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497B1 - 지엽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497B1
KR101801497B1 KR1020167011337A KR20167011337A KR101801497B1 KR 101801497 B1 KR101801497 B1 KR 101801497B1 KR 1020167011337 A KR1020167011337 A KR 1020167011337A KR 20167011337 A KR20167011337 A KR 20167011337A KR 101801497 B1 KR101801497 B1 KR 101801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banknote
path
conveying
conveying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4202A (ko
Inventor
이토유키오
이토히로시
타나카히데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니뽄 콘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니뽄 콘럭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니뽄 콘럭스
Publication of KR20160064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18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6Members reciprocated in rectilinear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2Stationary guides or smoo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6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 edge
    • G07D11/0027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7Alig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220/00Function indicators
    • B65H2220/02Function indicators indicating an entity which is controlled, adjusted or changed by a control process, i.e.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1Features of transport path
    • B65H2301/312Features of transport path for transport path involving at least two planes of transport forming an angle between each other
    • B65H2301/3122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4Forming a pile of articles on edge
    • B65H2301/42146Forming a pile of articles on edge by introducing articles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4Springs, e.g. helical or leaf springs
    • B65H2402/54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3Articulated mechanisms
    • B65H2403/533Slotted link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70Other elements in edg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e.g. registering, orientating, guiding devices
    • B65H2404/74Gui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2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Pile Receiv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지엽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이한 폭의 지엽류를 안정적으로 반송한다. 그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처리 장치는, 삽입된 지엽류의 폭을 검출하는 입구 센서(61R, 61L)와, 지엽류의 반송 통로에 설치되어 삽입된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반송로의 폭을 가변하는 가동벽(35R, 35L)과, 지엽류의 수납부를 따라 설치되고, 제1 분기 반송로(55A)와, 제1 분기 반송로(55A)보다 폭이 좁은 제2 분기 반송로(55B)를 형성하는 고정벽(50R, 50L)과, 입구 센서(61R, 61L)에서 검출된 지엽류의 폭에 따라서, 가동벽(35R, 35L)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가동벽(35R, 35L)은, 제2 분기 반송로(55B)에 대향해서 위치함과 함께, 제2 분기 반송로(55B)의 양단에는, 가동벽(35R, 35L)이 설치된 반송로로부터 폭이 넓은 지엽류가 반송되었을 때, 제1 분기 반송로(55A)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54R, 54L)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엽류 처리 장치{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 판매기, 동전 교환기, 게임기 등에 탑재되고, 지엽류(紙葉類)의 진위를 식별하고, 진짜라고 판단된 지엽류를 수납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폭이 상이한 2종류의 지엽류를 안정적으로 반송하고 또한, 1개의 수납부에 수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를 취급하는 자동 판매기 등의 기기 본체 내부에는, 투입된 지폐가 진짜 지폐인지 여부를 판별함과 함께, 진짜 지폐라고 판별된 지폐만을 수용하는 지폐 처리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지폐 처리 장치는, 지폐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지폐를, 지폐 반송 통로를 통하여 반송하고, 지폐 반송 통로 내에 설치된 각종 식별 센서에 의해 지폐의 진위를 판별한다. 또한, 진짜 지폐라고 판별된 지폐를, 지폐 반송 통로의 하류단이며 지폐 수납부에 대향하는 위치인 지폐 수납 위치까지 반송하고, 지폐 수납 기구에 의해 지폐 수납부에 수납한다.
지폐 수납 기구는, 지폐 수납부와 반송 통로를 통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지폐 수납 위치에 있는 지폐를 지폐 반송 통로로부터 지폐 수납부로 밀어넣는 지폐 가압판과, 지폐 가압판을 지폐 수납부로 이동시키는 왕복 기구를 구비한다.
그런데, 이러한 지폐 처리 장치에서는, 시장에 유통되는 폭이 상이한 지폐에 대응하기 위해 각종 시도가 행하여졌다.
특허 문헌 1에는, 지폐 폭 검출 센서에 의해, 삽입되는 지폐의 폭을 검출하고, 지폐의 폭 방향으로 설치된 가동벽을 이동시킴으로써, 지폐 위, 미리 정해진 장소의 특징을 검출함과 함께, 지폐의 자세를 규제하여 지폐 수납부에 수납하는 지폐 식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지폐 식별 장치에서는, 가동벽을 지폐 반송 통로 상의 반송 기구보다 상류의 위치로부터 지폐 수납 위치까지 설치함으로써, 운송 중인 지폐의 자세를 규제하여 안정된 반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지폐 수납 위치에 있어서의 지폐의 자세를 규제하여 수납함으로써 지폐 수납부에 확실하게 지폐를 수납 가능하게 하여, 안정된 지폐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복수의 지폐 폭에 대응하는 지폐 투입구를 복수 형성하고, 지폐 반송로의 폭 방향 중앙부를 공통되는 1개의 지폐 반송로에서 합류시킴과 함께, 폭 방향 양단부에 각 지폐 폭에 대응한 가이드 홈을 상하로 겹쳐서 형성한 지폐 처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 개시되는 지폐 처리 장치는, 가이드 홈을 지폐 반송 통로 상의 반송 기구보다 상류의 위치로부터 지폐 수납 위치까지 형성함으로써, 운송 중의 지폐의 자세를 규제하여 안정된 반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지폐 수납 위치에 있어서의 지폐의 자세를 규제하여 수납함으로써 지폐 수납부에 확실하게 지폐를 수납 가능하게 하여, 안정된 지폐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5-338990호 일본 특허 제4281085호 공보
특허 문헌 1의 지폐 식별 장치는, 가동벽을 배치하는 범위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가동벽 및 그 구동 기구는 지폐 식별 장치 내에 있어서 큰 공간을 필요로 하여, 지폐 식별 장치의 소형화에 지장을 주었다. 특히 지폐 수납 위치 근방에는, 지폐 수납 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 가동벽과 가동벽의 구동 기구를 배치하기 위한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 지폐 처리 장치의 소형화에 지장을 주었다. 또, 가동벽의 구동 기구도 복잡해져 저비용화에도 지장을 주었다.
특허 문헌 2의 지폐 처리 장치는, 복수의 지폐 폭에 대응하는 복수의 지폐 투입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구성상, 커짐과 함께, 구조가 복잡해져 저비용화의 장해가 되었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지폐 처리 장치에서는, 복수의 지폐 투입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지폐를 어느 지폐 투입구에 투입할지 헤매거나, 또는 잘못된 지폐 투입구에 투입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폭이 상이한 지엽류(지폐를 포함함)를 반송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지엽류의 반송로, 대략 전역에 있어서 안정된 지엽류의 반송과, 안정된 수납을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처리 장치는, 다음의 구성을 채용한다.
