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361B1 - 모터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 - Google Patents
모터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2361B1 KR101632361B1 KR1020140148407A KR20140148407A KR101632361B1 KR 101632361 B1 KR101632361 B1 KR 101632361B1 KR 1020140148407 A KR1020140148407 A KR 1020140148407A KR 20140148407 A KR20140148407 A KR 20140148407A KR 101632361 B1 KR101632361 B1 KR 1016323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a
- levers
- coil
- winding
- wou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포마를 구비하여 각 포마에 연속해서 코일을 권취하여 2극을 가지도록 하되, 특히 코일 권취시 포마를 회전시킴으로써 신속한 권취를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 향상 및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고, 이와 동시에 2극의 코일을 동시에 인서팅 툴에 삽입시키도록 한 모터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2포마로 구성된 2개의 포마를 구비하여 각 포마에 연속해서 코일을 권취하여 한번에 2극을 권취하되, 특히 코일 권취시 포마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신속한 권취를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 향상 및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고, 이와 동시에 2극의 코일을 동시에 인서팅 툴에 삽입시키도록 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2포마로 구성된 2개의 포마를 구비하여 각 포마에 연속해서 코일을 권취하여 한번에 2극을 권취하되, 특히 코일 권취시 포마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신속한 권취를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 향상 및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고, 이와 동시에 2극의 코일을 동시에 인서팅 툴에 삽입시키도록 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터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포마를 구비하여 각 포마에 연속해서 코일을 권취하여 2극을 가지도록 하되, 특히 코일 권취시 포마를 회전시킴으로써 신속한 권취를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 향상 및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고, 이와 동시에 2극의 코일을 동시에 인서팅 툴에 삽입시키도록 한 모터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를 제조하기 위해, 여러 가닥의 코일을 권선장치를 통해서 권선한 다음 권선된 코일을 인서팅 툴에 삽입시킨 뒤 이 인서팅 툴을 이용하여 모터 코어의 슬롯 내부에 권선된 코일을 밀어 넣게 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과정에서 코일을 권선하기 위해서는 포마 즉, 권선 틀의 외주를 회전하는 플라이어를 매개로 1극 씩 코일을 감게 되며, 이후 인서팅 툴에 1극 씩 삽입하게 되는데, 모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지만 다수의 극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낭비되어 생산성이 저하되었다.
즉,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10-1997-0060276호에서, 상기에서 언급한 권선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공보를 참조로 하면, 권선 틀의 외주를 회전하는 플라이어를 매개로 코일을 권선하도록 하되, 스트리퍼부의 작동으로 인해 권선될 때 코일 삽입 틀에 코일을 삽입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플라이어가 권선 틀 외주를 회전하면서 코일을 감게 되므로 우선, 권선에 시간이 낭비되며, 특히 1극 씩 권선하면서 코일을 삽입하기에 여러 극을 삽입하기에는 시간 낭비가 더욱 커 생산성 저하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2개의 포마를 구비하여 각 포마에 연속해서 코일을 권취하여 한번에 2극을 권취하되, 특히 코일 권취시 포마를 회전시킴으로써 신속한 권취를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 향상 및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고, 이와 동시에 2극의 코일을 동시에 인서팅 툴에 삽입시키도록 한 모터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에 권선된 코일을 삽입하기 위한 인서팅 툴이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일측에 구비되어 보빈으로부터 코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상기 프레임 상측에 설치되는 회전모터; 상기 회전모터에 장착되어 회전 작동되며, 상기 인서팅 툴 상측에 위치되는 장착틀; 및 상기 장착틀에 장착되는 제1,2승하강수단으로 이루어진 승하강수단과, 상기 제1승하강수단에 의해서 승하강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포마와, 상기 제1포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상기 제2승하강수단에 의해서 승하강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포마로 이루어지는 포마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포마는 상기 제1승하강수단에 장착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측에 장착되며 코일이 권선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2레버로 구성된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포마는, 상기 제1,2레버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상기 가이드부재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하되, 상기 제1,2레버를 근접시키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딩시키는 이동수단을 추가로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1,2레버의 상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부를 가지는 결합부; 상기 제1,2레버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면에 상기 제1,2레버의 결합부에 상응되는 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서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 작동 시 상기 제1,2레버가 서로 근접하도록 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 멀어지도록 하는 볼트봉; 및 상기 볼트봉의 일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볼트봉을 회전시키기 위해 결합되고, 회전 작동이 완료되면 분리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포마가 먼저 하강 작동되어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코일을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 작동에 의해 권선하고, 권선이 완료되면 원위치로 상승하면서 상기 제2포마가 하강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 작동에 의해서 연속해서 코일을 권선하여, 권선이 완료되면 상기 제1,2포마가 동시에 하강 혹은 상기 인서팅 툴이 상승되면서 상기 인서팅 툴로 권선된 코일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2포마로 구성된 2개의 포마를 구비하여 각 포마에 연속해서 코일을 권취하여 한번에 2극을 권취하되, 특히 코일 권취시 포마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신속한 권취를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 향상 및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고, 이와 동시에 2극의 코일을 동시에 인서팅 툴에 삽입시키도록 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일 권선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모터, 장착틀 및 포마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며, "나"는 정면도.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포마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나"는 A-A선 단면도.
