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405B1 - 입력기기선택방법 - Google Patents

입력기기선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405B1
KR100391405B1 KR1019950023804A KR19950023804A KR100391405B1 KR 100391405 B1 KR100391405 B1 KR 100391405B1 KR 1019950023804 A KR1019950023804 A KR 1019950023804A KR 19950023804 A KR19950023804 A KR 19950023804A KR 100391405 B1 KR100391405 B1 KR 100391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s
devices
input
output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3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805A (ko
Inventor
이이지마유꼬
가와무라하루미
사또마꼬도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08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cylindrical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04B1/202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by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17Interconnection of audio or video/imag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8Signal distribution or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 신호와 데이타를 혼재시킬 수 있는 통신 제어 버스로 복수의 전자 기기를 접속하고, 이들 전자 기기간에 통신을 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전자 기기가 시스템 내의 다른 원하는 전자 기기로부터 데이타를 입력할 때에 데이타의 소스가 되는 전자 기기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방법은 복수의 전자 기기를 통신 제어 버스로 접속하고, 상기 전자 기기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방법에 있어서, 각 전자 기기에서 입력 기기를 선택할 때에 시스템 내의 다른 전체 전자 기기에 대해 데이타를 출력가능한지의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출력가능이라는 취지의 응답이 있었던 전자 기기만을 입력 대상기기로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대상 기기 중에서 입력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력 기기 선택 방법
본 발명은 제어 신호와 데이타를 혼재시킬 수 있는 통신 제어 버스에 복수의 전자 기기를 접속하여 이들 전자 기기간에 통신을 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전자 기기가 시스템 내의 다른 원하는 전자 기기로부터 데이타를 입력받을 때에 데이타의 소스가 되는 전자 기기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VTR」 이라 함), 텔레비전 수신기(이하, 「TV」 라 함), 카메라 일체형 VTR(이하, 「CAM」 이라 함),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를 제어 신호와 데이타를 혼재시킬 수 있는 통신 제어 버스에 접속하고, 이들기기간에 제어 신호 및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는 P1394 시리얼 버스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이 고려되고 있다.
또, 이 시리얼 버스의 상세한 설명은 「IEEE P1394 시리얼 버스 사양서」로서 공개(1993년 10월 14일 발행)되어 있다.
먼저, 제13도를 참조하여 이같은 통신 시스템의 한 예를 설명한다. 이 통신시스템은 전자 기기로서 VTR1, VTR2, VTR3 및 CAM1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CAM1과 VTR1 사이, VTR1과 VTR2 사이 및 VTR2와 VTR3 사이는 P1394 시리얼 버스로 접속되어 있다. 각 전자 기기는 P1394 시리얼 버스 상의 제어 신호 및 데이타를 중계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시스템은 각 전자 기기가 공통의 P1394 시리얼 버스에 접속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과 등가이다.
제14도는 제13도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기기의 한 예인 VTR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이 VTR은 데크부(1)와 튜너부(2),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조작부(3)와 표시부(4), VTR 전체의 동작 제어, 후술하는 패킷의 작성, 어드레스의 보유 등을 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5), P1394 시리얼 버스에 대한 디지탈 인터페이스(이하, 「디지탈 I/F」라 함 : 6) 및 데크부(1)-튜너부(2)-디지탈 I/F(6) 간의 신호를 전환하는 스위치 박스부(7)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전자 기기가 TV인 경우는 데크부(1) 대신에 모니터부와 앰프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표시부(4)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 CAM인 경우는 튜너부(2) 대신에 카메라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13도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제15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정의 통신 사이클(예를 들면, 125 ㎲)로 통신이 행해진다. 그리고, 디지탈 AV 신호와 같은 데이타를 일정한 데이타 레이트로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동기(Isochronous) 통신과, 접속 제어 코맨드 등의 제어 신호를 필요에 따라 부정기적으로 전송하는 비동기(Asynchronous) 통신의 양방을 행할 수 있다.
통신 사이클의 시작에는 사이클 스타트 패킷 CSP가 있고, 그것에 이어 동기 통신 패킷을 송신하는 기간이 설정된다. 동기 통신 패킷 각각에 채널 번호 1, 2, 3, ··· N을 붙임으로써, 복수의 동기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CAM1로부터 VTR1에 대한 통신에 채널 1이 할당되어 있으면, CAM(1)은 사이클 스타트 패킷 CSP의 직후에 채널 번호 1을 붙인 동기 통신 패킷을 송신하고, VTR1은 버스를 감시하며, 채널 번호 1이 붙은 동기 통신 패킷을 받아들임으로써 통신이 행해진다.
또, VTR2로부터 VTR3에 대한 통신에 채널 2가 할당되어 있으면, CAM(1)로부터 VTR1로의 통신과, VTR2로부터 VTR3으로의 통신을 병행하여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해야할 모든 채널의 동기 통신 패킷의 송신이 종료된 후, 다음의 사이클 스타트 패킷 CSP까지의 기간이 비동기 통신에 사용된다.
또, P1394 시리얼 버스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전자 기기를 버스로 접속하면, 그 접속 형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노드 ID(물리 어드레스)가 할당된다. 통신 시스템에 새롭게 전자 기기를 추가하거나,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자 기기를 제거하거나 하면, 버스에 리셋이 걸려 새로운 접속 형태에 따라 다시 자동적으로 노드 ID의 할당이 행해진다.
또, 제13도에 도시한 통신 시스템에서, 각 전자 기기는 D2B(DomesticDigital Bus)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물리 어드레스에 추가하여 CAM1, VTR1, VTR2, VTR3이라는 카테고리별 논리 어드레스(D2B 어드레스)를 갖고 있다. 단, 통신 시스템에 의해서는 컴퓨터, 하드디스크 장치 등, D2B에 대응하지 않는 기기가 버스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 D2B 어드레스는 초기에 통신 시스템에 접속된 순서로 어드레스가 결정되고, 그 후는 버스에 리셋이 걸려도 시스템 상에서 제거되지 않은 기기는 리셋전의 어드레스를 보유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VTR1의 재생 신호를 VTR2로 녹화하고 있는 중에 CAM1을 제거해버려도 발신원 및 송신선의 D2B 어드레스인 VTR1, VTR2는 변함이 없이 유지되며, VTR 1,2 간의 통신은 계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전자 기기에서 조작부(3)에 의해 입력 기기, 즉 스스로가 디지탈 AV 신호를 입력하고 싶은 상대의 전자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이하, 「입력 기기 선택 조작」이라 함)을 행하면, 시스템 내의 다른 전체 전자 기기로 D2B 대응 기기인지 어떤지를 비동기 통신 패킷을 이용하여 문의하여 자신 이외의 D2B 대응 기기라고 판명된 전자 기기의 D2B 어드레스를 표시부(4)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제13도의 VTR3에서는 제16도와 같이 표시된다. 이것은 표시부(4)의 형광관에 의한 표시를 행한 예이다. 이 도면에서, VTR3은 자신의 카테고리별 논리 어드레스이다. 또, 입력 기기는 입력 기기로서 선택의 대상이 되는 기기의 카테고리별 논리 어드레스로, 여기에서는 VTR1, VTR2 및 CAM1이 표시되어 있다.
