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883B1 - 사진인화장치 - Google Patents

사진인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883B1
KR100253883B1 KR1019940013520A KR19940013520A KR100253883B1 KR 100253883 B1 KR100253883 B1 KR 100253883B1 KR 1019940013520 A KR1019940013520 A KR 1019940013520A KR 19940013520 A KR19940013520 A KR 19940013520A KR 100253883 B1 KR100253883 B1 KR 100253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exposure
exposure condition
correction
photosensi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395A (ko
Inventor
이와사키류우이치
미야우찌미츠루
아키라도시로
Original Assignee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츠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츠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모토 칸이치
Publication of KR950001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72Controlling or varying light intensity, spectral composition, or exposure time in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72Controlling or varying light intensity, spectral composition, or exposure time in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73Controlling exposure by variation of spectral composition, e.g. multicolor printers
    • G03B27/735Controlling exposure by variation of spectral composition, e.g. multicolor printers in dependence upon automatic analysis of the original

Abstract

사진인화장치는 필름으로부터 화상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장치 및 판독장치에 의해 판독된 화상정보를 기초로하여 감광재료를 노광하기 위한 노광조건을 연산하는 노광조건 연산수단을 포함한다. 이 장치는 판독장치에 의해 판독된 화상정보를 노광조건 연산장치에 의해 연산된 노광조건에 따라서 필름상의 화상정보로 감광재료가 노광될 때 감광재료상에 나타나도록 예견되는 화상정보로 변환하는 화상정보 변환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화상정보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화상정보는 모니터상에서 표시된다.
노광조건 연산장치는 모니터상에 표시된 화상정보에 대한 노광조건을 제어패널을 통하여 보정하기 위한 지시 혹은 노광조건을 보정하지 않기 위한 지시를 수신한다.
노광장치는 제어패널을 통하여 입력된 보정지시를 기초로하여 노광조건 연산장치에 의해 연산된 노광조건에 따라 감광재료를 노광한다.
노광장치는 제어패널로부터의 보정지시를 기초로하여 보정된 노광조건 혹은 수신된 비보정 지시에 대하여 화상정보로 감광재료를 노광하기 위해, 제어패널로부터 노광조건 연산장치로의 입력과 병렬과 동작가능하다.

Description

사진인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인화장치의 개요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2도는 사진인화장치의 주요부의 블록도.
제3도는 사진인화장치의 모니터상에 표시되는 화상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모니터상에 표시되는 다른 화상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5도는 모니터상에 표시되는 추가 화상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6도는 모니터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부 확대도.
제7도는 사진인화장치의 동작 흐름도.
제8도는 사진인화장치의 동작의 시간 도표.
제9도는 사진인화장치의 추가적 작동시간 도표.
본 발명은 사진인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필름으로부터 화상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장치, 판독장치에 의해 판독된 화상정보에 의거하여 감광재료를 노광하기 위한 노광조건을 연산하는 노광조건 연산장치, 판독장치에 의해 판독된 화상정보를 노광조건 연산장치에 의해 연산된 노광조건에 따라 필름의 화상정보를 감광재료에 노광하였을 때 감광재료상에 나타내도록 예견되는 화상정보로 변환하는 화상정보 변환장치, 화상정보 변환장치에 의해 변환된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모니터상에 표시된 화상정보에 대하여 노광조건을 보정하기 위한 지시 혹은 노광조건을 보정하지 않기 위한 지시를 노광조건 연산장치에 입력하기 위한 보정지시 입력장치, 및 보정지시 입력장치로부터의 보정지시를 기초로하여 노광조건 연산장치에 의해 연산된 노광조건에 따라서 감광재료를 노광하는 노광장치를 갖는 사진인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의 설명)
본 발명의 사진인화장치는 감광재료를 노광하기 위해 필름으로부터 화상정보를 판독하며, 판독된 화상정보로부터 노광조건을 연산한다. 이러한 장치는 모의 화상정보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데, 모의 화상정보는 연산된 노광 조건에 따라 감광재료가 노광되었을 때 감광재료상에 나타내도록 예견되는 화상정보에 대응된다.
본 사진인화장치의 작동자는 모니터상에 표시되는 화상정보를 관찰하며 노광조건 연산장치에 의해 연산된 노광조건이 만족스러운지를 판단한다. 만일 이러한 노광조건이 만족스러우면, 작동자는 노광조건이 보정되어질 필요가 없음을 나타내는 지시를 보정지시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한다. 만일 노광조건이 보정을 필요로 하면, 작동자는 보정지시 입력수단을 통하여 적절한 보정지시를 입력한다.
보정지시 입력장치로부터 보정지시를 수신하는 경우, 노광조건 연산장치는 새로운 노광조건을 얻기 위해 보정연산을 행한다. 이 노광장치는 보정된 노광조건에 따라 필름의 화상정보를 감광재료에 노광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노광조건 연산장치에 의해 연산된 노광조건이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에, 모니터를 관찰하는 작동자는 감광재료의 실제 노광전에 노광조건을 보정할 수 있다. 감광재료의 노광시 에러는 이러한 방법으로 배제될 수 있다.
