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313B1 - 전자부품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313B1
KR100369313B1 KR10-1999-0055482A KR19990055482A KR100369313B1 KR 100369313 B1 KR100369313 B1 KR 100369313B1 KR 19990055482 A KR19990055482 A KR 19990055482A KR 100369313 B1 KR100369313 B1 KR 100369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feeder
electronic component
transfer head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7969A (ko
Inventor
히데세와타루
야마모토유스케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47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 Y10T29/4913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with component orie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24On flat or curved insulated base, e.g., printed circuit, etc.
    • Y10T29/491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 Y10T29/49133Assembling to base an electrical component, e.g., capacitor, etc. with component orienting
    • Y10T29/49137Different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10T29/53178Chip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91Means to apply vacuum directly to position or hold work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피더(18)를 장착하는 피더베이스(17)가 복수개 설치되고, 피더베이스(17)를 각각 개별적으로 전자부품의 보급위치까지 인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21) 및 실린더(20)를 구비한 전자부품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에서는 부품부족이 발생했을 때, 부품부족의 테이프피더(18)가 장착된 피더베이스(17)만을 전자부품 보급위치까지 인출하고, 다른 피더베이스(17)의 테이프피더(18)에 의해 설치작업을 계속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정지 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부품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Electronic parts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전자부품을 기판에 설치하는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칩 등의 전자부품을 기판에 설치하는 설치장치에는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부품피더(parts feeder), 예를 들면 테이프피더(tape feeder)가 다수개 설치된 공급부가 설치되어 있다. 각 부품피더에는 소정량의 잔자부품이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중에 전자부품의 부품부족이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부품피더에 전자부품의 보급이 행해진다. 종래 이 보급작업을 행할 때에는 먼저 설치장치의 설치동작을 정지하고, 해당 부품을 수납하는 부품피더에 전자부품을 보급한 후에 설치장치를 재기동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한 개의 기판에 설치되는 전자부품 수의 증대 및 설치속도의 상승에 따라 설치장치의 가동중에 부품부족이 발생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보급작업을 위해 설치장치를 정지시키는 회수가 증가해서 장치가동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결과가 되어서, 이 정지회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부품부족 발생에 따른 설치장치의 정지회수를 감소시켜서,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부품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부품 설치장치는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부의 전자부품을 픽업(pickup)하여 기판으로 이송하는 이송헤드를 구비하고, 공급부가 부품피더를 착탈 자유롭게 장착하는 복수개의 피더베이스(feeder base)와, 이들 피더베이스를 각각 개별적으로 전자부품의 보급장치까지 인출하는 인출수단을 가진다.
또, 본 발명의 전자부품 설치방법은 복수개의 피더베이스의 각각에 부품피더를 장착하는 스텝과, 이송헤드를 이용하여 부품피더에 수납되어 있는 전자부품을 기판으로 이송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부품피더 중의 어느것에 전자부품을 보급할 때에 보급이 필요한 부품피더가 장착된 피더베이스만을 전자부품의 보급장치까지 인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부족이 발생한 부품피더를 장착하는 피더베이스만을 인출할 수 있고, 나머지 피더베이스에 장착된 부품피더를 이용하여 설치작업을 계속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부족 발생에 따른 설치장치의 정지회수가 현저하게 감소한다.
그리고 부품피더로서 테이프피더를 이용한 경우에는 피더베이스를 전자부품의 보급위치까지 인출한 상태일 때에, 절단된 공테이프의 선단이 공테이프를 안내하는 배출 가이드부 내에 머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급할 때 마다 공테이프의 선단을 배출 가이드부에 삽입하는 수고를 없앨 수 있다.
또, 동일한 피더베이스에는 테이프 재질이 동일한 복수개의 테이프피더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피더베이스마다 설치된 회수상자에 각각 동일 종류의 공테이프가 회수되어, 공테이프를 종류별로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전자부품 설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이 설치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3은 이 설치장치에서의 공테이프 절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4는 이 공테이프 절단장치의 공기 회로도이다.
