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8999B1 - 선회식건설기계 - Google Patents

선회식건설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8999B1
KR100328999B1 KR1019980020198A KR19980020198A KR100328999B1 KR 100328999 B1 KR100328999 B1 KR 100328999B1 KR 1019980020198 A KR1019980020198 A KR 1019980020198A KR 19980020198 A KR19980020198 A KR 19980020198A KR 100328999 B1 KR100328999 B1 KR 100328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ttom plate
walk
swing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548A (ko
Inventor
데루오 이리노
다카하루 니시무라
신이치로 엔도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06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워크스루(walk-through)(12)는 사용자가 운전석(9)(캐빈커버(10)) 및 엔진커버(6)의 좌측을 지나서 전후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바닥판(8)의 좌바닥판부(8B), 캐빈커버(10)의 좌측면부(10D), 및 엔진커버(6)의 좌커버(6C)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워크스루(12)를 통함으로써 사용자는 좁은 작업현장에서도 상부선회체(2)의 전후로 빠져나갈 수 있다. 또, 도어가 벽에 충돌되지 않게 않고 워크스루(12)내에서 도어를 열고 운전석에 승차 또는 운전석으로부터 하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회식 건설기계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유압쇼벨 등의 선회식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고, 특히, 작은 선회반경을 가능하게 한 선회식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회식 건설기계로서는 유압쇼벨 등이 알려져 있고, 이 유압쇼벨은, 하부주행체와, 이 하부주행체상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선회체와, 이 상부선회체의 전부(前部)에 배치된 작업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선회체는, 골조구조를 이루는 선회프레임, 상기 작업장치와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 이 선회프레임의 후부(後部)에 배치된 카운터웨이트, 이 카운터웨이트의 앞쪽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체프레임에 탑재된 엔진을 덮은 엔진커버, 이 엔진커버의 앞쪽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프레임의 상면을 덮은 바닥판, 상기 엔진커버의 앞쪽에 위치하여 이 바닥판상에 배치된 운전석으로 대략 구성되고, 상기 선회프레임의 전부에 작업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또, 유압쇼벨에는, 후방소선회형(後方小旋回型), 초소선회형(超小旋回型)이라고 불리는 선회식 유압쇼벨(이하, 단지 소선회식 유압쇼벨이라고 함)이 있고, 이 소선회식 유압쇼벨은, 상부선회체를 위쪽에서 본 경우, 상부선회체의 최소한 카운터웨이트가 위치하는 부분이 선회중심에 대하여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선회체가 선회할 때에, 최소한 카운터웨이트측이 대체로 차폭내(車幅內)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운전석으로부터 전망이 나쁜 카운터웨이트부를 대체로 차폭내에서 선회 가능하게 하여, 작업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규정에 의하면, 상부선회체의 후부가 차폭으로부터 20% 정도 나오는 것까지를 포함하여 후방소선회형, 초소선회형의 범주에 포함해도 된다고 되어 있다. 또, 「차폭내」에 관하여, 실제의 제품에서는 상부선회체가 차폭으로부터 다소 나와 있어도, 대체로 차폭내로 하여 취급된다.
그런데, 전술한 종래기술에 의한 소선회식 유압쇼벨에서는, 좁은 작업현장에서 작업을 행하는 일이 많고, 유압쇼벨의 좌측에 근접하여 벽 등의 장해물이 존재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작업현장에서는, 상부선회체와 벽과의 근접에 의해 운전석에의 승차 또는 운전석으로부터의 하차가 곤란하게 된다. 또, 유압쇼벨의 양측에 벽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유압쇼벨이 전후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운전석이 캐빈커버에 의해 덮힌 캐빈타입의 유압쇼벨의 경우에는, 캐빈커버에 배치된 도어를 열고 출입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캐빈커버가 벽에 접근한 상태에서는 도어를 충분히 열 수 없다. 그러므로, 운전석에 승차, 하차할 때마다, 유압쇼벨을 넓은 장소로 이동시키는 등의 배려가 필요하게 되어, 작업성의 저하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캐빈커버로부터 출입할 때에는, 도어를 조금밖에 열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 도어가 벽에 충돌해버려, 도어가 손상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하부주행체의 폭 치수보다도 상부선회체의 선회반경을 대폭 작게 함으로써, 캐빈커버의 도어를 여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상부선회체가 대폭 소형화되고, 기기류의 배치가 불편하게 되는데다, 작업능력의 저하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쇼벨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유압쇼벨을 확대한 상태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선회프레임과 상부선회체의 형상을 상부선회체의 경사후방으로부터 본 투시도.
