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524B1 - 지폐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지폐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524B1
KR100352524B1 KR1020007006152A KR20007006152A KR100352524B1 KR 100352524 B1 KR100352524 B1 KR 100352524B1 KR 1020007006152 A KR1020007006152 A KR 1020007006152A KR 20007006152 A KR20007006152 A KR 20007006152A KR 100352524 B1 KR100352524 B1 KR 100352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pair
stacker
bill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2831A (ko
Inventor
이토유키오
고다마야스유키
야마기시노보루
하타마치다다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콘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콘락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콘락스
Publication of KR20010032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3/00Handling of coins or of valuable papers, characterised by a combination of mechanis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G07D1/00 - G07D1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4Members oscillated in arcuate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6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of one face only with moving tapes, band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0Members rota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article movement, e.g. star-wheels formed by S-shap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6Auxiliary devices for retaining articles in the pi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75Flattening, e.g. straightening out fol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3Articulated mechanisms
    • B65H2403/533Slotted link mechanism
    • B65H2403/5331Slotted link mechanism with sliding slotted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5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rota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face of material and perpendicular to transport direction, e.g. star wheel
    • B65H2404/658Means for introducing material on elements
    • B65H2404/6581Means for introducing material on element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5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rota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face of material and perpendicular to transport direction, e.g. star wheel
    • B65H2404/659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rota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face of material and perpendicular to transport direction, e.g. star wheel particular arrangement
    • B65H2404/6591Pair of opposite elements rotating around parallel axis, synchronously in opposit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70Other elements in edg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e.g. registering, orientating, guiding devices
    • B65H2404/72Stops, gauge pins, e.g. stationary
    • B65H2404/725Stops, gauge pins, e.g. stationary retrac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7/00Mea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220/00 – B65H2406/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65H2407/30Means for preventing damage of handled material, e.g. by controlling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지폐처리장치는 한 쌍의 회전드럼(22, 23) 사이에, 스태커슈트(51)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에 삽입된 지폐(31) 중 지폐반려 방지레버(32) 쪽에 위치하는 부분을 스태커(20) 쪽으로 누르는 스태커레버(53)를 구비하며, 이로 인해 구겨진 지폐를 대량으로 스태커 내에 수용하여도 지폐의 뭉쳐짐을 가급적 발생시키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지폐처리장치 {BANK-NOTE PROCESSING DEVICE}
일반적으로 지폐(쿠폰 등을 포함)를 취급하는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 본체 내에는 투입된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기 위해, 진권(眞券)으로 보이지 않는 지폐만을 적재수용 하도록 된 지폐처리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지폐처리장치는 크게 구분하면, 지폐투입구로 투입된 지폐를 장치본체 내로 안내하는 지폐반송수단, 반송된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지폐식별수단, 진권으로 보이지 않는 투입지폐를 순차적으로 평행이동시키는 지폐이동수단, 및 상기 지폐이동수단을 통해 평행이동된 지폐를 순차적으로 적재수용하는 적재함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3은 본원 출원인이 앞서 일본국특허출원 제98-141350호에 제안한 지폐처리장치(1)를 도시하는 요부파단개략측면도이다.
상기 지폐처리장치(1)는 사각형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장치본체(2)로 구성되고, 그 정면(2a)의 하방에는 지폐투입구(3)가 형성된 프론트마스크(front mask; 4)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지폐투입구(3)가 형성된 프론트마스크(4)는 도시되지 않은 자동판매기 등의 기기 정면을 구성하는 도어(door)에 형성된 프론트마스크 부착구멍으로 그 선단, 즉 지폐투입구(3)가 외부에 노출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마스크(4)에 형성된 지폐투입구(3)의 바로 뒤에는 해당 지폐투입구(3)로 지폐가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폐검출센서(5)가 설치되고, 상기 지폐검출센서(5) 바로 뒤의 프론트마스크(4) 내부 및 장치본체(2) 내부는 지폐투입구(3)와 연통되며, 그 다음에, 상방으로 솟아오르는 대략 L자 형상의 지폐반송로(6)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지폐반송로(6)의 상류측에는 해당 지폐반송로(6)를 개폐하는 셔터수단(shutter means; 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셔터수단은 도시되지 않은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피니언기어(pinion gear)와 맞물리는 래크(lack) 등의 셔터구동수단을 통해 화살표 A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셔터(7a)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지폐투입구(3)와 연통하는 지폐반송로(6)는 지폐투입 방향과 대체로 평행한 수평부(6a)의 단부, 및 대체로 수직 상방으로 솟아오르는 수직부(6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L자형 지폐반송로(6)에는 해당 지폐반송로(6)에 따라 투입지폐를 상류로 반송하는 지폐반송수단(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폐반송수단(8)은 지폐반송로(6)의 수평부(6a) 및 수직부(6b)를 따라 팽팽하게 설치된 이음매 없는(endless) 지폐반송벨트(9), 및 상기 지폐반송벨트(9)를 회전구동하는 모터(9') 등으로 이루어지는 벨트구동수단(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벨트구동수단(10)은 지폐반송벨트(9)를 팽팽하게 걸어 설치하는 풀리(11, 12), 및 상기 풀리(11, 12)의 외주면에 밀착 접촉하는 종동풀리(13, 14)로 구성되고, 상기 지폐반송벨트(9)의 일부에는 그 장력을 조정하는 공회전풀리(idle pulley; 15)가 밀착 접촉되어 있다.
한편, 지폐반송로(6)의 내부, 그 상류에 위치하는 수직부(6b)에는 삽입된 지폐의 진위를 판별하는 자기센서 및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는 광센서 등 각종 센서로 이루어지는 지폐식별수단(16)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지폐처리장치(1)에 의하면, 지폐삽입구(3) 내에 지폐를 투입하는 경우, 프론트마스크(4) 내에 설치된 지폐검출센서(5)에 의해 투입지폐의 유무가 검출되고, 그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정회전하는 지폐반송수단(8)의 지폐반송벨트(9)에 의해, 투입지폐는 지폐반송로(6)의 수평부(6a)를 따라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수평반송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다음에 지폐반송로(6)의 수직부(6b)를 통과할 때에 그곳에 설치된 지폐식별수단(16)에 의해 투입지폐의 진위(眞僞)가 판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지폐식별수단(16)에 의해 투입지폐가 위권(僞券)으로 판단되는 경우, 지폐반송벨트(9)는 역회전(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해당 투입지폐를 지폐투입구로 반환한다.
한편, 투입지폐가 지폐식별수단(16)에 의해 진권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지폐반송벨트(9)의 정회전이 지속되어 투입지폐는 지폐반송로(6)의 수직부(6b)를 따라 장치본체(2) 내의 상방으로 한층 더 반송된다.
한편, 상기 장치본체(2) 내에는 지폐반송수단(8)을 통해 반송된 지폐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고, 그 후 진권으로 판단된 지폐를 스태커(stacker; 20) 내로 평행이동시키는 지폐이동수단(2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폐이동수단(21)의 상세구조에 있어서는, 본원 출원인이 먼저 제안한 일본국특허출원 제93-276592호를 참조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그 구조를 간단히 설명한다.
