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802B1 -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802B1
KR100396802B1 KR10-2000-7001581A KR20007001581A KR100396802B1 KR 100396802 B1 KR100396802 B1 KR 100396802B1 KR 20007001581 A KR20007001581 A KR 20007001581A KR 100396802 B1 KR100396802 B1 KR 100396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anel
elevator
hoistway
control
h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2973A (ko
Inventor
남바야스히로
다카하시다쓰시
야마카와시게키
구보타다케히코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2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티어장치에서는, 제 1및 제 2의 매다는 기구가 상하로 간격을 두고 가이드레일에 고정되어있다. 제어반은, 제 1및 제 2의 매다는 기구의 어느한쪽에 선택적으로 매달려진다. 이로써, 제어반은 승강로의 저부에서 일정높이의 통상위치와, 통상위치보다도 낮은 보수위치사이에서 이동된다. 승강로벽에는 중계상자가 고정되고, 중계상자와의 사이는 가요성을 갖는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어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CONTROL DEVICE FOR ELEVATOR}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기계실내에, 권양기 및 제어반등이 설치되어 있기때문에, 건물의 최상부에 기계실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고, 건물의 이용효율이 저하하는 동시에, 건물이 높게되어 버린다.
이에대해, 권양기를 승강로내에 설치해서 기계실을 생략한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나, 이에 따라 제어반도 승강로내에 설치하는것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7-10437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평 10-114481호 공보에는 승강로내에 제어반을 배치한 엘리베이터 장치가 표시되어있다. 그러나, 이들의 장치에서는 제어반이 승강로의 저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빗물등이 승강로내에 침입해서 저부에 고이면, 제어반이 관수해서 제어기능을 손상할 우려가 있었다. 한편, 일본국 실개소 63-180669호 공보에 표시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장치에서는 제어반이 레일 및 가이드부재를 통해서 부착대상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있다. 그러나 이 장치에서는 제어반이 승강로상의 기계실에 배치되어있고, 또 제어반은 수평방향에만 이동가능하므로, 가령 이 지지구조를 승강로저부에 적용해도 제어반의 관수는 피할 수 가 없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것을 과제로 선정된것으로, 제어반을 승강로내에 배치해서 건물의 높이를 낮게할 수 있는 동시에 제어반의 관수를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를 얻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는 승강로내에 설치되어있는 지지기구 및 승강로의 저부에는 일정높이의 통상위치에 지지기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통상위치와 통상위치보다도 낮은 보수위치사이에서 승강가능하게 되어있고,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반을 구비한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로내에 배치되고,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에 관한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장치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도 1장치의 보수작업시의 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도 1의 장치의 보수모드선택리렐이 회로를 표시하는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장치가 설치된 승강로의 수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레일부래킷의 다른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호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의한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장치를 표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도1의 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도 1장치의 보수작업시의 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내에는 승강체인 카(2)의 승강을 안내하는가이드레일(3)이 설치되어있다. 가이드레일(3)에는 수평방향으로 뻗는 제 1의 매다는 기구(4)가 고정되어있다. 또 가이드레일(3)의 제 1의 매다는 기구(4)의 하방에는 수평방향으로 뻗는 제 2의 매다는 기구(5)가 고정되어있다. 지지기구(6)는 제 1및 제 2의 매다는 기구(4),(5)에 의해 구성되어있다. 제 1 및 제 2의 매다는 기구(4),(5)의 상면에는, 凹부(4a),(5a)가 각각 설치되어있다.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반(7)은, 제 1및 제 2의 매다는 기구(4),(5)의 어느한쪽에 선택적으로 매달려있다.
즉, 제어반(7)은 승강로(1)의 저부(1a)로부터 일정한 높이의 통상위치(도1)와, 이 통상위치보다도 낮은 보수위치(도4)사이에서 쉽게 이동가능하게 되어있다. 또 제어반(7)은 전면에 설치되어있는 개폐가능한 도어(7a)와 이 도어(7a)가 폐쇄되어있는것을 검출하는 도어검출스위치(7b)와 凹부(4a),(5a)에 걸리는 훅(7c)을 갖고있다.
