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3418B1 - 인간면역결핍성 바이러스 및 그밖의 감염성 질환의 항미생물적 예방 및 치료 - Google Patents

인간면역결핍성 바이러스 및 그밖의 감염성 질환의 항미생물적 예방 및 치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418B1
KR100403418B1 KR10-1999-7008667A KR19997008667A KR100403418B1 KR 100403418 B1 KR100403418 B1 KR 100403418B1 KR 19997008667 A KR19997008667 A KR 19997008667A KR 100403418 B1 KR100403418 B1 KR 100403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hiv
cells
delete delete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5603A (ko
Inventor
스퀴래스메릴
Original Assignee
스퀴래스 메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퀴래스 메릴 filed Critical 스퀴래스 메릴
Publication of KR20010005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5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4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4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e.g. edrophonium, cho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35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 A61K31/714Cobalamins, e.g. cyanocobalamin, i.e. vitamin B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2Burseraceae (Frankincense family)
    • A61K36/328Commiphora, e.g. mecca myrrh or balm of Gil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7Growth hormone [GH], i.e. somatotrop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8Insul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5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61P31/22Antivirals for DNA viruses for herpes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Endocri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Pulmonology (AREA)
  • AIDS & HIV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면역결핍성 바이러스 및 그밖의 미생물 감염을 빠르고 안전하게 해결하기 위한 개선된 의약적 치료 및 약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렴한 약제는 스스로 투여할 수 있고, 상기 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매력적인 약제는 미생물 억제제, 식물화학물질 또는 단리물로 이루어진 항미생물의 농축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효과적인 약제는 계면활성제, 수성 담체 또는 용매 및 영양소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형태의 약제는 에키나세 및 콤미포라 미라 식물화학물질, 벤잘코늄 클로라이드, 멸균 수용액 및 엽산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인간면역결핍성 바이러스 및 그밖의 감염성 질환의 항미생물적 예방 및 치료{Antimicrobial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uman immunedeficiency virus and other infectious diseases}
현재 전세계적으로는 약 2200만명의 사람들이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에 감염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새로운 HIV 케이스의 대부분은 아프리카와 카리브해에서 유래되고 있다. HIV 감염의 전형적인 진행은 상이한 단계들로 나뉘어진다: 1) 바이러스 전파; 2) 급성 레트로바이러스성 증후군; 3)혈청변환; 4) 지속적 전신림프절증(PGL)이 있거나 없는 임상적 잠복기; 5) 이전에는 AIDS-관련 복합체 또는 ARC로 알려져 있으며, 더욱 최근에는 1993 CDC 분류에 따라 'B 증상'으로서 언급되고 있는 조기 증후성 HIV 감염; 6)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AIDS)(CD4 세포수 <200/㎣을 포함하는 1987 CDC 판정기준 및 개정된 1993 CDC 판정기준에 따르는 AIDS 지표조건); 및 7) CD4 세포수 <50/㎣에 의해 특정화되는 진행된 HIV 감염. CD4 세포는 HIV에 의해 표적화된 림프구이다. 1993년에 CDC는 AIDS의 정의에 CD4 수가 <200/㎣인 모든 환자들이 포함되도록 개정되었으며, 이 정의는 증상과 관계없이 단계 4-7의 환자를 포함한다.
초기 급성 레트로바이러스성 증후군은 CD4 세포수의 급격한 저하, 고도로 배양이 가능한 혈장 바이러스혈증, 및 혈장내의 고농도의 HIV RNA 를 수반한다. 임상적인 회복이 나타나고, 높은 수준의 HIV RNA 혈장 바이러스혈증이 저하되면서 세포독성 T 림프구(CPL) 반응의 개선이 나타난다. CD4 세포수는 여러해에 걸쳐 점차적으로 감소한 다음, AIDS-확정 진단이 있기 1.5-2년전에 급격한 감소를 나타낸다. 혈장내의 HIV RNA 농도는 CD4 수가 <200/㎣ 이고, 임상적 과정이 감염, 선택된 종양, 소모성 질환 및 신경계 합병증에 의해 특정화되는 경우에는 HIV가 최종단계에 도달할 때 까지는 비교적 안정하다. 일반적으로, 약 10%의 환자들은 CD4수가 200/㎣ 으로 감소하기 전에 AIDS-확정 진단을 나타낸다. CD4 수가 200/㎣가 된 후에 AIDS-확정 합병증까지의 현재의 중앙시간은 12-18 시간이다. HIV 또는 PCP 예방을 위한 치료법이 없는 상태에서 바이러스 전파로부터 AIDS-확정 진단이 나오기 까지의 평균시간은 약 10 년이며, AIDS-확정 합병증이 나타난 후의 생존기간은 이전에는 약 1 년이었다.
HIV에 대한 치료가 없는 상태에서 평균 환자에 대한 경과의 전체적인 순서는 혈청변환에서부터 사망까지 약 10 년이 걸린다. HIV 혈청변환으로부터 AIDS 까지의 중앙시간은 수혈환자의 경우에는 약 7 년이고, 혈우병 환자의 경우에는 10 년, 약물 사용자의 경우에는 10 년, 그리고 동성애자의 경우에는 8-12 년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간호의 질이 조정된다면 진행속도는 성별, 인종별 및 위험인자의 종류별로 유사하게 나타난다. 혈청변환이 있는 16-24 세의 환자의 경우에는 중앙시간이 15 년이었고, 혈청변환이 있는 35 세 이상의 환자의 경우에는 중앙시간이 6 년이었다.
HIV 감염은 성교를 통해서나, 오염된 혈액에 의한 약물 수혈로 인해, 또는 감염된 주사기에 의한 약물 중독이나 분만시의 전파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급성 레트로바이러스성 증후군이라고도 불리우는 증후성 일차 HIV 감염은 전술한 위험인자들에서 50-90% 의 빈도로 보고되었다. 이 증후군은 또한 직업적 노출로 인한 HIV 감염이 있는 8 명의 보건의료 종사자들중의 7 명에게서 나타났다. 노출로부터 증상의 발현까지의 시간은 일반적으로 2-4주이지만, 잠복기가 6 주정도로 길수도 있다. 대표적인 증상에는 발열, 선병증, 인두염, 안면과 체간, 때때로는 손바닥과 발바닥을 포함한 사지에 5-10㎜ 병소의 홍반성 반점상구진을 포함하는 발진, 또는 구강, 식도 또는 생식기에서의 점막피부 궤양, 근육통 또는 관절통, 설사, 두통, 간비종대, 아구창, 오심 및 구토가 있다. 신경계 증상에는 수막뇌염, 말초신경병증, 안면신경마비, 귈랑-바레 증후군, 상완신경염, 신경근증, 인식장애 및 정신병이 포함될 수 있다. 급성 질병은 일반적으로 p24 항원혈증, 혈장 바이러스혈증 및 말초혈액 단핵구에서 HIV 의 고역가를 갖는 높은 수준의 HIV 바이러스혈증을 수반한다.
세포독성 T 림프구(CTL) 반응은 일차적이며, 일반적으로 수주일 까지 검출가능한 체액성 반응에 선행한다. CTL 반응은 말초혈액에서의 HIV 농도에 있어서 3-5 로그 감소를 수반한다. 이러한 질병의 급성기중에 높은 수준의 바이러스혈증은 CNS 및 림프조직으로 바이러스가 산포되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림프조직은 HIV 적재 및 증식의 주된 저장소로서 작용한다. 높은 수준의 HIV에 의한 비-림프조직의 감염은 HIV의 말기에 나타나는 것을 보인다.
14일 이상의 지연된 질병 뿐만 아니라 무증후성 혈청변환이 아닌 증상의 존재는 AIDS로의 더 빠른 진행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양성 HIV 혈청학을 가지는 혈청변환은 일반적으로 수혈이나 보건의료 종사자에 대한 주사기 상해로 인한 것과 같은 전파가 있은지 6-12 주후에 일어난다. 평균간격은 63 일이다. CTL 반응은 혈액내의 정량적인 바이러스 부하량의 현저한 감소, 급성 레트로바이러스성 증후군으로부터의 임상적인 회복 및 대부분의 실험실에서 주로 정상범위내인 더 높은 수준으로의 CD4 세포수의 복귀와 관련이 있다.
HIV 환자는 임상적으로 무증후적이 되며, 일반적으로 확대된 림프절을 포함한 지속적 전신림프절증(Persistent Generalized Lymphadenopathy; PGL)을 제외하고는 신체검사에서 어떠한 소견도 나타내지 않는다. 림프절에 대한 연구에서는 배중심내에서 소포성 수상세포돌기상에 트래핑된 세포외 바이러스 및 주로 잠복 바이러스의 형태인 세포내 바이러스로서 고농도의 HIV를 나타낸다. 림프조직은 HIV 에 대한 주요저장소로서 제공되며, 소포성 수상세포는 유리 바이러스 및 감염된 CD4 세포를 여과하고 트래핑하며, 말초혈액 단핵구에서의 바이러스 부하량은 비교적 낮다. 진행성 질환의 경우에 림프절의 배위는 HIV에 의해 파괴된다.
무증후적 HIV 감염이 있는 환자에서 바이러스학적 연구는 1 일에 평균 109비리온을 생성하는 높은 HIV 증식율을 나타낸다. 바이러스 증식은 광범위한 파괴와 1 일에 109CD4 세포의 생성을 수반한다. CD4 세포의 교체는 전체 CD4 세포의 6-7% 에서 나타나며, 이렇게하여 매 15 일마다에 걸쳐 전체적인 공급물이 교체된다. AIDS는 CD4 림프구의 바이러스 및 면역-개재된 정지를 야기시키는 HIV의 연속적인 높은 수준의 증식의 결과인 것으로 사료된다.
진행된 HIV 감염은 <50㎣의 CD4 세포수를 갖는 환자에게서 나타난다. 이들 환자는 12-18 개월의 중앙 생존기간을 갖는 제한된 여명(life expectancy)을 갖는다. 실질적으로, HIV-관련 합병증으로 사망한 모든 환자들은 이 CD4 세포수 단계에 있다.
FDA(Food & Drug Administration)는 많은 역전사효소(RT) 억제제를 승인하였다. RT 효소는 바이러스 RNA를 DNA로 전환시킨다. RT 억제제는 이 과정을 차단할 수 있다. 글락소 웰컴(Glaxo Wellcome)사에서 레트로비르(Retrovir) 및 지도부딘(zidovudine)이라는 상표로 시판되고 있는 RT 억제제인 AZT는 1987년에 FDA에 의해 승인되었다.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Bristol-Meyers Squibb)사에 의해 비덱스(Videx) 및 디다노신(didanosine)이라는 상표로 시판되고 있는 RT 억제제인 ddl은 1991년에 FDA에 의해 승인되었다. 호프만-라 로슈(Hoffman0La Roche)사에 의해 HIVID 및 디데옥시시티딘이라는 상표로 시판되고 있는 RT 억제제인 ddC는 1992년에 FDA에 의해 승인되었다.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Bristol-Meyers Squibb)사에 의해 제리트(Zerit) 및 스타부딘(stavudine)이라는 상표로 시판되고 있는 RT 억제제인 d4T는 1994년에 FDA에 의해 승인되었다. 글락소 웰컴(GlaxoWellcome)사에서 에피비르(Epivir) 및 라미분딘(lamivundine)이라는 상표로 시판되고 있는 RT 억제제인 3TC는 1995년에 FDA에 의해 승인되었다. 베링거 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사에서 비라문(Viramune)이라는 상표로 시판되고 있는 RT 억제제인 네비라핀(Nevirapine)은 1996년에 FDA에 의해 승인되었다.
FDA는 최근에 인간면역결핍성 바이러스(HIV) 감염증의 치료를 위한 3 가지의 프로테아제 억제제를 승인하였다. 호프만-라 로슈 래보래토리즈(Hoffman-La Roche Laboratories)에 의해 인비라제(Invirase)라는 상표로 시판되고 있는 사퀴나비르(Saquinavir)는 FDA에 의해서 승인된 최초의 프로테아제 억제제였다. 애프트 래보래토리즈(Abbott Laboratories)에 의해 노르비르(Norvir)라는 상표로 시판되고 있는 또 다른 프로테아제 억제제인 리토나비르(Ritonavir)는 머크사(Merck & Co.)에 의해 크릭시반(Crixivan)이라는 상표로 시판되고 있는 인디나비르(Indinavir)와 마찬가지로 1996 년 3 월에 FDA 승인을 받았다.
프로테아제 억제제는 뉴클레오사이드 동족체들로서 글락소 웰컴사에 의해 지도부딘 및 라미분딘이라는 상표로 시판되고 있는 AZT 및 3TC,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사에 의해 디다노신 및 스타부딘이라는 상표로 시판되고 있는 ddl 및 d4T, 및 로슈 래보래토리즈에 의해 디데옥시시티딘이라는 상표로 시판되고 있는 ddC와 같은 이전에 승인된 안티-HIV 약제의 기전과는 다른 작용기전을 가지고 있다. 프로테아제 억제제는 HIV가 그의 증식 사이클의 완성 및 새로운 생바이러스의 형성을 위해 필요로 하는 효소를 차단한다. 프로테아제 효소가 없으면 바이러스 구조단백질은 적절히 생성될 수 없으며, 불완전하고 비-감염성인 바이러스가 형성된다.뉴클레오사이드 동족체는 상이한 효소-역전사효소를 차단한다. 이 작용은 바이러스 RNA로부터 인간 세포의 DNA 내로 들어갈 수 있는 바이러스 DNA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역전사효소 억제제와 프로테아제 억제제를 배합시킨 것은 때때로 '칵테일(cocktail)'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증식사이클의 두 지점에서 HIV 증식을 공격하도록 되어 있다. 사퀴나비르와 AZT, ddC 또는 둘다를 배합시키는 임상실험에서는 이전에 역전사효소 만을 사용하여 관찰된 것에 비하여 혈액내의 HIV 입자의 수(때때로 바이러스 부하량이라고도 불린다)에 있어서의 더 큰 감소 및 CD4 세포(T 림프구)의 더 큰 증가를 나타낸다. 때때로 칵테일은 일부의 환자에 대해서는 독성이 있으며 효과가 없다. 그러나, 개선된 생존율 또는 저하된 질병 진행속도의 관점에서 임상적 잇점은 RT 억제제와 프로테아제 억제제의 배합물(칵테일)에 대하여는 아직 충분히 입증되지 않았다. 그러나, 의사들은 HIV 를 사망선고보다는 만성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질환으로 생각하기 시작하고 있다.
사퀴나비르 프로테아제 억제제는 진행된 AIDS 에 걸린 환자에게서 역전사효소 억제제와의 배합물로 사용하도록 FDA에 의해 승인되었다. 사퀴나비르 프로테아제 억제제는 뉴클레오사이드 동족체에 의해 야기되는 혈액학적 또는 신경학적 독성이 없이 일부의 환자에게서 허용될 수 있다. 리팜핀, 리파부틴, 페노바르비탈, 딜란틴 및 덱사메타존을 포함한 특정의 처방약제들은 사퀴나비르 프로테아제 억제제의 혈장농도를 현저히 저하시킬 수 있으며, 사퀴나비르 투여환자에서는 사용을 피하여야 한다. 다른 안티-HIV 약제들과 마찬가지로 사퀴나비르 프로테아제 억제제의 바이러스 내성도 보고되었다.
리토나비르 및 인디나비르 프로테아제 억제제는 현재 이용되고 있는 사퀴나비르 제제에 비해 HIV에 대하여 더 강력한 것으로 보인다. 리토나비르 프로테아제 억제제는 냉동을 요한다. 리토나비르 프로테아제 억제제는 현재 뉴클레오사이드 동족체와의 배합물로서 또는 단독요법으로 사용된다. 초기연구에서는 리토나비르와 AZT와 ddC를 함께 사용하여 32 명의 환자를 치료하였다. 20주후에 중앙 CD4 세포수는 기본량에서 83세포/㎣로부터 106세포/㎣로 상승하였다. 혈액내의 바이러스 카피수의 측정치인 바이러스 부하량은 거의 100-배로 감소하였다. 리토나비르는 1 일 2 회 600㎎을 경구로 투여하며, 매일 12 캅셀이 필요할 수 있다. 약제는 100㎎ 캅셀로 이용할 수 있다. 부작용은 상당히 일반적인 것으로 오심, 구토 및 설사를 포함하는 위장관계 증상이 포함된다. 그밖의 다른 부작용에는 특히 입 주위의 무감각 및 자통(tingling), 및 간염의 형태를 포함하는 간 염증이 포함된다.
인디나비르 프로테아제 억제제는 AZT와 3TC와 인디나비르의 배합물에 의해 CD4 수에 있어서 약 100 세포/㎣의 평균 상승 및 바이러스 부하량에 있어서 거의 100-배의 감소을 입증하는 연구를 기초로 하여 촉진된 FDA 승인을 받았다. 인디나비르는 1 일에 3 회, 800㎎를 경구로 투여한다(1 일에 2 캅셀씩 3 회). 리토나비르와는 반대로, 인디나비르는 흡수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공복시에 복용할 수 있다. 인디나비르는 리토나비르보다 더 적은 위장관계 부작용을 야기시키며, 일부의 환자에게서 전반적으로 더 잘 허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인디나비르 프로테아제 억제제의 주된 부작용은 신장결석의 생성이다. 약제는 부분적으로 뇨에서 배설되며, 적절한 수분공급이 유지되지 않으면 이것은 결정화하여 결석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인디나비르 프로테아제 억제제는 또한 간에 영향을 미쳐 빌리루빈, 즉 적혈구의 파괴로 인하여 형성된 담즙색소의 혈중농도 상승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인디나비르 프로테아제 억제제는 또한 약물상호작용을 야기시킬 수 있다.
프로테아제 억제제에 대한 내성의 분석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퀴나비르 및 리토나비르 프로테아제 억제제는 현재 환자에게 1 개월에 약 US$600의 비용이 들게 할 수 있다. 인디나비르 프로테아제 억제제는 이 수준보다 약 30% 낮은 가격이다. AZT와 3TC와 리토나비르 프로테아제 억제제로 이루어진 3-약물 배합물은 환자에게 US$1,000/월의 비용이 들게 할 수 있다. RT 억제제와 프로테아제 억제제의 배합물(칵테일)은 연간 $25,000 정도의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비록 프로테아제 억제제가 도움이 될수는 있지만, 의약계와 사회에서는 이들 고가의 약제로 인한 환자의 경비문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헤르페스(herpes) 바이러스' 또는 '헤르페스'라고 일반적으로 불리우는 단순포진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HSV)는 또한 ASHA(American Societal Health Association)에 의해 보고된 바와 같이 감염된 사람의 수가 집단의 70%-80%에 달하고 매년 500,000 명의 사람이 증가하는 것으로 국가적으로 위험한 상황에 도달한 감염성 질환이다. 두가지의 일반적인 형태의 헤르페스가 있는데, 즉 단순포진 바이러스 1(HSV 1) 및 단순포진 바이러스 2(HSV 2)이다. 헤르페스는 일반적으로 감염된 숙주와의 접촉에 의해 표피조직에서의 미미한 파괴를 거쳐 인체에 들어가며, 약 4 일간의 잠복기를 거친 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소포가 일반적으로는 집단으로 출현함으로써 특정화된다. 전형적으로, 감염발생의 과정은 전구기로 시작하여, 소포 출현으로 진행하여, 궤양형성, 유착, 용해 및 잠복기로 이어진다. 발병은 수주일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평균적으로 2-3 주동안 지속된다. 일부의 면역 타협된 개체에서는 발병이 수개월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소포는 피부 또는 점막의 어디에서나 나타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입술헤르페스로서 입술위에서, 선, 구강점막, 결막 및 각막, 생식기, 항문점막 및 항문주위 조직상에서 나타난다.
헤르페스의 증상에는 서혜 팽윤, 통증, 발열, 권태감, 두통, 근육통, 및 팽윤된 선이 포함된다. 구강 헤르페스로 타협된 삼차신경을 갖는 일부의 개체들은 몹시 고통스러운 안면 통증, 연하 및 식사의 어려움 및 안면팽윤을 나타낸다. 천골신경이 감염된 개체의 경우에는 심각한 상부 하지 통증, 팽윤 및 매우 어려운 보행을 나타낸다.
단순포진 바이러스(HSV) 감염은 신경절에 존재한 다음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은 어떤 자극에 의해 재발하게 되는 재발성 질병이다. 재발성 헤르페스성 감염은 태양광선에 대한 과다노출, 영양결핍, 스트레스, 월경, 면역억제, 특정한 음식, 약물, 열성 질병 등을 포함한 어떤 것에 의해서라도 촉진될 수 있다. 최근에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심장조직으로부터 분리되었다.