도 4의 "가" 및 "나"는 A-A선 단면에 의해 제1포마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작동도.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일 권선장치를 이용한 권선방법을 보인 개략적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권선된 코일을 삽입하는 공정을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모터, 장착틀 및 포마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며, "나"는 정면도.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포마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나"는 A-A선 단면도.
도 4의 "가" 및 "나"는 A-A선 단면에 의해 제1포마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작동도.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일 권선장치를 이용한 권선방법을 보인 개략적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권선된 코일을 삽입하는 공정을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모터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일 권선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모터, 장착틀 및 포마부재를 보인 사시도이며, "나"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모터 코일 권선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 공급부(200), 회전모터(300), 장착틀(400) 및 포마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공급부(200), 회전모터(300), 장착틀(400) 및 포마부재(500)의 설치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주변 여건 혹은 설치될 각 장치들의 구조에 의해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바, 별도로 그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프레임(100)의 상면에는 권선된 코일을 삽입하기 위한 인서팅 툴(110)을 안치하는 턴테이블(10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턴테이블(102)는 상기 인서팅 툴(11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면서 코일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간략하게 도시 하였다. 한편, 상기 인서팅 툴(110)은 권선된 코일을 삽입하여 모터 코어의 슬롯으로 삽입하기 위한 것으로, 웨지가이드(112), 상기 웨지가이드(112) 내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무빙블레이드(1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는 앞서 전술한 공지 기술에서도 언급하고 있으며,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제10-2004-0000178호에서도 공지되어 있는 바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미부호 설명이나 상기 인서팅 툴(110)을 상승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프레임(100) 일측에 설치되어서 코일(c)이 권선된 보빈(220)으로부터 코일을 이송 받아 꼬임 없이 공급하기 위해 가이드하는 것으로, 일종의 피딩장치로 이해할 수 있으며, 상하작동실린더(210)를 매개로 상하로 이동 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이때, 여러 가닥의 코일을 동시에 권선하고자 하면 여러 개의 보빈을 구비하여 상기 공급부(200)로 이송하면 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모터(300)는 상기 프레임(100) 상면에 구비된 인서팅 툴(110)의 상측에 위치되게끔 상기 프레임(10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이 가능한 일종의 서보모터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장착틀(400)은 도 2의 "가" 및 "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모터(300)의 회전축에 장착되어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이 장착틀(400)은 상기 포마부재(500)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이의 형상 및 구조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포마부재(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틀(400)에 장착되는 제1,2승하강수단(512,514)으로 이루어진 승하강수단(510)과, 상기 제1승하강수단(512)에 의해서 승하강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면에 코일이 권선되는 제1포마(520a) 및 상기 제1포마(520a)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상기 제2승하강수단(514)에 의해서 승하강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며 코일(c)이 외면에 권선되는 제2포마(5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2승하강수단(512,514)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압실린더의 구성으로, 상기 장착틀(400)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300)의 회전력을 매개로 회전 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포마(520a)는 상기 제1승하강수단(512)에 설치되고, 제2포마(520b)는 제2승하강수단(514)에 