종래 사진인화장치는 작동자가 모니터상에서 화상정보를 관찰하고 보정지시를 입력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하도록 하게 하며, 노광장치가 감광재료를 노광하도록 한다. 노광장치는 작동자가 노광조건이 만족스러운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해 모니터상의 화상정보를 관찰하는 동안 노광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 노광작업은 최종노광 조건이 결정될 때 까지 반드시 대기해야 한다. 따라서, 노광처리 능력의 관점에서 볼 때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 상기 기술의 최신기술에 관하여 만들어졌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노광처리효율을 지닌 사진인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며, 필름으로부터 화상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장치, 판독장치에 의해 판독된 화상정보를 기초로 한 감광재료를 노광하기 위한 노광조건을 연산하는 노광조건 연산장치, 판독장치에 판독된 화상정보를 노광조건 연산장치에 의해 연산노광조건에 따라 필름상의 화상정보에 감광재료가 노광되어질 때 감광재료상에 나타내도록 예견되는 화상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화상정보 변환장치, 화상정보 변환장치에 의해 변환된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모니터상에 표시된 화상정보에 대하여 노광조건을 보정하기 위한 지시 혹은 노광조건을 보정하지 않기 위한 지시를 노광장치 연산장치로 입력하는 보정지시 입력장치, 및 보정지시 입력장치로 부터의 보정지시를 기초로 한 노광조건 연산장치에 의해 연산노광조건에 따라 감광재료를 노광하는 노광장치로 구성되는 사진인화장치로써, 여기서 노광장치는 보정지시 입력장치로부터 보정지시를 기초로하여 노광조건이 보정되어지는 화상정보 감광재료를 노광하기 위한 정보 혹은 보정되지 않은 노광지시가 수신되어지는 화상정보로 감광재료를 노광하기 위한 보정지시 입력장치로부터 노광조건 연산장치로의 입력과 병렬로 작동가능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노광조건 연산장치에 의해 연산된 노광조건이 만족스러운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해 모니터상에 표시되는 화상정보를 작동자가 관찰하는 동안, 노광장치는 작동자가 노광조건의 수광능력을 이미 결정하고 보정지시 입력장치로부터의 보정지시 혹은 수신된 보정되지 않은 지시를 기초로하여 보정된 노광조건을 위해 화상정보로의 노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노광장치는 노광조건 연산장치에 의해 연산된 노광조건이 만족스러운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해 모니터상에 표시된 화상정보를 작동자가 관찰하는 동안 노광에 영향을 미치도록 작동가능하다. 이것은 사진인화장치의 노광처리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노광장치의 대기시간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사진인화장치는 판독장치에 의해 판독된 다수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하여, 모니터가 메모리내에 저장된 다수의 프레임 혹은 한 개 프레임내의 화상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판독장치는 연속해서 필름상의 다수의 프레임으로부터 화상정보를 판독하며, 이러한 화상정보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다수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모든 화상정보 혹은 일부의 화상정보는 각각의 프레임에 대한 노광조건을 연산하기 위해 노광조건 연산장치를 위한 메모리로부터 판독된다. 화상정보 변환장치는 모니터상에서의 표시를 위해 프레임내에서 화상정보를 변환한다. 작동자는 모니터상에서 표시되는 다수의 프레임 내에서의 화상정보를 위한 노광조건의 수광능력을 결정하며, 필요에 따라 보정지시 입력장치를 통하여 보정지시를 입력한다. 노광조건 연산장치는 보정지시에 응답하여 노광조건을 보정한다.
작동자가 노광조건이 만족스러운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해 모니터상에 표시되는 다수의 프레임 내에서의 화상정보를 관찰하는 동안, 노광장치는 작동자가 노광조건의 수광능력을 미리 결정하도록 화상정보로 감광재료의 노광에 계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노광조건의 수광능력은 모니터상에 표시되는 다수의 프레임내의 화상정보를 위해 뱃치(batch)로 결정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사진인화 장치는 작동자가 자신의 노광조건 판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표시된 프레임을 비교하는 것을 허용하는 부가적인 이점으로써 개선된 노광처리 효율을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에 설명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특정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사진인화장치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진인화장치(1)는 감광재료의 역할을 하는 인화지(3)에 필름(2)의 화상정보를 투영하기 위한 투영 노광부(5)와, 투영 노광부(5)에서 노광된 인화지(3)를 현상하기 위한 현상부(DE), 및 사진인화장치(1)의 각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CO)를 포함한다. 이 장치(1)는 다양한 명령어를 입력하기 위한 제어패널(O) 및 화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M)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이 패널 및 모니터는 모두 제어기(CO)에 연결된다.
인화지(3)는 인화지 매거진(4)에 롤(roll)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인화지(3)는 매거진(4)으로부터 인출되어, 투영 노광부(5)에서 노광되며 현상부(DE)에서 현상되고, 한 개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포함하는 크기로 절단되어 배출된다.
이 장치의 구성요소는 다음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투영노광부(5)는 광원(10), 필름(2)을 조사하기 위한 광의 색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디머필터(11), 디머필터(11)를 통과하는 광을 균일하게 색 혼합하기 위한 거울통로(12), 필름(2)의 화상을 인화지(3)상에 형성하기 위한 인화렌즈(13), 및 셔터(14)를 포함하며, 이들은 노광광로를 형성하는 동일 광축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판독장치(RD)는 필름(2)으로부터 화상정보를 판독하기 위해 인화렌즈(13)에 측면으로 배치된다. 판독장치(RD)는 반사경(15)과, 렌즈(16)와, 모터(M1)에 의해 회전가능하고 그리고 그 둘레에 R(적색), G(녹색) 및 B(청색) 색 필터가 배치된 회전색 필터(17) 및 CCD 화상센서(18)를 갖는다. 반사경(15)은 도시되지 않은 이동가능한 데크상에 인화렌즈(13)와 함께 재치된다.