도 14는 상술한 지폐이동수단(21)의 개략평면도로서, 특히 도 13의 AA방향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지폐이동수단(21)은 소정의 간격(취급하는 지폐의 폭보다 약간 넓은 정도의 간격)을 갖고 설치되고, 동일한 위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드럼(22, 23),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의 중간부에 형성된 결합오목부(22a, 23a)와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돌기(24a, 24b)를 가지며 상기 회전드럼(22, 23)이 일회전하면 축(25)을 중심으로 도면의 수직방향을 향해 소정의 회전각도로 회전하는 스태커슈트(stacker chute; 2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태커슈트(2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25)의 양쪽에는 상기 지폐반송수단(8; 도 13 참조)을 구성하는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9)가 감기는 한 쌍의 풀리(26)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25)의 보다 양쪽 단부에는 상기 지폐반송수단(8)을 구성하는 별도 한 쌍의 풀리(27)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구동풀리(27)에는 각각 또 다른 한 쌍의지폐반송벨트(28)가 감기며, 상기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28)는 상기 스태커슈트(24)의 선단부에 설치된 축(29)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한 쌍의 풀리(30)에 각각 감겨있다. 따라서, 지폐반송벨트(9)에 의해 축(25)이 회전하면, 이와 연동하여 지폐반송벨트(28)도 동시에 회전구동하게 된다.
이러한 지폐이동수단(21)에 의하면, 도 14의 BB개략단면도로 도시되는 도 15와 같이, 지폐반송수단(8)을 구성하는 지폐반송벨트(9, 2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 투입지폐(31)가 지폐반송로(6; 도 13 참조)를 통해 화살표 C방향으로 반송되면, 상기 투입지폐(31)는 지폐이동수단(21)의 회전드럼(22, 2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지폐안내 슬릿(slit; 22b, 23b) 내에 끼워지고, 또한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투입지폐(31)의 길이방향 전체가 회전드럼(22, 23)으로 형성된 상기 한 쌍의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에 끼워져서 그 곳에서 일시적으로 수용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술된 한 쌍의 지폐안내 슬릿(22b, 23b)의 시작단부(22b', 23b')의 폭은 반송되는 투입지폐(31)의 폭 방향 양쪽 단부가 용이하게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로 안내되도록 다른 부분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6에서의 참조부호(32)는 한 쌍의 회전드럼(22, 23) 사이의 대략 중간부에 설치된 지폐반려 방지레버이다.
상기 지폐반려 방지레버(32)는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폐이동수단(21)을 통해 스태커(20) 내에 일단 수용된 지폐(36)의 하단(36a)이 회전드럼(22, 23)의 지폐안내 슬릿(22b, 23b) 쪽으로 반려되어 이것을 막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지폐반려 방지레버(32)는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축(33)을 중심으로 소정의 회전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대체로 L자 형상의 레버(34) 및 상기 레버(34)를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편향(bias)시키는 복귀스프링(35)으로 구성되어, 도 15에 도시되는 초기위치에서는 대략 L자 형상의 레버(34) 선단이 지폐안내 슬릿(22b, 23b)의 시작단부(22b' 23b')를 막지 않는 위치에 놓여 정지되어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서, 참조부호(37)는 스태커(2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지폐(36)를 누르는 누름판(37)이며, 상기 누름판(37)은 코일스프링(38)의 편향력에 의해 항상 회전드럼(22, 23)의 외주면을 향해 편향되어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서, 참조부호(40)는 일단부가 스태커슈트(24)의 배면에 결합되고, 또한 타단부가 장치본체(2; 도 13 참조) 내의 일부분에 결합된 복귀스프링이며, 상기 복귀스프링(40)은 스태커슈트(24)를 축(25)를 중심으로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편향시킴으로써 도 14에 도시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24a, 24b)를 대응하는 각 회전드럼(22, 23)의 각 결합오목부(22a, 23a)에 밀착 결합시키고 있다.
다음에, 상술된 지폐이동수단(2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투입지폐(31)가 그 후단(31a)을 포함하여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의 각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에 수용된 후, 이것을 검지하는 도시되지 않은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도시되지 않은 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통해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이 도 16에 도시되는 초기위치에서 화살표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동일한 위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면, 회전드럼(22, 23)의 각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에 삽입된 투입지폐(31)는 각 지폐안내 슬릿(22b, 23b)의 회전이동과 연동하여 스태커(20) 쪽으로 평행이동한다.
또한, 회전드럼(22, 23)이 회전하는 것과 동시에 도 14의 결합오목부(22a, 23a) 역시 회전함으로써, 스태커슈트(24) 또한 상기 결합오목부(22a, 23a)와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돌기(24a, 24b)를 통해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축(2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에 수용된 투입지폐(31)의 배면 중앙부를 누르며, 해당 투입지폐(31)를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부로부터 스태커(20) 쪽에 평행으로 밀어내어 해당 스태커(20) 내에 수용되어 있는 투입지폐(36)에 포개어지도록 수용한다.
이 때, 스태커슈트(24)에 의해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부로부터 투입지폐(31)가 밀려나올 때, 해당 투입지폐(31)의 하단(31a)은 일단, 지폐반려 방지레버(32)를 구성하는 대체로 L자 형상의 레버(34) 선단과 맞닿고, 상기 레버(34)를 축(3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통과한다. 그 다음에, 투입지폐 하단(31a)과의 맞닿음이 해제된 레버(34)는 복귀스프링(35)의 편향력에 의해 초기위치(도 15 참조)로 복귀한다.
한편, 회전드럼(22, 23)은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투입지폐(31)가 스태커(20) 내로 평행이동 된 후에도 회전을 유지하고, 이에 의해 회전드럼(22, 23)의 결합오목부(22a, 23a) 및 스태커슈트(24)의 한 쌍의 결합돌기(24a, 24b; 도 14 참조)의 결합이 해제되면, 해당 스태커슈트(24)는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귀스프링(40)의 편향력에 의해 축(2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므로, 스태커슈트(24)가 도 18의 초기위치로 복귀하면, 회전드럼(22, 23) 또한 그 후에 회전을 정지하고, 다음 번 투입지폐를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로 삽입하는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므로, 상술한 지폐처리장치(1)에 의하면,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폐이동수단(21)에 의해 일단 스태커(20) 내에 수납된 투입지폐(31)가, 임의의 요인에 의해 다시 지폐이동수단(21) 쪽으로 반려되려고 하는 경우, 상기 투입지폐(31)의 하단(31a)이 반려방지레버(32)를 구성하는 대체로 L자 형상의 레버(34)와 맞닿아 상기 반려를 방지시킴으로써, 이에 의해, 회전드럼(22, 23)에 형성된 지폐안내 슬릿(22b, 23b)의 시작단부(22b' 23b')가 항상 개방되도록 된다.
따라서, 다음 번 투입지폐는 회전드럼(22, 23)의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이에 의해 앞서 수용된 지폐 및 다음 번에 수용되는 지폐가 충돌하지 않도록 하여 지폐의 뭉쳐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에 의하면, 반려방지레버(32)에 의해 일단 스태커(20) 내에 수납된 투입지폐(31)가 지폐이동수단(21) 쪽으로 반려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회전드럼(22, 23)에 형성된 각 지폐안내 슬릿(22b, 23b)의 시작단부(22b', 23b')를 항상 개방하여 다음 번 투입지폐가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지폐이동수단(21)에서의 지폐의 뭉쳐짐을 가급적 방지하도록 하고, 지폐처리장치(1)의 요부를 파단단면도로 도시하는 도 19와 같이, 대량의 지폐(36)가 스태커(20) 내에 수용된 경우, 특히 구겨진 지폐가 대량으로 스태커(20) 내에 수용된 경우는, 적재된 지폐(36) 사이에 공기가 들어감으로써 수용지폐의 폭 방향 중앙부가 매우 불룩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구겨진 지폐가 대량으로 스태커(20) 내에 수용되어 폭 방향 중앙부가 불룩해지면,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회전드럼(22, 23)이 회전함으로써 스태커슈트(24)가 투입지폐(31)의 중앙부 배면을 눌러 스태커(20) 쪽으로 평행이동 시키려고 해도 해당 투입지폐(31)의 하단(31a)이, 불룩해진 지폐(36)의 후단(36a)에 의해 눌려진 채 움직이지 않고, 이로 인해 투입지폐(31)의 하단(31a)이 지폐반려 방지레버(32)를 구성하는 대체로 L자 형상의 레버(34)를 넘어가지 않은 위치에 정지된 상태가 될 염려가 있다.