도 4는, 바닥판의 형상을 나타낸 운전석, 캐빈커버 등을 생략한 유압쇼벨의 평면도.
도 5는, 하부주행체, 상부선회체를 확대한 상태로 나타낸 좌측면도.
도 6은, 벽의 근방에 배치한 유압쇼벨의 요부(要部)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쇼벨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상부선회체의 형상을 상부선회체의 경사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목적은, 좁은 작업현장에서도 운전석에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선회식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중에 있어서, 「전후」 및 「좌우」라는 것은 운전석의 오퍼레이터를 기준으로 한 방향 또는 쪽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선회식 건설기계는 하부주행체, 이 하부주행체 위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선회체, 및 이 상부선회체의 전부(前部)에 배치된 작업장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상부선회체가 골조구조를 이루는 선회프레임; 상기 작업장치와 균형을 이루도록 이 선회프레임의 후부에 배치된 카운터웨이트; 이 카운터웨이트의 앞쪽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프레임에 탑재된 엔진을 덮은 엔진커버; 이 엔진커버의 일부로서 배치되고, 상기 상부선회체의 좌우편측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뻗는 측면커버부분; 상기 엔진커버의 앞쪽으로부터 상기 측면커버부분의 옆쪽에 걸쳐서 상기 선회프레임의 상면을 덮은 바닥판; 상기 엔진커버의 앞쪽에 위치하여 상기 바닥판 상에 배치된 운전석; 및 사용자가 상기 운전석과 엔진커버의 옆쪽을 전후방향으로 지나갈 수 있도록 엔진커버부의 상기 측면커버부 및 이 측면커버부 옆쪽에 위치한 바닥판사이드부에 의해 형성된 워크스루(walk-through)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벽을 따라 작업을 행하는 경우, 건설기계를 벽을 따라 주기(駐機)하는 경우라도, 운전석, 엔진커버의 측면커버부분과 벽과의 사이에 워크스루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워크스루를 통해 운전석에 승차 또는 운전석으로부터 하차할 수 있고, 또 건설기계의 전후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특히, 운전석이 캐빈커버에 의해 덮힌 캐빈타입의 건설기계에서는, 워크스루내에서 도어를 열 수 있으므로, 좁은 작업현장에서도 캐빈커버내로 출입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워크스루를 형성하는 바닥판사이드부분에 있어서 상기 상부선회체의 선회프레임이 위치하는 부분의 전단부(前端部)는 카운터웨이트의 외주를 기준으로 한 선회반경보다도 경(徑)방향으로 돌출한 각(角)코너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한다.