각각 설치되므로 상기 회전모터(300)의 회전력으로 회전 작동은 물론이고 상하 이동도 가능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제1,2포마(520a,520b)는 상하 이동 작동시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장착틀(400)에 구비되는 가이드봉(g)에 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1,2포마(520a,520b)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하기에서 제1포마(520a)를 대표적으로 그 구성 및 작동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1포마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며, "나"는 A-A선 단면도이고, 도 4의 "가" 및 "나"는 A-A선 단면에 의해 제1포마의 작동관계를 보인 개략적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제1포마(520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522) 및 권취부(5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결합부(526a), 볼트봉(527) 및 회전수단(528)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수단(526)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가이드부재(522)는 파선으로 도시된 제1승하강수단(512)에 장착되며, 하부 양 측으로는 가이드레일(523)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권취부(524)는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2레버(524a,524b)로 구성되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레버(524a,524b)는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서 그 상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522)의 하측에서 가이드레일(5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코일이 권선되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2레버(524a,524b)를 별도로 구성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하면서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은 권선된 코일을 여기서는 미도시 된 인서팅 툴(110)에 쉽게 삽입하고, 코일로부터 쉽게 분리되기 위한 것으로 이의 작동관계는 하기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물론, 상기 제1,2레버(524a,524b)를 분리 구성하지 않고 하나의 몸체에 형성하되 그 사이에 공간만 형성되도록 하여도 가능하나, 코일로부터 분리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두 개로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1,2레버(524a,524b)는 상기 인서팅 툴(110)이 가지는 각도에 따라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측 상단에는 코일의 끝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그리퍼(52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수단(526)은 상기 분리 구성된 제1,2레버(524a,524b)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것으로, 결합부(526a), 볼트봉(527) 및 회전수단(528)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526a)는 상기 제1,2레버(524a,524b)의 상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부(526a)를 가진다. 예컨대 오른 나사부를 가지는 결합부(526a)는 상기 제1레버(524a)에 형성하고, 왼 나사부를 가지는 결합부(526a)는 제2레버(524b)에 형성되는 방식이다.
다음으로, 상기 볼트봉(527)은 상기 가이드부재(522) 하면에서 미부호 설명인 베어링에 의해 장착되어서 자전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1,2레버(524a,524b)에 형성된 결합부(526a)로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이때 외면에는 상기 제1,2레버(524a,524b)의 결합부(526a)에 상응하는 나사부(527a)가 각각 형성되어서 결합된다. 즉, 상기 제1레버(524a)에 형성된 결합부(526a)에 오른나사부가 형성될 경우 상기 볼트봉(527)에서 이 결합부(526a)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이에 상응하는 나사부(527a)가 형성되고, 제2레버(524b)에 형성된 결합부(526a)가 왼나사부를 이루게 될 경우 상기 볼트봉(527)에서 이 결합부(526a)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이에 상응하는 나사부(527a)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트봉(527)의 후면에는 결합구(527b)가 형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회전수단(528)은 여기서는 미도시 하였으나 프레임(100)의 일측에서 상기 볼트봉(527)을 회전시키기 위해 결합되고, 회전 작동이 완료되면 분리되는 것으로, 상기 볼트봉(527)을 포함한 제1,2레버(524a,524b)는 상하 이동과 동시에 회전 작동되므로 이와 같은 동작에는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수단(528)이 평소에는 상기 볼트봉(527)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이고, 볼트봉(527)의 회전이 요구될 때에만 접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수단(528)은 여기서는 미도시 되었으나 프레임(100)에 고정 설치되는 