리지(2)가 도달하는 동시에, 왕동 개시 위치(P2)의 외측에 홈 위치(P1)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왕동 개시 위치(P2)와 복동 개시 위치(P3)의 사이에 있어서, 왕동 개시 위치(P2)와 왕동 정속 위치(P4)의 사이 및 복동 개시 위치(P3)와 복동 정속 위치(P5)의 사이가 각각 가속 및 감속 범위가 된다. 또한, 왕동 정속 위치(P4)와 복동 정속 위치(P5)의 사이는, 왕동 인쇄 개시 위치(P6)와 복동 인쇄 개시 위치(P7)가 설정되어, 왕동 인쇄 개시 위치(P6)와 복동 인쇄 개시 위치(P7)의 사이가 인쇄 가능 범위로 된다. 그리고, 왕동 정속 위치(P4)와 왕동 인쇄 개시 위치(P6)의 사이 및 복동 정속 위치(P5)와 복동 인쇄 개시 위치(P7)의 사이가, 각각 인쇄 헤드가 정속으로 이동하는 공주행(空走行) 범위가 된다.
인쇄 헤드(16)는, 홈 위치(P1)에 대기하고 있고, 인쇄 지령에 의해 왕동 개시 위치(P2)로부터 가속되어, 왕동 정속 위치(P4)에서 소정의 이동 속도에 도달하여, 왕동 인쇄 개시 위치(P6)로부터 왕동 방향의 인쇄 작동을 개시한다. 또한, 인쇄 헤드(16)가 복동 인쇄 개시 위치(P7)에 도달하면 왕동 방향의 인쇄 작동이 종료하여, 복동 정속 위치(P5)를 거쳐 복동 개시 위치(P3)에 정지한다. 그 직후에는, 인쇄 헤드(16)의 복동 방향의 이동이 개시되어, 복동 인쇄 개시 위치(P7)로부터 왕동 인쇄 개시 위치(P6)의 사이에서 복동 방향의 인쇄 작동이 행하여지어, 왕동 개시 위치(P2)에 정지한다. 이와 같이 인쇄 헤드(16)가 왕복 운동을 반복함으로써, 테이프(T)의 인쇄가 진행되어 간다.
또한, 제 3 도의 도면 부호 70은, 베이스 프레임(21)의 측판(21a)에 설치된 포토 인터럽터(photo-interrupter) 등으로 구성되는 위치 검출 센서이고, 캐리지(64)로부터 돌출설치된 차광판(71)이 상기 위치 검출 센서에 도달하면, 캐리지 모터(61)가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동되는 인쇄 헤드(16)가 홈 위치(P1)에 도달하면, 상기 위치 검출센서(70)가 이를 검출하여, 캐리지 모터(61)를 통해 인쇄 헤드(16)를 홈 위치(P1)에 정지시킨다. 홈 위치(P1)는 인쇄 헤드(16)의 대기위치인 동시에, 상기 위치(P2)로부터 위치(P7)의 각각의 위치의 기준 위치가 된다. 즉, 위치 검출 센서(70)에 의해, 캐리지 모터(61)의 제로점{홈 위치(P1)}이 항상 보정되어, 상기 제로점에서 소정의 스텝수(P2 내지 P7)로 캐리지 모터(61)가 회전하여, 인쇄 헤드(16)를 위치(P2)로부터 위치(P7)의 각각의 위치에 정밀도 있게 이동시킨다.
인쇄 헤드(16)은 청녹색, 진홍색, 황색의 3색의 잉크에 대응하여, 가로방향으로 3열의 잉크 노즐군을 가지며, 각각의 잉크 노즐군에는, 세로방향으로 복수개의 잉크 노즐(22)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제 2 도 참조). 상기의 경우, 테이프(T)의 동일 지점에, 청녹색, 진홍색, 황색의 3색의 잉크를 적당히 토출하여, 원하는 색채의 도트를 얻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인쇄 헤드(16)는,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1)가 전원 "오프" 상태일 때에는, 홈 위치(Pl)로 이동하여 폐기 잉크 처리부(20)에 도달한다. 또한, 잉크제트 프린터(1)가 전원 "온" 상태라도, 그 인쇄 작동을 일정 시간 중지한 경우에는, 인쇄 헤드(16)를 홈 위치(P1)로 이동시켜 폐기 잉크 처리부(20)에 도달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원 "오프" 상태에서는, 폐기 잉크 처리부(20)에서, 인쇄 헤드(16)의 잉크 노즐(22)로부터 잉크를 흡인하는 클리닝이 행하여지고, 전원 "온" 상태에서는, 폐기 잉크 처리부(20)에서, 인쇄 헤드(16)의 모든 잉크 노즐(22)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플러싱이 행하여진다.
제 5 도 및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기 잉크 처리부(20)는 인쇄 헤드(16)에 대치하는 헤드캡(81)과, 헤드캡(81)을 전진 및 후퇴시키는 캡 이동 기구(82)와, 헤드캡(81) 내의 폐기 잉크를 후술하는 폐기 잉크 회수부(113)에 송출하는 폐기 잉크 펌프(83)를 구비하고 있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폐기 잉크 회수부(113)는 테이프 카트리지(2)에 내장되어 있고, 헤드캡(81)과 폐기 잉크 회수부(113)는 이송 잉크 튜브(84)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헤드캡(81)에는 선단을 대기에 개방한 통풍 튜브(85)가 접속되며, 통풍 튜브(85)의 도중에는 밸브 유닛(86)이 개재되어 있다.
상술한 클리닝에 있어서는, 캡 이동 기구(82)에 의해 헤드캡(81)을 인쇄 헤드(16)에 밀착시켜, 폐기 잉크 펌프(83)를 구동하여 잉크의 흡인이 행하여진다. 흡인이 행하여진 후에는, 헤드캡(81)과 인쇄 헤드(16)의 밀착 상태가 유지되고, 인쇄 헤드(16)의 잉크 노즐(22)이 잉크의 응고(건조)나 먼지의 부착으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플러싱에 있어서는, 인쇄 헤드(16)에 대해 헤드캡(81)을 이격시킨 상태로 하고, 인쇄 헤드(16)로부터 헤드캡(81)을 향하여 잉크의 토출이 행하여진다.
헤드캡(81)은 인쇄 헤드(16)에 대치하는 개구부(87)를 형성한 캡 케이스(88)내에 잉크 흡수체(89)를 충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개구부(87)는 캡 케이스(88)로 부터 돌출되는 동시에, 모든 잉크 노즐(22)을 포함하는 넓이를 가지고 있고, 그 가장자리부를 인쇄 헤드(16)에 압박 접촉함으로써, 인쇄 헤드(16)와 캡 케이스(88)의 간극을 밀봉한다. 캡 이동 기구(82)는, 베이스 프레임(21)에서 수직으로 직립된 지지판(90)에 설치되어 있고, 클리닝 시에, 선단에 부착된 헤드캡(81)을 전진시켜 인쇄 헤드(16)에 압박 접촉시킨다.
