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3939B1 -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 및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 및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3939B1
KR100243939B1 KR1019950013920A KR19950013920A KR100243939B1 KR 100243939 B1 KR100243939 B1 KR 100243939B1 KR 1019950013920 A KR1019950013920 A KR 1019950013920A KR 19950013920 A KR19950013920 A KR 19950013920A KR 100243939 B1 KR100243939 B1 KR 100243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contact
metal member
piece
lam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446A (ko
Inventor
야마다아츠시
오쿠다다다유키
하기와라마사키
요시다요시히데
Original Assignee
고지마 류조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37828A external-priority patent/JP306291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86463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242812B2/ja
Application filed by 고지마 류조,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고지마 류조
Publication of KR950031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3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39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78Sun visors structure of the body
    • B60J3/0282Sun visors structure of the body specially adapted for a courtesy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 B29C33/1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against the mould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for obtaining an insulating effect, e.g. for electrica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9/00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B29C70/72Encapsulating inserts having non-encapsulated projections, e.g. extremities or terminal portions of electrica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03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29K2995/0005Condu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복수종류의 금속부재를 브리지를 통하여 일체화한 금속부재세트를 합성수지제본체 성형용 금형내에 인서트하는 단계; 이 합성수지제본체성형용 금형내에 합성수지제본체용 수지를 사출하여 합성수지제본체와 금속부재세트가 일체화된 합성수지부품중간체를 성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브리지를 절단하여 상기 복수의 금속부재를 독립시켜서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지는 합성수지부품의 제조방법과 상기 언급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합성수지부품이 개시되어 있다.
이 제조방법으로 금속부재에의 합성수지부품의 조립정밀도가 향상되어 금속부재간의 불필요한 접촉의 위험이 없고 조립의 수고가 생략되어 조립경비가 경감이된다.

Description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 및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을 버니티미러용 램프 보디에 적용한 제1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선바이저에 부착된 버니티미러에 조립된 상태를 일부를 절결하여 예시하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2-2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3-3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제4도는 사시도.
제5도는 정면도.
제6도는 배면도.
제7도는 제5도의 7-7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제8도는 제5도의 8-8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제9도는 제6도의 9-9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제10도는 제5도의 10-10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제11도는 제5도의 11-11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제12도는 주요부의 확대사시도.
제13도는 제14도 내지 제17도와 함께 본 발명의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의 제조방법을 버니티미러용 램프보디의 제조방법에 적용한 실시예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본 도면은 콘택트세트 제조용의 재료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4도는 제13도의 재료를 타발가공하여 형성된 원형 콘택트세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5도는 원형 콘택트세트를 절곡가공하여 형성된 콘택트세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6도는 콘택트세트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17도는 콘택트세트를 삽입하여 형성된 램프보디 중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8도는 제19도 내지 제42도와 함께 본 발명의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지는 합성수지부품 및 그 제조방법을 버니티미러용 램프보디 및 그 제조방법에 적용한 제2의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며, 본 도면은 버니티미러용 램프보디의 확대사시도.
제19도는 버니티미러를 커버를 열고 또한 램프의 렌즈를 벗긴 상태에서 도시하는 정면도.
제20도는 버니티미러의 배면도.
제21도는 커버의 배면도.
제22도는 제19도에 있어서의 22-22선에 따라 절단하여 커버를 닫은 상태로 도시하는 확대단면도.
제23도는 제19도의 23-23선에 따라 절단하여 커버를 닫은 상태로 도시하는 확대단면도.
제24도는 제19도의 24-24선에 따라 절단하여 커버를 닫은 상태로 도시하는 단면도.
제25도는 버니티미러의 보디의 정면도.
제26도는 수터미널의 주요부의 확대사시도.
제27도는 수터미널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확대사시도.
제28도는 수터미널의 별도 변형예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확대사시도.
제29도는 제19도의 29-29선에 따라 절단하여 커버를 닫은 상태로 도시하는 확대단면도.
제30도는 제19도의 30-30선에 따라 절단하여 커버를 닫은 상태로 도시하는 확대단면도.
제31도는 미러계합부를 도시하는 확대사시도.
제32도는 미러계합부에 미러의 끝가장자리가 계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사시도.
제33도는 암터미널을 도시하는 확대사시도.
제34도는 제33도의 34-34선에 따르는 확대단면도.
제35도는 암터미널의 확대정면도.
제36도는 암터미널을 전개하여 도시하는 확대도.
제37도는 암터미널에 수터미널이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제38도는 커버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의 스위치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제39도는 커버가 폐색상태에 있을 때의 스위치부의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제40도는 커버가 폐색상태에 있을 때 커버를 이 폐색상태로 유지하는 수단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제41도는 커버가 개방상태에 있을 때 커버를 이 폐색상태로 유지하는 수단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제42도는 콘택트 세트 연속체를 도시하는 확대사시도.
제43도는 제2 실시예에 관한 버니티미러용 램프보디의 변형예를 예시하는 확대사시도.
제44도는 제43도의 44-44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45도는 제43도의 45-45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46도는 제47도 내지 제62도와 함께 본 발명의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지는 합성수지부품 및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지는 합성수지부품의 제조방법을 룸램프의 램프보디와, 그 제조방법에 적용한 제3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본 도면은 룸램프를 렌즈의 일부를 절결하여 예시하는 확대정면도.
제47도는 룸램프의 확대배면도.
제48도는 제47도의 48-48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49도는 제47도의 49-49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50도는 제47도의 50-50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51도는 전구유지부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
제52도는 렌즈하단부의 보디본체와의 계합부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
제53도는 렌즈 상단부의 보디본체와의 계합부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
제54도는 스위치 노브의 확대사시도.
제55도는 스위치의 접점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정면도.
제56도는 램프보디의 배면에 형성된 케넥터부를 도시하는 확대사시도.
제57도는 콘택트 세트 연속체를 도시하는 확대사시도.
제58도는 스위치 노브와 그 부착의 변형예를 예시하는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제59도는 스위치 노브와 그 부착의 별도 변형예를 예시하는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제60도는 스위치 노브와 그 부착의 또다른 별도 변형예를 예시하는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제61도는 스위치 노브와 그 부착의 또다른 별도 변형예를 예시하는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제62도는 스위치 노브와 그 부착의 또다른 별도 변형예를 예시하는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제63도는 스위치 노브와 그 부착의 또다른 별도 변형예를 예시하는 주요부의 확대단면도.
제64도는 제64도와 함께 종래의 버니티미러용 램프보디의 일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본 도면은 주요부의 사시도.
제65도는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램프보디(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
2, 193 : 보디본체(합성수지제본체) 3, 4, 5 : 콘택트(금속부품)
8, 82, 261 : 타발구멍 13 : 견입구멍(見入孔)
16 : 가압부 58 : 콘택트세트(금속부품세트)
59 : 브리지 63 : 한쪽의 금형
65 : 다른쪽의 금형 68, 69 : 가압핀
73, 73A, 259 : 램프보디(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
75, 76, 77 : 콘택트(금속부재) 75A, 76A, 77A : 콘택트(금속부재)
78, 79 : 보강편(금속부재) 176, 255 : 콘택트세트(금속부재세트)
210, 218, 226, 232 : 콘택트세트(금속부재)
258 : 연결대(브리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새로운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 및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제본체의 금속부재의 조립정밀도가 향상되는 동시에 금속부재간의 불필요한 접촉의 위험성이 없어지며, 또한 금속부재의 조립공정수의 생략이 가능하여 원가의 절감에 기여하는 새로운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 및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는 버니티미러에는 램프가 부설되어 있고, 이들 램프의 램프보디에 제64도 및 제6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이 있다.
a는 세로로 긴 틀형상을 한 램프보디이며, 도시하지 않은 미러보디의 미러부착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개구부에 부착된다.
램프보디(a)의 뒷면측에 전구유지금구(b,c)가 고정되고, 이 전구유지금구(b,c)의 전면측에 설치된 유지편(d,e)에 전구(f)가 유지된다.
g는 스위치이며, 이 스위치(g)로부터는 단자편(h)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구유지금구(b)에 설치된 접촉부(i)는 스위치(g)의 광체(j) 하부면에 노출된 도시하지 않은 단자와 접촉되어 있고, 스위치(g)의 조작자(k)가 가압되면 스위치(g)의 광체(j) 내에서 상기 접촉부(i)가 접촉되어 있는 상기 도시하지 않은 단자와 상기 단자편(h)이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구유지금구(c)에 형성된 단자편(1)과 스위치(g)의 단자편(h)이 상기 램프보디(a)에 형성된 구멍(m) 내에 돌출되고, 여기에 이 구명(m)과 2개의 단자편(h,1)에 의해 코넥터(n)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버니티미러가, 도시하지 않은 선바이저에 부착될 때에, 선바이저측으로부터 뻗은 와이어하니스의 선단에 설치된 코넥터가 상기 코넥터(n)에 접속되고, 전구(f)가 스위치(g)를 통하여 차체측의 전원부와 접속된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상기한 종래의 버니티미러용 램프보디(a)에 있어서는, 각각 별개로 형성된 전구유지금구(b,c)와 스위치(g)를 보디본체(a)에 각각 별도로 조립부착하지 않으면 안되고, 조립부착에 품이 들어 코스트 상승의 원인으로 된다.
또 각 전구유지금구(b,c) 및 스위치(g)를 하나하나 보디본체(a)에 조립부착하기 때문에 각 전구유지금구(b,c) 및 스위치(g) 간의 조립부착정밀도를 내기 어렵고, 경우에 따라서는 쇼트의 위험 등도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 및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의 제조방법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은 복수종류의 금속부재를 브리지를 통하여 일체화한 금속부재세트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한 합성수지제본체에 복수의 타발구멍이 형성되어, 이 타발구멍에서 상기 브리지가 절단되어 상기 복수의 금속부재가 독립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지는 합성수지부품의 제조방법은 복수종류의 금속부재를 브리지를 통하여 일체화된 금속부재세트를 합성수지제본체성형용 금형내에 인서트하여, 이 합성수지제본체성형용 금형내에 합성수지제본체용 수지를 사출하여, 합성수지제본체와 금속부재세트가 일체화된 합성수지부품 중간체를 성형한 후, 상기 브리지를 절단하여 상기 복수의 금속부재를 독립시켜서,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지는 합성수지부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작용]
따라서 본 발명의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에 있어서는, 조립되는 복수종류의 금속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인서트 성형에 의해 합성수지제본체에 일체로 성형한 것이기 때문에, 복수종류의 금속부재를 각각 별도로 합성수지제본체에 조립하는 수고가 들지 않고 생략화할 수 있고, 원가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 각 금속부재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조립되므로, 각 금속부재간의 조립정밀도가 향상되고, 그 위에 각 금속부재의 불필요부분은 수지에 의해 덮혀 있기 때문에, 금속부재끼리 불필요하게 접촉되는 위험은 없다.
또 본발명의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복수종류의 금속부재세트가 브리지로 일체화된 금속부재세트를 합성수지제본체성형용 금형내에 인서트하여 합성수지제본체의 성형을 행하고 합성수지부품 중간체를 형성하며, 그리고 브리지를 타발하여 각 금속부재를 전기적으로 독립시켜서, 일체화된 금속부재를 가지는 합성수지부품을 제조하는 것이므로, 극히 능률이 양호하며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지는 합성수지부품의 제조를 행할 수 있고,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각 금속부재간의 조립부착정밀도가 향상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지는 합성수지부품 및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의 제조방법의 상세를 도시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17도는 본 발명을 버니티미러용의 램프보디와 그 제조방법에 적용한 제1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관한 버니티미러용 램프보디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후에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중 1은 버니티미러용 램프보디이며, 합성수지제의 보디본체(2)와 이 보디본체(2)에 소위 인서트 성형에 의해 편입된 3개의 콘택트(3,4 및 5)로 이루어진다.
보디본체(2)는 합성수지, 예컨대, ABS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앞면이 개구되고, 정면에서 보아 대략 세로로 긴 장방형을 한, 안깊이가 얕은 편평한 상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본체(2)의 안쪽 바닥면의 상하 양단부에는 약간 전방에 돌출한 스탠드부(6,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스탠드부(6,6')의 대략 중앙부에는 삽통구멍(7,7')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측부의 스탠드부(6)의 좌측단쪽 위치에, 상하로 병렬인 2개, 또는 삽통구멍(7)의 하단부의 양측에 근접하여 각각 1개, 합계 4개의 타발구멍(8)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보디본체(2)의 상부면중 좌측단과 중앙보다 약간 우측위치로부터 돌기(9,10)가 윗쪽으로 향하여 돌출설치되어 있다.
좌측돌기(9)의 우측면 상단에는 L자 형상의 절결(切決)(11)이 형성되고, 우측돌기(10)의 상단부는 L자형상으로 굴곡되어 하향의 충돌면(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9)의 기초부로부터 주벽부의 상단에 걸쳐서 견입구멍(13)이 형성이 되어 있다.
14,14는 측면벽(15,15)의 내면의 상하방향에 있어서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뻗도록 돌출 설치된 위치결정 리브이며, 그 내면의 전단부(14a,14a)는 앞끝으로 감에 따라서 측면벽(15,15) 측으로 변위하도록 경사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16은 좌측의 측면벽(15)의 내면중 상기 위치리브(14)보다 약간 윗쪽의 위치의 후단부에서 우측으로 돌출설치된 설편상(舌片狀)의 가압부이다.
