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442B1 - 엘리베이터의호출등록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호출등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442B1
KR100296442B1 KR1019980054004A KR19980054004A KR100296442B1 KR 100296442 B1 KR100296442 B1 KR 100296442B1 KR 1019980054004 A KR1019980054004 A KR 1019980054004A KR 19980054004 A KR19980054004 A KR 19980054004A KR 100296442 B1 KR100296442 B1 KR 100296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destination floor
expected
car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874A (ko
Inventor
교조 오오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04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2Mechanical or piezoelectric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23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after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through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76Call registering systems for checking authorization of the passengers

Abstract

행선층의 자동등록과 이 자동등록에 대해 행선층을 정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호출등록 장치를 얻는다.
이용객 마다에 행선층 CC를 예상해서 예상행선층 기어수단(7)에 기억해두고, 개인 식별수단(6)에서 이용객을 식별하고,이 식별결과에 의해 상기 예상행선층 기억수단(7)에서 예상행선층 MCC를 판독해서 확인을 위해 일단 카내에 표시한 후 이 예상행선층 MCC를 최종적인 행선층 CC로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13)에 자동적으로 등록하고, 이용객이 의도하는 행선층 CC가 예상행선층 MCC와 다를때는 새롭게 카 행선단추(12)로 행선층 CC를 지정함으로써 예상행선층 MCC에 따른 행선층 CC를 정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 식별수단을 사용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을 등록하는 발명으로서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2 - 43185호 공보에는 개인의 지문을 미리 데이터 베이스화 해두고, 엘리베이터의 이용자의 지문을 그때마다 검출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지문과 조회해서 일치한 경우에만 호출을 등록 하도록 해서 방범을 도모 하도록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5 - 776 호 공보에는 카내에 지문 검출장치를 설치해 두고, 개인의 각 손가락의 지문을 각층상에 대응 시켜서 미리 등록해 둠으로써 또는 그 조합을 각층상에 대응 시켜서 미리 등록해둠으로써 지문검출장치가 등록되어 있는 지문을 검출한 경우에 대응하는 층상을 행선층으로 해서 카를 운전 하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런 호출 등록장치에 의하면 승객은 1회의 조작으로 지문 대조와 행선층 지정의 양쪽을 모두 실시할 수 있으므로 방범에 더해서 소수의 지문 검출장치로 복수의 행선층을 지정할 수 있고 또 조작의 간이화가 가능해 지는 것이다.
그런데, 빌딩내를 왕래하는 인간의 행동 즉 동선은 일반적으로 정형화되어 있다. 예를들면 맨션에서는 1층과 거주층의 왕복이 주가되고, 또 사무소 빌딩에서는 빌딩에 재적하지 않고, 미리 개인을 식별해서 등록해 둘수 없는자 (이하 외래자라고 함)의 빌딩내에서의 동선은 1층과 목적층을 왕복하는 경우가 많다. 또, 빌딩에 재적하고 있는자등 미리 개인을 식별해서 등록해 들 수가 있는자(이하 재적자라고 함)이라도 출근 또는 퇴근시는 1층과 자석층의 왕복이되고 근로시간대는 관련이 깊은 직장층과의 왕복이 주가된다.
즉, 빌딩내의 교통은 반드시 왕복행동이다. 이 때문에 그 교통수단으로 엘리베이터가 사용되는 경우 복로는 왕로의 반대이고, 필연적으로 결정되는 것이다. 또, 왕로도 상기와 같이 정형화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빌딩내의 동선은 정화화되어 있다고 해도 각 개인마다 다르다 그런 각 개인의 다양한 행동의 한 과정을 엘리베이터로 처리하기 위해 종래는 그때 마다 행선층을 지정하는 방법이 취해졌었다. 상기한 지문 검출장치를 사용한 엘리베이터에서도 그 지문은 방범 목적에서 엘리베이터 사용에 있어서 가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고, 행선층의 지정은 왕복로 모두 개별적으로 지정해야 하는 번잡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런 번잡성을 해소하기 위해 된 것으로 각 개인의 빌딩내에서의 동선의 정형화에 착안해서 행선층의 자동등록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정형화에서 벗어나는 동선의 경우에는 극력 행선층의 자동등록을 가능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빌딩내의 재적자에 한하지 않고 외래자에 대해서도 같은 자동 등록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개략 구성을 표시하는 블럭도,
도 2 는 예상행선층 기억수단(7)의 데이터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동작 개요를 표시하는 흐름도,
도 4는 재적자에 대한 처리내용을 표시하는 흐름도,
도 5는 재적자에 대한 처리내용을 표시하는 흐름도,
도 6은 외래자에 대한 처리내용을 표시하는 흐름도,
도 7은 외래자에 대한 처리내용을 표시하는 흐름도,
도 8은 외래자에 대한 처리내용을 표시하는 흐름도,
도 9은 외래자에 대한 처리내용을 표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2의 개략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3의 개략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도 12는 예상 행선층 기억수단 (7s)의 데이터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개략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강장 2 : 승강장의 도어
3 : 카 4 : 카의 도어
5 : 승강장의 단추 6 : 개인 식별수단
7 : 예상행선층 기억수단 7W : 활당회로
8 : 예상행선층 판독수단 9 : 점멸회로
10 : 시한수단 11 : 응답등
12 : 카 행선단추 13 : 각대 제어반
14 : 행선층 등록회로 15 : 승강장 호출 등록회로
16 : 예상행선층 기록수단
청구항 1 에 기재한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이용객 마다에 시발층과 관련시켜서 행선층을 예상하고 이 행선층을 예상행선층으로서 미리 예상행선층기억수단에 기억해두어 현실의 가동상태에서는 승강장에 설치된 개인 식별수단으로 이용객을 식별하며, 이 식별결과에 의해 상기 예상행선층을 판독하고 일단 이 예상행선층을 확인 하도록 카내에 표시한후에 최종적인 행선측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자동적으로 등록하며 가령 행선층이 예상행선층과 다를때는 새로히 카 행선단추로 행선층을 지정함으로써 등록 하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장치는 개인 식별수단을 카내에 설치하고, 이 식별신호와 카가 정지해 있는 층상으로부터 예상행선층을 판독해서 카내에 표시하며, 확인한 후에 예상행선층을 최종적으로 행선층으로 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등록 하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등록 장치는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서 엘리베이터가 하나의 층상에서 도어를 개방하고 있는 동안에 조작된 식별신호와 상기 층상에서 대응하는 예상행선층을 판독 하도록 한 것이다.
실시의 형태.