폐기 잉크 펌프(83)는 테이프 카트리지 장착부(8)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고,튜브 펌프(91)와, 튜브 펌프(91)를 회전시키는 펌프 모터(92)와, 펌프 모터(92)의 동력을 튜브 펌프(91)에 전달하는 펌프 기어열(93)로 구성되어 있다(제 4 도 참조). 펌프 모터(92)는, 이에 권취된 이송 잉크 튜브(84)를 당기도록 회전하여, 헤드캡(81) 내의 폐기 잉크를 흡인한다. 상기 흡인의 형식에는, 클리닝시의 본 흡인(main suctiong)과, 단순히 헤드캡(81) 내에 고인 폐기 잉크를 흡인하는 공흡인(idle suction)이 있다. 본 흡인에서는 인쇄 헤드(16)로부터 잉크의 흡인을 행하기 위해, 밸브 유닛(86)을 작동시켜 통풍 튜브(85)를 폐쇄 상태로 한다. 한편, 공흡인에서는, 밸브 유닛(86)을 작동시켜 통풍 튜브(85)를 개방 상태로 한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 장착부(8)에는, 이송 잉크 튜브(84)의 하류단을 테이프 카트리지(2)의 폐기 잉크 회수부(113)에 접속 및 이탈시키는 튜브 접속 기구(94)가 설치되어 있다. 튜브 접속 기구(94)는,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위치에서 수평축(95)을 통해 베이스 프레임(96)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L」자 형상의 회전 아암(97)을 구비하고 있다. 이송 잉크 튜브(84)의 하류단은 회전 아암(97)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 홀더부(98)에 부착되어 있고, 수평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아암(97)의 회전에 의해, 폐기 잉크 회수부(113)에 대해 접속 및 이탈된다. 회전 아암(97)의 다른쪽 단부에는, 테이프 카트리지(2)의 착탈 방향에 따른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도시생략),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회전 아암(97)은 스프링 등에 의해, 이송 잉크 튜브(84)의 접속 방향으로 회전 가압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2)를 장착하면, 회전 아암(97)의 경사면이 테이프 카트리지(2)와 결합하여, 회전 아암(97)이 이송 잉크 튜브(84)를 접속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반대로, 테이프 카트리지(2)를 이탈시키면, 테이프 카트리지(2)와 경사면의 결합이 해제되고, 회전 아암(97)은 이송 잉크 튜브(84)를 비접속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테이프 카트리지(2)의 장착에 연동하여, 이송 잉크 튜브(84)와 폐기 잉크 회수부(113)가 접속되고, 폐기 잉크의 폐기 잉크 회수부(113)의 송출이 가능해 진다.
다음에, 제 2 도 및 제 8 도를 참조하여 테이프 공급부(18)에 대하여 설명한다. 테이프 공급부(18)는, 테이프(T)를 수용한 일회용 형식의 테이프 카트리지(2)와, 테이프 카트리지(2)가 장착되는 테이프 카트리지 장착부(8)와, 테이프(T)를 주행시키는 구동 롤러(고정 롤러)(101)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 장착부(8)는 프린터 본체(3)에 형성된 포켓 형식의 수용부이고, 후방으로부터 테이프 카트리지(2)를 장착하여 제 1 개폐 덮개(9)를 폐쇄하면, 테이프 카트리지(2)는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위치결정된 상태로 수용된다. 그리고, 위치결정된 테이프 카트리지(2)의 정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인쇄 헤드(16)가 근접하여 대치하도록 되어 있다.
구동 롤러(101)는 인쇄 헤드(16)의 하방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테이프 배출부(19)의 테이프 이송 모터(144)를 동력원으로서 회전한다(제 3 도 참조). 구동 롤러(101)는 테이프 카트리지 장착부(8)에 장착된 테이프 카트리지(2)의 종동 롤러(후술한다)(115)에 접촉하여, 이것과 협동하여 테이프(T)를 테이프 카트리지(2)로부터 풀어내어 인쇄 헤드(16)에 도달하도록 하는 동시에, 또한 전방으로 송출한다. 즉, 구동 롤러(101)와 종동 롤러(115)에 의해서 테이프 이송 롤러(100)가 구성되어, 테이프 이송 롤러(100)에 의해, 테이프(T)를 인쇄 헤드(16)의 이동(왕복 운동)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함으로써, 인쇄 헤드(16)의 인쇄 작동에 있어서의 부 주사방향의 주사가 행하여진다.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카트리지(2)는 직육면체형상의 카트리지 케이스(111)를 가지며, 그 내부에 테이프(T)가 테이프 릴(112)에 권취된 상태로 또한 직립되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케이스(111) 내에서, 권취된 테이프(T)의 전방측에는 잉크 흡수재(114)를 충전한 폐기 잉크 회수부(113)가 형성되고, 또한 폐기 잉크 회수부(113)의 하측에는 종동 롤러(가동 롤러)(115)가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 릴(112)은 카트리지 케이스(111)의 양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에 권취된 테이프(T)는, 종동 롤러{및 구동롤러(101)}(115)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전방으로 풀어낸 후, 카트리지 케이스(111)의 전방벽 부분을 따라서 상방으로 인도되고 또한 경사진 후방에 위치하는 테이프 배출부(19)에 인도된다.
종동 롤러(115)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방향에 있어서 가장 큰 직경이 되는 한쌍의 롤러 본체(116)와, 양 롤러 본체(116)의 사이에 위치하는 작은 직경의 중간 소경부(117)와, 각각의 롤러 본체(116)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외측 소경부(118)와, 각각의 외측 소경부(118)의 또한 외측에 위치하는 가장 작은 직경이 되는 한 쌍의 축부(119)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종동 롤러(115)는, 상기 한쌍의 축부(119)가 카트리지 케이스(111)의 양측벽으로 형성된 축 구멍(120)에 각각 지지되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다. 축 구멍(12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이고, 종동 롤러(115)는 축 구멍(1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종동 롤러(115)의 중간 소경부(117)에는, 기부 단부를 상기의 폐기 잉크 회수부(118)를 구성하는 케이스내벽(121)에 고정한 판스프링(압박 부재)(122)이 접촉하고 있고, 종동 롤러(115)는 전방측, 즉 구동 롤러(101)측에 압박되어 있다.
한편, 카트리지 케이스(111)에는, 종동 롤러(115)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수평으로, 또한 카트리지 케이스(111)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투입창(123)이 형성되어 있고, 종동 롤러(115)는 상기 투입창(123)으로부터 돌출되어 테이프(T)를 끼운 상태로 구동 롤러(101)에 접촉한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프 카트리지(2)를 테이프 카트리지 장착부(8)에 적절히 장착하면, 종동 롤러(115)가 테이프(T)를 끼운 상태로 구동 롤러(101)에 접촉하여, 판스프링(122)에 저항하여 종동 롤러(115)가 카트리지 케이스(111)측에 약간 압박 후퇴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상태에서 테이프 카트리지(2)를 테이프 카트리지 장착부(8)로부터 뽑아내면, 종동 롤러(115)는 구동 롤러(101)로부터 분리되는 동시에, 판스프링(122)에 의해, 테이프(T)를 끼운 상태로 투입창(123)을 구성하는 하측의 창 가장자리부(규제부)(124)에 압박 접촉된다.