도5(a), 도5(b), 도5(c)는 이 공테이프 절단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6(a), 도6(b)는 이 설치장치에서의 공테이프 배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반송로 18 : 테이프피더
12 : 기판 19 : 공테이프
13 : 이송헤드 20 : 실린더
14 : 노즐 21 : 가이드레일
15 : 인식부 22 : 배출덕트
16 : 공급부 23 : 절단장치
17 : 피더베이스 24 : 가이드 부재
먼저, 본 발명의 설치장치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로(11) 상에 기판(12)이 얹혀 있다. 반송로(11)의 옆쪽에는 전자부품의 공급부(16)가 설치되어 있고, 공급부(16)에는 복수의 테이프피더(18)가 병설되어 있다. 테이프피더(18)는 전자부품을 유지한 테이프를 피치 단위로 전달함으로써, 전자부품을 이송헤드(13)의 픽업위치까지 공급한다. 이송헤드(13)는 구동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단부에 장착된 노즐(14)에 의해 전자부품을 픽업하여 기판(12)으로 이송한다. 공급부(16)와 반송로(11)의 사이에는 인식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인식부(15)는 이송헤드(13)에 유지된 전자부품을 인식한다.
공급부(16)는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피더베이스(17)를 구비하고 있다.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더베이스(17)는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실린더(20)를 구동함에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피더베이스(17)에는 복수개의 테이프피더(18)가 장착되어 있다. 만약 어떤 테이프피더(18)에 전자부품의 부품부족이 발생한 경우에는 피더베이스(17)를 슬라이드시켜 테이프피더(18)를 전자부품의 보급위치까지 인출한다. 이 때, 복수개의 피더베이스(17)는 각각 개별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레일(21) 및 실린더(20)는 피더베이스(17)의 인출수단이 된다.
테이프피더(18)의 선단부의 앞쪽(도1에서 반송로(11)측)에는 공테이프(전자부품이 픽업된 후의 테이프)를 안내하는 배출 가이드부로서의 공테이프의 배출덕트(22)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덕트(22)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에 큰 개구(開口)를 가지고 있으며, 테이프피더(18)의 선단부로부터 배출되는 공테이프(19)를 아래쪽으로 가이드한다(도6(a)도 참조).
배출덕트(22)의 하부의 출구측에는 공테이프(19)의 절단수단인 공테이프 절단장치(23)가 설치되어 있다. 공테이프 절단장치(23)는 배출덕트(22)에 의해 아래쪽으로 안내된 공테이프(19)를 절단한다. 이 절단위치는 도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프피더(18)에 전자부품을 보급하기 위해 피더베이스(17)를 인출한 상태에서도 공테이프(19)가 배출덕트(22)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지 않고, 공테이프 선단의 절단단부(19a)가 배출덕트(22) 내에 머무르게 되는 위치에 설정된다. 이와 같은 위치설정을 함으로써, 피더베이스(17)를 인출하여 전자부품의 보급을 행할 때마다 다른 테이프피더(18)의 공테이프 선단의 절단단부(19a)를 배출덕트(22) 내에 삽입할 필요가 없다.
공테이프 절단장치(23)의 아래쪽에는 가이드 부재(24)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재(24)는 절단된 공테이프(19)를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안내하여, 공급부(6)의 아래쪽에 설치된 공테이프의 회수상자(25) 내에 낙하시킨다. 회수상자(25)는 공테이프(19)를 회수하는 회수수단이 된다.
다음에 도3을 참조하여 공테이프 절단장치(23)에 대해 설명한다. 베이스부재(27) 상에는 플레이트형상의 유지부재(28)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유지부재(28)에는 공테이프 절단용 고정칼(30)이 고착되어 있다. 고정칼(30)의 칼날길이의 칫수(B)는 피더베이스(17)의 폭, 즉 테이프피더(18)의 병설폭에 대응한 것이 된다.
고정칼(30)과 대향하여 가동칼(31)이 설치되어 있다. 공테이프 절단시에는 고정칼(30)은 절단대상인 공테이프(19)를 끼운 위치에 있다. 가동칼(31)은 플레이트(32)에 칼끝부재(31a)를 고착하여 구성되어 있고, 플레이트(32)의 양단부는 두 개의 축지점(軸支点)을 가지고 있다. 즉, 제1 축지점은 플레이트(32)의 우측에 설치된 핀(33)이고, 핀(33)은 플레이트(34)와 결합되어 있다. 플레이트(34)는 슬라이더(35a) 및 베이스부재(27) 상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5b)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플레이트(34)는 브래킷(29)에 고착된 실린더(36)의 로드(36a)와 결합되어 있고, 로드(36a)가 나왔다 들어갔다 함에 따라, 플레이트(34)에 공급된 핀(33)은 고정칼(30)에 대해 진퇴한다.
