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5227A -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 장치 - Google Patents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5227A
KR20150125227A KR1020140052234A KR20140052234A KR20150125227A KR 20150125227 A KR20150125227 A KR 20150125227A KR 1020140052234 A KR1020140052234 A KR 1020140052234A KR 20140052234 A KR20140052234 A KR 20140052234A KR 20150125227 A KR20150125227 A KR 20150125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s
banknote
bill
dru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행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른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to KR1020140052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5227A/ko
Publication of KR20150125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7Align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투입된 지폐의 정렬, 인식, 다수매의 에스크로 보유, 지폐의 적재를 위한 수납장치를 구비한 에스크로형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에서 지폐가 이송하는 경로 상의 잼 등의 제거의 용이성 확보를 위해 다수의 착탈부를 가지고 있어서 지폐의 모든 이송 경로에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여 잼 발생 매체의 제거가 용이한 구조를 취하면서, 착탈 시에 기 적재된 지폐의 접근을 차단하는 구조의 장치가 구비되어 잼 제거 또는 착탈부의 개폐 시 기 적재된 지폐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 장치{Security Apparatus of Banknotes Payment Machine with Escrow Function}
본 발명은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입된 지폐를 중앙 정렬하여 인식한 다음 이를 일시적으로 감김 상태로 유지하였다가 지폐를 선단 정렬한 후 수납함에 수납하는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 입출금장치는 직원을 통하지 않고 컴퓨터를 이용하여 직접 금융 거래를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기기로서, 은행 점포에 마련된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Automatic Teller Machine), 지하철 또는 버스 터미널 등에서 교통카드의 충전 등과 같이 지폐의 투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지폐 입출금장치는 지하철, 버스 터미널 등의 역사에서 교통카드의 충전 및 발급, 놀이시설의 입장권 발급 등과 같이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직접 지폐의 투입 또는 지폐를 배출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폐 입출금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지폐입출금장치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지폐 입출금장치에는 고객이 입출금을 위하여 지폐를 투입하거나 수취하기 위한 입출금부(1), 상기 입출금부(1)를 통해 입출금 되는 지폐가 이송되는 반송로(2), 상기 반송로(2) 상에 설치되어 지폐의 이상 유무를 감별하는 감별부(3), 상기 감별부(3)를 거친 후 입금된 지폐가 일시적으로 적재되는 일시 저장부(4), 고객으로부터 입금된 지폐가 적재되고 적재된 지폐가 출금됨으로써 환류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리사이클 박스(5), 상기 감별부(3)에서 이상 지폐로 감별된 지폐가 수납되는 리젝트박스(6)가 구비된다.
도 2는 종래의 입출금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 개략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입출금부에는 셔터(11), 상기 셔터(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폐를 수납하는 트레이(12), 상기 트레이(12) 내부에 설치되어 고객이 투입한 지폐가 적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플레이트(13)와 제2 플레이트(14)가 구비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트레이(1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고, 제1 플레이트(13)와 제2 플레이트(14) 사이에 투입된 지폐는 분리부(16)를 통해 낱장 분리되며, 리젝트권으로 판별된 지폐는 제2 플레이트(14)와 제3 플레이트(15) 사이 공간으로 시트롤러(17)에 의해 투입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트레이(12) 내부에 설치된 플레이트(13,14,15)가 3개이고, 지폐 출금 시에는 시트롤러(17)에 의해 제2 플레이트(14)와 제3 플레이트(15) 사이에 지폐가 적재되는데, 만약 고객이 출금 처리된 지폐를 수취하지 않은 경우에는 분리부(16)를 통해 지폐를 분리할 수 없고, 3개의 플레이트(13,14,15) 위치를 입출금 시 각각 제어해야 하므로 그 구동구조가 복잡해지게 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지폐 입출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은 고객이 투입한 지폐를 수납하고 지폐 입출금 시 선회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내부에 지폐를 적재하기 위한 복수의 플레이트와 상기 트레이 내부에 적재된 지폐를 낱장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와 리사이클박스로부터 인출된 지폐를 상기 트레이 내부에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를 구비한 지폐입출금장치로서, 상기 트레이는 입금을 위한 입금위치와 지폐의 낱장 분리를 위한 분리위치 및 출금을 위한 출금위치로 선회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상기 트레이의 지폐수납공간 전방에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지폐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제2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트레이가 분리위치로 선회 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 적재된 지폐의 정렬된 선단부위에 접촉되어 지폐를 낱장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제1플레이트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트레이가 출금위치로 선회된 경우 지폐를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 사이에 이송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트레이의 입금위치와 출금위치는 지폐가 투입되는 측이 높은 경사진 상태가 되고, 상기 트레이의 분리위치는 상기 트레이가 수직으로 세워진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현금 및 수표 번들 입금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현금 및 수표 번들 입금기에는 투입구 셔터(shutter)의 개방 후 번들 상태의 지폐 및 수표를 상기 입금기 내부로 흡입하도록 상기 입금기 본체의 전방 상부에 위치되는 번들수납모듈, 상기 번들수납모듈로부터 흡입된 지폐 및 수표를 1장씩 분리하여 2매 검지를 수행한 후 낱장으로 이송하도록 상기 번들수납모듈의 후방에 위치되는 반송로모듈, 낱장 이송되는 지폐의 진위판별 및 수표의 이미지를 확인하는 BC모듈이 포함된다.
상기 BC모듈에서 이송되는 지폐 또는 수표가 낱장 투입되어 정렬하는 얼라인모듈, 상기 얼라인모듈로부터 이송되는 수표의 데이터를 독취하도록 상기 얼라인모듈의 수직 하방에 위치되는 인식모듈, 상기 인식모듈로부터 이송된 지폐 또는 수표를 에스크로하도록 상기 인식모듈에 수평하게 상기 입금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되는 에스크로모듈이 포함된다.
상기 에스크로모듈에 에스크로된 수표에 배서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인식모듈과 상기 에스크로모듈의 사이에 위치되는 프린트모듈, 상기 BC모듈에 의해 확인되지 않는 리젝트권과 고객의 수납취소에 의한 상기 에스크로모듈에 에스크로된 지폐 또는 수표를 상기 번들수납모듈을 통해 배출하도록 상기 입금기 본체의 중앙에 위치되는 리젝트모듈이 포함된다.