상기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투입지폐(31)의 하단(31a)이 지폐반려 방지레버(32)를 구성하는 대체로 L자 형상의 레버(34)를 넘어가지 않는 위치에 정지된 상태가 되면, 상기 투입지폐(31)의 하단(31a)은 도 2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회전드럼(22, 23)의 지폐안내 슬릿(22b, 23b)의 시작단부(22b' 23b')를 폐쇄한 상태로 되어, 이로 인해 다음 번에 반송되는 지폐가 지폐안내 슬릿(22b, 23b)의 시작단부(22b' 23b')에서 상기 시작단부를 폐쇄한 상기 지폐(31)의 하단(31a)과 충돌하여 상기 시작단부에 지폐의 뭉쳐짐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의 지폐반송수단(8)에 의하면,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태커슈트(2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25)의 양쪽 방향에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9)가 감기는 한 쌍의 풀리(26, 27)를 고정하고, 상기 한 상의 풀리(27)에는 별도의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28)를 감고, 상기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28)의 다른 쪽 단부를 스태커슈트(24)의 선단부에 설치된 축(29)의 양쪽 단부에 지지된 한 쌍의 풀리(30)에 감는 구조이며, 전체적으로 부품의 수가 매우 많은 구조로 복잡하여, 이로 인해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의 셔터수단(7)에 의하면,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모터의 구동축에 형성된 피니언을 셔터(7a)의 후단에 연이어 설치된 래크와 맞물려 상기 피니언을 모터를 통해 회전시킴으로써, 셔터(7a)를 화살표 A로 표시하는 도면의 수평방향으로 출몰시켜, 이로 인해 지폐반송로(6)를 개폐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셔터(7a)를 개폐시키는 구동장치에 피니언 및 래크를 사용함으로써, 지폐반송로(6)를 폐쇄하기 위해 도 13에 도시되는 셔터(7a)를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와 지폐반송로(6)를 개방하기 위해 셔터(7a)를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서는, 피니언의 회전방향이 반대로 되는 구조이다.
이로 인해, 피니언을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방향 역시 적절하게 변경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셔터(7a)의 개폐제어가 어려운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셔터(7a)에 의한 지폐반송로(6)의 폐쇄를 검지하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가 일시적으로 고장난 경우에는 셔터(7a)에 의한 지폐반송로(6)의 폐쇄를 검지할 수 없고, 이로 인해 피니언이 셔터폐쇄방향으로의 회전을 계속하여 유지시킴으로써 셔터(7a) 및 지폐반송로(6)를 구성하는 슈트 등이 맞닿아 셔터(7a)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셔터수단(7) 자체에 손상을 줄 염려가 있다.
본 출원의 발명은 상술한 각 사유에 근거한 것으로서,
제1 목적은 구겨진 지폐를 대량으로 스태커 내에 수용하여도 지폐의 뭉쳐짐이 가급적 발생하지 않는 지폐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2 목적은 부품의 수가 적어지고 구조가 간단한 지폐반송수단을 갖는 지폐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3 목적은 셔터의 개폐제어가 용이하면서도 안정된 셔터의 개폐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지폐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환전기, 빠찡꼬구슬 대여기, 메탈코인 대여기 등에 사용되는 지폐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한 지폐처리장치의 요부파단개략측면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한 지폐이동수단의 개략정면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한 지폐이동수단의 개략측면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한 지폐이동수단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측면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한 지폐이동수단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측면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한 지폐이동수단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측면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한 지폐이동수단의 작용을 도시하는 요부개략단면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한 지폐처리장치의 요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한 지폐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회전드럼 구동용 구동장치를 도시하는 요부파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한 지폐처리장치에 적용되는 셔터수단을 도시하는 도 1의 요부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한 지폐처리장치에 적용되는 셔터수단의 개략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한 지폐처리장치에 적용되는 셔터수단의 개략평면도.
도 13은 종래의 지폐처리장치의 요부파단개략측면도.
도 14는 종래의 지폐이동수단을 도시하는 개략정면도.
도 15는 종래의 지폐이동수단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측면도.
도 16은 종래의 지폐이동수단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측면도.
도 17은 종래의 지폐이동수단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측면도.
도 18은 종래의 지폐이동수단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측면도.
도 19는 종래의 지폐이동수단의 작용을 도시하는 스태커의 개략단면도.
도 20은 종래의 지폐이동수단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측면도.
도 21은 종래의 지폐이동수단의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측면도.
상술한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의 제1 발명에서는, 지폐삽입구로부터 반송되는 지폐를 일시 삽입한 후 해당 지폐를 평행이동시켜 스태커 내에 수용시키는 지폐이동수단으로서, 동일한 위상이지만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드럼,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의 각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반송된 지폐를 일시 삽입하는 지폐안내 슬릿,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지폐안내 슬릿 내에 삽입된 지폐의 대략 중간부를 상기 스태커 쪽으로 밀어내는 스태커슈트를 갖는 지폐이동수단,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 사이에 있고 상기 지폐안내 슬릿의 시작단부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지폐안내 슬릿으로부터 상기 스태커 쪽으로 평행이동한 지폐의 하단과 결합하여 해당되는 스태커 쪽으로 평행이동한 지폐의 반려를 저지하는 지폐반려 방지레버를 적어도 구비하는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 사이에, 상기 지폐안내 슬릿 내에 삽입된 지폐 중 상기 지폐반려 방지레버 쪽에 위치하는 부분을 상기 스태커 쪽으로 밀어내는 스태커레버를 구비한다.
또한, 상술한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의 제2 발명에서는, 지폐삽입구로 투입된 지폐를 일시 삽입한 후, 상기 지폐를 평행이동시켜 스태커 내에 수용시키는 지폐이동수단으로서, 동일한 위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드럼,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의 각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투입된 지폐를 일시 삽입하는 지폐안내 슬릿,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지폐안내 슬릿 내에 삽입된 지폐의 대략 중간부를 상기 스태커 쪽으로 밀어내는 스태커슈트를 적어도 갖는 지폐이동수단, 및 상기 지폐투입구로 투입된 지폐를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의 지폐안내 슬릿을 따라 반송하는 지폐반송수단을 구비하는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반송수단을, 상기 스태커슈트의 자유단 쪽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축, 상기 축의 양쪽 단부에 지지되는 한 쌍의 풀리, 및 상기 한 쌍의 풀리에 각각 감기는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로서, 상기 지폐안내 슬릿의 시작단부로부터 상기 지폐안내 슬릿을 따라 팽팽하게 설치되어 회전구동될 때에 상기 투입지폐를 상기 지폐안내 슬릿의 시작단부로부터 상기 지폐안내 슬릿을 따라 반송하는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로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의 제3 발명에서는, 지폐반송로를 개폐하는 셔터수단을 구비하는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셔터수단을, 상기 지폐반송로를 향해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터, 및 모터의 일방향 회전구동력을 상기 셔터의 지폐반송로를 향한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기구로 구성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지폐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한 지폐처리장치(50)의 요부파단개략측면도이며, 도 13과 동일한 부분을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한다.