또, 플레이트(32)의 좌측 단부에는 로드엔드 부품(38)의 핀(38a)이 결합되어 있고, 로드엔드 부품(38)은 실린더(39)의 로드(39a)와 결합되어 있다. 실린더(39)는 브래킷(29)에서 뒤쪽으로 연장되는 지지부재(40)에 핀이 결합된 크레비스(crevice) 지점(支点)(41)에 의해 후단부가 지지되고 있다. 로드(39a)가 나왔다 들어갔다 함에 따라, 핀(38a)은 고정칼(30)에 대해 진퇴한다.
다음에 도4를 참조하면서 공테이프 절단장치(23)의 공기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실린더(36, 39)의 각 포트에는 스피드 콘트롤러로서의 가변조리개(45)을 통해서 공기배관이 접속되고, 각각의 실린더 출구측 포트 및 입구측 포트는 5포트의 전자기밸브(46)의 B포트 및 A포트와 각각 접속되고 있다. 전자기밸브(46)의 P포트는공기공급원(48)과 접속되고, R1포트 및 R2포트는 각각 소음기(47)를 통해서 대기로 개방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공기는 A포트로부터 실린더(36, 39)의 입구측 포트에 공급되어, 로드(36a, 39a)와 함께 몰입하고, 가동칼(31)은 후퇴위치에 있다. 전자기밸브(46)를 화살표 방향으로 절환함으로써, 공기는 B포트를 통해서 실린더(36, 39)의 출구측 포트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로드(36a, 39a)가 돌출동작을 행하고, 가동칼(31)은 고정칼(30)에 대해 진출한다. 이 진출동작에서 실린더(36, 39)에 각각 장착된 가변조리개(45)의 개도를 조정함으로써 로드(36a, 39a)의 돌출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칼(31)의 진출동작에서 우측단부와 좌측단부를 다른 속도로 진출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5(a), 도5(b), 도5(c)를 참조하면서 가동칼(31)을 진출시켜 공테이프(19)를 절단하는 절단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5(a)는 절단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실린더(36, 39)의 로드(36a, 39a)는 함께 몰입위치에 있으며, 가동칼(31)은 후퇴위치에 있어서 칼끝은 간격(C)을 두고 고정칼(30)과 거의 평행으로 대향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간격(C) 내에 다수의 공테이프(19)가 배출덕트(22)로 안내되어 하강하고 소정의 타이밍으로 절단이 행해진다.
절단동작은 전자기밸브(46)(도4 참조)를 절환함으로써 개시되지만, 이 때 도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36a)가 선행하여 돌출하고(화살표 a 참조), 이 동작보다 늦게 로드(39a)가 돌출한다(화살표 b 참조). 이 동작지연은 실린더(36, 39)의 가변조리개(45)의 개도를 조정하여 로드(36a)의 동작속도를 로드(39a)의 동작속도보다 크게 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전자기밸브 한 개로 상술한 동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절단동작(23)의 제어계를 간략화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에서 가동칼(31)의 우측 단부는 핀(33)을 통해서 플레이트(24)와 결합되고, 또 좌측 단부는 핀(38a)을 통해서 로드(39a)와 결합되고, 또한 실린더(39)는 크레비스 지점(41)을 통해서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로드(36a, 39a)가 다른 속도로 돌출함으로써, 가동칼(31)과 고정칼(30)을 포함하는 평면내에서의 가동칼(31)의 회전(화살표 c 참조) 및 크레비스 지점(41) 주위의 실린더(39)의 회전(화살표 d 참조)이 허용된다. 즉, 가동칼(31)은 고정칼(30)에 대한 진출동작과 핀(33) 주의의 회전을 행하고, 이 동작에서 고정칼(30)과 가동칼(31)의 사이에 끼워진 공테이프(19)를 절단한다.