삽입된 지엽류의 폭을 검출하는 입구 센서와,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에 설치되어 삽입된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로의 폭을 가변하는 가동벽과,
지엽류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를 따라서 설치되고, 제1 분기 반송로와, 상기 제1 분기 반송로보다 폭이 좁은 제2 분기 반송로를 형성하는 고정벽과,
상기 입구 센서에서 검출된 지엽류의 폭에 따라, 상기 가동벽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벽은, 상기 고정벽의 상류이며 상기 제2 분기 반송로에 대향해서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2 분기 반송로의 양단에는, 상기 가동벽이 설치된 상기 반송로로부터 폭이 넓은 지엽류가 반송되었을 때, 상기 제1 분기 반송로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처리 장치는,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둘레면을 노출시킴과 함께, 지엽류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둘레면을 이동 가능한 회전 롤러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분기 반송로와 상기 제2 분기 반송로 사이에는 격벽을 갖고 있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처리 장치는,
가압면을 구비하는 가압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분기 반송로 또는 상기 제2 분기 반송로에 반송된 지엽류를, 상기 수납부에 수납시키는 지엽류 수납 기구를 갖고,
상기 가동벽이 설치된 상기 반송로로부터 상기 제1 분기 반송로 또는 상기 제2 분기 반송로에 지엽류가 반송될 때, 상기 가압면은, 상기 제1 분기 반송로와 상기 제2 분기 반송로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처리 장치는,
가압면을 구비하는 가압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분기 반송로 또는 상기 제2 분기 반송로에 반송된 지엽류를, 상기 수납부에 수납시키는 지엽류 수납 기구를 갖고,
상기 지엽류 수납 기구는, 상기 가동벽이 설치된 상기 반송로로부터 상기 제1 분기 반송로 또는 상기 제2 분기 반송로에 지엽류가 반송될 때, 상기 입구 센서에서 검출된 지엽류의 폭에 따라 상기 가압부의 위치를 변경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처리 장치는,
상기 가압면은, 상기 가동벽이 설치된 상기 반송로 측이, 상기 수납부와는 반대측을 향해서 경사져 있다.
본 발명의 지엽류 처리 장치에 의하면, 가동벽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로와, 고정벽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분기 반송로, 제2 분기 반송로를 사용함으로써, 지엽류의 반송로, 대략 전역에 있어서 지엽류의 폭에 따른 반송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안정된 지폐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특히 고정벽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분기 반송로, 제2 분기 반송로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용면, 유지 보수면에서 우수하게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정면도(앞면부 커버 분리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반송 유닛의 정면도,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지폐 반송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지폐 반송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반송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연동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폭이 넓을 때).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연동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폭이 좁을 때).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수납 상자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벽, 가동벽이 형성하는 지폐 반송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의 반송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폭이 좁을 때).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의 반송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폭이 넓을 때).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수납 상자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지폐 수납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수납 상자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벽(좌측)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지폐 반송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수납 상자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벽의 입구 부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의 반송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폭이 좁을 때).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의 반송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폭이 넓을 때).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벽의 입구 부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그러면, 지엽류(紙葉類) 처리 장치에 대해서, 진위 판정 대상을 지폐로 하는 지폐 처리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지엽류 처리 장치는, 이 지폐 처리 장치와 같이 식별 대상을 지폐로 할 뿐만 아니라, 금권, 쿠폰권, 유가 증권 등 각종 지엽류를, 그 식별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1)의 외관 사시도이다. 이 지폐 처리 장치는, 자동 판매기, 동전 교환기, 게임기 등, 각종 기기에 유닛으로서 내장되고, 지폐 삽입구(12a)로부터 삽입되는 지폐를 받아들여서 진위를 판정하고, 상품이나 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용될 금액의 인식을 행한다.
지폐 처리 장치(1)는, 종래의 지폐 처리 장치와 마찬가지로, 지폐 삽입구(12a)에 연결된 반송로와 반송로 내에 배치된 반송 벨트와 식별 센서에 의해서, 지폐 삽입구(12a)에 삽입된 지폐를 장치 내부로 안내함과 함께 지폐의 진위나 돈의 종류를 식별한다.
이 지폐 처리 장치(1)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앞면에 설치된 앞면부 커버(1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앞면부 커버(12)에는, 지폐 삽입을 위한 개구(지폐 삽입구(12a))와 반송로의 앞면측의 통로벽의 일부분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폐 처리 장치(1)에 대해 각종 설명을 행하기 위한 좌표를 좌측 하부에 정의해 둔다. 지폐 처리 장치(1)의 가로 방향을 X축, 세로 방향을 Y축, 깊이 방향을 Z축으로서 규정한다. 도 2에는, 앞면부 커버(12)를 분리했을 때의, 지폐 처리 장치(1)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면부 커버(12)를 분리한 하우징(11)의 창을 통해서는,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 유닛(20)의 일부를 볼 수 있다. 도 3은, 이 반송 유닛(20)의 정면도(A) 및 측면도(B)가 도시되어 있다. 반송 유닛(20)은, 지폐 삽입구(12a)로부터 삽입된 지폐의 폭 및 삽입을 검출하기 위한 입구 센서(61R, 61L), 반송로를 지폐폭에 맞추기 위한 가동벽(35R, 35L), 그리고, 지폐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벨트(24R, 24L)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의 (B)에는 지폐 삽입구(12a)로부터 삽입된 지폐의 지폐 반송로 C가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지폐 삽입구(12a)에 삽입된 지폐는, 입구 센서(61R, 61L)에 의해 지폐의 삽입 및 지폐의 폭이 검출된다. 검출된 지폐의 폭에 따라 가동벽(35R, 35L)이 동작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양 가동벽(35R, 35L) 사이의 거리는, 폭이 넓은 지폐에 적합한 상태로 되어 있고, 폭이 좁은 지폐가 검출됨으로써, 가동벽(35R, 35L)이 내측으로 이동하고, 양 가동벽(35R, 35L) 사이의 거리는, 폭이 좁은 지폐에 적합한 상태로 된다. 앞면부 커버(12)가 부착된 하우징(11) 내에 반송 유닛(20)이 장착됨으로써, 반송 유닛(20)과 앞면부 커버(12) 사이 및 반송 유닛(20)과 하우징(11) 사이에 지폐 반송로가 형성된다.
지폐 반송로에는, 구동 풀리(21R, 21L) 및 종동 풀리(22R, 22L, 23R, 23L)에 감겨진 반송 벨트(24R, 24L)가 면하고 있다. 지폐 삽입구(12a)에 삽입된 지폐는, U자형으로 형성된 지폐 반송로 C를 경유하여, 하우징(1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지폐 수납 상자(42) 측으로 반송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U자형의 지폐 반송로 C를 채용함으로써, 지폐 처리 장치(1)의 박형화 및 소형화가 도모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1)에 대해서, YZ 평면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지폐 삽입구(12a)로부터 삽입된 지폐가, 지폐 수납 상자(42)에 저장되는 기구를 설명한다. 지폐 삽입구(12a)로부터 지폐 반송로(15)에 삽입된 지폐는, 반송 기구에 의해 지폐 반송로(15)의 안쪽 방향으로 반송된다. 반송 기구는, 제1 구동원(31), 구동 풀리(21R), 종동 풀리(22R, 23R), 반송 벨트(24R), 종동 롤러(25R~29R)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풀리(21R), 종동 풀리(22R, 23R), 반송 벨트(24R), 종동 롤러(25R~29R)를, 반송되는 지폐의 폭 방향으로 2조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의 부호 R은, 지폐 처리 장치(1)의 정면에서 볼 때 우측에 위치한 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우측에 위치하는 조의 반송 기구에 대해 설명을 행하지만, 좌측에 위치하는 조에 대해서도 제1 구동원(31)에 의해 마찬가지로 구동된다.