이로써, 선회동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부선회체의 선회프레임이 위치하는 부분의 전단부의 각코너부를 운전석으로부터 바라다보고, 이 각코너부가 벽 등의 장해물에 접촉하지 않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카운터웨이트부분이 어느 정도 차폭으로부터 돌출되는 크기라도, 전망이 나쁜 카운터웨이트측이 장해물에 접촉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워크스루를 형성하는 바닥판사이드부분에는 난간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난간을 잡은 상태에서 워크스루에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다. 또, 워크스루를 형성하는 바닥판사이드부분상에 재치한 예비부품, 급유용 탱크 등를 난간에 고정하여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엔진커버의 측면커버부분에는 상기 워크스루를 형성하는 바닥판사이드부분의 위쪽에 위치하여 연료급유구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연료를 급유하는 경우에는, 워크스루를 형성하는 바닥판사이드부분상에 연료가 들어간 급유용 탱크를 재치할 수 있고, 재치한 상태에서 급유용 탱크내의 연료를 엔진커버의 측면커버부분에 배치된 연료급유구로부터 급유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선회식 건설기계는 운전석을 덮는 캐빈커버를 더 구비하고, 이 캐빈커버는 상기 엔진커버의 측면커버부분과 대략 면이 일치하게 뻗는 측면부분을 가지고, 상기 워크스루는, 상기 바닥판사이드부분과 상기 측면커버부분과 그 캐빈커버의 측면부분과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의한 선회식 건설기계로서 소선회식의 유압쇼벨을 예로 들어,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1)은 하부주행체, (2)는 이 하부주행체(1)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선회체로, 이 상부선회체(2)의 외형형상은, 후술하는 선회프레임(3), 카운터웨이트(4), 엔진커버(6), 바닥판(8), 운전석(9)을 포함하는 캐빈커버(10), 워크스루(12) 등으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선회체(2)의 선회프레임(3)이나 카운터웨이트(4)가 위치하는 부분은, 위쪽에서 본 경우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중심 O에 대하여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3)은 상부선회체(2)의 베이스를 구성하는 선회프레임으로, 이 선회프레임(3)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잘라 낸 강판을 용접에 의해 고착함으로써 골조구조를 이루고 있다.
(4)는 선회프레임(3)의 후부에 장착된 카운터웨이터로, 이 카운터웨이트(4)는 선회중심 O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R(선회반경 R)의 원호(圓弧)에 따라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카운터웨이트(4)는 작업장치(15)와 밸런스를 취하는 것이다. 또, 이 카운터웨이트(4), 후술하는 선회프레임(3)의 측면, 전면(前面)을 덮는 하(下)커버(14)와 함께, 상부선회체(2)의 베이스부의 외주윤곽을 부여하고 있다.
(5)는, 카운터웨이트(4)의 앞쪽에 위치하여 선회프레임(3)에 탑재된 엔진(도 4중에 점선으로 도시)으로, 이 엔진(5)은 좌우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가로배치상태로 탑재되어 있다. 또, 엔진(5)에는, 당해 엔진(5)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압유를 토출하는 유압펌프(도시하지 않음) 등이 장착되어 있다.
(6)은 선회프레임(3)의 후부 상측에 배치된 엔진커버로, 이 엔진커버(6)는, 운전석(9)의 배면에 배치된 백커버(back cover)(6A)와 이 백커버(6A)의 후측 또한 카운터웨이트(4)의 상측에 위치하여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고, 통상 본네트로 불리는 리어커버(rear cover)(6B)와, 상기 백커버(6A), 리어커버(6B)의 좌측에 배치된 좌커버(6C)와, 상기 백커버(6A), 리어커버(6B)의 우측에 배치된 우커버(6D)로 대략 구성되고, 엔진커버(6)는, 전술한 카운터웨이터(4)와 함께 엔진(5) 등을 덮고 있다. 또, 리어커버(6B) 및 우커버(6D)는 원호형으로 형성된 측면부분을 가지고, 이들 측면부분은 상기 상부선회체(2)의 베이스부의 외주윤곽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위쪽으로 서 있고, 좌커버(6C)는 전후방향으로 뻗는 대략 평면형의 측면부분(60)을 가지고, 이 측면부분(60)은 상기 상부선회체(2)의 베이스부의 외주윤곽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로부터 위쪽으로 서 있다. 상기 좌커버(6C)의 측면부분(60)에는, 연료탱크(도시하지 않음)에 연료를 급유하기 위한 연료급유구(7)가 배치되어 있다.
(8)은 엔진커버(6)의 앞쪽으로부터 좌측에 걸쳐 선회프레임(3)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된 바닥판(도 4중에 사선으로 나타낸 부분)으로, 이 바닥판(8)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가 대략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바닥판(8)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커버(6)의 백커버(6A) 앞쪽에 위치하는 중앙바닥판부(8A)와, 좌커버(6C)보다도 좌측에 위치하여 외주가 원호형으로 형성된 좌바닥판부(8B)와, 우커버(6D)의 앞쪽에 위치하는 우바닥판부(8C)로 구성되어 있다.
