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309B1 - 지엽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309B1
KR101779309B1 KR1020167011336A KR20167011336A KR101779309B1 KR 101779309 B1 KR101779309 B1 KR 101779309B1 KR 1020167011336 A KR1020167011336 A KR 1020167011336A KR 20167011336 A KR20167011336 A KR 20167011336A KR 101779309 B1 KR101779309 B1 KR 101779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link
width
paper sheet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3384A (ko
Inventor
이토유키오
이토히로시
타나카히데오
야마네히로히사
호시노히로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니뽄 콘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니뽄 콘럭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니뽄 콘럭스
Publication of KR20160063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D11/00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36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 B65H5/38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immovable i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6Members reciprocated in rectilinear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2Stationary guides or smoo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65H31/10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and applied at the top of the pi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4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paper cur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1Features of transport path
    • B65H2301/312Features of transport path for transport path involving at least two planes of transport forming an angle between each other
    • B65H2301/3122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3Articulated mechanisms
    • B65H2403/533Slotted link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2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상이한 폭의 지엽류를 안정적으로 반송 가능한 지엽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처리 장치는, 반송 기구에 따라서, 지엽류를 반송한 후, 링크를 제2 위치에 위치시켜서, 지엽류 수납 기구에 지엽류를 수납시키는 제1 처리와, 링크를 제1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로 반송 기구에 의해 지엽류를 반송한 후, 링크를 제2 위치에 위치시켜서, 지엽류 수납 기구에 지엽류를 수납시키는 제2 처리를 연동 기구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엽류 처리 장치{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 판매기, 동전 교환기, 게임기 등에 탑재되고, 지엽류(紙葉類)의 진위를 식별하고, 진짜라고 판단된 지엽류를 수납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폭이 상이한 2종류의 지엽류를 안정적으로 반송하고 또한 1개의 수납부에 수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를 취급하는 자동 판매기 등의 기기 본체 내부에는, 투입된 지폐가 진짜 지폐인지 여부를 판별함과 함께, 진짜 지폐라고 판별된 지폐만을 수용하는 지폐 처리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지폐 처리 장치는 지폐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지폐를, 지폐 반송로를 통하여 반송하고, 지폐 반송 통로 내에 설치된 각종 식별 센서에 의해 지폐의 진위를 판별한다. 또한, 진짜 지폐라고 판별된 지폐를, 지폐 반송로의 하류단이며 지폐 수납부에 대향하는 위치인 지폐 수납 위치까지 반송하고, 지폐 수납 기구에 의해 지폐 수납부에 수납한다.
지폐 수납 기구는, 지폐 수납부와 반송로를 통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지폐 수납 위치에 있는 지폐를 지폐 반송로로부터 지폐 수납부에 밀어넣는 지폐 가압판과, 지폐 가압판을 지폐 수납부로 이동시키는 왕복 기구를 구비한다.
그런데, 이러한 지폐 처리 장치에서는 시장에 유통되는 폭이 상이한 지폐에 대응하기 위해 각종 시도가 행하여졌다.
특허 문헌 1에는, 지폐 폭 검출 센서에 의해, 삽입되는 지폐의 폭을 검출하고, 지폐의 폭 방향으로 설치된 가동벽을 이동시킴으로써, 지폐 위, 미리 정해진 장소의 특징을 검출함과 함께, 지폐의 자세를 규제한 상태로 지폐 수납부에 수납하는 지폐 식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5-338990호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지폐 식별 장치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엽류 처리 장치에서는, 복수의 지폐 폭의 식별 정확도를 높이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지폐의 반송 방향을 정렬하는 것이 행하여졌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지폐의 삽입구로부터 수납부까지의 지폐 반송로 대략 전역에 걸쳐 설치된 가동벽을 이동시킴으로써, 폭이 상이한 지폐의 안정적인 반송을 실현하고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지폐 식별 장치에서는, 가동벽을 이동시키기 위한 전용 구동 기구가 필요해진다. 지폐 식별 장치에서는, 지폐를 반송하기 위한 구동 기구나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구동 기구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별도로, 가동벽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를 설치한 경우, 부품 점수의 증가를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지폐 식별 장치 내에서 큰 공간을 필요로 함과 함께 구동 기구도 복잡해지기 때문에, 소형화, 저비용화 및 유지 보수성의 면에서 지장을 주고 있다.
본 발명은, 폭이 상이한 지엽류(지폐를 포함함)를 반송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에 있어서, 그 구동 기구를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하고, 지엽류 처리 장치의 소형화, 저비용화 및 유지 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처리 장치는, 다음의 구성을 채용한다.
삽입된 지엽류의 폭을 검출하는 입구 센서와,
삽입된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와,
상기 반송로에 설치되어 삽입된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로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벽과,
상기 가동벽을 이동시키는 폭 가변 기구와,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된 지엽류를 지엽류 수납부에 수납하는 지엽류 수납 기구와,
상기 폭 가변 기구와 상기 지엽류 수납 기구를 동작시키는 연동 기구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동 기구는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링크를 갖고,
상기 링크가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폭 가변 기구는, 상기 반송로가 제1 폭이 되도록 상기 가동벽을 위치시키고,
상기 링크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폭 가변 기구는, 상기 반송로가 제2 폭이 되도록 상기 가동벽을 위치시키고,
상기 링크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지엽류 수납 기구에 지엽류를 수납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구 센서에서 검출된 지엽류의 폭에 따라 제1 처리 또는 제2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고,
상기 제1 처리는 상기 링크를 상기 기준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지엽류를 반송한 후, 상기 링크를 상기 제2 위치에 위치시켜서, 상기 지엽류 수납 기구에 지엽류를 수납시키고,
상기 제2 처리는 상기 링크를 상기 제1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지엽류를 반송한 후, 상기 링크를 상기 제2 위치에 위치시켜서, 상기 지엽류 수납 기구에 지엽류를 수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의 상기 제1 폭은 상기 반송로의 상기 제2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회전 운동하는 캠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캠의 1회전 중에, 상기 링크를 상기 기준 위치,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는, 상기 지엽류 수납 기구에 의한 지엽류의 수납 전에, 후속하는 지엽류의 삽입을 검출한 경우, 상기 링크를 상기 제1 위치를 통과시키지 않고 상기 제2 위치에 위치시켜서, 상기 지엽류 수납 기구에 지엽류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는, 상기 링크를 상기 제1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지엽류를 반송하고, 상기 링크를 상기 기준 위치로 변경한 후, 상기 지엽류 수납 기구에 의한 지엽류의 수납 전에, 후속하는 지엽류의 삽입을 검출한 경우, 상기 링크를 상기 제1 위치를 통과시키지 않고 상기 제2 위치에 위치시켜서, 상기 지엽류 수납 기구에 지엽류를 수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회전 운동하는 캠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캠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링크를,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를 통과시키지 않고, 상기 제2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지엽류 수납 기구에 의한 지엽류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엽류 처리 장치에 의하면, 폭이 상이한 지엽류(지폐 포함함)를 반송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에 있어서, 폭 가변 기구와 지엽류 수납 기구를, 1개의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동작하는 연동 기구에 의해 동작시킴으로써, 지엽류 처리 장치에 필요한 부품 점수를 삭감함과 함께, 그 구성의 간략화를 가능하게 하여, 지엽류 처리 장치의 소형화, 저비용화 및 유지 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지엽류 처리 장치에서는, 폭 가변 기구와 지엽류 수납 기구를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를 사용하는 구성에 있어서, 지엽류가 연속해서 삽입된 경우, 폭 가변 기구에 의한 폭 가변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이전에 삽입된 지엽류에 대하여 수납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게 함으로써, 후속하는 지엽류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고, 지엽류의 연속된 삽입을 가능하게 하여, 지엽류를 신속하게 처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정면도(앞면부 커버 분리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반송 유닛의 정면도,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지폐 반송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지폐 반송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연동 기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반송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연동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초기 상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연동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폭이 좁을 때).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연동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폭이 좁을 때, 지폐 수납 기구의 상사점).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수납 상자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벽, 가동벽이 형성하는 지폐 반송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수납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수납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캠의 상태에 대한 각종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의 지폐 수납(受入)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캠의 상태에 대한 각종 동작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수납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1).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지폐 수납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2).