도 1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를 표시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표시하는 블록도이고, 도면중 1은 빌딩의 한층상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2는 승강장의 도어, 3은 카, 4는 카의 도어, 5는 승강장 (1)에 설치되어 카(3)을 불러오기 위한 승강장 호출HC를 발생하는 승강장 단추로 UP단추와 DOWN단추로 되어 있다. 6은 승강장 (1)에 설치되어 이용객을 개별적으로 식별해서 식별신호Pf를 발생하는 개인 식별수단으로 여기서는 지문검출기가 사용된다. 7은 이용객의 행선층과 예상되는 예상행선층 MCC를 기억하는 예상행선 기억수단으로 이 예상행선층 MCC는 지문검출기(6)로부터의 식별신호 Pf와 이 지문검출기(6)가 설치되어 있는 층상을 대응 시켜서 미리 정해진다. 즉, 이 지문검출기(6)의 설치층으로부터 이용객이 목적층으로 하는 가능성이 가장높은 층상을 예상행선층 MCC로서 기억하는 것으로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2에 상세하게 표시 한대로 상기 지문검출기(6)의 설치층을 표시하는 요소로서 승강장 호출 MHC가 사용된다. 따라서 그 설치층에서 UP하는 경우의 예상행선층 MCC와 DOWN하는 경우의 예상목적층 MCC를 각각 설치할 수가 있다. 도 2는 그 구체적인 예를 표시하고 있다, 7W는 승강장호출 HC를 하나의 카(3)에 할당하는 할당회로이다.
8은 지문검출기(6)에서 식별신호Pf가 발생되면 대응하는 예상행선층MCC를 예상행선층 기억수단(7)에서 판독하는 예상행선층 판독수단으로 현실적으로는 마이크로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9는 이 판독된 예상행선층 MCC를 소정시간 T만큼 할당카(3)내에 점멸표시하기 위한 점멸회로이다.
10은 상기 소정시간 T를 설정하기 위한 시한수단으로 2극 쌍투입 스위치로 되고 그중 하나는 c1을 공통단자로 해서 소정시간 T만큼 단자a1에 접속되며, 상기 소정시간 T가 경과된 후는 단자b1으로 전환되는 시한 스위치(10a)로 구성되고, 또 다른쪽은 c2를 공통단자로해서 상기 소정시간 T만큼 단자 a2에 접속되며, 상기 소정시간T가 경과된 후는 단자b2로 전환되는 시한스위치(10b)로 되어 있다. 11은 카(3)내에 설치된 응답등으로 소정시간 T만큼 예상행선층 MCC를 표시한다. 12는 카(3)내에 설치되고, 소정시간 T내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새로운 층상을 이용객의 행선층 CC로서 엘리베이터의 각대 제어반(13)에 설치된 행선층 등록회로(14)에 등록 하는 카 행선단추로 상기 행선층 CC는 시한 스위치(10b)를 통해서 예상행선층 MCC에 우선해서 등록되는 것이다.
또, 여기서는 응답등(11)과 카 행선단추(12)가 다른 기기로서 표시되어 있으나 카 행선단추(12)의 각각의 단추내에 설치된 표시등을 응답등으로 해도 된다. 15는 승강장 호출 HC를 등록하는 승강장호출 등록회로로 이 승강장호출 HC가 할당회로에 의해 하나의 카(3)에 할당되면 이 카(3)가 상기 승강장호출 HC의 발생층으로 불러오게 된다. 16은 할당카(3)의 라 행선단추(12)로 부터의 행선층 CC를 예상행선층 MCC로서 예상행선층 기억수단(7)에 기록하는 예상행선층 기록수단으로 이 기록에 의해 예상행선층 MCC를 정정할 수가 있다.
도 2는 예상행선층 기억수단(7)을 상세하게 표시한다.
즉, 도 2는 1층에서 6층까지의 6층상의 빌딩에 대해 표시하고, 7a0에서 7an은 승강장호출 MHC와 이 승강장호출 MHC에 대해 가장 빈도가 높다고 예상되는 예상행선층 MCC가 각 사람마다 그리고 각 층상마다에 기억된 메모리로 각각이 1인분에 상당하고, 따라서 전체로 빌딩의 재적자 n+1인에 대해 기억되어 있다. 즉, 메모리 7a0는 재적자 1인분의 메모리로 a0번지에는 1층 UP의 승강장호출 MHC와 대응하는 예상행선층 MCC로서 3층이 기억되어 있다.
이런 대응은 당해 재적자의 동선을 고려해서 가장 확율이 높은 조합이 채용된다. 여기서 반드시 1의 번지의 메모리에 승강장호출 MHC와 예상행선층 MCC의 양자를 기억시킬 필요는 없고, 양자가 관련지어서 기억되어 있으면 다른 번지라도 지장이 없는 것은 명백한 일이다.
마찬가지로(a0+1)번지에는 1층 DOWN의 승강장호출 MHC와 대응하는 예상행선층 MCC로서 1층이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 1층은 최하층이고, 1층 DOWN의 승강장호출 MCC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외 되어야 하나 예상행선층 MCC를 1층에 설정해 두면 지장이 없는 것으로 형편상 기재 하였다.
또, (a0+2) 번지에는 2층의 UP호출의 승강장호출 MHC와 대응하는 예상행선층 MCC로서 「3」층이 기억되어 있다.
이하 마찬가지로 (a0+11)번지에는 6층 DOWN의 승강장호출 MHC와 대응하는 예상행선층 MCC로서 「3」층이 기억되어 있다. 메모리(7a1)는 다른 재적자 1인분의 메모리로 당해 재적자의 동선에 맞추어 승강장호출 MHC와 예상행선층 MCC가 상기 메모리(7a0)와 같이 해서 결정된다.
이렇게해서 재적자 전원에 대해 예상행선층 MCC가 승강장 호출 MHC와 대응 시켜서 메모리(7a0)로부터 메모리(7am)에 기억된다.
7b0에서 7bm은 미리 등록 불가능한 외래자에 대해 각 사람의 동선에 맞추어 승강장호출 MHC와 이 승강장호출 MHC에 대응하는 예상행선층 MCC가 각 사람마다에 기억되는 메모리로, 외래자(m+1)인분의 기억용량을 갖는다. 외래자는 빌딩의 재적자에 비해 그의 동선은 비교적 단순하고 통상층간 교통이 없고 목적층은 하나의 층상으로 한정된다. 따라서 1층과 목적층과의 왕복으로서 파악할 수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메모리(7b0) 대해 b0번지에는 왕로로서 1층 UP호출 1U와 대응하는 예상행선층 MCC로서 3층이 기역되어 있다. (b0+1)번지에 복로로서 3층 DOWN호출 3D와 대응하는 예상행선층 MCC로서 「1」층이 기억되어 있다.(b0+2)번지에 3층 UF호출 3U와 대응하는 예상행선층 MCC로서 「1」층이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 3층 UP호출 3U에 대해 1층을 예상행선층 MCC로 하는 것은 모순되어 있는것 같이 생각되나 상기와 같이 외래자의 동선은 1층과의 왕복으로 파악 되므로 3층 UP호출 3U는 오조작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이와 같이 외래자용의 메모리(7b0)에서 (7bm)는 층간교통이 없으므로 적은 메모리 용량으로 가능하게 된다. 또, 외래자는 1층과의 왕복으로 하면 복로의 예상목적층 MCC는 1층으로 한정 되므로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 외래자라도 충간교통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재적자와 같이 메모리(7a0)등의 내용으로 하면 된다.
7h는 재적자 전원에 대해 그 지문 데이터 MM가 기억된 메모리로 h번지에는하나의 재적자의 지문데이터 MMO와, 이 지문데이터 MMO에 대응 시켜서 당해 재적자의 예상행선층 MCC가 기억된 메모리(7a0)의 선두번지 a0가 기억되어 있다.