또, 입력 기기가 표시되어 있는 틀의 좌측에는 커서의 이동과 실행을 행하기위한 조작키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들 표시 내용을 보면서, 자신이 희망하는 기기의 위치에 커서를 맞춰 실행 키를 지정함으로써 입력 기기를 선택한다. 또, 제16도에 표시하고 있는 채널(Channel)은 VTR이나 TV의 튜너부가 선택하고 있는 TV 방송의 채널이다.
또, 제27도를 참조하면서 이와 같은 통신 시스템의 한 예를 설명한다. 이 통신 시스템은 전자 기기로서 TV1, VTR1, VTR2, VTR3 및 CAM1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TV1과 VTR1 사이, VTR1과 VTR2 사이, VTR2와 VTR3 사이 및 VTR3과 CAM1 사이는 제어 신호 및 데이타를 혼재시켜 전송할 수 있는 P1394 시리얼 버스에 접속되어 있다. 각 전자 기기는 P1394 시리얼 버스 상의 제어 신호 및 데이타를 중계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 시스템은 각 전자 기기가 공통의 P1394 시리얼 버스에 접속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과 등가이다.
제28도는 제27도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자 기기의 한 예인 VTR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이 VTR은 데크부(11)와 튜너부(12),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조작부(13)와 표시부(14), VTR 전체의 동작 제어, 후술하는 패킷의 작성, 어드레스나 데이타의 보유 등을 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15), P1394 시리얼 버스에 대한 디지탈 인터페이스(이하, 「디지탈 I/F」라 함 : 16) 및 데크부(11)-튜너부(12)-디지탈 I/F(16) 사이의 신호를 전환하는 스위치 박스부(17)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전자 기기가 TV의 경우는 데크부(11) 대신에 모니터부와 앰프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표시부(14)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 CAM의 경우는 튜너부(12) 대신에 카메라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27도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제1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통신 사이클(예를 들면, 125 ㎲)로 통신이 행해진다. 그리고, 디지탈 AV 신호와 같은 데이타를 일정한 데이타 레이트로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동기(Isochronous) 통신과, 접속 제어 코맨드 등의 제어 신호를 필요에 따라 부정기로 전송하는 비동기(Asynchronous) 통신의 양방을 행할 수 있다.
통신 사이클의 개시에는 사이클 스타트 패킷 CSP가 있고, 그것에 이어 동기 통신 패킷을 송신하는 기간이 설정된다. 동기 통신 패킷 각각에 채널 번호 1, 2, 3, ··· N을 붙임으로써, 복수의 동기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CAM1로부터 VTR1에 대한 통신에 채널 1이 할당되어 있다고 하면, CAM(1)은 사이클 스타트 패킷 CSP의 직후에 채널 번호 1을 붙인 동기 통신 패킷을 송신하고, VTR1은 버스를 감시하며, 채널 번호 1이 붙어 있는 동기 통신 패킷을 받아들임으로써 통신이 행해진다.
또, VTR2로부터 VTR3에 대한 통신에 채널 2가 할당되어 있으면, CAM1로부터 VTR1로의 통신과 VTR2로부터 VTR3으로의 통신을 병행하여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해야할 모든 채널의 동기 통신 패킷의 송신이 종료한 후, 다음의 사이클 스타트 패킷 CSP까지의 기간이 비동기 통신에 사용된다.
또, P1394 시리얼 버스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전자 기기를 버스로 접속하면, 그 접속 형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노드 ID(물리 어드레스)가 할당된다. 통신 시스템에 새롭게 전자 기기를 추가하거나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자 기기를 제거하거나 하면 버스에 리셋이 걸려 새로운 접속 형태에 따라 다시 자동적으로 노드 ID의 할당이 행해진다.
또, 제27도에 도시한 통신 시스템에서, 각 전자 기기는 D2B(Domestic Digital Bus)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물리 어드레스에 추가하여 CAM1, VTR1, VTR2, VTR3이라는 카테고리별 논리 어드레스(이하, 「D2B 어드레스」라 함)를 갖고 있다. 다만, 통신 시스템에 의해서는 컴퓨터, 하드 디스크 장치 등, D2B 대응하지 않은 기기가 버스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 D2B 어드레스는 초기에 통신 시스템에 접속된 순서대로 어드레스가 결정되고, 그 후는 버스에 리셋이 걸려도 시스템 상으로부터 제거되지 않은 기기는 리셋전의 어드레스를 보유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VTR1의 재생 신호를 VTR2로 녹화하고 있을 때 중에 CAM1을 제거해 버려도 발신원 및 송신선의 D2B 어드레스인 VTR1, VTR2는 변화지 않기 때문에, VTR1, 2사이의 더빙 동작을 계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전자 기기에서 조작부(13)에 의해 입력 기기, 즉 자신이 디지탈 AC 신호를 입력하고자 하는 상대의 전자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이하, 「입력 기기 선택 조작」이라 함)을 행하면, 시스템 내의 다른 전체 전자 기기로 D2B 대응 기기인지 어떤지를 비동기 통신 패킷을 이용하여 문의하여 자신이외의 D2B 대응 기기라고 판명한 전자 기기의 D2B 어드레스를 표시부(14)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제27도의 VTR3에서는 제16도와 같이 표시된다. 이것은 표시부(14)의 형광관으로 표시를 행한 예이다. 이 도면에서, VTR(3)은 자신의 D2B 어드레스이다. 또, 입력 기기는 입력 기기로서 선택의 대상이 되는 기기의 D2B 어드레스로, 여기에서는 VTR1, VTR2 및 CAM1이 표시되어 있다. 또, 입력 기기가 표시되어 있는 틀의 좌측에는 커서의 이동과 실행을 행하기 위한 조작 키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들 표시 내용을 보면서, 자신이 희망하는 기기의 위치에 커서를 맞춰 실행 키를 지정함으로써 입력 전환을 선택한다. 또, 제16도에 표시되어 있는 채널(Channel)은 TV나 VTR의 튜너를 선택하고 있는 TV방송의 채널이다.
