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9724B1 -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9724B1
KR100209724B1 KR1019960034657A KR19960034657A KR100209724B1 KR 100209724 B1 KR100209724 B1 KR 100209724B1 KR 1019960034657 A KR1019960034657 A KR 1019960034657A KR 19960034657 A KR19960034657 A KR 19960034657A KR 100209724 B1 KR100209724 B1 KR 100209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insulating layer
floating gate
substrate
flash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4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5362A (ko
Inventor
정희철
Original Assignee
구본준
엘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엘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준
Priority to KR1019960034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9724B1/ko
Priority to US08/810,914 priority patent/US5763913A/en
Priority to DE19724469A priority patent/DE19724469C2/de
Priority to JP9191000A priority patent/JP2939537B2/ja
Priority to US09/026,550 priority patent/US6093604A/en
Publication of KR19980015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82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17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1725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1733Source or drain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thin film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2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쉬 메모리에 관한 것으로 쓰기 및 소거효율을 향상시키고 메모리 셀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적당한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플래쉬 메모리는 제1 및 제2불순물영역을 가지는 반도체기판, 제1 및 제2불순물영역상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돌출전극, 상기 기판 및 제1, 제2돌출전극상에 형성된 제1절연막, 상기 제1 및 제2돌출전극 사이의 제1절연막상에 형성된 플로팅게이트, 상기 플로팅게이트상에 형성된 제2절연막 그리고 제2절연막상에 형성된 컨트롤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장치 관한 것으로 특히, 쓰기(Write) 및 소거(Erase) 효율을 개선시키는데 적당하도록 한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래쉬 메모리는 전기적 고쳐쓰기가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로서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프로그램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제1a도 내지 제1b도는 일반적인 플래쉬 메모리의 쓰기 및 소거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메모리 셀의 단면도이다.
초기상태에는 컨트롤 게이트와 드레인에 전압을 인가하였을때 (VCG VD, VD 0 )플로팅 게이트에는 전자가 존재하지 않고 소오스와 드레인 사이의 채널영역에 전자가 유기되어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는 상태이다.
프로그램시에는 종래 자외선 소거형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e ad Only Memory)과 같은 핫 일렉트론(Hot Electron) 주입방식을 이용한다.
즉, 제1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메모리 셀의 드레인 부근에서 발생한 전자를 플로팅 게이트에 주입시키기 위해서는 컨트롤 게이트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따라서 플로팅 게이트에 일정량 이상의 전자가 주입되면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Vth)이 상승한다.
이는 높은 에너지 장벽을 만들어 전자가 축적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자가 주입되고 있지 않은 메모리 셀의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과의 차이로서 정보량 0 또는 1을 구별한다.
한편 정보의 소거는 플래쉬 메모리 고유의 소거 게이트를 이용하여 플로팅 게이트로 주입되고 있는 전자를 파울러 노드하임(Fowler Nordheim)형 터널전류를 이용하여 메모리 셀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초기치로 되돌린다.
즉, 제1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오스에 높은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플로팅 게이트에 유기되어 있던 전자가 소오스의 접합부분과 플로팅 게이트의 중첩된 부위의 얇은 산화막을 통하여 파울러 노드하임 터넬링(Fowler Nordheim Tunneling)방식에 의해 소오스쪽으로 방출된다.
이때의 문턱전압은 플로팅 게이트의 전자가 방전되어 플로팅 게이트에는 정(+)전하가 형성되어 채널영역에서 전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므로서 문턱전압은 다시 낮아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플래쉬 메모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a도 내지 제2f도는 종래 플래쉬 메모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이다.
먼저, 제2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P형 실리콘기판(21)상에 터넬링 산화막(22)을 증착한다.
이어 제2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터넬링 산화막(22)위에 플로팅 게이트용 제1폴리실리콘층(23)을 형성한다.
제2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플로팅 게이트용 제1폴리실리콘층(23)상부에 인터폴리 유전체층(24)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d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인터폴리 유전체층(24)상부에 컨트롤 게이트용 제2폴리실리콘층(25)을 형성하고 제2e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컨트롤 게이트용 제2폴리실리콘층(25)상부에 포토레지스트(26)를 도포한 후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포토레지스트(26)를 패터닝한다.