(h +1)번지에는 다른 재적자의 지문데이터 MM1과, 이 지문데이터 MM1에 대응 시켜서 당해 재적자의 예상행선층 MCC가 기억된 메모리(7a1)의 선두번지 a1이 기억되어 있다.이하 마찬가지로 재적자 전원에 대해 h번지로부터(h +n)번지까지(n +1)인의 지문데이터 MM가 기억되어 있다.
7v는 외래자용 지문데이터 VM이 기억되는 메모리로 v번지에는 하나의 외래자의 지문데이터 VMO와, 이 지문데이터 VMO에 대응시켜서 당해 외래자의 예상 행선층 MCC가 기억된 메모리(7b0) 선두번지 b0가 기억되어 있다.(v +1)번지에는 다른 외래자의 지문데이터 VM1과, 이 지문데이터 VM1에 대응 시켜서 당해 외래자의 예상행선층 MCC가 기억된 메모리(7b1)의 선두번지 b1이 기억되어 있다. 이하 마찬가지로 기억 되어서 v번지로부터 (v+m)번지까지(m+1)인의 지문데이터 VM을 기억하는 용량을 갖는다.
다음에 동작을 도3에서 도 9에 따라 설명한다.
우선, 도3에 의해 동작의 전체 개요를 기술한다. 순서 G1에서 지문 데이터 Pf가 지문검출기(6)에서 이송된다. 순서 G2에서 승강장 단추(5)로부터 승강장 호출 HC가 이송된다. 순서 G3에서 지문데이터 Pf와 승강장 호출 MHC가 각각 예상 행선층 기억수단(7)에서 판독한 지문 데이터 MM 및 승강장 호출 MHC와 비교되고, 이 비교결과에 따라 예상행선층 기억수단(7)에서 예상행선층 MCC가 판독된다. 순서 G4에서 카(3)이 도착되면 순서 G5에서 예상행선층 MCC가 카(3)내에 설치된 응답등(11)에소정시간 만큼 표시된다. 순서 G6에서 예상행선층 MCC가 행선층 CC가 되고, 순서 G7에서 카(3)은 당해 층상을 향해 출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순서 G3에 해당하는 부분을 다음과 같이 실시예 1에서 실시예5로 나누어 설명한다.
즉, 실시예 1은 이용객이 빌딩의 재적자인 경우를 도4와 도5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예 2는 이용객이 외래자 이기는 하나 이미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고 있고, 따라서 지문데이터 MM는 등록되어 있고, 또 예상행선층 MCC를 결정 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도 메모리(7)에 기재되어 있는 경우를 도 6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예 3은 마찬가지로 외래자로서 지문데이터 VM는 등록되어 있으나, 예상행선층 MCC를 결정 하는데 필요한 데이터가 메모리(7)에 기재 되어 있지 않을 때이고, 또 1층 UP의 승강장호출 HC의 경우를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예 4는 실시예 3의 경우에서 1층 UP이외의 승강장호출 HC의 경우를 도 8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예 5는 지문데이터 MM가 미등록인 경우 즉, 처음 방문한 경우를 도 9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 예 1.
도 4의 순서 S11에서 지문검출기(6)가 조작 되는 것을 대기한다. 조작되면 순서 S12에서 지문데이터 Pf가 검출되어 예상행선층 판독수단(8)에 보내진다. 순서 S13 및 순서 S14에서 승강장단추(5)가 소정시간내에 조작 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조작되지 않은 경우에는 순서 S15에서 지문데이터 Ff는 리세트되어 순서 S11로 되돌아와서 대기상태가 된다. 조작된 경우에는 순서 S16에서 승강장호출 HC가 예상행선층 판독수단(8)으로 보내진다.
지문데이터 Pf에서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순서 S17에서 변수(K)를 「0」 에 세트한다.
순서 S18에서 메모리(7h)로부터 (h +k)번지의 지문데이터 MMk를 판독해서 순서 S19에서 지문검출기(6)으로부터의 지문데이터 Pf와 대조한다.
이 결과 양자가 같지 않을때는 순서 S20 및 순서 S21을 거쳐 순서 S18로 되돌아오고, 순차 후속의 지문데이터 MMk가 판독되어 순서 S19에서 대조하게 된다. 이 순서를 반복해서 최후의(h +n)번지까지 대조하였으나 지문검출기(6)에서의 지문데이터 Pf와 메모리(7h)의 지문데이터 MM가 일치하지 많을때는 재적자에는 해당자 「없다」고 판단되어서 후술하는 도6에 표시하는 처리가 시행된다.
순서 S19에서 지문데이터 Pf와 메모리(7h)의 지문데이터 MMk가 일치한 경우 이용자는 재적자로서 식별된 것으로 되어 순서 S22에서 그 지문데이터 MMk에 대응시켜서 기억되어 있는 번지 「ak」가 판독된다. 순서 S23에서 변수(p)가 「0」에 초기 설정되고 순서 S24에서 승강장호출 MHC와 예상행선층 MCC가 대응해서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7ak)의 선두번지 ak로부터 순서대로 승강장호출 MHC가 판독되고 순서 S25에서 승강장단추(5)로 부터의 승강장호출 HC가 대조된다. 일치하지 않을때는 순서 S26에서 변(p)수 인크리먼트 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빌딩의 층상은 6층이고 상기 한대로 1층에서의 DOWN호출 및 6층에서의 UP호출도 고려하고 있으므로 변수(p) 0에서 11까지 변화하고 그 사이에 승강장호출 HC는 반드시 승강장호출 MHC와 일치한다.
순서 S25에서 승강장호출 HC와 승강장호출 MHC가 일치하는 경우는 도 5의 순서 S27에서 승강장호출 MHC에 대응하는 예상행선층 MCC가 메모리(7ak)로부터 판독된다. 한편, 순서 S28에서 승강장호출 HC에 할당된 카(3)은 그 층상에 도착해서 도어(2) 및 (4)를 열면 순서 S29에서 할당회로(7W), 점멸회로(9) 및 시한스위치(10a)의 단자 a1 및 c1을 통해서 예상행선층 MCC에 대응하는 층상의 응답등(11)을 소정시간T 만큼 점멸점등 시킨다.
또, 이 소정시간 T내에서는 시한스위치(10b)는 단자a2와 단자c2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카 행선단추(12)를 조작함으로써 행선층 CC를 엘리베이터의 제어반(13)의 행선층 등록회로(14)에 직접 등록할 수도 있다. 그래서 순서 S30 및 S31에서 카 행선단추(12)가 상기 소정시간T내에 조작 되었는지 체크된다. 상기 소정 시간 T가 경과하면 순서 S32로 이동하고, 시한스위치(10a) 및 (10b)가 각각 전환되고, 단자b1과, 단자c1이 또, 단자b2와 단자 c2가 접속된다.
이 전환에 의해 카 행선단추(12)에 의한 행선층CC의 등록은 불능이 되고 예상행선층 판독수단(8)이 제어반(13)의 행선등록회로(14)에 접속된다. 이 결과순서 S33 및 순서 S34에서 예상행선층 MCC가 행선층 CC가 되어 제어반(13)에 입력된다. 또, 응답등(11)도 마찬가지로 행선층 등록회로(14)에 접속 되므로 순서 S35에서 상기 행선층 CC를 정상점등에 의해 표시 하고 순서 S36에서 카(3)은 행선층 CC로 향해 출발한다.