제1 구동원(31)은 구동 풀리(21R)를 회전 구동시킨다. 제1 구동원(31)은 모터 등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부재이며, 제1 구동원(31)에서 발생한 회전 구동력은, 도시하지 않은 기어 등의 전달 기구에 의해 구동 풀리(21R)를 회전 구동시킨다. 반송 벨트(24R)는, 구동 풀리(21R), 종동 풀리(22R, 23R)에 감겨짐과 함께, 종동 롤러(25R~29R)에, 그 외주를 지지되어 배치되어 있다. 지폐 삽입구(12a)로부터 삽입된 지폐는, 반송 벨트(24R)와 종동 롤러(25R~29R) 사이에 끼워져, 지폐 반송로(15)의 안쪽 방향으로 반송된다.
지폐 반송로(15)에 반송되는 지폐는, 그 반송 도중에 식별 센서(나중에 설명함)에 의해, 그 진위 판정, 종별 판정이 실행된다. 진위 판정에서 진짜라고 판정된 지폐는, 지폐 수납 상자(42)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반송되고, 지폐 수납 기구(41)의 가압부(411)에 의해, Z축 정(正)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지폐 수납 상자(42) 내의 지폐 수납부(423)(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납부」에 상당)에 격납된다. 이 지폐 수납 기구(41)는, 모터 등의 제2 구동원(32)에 의해 구동되고, 지폐를 지폐 수납 상자(42)에 격납할 때, 판상의 가압부(411)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지폐 수납 상자(42)에는 원추 코일 스프링(422)으로 지지된 플레이트(41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폐 처리 장치(1)에서는, 부정 행위 방지를 위해 지폐 반송로(15)를 폐쇄하는 셔터(4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셔터(45)는, 솔레노이드(46)(도시하지 않음)의 구동력에 의해 지폐 반송로(15)에 설치된 관통 구멍(164)을 폐쇄하고, 진위 판정 실행 후의 지폐가 지폐 삽입구(12a) 측으로 되돌아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기구에 의해, 지폐에 실을 부착하고, 진위 판정 실행 후의 지폐를 지폐 삽입구(12a) 측으로 잡아당겨서 빼는 부정 행위를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음으로, 지폐 처리 장치(1)의 지폐의 삽입 및 지폐의 폭을 검출하는 입구 센서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지폐 처리 장치(1)의 지폐 반송로의 분기 및 입구 센서, 식별 센서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의 지폐 반송에 있어서 설명을 행한 바와 같이, 지폐 처리 장치(1)는, 입구 센서와 인식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입구 센서는, 지폐 삽입구(12a) 근방의 지폐 반송로(15) 내에 배치되어 있다. 입구 센서는, 지폐 삽입구(12a)로부터 지폐가 삽입된 것, 및 지폐의 폭을 검출하는 센서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발광 소자(62), 복수의 수광 소자(64), 복수의 도광부(63a~63c)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도광부(63a~63c)에는, 프리즘 등, 광로의 방향을 변경하는 광학 소자를 사용 가능하다.
발광 소자(62)는, LED 등으로 구성되고, 상시 또는 펄스 형상으로 도광부(63b)를 향해 광을 조사한다. 발광 소자(62)로부터 조사된 광은, 도광부(63b)를 통과한 후, 도광부(63c)에 입사된다. 도광부(63c)는 지폐 반송로(63)에 면하는 수광면과 조사면을 가지며, 수광면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내부 반사에 의해 조사면으로부터 조사시킨다. 따라서, 도광부(63b)로부터 지폐 반송로(15)를 향해 조사된 광은, 도광부(63c)에 의해 지폐 반송로(15)를 사이에 둔 수광 소자(64) 측으로 되돌려 보내져, 수광 소자(64)에 의해 수광된다.
지폐 반송로(15) 내에 지폐가 삽입된 경우, 수광 소자(64)로 되돌아가는 광은 지폐에 의해 차폐되고, 수광 소자(64)에 입사되는 광은 감쇠를 발생시킨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폐에 의해 발광 소자(62)로부터 도광부(63b)에 입사되는 광(가는 경로) 및, 도광부(63c)로부터 수광 소자(64)에 입사되는 광(오는 경로)의 양쪽에 대해, 지폐에 의한 감쇠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지폐 삽입시의 감쇠량을 충분히 취하여, 지폐 삽입구(12a) 등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란광에 의한 오검출의 억제가 도모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입구 센서는, 복수의 수광 소자의 수광량의 차이로부터 삽입되는 지폐의 양단 부근의 삽입을 검지함으로써, 삽입된 지폐의 폭을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 지폐의 삽입 및 지폐의 폭을 검출하는 입구 센서의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입구 센서의 구성은, 이러한 광학 센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계적으로 지폐의 삽입 상태 및 지폐의 폭을 검출하는 형태 등, 각종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지폐의 진위 및 권종을 식별하는 식별 센서는, 지폐 반송로(15)에 걸쳐서 배치되는 발광 소자(65)와 수광 소자(66)의 조를 가지고 구성된다. 도 5에서는 1조의 발광 소자(65)와 수광 소자(66)의 1조가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발광 소자(65)와 수광 소자(66)는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지폐의 폭 방향의 복수 개소에 있어서 지폐의 특성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폐 처리 장치(1)의 지폐 반송로(15)에 대하여, 그 폭 가변 기구를 설명한다. 도 6에는, 반송 유닛(20)에 대해, 지폐 반송로(15)의 폭 가변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A-1), 도 6의 (A-2)는, 지폐 반송로(15)의 폭(W1)이 넓은 상태이고, 도 6의 (A-1)는 반송 유닛(20)의 정면도, 도 6의 (A-2)는 반송 유닛(20)의 사시도이다. 도 6의 (B-1), 도 6의 (B-2)는, 지폐 반송로(15)의 폭(W2)이 좁은 상태이고, 도 6의 (B-1)은 반송 유닛(20)의 정면도, 도 6의 (B-2)는 반송 유닛(20)의 사시도이다.
도 6의 (A-2), 도 6의 (B-2)는 가동벽(35R, 35L)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결합부(741R, 741L)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A-2)와 도 6의 (B-2)를 비교해 보면, 제1 결합부(741R, 741L)의 위치가 상이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제1 결합부(741R, 741L)를 구동 기구로 조작함으로써, 가동벽(35R, 35L)의 위치가 변경된다.