그러나, 종래의 입력 기기 선택 방법에서는 D2B 어드레스를 갖는 전체 기기를 표시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비디오 테이프가 장전되어 있지 않고, 다른 기기로부터 정보 신호를 입력 중, 어떤 이유에 의해 정보 신호를 출력할 수 없는 기기에서도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한 입력 대상 기기로서 표시되기 때문에, 실수로 입력기기로서 선택해버릴 우려가 있다.
또, 입력 기기가 될 수 없는 기기도 포함된 입력 대상 기기 중에서, 목적의 기기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의 대상이 되는 기기 수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작하는 선택에 번거로움이 있을 가능성도 있다.
또, 상기 입력 기기 선택 방법에서는 입력 대상 기기의 D2B 어드레스는 사용자의 인식에 따라 선택되기 때문에, 실제의 목적인 입력 기기의 D2B 어드레스가 변화된 것을 인식하지 못해 오선택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 이유는 상기한 바와 같이 D2B 어드레스는 노드 ID와 같이 버스 리셋마다 교체되지는 않지만, 시스템 상에서 복수의 기기가 제거될 때에 제거된 기기의 일부가 다시 시스템 상에 접속된 경우 등에는 동일 기기에서도 D2B 어드레스가 변화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D2B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VTR1, VTR2, VTR3과 같이 동일카테고리에서 번호가 작은 순서로 할당되기 때문임).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보 신호의 출력이 가능한 기기만을 입력 대상 기기로서 표시할 수 있는 입력 기기 선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D2B 어드레스가 변화되어 버린 경우에서도 목적한 기기의 오선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입력 기기 선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전자 기기를 통신 제어 버스로 접속하고, 이들 전자 기기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각 전자 기기에서 입력 기기를 선택할 때에 시스템 내의 다른 전체 전자 기기에 대해 데이타가 출력가능한지를 문의하여, 출력 가능이라는 취지의 응답이 있었던 전자 기기만을 입력 대상 기기로서 표시하고, 이 입력 대상 기기 중에서 입력 기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데이타의 출력이 불가능한 전자 기기에 대해서는 그 이유를 표시하도록 구성했다. 여기에서, 데이타의 출력이 불가능한 이유의 표시는 데이타의 출력이 불가능한 전자 기기에 표시할 수도 있고, 입력 기기의 선택을 행하는 기기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전자 기기를 통신 제어 버스로 접속하고, 이들 전자 기기 사이에 화상 데이타의 통신을 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각 전자 기기로 입력 기기를 선택할 때에 시스템 내의 다른 전자 기기로부터화상 데이타를 송신시켜 이 화상 데이타로부터 정지화상(still image) 리스트를 작성하고, 또 정지화상 리스트를 표시하며, 이 표시된 정지화상 리스트를 참조하여 입력 기기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정지화상 리스트는 각 기기 각각에 대해 1 프레임의 화상으로부터 작성하면, 표시되는 화상은 각 기기에 대해 1 프레임 분으로 된다. 또, 정지화상 리스트를 각 기기 각각에 대해 복수의 프레임의 화상 데이타로부터 작성하면, 표시되는 화상은 복수의 프레임분의 화상, 예를 들면 단시간의 동화상이 되기 때문에, 입력 선택하기 위해 참조할 수 있는 화상 데이타의 양이 많게 되어 확실한 선택이 행해진다.
또, 화상 데이타의 송신이 불가능한 전자 기기에 대해서는 정지화상 리스트를 작성하지 않아도 좋지만, 화상 데이타의 송신이 불가능한 이유를 표시하는 정지화상 리스트를 작성하면, 사용자가 그 정지화상 리스트를 보고 화상 데이타의 송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처리를 강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정지화상 리스트 작성 후에, 다시 시스템 내의 다른 전자 기기로부터 순서대로 소정 시간씩 화상 데이타를 송신시켜, 이 화상 데이타도 참조하여 입력 기기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정지화상 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최저한의 화상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동화상을 참조하면서 입력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 기기의 선택시에는 실제로 데이타 출력이 가능한 기기만 입력 대상 기기로서 표시된다. 이 때문에, 실수하여 데이타 출력이 불가능한기기를 선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실제로 입력 기기로서 선택할 수 있는 기기만 표시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토글 등의 조작으로 차례로 입력 기기를 선택하도록 하는 조작성에서도 작업에 필요한 시간이 저감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 기기로 되지 않는 기기에 대해서는 그 이유가 표시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입력 기기로서 선택하고 싶은 기기가 데이타의 출력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고장 이외의 이유이면, 사용자가 그 이유를 해소하기 위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입력 기기로서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표시된 정지화상 리스트를 참조하여 입력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초기에 사용자가 인식하고 있었던 D2B 어드레스와 입력 기기의 선택을 행하는 시점에서의 실제의 D2B 어드레스가 다르게 되어 있는 경우에서도 사용자는 수시로 목적한 기기의 D2B 어드레스를 확인할 필요가 없이, 실제로 바라는 영상에 의해 입력 기기의 선택이 가능하다. 따라서, 오선택만을 방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관점에서 보면 여러가지 정지화상 리스트로부터 바라는 영상을 선택하는 조작으로 완료되기 때문에, 입력 기기의 선택이라는 개념을 고려할 필요도 없게 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 기기의 선택을 행할 때에 시스템 상의 다른 기기로 데이타를 출력가능인지를 문의함으로써, 실제로 입력 가능한 기기만을 표시하기 때문에 실수하여 입력할 수 없는 기기를 선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선택할 때의 조작성의 관점에서 보아도, 예를 들면 입력 대상 기기를 하나하나 차례로 토글로 선택하는 조작 방법에서도 선택에 필요한 조작 수는 최대라도 입력가능한 기기 수만큼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 대상이 될 수 없는 기기에 대해서는 그 이유를 표시하기 때문에, 입력할 수 없다고 되어 있는 기기를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 그 이유에 따라 입력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전자 기기의 출력 화상 데이타를 기초로 입력 기기를 선택하기 때문에, 동일한 기기라도 D2B 어드레스가 다르게 되어버렸던 경우의 오선택을 방지하는 것만이 아니고, 사용자의 관점에서 보면 입력 기기의 선택이라는 개념을 의식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3도의 통신 시스템에서 기기간 통신을 행할 때의 입력 기기 선택에 대해
[1] VTR1, VTR2, VTR3, CAM1 모두 어떤 작업도 행하지 않고 있는 경우,
[2] CAM1의 재생 AV 신호를 VTR1로 녹화하고 있을 때에 VTR2도 CAM1의 재생 AV 신호를 녹화하는 경우,
[3] VTR1과 VTR2가 CAM1의 재생 AV 신호를 녹화 중, VTR3이 VTR2로 AV 신호의 출력을 요구하는 경우의 순으로 설명을 행한다.