지폐처리장치(50)는 도 13의 종래의 예시와 비교하여 이하에 기술하는 4가지의 구조가 크게 상이하다.
(1) 지폐반송수단(8)을 통해 반송된 지폐를 일시 수용한 후, 진권으로 판단된 지폐를 스태커(20) 내로 평행이동시키는 지폐이동수단(21)의 구조 (본원의 제1 발명과 관련되는 부분).
(2) L자형의 지폐반송로(6)를 따라 투입지폐를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의 각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에 삽입시키고, 또한, 그 투입지폐를 각 지폐안내 슬릿(22b, 23b)의 상류로 반송하는 지폐반송수단(8)의 구조 (본원의 제2 발명과 관련되는 부분).
(3) 상기 지폐이동수단(21)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을 구동하는 구동장치의 구조.
(4) 지폐반송로(6)를 개폐하는 셔터수단(7)의 구조 (본원의 제3 발명과 관련되는 부분).
다음에 상술한 종래의 예시와 상이한 구조부분을 상세히 설명하며, 설명순서는 본원의 제1 발명과 관련되는 부분, 즉 항목 (1)에 기술된 지폐이동수단(21)의 구조부터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DD방향에서 본 본원의 제1 발명과 관련되는 지폐이동수단(21)의 평면도이며, 도 14와 동일한 부분을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한다.
본원의 제1 발명과 관련되는 지폐이동수단(21) 역시, 종래와 동일하게 소정의 간격(취급지폐의 폭보다 약간 넓은 간격)을 갖고 설치되는 한 쌍의 회전드럼(22, 23),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결합오목부(22a, 23a)와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돌기(51a, 51b)를 가지며 상기 회전드럼(22, 23)이 일회전하면, 축(25)을 중심으로 도면의 수직방향을 향해 소정의 회전각도로 회전하는 스태커슈트(51)로 구성된다.
또한, 스태커슈트(5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25)의 양 측방에는 도 14의 종래의 예시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9)가 감기는 한 쌍의 풀리(26), 또는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28) 및 상기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28)를 감는 한 쌍의 풀리(30)도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한 쌍의 풀리(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29) 또한 상기 스태커슈트(51)에는 일체 설치되지 않으며, 상기 스태커슈트(51) 자체는 매우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스태커슈트(51)의 하방에는 장치본체(2)의 일부분에 지지되는 축(52)을 중심으로, 상기 스태커슈트(51)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도면의 수직상방으로 향하여 소정의 회전각도로 회전하는 스태커레버(53)가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태커레버(5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축(52)의 양단에 한 쌍의 풀리(54)가 지지되고, 상기 각 풀리(54)에 지폐반송수단(8)의 주요 구성요소인 지폐반송벨트(9)의 일단부가 감긴다.
스태커레버(53) 및 스태커슈트(51)는 도 2의 EE개념단면도로서 도시되는 도 3과 같이, 스태커슈트(51)의 대략 중간부에 지지되는 축 형상의 캠(55) 및 상기 캠(55)과 대향하는 위치의 스태커레버(53)로 형성되며, 캠(55)을 삽입하는 캠그루브(cam groove; 53a)로 이루어지는 링 기구(56)를 통해 서로 결합된다.
또한, 스태커레버(53)의 하단(53b)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폐반려 방지레버(32)의 선단을 넘어가는 위치까지 연장되며, 또한 상기 지폐반려 방지레버(32)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해당 지폐반려 방지레버(32)와 맞닿지 않도록 절결부(53c)가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태커슈트(51)의 선단 쪽에는 고무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비교적 마찰계수가 큰 한 쌍의 롤러(60)가 축(6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롤러(60)의 작용에 관하여는 후에 상술한다.
다음에, 상술한 스태커레버(53)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는 상술한 스태커레버(53)의 작용을 설명하는 지폐이동수단(21)의 개념측면도로서, 도 3과 동일한 부분을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하였으며, 특히 스태커(20) 내에 구겨진 지폐(36)가 대량으로 수용됨으로써 그 수용된 지폐(36)의 폭방향 중앙부가 한 쌍의 회전드럼(22, 23) 쪽으로 크게 부풀어오른 상태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상태와 관련하여, 투입지폐(31)가 지폐반송수단(8)의 지폐반송벨트(9)를 통해 그 후단(31a)을 포함하여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의 각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에 수용되면, 이것을 검지하는 도시되지 않은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후술하는 모터 등의 구동수단을 통해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이 도 4에 도시되는 초기위치로부터 화살표로 표시된 대로 동일한 위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한다. 그러면 회전드럼(22, 23)의 각 지폐안내 슬릿(22b, 23b)에 삽입된 투입지폐(31)는 각 지폐안내 슬릿(22b, 23b)의 회전이동과 연동하여 스태커(20) 쪽으로 평행이동한다.
또한,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이 회전하는 것과 동시에, 그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의 결합오목부(22a, 23a; 도 2 참조) 또한 회전하므로, 결합오목부(22a, 23a)와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돌기(51a, 51b; 도 2 참조)를 통해 스태커슈트(51)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축(2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태커슈트(51)가 축(2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그 선단 쪽에 설치된 한 쌍의 롤러(60)가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에 수용된 투입지폐(31)의 중앙부 배면을 누르고, 해당 투입지폐(31)를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로부터 스태커(20) 쪽으로 평행하게 밀어낸다.
또한, 상술한 한 쌍의 롤러(60)는 투입지폐(31)의 중앙부 배면을 누를 때에 해당 지폐(31)가 그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한편, 스태커슈트(51)가 축(2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해당 스태커슈트(51)와 스태커레버(53)를 결합시키는 캠(55) 및 캠그루브(53a)로 이루어지는 링 기구(56)의 작용에 의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태커레버(53) 역시 축(5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삽입지폐(31)의 하단(31a)을 강하게 눌러서 해당 지폐(31)를 스태커(20) 쪽으로 평행하게 밀어낸다. 또한, 스태커레버(5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그 선단(53b)은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의 외주면을 넘어가는 위치까지 도달함으로써, 그 사이에 삽입지폐(31)의 하단(31a)은 지폐반려 방지레버(32)를 구성하는 대체로 L자 형상의 레버(34) 선단과 맞닿은 후, 확실하게 대략 L자 형상의 해당 레버(34)의 선단을 넘어가는 위치, 즉,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의 외주면을 넘어가는 위치까지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투입지폐의 하단(31a)과의 맞닿음이 해제된 지폐반려 방지레버(32)의 레버(34)는 복귀스프링(35)의 편향력에 의해 그 초기위치로 신속하게 복귀한다.