이하에서는, 지엽류(紙葉類) 처리 장치에 대해서, 진위 판정 대상을 지폐로 하는 지폐 처리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지엽류 처리 장치는, 이 지폐 처리 장치와 같이 식별 대상을 지폐로 할 뿐만 아니라, 금권, 쿠폰권, 유가 증권 등 각종 지엽류를, 그 식별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1)의 외관 사시도이다. 이 지폐 처리 장치는, 자동 판매기, 동전 교환기, 게임기 등 각종 기기에 유닛으로서 내장되고, 지폐 삽입구(12a)로부터 삽입되는 지폐를 받아들여서 진위 판정하고, 상품이나 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용될 금액의 인식을 행한다.
지폐 처리 장치(1)는, 종래의 지폐 처리 장치와 마찬가지로, 지폐 삽입구(12a)에 연결된 반송로와 반송로 내에 배치된 반송 벨트와 식별 센서에 의해서, 지폐 삽입구(12a)에 삽입된 지폐를 장치 내부로 안내함과 함께 지폐의 진위와 돈의 종류를 식별한다.
이 지폐 처리 장치(1)는, 하우징(11)와 하우징(11)의 앞면에 설치된 앞면부 커버(1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앞면부 커버(12)에는 지폐 삽입을 위한 개구(지폐 삽입구(12a))와 반송로의 앞면측의 통로벽의 일부분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폐 처리 장치(1)에 대해 각종 설명을 행하기 위한 좌표를 좌측 하부에 정의해 둔다. 지폐 처리 장치(1)의 가로 방향을 X축, 세로 방향을 Y축, 깊이 방향을 Z축으로서 규정한다. 도 2에는 앞면부 커버(12)를 분리했을 때의, 지폐 처리 장치(1)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면부 커버(12)를 분리한 하우징(11)의 창을 통해서는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 유닛(20)의 일부를 볼 수 있다. 도 3에는, 이 반송 유닛(20)의 정면도(A) 및 측면도(B)가 도시되어 있다. 반송 유닛(20)은, 지폐 삽입구(12a)로부터 삽입된 지폐의 폭 및 삽입을 검출하기 위한 입구 센서(61R, 61L), 반송로를 지폐폭에 맞추기 위한 가동벽(35R, 35L), 그리고, 지폐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벨트(24R, 24L)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의 (B)에는 지폐 삽입구(12a)로부터 삽입된 지폐의 지폐 반송로 C가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지폐 삽입구(12a)에 삽입된 지폐는 입구 센서(61R, 61L)에 의해 지폐의 삽입 및 지폐의 폭이 검출된다. 검출된 지폐의 폭에 따라 가동벽(35R, 35L)이 동작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양 가동벽(35R, 35L) 사이의 거리는, 폭이 넓은 지폐에 적합한 상태로 되어 있고, 폭이 좁은 지폐가 검출됨으로써, 가동벽(35R, 35L)이 내측으로 이동하고, 양 가동벽(35R, 35L) 사이의 거리는, 폭이 좁은 지폐에 적합한 상태로 된다. 앞면부 커버(12)가 부착된 하우징(11) 내에 반송 유닛(20)이 장착됨으로써, 반송 유닛(20)과 앞면부 커버(12) 사이 및 반송 유닛(20)과 하우징(11) 사이에 지폐 반송로가 형성된다.
지폐 반송로에는, 구동 풀리(21R, 21L), 종동 풀리(22R, 22L, 23R, 23L)에 감겨진 반송 벨트(24R, 24L)가 면하고 있다. 지폐 삽입구(12a)에 삽입된 지폐는, U자형으로 형성된 지폐 반송로 C를 경유하여, 하우징(1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지폐 수납 상자(42) 측으로 반송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U자형의 지폐 반송로 C를 채용함으로써, 지폐 처리 장치(1)의 박형화 및 소형화가 도모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1) 대해서, YZ 평면에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지폐 삽입구(12a)로부터 삽입된 지폐가, 지폐 수납 상자(42)에 저장되는 기구를 설명한다. 지폐 삽입구(12a)로부터 지폐 반송로(15)에 삽입된 지폐는, 반송 기구에 의해 지폐 반송로(15)의 안쪽 방향으로 반송된다. 반송 기구는, 제1 구동원(31), 구동 풀리(21R), 종동 풀리(22R, 23R), 반송 벨트(24R), 종동 롤러(25R~29R)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풀리(21R), 종동 풀리(22R, 23R), 반송 벨트(24R), 종동 롤러(25R~29R)를, 반송되는 지폐의 폭 방향으로 2조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의 부호 R은, 지폐 처리 장치(1)의 정면에서 볼 때 우측에 위치하는 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우측에 위치하는 조의 반송 기구에 대해 설명을 행하지만, 좌측에 위치하는 조에 대해서도 제1 구동원(31)에 의해 마찬가지로 구동된다.
제1 구동원(31)은 구동 풀리(21R)를 회전 구동시킨다. 제1 구동원(31)은 모터 등의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부재이며, 제1 구동원(31)에서 발생한 회전 구동력은, 도시하지 않은 기어 등의 전달 기구에 의해 구동 풀리(21R)를 회전 구동시킨다. 반송 벨트(24R)는, 구동 풀리(21R), 종동 풀리(22R, 23R)에 감겨짐과 함께, 종동 롤러(25R~29R)에, 그 외주를 지지되어 배치되어 있다. 지폐 삽입구(12a)로부터 삽입된 지폐는, 반송 벨트(24R)와 종동 롤러(25R~29R) 사이에 끼워져, 지폐 반송로(15)의 안쪽 방향으로 반송된다.
지폐 반송로(15)를 반송되는 지폐는, 그 반송 도중에 식별 센서(아래에서 설명함)에 의해, 그 진위 판정, 종별 판정이 실행된다. 진위 판정에서 진짜라고 판정된 지폐는, 지폐 수납 상자(42)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반송되고, 지폐 수납 기구(41)의 가압부(411)에 의해, Z축 정(正)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지폐 수납 상자(42) 내의 지폐 수납부(423)에 저장된다. 이 지폐 수납 기구(41)는, 모터 등의 제2 구동원(32)에 의해 구동되는 지폐를 지폐 수납 상자(42)에 저장할 때, 판상의 가압부(411)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지폐 수납 상자(42)에는 원추 코일 스프링(422)으로 지지된 플레이트(4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폐 처리 장치(1)에서는, 부정 행위 방지를 위해 지폐 반송로(15)를 폐쇄하는 셔터(4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셔터(45)는 솔레노이드(46)의 구동력에 의해 지폐 반송로(15)에 설치된 관통 구멍(164)을 폐쇄하고, 진위 판정 실행 후의 지폐가 지폐 삽입구(12a) 측으로 되돌아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기구에 의해, 지폐에 실을 부착하고, 진위 판정 실행 후의 지폐를 지폐 삽입구(12a) 측으로 잡아당겨서 빼는 부정 행위를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음으로, 지폐 처리 장치(1)의 지폐의 삽입 및 지폐의 폭을 검출하는 입구 센서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지폐 처리 장치(1)의 지폐 반송로의 분기 및 입구 센서, 식별 센서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의 지폐 반송에서 설명을 행한 바와 같이, 지폐 처리 장치(1)는, 입구 센서와 식별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입구 센서는, 지폐 삽입구(12a) 근방의 지폐 반송로(15) 내에 배치되어 있다. 입구 센서는, 지폐 삽입구(12a)로부터 지폐가 삽입된 것, 및 지폐의 폭을 검출하는 센서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발광 소자(62), 복수의 수광 소자(64), 복수의 도광부(63a~63c)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도광부(63a~63c)는 프리즘 등 광로의 방향을 변경하는 광학 소자를 사용 가능하다.