HSV 1 및 HSV 2 감염은 때때로 실명, 경부암의 증가된 위험, 무균성 수막염 및 뇌염, 신생아 사망, 바이러스혈증 등을 야기시킴으로써 건강에 대하여 매우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이 질병의 파괴적인 영향은 의학적인 인간의 고통의 범주를 상당히 벗어나는 것이다. HSV는 국가 및 세계적으로 상당한 경제적 손실 뿐만 아니라 심각한 정신적 및 감정적 곤란을 야기시킨다.
헤르페스에 대한 여러가지 치료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포보돈-요오드, 이독스유리딘, 트리플루오로티미딘 또는 아시클로비르와 같은 제제의 국소적인 적용이 포함된다. 이러한 치료방법은 다양한 성공율을 나타낸다. 대부분의 이전의 치료방법은 실망스러운 것임을 알았다. HSV의 전신적인 치료를 위해 경구적으로 투여하는 아시클로비르는 다소 효과가 있다. 그러나, 아시클로비르는 바이러스의 증식을 차단하는데 있어서만 성공정이다. 이것은 감염성 질병을 전신적으로나 국소적으로 치료하는데 있어서는 성공적이지 못하였다. 아시클로비르에 대한 내성균주가 보고되어 있다. 자가면역결핍증후군(AIDS)이 있는 개체는 심하게 면역-타혐되며, 특히 HSV의 허약성 발병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AIDS 환자들은 이들 개체에서 아시클로비르가 효과가 없도록 만들 수 있는 HSV의 아시클로비르 내성균주를 보유할 수도 있다.
따라서, HIV 및 그밖의 다른 감염성 질병의 매우 심각한 문제를 치료하고 예방하는 것을 촉진시키는 안전하며 성공적인 의약적 치료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인간면역결핍성 바이러스, 더욱 특히는 인간면역결핍성 바이러스 및 그밖의 다른 미생물 감염의 의약적 치료 및 예방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서는 전신적으로 투여하였을 때 표적세포에 대한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의 부착을 억제하고 HIV의 산포를 방지하는 개선된 의약적 치료방법 및 의약이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신규의 의약적 치료방법 및 의약을 사용함으로써HIV 및 그밖의 다른 바이러스의 성적인 전파의 방지를 도와줄 수 있다. 중요한 것은 개선된 의약적 치료방법 및 의약이 안전하며 덜 비싸고 효과적이라는 점이다.
비라세아(Viracea) 2 HIV-4 로도 불리우는 개선된 의약은 신규한 의약적 조성물, 제제, 항미생물성 화합물 및 용액을 포함한다. 신규의 항미생물적 의약적 치료방법 및 살미생물성 의약은 주로 HIV를 전신적으로 치료하는데 성공적이며,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대상포진) 및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를 포함하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다른 미생물 감염증을 치료하는데에도 유용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신규의 의약을 국소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신규의 의약 및 항미생물성 화합물이 특히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 감염(hiv)를 현저하게 억제하는데 특히 유용하지만, 이것은 단순포진 바이러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및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이외에도 엡스타인 바르 바이러스, 유두종 바이러스, 봉와직염,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마이코박테리아, 인플루엔자, 파라인플루엔자, 아데노바이러스, 뇌염, 수막염, 아르보바이러스(arbovirus), 아레나바이러스(arenavirus), 혐기성 간균, 피코르나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및 신시티알바이러스(synsytialvirus)와 같은 다른 미생물성 질병(미생물-원인성 질병)을 치료하는데도 유용할 수 있다.
의약적 치료방법 및 의약이 사람(인간)(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에게서 HIV 및 그밖의 다른 감염성 질병을 억제하는데 특히 유용하지만, 이들은 또한 개, 고양이, 새, 말, 소, 양, 돼지(pig 및 hog) 및 그밖의 다른 사육동물과 설치류 및 동물원에서 볼수 있는 그밖의 다른 동물과 같은 동물들의 바이러스성 및 세균성감염 및 감염성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수의과적 목적에 유용할 수도 있다.
유리하게도, 본 발명의 개선된 의약적 치료방법 및 의약은 예기치 않았던 놀라운 우수한 결과를 제공한다. 이것은 살미생물제 용액의 사용이 용이하기 때문에 비경구적 투여시에 즉각적인 흡수를 제공할 수 있다. 투여후에 미약한 자통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적용한지 수분내에 입안에서 약간의 약물 냄새가 있을 수 있다. 신규한 의약적 치료방법 및 의약의 초기 시험관내 시험에서는 HIV 바이러스에 대하여 매우 놀라운 억제효과가 입증되었다. 바람직하게는, 신규한 의약은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매약(over the counter; OTC) 화학물질 또는 제품으로부터 제조할 수 있으며, 안전하며 고통이 없고 경제적인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신규한 의약(의약적 조성물)은 미생물-원인성 질병으로부터 미생물 감염을 저해하고 억제하고 중지시키는 미생물 억제제를 포함한다. 미생물 억제제는 이하에 언급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정 식물의 적어도 일부분의 항미생물성 분리체, 식물성 추출물 또는 식물화학물질을 포함한다. 미생물 억제제는 HIV, 단순포진 바이러스 1(HSV 1), 단순포진 바이러스 2(HSV 2),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대상포진),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엡스타인 바르, 유두종 바이러스, 바이러스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성 파라인플루엔자, 아데노바이러스, 바이러스성 뇌염, 바이러스성 수막염, 아르보바이러스, 아레나바이러스, 피코르나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및 신스티알바이러스(synstialvirus)와 같은 바이러스성 질병을 억제하는 바이러스 억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미생물 억제제는 또한 봉와직염,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마이코박테리아, 세균성 뇌염, 세균성 수막염 및 혐기성 간균과같은 세균성 질병을 억제하는 세균억제제를 또한 함유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미생물 억제제가 진균억제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에키나세(Echinacea) 및 코모포라(Commophora)(또한 코미포라(Commiphora)라고도 불린다) 또는 다른 식물들이 의약에서 처리되지 않고 절단되지 않은 그들의 원재료 상태로 사용되지 않는다면 더 우수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더 더욱 우수한 결과를 위해서 의약에서는 아라비노즈, 베타인, 셀룰로즈, 구리, 프럭토즈, 지방산, 갈락토즈, 글루코즈, 철, 칼륨, 단백질, 수지, 슈크로즈 및 크실로즈의 사용을 배제시킬 수 있다.
개선된 의약적 치료방법은 상기의 감염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한다. 일부의 감염성 질환의 경우에는 감염의 외적인 증상 및 신체적인 징후가 감염된 영역 주위에서 소실되거나, 잔존하거나, 용해될 때까지 미생물 억제제를 감염된 영역(부위 또는 표면)상의 감염된 미생물상에 적용하여 유지시킬 수 있다. 의약은 림프절, 림프계, T-세포, 구강점막, 비점막, 질조직, 음순조직, 직장조직, 항문조직, 항문주위조직, 입술, 피부조직, 안조직, 결막 및 안검과 같은 미생물 감염영역에 의약을 시린지 주사하거나, 설하투여하거나, 벽내투여하거나, 분무하거나, 가볍게 두드리거나(dabbing), 산포시키거나(dusting), 면봉으로 바르거나(swabbing), 스폰지로 닦아내거나(sponging), 솔질하거나(brushing), 붓거나(pouring), 분배시키거나(dispensing), 덮어주거나(covering), 두껍게 피복시킴으로써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생물 억제제 또는 항미생물성 화합물은 시린지를 사용하여직장관 또는 질내로 전신적으로 적용시켜 HIV의 성적전파를 치료하거나 방지한다. 미생물 억제제 또는 항미생물성 화합물은 전술한 방식으로 1 일에 4-20 회씩, 4 내지 18 일간 연속적으로 적용시킴으로써 HIV에 의해 감염된 환자의 바이러스 부하량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즉 체내의 HIV 및 AIDS 바이러스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선된 의약, 의약적 조성물 또는 미생물 화합물은 계면활성제, 영양소 및 담체, 용매 또는 희석제와 배합하거나, 동시에 또는 공동으로 적용하여 살미생물성 의약용액을 제공하는 식물화학적 농축물이다. 영양소는 촉매, 활성화제, 식물화학적 개시제, 영양보충물, 및 보조담체로서 작용한다. 영양소는 수용성 비타민, 지용성 비타민, 비타민 A, 비타민 B 복합체(B 비타민 복합체),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5, 비타민 B6, 비타민 B12, 비타민 B15 및 바람직하게는 폴라신 또는 엽산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흥미있는 살미생물 용액은 식물추출물과 함께 항미생물성 세정제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의 혼합물, 알킬디메틸/에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n-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N-(C12C14C16)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벤잘코늄클로라이드, 옥틸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옥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알킬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디알킬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옥틸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라우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o-벤질-p-클로로페놀, 디데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옥틸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알킬(C14C12C16)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와 같은 탄소수 6-18 의 4 급 암모늄클로라이드를 단독으로 또는 몇개 함유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이며, 바람직하게는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가장 바람직하게는 벤잘코늄클로라이드를 함유한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활성 범위는 5% 내지 90% 일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8% 내지 20% 범위일 수 있다. 4 급 암모늄염은 시판품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DMSO, 글리콜산 계면활성제, 효소 계면활성제, 양성전해질 계면활성제, 양쪽성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같은 다른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도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계면활성제는 세정제, 습윤제, 유화제, 소포제, 및/또는 계면장력 저하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담체는 구성성분을 혼합시키고, 구성성분을 용액상태로 유지시키고, 분무기, 드로퍼(dropper) 또는 도포기를 사용하여 감염된 영역에 적용하는 용이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멸균 수성담체 및 용매가 최고의 결과를 제공하는데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 글리세린, 광유, 실리카, 면실유, 야자유, 식물유, 종자유, 어유 또는 동물유, 알콜, 탈크, 옥수수가루, 밀납, 카르나우바왁스, 베타 캐로틴, 마늘유, 장뇌유, 가용성 비타민, 가용성 무기질, 평지종자유, 견과유, 올리브유, 리포좀, 아스코르브산, 달맞이꽃유, 피크노게놀, 포도종자유, 라놀린, 에토신, 콜라겐, 알로에베라, 양봉화분, 로얄젤리, 황산콘드로이친 A, 바다식물, EDTA, 지방산, 식용식물(herbs), 레시틴, 바이오플라보노이드, 곡물유 또는 가루, 조류, 차류, 식초, 유산균, 세포염류, 아스코르브산, 하이드라 5, 선(glandulars), 아미노산, 차전자, 식물 유도체 또는 그밖의 다른 멸균담체와 같은 다른 액체 또는 고체 담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신규한 의약 및 의약적 치료에 포함되는 식물추출물, 항미생물성 분리체 또는 식물화학물질은 미라검(myrrha gum) 수지, 세퀴테르펜, 쿠르제논, 디하이드로푸라노디엔-6-온, 2-메톡시푸란디엔, 엘레몰, 아세트산, 알파-아미론, 아라비노즈, 알파-비스아볼렌, 감마-비스아볼렌, 카디넨, 캄페스테롤, 콜레스테롤, 시남알데히드, 코미페린, 알파-코미포르산, 베타-코미포르산, 감마-코미포르산, 코미포린산, m-크레졸, 큐믹알콜, 큐민알데히드, 디펜텐, 엘레몰, 3-에피-알파-아미린, 유게놀, 푸라노디엔, 풀노디에논, 갈락토즈, 검, 헤르아볼렌, 알파-헤르아보미롤, 베타-헤르아보미롤, 헤르아보레센, 리모넨, 4-O-메틸-글루쿠론산, n-노나세세인(nonacesane), 베타-시토스테롤, 크실로즈, 캐로필렌, 신더스티렌, 아라비노즈, 베타인, 구리, 에키나센, 에키나신 B, 에키나코사이드, 에티놀론, 효소, 프럭토즈, 지방산, 갈락토즈, 글루코즈, 글루쿠론산, 이눌린, 이눌로이드, 철, 펜타데카디엔, 폴리아세틸렌 화합물, 아라비노칼락탄과 같은(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사카라이드, 칼륨, 단백질, 수지, 람노즈, 슈크로즈, 황, 탄닌, 비타민 A, C 및 E, 알킬아미드, 아피게닌, 아라비노갈락타, 아스코르브산, 베헨산-에틸-산, 베타인, 보르네올, 보르닐-아세테이트, 카페인산, 2-O-카페오일-3-(5-알파카복시베타) 3,4-디하이드록시페닐, 2-O-카페오일-3-O-큐마로일타란산, 6-O-카페오일에키나코사이드, 2-O-카페오일-3-O-페루로일타르타르산, 2-O-카페오일타르타르산, 칼슘, 카보네이트, 베타 캐로틴, 캐로필렌, 캐로필렌-에폭사이드, 클로라이드, 클로르겐산, 시코르산, 시코르산-메틸-에스테르, 코발트, 시아나딘-3-O-(베타-d-글리코피라노사이드), 시나딘-3-(6-O-말로닐 베타-d-글리코피라노사이드), 시나린, 데카(2e,4e, 6e)트리에노산-이소부틸아미드, 데스-람노실베르바스코사이드, 3,5-디카페오일퀴닌산, 4,5-O-디카페오일퀴닌산, 2,3-O-디페루롤타르타르산, 도데카-(2e,4e)-디에노 산-이소부틸아미드, 도데카-2,4-디엔-1-일 이소발레레이트, 도데카(2e,6z,8e,10e)-테트라에노산-이소부틸아미드, 에피쇼부놀, 베타-파르네센, 2-O-페루로이타르타르산, 저마크렌, 헵타데카-(8z,11z)-디엔-2-온, 헤테로크실란, 휴물렌 8-12, (e)-10-하이드록시-4,10-디메틸-4,11 도데카디엔-2-온, 13-하이드록시옥타데카-(9z,11e, 15z)-트리에노산, 이눌린, 철, 이소클로로겐산, 이소람네틴-3-루티노사이드, 이소투실라긴, 캠페롤, 캠페롤-3-글루코사이드, 캠페롤-3-누티노사이드, 리모넨, 루테올린, 루테올린-7-글루코사이드, 마그네슘, 망간, 2-메틸테트라데카-5,12-디엔, 2-메틸테트라데카-6,12-디엔, 메틸-p-하이드록시신나메이트, 마르센, 나이아신, 팔미트산, 펜타데카-(8z,11z)-디엔-2-온, 펜타데카-(8z,13z)-디엔-11-린-3-온, 펜타데카-8-엔-2-온, 펜타데카-(8z)-엔-2-온, 펜타데카-(8z)-엔-11,13-디엔-2-온, 1-펜타데센, 펜타-(1,8z)-디엔, 인, 알파피넨, 베타피넨, 폴리아세틸렌, 폰티카에폭사이드, 칼륨, 단백질, 쿠에르세타게틴-7-글루코사이드, 쿠에르세틴, 쿠에르세틴-3-갈락토사이드, 쿠에르세틴-3-글루코사이드, 쿠에르세틴-3-로비노사이드, 쿠에르세틴-3-크실로사이드, 쿠에르세틴-3-크실로실갈락토사이드, 람노아라비노갈락탄, 리보플라빈, 루틴, 루토사이드, 셀레늄, 실리케이트, 베타-시토스테롤, 시토스테롤-3-베타 o-글루코사이드, 나트륨, 스티그마스테롤, 설페이트, 타르타르산, 테트라데카-(8z)-엔-11,13-디엔-2-온, 티아민, n-트리아콘타놀, 트리데카-1-엔-3,5,7,9,10-펜타인, 투실라긴, 바날린, 베르바스코사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 식물화학적 농축물은 아라비노즈, 베타인, 셀룰로즈, 구리, 프럭토즈, 지방산, 갈락토즈, 글리코즈, 철, 칼륨, 단백질, 수지, 슈크로즈 및 크실로즈를 제외한 상기의 식물화학물질을 포함한다.
식물추출물, 항미생물성 분리체 및 식물화학물질은 핌피넬라 애니섬 (pimpinella anisum), 미록실론(myroxylon), 아륵토스타필로스(arctostaphylos), 카룸(carum), 캅시쿰(capsicum), 유게니아 미타세(eugenia mytacea), 코리안드럼 (coriandrum), 이눌라(inula), 알리움(allium), 겐티아나(gentiana), 주니페루스 (juniperus), 칼렌둘라(calendula), 오리가눔(origanum), 멘타 라비에이트(mentha labiate), 코미포라(commiphora), 플란타고(plantago), 로즈마리누스(rosmarinus), 루타(ruta), 라미아세(lamiaceae), 멜리오사(meliosa), 밥티사(baptisa), 아르테미사(artemisa), 세이지(sage), 멘타(mentha), 파르테니움(parthenium), 인테그리폴리움(integrifolium), 유칼립투스(eucalyptus), 아스테리아세(asteriacea)와 같은 식물, 및 바람직하게는 (1) 아스테리카에(Astericaea)과의 에키나세 (Echinacea)속, 즉, 에키나세 푸르푸레아(Echinaceae purpurea), 에키나세 앙구스토폴리움(Echinacea angustofolium), (에키나세 팔리다에(Echinacea pallidae)), 에키나세 베지탈리스(Echincea vegetalis), 에키나세 아트리박틸루스(Echinacea atribac-tilus) 및 이들의 에키나세 팔리둠(pallidum) 및 재배변종(cultivars), 및 코모포라 (Commophora)속, 즉 코모포라 미라(Commophora myrrha), 코모포라 몰몰 (Comophora molmol), 코모포라 에리트라세(Commophora erythracea) 및 이들의 재배변종 식물의 일부분으로부터 분리, 추출 및 단리될 수 있다. 최상의 결과를 얻기 위한 식물화학물질 및 항미생물성 분리체는 에키나세 푸르푸레아, 에키나세 앙구스티롤리움 및 코모포라 미라의 추출물이다.
본 발명의 기술, 치료방법 및 의약은 매우 매력적이며 예기치못한 놀랍고 우수하며 일관된 결과를 제공한다. 시험은 살미생물제 용액(의약) 및 의약적 치료방법이 환자 및 환경에 대해 일반적으로 안전하면서도 HIV 감염을 조절하고, 표적세포에 대한 HIV 바이러스의 부착을 억제하고, 예방적 살미생물제로서 작용하며, HIV 및 그밖의 다른 질병의 잠복기를 연장시키고, HIV 및 다른 바이러스를 현격하게 억제하는데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더 상세한 설명은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공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살미생물제 및 치료방법은 인간면역결핍성 바이러스 또는 HIV 라고도 불리우는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를 억제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HIV 살미생물제 및 치료방법은 HIV 및 다른 감염성 미생물성 질병을 완전히 억제하며, 인간,동물 및 환경에 대해 안전하고 무독성이다.
HIV 살미생물제 및 치료방법은 계면활성제, 초본성 식물이 제공하는 식물추출물, 식물화학물질, 항미생물성 분리체, 항바이러스성 분리체, 미생물 억제제, 및 바이러스 억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살미생물제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수성 희석제; 영양소; 및 아스테리카에 과의 에키나세(E) 속에 속하는 종으로서 푸르푸레아, 앙구스티폴리아, 팔리다에, 베지탈리스, 아트리박틸루스 및 이들의 재배변종, 및 코모포라 속의 초본성 식물의 종으로서 코모포라 미라, 코모포라 몰몰, 코모포라 에리트라세 및 이들의 재배변종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초본성 식물은 코미포라 미라, 에키나세 푸르푸레아, 에키나세 팔리다에 및 에키나세 앙구스토폴리아에 존재하고 이들로부터 추출된 코미포라 식물화학물질 및 에키나세 식물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추출물 및 분리체이다. 최상의 결과를 위해서 의약적 치료방법 및 살미생물제(의약)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에키나세 푸르푸레아, 에키나세 앙구스토폴리아 및 코미포라 미라로부터 유도된 식물화학물질, 멸균 수성희석제 및 폴라신을 함유한다. 코미포라 미라 대 에키나세 푸르푸레아 및 에키나세 앙구스토폴리아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 이다.
계면활성제는 광범위 스펙트럼의 항미생물작용과 함께 세포표면 수준에서 특정의 창상청정화(debridement) 작용을 제공한다. 이러한 성질의 계면활성제에는 탄소수 6-18 의 4급 암모늄염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급 암모늄염 계면활성제는 알킬 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의 혼합물이며, 이것은 벤잘코늄할라이드, 벤잘코늄브로마이드, 벤잘코늄클로라이드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벤잘코늄클로라이드일 수 있다. HIV 치료에는 100% 활성 수용액이 포함될 수 있지만, 농축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용액은 0.005% 내지 0.8%,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30%, 가장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26%와 같은 다양한 중량기준 농도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식물 에키나세내의 식물화학물질은 세균, 바이러스 및 일부의 진균에 대하여 명백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살미생물제를 HIV 및 HSV 1 및 2 에 대하여 국소적으로 시험하였을 때, 이것은 단순포진 감염성 질병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시험관내에서 시험하였을 때, 이것은 HIV-1 및 HSV 1 및 2 에 대하여 억제활성을 나타낸다.
