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287B1 - 미세하게 분산된 금속코발트를 함유하는 산화제일코발트,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미세하게 분산된 금속코발트를 함유하는 산화제일코발트,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287B1
KR100405287B1 KR1019970705501A KR19970705501A KR100405287B1 KR 100405287 B1 KR100405287 B1 KR 100405287B1 KR 1019970705501 A KR1019970705501 A KR 1019970705501A KR 19970705501 A KR19970705501 A KR 19970705501A KR 100405287 B1 KR100405287 B1 KR 100405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balt
carbon atoms
metal
satu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2106A (ko
Inventor
아스트리트 괴르게
율리안네 메세마르크체프펠
디르크 나우만
아르민 올브리히
프랑크 쉬럼프
Original Assignee
하.체. 스타르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체. 스타르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체. 스타르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19980702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2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1/00Compounds of cobalt
    • C01G51/04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5/00Saturated compounds having more than one carboxyl group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55/02Dicarboxylic acids
    • C07C55/06Oxalic acid
    • C07C55/07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9/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59/235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carboxyl group
    • C07C59/245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carboxyl group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 C07C59/255Tartaric ac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코발트를 함유하는 코발트 (II) 산화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하게 분산된 금속 코발트를 함유하는 산화제일코발트,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Cobaltous Oxide Containing Finely-dispersed Metallic Cobalt,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코발트 (II) 산화물은 Ni/Cd 또는 Ni/NiH를 기재로 한 재충전가능한 알카리성 Ni 전지용 포지티브 조성물 중의 첨가제로서 금속 코발트와의 혼합물 형태로 사용된다. 이를 위하여, Ni(OH)2를 코발트 (II) 산화물/금속 혼합물 및 보조 물질로 처리하여 페이스트를 얻고, 그 다음 이를 전기 전도성 전극 캐리어에 혼입시킨다. 최대로 다양한 유형의 전지를 얻기 위하여 이 방식으로 생산된 전극을 건조 및/또는 소결에 의해 더 가공한다.
버튼 전지의 생산에서는,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인 전극 성분들을 주로 흑연 또는 니켈 분말인 보조 물질들과 함께 다양한 크기의 정제로 압형한다. 이 경우 전극 조성물내 코발트의 비율은 2 내지 10 중량%이다.
EP-A 353 837에 의하면, 코발트 금속의 주요 작용은 제1 충전 주기 (형성 주기) 중에, 초기에 코발트 금속이 자신의 전위에 따라 산화되어 2가 코발트를 형성하고, 따라서 알카리성 전해질 중에 용해될 수 있게 되는 현상에 근거한다. 그 결과 생성된 Co2+이온 및 이미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이온이 수산화 니켈의 표면을 향하여 확산한다. 전지 충전이 계속됨에 따라, 이온이 산화되어 CoO(OH) 형태의 Co(III)를 형성한다. 이는 이어서 수산화 니켈 입자의 표면 상에 한 층을 형성하여, 차후의 전지 충전 및 방전 주기에서 전극 재료가 전기 전도성을 가지도록한다.
그러나, Co2+이온도 또한 수산화 니켈층 격자내로 들어가 거기서 전극 재료의 충전효율이 더 커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수산화물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앞서 언급된 특성에 더하여, 전극 조성물에 사용된 코발트는 과잉 방전 시에 안전 예비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Co2+이온이 다시 전기화학적으로 환원되고 따라서 수소의 방출을 막는다. 상기 언급된 특성을 갖는 코발트 화합물은 미국 특허 US-A 5,032,475 및 동 5,053,292 및 유럽 특허 출원 EP-A 523 284에도 기재되어 있다.
전극에서 코발트 금속 분말은 기껏해야 약 50 %만 전기화학적 산화에 대한 충전 및 방전 주기 동안 이용될 수 있는데, 이는 많은 비율의 코발트가 안정한 산화층으로 피복되기 때문이다. 이 보호층은 이어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전극의 활성화에 필수적인 Co2+이온의 형성을 방해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피하기 위하여 지금까지는 수산화 코발트 또는 일산화 코발트와 같은 가용성 코발트 화합물도 또한 전극 조성물에 혼입해 왔다. 이로인해 Co2+이온이 전기화학적인 형성 전에 전해질 중에 용해되어 있어 이들 이온이 이미 수산화 니켈의 표면 상에 부착될 수 있게 되었다. [Matsumo et al.: The 162nd ECS Fall Meeting, Detroit, 18 (1982)].
