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152B1 - 회전 전기 기기 권선을 위한 권선기 및 권선 방법 - Google Patents

회전 전기 기기 권선을 위한 권선기 및 권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152B1
KR100400152B1 KR10-2001-0066611A KR20010066611A KR100400152B1 KR 100400152 B1 KR100400152 B1 KR 100400152B1 KR 20010066611 A KR20010066611 A KR 20010066611A KR 100400152 B1 KR100400152 B1 KR 100400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ember
winding
magnetic pole
core
pole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4882A (ko
Inventor
아끼따히로유끼
나까하라유우지
미야께노부아끼
오무라가즈야
다까이게이지
도미따가즈나리
가와스기나오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34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1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8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 H02K15/095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by laying conductors around salient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권선의 정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권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요오크부(11c)와 이 요오크부(11c)의 내면(11d)에 볼록하게 설치된 자극 티스(11a)로 이루어지는 코어 부재(11)를 복수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코어 부재(13)의 상기 각 자극 티스(11a)에 권선(20)을 실시하는 권선기로서,
그 자세 보유 지지 수단을 구성하는 회전 롤러(14), 대경 가이드 롤러(21) 및 소경 가이드 롤러(22)는 코어 부재(13)를 굴곡시켜, 권선 시공 대상인 코어 부재(11.4)에 인접하는 코어 부재(11.3, 11.5)가, 상기 권선 시공 대상인 코어 부재(11.4)의 요오크부 내면(11d)을 포함하는 경계면(S)으로부터 그 자극 티스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코어 부재(13)의 자세를 보유 지지한다.

Description

회전 전기 기기 권선을 위한 권선기 및 권선 방법 {A WIRE-WINDING MACHINE AND A WIRE-WINDING METHOD FOR MAKING WINDINGS OF A ROTARY ELECTROMECHANICAL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코어 부재를 굴곡 가능한 연결 수단을 거쳐서 띠형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코어 부재의 각 자극 티스에 권선을 실시하는 회전 전기 기기 권선을 위한 권선기 및 권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권선의 정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1-98774호 공보에 개시된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권선기(1)는 도9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선기(2)의 드럼(2a)에 권취되어 연결 수단을 거쳐서 띠형으로 연결된 코어 부재(3)의 외측으로 돌출된 각 자극 티스(3a)에, 노즐(1a)를 거쳐서 마그넷 와이어(4)를 차례로 권취함으로써 권선(5)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일본 공개 평11-187630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권선기(6)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형 경로를 갖는 반송 가이드(7)에 따라서 도면 중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되고, 연결 수단을 거쳐서 띠형으로 연결된 코어 부재(8)의 내측으로 돌출된 각 자극 티스(8a)에 노즐(6a)를 거쳐서 마그넷와이어(9)를 차례로 권취함으로써 권선(10)을 실시하고 있다.
종래의 각 권선기(1, 6)는 이상과 같이, 각각 띠형 코어 부재(3, 8)를 호형(弧狀)으로 배치함으로써, 동시에 3개의 권선(5, 10)을 권취하여 권선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극 티스(8a)가 굽힘의 내측이 되도록 배치된 코어 부재(8)에 마그넷 와이어(9)를 권취하는 경우는 물론,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극 티스(3a)가 굽힘의 외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슬롯폭이 확대된 상태의 코어 부재(3)에 마그넷 와이어(4)를 권취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충분한 권취 공간을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로 인해,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각 노즐(1a, 6a)을 각 자극 티스(3a, 8a)의 축에 평행하게 배치해야만 해,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노즐(1a, 6a)의 토출구(도면 중 A로 도시함)의 내경측 코너부의 곡률 반경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권취 중 각 노즐(1a, 6a)의 이동 위치에 의해, 예를 들어 각 마그넷 와이어(4, 9)가 각각 도면 중 실선 및 파선으로 도시한 상태로서는 각 마그넷 와이어(4, 9)와 코너부 사이의 마찰 저항이 다르고, 각 마그넷 와이어(4, 9)에 가해지는 장력이 변동하므로 정렬하여 권취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마그넷 와이어의 권취시에 있어서의 변형을 방지하여, 권선의 정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권선기 및 권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권선기의 구성 및 이 권선기에 의한 권선의 일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권선기에 의한 권선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도1에 있어서의 권선기에 의한 권선의 도2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도1에 있어서의 권선기의 회전 롤러의 구성을 도시하고, (A)는 정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선 B-B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도4에 있어서의 회전 롤러의 각 부품의 구성을 도시하고, (A)는 제1 래칫 휠의 정면도, (B)는 제2 래칫 휠의 정면도.