도 7, 도 8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연동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지폐 반송로(15)의 폭(W1)이 넓은 상태, 도 8은 반송로의 폭(W2)이 좁은 상태이다. 도 7, 도 8에 있어서 (A)는 지폐 처리 장치(1)의 이면측에서 연동 기구를 본 도면이며, (B)는 지폐 처리 장치(1)의 정면측에서 연동 기구의 일부를 본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구동원(32)의 구동력을, 가동벽(35R, 35L)의 구동 기구와, 지폐 수납 기구(41)의 구동 기구에 이용하는 연동 기구로 되어 있다. 모터 등의 제2 구동원(32)에서 발생한 구동력은, 기어 등의 전달부(73)에 의해 캠(72)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으로 변환된다. 도 7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캠(72)에는, 회전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캠 돌기(7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주 링크(71) 측의 결합 구멍(71a)과 맞물려 있다. 캠(72)이 회전함으로써, 주 링크(7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7에 있어서, 주 링크(71)의 상단은, 분기 링크(74R, 74L)의 하단에 설치된 제1 결합부(741R, 741L)와는 떨어져 있고, 도 8에 있어서, 주 링크(71)의 상단은, 제1 결합부(741R, 741L)와 접촉하고 있다. 분기 링크(74R, 74L)는 회동부(742R, 742L)를 통하여, 하우징(11) 측의 프레임(75)과 회동 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분기 링크(74R, 74L)의 상단은, 제2 결합부(743R, 743L)를 통하여, 가동벽(35R, 35L)과 맞물려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주 링크(71)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좌우의 분기 링크(74R, 74L)를 통하여 가동벽(35R, 35L)을 이동시킨다. 도 7은 주 링크(71)가 상단에 위치한 상태이며, 이때, 가동벽(35R, 35L) 사이의 거리, 즉 반송로의 폭(W1)은 넓은 상태로 된다. 한편, 도 8은 주 링크(71)가 하단에 위치한 상태이며, 이때, 가동벽(35R, 35L) 사이의 거리, 즉 반송로의 폭(W2)은 좁은 상태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가동벽(35R, 35L)의 구동 기구는, 지폐 수납 기구(41)의 구동 기구와 제2 구동원(32)을 공유하는 연동 기구로 되어 있다. 지폐 수납 기구(41)는, 주 링크(71)의 이동에 따라, 가압부(411)를 지폐 수납 상자(42) 측으로 이동시키고, 고정벽(50) 내에 위치하는 지폐를 지폐 수납부(423)에 수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된 지폐의 폭에 따라 가동벽(35R, 35L)을 이동시킴으로써, 가동벽(35R, 35L)을 따라 지폐를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 있어서, 지폐 반송로(15) 중, 사선으로 나타내는 개소가 가동벽(35R, 35L)에 의해 그 폭이 규제되는 부분이다. 지폐 반송로(15)를 통과한 지폐는, 그 폭에 따라, 고정벽(50R, 50L) 내에 형성된 제1 분기 반송로(55A) 또는 제2 분기 반송로(55B)로 반송된다. 이 고정벽(50R, 50L)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가동벽(35R, 35L)과 달리, 고정된 부재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벽(35R, 35L)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과, 고정벽(50R, 50L)에 의해 구성되는 부분을 분리함으로써, 가동 부분이 차지하는 부분을 적게 억제하여, 비용면, 유지 보수면에서 우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벽(35R, 35L) 부분을 포함한 반송 유닛(20)으로서, 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조 공정의 용이화, 및 유지 보수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고정벽(50R, 50L)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분기 반송로(55A), 제2 분기 반송로(55B)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고정벽(50R, 50L)은, 가동벽(35R, 35L)으로 형성되는 지폐 반송로(15)에 의해 반송되어 온 지폐를, 가동부를 갖지 않고, 지폐의 폭에 따라, 제1 분기 반송로(55A) 또는 제2 분기 반송로(55B)로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수납 상자(42)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벽(50R, 50L), 가동벽(35R, 35L)이 형성하는 지폐 반송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0의 (A)는 고정벽(50R, 50L)을 지폐의 입구 측에서 바라본(도 9에 있어서, Y축 부(負)의 방향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10의 (B-1), 도 10의 (B-2)는, 가동벽(35R, 35L)을 지폐의 출구 측에서 바라본(도 9에 있어서, Y축 정의 방향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의 (B-1)은 좁은 폭(W2)의 상태이고, 도 10의 (B-2)는 넓은 폭(W1)의 상태이다.
좌우의 고정벽(50R, 50L)은, 제1 벽(51R, 51L), 제2 벽(52R, 52L), 제1 벽(51R, 51L)과 제2 벽(52R, 52L) 사이에 배치된 격벽(53R, 53L)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제1 벽(51R, 51L)과 격벽(53R, 53L) 사이의 공간은, 넓은 폭(W1')의 제1 분기 반송로(55A)를 형성한다. 한편, 제2 벽(52R, 52L)과 격벽(53R, 53L) 사이의 공간은, 좁은 폭(W2')의 제2 분기 반송로(55B)를 형성한다. 제1 분기 반송로(55A)의 폭 W1'는, 가동벽(35R, 35L)의 넓은 폭 W1과 대략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으며, 제2 분기 반송로(55B)의 폭 W2'는, 가동벽(35R, 35L)의 넓은 폭 W2와 대략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제2 분기 반송로(55B)의 좌우 양단에는, 경사면(54R, 54L)이 형성되어 있다. 도 9에는 좌측에 위치하는 경사면(54L) 측의 형상이 잘 나타나 있다.
가동벽(35R, 35L)에 의해 형성되는 지폐 반송로(15)는, 폭이 좁은 제2 분기 반송로(55B)와 마주보고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폭이 좁은 지폐는 지폐 반송로(15)로부터 제2 분기 반송로(55B)로 반송된다. 한편, 지폐 반송로(15)로부터 반송되어 온 폭이 넓은 지폐는, 그 좌우 양단이 경사면(54R, 54L)을 따르게 되고, 제1 분기 반송로(55A)로 반송된다. 따라서, 고정벽(50R, 50L) 측으로 반송되어 온 지폐는, 그 폭에 따라, 제1 분기 반송로(55A) 또는 제2 분기 반송로(55B)로 반송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의 반송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폭이 좁은 지폐의 반송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D)에는, 상단면도, 측단면도(상단면도의 우측에 위치), 고정벽(50R, 50L)을 입구 측에서 본 도면(상단면도의 상측에 위치)이 도시되어 있다. 이 기재 형태는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1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폭이 좁은 지폐 반송시, 가동벽(35R, 35L) 사이의 폭은 좁아진 상태로 되어 있다. 폭이 좁은 지폐 B1이 가동벽(35R, 35L)에 의해 형성되는 지폐 반송로(15) 중을 반송되어 온 경우, 지폐 반송로(15)의 출구는, 제2 분기 반송로(55B)의 입구와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도 11의 (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대로 제2 분기 반송로(55B) 중으로 반송된다.
한편, 도 12에는, 폭이 넓은 지폐의 반송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폭이 넓은 지폐 반송시, 가동벽(35R, 35L) 사이의 폭은 넓은 상태(초기 상태)로 되어 있다. 폭이 넓은 지폐 B2가 가동벽(35R, 35L)에 의해 형성되는 지폐 반송로(15) 중을 반송되어 온 경우, 고정벽(50R, 50L)에 설치된 경사면(54R, 54L)에 의해 제1 분기 반송로(55A)로 반송된다.
제1 분기 반송로(55A), 제2 분기 반송로(55B)는, 각각 폭이 넓은 지폐 B2, 폭이 좁은 지폐 B1에 적합한 폭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지폐의 중심 위치와 각 분기 반송로(55A, 55B)의 중심 위치가 대략 일치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수납 상자(42) 근방에 있어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고정벽(50R, 50L)의 제1 분기 반송로(55A) 또는 제2 분기 반송로(55B)로 반송된 지폐는, 도 4에 설명한 지폐 수납 기구(41)에 의해 지폐 수납 상자(42) 내에 수납된다. 도 13은, 제2 분기 반송로(55B)로 반송된 폭이 좁은 지폐 B가, 지폐 수납 상자(42) 내의 지폐 수납부(423)에 수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제1 분기 반송로(55A) 내로 반송된 폭이 넓은 지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공정으로 수납된다.