또, 순서 S30에서 소정시간 T내에 카 행선단추(12)가 조작되면 순서 S37에서 그 조작에 의해 새로히 행선층CC가 지정되어 제어반(13)에 입력된다. 또, 순서 S38에서 상기 행선층 CC는 예상행선층 기록수단(16)을 통해서 (ak+p)번지에 지금까지 기록되어 있던 예상행선층 MCC 대신에 새로운 예상행선층 MCC로서 기록된다.
순서 S34로 이동하고 카 행선층단추(12)에서 지정된 행선층CC가 제어반(13)에 입력되고, 순서 S35에서 응답등(11)은 정상점등이 되며, 순서 S36에서 카(3)는 행선층 CC로 향해 출발한다.
실시예 2
다음 순서 S20에서 이용객이 재적자에 해당되지 않고 외래자라고 판단 되었을때에 대하여 도 6에서 도 9에 따라 설명한다.
또, 외래자는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수 없게해서 순서S20에서 재적자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즉시 종료라고 할 수도 있다. 특히, 방범의 요구가 높은 공동주택에서는 그 수요가 높다. 그러나, 통상은 외래자라도 빈번하게 방문하는 사람도 있으므로 도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외래자용의 메모리(7v)를 설치해서 재적자에 준해서 취급한다는 요구도 생각된다.
그래서, 이에 준한 취급으로 하기 위해 상기 외래자가 메모리(7v)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도 6에서 지문데이터 Pf로부터 이용객을 식별하기 때문에 순서 S41에서 변수(q)를 「0」에 초기 설정하고 순서 S42에서 메모리(7v)로부터 (h+q)번지의 지문데이터 VMq를 판독해 순서 S43에서 지문검출기(6)으로부터 지문데이터 Pf와 대조한다. 이 결과 양자가 같지 않을때는 순서 S44 및 순서 S45를 거쳐서 순서 S42로 되돌아가고 순차적으로 후속하는 지문데이터 VMq가 판독 되어서 순서 S43에서 대조된다. 이 순서를 반복해서 최후의 (v+m)번지까지 대조하였으나 지문검출기(6)로부터 지문데이터 Pf와 메모리(7v) 지문데이터 VM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는 메모리(7v)에는 해당자 「없음」이라고 판단된다 이 경우의 처리예는 도 9에서 설명한다.
순서 S43에서 지문데이터 Pf와 메모리(7v) 지문데이터 VMq가 일치 했을때 이용자는 외래자 이기는 하나 미리 등록된 자로서 식별된 것으로 되며 순서 S46에서 그 지문데이터 VMq에 대응 시켜서 기억되어 있는 번지 「bq」가 판독된다. 순서 S47에서 변수(P)가 「0」에 초기 설정되고 순서 S48에서 승강장호출 MHC와 예상행선층MCC가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는 메모리(7bq)의 선두번지 bq로부터 순서대로 승강장호출 MHC가 판독되고, 순서 S49에서 승강장 단추(5)로부터의 승강장호출 HC가 대조된다. 일치하지 않을때는 순서 S50에서 메모리(7bq)의 최종번지 까지 대조 하였는가 체크된다. 최종번지까지 종료되어 있지 않을때는 순서 S51에서 변수(P)는 인클리먼트되어 최종번지까지 대조된다.
이 실시예 2에서는 외래자는 1층에서 빌딩내로 들어와 엘리베이터로 목적층으로 올라가서 그 목적층에서 1층으로 되돌아오는 것으로 하였다. 따라서 승강장호출 MHC가 1층인 경우 대응하는 예상행선층 MCC는 전번 내방시의 행선층 CC가 되나 승강장호출 MHC가 1층이외인 경우 대응하는 예상행선층 MCC는 모두 1층에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것으로하여 도 2에 표시한대로 메모리(7b0), (7b1- 7bm)를 구성 하였다.
순서 S49에서 승강장호출 HC와 승강장호출 MHC가 일치한 경우 순서 S53에서 승강장호출 MHC에 대응하는 예상행선층MCC가 메모리(7bq)로부터 판독된다. 이하 도 5에 표시한 순서 S28에서 순서 S38과 같이 일련의 처리가된다. 따라서, 외래자의 복로는 자동적으로 1층으로 설정되나 1층으로 직접 내려가는 것이 아니고, 도중층에 들르는 경우는 소정시간 T내에 카 행선단추(12)를 조작함으로써 도 5에 표시하는 순서 S3 → 순서 S37 → 순서 S38 → 순서 S34 루트로 희망하는 목적층으로 갈수가 있다. 이런 조작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호출등록의 경우와 같고 아무런 위화감은 없다고 생각된다. 이 도중층에서 다음 엘리베이터를 타고 1층으로 내려가는 경우는 실시예 4의 설명에 의한다.
실시예 3
승강장 단추(5)로부터 승강장호출 HC가 메모리(7bq)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순서 S50에서 「Y」가 되어 이하 도 7에 표시하는 처리가 된다.
즉, 외래자는 재적자와 달리 1층과 목적층과의 왕복으로서의 층간교통은 없다고 하고 있으므로 승강장호출 HC는 모든 층상의 승강장호출 HC를 기억할 만큼의 용량이 없다.
이 때문에 외래자의 경우는 지문데이터 VM은 메모리(7v)에 기록되나 대응하는 메모리(7bq)의 bq번지로부터(bq+2)번지에 외래자가 조작한 승강장 단추(5)에 의한 승강장호출 HC와 일치하는 승강장호출 MHC가 기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가 있다.
도 7 및 도 8은 이런 경우에 승강장호출 HC 및 행선단추(12)에 의한 행선층 CC로부터 메모리(7bq) 승강장호출 MHC 및 예상행선층 MCC를 결정하는 처리 예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 도 6의 순서 S50에서 「Y」가 된 경우 즉, 메모리(7bq)에서 예상행선층 MCC를 판독할 수 없는 것이 판명된 경우는 도7 및 도 8에 의한 처리 대신에 상기 판명된때부터 소정시간 T만큼 카 행선단추(12)를 유효로 하여, 이 사이에 카 행선단추(12)로 지정된 행선층 CC를 행선층 등록회로(14)에 등록 하도록 해도 된다.
이중 실시예 3은 도 7에서 순서 S61에서의 조사결과 승강장호출 HC가 1층 UP호출의 경우의 처리에 대해 표시하고, 1층 UP호출 이외의 경우는 실시예 4로서 도 8에 표시한다.
순서 S62에서 메모리(7bq)의 승강장호출 MHC 및 예상행선층 MCC를 도 7의 (A)에 표시하는 대로 임시로 설정한다.
외래자는 왕복행동이므로 (bq+1) 및 (bq+2)번지의 승강장호출 MHC는 왕로의 행선층 CC의 승강장호출 로 하였다. 순서 S63에서 1층 승강장호출 1U에 대한 예상행선층 MCC로서 「5」를 판독한다.
한편, 순서 S64에서 카(3)은 승강장호출 HC에 응답해서 1층에 도착해서 도어(2)및 (4)를 개방한다.