이송레일(528a), 상기 이송레일(528a)에 결합되는 이송판(528b), 상기 이송판(528b)을 전후진 시키기 위한 이송실린더(528c), 상기 이송판(528b)에 결합되는 모터(528d) 및 상기 모터(528d) 축에 결합되어서 상기 볼트봉(527)의 결합구(527b)로 접속하여 상기 볼트봉(527)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봉(528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볼트봉(527)의 결합구(527b)와 회전봉(528e)은 서로 결속되면 헛돌지 않도록 키홈과 키 방식 혹은 다각형 형상을 갖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도 4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수단(526)은 회전수단(528)의 회전봉(528e)이 이송실린더(528c)에 의해서 전진하여 상기 볼트봉(527)의 결합구(527b)에 접속되어 모터(528d)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볼트봉(527)을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부(526a)를 가진 결합부(526a)를 매개로 결합된 제1,2레버(524a,524b)는 서로 근접하게 되고, 혹은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서로 멀어지게 되는 작동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볼트봉(527)을 한 방향으로 돌리더라도 이에 결합된 제1,2레버(524a,524b)는 각각의 결합부(526a)가 가지는 나사부(526a) 방향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근접하거나 혹은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되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를 이용한 권선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 코일 권선장치를 이용한 권선방법을 보인 개략적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권선된 코일을 삽입하는 공정을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모터 코일 권선장치를 이용한 권선방법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제1권선공정(S1)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마부재(500)의 제1포마(520a)를 제1승하강수단(512)의 동작에 의해 하강 작동시킨 후, 공급부(200) 측에서 공급되는 코일(c)의 끝단을 그리퍼(525)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평면상 회전모터(3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포마부재(500)를 회전 작동되도록 하여 코일(c)을 제1포마(520a)의 제1,2레버(524a,524b)에 권선되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코일(c)을 공급하는 공급부(200)를 상하작동실린더(210)를 매개로 서서히 하강시켜 코일(c)이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레버(524a,524b) 상에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권선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1극의 권선이 완료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제2권선공정(S2)으로,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선이 완료된 제1포마(520a)와 공급부(200)를 원위치로 상승시키고, 제2승하강수단(514)에 의해 제2포마(520b)를 하강시키는 준비 과정을 거쳐 회전모터(300)를 매개로 포마부재(50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작동되도록 하여 코일(c)을 제2포마(520b)에 연속해서 권선하게 되는데, 상기 공급부(200)를 서서히 하강시키면서 코일(c)이 권선되도록 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렇게 되면 2극의 권선이 완료되는 것으로, 코일(c)은 절단하게 된다. 즉, 제1,2극이 연속해서 권선되므로 1극만을 권선하는 종래와 비교하면 권선 속도가 크게 향상되어 생산성 및 작업능률이 배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모터(300)의 회전 방향은 제1권선공정(S1)과 제2권선공정(S2)이 같은 방향이 될 수 있으며, 서로 반대 방향이 될 수도 있다. 이는 코일(C)의 위치에 따라 선택되어진다. 이렇게 권선된 2극의 코일을 포마로부터 분리하여 작업자가 직접 인서팅 툴(110)로 삽입시킬 수 있으나, 권선된 상태에서 제1,2포마(520a,520b)를 하강시키거나 혹은 반대로 인서팅 툴(110)을 상승시키는 동작에 의해서 삽입이 가능한데, 하기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삽입공정(S3)으로, 제1,2포마(520a,520b)에 권선이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포마(520a,520b)를 동시에 하강시키거나 반대로 인서팅 툴(110)을 상승시키는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둘 다 동일하게 권선된 코일(c)이 인서팅 툴(110)에 걸리도록 삽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2포마(520a,520b)를 구성하는 제1,2레버(524a,524b)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인서팅 툴(110)의 무빙블레이드(114)가 위치하고, 제1레버(524a)는 인서팅 툴(110) 내측으로, 제2레버(524b)는 외측으로 하향됨에 따라 권선된 코일(c)은 무빙블레이드(114) 사이로 삽입되는 것이다. 