이 때, 도5(b)에 도시하는 범위 A 근방의 공테이프(19)가 먼저 절단되고, 그 후 로드(39a)의 돌출에 따라 순서대로 공테이프(19)가 절단된다. 따라서 테이프 피더(18)가 다수 병설되고 절단대상인 공테이프(19)가 다수가 있어도 실제로 동시에 절단되는 공테이프(19)의 수는 적다. 따라서 절단하중을 발생하는 구동원인 실린더(36, 39)는 그 소수의 공테이프를 절단하는 만큼의 소요 능력을 구비하고 있으면 되고, 절단구성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다수의 공테이프를 절단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도 작은 절단하중으로 다수의 공테이프를 끝에서부터 순서대로 절단할 수 있고, 단일한 절단동작으로 다수의 공테이프를 효율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도5(c)는 로드(39a)가 돌출을 완료하고, 가동칼(31)의 칼끝이 고정칼(30)과겹쳐져서 공테이프(19)의 절단이 완료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후, 실린더(36, 39)의 로드(36a, 39a)를 몰입시킴으로써, 공테이프(19)의 절단동작을 종료한다. 이 공테이프 절단장치(23)에서 실린더(36, 39)의 사이즈나 로드(36a, 39a)의 동작속도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절단대상의 특성에 따라 효율적으로 절단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이 전자부품 설치장치의 동작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설치장치를 기동하여 기판(12)에 전자부품의 설치를 개시하기 전에 공급부(16)에 테이프피더(18)를 장착한다. 이 장착작업에서 테이프피더(18)의 피더베이스(17) 상에서의 배열은 전자부품의 종류와 함께 전자부품을 유지하는 테이프의 재질도 동시에 고려하여 결정된다. 즉, 통상 테이프는 재질에 따라 종이와 수지의 2종류가 있지만, 동일 종류의 테이프를 이용하는 테이프피더(18)는 동일한 피더베이스(17)에 장착되도록 배치가 결정된다.
공급부(16)에 테이프피더(18)의 장착이 완료되면 설치동작이 개시된다. 각 테이프피더(18)로부터 공급되는 전자부품은 이송헤드(13)에 의해 픽업되고, 인식부(15)에 의해 위치를 인식한 후, 기판(12)에 설치된다. 이 동작을 소정의 설치 프로그램에 따라 계속하면, 각 테이프피더(18)의 전자부품은 소비되고, 순서대로 부품부족이 생긴다.
부품부족이 생긴 경우에는 전자부품의 보급작업이 행해진다. 이 보급작업은 상기 전자부품을 수납하는 테이프피더(18)가 장착된 피더베이스(17)를 전자부품의 보급위치까지 인출한 상태에서 테이프를 감은 릴을 교환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때,복수개의 피더베이스(17) 중, 부품부족의 테이프피더(18)를 장착한 피더베이스(17)만을 인출하면 되고, 다른 피더베이스(17)는 그대로 그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 범위의 테이프피더(18)로부터 전자부품의 공급은 계속하여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부품보급작업을 행할 때에도 전자부품의 설치동작을 중단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장치의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설치작업중에는 각 테이프피더(18)로부터 전자부품이 픽업된 후의 공테이프(19)가 배출된다. 이 공테이프(19)는 배출덕트(22)로 안내되어 공테이프 절단장치(23)에 의해 절단되고, 가이드부재(24) 상을 미끄러져 떨어져 회수상자(25) 내에 낙하여 수납된다. 이 회수상자(25)는 각 피더베이스(17)마다 설치되어 있고, 각 피더베이스(17)에는 동일한 테이프 종류의 테이프피더(18)가 모여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회수상자(25)에는 동일 종류의 공테이프(19)만이 회수된다.
또, 공테이프(19)의 절단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품보급시에 피더베이스(17)를 인출한 상태에서도 선단부(19a)가 배출덕트(22) 내에 있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보급작업 완료 후에 공테이프 선단의 절단단부(19a)를 배출덕트(22) 내에 다시 넣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보급작업을 빨리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부품의 공급부에 부품피더를 장착하는 피더베이스를 복수개 설치하고, 부품부족이 발생한 부품피더에 전자부품을 보급할 때에는 해당 부품피더가 장착된 피더베이스만을 전자부품의 보급위치까지 인출하도록 함으로써, 보급작업중에도 다른 피더베이스에 장착된 부품피더에 의해 설치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정지 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부품 설치장치의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테이프 피더를 착달 자유롭게 장착하는 한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피더베이스와, 상기 복수개의 피더베이스를 각각 개별적으로 전자부품 보급위치까지 인출하는 인출수단을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피더베이스의 인출방향이 상기 복수개의 피더베이스의 배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인,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의 전자부품을 픽업하여 기판으로 이송하는 이송헤드와,
    상기 테이프 피더로부터 배출되는 공테이프를 안내하는 배출 가이드부와,
    상기 공테이프를 절단하며, 상기 피더베이스를 전자부품의 보급위치까지 인출한 상태일 때에 절단된 상기 공테이프의 선단이 상기 배출 가이드부 내에 머물도록, 상기 배출 가이드부의 아래쪽에 설치된 절단수단을 구비한 전자부품 설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피더베이스는 테이프 재질이 동일 종류인 복수개의 테이프 피더를 각각 장착하는 전자부품 설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 및 절단된 상기 공테이프를 회수하는 회수상자를 상기 피더베이스 각각의 아래쪽에 설치한 전자부품 설치장치.