상기 에스크로모듈에 에스크로 된 지폐, 상기 프린트모듈을 통과하여 배서가 완료된 수표와 상기 리젝트모듈을 통해 상기 번들수납모듈로 배출된 리젝트권의 취망회수권과 상기 인식모듈에서 위조권으로 인식된 지폐 또는 수표를 구분하여 수납하도록 상기 입금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카세트부를 포함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54058호(2009년 5월 29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11287호(2013년 1월 30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 1에 따른 지폐 입출금장치는 지폐의 선단을 정렬하여 지폐 분리가 이루어지는 이점은 있으나, 트레이가 지폐의 입금위치, 분리위치 및 출금위치로 선회하여야 하므로 지폐 입출금장치의 전체 크기가 커지게 되고, 지폐의 투입 시 지폐를 정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 2에 따른 현금 및 수표 번들 입금기는 지폐와 수표를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얼라인 모듈에 의해 지폐와 수표가 일측으로 정렬되면서 지폐와 수표의 구김이 발생하게 되고, 권종에 따라 각각 크기(폭)이 달라 지폐의 정렬이 원하는 상태로 정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정렬몸체에 다수의 주행롤러, 사행롤러 및 경사조절부를 구비하게 되어 이들 부품에 따른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이들 롤러 또는 경사조절부와 정렬몸체의 밀착 상태에 따라 정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기 다른 크기로 이루어진 지폐의 권종에 구분 없이 지폐를 중앙 정렬할 수 있는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입된 지폐가 중앙 정렬된 후 지폐의 위조 여부 등을 판단하여 지폐를 보다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롤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면이 물결(파동) 모양으로 이루어져 투입되는 지폐의 강성을 높여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폐 투입구로 투입된 여러 장의 지폐를 정렬하여 일시적으로 감고 있다가 이들 지폐의 선단을 재정렬할 수 있는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명한 렌즈와 검출센서에 의해 여러 장의 지폐 선단이 서로 일치되도록 정렬하여 일시적으로 감아둘 수 있는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폐의 선단을 일치시켜 지폐를 수납할 수 있는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앙 정렬 및 선단이 정렬된 지폐를 수납할 수 있는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납함에 수납된 지폐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는 투입된 지폐를 중앙 정렬하는 중앙 정렬부 및 상기 중앙 정렬부에서 정렬된 지폐를 인식하는 지폐 이송장치, 상기 지폐 이송장치를 거쳐 투입된 다수의 지폐를 드럼에 일시적으로 감은 다음 후퇴시켜 지폐를 선단 정렬하는 이송 정렬장치, 상기 이송 정렬장치에서 정렬된 지폐가 적재되는 지폐 수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폐 이송장치는 지폐의 투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롤러가 마련된 지폐 투입부, 상기 지폐 투입부로 투입 이송된 지폐를 중앙 정렬시키는 중앙 정렬부, 상기 중앙 정렬부로부터 이송된 지폐의 진위·위조 여부를 판별하여 지폐를 투입 또는 배출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폐 투입부는 투입되는 지폐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제1 롤러, 상기 제1 롤러와 함께 지폐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제2 롤러, 상기 제1 롤러의 전방에 지폐의 투입을 감지하는 투입 감지센서,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에 지폐의 투입을 체크하는 체크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제1 롤러는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상부 롤러, 상기 상부 롤러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상부 롤러와 맞물리는 하부 롤러, 상기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의 좌우 양측에 각각 일정 길이만큼 구형파 형상으로 형성되는 물림부, 상기 물림부 사이에 일정 길이만큼 정현파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간 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 물림부는 서로 교호 되게 맞물리며, 상기 중간 물림부는 지폐 이외의 매체 투입을 방지하도록 외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차단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림부는 지폐 이외의 매체 투입을 방지하도록 외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원호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제2 롤러는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상부 롤러, 상기 상부 롤러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상부 롤러와 맞물리는 하부 롤러, 상기 상부 롤러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톱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는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측부와 상기 측부 사이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중간부, 상기 상부 롤러의 중간부는 투입된 지폐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톱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정렬부는 하부에 투입된 지폐가 이송되도록 다수의 풀리에 벨트가 감긴 중앙 이송부, 상기 중앙 이송부의 상부에 상기 벨트와 접촉되어 회전 되는 아이들 롤러, 상기 중앙 이송부의 양측에 각각 수평으로 왕복 이동되는 정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정렬부는 상기 지폐 투입부로 투입된 지폐의 걸림을 방지하도록 좌우 양측에 각각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안내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정렬부는 투입된 지폐의 길이를 측정하는 길이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판은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동력전달기어, 상기 동력전달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맞물리고 상기 정렬판의 끝단에 고정되는 래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는 이송되는 지폐의 진위를 검출하는 다수의 이미지센서, 이송되는 지폐의 겹침 상태를 검출하는 초음파 센서, 이송된 지폐의 투입 또는 배출을 판단하는 디버터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 정렬장치는 지폐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지폐가 감길 수 있도록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드럼의 외면에 지폐를 감는 지폐 감김부, 상기 드럼의 외면에 감긴 지폐가 상기 드럼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탄력적으로 장착되는 제1 디버터, 상기 드럼의 하부 일측에 상기 지폐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지폐를 왕복 이동시키는 지폐 이동부, 상기 지폐 이동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지폐의 선단을 일치되게 정렬시키는 지폐 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폐 감김부는 일정 직경으로 이루어진 드럼, 상기 드럼의 외측에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은 일정 직경과 폭으로 이루어진 렌즈, 상기 렌즈의 양 측면에 각각 일정 직경과 폭으로 일체로 고정되는 원통체, 상기 렌즈의 외측에 지폐를 검출하는 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는 상기 검출센서의 지폐 검출신호를 굴절시키는 제1 굴절면, 상기 제1 굴절면에서 굴절된 지폐 검출신호를 굴절시키는 제2 굴절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럼 회전부는 상기 드럼의 외면 일부를 감싸는 벨트, 상기 드럼의 외측에 상기 벨트가 회전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디버터는 일측이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어 상기 드럼의 외면에 감긴 지폐를 안정되게 유지시키는 가압판, 상기 가압판의 타측에 형성되는 고정구멍, 상기 가압판의 고정구멍과 본체 사이에 탄력적으로 장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폐 정렬부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동력전달기어, 상기 동력전달기어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는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일면에 평평하게 형성되는 맞춤면, 상기 맞춤면의 타면에 두껍게 형성되는 받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폐 수납장치는 수납함이 수용되는 수납 공간부, 상기 수납 공간부의 상부에 상기 이송 정렬장치에서 지폐의 선단이 정렬된 지폐를 상기 수납함으로 투입시키는 푸셔, 상기 푸셔에 의해 투입된 지폐가 수용되는 수납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셔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됨과 함께 이동되는 회전이동 프레임, 상기 회전이동 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 상기 제1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의 상측에 장착되는 제1 안내 프레임, 상기 제1 링크 및 제2 링크의 하측에 장착되는 제2 안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안내 프레임은 상기 제2 링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구멍, 상기 제2 안내 프레임은 상기 제1 링크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안내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함은 상기 푸셔에 의해 지폐가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투입구멍, 상기 수납함의 내면에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에 의해 승강되는 래크, 상기 래크의 상단에 고정되고 일정 크기를 갖는 다수의 패널이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멍을 개폐시키는 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에 의하면, 투입된 지폐를 중앙 정렬하는 중앙 정렬부 및 상기 중앙 정렬부에서 정렬된 지폐를 인식하는 지폐 이송장치, 상기 지폐 이송장치를 거쳐 투입된 다수의 지폐를 드럼에 일시적으로 감은 다음 후퇴시켜 지폐를 선단 정렬하는 이송 정렬장치, 상기 이송 정렬장치에서 정렬된 지폐가 적재되며 상기 지폐의 수납 용량 증감에 따라 대응되게 용량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모듈화된 지폐 수납장치, 상기 지폐 이송장치는 지폐의 투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롤러가 마련된 지폐 투입부, 상기 지폐 투입부로 투입 이송된 지폐를 중앙 정렬시키는 중앙 정렬부, 상기 중앙 정렬부로부터 이송된 지폐의 진위·위조 여부를 판별하여 지폐를 투입 또는 배출시키는 이송부, 상기 지폐 이송장치 및 이송 정렬장치로 투입된 지폐(매체)의 걸림(잼), 이상 동작에 의해 지폐의 제거 또는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도록 장착되는 시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에 의하면, 지폐 이외의 매체 투입을 방지할 수 있고, 투입된 지폐의 강성을 높여 지폐의 이송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투입된 지폐를 중앙 정렬할 수 있고, 지폐의 중앙 정렬에 따라 정렬된 지폐를 수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에 의하면, 지폐 투입구로 투입된 다수의 지폐를 지폐 감김부에 일시적으로 감아둘 수 있어 지폐 투입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고, 지폐 감김부에 감긴 지폐의 선단을 가지런하게 정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폐 감김부의 지폐를 지폐 정렬부에 의해 재차 정렬하므로 다수의 지폐를 가지런하게 정렬된 상태로 수납할 수 있으며, 상하 한 쌍으로 된 지폐 이동부에 의해 지폐가 이동되므로 지폐의 이동 시 걸림(jam)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에 의하면, 중앙 정렬 및 선단이 정렬된 지폐를 수납함에 정렬된 상태로 수납할 수 있게 되고, 수납함의 투입구멍이 폐쇄된 상태로 분리되어 수납함의 지폐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지폐입출금장치의 측면 개략도,
도 2는 종래 지폐입출금장치의 입출금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의 지폐 투입부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의 중앙 정렬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의 중앙 정렬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의 감김 정렬부의 드럼을 도시한 입체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도,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의 감김 정렬부에 의한 지폐의 정렬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폐의 감김 및 정렬장치에 의한 지폐의 배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폐 입출금기의 수납함을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의 수납함을 도시한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 장치가 동작되기 전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가 동작되기 전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가 동작된 이후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가 동작된 이후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는 지폐 투입부(110)를 통해 투입 이송된 지폐를 중앙 정렬하는 중앙 정렬부(150) 및 상기 중앙 정렬부(150)에서 중앙 정렬된 지폐를 판별하는 지폐 이송장치(100), 상기 지폐 이송장치(100)를 거쳐 투입된 다수의 지폐를 드럼에 일시적으로 감은 다음 후퇴시켜 지폐의 선단을 정렬하는 이송 정렬장치(200), 상기 이송 정렬장치(200)에서 정렬된 지폐가 수납되는 지폐 수납장치(300)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 시건장치의 지폐 이송장치(100)는 지폐의 투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롤러가 마련된 지폐 투입부(110), 상기 지폐 투입부(110)로 투입된 지폐를 중앙 정렬시키는 중앙 정렬부(150), 상기 중앙 정렬부(150)로부터 이송된 지폐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여 지폐를 이송 또는 배출시키는 이송부(170)를 포함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 시건장치의 지폐 이송장치(100)는 지폐의 권종에 따라 그 크기가 각각 다르더라도 투입된 지폐를 중앙으로 정렬한 다음 지폐의 진위 여부, 위조 여부 등을 보다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 시건장치의 지폐 이송장치(100)는 도 3의 도면상 상부에 마련되는 지폐 투입부(110), 중앙 정렬부(150) 및 이송부(170)를 포함한다.