선행 기술에서는, 상기 기재된 용도에 사용되는 코발트 (II) 산화물은 탄산 코발트, 수산화 코발트 또는 고급 산화 코발트의 열 분해에 의해 공업적으로 생산되었다. 그러나, 열역학적 평형에 따라 이들은 항상 과량의 산소를 함유하고, 그 결과 잔여량의 Co(III)를 함유한다.
코발트 (II) 산화물 내 미량의 Co(III)는 자가 촉매적으로 2가 코발트를 3가 코발트로 산화시킨다. 그러나, 3가 코발트 화합물은 전해질 중에 가용성인 화합물을 형성하지 못하므로 상기 서술된 메카니즘에 의해 전도층을 형성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Co(III) 함량이 가능한 한 낮아야만 고도의 전극 이용율이 성취될 수 있다.
Co(III)의 존재를 피하고 코발트 함량을 낮추기 위한 한가지 가능한 방법은 적당량의 수소 존재 하에 불활성 가스 하에 탄산 코발트, 수산화 코발트 및(또는) 산화 코발트와 같은 상기 언급된 출발 물질을 하소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복잡한 공정 제어가 수반되는데, 즉 매우 철저하게 혼합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산업 규모에서는 피하기 어려운 처리량 변화에 대해 수소 배분을 끊임없이 조정해야 한다. 이럴 경우에만 금속 코발트가 균일하게 분포된 일정한 제품 품질이 보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기재된 단점을 나타내지 않는, 코발트 금속을 함유하는 코발트 (II) 산화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금속 코발트를 함유하는 코발트 (II) 산화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코발트 (II) 산화물은 염화 코발트 및(또는) 질산 코발트 및(또는) 황산 코발트 수용액을 알카리 금속 및(또는) 알카리 토금속 및(또는) 암모늄의 탄산염 및(또는) 중탄산염 및(또는) 탄산수소염 및(또는) 수산화물 및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 기를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금속 함유 코발트(II) 산화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이 방법에서는 하기 화학식의 공침전물이 얻어지고, 이 침전물을 일단 용액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하소하게 된다.
<화학식>
Co[(OH)2]a[O]b[CO3]c[R]d
식 중, 1≤a+b+c+d≤1.5이고, R은 2개의 동일 또는 상이한 카르복실산 잔기이며, d/(a+b+c+d)의 몰비는 그의 환원능에 따라 조정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을 제공한다.
열분해시에 옥살산 코발트가 코발트 금속 및 이산화 탄소로 분해된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타르타르산도 또한 유사하게 행동한다.
버사트산 잔기의 열분해 생성물은 예를 들면, 그 자체가 환원 작용을 가질 수 있는 불포화 탄화수소이다. 복잡한 구조를 갖는 산 및 그의 유도체의 환원능은실험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생성물이 탄소로 오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하소시에 고상 열분해 생성물을 생성하지 않는 유기산이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공침전물의 결정 격자내로 환원 음이온을 혼입한 까닭에, 환원 작용을 갖는 성분을 최적으로 분포시키고 가스상 환원에 의해 가능한 것 보다 금속 코발트를 훨씬 더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카르복실산이 1종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카르복실산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탄소수 1 내지 9의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및(또는)
- 탄소수 2 내지 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폴리카르복실산 및(또는)
- 탄소수 4 내지 14의 시클릭 또는 헤테로시클릭, 포화 또는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및 폴리카르복실산 및(또는)
- 탄소수 2 내지 7의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일카르복실산 및 다카르복실산 및(또는)
- 탄소수 7 내지 11의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및(또는)
- 탄소수 2 내지 14의 시클릭 또는 지방족, 포화 또는 불포화 케토카르복실산이다.
