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442B1 -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442B1
KR100211442B1 KR1019960004214A KR19960004214A KR100211442B1 KR 100211442 B1 KR100211442 B1 KR 100211442B1 KR 1019960004214 A KR1019960004214 A KR 1019960004214A KR 19960004214 A KR19960004214 A KR 19960004214A KR 100211442 B1 KR100211442 B1 KR 100211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polishing
workpiece
abrasiv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4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656A (ko
Inventor
히데유끼 다다
가즈오 기리야마
Original Assignee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다 아끼히로
Publication of KR960033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18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08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non-circular cross-sections, e.g. shafts of elliptical or polygonal cross-section
    • B24B19/12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non-circular cross-sections, e.g. shafts of elliptical or polygonal cross-section for grinding cams or cam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04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using abrasive rolled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목적]
연마 테이프에 의해 작업물을 연마하는 연마장치에 있어서, 연마 테이프를 카트리지에 의해서 연마장치에 지지시킴으로써, 연마 테이프의 교환작업을 간단히 한다.
[구성]
한쌍의 클램프 아암(38)의 선단부에 각각 카트리지 격납실(74)을 형성하고, 각 가트리지 격납실(74)에 각 카트리지(70)를 각각, 서로 대향시켜서 격납한다. 각 카트리지(70)는, 연마 테이프(T)를 테이프 공급 릴(92)과 테이프 권취 릴(94)에 감음으로써 보존함과 동시에, 연마 테이프(T)를 작업물(10)로 밀어누르는 슈우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연마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연마장치를 포함하는 연마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상기 연마 시스템에 의해서 연마되는 작업물의 일 예인 크랭크 샤프트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작업물 회전장치 및 그 주변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회전체 및 그 주변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제5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연마 유니트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한쌍의 카트리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중, 테이프 공급 릴의 회전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에서 연마 테이프를 권취하는 모터 및 그 주변부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단면도.
제9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의 로크기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로크기구의 언로크상태와 로크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정면도.
제11도는 제5에 있어서의 클램크 아암에 권취량 센서와 측정량 센서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12도는 상기 연마장치 중 전기적인 구성성분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13도는 제12도에 있어서의 ROM에 미리 격납되어 있는 연마 테이프 제어루틴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제14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연마장치중 한쌍의 카트리지와 작업물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5도는 이들 카트리자와 작업물의 곽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6도는 이들 카트리지와 작업물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연마장치를 포함하는 연마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8도는 제6도의 카트리지가 클램프 아암에 장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제19도는 제6도의 카트리지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정면단면도.
제20도는 연마 유니트에 있어서의 슈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1도는 종래의 연마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크랭크 샤프트 22 : 클램프 유니트
24 : 연마 테이프지지부 26 : 작업물 지지장치
28 : 작업물 회전장치 30 : 진동발생장치
70, 300, 302 : 카트리지 92 : 테이프 공급 릴(real)
94 : 테이프 권취 릴 95 : 슈우(shoe)
126 : 모터
본 발명은 연마 테이프로 작업물을 연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마장치의 일 형식으로 다음과 같은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 그것은, 연마 테이프를 작업물의 가공면에 예정연마위치에서 밀어누르면서 그들 연마 테이프와 작업물을 상대운동시켜서 작업물을 연마함과 동시에, 연마 테이프를 그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형식이다. 여기에서 「연마테이프」라함은, 띠형을 이루고, 헝겊, 종이, 합성수지 시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평평한 기재의 표면에 연마재(예를 들면, 숫돌입자)가 접착된 것을 말한다. 또 「연마테이프」를 이송하는 시기로는, 각회의 연마전, 연마후 및 연마중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종류의 연마장치의 일 종래예를 제21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또 다른 종래예가 일본국 실개소 60-7952오 공보에 기재되어 있지만, 제21도에 나타내는 연마장치는, 그와 동일하지는 않지만 유사한 것이다.
먼저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그 도면에 나타내는 연마장치는, 원통상의 작업물(W)의 외주면을 가공면으로 하고, 그 작업물(W)을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위치를 각각 예정연마위치로 한다. 그리고, 이 연마장치는, 1개의 연마 테이프(T)를 작업물(W)에 있어서의 2개의 예정연마 위치에 동시에 밀어누르면서, 작업물(W)을 그의 축선둘레로 회전시켜서 작업물(W)과 연마 테이프(T)를 상대 운동시키고, 이에 의해 작업물(W)을 연마한다. 또, 이 연마장치에 있어서는, 연마 테이프(T)는, 연마중에는 정치되어 있지만, 1회의 연마가 끝날때마다, 다음회의 연마에 앞서 길이방향으로 일정량만큼 이송되어지고, 연마 테이프(T)중 각 예정연마위치로 밀어눌려지는 부분이 차례로 갱신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 연마장치에 있어서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물(W)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슈우(400)가, 회전운동축(401)의 둘레로 회전운동 가능한 한쌍의 클램프 아암(402)의 일단부에 부착됨으로써, 한쌍의 클램프 아암(402)의 타단부에 부착된 에어 실린더(403)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작업물(W)의 외주면중 각 슈우(400)에 대향하는 부분이 각 예정 연마위치이며 ,이 연마장치에 있어서는, 연마 테이프(T)가 입구측(도면에서 우측)으로부터 출구측(도면에서 좌측)으로 향하여 진행하고, 그 도중에 슈우(400)를 통과한다. 구체적으로는, 입구측에서는, 미 사용의 연마 테이프(T)가 연마 장치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테이프 공급 릴(404)에 감기고, 거기에서 나온 연마 테이프(T)가 몇 개의 가이드 롤러(406)에 의해 가이드되고, 한쌍의 슈우(400)를 거쳐서 출구측으로 진행하고, 사용이 끝난 연마 테이프(T)가 출구측에 설치된 사용이 끝난 연마 테이프 격납상자(408)에 도달하도록 되어 있다.
연마 테이프(T)의 슈우(400) 부근에서의 경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연마 테이프(T)는, 테이프 공급 릴(404)로부터 나온 후, 몇 개의 가이드 롤러(406)에 의해, 한 쌍의 클램프 아암(402)중 입구측에 위치하는 것의 외측을 통하여 그 입구측 클램프 아암(402)에 고정된 슈우(400)에 도달한다. 그후, 바로 다른쪽의 클램프 아암(4020에 고정된 슈우(400)로 향하지는 않고, 한쌍의 클램프 아암(402)의 중간에 배치된 가이드 롤러(406)를 경유하여 다른쪽의 슈우(400)로 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연마 테이프(T)는 작업물(W)의 외주면에 2개 위치에서 동시에 접촉하지만, 연마 테이프(T)중 작업물(W)에 접촉하는 2부분의 사이에 작업물(W)에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분이 존재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연마 테이프(T)가 비접촉부분을 사이에 둔 2부분에서 각각 작업물(W)의 2개 위치에 동시에 접촉하도록 설계되는 이유로서는, 작업물(W)을 연마장치에 장착하거나 연마장치로부터 떼어낼 때에, 연마 테이프(T)를 간단하면서 확실하게 작업물(W)로부터 후퇴시켜 ,연마 테이프(T)의 교환작업을 간단히 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 이 연마장치에 있어서는, 연마 테이프(T)는 일회의 연마가 종료될 때마다, 기어에 의해 맞물리는 한 쌍의 감기 롤러(410)에 의해서 감기고, 미 사용의 연마 테이프(T)가 테이프 공급 릴(404)로부터 한쌍의 슈우(400)로 향하여 공급됨과 동시에, 사용후의 연마 테이프(T)가 사용후의 테이프 격납상자(408)에 격납된다.
이상 설명한 종래의 연마장치는, 연마중, 작업물을 회전시키는 한편, 연마 테이프를 정위치에 지지시킴으로써 작업물과 연마 테이프의 상대운동을 행하는 작업물 회전형이지만, 작업물과 연마 테이프와의 상대 운동은 예를 들면, 연마중, 연마 테이프를 계속 이동시키는 한편, 작업물을 정지시킴으로써도 실현 가능하다.
그러나, 어느 운동형식을 채용하는 경우에도, 종래의 연마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연마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필요에 따라서 작업자에 의한 연마 테이프의 교환작업이 행해진다. 연마면이 마모하여 사용에 적합하지 못하게 된 연마 테이프를 교환하거나, 연마중에 어떠한 이유로 절단된 연마 테이프의 교환이 필요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연마장치에서는, 연마 테이프 교환시에 관계하는 부품인 롤러나 슈우, 즉, 연마테이프의 경로를 규정하는 부품이 연마장치에 그로부터 분리불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래서, 종래의 연마장치에서는, 연마 테이프 교환시에는, 작업자가 하나하나 연마 테이프를 롤러로부터 해체하거나, 롤러에 감아걸거나, 연마 테이프의 경로를 그 연마 테이프가 확실하게 슈우를 통과하도록 조정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작업이 번잡했었다. 그 결과, 종래의 연마장치에서는, 연마 테이프 교환에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연마 능률을 충분히 높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 문제는, 1개의 연마 테이프로 동시에 연마되는 작업물의 위치의 수가 복수개인 경우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1개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존재한다.
이상을 요약하면, 종래의 연마장치에서는, 연마 테이프와 작업물의 상대운동에 어떠한 형식을 채용하는 경우에도, 1개의 연마 테이프로 동시에 연마되는 작업물의 위치가 복수개이든 1개이든 불문하고, 연마 테이프의 경로를 규정하는 부품이 연마장치 본체로부터 분리불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연마 테이프의 교환작업이 번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을 배경으로 하여, 본 발명의 제1구성은, 연마 테이프를 카트리지에 지지시킴으로써, 연마 테이프의 교환작업을 간단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제21도에 나타내는 종래의 연마장치는, 상기와 같이, 1개의 연마 테이프로 작업물의 2개 위치를 동시에 연마한다. 그래서, 연마 테이프는 작업물의 한 쪽의 예정연마위치에 접촉한 후, 그 작업물의 외측을 돌아 진행하는 방향을 역전시켜서 다른쪽의 예정연마위치에 접촉하지 않으면 안되며, 연마장치에 있어서의 연마 테이프의 경로가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 종래장치에서는, 연마 테이프의 교환작업이 한층 번잡해지고, 연마 테이프의 교환에 한층 긴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제21도에 나타내는 종래의 연마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도 있었다. 이 종래장치는, 각 회의 연마중에는 작업물만을 운동시키고, 각 회의 연마가 종료할 때마다 연마 테이프를 일정량씩 이송하는 작업물 회전형이다. 이 때문에, 연마 테이프중 작업물의 2개 위치에 각각 접촉하는 각 위치가 확실하게 갱신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상기와 같이, 연마 테이프중 작업물에 접촉하는 2부분의 사이에 비접촉부분이 존재하므로, 그 비접촉부분이 다음회, 정확히 작업물에 있어서의 출구측의 예정연마위치에 위치하도록 연마 테이프를 이송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비접촉부분은 전혀 사용되지 않든가, 또는 일부밖에 사용되지 않고 폐기되어버려, 낭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 종래의 장치에서는, 연마 테이프를 이송할 때에 연마 테이프의 낭비가 발생한다는 문제도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배경으로 하여, 본 발명의 제2구성은, 작업물의 복수의 위치를 동시에 연마하는 연마장치에 있어서, 작업물의 각 연마위치별로 서로 독립된 연마 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각 연마 테이프의 경로를 단순화하여 각 연마 테이프의 교환작업을 간단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3구성은, 또한, 상기 제2구성에 있어서, 각 연마 테이프를 카트리지에 지지시킴으로써, 각 연마 테이프의 교환작업을 한층 간단하게 하는 것도 과제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4구성은 또한, 연마 테이프의 종류의 일예인 폭치수를 복수개의 연마 테이프 사이에서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작업물의 복수위치에서 서로 조건이 다른 복수종류의 연마를 동시에 실행가능하게 하는 것도 과제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각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구성은, 연마 테이프를 작업물의 가공면에 예정연마위치에서 밀어누르면서 그들 연마 테이프와 작업물을 상대운동시켜서 작업물을 연마함과 동시에, 연마 테이프를 그들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연마장치에서, 본체부와, 그 본체부에 대한 탈착이 가능한 카트리지로서, (a)상기 연마 테이프를 격납하여 그 연마 테이프를 카트리지의 외부로 공급할 수 있는 테이프 공급부와, (b)연마 테이프중 상기 테이프 공급부에 의해서 카트리지의 외부로 공급된 부분을 상기 가공면에 상기 예정연마위치에서 밀어누르는 누름부재와, (c)연마 테이프중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진입한 부분을 격납가능한 테이프 격납부를 갖는 것과, 연마 중에는 상기 카트리지에 결합되지 않지만, 연마전과 연마후의 적어도 어느 한 경우에는 결합되어 상기 연마 테이프를 이송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구성은, 2개의 연마 테이프를 작업물의 가공면에 그의 작업물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예정연마위치에서 동시에 밀어누르면서 그들 연마 테이프와 작업물을 상대운동시켜서 작업물을 연마함과 동시에, 연마 테이프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예정 연마위치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신장하는 지지축을 따라 서로 접근 및 이간할 수 있는 한쌍의 클램프와, 이들 한쌍의 클램프에 설치되어 상기 2개의 연마 테이프를 상기 2개의 예정연마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할 수 있는 한쌍의 연마 테이프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구성은, 상기 제2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 연마 테이프 지지부를 각각, (i)본체부와, (ii)그 본체부에 대한 탈착가능한 카트리지로서, 적어도, (a)상기 각 연마 테이프를 격납하여 그들을 카트리지의 외부로 공급가능한 테이프 공급부와, (b)각 연마 테이프중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진입한 부분을 격납가능한 테이프 격납부를 갖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구성은, 연마 테이프에 의해 작업물을 연마하는 연마장치에서, (a)폭치수가 서로 다른 2개의 연마 테이프를 작업물의 가공면에 그 작업물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예정연마위치에서 동시에 밀어 누르는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는 연마 테이프 지지장치와, (b)상기 작업물을 그의 축선둘레에 회전시키는 작업물 회전장치와, (c)상기 연마 테이프를 그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연마 테이프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구성에 따른 연마장치에 있어서는, 연마 테이프가 연마 장치의 본체부로부터 분리가능한 카트리지에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는 카트리지를 통하여 연마 테이프의 탈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한편, 카트리지의 탈착작업은, 연마 테이프에 직접 접촉하여 행하는 종래의 탈착방법에 비하여 간단하다.