17은 상기 가압부(16)의 약간 위쪽의 위치에서 배면판(18)에 형성된 위치결정 구멍이다.
배면판(18)중의 상기 스탠드부(6,6')를 제외한부분, 즉 중앙부분(19)에 대응한 부분의 배면에는 복수의 작은구멍(20,20,...)이 형성되어 있다.
21은 보호판이며, 돌기(9,10)사이의 배면측을 그의 추윽단부를 남겨서 덮도록 보디본체(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3,4,5)는 도전성 및 탄성을 가진 금속재료, 예컨대 스테인레스강(예를 들면, SUS304)으로 형성되나, 도전율이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황동, 인청동등으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콘택트(3)는 마우스피스홀더(22)와 단자편(23)과 이들 22,23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접속부(24)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이루어진다. 마우스피스홀더(22)는 베이스부(25)와 이 베이스부(25)의 상하 양가장자리로부터 앞쪽으로 향하여 세워진 협지편(26,26)으로 이루어지며, 협지편(26,26)의 선단쪽 위치에는 서로 근접되도록 만곡된 네킹부(27,27)가 형성되어 있다.
또, 베이스부(25)의 우측단 가장자리에는 매립편(25a)이 돌출설치되어, 이 매립편(25a)은 경사진 뒷쪽으로 향하도록 굴곡되어 있다.
그리고 협지편(26,26)의 선단간의 간격은 베이스(25)의 상하폭 미만으로 되고, 다시 협지편(26,26)의 베이스부(25)로부터의 상승부(26',26')는 직각은 아니며, 만곡이 붙은 소위 R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3)의 접속부(24)는 거의 상하방향으로 띠모양으로 뻗어, 그중간부에 단차(24a)가 형성되어서, 이 단차(24a)를 경계로하여 상반부(24b)와 하반부(24c)로 나누어져서, 상반부(24b)가 하반부(24c)보다 약간 앞쪽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반부(24b)는 보디본체(2)의 상측스탠드부(6)의 좌측단부 및 좌측측면벽(15)의 전단부에 매립된 상태로 위치하고 있다. 하반부(24c)는 그의 대략중간의 부분의 우측가장자리가 우측으로 돌출하여 폭넓게 형성이 되어, 이 부분의 우측가까이의 위치에 위치결정구멍(28)이 형성이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하반부(24c)는 그의 거의 좌측의 잘반부분이 보디본체(2) 좌측측면벽(15)의 후단측의 부분에 매설이 되어 있으며, 그나머지의 부분 및 마우스피스홀더(22)는 보디본체(2)의 안쪽바닥면의 중앙부분(19)의 좌측단부에 형성된 얕은 오목부(29)내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홀더(22)의 베이스부(25)에 형성된 매립편(25a)은 보디본체(2)의 배면판(18)에 매립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부(24)의 하반부(24c)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28)은 보디본체(2)의 배면판(18)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17)과 일치되어 있다.
또 접속부(24)의 하반부(24c)의 하단가까이의 부분의 앞측에는 보디본체(2)의 좌측측면벽(15)에서 돌출한 가압부(16)가 접속상태로 위치되어 이것에 의하여접속부(24)의 그 부분의 앞쪽으로의 부상(浮上)이 방지된다.
단자편(23)은 그 면이 상하에 향하는 방향으로 보디본체(2)의 상기 좌측의 돌기(9)의 절결(11) 우측을 향한 면으로부터 우측으로 향하여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우측단은 상기 우측의 돌기(10)의 상단부의 좌측면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다.
또한 단자편(23)은 그 기단부(23a)와 선단부(23b)에 비교하여 중간부(23c)가 폭이 가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24)의 상단부 즉, 단자부(23)에 근접된 부분에는 오목형상으로 곡절된 곡절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단자편(23)의 위치는 약간 아래쪽으로 변위되게 된다.
콘택트(4)는 접속구멍(31)이 형성된 메인부(32)와 단자편(33)이 접속부(34)에 의해 일체로 연설되어 이루어진다. 접속구멍(31)의 개구가장자리중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위치로부터는 계합돌기(31a,31a)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부(34)는 정면에서 보아 L자형상을 2개 연속시킨 크랭크형상을 하고 있어서 메인부(32)의 좌측단의 상단과 단자편(33)의 좌측단과의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또 단자편(33)은 그 기단부에서 접속부(34)에 대하여 윗쪽에 절곡되어 그 면이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또 단자편(33)의 선단부에는 윗쪽으로 타발된 돌기(33a)가 형성이 되어 있다.
이 콘택트(4)는 그 메인부(32)가 보디본체(2)의 윗쪽의 스탠드부(6)에 접속구멍(31)의 주변부를 제외하여 매설되고, 접속구멍(31)은 삽통구멍(7)의 앞쪽에 위치된다.
또한 접속구멍(31)의 구경은 삽통구멍(7)의 구경보다 약간작게 되어 있다.
방향에서 보아 접속구멍(31)의 개구가장자리는 삽통구멍(7)의 개구가장자리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접속부(34)는 윗쪽의 스탠드부(6)에 매설되어 있고, 단자편(33)은 보디본체(2)의 좌측돌기(9)의 절결(11) 바로밑위치로부터 우측으로 향하여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콘택트(3)의 단자편(23)과 그 아래쪽에 평행하게 대향하고, 여기에 스위치의 개폐접점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콘택트(3,4)의 각각의 단자편(23,23)에 의해 스위치의 개폐접점부를 구성함으로써, 종래예로 볼 수 있는 별체의 스위치 부품(g)을 생략할 수 있고, 이러한 스위치 부품의 조립부착공정수가 생략되며, 또,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들 단자편(23,23)의 배면측에는 보호판(21)이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램프보디(1)를 후술하는 버니티미러에 조립할때에, 단자편(23,23)이 버니티미러에 직접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가 있고, 단자편(23,33)의 변형이나 손상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 단자편(33)의 선단부(33b)는 보디본체(2)의 우측돌기(10)의 충돌면(12) 하부측에 위치해 있고, 충돌면(2)보다는 윗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단자편(33)이 단자편(23)에 너무 근접하여 쇼트되지 않도록 양자(33,23)사이에 소정의 클리어런스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4)의 접속부(34)의 상단부의 좌측가장자리부근의 부분과 콘택트(3)의 접속부(24)의 상단부의 우측가장자리부근의 부분이 보디본체(2)의 상기 견입구멍(13)에서 노출되어 있다.
콘택트(5)는 메인부(35)와, 그 메인부(35)의 우측가장자리의 대략중앙부에서 우측으로 돌출설치된 마우스피스홀더(36)와 메인부(35)의 밑가장자리에 연이어 설치되어 그 중앙부에 접속구멍(37)을 가지는 접속편부(38)가 일체로 형성되어 진다.
접속편부(38)와 메인부(35)는 연설부(39)를 통하여 연설되어 있고, 이 연설부(39)는 상하로 뻗어있으며, 또한 도중에 전후에 뻗는 단부(段部,39a)가 형성되어 이것에 의해 접속편부(38)는 메인부(35)보다 약간 뒤쪽에 위치되어 있다.
메인부(35)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그자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의 하단부의 좌우 양측가장자리 및 상단부의 하반부의 좌우양끝가장자리의 4개소에는 각각 매립편(35a,35a,...)이 돌출설치되어, 이들 매립편(35a,35a,...)이 경사진 뒷쪽으로 향하도록 굴곡이 되어 있다.
마우스피스홀더(36)는 베이스부(40)와 이 베이스부(40)의 상하 양가장자리로부터 앞쪽으로 향하여 세워진 협지편(41,41)으로 이루어지며, 협지편(41,41)의 선단쪽 위치에는 서로 접근하도록 만곡된 네킹부(42,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협지편(41,41)의 선단간의 간격은 베이스부(40)의 상하폭 미만으로 되고, 다시 협지편(41,41)의 베이스부(40)로부터의 상승부(41',41')는 직각은 아니고, 만곡이 붙은 소위 R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속편부(38)의 접속구멍(37)의 개구가장자리중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위치로부터는 계합돌기(37a,37a)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콘택트는(5)는 그 메인부(35) 및 마우스피스홀더(36)가 보디본체(2)의 안쪽바닥면에 형성된 얕은 오목부(43)내에 위치하고, 접속편부(38)가 보디본체(2)의 하부측의 스탠드부(6')에 접속구멍(37)의 주변부를 제외하고 매설되고, 접속구멍(37)은 삽통구멍(7')의 앞쪽에 위치된다. 또한 접속구멍(37)의 구경은 삽통구멍(7')의 구경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어서, 전후방향에서 보아 접속구멍(37)의 개구가장자리는 삽통구멍(7')의 개구가장자리 안쪽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홀더(36)의 우측단부의 중앙부는 우측의 위치결정리브(14)의 후단면에 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메인부(35)에 형성된 4개의 매립편(35a,35a,...)은 보디본체(2)의 배면판(18)내에 매설이된 형상으로 위치된다.
그리고 보디본체(2)의 상기 작은 구멍(20,20,...)의 안쪽에는 콘택트(3)의 접속부(24) 및 마우스피스홀더(22)의 베이스부(25), 콘택트(5)의 메인부(35) 및 마우스피스홀더(36)의 베이스부(40)가 위치되어 있다.
44는 버니티미러이며, 45는 그 보디, 46은 보디(45)에 부착된 미러, 47은 미러(46)의 옆에 형성된 오목부이다.
그리고, 상기한 버니티미러용 램프보디(1)는 상기 오목부(47)내에 끼워맞춤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양단부에 마우스피스(48,48)를 가진 관구(管球)(49)는 그 마우스피스(48,48)가 마우스피스홀더(2)의 협지편(26,26) 및 마우스피스홀더(36)의 협지편(41,41)에 의해 각각 별도로 협착유지되어서 램프보디(1) 내에 배치되며, 또한 이 램프보디(1)의 전면개구가 도시하지 않은 렌즈체에 의해 덮혀서 램프(5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리브(14,14)의 서로 대향하는 면사이의 간격은 상기 관구(49)의 길이와 같든가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관구(49)를 마우스피스홀더(22,36)에 장착할때에, 관구(49)의 위치가 다소 좌우에 어긋나 있어도, 마우스피스(48)또는 48의 단부가 위치결정리브(14)또는 14의 경사면(14a) 또는 14a에 맞닿아서 이 맞닿은 경사면(14a)에 따라서 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바른 위치에 위치시킨다.
또, 이 위치결정리브(14,14)는 관구(49)의 불필요한 이동을 저지하여 쇼트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51는 미러(46) 및 램프(50)의 앞면을 개폐하기 위하여 보디(45)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커버이며, 이 커버(51)가 개방되면, 이 커버(51)에 설치된 작용돌기(52)가 상기 콘택트(3)의 단자편(23)의 선단쪽의 위치를 윗쪽으로부터 가압하여 단자편(23)을 그 선단부(23b)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휘게하여 이것에 의해 단자편(23과 33)이 접촉하고, 상기 관구(49)에 전력이 공급되게 된다(제2도 참조).
또한 단자편은(23)은 기단부(23a) 및 선단부(23b)에 비교하여 중간부(23c)를 폭이 가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자편(23)이 상기 작용돌기(52)에 의해 휘어졌을 때에, 국부에의 응력의 집중을 피할 수 있고, 단자편(23)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단자편(33)의 선단부(33b)에는 단자편(23)쪽으로 돌출한 돌기(33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자편(23)이 단자편(33)측에 휘어졌을 때에, 단자편(23,33)의 선단부끼리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고, 성형시의 편차 등에 의한 접촉불량을 회피할 수 있다.
53은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는 선바이저이며, 이 선바이저(53)에 형성된 오목부(54)내에 상기 버니터미러(44)가 매립형상으로 부착된다.
그리고 선바이저(53)의 오목부(54) 내에는 자동차 전원의 각각 별도의 단자와 각각 별도로 접속된 도전성을 가진 구조부재(55,56)가 배치되어 있고, 앞쪽으로부터 접속구멍(31) 및 삽통구멍(7)을 삽통된 나사(57)가 구조부재(55)에 나사맞춤되고, 또, 동일하게 앞쪽으로부터 접속구멍(37) 및 삽통구멍(7')을 삽통된 나사(57')가 구조부재(56)에 나사맞춤된다. 나사(57,57')는 도전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콘택트(4)는 나사(57)를 통하여 구조부재(5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 콘택트(5)는 나사(57')를 통하여 구조부재(56)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편(33과23)이 접촉하면, 전원-구조부재(55)-콘택트(4)-콘택트(3)-관구(49)의 한쪽의 마우스피스(48)-관구(49)의 다른쪽의 마우스피스(48)-콘택트(5)-구조부재(56)-전원이라고 하는 폐회로가 구성되어, 관구(49)가 점등된다.
또한 상기 접속구멍(31,37)에 형성된 계합돌기(31a,31a,37a,37a)는 나사(57,57')홈에 파고들어 콘택트(4,5)와 나사(57,57')와의 접촉을 확실히 하고, 또, 보디본체(2)의 삽통구멍(7,7')의 구경을 접속구멍(31,37)의 구경보다 큰 직경으로 하고 있으므로, 보디본체(2)의 형성시에 삽통구멍(7,7')의 개구가장자리에 만일 버(Burr)가 생기는 일이 있어도, 나사(57,57')가 접속구멍(31,37)의 개구가장자리와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버니티미러용 램프보디(1)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콘택트(3,4,5)를 브리지를 통하여 일체화한 콘택트 세트를 형성한다.