승강로벽(1b)에는, 엘리베이터의 각 기기와 제어반(7)과의 사이에서 신호나 전력등의 전달의 중계접속을 하는 중계상자(8)가 고정되어있다. 중계상자(8)과 제어반(7)은 가요성을 갖는 다수의 케이블(9)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있다. 케이블(9)은 중간부가 U자형이 되도록 중계상자(8)와 제어반(7)사이에 매달려있고, 제어반(7)의 이동을 허용하는 충분한 길이를 갖고있다.
제어반(7)의 측면부에는 스위치 조작캠(10)이 고정되어있다.
제 1의 매다는 기구(4)는, 스위치 조작캠(10)에 의해 조작되고, 제어반(7)이 통상위치에 위치해 있는것을 검출하는 위치검출스위치(11)가 부착되어있다. 위치검출스위치(11)는 신호케이블(12)및 중계상자(8)를 통해서 제어반(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있다.
도 5는 도 1의 제어장치의 보수모드선택리렐이 회로를 표시하는 회로도이다.
엘리베이터의 운전모드를 보수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리렐이(13)에는, 도어(7b)가 폐쇄시에 폐쇄되는 도어검출스위치(7b)의 접점(7s)와, 제어반(7)이 접점(11s)이 직렬로 접속되어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운전모드는, 리렐이(13)가 여자되어있지 않을때에 보수모드로 전환된다. 보수모드에서는, 카(2)의 최하하강위치가 제한되는 동시에 카(2)의 승강속도가 정격속도보다도 저속인 소위 수동속도로 전환된다.
이와같은 엘리베이터에서는, 제어반(7)이 승강로(1)내에 배치되어있기때문에, 기계실을 생략할 수 있고, 건물의 높이를 낮게할 수 가 있다. 또, 통상 제어반(7)은, 승강로(1)의 저부(1a)로 부터 일정한 높이의 통상위치에 지지되고 있으므로, 승강로(1)의 저부(1a)에 물이 고여도, 제어반(7)이 관수되는것을 방지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가 있다. 또, 보수시에는 제어반(7)을 보수위치에 쉽게 이동시킬 수 가 있으므로, 보수작업의 작업성이 저해되는 일은 없다.
또, 제어반(7)괴 중계상자(8)는 가요성을 갖는 케이블(9)에 의해 접속되어있으므로, 제어반(7)을 이동시켜도, 전력 및 신호의 전송에 지장을 주는 일은 없다. 또, 승강로(1)내에 중계상자(8)를 설치함으로써, 가요성을 갖는 케이블(9)의 길이를 최소한으로해서, 중계상자(8)와 다른 엘리베이터기기 사이에는 비교적 값싼 접속선으로 접속할 수 가 있다.
또, 도어(7a)의 개폐를 검출하는 도어검출스위치(7b)를 제어반(7)에 설치하고, 도어(7a)개방시에는, 운전모드가 보수모드로 전환되도록 하였으므로 카(2)가 도어(7a)에 충돌하는것이 방지된다. 또 제1의 매다는 기구(4)에 위치검출스위치
(11)를 부착하고, 제어반(7)이 통상위치로부터 이동되어 있을때는 운전모드가 보수모드로 전환되도록 하였으므로, 보수작업시에 카(2)의 최하 하강위치를 자동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또, 승강로(1)내의 구조물중에서는 특히 견고하고, 또 고정밀도로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3)에 지지기구(6)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어반(7)을 견고하게 정밀도 좋게 설치할 수 있다.
또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제 1및 제 2의 매다는 기구(4),(5)가 가이드레일(3)에 대해 고정되어있으나, 예를들면 가이드레일(3)과는 별개의 지주를 승강로(1)의 저부(1a)에 설치하고 그 지주에 제 1및 제2의 매다는 기구(4),(5)를 고정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2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가이드레일(3)에는, 수평방향으로 뻗는 지지부재(21)가 고정되어있다.