[1] VTR1, VTR2, VTR3, CAM1 모두 어떤 작업도 행하고 있지 않는 경우, 이 경우에 VTR1에서 CAM1의 AV 신호를 입력하기 위해 입력 기기 선택 조작을 행하면, VTR1로부터 시스템 내의 기기 전체로 데이타 출력가능인지의 문의를 발생한다. 이때의 문의 및 응답 순서의 예를 제1도에 도시한다. 먼저, VTR1은 CAM1에 대해 「디지탈 출력이 가능한가?」라고 문의한다(A1). 이것에 대해, CAM1은 「가능」이라고 응답한다(A2). 마찬가지로, VTR2와 VTR3에 대해 차례로 「디지탈 출력이 가능한가?」라고 문의하여 각각으로부터 「가능」이라는 응답을 받는다(A3 ∼ A6).
제2도는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코맨드 패킷의 구조 예이고, 제3도는 제1도의 각 순서인 A1 ∼ A6에서 코맨드 패킷의 구조 예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제2도의 SSDA/DSDA에서의 서브 디바이스라는 것은 기기 내의 기능 단위(데크, 튜너 등)이다. 또, 더미(Dummy)는 여기에 회답의 데이타를 받고 싶다라는 것을 표시하고, OK는 문의의 코맨드에 대해 회답한 것을 표시한다.
이 경우, VTR2, VTR3, CAM1은 전부 AV신호의 출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VTR1의 표시부에는 제4도와 같이 자신이외의 시스템 내의 모든 기기, 즉 WR2, VTR3, CAM1이 표시된다. 이 중에서, CAM1을 선택하면, CAM1과 VTR1 사이가 커넥션이 설정된다. 이 때, CAM1이 재생 모드로 선정되어 있으면, VTR1에 CAM1의 재생 AV 신호가 입력된다. CAM1이 재생되지 않은 경우는 VTR1의 출력을 모니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해도 화상은 표시되지 않아 흑색 화면이 된다.
마찬가지로, VTR2로 입력 기기를 선택하면, VTR1, VTR3, CAM1이, VTR3으로 입력 기기를 선택하면 VTR1, VTR2, CAM1이, CAM1로 입력 기기를 선택하면 VTR1, VTR2, VTR3이 입력 대상 기기로서 표시된다.
또, 제1도에서는 데이타 출력이 가능인지 어떤지의 문의와 그것에 대한 응답의 수신을 기기마다 차례로 행하고 있지만, 문의를 전체 기기에 대해 행하여 그후에 응답을 수신하는 순서로 해도 좋다.
[2] CAM1의 재생 AV신호를 VTR1로 녹화하고 있을 때에, VTR2도 CAM1의 재생 AV 신호를 녹화하는 경우. VTR1에서는 이미 CAM1이 선택되어 있고, VTR1을 기록모드로 설정하면, CAM1의 재생 AV 신호가 녹화된다. 이 때, VTR2에서도 CAM1로부터의 AV 신호를 녹화하기 때문에, 입력 기기를 선택하면 일제히 VTR2로부터 시스템내의 다른 기기 전체로 데이타 출력 가능인지의 문의를 발생한다.
이 때의 문의 코맨드의 예를 제5도에, 문의 코맨드 패킷의 구조 예를 제6도에 도시한다. 이 경우, VTR1로부터는 「REC 중」이라는 대답이 되돌아오기 때문에(B4) 데이타를 출력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VTR2의 표시부에는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VTR3과 CAM1이 입력 대상 기기로서 형광관 표시된다. 이 중에서, CAM1을 선택하고 기록 모드로 설정하면, VTR2도 CAM1의 재생 AV신호를 녹화할 수 있다. 이 때, VTR1의 표시부에서는 제8도와 같이 「REC 중」이라는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VTR1이 입력 대상 기기에는 없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3] VTR1과 VTR2가 CAM1의 재생 AV신호를 녹화 중, VTR3이 VTR2로 AV 신호의 출력을 요구하는 경우,
VTR3이 VTR2의 재생 AV 신호를 입력하고자 함으로써 입력 기기 선택 조작을 행하면, VTR3으로부터 시스템 내의 다른 기기 전체로 데이타 출력 가능인지의 문의를 발생한다.
이 때의 문의 코맨드의 예를 제9도에, 문의 패킷의 구조 예를 제10도에 도시한다. 이 경우, VTR1, VTR2에서는 「REC 중」이라는 대답이 되돌아오기 때문에(C4, C6), VTR3의 표시부에는 입력 대상 기기로서 제11도와 같이 CAM1만이 형광관 표시된다. VTR1, VTR2의 표시부에는 공히 제8도와 마찬가지로 「REC 중」이라는 경고 메시지가 형광관에 표시되어 입력 대상 기기로는 되지 않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VTR3은 VTR2로부터 입력할 수 없지만, 예를 들면 CAM1과 VTR2 사이의 녹화 작업을 중단하더라도 반드시 VTR2로부터 입력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REC 중」이라는 경고 메시지에 따라 VTR2를 정지 모드로 해서 CAM1과 VTR2 사이의 녹화를 중계하면, 제12도와 같이 VTR2도 입력 대상 기기로서 형광관 표시된다. 여기에서, VTR2를 선택하면, VTR3은 VTR2의 재생 AV 신호를 녹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신 제어 버스로서 P1394 시리얼 버스를 이용했지만, 제어 신호와 데이타 신호의 쌍방을 혼재시킬 수 있는 디지탈 버스라면 다른 버스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입출력 중 어느 것이 한쪽을 선택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입출력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는 각 기기 고유로 갖는 입출력이 가능한 수(입출력 플러그 수)에 따라 허용 수를 초과한 경우에만 「REC 중」 등의 경고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 본 발명은 AV 기기를 접속한 통신 시스템에 제한되지 않고, 컴퓨터를 접속해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시스템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VTR의 형광 표시관을 예로 설명했지만, VTR의 LCD 표시나 TV 등의 OSD(On Screen Display) 표시에 의한 입력 기기의 선택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 기기의 선택을 행하는 기기 측에는 입력가능한 기기만을 표시하고, 경고 메시지는 데이타를 출력할 수 없는 기기 측에 표시하는 예를 이용했지만, 입력 기기를 선택하는 기기에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다시 말하면 시스템 상에 연결되는 전체 기기를 표시하고, 선택이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이 존재, 또한 불가능한 것에 대해서는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경고 메시지의 예로서, 여기에서는 「REC 중」만을 표시했지만, 테이프에 관해서는 「테이프 없음」, 「테이프 엔드」등, 그 외 「전원 OFF」등, 여러가지 경고 메시지가 표시될 가능성이 고려된다.