지폐 투입부(110)는 지폐의 투입뿐만 아니라 투입된 지폐의 진위 여부, 위조 여부 등에 따라 투입된 지폐를 배출(반출)하게 된다.
지폐 투입부(110)에는 투입된 지폐가 이송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 롤러(111) 및 제2 롤러(120), 제1 롤러(111)의 전방에 지폐의 투입을 감지하는 투입 감지센서(115), 제1 롤러(111)와 제2 롤러(120) 사이에 지폐의 투입 여부를 재차 감지하는 체크 감지센서(116)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지폐 투입부(110)의 전방 즉, 도 3의 도면상 좌측에는 지폐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되며, 도 3에 도시된 화살표는 지폐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지폐 투입부(110)는 투입된 지폐가 이송되도록 상하 한 쌍으로 된 제1 롤러(111)와 제2 롤러(120)를 구비한다. 제1 롤러(111)는 상부 롤러(111a)와 하부 롤러(111b)로 이루어지고, 제2 롤러(120) 또한 상부 롤러(120a)와 하부 롤러(120b)로 이루어진다.
제1 롤러(111)는 투입된 지폐를 지폐 투입부(110)의 내측(도 3의 도면상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2 롤러(120)는 제1 롤러(111)를 거쳐 투입된 지폐를 중앙 정렬부(150) 쪽으로 이동시킨다.
제1 롤러(111)의 전방(도 3의 도면상 좌측)에는 지폐의 투입 여부를 감지하는 투입 감지센서(115)가 장착되며, 제1 롤러(111)와 제2 롤러(120) 사이에는 지폐의 투입을 재차 확인할 수 있도록 체크 감지센서(116)가 장착된다.
이들 투입 감지센서(115) 및 체크 감지센서(116)는 포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을 사용하여 지폐의 투입을 감지하게 된다.
도 4는 지폐 투입부(110)를 도시한 입체도로써, 제1 롤러(111) 및 제2 롤러(12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는 제1 롤러(111)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좌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111) 및 제2 롤러(120)는 모터(125)에 의해 회전되며, 모터(125)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벨트(126)로 연결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제1 롤러(111)의 상부 롤러(111a)와 제2 롤러(120)의 상부 롤러(120a)가 벨트(126)로 연결되고, 제1 롤러(111)의 하부 롤러(120b)와 제2 롤러(120)의 하부 롤러(120b)가 벨트(126)로 연결된다.
또한 제2 롤러(120)의 일측에는 제1 롤러(111) 및 제2 롤러(120)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지폐의 이송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회전속도센서(127)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속도센서(127)는 중앙 정렬부(150) 및 이송부(170)와 연동되어 지폐의 이송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111)는 투입된 지폐가 이송되도록 서로 맞물리는데, 제1 롤러(111)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일정 길이만큼 물림부(112)가 형성되며, 물림부(112)는 구형파 형상으로 홈부와 돌기부가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된다.
또한 물림부(112)는 상부 롤러(111a)와 하부 롤러(111b)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이들 좌우측의 물림부(112) 사이에는 중간 물림부(113)가 형성된다.
이들 물림부(112) 및 중간 물림부(113)는 동일한 길이(폭)로 형성되고, 상부 롤러(111a)의 물림부(112)에는 외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원호홈부(112a)가 형성된다.
한편 원호홈부(112a)는 상부 롤러(111a)에 형성되어 있으나, 하부 롤러(111b)의 물림부(11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중간 물림부(113)에는 투입된 지폐의 강성(강도)를 높여 지폐의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지폐 이외의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등과 같은 매체가 투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홈부(113a)가 서로 교호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차단홈부(113a)는 상부 롤러(111a) 및 하부 롤러(111b)에 각각 형성되어 지폐 이외의 카드 등의 투입을 방지하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투입부(110)의 제2 롤러(120)는 상하 한 쌍으로 맞물리는데, 상부 롤러(120a)와 하부 롤러(120b)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롤러(111)에서와 같이, 제2 롤러(120)에는 좌우 양측에 각각 일정 길이로 측부(121)가 형성되고, 제1 롤러(111)의 중간 물림부(113)에 대응되게 중간부(1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중간부(122)에는 다수의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된 톱니(123)가 형성되며, 톱니(123)는 투입된 지폐의 이송을 원활하게 한다. 즉, 톱니(123)가 지폐를 끌어당겨주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 시건장치의 중앙 정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평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의 중앙 정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평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정렬부(150)는 지폐 투입부(110)에서 투입된 지폐를 이송시킴은 물론 각각의 지폐를 중앙으로 정렬하는 것이다.
중앙 정렬부(150)에는 지폐 투입부(110)로 투입된 지폐가 이송되도록 다수의 풀리(152)와 벨트(153)로 이루어진 중앙 이송부(151)가 마련된다.
이러한 중앙 이송부(151)는 이송부(17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지폐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벨트(152)의 상부에는 다수의 아이들 롤러(15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아울러 아이들 롤러(154)는 지폐를 중앙 정렬시킬 때 솔레노이드(미도시)에 의해 상부로 들어올려지게 되고, 지폐 투입부(110)와 인접한 위치에는 투입되는 지폐의 이송 거리를 측정하는 길이 측정센서(155)가 장착된다.
이러한 길이 측정센서(155)는 지폐 투입부(110)로부터 이송된 지폐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데, 지폐의 선단 또는 지폐의 끝단을 감지하여 지폐의 이송된 상태를 판별하게 된다.
또 중앙 정렬부(150)에는 투입 이송되는 지폐가 걸림(jam)이 발생하지 않도록 좌우 양측에 각각 대략 'ㄷ'자 형상으로 된 안내구(156)가 장착된다. 도 7 내지 도 10의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안내구(156)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송되는 지폐가 좌우 양측으로 어느 한 방향으로 흐트러지거나 걸림(jam)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안내구(156)는 지폐 투입부(110)의 롤러(111, 120) 양측 끝단과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게 되며, 지폐를 중앙으로 이동시켜 정렬하는 정렬판(157)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판(157)은 이송되는 지폐를 중앙으로 이동시켜 정렬하는 것으로, 도 8 및 도 10에서와 같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58)가 마련되고, 구동모터(158)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기어가 맞물린 동력전달기어(159)가 장착된다.
또 동력전달기어(159)에는 피니언 기어(160)가 맞물리고, 피니언 기어(160)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정렬판(157)에 고정된 래크(161)가 맞물리게 된다.
정렬판(157)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모터(158)가 회전되고, 구동모터(158)의 회전력은 동력전달기어(159)를 거쳐 피니언 기어(160)로 전달되며, 래크(161)는 피니언 기어(160)를 중심으로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70)는 중앙 정렬부(150)에서 정렬된 지폐의 진위 여부, 위조 여부 또는 투입된 금액의 확인 등을 하는 것으로, 투입된 지폐를 수납 또는 반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송부(170)에는 지폐의 이송 또는 반출되도록 모터(171)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172)이 마련되고, 드럼(172)에 연결되어 중앙 이송부(15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풀리 및 벨트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모터(171)는 중앙 정렬부(150) 및 이송부(170)를 통해 투입되는 지폐의 이송 및 지폐를 반출시킬 수 있도록 정역 회전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투입된 지폐를 수납함(330)에 저장되도록 이송시키며, 이들 벨트·풀리의 연결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이송부(170)에는 지폐의 진위 여부 또는 위조 여부, 투입된 지폐의 금액 등을 판별하기 위하여 다수의 이미지 센서(173)가 장착되며, 이들 이미지 센서(173)는 이송된 지폐가 이송부(170)로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1 이미지 센서(173a), 지폐의 투과율에 의한 진폐 또는 위조 여부를 판별하는 제2 이미지 센서(173b), 지폐의 이송이 끝났음을 감지하는 제3 이미지 센서(173c)를 포함한다.