인화렌즈(13) 및 반사경(15)을 반송하는 이동가능한 데크는 노광광로상의 인화렌즈(13)를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와 노광광로상의 반사경(15)을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 사이에서 전환(switch)하기 위해 제1도의 화살표 A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다.
인화렌즈(13)가 노광광로상에 위치될 때, 필름(2)의 화상정보는 인화렌즈(13)에 의해 인화지(3)상에 형성된다.
반사경(15)이 노광광로상에 위치될 때, 필름(2)의 화상정보는 반사경(15)에 의해 반사되며 렌즈(16)에 의해 CCD화상센서(18)의 수광면상에 형성된다.
CCD화상센서(18)는 필름(2)으로부터 화상정보를 회전색 필터(17)의 회전에 의해 R, G 및 B색으로 색분해된 상태로 검출한다.
롤러(19)는 노광광로의 상류측 필름(2)의 운반경로상에 배치된다. 롤러(20)는 노광광로의 하류측 운반경로상에 배치된다. 롤러(19 및 20)는 모터(M2)에 의해 함께 구동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투영노광부(5)에서 CCD화상센서(18)는 반사경(15)이 노광광로상에 위치될 때 필름(2)으로부터 화상정보를 판독하고, 필름(2)으로부터의 화상정보는 인화렌즈(13)가 노광광로상에 위치될 때 인화지(3)에 형성된다.
노광위치(W)의 하류측 인화지(3)의 운반경로에는 인화지(3)를 운반하기 위한 롤러(21) 및 롤러(21)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M3)가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현상부(DE)는 노광된 인화지(3)를 현상하기 위한 처리용제(treating solutions)로 채워진 다수의 탱크를 포함한다.
인화지(3)는 탱크들을 순차 통과하여 현상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기(CO)는 제어장치(100), 화상정보메모리(101), 노광조건 연산장치(102), 화상정보 변환기(103) 및 노광제어장치(104)를 포함한다. 화상정보메모리(101)는 CCD화상센서(18)에 의해 판독된 화상정보를 저장한다. 노광조건 연산장치(102)는 화상정보메모리(101)로부터 화상정보를 판독하여 인화지(3)에 화상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노광조건을 결정한다. 노광제어장치(104)는 인화지(3)를 노광하기 위해 노광조건 연산장치(102)에 의해 결정된 노광조건을 기초로하여 디머필터(11) 및 셔터(14)를 제어한다. 화상정보 변환기(103)는 화상정보를 화상정보메모리(101)로부터 화상정보를 판독하며, 이 화상정보를 노광조건 연산장치(102)에 의해 결정된 노광조건을 기초로하여 모니터(MT)상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정보로 변환한다. 제어장치(100)는 화상정보메모리(10), 노광조건 연산장치(102), 화상정보 변환기(103) 및 노광제어장치(104)를 제어한다. 제어장치(104)는 또한 모터(M1, M2 및 M3)를 제어한다. 화상정보 변환기(103)는 음화에서 양화로의 변환과 같이 화상정보를 변환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매개변수를 저장한다. 이러한 매개변수는 노광조건 연산장치(102)에 의해 결정된 노광조건을 기초로하여 모니터(MT)의 스크린상에 화상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선택되며, 이 화상정보는 인화지(3)상에 나타날 화상정보와 동일하다. 제어패널(O)는 Y(노란색), M(마그네타), C(시안)의 노광변화 혹은 사진의 농도변화에 대응하는 평균노광변화를 지시하는 농도 보정키이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시에 응답하여, 노광조건 연산장치(102)는 새로운 노광조건을 결정하기 위해 보정 작동을 수행한다.
노광조건 연산장치(102)가 제어패널(0)로 부터의 지시에 대하여 새로운 노광조건을 취할 때, 화상정보변환기(103)는 새로운 노광조건을 기초로하여 화상정보를 변환하며 표시를 위한 모니터로 이 화상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모니터(MT)상에 표시되는 화상정보는 제어패널(0)로 부터의 지시에 따라 보정된다. 제어패널(0)을 통하여 어떠한 보정도 필요없음을 나타내는 지시가 입력될 때, 노광조건 연산장치(102)에 의해 초기에 결정된 노광조건이 노광을 위해 이용된다. 화상정보메모리(101)는 CCD화상센서(18)에 의해 판독됨에 따라 필름(2)의 다수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갖는다. 앞으로 설명되어지는 바와같이, 화상정보메모리(102)는 한 개 필름(2)의 모든 프레임으로 부터의 화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갖는다.