그런데, 연마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연마 테이프를 작업물로 밀어누르는 누름부재가 설치된다. 이 누름부재는 종래의 연마장치에서는 당연히, 연마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제1구성의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에 있어서는, 누름부재가 카트리지에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누름부재는 일반적으로, 연마장치에 있어서 연마 테이프의 경로를 규정하는 역활도 수행한다. 그 때문에, 제1구성의 발명에 의하면, 연마 테이프 교환시에 연마 테이프의 경로를 조정하는 작업이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생략가능해진다.
또한, 제1구성의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에 있어서는, 연마중에 카트리지가 구동원과 함께가 아니라 구동원과 독립하여 운동할 수 있으므로, 연마장치중 연마중에 운동하는 부분의 관성이 감소한다.
또 본 발명의 제2구성 내지 제4구성의 각 발명에 따른 연마장치에 있어서는, 작업물의 각 연마위치별로 상이한 연마 테이프가 사용된다. 따라서, 1개의 연마 테이프로 작업물의 복수개 위치를 동시에 연마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각 연마 테이프의 경로를 단순화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각 연마 테이프의 교환작업을 간단히 하는 것도 용이 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제3구성에 따른 연마장치에 있어서는, 각 연마 테이프가 각 연마 테이프 지지부의 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한 카트리지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는 카트리지를 연마장치로부터 해체한다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에 의해, 연마 테이프에 직접 접촉하는 일 없이 연마 테이프를 연마 장치로부터 해체하는 것이 가능하며, 연마 테이프의 교환 작업이 간단해진다.
또, 특히, 본 발명의 제4구성에 따른 연마장치에 있어서는, 연마 테이프 지지장치가, 서로 폭치수가 상이한 2개의 연마 테이프를, 작업물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2위치에서 각각 지지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물의 복수위치에 있어서 서로 조건이 다른 연마를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구성에 의하면, 연마 테이프가 카트리지를 통하여 연마장치에 지지되고 있으므로, 연마 테이프를 직접 지지하는 종래의 연마장치에 비교하여, 연마 테이프의 교환작업이 간단해진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구성에 의하면, 누름부재도 카트리지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연마 테이프 교환시에 연마 테이프의 경로를 조정하는 작업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생략가능하게 되며, 연마 테이프의 교환작업이 한층 간단해진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이 제1구성에 따르면, 연마장치 중 연마중에 운동하는 부분의 관성이 감소하고, 이에 의해 그 부분의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제2구성 내지 제4구성에 의하면, 작업물의 각 예정 연마위치 마다 연마 테이프가 서로 독립적으로 지지되고, 연마장치에 있어서의 각 연마 테이프의 경로가 복잡하게 되지 않고 일을 끝낼 수 있으므로, 연마 테이프의 교환작업이 간단해진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들 구성에 의하면, 작업물을 사이에 둔 양측중 한쪽에서 연마시에 연마 테이프로부터 작용하는 힘과 다른쪽에서 연마테이프로부터 작업물에 작용하는 힘이 동일 직선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되어 상쇄된다. 이 때문에, 연마시에 작업물이 휘지않도록 하는 수단을 강구할 필요가 없게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3구성에 의하면, 각 연마 테이프가 각 카트리지를 통하여 연마장치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각 연마 테이프의 교환작업이 한층 간단하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특히, 본 발명의 제4구성에 의하면, 작업물의 각 연마위치별로 서로 폭치수가 다른 연마 테이프가 사용가능해지므로, 서로 조건이 다른 연마를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연마능률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몇을 열거한다.
(1) 제1또는 제3구성의 연마장치로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연마 테이프의 길이방향에 있어 같은 부분은 연마에 재차 사용되지 않는 원(one)타임형인 연마장치.
(2) 제1또는 제3구성의 연마장치로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연마 테이프를 상기 테이프 공급부와 테이프 격납부의 사이를 순환가능하게 지지하고, 연마 테이프의 길이방향에 있어 같은 부분이 연마에 재차 사용되는 재사용형인 연마장치.
그리고, 이 실시태양에서는, 연마 테이프 재사용을 위한 드레서(dresser)를 카트리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1)의 연마장치로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테이프 공급부가 테이프 공급 릴, 테이프 격납부가 테이프 권취 릴이며, 그들 테이프 공급 릴과 테이프 권취 릴에 1개의 연마 테이프를 감음으로써 연마 테이프를 지지가능한 릴형인 연마장치.
(4) 제3구성, (1)내지 (3)의 어느 하나, 또는 (25)의 연마장치로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연마 테이프를 그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구동원을 구비하고 있으며 ,연마전과 연마중과 연마후의 적어도 한 경우에 있어 그 구동원에 의해서 상기 연마 테이프를 이송하는 연마장치.
(5) 제3구성, (1)내지 (3)의 어느 하나, 또는 (25)의 연마장치로서, 상기 카트리지와는 별개의 부재가, 상기 연마 테이프를 그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구동원을 구비하고 있으며, 또, 연마중에는 구동원을 카트리지로부터 퇴피시키고, 연마전과 연마후의 적어도 일 경우에서 구동원을 카트리지에 결합시켜서 연마 테이프를 이송하는 연마장치.
이 실시태양에 의하면, 연마중에 카트리지가 운동하여도 구동원은 그것과는 무관하게 정지상태로 놓여질 수 있으므로, 카트리지의 관성이 증가하지 않고, 운동이 원활하게 됨과 동시에, 구동원으로부터 신장하는 신호선, 압력 통로 등에 대하여, 특별한 절단방지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없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6) 제1내지 제3구성의 어느 하나의 연마장치로서, 또한 (a)상기 작업물을 그의 축선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작업물 지지장치와, (b)그 작업물 지지장치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작업물을 연마중, 그의 축선둘레로 회전시키는 작업물 회전장치와, (c)일회의 연마가 종료할 때마다 상기 연마 테이프를 일정량 이송하여 연마 테이프 중 상기 예정연마위치에 접촉하는 부분을 갱신하는 연마 테이프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연마중, 각 연마 테이프를 정위치에 유지하는 한편, 작업물을 그의 축선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직업물과 연마 테이프의 상대운동을 행하는 연마장치.
(7) 제1내지 제3구성의 어느 하나의 연마장치로서, 또한 , (a)상기 작업물을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작업물 지지장치와, (b)연마중, 상기 연마 테이프를 계속 이송하는 연마 테이프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연마중, 작업물을 정지시키는 한편, 연마 테이프를 이송함으로써 상기 작업물과 연마 테이프의 상대 운동을 행하는 연마장치.
(8) 제1구성의 연마장치로서, 상기 카트리지가 복수개 설치됨과 동시에, 이들 복수개의 카트리지가, 2개의 연마 테이프를 상기 작업물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각각 지지가능한 2개의 카트리지인 연마장치.
이 실시태양에 의하면, 작업물을 사이에 둔 양측중 한쪽에 있어서 연마시에 작업물에 발생하는 반경방향력과 다른쪽에 있어서 발생하는 반경방향력이 동일 직선상에서 서로 반대로 향하게 되고, 서로 균형을 이룬다. 그래서 연마시에 작업물이 휘지않도록 하는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불가결하지 않게 된다.
(9) 제1구성의 연마장치로서, 상기 카트리지가 복수개 설치됨과 동시에, 이들 복수개의 카트리지가, 3개의 연마 테이프를 상기 작업물의 축선과 직교하는 동일 평면내에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3개의 예정연마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지지가능한 3개의 카트리지인 연마장치.
(10) 제1구성의 연마장치로서, 상기 카트리지가 복수개 설치됨과 동시에, 이들 복수개의 카트리지가, 상기 작업물의 축선과 90도로 교차하는 동안 평면내에 설정된 복수개의 예정연마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각 연마 테이프를 지지가능한 것인 연마장치.
(11) 제1구성의 연마장치로서, 상기 카트리지가 복수개 설치됨과 동시에, 이들 복수개의 카트리지가 ,상기 작업물의 축선과 0도 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각도로 교차하는 동일 평면내에 설정된 복수의 예정연마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각 연마 테이프를 지지가능한 것인 연마장치.
(12) 제3구성 또는 (25)의 연마장치로서, 상기 각 카트리지가, 또한, 상기 각 연마 테이프를 상기 작업물의 각 예정연마위치로 밀어누르는 누름부재를 갖는 연마장치.
제3구성 또는 (25)의 발명은 누름부재를 연마장치 본체에 설치하는 태양으로 실시가능하지만, 카트리지 자체에 설치하면, 연마 테이프 교환시에 하나 하나 연마 테이프를 누름부재에 접촉시키거나, 누름부재로부터 이탈시키는 작업이 생략되고, 연마 테이프 교환이 한층 경감된다.
(13) (3)의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테이프 공급릴에 감겨있는 연마 테이프가 상기 테이프 권취릴에 의해 테이프 공급릴로부터 풀릴때에 테이프 공급릴에 회전저항을 부가하는 회전저항부가기구를 갖는 연마장치.
이 실시태양에 의하면, 테이프 공급릴에 감겨있는 연마 테이프가 테이프 권취릴에 의해 풀릴때나, 연마시에 작업물의 원통면이 회전됨에 따라서 연마 테이프가 당겨질 때에, 연마 테이프의 느슨해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14) (13)의 연마장치로서, 상기 회전저항 부가기구가, 상기 카트리지의 하우징과 상기 테이프 공급릴의 사이에 탄성부재를 개재시키는 것인 연마장치.
(15) (14)의 연마장치로서,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테이프 공급릴에 동축적으로 배치되고, 원환판형을 이루고, 원주방향에서 파형으로 변형된 강제의 웨이브 와셔인 연마장치.