한편, 회전드럼(22, 23)이 일회전하여 도 6에 도시되는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스태커슈트(51) 역시 복귀스프링(40)의 편향력에 의해 축(2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스태커슈트(51)가 도 6의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링 기구(56)의 작용에 의해 스태커레버(53) 역시 축(5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초기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지폐이동수단(21) 전체가 다음 번 투입지폐를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에 삽입시키는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스태커레버(53)가 그 초기위치로 복귀할 때, 구겨져서 그 폭 방향 중앙부가 불룩한 상태의 다량의 지폐(36) 및 평행이동된 지폐(31)는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회전드럼(22, 23) 사이로 눌려 빠져나오나, 이들 지폐(36, 31)의 하단(36a, 31a)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스태커레버(53)의 선단(53b)에 의해 일단 지폐반려 방지레버(32)를 구성하는 대체로 L자 형상의 레버(34) 선단을 넘어가는 위치로 이동되어 있으므로, 여기서 한 쌍의 회전드럼(22, 23) 사이 쪽으로 밀려 빠져나와도, 도 6 및 지폐처리장치(1)의 요부단면도를 도시하는 도7과 같이, 이들 밀려 빠져나온 지폐(31, 36)는 지폐반려 방지레버(32)를 구성하는 대체로 L자 형상의 레버(34)의 배면과 확실히 결합하여 그 위치에 정지하도록 되어, 거기에서 회전드럼(22, 23)에 형성된 지폐안내 슬릿(22b, 23b)의 시작단부(22b', 23b') 쪽(도 6 참조)으로 침입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스태커(20) 내에 구겨진 지폐(36)가 대량으로 수용됨으로써 수용지폐의 폭 방향 중앙부가 불룩한 상태로 되어도 그 하단(31a, 36a)은 지폐반려 방지레버(32)를 구성하는 대체로 L자 형상의 레버(34)에 의해 지폐안내 슬릿(22b, 23b)의 시작단부(22b', 23b') 내로 이동하는 것이 확실히 저지됨으로써, 회전드럼(22, 23)에 형성된 지폐안내 슬릿(22b, 23b)의 시작단부(22b', 23b')는 항상 개방된 상태로 되고(도 6 참조), 이로 인해 다음 번 투입지폐가 회전드럼(22, 23)의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로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어, 그 결과, 앞서 수용된 지폐와 다음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로 수용되는 지폐와의 충돌이 회피되어 지폐의 뭉쳐짐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항목 (2)에 지적한 본원의 제2 발명과 관련하여, L자형의 지폐반송로(6)를 따라 투입지폐를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의 각 지폐안내 슬릿(22b, 23b)을 통해 그 상류로 반송하는 지폐반송수단(8)에 관하여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와 본원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50)의 구조가 상이한 것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14에 도시된 종래 예시의 지폐반송수단(8)은 스태커슈트(2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25)의 양쪽에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9)가 감기는 한 쌍의 풀리(26, 27)를 고정하고, 한 쌍의 풀리(27)에는 별도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28)를 감으며, 또한 한 쌍의 지폐발송벨트(28)의 타단을 스태커슈트(24)의 선단부에 설치한 축(29)의 양단에 지지시킨 한 쌍의 풀리(30)에 감는 구조로서, 전체적으로 부품의 개수가 매우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이로 인해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요인이 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되는 종래의 예시와 같이, 스태커슈트(24)를 지지하는 축(25)의 양쪽에 한 쌍의 풀리(26, 27)를 고정하고, 한 쌍의 풀리(27)에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28)를 감는 이유는,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28)에 의해 삽입지폐(31)를 지폐안내 슬릿(22b, 23b)의 상류로 반송시키는 동시에,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축(25)을 중심으로 스태커슈트(2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28)를 투입지폐(31)의 배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스태커(20) 쪽으로 투입지폐(31)를 평행이동시킬 때 그 투입지폐(31)가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이로 인해 투입지폐(31)를 정확히 스태커(20) 내에 적재수용 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종래 예시의 지폐반송수단(8)에 대하여, 본원의 제2 발명과 관련되는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50)에 적용한 지폐반송수단(8)은 도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반송벨트는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9)의 몸체이고, 그 일단부를 스태커슈트(51) 선단 쪽의 축(52)에 지지된 한 쌍의 풀리(54)에 감기만 하면 되므로, 이러한 구조는 도 14에 도시되는 종래 예시와 비교하여 매우 간단한 구조이다. 게다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풀리(54)는 스태커슈트(51) 선단 쪽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종래 예시와 동일하게 삽입지폐(31)를 각 지폐안내 슬릿(22b, 23b)의 상류쪽으로 반송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지폐처리장치(5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태커슈트(51) 선단 쪽에 한 쌍의 롤러(60)를 설치하고, 한 쌍의 롤러(60)에 의해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에 수용된 투입지폐(31)의 중앙부 배면을 눌러서 해당 투입지폐(31)가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로부터 스태커(20) 쪽으로 평행이동할 때에 해당 지폐(31)가 폭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하였으므로, 종래와 동일하게 투입지폐(31)를 정확히 스태커(20) 내에 적재수용 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예시와 비교하여 한층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의 개수가 적은 지폐반송수단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본원의 지폐처리장치(50)에서는 그 제조공정 및 제조비용이 대폭 삭감되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태커슈트(51) 선단 쪽에 한 쌍의 롤러(60)를 설치하였지만, 롤러(60)의 개수는 1개이어도 무방하며 그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항목 (3)에 지적된 지폐이동수단(21)의 주요 구성요소인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을 구동하는 구동장치의 구조와 관련하여,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와 본원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50)가 상이한 것에 관하여 상술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지폐처리장치(50)에서는 지폐이동수단(21)의 주요 구성요소인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을 회전구동하는 구동장치(65)가 장치본체(2)의 내부 상방에 설치된다.
한편, 본 지폐처리장치(5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폐반송수단(8)의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9)의 반송력에 의해 투입지폐(31)를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의 외주면에 형성된 각 지폐안내 슬릿(22b, 23b)을 따라 그 상류로 반송시키도록 되어 있지만, 특히 도 2의 HH개념확대단면도로 도시되는 도 8과 같이, 각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에 삽입된 투입지폐(31)를 해당되는 각 지폐안내 슬릿(22b, 23b)을 따라 그 상류로 반송시키기 위해서는 그 지폐안내 슬릿(22b, 23b)에 삽입된 투입지폐(31)의 양단(31b, 31c)을 해당 지폐안내 슬릿(22b, 23b)에 의해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9) 쪽으로 압박함으로써 투입지폐(31)와 지폐반송벨트(9)의 마찰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폐안내 슬릿(22b, 23b)을 도 8에 도시되는 위치, 즉 투입지폐(31)의 양단(31b, 31c)을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9) 쪽으로 압박하는 위치에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의 위치를 정해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당연하지만,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에 있어서도, 도 8에 도시되는 위치에 지폐안내 슬릿(22b, 23b)의 위치가 정해지도록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을구동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수단의 회전정지 위치 등을 제어하고 있다.
그렇지만,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을 구동하는 종래의 구동수단은 모터 및 모터의 구동력을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에 전달하는 기어 등의 구동전달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의 정지위치는 온도 등의 환경조건, 또는 기계적 부하의 불균일 등의 요인에 의해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
이로 인해,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의 정지위치에 일단 오차가 발생하면 지폐(31)를 지폐반송벨트(9)에 압박하는 힘이 불안정하게 되어, 이로 인해 투입지폐(31)와 지폐반송벨트(9)의 마찰력이 저감되어 지폐반송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특히, 도 8에 있어서, 한 쌍의 회전드럼(22, 23) 중 한 쪽의 회전드럼(22)이 도 8의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하고, 또한 다른 쪽의 회전드럼(23)이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움직이는 경우는, 지폐안내 슬릿(22b, 23b)에 의한 지폐의 양단부(31b, 31c)로의 압박이 가해지지 않고, 이로 인해 지폐(31)가 지폐반송벨트(9)로부터 밀려올라가고, 지폐반송벨트(9)에 의한 지폐(31)로의 반송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지폐의 반송실패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50)에서는 상술한 지폐의 반송실패를 가급적 저감시키기 위해,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을 구동하는 구동수단(65; 도 1 참조)에 브레이크수단을 부착하여 일단 소정 위치에 정지된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이 각각 일방향(지폐안내 슬릿(22b, 23b)에 의한 지폐(21)의 양단부(31b, 31c)로의 압박이 가해지지 않는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50)에 사용되는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을 구동하는 구동수단(65)의 개념확대평면도이다.