도6은 도1에 있어서의 권선기에 의해서 권선을 실시하여 완성된 고정자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권선기의 구성 및 이 권선에 의한 권선의 각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도7에 있어서의 권선기의 자세 보유 지지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종래의 권선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10은 도9에 있어서의 종래의 권선기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11은 종래의 권선기의 도9와는 다른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12는 종래의 권선기에 의한 권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의 설명>
11, 11.1 내지 11.9 : 코어 부재
11a : 자극 티스
11b : 결합홈
11c : 요오크부
11d : 요오크 내면
12 : 연결 부재
13 : 코어 부재
14 : 회전 롤러
16 : 제1 래칫 휠
17 : 제2 래칫 휠
18 : 플라이어
19 : 마그넷 와이어
20 : 권선
21 : 대경 가이드 롤러
22 : 소경 가이드 롤러
23 : 고정자
24 : 보유 지지 롤러
25 : 척
26 : 자세 보유 지지 수단
27 : 접촉 부재
28 : 파지 부재
S : 경계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권선기는 복수의 코어 부재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코어 부재로 구성되는 회전 전기 기기 철심에 권선을 실시하기 위한 권선기로서,
상기 각 코어 부재는 요오크부와 이 요오크부의 내면에 볼록하게 설치되여 상기 권선이 실시되는 자극 티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 부재는 상기 각 요오크부의 양단부를 굴곡 가능한 연결 수단을 거쳐서 띠형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권선기는 와이어 공급 수단과 자세 보유 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공급 수단은 그 와이어 도출단부가 상기 자극 티스를 축으로 주회하여 상기 자극 티스에 권선을 실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자세 보유 지지 수단은 상기 와이어 공급 수단에 의한 권선 시공시, 상기 각 자극 티스가 굽힘의 외측 또는 내측이 되도록 상기 연결 수단을 거쳐서 상기 코어 부재를 굴곡시켜, 권선 시공 대상인 코어 부재에 인접하는 코어 부재가 상기 권선 시공 대상인 코어 부재의 상기 요오크부 내면을 포함하는 경계면으로부터 그 자극 티스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상기 코어 부재의 자세를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권선 방법은 복수의 코어 부재를 연결하여이루어지는 코어 부재로 구성되는 회전 전기 기기 철심에 권선을 실시하기 위한 권선 방법으로서,
상기 각 코어 부재는 요오크부와 이 요오크부의 내면에 볼록하게 설치되어 상기 권선이 실시되는 자극 티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 부재는 상기 각 요오크부의 양단부를 굴곡 가능한 연결 수단을 거쳐서 띠형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자극 티스가 굽힘의 외측 또는 내측이 되도록 상기 연결 수단을 거쳐서 상기 코어 부재를 굴곡시켜, 하나의 코어 부재에 인접하는 코어 부재가 상기 하나의 코어 부재의 상기 요오크부 내면을 포함하는 경계면으로부터 그 자극 티스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상기 코어 부재의 자세를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하나의 코어 부재에 권선을 실시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권선기의 구성 및 이 권선기에 의한 권선의 일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에 있어서의 권선기에 의한 권선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도1에 있어서의 권선기에 의한 권선의 도2 공정의 다음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도1에 있어서의 권선기의 회전 롤러의 구성을 도시하고, (A)는 정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선 B-B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도4에 있어서의 회전 롤러의 각 부품의 구성을 도시하고, (A)는 제1 래칫 휠의 정면도, (B)는 제2 래칫 휠의 정면도, 도6은 도1에 있어서의 권선기에의해서 권선을 실시하여 완성된 고정자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1(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은 요오크부(11c)와 이 요오크부(11c)의 내면(11d)에 볼록하게 설치된 자극 티스(11a)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어 부재이고, 요오크부(11c)의 외부면 중앙에는 후술하는 회전 롤러(14)와 결합하는 결합홈(11b)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 12는 이들 각 코어 부재(11) 사이에 굴곡 가능하게 배치되고, 각 코어 부재(11)를 띠형으로 연결하는 연결 수단으로서의 연결 부재로 각 코어 부재(11)와 함께 코어 부재(13)를 형성하고 있다. 