식물화학물질 농축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분리된 구성성분, 식물추출물, 미생물 억제제 및 항미생물성 분리체를 함유한다: 폴리사카라이드, 에키나센, 에키나세인, 에키나코사이드(카페인산 에스테르), 에키놀론, 에키나디올, 효소, 글루쿠론산, 이눌로이드, 펜타데카디엔, 폴리아세틸렌 화합물, 아라비노갈락탄, 람노즈, PS I(4-O-메틸글루코로노아라비녹실란, M, 35kD) 및 PS II(산 람노아라비노갈락탄, M, 450kD), 시나린(1,5-디-O-카페오일퀴닌산), 시코르산(2,3-O-디-카페오일타르타르산) 및 유도체, 알킬아미드, 케토-알킨 및 -알켄; 퀴논; 보르네올, 보르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한 오일; 펜타데카-8(z)-엔-2-온, 저마크렌 D; 캐리오필렌; 캐리오필렌 에폭사이드; 안토시아닌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 친유성 아미드, 이소부틸아미드; 폴리아세틸렌; 미라검 수지; 쿠르제레논(푸라호유데스만(furahoeudesmane) 형태); 디하이드로 푸아노디엔-6-온; 2-메톡시푸라노디엔(푸라노엘레멘(furanoele-mene)형태); 엘라몰; 린데스티렌(푸라노저마크레인(furanogermacrane) 형태); 알킬아미드, 아피게닌, 아라비노갈락타, 아스코르브산, 베헨산-에틸-산, 베타인, 보르네올, 보르닐-아세테이트, 카페인산, 2-O-카페오일-3-(5-알파 카복실베타) 3,4-디하이드록시페닐, 2-O-카페오일-3-O-쿠마로일타르타르산, 6-O-카페오일에키나코사이드, 2-O-카페오일-3-O-페룰로일타르타르산, 2-O-카페오일타르타르산, 칼슘, 카보네이트, 베타 캐로틴, 캐로필렌, 캐로필렌-에폭사이드, 클로라이드, 클로르겐산, 시코르산, 시코르산-메틸-에스테르, 코발트, 시아나딘-3-O-(베타-d-글리코피라노사이드), 시나딘-3-(6-O-말로닐 베타-d-글리코피라노사이드), 시나린, 데카(2e,4e,6e)트리에노산-이소부틸아미드, 데스-람노실베르바스코사이드, 3,5-디카페오일퀴닌산, 4,5-O-디카페오일퀴닌산, 2,3-O-디페루롤타르타르산, 도데카-(2e,4e)-디에노산-이소부틸아미드, 도데카-2,4-디엔-1-일이소발레레이트, 도데카(2e,6z,8e,10e)-테트라에노산 -이소부틸아미드, 에피쇼부놀, 베타-파르네센, 2-O-페루로이타르타르산, 저마크렌, 헵타데카-(8z,11z)-디엔-2-온, 헤테로크실란, 휴물렌 8-12, (e)-10-하이드록시-4,10-디메틸-4,11-도데카디엔-2-온, 13-하이드록시옥타데카-(9z,11e,15z)-트리에노산, 이눌린, 철, 이소클로로겐산, 이소람네틴-3-루티노사이드, 이소투실라긴, 캠페롤, 캠페롤-3-글루코사이드, 캠페롤-3-누티노사이드, 리모넨, 루테올린, 루테올린-7-글루코사이드, 마그네슘, 망간, 2-메틸테트라데카-5,12-디엔, 2-메틸테트라데카-6,12-디엔, 메틸-p-하이드록시신나메이트, 마르센, 나이아신, 팔미트산, 펜타데카-(8z,11z)-디엔-2-온, 펜타데카-(8z,13z)-디엔-11-린-3-온, 펜타데카-8-엔-2-온, 펜타데카-(8z)-엔-2-온, 펜타데카-(8z)-엔-11,13-디엔-2-온, 1-펜타데센, 펜타-(1,8z)-디엔, 인, 알파피넨, 베타피넨, 폴리아세틸렌, 폰티카에폭사이드, 칼륨, 단백질, 쿠에르세타게틴-7-글루코사이드, 쿠에르세틴, 쿠에르세틴 -3-갈락토사이드, 쿠에르세틴-3-글루코사이드, 쿠에르세틴-3-로비노사이드, 쿠에르세틴-3-크실로사이드, 쿠에르세틴-3-크실로실갈락토사이드, 람노아라비노갈락탄, 리보플라빈, 루틴, 루토사이드, 셀레늄, 실리케이트, 베타-시토스테롤, 시토스테롤-3-베타 o-글루코사이드, 나트륨, 스티그마스테롤, 설페이트, 타르타르산, 테트라데카-(8z)-엔-11,13-디엔-2-온, 티아민, n-트리아콘타놀, 트리데카-1- 엔-3,5,7,9,10-펜타인, 투실라긴, 바날린, 베르바스코사이드 세스퀴테르펜, 아세트산, 알파-아미론, 아라비노즈, 알파-비스아볼렌, 감마-비스아볼렌, 카디넨, 캄페스테롤, 콜레스테롤, 신남알데히드, 코미페린, 알파-코미포르산, 베타-코미포르산, 감마-코미포르산, 코미포린산, m-크레졸, 큐믹알콜, 큐민알데히드, 디펜텐, 엘레몰, 3-에피-알파-아미린, 유게놀, 푸라노디엔, 푸라노디에논, 갈락토즈, 검, 헤르아볼렌, 알파-헤르아보미롤, 베타-헤르아보미롤, 헤르아보레센, 리모넨, 4-O-메틸-글루쿠론산, n-노나세세인, 베타-시토스테롤, 크실로즈, 캐로필렌, 미라검 수지, 쿠르제논, 디하이드로 푸아노디엔-6-온 및 2-메톡시푸란디엔.
최상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 식물화학물질 농축물의 항미생물성 분리체는 중량 기준(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의 총중량 기준)으로 에키나코사이드 0.3-9%; PS I (4-O-메틸글루코로노아라비녹실란, M, 35kD) 및 PS II(산 람노아라비노갈락탄, M, 450kD) 0.1-7%; 시나린(1,5-디-O-카페오일퀴닌산) 및 치코린산(2,3-O-디-카페오일타르타르산) 및 유도체 0.1-10%; 에키놀론 0.2-4%; 에키나신 B 0.2-8%; 에키나세인0.1-6%; 시아니딘 3-O-β-D-글루코노피라노사이드 및 3-O-(6-O-말로닐-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를 함유하는 안토시아닌 0.2-7%; 투실라긴 및 이소투실라긴을 함유하는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 0.01-0.06%; 이성체성 도데카 이소부틸아미드 및 2E,4E,8Z,10E/Z-테트라에노산 0.003-0.009%; 캐리오필렌 0.01-2%; 및 미라검 수지, 쿠르제논, 디하이드로 푸아노디엔-6-온, 2-메톡시푸란디엔, 린더스티렌 세스퀴테르펜, 아세트산, 알파-아미론, 아라비노즈, 알파-비스아볼렌, 감마-비스아볼렌, 카디넨, 캄페스테롤, 콜레스테롤, 신남알데히드, 코미페린, 알파-코미포르산, 베타-코미포르산, 감마-코미포르산, 코미포린산, m-크레졸, 큐믹알콜, 큐민알데히드, 디펜텐, 엘레몰, 3-에피-알파-아미린, 유게놀, 푸라노디엔, 푸라노디에논, 갈락토즈, 검, 헤르아볼렌, 알파-헤르아보미롤, 베타-헤르아보미롤, 헤르아보레센, 리모넨, 4-O-메틸-글루쿠론산, n-노나세세인, 베타-시토스테롤, 크실로즈, 캐로필렌 및 린더스티렌을 포함하는 카모포라 미르 식물화학물질을 함유한다.
식물화학물질 농축물은 중량기준으로 의약조성물 및 용액 2%-90%를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및 용액 15% 이상을 함유하고, 최상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의약조성물 및 용액 40%-60% 를 함유한다.
희석제는 벤잘코늄클로라이드(게면활성제) 및 식물화학물질 농축물을 용해시키며, 스프레이, 튜브 및 트로퍼 병에서 담체로서 작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희석제는 수성 희석제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멸균 수성 희석제이다. 벤잘코늄클로라이드에 대한 수용액중의 물의 비는 30,000:1 내지 250:1, 바람직하게는 4:1 내지 40:1의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최상의 결과를 위해서는 6:1 내지 20:1 의비로 포함할 수 있다.
최상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 헤르페스용의 개선된 살미생물성 치료방법 및 의약(살미생물제)은 중량기준으로 벤잘코늄클로라이드 0.02% 내지 0.3% 및 독성을 피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0.26% 미만; 에키나세 및 코모포라 식물화학물질 40% 내지 60%; 영양소 0.01% 내지 25%,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 및 멸균수 20% 내지 60%, 가장 바람직하게는 29.74% 내지 59.8% 를 함유한다. 의약(살미생물제)은 바람직하게는 영양적 담체로서 작용하며, 코모포라 미라, 에키나세 푸르푸레아 및 에키나세 앙구스토폴리아와 배합시켰을 때는 상승적 효과를 제공하는 비타민 영양소이다. 영양소는 다음 성분들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비타민 A, 비타민 B 복합체,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 수용성 비타민, 지방가용성 비타민,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5, 비타민 B6, 비타민 B12, 비타민 B15 및 바람직하게는 폴라신 또는 엽산.
물이 바람직한 희석제 및 수성 담체이지만, 경우에 따라 시린지 또는 스프레이어를 통해 농축물을 분출시키기 위해서, 또는 더 큰 용해도 및 효능을 얻기 위해서 다른 담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점도조절제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또한, 개선된 의약의 저장수명은 2 년으로 예정되어 있지만, 적절한 첨가제를 가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HIV에 대한 예방목적의 살미생물제로서의 바람직한 사용을 위해서, 의약용액(의약)은 전신적으로, 질내로 또는 직장내로 적용하여야 한다. 의약의 적용방법은 시린지를 통하거나, 분무하거나, 두드리거나, 드로퍼를 이용하거나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용액(의약)의 적용 또는 피복은 성교중에 유지되어야 한다. 음이온성 비누 및 양이온성 세정제 및 특히 단백질 함유 비누는 사용이 금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의약을 적용하기 전에 적용부위를 세척하고 세정하고 건조시켜야 한다. HIV 항바이러스제로서의 처리를 위해서 의약은 직장 또는 질내로 치료용량을 시린지로 주사하거나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벤잘코늄클로라이드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벤잘코늄클로라이드이다. 수용액 상태의 벤잘코늄클로라이드는 사노피 윈드롭 파마슈티칼스(Sanofi Winthrop Pharmaceuticals)(이전의 Winthrop Labs.)에 의해 제피란(Zephiran)이라는 상표 및 상품명으로 배포되고 있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다. 벤잘코늄클로라이드는 중등도의 작용지속기간을 가지며 신속하게 작용하는 항-감염성 계면활성제이다. 계면활성제는 세균 및 일부의 바이러스, 진균 및 원생동물에 대하여 활성이 있다. 세균성 포자는 내성인 것으로 생각된다. 벤잘코늄클로라이드의 용액은 농도에 따라서 정균 또는 살균성을 나타낸다. 벤잘코늄클로라이드의 세균성 작용의 정확한 작용기전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효소 불활성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벤잘코늄클로라이드의 활성은 일반적으로 온도 및 pH 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그람-양성 세균은 그람-음성 세균에 비해 벤잘코늄클로라이드에 대해 더 감수성이 있다.
불행하게도, 벤잘코늄클로라이드는 비누, 음이온성 세정제, 혈청 및 특정의 단백질에 의해 불활성화된다. 상기한 이유로 벤잘코늄클로라이드는 많은 실험실에서 관심밖의 물질이다. 벤잘코늄클로라이드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생체내에서 국소적으로 시험하면, 이것은 단순포진 감염성 질병에 대해 효과가 없었다. HSV 1 및 2 에 대하여 시험관내에서 시험하면 벤잘코늄클로라이드는 높은 희석도에서 조차도 세포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은 높은 수준의 독성을 나타내었으며 이것은 의약적으로 허용될 수 없다. 벤잘코늄클로라이드의 화학식은 이하에서 보는 바와 같다. 다른 형태의 벤잘코늄클로라이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벤잘코늄클로라이드
식물화학물질
처리되지 않고 가공되지 않았으며 분리되지 않은 원재료 상태의 에키나세 (Echinacea)는 일반적으로 HIV 및 헤르페스를 벽내투여하여 치료하는데 바람직하지 않지만, 적절히 여과하면 근육내투여를 실행할 수도 있다. 중요하게도, 에키나세 및 코미포라(상술한 바와 같음)의 분리된 구성성분 및 식물추출물의 일부(전부는 아님)는 HIV, 헤르페스 바이러스 및 다른 감염성 질병을 치료하는데 유효한 것으로 보이는 항미생물 활성을 갖거나 나타내는 식물화학물질, 항미생물성 분리체, 식물추출물 및 미생물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식물화학물질 농축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분리된 구성성분, 식물추출물, 미생물성 억제제 및 항미생물성 분리체를 포함한다: 폴리사카라이드, 에키나센, 에키나세인, 에키나코사이드(카페인산 에스테르), 에키놀론, 에키나디올, 효소, 글루쿠론산, 이눌로이드, 펜타데카디엔, 폴리아세틸렌 화합물, 아라비노갈락탄, 람노즈, PS I(4-O-메틸글루코로노아라비녹실란, M, 35kD) 및 PS II(산 람노아라비노갈락탄, M, 450kD), 시나린(1,5-디-O-카페오일퀴닌산), 시코르산(2,3-O-디-카페오일타르타르산) 및 유도체, 알킬아미드, 케토-알킨 및 -알켄; 퀴논; 보르네올, 보르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한 오일; 펜타데카-8(z)-엔-2-온, 저마크렌 D; 캐리오필렌; 캐리오필렌 에폭사이드; 안토시아닌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 친유성 아미드, 이소부틸아미드; 폴리아세틸렌; 미라검 수지; 쿠르제레논(푸라호유데스만 (furahoeudesmane) 형태); 디하이드로 푸아노디엔-6-온; 2-메톡시푸라노디엔(푸라노엘레멘(furanoelemene) 형태); 엘라몰; 린데스티렌(푸라노저마크레인(furanoger-macrane) 형태); 알킬아미드, 아피게닌, 아라비노갈락타, 아스코르브산, 베헨산-에틸-산, 베타인, 보르네올, 보르닐-아세테이트, 카페인산, 2-O-카페오일-3-(5-알파 카복실베타) 3,4-디하이드록시페닐, 2-O-카페오일-3-O-쿠마로일타르타르산, 6-O-카페오일에키나코사이드, 2-O-카페오일-3-O-페룰로일타르타르산, 2-O-카페오일타르타르산, 칼슘, 카보네이트, 베타 캐로틴, 캐로필렌, 캐로필렌-에폭사이드, 클로라이드, 클로르겐산, 시코르산, 시코르산-메틸-에스테르, 코발트, 시아나딘-3-O-(베타-d-글리코피라노사이드), 시나딘-3-(6-O-말로닐 베타-d-글리코피라노사이드), 시나린, 데카(2e,4e,6e)트리에노산-이소부틸아미드, 데스-람노실베르바스코사이드, 3,5-디카페오일퀴닌산, 4,5-O-디카페오일퀴닌산, 2,3-O-디페루롤타르타르산, 도데카-(2e,4e)-디에노산-이소부틸아미드, 도데카-2,4-디엔-1-일이소발레레이트, 도데카(2e,6z,8e,10e)-테트라에노산-이소부틸아미드, 에피쇼부놀, 베타-파르네센, 2-O-페루로이타르타르산, 저마크렌, 헵타데카-(8z,11z)-디엔-2-온, 헤테로크실란, 휴물렌 8-12, (e)-10-하이드록시-4,10-디메틸-4,11-도데카디엔-2-온, 13-하이드록시옥타데카-(9z,11e,15z)-트리에노산, 이눌린, 철, 이소클로로겐산, 이소람네틴-3-루티노사이드, 이소투실라긴, 캠페롤, 캠페롤-3-글루코사이드, 캠페롤-3-누티노사이드, 리모넨, 루테올린, 루테올린-7-글루코사이드, 마그네슘, 망간, 2-메틸테트라데카-5,12-디엔, 2-메틸테트라데카-6,12-디엔, 메틸-p-하이드록시신나메이트, 마르센, 나이아신, 팔미트산, 펜타데카-(8z,11z)-디엔-2-온, 펜타데카-(8z,13z)-디엔-11- 린-3-온, 펜타데카-8-엔-2-온, 펜타데카-(8z)-엔-2-온, 펜타데카-(8z)-엔-11,13-디엔-2-온, 1-펜타데센, 펜타-(1,8z)-디엔, 인, 알파피넨, 베타피넨, 폴리아세틸렌, 폰티카에폭사이드, 칼륨, 단백질, 쿠에르세타게틴-7-글루코사이드, 쿠에르세틴, 쿠에르세틴-3-갈락토사이드, 쿠에르세틴-3-글루코사이드, 쿠에르세틴-3-로비노사이드, 쿠에르세틴-3-크실로사이드, 쿠에르세틴-3-크실로실갈락토사이드, 람노아라비노갈락탄, 리보플라빈, 루틴, 루토사이드, 셀레늄, 실리케이트, 베타-시토스테롤, 시토스테롤-3-베타 o-글루코사이드, 나트륨, 스티그마스테롤, 설페이트, 타르타르산, 테트라데카-(8z)-엔-11,13-디엔-2-온, 티아민, n-트리아콘타놀, 트리데카-1- 엔-3,5,7,9,10-펜타인, 투실라긴, 바날린, 베르바스코사이드 세스퀴테르펜, 아세트산, 알파-아미론, 아라비노즈, 알파-비스아볼렌, 감마-비스아볼렌, 카디넨, 캄페스테롤, 콜레스테롤, 신남알데히드, 코미페린, 알파-코미포르산, 베타-코미포르산, 감마-코미포르산, 코미포린산, m-크레졸, 큐믹알콜, 큐민알데히드, 디펜텐, 엘레몰, 3-에피-알파-아미린, 유게놀, 푸라노디엔, 푸라노디에논, 갈락토즈, 검, 헤르아볼렌, 알파-헤르아보미롤, 베타-헤르아보미롤, 헤르아보레센, 리모넨, 4-O-메틸-글루쿠론산, n-노나세세인, 베타-시토스테롤, 크실로즈, 캐로필렌, 린더스티렌, 캐로필렌, 미라검 수지, 쿠르제논, 디하이드로 푸아노디엔-6-온, 2-메톡시푸란디엔 및 린더스티렌.
에키나세(Echinacea)의 식물추출물중의 일부의 화학식은 이하에 제시하였다:
에키나코사이드
코미포리아 미라(Commiohoria myrrha)의 식물추출물중의 일부의 화학식은 이하에 나타내었다.
몰약(myrrha)은 또한 때때로 미르(myrrh), 미레(mirre), 미리스(myrrhis), 거미미라(gummi myrrha), 미라베라(myrrha vera), 검미르(gum myrrh), 코미포라 수지, 그루갈검(gruggal gum), 그루갈 수지, 헤르아볼 미르(Heerabol myrrh), 미레(myrrhe), 마닐리치 미레(Manniliche myrrhe), 오포파낙스(Opopanax) 및 히라볼 미르(Hirabol myrrh)라고도 불린다. 몰약은 코미포라 미르 속의 나무, 즉 미르 나무의 껍질에서 만들어진 절단부위들로부터 수득된 검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몰약은 또한 발사모덴드론 미라(Balsamodendron myrrha), 즉 아라비안 미르틀 (Arabian myrtle), 뷰라셔스(buraceous) 나무로부터 얻은 방향성 쥬스(balsamic juice)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몰약은 또한 때때로 스윗트 시설리(sweet cicely)라고도 불리는 오스모리자(Osmorhiza) 또는 워싱토니아(Washingtonia)로부터 추출될 수도 있다. 몰약 나무는 에리트리아(Erythrea), 아비시니아(Abyssinia), 소말리아(Somalia), 예멘(Yemen), 수단(Sudan) 및 그밖의 다른 지역에서의 자생종이다.
몰약-생성 코미포라종은 줄기상에 크고 끝이 뾰족한 가시를 갖는 관목 또는작은 나무이다. 불균일한 세개의 잎은 엇갈려 나 있으며 작은 꽃이 말단 원추화서에 나 있다. 손상을 입으면, 이생(schizogeneous) 수지도관은 약물 몰약을 생성한다.
몰약은 코미포라 종의 나무껍질로부터 삼출되는 공기-건조된 올레오-검 (oleo-gum) 수지이다. 이 물질은 구멍이 있으며 암갈색 및 거의 흑색내지 연하거나 진한 오렌지-갈색의 색상 범위를 갖고, 일부는 황색 또는 무색 내지는 연황색일 수도 있는 다양한 크기의 불규칙하며 둥근 그레인 또는 덩어리(lumps)를 포함한다. 표면은 대부분 회색 내지 황회색 분말로 덮여있으며, 부러진 부분은 패각상이며, 얇고 반투명한 단편을 생성한다. 몰약은 달콤한 향기와 거칠고 아롬성(aromic)인 배열을 갖는다. 몰약은 쓰고 방향성인 맛을 가질 수 있다. 몰약은 자극성이 있을 수 있으며 씹었을 때 치아에 부착할 수 있다.