(16) (14)또는 (15)의 연마장치로서, 상기 회전저항 부가기구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변형량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회전저항을 조정하기 위하여 조작되는 회전저항 조정기구를 갖는 연마장치.
(17) (3)의 연마장치로서, 상기 테이프 권취릴이 상기 카트리지의 하우징에 일방향 클러치를 통하여 부착되어, 테이프 권취릴이 연마 테이프를 감는 방향의 회전은 허용하지만 연마 테이프를 푸는 방향의 회전은 저지하는 연마장치.
이 실시태양에 의하면, 연마시에 테이프 권취릴로부터 연마 테이프를 일출시지지 않고 마칠 수 있으며, 연마 테이프 중 테이프 권취 릴과 작업물의 사이의 부분에 휨이 발생하지 않고 작업을 마칠수가 있다.
(18) (3)의 연마장치로서,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기 테이프 권취릴의 회전에 의해서 감기는 연마 테이프의 양(이송량)을 검출하는 미 사용 연마 테이프 권취량 센서와, 그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테이프 권취릴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연마장치.
(19) (3)의 연마장치로서,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기 테이프 권취릴이 실제로 감겨있는 사용후의 연마 테이프의 양을 검출하는 사용이 끝난 연마 테이프 축적량과, 그 센서로부터 출력 신호에 의거하여, 각 카트리지의 교환의 필요성을 경보기를 통하여 작업자에 경고하는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연마장치.
(20) (3)의 연마장치로서,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기 테이프 공급릴이 현재 감겨있는 미 사용 연마 테이프의 양을 검출하는 미 사용 연마 테이프 축적량 센서와, 그 센서로부터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각 카트리지의 교환의 필요성을 경보기를 통하여 작업자에 경고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연마장치.
(21) 제2또는 제3구성의 연마장치로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또한 그 프레임에 상기 한쌍의 클램프가 연결되어 있고, 이 연마장치가, 상기 각 연마 테이프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는 각 연마 테이프를 그들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연마 테이프 이송장치(예를 들면, 구동원으로서의 모터, 그 모터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 등으로 구성되는)와, 상기 작업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작업물 지지장치와, 그 작업물 지지장치에 지지된 작업물을 그의 축선둘레로 회전시키는 작업물 회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연마 시스템.
(22) (21)의 연마장치로서, 상기 한쌍의 클램프가 상기 프레임에, 상기 작업물 지지장치에 지지되어 있는 작업물의 회전축선과 교차하는 평면내에서 상대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연마중에 작업물중 연마될 부분이 공전하는 경우에 그 공전에 추종하여 상기 한쌍의 연마 지지부가 운동되는 연마장치.
(23) 제1구성 또는 (12)의 연마장치로서, 상기 카트리지에서의 상기 누름 부재가 , 상기 직업물의 예정연마위치에 1개 위치에서, 또한 좁은 면으로(예를 들면, 선상의 누름면에서)또는 넓은 면으로(예를 들면, 면상의 누름면에서)접촉하는 것인 연마장치.
(24) 제1구성 또는 (12)의 연마장치로서, 상기 카트리지에서의 상기 누름 부재가, 상기 작업물의 예정연마위치에 복수의 위치에서, 또 각 위치에서는 좁은 면으로(예를 들면, 선상의 누름면에서)또는 넓은 면으로(예를 들면, 면상의 누름면에서)접촉하는 것인 연마장치.
(25) 제4구성의 연마장치로서, 상기 연마 테이프 지지장치가, 상기 각 연마 테이프를 상기 각 예정연마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서로 독립하여 지지할 수 있는 한쌍의 연마 테이프 지지부를 포함하고, 또한 각 연마 테이프 지지부가, (i)본체부와, (ii)그 본체부에 대한 탈착이 가능한 카트리지로서, 적어도, (a)상기 각 연마 테이프를 격납하여 그것을 카트리지의 외부에 공급할 수 있는 테이프 공급부와, (b)각 연마 테이프중 카트리지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진입한 부분을 격납할 수 있는 테이프 격납부를 갖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연마장치.
이하, 본 발명의 몇개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연마장치를 포함하는 연마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이 연마 시스템은, 축선을 갖는 작업물을 그의 축선둘레로 회전시키는 한편, 정위치에 지지시킨 연마 테이프(T)를 그 작업물에 누름으로써 연마를 행함과 동시에, 일회의 연마가 종료할 때마다 연마 테이프(T)를 일정량씩 이송하고, 각 회의 연마를 연마 테이프(T)의 새로운 부분에서 행한다. 또한, 이 연마 시스템은 작업물의 가공면에 그 작업물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예정연마위치에서 2개의 연마 테이프(T)를 각각 동시에 밀어누름으로써, 각 예정연마위치별로 서로 독립된 연마를 행한다.
이 연마 시스템에 의해 연마될 작업물은, 복수의 외주면이 연이어 형성된 작업물의 일예인 크랭크 샤프트이다.
크랭크 샤프트(10)는,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엔진에서 사용되는 부품이며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실린더 블럭에 지지되는 저널부(12)와, 피스톤과 커넥팅 로드에 의해 연결되는 핀부(14)가 번갈아 이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저널부(12)는 크랭크 샤프트(10)의 회전축선과 동축선으로 배치되는 데 반해, 핀부(14)는 크랭크 샤프트(10)의 회전축선으로부터 오프 셋하여 배치되고, 이로써, 피스톤의 왕복운동이 크랭크 샤프트(1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된다. 크랭크 샤프트(10)에서 서로 인접한 저널부(12)와 핀부(14)는 반경방향으로 뻗는 아암(16)에 의해 결합되고, 그 아암(16)의 양단부중 핀부(14)와의 접촉측은 반대측의 단부에 균형추(balance weight; 18)가 형성되어 있다. 또, 크랭크 샤프트(10)의 일단부에는 출력용 플랜지(19)가 형성되어 있다.
연마 시스템은, 그들 각 저널부(12)의 외주면(이하 「저널면」이라고도 한다)과 각 핀부(14)의 외주면(이하「핀면」이라고도 한다)을 각각 연마한다. 구체적으로는, 1개의 크랭크 샤프트(10)에 형성된 복수의 저널면에 대하여 일제히 연마를 행하는 공정과, 1개의 크랭크 샤프트(10)에 형성된 복수의 핀면에 대하여 일제히 연마를 행하는 공정의 조합에 의해, 1개의 프랭크 샤프트(10)에 대한 연마를 행한다. 그리고, 이 연마는, 크랭크 샤프트(10)의 저널면 및 핀면의 표면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행해지는 정밀가공공정의 일예로서, 가공액의 존재하에 숫돌입자 부착 페이퍼인 연마 테이프(T)에 의해 행해지는 페이퍼 랩 가공이다.
연마 시스템은,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20), 클램프 유니트(22), 한쌍의 연마 테이프 지지부(24), 작업물 지지장치(26), 작업물 회전장치(28)및 진동발생장치(3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연마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저널면과 복수의 핀면에 대하여 각각 일제히 연마를 행하는 것이므로, 클램프 유니트(22)와 한쌍의 연마 테이프 지지부(24)로 이루어지는 가동부인 연마 유니트(U)를 저널면 또는 핀면의 수와 동일수 구비하고 있지만, 도면에는, 1개의 연마 유니트(U)만이 대표적으로 나타나 있다.
작업물 지지장치(26)는, 수평면을 갖는 테이블(31a)을 구비하고 있다. 그 테이블(31a)에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결합부(31b;센터 등을 포함한다)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들 결합부(31b)는 크랭크 샤프트(10)의 양단부에 결합하여 크랭크 샤프트(10)를 그의 축선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단, 테이블(31a)은, 측면도인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로서의 프레임(20)에 레일(31c)를 통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크랭크 샤프트(10)의 축선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작업물 지지장치(26)는, 구동 핀(31d)이 편심위치에 고정된 구동 샤프트(31e)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핀(31d)은, 2개의 결합부(31b)에 의해 지지된 크랭크 샤프트(10)의 출력용 플랜지(19)에 그 축선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구멍(31f; 제2도 참조)에 끼워 넣고, 구동 샤프트(31e)를 크랭크 샤프트(10)와 일체적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구동 샤프트(31e)는, 상대부의 결합부(31b)에 대한 접근 및 이간이 가능하게 작업물 지지장치(26)에 지지되어 있으며, 접근 및 이간은 구동원으로서의 에어 실린더(31g)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작업물 지지장치(26)는, 그가 지지하고 있는 크랭크 샤프트(10)의 회전방향 위치를 특정한 위치에 위치결정하고 있는 위치결정 기구도 구비하고 있다, 위치결정 기구는, 정면도인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구동 샤프트(31e)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31h)로서 (부착위치에 대해서는 제3도 참조), 특정의 원주방향 위치에 절결부(31i)가 형성한 것과, (b)구동원으로서의 에어 실린더(31j)와, (c) 그 에어 실린더(31j)에 의해 회전체 (31h)에 대한 접근 및 이간이 행해지는 결합부(31k)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결합부(31k)는, 에어 실린더(31j)에 의해 변위되고, 평상시는 회전체(31h)로부터 퇴피되어 있다. 그러나, 결합부(31k)는, 크랭크 샤프트(10)를 특정의 회전방향위치에 위치결정할 필요가 있을 때 에어 실린더(31j)에 의해 회전체(31h)의 외주면에 눌려서 슬라이딩 접촉하고, 크랭크 샤프트(10)의 회전방향위치가 특정의 것으로 되었을 때에 절결부(31i)에 끼워넣어 회전체(31h)를 그 위치에 로크한다. 그리고, 크랭크 샤프트(10)에 대한 연마가 종료되고, 또, 그 후에 비로소 근접 스위치(31m)가, 회전체(31h)와 함께 회전하는 도그(dog; 31n)를 검출하였을 때부터 회전체(31h)는 후술하는 모터에 의해 감속되고, 그 상태에서 에어 실린더(31j)가 결합부(31k)를 회전체(31h)에 접근시킨다, 따라서, 회전체(31h)의 회전속도가 너무 빠르므로 결합부(31k)를 절결부(31i)에 끼워 넣을 수 없다는 사태의 발생도, 끼워넣기는 하였지만, 결합부(31k)가 절결부(31i)에 강하게 접촉하여 기계적 손상을 발생한다는 사태의 발생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한편, 작업물 회전장치(28)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윈으로서의 모터(28a)에 의해, 구동 샤프트(31e)에 축선둘레의 회전운동을 부여한다. 작업물 회전장치(28)는 프레임(20)에 고정되어 있지만, 모터(28a)의 회전축이 구동 샤프트(31e)에 대하여 스플라인 끼워맞춤되고, 축방향 슬리이당 가능하면서 상대회전불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테이블(31a)이 수평면내에서 이동하는 상태가 확보된다.
제1도에 나타내는 진동발생장치(30)는, 연마중에, 테이블(31a), 나아가서는, 작업물 지지장치(26)에 축방향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크랭크 샤프트(10)에 축선방향의 진동을 가한다. 한편, 크랭크 샤프트(10)에 있어서는 제2도에 나태는 바와 같이, 각 저널부(12)및 각 편부(14)에 각각, 축방향 중앙위치에서 상대부품과 접촉하는 원통면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의 양측위치에서 각각 홈(또는 모서리의 R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마 테이프(T)에 의해서 연마될 원통면의 길이(D), (D')는, 각 저널부(12) 또는 각 핀부(14)의 길이 (C), (C')보다 짧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마 테이프(T)의 폭치수가 길이(D)와 대략 같게 설정되고, 연마 테이프(T)가, 연마될 원통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각 저널부(12)및 각 핀부(14)를 그의 축선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진동발생장치(30)에 의해 연마중에 크랭크 샤프트(10)에 축방향 진동이 가해지면, 크랭크 샤프트(10)의 회전운동과 축방향 왕복운동이 합성되어서, 각 저널면 및 각 핀면에 크로스해칭 패턴(cross hatching pattern)의 긴자국이 형성되고,이로써 이들의 저널면 및 핀 면의 표면조도 및 윤활제 지지성이 향상된다.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20)중 작업물 지지장치(26)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수하부(34)가 매달려 있으며, 이 수하부(34)에 클램프 유니트(22)가 부착되어 있다. 클램크 유니트(22)는, 한 쌍의 연마 테이프 지지부(24)를 서로 접근시키는것과 서로 이간시키는 것을 선택적으로 행하는 것이며, 정면도인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36)와 한쌍의 클램프 아암(38)을 구비하고 있다.