이어 제2f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26)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컨트롤 게이트용 제2폴리실리콘층(25), 인터폴리 유전체층(24), 플로팅 게이트용 제1폴리실리콘층(23) 그리고 터넬링 산화막(22)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이어 컨트롤 게이트용 제2폴리실리콘층(25)을 마스크로 이용한 불순물 이온주입을 실시하여 소오스/드레인 불순물 확산영역(27,28)을 형성하면 종래 플래쉬 메모리 제조공정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같은 플래쉬 메모리의 프로그램은 채널에서 만들어진 고온 열전자(Hot Electron)가 플로팅 게이트로 주입되므로서 이루어진다.
이때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서 컨트롤 게이트에 인가된 전압에 대한 플로팅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의 비를 커플링 비(coupling ratio)라고 한다.
위의 커플링 비가 클수록 프로그래밍 효율은 증대한다.
한편, 플로팅 게이트에 주입된 전자의 소거는 깊은 정션(Deep Junction)인 소오스(8)에 정(+)전압을 인가하여 파울러 노드하임(Fowler Nordheim)터넬링 메카니즘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소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플로팅 게이트하부의 터넬링 산화막(22)의 두께를 얇게 하고 플로팅 게이트 및 컨트롤 게이트를 N 도전형 폴리실리콘을 사용한다.
여기서 소거동작을 위해 소오스에 높은 전압을 인가하면 터넬링 산화막(22)의 에너지 밴드가 급격한 기울기를 갖게된다. 이로인해 터넬링 산화막(22)의 얇아진 에너지 장벽 부분은 통해 전자의 터넬링이 이루어져 소거동작을 구현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플래쉬 메모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정보의 쓰기 동작시 핫 일렉트론으로 인해 터넬링 산화막이 열화되어 신뢰성이 저하된다.
둘째, 소거효율을 높이기위해 플로팅 게이트의 산화막을 터넬링 산화막으로 사용하므로 정보의 쓰기 효율이 감소한다.
세째, 핫 일렉트론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인가전압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낮은 인가전압에서도 정보의 쓰기 및 소거효율을 향상시키고 게이트산화막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메모리 셀의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적당한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a도 내지 제1b도는 종래 플래쉬 메모리의 쓰기 및 소거동작을 나타낸 도면.
제2a도 내지 제2f도는 종래 플래쉬 메모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
제3a도 내지 제3b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의 쓰기 및 소거동작을 나타낸 구조단면도.
제4a도 내지 제4g도는 본 발명의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기판 32 : 제1절연층
33 : 제2절연층 34 : 포토레지스트
35 : 소오스 불순물영역 35a : 소오스전극
36 : 드레인 불순물영역 36a : 드레인전극
37 : 제1폴리실리콘층 38 : 제3절연층
39 : 플로팅 게이트 40 : 제4절연층
41 : 컨트롤 게이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래쉬 메모리는 표면내에 격리된 제2도전형의 소오스영역과 드레인영역을 갖는 제1도전형 기판, 상기 소오스영역과 콘택되고 소오스영역상에 형성된 T형상의 레일구조를 갖는 소오스전극, 상기 드레인영역과 콘택되어 드레인영역상에 형성된 T형상의 레일구조를 갖는 드레인전극, 상기 소오스와 드레인전극 사이의 기판상에서 소오스와 드레인전극상에 콘택되어 형성된 I형상을 갖는 플로팅게이트, 상기 플로팅게이트 상부에 형성된 컨트롤게이트를 포함하여 구비되고 본 발명의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은 제1도전형 기판을 마련하는 스텝, 상기 기판상에 제1절연층을 형성하는 스텝, 상기 제1절연층상에 제2절연층을 형성하는 스텝, 상기 