코미포라 몰몰 및 그밖의 다른 코미포라 종은 그들의 검-수지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한은 몰약 DAB 10 의 조성과 동등하다. 몰약의 공급원 및 포함된 코미포라 종의 동일성에 관하여 문헌에서는 상당한 혼동이 있다. 통상의 (또는 히라볼 (hirabol)) 몰약은 코미포라 미라로부터 유도되는 것으로 보인다. 소말리아 몰약은 코미포라 몰몰로부터 유래하는 것으로 언급되고 있다. 그러나, 코미포라 미라와 코미포라 몰몰과의 계통적인(생물분류학적인) 관계는 불명확하다. 아비시니안 몰약의 공급원은 코미포라 마다가스카리엔시스(Commiphora madagascariensis) 또는 코미포라 아비시니카(Commiphora abyssinica)이다. 비사몰 미르 또는 향기가 있는 브델리움(perfumed bdellium)으로도 또한 불리는 오포파낙스(Opopanax)는 코미포라 에리트라에(Commiphora erythraea)(Ehrenb) 또는 오포파낙스로부터 유래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몰약의 조성은 매우 복잡하며 에탄올에 가용성인 몰약의 40-60%로부터 단지 부분적으로만 알려져 있고, 수지 및 정유를 함유한다. 몰약은 거의 대부분이 세스퀴테르펜으로 구성된다. 세스퀴테르펜의 주성분은 저마크렌 엘레만, 유데스만 및 구아이안 형태의 푸라노세스퀴테르펜이다. 또한, 여기에는 세스퀴테르펜 탄화수소, 예를들어 β 및 δ-엘레멘, β-보르보넨, β-캐리오필렌, 휴물렌 및 세스퀴테르펜 알콜, 예를들어 엘레몰이 존재한다. 예상컨대, 푸라노세스퀴테르펜의 일부가 약제학적 몰약의 특징이다. 조 검상 또는 조 점질상 몰약은 단백질 20% 및 갈락토즈, 4-O-메틸글루쿠론산 및 아라비노즈로 구성된 탄수화물 65%를 포함한다. 코모포라 미라의 식물화학물질에는 아세트산, 알파-아미론, 아라비노즈, 알파-비스아볼렌, 감마-비스아볼렌, 카디넨, 캄페스테롤, 콜레스테롤, 신남알데히드, 코미페린, 알파-코미포르산, 베타-코미포르산, 감마-코미포르산, 코미포린산, m-크레졸, 큐믹알콜, 큐민알데히드, 디펜텐, 엘레몰, 3-에피-알파-아미린, 유게놀, 푸라노디엔, 푸라노디에논, 갈락토즈, 검, 헤르아볼렌, 알파-헤르아보미롤, 베타-헤르아보미롤, 헤르아보레센, 리모넨, 4-O-메틸-글루쿠론산, n-노나세세인, 베타-시토스테롤, 크실로즈, 캐로필렌, 몰약 검 수지, 쿠르제논, 디하이드로 푸아노디엔-6-온, 2-메톡시푸란디엔 및 린더스티렌을 함유한다.
몰약의 팅크제는 항염효과를 가질 수 있다. 육안 및 현미경적으로 몰약은 물중에서 팽윤하는 미세한 과립상 물질과 함께 다양한 크기의 황색을 띤 세편 또는구형 그레인으로 특정화되는 갈색을 띤 황색분말로서 나타날 수 있다. 클로랄-하이드레이트 마운트에는 단지 식물 공급원으로부터 유래하는 단지 몇개의 조직단편이 있는데, 즉 각각 및 단체로 다면체 내지 직사각형의 석세포이며 부분적으로 사당히 두꺼워지고, 얽은 자국이 있으며 목질화된 벽과 갈색 내용물이 있는 코르크층의 적갈색 단편들; 얇은 벽을 갖는 실질성 및 경막조직성 섬유 및 10-25㎛ 의 칼슘옥살레이트의 불규칙한 프리즘상 내지 다면체 결정들의 단편들이다.
몰약은 잘 밀폐된 용기내에서 광선 및 습기로부터 보호하여야 한다. 약물의 탄수화물 부분이 쉽게 물을 흡수하기 때문에 건조제를 가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몰약은 분말 형태로 저장하지는 않아야 한다.
엽산
최상의 결과를 제공하는 바람직한 영양소는 엽산이다. 폴라신, 프테로일글루탐산, 폴딘, 폴라에민, 폴리아민, 폴리세트, 폴리파크, 폴렛츠, 폴산, 폴바이트, 인카폴릭, 밀라폴 또는 사이토폴이라고도 불리우는 엽산은 세포 성장 및 복제에 필수적인 B 복합체 그룹의 황색 결정성의 수용성 비타민이다. 엽산은 단백질의 파괴 및 이용 및 헤모글로빈내의 핵산과 헴의 형성에 있어서 비타민 B12및 비타민 C 와 함께 조효소로서 작용한다. 엽산은 또한 식욕을 증진시키고 소화기계내의 염산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엽산은 간내에 저장되며 위장관계의 세균총에 의해 합성될 수도 있다. 엽산의 결핍은 성장 불량, 모발의 노화, 설염, 구내염, 위장관 병변, 및 설사를 야기시킬 수 있으며, 거대적아구성 빈혈을 일으킬 수도 있다.엽산의 결핍은 식사에 의한 비타민의 부적합한 섭취, 흡수장애 또는 대사이상에 의해 야기된다. 엽산의 필요성은 임신기, 영아기 및 스트레스시에 증가된다. 엽산은 열 및 광선 둘다에 대해 불안정하며, 장기간 동안 저장하게 되면 상당한 비타민의 손실이 일어난다. 엽산은 비독성이며 특정한 결핍상태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엽산의 화학식은 이하에 제시하는 바와 같다.
엽산(프테로일글루탐산)
엽산의 구조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프테로일글루탐산(엽산)
엽산 분자는 글루탐산, p-아미노벤조산 및 프테린을 함유하며, 프테린과 p-아미노벤조산과의 조합을 프테로시드산이라고 부른다. 제시된 구조는 간의 프테로일글루탐산이다. 세균에 의해 생성된 엽산은 γ-글루타민 결합에 의해 결합된 3 개의 글루탐산 잔기를 함유한다. 많은 동물조직은 프테로일헵타글루탐산을 함유하며, 여기에서도 글루탐산 잔기들은 또한 γ-글루타밀 결합으로 존재한다. 글루탐산 분자들이 α-글루타밀 결합으로 연결된 합성 프테로일폴리글루탐산은 세균성장 시험에서 활성이 있으며, 프테로일-γ-글루탐산은 세균에 대해서 및 인간의 대적혈구성 빈혈의 치료시에 모두 효과적이다. 동물조직내의 효소는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프테로일폴리글루타메이트 화합물을 프테로일모노글루탐산과 유리 글루탐산으로 가수분해시킨다.
프테로일글루탐산(PteGlu1)의 또 다른 구조는 이하에 나타내었다.
프테오리글루탐산(엽산)의 구조 및 명명.
엽산 분자의 주요부분은 아미드 결합에 의해 글루탐산에 결합된 파라아미노벤조산에 메틸렌 브릿지(bridge)에 의해연결된 프테리딘환을 포함한다. 프테로일글루탐산이 엽산의 공통적인 약제학적 형태이지만, 이것은 음식물내의 주된 엽산염동종도 아니고 세포내 대사를 위한 활성 조효소도 아니다. 흡수된 후에 PteGlu1는 5, 7, 7 및 8 위치에서 빠르게 환원되어 테트라하이드로엽산(H4PteGlu1)이 되고, 이것은 그후에 다수의 단일-탄소단위의 수용체로서 작용한다. 이들은 프테리딘환의 5 또는 10 위치에서 결합하거나 이들 원자를 브릿지시켜 새로운 5-원환을 형성시킨다.
비타민 B12및 엽산은 인간을 위한 식이성 필수물질이다. 이들 비타민의 결핍은 염색체의 복제 및 분열을 시도하는 어떤 세포에서 DNA의 불완전한 합성을 일으킨다. 최대의 세포교체율을 갖는 조직은 가장 격렬한 변화를 나타내기 때문에, 조혈계는 특히 이들 비타민의 결핍에 대하여 민감하다. 임상적으로, 결핍의 가장 빠른 증상은 거대적아구성 빈혈이며, 여기에서는 DNA 합성에 있어서의 장애가 골수에서 전구체 세포의 특징적인 형태학적 이상을 야기시킨다. 비정상적인 대적혈구성 적혈구가 생성되며, 환자는 심한 빈혈 상태가 된다.
메틸코발라민은 엽산염의 정상적인 대사에 필수적인 메티오닌 합성반응을 지지한다. 메틸테트라하이드로폴레이트(CH3H4PteGlu1)에 의해 제공된 메틸 그룹은 메틸코발라민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며, 이 메틸코발라민은 그후에 호모시스테인이 메티오닌으로 전환되는데 필요한 메틸 그룹 공여체로서 작용한다. 이 엽산염-코발라민 상호작용은 퓨린 및 피리미딘의 정상적인 합성을 위해 중추적인 것이며, 따라서 DNA의 합성에 중추적인 것이다. 메티오닌 합성효소 반응은 엽산염 조인자의 재순환의 조절; 폴릴폴리글루타메이트의 세포내 농도의 유지; 및 메티오닌 및 그의 생성물인 S-아데노실메티오닌의 합성을 통한 다수의 메틸화 반응의 유지에 크게 관여한다. 메틸테트라하이드로폴레이트는 세포에 공급된 주된 엽산염 동종이기 때문에 메틸 그룹이 코발라민으로 전이되는 것은 다수의 대사단계의 기질인 테트라하이드로폴레이트(H4PteGlu1)의 적절한 공급을 위해 필수적이다. 테트라하이드로폴레이트는 세포내 폴릴폴리글루타메이트의 형성을 위한 전구체이며, 이것은 또한 5,10-메틸렌테트라하이드로폴레이트(5,10-CH2H4PteGlu1)이 형성되면서 세린이 글리신으로 전환될 때 단일-탄소단위의 수용체로서 작용한다. 후자의 유도체는 DNA 합성시에 매우 중요한 반응인 티미딜레이트의 합성을 위해 메틸렌 그룹을 데옥시유리딜레이트에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5,10-CH2H4PteGl은 디하이드로폴레이트 (H2PteGlu)로 전환된다. 그후 이 사이클은 디하이드로폴레이트 환원효소에 의해 H2PteGlu를 H4PteGlu로 환원시킴으로써 완결되며, 이 단계는 메토트렉세이트와 같은 엽산염 길항제에 의해 차단된다. 다른 경로로도 5,10-메틸렌테트라하이드로폴레이트의 합성이 유도된다.
표 A: 엽산의 생합성
엽산의 생합성은 다음과 같이 도시된다. 기호 ppp는 트리포스페이트를 나타낸다.
엽산염은 CH3H4PteG1로서 조직에 수송될 수 있다. 간은 PteGlu1(및 H2또는 H4PteGlu1)를 능동적으로 환원시키고 메틸화시킨 다음에, CH3H4PteGlu1를 장에서 재흡수시키기 위해 담즙내로 수송하고, 이어서 조직으로 전달한다. CH3H4PteGlu1는 메틸코발라민의 형성을 위한 메틸 공여체로서 및 전술한 바와 같이 H4PteGlu 및 다른 엽산염 동종의 공급원으로서 작용한다. 엽산염은 폴리글루타메이트로서 세포내에 저장된다.
계면활성제
벤잘코늄클로라이드가 최상의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바람직한 계면활성제이지만, 경우에 따라 다른 4급 암모늄 계면활성제 또는 그밖의 다른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4급 암모늄 화합물은 디코코알킬디메틸클로라이드 또는 디코코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또는 디-C8-18-알킬디메틸클로라이드로서도 알려져 있는 디코코디모늄클로라이드일 수 있다. 이것은 20-30% 이소프로판올과 같은 이소프로판올과의 배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4급 화합물의 바람직한 공급원은 4급 암모늄 화합물 70-80% 및 메틸클로라이드 0.03% 미만을 함유하며, 115℉에서 약 0.87의 비중, 68℉에서 33㎜/Hg의 증기압, 760㎜/Hg에서 180℉의 초기비점 및 20-30%의 휘발성을 갖고, 위트코 코포레이션(Witco Corporation, Dublin, Ohio, USA)에 의해 카스프레이 (CarSpray) 300이라는 상표로 생산된다. 4급 화합물은 살균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진균 및 효모 감염증을 치료하는 살진균제로서 작용한다.
제트코 케미칼스 인코포레이티드(Jetco Chemicals Inc., Corsicana, Texas, USA)에 의해 젯트 콰트(Jet Quat) 2C-75라는 상표로 생산되거나, 위트코 코포레이션(Witco Corporation, Dublin, Ohio, USA)에 의해 카스프레이 400 및 카르나우바 스프레이(Carnauba Spray) 200이라는 상표로 생산되거나, 또는 스테판 컴파니 (Stephan Comapny, Northfield, Illinois, USA)에 의해 BTC 2125M이라는 상표로 시판되고 있는 것과 같이 9% 변성 에틸알콜을 함유하는 것이거나, 매손 케미칼 컴파니(Mason Cehmical Comapny, Arlington Heights, Illinois, USA)에 의해 생산되는 n-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다음과 같음 마쿠아트 (MAQUAT) 제품 LC-12S(67% C12, 25% C14, 7% C16, 1% C18), MC 1416(5% C12, 60% C14, 30% C16, 5% C18), MC1412(40% C12, 50% C14, 10% C16), SC-18 스테아릴 페이스트 또는 플레이크(5% C16, 95% C18), TC-76 또는 MQ-2525(5% C12, 60% C14, 30% C16 및 5% C18) 및 MC6025-50%(25% C12, 60% C14 및 15% C16)와 같은 그밖의 다른 4급 암모늄 화합물이 유용할 수도 있다. 젯트 콰트 2C-75 는 디코코디메틸 4급 암모늄클로라이드 50-75%, 이소프로필알콜 20-50%를 함유하며, 0.88의 비중 및 180℉의 비점을 갖는다. 카스프레이 400은 4급 암모늄 화합물 55-65%, C14-18 및 C16-18 뷸포화되고 알킬 에톡실화된 아민 20-30%, 이소프로판올 10-20% 및 메틸클로라이드 0.03% 미만을 함유하며, 75℉에서 약 0.88의 비중, 68℉에서 33㎜/Hg의 증기압, 760㎜/Hg에서 180℉의 초기비점 및 10-20%의 휘발성을 갖는다. 카르나우바 스프레이 200은 4급 암모늄 화합물 50-60%, 이소프로판올 10-20%, 물 15-25%, 알콕실화 카르나우바왁스 1-10% 및 메틸클로라이드 0.03% 미만을 함유하며, 80℉에서 약 0.90의 비중, 68℉에서 33㎜/Hg의 증기압, 760㎜/Hg에서 180℉의 초기비점 및 20-40%의 휘발성을 갖는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수용액중에서 이온화하지 않는 계면활성 화합물이다. 때때로, 이들은 그 구조내에 산소화쇄(예를들어, 폴리-옥시에틸렌쇄)가 존재하기 때문에 친수성의 특성을 가지며, 이 분자의 친유성 부분은 지방산, 페놀, 알콜, 아미드 또는 아민으로부터 유도된다. 화합물의 예로는 알킬페놀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축합물, 예를들어 1 몰의 노닐페놀과 10 몰의 에틸렌옥사이드로부터 형성된 축합생성물, 및 지방족 알콜과 에틸렌옥사이드의 축합생성물, 예를들어 1 몰의 트리데칸올과 12 몰의 에틸렌옥사이드로부터 형성된 축합생성물이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에틸렌옥사이드와 알킬페놀 또는 지방족 알콜의 축합생성물을 포함하는 페놀에톡실레이트를 함유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T-DET와 같은 노노페놀 에톡실레이트 및/또는 옥타페놀 에톡실레이트를 포함한다. 에틸렌옥사이드에 대한 페놀의 비는 2:20 내지 4:16의 범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8:12 이다.
비이온성 합성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세정제를 함유할 수 있다. 비이온성 합성계면활성제는 또한 에틸렌옥사이드를, 프로필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글리콜의 축합에 의해 형성된 소수성 염기와 축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수불용성을 나타내는 분자의 소수성 부분은 약 1200 내지 2500의 분자량을 갖는다. 이 소수성 부분에 대한 폴리옥시에틸렌 래디칼의 첨가는 분자 전체의 수용해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생성물의 액체 특성은 폴리옥시에틸렌 함량이 축합생성물의 총중량의 약 50%가 되는 시점까지 유지될 수 있다. 다른 비이온성 합성계면활성제에는 알킬페놀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축합물, 예를들어 알킬 그룹이 직쇄 또는 측쇄 배열로 약 6 내지 12 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페놀 또는 디알킬페놀과 에틸렌옥사이드의 축합생성물이 포함될 수 있다. 에틸렌옥사이드는 알킬페놀의 1 몰당 에틸렌옥사이드 8 내지 25 몰에 해당하는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내의 알킬 치환체는 중합된 프로필렌, 디이소부틸렌, n-옥텐 또는 n-노넨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또한 프로필렌옥사이드와 에틸렌디아민의 반응생성물과 에틸렌옥사이드와의 축합반응으로부터 생성될 수도 있으며, 예를들면 에틸렌디아민과 과량의 프로필렌옥사이드의 반응생성물을 함유하는 소수성 염기와 에틸렌옥사이드 그룹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며, 폴리옥시에틸렌을 약 40 중량% 내지 약 80 중량% 함유하며, 분자량이 약 5,000 내지 약 11,000 인 화합물이 있으며, 여기에서 염기는 2,500 내지 3,00 정도의 분자량을 갖는다.
그밖의 다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직쇄 또는 측쇄 배열로 8 내지 18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알콜과 에틸렌옥사이드의 축합생성물, 예를들어 코코넛알콜 1 몰당 10 내지 30 몰의 에틸렌옥사이들 가지며, 코코넛알콜 분획은 10 내지 14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코코넛알콜 에틸렌옥사이드 축합물이 포함된다.
추가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하기 화학식 R1R2R2NO 에 상응하는 장쇄 3급 아민옥사이드가 포함되며, 여기에서 R1은 탄소수가 약 8 내지18인 알킬 래디칼이며, R2및 R3는 각각 메틸 또는 에틸 래디칼이다. 사용하기에 적합한 아민옥사이드의 예로는 디메틸도데실아민옥사이드, 디메틸옥틸아민옥사이드, 디메틸데실아민옥사이드, 디메틸테트라데실아민옥사이드 및 디메틸헥사데실아민옥사이드가 포함된다.
그밖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화학식 RR'R'PO 에 상응하는 장쇄 3급 포스핀옥사이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R 은 쇄 길이내의 탄소수가 10 내지18 인 알킬, 알케닐 또는 모노하이드록시알킬 래디칼이며, R' 및 R' 는 각각 1 내지 3 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또는 모노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이다. 화학식에서 화살표는 반극성결합(semi-polar bond)의 통상적인 표현방법이다. 적합한 포스핀옥사이드의 예로는 디메틸도데실포스핀옥사이드, 디메틸테트라데실포스핀옥사이드, 에틸메틸테트라데실포스핀옥사이드, 세틸디메틸포스핀옥사이드, 디메틸스테아릴포스핀옥사이드, 세틸에틸프로필포스핀옥사이드, 디에틸도데실포스핀옥사이드, 디에틸테트라데실포스핀옥사이드, 디프로필도데실포스핀옥사이드, 비스-(2-하이드록시메틸)도데실포스핀옥사이드,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도데실포스핀옥사이드,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테트라데실포스핀옥사이드, 디메틸올레일포스핀옥사이드 및 디메틸-(2-하이드록시도데실)포스핀옥사이드가 포함된다.
경우에 따라, 또 다른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전해질 계면활성제 또는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같은 다른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수도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양이온성 세정제가 포함될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수성매질중에서 이온화하여 친유성 그룹을 함유하는 양이온을 제공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화합물의 대표적인 것은 라우릴벤질디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와 같이 탄소수 약 12 내지 약 18 의 알킬 그룹을 함유하는 4급 암모늄염이다.