가이드레일(3)의 지지부재(21)의 하방에서 수평방향으로 뻗는 고정부재(22)가 고정되어있다. 지지부재(21)및 고정부재(22)에는, 가이드레일(3)과 평행으로뻗는 한쌍의 제어반레일(23)이 고정되어 있다. 이를 제어반레일(23)의 하단부는 승강로(1)의 저부(1a)에 당접되어있다. 제어반(7)에는, 제어반레일(23)에 계합하는 다수의 가이드부재(24)가 부착되어있다. 이로인해, 제어반(7)은 제어반레일(23)에 따라 상하동가능하게 되어있다.
지지부재(21)에는 단면 L자형의 부착부재(25)를 통해서 인상장치(26)가 부착되어있다. 통상시에는 제어반(7)을 인상장치(26)에 의해 도 6에 표시하는 통상위치로 끌어올려져 있다. 인상장치(26)는, 예를들면 제어반(7)을 매다는 와이어로프(26a)와, 제어반(7)에 작용하는 중력에 반해서 와이어로프(26a)를 감는 권취부(보빈)(26b)을 갖고있다. 권취부(26b)에는 예를들면 와형스프링(도시않음)이 설치되어있다. 이런 권취부(26b)는 예를들면 공장에 설치된 손으로잡는 전동공구용 행거와 같은 구조를 하고있다.
제어반(7)에는, 고정부재(22)에 계지됨으로써, 제어반(7)을 통상위치보다 낮은 보수위치에 유지하는 보수위치유지기구(27)가 설치되어있다. 이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지지기구(28)는 지지부재(21), 부착부재(25)및 인상장치(26)에 의해 구성되어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런 제어장치에는 통상시에 제어반(7)이 관수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보수시에는 제어반(7)을 보수위치로 내림으로서 보수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제어반(7)이 제어반레일(23)에 따라 통상위치와 보수위치사이에서 승강되므로, 이동시의 제어반(7)의 동요나 회전이 저지되고, 제어반(7)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가 있다.
또, 제어반(7)에는 인상장치(26)에 의해 상향의 힘이 항시 작용하고 있으므로, 제어반(7)의 중량에 불구하고, 제어반(7)의 승강을 쉽게할 수 가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가 있다. 특히 인상장치(26)에 의한 인상력이 제어반(7)에 작용하는 중력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무거운 제어반(7)을 보수위치에서 통상위치로 쉽게 되돌릴 수 가 있다.
또, 제어반(7)에는 보수위치유지기구(27)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수작업시에는 제어반(7)을 보수위치에 쉽게 보존할 수 가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가 있다ㅓ.
또, 인상장치(26)에 의한 인상력은, 제어반(7)에 작용하는 중력보다도 작게 설정해도 된다. 단, 이 경우, 통상시에 제어반(7)을 통상위치에 유지하는 유지기구가 필요하다.
또, 인상장치는, 와이어로프를 감는 방식에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예를들면 신축가능한 팬터그래프형의 링크기구에 의해 지지부재와 제어반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링크기구가 축소되는 방향에 스프링력을 작용시킨 펜터그래프방식을 사용할 수 도 있다.
또, 제어반레일은 생략하는것도 가능하다. 예를들면 팬터그래프방식의 인상장치를 사용한 경우, 인상장치가 안내기구를 겸하고 있으므로, 제어반레일을 생략할 수 가 있다.
또, 지지부재(21)에 모터의 구동장치를 고정하고, 이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제어반(7)을 제어반레일(23)에 따라 승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3
다음,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장치가 설치된 승강로의 수평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지지부재(21)에는 부착부재(31)를 통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풀리(32)가 부착되어있다. 이풀리(32)에는, 제어반 매다는 로프(33)가 걸려있다. 이 제어반 매다는 로프(33)의 일단부에는 제어반(7)이 매달려있다.
제어반매다는 로프(33)의 타단부에는, 제어반(7)보다도 중량이 큰 제어반용 균형추(34)가 매달려있다.
이 실시의 형태 3에서의 지지기구(35)는 지지부재(21), 부착부재(31), 풀리(32), 제어반매다는 로프(33)및 제어반용 균형추(34)에 의해 구성되어있다. 다른구성은, 실시의 형태 2와 같다.