그리고, 문의 코맨드의 송신법으로서도, 본 실시예에서는 문의 전용의 코맨드를 사용했지만, 그 대신에 입력 기기를 선택하는 시점에서 데크로부터 입력이든지 튜너로부터 입력이라고 하는 서브 디바이스 단위까지 지정함으로써 실제로 출력명령의 코맨드를 시스템 상의 다른 기기로 일제히 송신하고, 입력을 거부하는 취지의 응답을 되돌려받은 기기에 대해서만, 또 그 이유를 문의함으로써 「데크로 입력 중」등의 상세한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5도의 통신 시스템에서 기기간 통신을 행할 때의 각 기기의 정지화상 리스트에 의한 입력 기기 선택 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력 기기 선택의 표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 VTR1은 자신의 D2B 어드레스이다. 또, VTR2, CAM1 및 TV1은 입력 기기로서 선택의 대상이 되는 기기의 D2B 어드레스이다. PHOTO LIST 키는 정지화상 리스트 작성시에 조작하는 키이다. 커서 선택 키 및 채널(channel 1)은 제16도와 동일하다.
[1] TV1, VTR2, VTR3, CAM1이 전부 출력가능일 때에 VTR1로 정지화상 리스트를 선택하는 경우. 여기에서는 정지화상 리스트는 모니터로 출력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제17도에 도시되어 있는 VTR1의 형광관 표시부로 PHOTO LIST 키를 지시한다.
VTR1은 시스템 내의 각 기기의 카테고리별 논리 어드레스를 기초로 모니터부를 갖는 기기를 선택한다. 제15도의 통신 시스템에서 모니터부를 갖는 기기는 TV1만이고, 또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TV1이 선택된다. 이것에 의해, VTR1로 입력선택하는 정지 화상의 리스트는 TV1에 표시되게 된다.
그 후, VTR1은 시스템 상의 전체 기기에 대해 「출력시킬 것」라는 요구를 하고 있다. 이 때의 일련의 코맨드 교환을 제18도에 도시한다. 먼저, VTR1은 TV1에 대해 「튜너부에서 플러그로 출력시킬 것」라고 요구하면(A1), TV1은 VTR1로 「출력 OK. 튜너부에서 플러그1(Plug1)로 출력하겠습니다」라고 응답한다(A2). 이 플러그(Plug)는, 예를 들면 디지탈 I/F(16)에 설치된 데이타를 입출력하는 채널 번호, 대역 등을 기억하는 레지스터와 같은 가상적인 디지탈 플러그로, 아날로그 신호를 입출력하는 물리적인 플러그와 같은 개념으로 취급된다.
이것을 수신하여, VTR1은 스위치 박스에 의해 내부 전환하여 TV1의 플러그1(Plug1)로부터 자신의 플러그1(Plug1)로 입력하고, 그 중 1 ∼ 수 프레임을마이크로컴퓨터(15) 내의 화상 메모리(도시하지 않음)로 받아들여 정지화상 리스트를 작성한다. 정지화상 리스트는 화면 분할하여 표시되기 때문에, 화상 메모리에 받아들이는 데이타는 분할 수에 따라 추출한 프레임 화상이다. 또, 화면 분할한 정지화상 리스트의 리스트 번호와 D2B 어드레스의 대응 관계를 등록한다.
TV1의 튜너로부터의 출력을 정지화상 리스트에 추가하면, 버스의 점유를 방지하기 때문에, 즉시 버스를 해방한다. 이 때문에, VTR1은 TV1로 「튜너부에서 플러그1(Plug1)로의 출력을 중단시킬 것」이라고 요구하고(A3), 이것에 대해 TV1은 「중단 OK. 튜너부에서 플러그1(Plug1)로의 출력을 중단하겠습니다」라고 대답한다(A4).
이하, 마찬가지로 순서 A5 ∼ A16에 의해 VTR2, VTR3, CAM1의 출력 화상을 정지화상 리스트에 추가한다.
제19도는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코맨드 패킷의 구조 예이고, 제20도는 제18도의 각 순서에서의 코맨드 패킷의 구조 예이다. 제19도의 SSDA/DSDA에서 서브 디바이스라는 것은 기기의 기능 단위(데크, 튜너, 스위치 박스 등)를 말하는 것이다. 제20도의 경우, 서브 디바이스는 전부 스위치 박스이고, 코맨드는 전부 가상적인 디지탈 플러그간을 접속 또는 해방하는 것을 지령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해서 정지화상 리스트의 작성이 종료하면, TV1의 모니터부에 정지화상 리스트가 표시된다. 제21도는 정지화상 리스트의 표시 예이고, 제22도는 기억해 둔 정지화상 리스트의 번호와 그 정지 화상을 출력하고 있는 노드의 D2B 어드레스와의 대응표이다. 제21도에서, 이 정지화상 리스트 1은 TV1의 화상인 TV1로부터 화상이 출력되지 않았던 것을 도시한다. 또, 정지화상 리스트 2는 VTR1에서 출력된 일출 화상, 정지화상 리스트 3은 VTR3으로부터 출력된 눈사람 화상, 정지화상 리스트 4는 CAM1로부터 출력된 산의 배경 색의 화상을 도시한다. 그리고, 정지화상 리스트 5 ∼ 9에 대해서는 리스트 자체가 작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도시한다. 또, 제21도의 정지화상 리스트의 표시 예에서, 각 기기로부터의 화상을 1 프레임분만큼 화상 메모리에 받아들인 경우는 1 프레임분씩 표시가 되지만, 각 기기로부터의 화상을 복수 프레임분 받아들인 경우는 각 기기용의 표시를 순차 전환하여 복수의 프레임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단시간에 동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2] CAM1에 테이프 카세트가 장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 경우의 일련의 코맨드의 교환을 제23도에 도시한다. 이 경우는 VTR1이 TV1, VTR2, VTR3의 리스트를 작성할 때까지는(B1 ∼ B12) [1]의 A1 ∼ A12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다음에, VTR1이 CAM1로 「출력시킬 것」이라고 요구하면(B13), CAM1에는 테이프 카세트가 들어 있지 않아 재생할 수 없기 때문에, 「출력할 수 없습니다.」라고 대답한다(B14). 이 때문에, CAM1의 재생 화상을 정지화상 리스트에는 추가되지 않는다.