상기의 경우, 인쇄 대기 상태에 있어서의 테이프(T)의 선단은, 절단된 후 복귀되어 종동 롤러{테이프 이송 롤러(100)}(115)와 인쇄 헤드(16)의 중간위치에 있다. 따라서, 테이프(T)를 종동 롤러(115)와 하측의 창 가장자리부(124)에 끼워 유지함에 따라, 테이프(T)가 카트리지 케이스(111) 내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2)를 장착함으로써, 테이프(T)를 자동적으로 인쇄 대기 상태로 할 수 있다.
카트리지 케이스(111)의 전방벽(125)은 투입창(123)으로부터 상측 부분이 이중벽 구조로 되어 있고, 그 전방측 외벽(125a)과 전방측 내벽(125b)에 의해서, 테이프 주행을 안내하는 가이드 통로(안내부)(126)가 구성되어 있다. 전방측 외벽(125a)은 인쇄 헤드(16)에 대치하는 부분이 절제되어, 투입창(123)과 같이 카트리지 케이스(111)의 전체 폭에 걸쳐 인쇄창(127)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인쇄창(127)을 사이에 두고, 상측의 전방측 외벽(125a)과 전방측 내벽(125b)의 사이에 상측 가이드 통로(126a)가 구성되고, 하측의 전방측 외벽(125a)과 전방측 내벽(125b)의 사이에 하측 가이드통로(126b)가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T)는, 상측 가이드 통로(126a) 및 하측 가이드 통로(126b)에 의해, 인쇄 헤드(16)와의 이격 치수(전후 방향) 및 폭방향(좌우 방향)의 위치가 규제된 상태에서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측 가이드 통로(126b)를 구성하는 전방측 내벽(125b)에는, 하측 가이드 통로(126b)를 종동 롤러(115)측으로 연장하여 설치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판(이송방향 안내 부재)(128)이 부착되어 있고, 각각의 가이드판(128)의 선단은 종동 롤러(115)의 각각의 외측 소경부(118)에 각각 도달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인쇄 대기 상태에 있는 테이프(T)의 선단이 종동 롤러(115)의 부근에 있어도, 테이프(T)는 가이드판(118)을 통해 하측 가이드 통로(126b)에 적절히 인도된다. 따라서, 권취되는 경향이 있으며 테이프 릴(112)로부터 풀리는 테이프(T)의 선단이 종동롤러(115)를 따라 카트리지 케이스(111)내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측 가이드 통로(126b)를 구성하는 전방측 외벽(125a)의 전방면에는, 하측 가이드 통로(126b)를 인쇄 헤드(16)측에 연장하여 설치하도록 누름 가이드판(129)이 부착되어 있고, 누름 가이드판(129)의 선단은 인쇄 헤드(16)의 잉크 노즐(22)의 위치의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누름 가이드판(129)은 탄력성을 가지며, 인쇄창(124)에서, 주행하는 테이프(T)를 그 탄력성에 의해 전방측 내벽(125b)을 향하여 가볍게 누르고 있다. 이로 인해, 인쇄 헤드(16)의 잉크 노즐(22)과, 이에 도달하는 테이프(T)와의 이격 치수가 정밀도 있게 유지된다.
한편, 카트리지 케이스(111)의 전방벽(125)의 내측에는, 폐기 잉크 회수부(113)가 설치되어 있으며, 폐기 잉크 회수부(113)는 전방측 내벽(125b)과 상기 케이스 내벽(121)으로 구획된 부분에 카트리지 케이스(111)의 양측벽 사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에는 상기 이송 잉크 튜브(84)의 선단이 도달하는 접속 구멍(130)이 형성되어(제 7 도 참조), 이송 잉크 튜브(84)가 접속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그 선단이 접속 구멍(130)을 통해 폐기 잉크 회수부(113)에 충전된 잉크 흡수재(114)의 상부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방측 내벽(125b)에 있어서의 인쇄 헤드(16)의 잉크 노즐(22)에 대치하는 부분에는, 좌우 한 쌍의 폐기 잉크 회수창(13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좌우 한 쌍의 폐기 잉크 회수창(131)의 의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잉크제트 프린터(1)에서는, 컬러 프린터인 것을 이용하여, 테이프(T)에 배경색을 인쇄{전면칠(solid print)}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테이프(T)의 폭방향의 양 외측단에서도, 빠짐없이 칠하여 확실하게 배경색을 인쇄할 수 있도록,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1)에서는 상기 인쇄 가능 범위(P6 내지 P7)를 테이프폭 보다 크게 설정하고 있다. 즉, 테이프(T)의 폭방향의 외측단으로부터 수 도트 만큼의 초과 위치에서, 인쇄(초과 인쇄)가 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폐기 잉크 회수창(131)은 상기 초과 인쇄에 의해 테이프(T)의 외측단으로부터 밀려나온 잉크 방울을 폐기 잉크 회수부(113)로 직접 인도하기 위한 개구이고, 각각의 폐기 잉크 회수창(131)은 잉크 방울을 확실하게 수납하도록, 그 외측의 단부가 카트리지 케이스(111)의 측벽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폐기 잉크 회수창(131)은 사람의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는 크기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테이프 카트리지(2)에서는, 인쇄 헤드(16)의 잉크 노즐(22)로부터 토출된 잉크 방울은 인쇄창(127)을 통해 테이프(T)에 도달하는 동시에, 테이프(T)에서 밀려나온 잉크 방울은 인쇄 창구(127) 및 폐기 잉크 회수 창(131)을 통해 잉크 흡수재(114)의 표면에 도달한다. 따라서, 밀려나온 폐기 잉크를 회수하는 폐기 잉크 회수부(113)를 프린터 본체(3)측에 형성할 필요가 없고, 인쇄창(127)의 관련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한편, 테이프 카트리지 장착부(8)에 장착된 테이프 카트리지(2)에는, 테이프 카트리지 장착부(8)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결정하는 적어도 2개의 위치결정핀(132)이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위치결정핀(132)에 대응하여 테이프 카트리지(2)의하단부에 위치하는 전방측 벽부분에는, 적어도 2개의 결합 구멍(133)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위치결정핀(132)은 프린터 본체(3)측에 설치된 플랜지부(132a)와, 테이프 카트리지 장착부(8)측으로 돌출되는 핀본체(132b)로써 구성되어, 핀 본체(132b)가 결합 구멍(138)에 결합함으로써, 테이프 카트리지(2)의 좌우 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고, 플랜지부(132a)에 결합 구멍(133)을 구성하는 결합 구멍 가장자리부가 접촉함으로써, 테이프 카트리지(2)의 전후 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제 2 도 및 제 3 도를 참조하여, 테이프 배출부(19)에 대하여 설명한다. 테이프 배출부(19)는 테이프(T)를 테이프 카트리지(2)의 상측으로부터 경사진 후방에 테이프 배출구(10)까지 인도되며, 테이프 배출 통로(140)를 구성하는 상하의 안내판(141a, 141b)과, 하측의 안내판(141b)으로 형성된 개구로부터 테이프 배출 통로(140)에 도달하는 배출 롤러(142)와, 배출 롤러(142)를 회전시키는 구동 기구(14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테이프 카트리지(2)와 안내판(141a, 141b)의 사이에 위치시켜, 테이프(T)를 절단하는 커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커터는 테이프 카트리지(2)의 상측 가이드 통로(126a) 상하의 중간 부분에 설치해도 된다.