이들 이미지 센서(173)는 적외선과 가시광원을 지폐 전면에 투시해 고유의 분광과 투과특성을 분석하는 1차적인 특징으로 위폐여부를 판별한다. 지폐의 광학 특성은 크게 반사율과 투과율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일정 광량을 지폐에 투사했을 때 지폐는 반사·흡수·투과의 3가지 형태로 감지된다.
이때 흡수를 제외한 반사와 투과는 지폐의 잉크·재질에 따라 결정되며, 이 특성으로 진폐와 비교하여 위조 여부를 결정한다. 이 과정에서 지폐의 두께뿐만 아니라 은화(숨은 그림), 지폐고유의 잉크농도 패턴을 비교한다.
또한 드럼(172)의 좌측에는 투입되어 이송되는 지폐가 2장 또는 여러 장으로 겹쳐져 있는지를 판별하기 위한 초음파센서(174)가 장착되고, 드럼(171)의 위치에는 지폐의 진위 여부 또는 위조 여부 등의 판별이 완료된 지폐를 지폐 투입부(110)로 반출(리젝트) 또는 투입을 계속할지를 판별하는 디버터센서(174)가 장착된다.
즉, 디버터센서(175)는 지폐를 수납함(330)에 투입할 지 또는 지폐를 반출할지를 판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 시건장치의 이송 정렬장치(200)는 지폐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지폐를 드럼(211)의 외면에 지폐를 감아 일시 저장되는 지폐 감김부(210), 상기 드럼(211)의 외면에 감긴 지폐가 상기 드럼(211)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탄력적으로 장착되는 제1 디버터(230), 상기 드럼(211)의 하부 일측에 상기 지폐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지폐를 왕복 이동시키는 지폐 이동부(240), 상기 지폐 이동부(24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지폐의 선단을 일치되게 정렬시키는 지폐 정렬부(25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정렬장치(200)는 지폐 투입구에서 투입된 지폐를 일시적으로 감았다가 정렬시킨 다음 지폐가 수납되는 수납함(330)에 투입 또는 이송된 지폐를 정렬하여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지폐 투입구는 지폐 투입부(110)의 전방(좌측)에 마련되며, 투입된 지폐는 중앙 정렬부(160)에서 중앙으로 정렬된 다음 지폐를 인식한 후 지폐 이동부(240)를 거쳐 지폐 감김부(210)로 진입하게 된다.
지폐 감김부(210)는 투입된 지폐를 일시적으로 감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지폐 감김부(210)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드럼(211), 드럼(211)을 필요에 따라 회전시키면서 지폐를 드럼(211)에 감는 드럼 회전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211)은 일정 직경과 폭을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드럼(211)은 일정 직경과 폭을 갖는 렌즈(212)와 렌즈(212)의 양 측면에 일체로 이루어지는 원통체(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드럼(211)은 지폐 이동부(240)를 거쳐 투입된 지폐를 드럼(211)의 외면에 일시적으로 감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렌즈(212)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된 반사판으로 이루어지고, 지폐는 드럼(211)의 외면에 감기게 된다.
지폐 감김부(210)의 외측에는 지폐의 감김 유무 및 지폐의 선단(시작점)을 감지하기 위하여 검출센서(216)가 장착된다. 이러한 검출센서(216)는 지폐를 감지하기 위한 지폐 검출신호를 송수신하게 되는데, 렌즈(212)는 검출센서(216)의 지폐 검출신호를 송수신 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이를 위해 렌즈(212)는 일정 직경과 폭을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렌즈(212)의 양 측면에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굴절면(214)과 제2 굴절면(215)이 형성된다.
이들 제1 굴절면(214)과 제2 굴절면(215)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검출센서(216)에서 송신된 신호를 직각으로 굴절되도록 45°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굴절면(214)과 제2 굴절면(215)은 렌즈(212)와 동일하게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검출신호가 굴절되도록 반사판으로 형성되거나 검출신호가 제1 굴절면(214)에서 제2 굴절면(215)으로 꺾어져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검출센서(216)는 검출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지폐가 드럼(211)에 감긴 상태의 유무 및 지폐의 선단(감겨진 지폐의 시작점)을 검출하기 위하여 포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드럼(211)의 외측에는 드럼(211)을 회전시키면서 지폐를 드럼(211)에 감을 수 있게 하는 드럼 회전부(217)가 장착된다. 이러한 드럼 회전부(217)는 드럼(211)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드럼(211)의 외면에 감기는 벨트(218)와 벨트(218)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회전되도록 다수의 롤러(219)를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정렬장치(200)에는 지폐 감김부(210), 제1 디버터(230), 지폐 이동부(240) 및 지폐 정렬부(250)가 설치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본체(101)가 마련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101)는 도 13에서와 같이, 드럼(211)의 좌우 측면에 각각 마련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218)는 드럼(211)의 외면 중 양 측면과 상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며, 벨트(218)는 다수의 롤러(219) 중 어느 하나를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게 결합된다.
또한 지폐 감김부(210)의 하부 일측에는 지폐가 드럼(211)의 외면에 감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디버터(230)를 장착한다. 이러한 제1 디버터(230)는 드럼(211)에 감긴 지폐가 임의로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면서 다수로 감긴 지폐가 드럼(21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적당한 탄성력을 유지하게 된다.
제1 디버터(230)는 드럼(211)의 외면에 밀착되는 가압판(231), 가압판(231)과 본체(101)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스프링(23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판(231)의 일측은 드럼(211)에 감긴 지폐가 드럼(21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서 드럼(211)에 밀착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가압판(231)의 타측에는 본체(10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핀(미도시)이 결합되는 고정구멍(232)이 형성된다.
아울러 가압판(231)은 여러 장의 지폐가 겹쳐진 상태에서도 일정한 탄성을 갖도록 탄력 설치되는데, 고정구멍(232)에는 고정핀을 중심으로 가압판(231)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프링(233)의 일단은 고정구멍(232)과 인접한 위치에 고정되며, 스프링(233)의 타단은 본체(101)의 소정 위치에 고정핀 등으로 고정된다.
한편 드럼 감김부(210)의 타측에는 지폐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1 디버터(230)와 대향되는 위치 즉, 지폐 배출구(235) 쪽에 제2 디버터(234)가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도 13의 도면상 제2 디버터(234)의 좌측에는 지폐를 배출시키는 지폐 배출구(235)가 마련된다.
또 제1 디버터(230)의 하측에는 지폐 투입구에서 투입된 지폐를 지폐 감김부(210)로 이동시킴은 물론 드럼 감김부(210)에 감겨져 있는 지폐를 정렬하기 위하여 후퇴되는 지폐 이동부(240)가 마련된다.
도 13에서와 같이, 지폐 이동부(240)는 드럼(211)의 하측에서부터 타측으로 장착되는 벨트(241)와 벨트(241)가 이동되도록 회전되는 롤러(242)를 포함한다.
이러한 벨트(241) 및 롤러(242)는 지폐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됨은 물론 매체(지폐)가 흐트러짐이 없이 이송되면서 지폐의 걸림(jam)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하 한 쌍으로 마련되며, 도 13의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가 마련된다.
이는 지폐의 이동을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지폐의 이동이 원활하며, 다발로 된 지폐의 이송 시 걸림(jam)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폐 정렬부(250)는 본체(101)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구동모터(251), 구동모터(251)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기어로 이루어진 동력전달기어(252), 동력전달기어(252)에 의해 회전되는 스토퍼(2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스토퍼(253)는 일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54)를 포함하며, 연장부(34)에는 다수의 지폐 선단이 일치되도록 지폐와 접촉되는 맞춤면(255) 및 맞춤면(255)의 배면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받침면(256)을 포함한다.
본체(101)의 소정 위치에는 스토퍼(253)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51)가 장착되고, 구동모터(251)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다수의 기어가 서로 맞물린 동력전달기어(252)가 장착되며, 스토퍼(253)는 지폐 이동부(240)의 일측 즉, 도면상 좌측의 롤러(242)와 인접한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스토퍼(253)는 지폐 이동부(240)로 지폐가 인입될 때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지폐 감김부(210)에 감겨져 있는 지폐가 지폐 이동부(240)에 의해 후퇴된 상태에서 구동모터(251)와 동력전달기어(252)에 의해 스토퍼(253)의 연장부(254)가 상향으로 위치되도록 회전된다.
즉, 스토퍼(253)의 맞춤면(255)은 지폐를 정렬시킬 때 지폐의 일단과 마주보는 상태로 회전된다.