이런 제어장치에서는, 통상시에 제어반(7)이 관수하는 것을 방지되는 동시에, 보수시에는 제어반(7)을 보수위치에 내려줌으로서 보수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제어반(7)에는 제어반용 균형추(34)에 의한 상량의 힘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제어반(7)의 중량에 불구하고, 제어반(7)의 이동을 쉽게 할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가 있다.
특히, 제어반용 균형추(34)의 중량이 제어반(7)의 중량보다도 크게 설정되어있으므로, 무거운 제어반(7)을 보수위치에서 통상위치로 쉽게 되돌릴 수 가 있다.
또, 제어반(7)에는, 보수위치 보존기구(27)가 설치되어있으므로 보수작업시에는 제어반(7)을 보수위치에 용이하게 보존할 수 가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가 있다.
또, 제어반용균형추(34)의 중량은, 제어반(7)의 중량보다도 작게 설정해도 된다. 단, 이 경우 통상시에 제어반(7)을 통상위치로 보존하는 보존기기구가 필요하다. 또, 통상위치 및 보수위치의 각각에 제어반(7)의 보존기구를 설치하고, 제어반용 균형추(34)의 중량과 제어반(7)의 중량을 거의 같게해도 된다.
또, 모터의 구동장치를 풀리(32)에 내장시키거나, 연결해서,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제어반(7)을 승강시켜도 된다.
실시의 형태 4
다음,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를 표시하는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장치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예에서는, 가이드레일(3)을 승강로벽(1b)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레일측레일부래킷(41)에 제어반레일(23)의 상단부 및 부착부재(31)가 고정되어있고, 레일측 레일부래킷(41)이 지지부재를 겸하고 있다. 또, 가이드레일(3)의 하단부를 승강로(1)의 저부(1a)에 고정하기 위한 저부레일부래킷(42)에 제어반레일(23)의 하단부가 고정되어있고, 저부레일부래킷(42)이 고정부재를 겸하고 있다. 가이드레일(3)을 승강로(1)내에 설치하는 경우, 우선 벽측레일부래킷(43)이 앵카보드를 통해서 승강로벽(1b)에 고정된다. 다음, 레일측레일부래킷(41)및 저부레일부래킷(42)이 가이드레일(3)에 임시고정되어 가이드레일(3)의 심결정을 하게된다. 그후, 레일측레일부래킷(41)이벽측레일부래킷(43)에 용접되는 동시에, 저부레일부래킷(42)이 승강로(1)의 저부(1a)에 고정된다. 그리고 최후에 레일측레일부래킷(41)및 저부레일부래킷(42)이 가이드레일(3)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런 제어장치에서는 통상시에 제어반(7)이 관수되는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보수시에는 제어반(7)을 보수위치로 내림으로써, 보수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레일부래킷(41),(42)를 지지부재 및 고정부재로 이용하였으므로,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부착작업을 간단히 할 수 가 있다. 또 실시의 형태 4에서는 단면 L자형의 레일부래킷(41)을 지지부재로해서 이용하였으나 예를들면 도 13에 표시하는 바와같은 단면 헷형의 레일부래킷(44)을 지지부재로 이용하는것도 가능하다.
또, 실시의 형태 1의 매다는 기구(4),(5) 실시의 형태 2의 지지부재(21)및 고정부재(22)에 대해서도 레일부래킷을 겸용할 수 가 있다.

Claims (13)

  1. 승강로내에 설치되어있는 지지기구 및, 상기 승강로의 저부로부터 일정높이의 통상위치에 상기 지지기구에 의해 지지되어있으면서, 상기 통상위치와 상기 통상위치보다도 낮은 보수위치사이에서 승강가능하게 되어있고,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반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
  2. 제어반이 통상위치에 위치하고 있는것을 검출하는 위치검출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반이 상기 통상위치에서 이동되어있을때는, 엘리베이터의 운전모드가 보수모드로 전환되고, 카의 최하 하강위치가 제한되는 청구항 1기재의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
  3. 제어반을 개폐가능한 도어로하고 이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는 도어검출스위치를 갖고있고, 상기 도어의 개방시에는 엘리베이터의 운전모드가 보수모드로 전환되고, 승강체의 최하하강위치가 제한되는 청구항 1기재의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
  4. 지지기구는 승강로내에 설치되고 승강체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에 대해 고정되어있는 청구항 1기재의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
  5. 지지기구는 가이드레일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고정되어있는 지지부재를 갖고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승강로벽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부래킷을 겸하고 있는 청구항 4기재의 엘리베이터제어장치.