58은 콘택트세트이며, 콘택트(3,4,5)는 브리지(59,59,...)를 통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콘택트(3)의 접속부(24)의 상단가까이의 부분의 우측가장자리의 상하에 이간한 2개의 위치와 콘택트(4)의 메인부(32)의 좌측가장자리의 하단 및 상단가까이의 2개의 위치와의 사이가 브리지(59,59)에 의해서 각각 별도로 연결되어, 또 콘택트(4)의 메인부(32)의 밑가장자리의 우측단과 좌측단 가까이의 2개의 위치와 콘택트(5)의 메인부(35)의 위쪽 가장자리의 좌우상단의 2개의 위치와의 사이를 브리지(59,59)에 의해 각각 별도로 연결하여, 이것에 의하여 각 콘택트(3,4,5)가 일체화된 콘택트세트(58)가 형성된다.
60은 콘택트세트(58)의 재료이며, 예를 들면, SUS, 황동, 인청동 등의 박판이며, 그 두께는 0.25mm 전후의 것이 사용된다.
이 재료(60)을 타발성형하여 콘택트 세트의 각 콘택트(3,4,5)로 되는 원형체(3',4',5')로 이루어지는 원형 콘택트 세트(61)를 형성한다.
이어서 이상과 같은 원형콘택트세트(60)의 원형체(3',4',5')에 밴딩가공을 시행하여 3개의 콘택트(3,4,5)가 일체화된 콘택트세트(58)를 형성한다.
즉, 콘택트 원형체(3')에 관해서는 마우스피스홀더 상당부(22')를 절곡하여 마우스피스홀더(22)를 형성하고, 단자편 상당부(23')의 기초부를 윗쪽에 절곡하여 단자편(23)을 형성하고, 또 접속부 상당부(24')의 단자편 상당부(23') 측부분에 곡절부(30)를 설치하여 접속부(24)를 형성한다. 더욱 매립편(25a)을 벤딩형성한다.
또 콘택트 원형체(4')에 관해서는, 단자편 상당부(33')의 기초부를 윗쪽에 절곡하여 단자편(33)을 형성한다.
또한 단자편(23과 33)은 보디본체(2)에 편입된 상태로 서로의 평면이 대향하고 또한 근접하여 위치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원형 콘택트 세트(60)를 형성한 단계에서는 단자편 상당부(33')는 단자편 상당부(23')와의 이간방향에 있는 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자를 너무 근접시킬 수는 없다.
따라서 이들 23' 및 33'을 각각의 기초부에서 절곡했을 때에, 그대로는 단자편(23,33)끼리가 너무 이간되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을 때, 접속부(24)에 곡절부(30)를 형성하여 단자편(23,33)간의 클리어런스를 적절한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콘택트 원형체(5')에 관해서는, 마우스피스홀더 상당부(36')를 절곡하여 마우스피스홀더(36)를 형성하고, 연설부 상당부(39')를 마우스피스홀더 상당부(36')측끝과 접속편 상당부(38')측끝에서 각각 절곡하여 마우스피스홀더 상당부(36')와 접속편 상당부(38')와의 사이에 단차를 부여한다.
상기한 콘택트세트(58)를 보디본체성형용 금형을 갖추 성형기의 보디본체 성형용 금형내에 위치하도록 인서트하여, 그 보디본체 성형용 금형내에 보디본체용수지를 사출하여, 수지제의 보디본체(2)와 콘택트세트(58)가 일체화된 램프보디 중간체를 형성한다.
또한 62,62,...는 가압핀이며, 한쪽의 금형(63)에 형성된 삽통구멍(64,64,...)이 삽통되어서, 케비티(66)내에 돌출되어, 그리고 콘택트(3)의 접속부(24)의 거의 중간의 부분의 뒷면 및 마우스피스홀더(22)의 베이스부(25)의 중앙부의 뒷면, 콘택트(5)의 메인부(35)의 상당부의 좌우양단부의 뒷면, 하단부의 좌우양단부의 뒷면, 대략 중앙부의 우측가장자리의 뒷면 및 마우스피스홀더(36)의 베이스부(40)의 중앙부의 뒷면을 가압하여, 이들의 표면을 다른쪽의 금형(65)의 캐비티면에 가압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콘택트(3)의 접속부(24) 및 마우스피스홀더(22)의 베이스부(25)의 표면, 콘택트(5)의 메인부(35) 및 마우스피스홀더(36)의 베이스부(40)의 표면은 다른쪽의 금형(65)의 캐비티면에 가압되어, 이들부분(24,25,35,40) 표면측에 보디본체(2)용의 수지가 돌아들어가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고, 이들부분(24,25,35,40)이 보디(1)의 안쪽바닥면에 노출되어서 반사면으로서의 기능을 다 할 수 있다. 또 이들부분(24,25,35,40)이 보디(1)의 안쪽바닥면에 노출됨으로써 점등시의 관구(49)의 열의 보디본체(2)에의 복사(輻射)가 차단되어 램프보디(1)의 내열성이 향상된다.
또, 콘택트(3과5)가 다른쪽의 금형(65)의 캐비티면에 확실하게 가압됨으로써, 이들 콘택트(3과5)의 위치가 안정하여, 성형시의 사출압에 의하여 콘택트(3,5)의 위치가 이동하여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 이들 콘택트(3,5)에 형성된 매립편(25a,35a,35a,...)은 보디본체(2)의 배면판(18)내에 매립형상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관구(49)의 교환을 행할때에 낡은 관구(49)를 벗길때, 마우스피스홀더(22나36)에 그의 베이스부(25,40)를 배면판(18)에서 벗기는 힘이 작용하나, 상기 매립편(25a,35a,35a,...)의 배면판(18)에의 매립에 의하여 마우스피스홀더(22나36)의 베이스부(25,40)가 배면판(18)에서 벗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콘택트(3)의 접속부(24)의 일부를 앞쪽에서 덮고 있는 가압부(16)도 이와 같이 벗겨짐을 방지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성형시에 이들 가압핀(62,62,...)이 캐비티(66)내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은, 성형후는 보디본체(2)에 작은구멍(20,20,...)으로서 남는 것이 된다.
67은 다른쪽의 금형(65)에서 돌출설치된 위치결정핀이며, 콘택트(3)의 위치결정구멍(28)에 삽통되어 캐비티(66)의 도중에서 끝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콘택트(3)의 위치가 안정하여 성형시의 사출압에 의하여 콘택트(3)의 위치가 이동하여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성형시에 이 위치결정핀(67)이 캐비티(66)내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은, 성형후는 보디본체(2)에 위치결정구멍(17)으로서 남는 것이 된다.
68은 한쪽의 금형(63)에서 돌출설치된 가압핀, 69는 다른쪽의 금형(65)의 상기 가압핀(68)에 대응한 위치에서 돌출설치된 가압핀이다.
2개의 금형(63,65)이 형죄임되면, 상기 가압핀(68,69)의 선단간에서 콘택트(3)의 접속부(24)의 상단가까이의 부분과 그 부분에 근접한 콘택트(4)의 접속부(34)의 상단부를 끼워서 성형시의 사출압에 의하여 이들 부분이 이동하여 접촉하여 버리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접촉하지 않아도 이들부분이 소정의 위치에서 이동하여 버리면, 단자편(23과33)과의 사이의 위치관계가 어긋나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가압핀(68,69)에 의한 유지에 의하여 이와 같은 문제의 발생도 방지된다.
또, 성형시에 이들 가압핀(68,69)이 캐비티(66)내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은, 성형후는 보디본체(2)에 견입구멍(13)으로서 남는 것이 된다. 그리고 성형후에, 이 견입구멍(13)을 통하여 콘택트(3,4)의 접속부(24,34)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콘택트(4)의 단자편(33)의 선단부(33b)는 보디본체(2)의 충돌면(12)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위치하도록 성형이 행해진다. 따라서 성형종료시에는 이 선단부(33b)는 충돌면(12)에 붙은 상태로 되어 있으나, 램프보디(1)가 버니티미러(44)에 편입되어서, 또한 한번 커버(51)의 작용돌기(52)에 의해 단자편(23)을 통하여 단자편(33)이 휘여지면, 이때에 이 단자편(33)의 선단부(33b)는 충돌면(12)으로부터 박리되게 된다.
캐비티(66)내에의 사출이 완료하여 이형(離型)이 행해질 때, 마우스피스홀더(22,36)의 협지편(26,26)의 선단간 및 협지편(41,41) 선단간의 간격이 베이스부(25,40)의 상하폭 미만으로 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 코어를 사용함이 없이 이형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즉 다른쪽의 금형(65)에 마우스피스홀더(22,36)가 위치하는 여유 오목부(70,70)(한쪽의 것만을 제8도에 도시.)를 형성해두면, 마우스피스홀더(22,36)의 협지편(26,26 및 41,41)은 이 여유 오목부(70,70)의 내면에 걸리는 일이 없고, 이 여유 오목부(70,70)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또 마우스피스홀더(22,36)에 있어서, 그 협지편(26,26,41,41)의 베이스부(25,40)로부터의 상승부(26',26',40',40')는 직각은 아니며, 만곡이 붙은 소위 R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성형성이 향상된다. 즉, 이 부분(25',25',40',40')이 직각으로 되어 있으면, 사출성형 등의 작업이나 전구의 척탈에 의해 이들 부분에 균열이 발생되기 쉬우나, 이들 부분을 R면상으로 함으로써 균열을 회피하여 성형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보디본체(2)의 성형후, 타발구멍(8,8,...)을 타발하여 형성하여 램프보디(1)가 형성된다. 이들 타발구멍(8,8,...)의 형성에 의하여 콘택트(3,4,5)를 연결하여 있는 브리지(59,59,...)가 그 타발구멍(8,8,...)의 개소에서 절단되어 각 콘택트(3,4,5)가 전기적으로 독립한 것이 된다.
상기한 버니티미러용 램프보디 및 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보디본체(2)에 조립되는 콘택트(3,4,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인서트 성형에 의해 보디본체(2)에 일체로 조립됨으로, 각 콘택트(3,4,5)의 보디본체(2)에의 조립정밀도가 향상되어, 또 각 콘택트(3,4,5)의 불필요부분은 보디본체(2)의 수지에 의하여 덮어지기 때문에 쇼트의 위험이 감소된다. 그리고, 조립의 수고가 생략되어 조립경비가 경감이 된다.
제18도 내지 제42도는 본 발명의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 및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의 제조방법의 제2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이 제2 실시예도 본 발명을 버니티미러의 램프보디 및 그 제조방법에 적용한 것이다.
73이 버니티미러용 램프보디이며, 합성수지제의 보디본체(74)와 이 보디본체(74)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3개의 콘택트(75,76,77) 및 2개의 보강편(78,79)으로 이루어진다.
보디본체(74)는 합성수지, 예컨대, ABS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앞면이 개구하여 정면에서 보아 대략 세로로 긴 장방형을 한 안길이가 얕은 편평한 상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본체(74)의 내부바닥면의 상하 양단부에는 약간 앞쪽에 돌출된 스탠드부(80,80')가 형성되어있고, 이 스탠드부(80.80')의 대략 중앙부에는 삽통구(81,81')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부측의 스탠드부(80)의 삽통구멍(81)과 좌우양단과의 사이 및 하부측 스탠드부(80')의 삽통구멍(81')과 우측단과의 사이에는 타발구멍(82,82,82)이 형성되어 있다.
스탠드부(80,80')와의 사이의 부분은 오목부(83)로 되어 있고, 이 오목부(83)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의 대략 ⅓ 부분(83a)이 가장 낮은 평탄면으로 되어 있고, 이 평탄면(83a)의 상하에 연결되는 부분(83b,83b')이 이 평탄면(83a)으로부터 상기 스탠드부(80,80')에 걸쳐서 서서히 앞쪽에 변위해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보디본체(74) 측면의 상하쪽 위치의 4개소, 즉, 상기 스탠드부(80,80')의 양측부에 대응한 위치에 절결(84,8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결(84,84,...)은 그 측면 개구부에서는 앞끝은 측면벽(85)의 전단가장자리의 약간 바로앞에서 끝나고 있고, 뒷끝은 보디본체(74)의 뒷면까지 달하고 있다.
또 이들 절결(84,84,...)은 스탠드부(80,80')의 개소에서는 앞끝은 스탠드부(80,80')의 앞면에 달하고, 뒷끝은 보디본체(74)의 뒷면에 달하고 있다.
또한 보디본체(74)의 좌우 외측면의 상하 양단쪽 위치에는 전후 양끝에 달하는 오목조부(86,86,...)가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75)는 리플렉터부(87)와 이 리플렉터부(87)의 좌측가장자리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로부터 좌측에 돌출설치된 마우스피스홀더(88)와, 상기 리렉터부(87)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측에 뻗은 연결편(89,89')의 하단으로부터 좌우 또는 우측에 돌출된 수터미널(90,90')과 다시 반대 오목자형상을 하고 있고 폭이 가는 전후방향에 뻗는 연결편(93,93)에 의해 수터미널(90,90')의 기단부 하부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있는 보조부(94)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리플렉터부(87)는 앞면을 향한 횡장구형(橫長矩形)의 판형상을 항 중앙부(93)와, 이 중앙부(93)의 상하 양가장자리로부터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뻗어 중앙부(93)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전방에 변위하도록 경사된 경사부(94,94')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편(89,89')은 리플렉터(87)의 중앙부(93)의 좌우측가장자리로부터 뻗어있다.