한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 이송 정렬장치(200)의 하부에는 지폐 이송장치(100) 및 이송 정렬장치(200)를 거치면서 중앙 정렬 및 지폐의 선단이 정렬된 지폐를 수납하는 수납장치(300)가 마련된다.
이러한 지폐 수납장치(300)는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에 투입된 지폐를 순차적으로 수납하는 것으로, 지폐 수납장치(300)는 수납함(330)이 탈착되는 수납 공간부(310) 및 지폐가 수납되는 수납함(330)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 공간부(310)의 정면 도 3의 좌측에는 일측으로 회전되어 개폐되는 도어(311)가 장착되고, 수납 공간부(310)는 수납함(330)을 수용하는 공간으로써, 수납 공간부(310)의 일 측면에는 수납함(330)의 탈착 시 수납함(3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312)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돌기(312)는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수납 공간부(310)의 상측에는 이송 정렬장치(200)에서 정렬된 지폐가 수납함(330)으로 투입되도록 밀어주는 푸셔(313)가 장착된다.
푸셔(313)는 링크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314), 모터(314)의 회전력에 의해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회전체(315), 회전체(315)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되면서 이동(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이동 프레임(316), 회전이동 프레임(316)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317), 제1 링크(317)와 'X'자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318), 이들 제1 링크(317) 및 제2 링크(318)의 상측에 고정되는 제1 안내 프레임(319), 제1 링크(317) 및 제2 링크(318)의 하측에 고정되는 제2 안내 프레임(32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315)에는 고정핀(315a)이 고정되어 있으며, 회전이동 프레임(316)에는 고정핀(315a)이 끼워진 상태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일정 길이로 안내구멍(316a)이 형성되며, 회전이동 프레임(316)의 일측에는 제1 링크(317)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1 안내 프레임(319)에는 제2 링크(318)가 수평 이동되도록 제1 안내구멍(319a)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안내 프레임(320)에는 제1 링크(317)가 수평 이동되도록 제2 안내구멍(320a)이 형성되어 있다.
즉, 푸셔(313)는 회전체(315)의 회전에 따라 회전이동 프레임(316)이 회전되면서 수평 이동이 함께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제1 링크(317)와 제2 링크(318)가 상하로 이동된다.
한편 제1 안내 프레임(319)의 일측에는 지폐의 정렬이 완료됨에 따라 푸셔(313)가 작동하도록 푸셔 시작센서(321)가 마련되며, 제1 안내 프레임(319)의 타측에는 제1 안내 프레임(319)의 하강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하는 푸셔 종료센서(322)가 마련된다.
또 수납함(330)은 지폐를 수납할 수 있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납함(330)의 정면에는 수납되어 있는 지폐를 꺼낼 수 있도록 잠금장치(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으며, 수납함(330)의 상면에는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개방되어 지폐가 투입되도록 투입구멍(331)이 형성된다.
아울러 수납함(330)의 내면 일측에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332), 모터(332)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333), 피니언 기어(333)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래크(334), 래크(334)의 승강에 따라 투입구멍(331)을 개폐시키는 셔터(335)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332)에는 전원이 축전된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며, 모터(332)의 구동신호는 잠금장치 또는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와 수납함(330)과의 이격된 거리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셔터(335)는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 시건장치의 수납 공간부(310)에 수용됨에 따라 자동으로 투입구멍(331)을 개방되게 하고, 수납 공간부(31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자동으로 투입구멍(331)을 폐쇄하게 된다.
이는 수납함(330) 내부에는 지폐가 수납되어 있으므로, 관리자라 하더라도 이동 도중에 투입구멍(331)이 계속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 시건장치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투입부(110)에는 상하 한 쌍으로 된 제1 롤러(111)와 제2 롤러(120)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며, 제1 롤러(111)의 좌측에는 지폐의 투입을 감지하는 투입 감지센서(115)를 설치하고, 제1 롤러(111)와 제2 롤러(120) 사이에는 지폐의 투입을 재차 감지하는 체크 감지센서(116)를 설치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제1 롤러(111)는 상부 롤러(111a)와 하부 롤러(111b)로 이루어지며, 상부 롤러(111a)와 하부 롤러(111b)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일정 길이로 물림부(112)를 형성하는데, 물림부(112)에는 지폐 이외의 신용카드 등의 매체가 투입되지 않도록 원호홈부(112a)를 형성한다.
이러한 물림부(112)는 일정한 간격으로 홈부와 돌기부가 반복적으로 연속되는 사각형의 구형파(矩形波) 형상으로 형성한다.
원호홈부(112a)는 물림부(112)의 외면에 일정한 간격의 원호상으로 된 홈부를 형성하고, 상부 롤러(111a)에 형성되는 원호홈부(112a)는 하부 롤러(111b)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제1 롤러(111)의 물림부(112) 중간에는 일정 길이로 중간 물림부(113)를 형성하고, 중간 물림부(113)는 물림부(112)와 달리 일정 길이를 갖는 원호가 반복적으로 연속되는 정현파(正弦波)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중간 물림부(113)는 투입된 지폐의 강성(강도)을 높여 지폐의 투입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중간 물림부(113)에는 외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차단홈부(113a)를 형성한다.
또한 제2 롤러(120)는 상하 한 쌍으로 된 상부 롤러(120a)와 하부 롤러(120b)로 이루어지며, 제1 롤러(111)에서와 같이, 좌우 양측에 일정 길이를 갖는 측부(121)를 형성한다.
이들 측부(121) 사이에는 중간부(122)를 형성하며, 중간부(122)에는 지폐의 이송을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톱니(123)를 형성하며, 제2 롤러(120)의 일측에는 모터(125)를 구비한다.
이러한 모터(125)는 제2 롤러(120)를 회전시킴은 물론 제1 롤러(111)가 회전되도록 벨트(126)로 연결하며, 제2 롤러(120)의 타측에는 지폐가 적정한 속도로 이송되도록 회전속도센서(127)를 설치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투입부(110)의 우측에는 이송되는 지폐를 중앙 정렬하는 중앙 정렬부(150)가 마련된다. 중앙 정렬부(150)는 지폐가 이송되도록 풀리(152)에 벨트(153)가 감긴 중앙 이송부(151)를 장착한다.
또한 중앙 이송부(151)의 상부에는 다수의 아이들 롤러(154)를 장착하며, 아이들 롤러(154)는 솔레노이드(미도시)에 의해 상측으로 상승되도록 장착한다.
중앙 정렬부(150)의 일측 즉, 지폐 투입부(110)와 인접한 위치에는 투입된 지폐의 길이를 측정하는 길이 측정센서(155)를 장착하며, 지폐 투입부(110)에서 투입된 지폐의 걸림(jam)을 방지하도록 양 측면에 각각 안내구(156)를 고정한다.
이러한 안내구(156)는 대략 'ㄷ'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송되는 지폐를 일시 정지시킨 상태에서 지폐를 중앙 정렬시키는 정렬판(157)을 이동 가능하게 장착한다.
도 8의 도면상 벨트(153)의 하측에는 구동모터(158)를 장착하고, 구동모터(158)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기어로 된 동력전달기어(159)를 설치하며, 동력전달기어(159)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160)를 설치한다.
이러한 피니언 기어(160)의 좌우 양측에는 서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각각 일정 길이를 갖는 래크(161)를 맞물리며, 래크(161)의 끝단에는 정렬판(157)을 고정한다.
즉, 정렬판(157)은 피니언 기어(16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래크(161)를 따라 중앙 이송부(151)의 벨트(153)를 향해 중앙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지폐는 이동되는 방향의 중앙으로 정렬된다.
또한 이송부(170)는 지폐의 진위 여부 또는 위조 여부를 감지함은 물론 투입된 지폐를 수납함(330)으로 이동 또는 지폐의 진위·위조의 판별에 따라 투입된 지폐를 반출되게 한다.
이러한 이송부(170)는 중앙 정렬부(150)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171)를 설치하며, 모터(171)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172)을 장착한다.
또 이송부(170)에는 이송된 지폐의 진위, 위조, 금액 등을 판별하기 위한 다수의 이미지 센서(173)를 설치하며, 지폐가 2장 이상으로 겹쳐져 있는지를 판별하는 초음파 센서(174) 및 지폐의 투입 또는 반출을 판별하는 디버터 센서(175)를 설치한다.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정렬장치는 지폐 이송장치(100)로 투입되어 중앙 정렬된 지폐를 지폐 감김부(210)에 일시적으로 감아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폐 감김부(210)는 소정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드럼(211) 및 드럼(211)을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부(217)를 마련한다.