  6. 지지기구는, 제어반을 통상위치에 매다는 제 1매다는 기구와, 이 제1의 매다는 기구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반을 보수위치에 매다는 제 2의 매다는 기구를 보유하고, 상기 제어반은, 상기 제 1및 제 2의 매다는 기구에 선택적으로 교체로 결려지는 청구항 1기재의 엘리베이터용제어장치.
  7. 승강로내에 고정되고 제어반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어반레일을 구비하고있는 청구항 1기재의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
  8. 제어반레일은 가이드레일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지지부재를 통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 고정되어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승강로벽에 고정하기 위한 레일부래킷을 겸하고 있는 청구항 7기재의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
  9. 제어반 레일에 따라 제어반을 승강시키는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청구항 7기재의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
  10. 지지기구는 제어반을 중력에 반해 통상위치로 끌어올리는 인상장치를 갖고 있으므로 청구항 1기재의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
  11. 인상장치에 의한 인상력이 제어반에 작용하는 중력보다도 크게 설정되어있고, 상기 제어반을 보수위치에 보존하기 위한 보수위치보존기구가 상기 제어반에 설치되어있는 청구항 7기재의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
  12. 지지기구는, 회전이 자유로운 플리와, 이 풀리에 감겨지고 일단부에 제어반이 매달려있는 제어반매다는 로프와, 이 제어반매단로프의 타단부에 매달려 있는 제어반용 균형추를 갖고 있는 청구항 1기재의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
  13. 승강로벽에 고정되고 엘리베이터의 각 기기와 제어반사이에서 신호전달의 중계접속을 하는 중계상자와, 중간부가 U자형이 되도록, 상기 중계상자와 상기 제어반 사이에 매달려지고, 상기 중계상자와 상기 제어반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가요성을 갖는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는 청구항 1기재의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
KR10-2000-7001581A 1998-06-16 1998-06-16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 KR100396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8/002644 WO1999065811A1 (fr) 1998-06-16 1998-06-16 Dispositif de commande pour 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973A KR20010022973A (ko) 2001-03-26
KR100396802B1 true KR100396802B1 (ko) 2003-09-02

Family

ID=1420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581A KR100396802B1 (ko) 1998-06-16 1998-06-16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23860B1 (ko)
EP (1) EP1013593B1 (ko)
JP (1) JP3857325B2 (ko)
KR (1) KR100396802B1 (ko)
CN (1) CN1124971C (ko)
DE (1) DE69821248T2 (ko)
WO (1) WO19990658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8668B2 (ja) * 1999-03-24 2004-05-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WO2001028910A1 (fr) * 1999-10-22 2001-04-2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Logique de commande d'ascenseur
EP1312575B1 (de) * 2001-11-16 2008-03-26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im Aufzugsschacht angeordneter Antriebseinheit und Steuerungseinheit
EP1562849B1 (de) * 2002-11-18 2006-08-02 Inventio Ag Aufzugssteuerung eingebaut im türpfosten
JP4278370B2 (ja) * 2002-12-05 2009-06-1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JP2006306520A (ja) * 2005-04-26 2006-11-0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用調速機
JP4651475B2 (ja) * 2005-07-28 2011-03-16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乗客コンベア装置のハンドレール清掃装置及び乗客コンベア装置
CN103171937A (zh) * 2013-04-07 2013-06-26 上海微频莱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召唤盒及其实现楼层设定的方法
US10160619B2 (en) * 2014-06-30 2018-12-25 Thyssenkrupp Elevator Corporation Under car power unit for an elevator system
US10611602B2 (en) 2015-03-12 2020-04-07 Otis Elevator Company Movable car mounted overspeed governor
JP6329502B2 (ja) * 2015-03-16 2018-05-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るエレベータ
KR101637002B1 (ko) * 2015-05-19 2016-07-08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CN106429726B (zh) * 2015-08-13 2019-01-15 株式会社日立制作所 无机房电梯
US10483740B1 (en) * 2018-10-12 2019-11-19 Kone Corporation Floor board junction box