아디프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글리옥실산, 말레산, 말론산, 젖산, 옥살산, 프탈산, 점액산, 소르빈산, 라세미산, 버사트산, 타르타르산 및(또는) 시트르산도 또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부분적으로 에스테르화된 형태의 카르복실산도 사용될 수 있다(단, 여전히 1종 이상의 활성 카르복실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응은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85℃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원이 결정 격자 내에서 시작하므로, 개개의 코발트 원자가 초기에 형성되고 확산 과정에 의해 합해져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마지막으로 코발트의 미세 퇴적물을 형성한다고 추정된다. 그 결과 코발트 입자의 크기는 생성물 중 금속 코발트의 농도 뿐만 아니라 하소 온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하소는 200℃ 내지 1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000℃의 온도에서 불활성 가스 분위기 하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높은 하소 온도에서는 μm범위의 입자가 얻어지겠지만, 약 600℃의 중간온도에서는 약 100 nm 미만 크기의 금속 코발트 입자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제조된 미세하게 분산된 금속 코발트를 함유하는 코발트 (II) 산화물을 제공하며, 이 산화물은 약 78 내지 98%, 바람직하게는 79 내지 91%의 코발트 함량을 가지며, 이 물질 내에 함유된 코발트 금속의 주된 입자는 약 50 nm 내지 5 μm, 바람직하게는 100 nm 내지 1 μm의 크기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발트 금속을 함유하는 코발트 (II) 산화물의 입도는 그 용도에 따라, 예를 들면 농도, 온도, 교반 속도, 반응 시간, 침전의 연속 또는 불연속 운전 및 하소 전 및(또는) 후의 다양한 연마 공정과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Ni/Cd 및(또는) Ni/NiH를 기재로 한 재충전 가능한 알카리성 전지에 사용하기 위한 응집물의 평균 입도는 페이스트에 균일하게 혼입되고 알카리성 전해질 중에 충분히 신속하게 용해(30% KOH)될 수 있기 위해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크기인 3 μm 미만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화학적 2차 전지 내 전극재료로서 본 발명의 금속 코발트 함유 코발트 (II) 산화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화학적 2차 전지 중에 전극 물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코발트 금속을 함유하는 Co(II) 산화물을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써 설명되겠지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물 20 l를 교반 반응기 내에서 85 ℃로 가열했다. 이에 2 몰 CoCl2수용액 20 l 및 NaHCO3(60 g/l) 및 Na2C2O4(5 g/l)로 구성된 수용액 120 l를 동시에 첨가했다.
이로써 생성된 현탁액을 85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세척했다. 이로부터 얻어진 생성물을 T=85 ℃에서 일정한 중량으로 건조시켰다. 염기성 탄산 코발트/ 옥살산 코발트 4.8 kg을 얻은 후, 이를 T=700 ℃에서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 하소시켰다.
최종적으로 얻어진 생성물의 Co 함량은 80.3%이다.
실시예 2
물 20 l가 담긴 용기를 85 ℃로 가열했다. 이에 2몰 CoCl2용액 40 l 및 Na2CO3150 g/l와 타르타르산 나트륨 3 g/l의 용액 60 l를 동시에 첨가했다. 일단 반응이 완료되면, 혼합물을 T=85 ℃에서 1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흡입 여과시키면서, 고온 세척했다. 염기성 탄산 코발트/타르타르산 코발트 9.8 kg을 얻은 후, 이를 T=700 ℃에서 불활성 가스 하에 하소시켰다.
최종적으로 얻어진 생성물의 Co 함량은 80.0 %에 달한다.
실시예 3
먼저, 실온에서 NaHCO3170 kg 및 타르타르산 9 kg을 물 1 m3에 넣고, 2 몰 CoCl2용액 500 l을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냉수 500 l로 세척했다. 그 다음 여과 케이크를 물 500 l에 현탁시키고 85 ℃에서 2 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한 다음 고온에서 재세척했다. 건조된 여과케이크 (120 kg)을 회전식 가마 내에서 보호 가스 하에 700 ℃에서 하소시켰다. 그 결과 코발트 함량이 79.9 %인 생성물 72 kg을 얻었다.