드럼(211)은 지폐를 일시적으로 감아두기 위한 것으로, 지폐의 감김 상태 또는 지폐의 일측 선단(시작점)을 감지할 수 있도록 검출센서(216)를 구비한다. 이에 드럼(211)에 장착된 렌즈(212)는 투명한 재질의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된 반사판 등으로 이루어져 검출센서(216)에서 송신된 지폐 검출신호를 굴절시켜 검출센서(216)로 다시 수신되게 한다.
즉, 드럼(211)의 중앙 부분은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의 반사판으로 된 렌즈(212)로 이루어지고, 렌즈(212)의 양 측면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굴절면(214)과 제2 굴절면(215)을 일체로 형성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갈이, 제1 굴절면(214)은 검출센서(216)에서 송신된 지폐 검출신호를 받아 제2 굴절면(215)으로 굴절시켜 보내게 되고, 제2 굴절면(215)은 제1 굴절면(214)에서 굴절되어 수신된 지폐 검출신호를 재차 굴절시켜 검출센서(216)로 보내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화살표는 지폐 검출신호의 굴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검출센서(216)의 지폐 검출신호는 제1 굴절면(214) 및 제2 굴절면(215)에 의해 굴절되어 검출센서(216)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러한 검출센서(216)는 드럼(211)의 외면에 지폐가 감겨 있는지 여부를 검출함은 물론 감겨진 지폐의 시작점을 검출할 수 있도록 포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렌즈(212)의 양 측면에는 각각 렌즈(212)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 원통체(213)가 일체로 이루어진다. 원통체(213)는 드럼 회전부(217)에 의해 회전되도록 벨트(218)와 면 접촉되게 결합한다.
드럼 회전부(217)는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드럼(211)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드럼(211)의 외면 중에서 양 측면 및 상면을 감싸는 형태로 벨트(218)를 감아주고, 벨트(218)의 장력을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다수의 롤러(219)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이들 드럼(211) 및 드럼 회전부(217)는 본체(10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다.
또 드럼 감김부(210)의 드럼(211)에 지폐가 감긴 상태를 유지 또는 지속할 수 있도록 드럼(211)의 외면 하부 일측에 지폐를 잡아주는 제1 디버터(230)를 탄력적으로 장착한다.
제1 디버터(230)는 드럼(211)에 감겨져 있는 지폐가 감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단(일부분)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가압판(231)을 탄력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하며, 가압판(231)의 타단은 고정구멍(232)을 관통하여 본체(101)에 고정되는 고정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다.
또 스프링(233)은 일단을 본체(101)에 고정하고, 스프링(233)의 타단은 고정구멍(232)과 인접한 가압판(231)에 고정하며, 가압판(231)은 스프링(233)의 탄성에 의해 드럼(211)의 외면에 밀착된다.
즉, 가압판(231)은 스프링(233)의 탄성에 의해 드럼(71)의 외면에 감긴 지폐를 밀착시켜 지폐를 드럼(211)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아울러 드럼(211)을 중심으로 가압판(231)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지폐 배출구(235)를 통해 지폐가 배출되도록 회전되는 제2 디버터(234)를 장착한다. 이러한 제2 디버터(234)는 지폐 배출구(235)를 폐쇄하고 있다가 지폐를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 선택적으로 회전되어 지폐 배출구(235) 방향으로 지폐가 이송될 수 있도록 개방한다.
또한 지폐 이동부(240)는 지폐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지폐를 지폐 감김부(210)로 이동시킴은 물론 지폐 감김부(210)에 감긴 지폐를 후퇴(도 13 내지 도 16의 도면상 오른쪽으로 이동)시킨 다음 지폐 정렬부(250)로 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지폐 이동부(240)는 벨트(241)와 롤러(242)로 이루어져 벨트(241)의 회전으로 지폐를 이동시키며, 지폐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지폐 이동부(240)는 도 3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벨트(241)와 롤러(242)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마련할 수 있다.
아울러 지폐 정렬부(25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모터(251)를 본체(101)에 설치하며, 구동모터(251)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다수의 기어열로 이루어진 동력전달기어(252)를 장착한다.
동력전달기어(252)의 선단에는 스토퍼(253)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며, 스토퍼(253)에는 드럼(211)에 감겨 있는 지폐를 지폐 이동부(90)로 후퇴시킨 다음 지폐 이동부(90)가 다시 전진(도 3의 도면상 왼쪽으로 이동)할 때 지폐의 선단이 정렬되도록 연장부(254)를 형성한다.
이러한 연장부(254)는 지폐의 선단이 일렬로 정렬되도록 맞춤면(255)을 형성하고, 맞춤면(255)의 배면에는 일정 두께로 받침면(256)을 형성한다.
지폐 수납장치(300)는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의 하부에 일정 크기의 공간을 갖는 수납 공간부(310)를 형성하며, 수납 공간부(310)의 정면에는 수납함(330)을 넣고 뺄 수 있도록 도어(미도시)를 결합한다.
또 수납 공간부(310)에는 수납함(330)의 출입 시 수납함(330)의 이동을 원활하면서도 안정되게 할 수 있는 안내돌기(312)를 형성하며, 지폐 정렬부(200)에서 정렬이 완료된 지폐를 수납함(330)으로 투입시키는 푸셔(313)를 설치한다.
지폐 수납장치(300)에는 푸셔(313)를 구동시키는 모터(314)를 설치하며, 모터(314)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315)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회전체(315)에는 회전이동 프레임(316)을 결합하며, 회전체(315)와 회전이동 프레임(316)은 고정핀(315a)으로 결합한다. 즉, 회전체(315)가 회전됨에 따라 고정핀(315a)은 회전이동 프레임(316)을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면서 회전이동 프레임(316)을 고정핀(315a)의 위치에 따라 수평 이동되게 결합한다.
또 회전이동 프레임(316)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링크(317)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제1 링크(317)의 중간 위치에는 대략 'X'자 형상으로 제2 링크(318)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1 링크(317)와 제2 링크(318)의 상측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안내 프레임(319)을 설치하며, 제1 링크(317)와 제2 링크(318)의 하측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2 안내 프레임(320)을 설치한다.
이들 제1 안내 프레임(319)은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에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며, 제2 안내 프레임(320)은 제1 링크(317) 및 제2 링크(318)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며, 제2 안내 프레임(320)은 이송 정렬장치(200)의 지폐 이동부(240)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승되게 설치한다.
또한 지폐 이동부(240)의 일측에는 지폐의 선단 정렬이 완료됨과 함께 지폐가 수납함(330)에 투입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푸셔 시작센서(321)를 설치하고, 지폐 이동부(240)의 타측에는 제1 안내 프레임(319)의 하강을 감지하여 푸셔(313)의 동작이 완료됨을 감지하는 푸셔 종료센서(322)를 설치한다.
이들 푸셔 시작센서(321) 및 푸셔 종료센서(322)는 포토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수납 공간부(310)에는 지폐 이송장치(100) 및 이송 정렬장치(200)를 통해 투입된 지폐가 수납되는 수납함(330)을 수용하며, 수납함(330)에는 수납된 지폐를 꺼낼 수 있도록 개폐되는 도어(미도시) 및 도어를 잠그거나 열 수 있는 잠금장치를 마련함은 물론이다.
수납함(330)의 상면에는 지폐 정렬부(250)에서 정렬된 지폐가 투입되도록 투입구멍(331)을 형성하며, 수납함(330)의 내부 일면에는 모터(332)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333) 및 피니언 기어(333)의 회전에 따라 승강되는 래크(334)를 결합하며, 래크(334)의 상단에는 투입구멍(331)을 개폐시키는 셔터(335)를 장착한다.
셔터(335)는 래크(334)의 승강에 따라 힌지 결합된 다수의 패널로 이루어진 것으로, 통상의 것을 사용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도 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 시건장치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는 지폐 투입부(110)를 통해 지폐를 투입하게 되고, 지폐 투입부(110)에 설치되어 있는 투입 감지센서(115)에서 지폐의 투입을 감지하게 된다.
이렇게 지폐의 투입이 감지되면, 제2 롤러(120)의 일측에 마련된 모터(125)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125)가 회전되고, 모터(125)의 회전력은 벨트(126)를 거쳐 제1 롤러(111)를 회전시킨다.