연마 유니트(U)가 크랭크 샤프트(10)중 저널부(12)만 연마하면, 저널부(12)는 크랭크 샤프트(10)의 회전축선과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연마 유니트(U)가 연마중에 수직면내에서 운동가능하게 하는 것은 불가결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연마 유니트(U)는 크랭크 샤프트(10)중 핀부(14)도 연마하고, 그 핀부(14)는 연마중, 크랭크 샤프트(10)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공전하므로, 연마 유니트(U)는 연마중, 핀부(14)의 공전에 추종하여 수직면내에서 운동가능하게 하는 것이 불가결하다. 그래서 클램프 유니트(22)는 프레임(20)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연결되어 있다.
클램프 유니트(22)의 본체부(36)의 상단부에는 핀 구멍(40)이 형성되고, 이에 대하여, 프레임(20)의 수하부(34)에는 상하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36)는 수하부(34)에, 그들 핀 구멍(40)과 긴 구멍(42)의 쌍방에 핀(44)을 끼워넣음으로써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본체부(36)가 핀(44)의 축선의 둘레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핀(44)이 긴 구멍(42)를 따라서 상하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연마 유니트(U)는, 상하운동가능한 핀 구멍(40)을 중심으로 수직면내에서 요동가능하게 되어있다.
본체부(36)의 하단부에도 핀 구멍(48)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핀 구멍(48)은, 본체부(36)의 운동을 규제하고, 본체부(36)를 특정위치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것이며, 수하부(34)에 내장된 에어실린더(49)를 구동원으로서 작동시키는 위치결정부재로서의 핀(50)을 끼워넣은 것이다. 핀(50)은, 연마중에는, 핀 구멍(48)으로부터 퇴피되어서 본체부(36)의 운동을 허용하고, 한쌍의 연마 테이프 지지부(24)에 대한 작업물(W)의 탈착이 행해질때 등에는, 핀 구멍(48)에 삽입되서 본체부(36)를 특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이 핀(50)을 핀 구멍(48)으로 끼워넣는 것은, 상기 작업물 지지장치(26)에서 에어 실린더(31j)를 포함하는 위치결정기구에 의해 크랭크 샤프트(10)의 회전방향위치가 특정의 위치결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행해진다.
본체부(36)에는, 서로 평행한 한쌍의 지지축(5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춰져 있다. 그들 지지축(54)은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그들 각 지지축(54)의 양단부는 본체부(36)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각 지지축(54) 중 도면에 있어서 좌측에 노출된 부분에는 한쌍의 클램프 아암(38)중 좌측의 것(이하 「좌클램프 아암」이라 한다)의 기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각 지지축(54)중 도면에 있어서 우측으로 누출된 부분에는 한쌍의 클램프 아암(38)중 우측의 것(이하 「우클램프 아암」이라 한다)의 기단부가 지지축(54)의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각 지지축(54)중 도면에서 우측으로 노출된 부분의 선단부에는, 클램프 실린더(58)의 하우징(56)이 고정되고, 클램프 실린더(58)로부터 뻗어나오는 로드(60)의 선단부가 우클램프 아암(38)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클램프 실린더(58)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압 작동식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클램프 유니트(22)에 있어서는, 클램프 실린더(58)가 로드(60)를 끌어당김으로써, 한쌍의 클램프 아암(38)이 서로 이간되고, 반대로, 클램프 실린더(58)가 로드(60)를 뻗어나오게 함으로써, 한쌍의 클램프 아암(38)이 서로 접근된다.
이상, 연마 유니트(U)중 클램프 유니트(22)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한쌍의 연마 테이프 지지부(24)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한쌍의 연마 테이프 지지부(24)의 구성은 서로 공통이므로, 그들의 한쪽만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다른쪽의 설명은 생략한다.
연마 테이프 지지부(24)는,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 아암(38)의 선단부에 형성된 본체부(64)와 카트리지(70)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64)에 카트리지 격납실(74)이 형성되고, 그 카트리지 격납실(74)에 카트리지(70)가 탈착가능하게 격납된다.
클램프 아암(38)의 선단부에는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결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80)는 다른쪽의 클램프 아암(38)에 형성된 절결부(8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개구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램프 아암(38)의 선단부에는, 절결부(80)를 그의 양측(도면에서 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부터 폐쇄하도록 폐쇄부재로서의 한쌍의 판부재(82)가 부착되어 있다. 그들 절결부(80)와 판부재(82)에 의해 카트리지 격납실(74)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쌍의 카트리지 격납실(74)은, 각각 상하방향으로 뻗음과 동시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개구하는 바닥이 있는 공간으로 되어 있다. 판부재(82)에는,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격납실(74)에 격납된 카트리지(70)의 상태를 외부로부터 감시하기 위한 창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 있어서의 한쌍의 클램프 아암(38)중 좌측의 것은, 판부재(82)의 부착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한편, 우측의 것은, 판부재(82)의 부착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카트리지(70)는, 사시도인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연마 테이프(T)를 동일 평면내에 배치된 한쌍의 릴에 감아서 지지하는 것이며, 하우징(90)과 테이프 공급 릴(92)과 테이프 권취 릴(94)과 누름부재로서의 슈우(9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좌측의 카트리지(70)는, 테이프 공급 릴(92)의 회전중심과 테이프 권취 릴(94)의 회전중심을 동시에 포함하는 일평면에서 절단한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하우징(90)은 상자형을 이루고, 그의 외면이 6면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들 6면중 한쌍의 릴(92), (94)의 회전평면에 평행한 2면중 한쪽에서 개방되어 있다, 그러나, 카트리지(70)가 카트리지 격납실(74)에 격납된 상태에서는, 한쪽의 판부재(82)가 하우징(90)의 그 개방면을 폐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트리지(70)의 두께가 가능한한 얇아지도록 함으로써, 카트리지(7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90)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알루미늄제로 되어 있으며, 이로써도 카트리지(70)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있다.
하우징(90)의 외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판중, 카트리지 격납실(74)에 격납된 상태에서 가장 윗쪽에 위치하는 판의 외면과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판의 외면에는 각각, 제1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신장하는 평행면(90a)과 그 평행면(90a)에 대하여 경사져서 신장하는 경사면(90b)이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경사면(90b)은, 각 평행면(90a)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간격이 좁아지고, 끝이 가는 테이퍼형을 이루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한쌍의 경사면(90b)에 의해, 카트리지(70)를 카트리지 격납실(74)에 원활하게 삽입가능하게 되고, 또한, 한쌍의 평행면(90a)에 의해, 카트리지(70)가 상하방향으로 유동없이 카트리지 격납실(74)에 격납가능해진다.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90)의 6면중 개방면과는 반대측의 면이 저면으로되고, 그 저면을 형성하는 바닥판(96)으로부터는 칸막이 부재(98)가 개방면을 따라서 뻗어있다. 칸막이 부재(98)는 바닥판(96)의 면을 따라서 두갈래로 분기하여 뻗어있다. 이 칸막이 부재(98)에 의해, 하우징(90)내의 공간이 3개로 구획되고, 각각 테이프 공급 릴 격납실(100), 테이프 권취 릴 격납실(102)및 로크실(104)로 되어 있다. 테이프 공급 릴 격납실(100)에는 테이프 공급 릴(92), 테이프 권취 릴 격납실(102)에는 테이프 권취 릴(94)이 각각 격납된다.
카트리지(70)에 있어서의 테이프 공급 릴(92)과 테이프 권취 릴(94)의 각각의 회전기구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공급 릴(92)은 단면도인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90)의 바닥판(96)에 회전가능하게 세워설치된 플랜지부 부착의 회전축(110)에 지지된다. 테이프 공급 릴(92)은 회전축(110)에 축방향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상대 회전불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그 상대회전 저지수단으로서, 회전축(110)에 핀(111a)이 직경방향으로 관통됨과 동시에, 그 핀(112)이 끼워넣어지는 홈(111b)이 테이프 공급 릴(92)의 내주면에 축선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 공급 릴(92)에는, 테이프 권취 릴(94)의 회전에 의해서 테이프 공급 릴(92)로부터 연마 테이프(T)가 풀릴 때에 연마 테이프(T)에 느슨해짐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테이프 공급 릴(92)에 회전저항을 부가하기 위한 기구도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 공급 릴(92)은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회전부재(112)를 통하여 회전축(110)에 지지되어 있다. 회전부재(112)는 테이프 공급 릴(92)과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해지고, 또, 회전부재(112)는 그의 바닥판(114)과 하우징(90)의 바닥판(96)의 사이에서 환상공간(115)을 형성하도록 회전축(110)에 끼워넣어져 있다. 환상공간(115)에는 한쌍의 스페이서(116)와 웨이브 와셔(118)가 설치되어 있다. 웨이브 와셔(118)는, 대략원환판형을 이루지만, 원주방향을 따라서 파형으로 변형되어 있는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도록된 강제 와셔이다. 웨이브 와셔(118)는 한쌍의 스페이서(116)에 끼여있고, 또, 그들의 스페이서(116)및 웨이브 와셔(118)는 모두 회전축(110)에 끼워져 있다.
따라서, 바닥판(114)은 한쌍의 스페이서(116)와 웨이브 와셔(118)을 통하여 바닥판(96)에 결합되고, 이로써, 회전부재(112)와 바닥판(96)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나아가서는, 테이프 공급 릴(92)의 회전에 저항이 부여된다. 즉, 주로 웨이브 와셔(118)가 테이프 공급 릴 회전저항 부가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회전부재(112)에는 회전축(110)에 평행하게 암사나부(120)가 복수개 관통되고, 각각에 세트 나사(122)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각 세트 나사(122)는 선단부에 있어서 스페이서(116)에 결합되어 있다. 세트 나사(122)를 깊게 나사결합할수록 세트나사(122)와 바닥판(96)의 간격이 좁혀지고, 웨이브 와셔(118)의 판두께가 얇아진다. 그 결과, 웨이브 와셔(118)에 그의 면에 직각인 방향에 발생하는 탄성력이 증가하고, 회전부재(112)와 바닥판(96)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증가하여, 테이프 공급 릴(92)의 회전저항이 증가한다. 즉, 주로 세트 나사(122)가 테이프 공급릴 회전저항 조정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 있어서, 부호(124)는 슬리브를 나타내고, 부호 125는 와셔를 나타내고 있다, 슬리브(124)는 회전축(110)에 의한 바닥판(96)의 마모를 억제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또, 와셔(125)는 회전축(110)의 플랜지부와 바닥판(96)의 사이에 있어서의 마찰력을 웨이브 와셔(118)에 의거하는 마찰력을 보다 저하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한편, 테이프 권취 릴(94)에는, 연마중에 테이프 릴(94)이 권취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연마 테이프(T)에 느슨해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지만, 테이프 권취 릴(94)에는 모터가 결합되어서 연마 테이프(T)를 권취하기 위한 회전 토크가 부여되지만, 연마중에는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126)가 테이프 권취 릴(94)로부터 퇴피되고, 또, 크랭크 샤프트(10)가, 연마 테이프(T)를 권취 릴(94)로부터 끌어내는 방향의 마찰력이 연마 테이프(T)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 때문에, 테이프 권취 릴(94)은, 도면에서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90)의 바닥판(96)에 역회전 방지기구로서의 일방향 클러치(128)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130)에 상대회전 불능하면서 축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일방향 클러치(128)는 회전축(130)의 양회전방향중, 테이프 권취 릴(94)이 연마 테이프(T)를 권취방향의 회전만 허용하고, 테이프 권취 릴(94)로부터 연마 테이프(T)가 풀리는 방향의 회전은 저지하는 클러치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연마중에 크랭크 샤프트(10)가 연마 테이프(T)를 끌어당기려 하여도 일방향 클러치(128)에 의해 테이프 권취 릴(94)의 연마 테이프(T)가 풀리는 방향의 회전이 확실하게 저지되므로, 연마중에 연마 테이프(T)에 느슨해짐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회전축(13)과 상기 모터(126)의 결합은 클러치 기구의 일예인 맞물림 클러치(132), (134)에 의해 행해진다. 회전축(130)에는 맞물림 클러치(132; 피동측 결합부재), 모터(126)에는 맞물림 클러치(134; 구동측 결합부재)가 각각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단, 한쌍의 맞물림 클러치 (132), (134)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항시 맞물려 있는 것은 아니며, 연마중이 아닌 때로서, 상기 연마 유니트(U)가 특정한 위치에 위치결정 되었을 때에 한하여 맞물리게 된다.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랭크 샤프트(10)중 핀부(14)에 대하여 연마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카트리지(70)가 수직면내에서 요동하게 된다. 그 때문에, 그에 항시 모터(126)를 결합시켜 두는 경우에는, 모터(126)로부터 신장하는 와이어의 절단방지대책이 필요해지고, 또, 카트리지(70)전체의 중량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마중에는 모터(126)를 카트리지(70)로부터 퇴피시키는 것으로 한 것이다.