마우스피스홀더(88)는 베이스부(95)와 이 베이스부(95)의 상하 양가장자리로부터 세워진 협지편(96,96)으로 이루어지며, 협지편(96,96)의 상단쪽의 위치에는 서로 근접하도록 만곡된 네킹부(97,97)가 형성되어 있다.
또 베이스부(95)의 반 리플렉터부(87)측의 끝가장자리로부터는 매설편(98)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수터미널(90과90')은 좌우대칭인 것을 제외하고 동일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한쪽에 대하여 설명하고, 다른쪽에 대해서는 한쪽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분에 부여한 부호와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수터미널(90)은 도전부(99)와 이 도전부(99)에 일체성형된 몰드부(100)로 이루어진다.
도전부(99)는 상기 연결편(89)에 연속된 횡장구형의 판형상부(99a)와 이 판형상부(99a)의 상하 양측가장자리로부터 앞쪽에 향하여 돌출된 측편부(99b,99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 판형상부(99a)의 선단부의 대략 중앙에는 작은 구멍(99c)이 형성되어 있다.
몰드부(100)는 상기 보디본체(74)의 재료수지와 같은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도전부(99)의 판형상부(99a)의 측편부(99b,99b)가 돌출설치된 측에 일체성형되고, 그 두께는 대략 측편부(99b,99b)의 폭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몰드부(100)에는 판형상부(99a)의 선단으로부터 더욱 돌출된 선단부(100a)가 설치되고, 이 선단부(100a)는 그 전후 및 상하 4면이 경사되어 선단에 감에 따라 상하폭 및 두께가 작게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몰드부(100)의 상기 작은 구멍(99c)에 대응한 위치에는 이 작은 구멍(99c)보다 약간 큰 직경의 작은 구멍(100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몰드부(100)는 콘택트(75)가 보디본체(74)에 인서트 성형될 때에 동시에 성형된다.
그리고 이 콘택트(75)는 상기 보디본체(74)에 소위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되고, 그 리플렉터부(87)는 보디본체(74)의 대략 중앙부의 앞면에 노출되고, 즉, 중앙부(93)는 보디본체(74)의 오목부(83)의 평탄면(83a)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앞면에 위치하며, 경사부(94,94')는 오목부(83)의 경사부(83b,83b')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앞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마우스피스홀더(88)는 오목부(83)의 평탄면(83a)의 좌단부에 위치하며, 매설편(98)은 그 선단부가 보디본체(74)의 좌측면벽(85)에 매설형상으로 위치된다. 그리고, 수터미널(90,90')은 보디본체(74)의 하부측의 절결(84,84)의 안쪽으로부터 돌출설치된 상태로 절결(84,84)내에 위치된다.
또한 연결편(89,89')은 보디본체(74)내에 매설된 상태로 된다.
또한 보디본체(74)의 앞면에는 얕은 오목부(101)가 형성되며, 이 얕은 홈부(101)내에 콘택트(75)의 리플렉터부(87) 및 마우스피스홀더(88)의 베이스부(95)가 위치된다.
콘택트(76)는 마우스피스홀더(102)와 단자편(103)이 이들 마우스피스홀더(102), 단자편(103) 사이를 접속하고 있는 접속편(104)이 일체로 형성되어서 이루어진다.
마우스피스홀더(102)는 베이스부(105)와 이 베이스부(105)의 상하 양가장자리로부터 세워진 협지편(106,106)으로 이루어지며, 협지편(106,106)의 상단쪽 위치에는 서로 근접하도록 만곡된 네킹부(107,107)가 형성되어 있다.
또 베이스부(105)의 좌측가장자리에는 매설편(108)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접속편(104)은 상하방향으로 뻗는 폭이가는 띠형상편으로 형성되고, 그 하단부가 마우스피스홀더(102)의 베이스부 우측가장자리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접속편(104)의 하단의 대략 ⅓ 부분(104a)은 아래쪽으로 감에 따라 후방으로 변위하는 경사부로 되어 있다.
단자편(103)은 좌우방향으로 뻗는 띠형상체로서 형성되어 폭방향이 전후방향에 따라, 그 우단부의 뒷가장자리가 상기 접속편(104)의 상부가장자리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콘텍트(76)는 그 마우스피스홀더(102)가 보디본체(74)의 평탄부(83a)의 우측단부 앞면에 위치되고, 그 베이스(105)가 평탄부(83a)의 우측단부에 형성된 얕은 오목부(109)내에 위치된다. 그리고 매설편(108)은 평탄부(83a)내에 매설되고, 접속편(104)은 우측면벽(85)내에 매설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단자편(103)은 보디본체(74)의 상부면의 우측단부로부터 윗쪽에 일체로 돌출설치된 돌기(110)의 상단쪽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또 보디본체(74)의 상부면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보다 약간 좌측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윗쪽으로 향하여 돌기(111)가 돌출설치되어 있고, 이 돌기(111)의 상단부는 우측에 크랭크 형상으로 돌출설치되어 있고, 아래쪽을 향한 2개의 단차면(112a,11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편(103)의 좌측단부는 윗쪽의 단차면(112a)에 탄성접촉하고 있다.
콘택트(77)는 정면에서보아 대략 오목자형상을 한 중앙편(113)과 이 중앙편(113)의 하부가장자리에 좌우로 간격을 두고 후방에 돌출한 접속편(114,114)의 후단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에 돌출한 수터미널(115,115')과 중앙편(113)의 우단부 상단에 연속된 정면으로부터 보아 역 L자형상을 한 접속편(116)을 통하여 연결된 단자편(117)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수터미널(115,115')은 상기 수터미널(90,90')과 동일하게 도전부(99)와 몰드부(100)로 형성된다.
또 단자편(117)은 좌우방향으로 뻗는 띠형상체로서 형성되고, 폭방향이 전후방향에 따라 그 우측단부의 뒷가장자리가 상기 접속편(116)의 상부가장자리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콘택트(77)는 그 수터미널(115,115')은 보디본체(74) 상부측의 절결(84,84) 안쪽으로부터 돌출설치된 상태로 절결(84,84)내에 위치되고, 단자편(117)은 상기 돌기(110)의 상기 단자편(103)이 돌출한 위치보다 약간 아래측 위치로부터 좌측에 향하여 돌출되고, 그 선단부는 좌측의 돌기(111)의 하부측 단차면(112b)에 탄성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콘택트(77)의 그외의 부분은 보디본체(74)내에 매설된 상태로 되어 있다.
보강편(78,79)은 각각 원판형상을 하고 있고, 그 중앙부에 삽통구멍(118,11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편(78)은 보디본체(74)의 상부측 스탠드부(80)의 대략 중앙부에 매설되고, 중앙쪽부분이 이 스탠드부(80)에 형성된 삽통구멍(81)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또, 보강편(79)은 보디본체(74)의 하부측의 스탠드부(80')의 대략 중앙부에 매설되고, 중앙쪽 부분이 이 스탠드부(80')에 형성된 삽통구멍(81')으로부터 노출되고 있다.
119는 버니티미러, 120은 그 보디이며, 보디(120)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정면에서 보아 옆이 긴 장방형을 하고 있다.
보디(120)의 좌측단부에는 세로로 긴 장방형을 한 램프배치용 오목부(121)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21)에서 우측부분에는 그 대부분을 점하는 옆으로 긴 장방형을 한 미러배치용 개구(122)가 형성되어 있다.
미러배치용 개구(122)의 앞끝에는 안쪽에 돌출된 누름가장자리(123)가 형성되고, 또 하부측 내측면의 좌우 양단쪽 위치에는 누름돌기(124,124)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누름돌기(124,124)는 상기 누름가장자리(123)와의 사이에 후술하는 미러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을 가진다.
또 미러배치용 개구(122)의 윗쪽 내측면의 좌우 양단쪽 위치에는 미러계합부(125,1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미러계합부(125)는 대략 오목자형상을 하고 있고 그 양단부가 개구(122)의 윗쪽 내측면에 연결된 얇은 스프링부(126)와, 이 얇은 스프링부(126)의 하부면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서 아래쪽으로 향하여 돌출설치된 계합돌기(127)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며, 이 계합돌기(127)의 하부면(127a)은 전방으로 감에따라 윗쪽으로 변위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128은 미러이며, 상기 미러배치용 개구(122)보다 한바퀴 작은 옆으로 긴 장방형을 하고 있다. 또, 이 미러(128)의 두께는 상기 미러계합부(125)의 얇은 스프링부(126)의 앞끝과 누름가장자리(123) 후면과의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되어 있다.
그래서 미러(128)는 보디(120)의 뒷쪽에서, 그 아래가장자리가 약간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시킨 상태로 하연부를 눌러 돌기(124,124)와 누름가장자리(123)와의 사이에 삽입하고, 얇은 스프링부(126,126)의 중앙부를 윗쪽으로 휘여지게 해두고 미러(128)의 상연부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노름가장자리(123)의 후면에 맞닿게 한다. 그리고 상기 얇은 스프링부(126,126)를 휘게하고 있던 힘을 해제하면, 이 얇은 스프링부(126,126)가 원상태로 복귀하려고 하여 계합돌기(127,127)의 아래면(127a,127a)이 미러(128)의 상부가장자리에 탄성접촉된다. 그리고 이 계합돌기(127,127)의 아래면(127a,127a)은 전방으로 감에따라 윗쪽으로 변위하도록 경사되어 있으므로, 상기 탄성접촉에 의해 미러(128)의 상부 가장자리는 전방에의 이동력이 가압되고, 이것에 의해 미러(128)주연부의 앞면은 누름가장자리(123) 후면에 탄성접촉된 상태로 보디(120)에 부착되게 된다.
램프배치용 오목부(121)는 후면과 4주를 벽으로 싸고 있고, 전방에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버니티미러용 램프보디(73)는 램프배치용 오목부(121)내에 장착된다.
램프배치용 오목부(121)의 윗면벽 좌단부를 제외한 부분에는 좌우로 긴 삽통구멍(129)이 형성되고, 이 삽통구멍(129)에 램프보디(73)의 상단부에 설치된 돌기(110 및 111)가 삽통되고, 이들 돌기(110 및 111)가 오목부(121)의 윗쪽으로 돌출된다. 또 램프배치용 오목부(121)의 하부면벽에는 계합클릭편(130,13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계합클릭편(130,130)이 상기 램프보디(73)의 보디본체(74)의 하부면벽에 형성된 계합절결(131,131)에 계합되고, 이것에 의해 램프보디(73)는 램프배치용 오목부(121)내에 유지된다.
132, 132는 램프배치용 오목부(121)의 우측면벽의 램프보디(73)의 우측의 절결(84,84)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임하게한 구성이며, 이 임하게한 구멍(132,132)에서 램프보디(73)의 수터미널(90',115')이 외부에 임하도록 된다.
또한 램프배치용 오목부(121)가 보디(120) 우측에 형성되는 경우는, 이 램프배치용 오목부(121)의 좌측면벽에 임하게한 구멍(132,132)이 형성되고, 이 임하게한 구멍(132,132)으로부터 좌측의 수터미널(90,115)이 외부에 임하게 된다.
램프보디(73)에 좌측과 우측 2조의 수터미널(90,115) 및 (90',11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램프부가 버니티미러의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쪽으로 형성되는 경우라도 1종류의 램프보디(73)에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본 램프보디(73)에 있어서는 좌우 한쌍의 수터미널(90,115 및 90',115')을 보디본체(74)의 부착용 나사삽통구멍(81,81')이나 관구부착의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한 절결(84,84,...)내에 위치시키고 있으므로, 스페이스의 유효한 이용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이들 수터미널(90,90',115,115')이 보디본체(74)로부터 옆쪽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램프배치용 오목부(121)에의 조립부착이 용이하다.
또한, 한쌍의 수터미널 (90과 115 및 90'과 115')을 관구배치부의 상하로 나누어서 배치하고 있으므로, 대략 관구 두께의 범위내에서 배치할 수 있고, 박형화에 기여한다.
또 이와 같이 램프보디(73)를 버니티미러(119)의 보디(120)와 별도로 형성하고, 이 램프보디(73)를 램프배치용 오목부(121)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면, 램프보디(73)의 보디본체(74)의 재료수지색을 백색으로 함으로써, 램프부에 의한 조명을 보다 밝게 할 수 있고, 혹은 또, 이 재료수지를 보다 내열성이 높은 재료로 할 수 있다.
133, 133'는 버니티미러(119)가 장착되는 도시하지 않은 선바이저에 설치된 암터미널이며, 코드(134,134')에 의해 각각 별도로 전원부에 접속되어 있다.
암터미널(133,133')은 동일한 구조를 하고 있으므로, 그 한쪽(133)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다른쪽에 대해서는 한쪽(133)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부여한 부호와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암터미널(133)은 수입부(135)와 코드접속부(136)가 도전성 금속판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수입부(135)는 대략 각 통형상을 위하여 이 수입부(135)의 전면판이 코드접속부(136)와 연속되어 있다.