화상정보메모리(101)내에 저장된 다수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로써, 화상정보변환기(103)는 메모리로부터 변환을 위한 많은 화상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정보가 모니터(MT)상에서 동시에 표시되어 질 수 있다. 모니터(MT)는 3개의 표시모드로 화상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3도는 6개의 프레임으로에 화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6- 프레임 표시모드를 도시한다. 제4도는 28개의 프레임으로 화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28-프레임 표시모드를 도시한다. 제5도는 화면의 상부에서 7개 프레임으로 화상정보를 표시하며 화면의 중앙에서 7개 프레임중의 하나의 화상정보를 확대 표시하기 위한 시네마뷰 표시모드를 도시한다. 제어패널(0)을 통하여 이러한 표시모드중의 하나가 선택된다.
6-프레임 표시모드는 필름(2)의 6개의 프레임으로된 화상정보를 연속적으로 표시한다. 이 표시모드는 음의 크기(negative size)내에서 6개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정보 표시지역(E) 및 각각의 화상정보 표시지역(E)에 대응하는 데이터 표시지역(F)을 포함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데이터 표시지역(F)은 커서표시부(30), 농도표시부(31), 프레임 번호표시부(32), Y-키이 보정값 표시부(33), M-키이 보정값 표시부(34), C-키이 보정값 표시부(35), 농도키이 보정값 표시부(36), 인화숫자 표시부(37)를 포함한다. 커서표시부(30)는 관련된 프레임에 대해 제어패널(0)을 통해 보정지시가 입력되었음을 나타낸다. 농도 표시부(31)는 CCD화상센서(18)의 광도측정 값으로부터 유출된 평균농도 값을 표시한다. 프레임 번호 표시부(32)는 관련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를 표시한다. Y-키이, M-키이 및 C-키이 보정값 표시부(33, 34 및 35)는 각각 Y, M 및 C색에 대하여 제어패널(0)을 통하여 입력된 보정지시를 표시한다. 농도키이 보정값 표시부(36)는 사진의 농도변화에 대응하는 노광의 평균변화에 관하여 제어패널(0)을 통해 입력된 보정지시를 표시한다. 인화숫자 표시부(37)는 제어패널(0)을 통해 입력되어 관련프레임으로 만들어지는 인화숫자를 표시한다.
Y, M, C 및 백색을 위한 안내표지(guide mark)(41, 42, 43 및 44)는 각각 Y-키이, M-키이 및 C-키이 보정값 표시부(33, 34 및 35)와 농도키이 보정값 표시부(36)에 따라 표시된다. 28-프레임 표시모드는 필름(2)의 28프레임으로된 그룹내에서 화상정보를 연속적으로 표시한다. 대부분 흔히 사용되는 135- 크기 필름은 최대 36 프레임을 포함한다. 따라서, 필름(2)의 화상정보의 대부분은 한 번에 모니터(MT)상에 표시될 수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28-프레임 표시모드는 음의 크기로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정보 표시영역(G), 및 각각의 화상정보 표시영역(G)에 따라 배열된 보조데이타 표시영역(H)을 포함한다. 각각의 보조데이타 표시영역(H)은 관련된 프레임에 대해 제어패널(0)을 통하여 보정지시가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커서, 프레임 번호 및 사진의 농도변화에 대응하는 노광의 평균변화에 관한 보정지시를 표시한다. 이 표시모드는 제어패널(0)을 통하여 보정지시가 입력된 프레임의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하여 모니터화면의 우하측에 배치되는 데이터 표시영역(I)을 추가로 포함한다. 데이터 표시영역(I)은 커서표시영역(30)을 제외하고 6-프레임 표시모드에서 각각의 데이터 표시영역(F)과 동일한 부분을 포함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네마뷰모드는 화면의 상부에 음의 크기로 7개 프레임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정보 표시영역(J), 7개의 화상정보 표시영역(J)중의 중앙에 있는 화상정보를 확대하여 표시하기 위해 화면의 약간하부위치 중앙에 배치되는 확대표시영역(K) 및 확대표시영역(K)의 우측에 배치된 데이터 표시영역(L)을 포함한다.
데이터 표시영역(L)은 확대표시영역(K)에 표시된 화상정보의 데이터를 표시하며, 커서표시부(30)를 제외하고 6- 프레임 표시모드의 각각의 데이터 표시영역(F)과 동일한 부부을 포함한다. 따라서, 데이터 표시영역(L)에서 표시된 프레임은 제어패널(0)을 통하여 입력된 보정지시의 대상이다.
프레임번호 표시부(38)는 프레임 번호를 표시하기 위하여 화상정보 표시영역(J) 상부에 배열된다. 화상정보영역(J)의 하부에는 사진의 농도변화에 대응하는 노광의 평균변화에 관하여 제어패널(0)을 통하여 입력된 보정지시를 표시하기 위한 농도키이 보정값 표시부(36)가 있다. 추가로, 바아커서(bar cursor)(40)는 그 화상정보가 확대표시영역(K)에도 표시되는 화상정보 표시영역(J)의 중앙의 상부 및 하부에 표시된다.
6- 프레임 표시모드 혹은 28- 프레임 표시모드에서, 작동자는 보정 및 인화숫자에 관해 지시가 입력되는 프레임을 지정하기 위해 커서를 이동시킨다. 시네마 뷰모드에서, 작동자는 제어패널(0)을 조작하여 화상정보 표시영역(J)에 표시된 화상정보를 전방향 즉, 우측으로 보내거나 혹은 후방향, 즉 좌측으로 보내며 보정 및 인화숫자에 관해 지시가 입력된 프레임을 지정한다. 지정된 프레임의 사진의 인화가 초점이 맞지 않거나 다른 이유로 인해 바람직하지 않다면, 작동자는 제어패널(0)상의 'PASS' 키이를 누른다. 그러면 'PASS' 단어가 모니터(MT)상의 인화숫자 표시부(37)에 표시된다.