제2절연층과 제1절연층을 함께 패터닝하여 기판상에서 서로 떨어진 두개의 오픈영역들을 형성하는 스텝, 상기 오픈영역들을 통해 기판내에 제2도전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기판의 표면내에 제2도전형 소오스영역과 드레인영역을 형성하는 스텝, 상기 소오스영역 및 드레인영역과 콘택되도록 제2도전형 반도체층을 잔존하는 제1절연층과 제2절연층의 표면상 및 상기 오픈 영역들 내에 형성하는 스텝,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을 패터닝하여 T형상의 레일구조를 갖는 소오스전극과 드레인전극을 형성한 후 잔존하는 제2절연층을 제거하는 스텝, 상기 소오스전극과 드레인전극을 포함한 전면에 제3절연층을 형성하는 스텝, 상기 제3절연층 상부에 플로팅 게이트용 제2도전형의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스텝, 상기 플로팅 게이트용 반도체층을 상기 소오스전극과 드레인전극의 상부에서 오버랩 되도록 패터닝하여 소오스전극과 드레인전극 사이에서 I형상의 레일구조를 갖는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는 스텝, 상기 플로팅 게이트를 포함한 전면에 제4절연층을 형성하고 제4절연층의 상부에 컨트롤 게이트용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스텝, 상기 컨트롤 게이트용 반도체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상측에 컨트롤 게이트를 형성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a도 내지 제3b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쉬 메모리의 쓰기 및 소거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제3a도 내지 제3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플래쉬 메모리는 제1 및 제2불순물영역을 가지는 반도체기판, 제1 및 제2불순물영역상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돌출전극, 상기 기판 및 제1, 제2돌출전극상에 형성된 제1절연막, 상기 제1 및 제2돌출전극 사이의 제1절연막상에 형성된 플로팅게이트, 상기 플로팅게이트상에 형성된 제2절연막 그리고 제2절연막상에 형성된 컨트롤게이트를 포함하여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플래쉬 메모리의 쓰기 및 소거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플래쉬 메모리의 쓰기동작은 제3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판(31)은 접지시키고 소오스전극(35a)에는 0 볼트(Volt)를 인가하고 컨트롤 게이트(41)에는 프로그램(Write)되는 최소전압 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한다.
이때 기판(31)은 P도전형 폴리실리콘이고 소오스전극(35a) 및 드레인전극(36a) 그리고 컨트롤 게이트(41)는 N도전형 폴리실리콘을 사용한다.
그리고 드레인전극(36a)에는 프로그램되는 최소전압 보다 낮은전압을 인가한다.
이때 드레인전극(36a)은 소오스전극(35a)과 마찬가지로 N도전형 폴리실리콘을 사용한다.
이와같이, 전압을 인가하면 드레인전극(36a)의 전압과 컨트롤 게이트(41)의 전압과의 전위차에 의해 플로팅 게이트(39)주변의 얇은 절연층(38)에는 파울러 노드하임 터넬링(Fowler Nordheim Tunneling) 효과에 의해 전류가 흐르게되며 이로인해 플로팅 게이트(39)에 핫 일렉트론(Hot Electron)들이 프로그램된다.
이때 전계(Electric Field)는 드레인전극(36a)전체에 걸쳐 동일하게 유기되지 않고 모서리(Edge)부분에서 가장 강하게 유기되며 전류의 이동은 I 모양 상단의 모서리(Edge) 부분에서 이루어진다.
이때 절연층(38)은 인터폴리 유전체막이고 플로팅 게이트(39)는 컨트롤 게이트(41)와 마찬가지로 N도전형 폴리실리콘을 사용하며 소오스전극(35a) 및 드레인전극(36a)은 플로팅 게이트(39)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 또는 비대칭되는 위치들에 형성한다.
한편 소거동작은 제3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판(31)은 접지시키고 드레인전극(36a)은 플로팅시킨다.
그리고 컨트롤 게이트(41)에는 소거되기 시작하는 최소전압 보다 높은 부(-)전압을 인가하고 소오스전극(35a)에는 소거를 위한 적절한 전압을 인가한다.