발광 소자(62)는, LED 등으로 구성되고, 상시 또는 펄스 형상으로 도광부(63b)를 향해 광을 조사한다. 발광 소자(62)로부터 조사된 광은, 도광부(63b)를 통과한 후, 도광부(63c)에 입사된다. 도광부(63c)는 지폐 반송로(63)에 면하는 수광면과 조사면을 가지며, 수광면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내부 반사에 의해 조사면으로부터 조사시킨다. 따라서, 도광부(63b)로부터 지폐 반송로(15)를 향해서 조사된 광은, 도광부(63c)에 의해, 지폐 반송로(15)를 사이에 둔 수광 소자(64) 측으로 되돌려 보내져, 수광 소자(64)에 의해 수광된다.
지폐 반송로(15) 내에 지폐가 삽입된 경우, 수광 소자(64)로 되돌아가는 광은 지폐에 의해 차폐되고, 수광 소자(64)에 입사되는 광은 감쇠를 발생시킨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폐에 의해 발광 소자(62)로부터 도광부(63b)에 입사되는 광(가는 경로) 및 도광부(63c)로부터 수광 소자(64)에 입사되는 광(오는 경로) 양쪽에 대해, 지폐에 의한 감쇠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지폐 삽입시의 감쇠량을 충분히 취하여, 지폐 삽입구(12a) 등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란광에 의한 오검출의 억제가 도모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입구 센서는, 복수의 수광 소자 사이에서의 수광량의 차이로부터 삽입되는 지폐의 양단 부근의 삽입을 검지함으로써, 삽입된 지폐의 폭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 지폐 삽입 및 지폐의 폭을 검출하는 입구 센서의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입구 센서의 구성은 이러한 광학 센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계적으로 지폐의 삽입 상태 및 지폐의 폭을 검출하는 형태 등, 각종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지폐의 진위 및 권종을 식별하는 식별 센서는 지폐 반송로(15)에 걸쳐서 배치되는 발광 소자(65)와 수광 소자(66)의 조를 가지고 구성된다. 도 5에서는 1조의 발광 소자(65)와 수광 소자(66)의 1조가 표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발광 소자(65)와 수광 소자(66)는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지폐의 폭 방향의 복수 개소에 있어서 지폐의 특성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1)에서는, 폭이 상이한 지폐를 안정적으로 반송하기 위해, 입구 센서에 의해 검출된 지폐의 폭에 따라 가동벽(35R, 35L)을 이동시키는 폭 가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지폐 처리 장치(1)는, 반송 벨트(24R, 24L)에 의해 반송된 지폐를 지폐 수납부(423)에 저장하기 위해, 지폐 수납 기구(41)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폭 가변 기구와 지폐 수납 기구(41)의 동작을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지폐 처리 장치(1)의 부품 점수를 삭감함과 함께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1)는, 장치의 소형화, 비용 삭감, 유지 보수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도 6에는, 폭 가변 기구와 지폐 수납 기구를 연동시키는 연동 기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연동 기구의 사시도는, 좌표계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 1의 지폐 처리 장치(1)에 대해, 이면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이다. 연동 기구는, 모터 등, 구동력 발생원으로서의 제2 구동원(32), 제2 구동원(32)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캠(72)의 회전으로 변환하는 전달부(73), 캠(72)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주 링크(71)(본 발명의 「링크」)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캠(72)의 회전에 의해 주 링크(71)를 이동시키고 있지만, 주 링크(71)의 이동은 다른 구동 형태에 의해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폭 가변 기구는 가동벽(35R, 35L)을 이동시키기 위한 분기 링크(74R, 74L)를 구비한다. 초기 상태에 있어서 분기 링크(74R, 74L) 사이는, 양자 사이가 닫힌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초기 상태에서는, 가동벽(35R, 35L) 사이는 폭이 넓은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초기 상태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주 링크(71)가 초기 상태부터 하측 방향(Y축 부(負)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주 링크(71)의 선단에 설치된 돌출부(71b)가, 분기 링크(74R, 74L) 사이의 간격을 넓히고, 분기 링크(74R, 74L)에 연동되는 가동벽(35R, 35L)을 폭이 좁은 상태로 변경한다.
주 링크(71)에는 경사부(71c)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는, 지폐 수납 기구 측의 구성인 스택 샤프트(414)와 스택 롤러(414a)가 도시되어 있다. 스택 샤프트(414)는, 스택 샤프트 가이드(415)(도 13에서 설명함)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주 링크(71)가 상측 방향(Y축 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스택 롤러(414a)는, 주 링크(71)에 설치된 경사부(71c)에 올려 놓여져, 스택 샤프트(414)를 Z축 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지폐 수납 기구(41)는, 스택 샤프트(414)의 동작에 연동하여, 도 4에서 설명된 가압부(411)를 지폐 수납부(423) 측으로 이동시키고, 반송되어 온 지폐를 지폐 수납부(423)에 격납시킨다. 지폐 수납 기구(41)의 구성,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면, 폭 가변 기구에 대해서, 도 7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그 상세를 설명한다. 도 7에는, 반송 유닛(20)에 대해, 지폐 반송로(15)의 폭 가변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A-1), 도 7의 (A-2)는, 지폐 반송로(15)의 폭(W1)이 넓은 상태이고, 도 7의 (A-1)은 반송 유닛(20)의 정면도, 도 7의 (A-2)는 반송 유닛(20)의 사시도이다. 도 7의 (B-1), 도 7의 (B-2)는 지폐 반송로(15)의 폭(W2)이 좁은 상태이고, 도 7의 (B-1)은 반송 유닛(20)의 정면도, 도 7의 (B-2)는 반송 유닛(20)의 사시도이다.