6- 프레임 모드를 도시하는 제3도에서 하위우측 위치에 있는 화상정보에 의해 예시된 바와같이, 필름(2)은 일반적인 표준크기사진(full size photos)의 종횡비와 상이한 종횡비의 화상정보 영역을 갖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전경사진(panorama photos)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전경사진은 일반적인 종횡비를 갖는 화상정보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취급되어질 수 있다. 제어장치(100)가 화상정보메모리(101)에 저장된 화상정보의 종횡비를 기초로하여 필름(2)상의 전경사진을 검출할 때, 모니터(MT)는 전경사진의 화상정보에 따라 필름크기를 나타내는 숫자 "135"와 문자 "P"를 표시한다. 이른바 하이- 비젼(high-vision) 사진 혹은 이와 유사한 것이 일반적인 화상정보와는 다른 종횡비를 갖는 사진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진은 상기 전경사진과 동일한 방식으로 검출될 수 있으며, 예를들면 문자 "H"가 모니터(MT)상에 표시되어 진다.
전경사진은 상기한 바와같이 제어장치(100)에 의해 자동적으로 검출된다. 검출에러에 대처하기 위해 전경사진 혹은 표준크기 사진을 지시하는 입력이 제어패널(0)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화상정보가 전경사진 혹은 이와 유사한 사진에 대응할 때, 노광조건 연산장치(102)는 일반적인 화상정보의 종횡비와 다른 영역에서의 화상정보를 기초로하여, 화상정보의 종횡비에 따른 노광조건을 결정한다. 일반적인 화상정보와 다른 종횡비를 갖는 종횡비를 갖는 전경 및 다른 사진들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6-프레임 표시모드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28-프레임 모드 및 시네마 뷰모드에서 취급되어진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3개 표시모드 전부에서, 화상정보는 정립된 상으로 표시된다. 어떤 유형의 카메라에서, 상은 도립상으로 사진촬영된다.
이런 상황에서는, 화상정보변환기(130)로 하여금 모니터(MT)상에서의 표시를 위해 전체 필름(2)의 화상정보를 180° 전환하도록 하는 입력이 제어패널(0)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패널(0)의 조작에 의해 임의의 프레임을 선택하고 모니터(MT)상에서의 표시를 위해 화상정보를 모니터에서 90도 혹은 180도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기(0) 내의 제어장치(100)의 제어하에 여러구성요소의 동작은 앞으로 제7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흐름도 및 시간도표를 참조로하여 설명될 것이다.
먼저, 투영노광부(5) 내의 반사경(15)은 필름(2)으로부터 CCD화상센서(18)로 화상정보를 지시하도록 광도측정준비를 위해 노광광로상에 위치된다(단계 #1). 광도측정 준비가 완료되었을 때, 모터(M2)는 제1도에 있는 화살표 N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필름(2)을 노광광로에 있는 필름(2)의 프레임을 지닌 화상정보 판독위치로 전송하기 위해 작동된다(단계 #2 및 #3). 필름(2)은 화상정보 판독위치에서 정지되며, 화상정보는 필름(2)으로부터 판독되며 화상정보메모리9101)에 저장된다(단계 #4). 이 화상정보 판독동작은 화상정보가 필름(2)의 모든 프레임으로부터 판독될때까지 계속된다(단계 #5). 필름(2)으로부터 모든 화상정보판독이 완료되었을 때, 제어장치(100)는 노광조건 연산장치(102)가 노광조건의 연산을 개시하도록 지시한다(단계 #6). 노광광로상의 반사경(5)은 인화렌즈(13)에 의해 대체된다. 모터(M2)는 제1도에 있는 화살표 N에 의해 지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필름(2)을 후방향으로 전송시키기 위해 회전된다(단계 #7). 이 동작은 노광조건 연산장치(102)가 노광조건의 연산을 종료할때까지 이러한 상태로 대기한다(단계 #8). 노광조건 연산의 완성을 나타내는 노광조건 연산장치(102)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했을 때, 제어장치(100)는 노광조건 연산장치(102) 및 화상정보 변환기(103)가 제어패널(0)로부터 보정지시를 수신하도록 지시한다(단계 #9). 만일 6- 프레임 표시모드 혹은 28- 프레임 표시모드가 제어패널(0)을 통하여 선택되었다면, 화상정보 변환기9103)는 모니터(MT)가 상술한 바와 같이 6 혹은 28 프레임으로된 화상정보를 일괄적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모니터(MT)상에 표시되는 화상을 관찰하는 동안, 작동자는 제8도의 시간도표상에 도시된 P 주기동안에 제어패널(0)을 통하여 보정지시를 입력한다. 이 보정지시에 응답하여, 노광조건 연산장치(102)는 노광조건을 보정한다. 그후, 화상정보 변환기(103)는 모니터(MT)상에서의 표시를 위해 또다시 화상정보를 변환한다. 작동자가 모니터(MT)상에 표시된 6 혹은 28 프레임으로된 화상정보 모드를 위한 보정지시의 입력을 끝마쳤을 때, 노광조건 연산장치(102)는 최종적으로 보정된 노광조건을 노광제어장치(104)로 전송한다. 화상정보 변환기(103)는 모니터(MT)상에서의 표시를 위한 6 혹은 28 프레임으로 된 다음 그룹의 화상정보를 변환한다. 작동자는 모니터(MT)상에서 새로운 화상을 관찰하여 추가로 보정지시를 입력한다. 만일 시네마 뷰모드가 단계 #9에서 선택되었다면, 첫 번째 4개 프레임의 화상정보가 제5도의 좌측으로부터 중앙위치까지 4개의 화상정보 표시지역(J)에서 표시된다. 이때에, 중앙표시지역(J)에 있는 화상정보 또한 확대표시영역(K)에서 표시된다. 확대표시영역(K)에서 표시된 화상정보를 보정하기 위해 제어패널(0)을 통하여 지시가 입력되었을 때, 노광조건 연산장치(102)는 보정연산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모니터(MT)는 화상정보 변환기(103)에 의해 재변환된 화상정보를 표시한다.