이를 기다려 순서 S65에서 예상행선층 MCC 「5」는 점멸회로(9) 및 시한 스위치(10a)를 통해서 응답등(11)을 점멸 점등 시킨다.
이하, 순서 S66 → 순서 S67 → 순서 S65에 의해 소정시간 T만큼 응답등(11)은 예상행선층MCC 「5」를 점멸점등 한다. 이용객은 이를보고 행선층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는 그 소정시간 T가 경과후에 메모리(7bq)는 동도면(A)에표시하는 가설정이 그대로 채용되고, 순서 S69에서 승강장호출 1U에 대한 예상행선층 MCC가 행선층 CC가 되어 순서 S70에서 엘리베이터 제어반(13)에 등록된다.
순서 S71에서 응답등(11)을 정상점등 시켜서 순서 S72에서 카(3)은 행선층 CC로 향해 출발한다.
또, 소정시간 T 내에 카 행선단추(12)가 조작되면 순서 S66에서 순서 S77으로 이동하고, 카행선단추(12)로 지정된 행선층 CC가 bq번지의 예상행선층 MCC로서 기록된다. 또, 순서 S74에서 예상행선층 MCC의 승강장호출 HC를 (bq+1)번지 및 (bq+2)번지의 승강장호출 MHC로서 기록한다.
즉, 순서 S73 및 순서 S74에 의해 임시로 설정된 메모리(7bq) 도 7(A)에서 (B)로 다시 고쳐 쓴 것이 된다.
순서 S70 에서는 카 행선단추(12)로 지정된 행선층CC가 제어반(13)에 등록되어 이하 상기 한대로 카(3)은 행선층CC로 향해 1층을 출발한다. 이 외래자는 다음번 내방시에는 이번과 같은 층이 행선층CC로서 제어반(13)에 자동등록되게 된다.
실시예 4
도 8은 외래자에 대해 메모리(7v) 지문데이터 VM은 기록되어 있으나 승강장 단추(5)로 부터의 승강장호출 HC에 상당하는 승강장호출 MHC가 메모리(7bq)에 기록되어 있지않고, 또, 이번 승강장 단추(5)에 의한 승강장호출 HC가 1층 이외의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예시한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서 외래자가 계단으로 올라가고 내려올때에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생각된다.
순서 S81에서 순서 S84는 도 8에 표시하는 메모리(7bq)(C)의 내용에 기록하기 위한 처리이다. 즉, 외래자는 1층 이외의 층상에서 승강장호출 HC를 발생 시키고 있으나 본래는 1층 UP호출 1U가 기점이 되고, 현재 승강장호출 HC가 발생하고 있는 층상은 금후는 행선층 CC로 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이 외래자는 양층상간을 왕복하는 것으로 해서 자동적으로 기록한 것이다.
즉, 순서 S81에서 1층 UP호출 1U를 메모리(7bq)의 bq번지에 승강장호출 MHC로서 기록한다. 순서 S82에서 승강장호출 HC의 발생층을 bq번지의 예상행선층 MCC로서 기록한다. 순서 S83에서 승강장호출 HC를(bq+1)번지 및 (bq+2)번지의 승강장호출 MHC 로서 기록한다.
또, 순서 S84에서 (bq+1)번지 및 (bq+2)번지의 예상행선층 MCC를 1층으로서 기록한다. 순서 S85에서 메모리(7bq)로부터 승강장호출 발생층 「4」에 대한 예상행선층 MCC로 해서 「1」을 판독한다. 순서 S86에서 할당카(3)이 승강장호출 HC의 발생층 「4」층에 도착해서 도어(2)및 (4)가 열리는 것을 기다려 예상행선층 MCC를 점멸회로(9), 시한 스위치(10a)를 통해서 응답등(11)에 점멸점등한다.
이용객은 응답등(11)을 보고 행선층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그 소정시간T의 경과에 의해 메모리(7bq)는 동도(C)에 표시하는 설정이 그대로 채용되고 순서 S88,순서 S89를 거쳐서 순서 S90에서 예상행선층 MCC 는 「1」이 행선층 CC가되고 순서 S91에서 제어반(13)에 등록된다.
동시에 순서 S92에서 응답등(11)은 정상점등이 되어 순서 S93에서 카(3)은 행선층 CC로 향해 출발한다.
또, 소정시간 T내에 카 행선단추(12)가 조작되면 순서 S88로부터 순서 S94로이동되고 카 행선단추(12)로 지정된 행선층 CC가 bq번지의 예상행선층 MCC로서 기록된다. 또, 순서 S95에서 카 행선단추(12)로 지정된 행선층 CC의 승강장호출 HC를(bq+1)번지 및 (bq+2)번지의 승강장호출 MHC로써 기록한다.
즉, 순서 S94 및 순서 S95에 의해 메모리(7bq)의 내용을 도 8의 (C) 에서 (D)로 개서한 것이 된다. 순서 S91에서는 카 행선단추(12)로 지정된 행선층 CC가 제어반(13)에 등록되어서 이하, 상기 한대로 카(3) 행선층 CC 향해 1층을 출발한다. 이 외래자는 다음에 방문했을때는 (D)에 표시한 메모리(7bq) 내용에 따라 호출의 등록이 되는 것이다.
실시예 5
도 9는 외래자의 지문데이터 VM가 아직 메모리(97v)에 기록되어 있지 않고 식별될수 없는 경우의 처리에 대해 표시한다.
새로운 외래자의 지문데이터 VM은 메모리(7v)의 선두번지 즉, 도 1에 표시하는 v번지에 기록된다. 이 때문에 우선, 메모리(7v)에서 기존의 지문데이터 VM을 1번지씩 상승순으로 이동 시킨다. 이 이동에 의해(v+1)번지의 지문데이터 VM1은 지금까지 v번지에 기재되어 있던 지문데이터 VMO가 기재되게 된다.
또, 최후의 번지(v+m)의 지문데이터 VMm은 지금까지 (v+m-1)번지의 기재되어 있던 지문데이터VM(m-1)가 중복 기재된 것이 되고, 그때까지(v+m)턴지에 기재되어 있던 지문데이터 VMm는 소멸된다.
또, 지문데이터 VM의 이동에 대응시켜서 메모리(7b0)에서 메모리(7bm)의 내용도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 이동에 의해 메모리(7b1)의 내용은 지금까지 메모리(7b0) 기재되어 있던 승강장호출 MHC 및 예상행선층 MCC가 기재되게 된다.
또, 최후의 메모리(7bm)에는 지금껏 메모리(7b(m-1))에 기재되어 있던 승강장호출 MHC 및 예상행선층 MCC가 중복 기록된 것이 되고, 지금까지 메모리(7bm)에 기재되어 있던 것은 소멸한다.
도 9의 순서 S101로 부터 순서 S106은 상기 이동처리를 하는 것이다. 즉, 중복기록에 의한 데이터의 소멸을 피하기 위해 최후의 번지에서 하강순으로 처리할 필요가 있다.
순서 S101에서 변수(q)를 m에 설정한다. 순서 S102에서(v+(q-1)번지의 지문데이터 VM를(v+q)번지에 중복 기록하여 이동한다.