구동 기구(143)는,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1)의 측판(21a) 내측에 설치된 테이프 이송 모터(144)와, 테이프 이송 모터(144)의 동력을 배출 롤러(142)에 전달하는 감속 기어열(145)을 가지며, 감속 기어열(145)은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측판(21a)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속 기어 열(145)에서는, 구동 롤러(101)에도 동력이 분기하여 전달되도록 되어 있고, 테이프 이송 모터(144)의 회전에 의해, 배출 롤러(142) 및 구동 롤러{테이프 이송 롤러(100)}(101)가 동시에 회전하여, 테이프(T)를 주행시킨다.
그리고, 1회의 인쇄 작동이 종료하면, 테이프(T)는 그 주행을 정지하여, 커터에 의해 절단된다. 다음에, 절단 위치로부터 하류측에 위치하는 테이프(T)는, 배출 롤러(142)에 의해 테이프 배출구(10)로부터 외부로 송출된다. 또한, 절단 위치로부터 상류측에 위치하는 테이프(T)는 테이프 이송롤러(100)에 의해 선단이 그 부근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복귀되어 인쇄 대기 상태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잉크제트 프린터(1)에 있어서는, 테이프 카트리지(2)에 폐기 잉크 회수부(113)를 내장하여, 헤드캡(81)을 통해 폐기 잉크를 회수하는 동시에, 초과 인쇄시의 폐기 잉크 방울도 회수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회수한 폐기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부분을 프린터 본체(3)내에 미리 설치하여 놓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잉크제트 프린터(1)의 소형화, 컴팩트화에 있어서 유리해 진다. 한편, 테이프 카트리지(2)로 형성한 폐기 잉크 회수부(113)는, 테이프 카트리지(2)의 교환(테이프를 다 써버린다) 빈도를 고려한 용량으로 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6cc 정도의 폐기 잉크량을 유지할 수 있으면 된다.
다음에, 제 9 도 및 제 10 도를 참조하여, 테이프 카트리지(2)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1)에서는, 테이프 카트리지(2)의 폐기 잉크 회수부(113)에 회수되는 폐기 잉크로서, 헤드캡(81)에 발생하는 클리닝 및 플러싱에 따르는 폐기 잉크와, 초과 인쇄에 따르는 폐기 잉크가있다. 헤드캡(81)의 폐기 잉크는 폐기 잉크 펌프(83)에 의해 폐기 잉크 회수부(113)에 인도되고, 초과 인쇄에 따르는 폐기 잉크는 인쇄 헤드(16)로부터 직접 폐기 잉크 회수부(118)에 인도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 카트리지(2)에 제 1 폐기잉크 회수부(제 1 분할 회수부)(113a)와 제 2 폐기 잉크 회수부(제 2 분할 회수부)(113b)의 2개의 폐기 잉크 회수부(113)를 설치하여, 제 1 폐기 잉크 회수부(113a)에서 헤드캡(81)의 폐기 잉크를 회수하며, 제 2 폐기 잉크 회수부(113b)에서는 초과 인쇄의 폐기 잉크를 회수하도록 하고 있다. 제 2 폐기 잉크 회수부(113b)는 상기 실시예의 폐기잉크 회수부(113)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의 실시예에 비하여 잉크 흡수재(114b)가 적게 충전되어 있다. 또한, 제 1 잉크 회수부(113a)는 카트리지 케이스(111)의 후부 하측의 코너부의 부분을 칸막이 벽(151)으로 구획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잉크 회수부(113a)의 내부에도, 잉크 흡수재(114a)가 충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제 10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 케이스(111)의 제 1 폐기 잉크 회수부(113a)에 면하는 부분에는 이송 잉크 튜브(84)의 선단이 도달하는 접속구(1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같이, 이송 잉크 튜브(84)의 하류단을 테이프 카트리지(2)의 제 1 폐기 잉크 회수부(113a)에 접속 및 이탈시키는 튜브 접속 기구(9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튜브 접속 기구(94)는 중간 위치에서 수직축(161)을 통해, 베이스 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L」자 형상의 회전 아암(162)을 구비하고 있다. 이송 잉크 튜브(84)의 하류단은회전 아암(162)의 한쪽 단부에 설치된 홀더부(163)에 부착되어 있고, 수직축(16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아암(162)의 회전에 의해, 제 1 폐기 잉크 회수부(118a)에 대해 접속 및 이탈된다. 상기의 경우에도, 회전 아암(162)의 다른쪽 단부에는, 테이프 카트리지(2)의 착탈 방향에 따른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도시생략),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회전 아암(162)은 스프링 등에 의해, 이송 잉크 튜브(84)의 접속 방향으로 회전 압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폐기 잉크 회수부(113)를 제 1 폐기 잉크 회수부(113a)와 제 2 폐기 잉크 회수부(113b)로 분리함으로써, 각 부분의 레이아웃상, 잉크 흡인 튜브(84)와의 접속위치를 테이프 카트리지(2)의 전방측 벽측으로 형성할 수 없는 등의 제약이 있는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카트리지 케이스(111)내의 빈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 제 1 폐기 잉크 회수부(113a)는 클리닝에 따른 폐기 잉크를 회수하기 때문에, 제 2 폐기 잉크 회수부(113b)에 비하여 폐기 잉크의 회수량이 많아진다. 특히, 수동 조작에 의해 클리닝 기능을 다수 사용하면, 제 1 폐기 잉크 회수부(113a)로부터 폐기 잉크가 넘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폐기 잉크 회수부(113a)의 가득찬 상태를 검출하는 가득찬 상태 검출 수단(171)이 설치되어 있다.
제 11 도 및 제 1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 케이스(111)의 후측벽에는, 제 1 폐기 잉크 회수부(113a)에 면하여 2개의 검출 구멍(17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검출 구멍(172)에는, 가득찬 상태 검출 수단(171)의 센서인 한 쌍의 접촉자(173)가 착탈 가능하게 도달하도록 되어 있다. 가득찬 상태 검출 수단(171)은 상기 한 쌍의 접촉자(173)와, 한 쌍의 접촉자(173)가 접속된 잉크 검출 회로(174)와, 한 쌍의 접촉자(173)를 2개의 검출 구멍(172)에 대하여 착탈시키는 접촉자 착탈 기구(175)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자 착탈 기구(175)는 테이프 카트리지 장착부(8)를 개폐하는 제 1 개폐 덮개(9)와, 제 1 개폐 덮개(9)의 내측에 설치된 접촉자 홀더(176)로 구성되어 있고, 한 쌍의 접촉자(173)는 상기 접촉자 홀더(176)에 유지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 장착부(8)에 테이프 카트리지(2)를 장착한 후, 제 1 개폐 덮개(9)를 폐쇄하면, 한 쌍의 접촉자(173)가 각각 검출 구멍(172)에 삽입되어, 제 1 폐기 잉크 회수부(113a)의 잉크 흡수재(114a)에 접촉한다. 또한, 제 1 개폐 덮개(9)를 개방하면, 한 쌍의 접촉자(173)가 각각 검출 구멍(172)으로부터 방출된다.