첫 번째 프레임의 화상정보의 보정이 완료되었을 때, 화상정보 변환기(103)는 화상정보를 모니터(MT)상의 화상정보 표시영역(T)을 통하여 전방향인 우측으로 전송하고 연속하는 프레임의 화상정보를 좌측단에서 표시영역(J)으로 도입한다. 이에 따라, 확대 표시영역(K)에 표시되는 화상정보, 즉 제어패널(0)로부터의 보정 지시의 대상도 또한 갱신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자는 노광조건을 보정하기 위한 지시를 연속적으로 준다. 화상정보가 우측단에서 화상정보 표시영역(J)을 초과(overflow)하면, 노광조건 연산장치(102)는 프레임들에 대하여 최종노광조건을 초과된 순서로 노광제어장치(104)로 연속적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시네마 뷰모드에서, 노광조건 보정을 위한 지시를 주는 작동자에 의한 작동은 제9도의 시간도표상에서 주기 Q에 의해 나타난 바와같이 한 개 필름(2)에 대하여 계속해서 수행된다.
제5도를 참조하면, 3개의 우측화상 정보표시영역(J)에 표시된 화상정보에 대하여 위한 보정 지시가 제어패널(0)을 통하여 입력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화상정보에 대한 최종 노광조건은 노광제어장치(104)로 전송되어지기 위해 남아있다. 그러므로 화상정보표시를 중앙표시영역(J)으로 후퇴이동시킴으로써 이 화상정보를 위한 노광조건 보정을 위해 추가지시를 주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 #9에서 보정지시의 수신이 시작된후, 노광조건 연산장치(102) 및 화상정보 변환기(103)는 상기한 바와같이 제어패널(0)을 통하여 입력된 보정지시를 처리한다. 반면에, 제어장치(100)가 필름(2)의 후방향 전송이 완료되었음(단계 #10)을 확인하면 동작은 노광조건 연산장치(102)가 최종노광조건을 노광제어장치로 전송할때까지 대기한다(단계 #11).
노광제어장치(104)가 노광조건 연산장치(102)로부터 노광조건을 수신했을 때, 제어장치(100)는 노광광로에 필름의 프레임이 놓여질때까지 필름(2)이 전송되어지도록 한다(단계 #12 및 #13). 노광제어장치(104)에 의해 수신된 노광조건을 기초로하여, 셔터(14) 및 디머필터(11)는 인화지(3)를 필름(2)의 화상정보로 노광시키기 위해 제어된다(단계 #14). 6-프레임 표시모드 혹은 28- 프레임 표시모드에서, 노광조건은 필름(2)의 맨처음의 6 혹은 28프레임에 있는 화상정보에 대한 노광조건의 보정이 완료된후에만 노광제어장치(104)로 전송된다. 따라서, 제8도의 시간도표에 도시된 바와같이, 노광동작은 맨처음의 6 혹은 28 프레임에 있는 화상정보에 대하여 노광조건을 보정하기 위한 지시가 주어지는 주기 P의 경과후에 시작된다.
반면에, 시네마 뷰모드에서, 화상정보에 대한 노광조건을 보정하기 위한 지시가 주어지는 주기 Q의 경과전에 즉 맨처음의 4개 프레임에 있는 화상정보에 대한 노광조건을 보정하기 위한 지시가 완료되었을 때 노광동작은 시작된다. 노광조건이 노광제어장치(104)에 의해 수신되었을 때, 인화지(3)의 노광과 인화지(3) 및 필름(2)의 운송이 반복된다. 전체필름(2)의 노광이 처리되어져야할 남아있는 프레임이 없이 완료되었을때(단계 #15), 필름(2) 노광동작을 완료하기 위해 방출된다(단계 #16).