순서 103에서 대응하는 메모리 7b(q-1)의 승강장 호출 MHC 및 예상행선층 MCC를 메모리(7bq)에 중복기록하여 이동한다.
순서 S104에서 선두 즉, v번지 또는 메모리(7b0)까지 이동 하였는가를 체크한다. 순서대로 이동해서 선두까지 이동하면 순서 S106으로 이동하고 선두의 v 번지에 새로운 외래자의 지문을 기록한다. 이 기록에 의해 외래자는 개인의 식별이 가능한자가 된다.
따라서, 이후의 처리는 순서 S107에서 이 외래자가 조작한 승강장 단추(5)에 의한 승강장호출 HC가 1층의 UP호출인지 아닌지를 체크하고, 1층의 UP 호출이면 결합자(6)로 표시하는 도 7의 순서 S62로 부터의 처리가 된다.
단, 메모리(7bq)는 이 실시예에서는 메모리(7b0) 사용된다.
또, 1층의 UP호출 이외 이면 결합자(4)로 표시하는 도 8의 순서 S81로부터의 처리가 된다. 마찬가지로 메모리(7b0) 사용된다.
상기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면 재적자애 대해서는 UP 및 DOWN의 승강장 단추 (5)의 각각에 대해 1의 예상행선층 MCC를 설정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행선층 CC가 이용자가 의도하는 층상과 일치하는 확율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외래자에 대해서도 자동등록이 가능하다.
또, 행선층의 자동등록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지문이 기록 되므로 방범에도 유익하다. 특히, 외래자에 대해서는 방범의 의의는 크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 1에서는 개인 식별수단으로서 지문검출기(6)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식별카드리터라도 무방하다.
또, 지문검출기(6)은 승강장 단추(5)와 별체로 하였으나 지문검출기 그자체를 UP용과 DOWN용 승강장단추로 해도 된다.
이 경우는 승강장호출 과 지문검출을 한 조작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지문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외래자를 예상행선층 기억수단(7)에 기록할 때 선두번지에 기록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최후의 번지에 기록하는것도 무방하다.
즉, 신규의 기록은 항상 일정한 번지에 기록하도록 하고, 기존 데이터는 그 일정한 번지에서 일정한 순서로 이동 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로써 한번밖에 내방하지 않은 외래자는 자연히 소거되고 빈번하게 내방하는 외래자만이 남게되어 메모리의 유효이용이 가능해진다.
실시의 형태 2.
도 10은 승강장(1)에는 승강장단추(5)만으로 하고 지문검출기(6c)는 카(3)에 설치한 다른 실시의 형태를 표시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우선, 승강장단추(5)로 카(3)을 호출한후 카(3)에 승차해서 지문검출기(6c)로부터 식별신호 Pfc를 예상행선층 판독수단(8)으로 보낸다. 이로써 이용객을 식별해서 이 식별결과와 승강장호출 HC로부터 예상행선층 MCC를 예상행선층 기억수단(7)에서 판독할 수가 있다.
이하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것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지문검출기는 카(3)내에 1대 설치하는 것으로 족하고, 각 층상마다 설치하기로한 실시의 형태 1에 비해 값싸게 된다.
그런데 예상행선층 MCC는 시발층과의 관련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므로 예상행선층 MCC를 판독하는 데는 이용객이 지문신호 Pfc를 발생 시킨 층상을 검지할 필요가 있다. 한편, 지문검출기(6c)를 카(3)에 설치한 경우에는 식별신호 Pfc와 층상과의 관련이 일정하지 않다. 그래서 식별신호 Pfc와 층상을 관련 시키는데는 카(3)가 정지해 있는 층상을 엘리베이터의 제어반(13)에서 판독해서 그 층상의 승강장호출 HC와 식별신호 Pfc를 관련 시키는 것이 요건이 된다.
또, 한정 한다면 적어도 이용객이 카(3)내의 승차할 필요가 있으므로 지문검출기(6c)가 조작되는 타이밍을 도어가 열려있는 동안에 한정 시켜도 되고, 또, 도어가 열리기 시작해서부터 다음에 카(3)가 승강기등을 할 때 까지의 사이로 해도 된다.
또, 카(3)의 존재하는 층상을 검출하는 장치는 주지하는바와 같이 관용되어 있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 3.
도 11은 승강장단추(5)를 생략하고 각 승강장(1)에는 지문검출기(6)을 한대 설치한 것이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우선, 지문검출기(6)를 조작한다. 이 조작에 의한 식별신호 Pf로부터 이용자의 식별을 하는 동시에 이 식별신호 Pf가 발생된 층상으로부터 카(3)의 호출의 양쪽을 하는 것이다.
단, 지문검출기(6)은 1대만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식별신호 Pf로부터는 방향성을 판독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이 실시의 형태에서의 예상행선층 기억수단 (7s)의 내용은 도 12에 표시한대로 각 층상마다에 하나의 승강장호출 MHC에 대해 하나만 예상행선층 MCC가 대응하게 된다.
이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도 상기 식별신호 Pf와 이 식별신호 Pf가 갖는 승강장호출 MHC의 요소로부터 예상행선층 기억수단(7s)에 기재되어 있는 예상행선층 MCC를 판독할 수가 있다.
이 예상행선층 MCC가 이용객의 뜻에 반하는 경우에는 소정시간 T내에 카행선단추(12)를 조작함으로써 정정 할 수가 있다. 또, 지문의 등록이 끝나지 않은 외래자 이라도 호출 등록을 할 수가 있다. 그 구체적 내용은 실시의 형태 1과 같고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의 형태 4.
빌딩내의 동선은 시간대에 따라 다르다. 예를들면 출근 시간대, 점심시간대, 퇴근 시간대, 또 근무시간대의 각각에 의해 특유한 동선이 있다.
도 13은 이런 변동에 대해 시간대 마다 다른 예상행선층 기억수단(7t1),(7t2 - 7tn)을 설치하고 시계TM에 의해 그 시간대에서 사용해야할 예상행선층 기억수단 (7t1), (7t2 - 7tn) 선택하도록 한 것이다. 선택한 후는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같고, 그 설명도 생략한다.
이 실시의 형태4에 의하면 그 시간대 마다의 예상행선층 MCC의 설정이 가능해지고, 이용자의 동성에 의해 정확하게 맞출 수가 있다.
또, 시간대는 1일을 사이클로 하는 것 또, 1주일을 사이클로 하는 것등 복잡하고, 그 모두에 대해 미리 설정해 두는 것은 쉽지가 않다 그래서 시간대에 대해서만 시간대 마다의 예상행선층 기억수단을 준비하는 것으로 하고, 어느 시간대에서도 속하지 않는 시각에서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는 경우는 그 시각이 가장 근접하는 시간대의 예상행선층 기억수단 (7t1), (7t2 - 7tn)을 사용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장치의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은 엘리베이터의 이용객마다 시발층과 관련 시켜서 행선층을 예상하고 이 행선층을 예상행선층으로해서 미리 예상행선층 기억수단에 기억시켜두고, 현실의 가동상태에서는 승강장에 설치된 개인 식별수단으로 이용객을 식별하며, 이 식별결과에 의해 상기 예상행선층을 판독하고, 일단이 예상행선층을 확인 하도록 카내에 표시한후에 최종적인 행선층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자동적으로 등록하고, 가령 행선층이 예상행선층과 다른 경우에는 새롭게 카 행선단추로 행선층을 지정함으로써 등록 하도록 한 것이다.