도 1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분기 반송로(55B) 내로 지폐 B의 반송이 완료된 경우, 도 1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 수납 기구(41)의 동작에 의해, 가압부(411)가 아래쪽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가압부(411)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려진 지폐 B는, 원추 코일 스프링(422)으로 지지된 플레이트(421)를 아래쪽으로 누르고, 지폐 수납부(423)에 수납된다. 도 13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폐 수납 기구(41)의 동작에 의해 가압부(411)는 위쪽으로 복귀하게 되지만, 지폐 B의 양쪽은 지폐 수납 상자(42)의 단부 등에 의해, 지폐 수납부(423) 내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 본 실시 형태의 지폐 처리 장치(1)의 지폐 반송에 대해 설명을 행했지만, 본 실시 형태의 지폐 처리 장치(1)에서는, 특히 가동벽(35R, 35L)으로 형성되는 지폐 반송로(15)와, 고정벽(50R, 50L) 내의 제1 분기 반송로(55A), 제2 분기 반송로(55B)를 나누어 구성한 것에 의해, 지폐의 전체 반송 경로에 대하여 가동 부분을 설치할 필요가없어, 간단한 구성, 양호한 유지 보수, 그리고, 고장의 억제 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지폐 처리 장치(1)에 대해 그 제어를 설명한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1)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지폐 처리 장치(1)은, 제어부(81)를 중심으로 한 각종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는, CPU,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ROM, 센서류의 출력을 디지털 변환하는 D/A 변환부, 센서류의 출력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 등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지폐 처리 장치(1)에 설치된 센서류로서는, 지폐 삽입구(12a) 근방에 설치되고, 지폐의 삽입 및 지폐의 폭을 검출하는 입구 센서(60A)와, 지폐의 진위 판정, 종별 판정을 행하는 식별 센서(60B)를 갖고 있다.
지폐 반송 기구에는, 구동 풀리(21)를 회전 구동시키고, 반송 벨트(24R, 24L)로 지폐를 반송하는 제1 구동원(31), 지폐 수납 상자(42)에 지폐를 격납시키는 지폐 수납 기구(41)와, 폭이 상이한 지폐에 대응하기 위한 가동벽(35R, 35L)을 동작시키는 제2 구동원(32)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지폐 반송 기구는, 반송 벨트(24R, 24L)에 의해 지폐를 반송하는 것으로서 설명을 행했지만, 반송 벨트(24R, 24L) 대신 롤러에 의해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 반송 기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1)의 지폐 수납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지폐 수납 처리는, 지폐 처리 장치(1)에 대한 전원 투입 후, S101~S112의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입구 센서(60A)에 의해 지폐의 삽입이 검출된 경우(S101: Yes), 입구 센서(60A)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삽입된 지폐의 폭이 판정된다. 판정된 지폐의 폭이 제2 폭(폭이 좁음)인 경우(S102: 제2 폭), 지폐 폭 검출 직후의 제1 타이밍에서 제2 구동원(32)을 구동 개시하고, 가동벽(35R, 35L)을 폭이 좁은 상태로 변화시킨다(S103). 삽입된 지폐의 폭에 적합한 반송로 폭을 변경한 후, 제1 구동원(31)을 구동 개시하여, 지폐의 반송을 개시한다(S104).
한편, 판정된 지폐의 폭이 제1 폭(폭이 넓음)인 경우(S102: 제1 폭), 제1 구동원(31)을 구동 개시하여 지폐의 반송을 개시한다(S105). 가동벽(35R, 35L)의 초기 상태는, 도 10의 (B-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W1)의 상태, 즉 폭이 넓은 지폐에 적합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삽입된 지폐의 폭에 따라, 지폐 반송로(15)의 폭을 적절한 상태로 함으로써, 삽입된 지폐를 안정적으로 반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적절한 지폐 반송로(15)의 폭을 사용하여 지폐를 반송함으로써, 지폐 반송로(15)에 설치된 식별 센서(60B)(발광 소자(65)와 수광 소자(66))에 의해, 반송되는 지폐의 소정 위치를 검출하고, 식별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지폐 반송로(15) 내에서의 지폐 반송 과정에 있어서, 지폐 반송로(15) 도중을 셔터(45)로 폐쇄 후, 식별 센서(60B)에 의해 지폐의 진위 판정, 종별 판정이 행하여진다(S106). 진위 판정은 지폐가 진짜인지 가짜인지에 대한 판정이며, 종별 판정은 복수 종류의 지폐 중에서 어떠한 지폐 종별인지의 판정이다. 식별 센서(60B)에 의한 진위 판정에서, 삽입된 지폐가 진짜인 경우(S107: Yes), 반송 기구에 의해 지폐를 고정벽(50R, 50L)으로 형성된 제1 분기 반송로(55A) 또는 제2 분기 반송로(55B)로 반송한다(S108). 그리고, 제2 구동원(32)을 구동하여 지폐 수납 기구(41)를 동작시키고, 지폐를 지폐 수납부(423)에 수납한다(S109).
지폐 수납부(423)에의 지폐 수납에 따라, S106에서 판정된 지폐 종별에 대응하는 금액이 삽입 금액으로서 가산된다(S110). 그리고, 제1 구동원(31), 제2 구동원(32)의 구동을 정지함과 함께, 솔레노이드(46)를 구동 정지하여 지폐 반송로(15)를 개방 상태로 되돌린다(S111).
한편, 식별 센서(60B)에 의한 진위 판정에서, 삽입된 지폐가 위조 지폐인 경우(S112: No), 반송 기구를 반전 구동하여, 지폐를 역방향(지폐 삽입구(12a) 측)으로 반송한다. 지폐의 배출이 확인된 경우(S113: Yes), 제1 구동원(31), 제2 구동원(32), 솔레노이드(36)를 구동 정지시킨다(S111).
도 1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수납 상자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폭이 넓은 지폐의 양단을, 각각 고정벽(50R, 50L)의 입구에 형성된 경사면(54R, 54L) 상에 있어서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해서, 각 경사면(54R, 54L)을 사이에 두도록 롤러(541a, 541b)가 설치된 형태로 되어 있다. 도 16에는, 좌측 경사면(54L)에 설치된 2개의 롤러(541a, 541b)가 나타나 있다. 우측 경사면(54R)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형태로 2개의 롤러(541a, 541b)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벽(35R, 35L)으로부터 폭이 넓은 지폐가 반송되어 온 경우, 도 12의 (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폐의 양단이 경사면(54R, 54L)을 따라 이동하고, 지폐는 제1 분기 반송로(55A)로 안내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경사면(54R, 54L)에 롤러(541a, 541b)를 설치한 것에 의해, 경사면(54R, 54L)과 지폐의 마찰을 저감하여, 폭이 넓은 지폐를 보다 확실하게 제1 분기 반송로(55A)로 반송할 수 있게 된다.
