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4478B1 - 와이어 텐션유지가 가능한 모터 코일 권선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텐션유지가 가능한 모터 코일 권선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64478B1 KR102664478B1 KR1020210139247A KR20210139247A KR102664478B1 KR 102664478 B1 KR102664478 B1 KR 102664478B1 KR 1020210139247 A KR1020210139247 A KR 1020210139247A KR 20210139247 A KR20210139247 A KR 20210139247A KR 102664478 B1 KR102664478 B1 KR 1026644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forma
- winding
- coil
- foa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5405 multipol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6—Embedding prefabricated windings in mach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44—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in which the package, core, or former is engaged with, or secured to, a driven member rotatable about the axis of the pack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6—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코일 권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포마에 연속해서 권선하여 다극을 가지는 코일을 권선하되, 와이어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여 와이어의 꼬임이나 풀림을 방지하고 코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와이어 텐션유지가 가능한 모터 코일 권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를 권선하여 전동기의 코일을 제작하는 권선장치(10)에 있어서, 일측에 권선된 코일을 삽입하기 위한 인서팅툴(110)이 구비되는 프레임부(100); 상기 권선장치(10) 상측에 형성되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200); 상기 회전부(20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20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와이어(C)를 권취하는 제1포마(300); 상기 제1포마(3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20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와이어(C)를 권취하는 제2포마(300);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에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와이어(C)를 공급하되,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전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C)에 텐션을 공급하는 공급부(500);를 포함하는 권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와이어를 권선하여 전동기의 코일을 제작하는 권선장치(10)에 있어서, 일측에 권선된 코일을 삽입하기 위한 인서팅툴(110)이 구비되는 프레임부(100); 상기 권선장치(10) 상측에 형성되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200); 상기 회전부(20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20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와이어(C)를 권취하는 제1포마(300); 상기 제1포마(3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20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와이어(C)를 권취하는 제2포마(300);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에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와이어(C)를 공급하되,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전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C)에 텐션을 공급하는 공급부(500);를 포함하는 권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터 코일 권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포마에 연속해서 권선하여 다극을 가지는 코일을 권선하되, 와이어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하여 와이어의 꼬임이나 풀림을 방지하고 코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와이어 텐션유지가 가능한 모터 코일 권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를 제조하기 위해, 여러 가닥의 코일을 권선장치를 통해 권선한 다음 인서팅 툴에 삽입시킨뒤 이 인서팅 툴을 이용하여 모터 코어의 슬롯 내부로 코일을 밀어 넣게 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과정에서 코일을 권선하기 위해서는 포마 즉 권선 틀의 외주를 회전하는 플라이어를 매개로 1극 씩 코일을 감게되며, 이후 인서팅툴에 1극씩 삽입하게 되는데, 모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지만 다수의 극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낭비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제10-1997-0060276호에서, 상기에서 언급한 권선방법을 언급하고 있는데,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권선 틀의 외주를 회전하는 플라이어를 매개로 코일을 권선하도록 하되, 스트리퍼부의 작동으로 인해 권선될 때 코일 삽입틀에 코일을 삽입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플라이어가 권선 틀 외주를 회전하면서 코일을 감게 되므로 우선, 시간이 낭비되며 특히 1극 씩 권선하면서 코일을 삽입하기에 여러 극을 삽입하는 시간의 낭비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어, 본 출원인은 이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6-0050384호(2016.05.11. 공개)의 모터 코일 권선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여 등록 받은바 있다.