구동수단(65)은 모터(66)의 구동축에 고정된 피니언(67)의 회전을 감속시켜, 그 구동력을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에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감속장치(68)로 구성된다.
기어감속장치(68) 중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에 직결하고,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을 직접 회전구동하는 최종단계의 각 기어(69, 70)에는 모터(66)에 의한 각 기어(69, 70)의 회전구동이 정지되었을 때, 그 위치에서 각 회전드럼(22, 23)이 일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브레이크수단(71)이 각각 설치된다.
브레이크수단(71)은 각 최종단계의 기어(69, 70)의 상부면에 각각 고정되어, 해당 기어(69, 70)와 함께 회전하고, 그 원주면에 커다란 단차(72a)를 갖는 회전캠(72), 및 회전캠(72)의 외주면과 밀착하는 스토퍼(stopper; 73a)를 갖는 스프링(73)으로 구성된다. 또한, 스프링(73a)은 합성수지 등으로 단면이 대체로 Y자 형상인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일단부(73b)는 장치본체(2)의 일부분에 형성된 돌기(2c)에 삽입되고, 타단부(73b)는 장치본체(2)의 외주면에 돌출된 핀(2c)과 맞물려 그 위치가 정해져서 지지된다.
이러한 브레이크수단(71)에 의하면, 각 기어(69, 70)의 회전운동이 정지되었을 때, 각 회전캠(72)의 단차(72a) 및 각 스프링(73)의 스토퍼(73a)가 각각 맞물림으로써, 한 쌍의 회전드럼(22, 23) 중 한 쪽의 회전드럼(22)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저지되고, 다른 쪽의 회전드럼(23)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저지되게 된다.
이로 인해,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회전드럼(22, 23)은 각 지폐안내 슬릿(22b, 23b) 내에 삽입된 투입지폐(31)의 양단(31a, 31b)을 해당 지폐안내 슬릿(22b, 23b)에 의해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9) 쪽으로 압박하는 위치에 확실히 정지함으로써, 투입지폐(31)와 지폐반송벨트(9)의 밀착을 확보하고, 지폐반송벨트(9)로부터 마찰력을 얻는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삽입지폐(31)는 지폐안내 슬릿(22b, 23b)에 의해 지폐반송수단(8)의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9)로 압박됨으로써, 적당한 마찰력을 얻어 지폐안내 슬릿(22b, 23b)의 상류로 안정적으로 반송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항목 (4)에서 지적된 본원의 제3 발명과 관련하여, 지폐반송로(6)를 개폐하는 셔터수단(7)의 구성에 관하여,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와 본원 실시예의 지폐처리장치(50)의 구성이 상이한 것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13에 도시되는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의 셔터수단(7)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모터의 구동축에 형성된 피니언을 셔터(7a)의 후단에 연결된 래크와 결합시키고, 상기 피니언을 모터를 통해 회전구동 시킴으로써, 셔터(7a)를 화살표 A로 표시하는 도면의 수평방향으로 출몰시키고, 이로 인해 지폐반송로(6)를 개폐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지폐처리장치(1)에서는 셔터(7a)를 개폐시키는 구동장치로 피니언과 래크를 사용하므로, 지폐반송로(6)를 폐쇄하기 위해 도 13에 도시되는 셔터(7a)를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및 지폐반송로(6)를 개방하기 위해 셔터(7a)를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피니언의 회전방향이 반대로 되는 구조이다.
이로 인해, 피니언을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방향 또한 적당히 변경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셔터(7a)의 개폐제어가 어려운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셔터(7a)에 의한 지폐반송로(6)의 개폐를 검지하는 것이 일시적으로 불가능하여 셔터(7a)와 지폐반송로(6)를 구성하는 슈트 등이 맞닿아, 셔터(7a)의 잠김을 초래함으로써 셔터수단(7) 자체에 손상을 줄 염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원의 지폐처리장치(50)에서는, 도 1의 요부파단확대도로 도시되는 도 10과 같이, 셔터수단(7)을 구성하는 셔터(7a)는, 그 후단에 설치한 모터(80) 및 모터(80)의 일방향 회전구동력을 셔터(7a)의 도면 좌우방향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기구(81)로 구성된다.
크랭크기구(81)는 도 10의 평면도로 도시되는 도 11과 같이, 모터(80)의 구동축(82) 선단에 고정된 웜기어(83), 상기 웜기어(83)의 양측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웜기어(83)와 맞물리는 한 쌍의 웜휠(84, 85), 및 상기 한 쌍의 웜휠(84, 85)의 각 상부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가이드핀(84a, 85a)으로 구성된다.
또한, 각 가이드핀(84a, 85a)은 슬라이더 피스(slider piece; 86)에 형성된 대응하는 각 가이드구멍(86a, 86b) 내에 삽입된다. 또한, 슬라이더 피스(86)는 셔터(7a)의 후단에 연이어 설치되고, 가이드구멍(86a, 86b)은 슬라이더 피스(86)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대칭인 위치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본원의 제3 발명과 관련되는 셔터수단(7)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터(80)의 구동축(82)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웜기어(83)를 통해 상기 웜기어(83)와 맞물리는 한 쌍의 웜휠(84, 85)이 화살표로 표시되는 것처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한 쌍의 웜휠(84, 85) 상부면에 심어 설치된 각 가이드핀(84a, 85a) 역시 한 쌍의 웜휠(84, 85)의 회전에 종동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하는 각 가이드핀(84a, 85a)과 맞물리는 각 가이드구멍(86a, 86b)에 의해, 셔터(7a)는 슬라이드 피스(86)를 통해 도 11의 초기위치, 즉 지폐반송로(6)를 폐쇄하는 도면의 최우측단 위치로부터 도 12에 도시되는 도면의 최좌측단 위치, 즉 지폐반송로(6)를 확장하는 위치를 경유하여 다시 도 11의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좌우왕복운동을 실행한다.