부호 14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축(15)을 거쳐서 간결 회전 구동되는 자세 보유 지지 수단으로서의 회전 롤러로,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회전축(15)에 끼워 맞추어지는 관통 구멍(16a), 한 쪽에 소경으로 형성된 보스부(16b), 다른 쪽에 주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거쳐서 대경으로 형성된 복수의 플랜지부(16c) 및 이 플랜지부(16c)의 주위 방향 일단부에 각각 외부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코어 부재(11)의 결합홈(11b)에 결합 가능한 갈고리부(16d)를 갖는 제1 래칫 휠(16)과, 중앙에 제1 래칫 휠(16)의 보스부(16b)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내경부(17a) 및 외주에 제1 래칫 휠(16)의 갈고리부(16d)와 동일 간격을 거쳐서 돌출하여 형성되고, 코어 부재(11)의 결합홈(11b)에 결합 가능한 갈고리부(17b)를 갖는 환형의 제2 래칫 휠(1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 18은 도시하지 않은 와이어 공급 수단으로서의 권선 헤드에 장착된 3기(基)의 플라이어로 회전 롤러(14)에 결합되어 연속하는 3개의 코어 부재(11)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고, 각 자극 티스(11a)에 각각 마그넷 와이어(19)를 권취하여 권선(20)을 실시한다. 또, 이 플라이어(18)는 그 와이어 도출단부에 있어서의 와이어 도출 방향이 항상 자극 티스(11a)를 축으로 하는 직경 방향이 되는 와이어(19)를 가이드한다. 부호 21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이어(18)가 배치되는 3개의 코어 부재(11)의 전후에 위치하는 코어 부재(11)의 각 자극 티스(11a)의 선단부에,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된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대경 가이드 롤러, 부호 22는 이들 양 대경 가이드 롤러(21)가 접촉하는 양 코어 부재(11)와, 이들의 전후에 각각 인접하는 코어 부재와의 사이의 연결 부재(12)에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된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소경 가이드 롤러이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권선기의 동작에 대하여 각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우선, 회전 롤러(14)의 양 갈고리부(16d, 17b)가 선두 위치의 코어 부재(11, 11.1)[이하, 간단히 코어 부재(11.1)로 표시하는 것으로 함]의 결합홈(11b)에 결합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래칫 휠(16, 17)은 도4의 (A)의 위치로부터 일단 반대화살표 A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여, 양 갈고리부(16d, 17b)가 주위 방향 대략 동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코어 부재(11)의 결합홈(11b)에 삽입되고, 그 후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회전 롤러(14)가 선두 위치의 코어 부재(11)를 계지한다.
다음에, 회전 롤러(1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코어 부재(11)의 1개분에 상당하는 각도 회전한 위치에서 상술한 것과 동일한 요령으로 선두로부터 2번째의 코어 부재(11.2)를 새롭게 계지한다. 회전 롤러(14)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도1에서는 선두로부터 4번째까지의 4개의 코어 부재(11.1 내지 11.4)가 회전 롤러(14)에 계지되어 있다. 이 중, 선두로부터 3번째까지의 3개의 코어 부재(11.1 내지 11.3)가 플라이어(18)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때 각 코어 부재(11)는 회전 롤러(14) 및 양 가이드 롤러(21, 22)의 규제에 의해, 각 연결 부재(12)를 거쳐서 각각 자극 티스(11a)가 굽힘의 외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이 경우, 설명의 편의상 권선 시공 도중을 나타내는 후술하는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권선 시공 대상 코어 부재쪽(11.4)에 인접하는 코어 부재(11.3, 11.5)가 권선 시공 대상 코어 부재(11.4)의 요오크 내면(11d)을 포함하는 경계면(S)(도2에서 쇄선으로 도시함)으로부터 자극 티스(11a)측(도2에서 해칭을 실시한 부분)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회전 롤러(14)가 각 코어 부재(11)의 자세를 보유 지지한다. 즉, 상기 자세를 보유 지지하도록 회전 롤러(14)의 직경 치수 등이 코어 부재(11)의 형상, 치수에 관련하게 되어 결정되게 된다.