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2개의 포마에 연속해서 코일을 권선하도록 제안하고 있어 한 번에 2극을 가지는 코일을 권선하여 삽입할 수 있으므로 시간낭비를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제2포마에 권선 시 회전모터의 회전축과 이격되는 회전반경을 형성함으로써,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와이어의 텐션이 저하되어 권선 시 와이어가 꼬이거나 풀리는 문제가 발생하여 모터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포마를 연속해서 코일을 권취하여 한 번에 다극을 권취하되, 코일 권선 시 와이어에 텐션을 공급함으로써 코일의 풀림이나 꼬임없이 신속한 권취를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권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와이어를 권선하여 전동기의 코일을 제작하는 권선장치(10)에 있어서, 일측에 권선된 코일을 삽입하기 위한 인서팅툴(110)이 구비되는 프레임부(100); 상기 권선장치(10) 상측에 형성되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200); 상기 회전부(20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20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와이어(C)를 권취하는 제1포마(300); 상기 제1포마(3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20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와이어(C)를 권취하는 제2포마(300);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에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와이어(C)를 공급하되,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전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C)에 텐션을 공급하는 공급부(500);를 포함하는 권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부(500)는,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에 상기 와이어(C)를 공급하는 와이어공급부(510)와, 상기 와이어공급부(510)를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부(520)와, 상기 와이어공급부(510)를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전후 이동시키는 이동부(5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530)는, 상기 와이어공급부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공급부를 지지하는 이동부프레임(530)과, 상기 이동부프레임(530)의 하측에 형성되며, 하면에 돌기가 형성된 레일(534)과, 상기 레일(534)에 형성된 돌기에 치합되는 롤러(536)와,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롤러(536)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는 모터(5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공급부(500)는, 상기 제2포마(400)에 상기 와이어(C) 권취 시, 상기 제2포마(400)와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제어하여, 상기 와이어(C)의 텐션이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속해서 코일을 권취하여 한번에 다극을 권취할 수 있으며, 코일 권선시 와이어에 텐션을 공급하여 와이어의 꼬임이나 풀림 없이 신속한 권취가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 및 품질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유지가 가능한 모터 코일 권선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유지가 가능한 모터 코일 권선장치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유지가 가능한 모터 코일 권선장치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유지가 가능한 모터 코일 권선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텐션유지가 가능한 모터 코일 권선장치(10)는 프레임부(100), 회전부(200), 제1포마(300), 제2포마(400), 공급부(5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권선장치(10)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회전부(200), 제1포마(300), 제2포마(400) 및 공급부(500)의 설치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주변 여건 혹은 각 장치들의 구조에 의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면에는 권선이 완료된 코일을 공급받아 모터에 삽입하기 위한 인서팅툴(110)을 구비한다.
상기 인서팅툴(110)은 일정 각도로 회전하되, 승하강 가능하게 형성되어 권선된 코일이 삽입되고, 삽입된 코일을 모터의 슬롯으로 삽입하게 되며, 웨지가이드, 무빙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권선장치(10)는 코일이 권선되면 상기 인서팅툴(110)이 상승하여 권선된 코일을 삽입시킨 뒤, 인서팅툴(110)을 이용하여 모터 코어의 슬롯 내부에 코일을 밀어 넣는 공정을 거치나, 이는 공지된 기술임으로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부(200)는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회전모터(210)와 샤프트(22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200)는 상기 프레임부(100) 상부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회전모터(2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권선의 목적이나 방법에 따라 회전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조절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220)는, 상기 회전모터(210)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모터(210)의 회전축에 대응하여 하부로 수직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에 동력을 전달한다.
한편, 상기 회전부(200)는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타이밍벨트와 링기어를 구비하여 회전하는 턴테이블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포마(300)는 와이어를 권선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제1상판(310), 제1포스트(320), 제1권취부(330), 그리퍼를 포함한다.
상기 제1상판(310)은 상기 제1포마(300)의 상부를 형성하며, 상기 샤프트(220)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포스트(320)는 상기 상판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축방향으로 하향 연장되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포스트(320)는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축 방향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공급부(500)에서 공급되는 와이어의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면서 상기 권취부(330)에서 권선되도록 하여, 와이어의 꼬임이나 풀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제1포스트(320)는 높이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권취부(330)는 코일을 권취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포스트(320)의 끝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된다.