도 17에는, 롤러(541a, 541b)가 설치된 고정벽(50L)(좌측)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2개의 롤러(541a, 541b)는, 회전축(54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542)이 경사면(54L)에 축지지됨으로써, 2개의 롤러(541a, 541b)가 경사면(54L)을 사이에 두도록 위치한다. 그때, 롤러(541a, 541b)의 둘레면은, 경사면(54L)으로부터 약간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롤러(541a, 541b)가 회전함으로써, 그 둘레면은 지폐의 반송 방향으로 이동하여, 반송되는 지폐와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벽(50L) 측에 고정된 판 스프링(543)(탄성 부재)에 의해, 회전축(542)을 경사면(54L) 측으로 가압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경사면(54R, 54L)을 2개의 롤러(541a, 541b) 사이에 끼우는 형태로 하고 있지만, 각 고정벽(50R, 50L)에 1개의 롤러를 설치하는 형태를 채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의 (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분기 반송로(55A)와 제2 분기 반송로(55B) 사이에 격벽(53R, 53L)을 설치한 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격벽(53R, 53L)을 설치하지 않은 점에서 상이하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격벽(53R, 53L)은, 특히 제1 분기 반송로(55A) 내에서 반송되는 폭이 좁은 지폐가, 제2 분기 반송로(55B) 내로 이동하지 않도록 설치된 부분이다. 그러나, 지폐의 상태에 따라서는, 이 격벽(53R, 53L)이, 지폐 반송의 장해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분기 반송로(55A)와 제2 분기 반송로(55B) 사이에 격벽(53R, 53L)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지폐를 원활하게 반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지폐 반송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수납 상자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고, 도 18의 단면도는 도 4의 단면도의 설명에, 또한, 도 19의 사시도는 도 9의 사시도의 설명에 따른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분기 반송로(55A)와 제2 분기 반송로(55B) 사이에, 격벽(53R, 53L)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도 19의 사시도(본 실시 형태)와, 도 9의 사시도(전술한 실시 형태)를 비교하여 보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격벽(53R, 53L)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잘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는, 격벽(53R, 53L)을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지폐의 반송시, 지폐가 격벽(53R, 53L)에 걸리지 않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격벽(53R, 53L)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 폭이 좁은 제2 분기 반송로(55B) 내의 폭이 좁은 지폐가, 제1 분기 반송로(55A) 측으로 이동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경우에는 폭이 좁은 지폐는, 폭이 넓은 제1 분기 반송로(55A) 내에서 경사지는 것이 예상되며, 지폐 수납 상자(42) 내에 정렬해서 수납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폐 수납 기구(41)에 있어서의 가압부(411)의 위치, 형상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 형태와 상이한 구성을 갖고 있다. 도 18의 지폐 처리 장치(1)의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가압부(411)의 위치와 가압부(411)의 형상에 연구를 실시한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 13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압부(411)는 지폐 수납 상자(42)로부터 떨어져서 위치되어 있던 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다 지폐 수납 상자(42)에 가까운 위치로 되게 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가압부(411)의 가압면은 평면인 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8의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압부(411)의 지폐 입구 근방이, 지폐 수납 상자(42)와는 반대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411a)을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0은, 본 실시 형태의 고정벽에 대하여, 그 입구 부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가동벽(35R, 35L) 측에서 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0의 (A)는, 고정벽(50R, 50L)의 구성 및 제1 분기 반송로(55A), 제2 분기 반송로(55B)의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 형태는, 도 10의 (A)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격벽(53R, 53L)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제1 분기 반송로(55A)와 제2 분기 반송로(55B)는 인접해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 분기 반송로(55A)의 폭(W1'), 제2 분기 반송로(55B)의 폭(W2')은, 도 1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20의 (B)는, 도 20의 (A)에 있어서, 가압부(411)가 초기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B)에 있어서, 고정벽(50R, 50L) 중, 제1 분기 반송로(55A)의 하면의 일부가 되는 면을, 제1 면(541R, 541L)이라고 규정한다. 또한, 고정벽(50R, 50L) 중, 제2 분기 반송로(55B)의 하면의 일부가 되는 면을, 제2 면(511R, 511L)이라고 규정한다. 한편, 가압부(411)는, 지폐 수납 상자(42)에 지폐를 수납할 때, 지폐를 가압하는 가압면(411b), 가동벽(35R, 35L) 측의 단면(411c),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벽(35R, 35L) 측에 있어서 지폐 수납 상자(42)와는 반대측을 향해서 경사진 경사면(411a)을 갖고 있다.
가압부(411)는, 그 가압면(411b)이, 전술한 실시 형태보다 아래쪽(Z축 정의 방향)에 위치함으로써, 폭이 좁은 지폐가, 제1 분기 반송로(55A) 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격벽(53R, 53L)이 그 역할을 담당하고 있던 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압면(411b)이 격벽(53R, 53L) 대신 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폐가 제1 분기 반송로(55A) 또는 제2 분기 반송로(55B) 중을 반송될 때의 가압면(411b)의 높이 Ls는, 제1 면(541R, 541L)의 높이 L1(제1 분기 반송로(55A)와 제2 분기 반송로(55B)의 경계) 근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폭이 좁은 지폐가 반송되어 온 경우, 지폐가 제1 분기 반송로(55) 내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근처란, 가압면(411b)의 높이 Ls가, 제1 면(541R, 541L)의 높이에서 플러스 0㎜, 마이너스 1㎜(높이 L1보다 아래쪽을 마이너스 방향으로 함)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말한다.
가압면(411b)의 높이 Ls는, 지폐 처리 장치(1)에서 취급하는 지폐의 크기, 종류, 일반적인 지폐의 상태 등에 의존해서 조정된다. 가압면(411b)의 높이 Ls는, 도 20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면(411b)이 약간 제2 분기 반송로(55B) 내(높이 L1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폭이 좁은 지폐가 제1 분기 반송로(55) 내로 이동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함과 함께, 폭이 넓은 지폐가 반송될 때, 폭이 넓은 지폐의 좌우 단부가 제1 면(541R, 541L)에 접촉되고, 중앙부가 가압면(411b)에 접촉됨으로써, 지폐의 반송에 제동력(브레이크)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지폐가 기세가 지나쳐서 과잉으로 반송되는 것을 억제하여, 지폐 수납 상자(42) 내에서 단부를 입구 측에 정렬해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가압면(411b)의 높이 Ls를, 상기 실시 형태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 한 경우,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가압부(411)의 형상(평판)은, 그 단면이, 제1 분기 반송로(55A) 또는 제2 분기 반송로(55B) 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한 경우, 가압부(511)의 단면에 의해, 지폐의 반송이 저해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따라서, 지폐 수납 상자(42)와는 반대측에 가압면(411b)을 굴곡시킨 경사면(411a)을 설치하고, 가압부(411)의 단면(411c)을 제1 분기 반송로(55A) 및 제2 분기 반송로(55B) 밖에 배치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압부(411)를 지폐 반송시의 가이드로서 사용할 때, 가압부(411)의 단면(411c)이 장애가 되는 것을 억제하고, 또한, 지폐를 제1 분기 반송로(55A) 혹은 제2 분기 반송로(55B) 내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면, 본 실시 형태의 지폐 반송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의 반송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폭이 좁은 지폐의 반송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1의 (A) 내지 도 21의 (D)는 상단면도, 측단면도(상단면도의 우측에 위치), 고정벽(50R, 50L)을 입구 측에서 본 도면(상단면도의 상단에 위치)이 도시되어 있다. 