수입부(135)의 전면판의 선단가장자리로부터는 탄발접촉핀(137)이 코드접속부(136)측으로 향하여 되접어지고, 이 탄발접촉편(137)은 전후방향에서 보아 2갈래 형상을 이루며, 상하로 이간된 2개의 손가락형상편(137a,137a)의 자유단이 연결된(137b)에 의해 연결되고, 상하방향에서 보아 정상부가 평평한 산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입부(135)의 후면판에는 상기 탄발접촉편(137)의 손가락 형상편(137a,137a)에 대응한 위치에 이 손가락 형상편(137a,137a)측에 타출된 돌조부(138,138)가 형성되어 있다.
139는 수입부(135)의 전면판의 선단가장자리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손가락형상(137a,137a)사이에 위치하도록 후방에 되접어진 계합편이며, 전면판의 선단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후면판쪽으로 변위하도록 경사되고, 상기 탄발접촉편(137)의 정상부 부근에 위치한 자유단부에는 후면판쪽에 돌출한 계합클릭(140)이 타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입부(135)의 후면판의 상기 계합클릭(140)에 대응한 위치에는 삽통구멍(141)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암터미널(133,133')은 상기 임하게 한 구멍(132,132)으로부터 램프보디(73)의 절결(84,84)내에 삽입되고, 이것에 의해 그 수입부(135,135)내에 수터미널(90',115')이 수용된다. 수입부(135,135)내에 수용된 수터미널(90',115')은 후면판에 형성된 돌조부(138,138,...)와 손가락 형상편(137a,137a,...)와의 사이에 이들간의 간격을 확대하면서 계합편(139,139)의 계합클릭(140,140)이 몰드부(100,100)의 작은 구멍(100b,100b)에 계합될 때까지 삽입되어간다.
그리고 계합클릭(140,140)과 작은 구멍(100b,100b)과의 계합에 의해 수터미널(90',115')과 암터미널(133,133')과의 탈락이 방지되고, 암터미널(133,133')의 돌조부(138,138)가 수터미널(90',115')의 도전부(99,99)의 판형상부(99a,99a)와 탄발적으로 접촉된다.
또한 수입부(135,135)에 수터미널(90',115')을 삽입할 때, 수터미널(90',115')의 선단부(100a,100a)가 그 전후 및 상하 4면이 경사되어 선단에 따라 상하폭 및 두께가 작게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 삽입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이와 같이 수터미널(90',115')과 암터미널(133,133')이 결합되면, 계합클릭(140,140)과 작은 구멍(100b,100b)과의 계합에 의해 이들을 쉽게는 분리할 수 없으나, 상기 램프배치용 오목부(121)의 후면판에는 수터미널(90',115')의 도전부(99,99)의 작은 구멍(99c,99c)에 대응한 위치에 삽통구멍(142,142)이 형성되어 있고, 제3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삽통구멍(142)으로부터 선단이 가는 공구(143)를 삽입하여, 이 공구(143)를 암터미널(133)(또는 133')의 후면판에 형성된 삽통구멍(141), 수터미널(90')(또는 115')의 작은 구멍(99c,100b)에 순차적으로 삽통하고, 그 선단을 계합클릭(140)에 대며, 더욱 전방에 가압하여 이 계합클릭(140)을 작은 구멍(100b)으로부터 빠져나오게 하고, 이 상태에서 암터미널(133 또는 133')을 바깥쪽에 끄집어내면, 암터미널(133 또는 133')을 수터미널(90' 또는 115')로부터 쉽게 떼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터미널(90,90',115,115')을 도전부(99)와 몰드부(100)에 의해 형성한 것은, 암터미널(133,133')과의 접속을 행하는데 어느정도의 두께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즉, 콘택트(75) 등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재료의 판두께가 얇으므로, 그대로는 암터미널(133,133')과 접속하여도 충분한 접촉압을 얻을 수 없으므로, 몰드부(100)를 도전부(99)에 적층하는 것으로 필요한 판두께를 얻도록 한 것이다.
더구나, 이와 같은 몰드부(100)는 인서트 성형시에 동시에 성형할 수 있으므로, 하등원가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선단부(100a)에는 금속부분이 존재하고 있지 않으나, 이 선단부(100a)의 강도를 높여 그 절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전부(99)의 판형상부(99a)를 선단부(100a)에까지 연장하여 형성하도록 해도 좋은 것임은 물론이다.
또 도전부와 몰드부와의 2층 구조로 하는외에, 제27도에 도시한 수터미널(144)과 같이, 도전재료에 의해 판형상의 메인부(145)와 이 메인부(145)의 옆가장자리에 연속하여 메인부(145)의 대략 반분의 폭의 보조부(146,146)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 보조부(146,146)를 메인부(145)상에 겹치게 해도 무방하다.
147은 빠짐방지용의 계합구멍이다. 또한 제28도에 도시한 수터미널(148)과 같이, 도전재료로 이루어지는 메인부(149)의 암터미널(133 또는 133')에 삽입되었을 때에, 그 손가락 형상편(137a,137a) 및 돌조부(138,138)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150,150)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151은 빠짐방지용의 게합구멍이다.
램프배치용 오목부(121)의 후면적의 램프보디(73)의 삽통구멍(81,81')에 대응한 위치에는 삽통구멍(152,15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도시하지 않은 부착나사가 삽통구멍(81,81',118,118' 및 152,152')이 삽통되어 도시하지 않은 선바이저의 구조체에 나사맞춤되어 버니티미러(119)의 선바이저에의 부착의 한 수단으로 된다. 이와 같이 버니티미러(119)의 선바이저에의 부착용의 구멍을 콘택트(75,76,77)와는 독립된 금속판으로 형성함으로써, 부착나사의 체결시의 변화나 손상을 방지하고, 또 보디본체(74)의 재료수지부분에 삽통구멍을 형성하는 것보다 강도적으로 강하게 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하여 관구(42)가 그 마우스피스(41,41)가 마우스피스홀더(88)의 협지편(96,96) 및 마우스피스홀더(102)의 협지편(106,106)에 의해 각각 별도로 협착유지되어서 램프보디(73)내에 배치되고, 또한 이 램프보디(73)의 앞면 개구가 도시하지 않은 렌즈체에 의해 피복되어 램프(153)가 구성된다.
154, 154는 보디본체(74)의 측면벽(85,85)중 마우스피스홀더(88)의 협지편(96,96)간의 중앙에 대응한 위치 및 마우스피스홀더(102)의 협지편(106,106)간의 중앙에 대응한 위치에 각각 별도로 돌출된 밸브 스토퍼이며, 상기 관구(42)의 마우스피스(41,41)의 끝면에 접촉내지는 근접하여 위치해 있고, 관구(42)의 불필요한 이동을 저지하여 쇼트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155는 상기 보디(120)의 앞면을 피복하는 커버이며, 합성수지에 의해 대략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단이 보디(120)의 상단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커버(155)의 상단부의 좌우 양측 단부에는 피지지부(156,156)가 형성되고, 이 피지지부(156,156)에는 그것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삽통구멍(157,157)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피지지부(156,156)의 후면 상단부에는 후방에 돌출된 피작용돌기(158,15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지지부(156,156)의 안쪽, 즉 좌측 피지지부(156)의 우측 및 피지지부(156)의 좌측에 인접하여 오목부(159,159)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좌측 오목부(159)로부터 약간 우측에 떨어진 위치에 후방으로 향하여 돌출한 가압돌기(1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디(120)의 상단부의 좌우 양단에는 앞면에 개구된 오목부(161,16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161,161)를 끼운 좌우 양측의 위치에 좌우방향에 뻗는 부착구멍(162,1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161,161)의 후단벽은 그 하단부(163,163)를 제외하고 제거되고, 또 상부면벽의 후단부도 제거되어 있다.
또 보디(120)의 뒷면중 상기 오목부(161,161)의 후단부 하부면에 연속된 위치에는 상기 방향으로 뻗는 얕은 오목부(164,16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얕은 오목부(164,164)의 상단부 중앙에는 계합클릭(165,165)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커버(155)의 피지지부(156,156)는 보디(120)의 오목부(161,161)내에 위치되고, 그 삽통구멍(157,157)을 삽통한 지지핀(166,166)의 양단부가 오목부(161,161)의 양옆에 형성된 부착구멍(162,162,...)에 지지되어, 이것에 의해 커버(155)는 그 상단부의 좌우 양측부가 보디(120)의 상단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167, 167는 상태 유지 스프링이며, 판스프링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뻗는 띠판형상을 한 메인부(168,168)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에서 아래쪽으로 되접어진 작용부(169,169)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며, 메인부(168,168)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부분의 중앙부에는 계합구멍(170,17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의 유지 스프링(167,167)은 커버(155)가 부착되기 이전에, 그 메인부(168,168)가 오목부(161,161)의 후면벽 하단부(163,163)의 앞쪽을 통하여 얕은 오목부(164,164)내에 위치되고, 그 계합구멍(170,170)에 오목부(164,164)내의 계합클릭(165,165)이 계합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155)가 보디(120)에 지지되면, 커버(155)의 피작용돌기(158,158)가 앞쪽으로부터 상태 유지 스프링(167,167)의 작용부(169,169)에 탄성접촉된다. 따라서 상태유지 스프링(167,167)은 그 메인부(168,168)의 상단쪽 부분이 오목부(161,161)의 후면벽 하단부(163,163)의 앞면에 가압되고, 그로부터 하부측의 부분이 얕은 오목부(164,164)에 가압되며, 또한 그 계합구멍(170,170)이 얕은 오목부(164,164)의 계합클릭(165,165)과의 계합에 의해, 보디(120)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상태 유지 스프링(167,167)의 보디(120)에의 유지구조가 간단한 것으로 된다.
그리고 제40도는 커버(155)가 보디(120)의 앞면을 피복한 폐색상태를 도시한 것이나, 이 폐색상태로 커버(155)의 피작용돌기(158,158)는 회전지지점으로 되는 삽통구멍(156,156)의 바로 뒤로부터 윗쪽위치에서 상태 유지 스프링(167,167)의 작용부(169,169)와 탄성접촉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커버(155)에는 상기 폐색상태를 유지하는 방향, 즉 제40도에 있어서의 반시계회전방향에의 회전력이 가압되어, 폐색상태를 유지한다. 또 제41도는 커버(155)가 보디(120)의 앞면을 개방한 개방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이 개방상태로 커버(155)의 피작용돌기(158,158)는 회전지지점으로 되는 삽통구멍(156,156)의 바로 뒤로부터 아래쪽 위치에서 상태 유지 스프링(167,167)의 작용부(169,169)와 탄성접촉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커버(155)에는 상기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방향, 즉 제41도에 있어서의 시계회전방향에의 회전력이 가압되어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또 커버(155)의 폐색상태로 그 가압돌기(160)는 램프보디(73)의 단자편(103)의 윗쪽에 임하여 위치하고 있고, 커버(155)가 개방상태로 되면, 제3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가압돌기(160)가 단자편(103)을 가압하여 그것을 아래쪽으로 휘이게 하고, 단자편(103)의 선단부가 단자편(117)의 선단부와 접촉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원-한쪽의 암터미널(133)-수터미널(115')-접속편(114)-중앙편(113)-접속편(116)-단자편(117)-단자편(103)-접속편(104)-마우스피스홀더(102)-관구(42)-마우스피스홀더(88)-리플렉터부(87)-연결편(89')-수터미널(90')-다른쪽의 암터미널(133')-전원이라고 하는 회로가 형성되어, 관구(42)가 점등된다.
관구(42)가 점등되면, 그 빛은 전방에 출사되나, 관구(42)의 뒷쪽에 비교적 큰 리플렉터부(87)가 있으며, 이 리플렉터부(87)에 의해 관구(42)의 빛이 효과적으로 전방에 출사된다. 특히 이 리플렉터부(87)에는 경사부(94,9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윗쪽 또는 아래쪽에 가야할 빛이 효과적으로 전방에 반사된다.
그 외에 이 리플렉터부(87)는 관구(42)의 점등에 따라 발생하는 열로부터 보디본체(74)를 지키는 차열판으로서 기능하며, 더욱이 관구(42)의 빛이 보디본체(74)를 후방에 투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판으로서도 가능한다.
171, 171은 완충 스토퍼이며, 고무에 의해 형성되고, 만두형을 한 접촉부(172,172)와 이 접촉부(172,172)의 뒷면으로부터 후방에 돌출한 부착족부(足部)(173,173)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부착족부(173,173)는 뒷끝으로 갈수록 직경이 가늘게 되도록 형성되고, 이 부착족부(173,173)와 접촉부(172,172)와의 사이에는 고리형상의 홈(174,174)이 형성되어 있다.
175,175는 보디(120)의 하단부의 좌우 양쪽위치에 형성된 부착구멍이며, 이 부착구멍(175,175)에 상기 완충 스토퍼(171,171)의 부착족부(173,173)가 앞쪽으로부터 삽통된다. 부착족부(173,173)의 전단부는 상기 부착구멍(175,175)의 구멍직경보다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착족부(173,173)의 부착구멍(175,175)으로부터 뒷쪽에 빠져나온 후단부를 가지고 잡아당겨 그 전단부를 변형시키면서, 부착족부(173,173)를 그 앞끝까지 부착구멍(175,175)에 삽통시켜 홈(174,174)을 부착구멍(175,175)의 개구가장자리에 계합시킨다. 이와 같이하여 완충 스토퍼(171,171)가 보디(120)에 부착되므로, 부착족부(173,173)를 그 전단부를 제외하고 제거하여 후방에의 돌출량을 작게 한다.