이때, 상기 제1권취부(33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파지부(332)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부(332)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되는 것은 권선된 코일을 상기 인서팅툴(110)에 용이하게 삽입 가능하도록 하며, 코일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그리퍼는 상기 제1포마(300)에 코일 권선시 와이어의 끝단을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제1포마( 300)의 일측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포마(400)는 상기 제1코일에 코일 권선이 종료되면, 연속해서 코일을 권선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제2포스트(410) 및 제2권취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포마(400)는 상기 제1포마(300)의 하측에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됨으로써, 권선된 코일을 모터 슬롯에 삽입 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포스트(410)는 상기 상판(3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바(Bar)형상으로 형성되며, 높이방향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어 상기 인서팅툴(110)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권취부(420)는, 상기 제1포마(300)에 권선이 완료되면, 연속해서 코일을 권선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파지부(422)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부(422)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되는 것은 권선된 코일을 인서팅툴(110)에 쉽게 삽입되도록 하며 코일로부터 쉽게 분리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공급부(500)는,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에 와이어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와이어공급부(510), 승하강부(520), 이동부(530)를 포함한다.
먼저, 와이어공급부(510)은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와이어를 제1 및 제2포마(300, 400)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일종의 피딩장치로서, 이는 공지된 기술임으로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승하강부(520)는 상기 와이어공급부(510)을 높이방향으로 승하강 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공급부(510)에서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로 와이어 공급 시 서서히 하강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권취부(330, 420)에 코일이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권선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승하강부(52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압실린더의 구성으로,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상기 와이어공급부를(510) 상기 권선장치(10)의 높이방향으로 승하강 동작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승하강부(520)는 상기 와이어공급부(510)를 승하강시키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부(530)는, 상기 와이어에 텐션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이동부프레임(532), 레일(534), 롤러(536) 및 모터(538)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프레임(532)은, 상기 와이어공급부(510)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와이어프레임(51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 된다.
상기 레일(534)은, 상기 이동부(53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하면에 다수개의 돌기(535)가 형성된 랙(Rack)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536)는 상기 레일(534)에 형성된 돌기(535)에 치합하여, 상기 모터(538)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상기 이동부프레임(532)에 전달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의 동작에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 동작하는 피니언(Pinion)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538)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공급부(500)가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에 근접 또는 멀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에 공급되는 상기 와이어의 텐션을 유지시킨다.
종래에는, 복수개의 포마를 구비한 경우, 상측에 위치한 포마 권선 후 하측에 있는 포마를 권선할 때 포마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이 벗어나게 된다. 즉 코일이 권취되는 부분이 회전반경에서 벌어지게 되면서, 와이어가 공급되는 곳과 거리가 변동하게 되고, 일정한 텐션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여 풀리거나 꼬이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상기 공급부(500)는, 상기 제2포마(400)의 회전반경에 따라 소정의 범위 이내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전후이동 제어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텐션을 공급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공급부(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상기 공급부(5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텐션유지가 가능한 모터 코일 권선장치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포마(400)는 상기 제1포마(300)의 하부에 소정의 각도만큼 하향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상기 회전모터(210) 및 샤프트(220)의 회전축에서 벗어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제2포마(400)는 상기 회전모터(210)의 회전축과 이격되어 회전되고, 상기 제2포마(400)의 제2권취부(420)는 일정한 회전반경을 형성하며 와이어를 권취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와이어공급부(510)와 상기 제2권취부(420)의 거리는 근접과 이격이 반복되고, 와이어의 텐션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여, 와이어가 꼬이거나 풀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때, 상기 공급부(500)는 상기 제2권취부(420)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전후 이동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권취부(420)가 (a)에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공급부(500)와 이격되게 되므로, 상기 이동부(530)를 전진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와이어공급부(510)가 상기 제2포마(400)로 근접되도록 한다.
즉, 상기 와이어공급부(510)와 상기 제2권취부(42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이어에 과도한 텐션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2-(b)를 거쳐, 도 2-(c)에 도시된 형상으로 상기 제2포마(400)가 위치할 경우, 상기 제2권취부(420)이 상기 와이어공급부(510)에 과도하게 근접하여 되는데, 상기 제어부(540)는 상기 와이어공급부(510)과 상기 제2권취부(420)가 과도하게 근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공급부(510)을 후방, 즉 상기 제2권취부(420)와 이격되도록 이동시킨다.
즉, 상기 와이어공급부(510)과 상기 제2권취부(420)의 거리가 인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와이어의 텐션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권선된 와이어가 풀리거나 꼬이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정리하면, 상기 공급부(500)는 상기 제2포마(400)가 도 2-(a)의 위치로 배치될 경우 전진하여 상기 와이어에 과도한 텐션이 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도 2-(a)에서 도 2-(b)의 위치로 이동할 경우 서서히 후진함으로써 상기 와이어공급부(510)와 상기 제2권취부(420)의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와이어의 텐션을 유지한다.