따라서 컨트롤 게이트(41)에 인가되는 전압과 소오스전극(35a)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서 메모리 셀의 문턱전압은 낮아지고 결국 플로팅 게이트(39)에 프로그램 되어 있던 전자(Electron)들은 파울러 노드하임 터넬링(Fowler Nordheim Tunneling)효과에 의해 소오스전극(35a)쪽으로 방전된다.
이때 플로팅 게이트(39)가 I 구조로서 소오스전극(35a)과 오버랩되어 있으므로 소거시간이 단축된다. 즉, 소오스전극(35a)과 플로팅 게이트(39)와의 접촉면적이 커져서 짧은 시간에 보다 많은 전자를 방전시키기 때문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플래쉬 메모리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a도 내지 제4f도는 본 발명의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단면도이다.
먼저, 제4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도체기판(31)상에 제1절연층(32)을 형성한다.
이어 제4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절연층(32)위에 제2절연층(33)을 형성한다.
이때 제1절연층(32)의 두께는 약 300이상으로 한다. 그리고 제1, 제2절연층(33)은 질화막 또는 산화막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이어 제4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절연층(33)상에 포토레지스트(34)를 도포한 후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포토레지스트(34)를 패터닝하여 소오스 및 드레인영역을 정의한다.
다음 제4d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터닝된 포토레지스트(34)를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2절연층(33)을 선택적으로 제거한 후 N+소오스 및 드레인 불순물 이온주입을 실시하여 기판(31)에 소오스 및 드레인 불순물영역(35,36)을 형성한다.
그리고 각각의 소오스 및 드레인 불순물영역(35,36)상측의 제1절연층(32)을 선택적으로 제거한 후 전면에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용 제1폴리실리콘층(37)을 형성한다.
이어 제4e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폴리실리콘층(37)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소오스전극과 드레인전극(35a,35b)을 형성한다.
이때 제1폴리실리콘층(37)은 N도전형 폴리실리콘을 사용하고 소오스전극(35a) 및 드레인전극(36a)이 T 형상이 되도록 제1폴리실리콘층(37)을 제거한다.
이어 제4f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식각공정으로 제2절연층(33)을 제거한다.
다음 제4g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오스전극(35a) 및 드레인전극(36a)을 포함한 전면에 제3절연층(38)을 형성한다.
이어 제3절연층(38)상부에 플로팅 게이트용 제2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한 후 이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플로팅 게이트(39)를 형성한다.
이때 제3절연층(38)은 인터폴리용 유전체막이고 플로팅 게이트(39)는 N도전형 폴리실리콘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이어 플로팅 게이트(39)를 포함한 전면에 제4절연층(40)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4절연층(40)을 선택적으로 제거한 후 플로팅 게이트(39)와 동일한 폭을 갖도록 컨트롤 게이트(41)를 형성한다.
이때 컨트롤 게이트(41)도 플로팅 게이트(39)와 마찬가지로 N도전형 폴리실리콘을 사용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플래쉬 메모리 구조 및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낮은 인가전압에서도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둘째, 짧은 시간에 많은양의 전자를 방전하므로 소거효율을 향상시킨다.