  5. 이송헤드를 이용하여 전자부품을 기판상에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반송하는 반송경로를 따라 일렬로 배치되며 각각이 상기 반송경로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정지상태로 유지된 제1 피더베이스 및 제2 피더베이스상에, 각각이 일부의 상기 전자부품을 테이프에 저장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및 제2 테이프 피더를 각각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이송헤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테이프 피더의 적어도 하나 및/또는 제2 테이프 피더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기판으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이송헤드에 의해 픽업되어 버린, 상기 복수개의 제1 테이프 피더 각각의 상기 테이프의 비어있는 부분을 배출 가이드부를 갖는 배출 덕트로 안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제1 테이프 피더에 연결된 테이프 선단의 절단단부를 상기 배출 턱트내에 유지하며, 상기 제2 테이프 피더와 상기 제2 피더베이스를 제자리에서 유지하고, 상기 이송헤드를 수평하게 이동시키며, 상기 이송헤드를 이용해 상기 제2 테이프 피더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기판으로 전자부품의 이송을 계속하는 동안, 상기 제1 피더베이스를 상기 반송경로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전자부품의 보급위치까지 인출함으로써 전자부품을 소진한 제1 테이프 피더의 전자부품을 보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설치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수상자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이송헤드에 의해 픽업되어 버린, 상기 복수개의 제1 및 제2 테이프 피더 중 적어도 하나의 테이프 피더의 상기 테이프의 비어있는 부분의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회수상자에서 절단된 상기 테이프 부분을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설치방법.
  7. 이송헤드를 이용하여 전자부품을 기판상에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송헤드의 픽업위치에서 상기 기판을 반송하는 반송경로를 따라 일렬로 배치되며 각각이 상기 반송경로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정지상태로 유지된 제1 및 제2 피더베이스상에, 각각이 일부의 상기 전자부품을 테이프에 저장할 수 있는 제1 및 제2 테이프 피더를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픽업위치의 상기 전자부품을 픽업함으로써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제1 테이프 피더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기 기판으로 상기 이송헤드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이송헤드에 의해 픽업되어 버린, 상기 복수개의 제1 테이프 피더의 각각의 상기 테이프의 비어있는 부분을 배출 가이드부를 갖는 배출 덕트로 안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제1 테이프 피더에 연결된 테이프 선단의 절단단부를 상기 배출 덕트내에 유지하며, 상기 제2 테이프 피더와 상기 제2 피터베이스를 제자리에서 유지하고, 상기 이송헤드를 수평하게 이동시키며, 상기 이송헤드를 이용해 상기 제2 테이프 피더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기판으로 전자부품의 이송을 계속하는 동안, 상기 제1 피더베이스를 상기 반송경로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픽업위치를 벗어난 영역으로 인출함으로써 전자부품을 소진한 제1 테이프 피더의 상기 전자부품을 보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설치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수상자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부품이 상기 이송헤드에 의해 픽업되어 버린, 상기 복수개의 제1 및 제2 테이프 피더 중 적어도 하나의 테이프 피더의 상기 테이프의 비어있는 부분의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회수상자에서 절단된 상기 테이프 부분을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설치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1999-0055482A 1998-12-07 1999-12-07 전자부품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KR100369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634798A JP3978910B2 (ja) 1998-12-07 1998-12-07 電子部品の実装装置
JP98-346347 1998-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969A KR20000047969A (ko) 2000-07-25
KR100369313B1 true KR100369313B1 (ko) 2003-01-24

Family

ID=18382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482A KR100369313B1 (ko) 1998-12-07 1999-12-07 전자부품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39622B2 (ko)
JP (1) JP3978910B2 (ko)
KR (1) KR100369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1208B2 (ja) * 2000-09-27 2010-1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
US20020041481A1 (en) * 2000-09-28 2002-04-11 Yoshinori Kano Linear motor and electronic component feeding apparatus
KR100454337B1 (ko) * 2001-07-02 2004-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전화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라우팅 테이블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호 처리 방법
JP4116851B2 (ja) * 2002-09-19 2008-07-09 富士通株式会社 電子部品の処理方法及び電子部品用治具
KR101228315B1 (ko) * 2005-11-10 2013-01-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부품 실장기용 헤드 어셈블리
KR100842356B1 (ko) * 2007-04-26 2008-07-01 미래산업 주식회사 교체되는 피더 베이스를 구비한 표면 실장기