제8도에는, 그들 모터(126)와 카트리지(70)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면은, 연마 유니트(U)의 수가 2개인 경우로서, 모터(126)가 카트리지(70)로부터 퇴피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126)는 가동부재로서의 슬라이더(142)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20)에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신장하는 한쌍의 가이드 바아(144)가 고정되어 있으며, 그들 가이드 바아(144)에 슬라이더(142)가 축방향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모터(126)는, 평상시에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권취 릴(94)와 맞물림 클러치(132)로부터 퇴피되어 있어서, 카트리지(70)가 수직면내에서 요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리고, 클램프 아암(38)의 본체부(36)의 핀 구멍(40)에 핀(44)이 끼워져, 클램프 아암(38)이 특정의 위치에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에어 실린더(152)가 로드(154)를 뻗어나오게 함으로써 모터(126)를 카트리지(70)에 접근시키고, 모터(126)의 맞물림 클러치(134)를 테이프 권취 릴(94)의 맞물림 클러치(132)에 맞물린다. 그후, 모터(126)를 회전시켜서 테이프 권취 릴(94)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모터(126)를 제어하는 기술에 있어서는 뒤에서 상술한다.
카트리지(70)에 있어서는,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 사용의 연마 테이프(T)가 테이프 공급 릴(92)에 감겨서 지지되고, 그 테이프 공급 릴(92)로부터 나온 연마 테이프(T)가 일단 카트리지(70)의 외부로 나온 후에 테이프 권취 릴(94)에 권취된다, 카트리지(70)의 외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판중 다른쪽의 카트리지(70)와 대향하는 전판(前板; 150)이 그의 양단부에서 각각 개구되고, 그 개구부가 각각 연마 테이프(T)의 출구 및 입구로 되어 있는 것이다. 또, 그들 출구와 입구에는 각각, 연마 테이프(T)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15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70)의 외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판중 클램프 아암(38)으로의 정착상태에서 가장 윗쪽에 위치하는 상판과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판에는 각각, 관통공(15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158)은, 연마 테이프(T)의 권취시에 연마 테이프(T)에 부착하여 카트리지(70)내로 진입한 가공액이 자연적으로 낙하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공(158)이, 상판과 하판의 각각에, 가이드 롤러(154)에 가까운 위치에서 설치되어 있다, 연마 테이프(T)에 부착한 가공액은 가이드 롤러(154)에 닦여서 그 위치에 가공액이 고이기 쉽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판과 하판의 각각의 내면에, 가이드 롤러(154)로 향하여 내려가는 경사면(160)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카트리지(70)내에 진입한 가공액이 자연적으로 관통공(158)으로 향하여 유동하여 관통공(158)으로 모여들도록 되어 있다.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90)의 전판(150)에는 상기 슈우(95)가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슈우(95)는, 연마 테이프(T)중 양단부를 한쌍의 가이드 롤러(154)에 지지된 부분의 내면에 접촉하고, 그 부분을 크랭크 샤프트(10)의 저널면 또는 핀면(이하, 그들을 「연마면」이라 총칭한다)에 밀어누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슈우(95)가 선단부에 V자형의 홈을 갖는 블럭으로 되어 있으며, 연마 테이프(T)를 크랭크 샤프트(10)의 연마면에 그의 원주방향으로 떨어져있는 2개 위치에서 동시에 밀어누른다.
그리고, 슈우(95)는, 작업물의 외주면에 연마 테이프(T)를 통하여 작업물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나란한 2개 위치에서 집중적으로 접촉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누름 부재로서의 슈우는, 여러가지의 형상의 채용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1개 위치에서 집중적으로 접촉하는 형상으로 하거나, 1개 위치에서 넓게 접촉하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1개 위치에서 넓게 접촉하는 슈우의 일예가, 제20(a)도에 나타나 있으며, 이 슈우는, 작업물에 접촉하는 측의 접촉측 부재로서, 부분원환형의 단면(예를 들면, C자형의 단면)으로 반듯이 뻗는 부재(예를 들면, 2분할한 원통부재)를 갖는 것이다.
또, 슈우는, 작업물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줄지은 3개 위치 이상의 부분에서, 더욱이, 각 부분에서 넓게 접촉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일예를 제20(b)도에 나타내고 있다. 이 슈우는, 접촉측 부재로서, 각각 작업물의 외주면에 연마 테이프(T)를 통하여 접촉가능한 부분 원통면을 갖는 3개의 접촉측 부재를 갖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슈우(95)는, 연마 테이프(T)에 접촉하는 부분과 하우징(90)에 부착되어 있는 부분에서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되고, 구체적으로는, 연마 테이프(T)에 접촉하는 부분은 내마모성 향상을 위하여 세라믹제, 하우징(90)에 부착되어 있는 부분은 철제로 되어 있다.
단, 슈우(95)는, 여러가지의 재료를 채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연마 테이프(T)에 접촉하는 부분은, 우레탄 등, 연마시에 탄성변형가능한 탄성체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카트리지(70)를 카트리지 격납실(74)에 격납한 상태에서는, 카트리지(70)가 카트리지 격납실(74)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또, 연마중에 카트리지(70)가 카트리지 격납실(74)내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트리지(70)와 클램프 아암(38)에 로크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로크기구를 제6도, 제9도 및 제10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90)의 외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판중 전판(150)에 대향하는 후판(170)에는, 상기 로크실(104)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절결부(17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172)는, 카트리지(70)를 카트리지 격납실(74)내에 장전할 때에 후술의 로크 플레이트가 상기 로크실(104)내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며, 카트리지(70)의 상기 개방면으로 개구하여 각 릴(92), (94)의 회전축선에 평행하게 신장하는 U자형으로 되어 있다.
로크 플레이트(176)는,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180)에 의해서 클램프 아암(38)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축(180)은, 클램프 아암(38)중 카트리지 격납실(74)의 저부를 형성하는 바닥판(178)을 관통하고, 그 바닥판(178)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180)중 카트리지 격납실(74)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숫나사부(182)가 형성되고, 그에 로크 플레이트(176)의 일단부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한편, 회전축(180)중 클램프 아암(38)의 외축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조작부(186)가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회전축(180)의 축방향 대략 중간위치에는 단(段)형성면(188)이 형성되고, 그곳에 리테이너(190)가 지지되어 있다. 리테이너(190)는, 조작부(186)에 가까운쪽의 면이 단형성면(188)에 결합함으로써 조작부(186)에 접근하는 것을 저지받고 있으며, 한편, 로크 플레이트(176)에 가까운 쪽의 면이 그 로크 플레이트(176)와 공동하여 탄성부재로서의 코일형의 스프링(192)을 지지하고 있다. 스프링(192)은, 그 탄성력에 의해, 로크 플레이트(176)가 회전축(180)에 대하여 함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로크 플레이트(176)가 회전축(18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수단으로서, 회전축(180)의 선단부에 E링(194)이 장착되어 있다.
로크 플레이트(176)는, 카트리지(70)가 카트리지 격납실(74)에 격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언로크(unlock) 위치에 있다. 언로크 위치라함은, 제10(a)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플레이트(176)가 수평으로 뻗는 위치로서, 카트리지(70)가 카트리지 격납실(74)에 격납되었을 때에 존재하게 되는 절결부(172)에 대하여 평행으로 되고, 카트리지(70)의 후판(170)이 로크 플레이트(176)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위치이다.
이에 대하여, 카트리지(70)가 카트리지 격납실(74)에 격납되고, 또, 작업자가 조작부(186)를 회전조작하면, 그 당초에는, 로크 플레이트(176)와 카트리지(70)의 후판(170)의 내면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므로, 로크 플레이트(176)는 회전축(180)과 함께 회전하고, 로크위치로 된다. 로크 위치라함은, 제10(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플레이트(176)가 절결부(172)에 직교하는 위치이다. 후판(170)에는, 로크 플레이트(176)가 직교위치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96)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크 플레이트(176)가 절결부(172)에 직교하는 로크위치로 되면, 카트리지(70)의 후판(170)이 로크 플레이트(176)를 통과하는 것이 저지되고, 카트리지(70)가 카트리지 격납실(74)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저지된다.
그러나, 단순히 로크 플레이트(176)를 결절부(172)에 직교시킨 것만으로는, 로크 플레이트(176)와 카트리지(70)의 후판(170)의 내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므로, 연마중, 카트리지(70)에 움직임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크 플레이트(176)가 회전축(18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나사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로크 플레이트(176)가 로크위치에 도달한 후에도, 조작부(186)를 추가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크 플레이트(176)는 스토퍼(196)에 의해 로크위치로 지지되므로, 그와 같은 로크 플레이트(176)에 대하여 조작부(186)가 접근한다. 그 결과, 로크 플레이트(176)와 조작부(186)에서 카트리지(70)의 후판(170)과 클램프 아암(38)이 강하게 끼이고, 연마중에 있어서의 카트리지(70)의 유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70)에 있어서 연마 테이프(T)가 모터(126)에 의해 권취되는 양은 권취량 검출장치, 사용후의 연마 테이프(T)의 축적량은 축적량 검출장치에 의해 각각 검출된다.
권취량 검출장치(200)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6도 및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모터(126)에 의한 연마 테이프(T)의 권취와 함께 회전하는 기어(202)와, (b) 그 기어(202)의 회전량을 연마 테이프(T)의 권취량으로서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권취량 센서(204)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어(202)는, 카트리지(70)의 외부에 있어서, 한쌍의 가이드 롤러(154)중 카트리지(70)를 클램프 아암(38)에 장착한 상태에서 가장 윗쪽에 위치하는 것에 동축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권취량 센서(204)는, 클램프 아암(38)에 부착되어 있다. 카트리지(70)가 크램프 아암(38)에 장착된 상태에서 기어(202)에 근접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또, 권취량 센서(204)는, 기어(202)의 외주면에 일정 피치로 성형된 복수의 톱니(齒)의 각각을 자기적으로 검출하고,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스위치로 되어 있다.