이 기재 형태는 도 22의 (A) 내지 도 22의 (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21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폭이 좁은 지폐 반송시, 가동벽(35R, 35L) 사이의 폭은 좁아진 상태로 되어 있다. 폭이 좁은 지폐 B1이 가동벽(35R, 35L)에 의해 형성되는 지폐 반송로(15) 중을 반송되어 온 경우, 지폐 반송로(15)의 출구는 제2 분기 반송로(55B)의 입구와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도 21의 (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대로 제2 분기 반송로(55B) 중으로 반송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압부(411)의 경사면(411a)에 의해, 단면(411c)이, 제1 분기 반송로(55A), 제2 분기 반송로(55B) 밖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단면(411c)에 의해 지폐 반송이 저해되는 일이 없고, 제1 분기 반송로(55A), 제2 분기 반송로(55B)의 입구를 크게 취하여, 지폐 반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도 22에는, 폭이 넓은 지폐의 반송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2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폭이 넓은 지폐 반송시, 가동벽(35R, 35L) 사이의 폭은 넓은 상태(초기 상태)로 되어 있다. 폭이 넓은 지폐 B2가 가동벽(35R, 35L)에 의해 형성되는 지폐 반송로(15) 중을 반송되어 온 경우, 고정벽(50R, 50L)에 설치된 경사면(54R, 54L)에 의해 제1 분기 반송로(55A)로 반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폭이 넓은 지폐 B2가 반송될 때, 폭이 넓은 지폐 B2의 단부는, 제1 면(541R, 541L)에 접촉하고, 중앙부가 가압면(411b)에 접촉하기 때문에, 폭이 넓은 지폐 B2의 반송에 제동력(브레이크)이 걸린다. 따라서, 폭이 넓은 지폐 B2가 과도하게 반송되는 일이 없고, 폭이 넓은 지폐 B2를 규정 위치로 반송하여, 지폐 수납 상자(42) 중에서 지폐의 단부를 정렬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 지폐 수납 상자(42)에의 지폐 저장의 모습, 제어 구성, 지폐 수납 처리, 롤러(541a, 541b)를 사용한 원활한 지폐 반송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전술한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제1 분기 반송로(55A)와 제2 분기 반송로(55B) 사이에 격벽(53R, 53L)을 설치하지 않은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을 행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격벽(53R, 53L)이 지폐 반송의 장애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압면(411b)의 위치 연구에 의해, 가압면(411b)을 지폐 반송시의 가이드로서 이용하고, 특히 폭이 좁은 지폐를 반송할 때, 폭이 좁은 지폐가 제1 분기 반송로(55A)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경사면(411a)을 설치함으로써, 폭이 넓은 지폐의 반송시, 지폐에 제동력을 작용시켜, 수납시 지폐의 단부를 정렬한 상태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경사면(411a)에 의해, 제1 분기 반송로(55A) 및 제2 분기 반송로(55B)의 입구 개구를 넓게 취함으로써, 지폐 반송을 보다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도 18~도 20의 실시 형태에서는, 지폐 반송시, 즉 지폐가 제1 분기 반송로(55A) 또는 제2 분기 반송로(55B) 내를 탐색할 때, 가압부(411)는, 도 20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동일한 위치로 하고 있다. 그로 인해, 도 2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폭이 넓은 지폐 B2에 대해서는 제동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도 2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폭이 좁은 지폐 B1에 대해서는 제동력을 작용시킬 수 없다.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지폐의 폭에 따라 가압부(411)를 이동시킴으로써, 폭이 넓은 지폐뿐만 아니라, 폭이 좁은 지폐에 대해서도 제동력을 작용시켜, 지폐의 단부를 정렬한 상태로, 지폐 수납 상자(42)에 격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벽의 입구 부근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81)는, 입구 센서(60A)를 사용하여 판정된 지폐의 폭에 따라, 가압부(411)의 위치를 변경한다. 도 23의 (A-1)은 폭이 넓은 지폐 B1을 발견했을 때의 가압부(411)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도 23의 (A-2)는 폭이 넓은 지폐 B1이 반송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3의 (B-1)은 폭이 좁은 지폐 B2를 검출했을 때의 가압부(411)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도 23의 (B-2)는 폭이 좁은 지폐 B2가 반송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81)는, 입구 센서(60A)에 의해 지폐의 폭을 검출한 후, 지폐가 제1 분기 반송로(55A) 또는 제2 분기 반송로(55B)에 도달하기 전에, 가압부(411)의 위치를 도 23의 (A-1) 또는 도 23의 (B-1)에서 나타내는 상태로 변경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지폐가 제1 분기 반송로(55A), 제2 분기 반송로(55B)로 반송된 후, 지폐 수납 기구(41)를 동작시켜, 반송된 지폐를 지폐 수납 상자(42)에 수납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폐가 제1 분기 반송로(55A), 제2 분기 반송로(55B)로 반송되기 전에, 도 23의 (A-1) 또는 도 23의 (B-1)의 상태로 함과 함께, 지폐가 제1 분기 반송로(55A), 제2 분기 반송로(55B)로 반송된 후, 지폐 수납 기구(41)를 동작시켜, 반송된 지폐를 지폐 수납 상자(42)에 수납하는 2단계의 동작이 필요해진다. 그로 인해, 주지의 기술과 같이, 가동벽(35R, 35L)을 동작시키는 구동원과, 지폐 수납 기구(41)를 동작시키는 구동원을 별도로 준비하여, 지폐 수납 기구(41)의 2단계의 동작을 실현하고 있다.
폭이 넓은 지폐 B1이 반송되는 경우, 도 22에서 설명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가압면(411b)의 높이는, 제1 면(541R, 541L)의 높이 L1(제1 분기 반송로(55A)와 제2 분기 반송로(55B)의 경계) 근방에 위치한다. 이러한 가압면(411b)의 위치에서는, 폭이 넓은 지폐 B1의 좌우 단부가 제1 면(541R, 541L)에 접촉되고, 중앙부가 가압면(411b)에 접촉됨으로써, 지폐의 반송에 제동력(브레이크)이 걸리게 된다.
한편, 폭이 좁은 지폐 B2가 반송되는 경우, 가압면(411b)의 높이는, 고정벽(50R, 50L) 중, 제2 분기 반송로(55B)의 하면의 일부가 되는 면을, 제2 면(511R, 511L)의 높이 L2의 근방에 위치시킨다. 또한, 근처란, 가압면(411b)의 높이 Ls가, 제2 면(511R, 511L)의 높이에서 플러스 0㎜, 마이너스 1㎜(높이 L2보다 아래쪽을 마이너스 방향으로 함) 이내에 위치하는 것을 말한다. 가압면(411b)의 높이 Ls는, 지폐 처리 장치(1)에서 취급하는 지폐의 크기, 종류, 일반적인 지폐의 상태 등에 의존해서 조정된다. 가압면(411b)의 높이 Ls는, 도 20의 (B-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면(411b)이 높이 L1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이 좁은 지폐 B2가 반송되는 경우, 도 23의 (B-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이 좁은 지폐 B2의 좌우 단부가 제2 면(511R, 511L)에 접촉되고, 중앙부가 가압면(411b)에 접촉됨으로써, 지폐의 반송에 제동력(브레이크)이 걸린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구 센서(60A)를 사용하여 판정된 지폐의 폭에 따라 가압부(411)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폭이 좁은 지폐 B2에 대해서도 제동력을 걸어, 지폐의 단부를 정렬해서 지폐 수납 상자(42)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지폐의 반송에 제동력을 걸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폭이 넓은 지폐 B1이 반송될 때에는 가압면(411b)의 높이를 제1 분기 반송로(55A)로부터 퇴피되는 높이로 하고, 폭이 좁은 지폐 B2가 반송될 때에는 가압면(411b)의 높이 Ls을 제1 면(541R, 541L)의 높이 L1 근방의 높이로 할 수도 있다.
이상, 지폐 처리 장치(1)를 예로 해서 설명을 행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처리 장치는, 지엽류로서, 지폐뿐만 아니라, 금권, 쿠폰권, 유가 증권 등 각종 지엽류를 식별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실시 형태의 구성을 적절히 조합하여 구성한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범주가 될 것이다.