(9)는 선회프레임(3)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여 바닥판(8)의 중앙바닥판부(8A) 위에 배치된 운전석으로, 이 운전석(9)은 엔진커버(6)의 백커버(6A)의 앞쪽에 위치하고, 그 주위에는 하부주행체(1), 작업장치(15A,15B)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레버(도시하지 않음) 등이 배치되어 있다.
(10)은 운전석(9)을 덮도록 바닥판(8)의 중앙바닥판부(8A)상에 장착된 캐빈커버로, 이 캐빈커버(10)는, 천정부(10A), 전면부(10B), 후면부(10C), 좌측면부(10D), 우측면부(10E)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상자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캐빈커버(10)는, 좌측면부(10D)에 위치하여 이 캐빈커버(10)에 출입하기 위한 도어(11)가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캐빈커버(10)는, 상부선회체(2)의 좌우방향 중간부에 위치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신장한 장방형을 이룬 하우징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캐빈커버(10)의 좌측면부(10D)는 엔진커버(6)의 좌커버(6C)의 측면부분(60)과 대체로 면이 일치하게 전후방향으로 뻗어 있다.
(12)는 바닥판(8)의 좌바닥판부(8B)와 캐빈커버(10)의 좌측면부(10D)와 엔진커버(6)의 좌커버(6C)의 측면부분(60)과로 형성되고, 운전석(9)(캐빈커버(10))과 엔진커버(6)의 좌측을 전후방향으로 빠져 나가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워크스루이다. 이 워크스루(12)의 주요구성요소인 좌바닥판부(8B)는, 선회프레임(3)의 전후방향으로 연재하고, 중앙부에 위치하는 중앙평면부분(12A)과, 전부에 위치하는 방형상(方形狀) 평면부분(12B)과, 후부에 위치하여 점차 좁아지는 삼각형 평면부분(12C)과를 가지는 형상을 이루고, 전체로서는 선회프레임(3)의 전후방향으로 빠져 나가기에 충분한 폭 치수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방형상 평면부분(12B)은, 워크스루(12)의 전부에 위치하여 다른 부분(12A,12C)과 별개의 부재의 방형상의 평면판으로 구성되고, 이로써, 방형상부분(12B)은, 작업자가 워크스루(12)에 승강할 때에, 다리를 확실히 걸치고 승강할 수 있는 승강용 스텝을 구성하고 있다.
(13)은 워크스루(12)를 형성하는 좌바닥판부(8B)의 후부의 삼각형 평면부분(12C)에 배치된 난간으로, 이 난간(13)은, 작업자가 워크스루(12)를 형성하는 좌바닥판부(8B)에 승강할 때에 잡는 것이다. 또, 난간(13)의 다른 이용방법으로서는, 워크스루(12)를 형성하는 좌바닥판부(8B)상에 재치된 예비부품, 연료가 들어간 급유용 탱크 등을 끈걸이(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난간(13)에 고정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좌커버(6C)의 측면부분(60)에 배치된 연료급유구(7)는 워크스루(12)를 형성하는 좌바닥판부(8B)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14)는, 선회프레임(3)의 측면, 전면을 덮도록 배치된 하커버로, 이 하커버(14)의 일부는 바닥판(8)의 외주에지에 겹치고 있다.
(15A,15B)는 상부선회체(2)의 전부에 배치된 작업장치(도 1 참조)로, 작업장치(15A)는, 선회프레임(3)의 전부에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토사의 굴삭작업 등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상부선회체(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크스루(12)를 형성하는 좌바닥판부(8B)에 있어서 선회프레임(3)의 하커버(14)가 위치하는 부분의 좌전단부가 돌출각코너부(16)(도 2중 사선으로 나타낸 부분)로 되고, 이 돌출각코너부(16)는, 카운터웨이트(4)의 외주를 기준으로 한 선회반경 R보다 경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로써, 카운터웨이트(4)의 외주가 차폭(하부주행체(1)의 폭)으로부터 어느 정도 돌출하는 크기라도, 상부선회체(2)의 선회동작 시에는, 주시에 의해 돌출각코너부(16)가 주위의 장해물에 접촉하지 않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운전석(9)으로부터 전망이 나쁜 카운터웨이트(4)부분이 장해물에 접촉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워크스루(12)의 전부에는, 전술한 방형상 평면부분(12B)의 방형상의 평면판의 장착위치가 확보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소선회식의 유압쇼벨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음에, 그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유압쇼벨에 승차하는 경우에는, 하부주행체(1)상으로부터 난간(13)을 잡고 워크스루(12)를 형성하는 좌바닥판부(8B)상에 타고, 도어(11)를 열어 캐빈커버(10) 내로 들어가, 운전석(9)에 앉는다.