다음에, 플라이어(18)를 조작시킴으로써 마그넷 와이어(19)가 3개의 코어 부재(11)의 자극 티스(11a)에 권취되어 권선(20)이 실시된다. 이하, 상기와 마찬가지인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의 4번째에서부터 6번째의 3개의 코어 부재(11.4 내지 11.6)가 회전 롤러(14)에 계지되고, 플라이어(18)에 의해 권선(20)이 실시된다. 계속해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 7번째에서부터 9번째의 3개의 코어 부재(11.7 내지 11.9)가 회전 롤러(14)에 계지되고, 플라이어(18)에 의해 권선(20)이 실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전체 9개의 코어부재(11)의 각 자극 티스(11a)에 권선(20)이 실시되면, 마지막으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연결 부재(12)를 굴곡시켜, 권선(20)이 실시된 자극 티스(11a)가 굽힘의 내측이 되도록 코어 부재(13)를 환형으로 형성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부끼리를 예를 들어 용접 등으로 고정 부착시킴으로써 고정자(23)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회전 롤러(14)의 양 래칫 휠(16, 17)에 의해 코어 부재(13) 중 3개씩 코어 부재(11)가 차례로 계지되는 동시에, 회전 롤러(14) 및 양 가이드 롤러(21, 22)의 규제에 의해, 코어 부재(13)가 각 자극 티스(11a)가 굽힘의 외측이 되도록 연결 부재(12)를 통하여 굴곡된다. 그리고, 권선 시공 대상인 코어 부재(11)에 인접하는 코어 부재(11)가 권선 시공 대상인 코어 부재(11)의 요오크 내면(11d)을 포함하는 경계면(S)으로부터 그 자극 티스(11a)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회전 롤러(14)가 각 코어 부재(11)의 자세를 보유 지지하고, 그 상태에서 권선(20)이 실시되므로, 마그넷 와이어(19)를 권취하는 데 플라이어(18)의 사용이 가능해지며, 마그넷 와이어(19)의 권취시에 있어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권선(20)의 정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코어 부재(11)를 3개씩 동시에 권선(20)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권선(20)에 연결선을 부착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생산 라인 등과의 관계에 따라서는 반드시 3개의 코어 부재에 동시에 권선을 실시할 필요는 없고, 1개씩 권선을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회전 롤러(14)를 자세 보유 지지 수단으로 하고 있지만,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제2 실시 형태>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권선기의 구성 및 이 권선기에 의한 권선의 각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도7에 있어서의 권선기의 자세 보유 지지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와 같은 부분은 동일 부호 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부호 24는 주위 방향으로 90°의 간격을 거쳐서 배치되어 회전 가능한 4기의 보유 지지 부재로서의 보유 지지 롤러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고, 권선(20)이 실시되는 코어 부재(11)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다른 코어 부재(11)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2)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면 부호 25는 이들 각 보유 지지 롤러(24)의 중간에 각각 배치되고, 직경 방향 외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여 선단부에 형성된 결합부(25a)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권선(20)이 실시되는 코어 부재(11)의 결합홈(11b)과 결합함으로써, 코어 부재(11)를 계지하는 3기의 척으로, 보유 지지 롤러(24)와 함께 자세 보유 지지 수단(26)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각 척(25)에 의해 계지된 각 코어 부재(11)에 대응하여 플라이어(18)가 배치되어 있다. 