이후, 도 2-(b)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가 배치될 경우 상기 제2포마(400)가 상기 와이어공급부(510)에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와이어공급부(510)는 서서히 후진하도록 제어되어 상기 와이어의 텐션을 유지한다.
도 2-(c)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가 배치될 경우, 상기 와이어공급부(510)과 상기 제2권취부(420)의 거리는 이격되게 되므로, 상기 와이어공급부(510)는 전진이동하여 상기 와이어에 과도한 텐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200), 제1 및 제2포마(300, 4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와이어공급부(510)이 전후 이동이 반복되며 상기 와이어의 텐션이 유지된다.
즉, 상기 제어부(540) 제2권취부(420)와 와이어공급부(510)의 간격을 소정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와이어에 과도한 텐션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고, 텐션이 풀림으로써 권선이 꼬이거나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권선장치
100: 프레임부
110: 인서팅툴
200: 회전부
300: 제1포마
400: 제2포마
500: 공급부
510: 와이어공급부
520: 승하강부
530: 이동부
540: 제어부
100: 프레임부
110: 인서팅툴
200: 회전부
300: 제1포마
400: 제2포마
500: 공급부
510: 와이어공급부
520: 승하강부
530: 이동부
540: 제어부
Claims (4)
- 와이어(C)를 권선하여 전동기의 코일을 제작하는 권선장치(10)에 있어서,
일측에 권선된 코일을 삽입하기 위한 인서팅툴(110)이 구비되는 프레임부(100);
상기 권선장치(10) 상측에 형성되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부(200);
상기 회전부(20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20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와이어(C)를 권취하는 제1포마(300);
상기 제1포마(3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부(20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와이어(C)를 권취하는 제2포마(400);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에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와이어(C)를 공급하되,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전후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C)에 텐션을 공급하는 공급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포마(300)는,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축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2포마(400)는 제1포마(300)의 하측방에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며,
상기 공급부(500)는,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에 상기 와이어(C)를 공급하는 와이어공급부(510)와, 상기 와이어공급부(510)를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부(520)와, 상기 와이어공급부(510)를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전후 이동시키는 이동부(530)를 포함하며,
상기 제2포마(400)에 상기 와이어(C) 권취 시, 상기 공급부(500)가 상기 제2포마(400)와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포마(400)가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축과 이격되어 소정의 회전반경을 형성하며 회전됨에도 상기 제2포마(400)에 권취되는 와이어(C)에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530)는,
상기 와이어공급부(510)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공급부(510)를 지지하는 이동부프레임(530)과,
상기 이동부프레임(530)의 하측에 형성되며, 하면에 돌기가 형성된 레일(534)과,
상기 레일(534)에 형성된 돌기에 치합되는 롤러(536)와,
상기 제1 및 제2포마(300, 400)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롤러(536)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키는 모터(5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9247A KR102664478B1 (ko) | 2021-10-19 | 2021-10-19 | 와이어 텐션유지가 가능한 모터 코일 권선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9247A KR102664478B1 (ko) | 2021-10-19 | 2021-10-19 | 와이어 텐션유지가 가능한 모터 코일 권선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6102A KR20230056102A (ko) | 2023-04-27 |
KR102664478B1 true KR102664478B1 (ko) | 2024-05-14 |
Family