코일(c)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코일(c)로부터 제1,2레버(524a,524b)를 분리하게 되는데, 이때 제1,2포마(520a,520b)를 강제로 상승시켜도 무빙블레이드(114) 사이로 끼움된 코일(c)로부터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보다 원활한 작동을 위해 프레임(100) 일측에 구비된 이동수단(526)의 회전수단(528)의 회전봉(528e)을 이동시켜 상기 제1,2레버(524a,524b)에 결합된 볼트봉(527)으로 접속시켜 회전시키게 되면 벌어져 있던 제1,2레버(524a,524b)가 서로 근접하게 되고 곧 팽팽하게 권선된 코일(c)과 간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결합된 회전봉(528e)을 분리하면서 제1,2레버(524a,524b)를 상승시키게 되면 쉽게 코일(c)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봉(528e)의 위치는 코일(c)이 삽입될 때 볼트봉(527)의 위치를 먼저 계산해서 셋팅하게 됨은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제1,2레버(524a,524b)를 원위치 시키고 다음 권선을 준비하여서 전술한 권선방법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인서팅 툴(110)을 회전시켜서 다른 칸에 새롭게 권선된 코일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준비하게 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회전수단(528)에 의해서 이동된 제1,2레버(524a,524b)도 원위치로 복원시키게 됨은 당연한데, 프레임(100)의 상측에 회전수단을 추가로 구성하여 제1,2레버(524a,524b)가 상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접속하여서 복원시키도록 할 수도 있으며, 작업자가 볼트봉(527)을 직접 회전시켜서 복원시킬 수도 있다. 이는 어디까지나 선택 사항으로 인지해야 될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프레임 110 : 인서팅 툴
112 : 웨지가이드 114 : 무빙블레이드
200 : 공급부 210 : 상하작동실린더
220 : 보빈 300 : 회전모터
400 : 장착틀 500 : 포마부재
510 : 승하강수단 512 : 제1승하강수단
514 : 제2승하강수단 520a : 제1포마
520b : 제2포마 522 : 가이드부재
523 : 가이드레일 524 : 권취부
524a : 제1레버 524b : 제2레버
525 : 그리퍼 526 : 이동수단
526a : 결합부 526b : 나사부
527 : 볼트봉 527a : 나사부
527b : 결합구 528 : 회전수단
528a : 이송레일 528b : 이송판
528c : 이송실린더 528d : 모터
528e : 회전봉
112 : 웨지가이드 114 : 무빙블레이드
200 : 공급부 210 : 상하작동실린더
220 : 보빈 300 : 회전모터
400 : 장착틀 500 : 포마부재
510 : 승하강수단 512 : 제1승하강수단
514 : 제2승하강수단 520a : 제1포마
520b : 제2포마 522 : 가이드부재
523 : 가이드레일 524 : 권취부
524a : 제1레버 524b : 제2레버
525 : 그리퍼 526 : 이동수단
526a : 결합부 526b : 나사부
527 : 볼트봉 527a : 나사부
527b : 결합구 528 : 회전수단
528a : 이송레일 528b : 이송판
528c : 이송실린더 528d : 모터
528e : 회전봉
Claims (5)
- 상면에 권선된 코일을 삽입하기 위한 인서팅 툴이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일측에 구비되어 보빈으로부터 코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
상기 프레임 상측에 설치되는 회전모터;
상기 회전모터에 장착되어 회전 작동되며, 상기 인서팅 툴 상측에 위치되는 장착틀; 및
상기 장착틀에 장착되는 제1,2승하강수단으로 이루어진 승하강수단과, 상기 제1승하강수단에 의해서 승하강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포마와, 상기 제1포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되 상기 제2승하강수단에 의해서 승하강 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포마로 이루어지는 포마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포마는
상기 제1승하강수단에 장착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측에 장착되며 코일이 권선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2레버로 구성된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포마는, 상기 제1,2레버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여 상기 가이드부재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하되, 상기 제1,2레버를 근접시키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딩시키는 이동수단을 추가로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1,2레버의 상측 부분에 각각 형성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나사부를 가지는 결합부;
상기 제1,2레버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면에 상기 제1,2레버의 결합부에 상응되는 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서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 작동 시 상기 제1,2레버가 서로 근접하도록 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 멀어지도록 하는 볼트봉; 및