1: 지폐 처리 장치(지엽류 처리 장치)
11: 하우징
12: 앞면부 커버
12a: 지폐 삽입구
15: 반송로
164: 관통 구멍
20: 반송 유닛
21R, 21L: 구동 풀리
23R, 23L: 종동 풀리
24R, 24L: 반송 벨트
25~29(R, L): 종동 롤러
31: 제1 구동원
32: 제2 구동원
35R, 35L: 가동벽
41: 지폐 수납 기구
411: 가압부
42: 지폐 수납 상자
421: 플레이트
422: 원추 코일 스프링
423: 지폐 수납부
45: 셔터
46: 솔레노이드
50R, 50L: 고정벽
51: 제1 벽
52: 제2 벽
53: 격벽
54: 경사면
541a, 541b: 롤러
542: 회전축
543: 판
55A: 제1 분기 반송로
55B: 제2 분기 반송로
61R, 61L: 입구 센서
62: 발광 소자
63a, 63b, 63c: 도광부
64: 수광 소자
65: 발광 소자
66: 수광 소자
71: 주 링크
71a: 결합 구멍
72: 캠
72a: 캠 돌기
73: 전달부
74R, 74L: 분기 링크
741R, 741L: 제1 결합부
742R, 742L: 회동부
743R, 743L: 제2 결합부
75: 암
81: 제어부
82: 연동 기구

Claims (6)

  1. 삽입된 지엽류의 폭을 검출하는 입구 센서와,
    지엽류의 반송로에 설치되어, 삽입된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로의 폭을 가변하는 가동벽과,
    상기 지엽류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를 따라서 설치되고, 제1 분기 반송로와, 상기 제1 분기 반송로보다 폭이 좁은 제2 분기 반송로를 형성하는 고정벽과,
    상기 입구 센서에서 검출된 지엽류의 폭에 따라, 상기 가동벽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벽은, 상기 고정벽의 상류이며 상기 제2 분기 반송로에 대향해서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2 분기 반송로의 양단에는, 상기 가동벽이 설치된 상기 반송로로부터 폭이 넓은 지엽류가 반송되었을 때, 상기 제1 분기 반송로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둘레면을 노출시킴과 함께, 지엽류의 반송 방향으로 상기 둘레면을 이동 가능한 회전 롤러를 갖는 지엽류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기 반송로와 상기 제2 분기 반송로 사이에는 격벽을 갖고 있지 않은 지엽류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가압면을 구비하는 가압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분기 반송로 또는 상기 제2 분기 반송로에 반송된 지엽류를, 상기 수납부에 수납시키는 지엽류 수납 기구를 갖고,
    상기 가동벽이 설치된 상기 반송로로부터 상기 제1 분기 반송로 또는 상기 제2 분기 반송로에 지엽류가 반송될 때, 상기 가압면은, 상기 제1 분기 반송로와 상기 제2 분기 반송로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지엽류 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가압면을 구비하는 가압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분기 반송로 또는 상기 제2 분기 반송로에 반송된 지엽류를, 상기 수납부에 수납시키는 지엽류 수납 기구를 갖고,
    상기 지엽류 수납 기구는, 상기 가동벽이 설치된 상기 반송로로부터 상기 제1 분기 반송로 또는 상기 제2 분기 반송로에 지엽류가 반송될 때, 상기 입구 센서에서 검출된 지엽류의 폭에 따라 상기 가압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은, 상기 가동벽이 설치된 상기 반송로 측이, 상기 수납부와는 반대측을 향해서 경사져 있는 지엽류 처리 장치.
KR1020167011337A 2013-11-15 2014-10-30 지엽류 처리 장치 KR101801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36728 2013-11-15
JP2013236728 2013-11-15
JP2014180958A JP6265380B2 (ja) 2013-11-15 2014-09-05 紙葉類処理装置
JPJP-P-2014-180958 2014-09-05
PCT/JP2014/078906 WO2015072340A1 (ja) 2013-11-15 2014-10-30 紙葉類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202A KR20160064202A (ko) 2016-06-07
KR101801497B1 true KR101801497B1 (ko) 2017-11-24

Family

ID=5305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337A KR101801497B1 (ko) 2013-11-15 2014-10-30 지엽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65380B2 (ko)
KR (1) KR101801497B1 (ko)
CN (1) CN105765634B (ko)
HK (1) HK1221321A1 (ko)
WO (1) WO20150723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50133A (ja) * 2017-03-13 2018-09-2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機
CN107633595B (zh) * 2017-10-26 2019-12-10 四川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顺钞及叠钞的整钞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8354A (ja) 2003-05-21 2004-12-09 Nippon Conlux Co Ltd 紙幣処理装置
JP2005338990A (ja) 2004-05-25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紙幣識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9059A (ja) * 1990-02-26 1991-11-07 Canon Inc 排紙装置
JP2969858B2 (ja) * 1990-08-08 1999-11-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排紙装置
JPH04281085A (ja) 1991-03-07 1992-10-06 Kao Corp 脱墨剤
JP4835194B2 (ja) * 2006-02-20 2011-12-1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4508244B2 (ja) * 2008-01-31 2010-07-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記録装置
JP5184926B2 (ja) * 2008-03-14 2013-04-17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紙葉類整合搬送装置
CN102087765B (zh) * 2009-12-08 2012-10-03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收集装置及自助服务终端
US8542260B2 (en) * 2010-03-15 2013-09-24 Kabushiki Kaisha Toshiba Device detecting curl of sheet and image eras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8354A (ja) 2003-05-21 2004-12-09 Nippon Conlux Co Ltd 紙幣処理装置
JP2005338990A (ja) 2004-05-25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紙幣識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21321A1 (zh) 2017-05-26
JP6265380B2 (ja) 2018-01-24
CN105765634A (zh) 2016-07-13
KR20160064202A (ko) 2016-06-07
JP2015118695A (ja) 2015-06-25
CN105765634B (zh) 2018-10-19
WO2015072340A1 (ja)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2524B1 (ko) 지폐처리장치
JPH07125896A (ja) 紙幣処理装置
JPH06150106A (ja) 紙幣識別装置
JP2006143383A (ja) 紙幣取扱装置、及び紙幣収納ユニット
US8245830B2 (en) Paper currency handling device
KR910005783B1 (ko) 화폐 감별 장치
KR101801497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JPH11339098A (ja) 紙幣処理装置
KR101779310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KR101779309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WO2009093716A1 (ja) 紙葉類処理装置
US20170341896A1 (en) Medium handover device and shutter opening-and-closing mechanism
JP4281085B2 (ja) 紙幣処理装置
JP5323336B2 (ja) 紙葉類識別装置
JP3393624B2 (ja) 紙幣処理装置
JP3302504B2 (ja) 紙幣処理装置
JP3336116B2 (ja) 紙幣処理装置
JP2015046120A (ja) 紙葉類識別装置
KR20050116657A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입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393622B2 (ja) 紙幣搬送識別装置
JP2002260064A (ja) 紙幣識別収納装置
CN107430796B (zh) 纸币处理装置
JP2009042958A (ja) 紙葉類識別機の紙葉類引き抜き防止機構
JPH067424Y2 (ja) 貨幣鑑別装置
JP3254514B2 (ja) 自動販売機等の紙幣取込・排出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