한편, 잉크 검출 회로(174)는 한 쌍의 접촉자(178) 사이의 잉크 흡수재(114a)의 저항값을 검출하고 있고, 잉크 흡수재(114a)에 폐기 잉크가 가득찬 상태까지 흡수되어 잉크 흡수재(114a)의 저항값이 소정의 값에 도달하면, 가득찬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 회로(191)에 출력한다. 이로 인해, 제어 회로(191)를 통해,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7)에 제 1 폐기 잉크 회수부(113a)가 가득찬 것이 표시되거나 인쇄 작동이 정지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카트리지(2)에는, 접속구(130) 또는 검출구(172) 등이 형성되어 있지만, 잉크 흡수재(114)가 폐기 잉크를 흡수할 수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개구로부터 잉크가 누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 1 폐기 잉크 회수부(113a)의 가득찬 상태를 검출하도록 하고있기 때문에, 폐기 잉크가 제 1 폐기 잉크 회수부(113a)로부터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테이프 카트리지(2) 또는 테이프 카트리지 장착부(8)가 폐기 잉크로 더러워지는 등의 지장을 일으키지 않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1)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1)는 제 1 실시예의 잉크제트 프린터(1)가 헤드캡(81)에 대해 플러싱을 행하는데 대하여, 초과 인쇄와 마찬가지로, 테이프 카트리지(2)의 폐기 잉크 회수부(113)에 직접 플러싱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하의 제 2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3 도는 제 1 실시예의 제 8 도에 대응하는 것이며, 상기 잉크 카트리지(2)의 폐기 잉크 회수부(113)에는 폐기 잉크 회수창(131)을 통해, 인쇄 헤드(16)에서 초과 인쇄에 따르는 폐기 잉크와, 플러싱에 따른 폐기 잉크가 직접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폭(테이프폭의 공차를 포함한다)(Tw)의 외측에, 좌우의 초과 영역(Ta, Ta)이 있으며, 또한 각각의 초과 영역(Ta)의 외측에 좌우의 플러싱 영역(Tb, Tb)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의 경우, 양 초과 영역(Ta, Ta)의 사이가 상술한 인쇄 가능 범위(P6 내지 P7)로 되어 있고, 플러싱 영역(Tb)은 그 외측에 설정되어 있다. 각각의 초과 영역(Ta)은 예를 들면 0.5mm(수 도트 만큼) 정도이고, 각각의 플러싱 영역(Tb)은 예를 들면 1.0m(수십 도트 만큼) 정도이다.
또, 초과 인쇄는 테이프(T)의 폭방향 뿐만 아니라 테이프(T)의 길이방향에 있어서도 가능하다. 즉, 테이프(T)의 선단에 대하여, 그 벗어난 위치에서 인쇄를개시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좌우 한 쌍의 폐기 잉크 회수창(118)을 연결하여 띠형상의 회수창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띠형상의 회수창에는, 테이프(T)의 선단을 안내할 수 있도록 브리지 부재 등을 설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폐기 잉크 회수창(181)을 제 1 실시예(테이프 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제 1 잉크 회수창(181a)과 제 2 잉크 회수창(131b)으로 분할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런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테이프 카트리지(2)에도 완전히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는, 테이프 카트리지(2)에는 수용되어 있는 테이프(T)의 폭이 다른 수 종류의 것이 준비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테이프(T)의 폭에 따라서 인쇄 가능 범위 등을 자동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테이프 카트리지(2)의 종별을 판별하는 카트리지 판별 수단(181)이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판별 수단(181)은 카트리지 케이스(111)의 하단부의 전방 벽부분에 형성된 복수개의 작은 구멍(182)과, 상기 작은 구멍(182)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프린터 본체(3)측에 설치한 복수개의 검출 돌기(183)를 가지고 있다. 복수개의 검출 돌기(183)는 테이프 카트리지(테이프 폭)의 종류수에도 의존하지만, 예를 들면 6개의 돌기가 횡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검출 돌기(183)는 도시하지 않지만 각각 푸시 스위치의 스위치단에 부착되어 있고, 대응하는 작은 구멍(182)에 삽입되면 푸시 스위치가 "오프" 되며, 대응하는 작은 구멍(182)이 없으면 푸시 스위치가 눌러지어 "온" 된다.
한편, 카트리지 케이스(111)의 복수개의 작은 구멍(182)은, 6개의 검출돌기(183)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당한 6개 이하의 수로 형성되어 있다. 즉, 작은 구멍(182)의 수 및 작은 구멍(182)의 형성 위치에 의해, 카트리지 케이스(111)의 종별을 6비트의 비트 패턴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테이프 카트리지(2)를 테이프 카트리지 장착부(8)에 장착하면, 6개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2)의 종별이 검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판별 수단(181)을 사용하면, 테이프(T)의 폭 이외에도, 테이프(T)의 재질의 판별 등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잉크제트 프린터(1)의 주제어계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제 1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 부호 191은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는 제어 회로이고, 입력측에는 잉크 제트 프린터(1)의 키보드(5) 또는 버튼군(6)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부(19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폭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193)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 회로(191)의 출력측에는, 각종의 표시를 행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7) 등의 표시부(194), 인쇄 헤드(16)에 의한 인쇄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린터 컨트롤러(195), 각각의 모터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모터 드라이버(196, 197)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 회로(191)의 ROM 내에 미리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회로(191)의 제어 하에, 장착된 테이프 카트리지(2)에 수납되어 있는 테이프 폭에 대응한 인쇄 범위가 설정된다. 또한, 테이프 폭보다도 넓은 범위의 인쇄 범위가 설정되어, 상기의 초과 인쇄 작동 및 플러싱 작동이 행하여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잉크제트 프린터(1)에 있어서는, 장착된 테이프 폭보다도 좌우로 넓은 인쇄 가능 범위를 설정하여, 테이프의 전체폭의 전면칠인쇄를 행하도록 하는 동시에, 전면칠 인쇄에 있어서 테이프(T)의 외측단으로부터 밀려나온 잉크 방울을 폐기 잉크 회수부(113)에 의해서 회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플러싱에 있어서도, 잉크 방울을 폐기 잉크 회수부(113)에 의해서 회수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의 잉크제트 프린터(1)에 의하면, 플러싱 구동을 위해, 인쇄 헤드(16)를 헤드캡(81)의 위치(제 4 도의 P1)까지 이동시킬 필요가 없고, 플러싱을 위한 인쇄 헤드(16)의 이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로서 인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같이, 폐기 잉크 회수부(113)를 테이프 카트리지(2)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회수한 폐기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부분을 프린터 본체(3) 내에 미리 설치하여 놓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잉크제트 프린터(1)의 소형화, 컴팩트화에 있어서 유리해 진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폐기 잉크 회수부(113)를 프린터 본체(3)측에 설치한 테이프(T)의 인쇄 위치를 규정하는 안내 부재 등에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의 경우에는, 안내 부재로서, 표면에는 잉크를 흡수 통과 가능한 잉크 필터를 배치하고, 그 이면에는 잉크 흡수체를 배치해 놓고, 잉크 필터를 통해 잉크를 흡수 유지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한, 폐기 잉크 회수부(113)로서는, 인쇄 헤드(16)와 함께 일체로 되어 이동하는 형식의 것을 채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포스터 등의 폭이 넓은 인쇄 대상물에 인쇄를 하는 형식의 프린터에 있어서는, 그 인쇄 범위는 넓기 때문에, 그좌우 또는 전후의 단부를 초과하는 위치에서의 초과 인쇄를 하기 위해서는, 인쇄 범위에 걸쳐서 폐기 잉크 회수부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폐기 잉크 회수부의 설치 장소가 커져버려 비경제적이다. 그 때문에, 인쇄 헤드와 일체가 되어 이동하는 폐기 잉크 회수부를 채용하여도 되고, 이러한 경우에는 폐기 잉크 회수부를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5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잉크제트 프린터(1)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1)는, 엽서 등의 단표지(Tb)에 인쇄를 행하는 것이며, 상세한 구성은 생략하지만, 단표지(Tb)는 단표지 카트리지(201)에 다수매 겹치도록 하여 수용되어 있다.