제24도는 제23도의 각 순서에서 코맨드 패킷의 구조 예이다. 또, 제25도는 정지화상 리스트의 표시 예이다. 또, 제25도에는 화상 데이타를 출력가능한 기기만이 출력하고, 정지화상 리스트에 추가되는 예를 도시했다. 따라서, 사용자로서는 출력 가능한 기기와 시스템 내에 존재하지 않는 기기와의 구별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예를 들면 [2]의 예에서, VTR1로부터 CAM1로 「출력시킬 것」이라고 요구하여 「출력할 수 없습니다.」라고 응답이 있었던 경우, 다시 CAM1로 스테이턴스 정보를 요구하고, 그 회답으로서 "No Medium In' 이라고 응답이 있었던 경우라면, 제26도와 같이 배경에 뮤트(mute)를 가해 「No Casset In」등의 에러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우선 시스템 상의 기기 전체에 대해 정지화상 리스트를 작성해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정지화상 리스트를 표시하고, 그 화상(1 프레임 ∼ 복수 프레임)을 보고 입력 전환하는 예로 설명했지만, 전체의 기기에 대해 차례로 정지화상 리스트를 작성하는 순서까지는 상기 [1], [2]와 동일하며, 일단 다른 전체의 기기의 정지화상 리스트가 완성된 경우 다시 최초에서 순서대로 각 기기로 「출력시킬 것」이라고 요구하고, 각 기기는 수초간씩 그 시점에서의 동화상을 보낸 후, 버스를 개방하여 다음 기기가 동화상을 보내는 방법도 고려된다. 이 경우, 정지화상 리스트로서 표시되어 있는 각 번호의 화상은 동화상이 보내지고 있을 때에는 동화상으로 전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정지화상 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최저한의 화상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만으로, 동화상을 보면서 입력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3] 정지화상 리스트 중에서, 산의 배경 색(CAM1의 재생 화면)을 입력 선택하는 경우. 예를 들면, [1]의 예에서는 제21도와 같이 1 ∼4까지 4개의 정지 화상이 표시되어 있지만, 여기에서는 예를 들면 4개의 산의 배경 색을 선택한다. 그러면, VTR1이 제22도와 같이 정지 화상과 그 정지 화상을 재생하고 있는 기기의 D2B 어드레스의 대응표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산의 배경 색을 재생하고 있는 기기의 D2B 어드레스를 확인하지 않고 4개의 정지 화상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CAM1로부터 신호의 입력 전환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신 버스로서 P1394 시리얼 버스를 이용했지만, 제어선과 기기 사이에서 자유롭게 신호를 교환할 수 있는 신호선을 갖는 버스이면, 다른 버스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AV 기기를 접속한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컴퓨터를 접속해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시스템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체의 기기가 P1394 시리얼 버스로 접속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VTR1의 아날로그 AV 출력 단자에 아날로그 TV를 접속하고, VTR1로 작성한 정지화상 리스트를 이 아날로그 TV에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아날로그 TV를 VTR1의 서브 디바이스로서 취급함으로써, 제19도에 도시한 구조의 코맨드 패킷을 이용한 순서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정지 화상을 받아들일 때에 그때마다 입력 전환을 행하여 실제로 TV의 튜너부에서 수신하고 있는 화상이나 VTR의 데크부에서 재생하고 있는 화상을 입력하고, 정지 화상으로 리스트를 작성하고 있었지만, 화상이 입력되고 있는 테이프 카세트의 각각에 메모리를 탑재해 두고,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의 최초의 화상을 그 메모리 상에 정지 화상으로서 기억해 두며, 정지화상 리스트의 요구가 가능할 때 메모리 상의 정지 화상을 요구하였던 기기로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출력시킬 것」 코맨드로는, 예를 들면 TV1으로 카테고리가 TV이라는것을 알 수 있으므로, 디폴트로 내부 접속되어 있었던 튜너(1)로부터 출력되었다고 하고 카테고리별로 판단한 후에 코맨드를 송출하고 있지만, 「어떤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출력시킬 것」이라는 코맨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입력 기기 선택시의 코맨드의 송수신 순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코맨드 패킷의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순서에서 각 코맨드 패킷의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VTR1로 표시되는 입력 대상 기기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입력 기기 선택시의 코맨드의 송수신 순서의 다른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6도는 제5도의 순서에서 각 코맨드 패킷의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7도는 VTR2로 표시되는 입력 대상 기기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VTR1로 표시되는 경고 메시지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입력 기기 선택시의 코맨드의 송수신 순서의 또 다른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0도는 제9도의 순서에서 각 코맨드 패킷의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1도는 VTR3으로 표시되는 입력 대상 기기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2도는 VTR3으로 표시되는 입력 대상 기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3도는 P1394 시리얼 버스를 이용한 AV 통신 시스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4도는 제13도의 통신 시스템에서 VTR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15도는 P1394 시리얼 버스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사이클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6도는 제13도의 통신 시스템에서 입력 기기 선택의 표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력 기기 선택의 표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8도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정지화상 리스트 작성시의 코맨드의 송수신 순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1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코맨드 패킷의 구조 예.
제20도는 제18도의 각 순서에서 코맨드 패킷의 구조 예.
제21도는 제18도의 순서로 작성한 정지화상 리스트의 표시 예.
제22도는 정지화상 리스트의 번호와 그 정지 화상을 출력하고 있는 기기의 D2B 어드레스와의 대응표.
제23도는 본 실시예에 사용하는 정지화상 리스트 작성시의 코맨드의 송수신 순서의 다른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24도는 제23도의 각 순서에서 코맨드 패킷의 구조 예.
제25도는 제23도의 순서로 작성한 정지화상 리스트의 표시 예.
제26도는 제23도의 순서를 일부 변형하여 작성한 정지화상 리스트의 표시예.