그러므로, 상술한 셔터수단(7)에 따르면, 도 11에 도시되는 모터(80)의 구동축(8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셔터(7a)는 소정의 거리로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여 지폐반송로(6)를 개폐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지폐반송로(6)를 개폐할 때에 모터의 회전방향을 변화시키는 제어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지폐반송로(6)의 개폐제어가 간단해질 수밖에 없고, 셔터(7a)에 의한 지폐반송로(6)의 개폐를 검지하는 센서가 일시적으로 고장난 경우에 모터(80)가 계속하여 작동하여도 셔터(7a)는 단지 소정의 거리로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셔터(7a) 및 지폐반송로(6)를 구성하는 슈트 등이 맞닿아, 이로 인해 셔터(7a)의 잠김을 초래하여 셔터수단(7) 자체를 손상시키는 염려를 가급적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의 제1 발명에서는, 한 쌍의 회전드럼 사이에 스태커슈트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지폐안내 슬릿 내에 삽입된 지폐 중 지폐반려 방지레버 쪽에 위치하는 부분을 상기 스태커 쪽으로 밀어내는 스태커레버를 구비함으로써, 지폐안내 슬릿 내에 삽입된 지폐 중 지폐반려 방지레버 쪽에 위치하는 부분을 확실히 스태커 내로 평행이동시켜, 이로 인해 상기 지폐 중 지폐반려 방지레버 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지폐안내 슬릿 쪽으로 반려되지 않도록 지폐반려 방지레버에 확실히 맞물리게 함으로써, 구겨진 지폐를 대량으로 스태커 내에 수용하여도 상기 지폐의 지폐반려 방지레버 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지폐안내 슬릿 쪽으로 돌출되지 않고, 이 때문에 다음 번에 지폐안내 슬릿 내에 안내되는 지폐를 부드럽게 안내함으로써, 이미 스태커 내에 수용된 지폐와 다음에 수용되는 지폐의 충돌을 회피하여 지폐의 뭉쳐짐을 가급적 방지하고, 안정된 지폐수용처리를 실행하는 지폐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2 발명에서는,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지폐안내 슬릿이 형성되는 한 쌍의 회전드럼, 및 상기 지폐안내 슬릿 내에 삽입된 지폐를 스태커 쪽으로 밀어내는 스태커슈트를 갖는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슈트의 자유단 쪽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축에 한 쌍의 풀리를 지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풀리에 지폐안내 슬릿을 따라 팽팽하게 설치된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를 감아, 이로 인해 투입지폐를 지폐안내 슬릿을 따라 반송시키도록 함으로써, 지폐반송수단의 부품 개수가 적게 되고, 구조도 간단해져서, 한 쌍의 회전드럼의 지폐안내 슬릿을 따라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처리장치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3 발명에서는, 지폐반송로를 개폐하는 셔터수단을 슬라이드 가능한 셔터, 및 모터의 일방향 회전구동력을 셔터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기구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셔터를 개폐할 때 모터의 회전방향을 변환하는 제어가 전혀 필요치 않으므로, 이로 인해 지폐반송로의 개폐제어가 간단해질 수밖에 없으며, 셔터의 개폐를 검지하는 센서가 일시적으로 고장난 경우에 모터가 계속 작동하여도 셔터는 단지 소정의 거리로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행하는 것만으로, 셔터와 지폐반송로가 맞닿음으로써 셔터가 잠기게 되어 셔터수단 자체를 손상시키는 염려를 가급적 회피시켜, 이로 인해 안정된 셔터의 개폐동작을 하게되어 고장이 적은 지폐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지폐처리장치는 자동판매기, 환전기, 빠찡꼬구슬 대여기, 메탈코인 대여기 등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Claims (5)

  1. 지폐삽입구로부터 반송된 지폐를 일시 삽입한 후, 상기 지폐를 평행이동시켜 스태커(stacker) 내에 수용시키는 지폐이동수단으로서, 동일한 위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드럼,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의 각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반송된 지폐를 일시 삽입하는 지폐안내 슬릿(slit),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지폐안내 슬릿 내에 삽입된 지폐의 대략 중간부를 상기 스태커 쪽으로 밀어내는 스태커슈트를 갖는 지폐이동수단, 및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 사이에서, 상기 지폐안내 슬릿의 시작단부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지폐안내 슬릿으로부터 상기 스태커 쪽으로 평행이동된 지폐의 하단과 맞물려 상기 스태커 쪽으로 평행이동된 지폐의 반려를 저지하는 지폐반려 방지레버를 적어도 구비하는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 사이에, 상기 지폐안내 슬릿 내에 삽입된 지폐 중 상기 지폐반려 방지레버 쪽에 위치하는 부분을 상기 스태커 쪽으로 밀어내는 스태커레버를 구비하는 지폐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레버는 링 기구를 통해 상기 스태커슈트와 연동하여 구동되는 지폐처리장치.
  3. 상기 지폐삽입구로 투입된 지폐를 일시 삽입한 후, 상기 지폐를 평행이동시켜 스태커 내에 수용시키는 지폐이동수단으로서, 동일한 위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드럼,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의 각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반송된 지폐를 일시 삽입하는 지폐안내 슬릿,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지폐안내 슬릿 내에 삽입된 지폐의 대략 중간부를 상기 스태커 쪽으로 밀어내는 스태커슈트를 적어도 갖는 지폐이동수단, 및 상기 지폐삽입구로 투입된 지폐를 상기 한 쌍의 회전드럼의 지폐안내 슬릿을 따라 반송하는 지폐반송수단을 구비하는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반송수단은
    상기 스태커슈트의 자유단 쪽에 인접하여 설치된 축,
    상기 축의 양단에 지지되는 한 쌍의 풀리, 및
    상기 한 쌍의 풀리에 각각 감기는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로서, 상기 지폐안내 슬릿의 시작단부로부터 상기 지폐안내 슬릿을 따라 팽팽하게 설치되고, 회전구동 되었을 때 상기 투입지폐를 상기 지폐안내 슬릿의 시작단부로부터 상기 지폐안내 슬릿을 따라 반송하는 한 쌍의 지폐반송벨트
    로 이루어지는 지폐처리장치.
  4. 지폐반송로를 개폐하는 셔터수단을 구비하는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셔터수단은
    상기 지폐반송로를 향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터, 및
    모터의 일방향 회전구동력을 상기 셔터의 상기 지폐반송로를 향한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기구
    로 이루어지는 지폐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기구는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의 양측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웜기어와 맞물리는 한 쌍의 웜휠(worm wheel),
    상기 한 쌍의 웜휠의 각 상부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가이드핀, 및
    상기 셔터의 후단에 연이어 설치되며,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가이드구멍이 형성된 슬라이더 피스(slider piece)
    로 이루어지는 지폐처리장치.