이에 지폐는 제1 롤러(111)의 물림부(112) 또는 중간 물림부(113)를 거쳐 이송되는데, 지폐는 구형파 형상의 물림부(112) 또는 정현파 형상의 중간 물림부(113)에 의해 보다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한편 지폐가 아닌 카드 등이 투입되는 경우에는 중간 물림부(113)의 차단홈부(113a) 또는 물림부(112)의 원호홈부(112a)에 의해 투입이 차단된다. 즉, 제1 롤러(111) 및 제2 롤러(120)는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지폐의 두께보다 두꺼운 매체가 투입되는 경우 원호홈부(112a) 또는 차단홈부(113a)에 걸리게 되어 투입할 수 없게 된다.
투입된 지폐는 제2 롤러(120)의 톱니(123)에 의해 당겨지게 되고, 이송된 지폐는 중앙 정렬부(150)의 풀리(152)와 벨트(153)로 이루어진 중앙 이송부(151)로 이송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지폐(1)의 이송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7 및 도 8은 지폐(1)가 지폐 투입부(110)로 투입되어 이송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9 및 도 10은 중앙 정렬부(150)에 의해 지폐(1)가 중앙으로 정렬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지폐 투입부(110)로 지폐가 투입됨에 따라 중앙 정렬부(150)의 아이들 롤러(154)는 솔레노이드(미도시)에 의해 상승된 상태로 전환되고, 지폐(1)는 중앙 이송부(151)의 벨트(153)에 의해 이송된다.
지폐 투입부(110)로 이송된 지폐(1)는 길이 측정센서(155)에 의해 투입된 지폐(1)의 길이를 측정하게 되고, 지폐(1)의 끝단이 대략 7~15㎜ 지나간 다음에 아이들 롤러(154)가 상승된다.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중앙 정렬부(150)로 이송된 지폐(1)는 중앙 이송부(151)의 구동을 일시적으로 멈추게 되고, 이때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모터(158)가 회전됨에 따라 동력전달기어(159)에 의해 피니언 기어(160)가 회전된다.
이에 피니언 기어(160)에 좌우 대칭되게 맞물려 있는 래크(161)는 중앙을 향해 이동하게 되며, 래크(161)에 고정된 정렬판(157)이 중앙으로 이동되며, 이에 지폐(1)는 중앙으로 정렬된다.
이때 지폐(1)는 크기가 각각 다른 권종에 관계없이 중앙으로 정렬된다. 즉, 지폐(1)는 이송 방향의 중앙을 따라 지속적으로 이송되므로, 지폐(1)의 이송 도중에 걸림(jam) 또는 흐트러짐이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추후 지폐(1)를 중앙으로 정렬된 상태로 수납함(330)에 투입된다.
이러한 지폐(1)의 정렬이 완료되면, 구동모터(158)는 역회전되고 피니언 기어(160)의 역회전으로 래크(161)가 초기 상태로 복귀됨에 따라 정렬판(157)은 제자리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지폐(1)의 정렬이 완료되면, 지폐(1)는 중앙 이송부(151)에 의해 이송부(170)를 향해 이송되며, 이송되는 지폐(1)는 다수의 이미지 센서(173)에 의해 지폐의 진위 여부 또는 지폐의 위조 여부, 지폐의 투입 금액 등을 감지하게 된다.
이렇게 이송되는 지폐는 초음파센서(174)에 의해 지폐의 겹침 즉, 지폐가 2장 이상으로 겹쳐져 있는지를 판별하게 되고, 디버터 센서(175)에 의해 지폐의 투입 또는 반출을 판별하게 된다.
도 13 내지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의 감김 및 정렬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3은 지폐가 투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지폐가 후퇴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5는 지폐가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화살표는 지폐의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3은 낱장의 지폐가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와 도 15는 다수의 지폐가 동시에 이동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지폐는 사용자 등이 지하철, 버스 터미널 등에서 교통카드의 충전 또는 발급 등에 필요한 금액에 따른 다수의 지폐를 투입하게 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투입구(미도시)를 통해 유입된 지폐는 지폐 이동부(240)에 의해 드럼 감김부(210)로 이동하게 된다.
즉, 지폐는 상하 한 쌍으로 이루어진 지폐 이동부(240)의 벨트(241)와 롤러(242)가 회전되면서 지폐를 안정되게 이동시키며, 이때 지폐는 한 장씩 유입되는 순서에 따라 지폐 감김부(210)를 향해 이동된다.
이에 따라 지폐의 이동 시 순차적으로 이동되므로 지폐의 걸림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지폐 감김부(210)의 아래쪽에 마련된 제2 디버터(234)는 지폐가 드럼(211)을 향해 진입되도록 아래쪽으로 회전되어 있고, 지폐 정렬부(250)의 스토퍼(253)는 연장부(254)를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회전되어 있다.
이에 지폐 이동부(240)에 의해 이동된 지폐는 회전되는 드럼(211)의 외면과 지폐 감김부(210)의 벨트(218) 사이에 물려 드럼(211)의 외면에 감기게 되고, 드럼(211)에 감긴 지폐는 제1 디버터(230)의 가압판(231) 선단까지 이동된다.
지폐는 드럼(211)의 외면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가압판(231)에 의해 감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지폐 투입구에서 한 장씩 투입된 지폐는 드럼(211)과 벨트(218)에 의해 드럼(211)의 외면에 순차적으로 감기게 된다.
이때 검출센서(216)는 드럼(211)의 외면에 감겨 있는 지폐의 선단을 감지하게 되고,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다른 지폐는 검출센서(216)에 의해 드럼(211)에 감긴 지폐의 선단과 지폐 이동부(240)를 따라 이동되는 지폐의 선단을 서로 일치되게 감기게 된다.
이와 같이 지폐 투입구를 통해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지폐는 검출센서(216)에 의해 그 선단이 서로 일치되게 감기게 되는데, 검출센서(216)에 의해 지폐의 선단을 서로 일치되게 감아주게 되더라도 다수의 지폐 선단은 조금씩 일치되지 않는 상태로 감겨 있게 된다.
즉, 다수의 지폐 선단을 일치시켜 드럼(211)에 감아주게 되더라도, 예시적으로 지폐의 선단은 0.1~3㎜ 정도의 오차 범위 내에서 서로 일치된 상태로 감기게 된다.
지폐는 드럼(211)의 외면에 최대 20장을 감아둘 수 있으며, 지폐 투입구에서 투입된 다수의 지폐 선단은 오차 범위 내에서 드럼(211)의 외면에 감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드럼(211)에 감기는 지폐의 수는 지폐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지폐의 수량만큼 감아주게 된다. 이렇게 다수 지폐의 투입이 완료되면, 지폐 감김부(210)의 드럼(211)은 회전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폐의 투입이 완료되면, 지폐 감김부(210)는 선단이 정렬된 다수의 지폐를 지폐 이동부(240)로 이동시킨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감김부(210)의 드럼(211)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역회전이 이루어지며, 드럼(211)의 외면에 감겨 있는 다수의 지폐는 지폐 이동부(240)로 이동된다.
이때 지폐 이동부(240)는 지폐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도록 역회전이 이루어지며, 지폐는 상하 한 쌍의 벨트(241) 사이에 위치되어 이동된다.
이렇게 이동된 지폐는 지폐 정렬부(250)에 의해 정렬이 이루어진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251)가 회전되면서 구동모터(251)의 회전력이 동력전달기어(252)로 전달된다.
이러한 동력전달기어(252)에 의해 스토퍼(253)는 연장부(254)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회전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253)의 연장부(254)가 회전된 상태에서 지폐 이동부(240)는 지폐를 다시 지폐 감김부(210)를 향해 이동되도록 회전된다.
이에 따라 다수의 지폐는 드럼(211)을 향해 이동하게 되며, 이동되는 지폐는 연장부(254)의 맞춤면(255)에 밀착된다. 다수의 지폐는 맞춤면(255)에 밀착되면서 지폐의 선단이 정렬된다.
이와 같이 지폐의 정렬이 완료되면, 구동모터(251)의 회전에 의해 스토퍼(253)의 연장부(254)는 도 13에서와 같이, 수평 상태로 회전된다. 즉, 스토퍼(253)는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데, 도 13에서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다음 도 15에서와 같이 계속 회전되어 도 13의 상태로 회전된다.