DE102008045582A1 (de) * 2007-09-06 2009-04-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shi Bandschneidevorrichtung und Bandzubringer-Wechsel-Schlitten
JP4862789B2 (ja) * 2007-09-06 2012-0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交換用台車
DE102009015143B4 (de) * 2009-03-26 2011-02-17 Siemens Electronics Assembly Systems Gmbh & Co. Kg Schneidvorrichtung und zugehöriges Verfahren zum Kürzen von Bauelementgurten
JP5370249B2 (ja) * 2010-04-16 2013-12-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
KR20130039692A (ko) * 2011-10-12 2013-04-22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자부품 실장장치, 전자부품 실장시스템 및 전자부품 실장방법
JP2013084862A (ja) * 2011-10-12 2013-05-09 Juki Corp 電子部品実装装置
US10178819B2 (en) * 2012-03-12 2019-01-08 Micronic Mydata AB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storage of electronic components
JP6049741B2 (ja) * 2012-09-25 2016-12-21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フィーダ型部品供給装置
DE102015108414B4 (de) 2015-05-28 2022-02-17 Asm Assembly Systems Gmbh & Co. Kg Schneidevorrichtung zum Kürzen eines Bauelementgurtes zum Zuführen von Bauelementen in einen Bestückautomaten, Zuführvorrichtung, Bestückautomat und Verfahren zum Kürzen eines Bauelementgurtes mittels einer Schneidevorrichtung
EP3554208B1 (en) * 2018-04-11 2021-05-26 Salcomp Oyj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up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CN111903204B (zh) * 2018-04-18 2022-01-1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部件装配系统以及带切屑回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82B2 (ja) 1985-04-17 1996-01-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子部品搭載方法及び装置
JP2898043B2 (ja) 1990-02-09 1999-05-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方法
JPH0715171A (ja) * 1993-06-28 1995-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装着装置
JP3552806B2 (ja) * 1995-09-13 2004-08-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実装方法
JP3560706B2 (ja) * 1995-11-06 2004-09-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
JP3579538B2 (ja) * 1996-05-22 2004-10-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部品供給方法
JP3339344B2 (ja) * 1997-01-17 2002-10-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装着装置
JP3255062B2 (ja) * 1997-01-17 2002-02-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装着装置
JP3596243B2 (ja) * 1997-08-07 2004-12-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方法
JP3969808B2 (ja) * 1997-10-29 2007-09-05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電気部品供給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電気部品装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78910B2 (ja) 2007-09-19
US20020124397A1 (en) 2002-09-12
KR20000047969A (ko) 2000-07-25
JP2000174493A (ja) 2000-06-23
US6539622B2 (en) 200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9313B1 (ko) 전자부품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US11240949B2 (en) Component mounting line
JP3236729B2 (ja) 実装機のテープ回収装置
EP3809810B1 (en) Exchange device
JP7436609B2 (ja) 部品実装ラインおよび部品供給方法
KR20000010974A (ko) 부품공급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부품공급방법
JP4581208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3726520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電子部品実装装置における空テープ切断方法
JP3736158B2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
US6116822A (en) Movable abutment for a component feeder
WO2021152690A1 (ja) 部品実装機およびフィーダ
CN116569664A (zh) 安装作业系统及带式供料器的更换方法
CN112369134B (zh) 元件供给装置
JP2009238821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7164922B2 (ja) キャリアテープ装填方法
CN113330828B (zh) 带式供料器
CN111434200B (zh) 元件安装机
EP3873186A1 (en) Electric component supply device, and electric component supply method
EP4307854A1 (en) Maintenance device
WO2023089772A1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装着機
JP4346733B2 (ja) 部品供給装置
JP4017264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US20210219478A1 (en) Determination device and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having same
WO2019026279A1 (ja) テープフィーダ
JPH11354985A (ja) 電子部品供給装置および電子部品供給装置における空テープの回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