다음에, 운전석(9)에 앉은 상태에서 유압쇼벨을 운전하는 경우에는, 각 조작레버를 조작하여 엔진(5)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펌프로부터 압유를 하부주행체(1)에 급배(給排)함으로써, 이 하부주행체(1)를 원하는 방향, 속도로 주행시킨다. 또, 유압펌프로부터의 압유를 작업장치(15A 또는 15B)에 급배함으로써, 굴삭작업 등의 필요한 작업을 행한다.
또, 상부선회체(2)를 선회동작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이 상부선회체(2)의 좌전단부에 위치하는 돌출각코너부(16)를 바라다보아 주위의 장해물에 대하여 접촉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는 것만으로, 카운터웨이트(4)가 차폭으로부터 돌출하는 크기라도, 전망이 나쁜 카운터웨이트(4) 등이 장해물에 접촉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소선회식 유압쇼벨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주행체(1)에 장해물로 되는 벽(17)이 접근한 좁은 작업현장에서 작업하는 일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좁은 장소에서도, 워크스루(12)를 통함으로써 유압쇼벨이 전후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더욱이, 워크스루(12)에 의해 캐빈커버(10)와 벽(17)을 이간시키고 있으므로, 이 워크스루(12)내에서 도어(11)가 열리게 할 수 있어, 캐빈커버(10)내의 운전석(9)에 승차하거나, 또는 운전석(9)으로부터 하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운전석(9)(캐빈커버(10))과 엔진커버(6)의 좌커버(6C)의 좌측에 워크스루(12)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이 워크스루(12)를 통함으로써, 좁은 작업현장에서도 상부선회체(2)의 전후로 빠져나갈 수 있고, 또, 도어(11)를 벽(17)에 충돌시키지 않고 워크스루(12)내에서 도어(11)를 열어운전석(9)에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기술과 같이, 유압쇼벨의 전후방향으로 빠져나갈 때, 또는 운전석(9)에 승강할 때에 유압쇼벨을 이동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유압쇼벨의 불필요한 작동을 없게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유압쇼벨을 다른 유압쇼벨 또는 벽(17) 등에 접근시켜 주기할 수 있어, 주기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워크스루(12)를 이용하여 도어(11)를 벽(17)에 충돌시키지 않고 열 수 있으므로, 도어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부선회체(2)를 소형화할 필요도 없고, 기기류의 배치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데다, 유압쇼벨의 작업능력을 높일 수 있다.
또, 워크스루(12)의 전부를 승강용 스텝을 이루는 방형상 평면부분(12B)으로 하고 있으므로, 워크스루(12)에 승강할 때에, 방형상 평면부분(12B)에 확실히 다리를 걸칠 수 있어, 승강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선회동작시에는 상부선회체(2)의 돌출각코너부(16)를 바라다보아 주위의 장해물에 대하여 접촉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는 것만으로, 전망이 나쁜 카운터웨이트(4)에 치수오차가 있다고 해도, 이것이 장해물에 접촉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 선회동작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워크스루(12)를 형성하는 좌바닥판부(8B)상에 난간(13)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이 난간(13)을 잡음으로써 워크스루(12)에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다. 더욱이, 좌바닥판부(8B)상에 재치한 예비부품, 급유용 탱크 등을 끈걸이 등에 의해 난간(13)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이들 부재를 운반할 수 있다.