도 7의 (A-2), 도 7의 (B-2)는 가동벽(35R, 35L)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결합부(741R, 741L)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A-2)와 도 7의 (B-2)를 비교해 보면, 제1 결합부(741R, 741L)의 위치가 상이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제1 결합부(741R, 741L)를 구동 기구로 조작함으로써, 가동벽(35R, 35L)의 위치가 변경된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연동 기구에 대해 폭 가변 기구의 동작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각 도면의 (A)는 연동 기구를 Z축 부의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각 도면의 (B)는 연동 기구 중 캠(72) 주변의 구성에 대해 Z축 정의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연동 기구가 동작하기 전의 초기 상태이다. 도 9는 연동 기구의 동작에 의해 가동벽(35R, 35L)이 이동하고, 지폐 반송로의 폭(W2)이 좁은 상태이다. 도 10은 연동 기구의 동작에 의해 지폐 수납 기구(41)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이며, 지폐 수납 기구(41)의 가압부(411)가 상사점(플레이트(421) 측으로 최대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 위치할 때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기구를 갖는 제2 구동원(32)의 구동력에 의해, 가동벽(35R, 35L)의 구동 기구와 지폐 수납 기구(41)를 구동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2 구동원(32)은 AC 모터이며, 제2 구동원(32)에서 발생한 구동력은 기어 등의 전달부(73)에 의해 캠(72)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으로 변환된다. 도 8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캠(72)에는, 회전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캠 돌기(7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주 링크(71) 측의 결합 구멍(71a)과 맞물려 있다. 캠(72)이 회전함으로써, 주 링크(71)를 상하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주 링크(71)의 상단에는 돌기부(71b)가 형성되어 있으며, 캠(72)의 회전에 의한 주 링크(71)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분기 링크(74R, 74L)의 하단에 설치된 제1 결합부(741R, 741L)에 닿아, 분기 링크(74R, 74L)의 하단의 간격을 넓힌다. 분기 링크(74R, 74L)의 하단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간격이 좁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분기 링크(74R, 74L)는, 회동부(742R, 742L)를 통하여 하우징(11) 측의 프레임(75)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분기 링크(74R, 74L)의 상단은, 제2 결합부(743R, 743L)를 통하여 가동벽(35R, 35L)과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주 링크(71)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좌우의 분기 링크(74R, 74L)의 하단의 간격은 넓혀지고, 좌우의 분기 링크(74R, 74L)의 상단의 간격은 좁혀진다. 따라서, 주 링크(71)가 아래쪽으로 이동함으로써, 가동벽(35R, 35L) 사이의 거리, 즉 반송로의 폭은 넓은 상태(도 8의 W1)에서 좁은 상태(도 9의 W2)로 변경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동벽(35R, 35L)의 구동 기구는, 지폐 수납 기구(41)의 구동 기구와 제2 구동원(32)을 공유하는 연동 기구로 되어 있다. 지폐 수납 기구(41)는, 주 링크(71)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가압부(411)를 지폐 수납 상자(42) 측으로 이동시키고, 고정벽(50) 내에 위치하는 지폐를 지폐 수납부(423)에 수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캠(72)의 캠 돌기(72a)가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상태, 즉 주 링크(71)가 가장 위쪽으로 밀어올려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 6에서 설명한 지폐 수납 기구(41) 측의 스택 롤러(414a)가 주 링크(71)의 경사부(71c)에 올려 놓여진 상태로 되어 있고, 지폐 수납 기구(41)의 가압부(411)를 이동시킨다. 도 10에 도시되는 상태는, 가압부(411)가 상사점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연동 기구에서는, 삽입된 지폐의 폭에 따라 가동벽(35R, 35L)을 이동시킴으로써, 가동벽(35R, 35L)을 따라 지폐를 반송로 중심부로 끌어당겨서 반송함과 함께, 지폐 수납 기구(41)를 동작시킴으로써, 반송된 지폐를 지폐 수납부(423)에 격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 있어서, 지폐 반송로(15) 중, 사선으로 나타내는 개소가 가동벽(35R, 35L)에 의해, 그 폭이 규제되는 부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폐 처리 장치는, 가동벽(35R과 35L)의 위치를 검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포토 인터럽터(photo interrupter)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지폐 처리 장치의 주제어부는 반송로의 폭이 좁은 상태인지, 넓은 상태인지를 인식 가능하게 하고 있다.
지폐 반송로(15)를 통과한 지폐는, 그 폭에 따라 고정벽(50R, 50L) 내에 형성된 제1 분기 반송로(55A) 또는 제2 분기 반송로(55B)로 반송된다. 이 고정벽(50R, 50L)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가동벽(35R, 35L)과 달리, 고정된 부재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벽(35R, 35L)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과, 고정벽(50R, 50L)에 의해 구성되는 부분을 분리함으로써, 가동 부분이 차지하는 부분을 적게 억제하여, 비용면, 유지 보수면에서 우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가동벽(35R, 35L) 부분을 포함한 반송 유닛(20)으로서, 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제조 공정의 용이화, 및 유지 보수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고정벽(50R, 50L)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분기 반송로(55A), 제2 분기 반송로(55B)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고정벽(50R, 50L)은, 가동벽(35R, 35L)으로 형성되는 지폐 반송로(15)에 의해 반송되어 온 지폐를, 분배를 위한 가동부를 갖지 않고, 지폐의 폭에 따라, 제1 분기 반송로(55A) 또는 제2 분기 반송로(55B)로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수납 상자(42)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벽(50R, 50L), 가동벽(35R, 35L)이 형성하는 지폐 반송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2의 (A)는 고정벽(50R, 50L)을 지폐의 입구 측에서 바라본(도 11에 있어서 Y축 부의 방향을 바라본) 도면이고, 도 12의 (B-1), 도 12의 (B-2)는 가동벽(35R, 35L)을 지폐의 출구 측에서 바라본(도 11에 있어서 Y축 정의 방향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의 (B-1)은 좁은 폭(W2) 상태이고, 도 12의 (B-2)는 넓은 폭(W1) 상태이다.
좌우의 고정벽(50R, 50L)은, 제1 벽(51R, 51L), 제2 벽(52R, 52L), 제1 벽(51R, 51L)과 제2 벽(52R, 52L) 사이에 배치된 격벽(53R, 53L)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제1 벽(51R, 51L)과 격벽(53R, 53L) 사이의 공간은, 넓은 폭(W1')의 제1 분기 반송로(55A)를 형성한다. 한편, 제2 벽(52R, 52L)과 격벽(53R, 53L) 사이의 공간은 좁은 폭(W2')의 제2 분기 반송로(55B)를 형성한다. 제2 분기 반송로(55B)의 좌우 양단에는, 경사면(54R, 54L)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는 좌측에 위치하는 경사면(54L) 측의 형상이 잘 나타나 있다.
가동벽(35R, 35L)에 의해 형성되는 지폐 반송로(15)는, 폭이 좁은 제2 분기 반송로(55B)와 마주보고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폭이 좁은 지폐는 지폐 반송로(15)로부터 제2 분기 반송로(55B)로 반송된다. 한편, 지폐 반송로(15)로부터 반송되어 온 폭이 넓은 지폐는, 그 좌우 양단이 경사면(54R, 54L)을 따르게 되고, 제1 분기 반송로(55A)로 반송된다. 따라서, 고정벽(50R, 50L) 측으로 반송되어 온 지폐는, 그 폭에 따라, 제1 분기 반송로(55A) 또는 제2 분기 반송로(55B)로 반송된다.
제1 분기 반송로(55A), 제2 분기 반송로(55B)는, 각각 폭이 넓은 지폐, 폭이 좁은 지폐에 적합한 폭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지폐의 중심 위치와 각 분기 반송로(55A, 55B)의 중심 위치가 대략 일치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반송되어 온 지폐를 지폐 수납부(423)에 수납하는 지폐 수납 기구(41)에 대하여, 그 구성, 동작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수납 기구(41)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수납 기구(4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지폐 수납 기구(41)의 대기 상태(지폐 처리 장치(1)의 초기 상태를 포함함)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의 (B)는, 지폐 수납 기구(41)의 동작시(가압부(411)의 상사점)를 도시한 도면이다. 지폐 수납 기구(41)는, 도 13의 (A)의 대기 상태에서, 주 링크(71)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따라, 팬터 그래프 기구가 교차하는 위치의 축에 설치된 스택 롤러(414a)가 주 링크(71)에 설치된 경사부(71c)에 밀려서, 지폐 수납부(423) 측으로 이동한다.