부호 27은 보유 지지 롤러(24) 및 척(25)의 외부에, 주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거쳐서 배치되는 복수의 접촉 부재로, 각 보유 지지 롤러(24)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각 코어 부재(11)를 외측으로 압박한 상태에서, 각 코어 부재(11)의 자극 티스(11a)의 선단부에 각각 접촉함으로써 코어 부재(13)를 환형으로 보유 지지한다. 부호 28은 코어 부재(13)가 환형으로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소정의 코어 부재(11)의 자극 티스(11a)를 파지(把持)하여, 코어 부재(11)를 1피치분만큼 주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복수의 파지 부재이고, 플라이어(18)에 의한 마그넷 와이어(19)의 권취시에는 접촉 부재(27) 모두가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로 대피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권선기의 권선 및 코어 부재의 자세 보유 지지 동작을 도7 및 도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척(25)이 외측으로 이동하여 결합부(25a)가 1번째, 4번째 및 7번째의 각 코어 부재(11.1, 11.4 및 11.7)의 각 결합홈(11b)과 결합하여 이를 계지한다. 또, 각 보유 지지 롤러(24)가 원래의 위치에서 2번째와 3번째의 코어 부재(11.2, 11.3)의 사이, 5번째와 6번째의 코어 부재(11.5, 11.6)의 사이, 및 8번째와 9번째의 코어 부재(11.8, 11.9)의 사이의 연결부와 접촉한다. 이로써, 1번째, 4번째 및 7번째의 각 코어 부재(11.1, 11.4 및 11.7)와 그에 인접하는 코어 부재(11.2) 등과는 동일 원주 상에서 자극 티스(11a)가 각각 굽힘의 외측이 되도록 굴곡된다. 또한, 2번째와 3번째의 코어 부재(11.2, 11.3), 5번째와 6번째의 코어 부재(11.5, 11.6), 8번째와 9번째의 코어 부재(11, 8, 11.9)는 각각 자극 티스(11a)가 굽힘의 내측이 되도록 각각 굴곡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척(25)에 의해 계지된 1번째, 4번째 및 7번째의 각 코어 부재(11.1, 11.4 및 11.7)의 자극 티스(11a)에, 플라이어(18)에 의해 마그넷 와이어(19)를 권취하여 권선(20)이 실시된다.
다음에, 도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접촉 부재(27)를 소정의 위치에 설정하고, 각 척(25)의 결합부(25a)를 코어 부재(11)의 결합홈(11b)으로부터 제거하는 동시에, 각 보유 지지 롤러(24)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각 코어 부재(11)를 압박한다. 이에 따라, 각 자극 티스(11a)의 선단부를 각 접촉 부재(27)에 접촉시켜 코어 부재(13)를 원환형으로 변형시킨다. 그 후, 파지 부재(28)에 의해 2번째, 5번째 및 8번째의 코어 부재(11.2, 11.5 및 11.8)의 자극 티스(11a)를 파지하여, 도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 롤러(24)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자극 티스(11a)의 1피치만큼 주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각 코어 부재(11)가 1피치씩 어긋나게 되어, 1번째, 4번째 및 7번째 대신에 2번째, 5번째 및 8번째의 각 코어 부재(11.2, 11.5 및 11.8)가 각각 플라이어(18)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계속해서, 도8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번째, 3번째, 4번째, 6번째, 7번째 및 9번째의 코어 부재(11.1, 11.3, 11.4, 11.6, 11.7 및 11. 9)의 자극 티스(11a)와 접촉하고 있는 각 접촉 부재(27)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각 코어 부재(11)의 연결부를 보유 지지 롤러(24)에 접촉시킴으로써, 2번째, 5번째 및 8번째의 각 코어 부재(11.2, 11.5 및 11.8)와 그에 인접하는 코어 부재(11.1) 등과는 동일 원주 상에서 자극 티스(11a)가 각각 굽힘의 외측이 되도록 굴곡된다. 또한, 3번째와 4번째의 코어 부재(11.3, 11.4), 6번째와 7번째의 코어 부재(11.6, 11.7)는 각각 자극 티스(11a)가 굽힘의 내측이 되도록 각각 굴곡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7의 (A)에 도시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척(25)으로 대응하는 각 코어 부재(11)를 계지하고, 2번째, 5번째 및 8번째의 각 코어 부재(11.2, 11.5 및 11.8)의 자극 티스(11a)에 각각 플라이어(18)에 의해 마그넷 와이어(19)를 권취하여 권선(20)을 실시한다.