양성전해질 계면활성제는 동일한 분자내에 음이온성 그룹 및 양이온성 그룹 둘다를 갖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의 예로는 탄소수 약 8 내지 약 18 의 장쇄, 및 카복시설포, 설포 또는 설페이토와 같은 음이온성 수가용화 그룹을 함유하는 지방족 아민의 유도체이다. 양성전해질 세정제의 예로는 나트륨-3-도데실아미노프로판설포네이트, 나트륨-N-매탈타우레이트, 및 고급알킬 치환된 아미노산, 베타인, 테틴. 황산화된 장쇄 올레핀아민 및 황산화된 이미다졸린 유도체와 같은 관련된 물질이 있다.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합성 세정제가 포함될 수 있다. 양쪽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지방족 래디칼이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으며, 지방족 치환체중의 하나는 약 8 내지 18 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고또 하나는 카복시, 설포 또는 설페이토와 같은 음이온성 수가용화 그룹을 함유하는 지방족 4급 암모늄 화합물의 유도체이다. 이러한 정의에 속하는 화합물의 예로는 3-(N,N-디메틸-N-헥사데실암모니오)-프로판-1-설포네이트 및 3-(N,N-디메틸-N-헥사데실암모니오)-2-하이드록시프로판-1-설포네이트가 있다.
임상적 약물학
에키나세 및 코미포라 식물화학물질(항미생물성 분리체, 식물추출물 및 미생물 억제제)을 계면활성제, 바람직하게는 벤잘코늄클로라이드; 영양소 담체, 바람직하게는 엽산; 및 멸균 수성담체와 혼합시키고, 배합하고 적용하면, HIV 및 다른 감염성 질병을 회복(치료)시키는 예기치 못했던 놀라운 우수한 결과가 얻어졌으며, 의약(살미생물제)의 유효성은 현저히 증가하였다. 중요하게도, 시험관내에서 시험하였을 때, 독특한 화합물은 표적세포에 대한 HIV의 부착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하여 HIV에 대해 예기치 못했던 놀라운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었다. 상승적 의약을 생체내에서 국소적으로 시험하면 단순포진 감염증은 즉시 정지되었다. 상승적 의약을 시험관내에서 시험하면, 벤잘코늄클로라이드 계면활성제는 실질적으로 거의 독성이 없이 안전역내에 있으며, HIV 및 HSV 1 및 2 에 대하여 높은 수준의 억제활성이 나타났다. 에키나세 및 코미포라 식물화학물질, 엽산 및 계면활성제의 상승적 상호작용 및 혼합은 혼합시의 성분들의 신속한 용해도 및 용액중에서의 특성에 의해 유도되는 미약한 접착성을 검토함으로써 입증되고 관찰되었다. 또한, 에키나세 및 코미포라 식물화학물질, 계면활성제 및 영양소 담체(영양소) 및 수성 담체의 화학적 특성은 안정화를 증진시켰고, 감염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반응성을 증가시켰다.
의약은 구강 및 비점막, 질조직, 음순조직, 항문 및 항문주위 조직, 음경조직, 피부조직, 개방된 피하조직에 대해서는 다양한 희석도로, 안과 감염에 대해서는 더 고희석도로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직장 또는 질내투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의약은 비경구적으로도 투여가 가능할 수 있다. 의약은 질 또는 항문 도입; 팩트레싱(pack dressing); 이관(ear canal); 밀봉붕대; 깁스붕대 또는 섭취는 금기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은 자극이나 화학적 화상을 여기시킬 수 있다. 혐기성 진균감염을 치료할 목적으로 의약을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일부의 진균은 내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 1-7
생체내시험
처음의 국소적 적용시에는 HSV 1 또는 2 에 대하여 양성으로 시험된 7 명의인간 피검자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의약적 치료방법 및 의약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생체내시험을 수행하였다. 피검자들은 수용액(1:750의 비) 형태의 벤잘코늄클로라이드 계면활성제를 전술한 식물화학물질을 함유하는 분말형태의 초본성 식물 에키나세 푸르푸레아(Echinacea purpurea)와의 배합물로 함유하는 의약으로 국소적으로 치료하였다. 조성물의 적용은 우선 감염된 영역이나 소포(vesicle)를 수용액 형태의 벤잘코늄클로라이드 계면활성제를 분무하거나 두드려서 또는 드로퍼를 사용하여 적신 다음에 식물화학물질 분말을 감염된 영역상에 면봉으로 바르거나 손으로 뿌려줌으로써 젖은 영역상에 분말상 식물화학물질의 피복을 적용시킴으로써 2 단계 방법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처리방법에서 중요한 점은 질병 기간중에 감염된 영역의 완전한 피복이 유지되도록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발병 영역은 필요시에 재적용함으로써 의약조성물로 덮인 채로 유지된다.
7 명의 피검자중에서 6 명은 여성이고 한명은 남성이었다. 이 시험의 시초에 남성의 연령은 38 세였고, 여성 피검자들은 8, 27, 30, 32, 38 및 39 세였다. 약 6 주에 걸쳐 12 번의 감염성 발병이 있었다. 발병중의 9 번은 HSV 2 음부포진이었고, 세번은 HSV 1 입술헤르페스였다. 8 세 및 27 세의 여성은 HSV 1(입술헤르페스)을 나타내었다. 30 세, 38 세 및 39 세의 여성은 HSV 2(음부포진)를 나타내었다. 38 세의 피검자는 또한 HSV 1 입술헤르페스도 가지고 있었다. 남성은 HSV 2(음부포진)를 나타내었다. 시험한 모든 피검자들은 잘 정립된 병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들의 질병의 표준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객관적인 데이타를 얻기 위하여, 시험피검자들중의 누구도 시험하는 치료방법이나 의약의 어떠한 작용도 알지 못하게 하였다. 반복시험시에 피검자들에게 처방된 샘플중에 위약이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고 알려 주었다.
7 케이스에서 항미생물성 화합물(의약)은 전구기에서 조직상에 직접 적용하였다. 5 케이스에는 항미생물성 화합물을 발진된 소포에 직접 적용하였다. 항미생물성 화합물은 필요에 따라 재적용하여 피복상태를 유지시켰다.
관찰: 의약의 매회 적용시마다 각각의 개체(피검자)는 수초후에 따끔거리는 느낌을 보고하였다. 이들은 또한 상당한 정도의 의약(항미생물성) 화합물이 수포 또는 감염된 영역에 부착하였음을 보고하였다. 상피조직에 대한 조성물의 부착은 영역을 샤워하거나 물로 씻어낸 후에도 다소는 남아있다.
결과: 의약적 치료방법 및 의약을 사용한 7 명의 피검자에 대한 시험의 결과는 예기치 않게 놀라울 정도로 우수하며 매우 일관되었다. 각각의 경우에, 피검자들은 다행히도, 일단 조성물(의약)이 감염된 영역에 적용되면 과거의 어떤 것도 이전에 결코 통증을 완화시킬 수 없었던 경우에도 통증은 10 내지 20 분 이내에 완전히 중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화합물(의약)이 전구기에 투여된 7 케이스의 경우에 피검자들은 통증이 중지되었으며, 이전에 최고의 발병상태로 증강된 모든 증상들이 중단되었고 발병은 결코 다시는 나타나지 않았음을 보고하였다. 헤르페스의 모든 외적인 증상과 신체적인 징후는 의약을 적용한지 수시간 후에 소실되었다. 화합물(의약)이 발진된 소포에 적용된 5 케이스에서, 피검자들은 통증이 수분내에 중지되었으며, 작열감, 소양증 및 자극이 2 내지 4 시간내에 해소되었으며, 소포는 건조되어 21 시간 이내에 소실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모든 케이스에서 일단 의약이 적용되면, 더 극단적이며 쇠약화시키는 증상인 발열, 병감, 서혜부 팽윤, 혈청삼출성 미란 및 통증이 있는 배뇨가 중지되었다.
추적검사에서, 피검자에게 미래의 발병에 대한 시험을 위해 조성물(의약)을 제공한 경우에, 발병의 초기 징후가 발병의 전구기의 표시가 나타났을 때 피검자에 의해 화합물(의약)이 지시에 따라 즉시 적용되면 발병은 완전히 억제되고 해소되었다고 보고되었다. 중요하게도, 매년 수차례의 발병이 있는 것이 습관화되어 있는 피검자에 의해서는 또한 이들의 잠복기가 현저히 더 길어졌다고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의약을 사용하기 전에 4 년 동안 매달 마다 심각한 발병을 나타내었던 한명의 개체에 대한 3 년간의 추적검사에서는, 본 발명의 약제를 사용한 이래 일년간에 걸쳐 발병은 없었다고 보고되었다.
추가의 관찰: 한명의 인간 남자 피검자는 발병의 전구기중에 최초의 적용을 한 후에 샤워를 하고 약 30 분의 기간동안 조성물(의약)을 재적용하는 것을 잊었었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여러개의 수포가 발진하고 유착되기 시작하였다. 피검자는 조성물(의약)을 재적용하였으며, 그후에는 영역을 조성물로 잘 피복한 상태로 유지시켰다. 이어서 발병은 다른 인간 피검자에 대하여 기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21 시간내에 해소되었다.
또 다른 관찰은 조성물(의약)이 특정의 단백질 또는 비누의 존재하에서 약화되거나 효과가 저하될 수도 있음을 시사하였다. 한명의 인간 여자 피검자는 조성물(의약)을 적용하기 전에 감염된 영역을 씻는데 지나치게 열심이었다. 이것은 이전의 두번의 발병에 대하여 조성물(의약)을 사용하여 성공한 후에 세번째 발병중에 일어났다. 이 경우에는, 조성물(의약)을 적용하였을 때 익숙한 따끔거리는 느낌이 없었고 증상의 완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약 24 시간이 경과한 후에 피검자는 어떤 충고를 구하였으며, 발병은 전술한 질병의 모든 증상과 함께 완전 수포성 발진단계로 진행하였다. 피검자는 영역으로부터 피부 잔류물을 철저히 씻어 내고, 영역을 건조시킨 다음 조성물(의약)을 재적용하도록 지시를 받았다. 이 지시에 따라 행한 후에, 피검자는 의약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이전의 두번의 발병시에 그랬던 것과 같이 발병이 완전히 해소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실시예 8-13
피부과적 및 수의과적 시험
의약조성물(의약)에 의해 유도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피부과적 앨러지 반응을 측정하기 위한 동물시험을 수행하였다. 6 마리의 동물 피검체를 사용하였다. 동물에는 3 마리의 암컷 토끼(연령 미상); 2 마리의 개(2 살난 암컷 한마리와 9 살난 숫컷 한마리); 및 한마리의 생식기가 불완전한 3 살난 숫컥 고양이가 포함되었다. 이들 동물시험에서는 상기의 조성물(의약)을 전술한 방법으로 각각의 동물의 외이의 내부에 적용하였다. 모든 경우에, 치료되는 영역은 인간 피검자기 사용했던 시간과 일치하는 24 시간 동안 화합물로 피복상태로 유지되었다. 6 마리의 동물 피검체에 대하여 수행된 시험은 피부과적 자극 또는 앨러지 반응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음을 시사하였다.
실시예 14
바이러스성 억제제를 함유하는 상기의 의약적 화합물을 2 살난 거세된 순종 말의 주둥이상에 유두종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된 사마귀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유두종 바이러스 사마귀는 치료하기가 어렵다. 사미귀는 직경이 25㎜로 측정되었다. 항미생물성 화합물(의약)을 하루에 두번 적용하였다. 그후 각각의 적용시에 사마귀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결과: 전혀 예기치 않게, 사마귀의 크기는 의약을 사마귀에 적용하는 동안에는 1 일에 약 3㎜ 씩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5 일째에 완전히 떨어졌다. 우선적으로 사마귀의 표면층이 큰 홍반성 구진을 노출시키면서 파괴되기 시작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후에 흥미롭게도, 사마귀는 박편으로 떨어지거나 박리되어 크기만이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피검자의 표피상의 부착점에서 감소하여 후유증으로서 반흔의 형성없이 그래도 어느 정도는 완전하게 떨어져 나간다.
1989 년 4 월에 처음 7 명의 피검자로 시작하였으며 현재 7 년간에 걸쳐 수행되고 있는 본 발명의 진행중인 장기간 생체내 시험에서, 약 100회의 감염성 발병이 전술한 바와 같은 상이한 농도의 의약으로 치료되었다. 모든 경우에 놀랍게도 우수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동일하였다: 1. 수분내에 통증이 소실되었다; 2. 전구기에 조성물을 적용하면 발병이 일어나지 않았다; 3. 소포기에 적용하였을 때는 발병이 24 시간 이내에 해소되었다.
시험관내 시험
실험실 시험은 시카고대학 임상미생물학 실험실(the University of Chicago, Clinical Microbiology Laboratories)에서 수행하여 의약적 치료방법 및 조성물(의약)의 시험관내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실험실 시험은 병리학의 부국장 (Associate Director), PhD 및 부교수에 의해 수행되었다. 이하에서 '약제 (drug)'라고 칭하는 의약조성물의 시험관내 시험은 놀랍게도 우수한 결과를 제공한다. 의약적 치료 및 조성물은 HSV 1 및 HSV 2 에 대하여 예기치 않게 놀라운 탁월한 억제활성을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병리학자들은 그들이 '수백 가지'의 다른 화합물들을 시험하였으며, 본 발명의 화합물과 같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은 어디에서도 없었던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하의 것은 수행되었던 의약의 시험 및 시카고대학에서 얻은 결과이다. 과학적 데이타와 시험결과중의 일부의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정의가 적용된다:
'MEM'은 최소필수배지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시험을 수행하는 세포의 성장을 위해 실험실에서 사영된 배양배지이다.
'섬유아세포' 인간 간엽세포(결합조직, 혈액, 뼈, 림프계 및 연골에서 발견되는 세포)이다.
'IC50'은 억제농도에 관한 것이다. 이 시험을 위해서는 대표적으로 50% 종말점을 선택한다. 뒤에 나오는 숫자는 50% 이하의 최대희석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것은 종말점의 정의이다.
희석도 아래의 면적이 공란으로 남아 있으면, 그것은 그 희석도에서 독성이 있을 수 있거나, 시험이 가치있는 데이타를 얻을 수 없거나, 이해가능한 데이타를 얻을 수 없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희석도 아래의 면적이 하이픈(hyphen; -)으로 표시되어 있으면, 그것은 플라그가 형성되었으며, 헤르페스(HSV)가 성공적으로 억제된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시예 15-17
이 시험관내 시험에서는 다음과 같은 약제(의약)가 사용되었다:
약제 #1 = 1:750의 비로 수용액으로 존재하는 벤잘코늄클로라이드 계면활성제. 수용액 상태의 계면활성제는 사용하기 전에 여과하여 동일 용적의 2×MEM으로 희석하여 1×MEM중의 1:1500 희석도를 얻었다.
약제 #2 = 수용액 상태의 에키나세 분말(식물화학물질). 이 제제는 멸균수내에서의 온침출에 의해 추출되었다. 추출된 식물화학물질을 원심분리하고 사용하기 전에 여과하였다. 여과된 식물화학물질을 동일 용적의 2×MEM으로 희석하여 1×MEM중의 비희석 제제를 얻었다.
약제 #3 = 에키나세 분말(식물화학물질)을 냉침출방법에 의해 추출하여 벤잘코늄클로라이드 계면활성제와 배합하였다. 배합된 제제를 원심분리하고, 사용하기 전에 여과하고, 동일 용적의 2×MEM으로 희석하여 1×MEM중의 비희석 제제를 얻었다.
1. 3 개의 24-구획 플레이트를 섬유아세포로 접종하였다. 조성물의 5 가지농도로 3 가지의 상이한 추출물(비교 목적으로)을 1×MEM 중에서 비희석, 1:2, 1:4, 1:8 및 1:16 의 농도로 사용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에 대하여 선별하였다. 각각의 플레이트에 약제는 없이 MEM 만을 함유하는 4 개의 대조구획을 포함시켰다.
2. 구획들로부터 성정배지를 제거하고, 각 플레이트의 상부 반쪽의 각각의 구획에 HSV-1 200㎕ 를 가하였다. HSV-1은 1:5000(MEM 10㎖ 중의 저장 HSV-1 2.0㎕)의 비로 희석하였다. 바이러스 역가는 ㎖ 당 3×106이었다. 또한, HSV-2 200㎕ 를 각각의 플레이트의 하부 반쪽의 각 구획에 가하였다. HSV-2 는 1:2000 (MEM 10㎖ 중의 저장 HSV-2 5.0㎕)의 비로 희석하였다. 바이러스 역가는 ㎖ 당 6×105이었다.
3. 플레이트를 37℃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4. 접종물을 제거하고 약제 #1-3을 함유하는 MEM 1㎖를 4 개의 구획에 가하였다. MEM 에 대한 약제의 농도는 다음 표에 제시된 바와 같다.
표 1
농도 비희석 1:2 1:4 1:8 1:16
약제 (㎕) 4000 2000 1000 500 250
MEM (㎕) - 2000 3000 3500 3750
5. 결과 : HSV-1, 액체 피복, 바이러스 흡수 직후에 첨가된 약제.
플레이트 1, 세균으로 오염된 약제 #1, 성장 없음, 조직파편일 수 있음.
플레이트 2, 세균으로 오염된 약제 #2, 성장 없음, 조직파편일 수 있음.
플레이트 3, 약제 #3 결과는 이하의 표 2 및 3 에 제시하였다.
표 2
약제 #3 HSV-1 시험결과
농도 비희석 1:2 1:4 1:8 1:16
플라그 54 독성 독성 - 6* 12**
플라그 42 독성 독성 - 4* 16**
평균 48 5 14
IC501:16
표 3
약제 #3 HSV-2 시험결과
농도 비희석 1:2 1:4 1:8 1:16
플라그 46 독성 독성 - 22* 32**
플라그 49 독성 독성 - 21* 28**
평균 48 22 30
IC50= 1:8
상기 표에서 * 는 미약한 독성을 의미하고, ** 는 매우 작은 플라그를 의미한다.
의견 : 의약(약제 #3)을 사용한 시험은 탁월한 결과를 제공하였다. 세포는 오염이 없이 깨끗하게 보였다. 더 낮은 희석도에서, 제제는 일부의 세포에 대해서 독성이 있을 수 있다. 이 제제는 예기치 않게 그의 억제활성 면에서 성공적이었다.
실시예 18-20
3 개의 24-구획 플레이트를 섬유아세포 및 다음과 같은 약제로 접종하였다.
시험약제 #1A = 수용액으로 존재하는 벤잘코늄클로라이드 계면활성제. 벤잘코늄클로라이드 계면활성제는 물중에서 1:375 의 희석도(멸균수 12.0㎖중의 32㎕)로 만들어서 제조하였다. 이것은 사용하기 전에 여과하였다. 이것을 동일 용적의 2×MEM으로 희석하여 1×MEM중의 1:750 희석도를 얻었다. 희석은 이 비를유지하도록 수행되었다.
시험약제 #2A = 수용액 상태의 에키나세 푸르푸레아 분말(식물화학물질). 이 제제는 멸균수내의 에키나세 푸르푸레아 분말의 50㎎/㎖ 용액(물 6.0㎖중의 300㎎)이었다. 혼합물을 소용돌이를 일으키고, 4 시간 동안 냉동시켰다. 에키나세 분말 제제를 10℃에서 15 분동안 3500rpm 으로 원심분리하고, 사용하기 전에 여과한 다음 동일 용적의 2×MEM으로 희석하여 1×MEM중의 비희석 제제를 얻었다.
시험약제 #3A = 에키나세 푸르푸레아 분말(식물화학물질)을 벤잘코늄클로라이드 계면활성제에 용해시켰다. 이 제제는 50㎎/㎖ 용액(벤잘코늄클로라이드 6.0㎖중의 300㎎, 1:375)이었다. 혼합물을 소용돌이를 일으키고, 4 시간 동안 냉동시켰다. 식물화학물질 및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을 10℃에서 15 분동안 3500rpm 으로 원심분리하고, 사용하기 전에 여과한 다음 동일 용적의 2×MEM으로 희석하여 1×MEM중의 비희석 제제를 얻었다.
1. 3 개의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3 가지 약제 제제를 선별하였다. 항바이러스 활성에 대한 선별을 위해 필요한 농도는 1×MEM 중에서 1:2, 1:4, 1:8 및 1:16 이었다. 각각의 플레이트에 약제는 없이 MEM 만을 함유하는 4 개의 대조구획을 포함시켰다.
2. 구획들로부터 성정배지를 제거하고, 각 플레이트의 상부 반쪽의 각각의 구획에 HSV-1 200㎕ 를 가하였다. HSV-1은 1:5000(MEM 10㎖ 중의 저장 HSV-1 2.0㎕)의 비로 희석하였다. 바이러스 역가는 ㎖ 당 3×106이었다.
3. 플레이트를 37℃에서 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4. 접종물을 제거하고 약제 #1A-3A를 함유하는 MEM 1㎖를 4 개의 구획에 가하였다.
표 4
농도 비희석 1:2 1:4 1:8 1:16
약제 (㎕) 4000 2000 1000 500 250
MEM (㎕) - 2000 3000 3500 3750
5. 결과 : HSV-1, 액체 피복, 바이러스 흡수 직후에 첨가된 조성물.