Claims (9)

  1. X가 Cl-, NO3 -또는 1/2SO4 2-인 화학식 CoX2의 코발트 염 수용액을 알카리 금속 또는 알카리 토금속 또는 암모늄 또는 이의 조합의 탄산염 또는 탄산 수소염 또는 수산화물 또는 이의 조합, 및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과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의 공침전물을 얻고, 이 공침전물을 상기 용액으로부터 일단 분리하여 하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하게 분산된 코발트 금속을 함유하는 코발트 (II) 산화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Co[(OH)2]a[O]b[CO3]c[R]d
    여기서, 1≤a+b+c+d≤1.5이고, R이 2개의 동일 또는 상이한 카르복실산 잔기를 나타내며, d/(a+b+c+d)의 몰비는 유기 잔기의 환원능 및 목적하는 코발트 금속 함량에 따라 조정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상기 유기 화합물로서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 또는 이의 조합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산이 탄소수 1 내지 9의 선형 또는 분지형,포화 또는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또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폴리카르복실산; 또는 탄소수 4 내지 14의 시클릭 또는 헤테로시클릭, 포화 또는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및 폴리카르복실산; 또는 탄소수 2 내지 7의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모노히드록시카르복실산 또는 폴리히드록시카르복실산; 또는 탄소수 7 내지 11의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또는 탄소수 2 내지 14의 시클릭 또는 지방족, 포화 또는 불포화 케토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산이 아디프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글리옥실산, 말레산, 말론산, 젖산, 옥살산, 프탈산, 점액산, 소르빈산, 라세미산, 버사트산, 타르타르산 또는 시트르산 또는 이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함유하는 상기 유기 화합물로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분적으로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이 20 ℃ 내지 100 ℃의 온도 범위 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소가 200 ℃ 내지 1100 ℃의 온도에서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78 내지 98 %의 코발트 함량을 가지며, 산화 코발트 중에 함유된 코발트 금속의 주된 입자가 50 nm 내지 5 μm 크기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얻을 수 있는 미세하게 분산된 금속 코발트를 함유하는 코발트 (II) 산화물.
  9. 제8항에 따른 미세하게 분산된 금속 코발트를 함유하는 코발트 (II) 산화물을 전극재료로서 포함하는 2차 전지.
KR1019970705501A 1995-02-10 1996-01-29 미세하게 분산된 금속코발트를 함유하는 산화제일코발트,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KR100405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04319.7 1995-02-10
DE19504319A DE19504319C2 (de) 1995-02-10 1995-02-10 Feinverteiltes metallisches Kobalt enthaltendes Kobalt(II)-Oxi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sowie dessen Verwe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106A KR19980702106A (ko) 1998-07-15
KR100405287B1 true KR100405287B1 (ko) 2003-12-18

Family

ID=7753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501A KR100405287B1 (ko) 1995-02-10 1996-01-29 미세하게 분산된 금속코발트를 함유하는 산화제일코발트,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277305B1 (ko)
EP (1) EP0808293B1 (ko)
JP (1) JP3911016B2 (ko)
KR (1) KR100405287B1 (ko)
CN (1) CN1106348C (ko)
AT (1) ATE211716T1 (ko)
AU (1) AU4714796A (ko)
CA (1) CA2212635A1 (ko)
DE (2) DE19504319C2 (ko)
FI (1) FI114790B (ko)
TW (1) TW396146B (ko)
WO (1) WO1996024556A1 (ko)
ZA (1) ZA96105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318B1 (ko) 2013-04-10 2013-09-06 인천화학 주식회사 고순도 설파민산 코발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5447A (ja) * 1999-12-14 2001-08-31 Denso Corp 油の酸性、塩基性度検出用電極対
CN1313380C (zh) * 2005-08-05 2007-05-02 北京化工大学 一种介孔结构Co3O4纳米晶的制备方法
EP2621002B1 (en) * 2010-09-22 2019-01-23 GS Yuasa International Ltd.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DE102011057015A1 (de) * 2011-12-23 2013-06-27 Westfälische Wilhelms-Universität Münster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obaltoxid-Kohlenstoff-Komposi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9952A (en) * 1971-03-22 1973-12-18 Shell Oil Co Metal-containing polymers
US3908002A (en) * 1972-05-30 1975-09-23 Shell Oil Co Production of alpha alumina
US4902409A (en) 1988-01-19 1990-02-20 Sprout-Bauer, Inc. Nozzle for screen apparatus
EP0353837B1 (en) * 1988-07-19 1994-07-27 Yuasa Corporation A nickel electrode for an alkaline battery
DE69014185T2 (de) 1989-09-18 1995-03-30 Toshiba Kawasaki Kk Sekundäre Nickel-Metallhydrid-Zelle.