상기의 경우에는, 단표지 카트리지(201)의 후단에 폐기 잉크 흡수부(202)를 부설하고, 잉크흡수재(203)를 내장하면 된다. 또한, 폐기 잉크 회수부(202)의 한쪽 단부를 가로방향으로 돌출하여, 그 부분에 이송 잉크 튜브(204)의 선단을 삽입하기 위한 접속구(205)를 형성해 두면 좋다. 또한, 상기의 경우에는, 단표지 카트리지(201)의 단표지(Tb)의 인출구(206) 측에 용지 분리 롤러(207)를 배치해 두고, 수용되어 있는 단표지(Tb)를 상측에서 1매씩 투입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단표지 카트리지(201)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도, 상기의 테이프 카트리지(2)인 경우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이러한 단표지(Tb)인 경우에는, 잉크제트 프린터(1)의 내구 수명의 중에 소비되는 잉크량은 매우 많다. 따라서, 상기의 경우에, 프린터 본체내에 폐기 잉크 회수부를 설치하면, 매우 다량의 폐기 잉크를 회수 가능한 것으로 할 필요가 있고, 큰 공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발명과 같이, 단표지 카트리지(201) 내에 폐기 잉크 회수부(202)를 설치해 두면, 단표지 카트리지(201)를 다 쓸때 까지 발생하는 폐기 잉크량은 적기 때문에, 프린터 본체측의 공간 축소화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잉크제트 프린터로서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청녹색, 진홍색, 황색의 3색 컬러인쇄를 행하는 형식이 아니더라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흑색 잉크만을 사용하는 잉크제트 프린터에도 적용할 수 있고, 4색 이상의 잉크제트 프린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잉크제트 프린터의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잉크제트 프린터는, 카트리지에 폐기 잉크 회수부를 설치함으로써, 프린터의 소형화에 적합하다. 또한, 인쇄 시간을 단축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40)

  1.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로서, 잉크 제트 프린터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잉크제트 프린터에 의해 그 위에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인쇄 대상물을 수납하는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내에서 발생된 폐기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폐기 잉크 회수부를 카트리지 케이스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는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 내에 분할하여 설치된 복수의 분할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는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 가능 영역을 인쇄 대상물 보다 넓은 영역까지 설정 가능한 초과 인쇄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에 발생되는 폐기 잉크는 상기 초과 인쇄에 의해 상기 인쇄 대상물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토출된 폐기 잉크와, 상기 인쇄 헤드의 클리닝에 의해 발생된 폐기 잉크 및, 상기 인쇄 헤드의 플러싱에 의해 발생되는 폐기 잉크를 포함하며,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는 클리닝에 의한 폐기 잉크 및, 플러싱에 의한 폐기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분할 회수부 및, 초과 인쇄에 의한 폐기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분할 회수부의 2개의 분할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인쇄 헤드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에 폐기 잉크 회수창을 갖고 형성되며,
    상기 제 2 분할 회수부는 상기 폐기 잉크 회수창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물은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로부터 계속 투입된 후 상기 인쇄 헤드의 이동 경로를 횡단하여 전방으로 송출되며,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투입에서 상기 송출에 이르는 상기 인쇄 대상물의 주행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케이스 외벽을 구성하며, 그 사이에 형성된 갭 사이로 상기 인쇄 대상물을 안내하는 이중 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의 고정 롤러의 사이에 상기 인쇄 대상물을 끼워 상기 고정 롤러와 협동하여 상기 인쇄 대상물을 투입하는 동시에 전방으로 송출하는 가동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롤러는, 상기 고정 롤러에 대해 접속 및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설치된 압박 부재에 의해 접촉 방향으로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가동 롤러의 주변 표면에 인쇄 대상물을 끼운 상태로 접촉하여,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가동 롤러의 이동 단부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롤러는 축방향에서 하나 이상의 소경부를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인쇄 대상물의 만곡 표면을 안내하기 위해 이송 방향에서 상기 가동 롤러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에 배치된 이송 방향 안내 부재를 가지며,
    상기 가동 롤러에 근접한 상기 이송 방향 안내 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소경부에 도달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물은 롤형상으로 권취된 테이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롤러는 축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소경부를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인쇄 대상물의 만곡된 표면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가동 롤러로부터 이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에 배치된 이송 방향 안내 부재를 가지며,
    상기 가동 롤러에 근접한 상기 이송 방향 안내 부재의 선단은 상기 소경부에 도달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물은 롤형상으로 권취된 테이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물은 롤형상으로 권취된 테이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는 상기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가능 영역을 인쇄 대상물 보다 넓은 영역까지 설정 가능한 초과 인쇄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에 발생되는 폐기 잉크는 상기 초과 인쇄에 의해상기 인쇄 대상물에서 벗어난 위치에 토출된 폐기 잉크와, 상기 인쇄 헤드의 클리닝에 의해 발생된 폐기 잉크 및, 상기 인쇄 헤드의 플러싱에 의해 발생되는 폐기 잉크를 포함하며,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는 클리닝에 의한 폐기 잉크 및, 플러싱에 의한 폐기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분할 회수부 및, 초과 인쇄에 의한 폐기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분할 회수부의 2개의 분할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는 플러싱에 의한 폐기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분할 회수부 및, 클리닝에 의한 폐기 잉크와 초과 인쇄에 의한 폐기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분할 회수부를 포함하는 분할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초과 인쇄에 의한 폐기 잉크와, 상기 클리닝에 의한 폐기 잉크 및, 상기 플러싱에 의한 폐기 잉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에 의해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물은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로부터 계속 투입된 후 상기 인쇄 헤드의 이동 경로를 횡단하여 전방으로 송출되며,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투입에서 상기 송출에 이르는 상기 인쇄 대상물의 주행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케이스 외벽을 구성하며, 그 사이에 형성된 갭 사이로 상기 인쇄 대상물을 안내하는 이중 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의 고정 롤러의 사이에 상기 인쇄 대상물을 끼워 상기 고정 롤러와 협동하여 상기 인쇄 대상물을 투입하는 동시에 전방으로 송출하는 가동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롤러는, 상기 고정 롤러에 대해 접속 및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설치된 압박 부재에 의해 접촉 방향으로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물은 롤형상으로 권취된 테이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에 장착된상태에서,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의 고정 롤러의 사이에 상기 인쇄 대상물을 끼워 상기 고정 롤러와 협동하여 상기 인쇄 대상물을 투입하는 동시에 전방으로 송출하는 가동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롤러는, 상기 고정 롤러에 대해 접속 및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에 설치된 압박 부재에 의해 접촉 방향으로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가동 롤러의 주변 표면에 인쇄 대상물을 끼운 상태로 접촉하여,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한 상기 가동 롤러의 이동 단부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롤러는 축방향에서 하나 이상의 소경부를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인쇄 대상물의 만곡 표면을 안내하기 위해 이송 방향에서 상기 가동 롤러로부터 연장되는 위치에 배치된 이송 방향 안내부재를 가지며,
    상기 가동 롤러에 근접한 상기 이송 방향 안내 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소경부에 도달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물은 롤형상으로 권취된 테이프 형상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물은 롤형상으로 권취된 테이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26. 제 1 항에 따른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가 내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프린터.