표 5
약제 #1A - HSV 1 시험결과
농도 1:2 1:4 1:8 1:16 1:32
플라그 70 독성 독성 독성 독성 독성
플라그 68
플라그 58
플라그 74
평균 70 .IC50
의견 : 이들 구획은 세포상에 미세한 침전물을 가지고 있다. 벤잘코늄클로라이드는 배지중의 단백질에 의해 침전하였을 것이다.
표 6
약제 #2A - HSV 1 시험결과
농도 1:2 1:4 1:8 1:16 1:32
플라그 72 - - - 9* 12*
플라그 74 - - - 7 8
플라그 79 - - - 4 12
플라그 71 - - - 7 11
평균 70 IC501:32
의견 : 약간의 플라그가 있었지만 이들은 매우 작았다.
표 7
약제 #3A - HSV 1 시험결과
농도 1:2 1:4 1:8 1:16 1:32
플라그 72 독성 독성 독성 독성 -*
플라그 68 -
플라그 57 -
플라그 70 -
평균 70 IC501:32
의견 : 약간의 독성이 있었지만, 이 약제는 바이러스를 억제하는데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어떠한 플라그도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21-24
4 개의 24-구획 플레이트를 섬유아세포로 접종하였다.
시험약제 #1B = 수성 희석제내의 벤잘코늄클로라이드 계면활성제. 벤잘코늄클로라이드는 물중에서 1:1000 의 희석도(멸균수 10.0㎖중의 10㎕)로 만들어서 제조하였다. 이것은 사용하기 전에 여과하고, 동일 용적의 2×MEM으로 희석하여 1×MEM중의 1:2000 희석도를 얻었다(약제 500㎕ 와 2×MEM 500㎕).
시험약제 #2B = 수용액 상태의 에키나세 푸르푸레아 분말(식물화학물질). 이 제제는 멸균수내의 에키나세 푸르푸레아 분말의 50㎎/㎖ 용액(물 5.0㎖중의 250㎎)이었다. 혼합물을 소용돌이를 일으키고, 4 시간 동안 냉동시켰다. 이 에키나세 분말 제제를 10℃에서 15 분동안 3500rpm 으로 원심분리하고, 사용하기 전에 여과한 다음 동일 용적의 2×MEM으로 희석하여 1×MEM중의 비희석 제제를 얻었다(약제 500㎕ 와 2×MEM 500㎕).
시험약제 #3B = 에키나세 푸르푸레아 분말(식물화학물질)을 벤잘코늄클로라이드 계면활성제에 용해시켰다. 이 제제는 50㎎/㎖ 용액(벤잘코늄클로라이드 5.0㎖중의 250㎎, 1:1000)이었다. 혼합물을 소용돌이를 일으키고, 4 시간 동안 냉동시켰다. 에키나세 식물화학물질 및 계면활성제를 10℃에서 15 분동안 3500rpm 으로 원심분리하고, 사용하기 전에 여과한 다음 동일 용적의 2×MEM으로 희석하여 1×MEM중의 비희석 제제를 얻었다(약제 500㎕ 와 2×MEM 500㎕).
시험약제 #4B = 수용액(희석제)중의 에키나세 푸르푸레아 분말(식물화학물질)을 벤잘코늄클로라이드 계면활성제와 1:1000 의 비로 혼합하였다. 이 제제는 멸균수중의 에키나세 푸르푸레아 분말의 50㎎/㎖ 용액(물 5.0㎖중의 250㎎)이었다. 혼합물을 소용돌이를 일으키고, 4 시간 동안 냉동시켰다. 수성 식물화학물질 및 계면활성제를 10℃에서 15 분동안 3500rpm 으로 원심분리하고, 사용하기 전에 여과하였다. 이 제제를 동일 용적의 벤잘코늄클로라이드로 1:1000 의 비로 희석하여 에키나세-벤잘코늄클로라이드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혼합물을 동일용적의 2×MEM으로 희석하여 1×MEM중의 1:4 제제를 얻었다(약제 #1 500㎕ 및 약제 #2 250㎕ 와 2×MEM 500㎕).
1. 4 개의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4 가지 약제 제제를 선별하였다. 항바이러스 활성에 대한 선별을 위해 필요한 농도는 1×MEM 중에서 1:20, 1:40, 1:80 및 1:160 및 1:320 이었다. 각각의 플레이트에 약제는 없이 MEM 만을 함유하는 4 개의 대조구획을 포함시켰다.
2. 구획들로부터 성장배지를 제거하고, 각 플레이트의 상부의 두줄의 각각의 구획에 HSV-1 200㎕ 를 가하였다. HSV-1은 1:5000(MEM 10㎖ 중의 저장 HSV-1 2.0㎕)의 비로 희석하였다. 바이러스 역가는 ㎖ 당 3×106이었다. 또한, HSV-2 200㎕ 를 각각의 플레이트의 하부 반쪽의 각 구획에 가하였다. HSV-2 는 1:2000 (MEM 10㎖ 중의 저장 HSV-2 5.0㎕)의 비로 희석하였다. 바이러스 역가는 ㎖ 당 6×105이었다.
3. 플레이트를 37℃에서 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4. 접종물을 제거하고 약제 #1-4를 함유하는 MEM 1㎖를 4 개의 구획에 가하였다.
표 8
농도 1:20 1:40 1:80 1:160 1:320
약제 (㎕) 400 200 100 50 25
MEM (㎕) 3600 3800 3900 3950 3975
5. 결과 : HSV-1, 액체 피복, 바이러스 흡수 직후에 첨가된 조성물.
표 9
약제 #1B - HSV 1 시험결과
농도 1:20 1:40 1:80 1:160 1:320
플라그 37 독성 독성 독성 독성 157*
플라그 45 187*
평균 41 IC50
의견 : 약한 독성, 시험은 판독하기가 어려웠다.
HSV-2, 액체 피복, 바이러스 흡수 직후에 첨가된 조성물.
표 10
약제 #1B - HSV 2 시험결과
농도 1:20 1:40 1:80 1:160 1:320
플라그 38 독성 독성 독성 독성 21
플라그 42 17
평균 40 19
IC501:320
의견 : 시험은 너무 독성이어서 우수한 판독을 제공할 수 없었다.
표 11
약제 #2B - HSV 1 시험결과
농도 1:20 1:40 1:80 1:160 1:320
플라그 39 2* 8* 23* 24 44
플라그 40 3 18 11 28 38
평균 40 3 13 17 26
IC501:80
의견 : 작은 플라그
표 12
약제 #2B - HSV 2 시험결과
농도 1:20 1:40 1:80 1:160 1:320
플라그 48 21 33
플라그 52 22 38
평균 50 21.5 35.5
IC501:20
표 13
약제 #3B - HSV 1 시험결과
농도 1:20 1:40 1:80 1:160 1:320
플라그 44 1* 17 31 37
플라그 46 - 16 28 27
평균 45 - 17 30 32
IC501:40
의견 : 약간의 독성이 있었지만, 약제는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어떠한 플라그도 나타나지 않았다.
표 14
약제 #3B - HSV 2 시험결과
농도 1:20 1:40 1:80 1:160 1:320
몇개의 세포 11* 27 30 35
플라그 44 10 32
평균 44 11 29.5
IC501:20
의견 : 실제로 우수한 판독결과를 제공하기에는 어려운 시험이었다. 그러나, 약제는 성공적인 억제활성을 가지고 있다.
표 15
약제 #4B - HSV 1 시험결과
농도 1:40 1:80 1:160 1:320 1:640
플라그 47 독성 독성 독성 33
플라그 48 28
평균 48 30
IC501:320
의견 : 더 고농도에서는 너무 독성이었다. 그러나 1:320 에서 억제활성이 있었다.
표 16
약제 #4B - HSV 2 시험결과
농도 1:40 1:80 1:160 1:320 1:640
플라그 38 독성 독성 독성 2* 16
플라그 40 4 20
평균 39 3 18
IC501:640
의견 : 독성은 아마도 벤잘코늄클로라이드에 기인하는 것일 것이다. 1:320 희석도에서 약제는 매우 강력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1-24 의 시험관내 시험에서는 정제하지 않은 원료물질을 사용하였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시험은 놀랍게도 우수한 억제활성 및 구성성분들 사이의 상승작용의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약제 #3, 3A 및 3B 가 추출되어 벤잘코늄클로라이드 계면활성제와 배합된 에키나세 푸르푸레아 식물화학물질인 전술한 시험관내 시험에서, 생성된 의약은 더 큰 항바이러스 활성을 입증하였으며, 가장 명백하게는 성분들인 에키나세 푸르푸레아와 벤잘코늄클로라이드 사이의 상승작용을 입증하였다. 이것은 두가지 성분간에 공유하고 있는 안정성 및 증가된 반응성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상승적 혼합물중의 벤잘코늄클로라이드는 더 낮은 정도의 독성을 나타내었으며, 상승적 배합물(의약)은 특히 HSV-2 에 대하여 더 큰 정도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었다.
HIV 시험
비라세아(Viracea)-1 및 비라세아-2를 급성 감염모델 시험에서 항-HIV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험하였다. 추가의 시험을 수행하여 두가지 화합물의 작용범위 및 작용기전을 평가하였다.
화합물 비라세아-1 및 비라세아-2는 용액으로서 공급되었다. 제제화에는 용액의 여과 및 원심분리가 포함된다. 각각의 시험에서 사용된 고시험농도는 조직배양배지내에서 1:5 희석도 내지 1:100 희석도로 변화시켰다. 각각의 화합물은 사용하기 전에 70℃에서 저장하였다. 이들 시험에서는 다음과 같은 약제(조성물)가 사용되었다.
비라세아 1 =
비라세아 2 =
세포주 및 바이러스 저장물의 증식 및 정량화
화합물 선별시험에서 사용된 세포는 CEM-SS 세포주로 지정하였다. 이들 세포는 HIV에 의한 감염에 대하여 매우 감수성이 있으며, 빠르게 다핵화 합포체를 형성하고 결국은 HIV에 의해 사멸한다. 이들 세포는 10% 소태자혈청, 글루타민 및 항생물질이 보충된 RPMI 1640 조직배양배지내에서 용이하게 유지시켰다(㎖ 당 2-7×103세포). 세포를 1:20 희석도에서 매주마다 2 회씩 계대시켰다. 계대의 수는 매주마다 기록하였으며, 20주 동안 계대시킨 후에 세포를 버리고, 신선한 CEM-SS 세포를 해동시켜 시험에 이용하였다. CEM-SS 세포의 저장물을 90% 송아지태자혈청 및 10%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중의 1㎖ NUNC 바이알내에서 액체질소하에 동결시켰다. 해동시킨 후에, CEM-SS 세포는 배양물내에서 2 주후에 일차 선별시험에 사용되도록 통상적으로 준비된다. 마지막 계대세포주를 대체시키기 전에 새로운 CEM-SS 세포를 감염성 바이러스 및 AZT의 통용되고 있는 저장물을 사용하는 선별시험 프로토콜에서 시험한다. 바이러스의 감염성이 새로운 세포에서 매우 다르거나 AZT가 예상된 것보다 덜 활성인 경우에는 새로운 세포를 선별 프로그램에 도입시키지 않는다. 마이코플라즈마 시험은 모든 세포주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수행된다(상기 참조).
바이러스 풀(pool)을 준비하고 CEM-SS 세포내에서 적정하고 5㎖ 분취액으로 하여 -135℃에서 동결시켰다. 해동시킨 후에, 사용하지 않은 바이러스를 버려서 감염성 역가의 변화를 방지한다. 최적화 시험은 첫번째 동결-해동 사이클에 대하여 바이러스 역가에 있어서 1-로그(log)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후속 동결-해빙 단계에서는 역가 감소가 덜 심하였다. 바이러스 풀은 감염후 7 일에 완전한 세포사멸을 제공하도록 결정된 감염의 다중성(HIV-1의 IIIB분리체의 경우에는 약 0.05, HIV-1 의 RF 분리체의 경우에는 0.01)으로 200㎕ 용적에서 5×105CEM-SS 세포를 HIV로 급성감염시켜 제조하였다. 감염을 37℃에서 1시간 동안 지속시킨 다음, 세포를 T25 플라스크에 옮기고 용적을 2㎖로 증가시켰다. 감염시킨지 1 일후에 용적을 5㎖로 만들고 2 일째에는 용적을 10㎖로 증가시켰다. 4 일째가 시작되면 세포는 펠릿화시키고 상등액은 저장한 다음, 세포를 조직배양배지의 신선한 10㎖ 분취액에 재현탁시켰다. 배지내에서 더 장시간 동안 세포를 성장시키기 보다는 완전 배지를 매일 매일 바꾸어 주고 일차선별에서 사용된 바이러스 접종물이 세포를 감염시키기 위해 사용될 때 비교적 영양소가 고갈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용되는 염색반응(XTT)에서는 글루코즈 농도가 높게 유지되는 것이 필요하다. 세포성장에 의해 글루코즈가 고갈된 웰에서는 테트라졸리움 염료가 포르마잔 생성물로 대사성 전환되지 않는다.
급성적으로 감염된 세포로부터 얻은 세포-비함유 상등액은 4 일, 5 일, 6 일 및 7 일째에 저장하였다. 역가 측정에서 사용하기 위해 매일 상등액의 분취액을 별도로 저장하였다. 역가 측정은 역전사효소 활성시험, 종말점 적정 또는 플라그시험(CEM-SS), 감염성 입자의 정량화 및 세포사멸 동력학의 정량화를 포함한다. 감염성 바이러스의 최고 수준은 세포의 생존도가 50% 수준으로 떨어짐에 따라 급성적으로 감염된 배양물에서 나타난다. 일차 선별시험이 HIV-유도된 세포변성효과를 억제하는 화합물의 능력에 의해 화합물의 예방적 효과를 정량화하기 때문에, 6일내에 CEM-SS 세포를 사멸시키는데 필요한 바이러스의 양을 통상적으로 사용하여 일차 선별시험에서 웰당 필요한 바이러스의 양을 결정한다. 매일 매일의 풀의 각각은 웰당 50㎕ 바이러스의 최고 시험농도에서 시작하여 바이러스의 2-배 희석을 수행함으로써 일차 선별 XTT 시험 프로토콜에서 적정한다. 테트라졸리움 염료 XTT 염색방법은 각각의 웰에서 CEM-SS 세포 모두를 사멸시키는데 필요한 바이러스의 정확한 양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 최소량의 바이러스를 모든 일차 시험을 수행하는데 사용한다.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HIV-1, HIV-2 및 STV의 실험실-유도된 균주를 포함하여 실험실에서 이용되는 모든 바이러스 분리체들을 제조한다. 사용된 임상적 분리체들은 세로운 인간세포내에서 계대시키고, 이들 세포의 성장방법 및 바이러스 풀의 제조는 후술하였다.
미량역가 항바이러스성 XTT 시험
세포증식
이들 실험에서 사용된 CEM-SS 세포 또는 확립되어 있는 다른 인간세포주를 시험에서 사용하기 위해 T-150 플라스크내에서 계대시켰다. 시험 전날, 세포를 1:2 로 나누어서 이들이 감염시에 대수증식기에 있도록 하였다. 시험 당일에 세포를 조직배양배지로 2회 세척하고 신선한 조직배양배지에 재현탁시켰다. 전체 세포수 및 생존도 측정은 혈구계 및 트립판블루 배염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세포 생존도는 시험에 이용될 세포의 경우에 95% 이상이었다. 세포를 펠릿화시키고 조직배양배지내에 ㎖당 2.5×104세포의 농도로 재현탁시켰다. 세포를 약제-함유 플레이트에 50㎕의 용적으로 가하였다.
바이러스 증식
미리 적정된 바이러스의 분취물을 냉동기(-80℃)로부터 꺼내어 생물학적 안전상 캐비넷에서 서서히 실온으로 해동시켰다. 50㎕의 용적으로 각 웰에 첨가되는 바이러스의 양이 감염후 6 일에 완전한 세포사멸을 제공하도록 결정된 양이 될 수 있도록 바이러스를 조직배양배지내에서 재현탁 및 희석시켰다. 일반적으로, HIV 의 IIIB 분리체에 의해 생성된 바이러스 풀은 웰당 바이러스 5㎕의 첨가가 필요하였다. RF 바이러스의 풀은 5 내지 10 배 더 강력하였으며 웰당 0.5-1㎕ 가 필요하다. CEM-SS 세포에서의 종말점 적정에 의한 TCID50계산은 이들 시험의 감염의 다중성이 0.005-2.5임을 시사한다.
플레이트 형식
시험플레이트의 형식은 표준화되어 있으며, 세포 대조웰(세포 단독), 바이러스 대조웰(세포와 바이러스), 약제독성 대조웰(세포와 약제 단독), 약제 비색성 대조웰(약제 단독) 및 실험웰(약제와 세포와 바이러스)을 함유한다.
실시예 25-48
선별플레이트의 XTT 염색
5% CO2배양기중, 37℃에서 배양한지 6일 후에, 시험플레이트를 테트라졸리움 염료 XTT로 염색하여 분석하였다. XTT-테트라졸리움은 대사적으로 활성인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성 효소에 의해 대사되어 가용성 포르마잔 생성물을 형성시킴으로써 안티-HIV 시험물질에 의한 HIV-유도된 사멸의 억제를 신속하게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감염 6일 후에 플레이트를 배양기로부터 꺼내어 관찰하였다. 둥근 바닥의 미량역가 플레이트의 사용은 펠릿 크기를 평가함으로써 소정의 시험화합물의 활성의 신속한 육안적 분석을 가능케 한다. 육안적 고나찰의 결과는 추가의 현미경적 분석에 의해 확인되고 보강되었다. XTT 용액은 PBS 중의 1㎎/㎖ 저장물로서만 제조되어 -20℃에서 암소에서 저장하였다. 펜아진 메토설페이트(PMS) 용액을 PBS중에서 15㎎/㎖의 농도로 제조하고 -20℃ 에서 암소에서 저장하였으며, XTT/PMS 저장물은 PMS를 PBS로 1:100으로 희석하고 XTT 용액 ㎖당 40㎕를 첨가함으로써 사용하기 직전에 제조하였다. XTT/PMS 50㎕를 플레이트의 각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37℃에서 4시간 동안 재배양하였다. 뚜껑 대신에 접착성 플레이트 밀봉재를 사용하였으며, 밀봉된 플레이트를 여러번 뒤집어서 가용성 포르마잔 생성물을 혼합시키고 플레이트를 몰레큘라 디바이시즈 브이맥스 플레이트 판독기 (Molecular Devices Vmax plate reader)를 사용하여 450㎚에서 분광광도법으로 판독하였다. CPE 감소율%을 사용하여 세포 생존율%, IC25, 50 및 95, TC25, 50 및 95및 그밖의 다른 지수를 계산하였다.
표 17
시험관내 항바이러스 결과
비라세아 1의 XTT 분석
표 18
비라세아 1
표 19
비라세아 1
표 20
시험관내 항바이러스 결과
비라세아 2의 XTT 분석
표 21
비라세아 2
표 22
비라세아 2
실시예 49-54
역전사효소 활성시험
마량역가-기본 역전사효소(RT) 반응을 이용하였다. 삼중수소화된 디미딘트리포스페이트(NEN)(TTP)를 5Ci/㎖의 농도로 증류수에 재현탁시켰다. 폴리 rA 및 올리고 dT를 저장물로서 제조하여 -20℃에서 유지시켰다. RT 반응 완충액은 매일 새로 제조하였으며, 1M EGTA 125㎕, dH2O 125㎕, 트리톤 X-100 125㎕, 1M 트리스(pH 7.4) 50㎕, 1M DTT 50㎕ 및 1M MgCl240㎕로 구성된다. 이들 3 가지 용액을 TPP 1부, 폴리 rA:올리고 dT 2.5부, 반응완충액 2.5부 및 증류수 4부의 비로 함께 혼합시켰다. 이 반응혼합물 10㎕를 둥근바닥의 미량역가 플레이트에 놓고, 바이러스를 함유하는 상등액 15㎕를 가하여 혼합시켰다. 플레이트를 37℃에서 배양하고 60분 동안 배양하였다. 반응에 따라 반응용적을 필터 매트상에 스포팅하고 5% 인산나트륨 완충액을 사용하여 매회 5분씩 6회, 증류수를 사용하여 매회 1분씩 2회,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매회 1분씩 2회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 건조된 필터 매트를 플라스틱 샘플 가방에 넣었다. 베타플레이트 섬광 액체를 가하고 가방을 가열밀봉시켰다. 도입된 방사능을 월락 마이크로베타(Wallac Microbeta) 섬광계수기를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표 23
비라세아-1 : PBMC/ROJO
표 24
비라세아-1 : PBMC/ROJO
표 25
비라세아-2 : PBMC/ROJO
표 26
비라세아-2 : PBMC/ROJO
ELISA
ELISA 킷트를 코울터(Coulter)로부터 구입하였다. 시험은 제조자의 추천방법에 따라 수행한다. ELISA 시험을 수행하기 전에 역전사효소 활성시험을 통상ㅈ거으로 수행하고, RT 활성시험에서 도입된 방사능에 대한 값을 사용하여 ELISA 에 필요한 샘플의 희석도를 결정하였다. 각각의 시험에서 대조 곡선을 그려서 각 샘플내의 캡시드 단백질의 양을 정확하게 정량화시켰다. 몰레큘라 디바이시즈 브이맥스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450㎚에서 분광광도법으로 분석하여 데이타를 얻었다. 몰레큘라 디바이시즈 소프트웨어 패캐지 소프트맥스(Soft max)를 사용하여 흡광도로부터 P24 농도를 계산하였다.