이하, 상기와 마찬가지인 자세 변형 동작을 반복하고, 도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척(25)에 의해 계지된 3번째, 6번째 및 9번째의 각 코어 부재(11.3, 11.6 및 11.9)의 자극 티스(11a)에, 각각 플라이어(18)에 의해 마그넷 와이어(19)를 권취하여 권선(20)을 실시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전체 9개의 코어 부재(11.1 내지 11.9)의 각 자극 티스(11a)에 권선(20)이 실시되면, 마지막으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6에 도시한 바와 마찬가지로 각 연결 부재(12)를 굴곡시켜, 권선(20)이 실시된 자극 티스(11a)가 내측이 되도록 코어 부재(13)를 환형으로 형성하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부끼리를 예를 들어 용접 등으로 고정 부착시킴으로써 고정자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척(25)에 의해 코어 부재(13)의 (1번째, 4번째, 7번째), (2번째, 5번째, 8번째), (3번째, 6번째, 9번째) 중 3개씩 코어 부재(11)를 차례로 계지하는 동시에, 척(25) 및 보유 지지 롤러(24)의 규제에 의해, 코어 부재(13)를 상술한 상태로 굴곡시킨다. 이에 의해, 권선 시공 대상인 코어 부재(11)에 인접하는 코어 부재(11)가 권선 시공 대상인 코어 부재(11)의 요오크 내면(11d)을 포함하는 경계면(S)으로부터 그 자극 티스(11a)측으로 돌출하지 않게 되어, 마그넷 와이어(19)를 권취하는 데 플라이어(18)의 사용이 가능해지며, 마그넷 와이어(19)의 권취시에 있어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권선(20)의정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3개씩의 코어 부재(11)에 대하여 동시에 권선(20)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권선(20)에 연결선을 부착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을 더욱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권선(20)을 실시하는 코어 부재(11)를 2개 건너 뛰어 배치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공간적으로 플라이어(18)의 설치가 한층 용이해진다. 또, 상기 구성에서는 척(25)에 의해 90°간격으로 코어 부재(11)를 2개 건너 뛰어 차례로 계지하도록 하고 있지만,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르면, 복수의 코어 부재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코어 부재로 구성되는 회전 전기 기기 철심에 권선을 실시하기 위한 권선기로서,
상기 각 코어 부재는 요오크부와 이 요오크부의 내면에 볼록하게 설치되어 상기 권선이 실시되는 자극 티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 부재는 상기 각 요오크부의 양단부를 굴곡 가능한 연결 수단을 거쳐서 띠형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권선기는 와이어 공급 수단과 자세 보유 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공급 수단은 그 와이어 도출단부가 상기 자극 티스를 축으로 주회하여 상기 자극 티스에 권선을 실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자세 보유 지지 수단은 상기 와이어 공급 수단에 의한 권선 시공시, 상기 각 자극 티스가 굽힘의 외측 또는 내측이 되도록 상기 연결 수단을 거쳐서 상기 코어 부재를 굴곡시켜, 권선 시공 대상인 코어 부재에 인접하는 코어 부재가 상기 권선 시공 대상인 코어 부재의 상기 요오크부 내면을 포함하는 경계면으로부터 그 자극 티스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상기 코어 부재의 자세를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마그넷 와이어의 권취시의 변형을 방지하여 권선의 정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권선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르면 복수의 코어 부재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코어 부재로 구성되는 회전 전기 기기 철심에 권선을 실시하기 위한 권선 방법으로서,
상기 각 코어 부재는 요오크부와 이 요오크부의 내면에 볼록하게 설치되어 상기 권선이 실시되는 자극 티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 부재는 상기 각 요오크부의 양단부를 굴곡 가능한 연결 수단을 거쳐서 띠형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자극 티스가 굽힘의 외측 또는 내측이 되도록 상기 연결 수단을 거쳐서 상기 코어 부재를 굴곡시켜, 하나의 코어 부재에 인접하는 코어 부재가 상기 하나의 코어 부재의 상기 요오크부 내면을 포함하는 경계면으로부터 그 자극 티스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상기 코어 부재의 자세를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하나의 코어 부재에 권선을 실시하도록 하였으므로, 마그넷 와이어의 권취시의 변형을 방지하여 권선의 정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권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복수의 코어 부재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코어 부재로 구성되는 회전 전기 기기 철심에 권선을 실시하기 위한 권선기로서,
    상기 각 코어 부재는 요오크부와 이 요오크부의 내면에 볼록하게 설치되어 상기 권선이 실시되는 자극 티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 부재는 상기 각 요오크부의 양단부를 굴곡 가능한 연결 수단을 거쳐서 띠형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권선기는 와이어 공급 수단과 자세 보유 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공급 수단은 그 와이어 도출단부가 상기 자극 티스를 축으로 주회하여 상기 자극 티스에 권선을 실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자세 보유 지지 수단은 상기 와이어 공급 수단에 의한 권선 시공시, 상기 각 자극 티스가 굽힘의 외측 또는 내측이 되도록 상기 연결 수단을 거쳐서 상기 코어 부재를 굴곡시켜, 권선 시공 대상인 코어 부재에 인접하는 코어 부재가 상기 권선 시공 대상인 코어 부재의 상기 요오크부 내면을 포함하는 경계면으로부터 그 자극 티스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상기 코어 부재의 자세를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기.