따라서, 투영노광부(5) 및 노광제어장치(104)는 노광장치(S)로써의 역할을 한다. 노광조건 연산장치(102)는 판독장치(RD)에 의해 판독된 화상정보로부터의 노광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노광조건 연산장치(T)로써의 역할을 한다. 화상정보 변환기(102)는 판독장치(RD)에 의해 판독된 화상정보를 노광조건 연산장치(T)에 의해 결정된 노광조건에 따라 인화지(3)가 필름(2)상의 화상정보로 노광되었을 때 인화지(3)상에 나타날 것으로 예견되는 화상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화상정보 변환장치(U)로써의 역할을 한다. 제어패널(0)은 노광조건을 보정하기 위한 지시 또는 보정하지 않기 위한 지시를 입력하는 보정지시 입력장치(V)로써의 역할을 한다. 상기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변경되어질 수 있다 :
(1) 상기 정보에서, 화상정보 메모리(101)는 판독장치(RD)에 의해 판독됨에 따른 다수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용량을 갖는다. 대신에, 이 메모리는 오직 한 프레임 내에서의 화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용량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화상정보 변환기(103)는 모니터(MT)상에서의 표시를 위한 한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변환한다.
(2) 상기 실시예에서, CCD 화상센서(18)는 판독장치(RD)로써의 역할을 하도록 제공된다. CCD 라인센서 혹은 MOS 화상센서가 대신 사용될 수 있다. 회전색 필터(17)가 R, G 및 B색으로 분리된 화상정보를 판독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면에 CCD 화상센서가 각각의 R, G 및 B색에 대해 특별하게 제공되어질 수 있다.
(3) 상기 실시예에서, 6, 28 혹은 7프레임에 있는 화상정보는 각각의 3개의 표시모드에서 표시된다. 표시되어야 할 프레임의 이러한 수는 변할 수 있다.
(4) 상기 실시예에서, 판독장치(RD)는 필름(2) 이 노광광로상에 위치될 때 화상정보를 판독한다. 판독장치(RD)는 투영노광부(5)와 관계없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화상정보가 판독장치(RD)에 의해 판독된 필름(2)은 감광재료(3)의 노광을 위해 후방향으로 운송되어질 필요가 없다.
상기 실시예의 시네마 뷰모드에서, 확대표시영역(K)에서 표시되는 것은 중앙표시영역(J)에 있는 화상정보이다. 대안으로, 확대표시영역(K)에서 표시될 화상정보 표시영역(J)으로부터 자유롭게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헤 제어패널(0)을 통한 동작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바아커서(40)가 적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정정) 필름이 화상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정보에 의거하여 감광재료를 노광하기 위한 노광조건을 연산하는 노광조건 연산수단;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정보를, 상기 노광조건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노광조건으로 상기 필름의 화상정보를 상기 감광재료에 노광할 때 상기 감광재료상에 나타날 것으로 예견되는 화상정보로 변환하는 화상정보 변환수단; 상기 화상정보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상기 모니터상에 표시된 화상정보에 대하여 상기 노광조건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 지시 혹은 보정이 필요 없다는 지시를 상기 노광조건 연산수단에 입력하는 보정지시 입력 수단; 및 상기 보정지시 입력수단으로부터의 보정지시에 의거하여 상기 노광조건 연산수단에 의해 연산된 노광조건에 따라 상기 감광재료를 노광하기 위한 노광수단을 가지며, 상기 노광조건 연산수단에 대한, 하나의 프레임의 화상정보에 관한 상기 보정지시 입력수단에 의한 입력과, 이미 보정지시 입력수단으로부터의 보정 지시에 의거하여 상기 노광조건의 보정을 종료한 또는 보정이 필요없다는 지시가 있었던 다른 프레임의 화상정보에 관한 상기 노광수단의 노광을 병행하여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인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다수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화상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가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된 하나 혹은 다수의 프레임에 있는 화상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인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수단은 반사경, 인화렌즈,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주변에 배열된 색필터를 갖는 회전색필터, 및 CCD화상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인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이동가능한 데크상에 상기 인화렌즈와 나란히 재치되며, 상기 이동가능한 데크는 노광광로상의 상기 인화렌즈가 위치되는 위치와 상기 노광광로상의 상기 반사경이 위치되는 위치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해 미끄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인화장치.
  5. (정정)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CD 화상센서는 상기 회전색필터의 회전에 의해 R, G 및 B색으로 분리된 상기 필름으로부터의 화상정보를 검출하기 위해 동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인화장치.
  6.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수단은 상기 필름상의 화상정보를 상기 감광재료에 투영하기 위한 투영노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영노광부는 디머필터와 셔터 및 상기 감광 재료에 노광하기 위해 상기 디머필터 및 상기 셔터를 제어하는 노광제어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인화장치.
  7. (정정) 제6항에 있어서, 투영노광부에서 노광된 상기 감광재료를 현상하는 현상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인화장치.
  8. (정정) 필름의 각 프레임의 화상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수단; 상기 판독수단에 의해 판독된 복수의 프레임의 화상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프레임의 화상정보에 의거하여 감광재료를 노광하기 위한 노광조건을 연산하는 노광조건 연산수단; 상기 노광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감광재료를 노광하는 노광부;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프레임의 화상정보를, 상기 노광조건에 의한 노광으로 얻어지는 프린트의 예상화상정보로 변환하는 화상정보변환수단; 상기 예상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상기 모니터에 표시된 예상화상정보에 대응하는 필름의 프레임의 상기 감광재로에의 인화를, 다른 프레임의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필름의 노광조건을 작업자가 보정할 것인지 또는 보정하지 않을 것인지의 지시를 상기 노광조건 연산수단에 제공하는 조작패널;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프레임의 화상정보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필름의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지시가 주어졌을 때 상기 지시가 주어진 프레임의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필름의 프레임의 노광조건의 보정과 동시에, 순차 상기 노광부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인화장치.