한편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폐의 감김 및 정렬장치에 의한 지폐의 배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러한 지폐의 배출은 교통카드의 충전 또는 발급이 취소된 경우 지폐 감김부(210)에 감겨 있는 지폐를 배출하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폐의 감김 및 정렬장치에 의한 지폐의 하강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정렬부(250)에서 정렬된 지폐는 푸셔(313, pusher)에 의해 하강되어 지폐를 수납하는 수납함(330)에 수납하게 된다.
지폐 수납장치(300)의 수납 공간부(310)에는 일정 크기로 이루어진 수납함(330)이 수용되어 있으며, 이때 수납함(330)에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멍(331)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수납함(330)은 수납 공간부(310)에 수용하게 되면, 센서 등에 의해 제어신호가 전송되고,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인가된 모터(332)가 회전됨에 따라 피니언 기어(333)가 회전되며, 피니언 기어(333)에 맞물려 있는 래크(334)가 하강된다.
이에 래크(334)에 고정되어 있는 셔터(335)가 하강되어 수납함(330)의 투입구멍(331)이 개방된다.
이렇게 투입구멍(331)이 개방된 상태에서 지폐 정렬부(250)에 의해 선단이 정렬되어 있음은 물론 지폐 이송장치(110)에서 중앙 정렬된 지폐가 푸셔(313)에 의해 수납함(330)으로 투입된다.
즉, 지폐 정렬부(250)에서 지폐의 선단 정렬이 완료되면, 푸셔 시작센서(321)는 푸셔(313)의 모터(314)에 전원 인가 신호를 보내게 되고, 전원이 인가된 모터(314)는 회전되면서 회전이동 프레임(316)을 회전시키면서 회전이동 프레임(316)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링크(317)는 회전이동 프레임(316)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링크(317)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 링크(317)에 결합되어 있는 제2 링크(318) 또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1 링크(317)는 제2 안내 프레임(320)의 제2 안내구멍(320a)을 따라 수평 이동되며, 제2 링크(318)는 제1 안내 프레임(319)의 제1 안내구멍(319a)을 따라 수평 이동된다.
이와 같이 제1 링크(317) 및 제2 링크(318)가 수평 이동됨에 따라 제2 안내 프레임(320)은 수납함(33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고, 이때 선단이 정렬된 지폐는 제2 안내 프레임(320)의 저면에 안착된 상태로 수납함(33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렇게 투입된 지폐는 수납함(330) 내부에 채워지게 되며, 수납함(330)은 일정한 기간 또는 시간이 됨에 따라 관리자 등에 의해 수납 공간부(310)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수납함(330)이 수납 공간부(310)로부터 분리되면, 수납함(330) 내부에 설치된 모터(312)에 전원이 인가되고, 모터(312)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 기어(333)가 역회전 되어 래크(334)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에 수납함(330)의 투입구멍(331)은 셔터(335)에 의해 폐쇄된 상태로 전환되고, 이러한 수납함(330)에 수납된 지폐는 이동 도중에라도 수납함(330)으로 꺼낼 수 없게 된다.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는 지폐 입금기의 사용 중에 지폐의 잼, 이상 동작 등에 의해 지폐의 제거 및 유지·보수 등을 하기 위한 것으로, 지폐 투입부(110)에 대한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에서와 같이, 지폐 투입부(110)를 관리자(사용자)가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많은 장애를 발생시키는 지폐 이송장치(100) 또는 이송 정렬장치(200)에 있는 지폐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은 각각 지폐 투입부(110)이 개폐되기 전의 평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22 및 도 23은 지폐 투입부(110)가 개폐된 후의 평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내게 된다. 지폐 투입부(110)가 개방이 되면 지폐 수납장치(300)의 수납함(330)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게 되어 도난의 우려를 갖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 셔터(356)의 동작으로 지폐 투입부(110)의 개방 시에 지폐 수납장치(300)의 수납함(330)부를 가리게 된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투입부 개폐 장치(350)의 조작에 의해 지폐 투입부(110)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며, 시건장치는 고정 래치 가이드(351), 고정 래치 핀(352), 고정 래치(353), 제1 적재부 서터 링크(354), 제2 적재부 셔터 링크(355) 및 적재부 셔터(356)를 포함한다.
도 22 및 도 23에서와 같이 지폐 투입부(110) 개방 시에 고정 래치(353)는 고정 래치(353)에 부착된 고정 래치 핀(352)이 고정 래치 가이드(351)을 통해 수평 이동하게 되며, 이와 연동되어 제1 적재부 셔터 링크(354), 제2 적재부 셔터 링크(355)에 연동된 적재부 셔터(356)의 닫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적재부 셔터(356)는 지폐 수납장치(300)의 수납함(330)을 가리게 되어 시건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지폐 투입부(110)의 닫힘 동작 시에는 고정 래치(353)의 역방향 수평 이동에 의해 연동되는 제1 적재부 셔터 링크(354) 및 제2 적재부 셔터 링크(355)의 동작에 의해 연동되는 적재부 셔터(356)의 개방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적재부 셔터(356)는 지폐 수납장치(300)의 수납함(330)을 가리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지폐 이송장치 110: 지폐 투입부
150: 중앙 정렬부 170: 이송부
200: 이송 정렬장치 210: 지폐 감김부
230: 제1 디버터 240: 지폐 이동부
250: 지폐 정렬부 300: 지폐 수납장치
310: 수납 공간부 330: 수납함
350: 지폐 투입부 개폐장치

Claims (1)

  1. 투입된 지폐를 중앙 정렬하는 중앙 정렬부 및 상기 중앙 정렬부에서 정렬된 지폐를 인식하는 지폐 이송장치,
    상기 지폐 이송장치를 거쳐 투입된 다수의 지폐를 드럼에 일시적으로 감은 다음 후퇴시켜 지폐를 선단 정렬하는 이송 정렬장치,
    상기 이송 정렬장치에서 정렬된 지폐가 적재되며 상기 지폐의 수납 용량 증감에 따라 대응되게 용량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모듈화된 지폐 수납장치,
    상기 지폐 이송장치는 지폐의 투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롤러가 마련된 지폐 투입부,
    상기 지폐 투입부로 투입 이송된 지폐를 중앙 정렬시키는 중앙 정렬부,
    상기 중앙 정렬부로부터 이송된 지폐의 진위·위조 여부를 판별하여 지폐를 투입 또는 배출시키는 이송부,
    상기 지폐 이송장치 및 이송 정렬장치로 투입된 지폐(매체)의 걸림(잼), 이상 동작에 의해 지폐의 제거 또는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도록 장착되는 시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장치.
KR1020140052234A 2014-04-30 2014-04-30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 장치 KR20150125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234A KR20150125227A (ko) 2014-04-30 2014-04-30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234A KR20150125227A (ko) 2014-04-30 2014-04-30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227A true KR20150125227A (ko) 2015-11-09

Family

ID=54604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234A KR20150125227A (ko) 2014-04-30 2014-04-30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52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8974A1 (ko) * 2019-01-30 2020-08-06 주식회사 이노스텍 무인 현금 수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8974A1 (ko) * 2019-01-30 2020-08-06 주식회사 이노스텍 무인 현금 수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0190B2 (ja) 媒体取引装置
JP5553134B2 (ja) 媒体取引装置
KR20150047795A (ko) 횡방향 입출금 방식이 적용된 환류형 지폐/수표 입출금장치 및 그에 적용되는 지폐/수표 처리방법
WO2016059839A1 (ja) 媒体収容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KR20170112341A (ko) 가변 스토퍼가 구비된 다권종 지폐카세트
WO201415564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5789562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1280658B1 (ko)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KR20150125227A (ko)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기의 시건 장치
JP6511764B2 (ja)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4686940B2 (ja) 表裏反転機構
JP4311309B2 (ja) 金銭処理装置、紙幣処理装置および硬貨処理装置
JPH09198544A (ja) 紙幣取扱装置
AU2020343703C1 (en) Banknote deposit-withdrawal system and architecture
US9424707B2 (en) Actuated castellation plate for a currency acceptor
KR20150124715A (ko) 에스크로형 지폐 입금장치의 지폐의 감김 및 정렬장치
JP4265511B2 (ja) 紙幣収納庫、紙幣処理装置および金銭処理装置
KR20150124714A (ko) 지폐 입금기의 지폐 정렬장치
JP2516660Y2 (ja) 紙幣処理装置の一時集積機構
JP2680339B2 (ja) 自動取引装置
JPS63242839A (ja) 自動取引装置
JP2000251117A (ja) 貨幣処理装置
JPH089819Y2 (ja) 紙幣処理装置
JP2000251125A (ja) 紙幣処理装置
JP2022084246A (ja)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