KR1020007006152A 1998-10-06 1999-10-04 지폐처리장치 KR1003525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451798A JP3779076B2 (ja) 1998-10-06 1998-10-06 紙幣処理装置
JP98-284517 1998-10-06
PCT/JP1999/005443 WO2000021043A1 (fr) 1998-10-06 1999-10-04 Dispositif de traitement de billets de ban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831A KR20010032831A (ko) 2001-04-25
KR100352524B1 true KR100352524B1 (ko) 2002-09-12

Family

ID=17679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152A KR100352524B1 (ko) 1998-10-06 1999-10-04 지폐처리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3) US6394444B1 (ko)
EP (3) EP1604929B1 (ko)
JP (1) JP3779076B2 (ko)
KR (1) KR100352524B1 (ko)
CN (2) CN1173304C (ko)
AU (1) AU746871B2 (ko)
CA (1) CA2312937C (ko)
DE (2) DE69935624T2 (ko)
MY (1) MY129245A (ko)
NZ (1) NZ505549A (ko)
SG (1) SG96634A1 (ko)
WO (1) WO20000210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323B1 (ko) 2005-12-30 2011-06-1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푸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26022D0 (en) * 2000-10-24 2000-12-13 Rue De Int Ltd Document store acceptor and recirculator
DE10064007A1 (de) * 2000-12-21 2002-07-04 Giesecke & Devrient Gmbh Geldannahmevorrichtung
JP2002230621A (ja) 2001-01-31 2002-08-16 Nippon Conlux Co Ltd 紙葉類処理装置及びその装置における紙葉類搬送路の開閉方法
US6607189B2 (en) * 2001-12-12 2003-08-19 Mars Incorporated Document recycle and payout device
EP1323655A1 (en) * 2001-12-28 2003-07-02 Mars Incorporated Sheet stacking apparatus comprising a pusher with extendible lateral portions
JP4223735B2 (ja) * 2002-05-15 2009-02-12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JP2006143384A (ja) * 2004-11-18 2006-06-08 Aruze Corp 紙幣取扱装置および紙幣収納ユニット
US20060113162A1 (en) * 2004-11-29 2006-06-01 Kenneth Ottesen Validator guide
JP2006199467A (ja) * 2005-01-21 2006-08-03 Gunze Ltd 被搬送シートの一時停止装置
JP4454023B2 (ja) * 2005-02-17 2010-04-21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幣処理装置
US7455290B2 (en) * 2005-02-28 2008-11-25 Sharp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n adjustable guide member
JP4143624B2 (ja) * 2005-04-27 2008-09-03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搬送不良解除機構およびシート積載装置
ATE507320T1 (de) * 2006-03-26 2011-05-15 Lotus Applied Technology Llc Atomlagenabscheidungssystem und verfahren zur beschichtung von flexiblen substraten
JP4849674B2 (ja) * 2006-07-13 2012-01-11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幣処理装置
JP5078066B2 (ja) * 2007-02-02 2012-11-21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幣処理装置
JP5269506B2 (ja) * 2007-10-24 2013-08-21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幣処理装置
GB0803671D0 (en) * 2008-02-28 2008-04-09 Intelligent Deposit Systems Lt Document handling
DE102010004581A1 (de) * 2010-01-14 2011-07-21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33106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Wertscheinen
JP5647798B2 (ja) * 2010-02-26 2015-01-0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取扱装置
JP6131583B2 (ja) 2012-12-05 2017-05-2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WO2014138928A1 (en) * 2013-03-15 2014-09-18 Crane Canada Co. Cashbox with latch arrangement
ITMI20130753A1 (it) * 2013-05-09 2014-11-10 Razzaboni Cima Spa Dispositivo per l'ottimizzazione del riempimento di sacchetti per il contenimento di banconote
CN103280023B (zh) * 2013-06-21 2015-05-20 易程(苏州)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纸币进钞机的门襟装置
JP6227397B2 (ja) * 2013-12-20 2017-11-08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CN103700182B (zh) 2013-12-24 2016-01-20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收纳装置
CN105719389A (zh) * 2016-01-27 2016-06-29 北京华信创银科技有限公司 存款机现金暂存处理系统
CN105800349B (zh) * 2016-04-29 2018-07-24 深圳大学 一种纸币整理机
CN106144791B (zh) * 2016-08-31 2018-10-16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票据存储装置
CN109689385A (zh) * 2016-09-12 2019-04-26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用于介质的杆式夹具
CN107424291B (zh) * 2017-06-08 2023-08-01 湘潭大学 一种纸币展开装置
DE102019129647A1 (de) * 2019-11-04 2021-05-06 Koenig & Bauer Ag Bogenbearbeitungsmaschine mit zumindest einem Zuführsystem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Zuführsystems einer Bogenbearbeitungs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0232U (ja) * 1983-11-22 1985-06-20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取込装置
JPS62159296A (ja) * 1986-01-07 1987-07-15 アイエム電子株式会社 紙幣識別・スタツク装置
US4858744A (en) * 1988-02-16 1989-08-22 Ardac, Inc. Currency validator
JPH03288762A (ja) * 1990-04-05 1991-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紙幣収納装置
US5254841A (en) * 1990-07-12 1993-10-19 Nippon Conlux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bills or the like from being pulled out
JP2958723B2 (ja) 1991-09-17 1999-10-06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処理装置
JPH06150106A (ja) * 1992-11-05 1994-05-31 Nippon Conlux Co Ltd 紙幣識別装置
JP2932338B2 (ja) * 1993-11-05 1999-08-09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KR0164259B1 (ko) * 1994-03-10 1999-03-20 오까다 마사하루 지폐처리장치
IT1277765B1 (it) * 1995-06-26 1997-11-12 Mec L A R Di Lonati Lorenzo & Dispositivo accatastatore ed incassatore di banconote con possibilita' di restituzione delle stesse
GB9526337D0 (en) * 1995-12-22 1996-02-21 At & T Global Inf Solution Shutter control mechanism
DE19612897A1 (de) * 1996-03-30 1997-10-02 Ruhlatec Industrieprodukte Vorrichtung zum wahlweisen Einschneiden, Abschneiden oder Perforieren
US5899452A (en) * 1996-07-23 1999-05-04 Coin Bill Validator, Inc. Stacker mechanism for stacking bank notes
JPH11339098A (ja) * 1998-05-22 1999-12-10 Nippon Conlux Co Ltd 紙幣処理装置
GB2338704B (en) * 1998-06-23 2002-12-31 Mars Inc Banknote stack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323B1 (ko) 2005-12-30 2011-06-1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푸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505549A (en) 2002-03-28
DE69935624D1 (de) 2007-05-03
EP1037176A4 (en) 2003-02-26
EP1604929B1 (en) 2007-03-21
US20020079641A1 (en) 2002-06-27
CA2312937C (en) 2002-12-10
EP1037176B1 (en) 2005-09-21
CN1173304C (zh) 2004-10-27
CA2312937A1 (en) 2000-04-13
KR20010032831A (ko) 2001-04-25
US20020070496A1 (en) 2002-06-13
DE69935624T2 (de) 2007-07-26
EP1604929A1 (en) 2005-12-14
US6543763B2 (en) 2003-04-08
WO2000021043A1 (fr) 2000-04-13
EP1604930A1 (en) 2005-12-14
EP1037176A1 (en) 2000-09-20
CN1594052A (zh) 2005-03-16
AU746871B2 (en) 2002-05-02
DE69927354T2 (de) 2006-07-13
CN1323916C (zh) 2007-07-04
SG96634A1 (en) 2003-06-16
AU6001799A (en) 2000-04-26
MY129245A (en) 2007-03-30
JP2000113276A (ja) 2000-04-21
JP3779076B2 (ja) 2006-05-24
US6394444B1 (en) 2002-05-28
CN1287649A (zh) 2001-03-14
DE69927354D1 (de)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2524B1 (ko) 지폐처리장치
US8245830B2 (en) Paper currency handling device
JP4582787B2 (ja) 紙幣処理装置
US7708273B2 (en)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JP5196518B2 (ja) 紙幣処理装置
JP3779077B2 (ja) 紙幣処理装置
KR101801497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JP3821989B2 (ja) 紙幣処理装置
CA2399474C (en) Bank-note processing device
JP2000113277A (ja) 紙幣処理装置
GB2402801A (en) Bank-note authentication apparatus accommodating notes of different widths
AU754239B2 (en) Bank-note processing device
JP5078065B2 (ja) 媒体処理装置
JP3302504B2 (ja) 紙幣処理装置
JP3336116B2 (ja) 紙幣処理装置
JP5078066B2 (ja) 紙幣処理装置
JP2006209717A (ja) 紙幣処理装置
JP2009042958A (ja) 紙葉類識別機の紙葉類引き抜き防止機構
JP3393622B2 (ja) 紙幣搬送識別装置
JPS61124473A (ja) 紙幣選別装置
JP2000113282A (ja) 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