이 때문에 개인식별이 본래 갖고 있는 방범기능에 더해서 카의 행선층을 자동등록할 수 있고, 가령 자동 등록된 행선층이 의도하는 행선층과 다른 경우는 카 행선단추로 정정할 수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은 개인 식별수단을 카내에 설치하고,이 식별신호와 카가 정지해 있는 층상에서 예상행선층을 판독해서 카내에 표시하고, 확인후에 예상행선층을 최종적으로 행선층으로 해서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등록 하도록 한 것이다.
이 발명에서도 행선층 자동등록과 그 정정이 가능할 뿐아니라 식별수단을 카내에 설치 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각 층상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값이 싸고 또, 보수점검의 번거로움이 경감된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은 엘리베이터가 하나의 층상에서 도어를 개방하고 있는 동안에 조작된 식별신호와 상기 층상에서 대응하는 예상행선층을 판독 하도록 한 것이다.
개인 식별수단이 카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당연히 이용자는 카에 승차해서부터 조작하게되며 이런 조작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4의 특징은 카가 하나의 층상에서 도어를 개방하기 시작할때 부터 다음에 상기 카가 상기 하나의 층상에서 승강기동 할 때까지의 사이에 개인식별수단이 조작된 경우에 그 식별신호와 상기 층상에서 대응하는 예상행선층을 판독 하도록 한 것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장기에 걸쳐 개인 식별수단을 유효하게 조작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5의 특징은 개인 식별수단에 의한 식별신호와 이 개인 식별 수단이 조작되었을때의 층상과 상기 식별신호 및 상기 층상에 대응 시켜서 미리 정해진 예상행선층을 일련으로해서 예상행선층 기억수단에 기억 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이 일련의 데이터의 구성에 의해 이용자의 대상 범위 및 예상 행선층을 설정할 때의 시발층의 대상을 자유로히 설정 할 수가 있다. 이 설정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사용을 폐쇄적인 것으로해서 방범에 중점을둔 사용으로 할 수가 있고 또, 행선층의 자동등록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면을 중시한 사용으로 할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6의 특징은 개인 식별수단에 의한 식별신호와, 이 개인 식별수단이 조작 되었을때의 층상 및 시간대와, 상기 식별신호와 상기 층상 및 상기시간대에 대응 시켜서 미리 정해진 예상행선층을 일련으로 해서 예상행선층 기억수단에 기억시켜두고, 상기 식별신호와 상기 층상 및 상기 시간대로부터 대응하는 상기 예상행선층을 판독 하도록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시간대 마다 동선이 달라도 이용객의 의향에 맞는 예상행선층을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7의 특징은 식별신호와 층상 및 개인 식별수단이 조작된 시간대로부터 대응하는 예상행선층을 판독하고, 또, 상기 시간대에 대응한 상기 예상행선층이 예상행선층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가장 가까운 시간대에 대응한 상기 예상행선층을 판독하도록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예상행선층의 설정 작업을 경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8의 특징은 카 행선단추에 의한 행선층의 지정은 예상행선 층이 카내에 표시되어 있는 소정시간내 또는 상기, 예상행선층이 판독되지 않을 때는 판독되지 않는 것이 판명된때부터 소정시간내에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예상행선층의 정정조작 또는 예상행선층을 판독 불가능할때의 조작은 종래와 같은 조작이 되고 특히, 외래자로부터 위화감이 없는 엘리베이터 이용이 가능해 진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 9의 특징은 이용객의 식별결과가 미리 기억된 식별 결과와 일치 했을때에만 엘리베이터 제어반으로의 행선층의 등록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 때문에 특별히 허가된자만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어 방범의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의 제 10의 특징은 식별신호가 발생한 층상에 할당된 카내에 설치된 카 행선단추에 의해 예상행선층에 우선해서 행선층을 제어반에 등록 하도록 한 것이다.
이 때문에 같은층에 복수의 엘리베이터가 정지한 경우라도 개인식별된 이용자가 본래 타야할 카에 한해 예상행선층을 변경해서 제어반에 등록할 수가 있게되고 여러개의 엘리베이터에 같은 행선층이 등록 된다는 일은 피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1의 특징은 응답등의 점등상태를 예상행선층과 행선층에서 다르게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예상행선층으로 아직 정정 할 수 있는 단계인지 또는 행선층으로서 결정되어 정정할 수 없는 단계인지의 식별이 용이 하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 12의특징은 예상행선층을 표시하는 경우는 점멸점등시키고 행선층을 표시하는 경우는 응답등을 정상점등 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때문에 행선층을 정정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3의 특징은 개인 식별수단은 미리 등록된 개인에게만 식별신호를 발생 하도록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사용을 특정의 허가된 사람에 한정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4의 특징은 개인 식별수단으로서 지문검출기를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누름단추를 조작하는 경우와 별차없고, 위화감이 없는 조작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5의 특징은 카 행선단추에 의해 행선층이 지정된 경우는 상기 행선층을 새로운 예상행선층으로 기억 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호출등록 장치와 같은 조작을 통해 예상행선층 기억수단의 수정이 자동적으로 실시하게되며 경시적 변화에 유연하게 추종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낸다.

Claims (3)

  1. 엘리베이테의 승강장에 설치된 이용객을 식별하는 개인 식별수단인 지문검출기, 식별카드리더와, 이 개인 식별수단이 설치된 층상과, 상기 식별신호에 대응 시켜서 미리 정해진 층상을 상기 이용객의 예상행선층으로 기억하는 예상행선층 기억수단인 예상선행층 기억메모리와, 상기 개인 식별수단에서 상기,식별신호가 발생되면 대응하는 상기 예상행선층을 상기 예상행선층 기억수단에서 판독되는 예상행선층 판독수단인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논리회로등의 하드웨어와, 이 판독된 예상행선층을 상기 카내에 표시하는 응답등과, 이 응답등에 상기 예상행선층을 소정시간 표시한후 상기 이용객의 행선층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등록하는 시한수단인 시한스위치와, 상기 카내에 설치되고 상기 소정시간내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새로운 층상을 상기 예상행선층보다 우선해서 상기 이용객의 행선층으로서 등록하는 카 행선단추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등록장치.
  2. 엘리베이터의 카내에 설치되고, 이용객을 식별하는 개인 식별수단인 지문검출기, 식별카드리더와, 이 개인 식별수단에 의한 식별신호와 , 상기 개인 식별수단을 조작 했을 때의 상기 카의 정치층에 대응 시켜서 미리 정해진 층상을 상기 이용객의 예상행선층으로 기억하는 예상 행선층 기억수단인 예상선행층 기억메모리와, 상기 개인 식별수단에서 상기 식별신호가 발생되면 이 식별신호와 상기 카의 정지층에 대응하는 상기 예상예선층을 상기 예상행선층 기억수단인 예상선행층 기억메모리에서 판독하는 예상행선층 판독수단인 마이크로 컴퓨터 또는 논리회로등의 하드웨어와 이 판독된 예상행선층을 상기 카내에 표시하는 응답등과 이 응답등에 상기 예상행선층을 소정시간 표시한후 상기 이용객의 행선층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에 등록하는 시한수단인 시한스위치와 상기 카내에 설치되고, 상기 소정시간내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새로운 층상을 상기 예상행선층에 우선해서 상기 이용객의 행선층으로 등록하는 카 행선단추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예상행선층 판독수단인 마이크로 컴퓨터 또는 논리회로등의 하드웨어는 엘리베이터가 하나의 층상에서 도어를 개방하고 있는 동안에 조작된 식별신호와 상기 층상에서 대응하는 예상행선층을 판독하는 것으로한 엘리베이터의 호출 등록장치.