한편, 워크스루(12)를 형성하는 좌바닥판부(8B)의 위쪽에 위치하여 엔진커버(6)의 측면부분(60)에 연료급유구(7)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좌바닥판부(8B)상에 급유용 탱크를 재치한 상태에서 급유작업을 행할 수 있어, 급유시의 노력을 경감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운전석의 상측에 캐노피(canopy)를 가지는 캐노피타입의 유압쇼벨을 사용한 것에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21)은 상기 제1의 실시예에 의한 상부선회체(2)에 대신하여 사용되는 본 실시예에 의한 상부선회체로, 이 상부선회체(21)는, 선회프레임(도시하지 않음)과, 이 선회프레임의 후부에 장착된 카운터웨이트(22)와, 선회프레임의 측면, 전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카운터웨이트(22)와 함께 상부선회체(21)의 베이스부의 외주윤곽을 정하는 하커버(34)와, 상기 선회프레임의 후부 및 카운터웨이트(22)의 상측에 위치하여 엔진(5)을 덮는 백커버(23A), 리어커버(23B), 좌커버(23C), 우커버(23D)로 이루어지는 엔진커버(23)와, 이 엔진커버(23)의 앞쪽으로부터 좌측에 걸쳐 선회프레임의 상면을 덮는 중앙바닥판부(24A), 좌바닥판부(24B) 및 우바닥판부(24C)로 이루어지는 바닥판(24)과, 상기 엔진커버(23)의 백커버(23A)의 앞쪽에 위치하여 이 바닥판(24)의 중앙바닥판부(24A)상에 배치된 운전석(25)과, 바닥판(24)의 좌바닥판(24B)과 좌커버(23C)의 측면부분(61)으로 형성되고, 이 운전석(25)과 엔진커버(23)의 좌측을 전후방향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워크스루(26)로대략 구성되고, 상기 운전석(25)의 상측에는 캐노피(27)가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1의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벽을 따라 작업을 행하는 경우, 건설기계를 벽을 따라 주기하는 경우라도, 운전석, 엔진커버와 벽과의 사이에는 워크스루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이 워크스루를 통해 운전석에 승차 또는 하차할 수 있고, 또 건설기계가 전후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특히, 운전석이 캐빈커버에 의해 덮힌 캐빈타입의 건설기계에서는, 워크스루내에서 도어를 열 수 있으므로, 좁은 작업현장에서도 캐빈커버내로 출입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시 등에 건설기계를 이동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건설기계의 불필요한 작동을 없게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주기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선회동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워크스루를 형성하는 바닥판의 사이드부분에 있어서 상부선회체의 선회프레임이 위치하는 부분의 전단부의 각코너부를 운전석으로부터 바라다보아, 이 각코너부가 벽 등의 장해물에 접촉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는 것만으로, 카운터웨이트(4)가 차폭으로부터 돌출하는 크기라도, 전망이 나쁜 카운터웨이트부분이 장해물에 접촉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 선회동작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워크스루를 형성하는 바닥판사이드부분에 난간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이 난간을 잡은 상태에서 워크스루에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다. 또, 워크스루를 구성하는 바닥판사이드부분상에 재치한 예비부품, 급유용 탱크 등을 난간에 고정하여 운반할 수 있어, 수리작업, 급유작업을 작업현장에서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를 급유하는 경우에 워크스루를 형성하는 바닥판사이드부분상에 연료가 들어간 급유용 탱크를 재치할 수 있으므로, 재치한 상태에서 급유용 탱크내의 연료를 엔진커버에 배치된 연료급유구로부터 급유할 수 있어, 급유작업시의 노력을 경감할 수 있다.