한편, 축적량 검출장치(210)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6도 및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사용후의 연마 테이프(T)가 감긴상태에서의 테이프 권취릴(94)의 외경에 따라 변위하는 변위부재로서의 플런저(212)와, (b) 그 플런저(212)변위를 사용후의 연마 테이프(T)의 축적량으로서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축적량 센서(2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런저(212)는,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70)의 후판(170)과 클램프 아암(38)의 바닥판(178)를 동시에 관통하고, 또, 그 양단부가 각각 테이프 권취 릴(94)과 클램프 아암(38)에 부착된 축적량 센서(214)에 각각 면해 있다. 플런저(212)는, 클램프 아암(38)에 축방향 변위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항상 테이프 권취 릴(94)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그러나, 플런저(212)는, 사용후의 연마 테이프(T)가 권취된 상태의 테이프 권취 릴(94)의 외경이 설정치를 초과하였을 때에는 비로서 플런저(212)의 내측단부가 그 외경에 접촉하고, 그 후 그 외경의 증가에 따라서 클램프 아암(38)의 외측으로 향하여 변위한다. 축적량 센서(214)는, 플런저(212)의 외측단부가 검출범위로 진입한 것을 자기적으로 검출하고,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근접 스위치로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70)에 있어서의 연마 테이프(T)의 권취는 모터(126), 권취량 센서(202) 및 축적량 센서(204)에 의해서 행해지는 것이지만, 모터(126)의 제어는 컨트롤러(220)에 의해서 행해진다. 컨트롤러(220)는, 제1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222), ROM(224) 및 RAM(226)을 포함하는 컴퓨터(228)를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콘트롤러(220)의 입력측에는 권취량 센서(202)축적량 센서(212)가 접속되고, 출력측에는 모터(126)가 접속되어 있다. 출력측에는 또한, 사용후의 연마 테이프(T)의 축적량이 설정치를 초과하였기 때문에 카트리지(70)의 교환시기가 가까워진 것을 작업자에 경고하는 경보기(232)도 접속되어 있다.
ROM(224)에는, 제13도의 플로우 차트로 나타내고 있는 연마 테이프 제어루틴이 미리 격납되어 있으며, CPU(222)가 그 루틴을 RAM(226)을 이용하면서 실행함으로써, 연마 테이프(T)의 이송이 행해진다.
연마 테이프 제어루틴은 반복 실행된다. 각 회의 실행시에는 먼저, 스텝(S10; 이하, 간단히 S10으로 나타낸다. 다른 스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에 있어서, 축적량 센서(212)에 의해 테이프 권취 릴(94)에서의 사용후의 연마 테이프(T)의 축적량이 설정치 이상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금회는 설정치 이상이 아니라고 가정하면, 판정이 아니오(NO)로 되고, S20에 있어서, RAM(226)에서의 1개의 작업물에 대한 연마가 종료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통하여, 1회의 연마가 종료하였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금회는 아직 종료되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판정이 아니오(NO)로 되고, 바로 본 루틴의 1회의 실행이 종료된다.
그후, 본 루틴의 실행이 여러번 반복되는 중에, 사용후의 연마 테이프(T)의 축적량이 설정치 이상으로 되는 일 없이 일회의 연마가 종료하였다고 가정하면, S10의 판정은 아니오(NO), S20의 판정은 예(YES)로 되고, S30에 있어서, 테이프 권취 릴(94)에 결합된 모터(126)에 대하여 구동신호가 출력되고, S40에서, 권취량 센서(202)에 의해 연마 테이프(T)의 권취량이 설정치에 달하였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모터(126)로의 구동신호의 출력은 연마 테이프(T)의 권취량이 설정치에 도달할 때까지 행해지고, 도달하였으면 S40의 판정이 예(YES)로 되고, 본 루틴의 1회의 실행이 종료한다.
그후, 본 루틴의 실행이 여러번 반복되는 중에, 사용후의 연마 테이프(T)의 축적량이 설정치 이상으로 되었다고 가정하면, S10의 판정이 예(YES)로 되고, S50에서, 경보기(232)에 의해, 카트리지(70)의 교환시기가 가까워진 것이 작업자에 알려진다. 이상에서 본 루틴의 1회의 실행이 종료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카트리지(70)를 교환하여야 한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연마 시스템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연마 유니트(U)를 특정의 위치(작업물 교환위치, 카트리지 교환위치 등)에 위치결정한후, 한쌍의 클램프 아암(38)을 서로 이간시켜서 크랭크 샤프트(10)를 카트리지(70)로부터 퇴피시킨다. 이어서 크랭크 샤프트(10)를 작업물 지지장치(26)로부터 해체하고, 그후, 조작부(186)를 조작하여 로크 플레이트(176)를 언로크위치로 하고, 교환할 카트리지(70)를 클램프 아암(38)으로부터 끌어낸다. 이어서, 새로운 카트리지(70)를 클램프 아암(38)에 장착하고, 조작부(186)를 조작하여 로크 플레이트(176)를 로크 위치로 한다.
또, 카트리지(70)에서 테이프 공급 릴(92)과 테이프 권취 릴(94)을 교환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테이프 공급 릴(92)과 테이프 권취 릴(94)을 각각 회전축(110), (130)으로부터 빼내어, 교환한다. 이때, 연마테이프(T)가 슈우(95)의 외측을 통과하고, 또 늘어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테이프 권취 릴(94)로 조정한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70)에서 테이프 공급 릴(92)과 테이프 권취 릴(94)을 각각 교환할 때에는, 작업자는 연마 테이프(T)에 직접 손댈 필요가 있게 된다. 그러나, 연마 유니트(U)에서 연마 테이프(T)를 교환할 때에는, 카트리지(70)를 교환하는 것만으로 끝나므로, 작업자는, 연마 테이프(T)에 직접 손댈 필요가 없이 연마 테이프(T)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연마 테이프(T)의 교환작업이 간단해 지고, 교환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누름부재로서의 슈우(95)가 연마 유니트(U)의 본체부가 아닌, 카트리지(70)자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마 테이프(T)를 교환할 때에, 연마 테이프(T)를 슈우(95)로부터 퇴피시키거나 슈우(95)에 접촉시키는 작업이 불가결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연마 테이프(T)의 교환작업이 한층 간단해 진다.
슈우(95)는, 보수시, 경우에 따라서는 교환이 필요한 부품이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누름부재로서의 슈우(95)가 카트리지(70)에 부착되어 있어서, 카트리지(70)를 연마 유니트(U)로부터 해체한 상태에서 슈우(95)의 교환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누름부재 그 자체의 교환작업이 간단해지고, 연마장치의 보수성이 한층 향상된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종래의 연마장치에서는, 연마시에 작업물의 가공면이 작업물의 회전축선 주위로 공전하고, 그에 연마 유니트를 추종가능하게 하므로, 연마 유니트는 연마장치 본체에 작업물의 회전축선에 직교하는 평면내에서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편, 그 연마 유니트에 연마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부 및 연마 테이프를 권취하는 테이프 권취부는 연마장치 본체에 고정되어 있었다. 그래서, 연마중, 연마 유니트가 운동하면, 그에 수반하여 연마 유니트와 테이프 공급부 및 테이프 권취부의 상대위치 관계가 변화해버리므로, 종래장치에서는,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연마 테이프가 절단되거나 늘어지지 않도록 하는 특별한 기구가 불가결하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테이프 공급부 및 테이프 권취부가 연마 유니트와 일체적으로 운동가능하게 되고, 연마 중에 연마 테이프에 그를 끌어당기거나 늘어지게 하는 힘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연마중에 연마 테이프의 절단 및 늘어짐을 방지하는 특별한 기구가 불가결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치비용의 절감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제21도에 나타내는 종래의 연마장치에서는, 1개의 연마 테이프(T)가 작업물(W)의 2개 위치에 동시에 접촉하는 형식으로 되어서, 한쌍의 슈우(400)를 서로 이간시킴에 따라서 연마 테이프(T)가 잡아당겨진다. 그러므로, 한쌍의 슈우(400)의 상방에 위치하는 가이드 롤러(406)가 클램프 아암(402)에 슈우(400)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독립된 2개의 연마 테이프(T)가 각각 작업물(W)의 2개 위치에 동시에 접촉하므로, 한쌍의 슈우(95)를 서로 이간시킴에 따라서 연마 테이프(T)가 잡아당겨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연마장치에서는 불가결했던 롤러 탄성지지구조가 불가결하지 않게 되므로, 장치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는다.
다음에, 본 발명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실시예인 연마 시스템을 제14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은, 연마 시스템에서의 한쌍의 카트리지와 작업물의 관계를 나타낸는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카트리지가 서로 공통의 것으로 되고, 지지되는 연마 테이프(T)도 공통의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같은 구경인 2개의 대구경 외주면(290)이 1개의 소구경 외주면(292)을 사이에 두고 동축적으로 형성된 작업물(W)을 연마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에서는, 2개의 대구경 외주면(290)과 1개의 소구경 외주면 (292)에 대해서 각각 연마를 행하고, 합계 3회의 연마를 행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카트리지를 서로 폭치수가 다른 것으로 하고, 폭이 넓은 연마 테이프(TN; 폭치수를 제15도에서 「A」로 나타낸다)를 지지하는 카트리지(300)와, 폭이 좁은 연마 테이프(TW; 폭치수를 제15도에서 「B」로 나타낸다)를 지지하는 카트리지(302)에 의해서 한쌍의 카트리지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마시에는, 이들 한쌍의 카트리지(300), (302)가 동시에 작업물(W)에 결합되고, 폭이 좁은 연마 테이프(TN)에 의해 1개의 소구경 외주면(292)이 연마됨과 동시에, 폭이 넓은 2개의 연마 테이프(TW)에 의해 2개의 대구경 외주면(290)이 동시에 연마되고, 결국 이들 3개의 외주면(290), (292)가 동시에 연마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1회의 연마에서 이들 3개의 외주면(290), (292)전체가 연마되게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쌍의 카트리지에 의해 지지되는 2개의 연마 테이프(T)가 서로 폭치수가 다른 것으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폭치수는 같아도 연마 테이프(T)에 접착되어 있는 연마제의 입도, 밀도 등을 서로 다른 것으로 하거나, 연마시에 사용하는 가공액의 성질을 서로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를 제17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두, 연마 유니트(U)가 작업물(W)에 있어서의 연마면의 수와 같은 수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회의 연마가 종료할 때마다 연마 유니트(U)를 작업물(W)의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1개의 연마 유니트(U)만으로 복수의 연마면에 대한 연마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20)에 상대변위기구(350)가 설치되고, 그 상대변위기구(350)의 가동부에 상기 수하부(34)가 설치되어 있다.
상대변위기구(350)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나사기구식이며, (a) 작업물(W)의 축선을 따라서 신장하는 이송나사(354)와, (b) 그 이송나사(354)를 회전시키는 이송나사 회전장치(358)과, (c) 이송나사(354)에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프레임(20)에 회전불능하게 지지된 가동부로서의 슬라이더(3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더(360)는, 이송나사(354)의 회전에 따라서 그 이송나사(354)를 따라서 전진 또는 후퇴한다. 이 슬라이더(360)로부터 상기 수하부(34)가 매달려 있다.
이송나사 회전장치(358)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a) 구동원으로의 모터(370)와, (b) 그 모터(370)의 회전 토크를 이송나사(354)에 전달하는 구동토크 전달기구(37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연마면에 대해서 연마가 종료할때마다, 이송나사(354)가 회전되고, 각 연마 유니트(U)가 작업물(W)을 따라서 일정거리 이동되고, 다른 연마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그후, 같은 연마 유니트(U)에 의해서 다른 연마면에 대하여 연마가 행해진다.
그리고,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두, 복수개의 연마 테이프 지지부에서의 연마 테이프의 이송시기 및 이송량이 서로 일치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이송시기와 이송량의 적어도 한쪽을 서로 상이하게 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모두, 2개의 연마 테이프에 의해 작업물의 2개 위치를 동시에 연마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1개의 연마 테이프에 의해 작업물의 1개 위치를 연마하는 태양이나 3개 이상의 연마 테이프에 의해 작업물의 3개 이상의 위치를 동시에 연마하는 태양으로 실시가능하다.