  27. 제 1 항에 따른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가 내부에 장착된 잉크제트 프린터에 있어서,
    폐기 잉크를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에 송출하는 폐기 잉크 송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프린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 잉크 송출 수단은,
    상류단이 헤드캡에 접속되고, 하류단이 폐기 잉크 회수부에 접속되는 폐기 잉크 튜브와,
    상기 폐기 잉크를 통해 상기 헤드캡의 폐기 잉크를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에 송출하는 폐기 잉크 펌프 및,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 내에 장착된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에 상기 폐기 잉크 튜브의 하류단을 접속 및 이탈시키는 튜브 접속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프린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접속 기구는 상기 폐기 잉크 튜브의 하류단을 유지하며,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에 상기 하류단을 접속시키며, 상기 카트리지의 이탈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로부터 상기 하류단을 이탈시키는 연동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프린터.
  30. 제 1 항에 따른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가 내부에 장착된 잉크제트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가 폐기 잉크로 가득찬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가득찬 상태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프린터.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의 상단부와 연통하며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를 통해 형성된 관통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가득찬 상태 검출 수단은, 상기 잉크제트 프린터 내에 장착된 상기 카트리지의 관통 구멍에서 상기 폐기 잉크 회수부의 상단부에 도달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접속된 폐기 잉크 검출 회로 및, 상기 관통 구멍에 상기 센서를 착탈시키는 센서 착탈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프린터.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를 상부에 장착하기 위한 카트리지 장착부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센서 착탈 기구는 상기 센서를 유지하며, 상기 개폐 덮개의 폐쇄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관통 구멍에 상기 센서를 장착하며, 상기 개폐 덮개의 개방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상기 센서를 이탈시키는 연동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프린터.
  33. 인쇄 헤드를 플러싱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 가능 영역을 인쇄 대상물 보다 넓은 영역까지 설정 가능한 잉크제트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로부터 상기 인쇄 대상물에서 벗어난 영역으로 배출된 폐기 잉크를 수납하며, 그 사이에 간극이 없도록 상기 인쇄 대상물에 대해 배치된 초과 잉크 회수부와,
    플러싱에 따른 폐기 잉크를 수납하기 위해 상기 초과 잉크 회수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플러싱 잉크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프린터.
  34. 제 33 항에 있어서, 제 2 플러싱 잉크 회수부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제 2 플러싱 잉크 회수부와 상기 플러싱 잉크 회수부는 그 사이에 상기 인쇄 대상물을 끼워 상기 인쇄 헤드의 이동 경로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프린터.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초과 잉크 회수부와 상기 플러싱 잉크 회수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프린터.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물은 롤형상으로 권취된 테이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물은 롤형상으로 권취된 테이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38.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대상물은 롤형상으로 권취된 테이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제트 프린터용 카트리지.
  39. 인쇄 헤드를 플러싱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 가능 영역을 인쇄 대상물 보다 넓은 영역까지 설정 가능한 잉크제트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로부터 상기 인쇄 대상물에서 벗어난 영역으로 배출된 폐기 잉크를 수납하는 초과 잉크 회수부와,
    플러싱에 따른 폐기 잉크를 수납하기 위해 상기 초과 잉크 회수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플러싱 잉크 회수부 및,
    상기 인쇄 대상물을 포함하며 프린터 본체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초과 잉크 회수부 및 상기 플러싱 잉크 회수부는 상기 카트리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프린터.
  40. 인쇄 헤드를 플러싱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인쇄 헤드에 의한 인쇄 가능 영역을 인쇄 대상물 보다 넓은 영역까지 설정 가능한 잉크제트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로부터 상기 인쇄 대상물에서 벗어난 영역으로 배출된 폐기 잉크를 수납하는 초과 잉크 회수부와,
    플러싱에 따른 폐기 잉크를 수납하기 위해 상기 초과 잉크 회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초과 잉크 회수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플러싱 잉크 회수부 및,
    상기 인쇄 대상물을 포함하며 프린터 본체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초과 잉크 회수부 및 상기 플러싱 잉크 회수부는 상기 카트리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제트 프린터.