지폐 수납 기구(41)는 지폐를, 분기 반송로(55A, 55B) 측으로부터 지폐 수납부(423) 측으로 밀어넣는 가압부(411)(리프트 테이블)를 구비한다. 가압부(411)는 팬터 그래프 기구를 이용하여, 분기 반송로(55A, 55B)로부터 지폐 수납부(423) 방향으로 대략 직선적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가압부(411)를 지폐 수납부(423) 측으로 밀어넣는 기구에, 팬터 그래프 기구를 채용함으로써, 가압부(411)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부재(가이드)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 점수가 적고,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가압부(411)를 이동시키는 팬터 그래프 기구는, 제1 암(412)과 제2 암(413)의 조를 2조 구비하고 있다. 도 13은 단면도이기 때문에, 제1 암(412)과 제2 암(413)의 1조밖에 보이지 않지만, 실제로는, 깊이 방향으로 설치된 다른 한 조의 제1 암(412)과 제2 암(413)을 갖고, 가압부(411)는 2조의 제1 암(412)과 제2 암(413)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제1 암(412)과 제2 암(413)의 대략 중앙에는, 양자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에는 스택 샤프트(414)가 삽입되어 있다. 이 스택 샤프트(414)에는, 스택 롤러(414a)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스택 샤프트(414)는, 하우징(11) 측에 고정된 스택 샤프트 가이드(415)에 의해 좌우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1 암(412)은, 가압부(41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스(412a)와, 하우징(11) 측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스(412b)를 구비한다. 제2 암(413)은, 하우징(11) 측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스(413a)와, 가압부(411)에 형성된 긴 구멍(411a)과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스(413b)를 구비한다. 가압부(411)는, 하우징(11)에 대해 스프링(416)에 의해 항상 하우징(11)의 앞면측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팬터 그래프 기구에 의해, 가압부(411)가 지폐 수납부(423) 방향(Z축 부의 방향)으로 대략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 팬터 그래프 기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팬터 그래프 기구는, 도 6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캠(72)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주 링크(71)에 의해 동작한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주 링크(71)에는, 경사부(71c)가 설치되어 있고, 주 링크(71)가 위쪽으로 이동한 경우, 지폐 수납 기구(41)의 스택 롤러(414a)가 경사부(71c)에 올려 놓여져, 스택 샤프트(414)를 Z축 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13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택 샤프트(414)의 이동은, 팬터 그래프 기구를 여는 방향으로 동작시키고, 가압부(411)를 지폐 수납부(423) 측으로 대략 직선적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주 링크(71)의 상하 방향의 이동은,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캠(72)의 회전 운동에 의해 행하여지고 있다. 캠(72)에는, 그 회전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캠 돌기(7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캠 돌기(72a)는, 주 링크(71) 측에 설치된 좌우(X축 방향)로 긴 결합 구멍(71a)과 끼워 맞춰져 있다. 캠(72)은, 제2 구동원(32)의 구동력에 따라 회전 운동하여, 주 링크(71)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지폐 수납 기구(41)를 도 13의 (A)의 상태에서 도 13의 (B)의 상태로 변화시켜, 지폐를 지폐 수납부(423)에 격납한다. 그 후, 지폐 수납 기구(41)를 도 13의 (B)의 상태에서 도 13의 (A)의 상태로 복귀시키고, 다음의 지폐를 저장하기 위해 준비한다.
도 14는, 제2 분기 반송로(55B) 내로 반송된 폭이 좁은 지폐 B가, 지폐 수납 상자(42) 내의 지폐 수납부(423)에 수납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제1 분기 반송로(55A) 내로 반송된 폭이 넓은 지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공정에서 수납된다.
도 1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분기 반송로(55B) 내에 지폐 B의 반송이 완료된 경우, 도 1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 수납 기구(41)의 동작에 의해, 가압부(411)가 아래쪽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가압부(411)에 의해 아래쪽으로 눌려진 지폐 B는, 원추 코일 스프링(422)에 의해 지지된 플레이트(421)를 아래쪽으로 누르고, 지폐 수납부(423)에 수납된다. 도 14의 (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폐 수납 기구(41)의 동작에 의해 가압부(411)는 위쪽으로 복귀되게 되지만, 지폐 B의 양쪽은, 지폐 수납 상자(42)의 단부 등에 의해, 지폐 수납부(423) 내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 지폐 수납 기구(41)의 구성, 동작에 대해 설명을 행했지만, 본 실시 형태의 지폐 처리 장치(1)에서는, 지폐 수납 기구와 폭 가변 기구를 연동 기구에 의해 동작시킴으로써, 부품 점수의 절감 및 간략화를 도모하고, 지폐 처리 장치(1)의 소형화, 저비용화, 및 유지 보수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지폐 처리 장치는, 가압부(411)가, 도 13의 (A)에 도시하는 지폐 수납 기구(41)의 대기 상태(지폐 처리 장치(1)의 초기 상태를 포함함)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포토 인터랩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지폐 처리 장치의 주제어부는 가압부(411)가 대기 상태에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캠(72)의 회전 상태에 대한 각종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캠(72)은, 지폐 처리 장치(1)의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삽입된 지폐를 지폐 수납부(423)에 수납하는 경우, 캠(72)은 1회전함으로써 일련의 동작을 행한다. 도 15의 (A)는, 지폐가 삽입되기 전의 초기 상태(이때의 주 링크(71)의 위치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준 위치」에 상당함)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의 (A)의 상태에서는, 가동벽(35R, 35L) 사이는 폭이 넓은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지폐 수납 기구(41)는 도 13의 (A)에 도시하는 대기 상태로 되어 있다.
지폐가 삽입되고, 입구 센서에 의해 폭이 좁은 지폐라고 판정된 경우, 캠(72)을 회전시켜서 도 15의 (B)의 상태, 즉 가동벽(35R, 35L) 사이의 폭을 좁힌 상태(이때의 주 링크(71)의 위치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위치」에 상당함)로 변화시키고, 반송 벨트(24R, 24L)를 구동하여 지폐의 반송을 개시한다.
지폐가 지폐 수납부(423)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 캠(72)을 더 회전시킴으로써, 지폐 수납 기구(41)를 동작 개시시키고(도 15의 (C)), 도 13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압부(411)를 상사점(이때의 주 링크(71)의 위치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위치」에 상당함)에 위치시키고(도 15의 (D)), 지폐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어 온 지폐를, 지폐 수납 기구(41)에 의해 지폐 수납부(423)에 수납시킨다. 그 후, 캠(72)을 더 회전시키고, 지폐 수납 기구(41)의 동작을 종료시킨다(도 15의 (E)). 캠(72)은, 도 15의 (E)의 상태에서 더 회전하여 도 15의 (A)의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한편, 입구 센서에 의해 넓은 지폐라고 판정된 경우, 지폐 삽입 직후에는 캠(72)을 회전시키지 않고, 가동벽(35R, 35L) 사이는 폭이 넓은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반송 벨트(24R, 24L)를 구동하여 지폐의 반송을 개시한다. 지폐가 지폐 수납부(423)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 캠(72)의 회전을 개시시키고, 도 15의 (B)의 상태를 거친 후, 폭이 좁은 지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5의 (C), 도 15의 (D), 도 15의 (E)를 거침으로써, 지폐 수납 기구(41)를 동작시켜, 반송되어 온 지폐를 지폐 수납부(423)에 격납한다. 그리고, 캠(72)은, 도 15의 (E)의 상태에서 더 회전하여 도 15의 (A)의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지폐 처리 장치(1)는, 가동벽(35R, 35L)의 폭 가변 타이밍과 지폐 수납 기구(41)의 동작 타이밍을 고려하여, 폭 가변 기구와 지폐 수납 기구(41)를 연동 동작시키고 있다.
이상 설명한 지폐 처리 장치(1)에 대해 그 제어를 설명한다. 도 16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1)의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지폐 처리 장치(1)는, 제어부(81)를 중심으로 한 각종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는, CPU,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ROM, 센서류의 출력을 디지털 변환하는 D/A 변환부, 센서류의 출력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 등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지폐 처리 장치(1)에 설치된 센서류로서는, 지폐 삽입구(12a) 근방에 설치되고, 지폐의 삽입 및 지폐의 폭을 검출하는 입구 센서(60A)와, 지폐의 진위 판정, 종별 판정을 행하는 식별 센서(60B)를 갖고 있다.