이상, 몇개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밖에도, 특허청구의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당업자의 지식에 의거하여 여러가지의 변형, 개량을 실시한 태양으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Claims (25)

  1. 연마 테이프를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에 가압접촉시켜 지지하면서 여마 테이프와 작업물을 상대운동시켜서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을 연마하고, 상기 연마 테이프를 그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연마장치에 있어서, 테이프 지지부; 상기 테이프 지지부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연마 테이프를 보유하는 테이프 카트리지로서, (a) 하우징, (b)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상기 연마 테이프의 비사요된 길이를 그 비사용된 길이 부분이 상기 하우징 외측에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테이프 공급부, (c) 상기 하우징 외측의 상기 비사용된 길이 부분을 상기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에 가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누름부재, 및 (d)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작업물의 상기 소정부분의 면과 가압접촉하여 그 면을 연마하는데 사용된 연마 테이프의 사용된 길이를 수용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및 상기 연마작업 전 또는 후에 상기 연마 테이프를 소정 거리만큼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도록 작동되는 구동원과, 상기 연마작업중에는 상기 구동원이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연마작업 전 또는 후에는 상기 구동원이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에 연결되어 상기 연마 테이프를 상기 소정거리만큼 이송하도록 상기 구동원을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에 선택적으로 착탈하는 기구를 포함하는 테이프 이송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공급부는 상기 연마 테이프의 상기 비사용된 길이를 수용하는 공급릴을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연마 테이프의 상기 사용된 길이를 감기 위한 권취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작업중에 또는 전이나 후에 상기 연마테이프를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도록 작동되는 구동원을 포함하는 테이프 이송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을 그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작업물 지지장치; 상기 연마작업중 상기 작업물을 상기 작업물 지지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작업물 회전장치; 및 상기 연마 테이프의 상기 비사용된 길이부분이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하우징 외측에 노출되어 상기 작업물의 상기 소정부분의 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연마작업이 완료될 때 마다 상기 연마 테이프를 상기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송시키는 테이프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직업물 이송장치가 비작동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연마 테이프를 정지상태로 지지하는 동안 상기 작업물 회전장치가 작동되어 상기 작업물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마 테이프와 상기 작업물이 상대운동하여 상기 연마작업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지지부는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탈착가능하게 각각 지지되는 두 개의 테이프 홀더를 구비하고, 이 두개의 테이프 홀더는 두개의 테이프 카트리지의 하우징 외측에 노출된 연마 테이프의 비사용된 부분이 서로 대향하여 작업물의 상기 소정부분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지지부는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탈착가능하게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테이프 홀더를 구비하고, 이 복수의 테이프 홀더는 상기 작업물의 축선에 수직한 평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테이프 카트리지의 하우징 외측에 노출된 연마 테이프의 비사용된 부분이 상기 평면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물을 축선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정으로 하는 연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테이프의 이송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8. 상기 작업물의 축선에 수직한 하나이상의 평면 각각에 배치되어 각각의 연속면을 통과하는 복수의 소정 가공위치에서 복수의 연마 테이프를 작업물의 각각의 연속면과 가압접촉시켜 정지상태로 지지하면서 상기 작업물을 그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작업물의 하나이상의 연속면을 각각 연마하고, 상기 복수의 연마 테이프를 그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마 테이프를 상기 복수의 소정 가공위치에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테이프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테이프 홀더를은 각각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테이프 홀더는 연마 테이프의 비사용된 부분이 서로 대향하여 상기 작업물의 상기 각각의 연속면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두개의 테이프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10. 두개의 연마 테이프를 상이한 위치들에서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에 가압접촉시켜 정지상태로 지지하면서 상기 작업물을 그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을 연마하고, 상기 연마 테이프를 그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연마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작업물의 상기 축선에 수직한 평면에 배치되어 서로에 대해 직선으로 원근이동가능한 한쌍의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클램프 유니트; 상기 두개의 연마 테이프를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지지하며, 상기 한쌍의 클램프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한쌍의 테이프 홀더; 상기 두개의 연마 테이프를 상기 테이프 홀더에 의해 지지하면서 상기 두 개의 연마 테이프를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테이프 이송장치; 상기 작업물을 그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작업물 지지장치; 및 상기 연마작업 중 상기 작업물을 상기 작업물 지지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작업물을 회전시키는 작업물 회전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직업물 지지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직업물의 축선을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상기 클램프 유니트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대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 유니트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직업물의 상기 소정부분은 상기 축선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어 상기 작업물이 상기 작업물 회전장치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클램프 유니트는 이 클램프 유니트의 상기 한쌍의 클램프에 의해 지지된 상기 한쌍의 테이프 홀더들이 상기 작업물의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작업물의 상기 소정부분의 회전을 따르도록 상기 평면에서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대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12. 연마 테이프를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에 가압접촉시켜 지지하면서 연마 테이프와 작업물을 상대 운동시켜서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을 연마하고, 상기 연마 테이프를 그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연마장치에 있어서, 테이프 지지부; 상기 테이프 지지부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연마 테이프를 보유하는 테이프 카트리지로서, (a) 하우징, (b) 상기 연마 테이프의 비사용된 길이를 수용하는 공급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상기 연마테이프의 비사용된 길이를 그 비사용된 길이 부분이 상기 하우징 외측에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테이프 공급부, (c) 상기 하우징 외측의 상기 비사용된 길이 부분을 상기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에 가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누름부재, (d) 상기 연마 테이프의 사용된 길이를 감기 위한 권취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작업물의 상기 소정부분의 면과 가압접촉하여 그 면을 연마하는데 사용된 연마 테이프의 사용된 길이를 수용하는 권취부, 및 (e) 상기 연마 테이프의 상기 비사용된 길이가 상기 권취릴에 의해 상기 공급릴에서 인출될 때 상기 공급릴에 그의 회전에 대해 저항을 제공하는 기구를 포함하는 테이프 카트리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하우징과 상기 공급릴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공급릴과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반경방향으로 신장하는 교대적인 융기 및 함몰부들을 제공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주름진 환형 스틸와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는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량을 변화시켜 상기 공급릴의 회전에 대한 상기 저항을 조정하도록 작동하는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16. 연마 테이프를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에 가압접촉시켜 지지하면서 연마 테이프와 작업물을 상대운동시켜서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을 연마하고, 상기 연마 테이프를 그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연마장치에 있어서, 테이프 지지부와; 상기 테이프 지지부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연마 테이프를 보유하는 테이프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는, (a) 하우징, (b) 상기 연마 테이프의 비사용된 길이를 수용하는 공급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상기 연마테이프의 비사용된 길이를 그 비사용된 길이 부분이 상기 하우징 외측에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테이프 공급부, (c) 상기 하우징 외측의 상기 비사용된 길이 부분을 상기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에 가압하이 위해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누름부재, 및 (d)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작업물의 상기 소정부분의 면과 가압접촉하여 그 면을 연마하는데 사용된 연마 테이프의 사용된 길이를 수용하는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연마 테이프의 사용된 길이를 감기 위한 권취릴을 포함하며, 상기 권취릴은 일방향 클러치를 가지며 이 일방향 클러치에 의해 상기 권취릴이 상기 연마 테이프의 사용된 길이를 감기 위해 제1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허용되고 상기 권취릴이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억제되도록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상기 하우징에 정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17. 연마 테이프를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에 가압접촉시켜 지지하면서 연마 테이프와 작업물을 상대 운동시켜서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을 연마하고, 상기 연마 테이프를 그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연마장치에 있어서, 테이프 지지부; 상기 테이프 지지부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연마 테이프를 보유하는 테이프 카트리지로서, (a) 하우징, (b) 상기 연마 테이프의 비사용된 길이를 수용하는 공급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상기 연마테이프의 비사용된 길이를 그비사용된 길이 부분이 상기 하우징 외측에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테이프 공급부, (c) 상기 하우징 외측의 상기 비사용된 길이 부분을 상기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에 가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누름부재, 및 (d) 상기 연마 테이프의 사용된 길이를 감기 위한 권취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작업물의 상기 소정부분의 면과 가압접촉하여 그 면을 면하는데 사용된 연마 테이프의 사용된 길이를 수용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상기 테이프 권취릴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연마 테이프를 상기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송시키기 위한 테이프 이송장치; 상기 테이프 이송자치에 의해 이송된 상기 연마 테이프의 길이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테이프 지지부상에 설치된 이송길이 센서; 및 상기 이송길이 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테이프 이송장치의 상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18. 연마 테이프를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에 가압접촉시켜 지지하면서 연마 테이프와 작업물을 상대운동시켜서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을 연마하고, 상기 연마 테이프를 그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연마장치에 있어서, 테이프 지지부; 상기 테이프 지지부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연마 테이프를 보유하는 테이프 카트리지로서, (a) 하우징, (b) 상기 연마 테이프의 비사용된 길이를 수용하는 공급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상기 연마테이프의 비사용된 길이를 그 비사용된 길이 부분이 상기 하우징 외측에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테이프 공급부, (c) 상기 하우징 외측의 상기 비사용된 길이 부분을 상기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에 가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누름부재, 및 (d) 상기 연마 테이프의 사용된 길이를 수용하는 권취릴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작업물의 상기 소정부분의 면과 가압접촉하여 그 면을 연마하는데 사용된 연마 테이프의 사용된 길이를 수용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상기 테이프 권취릴에 현재 감겨있는 상기 연마 테이프의 사용된 길이를 검출함기 위한 사용된 길이 센서; 장치의 작동자에게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교체 필요성을 알리기 위한 경보기; 및 상기 사용된 길이 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경보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19. 작업물의 축선을 가로지르는 평면에 배치된 복수의 소정 가공위치에서 연마 테이프를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에 가압접촉시켜 지지하면서 복수의 연마 테이프와 작업물을 상대운동시켜서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을 연마하고, 상기 연마 테이프를 그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마 테이프의 부분들을 상기 복수의 소정 가공위치에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테이프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연마 테이프들은 폭들이 상이한 복수의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테이프 홀더는 폭들이 상기 복수의 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홀더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복수의 테이프 홀더는 본체부와, 상기 테이프 홀더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지지된 테이프 카트리지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는 (a) 하우징, (b)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상기 연마테이프의 비사용된 길이를 그 비사용된 길이 부분이 상기 하우징 외측에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테이프 공급부, 및 (c)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작업물의 상기 소정부분의 면과 가압접촉하여 그 면을 연마하는데 사용된 연마 테이프의 사용된 길이를 수용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을 그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작업물 지지장치; 상기 연마작업중 상기 작업물을 상기 작업물 지지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작업물 회전장치; 및 각각의 상기 연마 테이프의 상기 비사용된 길이부분이 상기 작업물의 상기 소정부분의 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연마작업이 완료될 때 마다 상기 복수의 연마 테이프를 상기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송시키는 테이프 이송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업물 이송장치가 비작동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연마 테이프를 정지상태로 지지하는 동안 상기 작업물 회전장치가 작동되어 상기 작업물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연마 테이프와 상기 작업물이 상대운동하여 상기 연마작업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22. 연마 테이프를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에 가압접촉시켜 지지하면서 연마 테이프와 작업물을 상대운동시켜서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을 연마하고, 상기 연마 테이프를 그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연마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이 프레임에 대해 피봇 및 수직이동하도록 작동하는 테이프 지지장치; 및 상기 연마 테이프를 보유하기 위해 상기 테이프 지지장치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지지된 테이프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이 테이프 카트리지는, (a) 하우징, (b)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상기 연마 테이프의 비사용된 길이를 그 비사용된 길이 부분이 상기 하우징 외측에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테이프 공급부, (c) 상기 하우징 외측의 상기 비사용된 길이 부분을 상기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에 가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누름부재, 및 (d) 상기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작업물의 상기 소정부분의 면과 가압접촉하여 그 면을 연마하는데 사용된 연마 테이프의 사용된 길이를 수용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테이프가 상기 작업물에서 떨어져 지지되어 있는 비접촉 위치와 상기 연마 테이프가 상기 작업물과 가압 접촉하여 지지되어 있는 접촉위치 사이에서 상기 테이프 지지장치와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직선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테이프 지지장치에 연결된 구동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24. 두 개의 연마 테이프를 상이한 위치들에서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에 가압접촉시켜 정지상태로 지지하면서 상기 작업물을 그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을 연마하고, 상기 연마 테이프를 그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연마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작업물의 상기 축선에 수직한 평면에 배치되어 서로 원근이동가능한 한쌍의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 연결된 클램프 유니트; 상기 두개의 연마 테이프를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 지지하며, 상기 한쌍의 클램프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한쌍의 테이프 홀더; 상기 두개의 연마 테이프를 상기 테이프 홀더에 의해 지지하면서 상기 두개의 연마 테이프를 상기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테이프 이송장치; 상기 작업물을 그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작업물 지지장치;및 상기 연마작업 중 상기 작업물을 상기 작업물 지지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작업물을 회전시키는 작업물 회전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물 지지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작업물의 축선을 가로지르는 평면에서 상기 클램프 유니트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대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 유니트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작업물의 상기 소정부분은 상기 축석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어 상기 작업물이 상기 작업물 회전장치에 의해 회전될 때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클램프 유니트는 이 클램프 유니트의 상기 한쌍의 클램프에 의해 지지된 상기 한쌍의 테이프 홀더들이 상기 작업물의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작업물의 상기 소정부분의 회전을 따르도록 상기 평면에서 상기 프레임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25. 작업물의 축선을 가로지르는 평면에 배치된 복수의 소정 가공위치에서 연마 테이프를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에 가압접촉시켜 지지하면서 복수의 연마 테이프와 작업물을 상대운동시켜서 작업물의 소정부분의 면을 연마하고, 상기 연마 테이프를 그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마 테이프의 부분들을 상기 복수의 소정 가공위치에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테이프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연마 테이프들 각각은 기층과 이 기층의 면에 접합된 연마입자들을 포함하고, 크기 및 밀도 중 하나 이상이 서로 다른 복수의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장치.