제27도는 P1394 시리얼 버스로 복수의 기기가 접속된 통신 시스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28도는 제27도의 통신 시스템에서 VTR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데크부 2 : 튜너부
3 : 조작부 4 : 표시부
5 : 마이크로컴퓨 6 : 디지탈 I/F
7 : 스위치 박스부

Claims (16)

  1. 복수의 전자 기기들을 통신 제어 버스에 의해 접속하여, 상기 전자 기기들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들중 선택된 기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들중 다른 기기 각각으로,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들중 다른 기기 각각이 상기 통신 제어버스를 통해 상기 선택된 기기에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의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기기에서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들중 다른 기기 각각으로부터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기기들을 입력 대상 기기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입력 대상 기기들 각각을 표현하는 식별 부호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식별 부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입력 대상 기기들 중에서 사용자가 입력 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출력할 수 없는 기기들을 불가능 기기들로 식별하는 단계,
    상기 응답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출력할 수 없는 상기 불가능 기기의 불가능 이유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불가능 기기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없는 상기 이유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표시 단계는 상기 불가능 전자 기기에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들중 선택된 기기에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 복수의 전자 기기들을 통신 제어 버스에 의해 접속하여, 상기 전자 기기들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들중 선택된 기기로부터 상기 통신 제어 버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들중 다른 기기에 정지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기기에 입력을 제공하는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들중 다른 기기 각각으로부터 상기 통신 제어 버스를 통해 송신된 상기 정지화상을 상기 선택된 기기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들중 다른 기기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정지화상의 배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정지화상의 배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정지화상 배열을 기초로 하여 상기 입력을 상기 선택된 기기에 제공하는 입력 기기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의 배열은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들중 다른 기기 각각으로부터의 복수의 정지화상 프레임으로부터 생성되어, 각 기기로부터 각 동화상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없는 전자 기기에 대해서 이런 기기가 상기 정지화상의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없는 이유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의 배열 생성 후 소정 기간 기간 동안 부가 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송신하기 위해서 상기 복수의 전자 기기들중 다른 기기 각각으로 하여금 상기 정지화상 데이터를 발생시키게 하는 단계,
    상기 정지화상의 배열을 작성하는 상기 정지화상을 상기 부가 화상 데이터로 순차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정지화상의 배열에 기초하여 입력 기기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9. 화상 데이타의 통신을 행하는 상호접속된 전자 기기들간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들 각각에 접속되어 상기 화상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전자 기기들 각각에 접속되어, 기기가 상기 전자 기기들중 다른 기기 각각에 화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지에 관한 문의를 송신하며, 상기 전자 기기들중 다른 기기 각각으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는 제어 수단,
    상기 전자 기기들 각각에 접속되어, 이들이 화상 데이터를 입력 대상 기기로서 출력할 수 있는지 응답하는 전자 기기들의 식별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 및
    상기 전자 기기들 각각에 접속되어 상기 입력 대상 기기들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 기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들의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불가능한지에 대한 상기 문의에 응답하는 전자 기기에 대해서는 상기 표시 수단이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불가능한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해 그 이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들의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화상 데이타의 출력이 불가능한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이유는 상기 전자 기기들에 접속된 상기 표시 수단상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들의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화상 데이타의 출력이 불가능한 상기 전자 기기에 대한 이유는 상기 문의를 행하는 기기에 접속된 상기 표시 수단상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들의 시스템.
  13. 화상 데이타를 통신하는 상호접속된 전자 기기들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들 각각에 접속되어 상기 화상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전자 기기들 각각에 접속되어, 상기 전자 기기들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정지 화상을 요청하며, 상기 정지화상의 배열을 작성하는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정지화상의 배열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 및
    상기 표시된 정지화상의 배열을 기초로 하여 화상 발생 기기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동작가능한 선택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들의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화상의 배열은 상기 전자 기기 각각에 의해 발생된 화상 데이터의 복수의 정지화상 프레임들로부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들의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없는 전자 기기들에 대하여 상기 정지화상의 배열에서 엔트리(entry)가 작성되고, 상기 엔트리는 상기 기기들이 화상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없는 이유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들의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화상 발생 전자 기기들로 하여금 상기 정지화상의 배열 생성 후 소정 시간 주기 동안 부가 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송신하게 하는 수단,
    상기 정지화상의 배열을 상기 부가 화상 데이터로 업데이트하는 수단, 및
    상기 업데이트된 정지화상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발생 기기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동작가능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들의 시스템.
KR1019950023804A 1994-08-02 1995-08-02 입력기기선택방법 KR100391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8394A JP3520572B2 (ja) 1994-08-02 1994-08-02 入力機器選択方法
JP94-200183 1994-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805A KR960008805A (ko) 1996-03-22
KR100391405B1 true KR100391405B1 (ko) 2003-11-01

Family

ID=16420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3804A KR100391405B1 (ko) 1994-08-02 1995-08-02 입력기기선택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60698A (ko)
EP (1) EP0696109A3 (ko)
JP (1) JP3520572B2 (ko)
KR (1) KR100391405B1 (ko)
CN (1) CN1087544C (ko)
CA (1) CA215494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490B1 (ko) * 2016-02-12 2017-09-19 엔쓰리엔 주식회사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녹화 이중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1850A1 (en) 1992-10-23 2002-07-11 Cybe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operation of personal computers
JP3561969B2 (ja) * 1994-08-30 2004-09-08 ソニー株式会社 編集方法及び編集制御機器
US5721842A (en) 1995-08-25 1998-02-24 Apex Pc Solutions, Inc. Interconnection system for viewing and controlling remotely connected computers with on-screen video overlay for controlling of the interconnection switch
US5956081A (en) * 1996-10-23 1999-09-21 Katz; Barry Surveillance system having graphic video integration controller and full motion video switcher
JP3735942B2 (ja) * 1996-06-04 2006-01-1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電子機器
JP3783282B2 (ja) * 1996-06-04 2006-06-07 ソニー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電子機器
CA2216573C (en) * 1996-10-01 2006-03-14 Sony Corporation Digital tuner having ieee 1394 serial bus interface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selected programs as a functional unit