지폐 반송 기구에는, 구동 풀리(21)를 회전 구동시키고, 반송 벨트(24R, 24L)로 지폐를 반송하는 제1 구동원(31), 지폐 수납 상자(42)에 지폐를 격납하는 지폐 수납 기구(41), 및 폭이 상이한 지폐에 대응하기 위한 가동벽(35R, 35L)을 동작시키는 제2 구동원(32)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지폐 반송 기구는, 반송 벨트(24R, 24L)에 의해 지폐를 반송하는 것으로서 설명을 행했지만, 반송 벨트(24R, 24L) 대신에 롤러에 의해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 반송 기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1)의 지폐 수납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지폐 수납 처리는, 지폐 처리 장치(1)에 대한 전원 투입 후, S101~S112의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입구 센서(60A)에 의해 지폐의 삽입이 검출된 경우(S101: Yes), 입구 센서(60A)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삽입된 지폐의 폭이 판정된다. 판정된 지폐의 폭이 제2 폭(폭이 좁음)인 경우(S102: 제2 폭), 지폐 폭 검출 직후의 제1 타이밍에서 제2 구동원(32)을 구동 개시하고, 가동벽(35R, 35L)을 폭이 좁은 상태로 변화시킨다(S103). 삽입된 지폐의 폭에 적합한 반송로 폭으로 변경한 후, 제1 구동원(31)을 구동 개시하여, 지폐의 반송을 개시한다(S104).
한편, 판정된 지폐의 폭이 제1 폭(폭이 넓음)인 경우(S102: 제1 폭), 제1 구동원(31)을 구동 개시하여 지폐의 반송을 개시한다(S105). 가동벽(35R, 35L)의 초기 상태는, 도 10의 (B-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W1)의 상태, 즉 폭이 넓은 지폐에 적합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삽입된 지폐의 폭에 따라, 지폐 반송로(15)의 폭을 적절한 상태로 함으로써, 삽입된 지폐를 안정적으로 반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적절한 지폐 반송로(15)의 폭을 사용하여 지폐를 반송함으로써, 지폐 반송로(15)에 설치된 식별 센서(60B)(발광 소자(65)와 수광 소자(66))에 의해, 반송되는 지폐의 소정 위치를 검출하고, 식별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지폐 반송로(15) 내에서의 지폐 반송 과정에 있어서, 지폐 반송로(15)의 도중을 셔터(45)로 폐쇄 후, 식별 센서(60B)로 지폐의 진위 판정, 종별 판정이 행하여진다(S106). 진위 판정은 지폐가 진짜인지 가짜인지에 대한 판정이며, 종별 판정은 복수 종류의 지폐 중에서 어떠한 지폐 종별인지의 판정이다. 식별 센서(60B)에 의한 진위 판정에서, 삽입된 지폐가 진짜인 경우(S107: Yes), 반송 기구에 의해 지폐를 고정벽(50R, 50L)으로 형성된 제1 분기 반송로(55A) 또는 제2 분기 반송로(55B)로 반송한다(S108). 그리고, 제2 구동원(32)을 구동하여 지폐 수납 기구(41)를 동작시키고, 지폐를 지폐 수납부(423)에 수납한다(S109).
지폐 수납부(423)에의 지폐 수납에 따라, S106에서 판정된 지폐 종별에 대응하는 금액이 삽입 금액으로서 가산된다(S110). 그리고, 제1 구동원(31), 제2 구동원(32)의 구동을 정지함과 함께, 솔레노이드(46)를 구동 정지하여 지폐 반송로(15)를 개방 상태로 되돌린다(S111).
한편, 식별 센서(60B)에 의한 진위 판정에서, 삽입된 지폐가 위조 지폐인 경우(S112: No), 반송 기구를 반전 구동하여, 지폐를 역방향(지폐 삽입구(12a) 측)으로 반송한다. 지폐의 배출이 확인된 경우(S113: Yes), 제1 구동원(31), 제2 구동원(32), 솔레노이드(46)를 구동 정지시킨다(S111).
이상, 지폐 처리 장치(1)를 예로 해서 설명을 행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처리 장치는, 지엽류로서 지폐뿐만 아니라, 금권, 쿠폰권, 유가 증권 등 각종 지엽류를 식별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처리 장치(1)에 대해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기차표 자동 판매기 등, 지폐 처리 장치(1)를 내장하는 각종 장치에서는, 복수의 지폐를 접수 가능하게 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복수의 지폐를 신속하게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폐 처리 장치(1)에서는, 지폐의 연속 삽입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지폐의 연속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지폐 접수 처리에 특징을 갖는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캠의 상태에 대한 각종 동작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의 (A)는, 도 15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캠(72)의 상태에 대한 각종 동작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의 (A)에 있어서, 주 링크(71)는, 도 15의 (A)와 동일한 기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1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캠(72)의 회전에 따라 캠 돌기(72a)의 위치가 변화됨으로써, 주 링크(71)는 그 위치를 상하로 변화시킨다. 주 링크(71)의 위치 변화에 따라, 가동벽(35R, 35L)의 이동에 의한 폭 가변 동작 및 지폐 수납 기구(41)에 의한 수납 동작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8의 (A)에 있어서, 주 링크(71)가 기준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한 경우, 폭 가변 동작이 실행된다. 폭 가변 동작에서는, 주 링크(71)가 가장 아래쪽(제1 위치)에 위치했을 때, 2개의 가동벽(35R, 35L) 사이는, 폭이 좁은 지폐에 대응한 거리로 된다. 한편, 주 링크(71)가 기준 위치로부터 위쪽으로 이동한 경우, 지폐 수납 기구(41)에 의한 수납 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기준 위치 및 수납 동작 중에는, 2개의 가동벽(35R, 35L) 사이는 폭이 넓은 지폐에 대응한 거리로 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캠(72)은 도면 중, 반 시계 방향(정회전)으로 회전할 뿐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처음에 폭이 넓은 지폐가 삽입된 경우, 그 폭이 넓은 지폐를 지폐 수납부(423)에 수납하기 위해서는, 폭 가변 동작을 행한 후(제1 위치를 통과시킨 후)에, 수납 동작을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다음에 삽입된 지폐가 폭이 넓은 지폐인 경우, 폭 가변 동작에 의해 양 가동벽(35R, 35L) 사이의 거리는, 폭이 좁은 지폐에 대응한 거리로 되기 때문에, 지폐의 삽입을 방해하게 된다.
도 18의 (B)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캠(72)의 상태에 대한 각종 동작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캠(72)은, 양방향(정회전, 역회전)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캠(72)의 상태에 따라 캠(72)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으로써, 필요없는 폭 가변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수납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8의 (B)의 상태에 있어서, 폭이 넓은 지폐가 삽입된 경우, 캠(72)을 역회전(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폭 가변 동작을 수반하지 않고 수납 동작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후속 지폐가 폭이 넓은 지폐이어도, 그 삽입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한, 후속 지폐가 폭이 좁은 지폐인 경우, 이전 지폐가 저장된 후, 폭 가변 동작을 행함으로써, 그 위치가 적절하게 조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캠(72)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지폐의 연속 삽입에 대응 가능하게 하고 있다. 각종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며, 지폐 수납 처리에 대하여, 그 처리 내용이 상이하다. 여기서는, 본 실시 형태의 지폐 수납 처리에 대하여, 그 처리 내용을 설명한다. 도 19, 도 2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지폐 수납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9, 도 20, 및 다음의 설명 중, 괄호로 표시하는 알파벳(A)~(D)는, 각각 도 15의 (A)~(D)의 상태에 대응하고 있다. 도 17에서 설명한 지폐 수납 처리에서는, (A)의 캠(72)의 상태를 초기 상태로 하였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A)의 상태, 또는 (C)의 상태(모두 주 링크(71)는 기준 위치에 위치함)를 지폐 수납 처리에 있어서의 캠(72)의 초기 상태로 하고 있다.