Claims (5)

  1.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선회체, 및 상기 상부선회체의 전부(前部)에 설치된 작업장치를 구비한 선회식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상부선회체는:
    골조구조를 이루는 선회프레임;
    상기 작업장치와 균형을 이루도록 상기 선회프레임의 후부(後部)에 배치된 카운터웨이트;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앞쪽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프레임에 탑재된 엔진을 덮은 엔진커버;
    상기 엔진커버의 일부로서 제공되고, 상기 상부선회체의 좌우편측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측면커버부;
    상기 엔진커버의 앞쪽으로부터 상기 측면커버부의 옆쪽에 걸쳐 상기 선회프레임의 상면을 덮은 바닥판;
    상기 엔진커버의 앞쪽에 위치하여 상기 바닥판 상에 장착된 운전석;
    사용자가 상기 운전석과 엔진커버의 옆쪽을 지나 전후방향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엔진커버부의 상기 측면커버부 및 이 측면커버부 옆쪽에 위치한 바닥판사이드부에 의해 형성된 워크스루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건설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스루를 형성하는 상기 바닥판사이드부에서 상기 상부선회체의 선회프레임이 위치하는 부분의 전단부(前端部)는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외주를 기준으로 한 선회반경보다 경(徑)방향으로 돌출한 코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건설기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난간이 상기 워크스루를 형성하는 바닥판사이드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건설기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료급유구가 상기 엔진커버의 측면커버부에서 상기 워크스루를 형성하는 바닥판사이드부의 위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건설기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을 덮는 캐빈 커버- 여기서 캐빈 커버는 상기 엔진커버의 측면커버부와 대체로 동일한 평면으로 연장된 측면부를 가짐-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워크스루는 상기 바닥판사이드부, 상기 측면커버부, 및 상기 캐빈커버의 측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회식 건설기계.
KR1019980020198A 1997-06-03 1998-06-01 선회식건설기계 KR100328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050997 1997-06-03
JP97-160509 1997-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548A KR19990006548A (ko) 1999-01-25
KR100328999B1 true KR100328999B1 (ko) 2002-08-21

Family

ID=15716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198A KR100328999B1 (ko) 1997-06-03 1998-06-01 선회식건설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70588B1 (ko)
EP (1) EP0882846B1 (ko)
KR (1) KR100328999B1 (ko)
CN (1) CN1076424C (ko)
DE (1) DE6981745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7613A1 (fr) * 1996-08-20 1998-02-26 Yanmar Diesel Engine Co., Ltd. Engin de terrassement pivotant
US6394212B1 (en) * 1997-12-22 2002-05-2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Rotary type construction machine and cab, equipment housing cover and counterweight for such construction machine
JP2001040706A (ja) * 1999-08-03 2001-02-13 Komatsu Ltd 建設機械の旋回台
IT1311436B1 (it) * 1999-12-17 2002-03-12 New Holland Italia Spa Macchina movimento terra.
JP4113925B2 (ja) * 2000-01-19 2008-07-09 ヤンマー株式会社 バックホーのキャビン
US7523804B2 (en) * 2002-03-26 2009-04-28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Small swing type shovel
EP1550772B1 (en) * 2002-10-11 2017-01-1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Rotat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
EP1413684A1 (en) * 2002-10-23 2004-04-28 Komatsu Ltd Work vehicle
FR2846677B1 (fr) * 2002-11-06 2005-04-22 Bernard Coeuret Cabine de conducteur de vehicule de chantier notamment a roues ou a chaines
JP2005023718A (ja) * 2003-07-01 2005-01-27 Komatsu Ltd 建設機械
JP2005088783A (ja) * 2003-09-18 2005-04-07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製造方法およびガードパネル
US7216734B2 (en) * 2003-09-25 2007-05-15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4226546B2 (ja) * 2004-03-29 2009-02-18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CN100482901C (zh) * 2004-03-29 2009-04-29 株式会社久保田 具有旋转台的旋转作业机
JP3908750B2 (ja) * 2004-04-30 2007-04-25 株式会社竹内製作所 建設機械の運転室
JP4474222B2 (ja) * 2004-07-22 2010-06-0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構造