KR1019970702256A 1995-08-10 1996-07-24 잉크제트프린터의카트리지및잉크제트프린터 KR1004070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453495 1995-08-10
JP95-204534 1995-08-10
JP95-246385 1995-09-25
JP24638595 1995-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6129A KR970706129A (ko) 1997-11-03
KR100407080B1 true KR100407080B1 (ko) 2004-03-26

Family

ID=26514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2256A KR100407080B1 (ko) 1995-08-10 1996-07-24 잉크제트프린터의카트리지및잉크제트프린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50672A (ko)
EP (2) EP0786351B1 (ko)
JP (1) JP3353302B2 (ko)
KR (1) KR100407080B1 (ko)
CN (1) CN1195633C (ko)
DE (1) DE69616498T2 (ko)
TW (1) TW447398U (ko)
WO (1) WO19970060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80103C (zh) 2000-02-16 2006-10-18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喷墨打印机用连接组件及喷墨打印机
DE60114071T2 (de) * 2000-04-18 2006-07-13 Seiko Epson Corp. Tintenstrahlaufzeichnungsvorrichtung
US6585349B1 (en) * 2000-10-31 2003-07-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tomated removal of deposits on optical components in printers
JP2002234188A (ja) * 2001-02-08 2002-08-20 Brother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4154912B2 (ja) * 2002-03-29 2008-09-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866374B2 (en) 2002-06-21 2005-03-15 Canon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US7029091B2 (en) * 2003-08-05 2006-04-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kjet consumable cartridge with integrated nozzle cap
TWI248592B (en) * 2004-01-20 2006-02-01 Seiko Epson Corp Printing tape and tape cartridge providing the same
ATE477933T1 (de) 2005-10-10 2010-09-15 Silverbrook Res Pty Ltd Verfahren zur wartung eines druckkopfes durch luftdruckstossreinigung
US7401887B2 (en) 2005-10-11 2008-07-2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 of maintaining a printhead using air blast cleaning
EP1777074B1 (en) * 2005-10-21 2009-05-13 Océ-Technologies B.V. Mounting structure for a printhead
JP5063077B2 (ja) * 2005-10-21 2012-10-31 オセ−テクノロジーズ・ベー・ヴエー プリントヘッドの取り付け構造体
BRPI0923680B1 (pt) * 2008-12-25 2020-01-28 Brother Ind Ltd fita cassete
AU2014221250B2 (en) * 2008-12-25 2015-12-2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and tape printer
US9493016B2 (en) 2008-12-25 2016-11-1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JP5136503B2 (ja) 2009-03-31 2013-02-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JP4947085B2 (ja) * 2009-03-31 2012-06-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US9427988B2 (en) 2009-03-31 2016-08-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NZ596061A (en) * 2009-03-31 2013-11-29 Brother Ind Ltd Tape cassette
CN104442030B (zh) 2009-03-31 2017-04-12 兄弟工业株式会社 带盒
EP2414169B1 (en) 2009-03-31 2013-09-0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WO2010113236A1 (en) * 2009-03-31 2010-10-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and tape printer
US20100329767A1 (en) * 2009-06-30 2010-12-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WO2011001487A1 (en) * 2009-06-30 2011-01-0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and tape printer
JP5326950B2 (ja) * 2009-09-09 2013-10-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WO2011074086A1 (ja) 2009-12-16 2011-06-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JP5464216B2 (ja) 2009-12-28 2014-04-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JP5831678B2 (ja) * 2011-02-28 2015-12-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CN105774251B (zh) * 2015-01-08 2017-10-1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墨盒以及喷墨打印机
CN105314425B (zh) * 2015-11-13 2017-03-29 李星 喷绘机送纸台
CN111137014B (zh) * 2020-02-18 2022-01-04 方羿(福州)数码印刷有限公司 具有防墨水固化机构的数字印刷机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364A (en) * 1979-07-18 1981-02-14 Toshiba Corp Ink jet recorder
AT377726B (de) * 1981-07-24 1985-04-25 Philips Nv Kassette mit einer einrichtung zum abdecken und/oder einer einrichtung zum reinigen der duesenflaeche eines schreibkopfes eines tintenstrahlschreibers
US4698650A (en) * 1984-03-28 1987-10-06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and cassette for recording medium
US4737860A (en) * 1984-12-13 1988-04-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US4747619A (en) * 1987-04-06 1988-05-31 Ncr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label
US4965596A (en) * 1988-02-09 1990-10-23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with waste ink distribution paths to plural cartridges
JPH01303252A (ja) * 1988-05-30 1989-12-07 Fujitsu Ltd 画像印刷装置
US4940690A (en) * 1988-07-27 1990-07-10 The Standard Register Company Clean release laminate construction with latent image
DE68920262T3 (de) * 1988-10-14 2000-11-16 Seiko Epson Corp Tintenkassette für einen Tintenstrahldrucker.
JP2932513B2 (ja) 1988-10-14 1999-08-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801409B2 (ja) * 1989-12-26 1998-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装置及び記録系ユニットカートリッジ
DE69027660T2 (de) 1989-12-26 1996-12-05 Canon Kk Tintenstrahlgerät und Einheitskartusche für Aufzeichnung
DE69128491T2 (de) * 1990-02-13 1998-05-20 Canon Kk Druckvorrichtung
US5172140A (en) * 1990-06-13 1992-12-15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including a device for indicating need to change waste ink pack
JP3166206B2 (ja) * 1990-08-29 2001-05-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プリンタ及びその制御方法
JPH04286655A (ja) * 1991-03-15 1992-10-12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945781B2 (ja) * 1991-05-17 1999-09-06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H04364960A (ja) 1991-06-12 1992-12-17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用ヘッドカートリッジ
JP2907597B2 (ja) * 1991-07-29 1999-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媒体の検出方法
JP3094658B2 (ja) * 1992-04-30 2000-10-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印字装置
JPH06166175A (ja) * 1992-11-27 1994-06-14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201674B2 (ja) * 1993-03-26 2001-08-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ト装置
JPH0768814A (ja) * 1993-09-06 1995-03-14 Brother Ind Ltd テープ印字装置
JP2910817B2 (ja) * 1993-12-01 1999-06-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
US5587214A (en) * 1994-05-13 1996-12-24 Media Solutions, Inc. Laminated thermal transfer printable labels
JP3438447B2 (ja) * 1994-12-28 2003-08-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状記録媒体の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並びにテープ状記録媒体
US5838354A (en) * 1995-05-31 1998-11-17 Olympus Optical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7006010A1 (fr) 1997-02-20
CN1166155A (zh) 1997-11-26
DE69616498T2 (de) 2002-04-11
KR970706129A (ko) 1997-11-03
DE69616498D1 (de) 2001-12-06
EP0786351B1 (en) 2001-10-31
EP0786351A1 (en) 1997-07-30
EP1077133A3 (en) 2001-06-13
JP3353302B2 (ja) 2002-12-03
US6050672A (en) 2000-04-18
EP0786351A4 (en) 1998-01-14
EP1077133A2 (en) 2001-02-21
CN1195633C (zh) 2005-04-06
TW447398U (en) 200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7080B1 (ko) 잉크제트프린터의카트리지및잉크제트프린터
KR100403880B1 (ko) 잉크젯프린터및그것에사용하는기록매체및기록매체공급원
JP4635426B2 (ja) 画像形成装置
JPH04214360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該装置用インクタ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該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3183115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KR100481898B1 (ko) 잉크 제트 기록 장치
US63523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nozzle clogging in ink jet printing apparatus
US7101027B2 (en) Inkjet printer
JP381493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114591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3072111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700677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3072113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4496871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4775513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4224059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3230424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H08258286A (ja) インクジェット装置
JP2004299401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23017622A (ja) 液体吐出装置及び液体貯留器
JP4608050B2 (ja) プリンタ装置
JP2006095976A (ja) 媒体搬送装置及び記録装置
JP2004243779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610324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976594A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