KR1019980054004A 1998-06-26 1998-12-09 엘리베이터의호출등록장치 KR100296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80195 1998-06-26
JP18019598A JP3939027B2 (ja) 1998-06-26 1998-06-26 エレベーターの呼び登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874A KR20000004874A (ko) 2000-01-25
KR100296442B1 true KR100296442B1 (ko) 2002-11-23

Family

ID=16079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004A KR100296442B1 (ko) 1998-06-26 1998-12-09 엘리베이터의호출등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49037A (ko)
JP (1) JP3939027B2 (ko)
KR (1) KR100296442B1 (ko)
CN (1) CN108024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9396A (en) * 1998-11-09 2000-08-29 Otis Elevator Company Remote elevator call placement with provisional call verification
FI982827A0 (fi) * 1998-12-30 1998-12-30 Kone Corp Henkilökuljettimen näyttö- ja kutsujärjestely sekä menetelmä käyttäjän reitittämiseksi henkilökuljetinjärjestelmässä
US6209685B1 (en) * 1999-06-04 2001-04-03 Otis Elevator Company Selective, automatic elevator call registering system
SG124246A1 (en) * 2001-11-26 2006-08-30 Inventio Ag System for security control and/or transportation of persons with an elevator installation, method of operating this system, and method of retro-fitting an elevator installation with this system
EP1799601A4 (en) * 2004-10-05 2010-07-28 Otis Elevator Co GUIDED TOURS USING COLOR VIEWS
JP4847714B2 (ja) * 2005-05-09 2011-12-28 三菱電機株式会社 身障者兼用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US8838989B2 (en) * 2008-01-24 2014-09-16 Blackberry Limited Optimized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and system
WO2009132696A1 (de) * 2008-04-29 2009-11-05 Inventio Ag Verfahren zur führung eines passagiers in einem gebäude
CN102666337B (zh) * 2009-12-14 2015-06-03 奥的斯电梯公司 电梯保安系统
WO2012022827A1 (en) * 2010-08-19 2012-02-23 Kone Corporation Passenger flow management system
FI122443B (fi) * 2010-11-03 2012-01-31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CN103176432B (zh) * 2011-12-22 2016-03-09 昆山通祐电梯有限公司 持卡人出入电梯的远程监控系统及监控方法
FI124003B (fi) 2012-06-04 2014-01-31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CN104684831B (zh) 2012-09-26 2018-01-02 通力股份公司 用于维护电梯系统中的偏好楼层列表的装置
CN103723584A (zh) * 2012-10-15 2014-04-16 通用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选乘系统
CN104936878B (zh) * 2013-01-30 2017-05-03 通力股份公司 电梯呼叫的预分配
FI124267B (fi) 2013-05-20 2014-05-30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JP6036561B2 (ja) * 2013-06-11 2016-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EP3027547B1 (en) 2013-07-29 2020-01-01 KON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destination calls for an elevator system
CN105658557A (zh) * 2013-10-24 2016-06-08 奥的斯电梯公司 使用指纹识别的电梯调度
EP3044150A1 (en) 2013-11-14 2016-07-20 Kone Corporation Method for an allocation of elevators in elevator systems
EP3885301A1 (en) * 2015-02-24 2021-09-29 KON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floor information for a destination call
JP6532796B2 (ja) * 2015-10-08 2019-06-1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制御装置
WO2018037534A1 (ja) * 2016-08-25 2018-03-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行先階登録装置
US10486938B2 (en) * 2016-10-28 2019-11-2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ervice request using user device
JP7053369B2 (ja) * 2018-05-17 2022-04-12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運行管理装置及び方法
CN111792464A (zh) * 2020-07-21 2020-10-20 睿住科技有限公司 电梯的控制方法、电梯及存储介质
CN113233267B (zh) * 2021-06-08 2022-09-16 湖南信达通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机器视觉特征识别的电梯智能停靠管理方法、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CN113772503B (zh) * 2021-08-17 2022-10-28 南京理工大学紫金学院 一种基于大数据的小区电梯智能停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2470A (ja) * 1982-03-24 1983-09-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呼び登録装置
ES2036245T3 (es) * 1987-12-18 1993-05-16 Inventio Ag Dispositivos de registro de llamadas y de indicaciones para ascensores, dispuestos en los pisos.
EP0341381B1 (de) * 1988-05-11 1992-04-22 Inventio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gesicherten und komfortablen Eingabe von Steuerbefehlen, insbesondere bei Aufzugsanlagen
JP2558832B2 (ja) * 1988-09-19 1996-11-27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885952B2 (ja) * 1991-03-14 1999-04-26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呼び取消し方法
JP2981785B2 (ja) * 1991-06-25 1999-11-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呼び登録装置
JPH061549A (ja) * 1992-06-18 1994-01-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音声案内装置
JPH06298476A (ja) * 1993-04-15 1994-10-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戸制御装置
CH693065A5 (de) * 1994-08-30 2003-02-14 Inventio Ag Aufzugsan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874A (ko) 2000-01-25
CN1240755A (zh) 2000-01-12
JP2000016708A (ja) 2000-01-18
CN1080242C (zh) 2002-03-06
US5949037A (en) 1999-09-07
JP3939027B2 (ja)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6442B1 (ko) 엘리베이터의호출등록장치
ES2703818T3 (es) Instalación de ascensor para el transporte de pasajeros y/o mercancías desde un vestíbulo de entrada
CN102471015B (zh) 电梯系统
JP5354014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CN108975104B (zh) 电梯控制装置及方法、电梯群管理控制装置、电梯系统
US9988237B1 (en) Elevator management according to probabilistic destination determination
KR20000076382A (ko) 엘리베이터의 관리제어장치
CN102381596A (zh) 电梯系统
EP2536650B1 (en) Elevator system
WO2006070051A2 (en) Elevator system
JPH0455271A (ja) 共用エレベータの運転方式
JP5911542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セキュリティゲート及び表示装置
US20110121074A1 (en) Method for repayment of elevator investment costs
JPH0517083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US20210179385A1 (en) Method of prioritizing passenger travel in an elevator
JP2006117398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2002265154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H1171064A (ja) エレベータ運行データ変更装置
JP2005231885A (ja) エレベーターの呼び登録装置
JPH1160084A (ja) 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JPS61169453A (ja) エレベ−タの運転装置
JPH0916899A (ja) 駐車場の場内管理装置及び場内管理方法
JP2006199421A (ja)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
JP7156473B1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S6155074A (ja) 群管理エレベ−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