상기 볼트봉의 일측에 구비되어서, 상기 볼트봉을 회전시키기 위해 결합되고, 회전 작동이 완료되면 분리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포마가 먼저 하강 작동되어 상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코일을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 작동에 의해 권선하고, 권선이 완료되면 원위치로 상승하면서 상기 제2포마가 하강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 작동에 의해서 연속해서 코일을 권선하여, 권선이 완료되면 상기 제1,2포마가 동시에 하강 혹은 상기 인서팅 툴이 상승되면서 상기 인서팅 툴로 권선된 코일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코일 권선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8407A KR101632361B1 (ko) | 2014-10-29 | 2014-10-29 | 모터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8407A KR101632361B1 (ko) | 2014-10-29 | 2014-10-29 | 모터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0384A KR20160050384A (ko) | 2016-05-11 |
KR101632361B1 true KR101632361B1 (ko) | 2016-06-21 |
Family
ID=56025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8407A KR101632361B1 (ko) | 2014-10-29 | 2014-10-29 | 모터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236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44064A (ko) | 2021-09-24 | 2023-04-03 | 주식회사 야호텍 | 권선 범위가 확장된 모터 코일 권선 장치 |
KR20230054524A (ko) | 2021-10-15 | 2023-04-25 | 주식회사 야호텍 | 블레이드의 위치가 조정된 인서트 툴 |
KR20230083360A (ko) | 2021-12-02 | 2023-06-12 | 주식회사 야호텍 | 모터 코일의 와이어 정렬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1662B1 (ko) * | 2017-09-19 | 2019-09-16 | 김동섭 | 모터 고정자용 다열정렬 권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 |
KR101975185B1 (ko) * | 2018-12-25 | 2019-05-07 | 신추연 | 권취롤러 지지장치 |
KR102299535B1 (ko) * | 2020-12-14 | 2021-09-09 | 주식회사 야호텍 | 모터 코일 권선장치 |
KR102664466B1 (ko) * | 2021-07-09 | 2024-05-14 | 주식회사 야호텍 | 코일 뭉치 내림장치가 구비된 모터 코일 와인딩기 |
KR102664471B1 (ko) * | 2021-08-09 | 2024-05-14 | 주식회사 야호텍 | 코일 삽입이 용이한 모터 코일 와인딩기 |
KR102664478B1 (ko) | 2021-10-19 | 2024-05-14 | 주식회사 야호텍 | 와이어 텐션유지가 가능한 모터 코일 권선장치 |
KR102664481B1 (ko) | 2021-10-19 | 2024-05-14 | 주식회사 야호텍 | 모터 코일 권선장치 |
KR102521888B1 (ko) * | 2022-04-11 | 2023-04-13 | 이대섭 | 모터 코일 권취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2831Y1 (ko) | 2001-10-30 | 2002-03-18 | 주식회사 야호텍 | 상간지 인서트 머신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79227B1 (ko) * | 1996-01-12 | 1999-05-15 | 구자홍 | 코일 권선 방법 및 장치 |
-
2014
- 2014-10-29 KR KR1020140148407A patent/KR1016323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2831Y1 (ko) | 2001-10-30 | 2002-03-18 | 주식회사 야호텍 | 상간지 인서트 머신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44064A (ko) | 2021-09-24 | 2023-04-03 | 주식회사 야호텍 | 권선 범위가 확장된 모터 코일 권선 장치 |
KR20230054524A (ko) | 2021-10-15 | 2023-04-25 | 주식회사 야호텍 | 블레이드의 위치가 조정된 인서트 툴 |
KR20230083360A (ko) | 2021-12-02 | 2023-06-12 | 주식회사 야호텍 | 모터 코일의 와이어 정렬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0384A (ko) | 2016-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2361B1 (ko) | 모터 코일 권선장치 및 권선방법 | |
CN105761927A (zh) | 绕线机及绕线方法 | |
CN112910204A (zh) | 多工位绕嵌一体机 | |
JP2006271118A (ja) | パラ巻線方法及びパラ巻線装置 | |
CN105620807B (zh) | 一种变压器自动包隔离胶带机 | |
CN106712410B (zh) | 一种电枢绕组扁铜线端头扭转装置 | |
WO2016184383A1 (zh) | 一种四u形线圈排绕结构 | |
CN106787477B (zh) | 一种用于电枢绕组的扁铜线扭转装置 | |
CN106532137B (zh) | 一种卷绕装置及其制作方法 | |
EP2889990B1 (en) | Device for inserting, winding and layering a wire on one or more stator or rotor cores | |
CN104960993A (zh) | 一种电动式小型电缆线绕线装置 | |
CN204680536U (zh) | 一种电感绕线装置 | |
CN103495678A (zh) | 一种绕线机 | |
CN209692553U (zh) | 绕线装置 | |
CN110190715B (zh) | 无损伤拆除电机定子绕组的装置及定子绕组拆除方法 | |
CN102684410A (zh) | 绕线机的自动脱模装置 | |
KR101632363B1 (ko) | 비엘디씨 모터의 코일 권선을 위한 코일 리드선 고정장치 | |
CN105024501A (zh) | 一种自动定子线圈绕线机 | |
CN207774453U (zh) | 一种绕线机用绕线总成 | |
CN109888996A (zh) | 绕线装置、绕线模具及绕线方法 | |
CN203711708U (zh) | 一种绕线机 | |
CN104079125B (zh) | 一种多工位绕线机 | |
KR102346475B1 (ko) | 캠 자동 조절장치 | |
CN105375704A (zh) | 一种自动绕线机缠绕机构 | |
CN102340222A (zh) | 自动定子绕线槽的插纸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