세째, 핫 일렉트론에 의한 게이트절연막의 손상(Damage)를 최소화하므로 메모리 셀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Claims (12)

  1. 소오스/드레인 불순물영역을 가지는 반도체기판; 상기 소오스/드레인 불순물영역상에 T자 형태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소오스/드레인 전극; 상기 기판 및 소오스/드레인 전극상에 형성된 제1절연막;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에 상, 하측 부분이 오버랩되어 소오스/드레인 전극사이의 제1절연막상에 형성된 플로팅게이트; 상기 플로팅게이트상에 형성된 제2절연막 그리고 제2절연막상에 형성된 컨트롤게이트를 포함하여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은 상기 플로팅 게이트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 또는 비대칭되는 위치들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3. 제1항에 있어서, 기판은 P형 폴리실리콘이고 소오스 및 드레인전극은 N형 폴리실리콘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4. 제1항에 있어서, 플로팅 게이트 및 컨트롤 게이트는 N형 폴리실리콘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5. 제1항에 있어서, 소오스/드레인 전극을 제외한 기판표면에 형성된 제1절연층,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들을 플로팅 게이트전극으로 부터 절연시키는 제2절연층, 그리고 플로팅 게이트전극을 컨트롤 게이트전극으로부터 절연시키는 제3절연층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들은 산화물과 질화물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7. 기판을 마련하는 스텝; 상기 기판상에 제1절연층과 제2절연층을 차례로 형성하는 스텝; 상기 제2절연층과 제1절연층을 함께 패터닝하여 기판상에서 서로 떨어진 두개의 오픈영역들을 형성하는 스텝; 상기 오픈영역들을 통해 기판내에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기판의 표면내에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스텝; 상기 소오스/드레인 불순물영역과 콘택되도록 제1반도체층을 잔존하는 제1절연층과 제2절연층의 표면상 및 상기 오픈영역들 내에 형성하는 스텝; 상기 제2도전형 제1반도체층을 패터닝한 후 제2절연층을 제거하여 소오스/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스텝;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을 포함한 전면에 제3절연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3절연층 상부에 제2반도체층을 형성하는 스텝; 상기 제2반도체층을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의 상부에서 오버랩 되도록 패터닝하여 소오스/드레인 전극 사이에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는 스텝; 상기 플로팅 게이트를 포함한 전면에 제4절연층을 형성하고 제4절연층의 상부에 제3반도체층을 형성하는 스텝; 상기 제3반도체층을 패터닝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상측에 컨트롤 게이트를 형성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1, 제2, 제3, 제4절연층의 물질은 산화물과 질화물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제1절연층의 두께는 300이상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제3절연층은 인터폴리용 유전체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플로팅 게이트 및 컨트롤 게이트는 N도전형 폴리실리콘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의 물질은 N 도전형 폴리실리콘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
KR1019960034657A 1996-08-21 1996-08-21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09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657A KR100209724B1 (ko) 1996-08-21 1996-08-21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
US08/810,914 US5763913A (en) 1996-08-21 1997-03-05 Flash memory device with improved efficiency and reliabilit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E19724469A DE19724469C2 (de) 1996-08-21 1997-06-10 Flashspeicher mit I-förmigem potentialungebundenem Gat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9191000A JP2939537B2 (ja) 1996-08-21 1997-07-16 フラッシュメモリ及びその製造方法
US09/026,550 US6093604A (en) 1996-08-21 1998-02-20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657A KR100209724B1 (ko) 1996-08-21 1996-08-21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362A KR19980015362A (ko) 1998-05-25
KR100209724B1 true KR100209724B1 (ko) 1999-07-15

Family

ID=19470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4657A KR100209724B1 (ko) 1996-08-21 1996-08-21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5763913A (ko)
JP (1) JP2939537B2 (ko)
KR (1) KR100209724B1 (ko)
DE (1) DE19724469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055B1 (ko) 2005-10-31 2008-01-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및 그 형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11589B (en) * 1998-02-27 2000-11-11 Mosel Vitelic Inc Method of manufacturing capacitor bottom electrode and structure thereof
JP3298509B2 (ja) * 1998-06-12 2002-07-02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256225B1 (en) 1999-02-26 2001-07-03 Micron Technology, Inc.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for non-volatile reprogrammable switches
US6297989B1 (en) 1999-02-26 2001-10-02 Micron Technology, Inc. Applications for non-volatile memory cells
US6380581B1 (en) * 1999-02-26 2002-04-30 Micron Technology, Inc. DRAM technology compatible non volatile memory cells with capacitors connected to the gates of the transistors
US6452856B1 (en) * 1999-02-26 2002-09-17 Micron Technology, Inc. DRAM technology compatible processor/memory chips
JP2001093996A (ja) * 1999-09-27 2001-04-06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DE69936654T2 (de) * 1999-12-09 2007-11-22 Hitachi Europe Ltd., Maidenhead Speicheranordnung