지폐 처리 장치(1)가 기동하고, 지폐 수납 처리가 개시되면, 입구 센서(60A)에 의해 지폐의 삽입을 감시한다(S201). 입구 센서(60A)에 의해 지폐의 삽입이 검출된 경우(S201: Yes), 입구 센서(60A)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삽입된 지폐의 폭이 판정된다. 지폐의 삽입 판정 후, 플래그가 초기화된다(S202). 플래그는 제어부(81) 내의 기억부에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식별 정보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래그가 「1」인 경우를 연속된 지폐의 삽입이 검출된 상태, 「0」인 경우를 연속된 지폐의 삽입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로 하고 있다. 입구 센서(60A)에 의해 검출된 지폐의 폭이 제1 폭(폭이 넓음)인 경우(S203: 제1 폭), 제1 구동원(31)을 구동 개시하여 지폐의 반송을 개시한다(S210). 가동벽(35R, 35L)의 초기 상태는, 넓은 지폐에 적합한 상태이기 때문에 폭 가변 동작은 실행하지 않는다.
지폐는 일시 보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반송된다. 일시 보류 위치란, 지폐의 후단이 지폐 반송로(15) 중 식별 센서(60B)의 하류에 위치한 위치이다. 지폐 처리 장치(1)는, 자동 판매기 등의 지폐 처리 장치(1)가 부착된 장치(이하 「상위 장치」라고 함)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를 가지고 있지만, 도 16에 도시하는 제어 구성에서는, 상위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생략하여 기재하였다. 지폐가 일시 보류 위치까지 반송된 것을 판정한 경우(S211: Yes), 제1 구동원(31)을 정지하여 지폐의 반송을 정지한다(S212). 그리고, 지폐를 빼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폐 반송로(15)를 셔터(45)로 폐쇄한다. 그 후, 식별 센서(60B)에서 판독한 신호에 기초하여, 지폐의 진위 판정, 종별 판정을 수행한다(S213).
단계 203에 있어서 입구 센서(60A)에 의해 검출된 지폐의 폭이 제2 폭(폭이 좁음)인 경우(S203: 제2 폭), 제어부(81)는, 현재의 캠(72)의 위치가, (A)의 초기 상태 또는 (C)의 초기 상태인지를 판정한다(S204). 현재의 캠(72)의 위치가, (A)의 상태인 경우, 캠(72)을 (B)의 위치까지 정회전시켜, 2개의 가동벽(35R, 35L) 사이를, 폭이 좁은 지폐에 대응한 거리로 변경하는 폭 가변 동작을 실행한다(S205). 한편, 현재의 캠(72)의 위치가, (C)의 상태인 경우, 캠(72)을 (B)의 위치까지 역회전시켜, 폭 가변 동작을 실행한다(S206). 그 후, 제1 구동원(31)을 구동 개시하여 지폐의 반송을 개시하고(S207), 지폐가 일시 보류 위치까지 반송된 것(S208: Yes)을 조건으로 해서, 제1 구동원(31)을 정지하고, 제2 구동원(32)에 의해 캠(72)을 정회전시켜 (C)의 상태로 변경한다(S209). 이 경우에도, 제1 폭의 지폐와 마찬가지로, 지폐를 빼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폐 반송로(15)를 셔터(45)로 폐쇄한다. 그 후, 식별 센서(60B)에서 판독한 신호에 기초하여, 지폐의 진위 판정, 종별 판정을 수행한다(S213).
진위 판정의 결과, 삽입된 지폐가 진짜인 경우(S214: Yes), 제어부(81)는, 판정된 지폐의 종류에 기초한 금액 등을 상위 장치(자동 판매기)에 송신하고(S215), 상위 장치로부터 임시 보류한 지폐를 수납부에 수납하는 명령(이하, 수금 명령이라고 함)을 기다린다. 이 수금 명령을 기다리는 기간, 지폐는 일시 보류 위치에서 대기하게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기간 동안, 입구 센서(60A)에 의해 후속하는 지폐의 삽입(지폐의 연속 삽입)을 감시한다(S216). 지폐의 삽입을 검출한 경우(S216: Yes), 제어부(81)는 플래그를 「1」로 변경하고 (S217), 지폐 삽입을 검출한 것을 상위 장치에 통지한다. 제어부(81)는, 상위 장치로부터 수금 명령을 수신한 경우(S218: Yes), 제1 구동원(31)을 구동하여 지폐를 수납 가능 위치(플레이트(421)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반송한다(S219).
한편, 진위 판정의 결과, 삽입된 지폐가 진짜가 아닌 경우(S214: Yes), 제어부(81)는 셔터(45)를 해방한 후, 제1 구동원(31)을 반전 구동하여(S220) 지폐를 역방향(지폐 삽입구(12a) 측)으로 반송한다. 제1 구동원(31)의 반전 구동은, 지폐가 배출될 때까지(S221: Yes) 실행된다. 단계 222에 있어서, 현재의 캠(72)의 위치가, (C)의 상태인 경우, (D), (E)를 순서대로 통과시키도록 캠(72)을 정회전시킴으로써, 수납 동작을 실행시킨다(S223). 캠(72)은, (A)의 위치에 도달할 때(S226: Yes)까지 회전 구동된다. 이 기간 중에 있어서도, 입구 센서(60A)에 의한 지폐의 연속 삽입의 감시(S224)를 실행하여, 연속 삽입을 검출한 경우(S224: Yes), 플래그는 「1」로 변경된다(S225).
캠(72)(A)의 위치에 도달한 후(S226: Yes), 제어부(81)는 플래그에 기초하여, 지폐의 연속 삽입의 유무를 판정한다(S227). 지폐의 연속 삽입 있음이라고 판정한 경우(S227: Yes)에는, 캠을 정지하여(S233), 지폐 수납 처리의 흐름의 개시로 되돌아간다. 그 지폐 처리 장치는 흐름에 따라 연속 삽입된 지폐를 수납한다.
한편, 지폐의 연속 삽입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S227: No), 캠(72)을 (A)의 위치로부터 정회전시켜, (C)의 위치로 변경한다(S228). 먼저, 캠(72)의 2개의 초기 상태((A)와 (C))를 취할 수 있다고 설명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C)의 위치를 바람직한 초기 상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지폐의 연속 삽입을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캠(72)을 정회전시켜, (C)의 초기 상태로 변경하고 있다. 이 경우, 폭 가변 동작을 수반하게 되지만, 연속 삽입된 지폐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문제는 없다. 한편, 지폐의 연속 삽입을 검출한 경우에는, (A)의 상태를 그대로 초기 상태로 하고, 폭 가변 동작을 실행하지 않는다.
한편, 단계 222에 있어서 현재의 캠(72)의 위치가, (A)의 상태인 경우, 먼저 지폐의 연속 삽입의 유무를 확인한다(S229). 지폐의 연속 삽입 있음이라고 판정한 경우(S229: Yes), (E), (D)를 순서대로 통과시키도록, 캠(72)을 역회전시킴으로써 수납 동작을 실행한다(S230). 이와 같이, 지폐의 연속 삽입이 있는 경우에는, 캠(72)을 역회전시킴으로써 수납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폭 가변 동작을 수반하지 않고 수납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제어부(81)는, 수납 동작의 완료 후, 캠(72)을 (C)의 위치로 될 때(S231: Yes)까지 역회전시켜, 캠(72)을 정지시킨다(S232). 이 경우, 캠(72)의 위치는 바람직한 초기 상태이기 때문에, 캠(72)을 회전시키지 않고, 지폐 수납 처리의 흐름의 개시로 되돌아간다.
한편, 지폐의 연속 삽입 없음이라고 판정한 경우(S229: No), (D), (E)를 순서대로 통과시키도록, 캠(72)을 정회전시킴으로써 수납 동작을 실행하고(S223), 후속하는 처리(S224~S228)를 실행한다.
제2 구동원(32)과 연동 기구(82) 등 각종 기구의 동작상, 캠(72)은 가능한 한 정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속 삽입을 검출하지 않는 경우(S227: No)에는, 바람직한 초기 상태(C)로 변경하는 것(S228)이나, 연속 삽입을 검출하지 않는 경우(S229: No)에는, 캠(72)을 정회전시킴으로써, 수납 동작을 실행함(S223)으로써, 캠(72)의 정회전 이용률을 높이게 하고 있다.