  2. 복수의 코어 부재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코어 부재로 구성되는 회전 전기 기기 철심에 권선을 실시하기 위한 권선 방법으로서,
    상기 각 코어 부재는 요오크부와 이 요오크부의 내면에 볼록하게 설치되어 상기 권선이 실시되는 자극 티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 부재는 상기 각 요오크부의 양단부를 굴곡 가능한 연결 수단을 거쳐서 띠형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자극 티스가 굽힘의 외측 또는 내측이 되도록 상기 연결 수단을 거쳐서 상기 코어 부재를 굴곡시켜, 하나의 코어 부재에 인접하는 코어 부재가 상기 하나의 코어 부재의 상기 요오크부 내면을 포함하는 경계면으로부터 그 자극 티스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상기 코어 부재를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하나의 코어 부재에 권선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전기 기기 권선을 위한 권선 방법.
KR10-2001-0066611A 2000-10-30 2001-10-29 회전 전기 기기 권선을 위한 권선기 및 권선 방법 KR1004001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31005 2000-10-30
JP2000331005A JP3681631B2 (ja) 2000-10-30 2000-10-30 巻線機および巻線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882A KR20020034882A (ko) 2002-05-09
KR100400152B1 true KR100400152B1 (ko) 2003-10-01

Family

ID=18807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611A KR100400152B1 (ko) 2000-10-30 2001-10-29 회전 전기 기기 권선을 위한 권선기 및 권선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59385B2 (ko)
EP (1) EP1202438B1 (ko)
JP (1) JP3681631B2 (ko)
KR (1) KR100400152B1 (ko)
CN (1) CN1196246C (ko)
DE (1) DE60137672D1 (ko)
TW (1) TW53858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731B1 (ko) 2005-12-27 2012-06-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전동기 고정자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9966B2 (ja) * 2002-03-07 2005-07-13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巻線方法及び巻線装置
US20040046476A1 (en) * 2002-05-14 2004-03-11 Raffaele Becherucci Dynamo-electric machine component winding methods and apparatus
US7111380B2 (en) * 2002-10-31 2006-09-26 Emerson Electric Co. Method for forming an annular stator assembly
JP4589153B2 (ja) * 2005-03-09 2010-12-01 アスモ株式会社 巻線方法、ステータの製造方法、及び巻線機
WO2007141126A1 (de) * 2006-06-02 2007-12-1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Würzburg Elektromot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omotors für einen kraftfahrzeug-stellantrieb
CN101098088B (zh) * 2006-06-26 2012-04-18 尼得科电机有限公司 分块式内定子和配备有这种内定子的无刷永磁电机
US8912702B2 (en) * 2009-04-29 2014-12-16 Ernesto Malvestiti S.P.A. Process and mold for producing ferromagnetic cores of electric motors
GB0912759D0 (en) 2009-07-22 2009-08-26 Control Tech Dynamics Ltd Electric device stator and methods for winding
KR101124077B1 (ko) * 2010-07-21 2012-03-20 삼성전기주식회사 스테이터 코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장치
JP5574932B2 (ja) * 2010-12-01 2014-08-20 三菱電機株式会社 巻線機
US9099897B2 (en) 2011-09-13 2015-08-04 L.H. Carbide Corporation Method for connecting end sections of an annular laminated articl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DE112012006426T5 (de) * 2012-05-28 2015-02-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Wicklungsvorrichtung, Wicklungsverfahren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n Anker
JP6261393B2 (ja) * 2014-03-12 2018-01-1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機の固定子の製造装置、及び、電動機の固定子の製造方法
DE102014218602A1 (de) * 2014-09-16 2016-03-1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Bewickeln einer Vielzahl von Spulenkörpern und Segmentspindel
CN104539119B (zh) * 2014-12-26 2017-07-21 常州金康精工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加高卧式单绑机