US6511590B1 (en) * 2000-10-10 2003-01-28 Alcoa Inc. Alumina distribution in electrolysis cells including inert anodes using bubble-driven bath circulation
DE10143235A1 (de) * 2001-09-04 2003-03-27 Infineon Technologies Ag Halbleiterspeicherelement, Halbleiterspeicherelement-Anordnun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Halbleiterspeicherelementes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albleiterspeicherelementes
US6914289B2 (en) 2002-08-15 2005-07-05 Intel Corporation Hourglass ram
US20040163967A1 (en) * 2003-02-20 2004-08-26 Lacamera Alfred F. Inert anode designs for reduced operating voltage of aluminum production cells
US7135727B2 (en) * 2004-11-10 2006-11-14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I-shaped and L-shaped contact structures and their fabrication methods
TW200843121A (en) * 2007-04-24 2008-11-01 Nanya Technology Corp Two-bit flash memo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2364689B (zh) * 2011-10-20 2013-09-18 北京大学 一种闪存器件的浮栅结构及其制备方法
US8536639B2 (en) * 2011-10-20 2013-09-17 Peking University I-shape floating gate for flash memory device and fabricating the same
CN112530963B (zh) * 2019-09-19 2022-10-28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北京)有限公司 闪存器件及其制作方法
US11532745B2 (en) * 2020-03-02 2022-12-20 Globalfoundries U.S. Inc. Integrated circuit structure including asymmetric, recessed source and drain region and method for form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4677A (ja) * 1982-10-22 1984-04-27 Ricoh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S60223165A (ja) * 1984-04-19 1985-11-07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272672A (ja) * 1988-09-07 1990-03-12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34577A (ja) * 1989-06-30 1991-02-14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094968A (en) * 1990-11-21 1992-03-10 Atmel Corporation Fabricating a narrow width EEPROM with single diffusion electrode formation
JPH05206472A (ja) * 1992-01-28 1993-08-13 Fujitsu Ltd 不揮発性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2713115B2 (ja) * 1993-10-06 1998-02-16 日本電気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JP2901493B2 (ja) * 1994-06-27 1999-06-07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5543339A (en) * 1994-08-29 1996-08-06 Motorola, Inc. Process for forming an electrically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cell
US5498560A (en) * 1994-09-16 1996-03-12 Motorola, Inc. Process for forming an electrically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cell
US5776805A (en) * 1995-12-29 1998-07-07 Lg Semicon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MESF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055B1 (ko) 2005-10-31 2008-01-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및 그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93604A (en) 2000-07-25
JP2939537B2 (ja) 1999-08-25
DE19724469C2 (de) 2001-01-25
JPH1098119A (ja) 1998-04-14
US5763913A (en) 1998-06-09
DE19724469A1 (de) 1998-02-26
KR19980015362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9724B1 (ko)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
US5471422A (en) EEPROM cell with isolation transistor and methods for making and operating the same
KR100192551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5773343A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recessed channel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192546B1 (ko) 플래쉬 메모리 및 이의 제조방법
GB2292008A (en) A split gate type flash eeprom cell
KR100190020B1 (ko) 고전압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0144421B1 (ko) 플레쉬 이.이.피.롬의 제조방법
KR0168155B1 (ko) 플래쉬 이이피롬 셀 및 그 제조방법
KR100217901B1 (ko) 플래쉬 이이피롬 셀 및 그 제조방법
KR100270577B1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US6303454B1 (en) Process for a snap-back flash EEPROM cell
US6483159B1 (en) Undoped polysilicon as the floating-gate of a split-gate flash cell
KR100685880B1 (ko) 플래쉬 이이피롬 셀 및 그 제조방법
KR100376864B1 (ko) 반도체장치의 비휘발성 메모리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88489B1 (ko) 비휘발성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
KR100186507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구조 및 제조방법
KR19980045174A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960014471B1 (ko)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189965B1 (ko)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214470B1 (ko) 이이피롬 셀의 제조방법
KR19980053139A (ko) 플래쉬 메모리 제조방법
KR0151069B1 (ko) 고전압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0192545B1 (ko)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970011139B1 (ko)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