EP0841776A1 (en) * 1996-11-12 1998-05-13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s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JPH10155121A (ja) * 1996-11-21 1998-06-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表示装置
WO1998043416A1 (fr) * 1997-03-21 1998-10-01 Hitachi, Ltd. Appareil audiovisuel, procede d'utilisation et systeme
US6313880B1 (en) * 1997-04-03 2001-11-06 Sony Corporation Display with one or more display windows and placement dependent cursor and function control
ID27676A (id) * 1997-09-11 2001-04-19 Sony Corp Peralatan elektronik
EP0939549B1 (en) * 1998-02-25 2008-01-09 Nec Corporation Network comprising a network managing apparatus, linking a plurality of video broadcast storing and displaying devices
JP3606423B2 (ja) * 1998-05-21 2005-01-05 株式会社ケンウッド Ieee1394シリアルバス装備avシステム
KR100304644B1 (ko) * 1998-06-19 2001-11-02 윤종용 네트워크를통한정보전송장치및방법
US6119243A (en) * 1998-07-06 2000-09-12 Intel Corp. Architecture for the isochronous transfer of information within a computer system
JP2000090575A (ja) * 1998-09-14 2000-03-31 Toshiba Corp ネットワーク統合管理装置及び方法
IL142119A0 (en) 1998-09-22 2002-03-10 Cybex Computer Prod Corp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nd operating personal computers remotely
US6947398B1 (en) * 1998-11-13 2005-09-20 Lucent Technologies Inc. Addressing scheme for a multimedia mobile network
EP1137222A4 (en) * 1999-10-04 2005-07-06 Sony Corp DEVICE CONTROL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MEDIUM ASSOCIATED
WO2001091504A1 (fr) * 2000-05-22 2001-11-29 Sony Corporation Procede, systeme et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donnees
JP2002094604A (ja) * 2000-09-12 2002-03-29 Canon Inc 端末検出方法、通信装置および記録媒体
FR2816146A1 (fr) * 2000-10-27 2002-05-03 Canon Kk Procede et dispositif de gestion d'un reseau de communication
JP2002142272A (ja) * 2000-10-30 2002-05-17 Kenwood Corp Av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av機器接続方法
EP1231782A1 (en) * 2001-02-13 2002-08-14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Tuning device for a data distribution network
EP1381228A4 (en) * 2001-04-20 2006-12-20 Sony Corp VIDEO SIGNAL SELE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KR100561400B1 (ko) * 2003-07-21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기기 연결시 사용자 안내 온 스크린 표시 방법 및그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58198B1 (ko) * 2003-09-17 200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128589A (ja) * 2005-11-02 2007-05-24 Sharp Corp 再生機器
KR101342369B1 (ko) * 2007-01-26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신호 싱크 및 그의동작 방법
JP4424371B2 (ja) * 2007-05-15 2010-03-03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4788658B2 (ja) * 2007-05-17 2011-10-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Av機器
JP4469901B2 (ja) 2008-02-29 2010-06-02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8817189B2 (en) * 2011-09-29 2014-08-26 Lsi Corporation Digital television with improved input selection functionality
US9313258B2 (en) * 2013-08-02 2016-04-12 Nagravision S.A. System and method to manage switching between devices
US20170195735A1 (en) 2015-12-31 2017-07-06 Nagravision S.A. Method and apparatus for peripheral context management
US10671261B2 (en) 2017-01-17 2020-06-02 Opentv, Inc. Application dependent remote control
US10032365B1 (en) 2017-10-16 2018-07-24 Universal Electronic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universal controlling device for displaying a graphical user element in a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33229A2 (en) * 1991-08-21 1993-03-24 D2B Systems Co. Ltd. Method of identifying a signal path a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09129C2 (de) * 1988-03-18 1994-06-09 Broadcast Television Sys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von videotechnischen Geräten
US4989081A (en) * 1988-11-14 1991-01-29 Sony Corporation Home-bus-information system
EP0432316A1 (en) * 1989-12-14 1991-06-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ocal communication bus system comprising a set of interconnected devices, a control bus, and a set of signal interconnections, and a device and a switchbox for use in such system
JP3106495B2 (ja) * 1990-11-21 2000-11-06 ソニー株式会社 ホームバス制御装置
US5237305A (en) * 1990-11-30 1993-08-1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Home bus system
GB9106113D0 (en) * 1991-03-22 1991-05-08 D2B Systems Co Ltd Local communication bus system and apparatus for use in such a system
JPH04293959A (ja) * 1991-03-25 1992-10-19 Nippon Petro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940017376A (ko) * 1992-12-21 1994-07-26 오오가 노리오 송신 방법, 수신 방법, 통신 방법 및 쌍방향 버스 시스템
US5488357A (en) * 1993-01-06 1996-01-30 Sony Corporation Remote controlling method and system feature starting method and controlling method for audio/visual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33229A2 (en) * 1991-08-21 1993-03-24 D2B Systems Co. Ltd. Method of identifying a signal path a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490B1 (ko) * 2016-02-12 2017-09-19 엔쓰리엔 주식회사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녹화 이중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47058A (ja) 1996-02-16
US5760698A (en) 1998-06-02
EP0696109A3 (en) 1999-10-27
JP3520572B2 (ja) 2004-04-19
EP0696109A2 (en) 1996-02-07
KR960008805A (ko) 1996-03-22
CN1087544C (zh) 2002-07-10
CN1119807A (zh) 1996-04-03
CA2154949A1 (en) 1996-02-03
CA2154949C (en) 200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1405B1 (ko) 입력기기선택방법
JP3173847B2 (ja) ローカル通信バス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に用いる装置
US5621659A (en) Central control device and operation devices
JP3528480B2 (ja) Epg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3077467B2 (ja) 電子機器、伝送信号の受信方法、及び伝送信号の送信方法
US7688391B2 (en) Controller for remotely controlling two or more external devices
JP3307085B2 (ja) 通信方法及び電子機器
US5598278A (en) System configuration method for audio-video apparatus with digital bus interface
KR20040047924A (ko) 아날로그와 디지털 입력 신호간의 자동 전환을 위한 방법및 장치
JPH05258463A (ja) ディジタル信号の記録再生装置
US4422093A (en) Television burst service
JP3435779B2 (ja) 信号送受信システム
JP3263419B2 (ja) ビデオ信号処理システム及びビデオ信号処理装置
US6453364B1 (e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selectively output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system thereof
US20100169524A1 (e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recorded medium on which the method is recorded
JP3934674B2 (ja) ローカ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の使用のためのステーション
EP1608169A1 (en) Multi function apparatus having scart connec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934675B2 (ja) ローカ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の使用のためのステーション
JP3271110B2 (ja) データ通信方法及び電子機器
US6647447B1 (en) Allocating isochronous channel numbers to devices on an IEEE-1394 bus
JP3583811B2 (ja) 入力機器選択方法及び電子機器
US20010046231A1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JPH09326814A (ja)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電子機器
JPH10173689A (ja) 情報信号の表示方法及び電子機器
JP3567920B2 (ja) データ通信方法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