JP6170545B2 (ja) 2015-12-22 2017-07-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回転電機の製造装置及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JP6914992B2 (ja) 2019-06-24 2021-08-04 シナノケンシ株式会社 固定子、固定子の製造方法及びアウターロータ型モータ
KR102664478B1 (ko) * 2021-10-19 2024-05-14 주식회사 야호텍 와이어 텐션유지가 가능한 모터 코일 권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8605A (en) * 1976-04-05 1977-09-13 Sangamo Electric Company Split core current transformer having an interleaved joint and hinge structure
JPS5917851A (ja) * 1982-07-16 1984-01-30 Shukichi Sakuma 多極コアの巻線方法
JP2888142B2 (ja) * 1993-11-08 1999-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動機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3430521B2 (ja) * 1992-09-24 2003-07-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転電機の固定子
JPH08149771A (ja) * 1994-11-15 1996-06-07 Nippondenso Co Ltd 磁石発電機の固定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17085B2 (ja) * 1995-11-02 2000-03-06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3680482B2 (ja) * 1997-03-28 2005-08-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動機の固定子構成部材、電動機の固定子、電動機の製造方法
EP0871282A1 (en) * 1997-04-11 1998-10-14 Kabushiki Kaisha Toshiba Stator for dynamoelectric machin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1118331A (ja) * 1997-06-30 1999-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モータの固定子
JP3279279B2 (ja) * 1998-06-30 2002-04-30 三菱電機株式会社 鉄心装置
JP2000224791A (ja) * 1999-01-27 2000-08-1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機の固定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731B1 (ko) 2005-12-27 2012-06-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전동기 고정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59385B2 (en) 2003-12-09
US20020050541A1 (en) 2002-05-02
JP2002142417A (ja) 2002-05-17
CN1196246C (zh) 2005-04-06
CN1351406A (zh) 2002-05-29
DE60137672D1 (de) 2009-04-02
KR20020034882A (ko) 2002-05-09
EP1202438B1 (en) 2009-02-18
TW538580B (en) 2003-06-21
EP1202438A3 (en) 2004-02-04
JP3681631B2 (ja) 2005-08-10
EP1202438A2 (en) 200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0152B1 (ko) 회전 전기 기기 권선을 위한 권선기 및 권선 방법
JP3285534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固定子
WO2004038893A1 (ja) 回転電機の回転子
KR100459356B1 (ko) 고정자
US6782600B2 (en) Method for winding an armature coil
JP2011151933A (ja) 回転電機の固定子の製造方法および回転電機の固定子
JP2003134751A (ja) コイルの形成方法およびコイルの形成に用いられる治具
JP2001238378A (ja) 内転型電動機の固定子
JP2006187073A (ja) インシュレータ、固定子及びモータ
US2016002829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tator for rotary electric machine
JP2000014095A (ja) 歯形状固定子,そのコイル組付方法及びコイル組付装置
JP3988303B2 (ja) ステータ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3928400B2 (ja) 回転電機のコイル製造装置
WO2017141761A1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これを用いた回転電機、および回転電機の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2005124361A (ja) 回転電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81348A (ja) ステータの製造方法
US20030117034A1 (en) Stator and stator manufacturing method
JP3554673B2 (ja) 電気子の巻線方法および装置
JP3554672B2 (ja) 電気子の巻線方法
JP7365971B2 (ja) 回転電機のコイル巻線方法及びコイル巻装用治具
EP1168584A1 (en) Winding method for armature and winder
EP1020975A2 (en) Dynamo-electric machine stators with multiple poles, and method for winding same
JP2019126144A (ja) 波巻コイルの保持装置、保持方法及び挿入方法
JP2001161048A (ja) 回転電機用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4474805B2 (ja) コイル捻り整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