EP0419220B1 (en) 1989-09-18 1994-11-17 Toshiba Battery Co., Ltd. Nickel-metal hydride secondary cell
EP0638520B1 (de) * 1993-08-12 1996-10-09 H.C. Starck GmbH & Co. KG Cobalt-Cobaltoxidpulver,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sowie dessen Verwendung
DE19504320C1 (de) * 1995-02-10 1996-07-25 Starck H C Gmbh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baltmetall-haltigem Kobalt(II)-Oxid sowie dessen Verwend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318B1 (ko) 2013-04-10 2013-09-06 인천화학 주식회사 고순도 설파민산 코발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73265A0 (fi) 1997-08-07
DE19504319A1 (de) 1996-08-14
CN1106348C (zh) 2003-04-23
ZA961055B (en) 1996-08-22
WO1996024556A1 (de) 1996-08-15
EP0808293A1 (de) 1997-11-26
CN1180342A (zh) 1998-04-29
US6277305B1 (en) 2001-08-21
AU4714796A (en) 1996-08-27
EP0808293B1 (de) 2002-01-09
FI114790B (fi) 2004-12-31
FI973265A (fi) 1997-10-06
DE59608559D1 (de) 2002-02-14
KR19980702106A (ko) 1998-07-15
DE19504319C2 (de) 1998-01-15
CA2212635A1 (en) 1996-08-15
ATE211716T1 (de) 2002-01-15
JP3911016B2 (ja) 2007-05-09
JPH10513429A (ja) 1998-12-22
TW396146B (en) 200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5988B1 (en) Process for preparing spinel type lithium manganese composite oxide and cathod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battery
CA2207945C (en) A spinel-type lithium manganese complex oxide for a cathode active material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JP4018138B2 (ja) 長球的に集塊した塩基性炭酸コバルト(ii)及び長球的に集塊した水酸化コバルト(ii)、それらの製法及び使用法
JPH11302020A (ja) リチウムマンガン系複合酸化物およびその製造法ならびにその用途
JPH10316431A (ja) リチウムニッケル複合酸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
JP6357928B2 (ja) ニッケル−マンガン系複合オキシ水酸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JP6583359B2 (ja) ニッケルコバルトマンガン複合水酸化物
KR100405287B1 (ko) 미세하게 분산된 금속코발트를 함유하는 산화제일코발트,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JP4096367B2 (ja) 粒子状組成物の製造方法
JPH1179752A (ja) 酸化ニッケル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07612B2 (ja) コバルト金属を含有する酸化コバルト(ii)、その製造法及びその利用
JP7206808B2 (ja) コバルト-マンガン系複合酸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KR102005600B1 (ko) 사삼산화망간 및 그 제조 방법
JP2021134100A (ja) スピネル型マンガン酸リチウ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JP2003303590A (ja) アルカリ蓄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JPH10188975A (ja) 酸化銀電池用陽極材料とその製造方法
JP2006237018A (ja) 酸化銀電池用陽極材料とその製造方法
JP4185197B2 (ja) 酸化ビスマス(iii )の製造方法
CN117963989A (zh) 一种四氧化三锰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H04321523A (ja) 四酸化三コバルトの製造方法
JP6665633B2 (ja) ニッケル−マンガン複合オキシ水酸化物の製造法
JPH10182160A (ja) リチウムマンガン複合酸化物の製造方法
JPH03112816A (ja) ZnxMn↓3―xO↓4の合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