이상, 지폐의 연속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지폐 수납 처리에 대해 설명을 행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폐의 연속 삽입을 검출한 경우, 폭 가변 동작을 수반하지 않고, 수납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양 가동벽(35R, 35L) 사이의 거리가 폭이 좁은 지폐에 대응한 거리가 되지 않기 때문에(통로 폭이 좁아지지 않기 때문에), 후속하는 지폐의 삽입을 방해하는 일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실시 형태의 구성을 적절히 조합하여 구성한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범주가 될 것이다.
1: 지폐 처리 장치(지엽류 처리 장치)
11: 하우징
12: 앞면부 커버
12a: 지폐 삽입구
15: 반송로
164: 관통 구멍
20: 반송 유닛
21R, 21L: 구동 풀리
23R, 23L: 종동 풀리
24R, 24L: 반송 벨트
25~29 (R, L): 종동 롤러
31: 제1 구동원
32: 제2 구동원
35R, 35L: 가동벽
41: 지폐 수납 기구
411: 가압부
412: 제1 암
412a, 412b: 보스
413: 제2 암
413a, 413b: 보스
414: 스택 샤프트
414a: 스택 롤러
415: 스택 샤프트 가이드
416: 스프링
42: 지폐 수납 상자
421: 플레이트
422: 원추 코일 스프링
423: 지폐 수납부
45: 셔터
46: 솔레노이드
50R, 50L: 고정벽
51: 제1 벽
52: 제2 벽
53: 격벽
54: 경사면
55A: 제1 분기 반송로
55B: 제2 분기 반송로
61R, 61L: 입구 센서
62: 발광 소자
63a, 63b, 63c: 도광부
64: 수광 소자
65: 발광 소자
66: 수광 소자
71: 주 링크
71a: 결합 구멍
71b: 돌기부
71c: 경사부
72: 캠
72a: 캠 돌기
73: 전달부
74R, 74L: 분기 링크
741R, 741L: 제1 결합부
742R, 742L: 회동부
743R, 743L: 제2 결합부
75: 프레임
81: 제어부
82: 연동 기구

Claims (5)

  1. 삽입된 지엽류의 폭을 검출하는 입구 센서와,
    삽입된 지엽류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로와,
    상기 반송로에 설치되어 삽입된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상기 반송로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벽과,
    상기 가동벽을 이동시키는 폭 가변 기구와,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된 지엽류를 지엽류 수납부에 수납하는 지엽류 수납 기구와,
    상기 폭 가변 기구와 상기 지엽류 수납 기구를 동작시키는 연동 기구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동 기구는 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링크를 갖고,
    상기 링크가 기준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폭 가변 기구는, 상기 반송로가 제1 폭이 되도록 상기 가동벽을 위치시키고,
    상기 링크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폭 가변 기구는, 상기 반송로가 제2 폭이 되도록 상기 가동벽을 위치시키고,
    상기 링크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지엽류 수납 기구에 지엽류를 수납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구 센서에 의해 검출된 지엽류의 폭에 따라 제1 처리 또는 제2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고,
    상기 제1 처리는 상기 링크를 상기 기준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지엽류를 반송한 후, 상기 링크를 상기 제2 위치에 위치시켜서, 상기 지엽류 수납 기구에 지엽류를 수납시키고,
    상기 제2 처리는 상기 링크를 상기 제1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지엽류를 반송한 후, 상기 링크를 상기 제2 위치에 위치시켜서, 상기 지엽류 수납 기구에 지엽류를 수납시키는 지엽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의 상기 제1 폭은 상기 반송로의 상기 제2 폭보다 넓은 지엽류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회전 운동하는 캠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캠의 1회전 중에, 상기 링크를 상기 기준 위치,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에 위치시키는 지엽류 처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는, 상기 지엽류 수납 기구에 의한 지엽류의 수납 전에, 후속하는 지엽류의 삽입을 검출한 경우, 상기 링크를 상기 제1 위치를 통과시키지 않고 상기 제2 위치에 위치시켜서, 상기 지엽류 수납 기구에 지엽류를 수납시키는 지엽류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회전 운동하는 캠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캠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링크를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를 통과시키지 않고, 상기 제2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지엽류 수납 기구에 의한 지엽류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KR1020167011336A 2013-11-15 2014-09-29 지엽류 처리 장치 KR1017793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36729 2013-11-15
JPJP-P-2013-236729 2013-11-15
JP2014137112A JP6265379B2 (ja) 2013-11-15 2014-07-02 紙葉類処理装置
JPJP-P-2014-137112 2014-07-02
PCT/JP2014/075888 WO2015072236A1 (ja) 2013-11-15 2014-09-29 紙葉類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384A KR20160063384A (ko) 2016-06-03
KR101779309B1 true KR101779309B1 (ko) 2017-09-18

Family

ID=53057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336A KR101779309B1 (ko) 2013-11-15 2014-09-29 지엽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65379B2 (ko)
KR (1) KR101779309B1 (ko)
CN (1) CN105765635B (ko)
HK (1) HK1221322A1 (ko)
WO (1) WO20150722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58537B (zh) * 2017-12-11 2023-10-24 浙江维融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兑换机
US11008189B2 (en) * 2019-05-17 2021-05-18 Xerox Corporation Parallel edge guides for sheet offs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8990A (ja) 2004-05-25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紙幣識別装置
JP2008134679A (ja) 2006-11-27 2008-06-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紙幣識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0106A (ja) * 1992-11-05 1994-05-31 Nippon Conlux Co Ltd 紙幣識別装置
JPH0731746B2 (ja) * 1992-12-21 1995-04-10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装置
JP2008146143A (ja) * 2006-12-06 2008-06-26 Oki Electric Ind Co Ltd 紙幣整理装置
JP5485662B2 (ja) * 2009-11-24 2014-05-0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紙幣分別方法及び紙幣分別プログラム
JP5286295B2 (ja) * 2010-01-22 2013-09-1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収納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8990A (ja) 2004-05-25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紙幣識別装置
JP2008134679A (ja) 2006-11-27 2008-06-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紙幣識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65635A (zh) 2016-07-13
WO2015072236A1 (ja) 2015-05-21
KR20160063384A (ko) 2016-06-03
JP2015118692A (ja) 2015-06-25
HK1221322A1 (zh) 2017-05-26
CN105765635B (zh) 2018-09-21
JP6265379B2 (ja) 201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50106A (ja) 紙幣識別装置
JP2006143383A (ja) 紙幣取扱装置、及び紙幣収納ユニット
US8245830B2 (en) Paper currency handling device
KR101779309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JP5024949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H11339098A (ja) 紙幣処理装置
KR101779310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KR101801497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JP2009129235A (ja) 紙葉類処理装置
EP2053567B1 (en) Paper sheet processsing apparatus
JP5209977B2 (ja) 紙葉類処理装置
WO2016103927A1 (ja) 紙幣処理装置
JP2002145462A (ja) 紙幣処理装置
JP2004348354A (ja) 紙幣処理装置
KR20050116657A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입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4265511B2 (ja) 紙幣収納庫、紙幣処理装置および金銭処理装置
JP3302504B2 (ja) 紙幣処理装置
KR20150125227A (ko)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 장치
JP2015046120A (ja) 紙葉類識別装置
JP3393622B2 (ja) 紙幣搬送識別装置
JPH067424Y2 (ja) 貨幣鑑別装置
JPH10307940A (ja) 硬貨処理機
JPH11272904A (ja) 紙幣一括払出装置のリジェクト装置
JP2008027289A (ja) 紙幣識別装置
JP2006099578A (ja) 紙幣処理装置および金銭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