WO2021106057A1 (ja) * 2019-11-26 2021-06-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91045A1 (fr) * 1980-09-30 1982-04-02 Otis Elevator Co Ascenseur automoteur utilisant comme contrepoids un moteur electrique lineaire
JPS63180669A (ja) 1987-01-21 1988-07-25 Komori Printing Mach Co Ltd 枚葉印刷機の板取り装置
JPH01252475A (ja) * 1988-03-30 1989-10-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H02295869A (ja) * 1989-05-08 1990-12-06 Hitachi Elevator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の非常通報装置
JPH02310273A (ja) * 1989-05-24 1990-12-26 Hitachi Elevator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保守員の緊急通報装置
JPH033885A (ja) * 1989-05-29 1991-01-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2534770B2 (ja) * 1989-05-31 1996-09-1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レベ―タ保守員の緊急通報装置
JPH0737308B2 (ja) * 1989-06-13 1995-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盤
JP2502765B2 (ja) * 1989-09-09 1996-05-2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レベ―タ運転装置
JPH04235873A (ja) 1991-01-18 1992-08-24 Toshiba F Ee Syst Eng Kk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680359A (ja) 1992-09-04 1994-03-2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制御盤
KR100196671B1 (ko) * 1992-12-24 1999-06-15 이도 스스므 보수용 승강체 부착 입출장치
KR0156946B1 (ko) * 1993-01-26 1999-02-18 마스다 쇼오이치로오 입출고 장치
FI93632C (fi) 1993-06-28 1995-05-10 Kone Oy Alakoneistoinen vetopyörähissi
FI94123C (fi) * 1993-06-28 1995-07-25 Kone Oy Vetopyörähissi
US6006866A (en) * 1995-08-08 1999-12-28 Advanced Microcontrols, Inc. Elevator door restrictor
AT404997B (de) * 1996-04-17 1999-04-26 Erwin Hanazeder Vorrichtung zur regelung einer heizung, insbesondere für ein wohnhaus
JPH1036023A (ja) * 1996-07-11 1998-02-10 Otis Elevator Co ホームエレベーター
JPH1036029A (ja) * 1996-07-23 1998-02-10 Toshiba Elevator Technos Kk エレベータ制御装置
US5773771A (en) * 1996-07-30 1998-06-30 Chatham; Charles Apparatus for preventing unintended movement of elevator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13593A4 (en) 2002-09-04
DE69821248T2 (de) 2004-11-04
KR20010022973A (ko) 2001-03-26
WO1999065811A1 (fr) 1999-12-23
JP3857325B2 (ja) 2006-12-13
EP1013593A1 (en) 2000-06-28
US6223860B1 (en) 2001-05-01
EP1013593B1 (en) 2004-01-21
DE69821248D1 (de) 2004-02-26
CN1124971C (zh) 2003-10-22
CN1255904A (zh) 200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802B1 (ko) 엘리베이터용 제어장치
EP0985627B1 (en) Location of the controlling system
KR102151293B1 (ko) 리프트의 설치 방법
CN110023229B (zh) 电梯设备和用于建造电梯设备的方法
RU98121802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тажа лифта
KR20000022581A (ko) 엘리베이터
JP200625676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3724599B2 (ja) 昇降装置
EP1566357B1 (en) Elevator equipment
JP3170559B2 (ja) エレベータの乗かごの固定装置
KR20010096838A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및 그 방법
JP430383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H09272671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の据付工法
JP2707942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張力平衡装置
EP1329411A1 (en) Elevator device
JP4202615B2 (ja) エレベータのカウンター保持部材及びエレベータのカウンター保持装置
JP201912361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0118907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200199478Y1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JP4115823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TW434181B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vator
KR100336352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장착장치
RU1791315C (ru) Подъемник дл высотных объектов
KR200199477Y1 (ko)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KR0154212B1 (ko) 입체주차장용 승강장치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