GB2419117B (en) * 2004-10-14 2008-03-05 Jcb Compact Products Ltd Working machine
EP1659225B1 (en) * 2004-11-19 2017-08-23 Kubota Corporation Swiveling work machine
JP4510146B2 (ja) * 2005-01-24 2010-07-2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製造方法
JP4233595B2 (ja) * 2005-01-31 2009-03-0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KR100600337B1 (ko) * 2005-05-26 2006-07-18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충격흡수기능을 가지는 언더캐리지
JP4303708B2 (ja) * 2005-07-05 2009-07-29 ヤンマー株式会社 旋回作業車
US7503419B2 (en) * 2005-09-26 2009-03-17 Kubota Corporation Backhoe
KR100656068B1 (ko) * 2005-12-27 2006-12-1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냉각장치
US20070145759A1 (en) * 2005-12-28 2007-06-28 Timberpro Inc. Mobile device for handling material
FR2899197B1 (fr) * 2006-04-04 2009-03-20 Jean Naud Habitacle de vehicule a ouverture adaptable
US7699328B2 (en) * 2007-07-16 2010-04-20 Timberpro Inc. Retractable step for cab of mobile machine
US8070170B2 (en) * 2007-11-12 2011-12-06 Timberpro, Inc. Tilt device for a material handling machine
DE202008013896U1 (de) * 2008-10-17 2010-03-11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Verfahrbares Arbeitsgerät
JP4609567B2 (ja) * 2008-10-29 2011-01-1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作業機械
EP2224063A1 (en) * 2009-02-28 2010-09-01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Holding Sweden AB Cab of small wing radius excavator
JP5054802B2 (ja) * 2010-05-24 2012-10-2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228000B2 (ja) * 2010-05-26 2013-07-03 日立建機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式建設機械
EP2708660B1 (en) * 2011-05-12 2017-09-20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5865384B2 (ja) * 2011-10-05 2016-02-17 日立建機株式会社 小型の建設機械
DK178988B1 (en) * 2015-12-15 2017-07-31 Staal Ind Ivs Selvkørende universalkøretøj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1430A (en) * 1972-10-02 1974-10-15 Caterpillar Tractor Co Roll structure cab and seat arrangement for track-type tractors
US3982601A (en) * 1975-05-01 1976-09-28 Deere & Company Guide support for slidable door of grader having an articulated frame
US4240648A (en) 1977-07-11 1980-12-23 Caterpillar Tractor Co. Safety guard for work platforms
JPS55161740U (ko) * 1979-05-11 1980-11-20
JPH0410290Y2 (ko) * 1984-11-28 1992-03-13
JPH076217B2 (ja) 1987-10-09 1995-01-30 日立建機株式会社 全旋回式作業機
JP2895284B2 (ja) 1991-10-31 1999-05-24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旋回作業車
US5286081A (en) * 1993-01-21 1994-02-15 Martin Sheet Metal, Inc. Panel cab
JPH0718701A (ja) 1993-07-02 1995-01-20 Seirei Ind Co Ltd 掘削作業機
JP3304186B2 (ja) 1994-03-07 2002-07-22 日立建機株式会社 スイング方式の掘削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70588B1 (en) 2001-01-09
EP0882846A3 (en) 1999-08-25
EP0882846A2 (en) 1998-12-09
DE69817451D1 (de) 2003-10-02
EP0882846B1 (en) 2003-08-27
CN1076424C (zh) 2001-12-19
KR19990006548A (ko) 1999-01-25
DE69817451T2 (de) 2004-06-24
CN1201097A (zh) 1998-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8999B1 (ko) 선회식건설기계
JP6550359B2 (ja) 建設機械
JP4648963B2 (ja) 作業機の操縦部構造
JP4044314B2 (ja) 建設機械
JP2843807B2 (ja) 旋回作業車
JP4746642B2 (ja) 作業機の操縦部構造
JP3703968B2 (ja) 旋回式建設機械
JP6983830B2 (ja) 建設機械
JP4648962B2 (ja) 作業機の操縦部構造
JP3772545B2 (ja) 建設機械の運転席ユニット
JPH06212665A (ja) 旋回作業車
JP3471600B2 (ja) 旋回作業機
JP2014031686A (ja) 旋回作業機
JPH11269921A (ja) 旋回作業機
JP4291212B2 (ja) 旋回式建設機械
JP2000136547A (ja) 建設機械
JP3576832B2 (ja) 旋回作業機
JP2010216157A (ja) 作業機械
JP3648469B2 (ja) 掘削作業機
JP2010106529A (ja) 建設機械の油圧ホースの固定装置
JP6873630B2 (ja) 小旋回型ショベル
JPH11269936A (ja) 旋回作業機
JPH11269934A (ja) 旋回作業機
JP3220390B2 (ja) バックホウ
JP4738188B2 (ja) 作業車のキャノ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