그리하여 커버(155)를 닫을 때, 커버(155)의 회전이 있는 위치를 지나면, 상태유지 스프링(167,167)에 의해 커버(155)에 폐색위치에 향한 회전력이 가압되므로, 커버(155)가 보디(120)에 힘차게 충돌하여 이상음(異常音)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으나, 상기 버니티미러(119)에 있어서는 커버(155)의 하단부가 완충 스토퍼(171,171)의 접촉부(172,172)에 접촉하여 완충되므로 이상음의 발생이 방지된다.
다음에 상기한 버니티미러용 램프보디(73)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3개의 콘택트(75,76,77) 및 2개의 보강편(78,79)을 한조로서 이루어지는 콘택트 세트를 복수조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콘택트 세트 연속체를 형성한다.
제42도는 하나의 콘택트 세트(176)를 도시한다.
177, 177'는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뻗는 띠판형상을 한 베이스대(帶), 178, 178, …(도면에서는 2개만 나타내고 있음)은 베이스대(177,177')가 뻗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베이스대(177과 177')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가는 띠판형상을 한 구획틀대이며, 2개의 구획틀대(178,178)과 베이스대(177,177')에 의해 에워싸인중에 하나의 콘택트 세트(176)가 형성된다.
179는 구획틀대(178)의 우측가장자리의 베이스대(177) 쪽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돌출한 가는 띠판형상을 한 연대부이며, 이 연대부(179)의 우단에 보강편(78)의 좌단이 연결되고, 또 중간위치에 콘택트(77)의 중앙편(113)의 좌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180은 구획틀대(178)의 좌측가장자리의 베이스대(177)쪽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된 가는 띠판형상을 한 연대부이며, 이 연대부(180)의 좌단에 콘택트(77)의 중앙편(113) 우단부의 상단쪽 위치가 연속되고, 중간부가 콘택트(76)의 접속편(104) 중간보다 약간 상단쪽 부분이 연속되어 있다.
181은 구획틀대(178)의 우측가장자리의 베이스대(177')쪽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돌출한 가는 띠판형상을 한 연대부이며, 그 우단에 콘택트(75)의 보강부(92)의 좌단이 연결되어 있다.
182는 구획틀대(178)의 좌측가장자리의 베이스대(177')쪽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돌출한 가는 띠판형상을 한 연대부이며, 그 좌단에 보강편(79)의 우단이 연결되고, 대략 중간위치에 콘택트(75)의 보강부(92)의 우단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콘택트 세트(176)가 베이스대(177,177')가 뻗는 방향으로 다수연결하여 형성되어서 콘택트 세트 연속체(183)가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각 콘택트(75,76,77) 및 보강편(78,79)이 이미 프레스 성형에 의해 그 모양이 정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먼저 타발성형에 의해 원형 콘택트 세트가 다수 연속된 원형 콘택트 세트 연속체를 형성하고, 그후 프레스 성형에 의해 도시한 바와 같은 콘택트 세트 연속체(183)를 형성한다. 또한 184,184,...는 베이스대(177,177',...)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이며, 프레스 성형시의 위치결정에 사용된다.
상기한 콘택트 세트 연속체(183)를, 그것에 설치된 콘택트 세트(176,176,...)의 하나가 보디본체 성형용 금형을 구비한 성형기의 보디본체 성형용 금형내에 위치하도록 인서트하고, 이 보디본체 성형용 금형내에 보디본체용 수지를 사출하여, 수지제의 보디본체(74)와 콘택트 세트(176)가 일체화된 램프보디(73)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램프보디(73)의 형성이 콘태트 세트 연속체(183)에 설치된 각 콘택트 세트(176,176,...)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행해지고, 이것에 의해, 램프보디(73)가 다수개 연속된 램프보디 연속체(도시는 생략함)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보디 연속체로부터 각 램프보디(73,73,...)를 분리하여 다수의 램프보디(73,73,...)가 형성된다. 램프보디(73,73,...)의 분리는 각 연대부(179,180,181,182)의 185,185,...로 표시하는 개소에서 행해진다.
또한 이 절단개소(185,185,...)는 보디본체(74)의 측면벽(85,85)의 오목조부(86,86,...)내에서 그 안쪽면에 따라 위치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분리가 용이하게 되며, 또 절단끝이 보디본체(7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일도 없다.
그리고 상기 분리와 동시에 연대부(179,180,182)가 186a,186a,186b에서 표시하는 곳에서 절단되고, 콘택트(75)와 보강편(79)이 콘택트(76과 77)가, 다시 콘택트(77)와 보강편(78)이 각각 분리된다.
그리고 이 절단시에 형성되는 것이 상기한 타발구멍(82,82,82)이다.
또한 상기 구성은 터미널과 코드에 의한 급전방식을 채용한 것이나, 186a,186a에서 표시하는 개소를 절단하지 않으면, 상기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도전성을 가진 나사에 의한 나사고정에 의해 보강편(78,79)을 통하여 급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43도 내지 제45도는 상기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램프보디의 변형예(73A)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램프보디(73)에 있어서는 수터미널(90,90',115,115')을 측면 및 전후 당면에 개구하는 절결(84,84,...)을 형성하고, 이 절결(84,84,...)의 안쪽끝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있으나, 본 램프보디(73A)에 있어서는 측면 및 뒷면에 개구한 오목부(187,187,...)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187,187,...)의 안쪽면으로부터 수터미널을 돌출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앞쪽에서 보았을 때, 수터미널이 노출되어 있지 않고 외관이 양호하게 된다.
또 수터미널에는 겹쳐짐으로써 소요의 판두께를 확보하는 타입의 즉, 제27도에 도시한 수터미널(144,144,...)이 채용되어 있다.
물론,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타입의 수터미널이라도 무방하며, 혹은 제28도에 도시한 타입의 수터미널(148)이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콘택트(76A)의 접속편(104A)은 그 일부(188)가 측면벽(85A)의 오목부(187)보다 앞쪽부분에 매설되도록, ㄷ자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앞쪽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 콘택트(75A)는 그 리플렉터부(87A)의 평판형상의 크기의 직 4각형으로 형성되고, 이 리플렉터부(87A)의 하부가장자리 중앙으로부터 아래쪽에 돌출설치된 연결편(189) 양쪽으로부터 전방에 돌출된 상승편(190,190)의 앞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수터미널(144,144)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별도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콘택트(77A)는 세로로 긴 직 4각형을 한 중앙편(113A)의 하단부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에 돌출된 상승편(191,191)의 앞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수터미널(144,144)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별도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제46도 내지 제63도는 본 발명의 일체화된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 및 일체화된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의 제조방법의 제3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룸램프의 램프보디 및 그 제조방법에 적용한 것이다.
192는 룸램프이며, 193은 그 보디본체이다.
보디본체(193)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전방에 개구된 오목부(194)를 가진 얕은 접시형상의 메인부(195)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부(195)의 상단부를 제외한 부분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는 또한 얕은 오목부(196)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96)에는 약간 아래쪽으로 변위하여 세로로 긴개구(197)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94)의 상단부(194a)는 그 나머지 부분보다 약간 깊게 형성되러 있다.
그리고, 이 상단부(194a)와 그 나머지 부분과의 경계부의 중앙부에는 좌우로 이간하여 구획벽(198,198)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획벽(198,198)의 윗면에는 계합클릭(199,199)이 돌출되어 있다.
또 오목부(194)를 둘러싸고 있는 둘레벽(200)의 하변부 내면에는 좌우로 이간되어 계합구멍(201,20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구획벽(198과 198)과의 사이에는 그곳을 전후로 관통한 부착구멍(2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196) 내의 상기 구획벽(198,198)의 약간 아래쪽 위치에는 상기 부착구멍(202)을 중심으로 한 대략 원호형상으로 가지런히 선 오목부(203a,203b,203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03a,203b,203c)의 개구가장자리부는 볼록곡면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96)의 옆가장자리에 따른 위치의 상단쪽과 하단의 4개소에 삽통구멍(204,20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통구멍(204,204,...)은 상단부(204a,204a,...)가 그 나머지 부분(204b,204b,...)의 대략 2배의 직경을 가진 큰 직경부로 되어 있다.
또 오목부(196)의 하부가장자리에 따른 위치의 대략 중앙부에는 리브(205)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구(197)의 상부가장자리 및 하부가장자리와 옆가장자리의 상하 양단부로부터 후방으로 향하여 벽(206a,206b)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메인부(195) 후면의 상기 오목부(196)의 상부가장자리에 대응한 위치의 대략 중앙부에 후방으로 돌출한 지지벽(207)이 형성되고, 이 지지벽(207)의 좌우 양단쪽의 상부면으로부터 구획벽(208,208)이 윗쪽에 돌출되고, 또 지지벽(207) 하부면의 중앙쪽 위치로부터 보강벽(209,209)이 아래쪽에 돌출되어 있다.
210은 제1콘택트이며, 가는 띠판형상부분에 의해 정면에서 보아 대략 역 C자형상으로 형성된 접속편(211)과, 이 접속편(211)의 하단부에 접속된 전구유지편(212)과, 상기 접속편(211)의 상단편에 좌우로 가지런히 서서 짧은 연결편(213,213)을 통하여 연결된 접점부(214b,214c)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전구유지편(212)은 옆쪽에서 보아 대략 V자 형상을 한 전구유지부(215)와 이 전구유지부(215) 하단에 직 4각형의 판형상을 한 기편(216)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기편(216)은 상기 접속편(211)의 하단 부후측에 약간 이간하여 위치하며, 그 좌측가장자리의 하단부가 접속편(211)의 하단부의 좌측단과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전구유지부(215)는 반대기편(216)측의 편(215a)이 전구접촉편으로 되고, 이 전구접촉편(215a)의 대략 중앙부에는 달마구멍(達魔孔)(215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점부(214b,214c)는 그 좌우방향에 있어서 중앙이 전방에 위치하는 볼록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편(211)에는 다수의 작은 구멍(217,2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제1콘택트(210)는 소위 인서트 성형에 의해 상기 보디본체(193)에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그 전구유지편(212)의 기편(216)은 보디본체(193)의 메인부(195)의 하단중앙에 매설되고, 전구유지부(215)는 벽(206b)의 윗쪽에 돌출된 상태로 위치하고 있다. 또 접속편(211)은 오목부(196) 앞면에 노출되어 있고, 접점부(214b)는 오목부(203a와 203b)와의 사이부분의 앞면을 덮도록, 또 접점부(214c)는 오목부(203b와 203c)와의 사이부분의 앞면을 덮도록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편(211)의 작은 구멍(217,217,...)에는 보디본체(193)의 재료수지가 충전되고, 이것에 의해 접속편(211)이 보디본체(193)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제2의 콘택트(218)는 가는 폭의 띠판형상을 하고 정면에서 보아 대략 ㄷ자형상을 한 접속편(219)과 이 접속편(219)의 하단에 연접된 전구유지편(220)과 접속편(219)상단에 연접된 터미널편(2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전구유지편(220)은 정면에서 보아 대략 직 4각형을 한 기편(222)과 이 기편(222)의 하부가장자리에 연접된 전구 접촉편(223)으로 이루어지며, 전구접촉편(223)은 전단부(223a)가 전방으로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이 전단부(223a)의 하단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메인편(223b)의 중앙부에는 달마구멍(223c)이 형성되어 있다.
터미널편(221)은 옆쪽에서 보아 대략 L자형상을 한 연결편(224)과 이 연결편(224)의 후단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한 차입편(225)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연결편(224)의 전단이 상기 접속편(219)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편(219)에는 2개의 작은 구멍(2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제2콘택트(218)는 전구유지편(220)의 기편(222)은 그 하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보디본체(193)의 메인부(195)의 개구(197)의 상부가장자리쪽 위치의 중앙부에 매설되고, 하단부가 개구(197)의 상부측 개구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에 돌출되고, 그 하단으로부터 전구접촉편(223)이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2개의 전구접촉편(223,215a) 이 개구(197)내에 있어서 상하로 이간되어 대향한 상태로 된다.
또 터미널편(221)은 그 연결편(224)이 보디본체(193)의 지지벽(207) 내에 매설되고, 차입편(225)이 지지벽(207)의 윗면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접속편(219)은 오목부(196)의 상단부의 좌단부에 노출된 상태로 되고, 그 작은 구멍(217,217)에는 보디본체(193)의 재료수지가 충전되며, 이것에 의해 접속편(211)이 보디본체(193)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일이 없게 되어 있다.
제3의 콘택트(226)는 접속편(227)과 접점부(214d)와 터미널편(228)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접속편(227)은 좌우방향으로 뻗는 가는폭의 띠판현상을 하고 있고, 대략 중앙부에 작은 구멍(217)이 형성되어 있다.
접점부(214d)는 우측단이 후방으로 변위하도록 볼록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그 좌측단부 상부가장자리가 연결편(229)을 통하여 접속편(227)의 좌단쪽의 하부가장자리에 연설되어 있다.
터미널편(228)은 옆쪽에서 보아 대략 〈자형상을 한 연결핀(230) 과 이 연결편(230)의 상단으로부터 윗쪽으로 뻗은 차입편(231)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연결편(230)의 하단부 앞가장자리가 상기 접속편(227)의 우측단 가장자리에 일체로 연설되어 있다.