KR1019960004214A 1995-03-24 1996-02-22 연마장치 KR100211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66432 1995-03-24
JP7066432A JP2820059B2 (ja) 1995-03-24 1995-03-24 研摩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656A KR960033656A (ko) 1996-10-22
KR100211442B1 true KR100211442B1 (ko) 1999-08-02

Family

ID=13315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4214A KR100211442B1 (ko) 1995-03-24 1996-02-22 연마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65669A (ko)
EP (3) EP1022092B1 (ko)
JP (1) JP2820059B2 (ko)
KR (1) KR100211442B1 (ko)
CN (1) CN1095727C (ko)
CA (1) CA2172437C (ko)
DE (3) DE6962196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1775B2 (ja) * 1997-10-31 2003-0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研磨方法
DE19800885A1 (de) * 1998-01-13 1999-07-15 Thielenhaus Ern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Finishen von Umfangsflächen an rotierenden Werkstücken, insbesondere zum Finishen von Kurvenscheiben und Nocken einer Nockenwelle
JPH11285958A (ja) * 1998-04-03 1999-10-19 Toyota Motor Corp 研摩装置
DE19905139A1 (de) * 1999-02-09 2000-08-10 Nagel Masch Werkzeug Vorrichtung zur Feinbearbeitung von im wesentlichen zylindrischen Werkstückoberflächen
KR20000077144A (ko) * 1999-05-03 2000-12-26 조셉 제이. 스위니 화학 기계적 평탄화 시스템
US6135861A (en) * 1999-11-01 2000-10-24 Dana Corporation Shaft polishing method and a shaft produced thereby
US6516926B2 (en) 2001-03-16 2003-02-11 Delphi Technologies, Inc. Piston rod surface finish requirement for MR dampening devices
EP1447171B1 (en) * 2003-02-12 2006-07-12 Nissan Motor Co., Ltd. Surface finishing apparatus and method
DE602004006654T2 (de) * 2003-02-12 2008-02-07 Nissan Motor Co., Ltd., Yokohama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Oberflächen-Endbearbeitung
JP4646197B2 (ja) * 2004-08-26 2011-03-09 株式会社不二越 テープホルダ一体型カセットシュー組立体
FR2876937B1 (fr) * 2004-10-25 2008-05-16 Snecma Moteurs Sa Machine a polir des eprouvettes
JP4561991B2 (ja) * 2005-06-30 2010-10-13 株式会社不二越 テープラップ装置
EP1741514B1 (de) * 2005-07-07 2008-03-19 Supfina Grieshaber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chleifen und/oder Finishen eines Werkstücks
JP2007030134A (ja) * 2005-07-29 2007-02-08 Nachi Fujikoshi Corp テープラップ装置
JP4737676B2 (ja) * 2005-12-13 2011-08-03 株式会社不二越 テープラップ装置
JP2007301651A (ja) * 2006-05-09 2007-11-22 Nachi Fujikoshi Corp テープラップ装置の被加工物回転駆動装置
JP4999417B2 (ja) * 2006-10-04 2012-08-15 株式会社荏原製作所 研磨装置、研磨方法、処理装置
JP4876835B2 (ja) * 2006-10-11 2012-02-15 株式会社不二越 テープラップ装置の位置決め装置
JP2008161968A (ja) * 2006-12-28 2008-07-17 Nachi Fujikoshi Corp テープラップ装置
JP4935382B2 (ja) * 2007-01-31 2012-05-23 株式会社不二越 テープラップ装置の回収袋を用いた使用済みテープの回収方法
JP5176388B2 (ja) * 2007-05-21 2013-04-03 株式会社不二越 フイルムラップ装置のツールモジュール
DE102007059926A1 (de) * 2007-12-04 2009-06-10 Nagel Maschinen- Und Werkzeugfabrik Gmbh Vorrichtung zur Finishbearbeitung von Umfangsflächen im Wesentlichen rotationssymmetrischer Werkstückabschnitte an wellenförmigen Werkstücken
DE102009023612A1 (de) * 2009-06-02 2010-12-09 Mahle International Gmbh Nockenschleifvorrichtung
CN102632376A (zh) * 2012-04-26 2012-08-15 深圳市神拓机电设备有限公司 穿轴装置
CN103447919B (zh) * 2013-09-02 2015-09-23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去除凸轮轴黑斑的装置
DE102014214719A1 (de) * 2014-07-25 2016-01-28 Supfina Grieshaber Gmbh & Co. Kg Finishvorrichtung
US20210101244A1 (en) * 2016-02-01 2021-04-08 Impco Microfinishing Narrow shoe journal microfinishing apparatus and method
CN105834869B (zh) * 2016-05-10 2017-10-27 昆山子申机电设备有限公司 螺杆研磨机
CN106625137A (zh) * 2017-03-03 2017-05-10 东莞市铁犀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砂带抛光机自动换砂带装置
CN106975990A (zh) * 2017-05-18 2017-07-25 南昌首叶科技有限公司 一种制鞋用大底打磨设备
JP6583701B2 (ja) * 2018-01-31 2019-10-02 株式会社サンシン ウオーム研磨方法及びその装置
JP7118553B2 (ja) * 2018-10-19 2022-08-16 ジヤトコ株式会社 帯状ヤスリの支持具
CN111687724B (zh) * 2020-06-22 2021-02-02 广西上三间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木材榫头连接结构制作方法
KR102454770B1 (ko) * 2020-12-01 2022-10-14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놀러지 연마용 테이프 케이스 교체장치
CN115415900B (zh) * 2022-11-07 2023-04-07 常州恒联机械五金有限公司 弯管自动磨平设备
CN117863008B (zh) * 2024-03-11 2024-05-31 湖南戴斯光电有限公司 一种光学器件磁流变加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09457A (ja) * 1985-03-13 1986-09-17 Fuji Electric Co Ltd 電子写真用感光体の導電性基体表面の加工方法
JPH0624682B2 (ja) * 1987-12-26 1994-04-06 株式会社日進製作所 ラッピングフィルムを用いた超仕上げ装置
JPH01307920A (ja) * 1988-06-06 1989-12-12 Sony Corp 表面処理用カートリッジ及び表面処理装置
FR2636877B1 (fr) * 1988-09-27 1994-07-01 Procedes Machines Speciales Machine pour l'usinage par abrasif de portees cylindriques sur des pieces, notamment pour l'usinage par toilage des tourillons et manetons sur des vilebrequins
US4993191A (en) * 1989-04-28 1991-02-19 Industrial Metal Products Corporation Roller cam microfinishing tooling
JPH031168U (ko) * 1989-05-26 1991-01-08
JP2709966B2 (ja) * 1989-08-30 1998-02-04 コニカ株式会社 自動原稿搬送装置
US5088240A (en) * 1989-09-22 1992-02-18 Exclusive Design Company, Inc. Automated rigid-disk finishing system providing in-line process control
FR2655900B1 (fr) * 1989-12-19 1995-01-20 Procedes Machines Speciales Machine de superfinition pour des arbres, notamment des arbres a cames.
JPH03231168A (ja) * 1990-02-06 1991-10-15 Mitsubishi Electric Corp バーンイン装置
JPH03251358A (ja) * 1990-02-28 1991-11-08 Yuukou Shoji Kk 洗浄及び研磨装置
JPH05169361A (ja) * 1991-12-19 1993-07-09 Toyota Motor Corp ペーパーラップ加工装置
US5437125A (en) * 1992-03-16 1995-08-01 Barton, Ii; Kenneth A. Surface polishing assembly
JP3457972B2 (ja) * 1992-07-31 2003-10-20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表面研磨仕上装置
DE4320945C2 (de) * 1993-06-24 1996-05-23 Grieshaber Masch Bandschleifmaschine
JP3240771B2 (ja) * 1993-09-10 2001-12-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ラッピング装置
FR2719516B1 (fr) * 1994-05-04 1996-07-26 Procedes Machines Speciales Outillage pour le toilage de portées cylindriques avec contrôle de diamètre des porté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21961D1 (de) 2002-07-25
EP0950467A3 (en) 1999-11-03
EP0950467B1 (en) 2003-01-08
CN1095727C (zh) 2002-12-11
EP0950467A2 (en) 1999-10-20
JPH08257889A (ja) 1996-10-08
EP0733437B1 (en) 2001-10-17
JP2820059B2 (ja) 1998-11-05
CA2172437A1 (en) 1996-09-25
KR960033656A (ko) 1996-10-22
CN1138509A (zh) 1996-12-25
EP1022092A1 (en) 2000-07-26
DE69621961T2 (de) 2002-11-07
US5865669A (en) 1999-02-02
EP0733437A1 (en) 1996-09-25
DE69615888D1 (de) 2001-11-22
DE69615888T2 (de) 2002-04-11
EP1022092B1 (en) 2002-06-19
DE69625715D1 (de) 2003-02-13
DE69625715T2 (de) 2003-10-02
CA2172437C (en) 2000-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1442B1 (ko) 연마장치
US8851957B2 (en) Grinding method of multifunction grinding machine
HUT72929A (en) Belt grinding machine
JPH0133242B2 (ko)
WO1998005473A1 (en) Microfinishing machine
TW201208792A (en) Precision roll turning lathe and automatic tool changer therefor
JPS60255320A (ja) ワイヤまたはストリツプ状切断電極の案内装置
EP1108499B1 (en) Polishing device and polishing method
JP2017533834A (ja) 平面研削盤
KR100206293B1 (ko) 공작주축장치
JP2970672B2 (ja) 研摩装置
HU214998B (hu) Szalagcsiszológép
JPH06293455A (ja) 帯状材の自動接続装置
JP2924890B2 (ja) 研摩方法
CN110722176A (zh) 一种用于加工卷筒折线绳槽的数控机床及加工方法
KR910000161B1 (ko) 초정밀 연마기
CN211276524U (zh) 一种用于加工卷筒折线绳槽的装置
CN211052525U (zh) 一种回转体异形槽的加工装置
KR200203335Y1 (ko) 공작물 공급/배출겸용 회전 슈
JP2504678B2 (ja) 研磨装置
KR100377100B1 (ko) 공작물 공급/배출겸용 회전 슈
CN112518575A (zh) 磨床x轴进给机构及其使用方法
JPH02237754A (ja) レンズ研磨装置およびその研磨方法
JPS59196126A (ja) 放電加工用マシニングセンタ
JP2004268164A (ja) ラッピング加工装置およびラッピング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