감염성 입자
감염성 바이러스 입자는 CEM-SS 플라그시험 및 HIV-1 및 HIV-2에 대한 정량적 감염성시험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바닥이 평평한 96-웰 미량역가 플레이트를 37℃에서 2시간 동안 50㎍/㎖의 농도에서 폴리-L-리신 50㎕로 피복시켰다. 그후 웰을 PBS로 세척하고, 미량역가 웰에 2.5×105CEM-SS 세포를 넣어, 여기에서 이들 세포는 플레이트의 바닥에 고정된다. 충분한 세포를 가하여 각 웰에서 CEM-SS 세포의 단층을 형성시켰다. 바이러스-함유 상등액을 바이러스 및 세포 대조물 및 각각의 시험화합물의 계열희석액을 포함하는 XTT 상의 각각의 웰에 가하였다. 합포체의 수는 감염시킨 후 4 일째에 올림푸스(Olymphus) CK2 역전 현미경을 사용하여 바닥이 평평한 96-웰 미량역가 플레이트에서 정량화시켰다. 각각의 합포체는 단일의 감염성 HIV 비리온으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신선한 인간세포중에서의 안티-HIV 활성: 신선한 인간 T-림프구에서의 시험
신선한 인간의 말초혈액 림프구(PBL)를 HIV 및 HBV에 대한 혈청검사에서 음성인 적십자사의 자원공여자로부터 분리하였다. 백혈구를 보유한(leukophorsed)혈액을 둘베코의 인산염 완충식염수(PBS)로 1:1 희석시키고 50㎖ 원심분리관내에서 피콜-하이파크 밀도구배 14㎖상에 적층시켰다. 띠를 형성한 PBL을 생성된 계면으로부터 온화하게 흡인시키고, 이어서 저속 원심분리에 의해 PBS로 2회 세척하였다. 마지막으로 세척한 후에 세포를 트립판블루 배제에 의해 나열시키고, 15% 송아지태자혈청(FBS), 2mM L-글루타민, 4㎍/㎖ PHA-P를 함유하는 RPMI 1640 중에서 1×107/㎖로 재현탁시킨 다음 37℃에서 48-7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후에 PBL 을 원심분리시키고, 15% FBS, 2mM L-글루타민, 100U/㎖ 페니실린, 10㎍/㎖ 스트렙토마이신, 10㎍/㎖ 겐타마이신 및 20U/㎖ 재조합 인간 IL-2를 함유하는 RPMI 1640 중에 다시 고정시켰다. PBL은 시험 프로토콜에서 사용할 때까지 배지를 격주 마다 교체해주면서 1-2×10E6/㎖의 농도로 이 배지중에서 유지시켰다.
PBL 시험을 위해서는 적어도 2 명의 정상적인 공여자들로부터 얻은 PHA-P 자극된 세포를 모아서 신선한 배지내에 2×10E6/㎖의 농도로 고정시키고 둥근 바닥의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의 내부웰에 도말하였다. 사험약재 희석액은 미량역가 튜브에서 2×농도로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농도 100㎕씩을 표준형식으로 적절한 웰에 넣었다. 각각의 시험웰에 바이러스 저장물의 예정된 희석약 50㎕를 가하였다. 세포 및 바이러스를 단독으로 함유하는 웰을 바이러스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별도의 플레이트를 XTT 시험계를 사용하여 약제 세포독성 시험을 하기 위해 바이러스 없이 동일하게 고정시켰다.
표준 PBL 시험(MOI: 0.2)에서는 역전사효소 활성시험을 위하여 세포를 함유하지 않는 상등액 샘플을 채취한 후 7일째에 시험을 종결하였다. 낮은 MOI PBL 시험(MOI: 0.02)에서 상등액 샘플은 감염후 6일, 11일 및 14일에 채취하여 RI 활성을 분석하였다. 삼중수소화된 티미딘 트리포스페이트(NEN)(TTP)를 5Ci/㎖의 농도로 증류수에 재현탁시켰다. 폴리 rA 및 올리고 dT를 저장용액으로서 제조하여 -20℃에서 유지시켰다. RT 반응 완충액은 매일 새로 제조하였으며, 1M EGTA 125㎕, dH2O 125㎕, 10% SDS 110㎕, 1M 트리스(pH 7.4) 50㎕, 1M DTT 50㎕ 및 1M MgCl240㎕로 구성된다. 이들 3 가지 용액을 TPP 2부, 폴리 rA:올리고 dT 1부 및 반응완충액 1부의 비로 함께 혼합시켰다. 이 반응혼합물 10㎕를 둥근바닥의 미량역가 플레이트에 놓고, 바이러스를 함유하는 상등액 15㎕를 가하여 혼합시켰다. 플레이트를 수욕중에서 플레이트의 잠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체지지체와 함께 37℃에서 배양하고 60분 동안 배양하였다. 반응에 따라 반응용적을 DE81 종이 조작상에 스포팅하고 5% 인산나트륨 완충액을 사용하여 매회 5분씩 5회, 증류수를 사용하여 매회 1분씩 2회,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매회 1분씩 2회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 각각의 샘플에 옵티-플루오(Opti-Fluor) O를 가하고 도입된 방사능을 월락 1450 마이크로베타플러스 액체섬광계수기를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삼중수소화된 티미딘의도입은 7일째에 평행배양물내에서 측정하였다. 각각의 웰에 삼중수소화된 티미딘 1μCi를 가하고, 18시간 후에 스카트론(Skatron) 세포수집기를 사용하여 유리섬유 여과지상에 세포를 수집하였다. 여과지를 건조시키고 섬광칵테일 1㎖와 함께 섬광바이알내에 넣고 도입된 방사능을 패카드 트리-카르브(Packard Tri-Carbh) 1900 TR 액체섬광계수기상에 측정하였다.
실시예 55-78
신선한 인간 세포에서의 안티-HIV 활성: 신선한 인간 단핵구 대식세포에서의
시험
유착세포를 분리시키기 위해서 3×106비-PHA 자극된 말초혈액세포를 10% 인간 AB 혈청으로 보충된 칼슘 및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행크(Hanks) 완충식염수에 재현탁시켰다. 세포를 37℃에서 2시간 동안 24-웰 미량역가 플레이트에 놓아두었다. 비-유착세포는 6 회에 걸쳐 격렬히 세척함으로써 제거하였다. 유착세포를 15% 소태자혈청을 함유하는 RPMI 1640 조직배양배지내에서 7일 동안 배양하였다. 이 배양기간중에 배양물을 융합성에 대하여 조심스럽게 모니터하였다. 세포의 감염은 단핵구주향성(monocytotrophic) HIV-1 균주 BaL 또는 ADA 및 AZT-감수성 및 AZT-내성 바이러스 분리체의 조합된 쌍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들 바이러스 분리체들은 각각 NLAID AIDS 리서치 앤드 리퍼런스 리에젼트 프로그램(Research and Reference Reagent Program)으로부터 얻었다. 이들 바이러스의 각각의 고역가 풀을 말초혈액 유착세포의 감염된 배양물로부터 수집하여 -80℃에서 1.0㎖ 분취량으로 동결시켰다. 단핵구-대식세포 단일층은 MOI 0.1로 감염시켰다. 단일층에서 평가되는 화합물은 MOI 0.1 에서 감염되었다. 단핵구-대식세포 시험에서 평가되는 화합물은 활성화합물을 확인하는 능력을 최대화시키기 위하여 감염시키기 직전에 단일층에 첨가하였다.
감염후 2일째에 매질을 경사시키고, 과잉의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배양물을 완전배지로 2회 세척하였다. 신선한 배지를 단독으로 또는 적절한 농도의 역물을 함유하는 배지를 가하여 추가로 5일 동안 배양을 지속시켰다. 세포의 생존도에 관하여는 XTT-테트라졸리움 또는 트립판블루 배염법 및 p24 코어 항원의 생성에 관하여는 HIV p24 ELISA 시험을 감염후 7일째에 수행하였다. ELISA 킷트를 코울터로부터 구입하였다. 각각의 시험에서 코울터 곡선을 그려서 각 샘플중의 캡시드 단백질의 양을 정확하게 정량하였다. 몰레큘라 디바이시즈 브이맥스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450㎚에서 분광광도법으로 분석하여 데이타를 얻었다. 몰레큘라 디바이시즈 소프트웨어 패캐지 소프트맥스를 사용하여 흡광도로부터 P24 농도를 계산하였다.
표 27
비라세아-1를 위한 대식세포 분석
pg/mL P-24 활성
표 28
비라세아-2를 위한 대식세포 분석
pg/mL P-24 활성
표 29
비라세아-1를 위한 대식세포 분석
pg/mL P-24 활성
표 30
비라세아-2를 위한 대식세포 분석
pg/mL P-24 활성
표 31
비라세아 #2-4를 위한 대식세포 분석(P-24)
표 32
비라세아 #2-4
표 33
비라세아 #2-5를 위한 대식세포 분석(P-24)
표 34
비라세아 #2-5
표 35
비라세아 1를 위한 시험관내 안티-HIV 대식세포 분석
표 36
비라세아 1
표 37
비라세아 2를 위한 시험관내 항-HIV 대식세포 분석
표 38
비라세아 2
실시예 79-90
결합 및 융합 억제시험
이들 시험은 HIV-1 장말단 반복(LTR) 프로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β-갈락토시다제 유전자의 tat 단백질-유도된 트랜스활성화(transactivation)를 이용하는 HeLa-CD4-LTR-β-갈락토시다제 세포를 사용하였다. 이 시험을 사용하여 세포에 대한 감염성 비리온의 결합 및 세포-세포 융합 둘다를 정량하였다. 감염된 세포는 합포체를 형성하며, 이것은 X-gal과 함께 배양한 후에 현미경적으로 쉽게 계수할 수 있다. HIV 결합 억제시험은 바닥이 평평한 96-웰 미량역가 플레이트에서 200㎕ 중에 1×104HeLa-CD4-LTR-β-갈락토시다제 세포를 도말하는 것을 포함한다. 세포를 밤새 배양하고, 배지를 제거한 다음 다양한 농도의 ISIS 5320 또는 대조화합물 100㎕로 대체시켰다. 1시간 후에 바이러스-함유 배지 100㎕를 각 웰에 가하였다. 세포를 추가로 1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단층을 광범하게 세척하여 결합되지 않은 바이러스 및 세포외 화합물을 제거하였다. 48 시간째에 세포를 고정시키고 X-gal로 염색하였다. 청색의 다핵성 세포는 역전된 현미경하에서 계수하였다. 세포-세포 융합억제시험도 또한 바닥이 평평한 96-웰 미량역가 플레이트에서 수행하였다. 각 웰에 HeLa-CD4-LTR-β-갈락토시다제 세포(5×103)를 가하고 시험화합물과 함께 1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5×103HL2/3 세포(28)를 추가하였다. 세포를 추가로 48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고정시키고 X-gal로 염색하였다. 청색 합포체를 현미경하에서 계수하였다. 세포의 염색은 세포를 1% 포름알데히드 및 0.02%글루타르알데히드의 용액으로 고정시키고 고정된 세포를 PBS 중의 4μM 칼륨페로시아니다, 4μM 칼륨페로시아나이드, 2μM MgCl2및 0.4% X-gal 로 염색시킴으로써 수행하였다. β-글루코시다제 발현의 트랜스-활성화는 또한 ELISA에 의해 모니터하였다. 세포추출물을 동결-해동에 의해 제조하고 제조자의 추천방법에 따라 β-글루코시다제 활성을 시험하였다. ELISA의 결과는 몰레큘라 디바이시즈 브이맥스 미량역가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405㎚에서 분광광도법으로 정량화하였다.
표 39
베타-갈 융합 분석 : 비라세아 #1/SK1
표 40
베타-갈 융합 분석 : 비라세아 #1/SK1
표 41
베타-갈 융합 분석 : 비라세아 #2/SK1
표 42
베타-갈 융합 분석 : 비라세아 #2/SK1
표 43
베타-갈 융합 분석 : 비라세아 #1/SK1
표 44
베타-갈 융합 분석 : 비라세아 #1/SK1
표 45
베타-갈 융합 분석 : 비라세아 #2/SK1
표 46
비라세아 #2/SK1
국소적 살미생물제 시험
MEI 180 경부상피세포를 바닥이 평평한 96-웰 미량역가 플레이트의 내벽에 웰당 5×10 세포의 밀도로 도말하고, 밤새 배양하였다. 만성적으로 감염된 H9 세포를 완전배지내의 마이토마이신 C 200㎍/㎖으로 1시간 동안 처리하고, 광범하게 세척한 다음 ㎖당 4×105으로 재현탁시켰다. 사용된 마이토마이신 C의 농도는 처리한 지 48시간 이내에 만성적으로 감염된 세포의 사멸을 야기시켰으며, 이렇게하여 ME-180 세포에 대한 바이러스의 세포-세포 전파에 충분한 시간을 허락하면서 바이러스 종말점 정량화가 만성적으로 감염된 세포로부터의 농도는 포함하지 않도록 한다. 항바이러스성 화합물 및 만성적으로 감염된 세포(2×104)를 ME180 세포를 함유하는 각 웰에 가하고,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동시-배양한 후에 단일층을 광범하게 세척하고 신선한 배지를 가하였다. 감염후 24 및 48 시간에 배지를 제거하고 신선한 배지를 가하여 사멸한 림프구를 제거하였다. 감염후 6일째에 상등액 샘플을 분리하여 p24 ELISA에 의해 바이러스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CD4 발현시험
CD4 발현에 대한 비라세아의 효과의 정량화는 표준 유동세포계산기술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세포를 조직배양배지내에서 37℃에서 비라세아로 1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106CEM-SS 세포를 화합물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실온에서 60분 동안 배양하였다. 안티-CD4 모노클로날 항체(20㎕, 3㎍/㎖) (Becton-Dickinson, San Jose, CA)를 가하고, 세포를 4℃에서 40분 동안 배양하였다. 그후, 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하고, 1℃ 파라포름알데히드에 재현탁시킨 다음 벡톤-디킨슨 FAC소트 유동 세포계산기(Becton-Dickinson FACSort flow cytometer)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거대분자 합성
CEM-SS 세포를 가습된 CO2배양기내에서 화합물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37℃에서 3 회 배양하였다. 24 시간째에 배양물에 [메틸-3H]-티미딘, [5-3H]-유리딘 또는 [3,4,5-3H]-로이신 1μCi를 가하여 추가로 8 시간 동안 배양을 계속하였다. 세포를 스카트론 세포수집기를 사용하여 유리섬유여과지에 옮겼다. 유리섬유를 증류수로 세척하고 섬광바이알내에 넣은 후, 도입된 방사능의 양을 패카드 트리-카르브 섬광계수기를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HIV 시험결과
비라세아-1 및 비라세아-2는 HIV 복제 및 HIV-유도된 세포파괴를 억제하는 시험화합물의 능력을 정량화하는 미량역가 안티-HIV 시험에서 평가하였다. 두가지 화합물은 CEM-SS 세포내의 HIV-1 의 RF 균주에 대하여 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라세아-1은 1:400 희석도에서 HIV-유도된 세포병변효과(IC30)를 억제하는 반면에 비라세아-2는 1:900 희석도에서 IC25를 나타내었으며 50% 억제값에는 도달하지 않았다. 비라세아-1 및 비라세아-2는 둘다 각각 약 1:20 및 1:250 의 희석도에서 CEM-SS 세포에 대해 독성(TC30)을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화합물인 ddC는 RF 바이러스에 대하여 예상된 수준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비라세아-1 및 비라세아-2는 임상적인 HIV 분리체 ROJO로 감염된 신선한 인간의 PBMC에서 활성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낮은 계대 분리체는 약제 감수성(AZT, ddC, 네비라핀) 합포체-포함 바이러스 분리체로서 정의되었다. 비라세아-1도 비라세아-2도 비독성 농도에서 이 분리체의 복제를 억제하지 않았다. ROJO로 감염된 RMBC중에서 화합물의 추가의 평가는 PHA 배자발생이 아니라 PBMC의 IL2 자극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또한, PBMC의 성장을 억제하는 농도 이하에서는 활성이 검출되지 않았다. AZT는 이들 시험에서 예상된 수준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비라세아-1 및 비라세아-2는 낮은 계대 임상적 분리체 ADA로 감염된 신선한 인간 단핵구-대식세포중에서 평가하였다. 이들 시험에서, 화합물들은 둘다 높은 수준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비라세아-2가 훨씬 탁월하다. 비라세아-1 및 비라세아-2의 50% 유효농도는 각각 1:4000 및 1:10000이었다. 형태학적 검사나 XTT-테트라졸리움 염색에 의해 단핵구-대식새포 단일층에 대한 독성은 검출되지 않았다. AZT는 이들 시험에서 예상된 수준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비라세아-1 및 비라세아-2는 CD4-발현성 HeLa-CD4-LTR-β-갈락토시다제 세포에 대한 감염성 바이러스의 부착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적세포에 대한 바이러스의 결합의 억제는 화합물 둘다의 경우에 약 1:1000 내지 1:3200의 희석도에서 검출되었다. 어떠한 화합물도 외피-발현성 HL2/3 세포와 HeLa-CD4-LTR- β-갈락토시다제 세포의 융합에 대하여 항바이러스성 효과를 갖지 않는다. 독성은 화합물이 단지 2시간 동안만 존재하는 결합시험에서 비라세아-2에 의한 독성뿐 아니라 화합물이 시험의 전기간중에 존재하는 융합시험 에서 화합물 둘다에 대하여 보고되었다. 설폰화 염료인 시카고 스카이블루(Chicago Sky Blue)는 이들 시험각각에서 예상된 수준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비라세아-2는 약 1:500(IC30)의 희석도에서 만성적으로 감염된 림프구로부터 바이러스가 ME180 경부상피세포주에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ME180 세포에 대한 독성은 이 시험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이 시험에서 약제는 단지 감염기간(4시간)중에만 존재하였다. 덱스트란 설페이트(양성 대조군, 황산화된 폴리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란(음성 대조군)은 이들 시험에서 예상된 수준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비라세아-2는 세포표면상에서의 CD4의 발현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다.
티미딘(DNA), 유리딘(RNA) 또는 로이신(단백질)의 고분자량 거대분자내로의 도입의 억제는 1:320 이상의 희석도에서 관찰되었다. 거대분자 합성의 억제는 CEM-SS 세포에서 화합물의 독성과 동등한 것이다.
HIV 시험결과의 요약
비라세아-1 및 비라세아-2는 확립된 T-세포에서의 HIV감염을 좁은 치료지수를 가지고 억제한다. 비라세아-1 및 비라세아-2는 단핵구-대식세포에서 HIV 복제를 잠재적으로 억제한다. 비라세아-1 및 비라세아-2는 표적세포에 대한 바이러스의 부착은 억제하지만, 감염된 세포와 비감염된 세포의 융합은 방지하지 못하였다. 비라세아-2는 국소적 살미생물제 시험에서 바이러스의 전파를 억제하였으며, HIV 의 성적전파를 방지하는데 유효할 수 있다. 비라세아-2는 세포표면 CD4 발현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었다.
예방 및 치료
항미생물성 화합물은 (1) HIV 의 성적전파의 예방을 돕고; (2) HIV 및 다른 바이러스의 바이러스 부하량을 조절하고; (3) HIV 를 박멸시키고; (4) 획득된 HIV를 갖는 환자에게서 자가면역결핍증후군(AIDS)의 잠복기를 연장시키고; (5) HIV 환자의 통증 및 고통을 감소시키고; (6) HIV의 감염성 확산을 저하시키며; (7) HIV 환자에 대해 더 우수하고 더 성공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살미생물제 및 의약을 제공한다. 의약적 치료는 또한 HIV 의 감염성 발병인 단순포진 바이러스 1 또는 2(HSV 1 또는 HSV 2) 또는 다른 감염성 미생물 질병의 신체적 증상을 해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은 상술한 바람직한 항미생물성 화합물(의약)을 시린지를 이용하여 HIV 또는 다른 감염성 미생물성 질병에감염된 환자의 직장관(지장, 직장조직, 항문 또는 항문조직) 또는 질(질조직)내로 1일에 8-12회, 바람직하게는 매 2 시간의 간격을 두고 10회씩, 연속적으로 10-18일의 기간, 바람직하게는 최상의 결과를 얻기 위해 연속적으로 14일(2주)의 기간동안 전신적으로 적용시키거나주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항미생물성 화합물(의약)의 용량, 농도 및 양은 질병의 중증도 및 범위와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인종 및 건강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항미생물성 화합물(의약)을 적용하기 전에 감염된 영역을 세정(세척)하고 건조시켜 감염된 영역상에 비누나 찌꺼기가 전혀 없도록 제거한다. 단순포진 바이러스 1 또는 2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항미생물성 화합물을 감염된 영역상에, 예를들어 19-24시간 동안 적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소포성 발진은 19-24시건 내에 해소되며, 따라서 헤르페스 병소는 치유된다.