그래서 제3 콘택트(226)의 터미널편(228)은 그 연결편(230)이 보디본체(193)의 보강벽(209)내에 매설되고, 차입편(231)은 지지벽(207) 상부면의 상기 차입편(225)의 돌출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이간된 위치로부터 윗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접점부(214d)는 보디본체(193)의 오목부(203c)의 좌측 개구연부를 덮도록 위치되고, 그 연결편(229) 및 접속편(227)은 보디본체(193) 앞면에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편(227)의 작은 구멍(217)에는 보디본체(193)의 재료수지가 충전되고, 이것에 의해 접속편(211)이 보디본체(193)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제4의 콘택트(232)는 가는 폭의 띠판형상을 하고 정면형상으로 대략 U자형상을 한 접속편(233)과, 이 접속편(233)의 우측 상단부에 연접된 접점부(214a)와, 접속편(233)의 좌우 상단쪽 부분 및 좌우의 하단쪽 부분으로부터 바같쪽으로 돌출하도록 연결편(234,234,...)을 통하여 연설된 접지편(235,235,...)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연결편(234,234,...)에는 접속편(233)과 접지편(235,235,...)과으 사이에 단차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승부(234a,234a,...)가 형성되어 있다.
접지편(235,235,...)은 삽통구멍(235a,235a,...)을 갖는 도우넛형상을 하고 있고, 접점부(214a)는 좌단이 후방으로 변위하도록 볼록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접속편(233)의 우측의 상단부에는 작은 구멍(217,217)이 형성되고, 또 접속편(233)의 좌측편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매설편(236,236,236)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제4의 콘택트(232)의 접속편(233)은 그 우측편의 상하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보디본체(193)의 얕은 오목부(196)의 우측벽내에 매설되고, 그 나머지 부분이 이 오목부(196)의 둘레가장자리부에 따라 위치하며, 그 매설편(236,236,236)은 오목부(196)의 좌측벽에 매설되어 있다.
또 작은 구멍(217,217)에는 보디본체(193)의 재료수지가 충전되고, 이것에 의해 접속편(211)이 보디본체(193)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접점부(214a)는 보디본체(193)의 오목부(203a)의 우측 개구가장자리부를 덮도록 위치되고, 또 접지편(235,235,...)은 보디본체(193)의 삽통구멍(204,204,...)의 큰 직경부(204a,204a,...)의 앞면에 위치하고, 그 둘레가장자리부가 보디보체(193)내에 매설되며 또한 삽통구멍(235a,235a,...)이 삽통구멍(204,204,...)의 소직경부(204b,204b,...)와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237은 스위치 노브이다.
이 스위치 노브(237)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몰드부(238)와 이 몰드부(238)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접편부(239)로 이루어진다.
몰드부(238)는 두께가 있는 판형상을 한 메인부(240)의 상단부 앞면으로부터 파지부(241)가 돌출한 형상을 하고 있고, 메인부(240)의 하단쪽 위치에는 전후에 관통된 부착구멍(242)이 형성되어 있다.
접편부(239)는 도전성과 스프링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상하로 긴 띠판형상을 하고 있고, 그 하단부에 상하방향에서 보아 원호형상으로 후방으로 돌출한 접촉부(24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접편부(239)의 상단쪽 위치에는 삽통구멍(2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편부(239)는 그 상부측 반분의 부분이 몰드부(238)의 메인부(240)의 하단부로부터 파지부(241)에 거쳐서 인서트되고, 그 나머지 부분이 몰드부(238)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접편부(239)의 삽통구멍(244)과 몰드부(238)의 부착구멍(242)이 일치된다.
245는 부착리벳이며 머리부(245a)와 다리부(235b)를 가지고, 이 다리부(245b)가 스위치 노브(237)의 부착구멍(242)에 전방으로부터 삽통되며, 또한 상기 보디본체(193)의 부착구멍(202)에 삽통되어서 보디본체(193)의 뒷면측에 돌출한 선단부가 코킹되고, 스위치 노브(237)가 보디본체(193)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 접편부(239)의 접촉부(243)는 보디본체(193)의 접점부(214a,214b,214c,214b)가 원호형상으로 줄선부분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위치 노브(237)에 있어서 금속판으로 형성된 접편부(239)가 회전지점부로 되는 부착구멍(242)을 넘어서 파지부(241)까지 뻗어 있으므로, 스위치노브(237) 전체의 강도가 증가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246은 렌즈이며, 상기 보디본체(193)의 오목부(194)중 구획벽(198,198)의 바로 위로부터 하부측의 부분을 덮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렌즈(246)의 둘레벽부(247)의 상단부분의 내면 좌우로 이간된 위치에는 계합돌기(248,248)가 형성되고, 또 둘레벽부(247)의 하단부분의 외면에도 좌우로 이간하여 계합돌기(249,24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부의 계합돌기(249,249)가 보디본체(193)의 둘레벽(200)의 하면부 내면에 형성된 계합구멍(201,201)에 계합하고, 또 둘레벽(247)의 하단부분의 후단 내부 가장자리가 보디본체(193)에 형성된 리브(205)의 하부면에 접촉된 상태로 된다.
또한 둘레벽부(247)의 상단부분에 형성된 계합돌기(248,248)가 보디본체(193)의 구획벽(198,198)의 상부면에 형성된 계합클릭(199,199)과 계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렌즈(246)가 보디본체(193)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노브(237)는 렌즈(246)의 둘레벽부(247)의 상단부분의 중앙에 형성된 절결(250)을 통하여 그 파지부(241)는 렌즈(246)의 윗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251, 251,...은 보디본체(193)의 좌우외측면에 전후에 달하도록 형성된 오목조부이다.
또 렌즈(246)가 보디본체(193)에 부착되기전에, 전구(252)가 그 마우스피스부(253,253)의 단부가 상기 전구접촉편(215a,223)의 달마구멍(215b,223c)에 계합된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렌즈(246)가 보디본체(193)에 부착되기 전에, 도전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된 부착나사(254,254,...)가 앞쪽으로부터 삽통구멍(204,204,...)에 삽통되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자동차 차체의 구조부재에 나사맞춤된다.
그리고 부착나사(254,254,...)는 그 머리부(254a,254a,...)가 제4 콘택트(232)의 접지편(235,235,...)과 접촉되고, 또한 부착나사(254,254,...)가 나사맞춤되는 구조부재의 적어도 하나가 도전성을 가지며, 이것에 의해 제4 콘택트(232)가 즉, 접점부(214a)가 접지레벨로 된다. 또한 접지편(235,235,...)은 4개나 있으므로, 그중 어느 하나라도 접지되면 좋고, 따라서, 설치장소에 관하여 융통성이 높다.
그리고 상기 차입편(225,231)에 차체측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코넥터가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차입편(225)은 전원에 접속되고, 차입편(231)은 도시하지 않은 도어 스위치를 통하여 접지된다.
즉, 전구접촉편(223)은 전원에 접속되고, 접점부(214d)는 도어스위치를 통하여 접지된다. 그래서, 스위치 노브(237)를 중립위치, 즉 그 접촉부(243)가 접점부(214b,214c)에 접지된 상태로 했을 때는, 전구(252) 한쪽의 마우스피스부(253)는 전원에 접속되어 있으나, 다른쪽의 마우스피스부(253)가 접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구(252)가 점등되는 일은 없다.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스위치 노브(237)를 한쪽으로 경사이동시켜서, 그 접촉부(243)가 접점부(214a와 214b)에 접촉되도록 하면, 전구(252)는 상기 다른쪽의 마우스피스부(253)가 접지되어 점등한다.
또 상기 중립위치로부터 스위치 노브(237)를 상기 경사이동과 반대방향으로 경사 이동시켜서, 그 접촉부(243)가 접점부(214c와 214d)에 접촉되도록 하면, 전구(252)의 다른쪽의 마우스피스부(253)는 도어스위치를 통하여 접지되고, 그대로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로는 전구(252)는 점등되지 않으나, 도어가 열려서 도어스위치가 닫히면 전구(252)의 다른쪽의 마우스피스부(253)가 접지되게 되므로 전구(252)가 점등한다.
이때 스위치 노브(237)의 접촉부(243)의 접촉면이 볼록곡면으로 되어 있고, 또한 접점부(214a,214b,214c,214d)도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 노브(237)가 소정위치에 달한 것이 조작자에 감촉으로써 잘 알 수 있고(소위 클릭감이 있다.), 또한 스위치 노브(237)의 소정위치에의 유지가 확실한 것으로 되며, 또한 스위치노브(237)의 경사이동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룸램프(192)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4개의 콘택트(210,218,226,232)를 한조로 하여 이루어지는 콘택트 세트를 복수조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콘택트 세트 연속체를 형성한다.
제57도에 하나의 콘택트 세트(255)를 도시한다.
도전성을 가진 금속판에 의해 각 콘택트(210,218,226 및 232)가 가는 폭의 연대부(256,256,...)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각 콘택트(210,218,226,232)가 이미 프레스 성형에 의해 그 모양이 정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먼저 타발성형에 의해 원형 콘택트 세트가 다수 연속된 원형 콘택트 세트 연속체를 형성하고, 그후 프레스 성형에 의해 도시한 바와 같은 콘택트 세트(255)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콘택트 세트(255)로서 형성된 상태로 제1 콘택트(210)에 있어서, 전구유지편(212)은 접속편(211)에 대하여 뒷쪽으로 되접힌 상태로 되고, 이것에 의해 그 전구접촉편(215a)과 또하나의 전구접촉편(223)이 상하로 대향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만약 임시로 이와 같은 구조를 채택하지 않고 타발성형시에 원형전구 유지편과 원형 전구접촉편이 상하로 가지런히 서도록 해두면, 서로의 상하 길이가 길어 이들 2개가 겹쳐지고 만다. 따라서, 타발시에는 서로 좌우로 처지도록 해두고, 프레스 성형시에 그 한쪽, 상기예에서는 전구유지편(212) 쪽을 접속편(211)에 대하여 겹쳐서, 그 전구접촉편(215a)이 전구접촉편(223)과 상하로 대향되도록 하고 있다.
전구유지편(212,220)은 각각의 기편(216,222)이 보디본체(193)중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전구(252)의 착탈시에 전구유지편(212,220)이 보디본체(193)로부터 박리되는 일이 없다.
또 4개의 접지편(235,235,...)이 4개소에 배치되고, 이들이 접속편(233)에 의해 연결되어서 틀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콘택트 세트(255)의 강도가 증가하여 취급중의 변형등도 받기 어렵다.
또한 접지편(235,235,...)과 접속편(233)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편(234,234,..)에는 상승부(234a,234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상승부(234a,234a,...)의 절곡각도를 조정하는 것으로 접지편(235,235,...) 위치의 조정을 행하기 쉽고, 또 이 상승부(234a,234a,...)가 보디본체(193) 성형용 수지의 사출후의 수축을 흡수하여 콘택트(232)의 치명적인 변형을 회피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콘택트 세트(255)가 다수 연속하여 형성되어서 콘택트 세트 연속체(257)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콘택트 세트 연속체(257)는 인접하는 콘택트 세트(255,255,...)의 접지편(235,235,...)간을 연결대(258,258,...)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한 콘택트 세트 연속체(257)를 그것에 설치된 콘택트 세트(255,255,...)의 하나가 보디본체 성형용 금형을 구비한 성형기의 보디본체 성형용 금형내에 위치하도록인서트하고, 이 보디본체 성형용 금형내에 보디본체용 수지를 사출하고, 수지제의 보디본체(193)와 콘택트 세트(255)가 일체화된 램프보디(259)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램프보디(259)의 형성이 콘택트 세트 연속체(257)에 설치된 각 콘택트 세트(255,255,...)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이것에 의해 램프보디(259)가 다수개 연속된 램프보디 연속체(도시생략)가 형성된다.
그리고 램프보디(259)에 있어서, 전구유지편(212)의 기편(216) 및 전구유지편(220)의 기편(222)은 보디본체(193)의 재료수지중에 그 대부분이 매설된 상태로 되므로, 전구 유지편(212,220)의 강도가 증가하여 전구(252) 착탈시에 걸리는 커다란 힘에도 견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보디 연속체로부터 각 램프보디(259,259,...)를 분리하여 다수의 램프보디(259,259,...)가 형성된다. 램프보디(259,259,...)의 분리는 각 연결대(258,258,...)의 260, 260,...로 나타내는 개소에서 행해진다.
또한 이 절단개소(260,260,...)은 보디본체(193)의 외측면의 오목조부(251,251,...)내에서 그 안쪽면에 따라 위치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분리가 용이하게 되며, 또 절단 끝이 보디본체(193)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일도 없다.
그리고, 상기 분리와 동시에 보디본체(193)의 메인부(195)의 타발구멍(261,261,...)이 형성되고, 이 타발구멍(261,261,...)의 형성에 의해 각 콘택트(210,218,226,232)간을 연결하고 있던 연대부(256,256,...)가 절단되고, 이것에 의해 각 콘택트(210,218,226,232)가 독립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된다.
제58내지 제63도는 상기 룸램프(192)에 있어서의 스위치 노브와 그 부착에 관한 변형예를 예시하는 것이다.
제58도에 도시한 것은 보디본체(193)에 앞이 달하는 슬롯(262)을 갖는 부착핀(263)을 돌출설치하고, 이 부착핀(263)을 스위치 노브(237)의 부착구멍(242)에 삽통하고, 그 전단부에 형성된 계합돌기(264,264)를 부착구멍(242)의 앞부분 개구가장자리에 계합시켜서, 스위치 노브(237)를 보디본체(19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것이다.