KR1019940013520A 1993-06-15 1994-06-15 사진인화장치 KR100253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43850 1993-06-15
JP5143850A JP2812145B2 (ja) 1993-06-15 1993-06-15 写真焼付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395A KR950001395A (ko) 1995-01-03
KR100253883B1 true KR100253883B1 (ko) 2000-04-15

Family

ID=15348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520A KR100253883B1 (ko) 1993-06-15 1994-06-15 사진인화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77723A (ko)
EP (1) EP0629907B1 (ko)
JP (1) JP2812145B2 (ko)
KR (1) KR100253883B1 (ko)
CN (1) CN1057617C (ko)
CA (1) CA2125210C (ko)
DE (1) DE6942381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2076A (ko) * 1995-02-28 1996-09-17 이대원 사진 인화장치
US6049392A (en) * 1996-04-05 2000-04-11 Konica Corporation Print production system for photographic document
JP3832089B2 (ja) * 1997-05-26 2006-10-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印刷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04717C2 (de) * 1980-02-08 1986-03-27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Vorrichtung zur elektronischen Abtastung von Aufnahmegegenständen
US4656524A (en) * 1985-12-23 1987-04-07 Polaroid Corporation Electronic imaging copier
US4812879A (en) * 1986-07-29 1989-03-14 Fuji Photo Film Co., Ltd. Automatic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simulator and method of adjusting simulator of automatic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US4875071A (en) * 1987-07-15 1989-10-17 Fuji Photo Film Co. Ltd. Shading correcting apparatus for photographic printer
US4942462A (en) * 1987-07-15 1990-07-17 Fuji Photo Film Co., Ltd. Photographic printer having a CRT for illuminating an original with a flying spot to print an image of the original
DE3850925T2 (de) * 1987-09-24 1994-12-01 Fuji Photo Film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photographischer Abzüge.
JPH01191846A (ja) * 1988-01-28 1989-08-01 Fuji Photo Film Co Ltd シミュレータ付写真焼付装置
JPH02110535A (ja) * 1988-10-20 1990-04-23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表示装置
JP2506179B2 (ja) * 1989-03-01 1996-06-1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焼付装置
GB8917654D0 (en) * 1989-08-02 1989-09-20 Mmco Ltd Photographic reproduction
GB8923709D0 (en) * 1989-10-20 1989-12-06 Minnesota Mining & Mfg Production of images using an array of light emmiting diodes
US4962403A (en) * 1989-12-11 1990-10-09 Eastman Kodak Company Adjusting photographic printer color exposure determination algorithms
US5122831A (en) * 1990-06-25 1992-06-16 Fuji Photo Film Co., Ltd. Photographic printer
DE69221665T2 (de) * 1991-05-23 1997-12-11 Fuji Photo Film Co Ltd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r Belichtung
JPH05134330A (ja) * 1991-11-13 1993-05-28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測光方法
JP2974222B2 (ja) * 1991-12-03 1999-11-1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焼付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0554639A1 (de) * 1992-02-06 1993-08-11 Gretag Imaging Ag Verfahren zur Erstellung fotografischer Kopien von fotografischen Kopiervorlagen in einem fotografischen Kopier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5593A (ja) 1995-01-10
CA2125210C (en) 1999-09-21
CN1100528A (zh) 1995-03-22
EP0629907A3 (en) 1995-08-02
CN1057617C (zh) 2000-10-18
EP0629907B1 (en) 2000-04-05
DE69423816D1 (de) 2000-05-11
CA2125210A1 (en) 1994-12-16
KR950001395A (ko) 1995-01-03
DE69423816T2 (de) 2000-12-07
JP2812145B2 (ja) 1998-10-22
US5777723A (en) 1998-07-07
EP0629907A2 (en) 1994-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8120B1 (ko) 인덱스 프린트장치와 그 장치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인덱스 프린트 및 인덱스 프린트 기능을 구비한 사진인화장치
KR100253883B1 (ko) 사진인화장치
JP3433780B2 (ja) 写真焼付装置用画像コマ選択装置
JP2921624B2 (ja) 画像プリンタ
US6104469A (en) Automatic trimming/printing apparatus
JP3214593B2 (ja) 写真焼付装置
KR100244079B1 (ko) 화상노광수단을 구비한 화상프린터
JP2921625B2 (ja) 画像プリンタ
JP4258082B2 (ja) 写真処理装置および写真処理方法
JP3444421B2 (ja) インデックスプリンタ
JPS6397930A (ja) 写真焼付方法
JP2001133900A (ja) 写真処理装置
JP2002202568A (ja) 画像プリンタ
JP3235702B2 (ja) 写真焼付装置
JP3879887B2 (ja) 画像コマ選択装置
JP2000089372A (ja) 写真焼付装置
JP2000267196A (ja) 写真処理装置
JPH0950084A (ja) 写真プリンタ
JP2000221605A (ja) 写真処理装置
JP2000241899A (ja) 写真処理装置
JP2000352780A (ja) プリント装置
JP2001255599A (ja) モニターセットアップ装置及び方法
JPH10104760A (ja) 写真フイルムプロセサー
JPH09288316A (ja) 写真焼付方法及び写真焼付装置
JPH08184924A (ja) 写真用フィルム検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