본 발명의 의약적 치료 및 의약(조성물)의 여러가지 잇점중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HIV 및 다른 감염성 질병의 탁월한 치료 및 예방.
2. HIV, 단순포진 바이러스성 감염 및 다른 미생물성 감염의 통증을 독성이 없이 종결시키는 탁월한 결과.
3. HIV, 단순포진 바이러스성 감염 및 다른 미생물성 질병의 발병을 빠르게 해소시키는 놀라운 성능.
4. 신생아, 어린이, 성인 및 동물의 수명연장.
5. HIV, 헤르페스 및 다른 미생물성 질병으로 인한 세계적인 경제적 손실의 감소.
6. HIV 및 헤르페스로 고통받는 사람들의 심각한 감정적 및 정신적 고통의 대부분을 해소.
7.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물질(성분).
8. 경제성.
9. 안전성
10. 사용의 용이성.
11. 신뢰성.
12. 유효성.
본 발명의 구체예 및 실시예가 제시되고 기술되어 있지만, 다양한 변형 및 치환과 일부분, 성분 및 제조단계, 방법 및 치료의 재배열도 해당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본 발명의 신규한 의의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4)

  1. 에키나세 푸르푸레아(Echinacea purpurea) 및 코미포라 미라(Commiphora myrrha)로 이루어지는 초본 식물의 식물화학물질 농축물 40 내지 60 중량%;
    멸균수 20 내지 60 중량%; 및
    엽산 2 내지 12 중량%:
    로 이루어지는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의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코미포라 미라:에키나세 푸르푸레아의 비가 1:2 내지 1:4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벤잘코늄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0.02중량% 내지 0.30중량%의 암모늄염 계면 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KR10-1999-7008667A 1997-03-26 1998-03-24 인간면역결핍성 바이러스 및 그밖의 감염성 질환의 항미생물적 예방 및 치료 KR100403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24,041 US6350784B1 (en) 1996-02-12 1997-03-26 Antimicrobial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uman immunedeficiency virus and other infectious diseases
US08/824,041 1997-03-26
US8/824,041 1997-03-26
PCT/US1998/005792 WO1998042188A1 (en) 1997-03-26 1998-03-24 Antimicrobial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uman immunedeficiency virus and other infectious disea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5603A KR20010005603A (ko) 2001-01-15
KR100403418B1 true KR100403418B1 (ko) 2003-10-30

Family

ID=25240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667A KR100403418B1 (ko) 1997-03-26 1998-03-24 인간면역결핍성 바이러스 및 그밖의 감염성 질환의 항미생물적 예방 및 치료

Country Status (30)

Country Link
US (3) US6350784B1 (ko)
EP (1) EP0980203B1 (ko)
JP (2) JP2001527541A (ko)
KR (1) KR100403418B1 (ko)
CN (1) CN1258191A (ko)
AP (1) AP1163A (ko)
AT (1) ATE358418T1 (ko)
AU (1) AU727339B2 (ko)
BG (1) BG63612B1 (ko)
BR (1) BR9807892A (ko)
CA (1) CA2285394C (ko)
CZ (1) CZ298406B6 (ko)
DE (1) DE69837474T2 (ko)
DK (1) DK0980203T3 (ko)
EA (1) EA002423B1 (ko)
EE (1) EE9900436A (ko)
ES (1) ES2285765T3 (ko)
GE (1) GEP20022749B (ko)
HU (1) HU226910B1 (ko)
IL (1) IL132003A (ko)
IS (1) IS5191A (ko)
NO (1) NO325017B1 (ko)
NZ (1) NZ500002A (ko)
OA (1) OA11198A (ko)
PL (1) PL196036B1 (ko)
RS (1) RS49963B (ko)
SK (1) SK285810B6 (ko)
TR (1) TR199902674T2 (ko)
UA (1) UA65563C2 (ko)
WO (1) WO19980421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0784B1 (en) * 1996-02-12 2002-02-26 Meryl J. Squires Antimicrobial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uman immunedeficiency virus and other infectious diseases
US9662360B2 (en) 2008-10-09 2017-05-30 Meritus Corporation Treatment of herpes, pseudomonas, staph, and hepatitis
US20090191288A1 (en) * 1996-02-12 2009-07-30 Squires Meryl J Composition to Treat Herpes, Pseudomonas, Staph, Hepatitis and Other Infectious Diseases
DE60026279T2 (de) 1999-03-26 2006-10-12 Sunstar Inc., Takatsuki Zusammenstellungen zur prophylaxe und behandlung von allergien des typus i
ATE240715T1 (de) * 1999-06-30 2003-06-15 Unilever Nv Cuminalkohol enthaltende hautpflegemittel
CA2375647A1 (en) * 1999-07-08 2001-01-18 Patrick T. Prendergast Use of flavones, coumarins and related compounds to treat infections
US6211243B1 (en) 1999-09-22 2001-04-03 B. Ron Johnson Methods for treating cold sores with anti-infective compositions
US8173709B2 (en) * 1999-09-22 2012-05-08 Quadex Pharmaceuticals, Llc Anti-infective methods for treating pathogen-induced disordered tissues
US6759434B2 (en) 1999-09-22 2004-07-06 B. Ron Johnson Anti-infective compositions, methods and systems for treating disordered tissue
AU1740501A (en) * 1999-11-04 2001-06-06 Jacobus Marinus Brandes Phytotherapeutic composition as well as working method for improving the condition and the immune system of a human or animal with this composition
US7147859B2 (en) * 2000-05-15 2006-12-12 Laboratorios Biosintetica Ltda. Application of phytosterols (and their isomers), folic acid, cyanocobalamin and pyridoxin in dietetic (alimentary) fibers
WO2001097823A1 (en) * 2000-06-19 2001-12-27 Skopichenko Dettwiler, Victoria Herb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and curing of diseases
US20040092583A1 (en) * 2001-01-02 2004-05-13 Elizabeth Shanahan-Prendergast Treatment for inhibiting neoplastic lesions
IL143318A0 (en) * 2001-05-23 2002-04-21 Herbal Synthesis Corp Herb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mucosal lesions
WO2004030608A2 (en) * 2001-06-05 2004-04-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Nanoemulsion vaccines
US7923023B2 (en) * 2002-02-25 2011-04-12 Astech International LLC Method and composition for delivery of medicants to animals
CH696628A5 (de) * 2002-02-26 2007-08-31 Eprova Ag Verwendung von Folaten zur Herstellung einer Zubereitung geeignet zur Vorbeugung und Behandlung von Entzündungen und entzündungsassoziierter Krankheiten, im Speziellen zur Beeinflussung der
US7115563B2 (en) 2002-05-29 2006-10-03 Insignion Holding Limited Composition and its therapeutic use
GB0212405D0 (en) * 2002-05-29 2002-07-10 Insignion Holdings Ltd Composition and its therapeutic use
US8492443B2 (en) * 2002-07-08 2013-07-23 Joe S. Wilkins, Jr. Treatment for herpes simplex virus and other infectious diseases
FR2843125B1 (fr) * 2002-08-02 2012-11-16 Coletica Principes actifs stimulant les beta-defensives humaines de type 2 et/ou de type 3, et compositions cosmetiques ou pharmaceutiques comprenant de tels principes actifs
KR101534381B1 (ko) * 2002-08-12 2015-07-09 론자 인코포레이티드 항균 조성물
US7273889B2 (en) * 2002-09-25 2007-09-25 Innovative Drug Delivery Systems, Inc. NMDA receptor antagonist formulation with reduced neurotoxicity
IL153124A (en) * 2002-11-27 2010-06-30 Herbal Synthesis Corp Solid composition that can be glued to the lining
US20050036972A1 (en) * 2003-03-10 2005-02-17 Hy-Gene Biomedical Corporation System for managing pathogens and irritants and monitoring usage of anti-bacterial formulations
GB0326518D0 (en) * 2003-11-13 2003-12-17 Compton Developments Ltd Anti-cancer compounds
WO2005046695A1 (en) * 2003-11-17 2005-05-26 Maria Waithira Njuguna Injection vitamin b complex for treatment of non specific vaginitis (bacterial vaginitis)
US20080124408A1 (en) * 2004-07-07 2008-05-29 Mediherb Holdings Ltd. Echinacea Formulation
WO2006031230A1 (en) * 2004-09-10 2006-03-23 Hy-Gene Biomedical Corporation System for managing pathogens and irritants and monitoring usage of anti-bacterial formulations
US9839685B2 (en) * 2006-04-13 2017-12-1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thods of inducing human immunodeficiency virus-specific immune responses in a host comprising nasally administering compositions comprising a naonemulsion and recombinant GP120 immunogen
US10138279B2 (en) 2006-04-13 2018-11-27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Bacillus anthracis vaccination
US20080038295A1 (en) * 2006-04-13 2008-02-14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orthopox virus vaccination
JP2007332126A (ja) * 2006-06-16 2007-12-27 Teikyo Univ ヒトおよび愛玩動物のための抗白癬入浴剤
CN101697966B (zh) * 2007-01-08 2011-10-19 杭州民生药业有限公司 蓬莪术环二烯在制备治疗由病毒引起的疾病的药物中的应用
DE102007029042A1 (de) * 2007-06-21 2008-12-24 Analyticon Discovery Gmbh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mit einem Trihydroxychromenone-Derivate
US8637094B2 (en) 2007-07-18 2014-01-28 Iraj E. Kiani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viral conditions
US7850998B2 (en) * 2007-07-18 2010-12-14 Kiani Iraj E Method of treating viral conditions
US7700137B1 (en) 2007-07-18 2010-04-20 Kiani Iraj E Anti-viral compositions and method
CA2826508C (en) * 2008-05-23 2016-07-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Nanoemulsion vaccines
EP2320920B1 (en) * 2008-07-22 2015-04-22 Izun Pharmaceuticals Corporation Topical anti-inflammatory combination
CH699653B1 (de) * 2008-09-08 2010-05-14 Bioforce Ag Roggwil Tg Zubereitung zur Prävention und/oder Behandlung und/oder Verhinderung der Weiterverbreitung von Atemwegserkrankungen.
WO2010091280A1 (en) * 2009-02-06 2010-08-12 Alcon Research, Ltd. N-halogenated amino acid formulations comprising phosphine or amine oxides
US20100303935A1 (en) * 2009-05-29 2010-12-02 Squires Meryl J Medicinal Composition
US20100316673A1 (en) * 2009-06-16 2010-12-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Nanoemulsion vaccines
EP2324840B1 (en) * 2009-11-18 2019-03-20 Croda Italiana S.p.A. Production of caffeoylquinic acids from plant cell cultures of echinacea angustifolia
WO2011082835A1 (en) * 2010-01-11 2011-07-14 Vitro-Bio Sarl New synergistic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topical viral infections
US20110229537A1 (en) * 2010-03-17 2011-09-22 Arbonne International Llc Oral supplement
WO2012069605A1 (en) 2010-11-26 2012-05-31 Dr. August Wolff Gmbh & Co. Kg Arzneimittel Novel e,e-diene compounds and their use as medicaments and cosmetics
WO2012123539A1 (en) * 2011-03-17 2012-09-20 Sonia Pharma Gmbh Treatment of vaginal atrophy as novel indication for myrrh
US8287924B2 (en) 2011-03-17 2012-10-16 Sonia Pharma Gmbh Treatment of menopausal symptoms as novel indication for myrrh
DK2500026T3 (da) * 2011-03-17 2013-08-26 Sonia Pharma Gmbh Behandling af menopausale symptomer som moderne indikation for myrra
KR101334348B1 (ko) * 2011-12-21 2013-11-2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러스 억제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US9463180B2 (en) 2013-03-14 2016-10-11 Quadex Pharmaceuticals, Llc Treatment of molluscum contagiosum
US9549930B2 (en) 2013-03-14 2017-01-24 Quadex Pharmaceuticals, Llc Combined systemic and topical treatment of disordered and/or prodromal stage tissue
US9125911B2 (en) * 2013-03-14 2015-09-08 Quadex Pharmaceuticals, Llc Combined systemic and topical treatment of disordered tissues
PT2792389T (pt) * 2013-04-17 2020-01-20 Global Health Solutions Ag Composição farmacêutica antiviral contendo um extracto de junco picante
CA2955981C (en) 2014-07-22 2022-10-25 Ralco Nutrition, Inc. Antiviral compositions comprising one or more essential oils
CN106496202B (zh) * 2015-09-06 2019-08-06 中国海洋大学 一种生物碱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作为抗单纯疱疹ⅰ型病毒剂的应用
KR102670487B1 (ko) * 2016-11-17 2024-05-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시나린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00179299A1 (en) * 2018-12-07 2020-06-11 Global Biolife Inc. Composi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infectious diseases with functional fragrances
EP3894018A4 (en) * 2018-12-11 2022-11-02 Glyciome, LLC TOPICAL, ISOTONIC COMPOSITIONS FOR GENITAL USE
KR102416208B1 (ko) * 2020-01-08 2022-07-0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된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용 조성물
IT202000018970A1 (it) * 2020-08-03 2022-02-03 Asoltech Srl Composizione a base di mirra
LU102656B1 (de) 2021-03-11 2022-09-12 Prosecur Gmbh Flüssiges Nahrungsergänzungsmittel zur Immunstimulatio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sowie Verwendung
CN115414349B (zh) * 2022-08-26 2023-11-03 武汉科前生物股份有限公司 芹菜素在制备治疗猫鼻支气管炎药物中的用途
KR20240087518A (ko) 2022-12-01 2024-06-19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페산을 포함하는 식물바이러스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바이러스 방제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5033A (en) * 1993-05-21 1995-10-03 Degree/Silverman M.D. Inc. Medicin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inflammation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3421A (en) * 1979-12-19 1981-08-11 Ray Frank F Anti-viral treatment
US4935448A (en) * 1983-01-10 1990-06-19 Baldone Joseph A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herpes viruses
US4760079A (en) * 1983-01-10 1988-07-26 Baltech, Inc.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herpes viruses
US4661354A (en) * 1984-06-21 1987-04-28 Finnerty Edmund F Topical treatment of herpes simplex with a zinc sulfate-camphor water solution
US4797420A (en) * 1984-08-14 1989-01-10 Jabco Manufacturing, Inc. Disinfectant formulation and method of use
US4585656A (en) * 1984-08-20 1986-04-29 Rosenthal Harold R Treatment of herpes
DE3521143A1 (de) * 1985-06-13 1986-12-18 Robugen Gmbh Arzneimittel zur behandlung schwerer herpes-infektionen
DE3522075A1 (de) * 1985-06-20 1987-01-02 Lomapharm Rudolf Lohman Gmbh K Sesquiterpenverbindungen, verfahren zu ihrer isolierung und arzneimittel, enthaltend diese verbindungen
EP0213099A3 (de) * 1985-08-23 1989-07-19 Cederroth Nordic Aktiebolag Mittel mit antiphlogistischer, immunstimulierender und zytoprotektiver Wirkung, ihre Herstellung und pharmazeutische Verwendungen
DE3533563A1 (de) * 1985-09-20 1987-03-26 Michael Birzer Mep-aids mittel
FR2620698B1 (fr) * 1987-09-23 1990-08-10 Atlantic Pharma Prod Fluorure d'ammonium quaternaire et son application dans une substance inhibitrice ou destructrice d'etres vivants unicellulaires
US5149529A (en) * 1988-04-08 1992-09-22 Board Of Trustees Of Leland Chiron Corporation Compositions and treatment for herpes simplex
DE4017091A1 (de) 1990-05-27 1991-11-28 Walter Dr Mach Molekuelverbundsystem zur kontra-eskalativen therapie viraler infektionskrankheiten
US6355684B1 (en) * 1990-10-11 2002-03-12 Meryl J. Squires Antimicrobial treatment for herpes simplex virus and other infectious diseases
US6348503B1 (en) * 1996-02-12 2002-02-19 Meryl J. Squires Method and topical treatment composition for herpesvirus hominis
US6350784B1 (en) * 1996-02-12 2002-02-26 Meryl J. Squires Antimicrobial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uman immunedeficiency virus and other infectious diseases
US5248503A (en) * 1992-01-03 1993-09-28 Emanuel King Rosalba Herbal dietary supplement
US5461029A (en) * 1992-04-24 1995-10-24 American Cyanamid Company Method of treating herpes viral infections using HBNF and MK proteins
NL9500216A (nl) 1995-02-06 1996-09-02 Bio Pharma Sciences Bv Farmaceutische samenstelling voor de behandeling van herpes.
US5876728A (en) * 1995-02-15 1999-03-02 Howard David Kass Natural composition extracted from plants used in the treatment of cancer
AU679162B3 (en) * 1995-11-21 1997-06-19 Stolair Pty Ltd Therapeutic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5033A (en) * 1993-05-21 1995-10-03 Degree/Silverman M.D. Inc. Medicin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inflam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771898A (en) 1998-10-20
DE69837474D1 (de) 2007-05-16
US20060024393A1 (en) 2006-02-02
CN1258191A (zh) 2000-06-28
HU226910B1 (hu) 2010-03-01
UA65563C2 (uk) 2004-04-15
EA199900773A1 (ru) 2000-10-30
EP0980203A1 (en) 2000-02-23
HUP0001379A3 (en) 2000-11-28
EP0980203B1 (en) 2007-04-04
US6350784B1 (en) 2002-02-26
EP0980203A4 (en) 2004-05-06
NZ500002A (en) 2001-09-28
CZ298406B6 (cs) 2007-09-26
WO1998042188A1 (en) 1998-10-01
US20030104082A1 (en) 2003-06-05
OA11198A (en) 2003-05-30
US7071233B2 (en) 2006-07-04
ES2285765T3 (es) 2007-11-16
EA002423B1 (ru) 2002-04-25
TR199902674T2 (xx) 2000-02-21
NO325017B1 (no) 2008-01-14
RS49963B (sr) 2008-09-29
BR9807892A (pt) 2000-02-22
AP9901661A0 (en) 1999-09-30
NO994639D0 (no) 1999-09-24
PL196036B1 (pl) 2007-11-30
YU48099A (sh) 2002-03-18
NO994639L (no) 1999-11-24
CZ336899A3 (cs) 2000-07-12
IS5191A (is) 1999-09-23
JP2001527541A (ja) 2001-12-25
DE69837474T2 (de) 2007-12-13
EE9900436A (et) 2000-04-17
PL336168A1 (en) 2000-06-05
DK0980203T3 (da) 2007-07-30
HUP0001379A2 (hu) 2000-08-28
KR20010005603A (ko) 2001-01-15
SK285810B6 (sk) 2007-08-02
SK131899A3 (en) 2000-12-11
CA2285394A1 (en) 1998-10-01
JP2000119188A (ja) 2000-04-25
BG63612B1 (bg) 2002-07-31
BG103786A (bg) 2000-10-31
ATE358418T1 (de) 2007-04-15
GEP20022749B (en) 2002-08-26
AP1163A (en) 2003-06-30
AU727339B2 (en) 2000-12-07
IL132003A0 (en) 2001-03-19
IL132003A (en) 2005-08-31
CA2285394C (en)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3418B1 (ko) 인간면역결핍성 바이러스 및 그밖의 감염성 질환의 항미생물적 예방 및 치료
US20090191288A1 (en) Composition to Treat Herpes, Pseudomonas, Staph, Hepatitis and Other Infectious Diseases
KR100347651B1 (ko) 단순포진바이러스및다른감염성질병의치료를위한항균성조성물
US9662360B2 (en) Treatment of herpes, pseudomonas, staph, and hepatitis
DE60032915T2 (de) Gallium komplexe von 3-hydroxy-4-pyronen zur behandlung von durch intrazelluläre prokaryoten, dns- und retro-viren verursachten infektionen
HU230459B1 (hu) Makrolid alapú gyógyszerészeti készítmény szemészeti lokális alkalmazásra
RU2519553C1 (ru) Лекарственный препарат комплексного действия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DE60212349T2 (de) Verwendung von n-acetyl-d-glucosamin bei der herstellung eines pharmazeutischen mittels zur prävention und behandlung von sexuellen störungen
FR2619313A1 (fr) Nouvelles compositions d&#39;elements mineraux et/ou oligoelements et leur procede de preparation
MXPA99008750A (es) Prevencion y tratamiento antimicrobianos de virus de inmunodeficiencia humana y otras enfermedades infecciosas
JPH0435476B2 (ko)
JPS63170319A (ja) 抗白内障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