제59도에 도시한 것은 상기 제58도에 도시한 것에 있어서의 부착핀(263)의 표면을 보디본체9193)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금속판(265,265)으로 덮은 것이다.
제60도에 도시한 것은 대략 L자 형상을 한 금속판(266,266)을 인서트 성형에 의해 보디본체(193)에 일체화하고, 그 일부(266a,266a)를 서로 근접한 상태로 전방에 돌출시켜, 이 돌출부(266a,266a)의 전단부에 서로 반대방향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팽륭부(膨隆部)(266a,266a)를 부착구멍(242)의 전단 개구가장자리에 계합시켜서, 스위치 노브(237)를 보디본체(19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것이다.
제61도에 도시한 것은 스위치 노브(237)의 뒷면으로부터 후단에 달하는 슬롯(267)을 가진 부착핀(268)을 몰드부(238)에 일체로 돌출설치하고, 이 부착핀(268)을 보디본체(193)의 메인부(195)에 형성된 부착구멍(269)에 삽통하고, 부착핀(268)의 선단부에 형성된 계합돌기(270,270)를 보디본체(193)의 부착구멍(269)의 뒷측개구가장자리에 계합시켜서, 이것에 의해 스위치부(237)를 보디본체(193)에 회전가능하게 부착한 것이다.
제62도에 도시한 것은 접편부(239)의 삽통구멍(244)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일체로 돌출설치된 피복부(271,271)로 제61도에 있어서의 부착핀(268)의 표면을 덮은 것이다.
제63도에 도시한 것은 몰드부(238)의 뒷면으로부터 서로 근접한 상태로 후방에 돌출하는 부착각편(272,272)을 접편부(239)의 삽통구멍(244)의 가장자리로붙 일체로 돌출설치하고 이 부착각편(272,272)을 보디본체(193)의 메인부(195)에 형성한 부착구멍(269)에 삽통하며, 이 부착각편(272,272)의 후단부에 서로 반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팽륭부(272a,272a)를 부착구멍(269)의 후단 개구가장자리에 걸어맞춤시켜서, 스위치 노브(237)를 보디본체(19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 기재한 바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픔은, 복수종류의 금속부재를 브리지를 통하여 일체화한 금속부재세트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한 합성수지제본체에 복수의 타발구멍이 형성되어, 그 타발구멍에서 상기 브리지가 절단되어 상기 복수의 금속부재가 독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의 제조방법은 복수종류의 금속부재를 브리지를 통하여 일체화한 금속부재세트를 합성수지제본체 성형용 금형내에 인서트하여, 그 합성수지제본체 성형용 금형내에 합성수지제본체용 수지를 사출하여, 합성수지제의 합성수지제본체와 금속부재세트가 일체화된 합성수지부품 중간체를 성형한후, 상기 브리지를 절단하여, 상기 복수의 금속부재를 독립시켜서,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지는 합성수지부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에 있어서는 조립되는 복수종류의 금속부재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인서트 성형에 의해 합성수지제본체로 일체로 성형한 것이므로, 복수종류의 금속부재를 각각 별개로 합성수지제본체에 조립하는 수고가 들지 않고, 생략화 할 수 있고, 원가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 각 금속부재는 인서트성형에 의해 조립됨으로, 각 금속부재간의 조립정밀도가 향상되어 더욱이 각 금속부재의 불필요한 부분은 수지에 의하여 덮어지기 때문에 부주의하게 금속부재끼리가 접촉하여버리는 위험이 없다.
또 본 발명의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복수 종류의 금속부재가 브리지로 일체화된 금속부재세트를 합성수지제본체성형용 금형내에 인서트하여 합성수지제본체의 성형을 행하여 합성수지부품 중간체를 형성하고, 그것으로부터 브리지를 타발하여 각 금속부재를 전기적으로 독립시켜서 일체화된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을 제조하는 것임으로, 극히 능률이 양호하고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을 제조할 수가 있고, 원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는 동시에, 각 금속부재간의 조립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표시한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조 혹은 수법등은, 어느것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구체화의 일예를 표시한 것에 지나지 않고, 이것등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3)

  1. 복수 종류의 금속부재를 브리지를 개재하여 일체화한 금속부재 세트를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한 합성수지제 본체에 복수의 타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타발 구멍에서 상기 브리지가 절단되어 상기 복수의 금속 부재가 독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합성수지제본체에 견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견입 구멍으로부터 2개의 금속 부재의 근접 상태로 인접한 부분이 노출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적인 금속 부재를 가진 합성수지 부품.
  3. 제1항에 기재된 합성수지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복수 종류의 금속 부재를 브리지를 개재하여 일체화한 금속 부재 세트를 합성수지제 본체 성형용 금형내에 인서트하는 단계와, 상기 합성수지제본체 성형용 금형내에 합성수지제본체용 수지를 사출하여 합성수지제본체와 금속 부재 세트가 일체화된 합성수지 부품 중간체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브리지를 절단하여 상기 복수의 금속 부재를 독립시켜서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제부픔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적인 금속 부재를 가지는 합성수지 부품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부품 중간체를 성형하는 단계에서, 형 죄임이 된 2개의 금형의 쌍방으로부터 돌출된 가압 핀에 의해 근접 상태로 인접한 2개의 금속 부재를 가압하여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상기 합성수지제본체용 수지를 사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부품의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ABS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부품의 제조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는 도전성과 탄성을 가진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부품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기재된 합성수지 부품으로 이루어진 램프 보디에 있어서, 전구는 램프보디의 금속부재에 의해 유지되고 전구의 전원은 이 금속 부재를 통하여 공급되며, 렌즈는 램프 보디의 전방면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보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의 부품은 스위치부의 단자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램프보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재는 상기 전구의 한 단부를 상기 전원으로 연결하는 부분과, 상기 전구의 다른 한 단부를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하는 부분과, 상기 전원을 상기 스위치부에 연결하는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보디.
  10. 제7항에 있어서, 미러, 램프 보디와 상기 미러를 지지하는 버니티 미러 보디, 상기 미러와 램프를 개폐하기 위하여 메인 보디부에 부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보디.
  11. 제7항에 있어서, 미러, 램프 보디와 상기 미러를 지지하는 버니티 미러 보디, 상기 미러와 램프를 개폐하기 위하여 메인 보디부에 부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이 커버의 계폐에 따라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보디.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평행한 2개의 금속 부재로 이루어져서 이 금속 부재 중의 하나가 다른 금속부재와 접촉하게 될 때 스위치를 온 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보디.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에는 스위치 노브가 추가로 구비되어서 이 스위치 노브에 구비된 도전부가 상기 스위치부의 단자인 금속 부재와 접촉하게 될때 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보디.
KR1019950013920A 1994-05-30 1995-05-30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 및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의 제조방법 KR100243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37828 1994-05-30
JP6137828A JP3062913B2 (ja) 1994-05-30 1994-05-30 バニティミラー用ランプボデイ及びその製造方法
JP95-086463 1995-03-17
JP08646395A JP3242812B2 (ja) 1995-03-17 1995-03-17 一体的な金属部材を有する合成樹脂製ランプ部品及び一体的な金属部材を有する合成樹脂製ランプ部品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446A KR950031446A (ko) 1995-12-18
KR100243939B1 true KR100243939B1 (ko) 2000-02-01

Family

ID=26427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920A KR100243939B1 (ko) 1994-05-30 1995-05-30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 및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43939B1 (ko)
CN (2) CN1066388C (ko)
DE (1) DE19519752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408A1 (ko) * 2015-03-31 2016-10-06 대우전자부품(주) 사출성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9064B1 (fr) * 1996-05-22 1998-07-24 Socop Sa Support coude de lampe a connecteur obtenu par surmoulage
DE19729486C2 (de) * 1997-07-10 1999-06-17 Kroma Metall Und Kunststoffv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teile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9934545C1 (de) * 1999-07-22 2001-03-08 Benteler Werk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ybridbauteils im Metall/Kunststoffverbund
JP2001179774A (ja) * 1999-12-28 2001-07-03 Teeantee:Kk 車両用灯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180372A (ja) * 1999-12-28 2001-07-03 Teeantee:Kk 車両用灯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148149A1 (de) * 2001-09-28 2003-04-17 Hella Kg Hueck & Co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Fahrzeugleuchte
JP2005329883A (ja) 2004-05-21 2005-12-02 Yazaki Corp 車両用室内照明灯
DE102011105691A1 (de) * 2011-06-25 2012-12-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Aufnahmegehäuse und Kraftfahrzeug
US9655261B2 (en) 2013-03-21 2017-05-16 Htc Corporation Casing of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535359B (zh) * 2013-03-21 2016-05-21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機殼與其製作方法
JP6166654B2 (ja) 2013-12-26 2017-07-19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回路ユニットにおける外装ケースの成形方法
DE102014225757A1 (de) * 2014-12-12 2016-06-1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ichten Verbindung zwischen einem metallischen Bauteil und einer Kunststoffumhüllung mittels einer Zwischenschicht
CN107962730A (zh) * 2017-11-24 2018-04-27 中山复盛机电有限公司 金属和塑料复合件的制造方法
CN112721224B (zh) * 2020-11-18 2022-11-08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电子雾化装置及其供电组件、支架和支架制备方法
CN117901195B (zh) * 2024-03-19 2024-06-25 佛山市南海合历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应用于塑料保护箱加工的定位装置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20884C3 (de) * 1975-05-10 1982-04-22 Ellenberger & Poensgen Gmbh, 8503 Altdorf Vorrichtung zum Aufbringen je eines Verbindungsstückes aus Isolierstoff an den beiden Enden des Mäanderbereiches eines Bimetallstreifens
GB1523397A (en) * 1975-07-14 1978-08-31 Prince Corp Combination of a vehicle sun visor assembly and a vanity mirror assembly
DE3338279A1 (de) * 1983-10-21 1985-05-02 Wolfgang 7140 Ludwigsburg Zipperle Sonnenblende fuer kraftfahrzeuge
DE3924176A1 (de) * 1988-07-26 1990-02-01 Steinmueller Kg Atlanta Kabe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eiterplatine
JP2601334B2 (ja) * 1988-10-07 1997-04-1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バニティミラー
US5025354A (en) * 1989-12-26 1991-06-18 Yoshio Kondo Compact having an illuminator
KR950006994B1 (ko) * 1990-01-23 1995-06-26 가부시끼가이샤 고이또 세이사꾸쇼 배너티 미러의 조명부
JPH0741817B2 (ja) * 1990-10-08 1995-05-1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バニティミラー
US5117337A (en) * 1991-01-16 1992-05-26 Koito Manufacturing Co., Ltd. Vanity mirror
DE9215662U1 (de) * 1992-11-17 1993-01-21 GHM Ges. mbH Schöninger, 92706 Luhe-Wildenau Spiegel mit Leuchte
JPH08227637A (ja) * 1994-02-23 1996-09-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DE9413036U1 (de) * 1994-08-12 1995-07-27 VLM-W. Murjahn GmbH & Co., 40822 Mettmann Mehrfachfassungsarmat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408A1 (ko) * 2015-03-31 2016-10-06 대우전자부품(주) 사출성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446A (ko) 1995-12-18
CN1122276A (zh) 1996-05-15
DE19519752A1 (de) 1995-12-07
DE19519752C2 (de) 1997-07-17
CN1066388C (zh) 2001-05-30
CN1205012C (zh) 2005-06-08
CN1310083A (zh) 2001-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938B1 (ko)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 및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의 제조방법
KR100243939B1 (ko)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 및 일체적인 금속부재를 가진 합성수지부품의 제조방법
JP4531796B2 (ja) 自動車ヘッドランプシステム
JPH07277072A (ja) バニティミラー用ランプボデイ及びその製造方法
JP3062920B2 (ja) 一体的な金属部材を有する合成樹脂部品及び一体的な金属部材を有する合成樹脂部品の製造方法
JP3242812B2 (ja) 一体的な金属部材を有する合成樹脂製ランプ部品及び一体的な金属部材を有する合成樹脂製ランプ部品の製造方法
JP3062913B2 (ja) バニティミラー用ランプボデイ及びその製造方法
CN212005544U (zh) 一种车用模组用透镜安装结构
JP3907883B2 (ja) 車両用灯具
US5842781A (en) Vehicular lamps and method of molding a lamp body of vehicular lamps
JPH07335001A (ja) 車輌用灯具
JP6830227B2 (ja) 配線スイッチ構造、及びスイッチ装置
JP3392582B2 (ja) 回動カバーの状態保持構造
CN1156886C (zh) 灯口
JP3138233B2 (ja) 車輌用前照灯
JP3180178B2 (ja) 一体的な金属部材を有する合成樹脂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380750C (zh) 锲形基部灯泡插座
JP3234739B2 (ja) 電気機器における給電構造
JP3202146B2 (ja) 一体的な金属部材を有する合成樹脂部品
CN218327625U (zh) 一种多功能的端盖连接器和条形灯
JPH08293373A (ja) 照明装置
JPH08280496A (ja) ミラー取付構造
JPH08293341A (ja) 電気的接続片
JP4139239B2 (ja) 端子台
JP3042799B2 (ja) ランプ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81202

Effective date: 1999081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