ID=86100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9247A KR102664478B1 (ko) | 2021-10-19 | 2021-10-19 | 와이어 텐션유지가 가능한 모터 코일 권선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64478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232238B2 (ja) * | 2012-10-30 | 2017-11-15 | 日本電産マシナリー株式会社 | 巻線装置および巻線方法 |
KR101841758B1 (ko) | 2016-05-18 | 2018-03-26 | (주)창성 | 와이어 권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 |
KR102291566B1 (ko) | 2021-02-27 | 2021-08-20 | 서영곤 | 모터의 코어코일 분리장치 |
KR102299535B1 (ko) | 2020-12-14 | 2021-09-09 | 주식회사 야호텍 | 모터 코일 권선장치 |
KR102310393B1 (ko) * | 2019-07-03 | 2021-10-08 | 앨프기계 주식회사 | 모터 고정자용 동시권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32509A (en) * | 1977-08-19 | 1979-03-09 | Miyoshi Yushi Kk | Grease compositions |
JP3681631B2 (ja) * | 2000-10-30 | 2005-08-10 | 三菱電機株式会社 | 巻線機および巻線方法 |
JP3669966B2 (ja) * | 2002-03-07 | 2005-07-13 |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巻線方法及び巻線装置 |
KR100766535B1 (ko) * | 2006-01-04 | 2007-10-17 | 장석연 | 캠 구동방식을 이용한 비엘디씨 모터의 회전자 권선장치 |
KR101632361B1 (ko) | 2014-10-29 | 2016-06-21 | 주식회사 야호텍 | 모터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 |
KR102072396B1 (ko) * | 2017-09-29 | 2020-03-02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코일의 와인딩 방법 및 와인딩 장치 |
KR102066398B1 (ko) * | 2018-06-29 | 2020-01-15 | 주식회사 야호텍 | 모터 코어의 코일 인서팅 툴 |
-
2021
- 2021-10-19 KR KR1020210139247A patent/KR10266447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232238B2 (ja) * | 2012-10-30 | 2017-11-15 | 日本電産マシナリー株式会社 | 巻線装置および巻線方法 |
KR101841758B1 (ko) | 2016-05-18 | 2018-03-26 | (주)창성 | 와이어 권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 |
KR102310393B1 (ko) * | 2019-07-03 | 2021-10-08 | 앨프기계 주식회사 | 모터 고정자용 동시권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 |
KR102299535B1 (ko) | 2020-12-14 | 2021-09-09 | 주식회사 야호텍 | 모터 코일 권선장치 |
KR102291566B1 (ko) | 2021-02-27 | 2021-08-20 | 서영곤 | 모터의 코어코일 분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6102A (ko) | 2023-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93185B1 (en) | Automatic steel cord winders | |
CN213568871U (zh) | 一种电缆加工用牵引卷绕装置 | |
CN113192750A (zh) | 用于电感线圈的自动绕线机构及绕线方法 | |
US11545881B2 (en) | Coil winding apparatus and coil winding method and a coil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reof | |
KR102664478B1 (ko) | 와이어 텐션유지가 가능한 모터 코일 권선장치 | |
US7370401B2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wire coil lead placement | |
CN106185457B (zh) | 一种线材卷绕装置 | |
US4809566A (en) | Insulation stripping coiler for wire, cable or the like | |
KR100790301B1 (ko) | 코일 형성 방법 및 장치 | |
KR102664481B1 (ko) | 모터 코일 권선장치 | |
CN104210904B (zh) | 带材收卷盘 | |
CN212419425U (zh) | 一种适应不同直径钢筋卷的钢筋放卷架 | |
KR20230129696A (ko) | 헤어핀 타입의 스테이터 코일용 삽입장치 및 헤어핀 타입의 스테이터 코일 조립방법 | |
CN214652646U (zh) | 一种信号连接线生产的卷线机构 | |
JP4960739B2 (ja) | 導線へのテンション付与装置及び導線走行装置 | |
CN107070131A (zh) | 一种定子绕线装置及其方法 | |
CN108832452B (zh) | 一种端子配合孔的连续二次打孔机构 | |
CN217417696U (zh) | 一种电缆绕线装置 | |
KR102664482B1 (ko) | 블레이드의 위치가 조정된 인서트 툴 | |
CN221894442U (en) | Auxiliary paying-off machine for water conservancy construction | |
CN214014088U (zh) | 一种电机定子的嵌线导模 | |
CN215797589U (zh) | 一种用于黑铁丝生产的绕设装置 | |
CN218931362U (zh) | 一种具有托举结构的通信线缆收放装置 | |
CN214830883U (zh) | 一种双驱动捻线机 | |
KR102146824B1 (ko) | 코일권선장치를 이용한 코일권선유닛 제조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